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3346A -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3346A
KR20040043346A KR1020020071579A KR20020071579A KR20040043346A KR 20040043346 A KR20040043346 A KR 20040043346A KR 1020020071579 A KR1020020071579 A KR 1020020071579A KR 20020071579 A KR20020071579 A KR 20020071579A KR 20040043346 A KR20040043346 A KR 20040043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cident
state
release switch
g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1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3346A/ko
Publication of KR20040043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34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27Post collision measures, e.g. notifying emergency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앞뒤범퍼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추돌상태를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부와, 차고발생 상태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무선송신부와, 무선송신부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정지시키기 위한 해제스위치와, 충격센서의 값을 입력받아 추돌상태일 경우 GPS 수신부에서 수신받은 위치정보와 차량정보를 무선송신부를 통해 출력하고 해제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정지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져 차량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자동으로 차량의 위치와 차량번호를 응급구조센터 등으로 통보함으로써 사고발생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응급구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APPARATUS FOR REPORTING CAR ACCIDENT}
본 발명은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자동으로 차량의 위치와 차량번호를 응급구조센터 등으로 통보함으로써 응급구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은 전자장치의 발달로 인하여 자동차의 성능향상을 위해 많은 부분에서 전자장치의 제어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엔진의 성능향상을 위해 여러 가지의 센서가 사용되어 최적의 엔진 효율을 발생시키고 있어 차량의 신뢰도 높아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전자장치의 발달은 실제적인 엔진구동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장치나 운전의 편의를 위한 갖가지 부가장치, 주행장치 등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운전중 졸음운전이나 다른 탑승자와의 잡담 등으로 인해 차선을 이탈할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하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량의 차선이탈 방지장치나, 후진시 후방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장치가 장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신속하게 사고처리가 이루어져야 될뿐만 아니라 인명피해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가능한한 신속하게 응급처치 및 구조를 행해야만 한다.
그러나, 경미한 사고인 경우에는 운전자가 사고처리를 위해 직접전화를 걸어 구조요청을 하게 되지만, 운전자가 중상을 입었거나 타인의 구조 및 경황이 없어 즉시 구조요청을 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2차적인 위험이 발생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자동으로 차량의 위치와 차량번호를 응급구조센터 등으로 통보함으로써 응급구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충격센서 20 : GPS 수신부
30 : 제어부 40 : 무선송신부
50 : 해제스위치 60 : 표시등
70 : 무선수신부 80 : 응급구조센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앞뒤범퍼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추돌상태를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부와, 차고발생 상태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무선송신부와, 무선송신부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정지시키기 위한 해제스위치와, 충격센서의 값을 입력받아 추돌상태일 경우 GPS 수신부에서 수신받은 위치정보와 차량정보를 무선송신부를 통해 출력하고 해제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정지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의 작동상태에 따라 무선송신부로 무선신호가 송신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중 충돌사고가 발생할 경우 차량의 앞뒤 범퍼에 설치된 충격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면 제어부에서 추돌상태를 판단하여 GPS 수신부에서 수신된 위치정보와 차량정보를 무선송신부를통해 송신하여 인근의 응급구조센터로 차량사고를 통보함으로써 운전자가 직접 사고발생을 알리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사고발생 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하며, 해제스위치를 통해 사고처리가 완료되었을 때 구조신호를 중지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앞뒤범퍼(미도시)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추돌상태를 감지하는 충격센서(10)와,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부(20)와, 차고발생 상태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무선송신부(40)와, 무선송신부(40)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정지시키기 위한 해제스위치(50)와, 충격센서(10)의 값을 입력받아 추돌상태일 경우 GPS 수신부(20)에서 수신받은 위치정보와 차량정보를 무선송신부(40)를 통해 출력하고 해제스위치(50)의 상태에 따라 정지시키는 제어부(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응급구조센터(80)에는 무선송신부(40)에서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수신부(70)가 설치되어 인근에서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사고발생 위치 및 차량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응급구조센터(80)에서 넓은 지역을 담당할 경우에는 무선수신부(70)는 다수곳에 설치하여 전파음영지역 없이 어느 곳에서라도 무선송신부(40)에서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30)의 작동상태에 따라 무선송신부(40)로 무선신호가 송신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60)이 설치되어 사고발생으로 구조신호가 송출되고 있음을 운전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을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와 같은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가 장착된 차량이 운행중 추돌이나 충돌로 인해 앞뒤범퍼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앞뒤범퍼에 각각 설치된 충격센서(10)에서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30)로 출력하게 된다(S10).
그러면 제어부(30)에서 충격센서(10)의 충격값과 일정값을 비교하여(S20) 단순한 접촉이 아닌 사고로 판단될 경우에는 GPS 수신부(20)를 통해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받아(S30) 차량정보와 함께 무선송신부(40)를 통해 구조신호를 계속해서 송출하게 된다(S40).
이렇게 무선송신부(40)를 통해 구조신호를 송출하게 되면 표시등(60)에 무선송출이 되고 있음을 표시하여 운전자나 제 3자가 구조요청이 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S50).
이후, 사고처리가 완료되었거나 응급구조가 이루어졌거나 또는 운전자가 별도의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경우에는 해제스위치(50)를 작동시켜 무선송신부(40)로 송출되는 무선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키게 된다(S60)(S70).
이렇게 무선송신부(40)를 통해 구조신호가 송출되면 인근의 응급구조센터(80)의 무선수신부(70)를 통해 사고발생위치 및 차량정보를 파악하여 사고발생지역으로 구급차를 출동시키거나 사고처리를 위해 유관기관인 경찰서나 보험회사에 연락하여 신속한 사고처리 및 응급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자동으로 차량의 위치와 차량번호를 응급구조센터 등으로 통보함으로써 사고발생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응급구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고발생시 유관기관인 경찰서나 보험회사 등에 자동으로 연락되도록 함으로써 사고처리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차량의 앞뒤범퍼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추돌상태를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부와,
    차고발생 상태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무선송신부와,
    상기 무선송신부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정지시키기 위한 해제스위치와,
    상기 충격센서의 값을 입력받아 추돌상태일 경우 상기 GPS 수신부에서 수신받은 위치정보와 차량정보를 상기 무선송신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해제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정지시키는 제어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무선송신부로 무선신호가 송신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
    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
KR1020020071579A 2002-11-18 2002-11-18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 KR20040043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579A KR20040043346A (ko) 2002-11-18 2002-11-18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579A KR20040043346A (ko) 2002-11-18 2002-11-18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346A true KR20040043346A (ko) 2004-05-24

Family

ID=37339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579A KR20040043346A (ko) 2002-11-18 2002-11-18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33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0067A (zh) * 2012-02-29 2012-07-25 深圳市赛格导航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gps的警情处理方法及系统
US8548686B2 (en) 2007-10-11 2013-10-01 Toyota Motor Sales, U.S.A., Inc. Automatic crash notification using WiMAX
KR101428049B1 (ko) * 2007-12-03 2014-08-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차량 장착용 단말기, 이를 이용한 비상 호출 시스템 및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7386A (ja) * 1995-04-17 1996-11-01 Takata Kk 車両事故通報システム
JPH09163028A (ja) * 1995-12-04 1997-06-20 Toshiba Syst Kaihatsu Kk 緊急自動通報装置、緊急自動通報システムおよび緊急自動通報方法
KR19980082190A (ko) * 1997-05-01 1998-12-05 허애경 차량 사고 통보 장치
KR20000044416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차량 사고 자동 통보 장치
US6377165B1 (en) * 1999-01-22 2002-04-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yday system equipment and mayday system
KR20030008655A (ko) * 2001-07-19 2003-01-2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 사고 통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7386A (ja) * 1995-04-17 1996-11-01 Takata Kk 車両事故通報システム
JPH09163028A (ja) * 1995-12-04 1997-06-20 Toshiba Syst Kaihatsu Kk 緊急自動通報装置、緊急自動通報システムおよび緊急自動通報方法
KR19980082190A (ko) * 1997-05-01 1998-12-05 허애경 차량 사고 통보 장치
KR20000044416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차량 사고 자동 통보 장치
US6377165B1 (en) * 1999-01-22 2002-04-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yday system equipment and mayday system
KR20030008655A (ko) * 2001-07-19 2003-01-2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 사고 통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8686B2 (en) 2007-10-11 2013-10-01 Toyota Motor Sales, U.S.A., Inc. Automatic crash notification using WiMAX
KR101428049B1 (ko) * 2007-12-03 2014-08-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차량 장착용 단말기, 이를 이용한 비상 호출 시스템 및방법
CN102610067A (zh) * 2012-02-29 2012-07-25 深圳市赛格导航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gps的警情处理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8657B1 (en) Emergency call device for vehicles
US8391831B2 (en) In-vehicle terminal for emergency notification
US7356358B2 (en) Onboar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210835A1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emergency
JP4735267B2 (ja) 車載緊急通報装置
KR101719976B1 (ko) 주변 상황 적응형 고속도로 경보 시스템
JP5038166B2 (ja) 車両緊急通報システム
EP1020828B1 (en) Emergency reporting apparatus with self-diagnostic function
JP4412243B2 (ja) 車載緊急通報装置
JP4739112B2 (ja) 産業車両の安全装置
KR20160112667A (ko) 2차 도로사고 방지를 위한 사고 신호장치
KR20040043346A (ko)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
US8183990B2 (en) Method, tire sensor device, central control unit and system for anti-theft protection through tire removal recognition
US20110291825A1 (en) Car collision global positioning system
JP2008071253A (ja) 車載緊急通報装置及び車載緊急通報システム
KR101536872B1 (ko) 사고 감지 자동차 범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92090A (ko) 차량 원격 관리 시스템
KR20010039701A (ko) 차량의 자가 진단 정보 전송 및 사고 처리 서비스 제공시스템
JP2007058796A (ja) 車両用事故盗難通報装置
KR101462917B1 (ko)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긴급 구난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00118336A (ja) 車両転落検知装置及び緊急通報システム
KR101904049B1 (ko) 전후방 추돌방지장치
KR100988758B1 (ko) 위성항법단말기를 이용한 운송수단의 사고 감지 및 예방 방법과 그 시스템
KR20170044858A (ko) 사고 차량의 2차 충돌 방지시스템
JPH06247233A (ja) 車両用緊急通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