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728Y1 - 용지급지장치의 핑거 및 핑거레버 - Google Patents

용지급지장치의 핑거 및 핑거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728Y1
KR200179728Y1 KR2019980006608U KR19980006608U KR200179728Y1 KR 200179728 Y1 KR200179728 Y1 KR 200179728Y1 KR 2019980006608 U KR2019980006608 U KR 2019980006608U KR 19980006608 U KR19980006608 U KR 19980006608U KR 200179728 Y1 KR200179728 Y1 KR 200179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lever
finger lever
hook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095U (ko
Inventor
황승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6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728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0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0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7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18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sheet input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32Electromagnetic power drives, e.g. applied to key le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잉크젯프린터의 자동급지장치의 수동급지 기능을 구현하는 핑거와 핑거레버의 보조장치를 통한 분리 기능을 향상하는 용지급지장치의 핑거 및 핑거레버에 곤한 것으로, 이를 위해 자동급지장치의 프레임에 형성된 돌기부에 설치된 핑거 및 핑거레버에 있어서, 핑거의 삽입부 외주면에 돌출부가 대칭으로 형성되고, 핑거의 돌출부가 삽입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핑거레버의 조립부에 입구부와 제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핑거레버는 핑거와 조립되어 준 일체화되어 작동되며, 상기 핑거의 삽입부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핑거레버의 조립부에 후크가 형성되어 핑거의 삽입부가 핑거레버의 조립부에 삽입시 후크가 핑거의 후크밀착부에 접촉되어 견고하게 조립되므로 핑거와 핑거레버가 자동급지와 수동급지에 따라 적절히 대응되어 원활하게 작동되고, 핑거와 핑거레버가 조립되어 토션스프링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해도 상기 두 부품은 핑거레버의 후크를 매개로 긴밀히 체결되어 준일체화되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지급지장치의 핑거 및 핑거레버
본 고안은 잉크젯프린터의 용지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지급지장치의 측면에 설치되는 핑거와 핑거레버를 준 일체적으로 조립하여 핑거가 자연스럽게 작동되도록 한 용지급지장치의 핑거 및 핑거레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프린터는 컴퓨터의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 받아 컴퓨터 모니터상에 있는 내용(자료)을 용지 등에 출력하여 인쇄하는 장치로써, 검정색만 인쇄하는 형과 여러 가지 색상을 인쇄하는 컬러형이 있다.
이러한 잉크젯프린터(10)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에서와 같이, 용지를 공급하는 용지급지장치부(20)와, 용지급지장치부(20)로부터 용지를 급지받아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부(30)와, 이송장치부(30)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에 인쇄하는 인쇄장치부(40)와, 인쇄장치부(40)에서 인쇄된 용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지배출장치부(50)로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41은 잉크카트리지이다.
예시도면 도 2는 잉크젯프린터(10)의 인쇄되는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자동급지부(21)에 수납 적재된 용지는 픽업롤러(24)의 구동에 의해 낱장으로 이송장치부(30)로 공급되어 인쇄단계에 들어가게 된다.
용지에 인쇄할 때는 캐리지(42)에 장착된 잉크카트리지(41)의 노즐부(도시안됨)를 통해 잉크가 분사하면서 인쇄한다.
용지급지장치부(20)는 용지를 수납하는 자동급지부(21)와 자동급지부(21)에 수납 적재된 용지를 한 장씩 빼내어서 이송장치부(30)로 급송하는 픽업롤러(24)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자동급지부(21)의 옆면에는 여러장의 용지가 한 번에 급지되는 것을 방지 하고, 용지를 낱장씩 이송장치부(3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핑거(26)가 설치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31은 피드롤러,32는 구동롤러,51은 배지롤러이다.
예시도면 도 3은 핑거(26)와 핑거레버(27)가 설치되는 용지급지장치부(20)를 상세하게 보인 측면도이다.
핑거(26)는 급지판(23)에 적재된 용지의 선단부 일측을 핑거스프링(26d)의 탄성력으로 밀착시켜 픽업롤러(24)가 구동하여 용지를 자동으로 픽업할 때 용지가 한 장씩만 이송되도록 하는 도구이다.
그리고 핑거(26)는 프레임(22)에 설치되어 있고, 핑거(26)의 걸고리는 프레임(22)에 설치된 핑거스프링(26d)의 상단이 걸려져 있어 핑거(26)는 핑거스프링(26d)의 탄성력으로 급지판(23)에 적재된 용지에 밀착된다.
또한 핑거(26)의 바깥쪽에는 핑거레버(27)가 설치되고, 핑거(26)와 핑거레버(27) 사이에는 토션스프링(28)이 설치되며, 핑거(26)의 선단부가 용지와 밀착될 때 핑거레버(27)는 토션스프링(28)의 탄성력을 영향받아 아래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돌출편(25a)이 핑거레버(27)와 맞물린 상태에서 픽업롤러축(25)이 회전하여 돌출편(25a)이 핑거레버(27)와 떨어지면 상기 핑거레버(27)는 토션스프링(28)의 탄성력으로 아래로 회전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29는 수동급지판으로써 용지를 1장 급지할 때 사용하고, 25b는 픽업캠으로써 급지판(23)을 아래로 누룰 때 사용한다.
여기에서 용지를 낱장씩 분리하는 핑거(26)와 수동 기능을 위한 핑거레버(27)의 조립 구조를 상세하게 표현하면 도 4 및 도 5와 같다.
본체(26a)의 상측에 형성된 걸고리(26b)는 핑거스프링(도3 참조,26d)의 상단을 걸어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핑거(26)와 핑거레버(27)는 프레임(22)에서 돌출된 돌기부(22a)에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두 부품 사이는 토션스프링(28)에 의해 조립되어 상호간에 탄성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핑거(26)의 원통형 조립 내측, 즉 프레임(22)의 돌기부(22a)에 끼워지는 부분의 내측은 경사져 있어 핑거(26)와 핑거레버(27)가 조립될 때 토션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핑거(26)가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핑거(26)의 내주면은 일측면이 경사져 있고, 핑거(26)와 핑거레버(27)가 돌기부(22a)에 설치된 상태에서 움직일 때 핑거(26)와 핑거레버(27)는 마주치는 옆면끼리 접촉되고, 핑거(26)의 작용부(26c)와 핑거레버(27)의 본체(27a)에 걸쳐서 토션스프링(28)이 설치된다.
다시말하면 종래의 핑거(26)와 핑거레버(27)는 조립될 때 강제적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므로 핑거(26)가 원활하게 작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핑거와 핑거레버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핑거가 자연스럽게 작동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급지장치의 프레임에 형성된 돌기부에 설치된 핑거 및 핑거레버에 있어서, 핑거의 삽입부 외주면에 돌출부가 대칭으로 형성되고, 핑거의 돌출부가 삽입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핑거레버의 조립부에 입구부와 제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핑거레버는 핑거와 조립되어 준 일체화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핑거의 삽입부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핑거레버의 조립부에 후크가 형성되어 핑거의 삽입부가 핑거레버의 조립부에 삽입시 후크가 핑거의 후크밀착부에 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잉크젯프린터의 사시도,
도 2는 잉크젯프린터의 용지를 공급하는 동작을 보인 일측면도,
도 3은 종래에 따른 용지급지장치에 설치된 핑거 및 핑거레버의 측면도,
도 4는 종래에 따른 핑거 및 핑거레버의 사시도,
도 5는 종래에 따른 핑거 및 핑거레버의 조립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에 따른 후크형 핑거레버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에 따른 후크형 핑거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후크형 핑거 및 핑거레버의 조립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고안에 따른 핑거레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및 측 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고안에 따른 핑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및 측면 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핑거 및 핑거레버의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핑거 및 핑거레버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60, 290 ; 핑거 270, 280 ; 핑거레버
264, 294 ; 삽입부 265, 295 ; 돌출부
274, 283 ; 조립부 275 ; 회전제한홈
277 ; 후크 284 ; 입구부
287 ; 안착홈 298 ; 삽입부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면 도 6a 내지 6c는 본 고안에 따른 후크형 핑거레버(270)를 보인 것이다.
핑거레버(270)는 근간을 이루는 본체(271)와, 본체(271) 아래에 원통형의 조립부(274)로 구성되고, 상기 조립부(274) 내측은 원형의 안착홈(276)이 형성되며, 조립부(274)의 일측에는 후크(277)가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조립부(274)의 상측에는 도 6b 및 6c와 같이, 회전제한홈(275)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핑거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위치하며 핑거레버(270)는 회전제한홈(275)의 내에서만 회전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272는 톱니부로써 픽업롤러축에 형성된 돌출편과 맞물리는 부위이고, 273은 체결홀로써 용지급지장치의 프레임에 형성된 돌기에 삽입되는 부위이다.
예시도면 도 7a 내지 7c는 상기 후크형 핑거레버(270)와 대응하여 조립되는 핑거(260)를 보인 것이다.
핑거(260)는 본체(261)의 상측에 용지밀착부(262)가 형성되고, 본체(261)의 하측은 원통형의 삽입부(264)와, 폭은 좁고 상대적으로 긴 작용부(263)가 형성되며, 삽입부(264)의 내측은 체결홀(266)이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부(264)의 외주면 일측에는 사각형 형상의 돌출부(265)가 형성되고, 삽입부(264)의 타측에는 원호형의 후크밀착부(267)가 형성되어 있다.
예시도면 도 8은 후크(277)가 일체로 형성된 핑거레버(270)와, 핑거(260)가 조립된 상태에서 프레임(220)의 돌기부(221)에 삽입되고, 핑거(260)의 작용부(263)와 핑거레버(270)의 본체(271)에 걸쳐 토션스프링(278)이 체결된 상태에서의 일측을 절개하여 단면으로 보인 것이다.
상기 후크(277)의 끝부분은 걸림턱(277a)이 형성되어 핑거(260)의 후크밀착부(267)와 긴밀하게 맞물려 핑거레버(270)가 핑거(260)와 견고하게 조립되고, 핑거(260)와 핑거레버(270)가 돌기부(221)에 설치된 상태에서 움직일 때 핑거(260)와 핑거레버(270)가 분리되지 않도록 조이는 기능을 한다.
미설명부호 261은 핑거(260)의 본체이고, 265는 핑거(260)의 돌출부이고, 274는 핑거레버(270)의 조립부이다.
예시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다른 실시예를 보인 핑거레버(280)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핑거레버(280)는 중심 근간을 이루는 본체(282)를 기준으로 그 상측에는 작동부(281)가 형성되어 작동부(281)와 본체(282)는 전체적으로 "┐"형과 유사하게 형성되고, 작동부(281)의 일측 표면에는 톱니부(28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282)의 하측에는 도 9b와 같이 원통형의 조립부(283)가 형성되고, 조립부(283)의 내측은 원형의 안착홈(287)이 형성되며, 안착부(288)에 체결홀(28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286)은 상기 도 8의 프레임(220)에 형성된 돌기부(221)에 끼워져 설치할 수 있도록 관통된 것이고, 조립부(283)에는 입구부(284)와 회전의 범위를 한정시키는 제한홈(28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입구부(284)와 제한홈(285)은 일체로 연결된 일종의 통로이다.
여기서 안착부(288)는 본체(282)의 연장선상에 형성된 것으로, 안착홈(287)의 바닥면에 해당되며, 후술되는 핑거의 삽입부가 닿는 부위이다.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핑거레버(280)의 뒷면을 보인 것으로, 조립부(283)의 입구부(284)가 대칭되어 2개 형성되고, 안착부(288)에 체결홀(286)이 관통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입구부(284)는 후술되는 핑거의 삽입부에 돌출된 돌기부가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시도면 도 10a 내지 10c는 다른 실시예를 보인 핑거(290)로써, 핑거(290)는 근간을 이루는 본체(291)를 기준으로 상측에 용지밀착부가 형성되고, 본체(291)의 하측에는 작용부(293)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로 이루어진 본체(291)와 작용부(293)는 "ㄴ"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체(291)와 만나는 작용부(293) 사이에는 원통형의 삽입부(294)와 지지부(298)가 형성되고, 삽입부(294)의 외측면에 한쌍의 돌출부(295)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핑거(290)는 용지급지장치의 급지판에 용지를 다수매 적재한 상태에서 픽업롤러의 구동으로 용지가 픽업될 때 용지가 한 장 단위로 프릭션롤러와 피드롤러 사이로 급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핑거(290)는 다수매의 용지가 한 번에 상기 프릭션롤러와 피드롤러 사이로 급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291)의 상단에 형성된 용지밀착부(292)가 중심적으로 하게 되고, 용지밀착부(292)는 용지의 선단부 왼쪽의 모서리를 밀착하여 용지가 2장 이상 픽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용지밀착부(292) 바로 아래에 용지의 모서리가 밀착되고, 용지의 왼쪽 옆면은 본체(291)에 밀착되며, 용지급지장치의 다른 부속품이 작용부(293)를 밀어내면 본체(291)는 용지쪽으로 작용하여 용지밀착부(292)가 용지와 긴밀히 밀착되는 것이다.
한편 삽입부(294)의 선단면(296)과 작용부(293) 까지는 도 10c와 같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도 9b의 핑거레버(280)의 조립부(283)가 삽입부(294)에 삽입될 때 작용부(293)에 걸려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한다.
미설명부호 297은 체결홀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핑거(290)와 핑거레버(280) 및 토션스프링(278)의 사시도이다.
핑거(290)와 핑거레버(280)를 조립할 때 핑거(290)의 삽입부(294)의 외주면에 핑거레버(280)의 조립부(283)를 끼우게 되는데 이때 삽입부(294)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295)는 조립부(283)의 입구부(284)를 통해서 삽입하게 된다.
상기 입구부(284)를 통해 삽입된 돌출부(295)는 제한홈(285)에 위치하게 되고, 입구부(284)와 제한홈(285)은 관통되어 "┘" 형상의 통로처럼 연결되어 있으며, 돌출부(295)는 제한홈(285)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한홈(285) 내에서만 움직인다.
따라서 핑거레버(280)는 삽입부(294)에 끼워진 상태에서 돌출부(295)에 걸려 제한적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작용부(293)와 지지부(298)는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조립부(283)가 삽입부(294)와 결합하여 조립될 때 조립부(283)의 선단면이 닿은 상태에서 받쳐져 조립부(283)는 지지부(298) 및 작용부(293)와 접촉된 상태에서 제한홈(285)에 형성된 폭 만큼 회전된다.
이와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핑거(290)와 핑거레버(280)가 긴밀하게 체결되기 위해 토션스프링(278)이 조립부(283)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토션스프링(278)의 일측은 작용부(293)에 끼워지고, 그 타측은 핑거레버(280)의 본체(282)에 체결된다. 한편 지지부(298)는 조립부(283)를 지지할 뿐만아니라 조립부(283)의 외주면에 토션스프링(278)을 체결한 상태에서 토션스프링(278)이 지지부(298)를 벗어나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미설명부호 296은 삽입부(294)의 선단면이다.
예시도면 도 12는 상기 핑거(290)와 핑거레버(280) 및 토션스프링(278)이 준 일체화되어 프레임(220)에 설치되고, 이런 상태에서 그 단면을 보인 것이다.
프레임(220)의 돌기부(221)에 핑거(290)의 삽입부(294)가 먼저 설치되고, 그 다음 핑거레버(280)의 조립부(283)가 삽입부(294)의 외주면에 삽입되며, 조립부(283)의 외주면에는 토션스프링(278)이 체결되어 토션스프링(278)의 일측은 핑거(290)의 작용부(293)에 체결되고, 타측은 핑거레버(280)의 본체(282)의 뒷면에 체결되어 핑거(290)와 핑거레버(280) 사이에는 토션스프링(278)의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핑거(290)의 삽입부(294)는 용지급지장치의 프레임(220)에 돌출된 원통형의 돌기부(221)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고려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삽입부(294) 외주면에 핑거레버(280)와 토션스프링(278)을 조립한다.
이때 작용부(293)에 체결된 토션스프링(278)의 일측단부는 도면상에서 볼 때 작용부(293)의 앞쪽에 핑거레버(280)의 본체(282)에 체결된 토션스프링(278)의 타측단부는 도면상에서 볼 때 본체(282)의 뒤쪽에 체결되어 핑거(290)를 기준으로 핑거레버(280)는 앞쪽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탄성력이 작용한다.
그렇지만 핑거레버(280)의 조립부(283)가 핑거(290)의 돌출부(295)에 걸려 핑거레버(280)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삽입부(294)의 외주면에 작용부(293)와 대칭적으로 형성된 지지부(298)는 조립부(283) 및 토션스프링(278)이 지지부(298)의 옆면에 닿은 상태에서 또는 닿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립부(283)의 외주면에서 밀려나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부(298)의 크기는 상기 토션스프링(278)이 이탈되지 않는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하면 된다.
또한 조립부(283)의 일측이 절단되어 형성된 제한홈(285)의 옆면벽은 평면으로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여 접촉하는 돌출부(295)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여 돌출부(295)가 상기 옆면벽에 접촉될 때 최대한 넓은 면적에 접촉되므로 핑거레버(280)의 회전 제한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핑거와 핑거레버가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기울어져 조립되는 것을 방지하여 핑거와 핑거레버가 자동급지와 수동급지에 따라 적절히 대응되어 원활하게 작동되고, 핑거와 핑거레버가 조립되어 토션스프링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해도 상기 두 부품은핑거레버의 후크를 매개로 긴밀히 체결되어 준일체화되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자동급지장치의 프레임에 형성된 돌기부에 설치된 핑거 및 핑거레버에 있어서,
    핑거의 삽입부 외주면에 돌출부가 대칭으로 형성되고, 핑거의 돌출부가 삽입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핑거레버의 조립부에 입구부와 제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급지장치의 핑거 및 핑거레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레버는 핑거와 조립되어 준 일체화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급지장치의 핑거 및 핑거레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의 삽입부 외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핑거레버의 조립부에 후크가 형성되어 핑거의 삽입부가 핑거레버의 조립부에 삽입시 후크가 핑거의 후크밀착부에 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급지장치의 핑거 및 핑거레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사각형 형상으로써 직각을 이루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급지장치의 핑거 및 핑거레버.
KR2019980006608U 1998-04-24 1998-04-24 용지급지장치의 핑거 및 핑거레버 KR200179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608U KR200179728Y1 (ko) 1998-04-24 1998-04-24 용지급지장치의 핑거 및 핑거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608U KR200179728Y1 (ko) 1998-04-24 1998-04-24 용지급지장치의 핑거 및 핑거레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095U KR19990040095U (ko) 1999-11-25
KR200179728Y1 true KR200179728Y1 (ko) 2000-05-01

Family

ID=19534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608U KR200179728Y1 (ko) 1998-04-24 1998-04-24 용지급지장치의 핑거 및 핑거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7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435B1 (ko) * 2002-09-13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기기의 급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095U (ko)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0034B1 (en) Sheet feeder including a plurality of paper cassettes
JP200012742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ホルダー、およびキャリッジ
US20070273084A1 (en) Sheet media input system
US7954937B2 (en) Ink jet printing apparatus
JP3574169B2 (ja) プリンタ
KR200179728Y1 (ko) 용지급지장치의 핑거 및 핑거레버
US20100034558A1 (en) Recording apparatus
US20070158900A1 (en) Paper feed cassette
JP3574223B2 (ja) プリンタにおける印字開始方法
KR100238585B1 (ko) 잉크젯 프린터의 픽업로울러 절환장치
KR200162389Y1 (ko)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JP2004249652A (ja) キャリッジ、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KR20050077360A (ko) 2 가지 방식의 용지 픽업 시스템
JP3849850B2 (ja) 記録装置
KR200168711Y1 (ko) 화상형성 장치의 용지 급지 장치
JP3067513U (ja) 印字装置
JP3233351B2 (ja) プリンター
JP2007030389A (ja) 化粧パネル装置、記録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KR200191278Y1 (ko) 화상형성장치
JP3827002B2 (ja) ホッパー装置におけるエッジガイドの変形防止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給紙装置並びに記録装置
JPH07137850A (ja) 増設給紙ユニット
KR20030070456A (ko) 잉크젯 프린터의 카트리지 고정장치
JP2663854B2 (ja) ホッパカセット
JP4451524B2 (ja) ラインサーマルプリンタ
JP4407797B2 (ja) キャリッジ搬送用ベルトとキャリッジとの連結保持構造及び該連結保持構造を備えた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