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206B1 -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한 연료 분사 시스템용 연결관과 하우징 - Google Patents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한 연료 분사 시스템용 연결관과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206B1
KR100691206B1 KR1020017003261A KR20017003261A KR100691206B1 KR 100691206 B1 KR100691206 B1 KR 100691206B1 KR 1020017003261 A KR1020017003261 A KR 1020017003261A KR 20017003261 A KR20017003261 A KR 20017003261A KR 100691206 B1 KR100691206 B1 KR 100691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nsion member
high pressure
hole
pressure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3160A (ko
Inventor
프랑크쿠르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73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7/00Fuel-injection apparatus operated cyclically with fuel-injection valves actuated by fluid pressure
    • F02M47/02Fuel-injection apparatus operated cyclically with fuel-injection valves actuated by fluid pressure of accumulator-injector type, i.e. having fuel pressure of accumulator tending to open, and fuel pressure in other chamber tending to close, injection valves and having means for periodically releasing that clos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04Joints; Sealings
    • F02M55/005Joints; Sealings for high pressure conduits, e.g. connected to pump outlet or to injector in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된 연결관(1)를 구비한, 내연 기관의 연료 분사 시스템용 연결관(1)과 하우징(2), 특히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는 용접 시임(3)에 의해서 공간적으로 분리된 밀봉면이 상기 하우징(2)과 상기 연결관(1) 사이에 제공된다.
내연기관, 연료분사시스템, 어큐뮬레이터, 연결관, 용접

Description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한 연료 분사 시스템용 연결관과 하우징{Connection and housing for a fuel injection system with a high-pressure fuel accumulator}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연료분사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연결관과 하우징, 특히 청구범위 제 6 항의 전제부에 따른, 용접된 연결관을 구비한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고압 연료 펌프,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및 분사 노즐과 같은 연료 분사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 부품은 일반적으로 유압식 관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는 유압식 관 위로 미끄럼 이동하는 인장 너트에 의해 종종 밀봉되며, 상기 인장 너트는 상응하는 구성 부품의 하우징과 방수(fluid-tight) 방식으로 연결된 연결관과 나사로 조여진다. 특히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는 다수의 상기 종류의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은 예를 들어 연료를 어큐뮬레이터 내부와 외부로 공급하고 배출시킨다.
하우징에 용접되는 연결관은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용접 구성은, 용접 시임(seam)이 두 가지 기능을 가지는 것이 단점이다. 첫째로, 상기 용접 시임은 하우징과 연결관 사이를 연결해야 하며 모든 힘을 전달해야 한다. 특히 요즘의 연료 분사 시스템의 경우, 용접 시임에서의 높게 팽창된 인장 응력은 (실린더 내의) 높게 팽창된 압력에 기인한다. 둘째로, 상기 용접 시임은 밀봉 기능을 해야 하며, 이는 용접 시임에 부가적인 요구 조건을 가져온다.
공지된 용접 구성의 또 다른 단점은, 용접 과정 시에 관 또는 연료 어큐뮬레이터의 고압 영역에 용접물이 튀어서 쌓이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연료 분사 시스템의 작동을 방해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고압 영역과 연결관의 고압 영역을 주변환경에 대해서 확실히 밀봉하며, 상기 고압 영역은, 상기 양 구성 부재를 연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입자에 대해서 확실하게 보호되는, 연결관 및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연결된 연결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종축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되고 관통구멍과 원통형 밀봉면을 포함하는 인장 부재가 제공되는 제 1 단부를 포함하는, 내연 기관의 연료 분사 시스템용 연결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의 경우 인장 부재의 원통형 밀봉면과 함께 상응하게 형성된 하우징이 관통구멍에 있는 연료를 주변환경으로부터 밀봉시킨다. 상기 연결관의 "지지" 와 "밀봉" 기능의 공간적 분리를 통해서 밀봉면 및, 연결관과 하우징의 연결부도 최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면은 연결관과 하우징을 연결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용접물이 튀는 현상 또는, 칩이 연결관 또는 하우징의 고압 영역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는 상기 연결관과 인장 부재가 일체로 구현됨으로써 구성 부재의 수가 최소화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관과 인장 부재는 독립된 구성 부재이고, 따라서 양 구성 부재는 형성, 재료 및 제조 방법과 관련해서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면은 외부 원통 형태이기 때문에 연료의 작동 압력은 밀봉면을 외부로 확장시킴으로써 연결관과 하우징의 밀봉면 사이의 단위면적당 압력이 상승한다.
다른 변형예에서는 밀봉 링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홈이 상기 인장 부재에 제공된다.
상기 언급된 목적은, 하우징과 방수 방식으로 연결된,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연결관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와 관통구멍은 하우징에 있는 구멍을 통해서 유압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우징과 연결관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 및 하우징과 연결관의 연결부를 밀봉하기 위한 수단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된 내연 기관 연료 분사 시스템용의, 하우징, 특히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를 통해서 달성될 수 있다.
"지지"와 "밀봉" 기능의 공간적 분리를 통해서 상기 기능들은 구조적 및 제조 기술적으로 각각 최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접 시임이 주변환경에 대한 밀봉 역할도 하는 선행 기술과 달리, 연료가 용접 시임 까지 도달하면, 작동 압력이 발생시키는 노치 효과가 사라진다. 부가적으로, 연결관과 하우징을 연결할 경우에 밀봉면의 손상은 "지지" 와 "밀봉" 기능의 공간적 분리를 통해서 거의 방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통형 인장 부재가 관통구멍에 대해 동심으로 상기 연결관의 제 1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인장 부재는 관통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의 연결관측 단부에 인장 부재와 압입 끼워 맞춤을 형성하는 오목부가 제공된다.
상기 압입 끼워 맞춤은 연결관의 관통구멍과 하우징의 구멍을 주변환경에 대해서 밀봉시키고 이로써 밀봉면을 형성한다. 상기 인장 부재와 하우징의 오목부 사이의 단위면적당 압력으로 인해 양호한 밀봉이 이루어진다.
다른 변형예에서, 연결관의 제 1 단부에 관통구멍에 대해 동심으로 함몰부가 배치되고, 하우징의 구멍은 연결관쪽의 단부에 오목부를 포함하며, 연결관과 하우징 사이에 원통형 인장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인장 부재는 연결관의 함몰부와 하우징의 오목부와 함께 압입 끼워 맞춤을 형성함으로써 연결관, 인장 부재 및 하우징은 각각의 요구 조건에 최적으로 알맞는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고 이로써 작동 안정성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인장 부재는 외부 원통형이기 때문에 연료의 작동 압력은 인장 부재의 밀봉면을 외부로 확장시킨다. 따라서 연결관의 밀봉면과 하우징 오목부의 밀봉면 사이의 단위면적당 압력이 상승하고, 이것은 연결부의 내밀성(tightness)을 부가적으로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인장 부재에는 밀봉 링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홈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밀봉 링에 의한 밀봉력이 더욱 증가된다.
본 발명에 보충해서, 상기 하우징의 오목부와 연결관의 함몰부에는 하나 이상의 밀봉 링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인장 부재는 특히 작게 설계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밀봉 링이 "밀봉" 기능을 부분적으로 수행하며 인장 부재는 밀봉 링을 수용하기 위한 홈을 통해서 약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연결관과 하우징은 용접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은 단점이 없이, 예를 들어 간단하고 저렴한 제조와 같은, 공지된 용접 구성의 장점을 갖는다. 부가적으로, 상기 인장 부재의 예비 응력으로 인해서, 용접 후에 연결관과 하우징의 밀봉면들 사이에서 예비 응력은 계속 유지된다. 상기 밀봉면들과 용접 시임의 공간적 분리는 용접물이 튀어서 하우징 또는 연결관의 고압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끝으로, 작동 압력 상태에 있는 연료를 통해서 생길 수 있는, 용접 시임에 대한 노치 효과는 사라진다.
이것은 특히 연료의 작동 압력의 영향을 받는, 인장 부재의 밀봉면의 유효 단면적이 용접 시임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면적보다 작을 때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과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서 얻어진다. 본 발명의 대상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고 하기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과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의 제 1 실시예.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과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의 제 2 실시예.
도 3 은 밀봉 링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과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의 제 3 실시예.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1)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다. 상기 연결관(1)은 용접 시임(3)을 통해서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와 연결된다. 상기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는, 연결관(1)의 관통구멍(5)과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의 내부(6)와 연결된 구멍(4)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관(1)은 상기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측 단부에 칼라(collar: 7)를 포함한다. 상기 칼라(7)는 연결관이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의 상응하는 링형 표면(8)에 배치될 경우, 연결관(1)의 종축 방향으로 정지부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용접시 상기 연결관(1)의 위치는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의 원통형 오목부(9) 내로 연결관(1)의 인장 부재(10)가 들어간다. 상기 인장 부재(10)는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의 오목부(9)와 압입 끼워 맞춤을 형성함으로써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와 연결관(1)의 연결부를 주변환경에 대해서 밀봉한다. 따라서 연결관(1)과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 사이의 압입 끼워 맞춤을 통해서 밀봉면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4)과 관통구멍(5)에 있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연료의 작동 압력 증가에 따라 인장 부재(10)와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의 오목부(9) 사이의 압착력이 증가하고 이로써 연결부의 내밀성도 증가한다.
상기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 반대편 연결관(1)의 단부에서 일반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관은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유니언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1)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다. 사용된 도면 부호들은 도 1 의 도면 부호와 일치한다.
상기 연결관(1)은 원통형 함몰부(13)를 가지며, 독립된 구성 부재로 구현된 인장 부재(10)가 상기 함몰부 안으로 들어간다. 상기 인장 부재(10)는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의 오목부(9)와 함몰부(13)와 함께 압입 끼워 맞춤을 형성한다. 상기 인장 부재(10)가 독립된 구성 부재로 구현됨으로써, 상기 인장 부재는 재료 및 제조 방법과 관련하여 연결관(1)과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와 무관하게 최적화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3)와 오목부(9)의 직경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할 필요는 없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에서도 구멍(4)과 관통구멍(5)에서의 도시되지 않은 연료의 압력이 증가하며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와 연결관(1)의 연결부의 내밀성이 증가한다.
도 3 의 우측면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도 1 에 따른 실시예와 같은데, 다만 상기 인장 부재(10)가 홈(14)을 포함하고 상기 홈 안에는 밀봉 링(15)이 있는 점이 다르다.
도 3 의 좌측면에는 도 2 에 따른 독립된 인장 부재(10)를 구비한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상기 실시예에서 인장 부재(10)는 두 개의 홈(14)과 두 개의 밀봉 링(15)을 포함한다. 상기 홈(14)에 있는 밀봉 링(15) 중 하나는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에 있는 오목부(9)에 대해서 인장 부재(10)를 밀봉하고 또 다른 밀봉 링(15)은 연결관(1)의 함몰부(13)에 대해서 인장 부재(10)를 밀봉시킨다.
상기 밀봉 링을 사용함으로써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와 연결관(1)의 연결부의 내밀성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홈(14)은 함몰부(13)와 오목부(9) 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 하기의 청구범위 및 도면에 도시된 모든 특징들은 개별적 및 임의로 조합으로 본 발명의 대상이 된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방수 방식으로 하우징과 연결되며, 관통구멍(5)을 포함하는 연결관(1)을 구비하며, 하우징 내부와 관통구멍(5)은 상기 하우징 내의 구멍(4)을 통해서 유압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내연 기관의 연료 분사 시스템을 위한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2)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연결관(1)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3)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연결관(1)의 연결부를 밀봉하기 위한 수단(10, 9)이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 하우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의 제 1 단부에 상기 관통구멍(5)에 대해 동심으로 원통형 인장 부재(10)가 배치되고, 상기 인장 부재는 관통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4)은 상기 연결관(1)측 단부에, 상기 인장 부재(10)와 압입 끼워 맞춤을 형성하는 오목부(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 하우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의 단부에 상기 관통구멍(5)에 대해 동심으로 함몰부(13)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구멍(4)은 상기 연결관(1)측 단부에 오목부(9)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의 함몰부(13) 및 상기 하우징의 오목부(9)와 함께 압입 끼워 맞춤을 형성하는 상기 원통형 인장 부재(10)가 상기 연결관(1)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인장 부재(10)는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 하우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부재(10)가 외부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 하우징.
  10.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부재(10)에는 밀봉 링(15)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홈(1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 하우징.
  11.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밀봉 링(15)을 수용하기 위한 홈(14)이 상기 하우징의 오목부(9)와 상기 연결관(1)의 함몰부(13)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 하우징.
  12.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은 용접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 하우징.
KR1020017003261A 1999-07-15 2000-05-19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한 연료 분사 시스템용 연결관과 하우징 KR100691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3254A DE19933254A1 (de) 1999-07-15 1999-07-15 Anschlussstutzen und Gehäuse, insbesondere Kraftstoffhochdruckspeicher, mit vorgespannt angeschweißtem Anschlussstutzen für ein Kraftstoffeinspritzsystem für Brennkraftmaschinen
DE19933254.1 1999-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160A KR20010073160A (ko) 2001-07-31
KR100691206B1 true KR100691206B1 (ko) 2007-03-08

Family

ID=791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261A KR100691206B1 (ko) 1999-07-15 2000-05-19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한 연료 분사 시스템용 연결관과 하우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13498B1 (ko)
EP (1) EP1114252B1 (ko)
JP (1) JP2003504561A (ko)
KR (1) KR100691206B1 (ko)
CN (1) CN1183323C (ko)
DE (2) DE19933254A1 (ko)
WO (1) WO2001006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0057B4 (de) * 2001-08-16 2007-08-30 Robert Bosch Gmbh Kraftstoffhochdruckspeicher
EP1298313A3 (de) * 2001-10-01 2004-12-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Kraftstoffspeicher für eine Kraftstoffeinspritzvorrichtung
DE10162203A1 (de) * 2001-12-18 2003-07-10 Bosch Gmbh Robert Festigkeitsoptimierter Hochdruckanschluss an Hochdrucksammelräumen
JP4007590B2 (ja) * 2002-12-11 2007-11-14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接続頭部を有する高圧燃料噴射管
DE10333721B4 (de) * 2003-07-23 2005-07-07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Kraftstoffverteilerleiste mit einem Anschlussstück
DE102004055266A1 (de) * 2004-11-17 2006-05-18 Robert Bosch Gmbh Kraftstoffeinspritzanlage mit mehreren Druckspeichern
EP1914418B1 (en) 2005-08-04 2012-01-25 Nippon Steel Corporation High-pressure fuel injection accumulator distributor for automob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372064B2 (ja) * 2005-08-04 2009-11-2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自動車用高圧燃料噴射蓄圧分配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7018471A1 (de) * 2007-04-19 2008-10-23 Robert Bosch Gmbh Verschneidungsbereich zwischen einer Hochdruckkammer und einem Hochdruckkanal
DE102008013575B3 (de) * 2008-03-11 2009-08-13 Poppe & Potthoff Gmbh Kraftstoffverteilerbaugruppe
DE102012005921A1 (de) * 2012-03-26 2013-09-26 Poppe & Potthoff Gmbh & Co Verschweißte Baugruppe
DE202013103710U1 (de) * 2013-08-15 2013-08-29 Ti Automotive (Heidelberg) Gmbh Kraftstoffverteilerleiste
JP6406904B2 (ja) * 2014-07-16 2018-10-17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ガソリン直噴エンジン用燃料レールの端末シール構造
US20170350321A1 (en) * 2016-06-02 2017-12-07 General Electric Company Bundled Tube Fuel Nozzle Assembly with Tube Extensions
JP2019138240A (ja) * 2018-02-13 2019-08-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配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9295A (en) * 1988-05-13 1990-12-25 Weber S.R.L.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fuel manifol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uel supply system
JPH10259772A (ja) * 1997-03-18 1998-09-29 Poppe & Potthoff Gmbh & Co ディーゼル機関のための噴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246A (en) * 1933-12-26 1935-09-24 Taylor Edward Hall Welding outlet
DE1937444C3 (de) 1969-07-23 1974-03-21 Motoren- Und Turbinen-Union Friedrichshafen Gmbh, 7990 Friedrichshafen Durch Steckverbindungen herstellbare Kraftstoffleitungsanschlüsse an einer für jeden Zylinder einer Brennkraftmaschine vorgesehenen Pumpendüseneinheit
JPH0754616Y2 (ja) * 1989-05-06 1995-12-18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US5172939A (en) * 1989-10-14 1992-12-22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Connection structure for branch pipe in high-pressure fuel rail
DE9302824U1 (ko) * 1993-02-26 1993-04-15 Technoflow Tube-Systems Gmbh, 3501 Fuldabrueck, De
DE4404861A1 (de) * 1994-02-16 1995-08-17 Alusuisse Lonza Services Ag Bauteil
DE19523287C2 (de) * 1994-06-28 1998-07-02 Usui Kokusai Sangyo Kk Anordnung zum Verbinden eines Kraftstoff-Abzweigelementes mit einer Kraftstoff-Sammelschiene
US5887910A (en) * 1994-12-08 1999-03-30 Usui Kokusai Sangyo Kaisha Limited Connection structure for branching connector in high-pressure fuel rail
DE19607521C1 (de) * 1996-02-28 1997-04-10 Juergen Dipl Ing Guido Kraftstoff-Verteilerrohr
FR2762050B1 (fr) * 1997-04-10 1999-06-18 Cideb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carburant pour l'alimentation des cylindres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DE19729392C2 (de) * 1997-07-09 1999-05-06 Siemens Ag Kraftstoffspeicher mit Abd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9295A (en) * 1988-05-13 1990-12-25 Weber S.R.L.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fuel manifol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uel supply system
JPH10259772A (ja) * 1997-03-18 1998-09-29 Poppe & Potthoff Gmbh & Co ディーゼル機関のための噴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3323C (zh) 2005-01-05
EP1114252B1 (de) 2007-04-18
KR20010073160A (ko) 2001-07-31
DE50014262D1 (de) 2007-05-31
DE19933254A1 (de) 2001-01-25
EP1114252A1 (de) 2001-07-11
US6513498B1 (en) 2003-02-04
CN1317071A (zh) 2001-10-10
WO2001006116A1 (de) 2001-01-25
JP2003504561A (ja) 200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1206B1 (ko)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한 연료 분사 시스템용 연결관과 하우징
US4893601A (en) Manifold for conveying a high-pressure fuel
KR920005030B1 (ko) 고압연료 매니폴드의 분기관 연결 구조물
KR920006406B1 (ko) 고압연료 매니폴드의 분기관 연결구조물
EP0508362B1 (en) Coupling for high pressure fluid
US6463909B2 (en) Common rail
US6431608B1 (en)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pipe for diesel engine
EP0116050B1 (en) Bulkhead-fluid-line connector
US9038600B2 (en) Fuel feed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fuel feed device
US6497220B1 (en) High-pressure connection for a fuel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953896A (en) Structure for connecting branch pipe in high-pressure fuel manifold
JP2004211637A (ja) 高圧燃料蓄圧器
CN101421507B (zh) 用于高压储存器上的高压管道的固定装置
US6698801B1 (en) Prestressed welded connection stub for a fuel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010242712A (ja) フュ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KR20070051261A (ko) 고압 매체 도관용 연결부
JP2000320426A (ja) ディーゼル機関用高圧燃料噴射管
JP2010031916A (ja) 締結ボルトを使用した複数部材の締結構造
KR102084874B1 (ko) 파이프 조립체 및 파이프 조립체의 연결 방법
EP1291549A1 (en) Liquid-sealed vibration-proof device
KR20010075565A (ko)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
US6851720B2 (en) Hydraulic joint structure
KR101711652B1 (ko) 고압 연결부 및 연결 장치
US20050011495A1 (en) High pressure fuel accumulator
JP2003516497A (ja) 接続管片とケーシング、特に内燃機関の燃料噴射システムのための、プレロードをかけられた状態で溶接される接続管片を備えた燃料高圧アキュム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