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531B1 - 골판지 상차용 장치 - Google Patents

골판지 상차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531B1
KR100681531B1 KR1020050007710A KR20050007710A KR100681531B1 KR 100681531 B1 KR100681531 B1 KR 100681531B1 KR 1020050007710 A KR1020050007710 A KR 1020050007710A KR 20050007710 A KR20050007710 A KR 20050007710A KR 100681531 B1 KR100681531 B1 KR 100681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board
loading
guide line
corrugated cardboard
guide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028A (ko
Inventor
전재형
Original Assignee
전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형 filed Critical 전재형
Priority to KR1020050007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531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92Delivering
    • B31B50/98Delivering in stacks or bundles

Abstract

개시된 골판지 상차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가이드 라인, 제1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가이드 라인, 일단이 제2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착되며, 승강 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바 및 승강바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차될 골판지가 탑재되는 골판지 운반판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까지 골판지를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최소의 인력으로 골판지를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상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골판지, 상차, 가이드 라인, 롤러, 승강바,

Description

골판지 상차용 장치{apparatus for loading corrugated cardboar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골판지 상차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도1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정면도,
도 2b는 도1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측면도.
도 2c는 도1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평면도,
도 3a는 도1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승강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b는 도1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하강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골판지 상차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도4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정면도,
도 5b는 도4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측면도.
도 5c는 도4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4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a,110b... 제1가이드 라인 120a,120b... 제2가이드 라인
130a,130b,130c,130d... 승강바 140... 골판지 운반판
본 발명은 골판지 상차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화물차량의 적재함까지 골판지를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골판지 상차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판지란 물결 모양으로 골을 만든 골심지에 면이 반듯하고 빳빳한 라이너지(紙)를 한 면 또는 양 면에 접착제로 붙여서 완충도를 높인 것을 말하며, 주로 골판지 상자를 만드는 데 쓰인다.
골판지를 이용한 골판지상자의 제조는 포장될 내용물에 따라서 상자 양식을 결정한 다음, 골판지 표면에 필요한 것을 인쇄하고, 슬로터에서 전개도(展開圖)대로 재단하여 접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진다.
이와 같이 골판지가 골판지상자로 만들어지기 위하여 골판지상자를 제조하는 장소 등으로 이동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골판지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잘라진 후 각각의 크기에 따라 적층되어 화물차량 등에 상차되어 목표지점으로 이동되게 된다.
골판지를 화물차량에 상차할 경우, 골판지를 이송 컨베이어 등을 이용하여 화물차량 탑재지점까지 이동시킨 후, 여러 명이 조를 나누어 일부는 차량 적재함 아래에서 골판지를 적재함 위로 올려주고, 나머지 인력은 적재함에 올라가 올려주는 골판지를 들어 적재함의 앞쪽부터 순차적으로 적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골판지 적재방법은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예 로는 국내 공개실용 제97-5750호("골판지 상차용 리프트의 구조")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국내 공개실용 제97-5750호에 개시된 골판지 상차용 리프트는 이송 컨베이어와 화물차량 적재함 사이에 위치되어 골판지를 상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컨베이어 라인별 작업을 위해 인력으로 골판지 상차용 리프트를 작업 대상 컨베이어 라인에 위치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골판지 상차용 리프트는 화물차량 적재함에 직접 투입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골판지 상차용 리프트를 이용하여 적재함에 올려진 골판지는 인력에 의해 적재함의 앞쪽부터 순차적으로 적재하여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화물차량의 적재함까지 골판지를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골판지 상차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제1가이드 라인, 상기 제1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가이드 라인, 일단이 상기 제2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착되며, 승강 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바 및 상기 승강바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차될 골판지가 탑재되는 골판지 운반판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가이드 라인은, X축 Y축 및 Z축으로 구성되는 삼차원 공간에서 상기 제2가이드 라인을 X 축 방향으로 가이딩하고, 상기 제2가이드 라인은 상기 승강바를 상기 Y 축 방향으로 가이딩하고, 상기 승강바는 상기 골판지 운반판을 상기 Z 축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 라인에 제1레일홈이 형성되고, 제2가이드 라인은 제2레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레일홈에 이동가능하게 결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롤러가 부착되고, 상기 승강바는 상기2레일홈에 이동가능하게 결착되는 제2롤러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바는 모터로 구동되는 체인 호이스트 및 와이어 호이스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의하여 승강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골판지 운반판은 골판지를 싣고 내리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와 상기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형성된 난간을 포함할 수 있다.
골판지 상차용 장치.
또한, 상기 제2가이드 라인은, 상기 제1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착되는 제1단 가이드 라인과 상기 제1단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착되어, 상기 제1단 가이드 라인을 연장하는 제2단 가이드 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골판지 상차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골판지 상차용 장치는 제1가이드 라인(110a,110b), 제2가이드 라인(120a,120b), 승강바(130a,130b, 130c,130d) 및 골판지 운반체(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 라인(110a,110b)과 제2가이드 라인(120a,120b) 및 승강바(130a,130b,130c,130d)는 X축, Y축 및 Z축으로 구성되는 삼차원 공간에서 제1가이드 라인(110a,110b)이 X축 방향으로 뻗어 위치될 때,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은 Y축 방향으로 뻗어 위치되며, 승강바(130a,130b,130c,130d)는 Z축 방향으로 상하승강 운동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뻗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가이드 라인(110a,110b), 제2가이드 라인(120a,120b) 및 승강바(130a,130b,130c,130d)는 삼차원 공간에서 X,Y,Z 축을 중심으로 서로 이루는 각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골판지 상차용 장치 구성의 설명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제1가이드 라인(110a,110b)이 X 축 방향으로 뻗어 있고,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이 Y축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승강바(130a,130b,130c,130d)는 Z 축 방향으로 수직으로 뻗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가이드 라인(110a,110b)은 X축 방향으로 뻗어 위치되며, 2가이드 라인(120a,120b)이 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딩한다. 이를 위해 제1가이드 라인(110a,110b)은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의 가이딩을 위해 형성된 레일홈(112a,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 라인(110a,110b)은 골판지 운반판(140)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X 축은 골판지가 적재된 횡대(rank) 방향 즉, 골판지가 적재된 곳에서 화물차량의 적재함으로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1가이드 라인(110a,110b)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예시에서는 2개의 제1가이드 라인(110a,110b)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한다. 제1가이드 라인(110a,110b)은 골판지 적재를 위한 장소의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은 Y축 방향으로 뻗어 위치되며, 승강바(130a,130b,130c,130d)가 Y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딩한다. 이를 위해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은 승강바(130a,130b,130c,130d)의 가이딩을 위해 형성된 레일홈(122a,122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은 골판 지 운반판(140)을 Y 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Y 축은 골판지가 적재된 종대(column) 방향 즉, 골판지가 적재된 곳에서 화물차량의 적재함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예시에서는 2개의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한다.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은 제1가이드 라인(110a,110b)에 이동가능 하게 결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바(130a,130b,130c,130d)는 Z 축 방향으로 뻗어 위치되며, 골판지 운반체(140)가 Z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승강운동을 한다. 승강바(130a,130b,130c,130d)는 모터로 구동되는 체인 호이스트 또는 와이어 호이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되는 장소에 적합하도록 복수의 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Z 축은 지상에 대하여 수직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승강바(130a,130b,130c,130d)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구동되는 실린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승강바(130a,130b,130c,130d)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예시에서는 4개의 승강바(130a,130b,130c,130d)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한다. 승강바(130a,130b, 130c,130d)는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에 이동가능하게 결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승강바는 골판지 운반체(140)를 Z 축 방향으로 승강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X 자형 프레임' 등 승강바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물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골판지 운반체(140)는 상차될 골판지를 실어 화물차량 적재함까지 이송 하는 구성요소로서, 복수개의 이송롤러(142)와 난간(1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롤러(142)는 골판지를 골판지 운반체(140)에 싣고 내리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난간(144)은 골판지 운반체(140)에 실린 골판지가 이송 도중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더불어 골판지 운반체(140)에 골판지를 싣고 내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것이다.
골판지 상차용 장치를 구성하는 제1가이드 라인(110a,110b), 제2가이드 라인(120a,120b), 승강바(130a,130b,130c,130d) 및 골판지 운반체(140)의 연결 관계를 다시설명하면, 골판지 운반체(140)는 4개의 승강바(130a,130b,130c,130d)에 결착되어 있고, 4개의 승강바(130a,130b,130c,130d)는 2개의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에 결착되어 있으며,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은 제1가이드 라인(110a,110b)에 결착되어 있다.
따라서 골판지가 적재된 골판지 운반체(140)는 승강바(130a,130b,130c,130d)에 의하여 수직으로 상하운동(Z축 방향)을 할 수 있게 되며, 제1가이드 라인(110a,110b)에 의하여 화물차량 적재함 방향에 대하여 좌우운동(X축 방향)을 할 수 있게 되며,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에 의하여 화물차량의 적재함 방향에 대하여 전후운동(Y축 방향)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a, 도2b 및 도2c를 참조하여 제1가이드 라인(110a,110b), 제2가이드 라인(120a,120b) 및 승강바(130a,130b,130c,130d)의 결착관계와 동작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도1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1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측면도. 도 2c는 도1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평면도이다.
먼저 제1가이드 라인(110a,110b)과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의 결착관계 및 동작을 설명하면,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에 부착된 롤러(124a,124b, 124c,124d)가 제1가이드 라인(110a,110b)에 형성된 레일홈(도1에서 112a,112b)에 삽입되어 결착된다.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에 부착된 롤러(124a,124b,124c,124d)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본 예시에서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에 부착된 롤러는 레일홈의 측면의 마찰에 의해 롤링되는 2개의 수평롤러와 레일홈의 하면의 마찰에 의해 롤링되는 2개의 수직롤러인 경우이다.
따라서 외부에서 구동력를 가하면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에 부착된 다수개의 롤러(124a,1240b,124c,124d)가 제1가이드 라인(110a,110b)의 레일홈(도1에서 112a,112b)을 따라 롤링되면서 X 축 방향으로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이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가이드 라인(120a,120b)과 승강바(130a,130b,130c,130d)의 결착관계 및 동작을 설명하면, 승강바(130a,130b,130c,130d)에 부착된 롤러(134a,134b, 134c,134d)가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에 형성된 레일홈(도1에서 122a,122b)에 삽입되어 결착된다.
승강바(130a,130b,130c,130d)에 부착된 롤러(134a,134b,134c,134d)는 레일홈(122a,122b)의 측면의 마찰에 의해 롤링되는 수평롤러 또는 레일홈(도1에서 122a,122b)의 하면의 마찰에 의해 롤링되는 수직롤러일 수 있으며 본 예시에서 승강바(130a,130b,130c,130d)에 부착된 롤러는 수직롤러인 경우이다.
따라서 외부에서 구동력를 가하면 승강바(130a,130b,130c,130d)에 부착된 롤러(134a,134b,134c,134d)가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의 레일홈(도1에서 122a, 122b)을 따라 롤링되면서 Y 축 방향으로 승강바(130a,130b,130c,130d)가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승강바(130a,130b,130c,130d)의 동작을 설명하면, 복수의 단으로 형성된 승강바(130a,130b,130c,130d)는 모터로 구동되는 체인 호이스트 또는 와이어 호이스트에 의해 하나의 단이 다른 하나의 단속으로 유입되거나 유출되면서 승강바(130a,130b,130c,130d)의 길이가 줄어들거나 늘어나게 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러한 동작으로 승강바(130a,130b,130c,130d)의 길이가 변화되면 승강바(130a,130b,130c,130d)에 연결된 골판지 운반판(140)은 상하의 수직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가이드 라인(120a,120b) 및 승강바(130a,130b,130c,130d)에 부착되는 롤러(134a,134b,134c,134d)와 승강바(130a,130b,130c,130d)는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래밍된 제어시퀀스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시퀀스는 메모리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a는 도1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승강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3b는 도1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하강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골판지 상차용 장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의 상면이 개방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골판지 운반판(140)에 상차될 골판지가 탑재된 후, 제어부를 제어하여 승강바(130a,130b,130c,130d)를 수축시키면 승강바(130a,130b, 130c,130d)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골판지 운반판(140)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승강바(130a,130b,130c,130d)에 부착된 롤러를 구동시키면, 롤러가 제2가이드 라인(120a,120b)의 레일홈을 따라 구동되면서 골판지 운반판(140)을 화물차량 적재함으로 이동시킨다. 골판지 운반판(140)이 화물차량의 적재함의 상부에 적절히 위치된 후, 승강바(130a,130b,130c,130d)를 신장시키면 승강바(130a,130b, 130c,130d)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골판지 운반판(140)을 하강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종래의 경우와 다르게 화물차량의 적재함까지 골판지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상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화물차량 적재함에 골판지의 적재가 완료되면, 제1가이드 라인을 따라서 제2가이드 라인을 이동시킴(골판지 운반체를 X축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임의의 작업 대상 라인에 골판지 운반판을 위치시켜 연속적으로 골판지 상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골판지 상차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골판지 상차용 장치는 도1내지 도3에서 설명한 골판지 상차용 장치와 같이 제1가이드 라인, 제2가이드 라인, 승강바 및 골판지 운반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가이드 라인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는 달리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어 연장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예시에서 제2가이드 라인은 제1단 가이드 라인(120a',120b')과 제2단 가이드 라인(126a',126b)으로 구성되는 경우 이다.
제2가이드 라인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의 구조 및 동작은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제2가이드 라인의 구조 및 동작을 도5a, 도5b 및 도5c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는 도4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도4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c는 도4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 라인은 롤러(124a',124b',124c',124d', 125a',125b',125c',125d')가 부착되고 레일홈(도4에서 122a',122b',128a',128b)이 형성된 제1단 가이드 라인(120a',120b')과 제2단 가이드 라인(128a',128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단 가이드 라인(120a',120b')에 부착된 롤러(124a',124b',124c',124d')는 제1가이드 라인(110a,110b)에 형성된 레일홈(112a,112b)으로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결착되고, 제2단 가이드 라인(126a',126b')에 부착된 롤러(125a',125b', 125c',125d')는 제1단 가이드 라인(120a',120b')에 형성된 레일홈(122a',122b')으로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결착된다.
제2단 가이드 라인(126a',126b')에 형성된 레일홈(128a',128b')에는 승강바(130a,130b,130c,130d)에 부착된 롤러(134a,134b,134c,134d)가 이동가능하게 결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레일홈(122a',122b',128a',128b')은 레일홈(122a',122b',128a',128b')에 삽입된 롤러(124a',124b',124c',124d',125a',125b',125c',125d')의 이탈을 막고 롤 러(124a',124b',124c',124d',125a',125b',125c',125d')의 이동 한계점을 설정하는 스토퍼(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단가이드 라인(120a',120b') 및 제2단가이드 라인(126a',126b')에 부착된 롤러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Y축 방향으로 골판지 운반판(140)을 움직이기 위하여 구동력를 가하면, 먼저 제2단 가이드 라인(126a',126b')의 레일홈(128a',128b')에 결착된 승강바(130a,130b,130c,130d)의 롤러(134a,134b,134c,134d)가 롤링되면서 화물차량의 적재함으로 이동된다.
승강바(130a,130b,130c,130d)의 롤러(134a,134b,134c,134d)가 제2단 가이드 라인(126a',126b')의 레일홈(128a',128b')에 형성된 스토퍼(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정지되면서 제2단 가이드 라인(126a',126b')에 부착된 롤러(125a',125b', 125c',125d')를 구동시킨다.
이때, 제2단 가이드 라인(126a',126b')은 제1단가이드 라인(120a',120b')의 레일홈(122a',122b')을 따라 이동되게 되며, 결과적으로 제2단 가이드 라인(126a',126b')은 제1단가이드 라인(120a',120b')을 연장시킨 형상이 된다.
도 6은 도4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골판지 상차용 장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의 상면이 폐쇄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골판지 운반판(140)에 상차될 골판지가 탑재된 후, 제어부를 제어하여 골판지 운반판(140)을 화물차량 적재함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 2단 가이드 라인(126a',126b')이 연장되면서 골판지 운반판(140)은 화물차량의 적재함 속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종래의 경우와 다르게 화물차량의 적재함의 상면이 폐쇄된 경우에도 화물차량의 적재함까지 골판지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용이하게 상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화물창량 적재함에 골판지 상차가 완료되면, 제어부를 제어하여 골판지 운반판을 임의의 작업 대상 라인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도3a와 도3b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판지 상차용 장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까지 골판지를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최소의 인력으로 골판지를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연속적으로 상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적어도 하나의 제1가이드 라인;
    상기 제1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가이드 라인;
    일단이 상기 제2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착되며, 승강 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바; 및
    상기 승강바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치될 골판지가 탑재되는 골판지 운반판을 포함하는 골판지 상치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 라인은,
    상기 제1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착되는 제1단 가이드 라인, 및
    상기 제1단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착되어, 상기 제1단 가이드 라인을 연장하여 상기 골판지 운반판의 이동 거리를 더욱 연장하는 제2단 가이드 라인으로 구성되는 골판지 상차용 장치.
KR1020050007710A 2005-01-27 2005-01-27 골판지 상차용 장치 KR100681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710A KR100681531B1 (ko) 2005-01-27 2005-01-27 골판지 상차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710A KR100681531B1 (ko) 2005-01-27 2005-01-27 골판지 상차용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564U Division KR200382003Y1 (ko) 2005-01-27 2005-01-27 골판지 상차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028A KR20060087028A (ko) 2006-08-02
KR100681531B1 true KR100681531B1 (ko) 2007-02-09

Family

ID=37176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710A KR100681531B1 (ko) 2005-01-27 2005-01-27 골판지 상차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5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1705A (zh) * 2011-10-13 2012-03-14 苏州华日金菱机械有限公司 一种设备结构组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2403B (zh) * 2019-05-22 2021-06-08 浙江工业大学 一种包装袋自动收集捆扎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1705A (zh) * 2011-10-13 2012-03-14 苏州华日金菱机械有限公司 一种设备结构组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028A (ko)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9508B2 (ja) 物品搬送用箱の搬送装置
US56306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cking up packaged sheet
US5188503A (en) Magazine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metal rods
JP6179729B2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KR100681531B1 (ko) 골판지 상차용 장치
KR200382003Y1 (ko) 골판지 상차용 장치
JP2002249225A (ja) ワークの段積み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段積み方法
KR100713251B1 (ko) 적재물 이송 배출장치
JPH09315520A (ja) 物品保管棚用の物品搬送装置
JPH07251667A (ja) 貨物コンテナの選別昇降・格納装置
JPH06316968A (ja) 中高層ユニット建物のボックスユニット搬入構造
JPS634031Y2 (ko)
KR101970286B1 (ko) 고정기능을 구비하는 적재함 이송 및 승, 하강장치
JP3288352B2 (ja) 立体自動倉庫
KR102652184B1 (ko) 물품 박스의 오픈 시스템
JP4229327B2 (ja) ブランク供給装置
JP2001316073A (ja) クレーンのコンテナ専用吊具
JP2849992B2 (ja) スキッド挿入装置
JP4618513B2 (ja) ピッキング式の物品収納設備
JP2726182B2 (ja) 物品の保管・搬送用パレット
JP6120033B2 (ja) 物品搬送用箱の搬送装置
JPH0438642B2 (ko)
JP2006082837A (ja) 長尺物用パレット及びそのパレットへの搬送物の積載方法並びにそのパレットを用いる輸送容器への搬送物の搬送方法
JP2527714Y2 (ja) パレット積み物品保管倉庫の入出庫装置
JP3117642B2 (ja) パレットの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