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389Y1 -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 Google Patents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389Y1
KR200162389Y1 KR2019970038938U KR19970038938U KR200162389Y1 KR 200162389 Y1 KR200162389 Y1 KR 200162389Y1 KR 2019970038938 U KR2019970038938 U KR 2019970038938U KR 19970038938 U KR19970038938 U KR 19970038938U KR 200162389 Y1 KR200162389 Y1 KR 200162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arriage
bevel gear
inkjet print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6401U (ko
Inventor
윤석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38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389Y1/ko
Priority to CN98127156A priority patent/CN1113749C/zh
Priority to JP10363363A priority patent/JPH11246055A/ja
Priority to EP98310812A priority patent/EP0924093B1/en
Priority to US09/216,727 priority patent/US6056461A/en
Priority to DE69818618T priority patent/DE69818618T2/de
Publication of KR199900264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4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3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25Special roller holding or lifting means, e.g. for temporarily raising one roller of a pair of nipping rollers for inserting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32Electromagnetic power drives, e.g. applied to key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01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Ink Jet (AREA)
  • Character Spaces And Line Spaces In Prin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잉크젯프린터, 복합기 및 사무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캐리지의 좌,우 왕복 이동을 이용함과 동시에 피드롤러의 구동에 의해 용지를 픽업 구동하는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용지공급장치부를 설치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의 앞쪽과 바닥판에 걸쳐 설치되는 지지용프레임과, 캐리지가 안내봉을 따라 왼쪽으로 끝까지 이동하여 밀어내도록 된 작동레버와, 작동레버와 제1 및 제2베벨기어를 설치하는 베벨기어박스와, 작동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제1 및 제2베벨기어의 연쇄적인 작동에 의해 일측부가 상승되어 경사지게 된 승강판을 갖는 제1 및 제2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승강판의 상단에 놓여진 용지는 피드롤러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피드롤러의 회전으로 픽업되도록 이루어져서 피드롤러가 회전하면서 곧바로 용지를 픽업하여 베이스프레임까지 이송시키므로 그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토크가 큰 CR모터를 사용하므로써 픽업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본 고안은 잉크젯프린터, 복합기 및 사무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캐리지가 안내봉을 따라 좌,우로 왕복하는 이동력을 이용함과 동시에 피드롤러의 구동에 의해 용지를 픽업 구동하는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프린터는 컴퓨터의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컴퓨터 모니터상에 있는 내용(자료)을 용지 등에 출력하여 인쇄하는 장치로써, 잉크헤드가 한 개 내지 두개 장착되어 있다.
잉크헤드는 상기 잉크젯프린터의 인쇄장치부인 캐리지에 장착되는 것으로 모노와 컬러 두가지 종류가 있다.
종래의 잉크젯프린터는 급지판과 픽업롤러 사이에 수납, 적재된 용지는 LF모터의 구동력을 전달 받은 픽업롤러가 회전되면서 이송장치부의 프릭션롤러와 피드롤러 사이로 낱장씩 공급된다.
이와같이 이송된 용지는 용지배출장치부의 베이스프레임 위에 도달 되면 인쇄장치부의 캐리지가 좌,우로 이동되면서 잉크헤드를 통해 인쇄되고, 동시에 원고 접촉휠과 배지롤러 사이로 이송되면서 잉크젯프린터의 외부로 배출되었다.
한편 구동롤러는 배지롤러와 피드롤러 사이에 맞물려 설치된 상태에서 피드롤러가 회전되면 이 동력을 구동롤러가 전달받아 배지롤러에 전달시키므로서 배지롤러가 회전되는 것이다.
용지공급 장치부는 용지를 수납, 적재하는 급지판과 급지판에 놓인 용지를 한 장씩 빼내어서 이송장치부로 급송하는 픽업롤러로 구성되어 있고, 메인프레임과 급지판 사이에는 급지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옆면에 설치된 레버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와 일체로 형성된 돌기부가 급지판을 아래로 눌러주어 급지판은 픽업롤러와 떨어지게되고, 그로 인해 1장 또는 다수매의 용지를 급지판에 수납, 저장시킬 때 용지가 픽업롤러와 마찰되지 않아 간편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급지판에 수납, 적재된 다수의 용지를 픽업롤러로 픽업할 때 2장 이상의 용지가 한 번에 급지되는 것을 방지 하고,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할 수 있도록 급지판의 하측에 핑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LF모터는 구동되는 속도가 낮아 픽업롤러를 구동하고, 또한 잉크헤드를 통해 인쇄하고 난 후 용지가 배출되는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캐리지가 안내봉을 따라 좌,우로 왕복하는 이동력을 이용함과 동시에 피드롤러의 구동에 의해 용지를 픽업 구동하는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용지를 수납, 적재하는 용지공급장치부가 메인프레임과 바닥판에 걸쳐 설치된 잉크젯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용지공급장치부를 설치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의 앞쪽과 바닥판에 걸쳐 설치되는 지지용프레임과, 캐리지가 안내봉을 따라 왼쪽으로 끝까지 이동하여 밀어내도록 된 작동레버와, 작동레버와 제1 및 제2베벨기어를 설치하는 베벨기어박스와, 작동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제1 및 제2베벨기어의 연쇄적인 작동에 의해 일측부가 상승되어 경사지게 된 승강판을 갖는 제1 및 제2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승강판의 상단에 놓여진 용지는 피드롤러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피드롤러의 회전으로 픽업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베벨기어와 제2베벨기어는 맞물려 설치되고, 제1베벨기어의 중심부에는 제1베벨기어축이 설치되며, 제1베벨기어축은 베벨기어박스의 작동레버수납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제2베벨기어의 중심부에는 사각봉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사각봉과 안내부 및 힌지축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용프레임의 일측에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제2 용지공급장치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지공급장치부의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용지공급장치부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지공급장치부의 일부 구성품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잉크젯프린터의 용지 픽업 및 인쇄과정을 보인 우측면도이 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0 ; 용지공급장치부 201 ; 제1하우징
202 ; 제2하우징 203 ; 측벽
203' ; 측벽 204 ; 지지판
205 ; 공간부 206 ; 안내판
207 ; 승강레버 208 ; 작용부
209 ; 스프링 210 ; 사각봉
211 ; 승강판 212 ; 안착부
213 ; 작동레버 214 ; 제1베벨기어
215 ; 제2베벨기어 216 ; 베벨기어박스
217 ; 잠금 및 해제부 218 ; 안내부
219 ; 요철부 220 ; 힌지축
221 ; 용지받침대 250 ; 제2 용지공급장치부
251, 252 ; 수납벽 253 ; 제2 용지받침대
254, 255 ; 빼닫이식 용지받침대 256 ; 제1 인쇄용지받침대
257 ; 제2 인쇄용지받침대 258 ; 체결편
320 ; 피드롤러 410 ; 캐리지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잉크젯프린터(100)를 보인 것이다.
용지를 수납, 적재하는 용지공급장치부(200)는 잉크젯프린터(100)의 앞쪽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용지를 적재할 수 있고, 용지가 상기 용지공급장치부(200)에 적재된 상태에서 캐리지(410)가 안내봉(102)을 따라 왼쪽으로 이동하여 작동레버(213)가 옆면벽(101a)의 홀(101b)에 나오도록 밀면 제1베벨기어(214)와 제2베벨기어(215)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된다.
그리고 승강판(211)과 승강판(211')에 걸쳐서 설치 및 분리가 원활하도록 용지받침대(221)가 수평상태로 놓여지고, 용지받침대(221)와 승강판(211)의 상단에 용지가 수납되며, 상기 제1, 제2베벨기어(214)(215)의 동작으로 승강판(211)이 경사지게 기울면서 용지가 피드롤러의 회전에 의해 원활하게 픽업되도록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213)는 인장스프링(213a)의 잡아당기는 힘에 의하여 안내봉(102)에 닿아 있다.
상기 승강판(211)과 승강판(211')은 분리되어 있어서, 상기 두 승강판(211)(211') 사이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211)과 승강판(211') 사이에 일반용지(A3, A4, B4 등)를 놓으면, 아래로 쏟아져 적재할 수 없어서 용지받침대(221)를 승강판(211)(211')의 안착부(예시도면 도 2 참조, 212)에 올려놓아 용지를 받쳐주는 것이다.
또한, 잉크젯프린터(100)의 왼쪽 지지용프레임(103)과 오른쪽 지지용프레임(104)에 각각 돌출된 제1돌출부(105)와 제2돌출부(106)에 체결하여 상기 용지받침대(221)에 적재된 용지의 일부를 분담하여 받칠 수 있도록 제2 용지공급장치부(250)를 마련하였다.
상기 제2 용지공급장치부(250)는 용지의 넓은 면을 직접적으로 받치는 제2 용지받침대(253)를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수납벽(251)(252)이 일정한 높이로 부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납벽(251)(252)의 앞쪽에는 지지용프레임(103)(104)에 형성된 제1돌출부(105)와 제2돌출부(106)를 끼워 제2 용지공급장치부(25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각각 제1체결홈(251a)과 제2체결홈(251b)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한편 제2 용지받침대(253)의 하단에는 빼닫이식 용지받침대(254)(255)가 연속적으로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빼닫이식 용지받침대(255)의 끝단부 가운데에는 손잡이(255a)가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빼닫이식 용지받침대(254)(255)를 제2 용지받침대(253)에 밀어 넣은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255a)를 끼울수 있도록 제2 용지받침대(253)와 빼닫이식 용지받침대(254)의 끝단부 가운데에는 오목홈(253a)(25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납벽(251)(252)의 상단에는 잉크카트리지(411)를 통해 인쇄된 용지를 적재할 수 있도록 제1 인쇄용지받침대(256)와 제2 인쇄용지받침대(257)가 체결편(258)을 매개로 조립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인쇄용지받침대(257)는 제1 인쇄용지받침대(256) 보다 앞, 뒤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제2 인쇄용지받침대(257)는 제1 인쇄용지받침대(256)와 힌지로 조립되며, 제2 인쇄용지받침대(257)의 일측변에는 각각 좌, 우에 제1결함홈(257a)과 제2결합홈(257b)이 형성되어 각각 지지용프레임(103)(104)를 끼워 조립된다.
한편 피드롤러(320)의 축이 돌출된 지지용프레임(103)(104)에는 클러치(213b)가 설치되고, 클러치(213b)와 작동레버(213) 사이에는 인장스프링(213a)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213b)는 작동레버(213)를 앞으로 잡아당겨 안내봉(102)에 접촉시키거나 뒤로 후퇴시켜 캐리지(410)의 이동에 의해 승강판(211)(211')을 올리는 작용을 하게 된다.
다시설명하면 용지를 처음 급지할 때는 피드롤러(320)가 롬의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받아 순간 역회전되면서 클러치(213b)를 앞쪽(제1돌출부(105)쪽)으로 회전시키면 인장스프링(213a)과 연결된 작동레버(213)를 안내봉(102)에 접촉하게 한다.
그리고 캐리지(410)가 안내봉(102)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작동레버(213)를 옆면벽(101a) 쪽으로 끝까지 밀어 홀(101b) 쪽으로 오게 한 다음에 피드롤러(320)가 정상적으로 회전하면서 용지를 급지하면 피드롤러(320)의 축에 설치된 클러치(213b)가 뒤로 움직여 작동레버(213)도 안내봉(102)과 떨어지면서 뒤로 움직여 메인프레임(101)에 접촉된다.
이때 캐리지(410)가 안내봉(102)을 따라 좌, 우로 원활하게 움직여도 작동레버(213)는 안내봉(102)과 떨어짐과 동시에 메인프레임(101)에 접촉되어 있어 캐리지(410)와 부딪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용지를 급지할 때만 작동레버(213)는 클러치(213b)의 작동에 의해 안내봉(102)에 닿게되는 것이다.
한편 지지용프레임(103)의 일측 옆면에는 베벨기어와 작동레버를 수납한 베벨기어박스(216)가 조립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07은 메인프레임(101)과 지지용프레임(103)(104) 및 베벨기어박스(216)를 기타 다른 부품들을 총괄적으로 받쳐주는 바닥판이고, 108은 엔코더 스트립으로써, 캐리지(410)가 안내봉(102)을 따라 수평으로 왕복 이동할 때 캐리지(410) 뒤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그 위치를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예시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잉크젯프린터에 설치된 용지공급장치부(200)를 보인 것으로, 작동레버(213)는 움직이지 않은 체 수직 상태로 있어서 승강판(211)(211')도 움직이지 않고, 지지판(204)에 놓여있게 된다.
제1하우징(201)의 옆에는 베벨기어박스(216)가 분리되어 위치되고, 베벨기어박스(216)에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공간부인 베벨기어수납부(216a)에는 제1베벨기어(214)와 제2베벨기어(215)가 맞물려 설치되고, 베벨기어박스(216)에 형성된 또다른 공간부인 작동레버수납부(216b)에는 작동레버(213)의 하단부가 제1베벨기어축(214a)에 조립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제1베벨기어축(214a)의 일단에는 제1베벨기어(214)가 조립되며, 제1베벨기어(214)와 맞물려 제2베벨기어(215)가 설치되고, 제2베벨기어(215)의 중심에는 사각봉(210)이 길게 설치된다.
또한 작동레버(213)는 제1베벨기어축(214a)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 후, 좌, 우로 자유롭게 움직인다.
상기 작동레버(213)를 움직이지 않으면, 승강판(211)이 수평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정지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사각봉(210)에는 제1하우징(201)과 제2하우징(202)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제2하우징(201)(202)은 사각봉(210)을 따라 좌,우로 원활하게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사각봉(210)의 반대편 즉 제1, 제2하우징(201)(202)의 끝단부에는 원형으로 된 힌지축(220)이 설치되고, 힌지축(220)의 인접부위에는 제1, 제2하우징(201)(202)에 걸쳐 안내부(218)가 설치된다.
상기 안내부(218)의 상단 일부에는 요철부(219)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제1하우징(201)의 일측에 설치된 잠금 및 해제부(217)의 일부와 맞물려 제1하우징(201)의 이동을 제한하여 잘 움직이지 않도록 작용한다.
즉, 상기 제1하우징(201)을 사각봉(210)과 힌지축(220)을 따라 좌, 우로 원활히 이동시키려면 잠금 및 해제부(217)를 잡고 눌러서 잠금 및 해제부(217)의 일측이 요철부(219)의 오목부에 끼워진 것을 떨어지게 한 후 이동시킨다.
한편 사각봉(210)은 제1, 제2하우징(201)(202)의 원형의 홀에 장착된다.
도 3은 캐리지가 왼쪽으로 이송하여 작동레버(213)를 왼쪽으로 끝까지 밀면 작동레버(213)와 조립된 제1베벨기어축(214a)이 회전되면서 그것과 일체로 형성된 제1베벨기어(214)가 왼쪽으로 회전되고, 제1베벨기어(214)가 회전되면 제1베벨기어(214)와 맞물린 제2베벨기어(215)가 뒤쪽으로 회전되는 동작을 보여준다.
이때 제2베벨기어(215)와 일체로 조립된 사각봉(210)도 따라서 회전되면서 사각봉(210)에 조립되면서 제1, 제2하우징(201)(202)의 공간부(205)에 위치한 승강레버(207)가 따라서 회전되며, 승강레버(207)는 승강판(211)을 위로 밀어올리면서 승강판(211)은 힌지축(220)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기울게 된다.
한편 승강레버(207) 위쪽에 설치된 작용부(208)는 승강레버(207)가 움직이면서 측벽(203)(203')의 내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상승하여 측벽(203)과 측벽(203')에 걸침과 더불어 그 상단에 설치된 안내판(206)을 밀어 올려 안내판(206)을 기울게 한다.
상기 제1베벨기어(214)와 제2베벨기어(215)는 각각의 톱니부끼리 맞물려 설치되고, 제1베벨기어(214)의 중심부에 설치된 제1베벨기어축(214a)은 제2베벨기어(215)의 중심부에 설치된 사각봉(210)과 직각을 이루게 된다.
다시설명하면 도 3과 같이,작동레버(213)가 왼쪽으로 움직이면 승강레버(207)가 움직이면서 지지판(204)에 놓여진 승강판(211)(211')과 안내판(206)의 뒷부분이 밀어 올려져 동일 방향으로 기울게 된다.
따라서 승강판(211)에 형성된 안착부(212)에 용지받침대(예시도면 도 1 참조)가 놓여지고, 다시 용지받침대에 용지가 수납, 적재되어 피드롤러에 잘 맞물리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레버(213)는 앞, 뒤로 움직일 때 제1베벨기어축(214a)이 움직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사각봉(210)은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예시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를 갖춘 잉크젯프린터에 제1 및 제2하우징에 설치되는 구성품의 일부를 상세하게 보인 것이다.
승강레버(207)는 스프링(207b)를 매개로 승강레버지지체(207a)에 조립되고, 승강레버지지체(207a)에는 사각봉(2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사각홀(207c)이 관통되며, 승강레버지지체(207a)는 사각홀(207c)을 통해 사각봉(210)에 장착된다.
따라서 사각봉(210)이 움직이면 사각봉(210)과 맞물려 체결된 승강레버지지체(207a)가 헛돌지 않고 동일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사각봉(210)과 사각홀(207c)은 사각봉(210)이 움직일 때 사각봉(210)이 헛도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승강레버지지체(207a)가 제1 및 제2하우징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사각봉(210)이 회전되면 승강레버(207)가 작동되어 작용부(208)를 위로 밀어 젖혀 안내판(206)이 스프링(209)의 힘을 받아 경사지게 기울게 된다.
예시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잉크젯프린터(100)의 우측면도를 보인 것으로, 용지를 급지하여 인쇄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인쇄를 처음 시작하거나, 인쇄를 끝마친후 새로운 용지를 공급하기 위해 캐리지가 안내봉(102)을 따라 작동레버쪽으로 이동하여 작동레버를 밀면 연속동작으로사각봉(210)이 회전되고, 사각봉(210)이 회전되면 제1, 제2하우징의 측벽(203) 내부에 있는 승강레버(207)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의 끝단부가 승강판(211)을 치면서 밀어올리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레버(207)는 작용부(208)를 밀어올리고, 작용부(208)는 스프링(209)을 매개로 안내판(206)의 뒷부분을 밀어올려 안내판(206)은 승강판(211)과 같이 경사지게 기울게 된다.
이때 승강판(211)과 용지받침대(221) 위에 놓여진 용지는 피드롤러(320)의 아래측 외주면에 밀착되어 LF모터의 구동으로 피드롤러(32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피드롤러(320)의 외주면에 용지가 달라붙어 픽업되고, 용지는 피드롤러(320)가 계속 회전되면서 유턴되어 베이스프레임(530)의 상단면으로 이송되며, 이송된 용지에 잉크카트리지(411)의 노즐부가 분사하여 인쇄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피드롤러(320)는 용지공급장치부(200)에 수납,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고, 또한 이송시켜 배출하는 것이다.
또한 인쇄된 용지는 스타휠(531)과 배지롤러(532)의 구동으로 배출되어 제1 인쇄용지받침대(256)와 제2 인쇄용지받침대(257)의 상단에 적재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05는 제1돌출부이고, 106은 제2돌출부이며, 251은 수납벽이며, 258은 체결편으로 제1 인쇄용지받침대(256) 및 제2 인쇄용지받침대(257)를 수납벽(251)에 결합시키는 수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캐리지가 작동레버를 왼쪽으로 끝까지 밀면 연속동작으로 용지공급장치부에 수납, 적재된 용지를 피드롤러의 하측면에 밀착시키고, 이후 피드롤러가 회전하면서 곧바로 용지를 픽업하여 베이스프레임까지 이송시키므로 그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토크가 큰 CR모터를 사용하므로써 픽업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용지를 수납, 적재하는 용지공급장치부가 메인프레임과 바닥판에 걸쳐 설치된 잉크젯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용지공급장치부를 설치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의 앞쪽과 바닥판에 걸쳐 설치되는 지지용프레임과, 캐리지가 안내봉을 따라 왼쪽으로 끝까지 이동하여 밀어내도록 된 작동레버와, 작동레버와 제1 및 제2베벨기어를 설치하는 베벨기어박스와, 작동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제1 및 제2베벨기어의 연쇄적인 작동에 의해 일측부가 상승되어 경사지게 된 승강판을 갖는 제1 및 제2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승강판의 상단에 놓여진 용지는 피드롤러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피드롤러의 회전으로 픽업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박스는 제1베벨기어와 제2베벨기어를 설치할 수 있도록 사면체 형상의 베벨기어수납부와 작동레버 및 제1베벨기어축을 설치할 수 있도록 사면체 형상의 작동레버수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벨기어와 제2베벨기어는 맞물려 설치되고, 제1베벨기어의 중심부에는 제1베벨기어축이 설치되며, 제1베벨기어축은 베벨기어박스의 작동레버수납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제2베벨기어의 중심부에는 사각봉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사각봉과 안내부 및 힌지축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은 사각봉과 안내부 및 힌지축에 직접 체결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의 상단에 놓여짐과 더불어 힌지축에 체결되는 승강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프레임에 지지되어 설치된 피드롤러축에 클러치가 설치되고, 클러치와 작동레버 사이에는 인장스프링이 설치되며, 피드롤러의 순간 역회전으로 클러치가 작용되어 상기 작동레버가 안내봉에 닿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프레임의 일측에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제2 용지공급장치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용프레임 및 바닥판에 고정되거나 원활히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의 일측에는 안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용지의 크기에 따라 필요시 용지받침대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요철부와 대응하여 제1하우징에 잠금 및 해제부가 설치되어 제1하우징의 움직임을 방지하거나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 및 제1, 제2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된 안내판의 일측에는 밀착판이 부착되어 승강판에 적재된 용지를 피드롤러의 하측에 긴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지공급장치부는 용지받침대에 적재된 용지의 일부를 받치는 제2 용지받침대와, 제2 용지받침대의 좌, 우에 각각 수직으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는 수납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지받침대의 하단에는 빼닫이식 용지받침대가 다단계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벽의 상단에 인쇄된 용지를 받쳐 적재할 수 있도록 제1 인쇄용지받침대 및 제2 인쇄용지받침대가 체결편을 매개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용지받침대는 제2 인쇄용지받침대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제1 인쇄용지받침대와 제2 인쇄용지받침대는 힌지로 조립되어 원활히 움직이며, 제2 인쇄용지받침대의 일측은 지지용프레임에 끼울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KR2019970038938U 1997-12-19 1997-12-19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KR2001623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938U KR200162389Y1 (ko) 1997-12-19 1997-12-19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CN98127156A CN1113749C (zh) 1997-12-19 1998-12-19 喷墨打印机中用于输送记录纸的装置
JP10363363A JPH11246055A (ja) 1997-12-19 1998-12-21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給紙装置
EP98310812A EP0924093B1 (en) 1997-12-19 1998-12-21 Device for feeding a recordable paper in an ink jet printer
US09/216,727 US6056461A (en) 1997-12-19 1998-12-21 Device for feeding a recordable paper in an ink jet printer
DE69818618T DE69818618T2 (de) 1997-12-19 1998-12-21 Gerät zum Zuführen eines Aufzeichnungspapiers in einen Tintenstrahldruc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938U KR200162389Y1 (ko) 1997-12-19 1997-12-19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401U KR19990026401U (ko) 1999-07-15
KR200162389Y1 true KR200162389Y1 (ko) 1999-12-15

Family

ID=1951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938U KR200162389Y1 (ko) 1997-12-19 1997-12-19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56461A (ko)
EP (1) EP0924093B1 (ko)
JP (1) JPH11246055A (ko)
KR (1) KR200162389Y1 (ko)
CN (1) CN1113749C (ko)
DE (1) DE6981861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53455B1 (en) * 1998-04-30 2003-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eet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485792B1 (ko) * 2002-12-30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급지유닛의 삽입제한장치
JP4407803B2 (ja) * 2004-03-08 2010-02-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CN103156333A (zh) * 2012-12-31 2013-06-19 温州职业技术学院 鞋楦底样速采装置
JP6331759B2 (ja) * 2014-06-26 2018-05-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102236329B1 (ko) * 2019-09-16 2021-04-06 디에스글로벌(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3792A (en) * 1971-12-08 1977-05-17 Xerox Corporation Sheet feeding apparatus
US4319740A (en) * 1980-06-23 1982-03-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heet feeder
JPH0720717B2 (ja) * 1988-04-21 1995-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印字装置の給紙機構
US5152622A (en) * 1989-12-14 1992-10-06 Hewlett-Packard Company Printer with improved anti-skew mechanisms
JP2966054B2 (ja) * 1990-07-13 1999-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
EP0580431B1 (en) * 1992-07-22 1997-01-02 Kabushiki Kaisha TEC Paper feeding apparatus for printer
JP3197960B2 (ja) * 1992-09-30 2001-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015281B2 (ja) * 1994-07-04 2000-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0701958B1 (de) * 1994-09-02 1998-07-15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ktiengesellschaft Leiteinrichtung für einen Bogen
JPH08277046A (ja) * 1995-04-10 1996-10-22 Canon Inc 給紙搬送装置及び該給紙搬送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46055A (ja) 1999-09-14
EP0924093A3 (en) 2000-02-02
EP0924093B1 (en) 2003-10-01
US6056461A (en) 2000-05-02
CN1223199A (zh) 1999-07-21
KR19990026401U (ko) 1999-07-15
CN1113749C (zh) 2003-07-09
DE69818618D1 (de) 2003-11-06
EP0924093A2 (en) 1999-06-23
DE69818618T2 (de) 200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0034A1 (en) sheet feeder including a plurality of paper cassettes
EP2042456B1 (en) Sheet tray assembly
KR200162389Y1 (ko) 캐리지를 이용한 용지공급장치부가 구비된 잉크젯프린터
KR100238585B1 (ko) 잉크젯 프린터의 픽업로울러 절환장치
KR100509482B1 (ko) 프린터의 급지장치
JP4506940B2 (ja) ダミーカートリッジの取付装置
KR100561478B1 (ko) 2 가지 방식의 용지 픽업 시스템
KR19990029914U (ko) 잉크젯프린터의 베벨기어 체결장치
JPS62259931A (ja) 給紙装置
KR200168711Y1 (ko) 화상형성 장치의 용지 급지 장치
JP2004196526A (ja) トレイロック装置及び記録装置
JP4078602B2 (ja) 補助トレイロック機構及び記録装置
JP2002283583A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3897111B2 (ja) 補助トレイ駆動手段及び記録装置
JP2004216662A (ja) キャ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02286035A (ja) 軸受け及びそれを備えた記録装置
JP2005280132A (ja) 記録装置
JP2002283548A (ja) 記録装置
JP2003305912A (ja) 記録装置
JP2004216658A (ja) 給排機構及び記録装置
JPH03192045A (ja) プリンタ装置
JP2004216659A (ja) キャ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03306240A (ja) 記録媒体の供給装置及び記録装置
JP2004082539A (ja) 記録装置
JP2003260841A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