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223B1 - 통신 유닛, 통신 설비, 관리 장치, 통신 시스템 및 전계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유닛, 통신 설비, 관리 장치, 통신 시스템 및 전계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223B1
KR100688223B1 KR1020057000963A KR20057000963A KR100688223B1 KR 100688223 B1 KR100688223 B1 KR 100688223B1 KR 1020057000963 A KR1020057000963 A KR 1020057000963A KR 20057000963 A KR20057000963 A KR 20057000963A KR 100688223 B1 KR100688223 B1 KR 100688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unit
electrode
electrode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7114A (ko
Inventor
후쿠모토마사아키
스기무라도시아키
Original Assignee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27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3/00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3/00 - H04B11/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유닛식의 타일 카펫(CPn)에 내장되어 있는 통신 제어 장치(CCUn)는, 통신 단말(TRX)과 통신을 행하는 기능과, 인접하는 각 타일 카펫(CPn)의 통신 제어 장치(CCUn)와 유선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각 타일 카펫(CPn)은, 마루 위에 나란히 깔리고, 인접하는 각 타일 카펫(CPn)과의 사이에서 커넥터(CNn)를 통해 접속된다. 이에 의해, 각 타일 카펫(CPn)은, 통신 장치(TRX)를 단말로 하는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를 구성한다.

Description

통신 유닛, 통신 설비, 관리 장치, 통신 시스템 및 전계 통신 장치{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FACILITY, MANAGEMENT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ELECTRIC FIELD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네트워크용의 통신 설비 및 인체 등의 유전체에 전계를 유도하여 통신을 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피스에는, 각 사원용의 컴퓨터나, 프린터 등이 접속된 사내 LAN이 설치되어, 이 사내 LAN을 통해 사원간의 이메일의 수수나, 사원용 컴퓨터에서 작성한 데이터의 인쇄 등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사내 LAN이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으면, 사원용 컴퓨터로부터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도 있다.
그런데, 사내 LAN을 설치하는 경우, 각 사원용의 컴퓨터나 프린터, 허브, 라우터 등을 통신 케이블로 접속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렇게 유선으로 사내 LAN을 설치하고자 하면, 접속 작업이 번잡하거나, 통신 케이블이 오피스의 미관을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무선 LAN을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가령 무선 LAN을 사용했다 해도,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등, LAN의 설치에 요하는 작업이 번잡한 것에는 변함이 없다.
대체로 최근의 오피스에서는, 컴퓨터나 프린터 등의 네트워크 기기를 사용하 지 않는 것이 오히려 드물다. 따라서, 오피스용으로서 제공하는 플로어 등에 네트워크용의 통신 설비를 미리 부설해 두면, 사내 LAN의 설치 등에 요하는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네트워크용의 통신 유닛, 통신 설비, 관리 장치, 통신 시스템과, 이러한 네트워크에서 단말로서 사용되는 전계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당해 통신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1 또는 복수의 다른 통신 유닛과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1 통신 수단과,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2 통신 수단을 갖고, 나란히 깔리는 유닛식의 깔개에 짜넣어져, 당해 통신 유닛을 복수 접속하여 상기 통신 장치를 단말로 하는 통신망을 구성하는 통신 유닛을 제공한다.
또, 이 발명은, 당해 통신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1 또는 복수의 다른 통신 유닛과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1 통신 수단과,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2 통신 수단을 갖고,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구분하는 칸막이를 구성하는 유닛식의 패널에 짜넣어져, 당해 통신 유닛을 복수 접속하여 상기 통신 장치를 단말로 하는 통신망을 구성하는 통신 유닛을 제공한다.
또, 이 발명은, 상기 통신 유닛이 복수 접속되어, 상기 통신 장치를 단말로 하는 통신망으로서 기능하는 통신 설비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통신 유닛이 짜넣어진 깔개를 나란히 부설(敷設)함으로써, 또는 통신 유닛이 짜넣어진 패널을 나열하여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구분하는 칸막이를 구성함으로써, 통신망을 설치할 수 있다.
또,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유전체에 대해 전기적 영향을 주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송신측 주전극과,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응한 전기 신호에 따라서 상기 송신측 주전극에 부여하는 전위를 변화시키는 변조부를 갖고, 상기 변조부가 발생시킨 전위의 변화에 따른 전계를 상기 유전체에 부여하는 것이며, 당해 통신 유닛은, 당해 통신 유닛의 표면 중, 상기 유전체로부터의 전기적 영향을 받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수신측 주전극을 더 갖고, 상기 제2 통신 수단은, 상기 유전체에 주어진 전계에 의해 상기 수신측 주전극에 발생하는 전기적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신호를 취득하고, 당해 전기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통신 장치가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복조부를 갖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발명에 있어서, 당해 통신 유닛은, 당해 통신 유닛의 표면 중, 유전체에 대해 전기적 영향을 주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송신측 주전극을 더 갖고, 상기 제2 통신 수단은,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응한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와, 상기 송신측 주전극에 부여하는 전위를 상기 전기 신호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변조부를 갖고, 상기 변조부가 발생시킨 전위의 변화에 따른 전계를 상기 유전체에 부여하는 것이며,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유전체로부터의 전기적 영향을 받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수신측 주전극과, 상기 유전체에 주어진 전계에 의해 상기 수신 측 주전극에 발생하는 전기적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신호를 취득하고, 당해 전기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통신 유닛이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복조부를 갖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통신 유닛과 통신 장치는, 유전체에 전계를 유도시켜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수신측 주전극은, 당해 통신 유닛의 상면에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각 수신측 주전극마다, 당해 수신측 주전극에서의 상기 전계의 강도를 측정하고, 당해 통신 유닛이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당해 통신 유닛의 표면에서의 상기 각 수신측 주전극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측정부에 의해 얻어진 상기 각 수신측 주전극마다의 측정 결과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위치를 구하는 위치 검출 수단을 더 갖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통신 장치는, 바닥면에 상기 송신측 주전극을 2개 갖고 있고, 각각의 송신측 주전극만으로부터 전계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각 수신측 주전극은, 당해 통신 유닛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측정부는, 당해 통신 유닛의 위에 놓여진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각 송신측 주전극마다, 당해 송신측 주전극으로부터 발생한 전계의 상기 각 수신측 주전극에서의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측정부에 의해 상기 각 송신측 주전극마다 얻어진 상기 각 수신측 주전극의 측정 결과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송신측 주전극의 위치를 구하고, 상기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구해진 상기 각 송신측 주전극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방향을 구하는 방향 검출 수단을 더 갖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통신 유닛은, 통신을 행하고 있는 통신 장치의 위치나 방향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발명에 있어서, 당해 통신 유닛은 부설되는 것이며, 당해 통신 유닛의 위에 있는 사람이 신고 있는 신발의 한쪽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제1 전극과, 당해 제1 전극 사이를 접속하는 방향성 결합 소자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통신 유닛은, 당해 통신 유닛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전극과, 당해 통신 유닛의 상면에서의 상기 각 제2 전극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에서 2개의 제2 전극을 1조로서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당해 선택된 1조의 제2 전극 중, 한쪽의 제2 전극에 전위의 변화를 주었을 때의 다른쪽의 제2 전극에 유도되는 전위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각 조마다의 측정 결과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방향을 구하는 방향 검출 수단을 더 갖도록 해도 된다. 또, 당해 통신 유닛의 위에 놓여지는 물품의 바닥면에, 상술한 2개의 제1 전극 및 방향성 결합 소자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발명에 있어서, 당해 통신 유닛은 부설되는 것이며, 당해 통신 유닛의 위에 있는 사람이 신고 있는 신발의 한쪽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제1 전극과, 당해 제1 전극 사이를 접속하는 방향성 결합 소자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통신 유닛은, 당해 통신 유닛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전극 과, 당해 통신 유닛이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당해 통신 유닛의 상면에서의 상기 각 제2 전극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에서 2개의 제2 전극을 1조로서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당해 선택된 1조의 제2 전극 중, 한쪽의 제2 전극에 전위의 변화를 부여했을 때의 다른쪽의 제2 전극에 유도되는 전위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각 조마다의 측정 결과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위치를 구하는 위치 검출 수단을 더 갖도록 해도 된다. 또, 당해 통신 유닛의 위에 놓여지는 물품의 바닥면에, 상술한 2개의 제1 전극 및 방향성 결합 소자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통신 유닛은, 당해 통신 유닛의 위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이나 물품에 대해, 위치나 방향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당해 통신 유닛과 접하는 면에 설치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유도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와, 상기 정류 회로에 의해 얻어진 직류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갖고 있고, 당해 통신 유닛은, 당해 통신 유닛의 표면 중 상기 통신 장치와 접하는 면에 설치된 제3 전극과, 상기 제2 전극과의 사이에서 귀환 전송로를 확립하기 위해서 당해 통신 유닛에 접속된 제4 전극과, 상기 통신 장치에 충전을 행하기 위한 교류 전압을 상기 제3 전극 및 상기 제4 전극 사이에 인가하는 발진기를 더 갖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당해 통신 유닛과 접하는 면에 설치된 2차 코일과, 이 2차 코일에 유도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와, 상기 정류 회로에 의해 얻어진 직류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갖고 있고, 당해 통신 유닛은, 당해 통신 유닛의 표면 중 상기 통신 장치와 접하는 면에 설치되고, 상기 2차 코일에 대해 상호 유도 작용에 의해 교류 전압을 유도하는 1차 코일과, 상기 통신 장치에 충전을 행하기 위한 교류 전압을 상기 1차 코일에 인가하는 발진기를 더 갖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통신 유닛에 있어서 통신 장치의 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발명은, 상기 통신 유닛을 복수 접속하여 구성된 통신망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에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망을 구성하는 각 통신 유닛의 접속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당해 관리 장치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갖는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관리 장치는, 각 통신 유닛의 접속 상황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은, 상기 통신 유닛을 복수 접속하고, 또한 당해 접속된 복수의 상기 통신 유닛이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통신망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구성하는 각 통신 유닛이 설치된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 위치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 수단과, 상기 통신망에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각 통신 유닛의 사이즈, 형상 및 다른 통신 유닛과의 접속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 위치 정보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망을 구성하는 임의의 통신 유닛이 설치된 위치를 구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구해진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 유닛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갖는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관리 장치는, 통신망을 구성하는 임의의 통신 유닛의 위치를 구해, 당해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 유닛에 송신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은, 전계 통신 장치와, 당해 전계 통신 장치를 단말로 하는 통신망을 구성하고, 상기 전계 통신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을 갖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유전체에 대해 전기적 영향을 주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송신측 주전극과,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응한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와, 상기 송신측 주전극에 부여하는 전위를 상기 전기 신호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변조부로서, 당해 기지국의 존재를 통지하는 통지 정보에 대응한 전기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전위를 정기적으로 변화시키는 변조부를 갖고, 상기 변조부가 발생시킨 전위의 변화에 따른 전계를 상기 유전체에 부여하는 것이며, 상기 전계 통신 장치는, 상기 유전체로부터의 전기적 영향을 받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수신측 주전극과, 상기 유전체에 주어진 전계에 의해 상기 수신측 주전극에 발생하는 전기적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신호를 취득하고, 당해 전기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복조부 와, 상기 복조부에 의해 상기 통지 정보가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이상, 끊어지지 않고 얻어지고 있는 동안,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이 가능한 것을 당해 전계 통신 장치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부를 갖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 이 발명은, 통신망을 구성하는 기지국이며, 유전체에 대해 전기적 영향을 주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송신측 주전극과,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응한 전기 신호에 따라서 상기 송신측 주전극에 부여하는 전위를 변화시키는 변조부로서, 당해 기지국의 존재를 통지하는 통지 정보에 대응한 전기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전위를 정기적으로 변화시키는 변조부를 갖고, 상기 변조부가 발생시킨 전위의 변화에 따른 전계를 상기 유전체에 부여하는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는 전계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로부터의 전기적 영향을 받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수신측 주전극과, 상기 유전체에 주어진 전계에 의해 상기 수신측 주전극에 발생하는 전기적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 의한 측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기 신호를 취득하고, 당해 전기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부에 의해 상기 통지 정보가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이상, 끊어지지 않고 얻어지고 있는 동안,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이 가능한 것을 당해 전계 통신 장치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부를 갖는 전계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전계 통신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통지 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이상, 끊어지지 않고 얻어지고 있는 동안, 기지국과의 통신이 가능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네트워크 용의 통신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유전체에 전계를 유도하여 단말과의 통신을 행하는 네트워크용의 통신 설비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단말로서 사용되는 전계 통신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동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카펫(CPn)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동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카펫(CPn)과 커넥터(CNn)의 접촉면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형상을 갖는 타일 카펫(CPn)과, 커넥터(CNn)의 장착 위치를 예시하는 도면(그 1),
도 5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형상을 갖는 타일 카펫(CPn)과, 커넥터 (CNn)의 장착 위치를 예시하는 도면(그 2),
도 6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형상을 갖는 타일 카펫(CPn)에 대해 예시하는 도면(그 1),
도 7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형상을 갖는 타일 카펫(CPn)에 대해 예시하는 도면(그 2),
도 8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의 타일 카펫(CPn)을 나란히 깐 경우에 대해 예시하는 도면,
도 9는 동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카펫(CPn)에 내장되어 있는 통신 제어 장치 (CCU)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동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CCU)에서, 불휘발성 메모리(106)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정보 저장 테이블(106a)의 데이터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11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에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갱신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동 실시형태의 변형예 5에 따른 타일 카펫(CPn)에 관해 예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14는 동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카펫(CPXn)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동 실시형태에 따른 송신기(TX)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16은 동 실시형태에 따른 수신기(RX)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17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 송신기(TX)와 수신기(RX)의 각각에 귀환 전극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전계의 분포에 대해, 전기력선을 사용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 송신기(TX)에 귀환 전극(ESG)을 설치하는 한편, 수신기(RX)에 귀환 전극(ERG)을 설치한 경우의 전계의 분포에 대해, 전기력선을 사용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9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8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또한 귀환 전극(ERG)에 EO용 전극(ERT)을 접속한 경우의 전계의 분포에 대해, 전기력선을 사용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0은 동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전자 기기(APPTRX)에 대해 예시하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카펫(CPYn)의 상면에 설치되는 각 주전극(FBmn)에 대해 예시하는 도면,
도 22는 동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카펫(CPYn) 내의 회로 구성에 대해 예시하는 도면,
도 23은 동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카펫(CPYn)의 통신 제어 장치(CCUXn)에서 실행되는 위치 검출 처리의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APPTRX)의 구성에 대해 예시하는 도면,
도 25는 동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카펫(CPYn)의 통신 제어 장치(CCUXn)에서 실행되는 위치/방향 검출 처리 1의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26은 동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APPTRX)의 구성의 변형예에 대해 나타낸 도면,
도2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두창(DD)에 설치된 전극(DB1, DB2) 및 방향성 결합 소자(DI)에 대해 예시하는 도면,
도 28은 동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카펫(CPZn)의 회로 구성에 대해 예시하는 도면,
도 29는 동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카펫(CPZn)의 통신 제어 장치(CCUXn)에서 실행되는 위치/방향 검출 처리 2의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카펫(CPEn)과 전자 기기(APP)에 대해 예시하는 도면,
도 31은 동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카펫(CPEn)과 전자 기기(APP)의 회로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32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 충전 모드와 통신 모드를 시분할로 행하는 경우의, 분할 스위치(FPSW, APSW)의 전환 동작예에 대해 나타낸 도면,
도 33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 충전에 사용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P)와, 통신에 사용하는 반송파의 캐리어 주파수(D)를 다르게 한 경우에 대해 예시하는 도면,
도 34는 동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APP)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그 1),
도 35는 동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APP)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그 2)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공통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A. 제1 실시형태]
<1.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에 예시한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은, 휴대형의 통신 장치(TRX)와, 이 통신 장치(TRX)와의 통신 기능을 갖는 복수의 타일 카펫(CP1∼CP4)과, 게이트웨이 서버(GW)와, 인터넷 등의 광역 네트워크(WAN)를 갖고 있다.
또한, 원래, 이 통신 시스템에는 복수의 통신 장치(TRX)를 수용 가능하나, 도면이 번잡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에는 1대의 통신 장치(TRX)만을 도시하고 있다. 또, 같은 이유에 의해, 도 1에는 4장의 타일 카펫(CP1∼CP4) 및 1대의 게이트웨이 서버(GW)만을 도시하고 있다. 또, 이후,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구별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한, 타일 카펫 CP1∼CP4를 타일 카펫 CPn으로 기재한다.
통신 장치(TRX)는, 타일 카펫(CPn)에 내장되어 있는 통신 제어 장치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행한다. 이후,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장치(TRX)가, 타일 카펫(CPn)에 내장된 통신 제어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타일 카펫(CPn)은, 통신 제어 장치가 내장된 유닛식의 카펫이다. 이 타일 카펫(CPn)은, 예를 들면 빌딩의 플로어나 주택 등의 건물, 선박, 항공기 등의 사람을 수용하는 구조물 내에서 마루 위에 나란히 깔린다. 또, 이렇게 하여 깔린 각 타일 카펫(CPn)은, 인접하는 타일 카펫(CPn)과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통신 장치(TRX)를 단말로 하는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를 구성한다.
게이트웨이 서버(GW)는,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용의 통신 프로토콜과 광 역 네트워크(WAN)용의 통신 프로토콜 등, 통신 프로토콜이 다른 데이터를 상호 변환하여,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와 광역 네트워크(WAN)의 데이터의 수수를 중계한다. 또, 이 게이트웨이 서버(GW)에는,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의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갱신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 버튼(BTgw)이 설치되어 있다.
<2. 타일 카펫(CPn)의 구성>
다음에, 타일 카펫(CPn)의 내부 구조를 도 2에 예시한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일 카펫(CPn)은, 정방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그 내부에는, 통신 제어 장치(CCU)와, 이 통신 제어 장치(CCU)에서 사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내부 배선(WI1∼WI4)과, 통신 제어 장치(CCU)에 접속된 조작 버튼(BTcp)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 버튼(BTcp)은, 조작하는 버튼 부분이 타일 카펫(CPn)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 이 타일 카펫(CPn)에는, 사방에 인접하여 깔려 있는 타일 카펫(CPn)과의 사이에서 전기적인 접속을 도모하기 위한 커넥터(CN1∼CN4)가 장착된다. 이후,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구별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한, 내부 배선 WI1∼WI4를 내부 배선 WIn, 커넥터 CN1∼CN4를 커넥터 CNn으로 기재한다.
내부 배선(WIn)은, 통신 제어 장치(CCU)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급전 라인(GNDl, GND2, Vcc)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쌍방향의 데이터 버스(BUS1, BUS2)를 갖고 있다. 급전 라인 및 데이터 버스의 각각은, 예를 들면, 표면을 절연물질로 덮은 도전성 부재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 또한, 데이터의 전송을 광통신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버스로서 광섬유를 사용하면 된다.
또,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CNn)는, 정방형을 갖는 타일 카펫 (CPn)의 각 변의 중앙부 하면에 장착된다. 도 3은, 타일 카펫(CPn)과 커넥터(CNn)의 접촉면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일 카펫(CPn)의 하면에는, 커넥터(CNn)를 끼워넣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오목부 바닥면에는 급전 라인 및 데이터 버스가 노출되어 있다. 이 오목부 바닥면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의 급전 라인 및 데이터 버스에 대해서는, 표면을 덮는 절연 물질이 벗겨져 있다.
한편, 커넥터(CNn)의 대향면에는, 도전성 부재로 만들어진 5개의 도통 라인(CNL1∼CNL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커넥터(CNn)를 타일 카펫(CPn)의 오목부에 끼워넣음으로써,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전 라인 및 데이터 버스의 각각과 커넥터(CNn)의 각 도통 라인(CNL1∼CNL5)이 접촉하여, 도통한다. 또, 타일 카펫(CPn)의 외측에 돌출하고 있는 커넥터(CNn)의 나머지 반의 부분은, 인접하는 타일 카펫(CPn)의 오목부에 끼워넣어진다. 이에 의해, 인접하는 타일 카펫(CPn) 사이에서 급전 라인 및 데이터 버스의 각각이 접속된다. 그 결과, 도시를 생략한 전원으로부터의 구동 전압이 각 타일 카펫(CPn)의 통신 제어 장치(CCU)에 인가된다. 또, 데이터 버스에 의해 접속된 각 통신 제어 장치(CCU) 사이에서,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내부 배선(WIn)이나 커넥터(CNn)에서의 각 라인(GND1, BUS1, Vcc, BUS2, GND2)의 배치는, 타일 카펫(CPn)을 부설할 때 방향 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도록,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의 라인(Vcc)을 사이에 끼고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커넥터(CNn)는 착탈식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각 타일 카펫(CPn)의 단부에 미리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 타일 카펫(CPn)의 형상은 정방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일 카펫(CPn)의 형상을 삼각형으로 하고, 각 변의 중앙부 하면에 커넥터(CNn)를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일 카펫(CPn)의 형상을 육각형으로 하고, 각 변의 중앙부 하면에 커넥터(CNn)를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일 카펫(CPn)의 형상을, 조각그림 맞추기의 피스처럼 잘록함을 갖는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 복수의 타일 카펫(CPn)을 나란히 전면에 까는 경우, 단일한 형상을 갖는 타일 카펫(CPn)을 사용하는 편이 부설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타일 카펫(CPn)의 부설 장소의 형상에 따라,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의 타일 카펫(CPn)을 나란히 까는 것도 가능하다. 동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직사각형, 삼각형, 마름모형, 반원의 각 형상을 갖는 복수의 타일 카펫(CPn)이 나란히 깔려 있다.
< 3. 통신 제어 장치(CCU)의 구성>
다음에, 타일 카펫(CPn)에 내장된 통신 제어 장치(CCU)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 9에 예시한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제어 장치(CCU)는, 무선 통신부(101)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102)와, CPU(103)와, ROM(104)과, RAM(105)과, 불휘발성 메모리(106)를 갖고 있고, 이들 각 부는 버스(10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무선 통신부(101)는, 통신 장치(TRX)와의 무선 통신을 제어한다. 또,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102)는, 데이터 버스(BUS1, BUS2)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인접하는 타일 카펫(CPn) 내의 통신 제어 장치(CCU)와의 유선 통신을 제어한다. 또한, 이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102)는, 이더넷 등의 기존의 네트워크에서의 스위칭 허브나 라우터와 동등한 기능을 갖고 있고,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 내의 데이터 전송시에, 데이터의 충돌이나 데이터의 루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ROM(104)에는, 통신 제어 장치(CCU)의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 RAM(105)은, CPU(103)의 워크 에리어로서 사용된다. CPU(103)는, ROM(104)이나 불휘발성 메모리(106)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통신 제어 장치(CCU)의 각 부를 제어한다.
불휘발성 메모리(106)에는, 제어 정보 저장 테이블(106a)이 기억되어 있다. 이 제어 정보 저장 테이블(106a)의 데이터 구성을 도 10에 예시한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정보 저장 테이블(106a)에는, 이 통신 제어 장치(CCU)에 대해 할당된 ID와, 이 통신 제어 장치(CCU)를 내장하고 있는 타일 카펫(CPn)의 크기를 나타내는 사이즈와, 이 타일 카펫(CPn)에 접속 가능한 다른 타일 카펫(CPn)의 최대 수를 나타내는 접속 수와, 다른 타일 카펫(CPn)을 접속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해 나타내는 접속 위치가 기억되어 있다.
또, 제어 정보 저장 테이블(106a)에는, 접속처 ID로서, 각 내부 배선(WIn)(커넥터(CNn))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통신 제어 장치(CCU)의 ID가 기억된다. 또한, 제어 정보 저장 테이블(106a)에는, 이 타일 카펫(CPn)이 부설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가 기억된다. 이 위치 정보는, 예를 들면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도·경도·고도, 주소나 빌딩명, 플로어, 방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4.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갱신>
다음에,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에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갱신에 관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4장의 타일 카펫(CP1∼CP4)에 의해 구성된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에, 새로운 타일 카펫(CPnew)을 추가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단,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갱신은,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를 구성하고 있는 어느 한 타일 카펫(CPn)이 떼내어진 경우 등에도 행해진다.
먼저 작업자는, 새로운 타일 카펫(CPnew)을 타일 카펫(CP3)의 옆에 나란히 깐다. 이 때, 타일 카펫(CPnew)은, 커넥터(CN4)를 사용하여 타일 카펫(CP3)에 접속된다. 이어서, 작업자가 타일 카펫(CPnew)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 버튼(BTcp)을 누르면, 이 타일 카펫(CPnew) 내의 통신 제어 장치(CCUnew)는,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의 접속 상태를 변경한 것을 통지하는 접속 변경 신호를, 타일 카펫(CP3)의 통신 제어 장치(CCU3)에 송신한다.
통신 제어 장치(CCU3)는, 접속 변경 신호를 수신하면, 이 접속 변경 신호를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를 통해 게이트웨이 서버(GW)에 송신한다. 게이트웨이 서버(GW)는, 접속 변경 신호를 수신하면,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를 구성하는 각 통신 제어 장치(CCUn)((CCU1∼CCU4, CCUnew))에 대해,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갱신을 지시하는 토폴로지 갱신 커맨드를 송신한다. 또한, 토폴로지 갱신 커맨드의 송신은, 통신 제어 장치(CCUn)로부터 접속 변경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웨이 서버(GW)에 설치된 조작 버튼(BTgw)이 눌러진 경우에도, 게이트웨이 서버(GW)로부터 각 통신 제어 장치(CCUn)에 대해 토폴로지 갱신 커맨드가 송신된다.
각 통신 제어 장치(CCUn)는, 게이트웨이 서버(GW)로부터의 토폴로지 갱신 커맨드를 수신하면, 각 내부 배선(WIn)(각 커넥터(CNn))마다, 당해 내부 배선(WIn)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통신 제어 장치(CCUn)와 순차적으로 통신을 행하여, 제어 정보 저장 테이블(106a) 내의「접속처 ID」항목의 데이터를 갱신한다.
이 접속처 ID의 갱신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신 제어 장치(CCUn) 내의 CPU(103)는, 먼저 제어 정보 저장 테이블(106a)로부터 자기의 ID를 읽어내어, 당해 ID를 상대편의 통신 제어 장치(CCUn)에 송신한다. 또, CPU(103)는, 상대편의 통신 제어 장치(CCUn)로부터 당해 상대편의 ID를 수신하면, 이 ID를 상대편이 접속되어 있는 내부 배선(WIn)과 대응시켜 제어 정보 저장 테이블(106a) 내의「접속처 ID」항목에 기억한다. 또한,「접속처 ID」항목에 있어서, 다른 통신 제어 장치(CCUn)가 접속되어 있지 않는 내부 배선(WIn)에 대해서는, 통신 제어 장치(CCUn)가 미접속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
예를 들면, 타일 카펫(CP3)의 통신 제어 장치(CCU3)에 있어서는, 접속처 ID로서, 통신 제어 장치 CCU1의 ID가 내부 배선 WI1과 대응지어지고, 통신 제어 장치 CCU4의 ID가 내부 배선 WI2와 대응지어지고, 통신 제어 장치 CCUnew의 ID가 내부 배선 WI4와 대응지어져 기억된다. 또, 내부 배선 WI3에 대해서는, 미접속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
이렇게 하여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에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갱신되어, 타일 카펫(CPnew)이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에 짜넣어진다. 이에 의해, 통신 장치(TRX)는, 타일 카펫(CPnew)의 통신 제어 장치(CCUnew)를 액세스 포인트로 해서,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 및 게이트웨이 서버(GW)를 통해 광역 네트워크(WAN)에 액세스할 수 있다. 물론,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에 접속된 2대의 통신 장치(TRX)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타일 카펫(CPn)들이 접하는 경계 부근에 통신 장치(TRX)가 위치하는 경우 등, 통신 장치(TRX)가 복수의 통신 제어 장치(CCUn)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통신 장치(TRX)는, 각 통신 제어 장치(CCUn)로부터 보내어져 오는 무선 신호의 전파 수신 강도를 측정하여, 전파 수신 강도가 가장 강한 무선 신호를 송신한 통신 제어 장치(CCUn)를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행한다. 또, 각 통신 제어 장치(CCUn)는, 통신 장치(TRX)와 통신을 행하는 경우, 통신 장치(TRX)로부터 당해 통신 장치(TRX)를 식별하기 위한 단말 ID(예를 들면, MAC 어드레스)를 취득하여, 당해 단말 ID와 자기의 ID를 게이트웨이 서버(GW)에 등록한다(위치 등록). 또한, 이 위치 등록이 행해지는 서버는, 게이트웨이 서버(GW)와는 다른, 위치 등록 전용의 서버여도 된다.
또, 각 통신 제어 장치(CCUn)는, 주위의 통신 제어 장치(CCUn)와의 사이에서, ID 외에, 타일 카펫(CPn)의 사이즈나 형상, 접속 수, 접속 위치 등의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정보나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에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게이트웨이 서버(GW)에 통지된다.
게이트웨이 서버(GW)는, 네트워크 토폴로지나, 각 타일 카펫(CPn)의 사이즈, 형상, 접속 수, 접속 위치 등의 정보를 사용하여 연산 처리를 행하여, 부설된 타일 카펫(CPn)의 전체 형상이나, 타일 카펫(CPn)의 추가 가능한 장소 등을, 게이트웨이 서버(GW)에 접속된 표시 장치(도시 생략)에 표시할 수 있다.
또, 게이트웨이 서버(GW)에는, 예를 들면 타일 카펫 CP1 등, 특정한 타일 카펫(CPn)의 위치 정보가, 기준 위치 정보로서 미리 등록되어 있다. 게이트웨이 서버(GW)는, 이 기준 위치 정보와, 상술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각 타일 카펫(CPn)의 사이즈, 형상, 접속 위치 등의 정보를 사용하여 연산 처리를 행하여, 각 타일 카펫(CPn)의 위치 정보를 구한다. 각 타일 카펫(CPn)의 위치 정보는, 게이트웨이 서버(GW)로부터 해당하는 각 통신 제어 장치(CCUn)에 송신되어, 제어 정보 저장 테이블(106a) 내의 「위치 정보」항목에 기억된다. 통신 제어 장치(CCUn)는, 통신 장치(TRX)와 무선 통신을 행할 때, 필요에 따라 「위치 정보」항목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읽어 내어 통신 장치(TRX)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통신 장치(TRX)는, 타일 카펫(CPn)의 사이즈 단위로 자기 장치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는, 건물 내부나 지하 등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의한 위치측정이 곤란한 장소여도, 통신 장치(TRX)에 대해 고정밀도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타일 카펫(CPn)의 접속 상황이나 배치 상황, 위치 정보 등에 관한 처리는, 게이트웨이 서버(GW)가 아니라,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를 관리하기 위 한 관리용 단말(MPC)이나, 광역 네트워크(WAN)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RPC)에서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는,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를 구성하는 어느 한 통신 제어 장치(CCUn)에서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닛식의 복수의 타일 카펫 (CPn)을 나란히 깔고, 각 타일 카펫(CPn)을 커넥터(CNn)를 통해 접속함으로써, 통신 장치(TRX)를 단말로 하는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또, 유닛식이기 때문에 타일 카펫(CPn)의 교환 등, 메인터넌스도 용이하다. 또한, 통신 장치(TRX)에 대해 타일 카펫(CPn)의 사이즈 단위로 고정밀도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종래의 휴대전화기나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 등록 상표)용의 통신 시스템과 비교하여, 1대의 기지국(통신 제어 장치(CCUn))이 커버하는 무선 에리어가 대단히 작다. 따라서, 통신 장치(TRX)의 전파 송신 강도를 작게 할 수 있어, 1회의 충전으로 연속 사용할 수 있는 통신 장치(TRX)의 동작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변형예 1>
제1 실시형태에서는, 추가된 타일 카펫(CPnew)의 조작 버튼(BTcp)이 눌러지면, 게이트웨이 서버(GW)에 접속 변경 신호가 송신되도록 했다. 그러나, 이미 깔려 있는 타일 카펫(CP1∼CP4)의 조작 버튼(BTcp)이 눌러짐으로써, 게이트웨이 서버(GW)에 접속 변경 신호가 송신되도록 해도 된다. 또, 타일 카펫(CPn)에 커넥터 (CNn)의 착탈을 검출하는 스위치를 설치하여, 당해 스위치가 커넥터(CNn)의 장착을 검출하면, 게이트웨이 서버(GW)에 접속 변경 신호가 송신되도록 해도 된다. 또는, 추가된 통신 제어 장치(CCUnew)가 최초로 기동했을 때 데이터 버스에 흐르게 하는 스타트업 패킷 등을 다른 통신 제어 장치(CCUn)가 검출하면, 게이트웨이 서버 (GW)에 접속 변경 신호가 송신되도록 해도 된다.
<변형예 2>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 제어 장치(CCUn)는, 위치 정보 대신에 자기의 ID를 통신 장치(TRX)에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 또는 광역 네트워크(WAN)에 위치 정보 제공 서버를 접속하여, 이 위치 정보 제공 서버에 각 통신 제어 장치(CCUn)의 ID와 위치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해 둔다. 통신 장치(TRX)는, 통신 제어 장치(CCUn)로부터 얻은 ID를 사용하여 위치 정보 제공 서버에 위치의 문의를 행하여, 위치 정보를 얻는다. 또, 각 통신 제어 장치(CCUn)의 ID와 위치 정보가 대응지어진 데이터를 통신 장치(TRX)가 유지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통신 장치(TRX)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에 문의를 행하지 않고,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변형예 3>
제1 실시형태에서는, 타일 카펫(CPn)을 부설한 뒤에, 이 타일 카펫(CPn)의 위치 정보가 게이트웨이 서버(GW)에 의해 구해져, 통신 제어 장치(CCUn)에 통지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했다. 그러나, 예를 들면, 타일 카펫(CPn)의 부설업자가, 타일 카펫(CPn)의 부설 전에, 이 타일 카펫(CPn)을 부설하는 위치를 정하고, 그 위치 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통신 제어 장치(CCUn)에 기억시켜 두도록 해도 된다.
<변형예 4>
타일 카펫(CPn)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장의 카펫에 복수의 통신제어 장치(CCUn)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각 통신 제어 장치(CCUn) 사이가 내부 배선(WIn)으로 접속되어 있는 형태여도 된다. 또, 복수의 타일 카펫(CPn)을 나란히 전면에 까는 경우, 모든 타일 카펫(CPn)이 통신 제어 장치(CCUn)를 갖고 있을 필요는 없다. 즉, 통신 제어 장치(CCUn)를 구비하지 않고, 데이터 버스 및 급전 라인만이 설치된 타일 카펫을 일부에 사용해도 된다.
<변형예 5>
제1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장치(TRX)가 휴대형의 통신기기인 경우에 관해 설명했다. 그러나, 통신 장치(TRX)는, 데스크탑형의 PC 등, 거치형의 통신 기기여도 된다. 또, 통신 장치(TRX)와 타일 카펫(CPn)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무선 통신에는, 적외선 통신도 포함된다. 또한, 통신 장치(TRX)와 타일 카펫(CPn)의 사이에서 유선 통신이 행해지는 형태여도 된다. 이 경우, 타일 카펫(CPn)의 상면에는, 통신 장치(TRX)에 연결된 통신 케이블을 꽂아넣기 위한 접속부가 설치된다. 또한, 유선 통신에는 광통신도 포함된다.
<변형예 6>
본 발명의 통신 유닛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타일 카펫 외에, 매트, 다다미 등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마루 자체를 구성하는 유닛식의 마루 패널이나, 천장이나 벽을 구성하는 유닛식의 패널에 짜넣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통신 유닛이 짜넣어지는 부재는, 편평한 형상을 갖는 부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는 상자형의 형상을 갖는 부재여도 된다. 또한, 통신 유닛의 부설 장소는, 옥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옥외에서는, 유닛식의 인공 잔디의 매트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B.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체 등의 유전체에 유도되는 전계를 사용한 통신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통신 기술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TG.Zimmerman에 의한 "Personal Area Networks : Near-Field intrabody Communication." (IBM System Journal Vol. 35, No3 & 4, 1996-MIT Media Laboratory)에서 소개되어 있는 기술이나, 특개평 10-229357호 공보 및 특개 2001-29842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본원의 발명자들에 의해 제안된 기술 등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공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 제1 실시형태와 공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1. 통신 시스템의 구성>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관해 도 13에 예시한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를 구성하는 각 타일 카펫(CPXn)은, 방(RM) 내의 마루 위에 나란히 깔리고, 인접하는 타일 카펫(CPXn)과 커넥터 (CNn)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 각 타일 카펫(CPXn)은, 인접하는 타일 카펫(CPXn)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버스를 통한 통신을 행하는 동시에, 통신 장치(HTRX)와의 사이에서 인체(HB)를 전송로로 하여 전계를 사용한 통신을 행한다. 또,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게이트웨이 서버(GW)를 통해 광역 네트워크(WAN)에 접속되어 있다.
방(RM)의 천장에는 귀환 전극 CG가 설치되어 있다. 또, 측벽에는 귀환 전극 WG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귀환 전극 CG 및 귀환 전극 WG는, 타일 카펫(CPXn)의 급전 라인(GND1, GND2, Vcc) 중, GND1 및 GND2에 접속되어 있고, 그라운드 전위(SGND)를 얻고 있다.
통신 장치(HTRX)는, 사람의 허리 부분에 장착되고, 인체(HB)를 전송로로 하여 전계를 사용한 통신을 행하는 기기이다. 이 통신 장치(HTRX)는, 절연 물질에 의해 덮힌 하우징을 갖고 있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의 인체(HB)측 표면에는 주전극(BB)이, 또한 주전극(BB)과 하우징을 사이에 끼고 대향하는 면에는 귀환 전극(BG)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전극(BB) 및 귀환 전극(BG)의 표면은, 모두 절연막으로 덮혀 있다.
또, 통신 장치(HTRX)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주전극(BB)이, 인체(HB)에 직접 닿아 있거나, 또는 의복의 위나 약간의 공간만을 두고 인체(HB)에 장착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통신 장치(HTRX)는, 예를 들면 벨트 등을 사용하여 주전극(BB)이 인체(HB)측에 오도록, 허리부나 손목 등에 장착된다.
이 통신 장치(HTRX)는, 인체(HB)가 좋은 도전성을 나타내는 수십 kHz 이상의 반송파를,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응한 신호에 따라서 변조하여, 당해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주전극(BB) 및 귀환 전극(BG)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변조 신호에 대응한 전계가 인체(HB)에 주어진다. 또, 통신 장치(HTRX)는, 인체(HB)에 주어진 전계에 의해 주전극(BB) 및 귀환 전극(BG) 사이에 발생하는 전위차를 측정하여, 예를 들면 다른 통신 장치(HTRX)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한 변조 신호를 얻는다. 통신 장치(HTRX)는, 이 변조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통신 장치(HTRX)와 동일한 원리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장치가, 마루에 깔린 각 타일 카펫(CPXn)에 내장되어 있고, 통신 장치(HTRX)는, 이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다음에, 타일 카펫(CPXn)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단면도를 도 14에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일 카펫(CPXn) 내에는, 통신 제어 장치(CCUXn)와 통신 장치(FTRX)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CCUXn)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통신 제어 장치(CCUn)와 다른 것은, 무선 통신부(101) 대신에 통신 장치(FTRX)를 갖고 있는 점뿐이다.
또, 이 통신 제어 장치(CCUXn)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급전 라인(GND1, GND2, Vcc)과 데이터 버스(BUS1, BUS2)를 갖는 내부 배선(WIn)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급전 라인 및 데이터 버스는, 커넥터(CNn)를 통해, 인접하는 타일 카펫(CPXn)의 통신 제어 장치(CCUXn)와 접속되어 있다.
통신 장치(FTRX)는, 타일 카펫(CPXn)의 위에 있는 사람(인체(HB))에 장착된 통신 장치(HTRX)와의 사이에서 인체(HB)를 전송로로 하여 전계를 사용한 통신을 행 한다. 이 통신 장치(FTRX)의 주전극(FB)은, 타일 카펫(CPXn)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주전극(FB)은, 상면이 절연막(TIS)으로 덮혀있는 한편, 하면에는 절연체에 의해 형성된 절연층(BIS)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통신 장치(FTRX)에는, 귀환 전극으로서 천장에 설치된 귀환 전극 CG 및 측벽에 설치된 귀환 전극 WG가 접속되어 있다.
또, 통신 장치(FTRX)에는, 구동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통신 제어 장치(CCUXn)로부터 급전 라인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통신 장치(FTRX)와 통신 제어 장치(CCUXn)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므로, 양 장치(FTRX, CCUXn) 사이는 데이터 버스로 접속되어 있다. 또, 통신 장치(FTRX)가 접지에 의해 얻은 그라운드 전위(SGND)가 내부 배선(WIn)의 GND1 및 GND2에 주어지고, 이에 의해 천장이나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귀환 전극 CG 및 귀환 전극 WG에, 그라운드 전위(SGND)가 주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장치(HTRX)의 주전극(BB)이나, 통신 장치(F TRX)의 주전극(FB)의 표면을 절연 물질로 덮고 있으나, 이들 주전극(BB, FB)의 표면을 반드시 절연 물질로 덮을 필요는 없다. 단, 주전극(BB, FB)은, 통상 도전성 물질로 만들어지게 되어, 금속 이온을 포함해 버린다.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물질을 장시간 사람의 피부에 접촉시키고 있으면 금속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이러한 것을 막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주전극(BB, FB)의 표면을 절연 물질로 덮고 있다. 또, 주전극(BB, FB)의 표면을 절연 물질로 덮음으로써, 인체(HB)와, 통신 장치 HTRX나 통신 장치 FTRX를 절연하여, 만일의 감전 등을 막는 효과도 있다.
<2. 통신의 원리>
그런데, 특개평 10-229357호 공보 및 특개 2001-29842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송신기와 수신기는, 반드시 충분한 통신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특개평 10-229537호 공보에는, 대지 어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송신기의 귀환 전극과 수신기의 귀환 전극을 접근시켜, 대기를 통한 정전 결합에 의해 귀환 전송로를 확립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대기를 통한 정전 결합에 의해 귀환 전송로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송신기 및 수신기의 양 귀환 전극 사이의 거리가 제한된다. 동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송신기와 수신기의 경우, 송신기 및 수신기의 사이즈 자체가 작고, 양 귀환 전극의 사이즈가 작은 것도 있지만, 사람의 머리부에 장착된 송신기와, 허리부에 장착된 수신기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것은 사실상 곤란하다.
한편, 특개 2001-229357호 공보에는, 귀환 전극을 떼고, 송신기나 수신기의 하우징을 귀환 전극의 대체 수단으로서 사용하는 것이나, 포켈스 효과를 갖는 전기 광학 결정체를 사용한, 보다 고감도의 전계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전기 광학 결정체를 사용한 전계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전기 광학 결정체의 설치 위치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보다 높이는 것이, 전계 센서의 측정 감도를 높이는 데에 있어서 중요해지는데, 동 공보에는, 수신기 내에서의 전계의 분포에 대해 아무런 개시가 없다. 특히, 동 공보에 개시된 구성의 경우, 수신기의 하우징 전체가 귀환 전극이 되므로, 전기 광학 결정체의 설치 위치에서의 전계 강도가 충 분히 높혀져 있는지가 크게 의문이 남는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통신 장치(HTRX, FTRX)는,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을 가져, 보다 긴 통신 거리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송신기(TX)와 수신기(RX)로 나누어 설명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송신기(TX)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CS1) 내에, 마이크로 컨트롤러(MC1)와 변조 장치(EC)를 갖고 있다. 또한, 하우징(CS1)의 인체(HB)와 접하는 면에는, 절연체(HIS)를 통해 주전극(ESB)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이 주전극(ESB)과 하우징(CS1)을 사이에 끼고 대향하는 면에는 귀환 전극(ESG)이 설치되어 있다. 이 귀환 전극(ESG)은, 접지되어 있고 그라운드 전위를 얻고 있다. 또, 주전극(ESB) 및 귀환 전극(ESG)은, 모두 표면이 절연막으로 덮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와는 관계가 없기 때문에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나, 이 송신기(TX)는, 배터리, 메모리, 조작 키,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더 갖고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MC1)는, 도시를 생략한 전원이 켜지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하고, 송신기(TX)의 각 부를 제어한다. 이 마이크로 컨트롤러(MC1)는, 수신기(RX)에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응한 신호를 변조 장치(EC)에 송출한다. 변조 장치(EC)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C1)로부터 얻은 신호를 사용하여, 인체(HB)가 좋은 도전성을 나타내는 수십 kHz 이상의 캐리어 주파수를 갖는 반송파를 변조하여, 이 변조 신호를 도시를 생략한 앰프에서 증폭한 뒤, 주전극(ESB)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주전극(ESB) 및 귀환 전극(ESG)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여, 변조 신호에 대응한 전계가 인체(HB)에 주어진다. 또한, 변조 장치(EC)가 사용하는 반송파의 캐리어 주파수를, 주위로부터의 노이즈가 들어가기 힘든 주파수로 하면, 통신 품질을 보다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수신기(RX)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CS2) 내에, 전기 광학 결정체(EO)와, EO용 전극(ERM, ERT)과, 광 측정기(DT)와, 복조 장치(DC)와, 마이크로 컨트롤러(MC2)를 갖고 있다. 또, 하우징(CS2)과 주전극(ERB)의 사이에는 절연체(FIS)가 설치되고, 귀환 전극(ERG)은, 접지에 의해 그라운드 전위를 얻고 있다. 또, 주전극(ERB) 및 귀환 전극(ERG)은, 모두 표면이 절연막으로 덮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와는 관계가 없기 때문에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나, 이 수신기(RX)는, 배터리, 메모리, 조작 키,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더 갖고 있다.
전기 광학 결정체(EO)는, 예를 들면 CdTi, CdTe, ZnTe, Bi12SiO20, Bi12TiO 20, Bi12GeO20, Bi4Ge3O12, LiNbO3, LiTaO 3, DAST(디메틸아미노스틸바졸리움토실레이트) 등의 결정이다. 이 전기 광학 결정체(EO)는, 전계의 강도에 비례하여 굴절률이 변화하는 포켈스 효과를 갖고 있다. EO용 전극(ERM)은, 전기 광학 결정체(EO)의 단면에 설치되고, 주전극(ERB)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 EO용 전극(ERM)의 전기 광학 결정체(EO)에 접하고 있는 면은 거울면이 되어 있고, 광 측정기(DT)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광을 반사한다. 한편, EO용 전극(ERT)은, EO용 전극(ERM)과 대향하는 전기 광학 결정체(EO)의 단면에 설치되어 있고, 귀환 전극(ERG)에 접속되어 있다.
광 측정기(DT)는, 전기 광학 결정체(EO)의 굴절률을 측정한다. 이 광 측정 기(DT)는, 전기 광학 결정체(EO)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 등을 갖는 발광부와,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광을 수광하는 포토다이오드(PD) 등을 갖는 수광부를 갖고 있다.
여기서,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광은, 전기 광학 결정체(EO)를 투과하여 EO용 전극(ERM)에서 반사되어, 수광부에 설치된 편광판을 통과한 뒤, 포토다이오드(PD)에 의해 수광된다. 이 때, 전기 광학 결정체(EO)에서의 전계의 강도가 변화하여 전기 광학 결정체(EO)의 굴절률에 변화가 생긴 경우, 이 굴절률의 변화에 따라 전기 광학 결정체(EO)를 투과하는 레이저광의 편광 상태가 변화한다. 이 편광 상태의 변화는, 편광판을 통과하는 레이저광의 강도, 즉 포토다이오드(PD)에서의 수광량에 변화를 가져온다. 광 측정기(DT)는, 이 수광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전기 광학 결정체(EO)의 굴절률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복조 장치(DC)에 출력한다.
복조 장치(DC)는, 광 측정기(DT)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송신기(TX)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한 변조 신호를 얻어 이것을 복조한다. 또, 마이크로 컨트롤러(MC2)는, 복조 장치(DC)로부터 얻은 복조 결과에 기초하여, 송신기(TX)가 송신한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송신기(TX)의 변조 장치(EC) 및 수신기(RX)의 복조 장치(DC)에서 사용되는 변복조 방식은 임의이고, 예를 들면, AM(Amplitude Modulation) 방식, PM (phase modulation) 방식, FM(frequency modulation) 방식, PCM(Pulse Coded Modulation) 방식, SS(Spectrum Spread) 방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UWB(Ultra Wide Band)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수신기(RX)는, 전기 광학 결정체(EO)의 설치 위치에서의 전계 강도를 보다 높여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하에 설명하는 개량이 이루어져 있다.
먼저 도 17은, 송신기(TX)와 수신기(RX)의 각각에 귀환 전극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전계의 분포에 대해, 전기력선을 사용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인체(HB)에 장착된 송신기(TX)가 전계를 발생시키면, 전기력선은, 유전체인 인체(HB)를 따라, 송신기(TX)가 자유 공간에 놓여진 경우에 비해 보다 먼곳까지 전달된다. 또, 전기력선은, 보다 큰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에 끌어당겨지므로, 수신기(RX)의 주전극(ERB), 또한 당해 주전극(ERB)에 접속된 EO용 전극(ERM)에 집중한다. 또한, 전기 광학 결정체(EO)는, 원기둥의 형상을 갖고 있고, 그 바닥면(원형)에, 바닥면과 같은 크기를 갖는 원형의 EO용 전극(ERM)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동 도면에 나타낸 구성의 경우, 송신기(TX)와 수신기(RX)의 각각에는, 귀환 전극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때문에, 동 도면에 있어서, 전기 광학 결정체(EO)의 측면으로부터 나가 송신기(TX)의 하우징(CS1)으로 되돌아가 버리는 전기력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EO용 전극(ERM)에 도달한 전기력선 중, 전기 광학 결정체(EO)의 하면에서 상면까지를 정확히 통과하는 전기력선의 수가 적어져 버린다. 여기서, 전기력선은, 전계의 방향이나 강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전기 광학 결정체(EO)를 정확히 통과하는 전기력선의 수가 적은, 즉 전기 광학 결정체(EO)에서의 전기력선의 밀도가 낮다는 것은, 전기 광학 결정(EO)의 설치 위치에서의 전계 강도가 약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당연히 전기 광학 결정체(EO)의 굴절률이 작아져, 수신기(RX)의 수신 감도를 충분히 높이는 것은 어렵다.
다음에, 도 18은, 송신기(TX)에 귀환 전극(ESG)을 설치하는 한편, 수신기(RX)에 귀환 전극(ERG)을 설치한 경우의 전계의 분포에 대해, 전기력선을 사용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송신기(TX)가 전계를 발생시키면, 전기력선은, 도 17에 나타낸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수신기(RX)의 EO용 전극(ERM)까지 도달한다.
여기서, 동 도면에 나타낸 구성의 경우, 송신기(TX)와 수신기(RX)의 각각에는, 귀환 전극(ESG, ERG)이 설치되어 있고, 이 2개의 귀환 전극(ESG, ERG)은, 대기를 통한 정전 결합에 의해 귀환 전송로를 확립하고 있다. 따라서, 도 17의 경우와 비교하면, EO용 전극(ERM)에 도달한 전기력선 중, 전기 광학 결정체(EO)의 측면으로부터 나가고 있는 전기력선이 감소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17의 경우와 비교하여, 전기 광학 결정(EO)의 설치 위치에서의 전계 강도가 보다 높혀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단, 도 18에 있어서 전기 광학 결정체(EO)의 측면으로부터 나가 귀환 전극(ERG)에 도달하는 전기력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광학 결정(EO)의 설치 위치에서의 전계 강도를 더욱 높이기 위한 여지가, 아직 남아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또한 귀환 전극(ERG)에 EO 용 전극(ERT)을 접속한 경우의 전계의 분포에 대해, 전기력선을 사용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광학 결정체(EO)의 상면에는, 상면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갖는 EO용 전극(ERT)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EO용 전극(ERT)을 설치함으로써, 주전극(ERB)을 통해 EO용 전극(ERM)에 도달한 모든 전기력선은, 전기 광학 결정체(EO)의 바닥면에서 상면까지를 정확히 통과하여 EO용 전극(ERT)에 도달한다. 즉, EO용 전극(ERM)에 도달한 모든 전기력선은, 빠짐없이 전기 광학 결정체(EO)를 통과한다. 따라서, 전기 광학 결정체(EO)에서의 전기력선의 밀도를 높여, 전기 광학 결정(EO)의 설치 위치에서의 전계 강도를 최대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7이나 도 18에 나타낸 경우와 비교하여, 수신기(RX)의 수신 감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EO용 전극(ERM)에 도달한 모든 전기력선이 EO용 전극(ERT)을 통해 귀환 전극(ERG)에 도달하므로, 수신기(RX)의 귀환 전극(ERG)과 송신기(TX)의 귀환 전극(ESG)의 사이의, 대기를 통한 정전 결합의 정도도 도 17에 나타낸 경우와 비교해 높혀져, 귀환 전극 ERG 및 귀환 전극 ESG 사이의 거리를 늘리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9에 나타낸 구성을 채용하는 동시에, 송신기(TX)와 수신기(RX)를 일체화시킨 통신 장치(HTRX, FTRX)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특개평 10-229357호 공보나, 특개 2001-29842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비교하여, 보다 긴 통신 거리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EO용 전극 ERM 및 EO용 전극 ERT는, 전기 광학 결정체(EO)의 바닥면 또는 상면과 대략 같은 크기, 또는 그것보다도 작은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17∼도 19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전기 광학 결정체(EO)의 형상도 원기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도 17∼도 19에 나타낸 각 구성에 있어서, EO용 전극 ERM 및 EO용 전극 ERT는, 전기 광학 결정체(EO)를 사이에 끼고 대향 배 치되어 있으면 되고, 반드시 전기 광학 결정체(EO)에 맞닿아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EO용 전극(ERM)과 주전극(ERB), EO용 전극(ERT)과 귀환 전극(ERG)은, 반드시 접속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EO용 전극(ERM)과 주전극(ERB), EO용 전극(ERT)과 귀환 전극(ERG)이 각각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으면, 접속되어 있지 않더라도, 접속되어 있는 경우와 동등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3으로 설명을 되돌린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통신 장치(HTRX, FTRX)는, 상술한 송신기(TX) 및 수신기(RX)를 일체화시킨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통신 장치(HTRX)는, 송신측의 주전극(ESB) 및 수신측의 주전극(ERB)을 일체화한 주전극으로서 주전극(BB)을 갖는 한편, 송신측의 귀환 전극(ESG) 및 수신측의 귀환 전극(ERG)을 일체화한 귀환 전극으로서 귀환 전극(BG)을 갖고 있다. 또, 통신 장치(FTRX)에는, 송신측의 주전극(ESB) 및 수신측의 주전극(ERB)을 일체화한 주전극으로서, 타일 카펫(CPXn)의 상면에 설치된 주전극(FB)이 접속되는 한편, 송신측의 귀환 전극(ESG) 및 수신측의 귀환 전극(ERG)을 일체화한 귀환 전극으로서, 천장이나 측벽에 설치된 귀환 전극(CG, WG)이 접속되어 있다. 물론, 통신 장치(HTRX, FTRX)는, 송신측의 주전극(ESB)과 수신측의 주전극(ERB), 또는 송신측의 귀환 전극(ESG)과 수신측의 귀환 전극(ERG)을 따로따로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HTRX, FTRX)는, 도 19에 나타낸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통신 장치(HTRX)의 귀환 전극(BG)과, 천장이나 측벽에 설치된 귀환 전극(CG, WG)(통신 장치(FTRX)의 귀환 전극)의 사이 정도의 거리이면, 귀환 전극(BG)과 귀환 전극(CG, WG)의 사이에서 충분히 대기를 통한 정전 결합을 확립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3에 있어서, 통신 장치(HTRX)와, 타일 카펫(CPXn) 내의 통신 장치(F TRX)의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의 전송로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통신 장치(HTRX)가 전계를 발생시키면, 전기력선은, 인체(HB)를 따라 타일 카펫(CPXn)의 상면에 설치된 주전극(FB)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통신 장치(FTRX) 내로 받아들여져, 주전극(FB)에 접속되어 있는 EO용 전극(ERM), 전기 광학 결정체(EO)를 통해 EO용 전극(ERT)에 도달한다. 또, 귀환시의 전송로에 관해 설명하면, 전기력선은, 통신 장치(FTRX) 내의 EO용 전극(ERT)으로부터, 이 타일 카펫(CPXn) 내의 내부 배선(WIn), 커넥터(CNn), 인접하는 타일 카펫(CPXn) 등을 통해 천장이나 측벽에 설치된 귀환 전극(CG, WG)으로 전달되어, 당해 귀환 전극(CG, WG)으로부터 대기를 통해 통신 장치(HTRX)의 귀환 전극(BG)으로 되돌아간다.
이렇게 하여, 통신 장치 HTRX와 통신 장치 FTRX의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 통신 장치 HTRX의 주전극 BB로부터 통신 장치 FTRX의 주전극 FB에 이르는 전송로(EB)와, 천장이나 측벽에 설치된 귀환 전극(CG, WG)으로부터 대기를 통해 통신 장치(HTRX)의 귀환 전극(BG)에 이르는 전송로(EG)의 결합의 정도를 약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때문에, 인체(HB)가 통신 장치(HTRX)의 귀환 전극(BG)에 직접 닿지 않도록, 귀환 전극(BG)이 절연막으로 덮혀 있다.
또, 이러한 점에서, 천장의 귀환 전극(CG)이나 측벽의 귀환 전극(WG)은, 예를 들면, 표면을 절연 물질로 덮는, 또는 인체(HB)가 직접 닿지 않도록 설치 위치 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나, 측벽에 설치하는 귀환 전극(WG)은, 예를 들면, 벽면 상부에 설치된 「이음재」 부분이나, 벽면 하부에 설치된 「건목(巾木, baseboard)」부분, 또는 「수평재」 부분 등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인체(HB)가 직접 마루면에 접하여 접지되어 버리지 않도록, 타일 카펫(CPXn)은,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타일 카펫(CPXn)의 절연층(BIS)에,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장치(HTRX)를 장착한 인물(인체(HB))이 타일 카펫(CPXn)의 위에 있는 경우, 이 타일 카펫(CPXn) 내의 통신 장치 FTRX와, 통신 장치 HTRX의 사이에서 인체(HB)에 전계를 유도시켜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이 인물이, 통신 장치(HTRX)의 조작 키를 조작하여 통신의 개시를 지시하면, 통신 장치(HTRX)는, 접속 요구 커맨드에 대응한 신호에 따라서 반송파를 변조하고, 당해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주전극(BB) 및 귀환 전극(BG)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 인체(HB)에 전계를 부여한다.
통신 장치 FTRX는, 인체(HB)에 주어진 전계에 의해 주전극(FB) 및 귀환 전극(CG, WG) 사이에 발생한 전위차를 측정하여, 통신 장치 HTRX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한 변조 신호를 얻는다. 그리고, 통신 장치 FTRX는, 이 변조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통신 장치 HTRX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 즉 접속 요구 커맨드를 수신한다. 이 접속 요구 커맨드가 통신 제어 장치(CCUXn)에 송신되어, 통신 제어 장치(CCUXn)에 의해 접속이 허가되면, 이후 통신 장치 HTRX와 통신 장치 FTRX의 사이 에서 통신이 개시된다.
이에 의해 통신 장치(HTRX)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 및 게이트웨이 서버(GW)를 통해 광역 네트워크(WAN)에 액세스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물론,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에 접속된 2대의 통신 장치(HTRX)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통신 장치(HTRX)는, 통신 제어 장치(CCUXn)로부터 위치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변형예 1>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인체(HB)를 전송로로서 사용한 경우에 관해 설명했으나, 인체(HB) 이외의 유전체로서, 예를 들면, 동식물을 전송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인체(HB) 등의 유전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20은, 전계를 사용한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전기 기기(APPTRX)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 전기 기기(APPTRX)는, 예를 들면 TV나 PC 등의 전자 기기이고, 절연체에 의해 덮힌 하우징을 갖고 있고, 이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주전극(AB)이, 한편 하우징의 상면에는 귀환 전극(AG)이 설치되어 있다. 또, 주전극(AB) 및 귀환 전극(AG)의 표면은, 모두 절연막으로 덮혀 있다. 이 전자 기기(APPTRX)는, 통신 장치(HTRX)와 마찬가지로, 도 19에 나타낸 구성을 채용하여, 송신기(TX)와 수신기(RX)를 일체화시킨 구성을 갖고 있다.
이 전기 기기(APPTRX)의 경우, 당해 전기 기기(APPTRX)를 타일 카펫(CPXn)의 위에 둠으로써, 전기 기기(APPTRX)의 주전극(AB)과, 타일 카펫(CPXn)의 주전극 (FB)이 대향하여, 전계를 사용한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전기 기기(APPTRX)는,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 및 게이트웨이 서버(GW)를 통해 광역 네트워크(WAN)에 액세스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물론,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에 접속된 2대의 전기 기기(APPTRX)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것이나, 위치 정보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렇게 하여 전기 기기(APPTRX)와, 타일 카펫(CPXn) 내의 통신 장치(FTRX)가 통신을 행하는 경우는, 인체(HB)를 전송로로서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전계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반송파의 캐리어 주파수를, 인체(HB)가 좋은 도전성을 나타내는 수십 kHz 이상의 범위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상술한 범위보다도 낮은 캐리어 주파수를 갖는 반송파를 사용해도 된다.
<변형예 2>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 장치(FTRX)는, 반송파의 캐리어 주파수를 복수준비하고, 동시에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HTRX)의 대수를 늘리도록 해도 된다.
<변형예 3>
제2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장치(HTRX)의 귀환 전극(BG)과, 천장에 설치한 귀환 전극(CG) 또는 측벽에 설치한 귀환 전극(WG)의 사이에서, 대기를 통한 정전 결합에 의해 귀환 전송로가 확립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했다. 그러나, 통신 장치(HT RX)의 귀환 전극 BG와, 귀환 전극 CG 또는 귀환 전극 WG의 사이에서는, 예를 들면 유전체를 통해 귀환 전송로가 확립되어도 된다.
<변형예 4>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다 안정된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통신 장치(HTRX)의 귀환 전극(BG)을 하우징 접지하는 동시에, 천장이나 측벽에 설치된 귀환 전극(CG, WG)에 그라운드 전위(SGND)를 부여하도록 했다. 이렇게, 안정된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귀환 전극 BG와 귀환 전극 CG, WG에 안정된 같은 전위를 부여하면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귀환 전극 BG나 귀환 전극 CG, WG가, 안정된 같은 전위를 공급하는 플러스 전원이나 마이너스 전원 등의 저 임피던스의 신호원에 개별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귀환 전극 BG나 귀환 전극 CG, WG가, 개별적으로 접지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귀환 전극 BG와 귀환 전극 CG, WG에 안정된 같은 전위가 주어져 있지 않아도, 통신을 행하는 것은 가능하다.
<변형예 5>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 장치(HTRX, FTRX)는, 송신 기능 및 수신 기능을 같이 구비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으나, 용도에 따라 송신 기능 또는 수신 기능의 한쪽만을 구비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타일 카펫(CPXn) 내의 통신 제어 장치(CCUXn) 및 통신 장치(FTRX)를 일체화하여 설치해도 된다.
<변형예 6>
제2 실시형태에서는, 주전극과 귀환 전극의 양쪽을 구비한 전계 통신 장치에 대해 설명했으나, 반드시 귀환 전극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송신기(TX)의 귀환 전극(ESG)을, 접지된 하우징(CS1)에 의 해 대체하는 한편, 수신기(RX)의 귀환 전극(ERG)을 떼내고, EO용 전극(ERT)을 접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러한 구성을 갖는 송신기(TX)와 수신기(RX)를 일체화시킨 통신 장치(HTRX, FTRX)를 사용해도 된다.
<변형예 7>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 장치(HTRX)의 주전극(BB)과 귀환 전극(BG)의 배치를 교체하는 한편, 통신 장치(FTRX)의 주전극(FB)과 귀환 전극(CG, WG)의 배치를 교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측정되는 전위차의 극성이 반대가 되는데, 극성과 관계없는 FM 등의 변복조 방식을 사용하거나, 또는 통신 장치 HTRX나 통신 장치 FTRX에 극성 반전 회로를 구비하도록 하면 된다.
[C. 제3 실시형태]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통신 장치(HTRX)의 위치를 높은 정밀도로 검출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실시형태와 공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 제2 실시형태와 공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카펫(CPYn)의 상면에는, m×n개에 이르는 소형의 주전극(FBmn)이 매트릭스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각 주전극(FBmn)의 표면은 절연막(TIS)으로 덮혀 있다. 또한,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주전극(FBmn)은, 멀티플렉서(MPX)를 통해 통신 장치(FTRX)에 접속되어 있다. 멀티플렉서(MPX)는, 통신 제어 장치(CCUXn)로부터의 전환 신호에 따라 스위치의 접속처를 변경하여, 통신 장치(FTRX)에 접속하는 주전극(FBmn)을 전환한다. 또한, 타일 카펫(CPYn)의 위에 있는 사람에게 장착된 통신 장치(HTRX)와, 타일 카펫(CPYn) 내의 통신 장치(FTRX)의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위치 검출 모드 이외의 통상의 통신 모드이면, 모든 주전극(FBmn)을 통신 장치(FTRX)에 접속하고, 단일의 주전극(FB)으로서 사용한다.
한편,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예를 들면 통신 장치(HTRX)로부터 송신된 위치 검출 모드로의 이행을 지령하는 커맨드를 통신 장치(FTRX)를 통해 수신한 경우 등에, 위치 검출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통신 장치(HTRX)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즉시 위치 검출 모드로 이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검출 기능에 관한 제어를 통신 제어 장치(CCUXn)가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하나, 위치 검출 기능에 관한 제어를 통신 장치(FTRX)가 행하도록 해도 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검출 모드에 있어서, 먼저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멀티플렉서(MPX)에 전환 신호를 송출하고, 통신 장치(FTRX)에 접속하는 주전극 FBmn을, 주전극 FB11부터 차례로 1개씩 전환해 간다. 또, 이와 동시에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통신 장치 FTRX를 사용하여 통신 장치 HTRX와의 사이에서 시험 통신을 행하여, 각 주전극(FBmn)마다, 통신 장치 HTRX로부터의 응답 신호에 대해, 당해 주전극(FBmn)에서의 전계의 강도(이하, 전계 수신 레벨이라 기재한다)를 통신 장치 FTRX에 측정시킨다. 또,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각 주전극(FBmn)마다의 측정 결과를 불휘발성 메모리(106)에 기억한다(단계 A1).
그 후,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불휘발성 메모리(106)에 기억한 각 주전극 (FBmn)마다의 측정 결과 중에서, 가장 높은 전계 수신 레벨이 측정된 주전극(FBmax)을 특정한다(단계 A2). 그리고,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주전극(FBmax)의 위치를 산출한다(단계 A3).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정보 저장 테이블(106a)(도 10 참조)에는, 이 타일 카펫(CPYn)의 중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예를 들면, 위도·경도·고도)에 더해, 각 주전극(FBmn)에 대해, 이 타일 카펫(CPYn)에서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더 기억되어 있다.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제어 정보 저장 테이블(106a)로부터, 타일 카펫(CPYn)의 위치 정보와 주전극(FBmax)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읽어내어, 주전극(FBmax)의 위치를 구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주전극(FBmax)의 위치를 통신 장치(HTRX)의 위치로 한다.
그 후,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구한 위치 정보를 통신 장치 FTRX를 사용하여 통신 장치 HTRX에 송신한다. 이렇게 하면,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는, 주전극(FBmn)의 사이즈 단위로, 보다 고정밀도의 위치 정보를 통신 장치(HTRX)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
<변형예 1>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위치를 검출할 때는, 주전극(FBmax)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계 수신 레벨이 높은 것부터 차례로 복수개의 주전극(FBmn)을 특정하여, 당해 복수개의 주전극(FBmn)을 사용하여 위치를 구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특정한 복수개의 각 주전극(FBmn)의 중심 위치로부터 무게중심을 구하면 된다. 또, 이렇게 특정한 복수개의 주전극(FBmn)으로부터 위치를 구하는 경우에는, 특정한 각 주전극(FBmn)의 전계 수신 레벨에 따라 가중을 행하도록 하면 된다. 또는, 각 주전극(FBmn)에 대한 시험 통신의 에러 레이트를 더 가미하여 위치의 검출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더욱 고정밀도의 위치 정보를 통신 장치(HTRX)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통신 장치(HTRX)가, 예를 들면, 복수의 주전극(FBmn)에 걸치도록 위치하고 있는 경우나, 2개의 주전극(FBmn)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등에도, 통신 장치(HTRX)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또, 도 20에 나타낸 전자 기기(APPTRX)의 경우에도, 통신 장치(HTRX)와 동일하게 하여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 2>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일 카펫(CPYn)의 상면에 설치되는 각 주전극(FBmn)은, 도 21에 나타낸 매트릭스형상의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각 주전극(FBmn)의 표면을 반드시 절연막(TIS)으로 덮을 필요는 없다.
<변형예 3>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멀티플렉서(MPX)는, 통신 장치(FTRX)에 짜넣어져 있어도 된다. 또는, 타일 카펫(CPYn) 내에서, 통신 제어 장치(CCUXn), 통신 장치(FTRX) 및 멀티플렉서(MPX)는 일체화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D. 제4 실시형태]
다음에, 제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도 20에 나타낸 전 자 기기(APPTRX)처럼, 주전극(AB)이 타일 카펫(CPYn)의 상면에 접하는 경우, 또는 주전극(AB)이 타일 카펫(CPYn)의 상면에 접하고 있지는 않지만 충분히 그 근방에 있는 경우에, 전자 기기(APPTRX)의 위치에 더해, 또한 그 방향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3 실시형태와 공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 제3 실시형태와 공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타일 카펫(CPYn)(도 21 및 도 22 참조)을 사용한다. 즉, 타일 카펫(CPYn)의 상면에는, m×n개의 주전극(FBmn)이 매트릭스형상으로 설치되고, 각 주전극(FBmn)의 표면은 절연막(TIS)으로 덮혀 있다. 또, 각 주전극(FBmn)은, 멀티플렉서(MPX)를 통해 통신 장치(FTRX)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APPTRX)의 바닥면에는, 2개의 주전극(ABS, ABL)이 설치되어 있다. 전자 기기(APPTRX)는, 스위치(RSW)를 P1측에 접속함으로써, 주전극(ABS)만을 유효로 하여 통신 장치(FTRX)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APPTRX)는, 위치/방향 검출 모드 이외의 통상의 통신 모드이면, 스위치(RSW)를 P2측에 접속하고, 주전극 ABS 및 주전극 ABL, 즉 주전극의 전체를 유효로 하여 통신 장치(FTRX)와의 통신을 행한다.
타일 카펫(CPYn) 내의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예를 들면, 전자 기기(APPTRX)로부터 송신된 위치/방향 검출 모드로의 이행을 지령하는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등에, 위치/방향 검출 모드로 이행한다. 물론,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전 자 기기(APPTRX)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즉시 위치/방향 검출 모드로 이행하도록 해도 된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방향 검출 모드에 있어서, 먼저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전자 기기(APPTRX)에 대해 스위치(RSW)를 P1측으로 전환한다는 취지를 지령하는 커맨드를 통신 장치(FTRX)를 사용하여 송신한다(단계 B1). 이에 의해, 전자 기기(APPTRX)는, 스위치(RSW)를 P1측에 접속하고, 주전극(ABS)만을 유효로 한다. 이어서,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단계 B2∼B4에 있어서, 도 23에 나타낸 위치 검출 처리의 단계 A1∼A3까지와 동일한 처리를 행하여, 전자 기기(APPTRX)의 주전극(ABS)의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여기서는, 단계 B3에서 가장 높은 전계 수신 레벨이 측정된 주전극 FBmax를, 주전극 FBij로 한다.
그 후,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전자 기기(APPTRX)에 대해 스위치(RSW)를 P2측으로 전환한다는 취지를 지령하는 커맨드를 통신 장치(FTRX)를 사용하여 송신한다(단계 B5). 이에 의해, 전자 기기(APPTRX)는, 스위치(RSW)를 P2측에 접속하고, 주전극 ABS 및 주전극 ABL, 즉 주전극의 전체를 유효로 한다. 이어서,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단계 B6, B7에 있어서, 도 23에 나타낸 위치 검출 처리의 단계 A1, A2와 동일한 처리를 행하여, 전자 기기(APPTRX)의 주전극의 전체를 유효로 한 경우의, 가장 높은 전계 수신 레벨이 측정된 주전극(FBmax)을 특정한다. 또한, 여기서는, 단계 B7에서 가장 높은 전계 수신 레벨이 측정된 주전극 FBmax를 주전극 FBkl로 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주전극 FBij와 주전극 FBkl에 기초하여, 주전극 FBkl로부터 주전극 FBij로 향하는 방향 벡터를 산출한다(단계 B8). 그 후,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단계 B4에서 구한 위치 정보와, 단계 B8에서 구한 방향 정보를 통신 장치(FTRX)를 사용하여 전자 기기(APPTRX)에 송신한다.
이렇게 하면,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는, 고정밀도의 위치 정보에 더해, 또한 방향 정보를 전자 기기(APPTRX)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전자 기기(APPTRX) 이외의 다른 통신 기기에 대해 전자 기기(APPTRX)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전자 기기(APPTRX)의 위치에 더해, 전자 기기(APPTRX)의 정면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알 수 있다.
또, 통신 제어 장치(CCUXn)의 제어 정보 저장 테이블(106a)(도 10 참조)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 정보가 위도·경도를 나타내는 것이면, 2점의 위치(주전극(FBij) 및 주전극(FBkl))로부터 방향각을 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기기(APPTRX)의 정면이 남남서를 향하고 있다는 정보를, 전자 기기(APPTRX)의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 등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주전극(ABS1, ABS2, ABL)을 설치하여, 주전극 ABS1의 위치와 주전극 ABS2의 위치에 기초하여 방향 벡터를 구하도록 하면, 보다 정확한 방향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E. 제5 실시형태]
다음에, 제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와 방향을 검출하는 다른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3 실시형태와 공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 제3 실시형태와 공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통신 장치(HTRX)를 장착하고 있는 인물(인체(HB))이 신고 있는 한쪽의 구두창(DD)에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전극(DB1, DB2)이 설치되고, 양 전극(DB1, DB2) 사이가 다이오드 등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1방향으로 제한하는 방향성 결합 소자(DI)로 접속되어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구두창(DD)의 발뒤꿈치 부분에 전극 DB1이, 발끝 부분에 전극 DB2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주전극(FBmn)은, 2개의 멀티플렉서(MPXT, MPXR)와 스위치(RSW)를 통해 통신 장치(FTRX)의 송신기(TX) 및 수신기(RX)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타일 카펫(CPZn)의 상면에도,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m×n개의 주전극(FBmn)이 매트릭스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각 주전극(FBmn)의 표면은 절연막(TIS)으로 덮혀 있다. 또, 멀티플렉서(MPXT, MPXR) 및 스위치(RSW)는, 통신 제어 장치(CCUXn)로부터의 전환 신호에 따라 스위치의 접속처를 변경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타일 카펫(CPZn)의 위에 있는 인물에 장착된 통신 장치(HTRX)와, 타일 카펫(CPZn) 내의 통신 장치(FTRX)의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위치/방향 검출 모드 이외의 통상의 통신이면, 스위치(RSW)를 P1에 접속하는 동시에, 모든 주전극(FBmn)을 송신기(TX) 및 수신기(RX)에 접속하여, 단일의 주전극(FB)으로서 사용한다. 한편,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예를 들면 통신 장치(HTRX)로부터 송신된 위치/검출 모드로의 이행을 지령하는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등에, 위치/검출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통신 제어 장치 (CCUXn)는, 통신 장치(HTRX)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즉시 위치/검출 모드로 이행하도록 해도 된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방향 검출 모드에 있어서, 먼저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스위치(RSW)를 P1측에 접속한다(단계 C1). 이어서,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단계 C2∼C4에 있어서, 멀티플렉서(MPXT)를 사용하여, 도 23에 나타낸 위치 검출 처리의 단계 A1∼A3까지와 동일한 처리를 행하여, 통신 장치(HTRX)의 위치를 검출한다.
즉,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멀티플렉서(MPXT)에 전환 신호를 송출하고, 송신기(TX) 및 수신기(RX)에 접속하는 주전극(FBmn)을 주전극(FB11)부터 차례로 1개씩 전환해 간다. 또, 이와 동시에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통신 장치 FTRX를 사용하여 통신 장치 HTRX와의 사이에서 시험 통신을 행하고, 각 주전극(FBmn)마다 통신 장치 HTRX로부터의 응답 신호의 전계 수신 레벨을 수신기(RX)에 측정시킨다(단계 C2). 또,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각 주전극(FBmn)마다의 측정 결과 중에서, 가장 높은 전계 수신 레벨이 측정된 주전극(FBmax)을 특정한다(단계 C3). 그리고,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주전극(FBmax)의 위치를 구한다(단계 C4). 또한, 통신 장치(HTRX)의 위치를 구하는 경우에는,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주전극(FBmax)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계 수신 레벨이 높은 것부터 차례로 복수개의 주전극(FBmn)을 특정하여, 당해 복수개의 주전극(FBmn)을 사용하여 위치를 구하도록 해도 된다.
그 후,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스위치(RSW)를 P2측에 접속한다(단계 C5). 이에 의해,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송신기(TX)에 접속하는 주전극(FBmn)과, 수신기(RX)에 접속하는 주전극(FBmn)을, 2개의 멀티플렉서(MPXT, MPXR)를 사용하여 따로따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송신기(TX)에 접속하는 주전극 FBmn을 주전극 FBtx, 수신기(RX)에 접속하는 주전극 FBmn을 주전극 FBrx으로 기재한다.
먼저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멀티플렉서 MPXT 및 멀티플렉서 MPXR을 사용하여, 송신기(TX)에 접속하는 주전극 FBtx를 주전극 FB11부터 차례로 1개씩 전환할 때마다, 수신기(RX)에 접속하는 주전극 FBrx를 주전극 FB11부터 주전극 FBmn까지 순차적으로 전환한다. 또,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수신기(RX)에 접속하는 주전극(FBrx)을 전환할 때마다, 송신기(TX)로부터 시험 신호를 송신하여, 그 때의 전계 수신 레벨을 수신기(RX)에 측정시킨다. 단, 전계 수신 레벨을 측정하는 주전극(FBrx)이, 시험 신호를 송신한 주전극(FBtx)과 동일하게 되는 경우는, 전계 수신 레벨의 측정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전계 수신 레벨의 측정 결과를, 측정시에 사용한 주전극 FBtx 및 주전극 FBrx와 대응시켜 불휘발성 메모리(106)에 기억한다(단계 C6).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먼저 송신기(TX)에 주전극(FB11)을 접속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송신기(TX)에 주전극 FB11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신기(RX)에 접속하는 주전극 FBrx를 주전극 FB12부터 주전극 FBmn까지 순차적으로 전환해 간다. 또,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수신기(RX)에 접속하는 주전극 FBrx를 전환할 때마다, 송신기(TX)에 현재 접속되어 있 는 주전극 FB11로부터 시험 신호를 송신하여, 그 때의 전계 수신 레벨을, 수신기(RX)에 현재 접속되어 있는 주전극 FBrx를 사용하여 측정시킨다. 이렇게 하여, 수신기(RX)에 접속된 주전극 FBrx가 주전극 FBmn까지 도달하면, 이어서,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송신기(TX)에 주전극 FB12를 접속한다. 그 후,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수신기(RX)에 접속하는 주전극 FBrx를, 주전극 FB12를 제외하고 주전극 FB11부터 주전극 FBmn까지 순차적으로 전환하면서, 송신기(TX)로부터 시험 신호를 송신하여, 그 전계 수신 레벨을 수신기(RX)에 측정시킨다.
또, 통신 장치(HTRX)를 장착하고 있는 인물의 구두창(DD)에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전극(DB1, DB2)이 방향성 결합 소자(DI)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시험 신호가 송신된 주전극 FBtx가 전극 DB1에 가장 가깝고, 또한 수신기(RX)에 접속된 주전극 FBrx가 전극 DB2에 가장 가까운 경우에, 수신기(RX)로 측정되는 전계 수신 레벨이 가장 높은 값이 된다.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가장 높은 전계 수신 레벨이 측정된, 주전극 FBtx와 주전극 FBrx의 조합을 특정한다(단계 C7). 또한, 여기서는, 특정된 주전극 FBtx와 주전극 FBrx의 조합에 있어서, 주전극 FBtx를 주전극 FBtxm, 주전극 FBrx를 주전극 FBrxm으로 한다.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주전극 FBtxm과 주전극 FBrxm에 기초하여, 주전극 FBtxm에서 주전극 FBrxm으로 향하는 방향 벡터를 산출한다(단계 C8). 이에 의해, 구두창(DD)의 발뒤꿈치 부분에 설치된 전극 DB1으로부터, 발끝 부분에 설치된 DB2로 향하는 방향의 정보가 구해진다. 그 후,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단계 C4에서 구한 위치 정보와, 단계 C8에서 구한 방향 정보를 통신 장 치 FTRX를 사용하여 통신 장치 HTRX에 송신한다.
이렇게 하면,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는, 고정밀도의 위치 정보에 더해, 또한 그 방향 정보를 통신 장치(HTRX)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통신 장치(HTRX)의 사용자는, 자기의 방향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물론, 통신 장치(HTRX) 이외의 다른 통신 기기에 대해 통신 장치(HTRX)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구두창(DD)에 부착하는 방향 검출용의 부품(방향성 결합 소자(DI) 및 전극(DB1, DB2))에는 전원이 불필요하다.
또한,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통신 제어 장치(CCUXn)의 제어 정보 저장 테이블(106a)(도 10 참조)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 정보가 위도· 경도를 나타내는 것이면, 2점의 위치(주전극 FBtxm 및 주전극 FBrxm)로부터 방위각을 구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사용자가 남남서를 향하고 있다는 정보를 통신 장치(HTRX)의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 실시형태의 변형예]
<변형예 1>
제5 실시형태에서는, 한쪽의 구두창(DD)에만 방향성 결합 소자(DI) 및 전극(DB1, DB2)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했다. 그러나, 오른발 및 왼발의 양쪽의 구두창(DD)에, 각각 방향성 결합 소자(DI) 및 전극(DB1, DB2)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먼저 오른발(15) 및 왼발의 각각에 대해, 발뒤꿈치로부터 발끝을 향하는 방향을 구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예를 들면 오른발의 방향과 왼발의 방향의 평균을 구해 사용자의 방향 으로 한다. 또는, 예를 들면 오른발의 방향을 75%, 왼발의 방향을 25% 등, 가중을 행하여 사용자의 방향을 구하도록 해도 된다.
<변형예 2>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구두창(DD)에 설치된 전극(DB1, DB2)만을 이용하여, 이 구두를 신고 있는 사람의 위치를 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상술한 방향/위치 검출 처리 2에 있어서, 단계 C5 이후의 처리를 행하여, 먼저 가장 높은 전계 수신 레벨이 측정된, 주전극 FBtx와 주전극 FBrx의 조합을 특정한다(단계 C7). 또한, 여기서는, 특정된 주전극 FBtx와 주전극 FBrx의 조합에 있어서, 주전극 FBtx를 주전극 FBtxm, 주전극 FBrx를 주전극 FBrxm으로 한다.
이어서,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상술한 제3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어 정보 저장 테이블(106a)에 기억되어 있는, 이 타일 카펫(CPZn)의 중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예를 들면, 위도·경도·고도)와, 이 타일 카펫(CPZn)에서의 각 주전극(FBmn)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주전극 FBtxm 및 주전극 FBrxm의 위치를 구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주전극 FBtxm의 위치와 주전극 FBrxm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 구두를 신고 있는 사람의 위치를 구한다. 예를 들면,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주전극 FBtxm의 중심 위치와 주전극 FBrxm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의 중점을 사람의 위치로서 구한다.
이 때, 예를 들면, 주전극 FBtxm의 위치(즉, 구두창(DD)의 발뒤꿈치 부분에 설치된 전극 DB1의 위치)와, 주전극 FBrxm의 위치(구두창(DD)의 발끝 부분에 설치 된 전극 DB2의 위치)에 대해, 주전극 FBtxm의 위치를 75%, 주전극 FBrxm의 위치를 25% 등, 가중을 행하여 사람의 위치를 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오른발 및 왼발의 양쪽의 구두창(DD)에, 각각 방향성 결합 소자(DI) 및 전극(DB1, DB2)이 설치되어 있으면, 더욱 높은 정밀도로, 이 구두를 신고 있는 사람의 위치를 구할 수 있다. 이 경우, 먼저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오른발 및 왼발의 각각의 구두에 대해, 주전극 FBtxm의 위치 및 주전극 FBrxm의 위치를 구한다. 여기서는, 오른발의 구두에 대한 주전극 FBtxm을 주전극 FBtxm-r, 주전극 FBrxm을 주전극 FBrxm-r로 한다. 또, 왼발의 구두에 대한 주전극 FBtxm을 주전극 FBtxm-l, 주전극 FBrxm을 주전극 FBrxm-l로 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주전극 FBtxm-r, 주전극 FBrxm-r, 주전극 FBtxm-l, 주전극 FBrxm-l의 총 4개소의 각 위치에 기초하여, 이 구두를 신고 있는 사람의 위치를 구한다. 여기서의 위치를 구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상기 4개소의 위치를 정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중심을, 사람의 위치로서 구할 수 있다. 물론, 가중 등을 이용해도 된다.
<변형예 3>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일 카펫(CPZn)의 상면에 배치된 각 주전극(FBmn)의 표면이 절연막(TIS)으로 덮혀 있지 않고, 또한 구두에 설치되는 전극(DB1, DB2)이 지면과 접하는 이면에 설치되어 있으면, 이 구두를 신은 사람이 타일 카펫(CPZn)의 위에 있는 경우, 구두의 이면에 설치된 전극(DB1, DB2)과, 타일 카펫 (CPZn)의 상면에 설치된 어느 2개 이상의 주전극(FBmn)이 도통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도 29에 나타낸 위치/방향 검출 처리 2의 흐름도에 있어서, 전계 수신 레벨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주전극 FBtx에 소정의 전위를 부여했을 때의 주전극 FBrx의 전위를 측정함으로써, 사람의 위치나 방향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4>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향성 결합 소자(DI) 및 전극(DB1, DB2)은, 구두창 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구두의 안창이나 양말, 또는 슬리퍼나 샌들 등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요컨대, 방향성 결합 소자(DI) 및 전극(DB1, DB2)이 설치되는 부재는, 타일 카펫(CPZn)의 상면과 접하거나, 또는 타일 카펫(CPZn)의 상면에 접하고 있지는 않지만 충분히 그 가까이에서 사용되는 것이면 된다. 또, 예를 들면, 방향성 결합 소자(DI) 및 전극(DB1, DB2)이 짜넣어진 부재를, 사용자의 발목이나 신발에 벨트 등으로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 도 20에 나타낸 전자 기기(APPTRX)에 대해서도, 그 바닥면에 방향성 결합 소자(DI)로 접속된 2개의 전극(DB1, DB2)을 부착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방법을 사용하여 위치나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가정용 전화(電化) 제품, 사무기기, 가구 등의 물품의 바닥면에 방향성 결합 소자(DI)로 접속된 2개의 전극(DB1, DB2)을 부착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방법을 사용하여 물품의 위치나 방향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F. 제6 실시형태]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전자 기기에 충전을 행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실시형태와 공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 제2 실시형태와 공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타일 카펫(CPEn)은,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면에 주전극(F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주전극(FB)의 표면은 절연막으로 덮혀 있다. 또, 이 타일 카펫(CPEn)에 내장된 통신 장치(FTRX)에는, 측벽에 설치된 귀환 전극(WG)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전자 기기(APP)는, 예를 들면 TV나 PC 등의 가전 정보기기이다. 이 전자 기기(APP)는, 바닥면에 주전극(AB)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면에 귀환 전극(AG)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주전극(AB) 및 귀환 전극(AG)에 대해서도, 그 표면이 절연막으로 덮혀 있다.
다음에,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일 카펫(CPEn)은, 통신 제어 장치(CCUXn)와, 통신 장치(FTRX)와, 발진기(POSC)와, 분할 스위치(FPSW)를 갖고 있다. 또, 전자 기기(APP)는, 당해 전자 기기(APP)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APPCU)와, 통신 장치(APPTRX)와, 분할 스위치(APSW)와, 정류 회로(BRG)와, 충전식의 배터리(BAT)를 갖고 있다.
타일 카펫(CPEn) 내의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예를 들면 전자 기기(APP)로부터 송신된 충전 모드로의 이행을 지령하는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등에, 충전 모드로 이행한다. 충전 모드의 경우, 먼저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분할 스위치(FPSW)에 전환 신호를 송출하여, 분할 스위치(FPSW)를 양쪽 모두 P측에 접속한다. 한편, 전자 기기(APP)에서도, 제어부(APPCU)에 의해 분할 스위치(APSW)가 양쪽 모두 P측에 접속된다. 또한, 예를 들면 분할 스위치(FPSW)의 전환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을 타일 카펫(CPEn)의 상면에 설치하고, 사용자가 이 조작 버튼을 조작하여 분할 스위치(FPSW)를 P측 또는 D측으로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이어서,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전자 기기(APP)의 충전을 행하기 위한 교류 전압을 발진기(POSC)로부터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주전극(FB) 및 귀환 전극(WG)을 통해, 전자 기기(APP)의 주전극(AB) 및 귀환 전극(AG) 사이에 교류 전압이 유도된다. 전자 기기(APP)에서는, 이 교류 전압을 정류 회로(BRG)에 의해 정류하여 직류 전압을 얻어, 배터리(BAT)를 충전한다. 한편, 통신 모드의 경우는, 타일 카펫(CPEn)의 분할 스위치(FPSW) 및 전자 기기(APP)의 분할 스위치(APSW)가 모두 D측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통신 장치 FTRX와 통신 장치 APPTRX의 사이에서 전계를 사용한 통신이 행해진다.
또한, 타일 카펫(CPEn)의 분할 스위치(FPSW)와, 전자 기기(APP)의 분할 스위치(APSWA)를 동기시켜 P측 및 D측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충전 모드와 통신 모드를 시분할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경우의 분할 스위치(FPSW, APSW)의 전환 동작예에 대해 도 32에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D」는, 분할 스위치(FPSW, APSW)의 모든 스위치가 D측에 접속되어, 통신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 「P」는, 분할 스위치(FPSW, APSW)의 모든 스위치가 P측에 접속되어, 충전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동 도면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전계의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에 사용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대역 P를, 통신에 사용하는 반송파의 주파수대역 D와 다르게 함으로써, 충전 모드와 통신 모드를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가로축은 주파수, 세로축은 전계의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단, 이 경우는, 발진기(POSC)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용의 교류 전압(주파수대역 P)과, 통신 장치(FTRX)로부터 공급되는 통신용의 교류 전압(주파수대역 D)을 합성하여 주전극(FB) 및 귀환 전극(WG) 사이에 인가하는 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 분할 스위치(APSW) 대신에, 주전극(AB) 및 귀환 전극(AG) 사이에 유도된 교류 전압으로부터, 충전용의 교류 전압의 성분과 통신용의 교류 전압의 성분을 분리하여, 충전용의 교류 전압의 성분을 정류 회로(BRG)에, 통신용의 교류 전압의 성분을 통신 장치(APPTRX)에 출력하는 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 이 경우, 전자 기기(APP)에서, 주전극(AB) 및 귀환 전극(AG) 사이에 유도된 교류 전압에 포함되어 있는, 충전용의 주파수 성분이나, 통신용의 캐리어 주파수 성분의 유무를 검출하는 회로를 설치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전자 기기(APP)는, 당해 전자 기기(APP)가 놓여진 장소가, 충전이 가능한 타일 카펫(CPEn)의 위인지 여부, 또는 통신이 가능한 타일 카펫(CPEn)의 위인지 여부 등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APP)의 충전만을 행하는 것이면, 예를 들면 도 31에 있어서, 귀환 전극 WG 및 주전극 FB 대신에 1차 코일을 설치하고, 주전극 AB 및 귀환 전극 AG 대신에 2차 코일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해도, 상호 유 도 작용에 의해 2차 코일에 교류 전압이 유도된다. 이 경우, 1차 코일은 타일 카펫(CPEn) 내의 상면 부근, 2차 코일은 전자 기기(APP) 내의 바닥면 부근에 설치된다. 또, 충전을 위해 전자 기기(APP)를 타일 카펫(CPEn)의 위에 두었을 때,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위치가 정확하게 겹치도록, 타일 카펫(CPEn)의 상면에 충전용 스페이스를 둘러싸는 라인이나, 위치맞춤을 위한 마크 등이 기재되어 있으면 좋다.
[제6 실시형태의 변형예]
<변형예 1>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일 카펫(CPEn) 내의 통신 제어 장치(CCUXn) 및 통신 장치(FTRX)와, 전자 기기(APP)는,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은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당해 통신 제어 장치(CCUXn)의 존재를 통지하는 통지 신호를 통신 장치(FTRX)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시킨다. 전자 기기(APP)에서는, 주전극(AB) 및 귀환 전극(AG) 사이의 전위차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FTRX)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복조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이상, 끊어지지 않고 상기 통지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동안, 당해 전자 기기(APP)가 통신 서비스 에리어 내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나 마크를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또, 전자 기기(APP)에 대해 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타일 카펫(CPEn)이면, 통신 제어 장치(CCUXn)는, 당해 타일 카펫(CPEn)에서 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통지하는 충전 통지 정보를 상기 통지 신호에 부여하여 통신 장치(FTRX)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시킨다. 전자 기기(APP)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이 상, 끊어지는 일없이 충전 통지 정보가 부여된 통지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동안, 당해 전자 기기(APP)가 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타일 카펫(CPEn)의 위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나 마크를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도 34 및 도 35는, 본 변형예에 따른 전자 기기(APP)의 화면 표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전자 기기(APP)가 충전 가능한 타일 카펫(CPEn)의 위에 있는 경우, 당해 전자 기기(APP)의 표시 화면(DP)에는,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충전 마크(MK1), 전계 수신 레벨의 강도를 복수의 파(波)의 수로 나타내는 전계 강도 마크(MK2), 통신 서비스 에리어 내인 것을 나타내는 에리어 통지 마크(MK3)가 표시된다. 또, 전자 기기(APP)가 통신 서비스 에리어 밖에 있는 경우, 전자 기기(APP)의 표시 화면(DP)에는,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 마크(MK1) 및 전계 강도 마크(MK2)는 표시되지 않고, 통신 서비스 에리어 밖인 것을 나타내는 에리어 통지 마크(MK3)만이 표시된다.
물론, 충전 마크(MK1), 전계 강도 마크(MK2) 및 에리어 통지 마크(MK3)를 표시 화면(DP)에 표시하는 대신에, 그 내용을 음성 메시지 등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인체(HB)에 장착된 통신 장치(HTRX)에 대해 본 변형예의 내용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그 주요한 특징에서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 형태를 예시한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또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 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22)

  1. 당해 통신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1 또는 복수의 다른 통신 유닛과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1 통신 수단과,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2 통신 수단과,
    당해 통신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갖고,
    나란히 깔리는 유닛식의 깔개에 짜넣어져, 당해 통신 유닛을 복수 접속하여 상기 통신 장치를 단말로 하는 통신망을 구성하며, 상기 제2 통신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유닛.
  2. 당해 통신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1 또는 복수의 다른 통신 유닛과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1 통신 수단과,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2 통신 수단과,
    당해 통신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갖고,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구분하는 칸막이를 구성하는 유닛식의 패널에 짜넣어져, 당해 통신 유닛을 복수 접속하여 상기 통신 장치를 단말로 하는 통신망을 구성하며, 상기 제2 통신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유닛.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다른 통신 유닛과 서로의 통신 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가 당해 통신 유닛의 표면에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접속부는, 당해 통신 유닛의 표면 중, 당해 통신 유닛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1 또는 복수의 다른 통신 유닛과 접하는 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당해 통신 유닛 및 다른 통신 유닛에는,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할당되어 있고,
    조작자를 더 가지며,
    상기 제1 통신 수단은, 상기 조작자가 조작되면, 상기 각 접속부마다, 당해 접속부에 대한 다른 통신 유닛의 접속 유무를 판별하여, 당해 접속부에 다른 통신 유닛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당해 다른 통신 유닛과 통신을 행하고, 당해 다른 통신 유닛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각 접속부의 접속 상황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다른 통신 유닛과 서로의 통신 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가 당해 통신 유닛의 표면에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접속부는, 당해 통신 유닛의 표면 중, 당해 통신 유닛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1 또는 복수의 다른 통신 유닛과 접하는 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당해 통신 유닛 및 다른 통신 유닛에는,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할당되어 있고,
    상기 제1 통신 수단은, 접속 상황을 갱신한다는 취지의 지령을 수신하면, 상 기 각 접속부마다, 당해 접속부에 대한 다른 통신 유닛의 접속 유무를 판별하여, 당해 접속부에 다른 통신 유닛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당해 다른 통신 유닛과 통신을 행하고, 당해 다른 통신 유닛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각 접속부의 접속 상황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유전체에 대해 전기적 영향을 주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송신측 주전극과,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응한 전기 신호에 따라서 상기 송신측 주전극에 부여하는 전위를 변화시키는 변조부를 갖고, 상기 변조부가 발생시킨 전위의 변화에 따른 전계를 상기 유전체에 부여하는 것이며,
    당해 통신 유닛은,
    당해 통신 유닛의 표면 중, 상기 유전체로부터의 전기적 영향을 받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수신측 주전극을 더 갖고,
    상기 제2 통신 수단은,
    상기 유전체에 주어진 전계에 의해 상기 수신측 주전극에 발생하는 전기적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신호를 취득하고, 당해 전기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통신 장치가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복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포켈스 효과를 나타내는 전기 광학 결정체이고, 또한 빛이 통과하는 경우에는 이 전기 광학 결정체가 존재하는 공간에서의 전계의 강도에 따른 변화를 이 빛에 부여하는 전기 광학 결정체와,
    상기 전기 광학 결정체에 입사하는 빛을 발하는 발광부와,
    상기 전기 광학 결정체를 통과한 빛을 받아, 이 빛이 상기 전기 광학 결정체 내에서 받은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유전체에 대해 전기적 영향을 주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송신측 주전극과, 송신측 귀환 전극과,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응한 전기 신호에 따라서 상기 송신측 주전극 및 상기 송신측 귀환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변화시키는 변조부를 갖고, 상기 변조부가 발생시킨 전위차의 변화에 따른 전계를 상기 유전체에 부여하는 것이며,
    당해 통신 유닛은,
    당해 통신 유닛의 표면 중, 상기 유전체로부터의 전기적 영향을 받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수신측 주전극과,
    상기 송신측 귀환 전극과의 사이에서 귀환 전송로를 확립하기 위해서 당해 통신 유닛에 접속된 수신측 귀환 전극을 더 갖고,
    상기 제2 통신 수단은,
    상기 유전체에 주어진 전계에 의해 상기 수신측 주전극 및 상기 수신측 귀환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전기적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신호를 취득하고, 당해 전기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통신 장치가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복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당해 통신 유닛은,
    당해 통신 유닛의 표면 중, 유전체에 대해 전기적 영향을 주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송신측 주전극을 더 갖고,
    상기 제2 통신 수단은,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응한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와,
    상기 송신측 주전극에 부여하는 전위를 상기 전기 신호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변조부를 갖고, 상기 변조부가 발생시킨 전위의 변화에 따른 전계를 상기 유전체에 부여하는 것이며,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유전체로부터의 전기적 영향을 받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수신측 주전극과, 상기 유전체에 주어진 전계에 의해 상기 수신측 주전극에 발생하는 전기적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신호를 취득하고, 당해 전기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통신 유닛이 송신한 데이터를 얻 는 복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당해 통신 유닛은,
    당해 통신 유닛의 표면 중, 유전체에 대해 전기적 영향을 주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송신측 주전극과,
    당해 통신 유닛에 접속된 송신측 귀환 전극을 더 갖고,
    상기 제2 통신 수단은,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응한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와,
    상기 송신측 주전극 및 상기 송신측 귀환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상기 전기 신호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변조부를 갖고, 상기 변조부가 발생시킨 전위차의 변화에 따른 전계를 상기 유전체에 부여하는 것이며,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유전체로부터의 전기적 영향을 받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 수신측 주전극과, 상기 송신측 귀환 전극과의 사이에서 귀환 전송로를 확립하기 위한 수신측 귀환 전극과, 상기 유전체에 주어진 전계에 의해 상기 수신측 주전극 및 상기 수신측 귀환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전기적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신호를 취득하고, 당해 전기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통신 유닛이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복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유닛.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주전극은, 당해 통신 유닛의 표면에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각 수신측 주전극마다, 당해 수신측 주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전계의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부에 의해 얻어진 상기 각 수신측 주전극마다의 측정 결과와, 상기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위치를 구하는 위치 검출 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기억 수단은 당해 통신 유닛의 표면에서의 상기 각 수신측 주전극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정보를 더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바닥면에 상기 송신측 주전극을 2개 갖고 있고, 각각의 송신측 주전극만으로부터 전계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각 수신측 주전극은, 당해 통신 유닛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측정부는, 당해 통신 유닛의 위에 놓여진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각 송신측 주전극마다, 당해 송신측 주전극으로부터 발생한 전계의 상기 각 수신측 주전극에서의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측정부에 의해 상기 각 송신측 주전극마다 얻어진 상기 각 수신측 주전극의 측정 결과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 에 기초하여, 상기 각 송신측 주전극의 위치를 구하고,
    상기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구해진 상기 각 송신측 주전극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방향을 구하는 방향 검출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당해 통신 유닛은 부설(敷設)되는 것이며, 당해 통신 유닛의 위에 있는 사람이 신고 있는 신발의 한쪽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제1 전극과, 당해 제1 전극 사이를 접속하는 방향성 결합 소자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통신 유닛은,
    당해 통신 유닛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에서 2개의 제2 전극을 1조로서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당해 선택된 1조의 제2 전극 중, 한쪽의 제2 전극에 전위의 변화를 부여했을 때의 다른쪽의 제2 전극에 유도되는 전위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각 조마다의 측정 결과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방향을 구하는 방향 검출 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기억 수단은 당해 통신 유닛의 상면에서의 상기 각 제2 전극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 정보를 더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유닛.
  14. 제1항에 있어서,
    당해 통신 유닛은 부설되는 것이며, 당해 통신 유닛의 위에 놓여진 물품의 바닥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제1 전극과, 당해 제1 전극 사이를 접속하는 방향성 결합 소자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통신 유닛은,
    당해 통신 유닛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에서 2개의 제2 전극을 1조로서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당해 선택된 1조의 제2 전극 중, 한쪽의 제2 전극에 전위의 변화를 부여했을 때의 다른쪽의 제2 전극에 유도되는 전위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각 조마다의 측정 결과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방향을 구하는 방향 검출 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기억 수단은 당해 통신 유닛의 상면에서의 상기 각 제2 전극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 정보를 더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유닛.
  15. 제1항에 있어서,
    당해 통신 유닛은 부설되는 것이며, 당해 통신 유닛의 위에 있는 사람이 신고 있는 신발의 한쪽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제1 전극과, 당해 제1 전극 사이를 접속하는 방향성 결합 소자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통신 유닛은,
    당해 통신 유닛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에서 2개의 제2 전극을 1조로서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당해 선택된 1조의 제2 전극 중, 한쪽의 제2 전극에 전위의 변화를 부여했을 때의 다른쪽의 제2 전극에 유도되는 전위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각 조마다의 측정 결과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람의 위치를 구하는 위치 검출 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기억 수단은 당해 통신 유닛의 상면에서의 상기 각 제2 전극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 정보를 더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유닛.
  16. 제1항에 있어서,
    당해 통신 유닛은 부설되는 것이며, 당해 통신 유닛의 위에 놓여진 물품의 바닥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제1 전극과, 당해 제1 전극 사이를 접속하는 방향성 결합 소자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통신 유닛은,
    당해 통신 유닛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에서 2개의 제2 전극을 1조로서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당해 선택된 1조의 제2 전극 중, 한쪽의 제2 전극에 전위의 변화를 부여했을 때의 다른쪽의 제2 전극에 유도되는 전위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각 조마다의 측정 결과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위치를 구하는 위치 검출 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기억 수단은 당해 통신 유닛의 상면에서의 상기 각 제2 전극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 정보를 더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유닛.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당해 통신 유닛과 접하는 면에 설치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유도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와, 상기 정류 회로에 의해 얻어진 직류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갖고 있고,
    당해 통신 유닛은,
    당해 통신 유닛의 표면 중 상기 통신 장치와 접하는 면에 설치된 제3 전극과,
    상기 제2 전극과의 사이에서 귀환 전송로를 확립하기 위해서 당해 통신 유닛에 접속된 제4 전극과,
    상기 통신 장치에 충전을 행하기 위한 교류 전압을 상기 제3 전극 및 상기 제4 전극 사이에 인가하는 발진기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유닛.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당해 통신 유닛과 접하는 면에 설치된 2차 코일과, 이 2차 코일에 유도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와, 상기 정류 회로에 의해 얻어진 직류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갖고 있고,
    당해 통신 유닛은,
    당해 통신 유닛의 표면 중 상기 통신 장치와 접하는 면에 설치되고, 상기 2차 코일에 대해 상호 유도 작용에 의해 교류 전압을 유도하는 1차 코일과,
    상기 통신 장치에 충전을 행하기 위한 교류 전압을 상기 1차 코일에 인가하는 발진기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유닛.
  19. 제1항에 기재된 통신 유닛을 복수 접속하여 구성된 통신망을 관리하는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에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망을 구성하는 각 통신 유닛의 접속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당해 관리 장치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통신망에 상기 통신 유닛이 추가된 경우, 또는 상기 통신망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통신 유닛이 떼내어진 경우에, 상기 통신망에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각 통신 유닛은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통신 유닛의 사이즈, 형상 및 다른 통신 유닛과의 접속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더 갖고,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통신 유닛의 배치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당해 관리 장치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22. 제1항에 기재된 통신 유닛을 복수 접속하고, 또한 당해 접속된 복수의 상기통신 유닛이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통신망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구성하는 각 통신 유닛이 설치된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 위치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 수단과,
    상기 통신망에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각 통신 유닛의 사이즈, 형상 및 다른 통신 유닛과의 접속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 위치 정보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네트워크 토폴리지와,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망을 구성하는 임의의 통신 유닛이 설치된 위치를 구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구해진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 유닛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KR1020057000963A 2002-07-18 2003-07-17 통신 유닛, 통신 설비, 관리 장치, 통신 시스템 및 전계통신 장치 KR100688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10051 2002-07-18
JP2002210051 2002-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114A KR20050027114A (ko) 2005-03-17
KR100688223B1 true KR100688223B1 (ko) 2007-03-02

Family

ID=3076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963A KR100688223B1 (ko) 2002-07-18 2003-07-17 통신 유닛, 통신 설비, 관리 장치, 통신 시스템 및 전계통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51893B2 (ko)
EP (1) EP1523128B1 (ko)
JP (1) JP3976203B2 (ko)
KR (1) KR100688223B1 (ko)
CN (1) CN1682495B (ko)
TW (1) TWI235557B (ko)
WO (1) WO20040106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31109B (en) * 2002-07-18 2005-04-11 Ntt Docomo Inc Electric field communication system, electric field communication device and electrode allocation method
US6909373B2 (en) * 2003-05-09 2005-06-21 Vitrak Wireless Inc. Floor monitoring system
DE602004012832T2 (de) * 2003-06-30 2009-05-07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 Optische vorrichtung zur erkennung eines elektrischen feldes, sende-empfänger, system zur erfassung von positionsinformation und system zur informationseingabe
JP4309361B2 (ja) * 2005-03-14 2009-08-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信号送信装置
JP2007089131A (ja) * 2005-07-25 2007-04-0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WO2007013310A1 (ja) * 2005-07-25 2007-02-01 Sony Corporation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952602A (zh) * 2005-10-18 2007-04-25 国际商业机器公司 在空间中为用户定向的方法和装置
EP2082468A2 (en) * 2006-10-26 2009-07-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loor covering and inductive power system
KR100829865B1 (ko) * 2006-11-16 2008-05-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한된 통과대역을 이용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4923975B2 (ja) * 2006-11-21 2012-04-25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装置
US7777719B2 (en) * 2007-01-19 2010-08-17 Nokia Corporation System using a living body as a transmission medium
US8055191B2 (en) * 2007-05-30 2011-11-08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tructure in support of the formation of substantially co-linear wireless device pairings and mitigation of interference effects in a digital multi-media communication environment
US20080298389A1 (en) * 2007-05-31 2008-12-04 Nokia Corporation Intra-body communication network schedul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5098694B2 (ja) * 2008-02-28 2012-12-1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装置
EP2105091A1 (en) * 2008-03-26 2009-09-30 Entertainment Robotics/H.H. Lund Therapeutical training device
KR100969783B1 (ko) * 2008-04-28 2010-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통신에서 인체의 위상 응답특성을 측정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US7978090B2 (en) * 2008-04-30 2011-07-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afely and securely storing materials
JP2009284029A (ja) * 2008-05-19 2009-12-03 Sony Corp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50524B2 (ja) * 2008-06-24 2011-03-16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16374B2 (ja) * 2008-09-03 2011-01-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電極設定システム及び電極設定方法
JP5243213B2 (ja) * 2008-12-05 2013-07-24 株式会社セルクロス 電磁波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信号伝達システム
JP2010226214A (ja) * 2009-03-19 2010-10-07 Ntt Electornics Corp 情報入手システム
US9590733B2 (en) * 2009-07-24 2017-03-07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Location tracking using fiber optic array cabl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2012064996A (ja) * 2010-09-14 2012-03-29 Ntt Electornics Corp 電界通信装置
JP2012090075A (ja) * 2010-10-20 2012-05-10 Ntt Electornics Corp 電界通信用の補助電極
US9037400B2 (en) * 2012-06-26 2015-05-19 Jonathan Louis Tolstedt Virtual walking stick for the visually impaired
JP6551415B2 (ja) * 2014-10-21 2019-07-31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546173B2 (en) * 2015-04-09 2020-01-28 Nec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osition reporting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JPWO2018020884A1 (ja) * 2016-07-27 2019-05-16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端末機器、および機器システム
US10496953B1 (en) * 2016-09-20 2019-12-03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to determine user groupings in a facility
US11132637B1 (en) 2016-09-20 2021-09-28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to detect user interaction with inventory
US10552788B1 (en) 2016-09-20 2020-02-04 Amazon Technologies, Inc. User tracking system
US10477355B1 (en) 2017-12-13 2019-11-12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for locating users
WO2022187707A1 (en) * 2021-03-04 2022-09-09 Cleverpet,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communication
BR102022014196A2 (pt) * 2022-07-19 2023-01-10 Perez Kapazi Joserli Sistema de acionamento e controle de dispositivos eletrônico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4963A (ja) * 1997-11-20 1999-06-08 Ntt Data Corp 敷 物
JPH11284541A (ja) * 1998-03-31 1999-10-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アクセスフロア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1083B2 (ja) 1985-08-15 1994-10-12 オムロン株式会社 非接触式デ−タ交信装置
JPH04123531A (ja) 1990-09-14 1992-04-23 Shigemi Kawanishi 受信ゾーン限定式情報伝達システム
JPH06253359A (ja) 1993-03-01 1994-09-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移動通信端末機
JP3251797B2 (ja) * 1995-01-11 2002-01-28 富士通株式会社 ワイヤレスlanシステム
US5907544A (en) * 1996-05-10 1999-05-25 Rypinski; Chandos A. Hub controller architecture and function for a multiple access-poin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6223018B1 (en) 1996-12-12 2001-04-24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Intra-body information transfer device
JP3425347B2 (ja) * 1996-12-12 2003-07-1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人体経由情報伝達装置
JPH11196110A (ja) 1998-01-05 1999-07-21 Yokogawa Electric Corp トポロジー認識装置
US6008923A (en) * 1998-03-16 1999-12-28 Netschools Corporation Multiple beam communication network with beam selectivity
US6249671B1 (en) * 1998-06-05 2001-06-19 Lxe, Inc. Aesthetic enclosure for a wireless network access point
JP2000123285A (ja) 1998-10-12 2000-04-28 Oki Electric Ind Co Ltd 車両位置認識装置
JP3353779B2 (ja) 1999-06-30 2002-12-03 松下電工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
JP3898418B2 (ja) 2000-04-13 2007-03-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
ATE502567T1 (de) * 2000-05-19 2011-04-15 Welch Allyn Protocol Inc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von patienten
US6637161B1 (en) * 2000-11-28 2003-10-28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Floor system
US7260835B2 (en) * 2001-06-19 2007-08-21 Intel Corporation Bluetooth™ based security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4963A (ja) * 1997-11-20 1999-06-08 Ntt Data Corp 敷 物
JPH11284541A (ja) * 1998-03-31 1999-10-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アクセスフロア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1154963 *
1128454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35557B (en) 2005-07-01
TW200405683A (en) 2004-04-01
EP1523128A4 (en) 2011-02-23
CN1682495A (zh) 2005-10-12
EP1523128A1 (en) 2005-04-13
CN1682495B (zh) 2010-04-28
EP1523128B1 (en) 2016-10-19
JPWO2004010651A1 (ja) 2005-11-17
US7551893B2 (en) 2009-06-23
JP3976203B2 (ja) 2007-09-12
KR20050027114A (ko) 2005-03-17
US20060077172A1 (en) 2006-04-13
WO2004010651A1 (ja) 200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223B1 (ko) 통신 유닛, 통신 설비, 관리 장치, 통신 시스템 및 전계통신 장치
JP3962058B2 (ja) 電界通信システムおよび電界通信装置
US105540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when to transmit power waves to a wireless power receiver
US996774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transmitter access policy at a network service to determine whether to provide power to wireless power receivers in a wireless power network
US100630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ower receiver identifier in a wireless power network
US996500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gning a power receiver to individual power transmitters based on location of the power receiver
US8611321B2 (en) Location tracking system
CN205643691U (zh) 超市商品定位导航系统
US9991741B1 (en) System for tracking and reporting status and usage information in a wireless power management system
US99543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f-system analysis for detecting a fault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Network
CN107328426A (zh) 一种适用于视力障碍者的室内定位导航方法及系统
CN105068520A (zh) 新型智能家居系统、安装及控制方法
JP2007033713A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Fukumoto et al. Carpetlan: A novel indoor wireless (-like) networking and positioning system
WO2018074803A1 (ko) 무선전력 송신 장치
WO2016109314A2 (en) System and method for smart registration of wireless power receivers in a wireless power network
US20240171011A1 (en) Power transmitter, power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human body communication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JP2014121122A (ja) 電力制御サーバ、電力制御プログラム及び電力制御システム
JP2013195213A (ja) 位置標定システム、及び位置標定システムの制御方法
Yanagawa et al. Green and Secure Office Space Using Near Field Coupling Communication System
JP2000174654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