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438B1 - 차량사고자동통보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사고자동통보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438B1
KR100689438B1 KR1019980060913A KR19980060913A KR100689438B1 KR 100689438 B1 KR100689438 B1 KR 100689438B1 KR 1019980060913 A KR1019980060913 A KR 1019980060913A KR 19980060913 A KR19980060913 A KR 19980060913A KR 100689438 B1 KR100689438 B1 KR 100689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ad information
hands
signal
free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0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4416A (ko
Inventor
최규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60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438B1/ko
Publication of KR20000044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2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recorded signals, e.g. spee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Navig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차량 사고 자동 통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외부로부터 받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로부터 감지된 충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충격량을 초과한 경우 구호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구호신호에 따른 음성요구신호를 수신한 경우 차량의 위치에 따른 도로정보 요구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요구신호에 따라 획득된 도로위치 및 사고상황을 미리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합성하여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핸즈프리키트와, 상기 핸즈프리키트로부터 도로정보 억세스 요구 신호를 수신한 경우 다수의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GPS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를 연산하고, 지동정보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연산된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 정보를 억세스하여 모니터등에 표시하며, 현재 차량이 위치한 도로 정보 억세스 요구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도로 정보를 출력하는 네비게이션장치와, 상기 핸즈프리키트로부터 구호신호를 수신한 경우 내부메모리에 저장된 미리 설정·등록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상기 다이얼링된 호에 대한 응답여부에 따라 응답하지 않는 경우 또 다른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거나, 응답한 경우 상대방에게 도로정보 및 사고상황의 음성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휴대폰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사고 자동통보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전화 장치를 이용하여 사고 위치를 자동으로 통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하여졌을 때 지정된 장소로 자동의 피호출측을 자동으로 호출하여 사고 사황을 통보하도록 하는 차량 사고 자동 통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mobile-phone)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차량에서 보다 편리하게 통화를 하기 위한 핸즈 프리 키트(hands free kit)도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핸즈 프리 키트는 차량의 대쉬보드 혹은 콘솔박스 등의 위치에 장착된 클래이들(cradle)에 휴대폰를 거치시켜 사용하므로서, 손으로 휴대폰을 들고 음성 통화를 하는 것 보다 전방 주시를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할 수 있어 교통 사고의 원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그 사용이 더욱더 권고되고 있다.
또한, 차량에도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많은 승객 보호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 등이 그 대표적이다. 이러한 에어백은 차량의 외부로부터 차량의 전면 혹은 측면에 가하여지는 충격량이 미리 설정된 충격량 보다 클 때 충격 감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충격 감지 신호에 의해 전개된다.
그러나, 차량에 상기와 같은 승객 보호 장치에 탑재되어 있더라도 다른 차량과 접촉에 의한 교통 사고가 발생되면, 차량의 운전자 및 승객들은 사고 현장에 당황하게 되어 사고 처리를 원할하게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충돌 혹은 추돌 사고에 의해 탑승자들이 사상을 입거나 하는 경우, 차량내의 핸즈 프리 키트의 클래이들에 장착된 전화기를 이용할 수 없게되어 신속한 구호조치를 받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외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충격량 이상의 충격에 응답하여 차량내에 위치된 전화기가 자동으로 설정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호출하여 교통 사고 상황을 통보하는 차량 사고 자동 통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네비게이션 장치를 가지는 차량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교통 사고가 발생시 차량내의 전화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상대방을 자동으로 호출하여 현재의 위치정보와 사고 상황의 정보를 음성으로 통보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차량 사고 자동 통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외부로부터 받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로부터 감지된 충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충격량을 초과한 경우 구호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구호신호에 따른 음성요구신호를 수신한 경우 차량의 위치에 따른 도로 정보 요구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요구신호에 따라 획득된 도로위치 및 사고상황을 미리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합성하여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핸즈프리키트와, 상기 핸즈프리키트로부터 도로정보 억세스 요구신호를 수신한 경우 다수의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GPS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를 연산하고, 지동정보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연산된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 정보를 억세스하여 모니터등에 표시하며, 현재 차량이 위치한 도로 정보 억세스 요구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도로 정보를 출력하는 네비게이션장치와, 상기 핸즈프리키트로부터 구호신호를 수신한 경우 내부메모리에 저장된 미리 설정·등록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상기 다이얼링된 호에 대한 응답여부에 따라 응답하지 않는 경우 또 다른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거나, 응답한 경우 상대방에게 도로정보 및 사고상황의 음성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휴대폰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차량 사고 자동 통보 방법에 있어서, 충격센서로부터 차량의 충돌 혹은 추돌에 의한 충격량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충격센서와 연결된 핸즈프리키트에서 상기 감지된 충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중충격량을 초과한 경우 휴대폰으로 구호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핸즈프리키트로부터 수신한 구호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 등록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링에 대한 응답여부에 따라 음성요구신호를 상기 핸즈프리키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핸즈프리키트와 연결된 네비게이션장치로부터 차량의 위치 및 그에 대응하는 도로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핸즈프리키트의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상기 도로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다이얼링된 휴대폰으로 상기 합성된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자동 통보 기능을 갖는 전화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0은 차량의 프론트/리어 범퍼 및 좌우측면으로 가하여지는 충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충격량을 초과시에 충격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충격감지센서이다. 이러한 센서는 현재 범용의 충격센서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현재 차량에 부착된 에어백 전개용 충격감지센서를 공용할 수 있다.
참조번호 12는 차량용 네비게이션(navigation system for automobile)으로서 GPS에 속한 다수의 위성으로부터 전파되는 전세계 측위 신호 GPS-S(Global Positioning System-Signal)을 입력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고, 지도 정보 기억 장치로 상기 연산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 정보를 억세스하여 모니터(도시하지 않았음)에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네비게이션(12)은 현재 차량에 탑재된 통상의 네비게인션장치와 그 동작이 유사하나,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현재 위치의 도로 정보 억세스 요구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도로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참조번호 16은 통상적인 휴대폰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며,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동작을 더 수행한다. 예를 들면, 차량의 핸즈 프리 키트(22)의 클래이들(18)에 장착된 상태에서 구호신호(relife signal)가 입력되면 내부 메모리 영역에 미리 설정 등록된 전화번호를 억세스하여 다이얼링하고, 상대방이 상기 호출에 응답시 입력되는 음성 메세지를 상대방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여기서, 여기서 내부 메모리 영역에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미리설정 등록하는 기능은 통상의 휴대폰에서 적용된 단축 다이얼 등록 방법을 이용하여 설정등록 한다.
18은 상기 휴대폰(16)이 거치되는 클래이들로서, 이는 상기 휴대폰(16)의 인터페이스 단자(interface terminal)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접속기(20)를 포함하여 가지며, 상기 인터페이스 접속기(2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타를 후술하는 핸즈 프리 키트(22)로 인터페이스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기능은 통상의 핸즈 프리 키트(22)에 접속되는 클래이들을 그대로 이용이 가능하다.
22는 핸즈 프리 키트로서,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기능이외에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더 부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충격감지센서(10)로부터 발생되는 충격감지신호에 응답하여 구호신호를 상기 클래이들(18)을 통해 휴대폰(16)으로 전송하고, 휴대폰(16)으로부터의 음성요구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네비게이션(12)으로부터 현재 위치의 도로정보를 억세스하여 도로정보와 현재의 사고상황에 대한 음성 데이타를 내부의 메모리(16)로부터 억세스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더 갖는다. 이러한 기능은 핸즈 프리 키트(22)내의 메모리(26)에 프로그램밍된 데이타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동작은 제어모듈(24)에 의해 실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전화 장치에서 차량 사고 자동 통보 기능을 위한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는 휴대폰(16)과 핸즈 프리 키트(22)간의 동작 시퀀스를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 1 및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금 차량내의 클래이들(18)에 휴대폰(16)이 장착된 차량이 도로를 주행중 전방 차량과의 충돌 혹은 후방에 위치된 차량이 추돌하면, 충격감지센서(10)이 상기 충돌 혹은 추돌에 의한 충격량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충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충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충격감지센서(10)는 충격감지신호를 도 2의 30과정에서 핸즈 프리 키트(22)에 입력시킨다.
상기 핸즈 프리 키트(22)는 32과정에서 구호신호를 클래이들(22)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클래이들(22)는 핸즈 프티 키트(22)와 휴대폰(16)간의 데이타를 단순하게 인터페이싱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호신호는 휴대폰(16)으로 전송된다. 상기 휴대폰(160은 상기 구호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도 2의 34과정에서 내부 메모리 영역에 미리 설정 등록된 구호전화번호(예를 들면, 119구조대, 집 혹은 사무실 등등), 즉,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무선 채널을 통해 다이얼링한다.
상기와 같은 자동 다이얼링의 동작은 상대방이 응답할 때까지 반복되도록 프로그램되며, 바람직하기론 3회 정도가 적당하다. 3회 이상 재다이얼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으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다음의 상대방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억세스하여 다이얼링한다.
상기 도 2의 34과정에 의한 다이얼링에 의해 36과정에서 상대방이 응답하면, 휴대폰(16)은 음성요구신호를 도 2의 38과정에서 클래이들(18)을 통하여 핸즈 프리 키트(22)로 전송한다. 이때, 핸즈 프리 키트(22)는 상기 음성 요구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네비게이션(12)로 현재 위치의 도로정보 억세스 요구신호를 제공하여 그로부터 차량이 위치된 현재 위치에 대응한 도로 정보를 40과정에서 얻는다.
이후, 상기 핸즈 프리 키트(22)는 상기 억세스된 현재 위치에 대응한 도로 정보를 어드레스로 하는 음성 데이타, 예를 들면, 현재 위치를 상대방에게 알리기 위한 음성 데이타와 차량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음성 데이타를 내부 메모리(26)로부터 억세스하여 42과정에서 휴대폰(16)으로 전송한다.
상기 휴대폰(16)은 상기 핸즈 프리 키트(22)로부터 출력되어 클래이들(18)을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타를 아나로그의 음성 신호로 처리하여 통화로가 형성된 무선채널을 통해 44과정에서 상대방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음성 메세지의 동작은 적어도 3회 이상 반복되어 실행된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는 주행되고 있는 차량이 또다른 차량 혹은 물체등에 충돌 및 추돌되어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 정보를 억세스하고, 상기 억세스된 도로 정보와 사고 상황을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연락처로 통보하므로써 사고 처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고, 구호·구난 조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사소가 발생하였을 때 사고가 발생하는 지점의 도로정보와 사고상황의 음성 메시지를 미리 설정 등록된 전화번호로 자동 통보함으로써 인명 구호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자동 통보 기능을 갖는 전화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전화 장치에서 차량 사고 자동 통보 기능을 위한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Claims (6)

  1. 차량 사고 자동 통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외부로부터 받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로부터 감지된 충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충격량을 초과한 경우 구호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구호신호에 따른 음성요구신호를 수신한 경우 차량의 위치에 따른 도로정보 요구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요구신호에 따라 획득된 도로위치 및 사고상황을 미리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합성하여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핸즈프리키트와,
    상기 핸즈프리키트로부터 도로정보 억세스 요구신호를 수신한 경우 다수의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GPS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를 연산하고, 지동정보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연산된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 정보를 억세스하여 모니터등에 표시하며, 현재 차량이 위치한 도로 정보 억세스 요구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도로정보를 출력하는 네비게이션장치와,
    상기 핸즈프리키트로부터 구호신호를 수신한 경우 내부메모리에 저장된 미리 설정·등록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상기 다이얼링된 호에 대한 응답여부에 따라 응답하지 않는 경우 또 다른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거나, 응답한 경우 상대방에게 도로정보 및 사고상황의 음성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휴대폰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자동 통보 장치.
  2. 차량 사고 자동 통보 방법에 있어서,
    충격센서로부터 차량의 충돌 혹은 추돌에 의한 충격량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충격센서와 연결된 핸즈프리키트에서 상기 감지된 충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충격량을 초과한 경우 휴대폰으로 구호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핸즈프리키트로부터 수신한 구호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 등록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링에 대한 응답여부에 따라 음성요구신호를 상기 핸즈프리키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핸즈프리키트와 연결된 네비게이션장치로부터 차량의 위치 및 그에 대응되는 도로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핸즈프리키트의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데이터와 상기 도로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다이얼링된 휴대폰으로 상기 합성된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자동 통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자동 다이얼링은 구호전화번호의 상대방이 응답할 때까지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자동통보방법.
  4. 제2항에 잇어서, 상기 자동 다이얼링은 소정회수 재다이얼링한후 다음 구호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자동통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메시지는 소정회수이상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자동통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키트는 도로 정보 및 사고 상황의 음성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미리 저장된 상기 도로 정보 및 사고 상황에 대한 음성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는 내부 메모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 자동 통보 장치.
KR1019980060913A 1998-12-30 1998-12-30 차량사고자동통보장치및방법 KR100689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913A KR100689438B1 (ko) 1998-12-30 1998-12-30 차량사고자동통보장치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913A KR100689438B1 (ko) 1998-12-30 1998-12-30 차량사고자동통보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416A KR20000044416A (ko) 2000-07-15
KR100689438B1 true KR100689438B1 (ko) 2007-06-04

Family

ID=1956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0913A KR100689438B1 (ko) 1998-12-30 1998-12-30 차량사고자동통보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4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377A (ko) 2014-07-14 2016-01-22 이승희 차량 사고 자동 통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009A (ko) * 2002-10-18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040043346A (ko) * 2002-11-18 2004-05-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
KR20040052060A (ko) * 2002-12-13 2004-06-19 조레오 자동차용 충돌위치 표시장치
KR102170094B1 (ko) 2016-04-15 2020-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의 운동정보를 기반으로 한 차량 사고 판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6952A (ko) * 1996-03-06 1997-10-13 손명원 원격 고객 차량 관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9980075326A (ko) * 1997-03-31 1998-11-16 박제혁 위급상황시 p.c.s 및 g.p.s를 이용하여 구난신호 발생 및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치
KR19980076597A (ko) * 1997-04-11 1998-11-16 윤종용 사고 발생 알림장치와 방법
KR19990010258A (ko) * 1997-07-16 1999-02-18 양재신 차량항법시스템을 이용한 긴급구조신호처리장치
KR19990081431A (ko) * 1998-04-29 1999-11-15 박동규 차량사고 자동 전송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6952A (ko) * 1996-03-06 1997-10-13 손명원 원격 고객 차량 관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205974B1 (ko) * 1996-03-06 1999-07-01 박동규 원격고객차량 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75326A (ko) * 1997-03-31 1998-11-16 박제혁 위급상황시 p.c.s 및 g.p.s를 이용하여 구난신호 발생 및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치
KR19980076597A (ko) * 1997-04-11 1998-11-16 윤종용 사고 발생 알림장치와 방법
KR19990010258A (ko) * 1997-07-16 1999-02-18 양재신 차량항법시스템을 이용한 긴급구조신호처리장치
KR19990081431A (ko) * 1998-04-29 1999-11-15 박동규 차량사고 자동 전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377A (ko) 2014-07-14 2016-01-22 이승희 차량 사고 자동 통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416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3870B1 (ko) 긴급 상황 통보 장치
US7580697B2 (en) Method and emergency call device for triggering an emergency call from a vehicle
JP3868951B2 (ja) 統合された事前衝突感知機構を備える車両通信システム
KR20000057874A (ko) 긴급 통보 시스템 및 이 시스템 내의 단말 장치
CZ20032616A3 (cs) Způsob a zařízení pro hlášení havárie
EP2604026A1 (en) Telematics enhanced mobile device safety interlock
US10027505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trofitting a vehicle
KR20070086433A (ko) 긴급 호출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10239283A (ja) 車載携帯電話システム、車載携帯電話通信方法、携帯端末及び車載機器
KR100689438B1 (ko) 차량사고자동통보장치및방법
JPWO2020054694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06203737A (ja) ハンズフリーシステム、車載用ハンズフリー装置、及び、携帯通信端末のハンズフリープログラム
JP3489511B2 (ja) 車載電話システム及び当該システムに用いる車両側装置
JP6398268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センター
JP3233033B2 (ja) 車両用事故対処装置
JP3323158B2 (ja) 事故通報システムおよび事故通報方法
KR20020020574A (ko) 차량 정보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JP3824186B2 (ja) 自動車電話システム
JP3330843B2 (ja) ハンズフリー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230122465A1 (en) Vehicle hands-free call connection system
KR20000019921A (ko) 차량의 긴급상황 발생 알림장치 및 방법
KR19980076597A (ko) 사고 발생 알림장치와 방법
JP4211180B2 (ja) 車両用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車載用緊急通報端末
RU2229398C1 (ru) Охранно-навиг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3438479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