KR100699801B1 -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801B1
KR100699801B1 KR1020010010605A KR20010010605A KR100699801B1 KR 100699801 B1 KR100699801 B1 KR 100699801B1 KR 1020010010605 A KR1020010010605 A KR 1020010010605A KR 20010010605 A KR20010010605 A KR 20010010605A KR 100699801 B1 KR100699801 B1 KR 100699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ase
frame
case member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3651A (ko
Inventor
엔도카츠유키
마츠세토시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89580A external-priority patent/JP44381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14040A external-priority patent/JP445746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14036A external-priority patent/JP4505938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3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터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부재를 인쇄 기능 부품들을 지지하는 프레임부재에 결합할 경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부재에 케이스부재를 결합하기 위해, 프레임부재의 결합부와 케이스부재의 결합부에 기다란 고정판을 삽입한다. 고정판을 덮고 케이스부재에 삽입되어 프린터의 외형 일부를 구성하는 고정판 커버가 제공된다. 이 고정판 커버에는 고정판의 이동을 제한하는 돌기가 있다. 프레임부재와 메인 케이스부재를 결합하기 위해 제 1, 제 2결합부재를 제공한다. 제 1결합부재에 의해 메인 케이스부재의 측벽 개방단부가 프레임부재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측벽의 폐쇄 단부에 더 가까이 있는 제 2결합부재에 의해, 메인 케이스부재가 결합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프린터, 프레임, 케이스

Description

프린터{Prin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사시도;
도 2는 고정판 커버를 분리한 프린터의 사시도;
도 3은 프린터의 케이싱 구조의 전개사시도;
도 4는 고정판의 제 1결합부 선단부에서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도 5는 고정판의 제 1결합부 중앙에서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도 6은 고정판 제 2결합부의 선단부에서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도 7은 프레임부재에 메인 케이스부재가 맞닿는 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메인 케이스부재의 사시도;
도 9a는 프린터의 하부 결합편조의 결합전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사시도;
도 9b는 프린터의 하부 결합편조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확대사시도;
도 10은 메인 케이스부재와 프레임부재 사이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a, 11b는 도 10의 요부 확대도;
도 12는 메인 케이스부재와 프레임부재 사이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도 9b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14는 고정판 커버의 후방사시도;
도 15는 프린터 케이싱에 고정판 커버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및
도 16, 17은 도 15의 요부확대사시도.
본 발명은 프린터 케이싱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프린터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부재를 인쇄 기능 부품들을 지지하는 프레임부재에 결합할 경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린터는 구조적으로 프린트헤드, 용지이송롤러 등의 부품들을 높은 강성의 금속제 프레임부재로 지지하고, 프레임부재를 플라스틱 등의 탄성재료로 구성된 케이스부재로 덮는다.
이런 구조의 프린터는 여러 개의 나사로 프레임부재에 케이스부재를 결합하여 조립되거나, 케이스부재에 형성된 결합부재와 프레임부재에 형성된 결합부재를 결합한 다음 나사를 이용해 케이스 부재를 프레임부재에 결합하여 조립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린터에서는 여러 개의 나사를 조여 케이스부재를 결합해야만 한다. 그러나, 프린터의 유지보수나 내부를 체크하기 위해 나사를 분해결합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다. 반대로, 케이스 구조에 나사가 없으면, 케이스부재의 분해결합이 용이하지만, 케이스부재를 프레임부재에 결합했을 때 그 일체성이 완벽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프린터가 동작할 때 프레임부재와 케이스부재가 접촉하여 소음이 발생하고, 케이스부재가 파손되곤 한다. 따라서, 케이스부재의 분해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케이스부재와 프레임부재의 일체성이 개선되는 프린터의 케이스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부재를 프레임부재에 결합했을 때 프레임부재에 대한 케이스부재의 일체성이 개선된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부재에 대한 케이스부재의 분해결합을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삭제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린터 부품들을 지지하고,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재;
프린터의 외형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일부를 덮는 제 1케이스부재로서, 프린터의 일측면을 이루는 제 1측벽,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제 1측벽의 대응하는 양단부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측벽 및 제 3측벽, 상기 제 2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케이스부재가 상기 프레임부재를 덮을 때 상기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1케이스측 결합부재, 및 상기 제 3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케이스부재가 상기 프레임부재를 덮을 때 상기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 2케이스측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제 1케이스부재; 및
상기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제 2케이스측 결합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제 1케이스부재를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하기 위한 기다란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가 제공된다.
이런 구조에서는, 고정판을 삽입하거나 빼내서 프레임부재에 대한 제 1케이스부재의 분해결합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린터는 프레임부재의 다른 부분을 덮으면서 프린터의 외형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제 2케이스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케이스부재는,
프린터의 일측면을 형성하고 제 1케이스부재의 제 1측벽을 마주보는 제 1측벽;
제 1단부가 상기 제 1측벽에 연결되고 자유단부인 제 2단부가 상기 제 1단부 반대쪽에 있는 제 2측벽;
상기 제 2측벽을 마주보고 있고 제 1단부가 제 1측벽에 연결되며, 자유단부인 제 2단부가 상기 제 1단부 반대쪽에 있는 제 3측벽;
상기 제 2측벽에 구비되어 제 2케이스부재가 프레임부재를 덮을 때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3케이스측 결합부재; 및
상기 제 3측벽에 구비되어 제 2케이스부재가 프레임부재를 덮을 때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의 상기 타측에 위치하는 제 4케이스측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고정판은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뿐만 아니라 제 1, 제 2, 제 3, 제 4케이스측 결합부재들과 결합하여 프레임부재와 제 1, 제 2케이스부재를 결합한다.
프레임부재는 제 2프레임측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제 1케이스부재가 프레임부재에 결합될 때 고정판이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구조에서는, 프레임부재에 제공된 두개의 결합부에 고정판이 결합되기 때문에, 프레임부재와 제 1, 제 2케이스부재들 사이의 밀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
고정판이 각각의 결합부재와 결합하면 제 1케이스부재의 제 1측벽이 프레임부재의 대향면에 대하여 밀려서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구조에서는, 프레임부재에 대한 제 1케이스부재의 상대 위치를 결합할 수 있어, 프레임부재에 대한 케이스부재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는 고정판이 삽입되는 관통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구조에서는, 고정판을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고정판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안내부에 의해, 고정판을 관통공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1케이스부재의 제 2, 제 3측벽 사이로 상기 프레임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프레임부재를 상기 제 1케이스부재에 부착한다.
프린터는,
상기 제 1케이스부재가 상기 프레임부재를 덮을 때, 제 1케이스부재의 제 2, 제 3측벽이 서로에 대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1결합부재;
상기 부착방향의 역방향으로 상기 프레임부재에서 상기 제 1케이스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 1결합부재보다 상기 제 1케이스부재의 제 1측벽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제 2결합부재; 및
상기 제 2결합부재의 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제 2결합부재보다 상기 제 1케이스부재의 제 1측벽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분리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런 구조에서는, 제 1케이스부재를 프레임부재에 부착할 때, 제 1, 제 2결합부재들 각각이 결합된 상태에 있어, 제 1케이스부재의 제 2, 제 3측벽의 개방단부들이 벌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 1케이스부재의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제 1케이스부재가 프레임부재에서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제 1결합부재는 제 1케이스부재에 형성된 제 1결합고리와, 이 고리와 맞물리는 프레임부재에 형성된 제 1결합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결합부재는 제 1케이스부재에 형성된 제 2결합고리와, 프레임부재에 형성되어 이 결합고리와 맞물리는 제 2결합편을 포함한다.
이런 구조에서는, 제 2결합부재를 이용한 결합을 더 쉽게 할 수 있다. 또, 결합을 쉽게 해제할 수 있다.
프린터는 제 1케이스부재가 프레임부재를 덮을 때 부착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프레임부재로부터 제 1케이스부재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 3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결합부재는 제 1케이스부재에 대해 부착방향으로 제 1케이스부재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부재는 제 1케이스부재의 제 2, 제 3측벽 각각에 형성된 절개부로서 구비되고, 이 절개부를 통해 손가락을 집어넣어 제 2및 제 3측벽을 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린터 외형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케이스부재는, 상기 제 1측벽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측벽을 연결하는 면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제 2결합부재들은 상기 제 2, 제 3측벽에서의 상기 면판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에 구비된다.
프린터는 상기 제 1, 제 2케이스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와 맞물리는 부분을 구성하고 기다란 고정판에 결합되어 고정판의 이동을 제한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구조에서는, 고정판을 덮는 고정판커버를 부착하여 고정판의 이동을 제한해 케이스부재에 프레임부재를 더 단단히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고정판의 결합운동을 통해 제 2케이스부재와 프레임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는 제 1커버측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는 상기 제 1커버측 결합부재 부근에 형성된다.
이런 구성에서는, 이들 부재들을 잘못 제작하거나 경년 열화(aged deterioration)가 발생해도 돌기가 고정판을 제한하는 정도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제 2케이스부재 및 프레임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때 상기 구멍에 상기 돌기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다란 고정판은, 동일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방향과 수직인 부재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 1부분과 제 2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부분은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뿐만 아니라 제 2, 제 3, 제 4케이스측 결합부재들과 결합되며, 상기 제 2부분은 제 2프레임측 결합부재 및 제 1케이스측 결합부재와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고정판의 일부분을 따라 뻗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커버측 결합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는 그 타단부에 형성되어 제 1케이스부재 및 프레임부재의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는 제 2커버측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이런 구성에 의하면, 이상의 결합부재에 의해 프레임부재에 대한 케이스부재의 일체성을 더 향상할 수 있고, 또 케이스부재의 분해결합을 아주 쉽게 할 수 있다.
또,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기다란 하나의 고정판을 이용해 케이스부재를 프레임부재에 더 견고히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부재의 분해결합을 아주 쉽게 할 수 있고 고정판을 덮는 고정판 커버에 의해 금속 결합부가 벗겨지는 것이 방지할 수 있어, 분해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완벽한 결합을 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프린터(10)는 구성 요소들이 프레임부재(50)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터이다(도 3 참조). 프레임부재는 메인 케이스부재(20)와 전면 케이스부재(30)로 덮여 프린터를 구성한다. 메인 케이스부재(20)와 전면 케이스부재(30)는 플라스틱 등의 탄성재료로 구성되고 체결판(40)에 의해 프레임부재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도 2 참조). 프린터(10)의 전면 상부에는 체결판(40)을 덮는 커버(25)가 부착된다. 따라서, 프린터(10)의 케이싱 구조의 외형은 내부 요소를 구비한 프레임부재를 메인 케이스부재(20)와 전면 케이스부재(30)로 덮고 이들 케이스부재들을 체결판(40)으로 결합하며 체결판(40)을 체결판 커버(25)로 덮어 이루어진다. 또, 용지배출면(26)의 하부는 두루마리 종이 수용 도어(도시 안됨)에 일체로 형성된 전면 커버(27)로 덮는다.
메인 케이스부재(20) 내부에는, 프린트헤드, 용지이송롤러 등의 인쇄 메커니즘(도시 안됨)이 프레임부재에 배치된다. 또, 두루마리 용지를 넣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수납공간에 수납된 두루마리 용지는 프린터(10)의 전면에서 인출되어 인쇄 뒤에 용지배출면(26)으로 배출된다. 한편, 전면 케이스부재(30) 내부에는, 잉크 카트리지 수납공간이 프레임부재 위에 형성되고, 전면 케이스부재(30) 전방에 도어커버(31)가 배치되는 바, 이 도어커버(31)는 잉크카트리지를 로딩할 때 이용된다. 도어커버(31)는 그 좌측면(31a)의 상하단부에 배치된 돌출부(도시 안됨)에 의해 케이스부재(30)에 대해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바, 이들 돌출부는 지지축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도어커버(31)를 열어 잉크 카트리지를 교환할 수 있다.
도 3은 프린터(10)의 케이싱 구조의 전개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케이스 부재를 프레임부재에 결합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이 도면에는, 면, 프레임부재(50)에 장착되는 내부 구성요소들은 생략한다.
프레임부재(50)는 철 등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메인 프레임부(51)와 전면 프레임부(52)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메인 프레임부(51)에는 잉크젯형 프린팅 메커니즘, 용지 이송 메커니즘, 두루마리 용지 하우징 등의 메인 내부 요소들이 구비된다. 메인 프레임부(51)는 메인 케이스부재(20)로 덮인다. 전면 프레임부(52)에는 잉크 카트리지 저장부, 잉크 공급부 등이 구비되고 전면 케이스부재(30)로 덮인다.
먼저, 메인 케이스부재(20)와 전면 케이스부재(30) 모두를 프레임부재(50)에 결합하는 구조를 상부로부터 설명한다. 각 케이스부재의 상부를 결합하는데는 기다란 판형 고정판(40)을 이용한다. 요컨대, 케이스부재들(20,30)과 프레임부재(50) 각각에 형성된 구멍과 체결구들은 케이스부재들을 프레임부재에 장착할 때 서로 끼워지도록 배열된다. 고정판(40)을 결합공과 결합편들을 통해 삽입하여 케이스부재(20,30)와 프레임부재(50)에 손으로 결합한다.
고정판(40)은 철 등 강성을 갖는 금속재료로 구성된다. 고정판(40)의 일부는 길이방향으로 직선으로 뻗어 제 1결합부(40a)를 형성하고, 고정판의 일단부는 뒤로 휘어져 제 2결합부(40b)를 형성한다. 제 1결합부(40a)의 선단부가 테이퍼져 있어, 고정판(40)을 프레임부재(50)의 결합공(50d)에 쉽게 끼울 수 있다.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결합부(40a)에는 고정판 커버(25)의 돌기(25d)를 끼우는 결합공(40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판(40)의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이런 구성과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고정판(40)의 제 1결합부(40a)를 결합하기 위해, 프레임부재(50)에 결합공(50d)을 형성하고 메인 케이스부재(30)에 결합편(20a)을 형성하며, 전면 케이스부재(30)에 두개의 결합공(30a,30b)을 형성한다.
메인 케이스부재(20)와 전면 케이스부재(30)를 프레임부재(50)에 장착할 때, 전면 케이스부재(30)의 결합공(30a,30b)을 프레임부재(50)의 결합공(50d) 양쪽에 위치시키고, 메인 케이스부재(20)의 결합편(20a)을 결합공(30b) 외측에 위치시킨다. 이렇게 결합공과 결합편을 배치하면 대략 각각의 케이스부재의 결합상태에 대응된다. 따라서, 고정판(40)의 제 1결합부(40a)를 삽입하면 이들 부재들을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즉,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판(40)의 제 1결합부(40a)의 선단부를 결합공(30a,50d,30b)에 차례로 끼우고 마지막으로 메인 케이스부재(20)의 결합편(20a)에 끼운다.
전면 케이스부재(30)를 프레임부재(50)에 장착할 때, 결합공들(30a,30b)을 프레임부재(50)의 결합공(50d)의 중심과 어긋나게 배치한다. 결합공들(30a,30b)은 전면 케이스부재(30)의 전방부와 프레임부재(50)의 전방부의 접촉으로 인해 앞쪽으로 중심이 쏠리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50d)의 중앙부(50d1)가 넓기 때문에, 결합공들(30a,30b)이 결합공(50d) 중심에서 편심되어 있어도 고정판(40)의 제 1결합부(40a)의 테이퍼 전단부를 결합공(30a,50d,30b)에 끼울 수 있다.
이들 결합공에 고정판(40)을 삽입하고 그 선단부가 프레임부재의 결합공(50d)을 통과하면, 고정판(40)의 테이퍼 전단부와 결합공(50d)의 상기 중앙부(50d1)에 형성된 경사면(50d2)으로 인해 결합공(50d)의 좁은 부분으로 제 1결합부(40a)가 안내되므로, 전면 케이스부재(30)를 프레임부재(50)에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고정판(40)의 제 2결합부(40b)를 결합하기 위해, 프레임부재(50)에 결합공(50e)을 형성하고, 메인 케이스부재(20)의 한쪽 측벽(21)의 단부에 결합공(20b)을 형성한다.
메인 케이스부재(20)를 프레임부재(50)에 장착할 때, 결합공(20b)을 결합공(50e) 외측에 위치시킨다. 결합공들을 이렇게 위치시키면 대략 메인 케이스부재(20)의 부착상태에 대응되고, 고정판(40)의 제 2결합부(40b)를 이들 결합공에 삽입하여 메인 케이스부재를 프레임부재(50)에 결합한다. 즉, 고정판(40)의 제 2결합부(40b)를 가상선으로 표시된 대로 결합공(20b)과 결합공(50e)에 차례로 끼운다.
메인 케이스부재(20)를 프레임부재(50)에 장착할 때, 결합공(20b)과 결합편(20a)을 각각 프레임부재(50)의 결합공(50e,50d)의 중심에 편심되게 배치한다. 결합공(20b)과 결합편(20a)은 프레임부재(50)의 뒷면과 메인케이스부재(20)의 안쪽 뒷면에 형성된 돌기(20c)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뒷쪽으로 중심이 편심되어 있다(도 7 참조). 전술한대로, 이들 결합공(50d,50e)에 제 1, 제 2결합부(40a,40b)를 삽입하면, 이들은 서로 끼워맞춤된다. 이때, 메인 케이스부재(20)의 양쪽 측벽(21,22)이 프레임부재(50)쪽으로 당겨진다. 즉, 프레임부재(50)의 뒷면 중앙부가 메인 케이스부재(20)의 돌기(20c)에 강하게 압착되어 견고히 결합된다.
도 4 내지 도 6은 고정판(40)의 각 결합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결합부(40a)의 선단부는 메인 케이스부재(20)의 결합편(20a)에 맞닿아 전면 케이스부재(20)의 결합공(30b)에 끼워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결합부(40a)의 중앙부는 프레임부재(50)의 결합공(50d)에 삽입되고 전면 케이스부재(30)의 결합공(30a)에 삽입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결합부(40b)의 선단부는 프레임부재(50)의 결합공(50e)에 삽입되고 메인 케이스부재(20)의 결합공(20b)에 삽입된다.
이상의 구조에 의하면, 작업자는 고정판(40)의 삽입하거나 당기기만 하면 케이스부재(20)와 전면 케이스부재(30)를 프레임부재(50)에 쉽게 분해결합할 수 있다.
도 7은 프레임부재(50)에 대한 메인 케이스부재(20)의 상대적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자, 메인 케이스부재(20)와 프레임부재(50)의 확대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케이스부재(20)의 뒷벽 내면 중앙 부근에 돌기(20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돌기(20c)가 프레임부재(50)의 뒷면에 닿으면, 고정판(40)을 삽입하기 전에 메인 케이스부재(20)의 결합편(20a)과 프레임부재(50)의 결합공(50d)이 수평으로 약간 이동한다. 또, 결합공들(20b,50e)이 수평으로 약간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고정판(40)을 이들 결합공에 삽입하여 결합편(20a)과 맞닿게 하면, 메인 케이스부재(20)의 양단부가 도면 우측으로 당겨지고, 돌기(20c)가 형성된 뒷벽이 탄성 변형되어 약간 굴곡된다. 따라서, 돌기(20c)가 프레임부재(50) 뒷면에 압축되고 프레임부재(50)에 대한 메인 케이스부재(20)의 헐거움이 방지된다. 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프레임부재(50)에 대한 전면 케이스부재(30)에도 비슷한 구조가 채택된다.
다음, 메인 케이스부재(20)의 하부를 프레임부재(50)에 끼우는 구조에 대해 도 3 및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케이스부재(20)는 위에서 보아 사각 브래킷 형상이다. 케이스부재(20)는 한쌍의 측벽(21,22), 뒷벽(23) 및 상판(24)으로 구성된다. 뒷벽(23)은 측벽(21,22)에 연결되고, 상판(24)은 측벽(21,22,23)의 상단에 연결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메인 케이스부재(20)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다. 메인 케이스부재(20)는 개방부를 프레임부재(50)쪽을 향한채 미끄럼 이동하여(도 3의 X'방향), 프레임부재(50)를 덮는다.
프레임부재(50)에 메인 케이스부재(20)를 끼우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양 측벽(21,22)의 내벽면 하부에 결합고리(41,42)와 결합홈(43)을 형성한다. 프레임(50)에 메인 케이스부재(20)를 장착할 때, 결합고리(41,42)와 결합홈(43)을 각각 메인 프레임부(51)의 측면에 형성된 3개의 결합편(50a,50b,50c)에 끼워, 프레임부재(50)에 대한 메인 케이스부재(20)의 이동을 제한한다.
메인 케이스부재(20)의 결합고리(41)는 양 측벽(21,22)의 개방단부 부근(케이스부재의 개방단부 부근)에 형성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결합고리(41)는 메인 케이스부재(20)의 개방부쪽으로 향해 있고 그 선단부(41a)는 측벽에서 떨어져 있다. 선단부(41a)에 대응하는 부재로서, 측벽을 절단하고 벌려 형성된 결합편(50a)을 메인 프레임부(51)의 측면 대응부에 배치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50)에 대해 메인 케이스부재(20)를 앞으로 밀면, 결합고리(41)의 선단부(41a)가 결합편(50a)의 내부로 안내된다. 결합고리(41)의 기단부 표면(41b)이 결합편(50a) 측면에 맞닿는 지점에서 메인 케이스부재(20)의 이동이 정지된다(도 9b 참조). 이 상태에서, 메인 케이스부재(20)의 X'-Y 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Y방향 이동의 제한으로 인해, 측벽들(21,22)에 외력이 작용해도 어떤 측벽도 외부로 팽창되지 않으므로, 프레임부재(50)에 대한 메인 케이스부재(20)의 일체성이 향상된다.
메인 케이스부재(20)의 결합홈(43)은 양쪽 측벽(21,22)의 하부를 따라 형성된다. 결합홈(43)의 개방부는 프레임부재(50)의 측면을 향하고, 메인 프레임부(51)의 하부 측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편(50c)이 결합홈(43)에 삽입된다. 결합홈(43)의 내부면(43a)은 메인 케이스부재(20)를 프레임부재(50)의 뒷쪽에서 앞쪽으로 밀어 넣을 때 가이드 역할을 한다. 또, 도 9b의 장착 상태에서, 결합홈(43)은 메인 케이스부재(20)의 승강(Z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결합홈(43)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고해도 좋다.
다음, 메인 케이스부재(20)의 결합고리(42)는 결합고리(41)보다 뒷벽(23)쪽으로 측벽(21,22)에 배열된다. 프레임부재의 대응 결합편들(50b)이 서로 다른 위치에 있기 때문에, 측벽(21)의 결합고리(42)는 상대적으로 메인 케이스부재(20) 전방에 위치하는 반면, 다른 측벽(22)의 결합고리(42)는 상대적으로 메인 케이스부재(20) 후방에 위치한다. 도 10에는 각각의 프레임부재 결합편(50b)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는 바, 양쪽 결합편(50b)는 프레임부재(50) 뒷벽 양단에 위치한다. 도 10, 11에서 명백하듯이, 각각의 결합고리(42)에는 뒷벽(23)을 향하도록 형성된 접촉부(42a)와, 그 뒷쪽의 경사면(42b)이 있다.
도 11에 도시된 점선으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50)의 전방을 향해 프레임부재 뒷쪽에서 메인 케이스부재(20)를 밀어넣어 프레임부재에 메인 케이스부재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결합고리(42)의 경사면(42b)이 프레임부재의 결합편(50b)에 맞닿는다. 메인 케이스부재(20)를 더 밀어넣으면, 메인 케이스부재의 측벽(21,22)이 경사면(42b)에 의해 바깥쪽으로 휘어져 결합편(50b)를 타고넘은 다음 이들 결합편에 걸린다. 이 상태에서, 접촉면(42a)이 결합편(50b)의 내면에 맞닿는다.
이상의 결합상태에서는, 메인 케이스부재(20)가 도 3의 X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으며, 메인 케이스부재(20)는 프레임부재(50)에서 분리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결합고리(42)가 결합고리(41)보다 뒷벽(23)에 가까이 있다. 프레임부재(50)에 메인 케이스부재(20)를 장착할 때, 양 측벽(21,22)의 전단부, 즉, 개방단부는 프레임부재의 결합편(50a)과 결합고리(41) 사이의 맞물림으로 인해 외부로 개방되지 않는다. 또, 양 측벽(21,22)의 후단부가 뒷벽(23)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결합고리들(42)과 결합편들(50b) 사이의 결합상태를 쉽게 해제할 수 없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메인 케이스부재(20)는 그 하부에서 프레임부재(50)에 결합된다.
다음, 메인 케이스부재(20)를 프레임부재(50)에서 분리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12에는, 결합고리(42)와 결합편(50b)의 결합을 해제하는 부품으로서 절개부(44)와 가압부(45)가 도시되어 있다. 절개부(44)와 가압부(45)는 메인 케이스부재(20) 측벽(21,22)의 결합고리(42)보다 뒷벽(23) 부근에 형성된다. 절개부(44)의 크기는 작업자가 메인 케이스부재(20) 안으로 손가락을 걸 수 있을 정도이다. 또, 절개부(44) 각각은 측벽의 후단부에서 뒷벽(23)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압부(45)는 작업자가 프레임부재(50)에서 메인 케이스부재(20)를 분리하고자 할 때 절개부(44)를 통해 작업자 손가락 끝이 접촉되는 부분이다. 또, 가압부(45)는 절개부(44) 전방에 위치한다. 가압부(45)는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처리를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케이스부재(20) 양측에서 절개부(44)를 통해 가압부(45)까지 손가락을 삽입한다. 다음, 손가락 끝부분으로 양 측벽(21,22)을 Y 방향으로 벌리면, 측벽(21,22) 중앙부가 밖으로 휘어지고, 결합고리(42)와 결합편(50b) 사이의 결합이 풀어진다.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메인 케이스부재(20)를 프레임부재(50)에 대해 뒷쪽(X 방향)으로 당겨 분리한다.
다음, 고정판(40) 외측의 고정판 커버(25)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고정판 커버(25)의 후방 사시도이다. 고정판 커버(25)는 케이스부재들(20,30)과 동일하게 플라스틱 등의 탄성재료로 구성된다. 도 2,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 커버(25)는 대략 L형으로, 이곳에 결합되는 금속 고정판(40)의 형상에 대응한다. 고정판 커버(25)의 일단부에는 결합편(25a)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결합고리(25b) 및 그 양쪽의 결합편(25c)가 형성된다. 이들 결합편(25a,25c)와 결합고리(25b)를 통해 고정판 커버(25)가 프린터 케이스에 결합된다.
고정판 커버(25)는 뒷면에서 돌출하여 고정판(40)의 결합공(40c) 부근에 접촉되는 돌기(25d)를 더 구비한다.
도 15는 고정판 커버(25)가 프린터 케이스에 장착되는 방법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고, 도 16, 17은 도 15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과 도 2에 의하면, 결합공(30a)에 결합편(25a)와 고정판(40)이 삽입되고, 메인 케이스부재(20)의 측벽 가장자리에 결합고리(25b)와 결합편(25c)가 삽입된다. 이런 배열에 의해, 고정판 커버(25)가 케이싱측에 장착되어 고정판(40)을 덮는다. 또, 고정판(40)의 제 2결합부(40b)가 삽입되는 결합공(20b)에 인접 형성된 결합공(20d)에 결합고리(25b)가 삽입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5, 17을 참조한다. 고정판 커버(25)를 케이싱측에 부착할 때, 고정판(40)의 결합공(40c)에 돌기(25d)가 삽입되어, 고정판(40)이 미끄럼 방향(도 15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판 커버(25)를 케이싱측에 부착하려면, 도 15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편(25a)를 우선 결합공(30a)에 삽입한다. 이때, (결합편(25a) 부근에 위치한) 돌기(25d)가 고정판(40)의 결합공(40c)에 접촉하여 고정판(40)을 삽입 방향(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밀어준다. 고정판 커버(25)를 장착할 때 고정판(40)이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도, 고정판(40)이 결합공(40c)에 맞닿은 돌기(25d)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밀리므로, 고정판(40)을 완전히 삽입할 수 있다. 다음, 고정판 커버(25)의 뒷면을 약간 휘어지게 하여, 결합고리(25b)와 결합편(25c)을 메인 케이스부재(20) 측벽(21) 가장자리 안쪽에 걸어 삽입한다. 따라서, 고정판 커버(25)가 프린터 케이싱에 결합되어 고정판(40)을 덮는다. 이때, 돌기(25d)가 고정판(40)의 결합공(40c)에 삽입되므로 고정판(40)의 미끄럼 이동이 방지된다.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변형이 명백하는한, 첨부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메인 케이스부재(20)에 돌기(20c)를 형성했지만, 프레임부재(50)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메인 케이스부재(20)의 결합고리(41,42)와 결합홈(43), 및 프레임부재(50)의 대응 결합편들을 이용해 프린터의 하부를 결합했다. 그러나, 프린터 상부에 유사한 구성을 취해 프레임부재(50)에 전면 케이스부재(30)를 결합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각종 결합부재를 케이싱 구조가 다른 프린터에 채택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판 커버(25)에 형성된 돌기(25d)를 고정판(40)의 결합공(40c)에 삽입했지만, 고정판(40)에 상기 돌기(25d)에 맞닿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를 삽입하는 구멍을 고정판 커버(25)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을 실시할 때, 돌기(25d)를 결합편(25a)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다른 결합편(25c) 부근에 돌기(25a)를 형성하여 고정판(40)의 뒤로 휘어진 부분에 접촉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에 의하면, 케이스부재를 프레임부재에 결합했을 때 프레임부재에 대한 케이스부재의 일체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부재에 대한 케이스부재의 분해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8)

  1. 프린터 부품들을 지지하고,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50d)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재(50);
    프린터의 외형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부재(50)의 일부를 덮는 제 1케이스부재(20)로서, 프린터의 일측면을 이루는 제 1측벽(23),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제 1측벽(23)의 대응하는 양단부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측벽(21) 및 제 3측벽(22), 상기 제 2측벽(21)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케이스부재(20)가 상기 프레임부재(50)를 덮을 때 상기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50d)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1케이스측 결합부재(20b), 및 상기 제 3측벽(22)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케이스부재(20)가 상기 프레임부재(50)를 덮을 때 상기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50d)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 2케이스측 결합부재(20a)를 포함하는 제 1케이스부재(20); 및
    상기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50d)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제 2케이스측 결합부재(20a, 20b)와 결합하여 상기 제 1케이스부재(20)를 상기 프레임부재(50)에 결합하기 위한 기다란 고정판(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외형의 다른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부재(50)의 다른 부분을 덮는 제 2케이스부재(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케이스부재(30)는,
    프린터의 일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케이스부재(20)의 제 1측벽(23)을 마주보는 제 1측벽;
    제 1단부가 상기 제 1측벽에 연결되고 자유단부인 제 2단부가 상기 제 1단부 반대쪽에 있는 제 2측벽;
    상기 제 2측벽을 마주보고 있고, 제 1단부가 상기 제 1측벽에 연결되며, 자유단부인 제 2단부가 상기 제 1단부 반대쪽에 있는 제 3측벽;
    상기 제 2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제 2케이스부재(30)가 상기 프레임부재(50)를 덮을 때 상기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50d)의 상기 일측에 위치하는 제 3케이스측 결합부재(30a); 및
    상기 제 3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제 2케이스부재(30)가 상기 프레임부재(50)를 덮을 때 상기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50d)의 상기 타측에 위치하는 제 4케이스측 결합부재(30b)를 포함하며,
    상기 기다란 고정판(40)은 상기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50d)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내지 제 4케이스측 결합부재들(20a, 20b, 30a, 30b)을 결합하여 상기 제 1, 제 2케이스부재들(20, 30)을 상기 프레임부재(50)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50)는 제 2프레임측 결합부재(50e)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케이스부재(20)를 상기 프레임부재(50)에 결합할 때 상기 기다란 고정판(40)이 상기 제 2프레임측 결합부재(50e)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고정판(40)이 상기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 및 상기 제 1, 제 2케이스측 결합부재들(20a, 20b, 50d)과 결합될 때 상기 제 1케이스부재(20)의 상기 제 1측벽(23)이 상기 프레임부재(50)의 대향면에 대하여 밀려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50d)가 관통구멍이고, 이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기다란 고정판(40)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기다란 고정판(40)을 안내하는 안내부(50d1, 50d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케이스부재(20)의 제 2, 제 3측벽(21, 22) 사이로 상기 프레임부재(50)를 이동시켜 상기 프레임부재(50)를 상기 제 1케이스부재(20)에 부착하고:
    상기 제 1케이스부재(20)가 상기 프레임부재(50)를 덮을 때, 제 1케이스부재(20)의 제 2, 제 3측벽(21, 22)이 서로에 대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1결합부재(41, 50a);
    상기 부착방향의 역방향으로 상기 프레임부재(50)에서 상기 제 1케이스부재(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 1결합부재(41, 50a)보다 상기 제 1케이스부재(20)의 제 1측벽(23)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제 2결합부재(42, 50b); 및
    상기 제 2결합부재(42, 50b)의 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제 2결합부재(42, 50b)보다 상기 제 1케이스부재(20)의 제 1측벽(23)측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분리부재(44, 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부재는 제 1케이스부재(20)에 형성된 제 1결합고리(41)와 상기 프레임부재(50)에 형성된 제 1결합편(50a)을 포함하고, 상기 제 1결합편(50a)은 상기 제 1결합고리(41)에 결합되며,
    상기 제 2결합부재는 상기 제 1케이스부재(20)에 형성된 제 2결합고리(42)와 상기 프레임부재(50)에 형성된 제 2결합편(50b)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결합편(50b)은 상기 제 2결합고리(4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케이스부재(20)가 상기 프레임부재(50)를 덮을 때 상기 제 1케이스부재(20)가 상기 부착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프레임부재(5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3결합부재(43, 50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결합부재(43, 50c)는 상기 프레임부재(50)에 대해 상기 부착방향으로 상기 제 1케이스부재(20)를 안내하는 안내부재(4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44, 45)는 상기 제 1케이스부재(20)의 제 2, 제 3측벽(21, 22) 각각에 형성된 절개부로서 구비되고, 이 절개부를 통해 손가락을 집어넣어 상기 제 2 및 제 3측벽(21, 22)을 벌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외형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케이스부재(20)는, 상기 제 1측벽(23)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측벽(23, 21, 22)을 연결하는 면판(24)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 2결합부재들(41, 42)은 상기 제 2, 제 3측벽에서의 상기 면판(24)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케이스부재들(20, 30)과 상기 프레임부재(50) 중 적어도 하나와 맞물리는 프린터의 다른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기다란 고정판(40)에 결합되어 고정판(40)의 이동을 제한하는 돌기(25d)를 포함하는 커버부재(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5)는 상기 제 2케이스부재(30)와 상기 프레임부재(5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는 제 1커버측 결합부재(25a)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25d)는 상기 제 1커버측 결합부재(25a) 부근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고정판(40)에 구멍(40c)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25)가 상기 제 2케이스부재(30) 및 상기 프레임부재(5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때 상기 구멍(40c)에 상기 돌기(25d)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고정판(40)은,
    동일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방향과 수직인 부재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 1부분(40a)과 제 2부분(40b)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부분(40a)은 상기 제 1프레임측 결합부재(50d)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제 3, 제 4케이스측 결합부재들(20a, 30a, 30b)과 결합되며;
    상기 제 2부분(40b)은 상기 제 2프레임측 결합부재(50e) 및 상기 제 1케이스측 결합부재(20b)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5)는 상기 고정판(40)의 일부분을 따라 뻗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1커버측 결합부재(25d)는 상기 커버부재(25)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25)는 그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케이스부재(20) 및 상기 프레임부재(5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는 제 2커버측 결합부재(25b, 25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케이스부재(20)와 상기 프레임부재(5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면서 프린터의 다른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기다란 고정판(40)과 결합하여 이 고정판(40)의 이동을 제한하는 돌기(25d)를 포함하는 커버부재(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20010010605A 2000-03-28 2001-02-28 프린터 KR100699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89580A JP4438171B2 (ja) 2000-03-28 2000-03-28 プリンタの筐体構造
JP2000-089580 2000-03-28
JP2000-114040 2000-04-14
JP2000-114036 2000-04-14
JP2000114040A JP4457460B2 (ja) 2000-04-14 2000-04-14 プリンタ
JP2000114036A JP4505938B2 (ja) 2000-04-14 2000-04-14 プリ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651A KR20010093651A (ko) 2001-10-29
KR100699801B1 true KR100699801B1 (ko) 2007-03-27

Family

ID=27342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605A KR100699801B1 (ko) 2000-03-28 2001-02-28 프린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17270B2 (ko)
EP (1) EP1142724B1 (ko)
KR (1) KR100699801B1 (ko)
CN (1) CN1205050C (ko)
AT (1) ATE258499T1 (ko)
DE (1) DE60101861T2 (ko)
ES (1) ES2215095T3 (ko)
HK (1) HK10394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7828B2 (en) * 1999-03-05 2006-07-18 Roche Diagnostics Gmbh Device for withdrawing blood for diagnostic applications
JP4241013B2 (ja) * 2002-11-26 2009-03-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フレーム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4536358B2 (ja) * 2002-12-04 2010-09-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724621B2 (ja) * 2006-08-23 2011-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記録装置
KR102239191B1 (ko) * 2019-02-13 2021-04-30 주식회사 신흥정밀 프린터 케이스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43175C3 (de) 1974-09-10 1982-01-1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orrichtung in Schreibmaschinen zum schwenkbaren Lagern der oberen Gehäuseabdeckung
JPS63197682A (ja) 1987-02-13 1988-08-16 Hitachi Ltd パ−ソナルワ−ドプロセツサ
JPH0420272A (ja) 1990-05-11 1992-01-23 Morinaga & Co Ltd カカオフルーツを用いた食品素材の製造法
JPH05147331A (ja) 1991-11-30 1993-06-15 Sony Corp プリンタ
JPH08190332A (ja) 1995-01-12 1996-07-2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8276637A (ja) 1995-04-07 1996-10-22 Seiko Instr Inc 小型プリンタの筺体構造
JP3615893B2 (ja) 1997-01-08 2005-02-02 桂川電機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200043B1 (en) 1998-04-15 2001-03-13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uch sheet fee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5253A (zh) 2001-10-03
CN1205050C (zh) 2005-06-08
ES2215095T3 (es) 2004-10-01
EP1142724A2 (en) 2001-10-10
HK1039472B (zh) 2006-01-06
US6517270B2 (en) 2003-02-11
DE60101861T2 (de) 2004-11-18
KR20010093651A (ko) 2001-10-29
EP1142724A3 (en) 2001-12-12
DE60101861D1 (de) 2004-03-04
US20010026724A1 (en) 2001-10-04
ATE258499T1 (de) 2004-02-15
EP1142724B1 (en) 2004-01-28
HK1039472A1 (en) 200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8836B2 (ja) バックル
US20030011978A1 (en) Ejection bay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s
US7090320B2 (en) Coupling structure for a sliding track and a mounting bracket
KR100699801B1 (ko) 프린터
US6926269B2 (en) Paper cassette and paper feeding apparatus
EP1114728A2 (en) Stackable and printer and method of using same
JP4046649B2 (ja) 給紙トレイ
KR100732188B1 (ko) 용지 걸림 처리가 용이한 인자장치 및 이를 구비한미니프린터
US6233026B1 (en) Monitor comprising snap engaging bottom shield
EP1114729A2 (en) Low-profile printer with open bottom paper path
JP4457460B2 (ja) プリンタ
EP1114731B1 (en) Printing system
JP4505938B2 (ja) プリンタ
US20020060401A1 (en) Sheet feeder and sheet tray
US6220679B1 (en) Computer casing provided with an elongated resilient spring plate for resiliently retaining a casing cover thereon
JP4053375B2 (ja) プリント基板支持筐体
JPH11100151A (ja) 手差し給紙装置
JP2002211078A (ja) プリンタ
JP2007030389A (ja) 化粧パネル装置、記録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JP4438171B2 (ja) プリンタの筐体構造
KR200179728Y1 (ko) 용지급지장치의 핑거 및 핑거레버
JP5370954B2 (ja) 天板取付構造及び天板付家具
JP3105928U (ja) 引出しスライドレールの着脱装置
JP3528790B2 (ja) 引出し装置
JP2024006914A (ja) 家具及びその家具部品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AMENDMENT REQUESTED 20060209

Effective date: 200606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