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444B1 -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444B1
KR100678444B1 KR1020050102106A KR20050102106A KR100678444B1 KR 100678444 B1 KR100678444 B1 KR 100678444B1 KR 1020050102106 A KR1020050102106 A KR 1020050102106A KR 20050102106 A KR20050102106 A KR 20050102106A KR 100678444 B1 KR100678444 B1 KR 100678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control unit
gain mode
phas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2288A (ko
Inventor
고이치 오타케
히데유키 야마카와
유키야스 다츠자와
히로유키 모로
도시히코 가네시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60052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11B20/10055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using partial response filtering when writing the signal to the medium or reading it therefro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11B20/10055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using partial response filtering when writing the signal to the medium or reading it therefrom
    • G11B20/1016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using partial response filtering when writing the signal to the medium or reading it therefrom partial response PR(3,4,4,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481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optimisation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7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selection is made among at least two alternative ways of processing
    • G11B2020/10879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selection is made among at least two alternative ways of processing the kind of record carrier being the selection criter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216) 의 전단에 있는 신호 처리 회로는 보다 안정적으로 최적의 특성을 갖도록 자동제어된다.
전치 파형 등화기(103), 오프셋 제어부(211), 비대칭성 제어부(212), 진폭 제어부(213),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4), 적응 등화기(215), 및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216)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주파수 제어 장치(218) 및 위상 제어 장치(220)가 배열되어 있다. 적어도 주파수 제어와 위상 제어가 소정의 제어 범위로 설정되는 경우, 시퀀서(230)는 오프셋 제어부, 비대칭성 제어부, 진폭 제어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적응 등화기 중 어느 2개에 대하여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로 얻어지는 오차 정보를 귀환시킨다.

Description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DIGITAL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a는 도 1에 도시한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의 일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시퀀서의 상태 천이도.
도 2b는 시퀀서의 제어 상태를 도시하는 테이블을 설명하는 도면.
도 2c는 시퀀서의 조건 판정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3a는 도 1에 도시한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설명하기위해 도시된 시퀀서의 상태 천이도.
도 3b는 시퀀서의 제어 상태를 도시하는 테이블을 설명하는 도면.
도 3c는 시퀀서의 조건 판정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시퀀서(230)의 동작기능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전치 증폭기
103: 전치 파형 등화기
211: 오프셋 제어부
212: 비대칭 제어부
213: 진폭 제어부
215: 적응 등화기
216: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
217: 동기 복조기
220: 타이밍 리커버리부(위상 제어부)
218: 주파수 검출부
230: 시퀀서
본 발명은 정보 기록 매체에 포함되는 고밀도의 광 디스크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다 고밀도인 광 디스크 등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부분 응답 처리와 최우도 추정법 복호 처리를 가진 PRML(Partial Response Maximum Likelihood) 신호 처리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이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재생 순서는 다음과 같이 된다. 광 디스크 상의 기록 피트는 광 픽업을 통해 판독된다. 판독된 재생 신호는 전치 증폭기에 보내지고 신호 증폭 등의 처리를 받은 다음, 전치 파형 등화기에 의해 사전에 파형 등화를 받을 수 있다. 파형 등화된 신호는 오프셋 제어 회로에 의해 DC 레벨로 조정된 다 음, 증폭 제어부에 의해 신호 진폭의 조정을 받는다. 입력 신호 레벨값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에 의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다. ADC의 샘플링 클록은 타이밍 재생부로부터 공급된다. 주파수 검출부에서는, 재생 신호의 클록 주파수를 검출하여, 타이밍 재생부에 주파수를 제공한다.
AD 변환 재생 신호는 적응 등화기에 의해 PR 등화되어, 소정의 PR 등급에 기초로 하여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에 의해 최우도 추정법 복호화된다. 최우도 추정법으로 복호화된 재생 스트림은 후속하는 동기 복조 및 오차 수정 회로 등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로 재생된다. 다음과 같은 방식도 검토되고 있다. 즉,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로 얻어지는 이상 신호와 입력 신호 간의 오차에 의해서, 오프셋 제어, 진폭 제어, 적응 등화, 타이밍 재생부 등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고정밀도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로 얻어지는 이상 신호와 입력신호 간의 오차를 정확하게 얻기 위해서는, 최우도 추정법 복호결과가 적절하게 수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재생 개시 시점에서는,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의 전단에 있는 각 신호 처리부의 제어치는 최적치와 일반적으로 다르다. 이 때문에, 최우도 추정법 복호 결과는 적절하게 수정될 수 없다. 최우도 추정법 복호결과가 적절하게 수정되지 않는 경우,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의 전단에 배치된 각 신호처리부의 제어치가 최적치로 될 때까지 과도한 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최악의 경우, 결국 최적치를 얻을 수 없게 된다.
특히, 광 디스크와 같은 착탈가능 디스크의 경우, 디스크 특성의 변동이 크고, 각 제어회로의 제어 초기값이 최적치와 크게 다른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착탈가능 디스크가 하드 디스크 등에 비해 문제가 심각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의 전단에 배치된 신호 처리 회로의 제어 시퀀스들을 제어하여, 신호 처리부가 보다 안정적으로 최적의 특성을 갖도록 자동제어되어, 그 결과, 최우도 추정법 복호 처리시에 얻어지는 입력신호와 재생 신호 간의 오차가 적절하게 얻어질 수 있고, 안정적인 동작을 확실하게 신속히 얻어질 수 있는 디지털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의 재생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재생 장치는 상기 재생 신호의 파형을 등화하는 전치 파형 등화기와, 상기 전치 파형 등화기로부터의 출력의 DC 레벨을 조정하는 오프셋 제어부와, 상기 오프셋 제어부로부터의 출력의 비대칭성을 보정하는 비대칭성 제어부와, 상기 비대칭성 제어부로부터의 출력의 진폭을 제어하는 진폭 제어부와, 상기 진폭 제어부로부터의 출력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의 출력을 적응 등화하여 원하는 부분 응답 파형을 출력에 제공하는 적응 등화기와, 상기 적응 등화기로부터의 출력을 복호화하여 입력 신호와 이상 신호 간의 오차 정보를 얻을 수 있고 2진 데이터도 얻을 수 있는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의 출력 주파수를 감시하여, 상기 출력 주파수가 원하는 주파수가 되도록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샘플링 신호 주파수를 제어하는 주파수 제어 장치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의 출력 위상을 감시하여, 상기 출력 위상이 원하는 위상이 되도록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샘플링 신호 위상을 제어하는 위상 제어 장치와, 적어도 상기 주파수 제어 장치와 위상 제어 장치로부터의 출력이 각각 소정의 제어 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오프셋 제어부와, 비대칭성 제어부와, 진폭 제어부와, 적응 등화기의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대하여 상기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로 얻어지는 오차 정보를 귀환하는 시퀀서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추가 목적 및 이점들을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들은 아래 보다 자세히 설명된 구현예 및 이들의 조합을 통하여 실현될 수 있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장치의 리드 채널부는, 기본적으로 광 디스크(100), 광 픽업(101), 전치 증폭기(102), 전치 파형 등화기(프리이퀄라이저; 103), 오프셋 제어부(211), 비대칭성 제어부(212), 진폭 제어부(213),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214), 적응 등화기(215),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216), 타이밍 리커버리부(220), 주파수 검출부(218), 동기 복조기(217), 시퀀서(230)로 구성된다.
광 디스크(100) 상에 기록 피트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기록정보는, 광 픽업 (101)에 의해 판독되고, 전압신호(재생 신호)로 변환된다. 이 재생 신호는 전치 증폭기(102)에 의해 증폭되고, 후속하여, 전치 파형 등화기(103)에 의해 사전 파형 등화 처리를 받는다.
전치 파형 등화기(103)로부터로부터의 출력은 오프셋 제어부 (211)에서, DC 레벨로 조정된다. 이 오프셋 제어부(211)는 후술하는 하이 게인 모드, 로우-게인 모드, ML 모드를 갖는다. 이들 모드는 시퀀서(2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황에 따라서 모드가 전환된다. 하이 게인 모드 및 로우 게인 모드는 입력 신호에만 기초하여 자동 제어로 DC 레벨을 조정하는 모드이다. 하이 게인 모드에서는, 초기 상태로부터 고속으로 DC 레벨을 조정한다. 그러나, 로우 게인 모드에서는, 입력 신호의 DC 레벨 변화에 대하여 완만하게 추종된다. 또한, ML 모드에서는,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216)로부터의 등화 오차 신호에 기초하여 PRML에 대한 최적의 DC 레벨 조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ML 모드에서 원하는 성능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적응 등화가 종료하고 있는 상태가 바람직하다.
비대칭성 제어부 (212)은 오프셋 제어부 (211)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비대칭성을 조정한다. 비대칭성 제어부 (212)에서는, 신호파형이 기준 레벨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비대칭인 경우, 이 비대칭성을 보정하여, 대칭에 가깝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 비대칭성 제어부(212)도 하이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및 ML 모드를 갖고 있다. 이들 모드는 시퀀서(23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태에 따라서 모드가 전환된다. 각 모드의 특성은 오프셋 제어부(211)의 특성과 동일하다.
진폭 제어부(213)는 비대칭성 제어부(212)로부터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진폭 을 조정한다. 또한, 이 진폭 제어부(213)도 하이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및 ML 모드를 갖는다. 이들 모드는 시퀀서(230)로부터 제어 신호에 의해 상태에 따라서 모드가 전환된다. 각 모드의 특성은 오프셋 제어부(211)의 특성과 동일하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214)는 샘플링 클록의 타이밍에서, 진폭 제어부(213)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값으로 변환한다.
적응 등화기(215)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4)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원하는 부분 응답(PR) 파형에 적응 등화시킨다. 시퀀서(230)의 제어 신호에 의존하여, 적응 등화기(215)의 탭계수를 학습할지의 여부를 전환시킨다. 원하는 등화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위상 동기한 상태에서 학습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216)는 적응 등화 신호를 소정의 PR 등급에 기초하여 최우도 추정법 복호화한다, 예컨대, 등급 PR(3443)에 기초하여 최우도 추정법 복호화를 수행하여 2진 데이터를 얻는다. 이 경우, 이상 레벨과 적응 등화 신호 간의 오차량을 등화 오차 신호로 하여 오프셋 제어부(211), 비대칭성 제어부(212), 진폭 제어부(213) 및 적응 등화기(215)의 블록에 보낸다. 이 경우, 기록 데이터 열은 프레임이라고 불리는 1116 bit 데이터로서 기록된다. 동기 복조기(217)는 프레임들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24 bit의 2진 데이터열(SYNC 코드)를 검출하여, 후속하는 복조 처리를 위한 12 bit 동기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동기 복조기(217)에서는, 12 bit의 2진 데이터를, 미리 정한 규칙에 따라서 8 bit의 재생 데이터로 복조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타이밍 리커버리부(220)는 재생 신호 클록의 위상과 샘플링 클록의 위상을 동기시키도록 샘플링 클록을 생성한다. 타이밍 리커버리부(220)는 위상 제어부를 포함한다. 모드 전환은 시퀀서(2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수행된다. 모드로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신호의 위상과 샘플링 클록의 위상을 서로 비교하여, 샘플링 클록 생성부에 위상 오차를 피드백하는 하이 게인 모드와, 최우도 추정법 복호 결과와 등화 오차 신호에 기초하여 위상 비교를 수행하여 위상 피드백을 수행하는 ML 모드가 서로 전환된다. ML 모드에서 원하는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적응 등화가 종료하고 있는 상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타이밍 리커버리부(220)는 주파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샘플링 클록의 주파수를 제어하여, 위상 인입이 수행될 수 있는 범위까지 주파수를 조정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주파수 검출부(218)는 ADC 신호에 기초하여 샘플링 클록과 재생 신호 클록 간의 주파수 차를 검출한다. 주파수 검출시에, 주파수 검출 신호, 및 주파수 오차 신호를 출력한다.
동기 복조기(217)는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216)로부터의 최우도 추정법 복호 출력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 또한, 동기 신호가 소정의 간격으로 연속하여 검출된 경우, 동기 복조기(217)는 위상 동기 검출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동기 복조기(217)는 복조 출력을 후속 단의 오차 수정 회로 등(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한다.
시퀀서(230)는 주파수 검출 신호, 주파수 오차 신호 및 위상 동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오프셋 제어, 비대칭성 제어, 진폭 제어, 타이밍 리커버리 및 적응 등화기의 각 블록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주파수 검출 신호와 주파수 오차 신호에 기초하여 샘플링 클록의 주파수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주파수 제어가 온 상태에 있는 경우, 주파수 검출 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주파수 오차 신호에 기초로 하여 주파수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샘플링 클록 주파수를 증감한다. 주파수 인입 상태에서는, 위상 인입을 정지시킨다. 위상이 동기된 후에는, 주파수 인입은 정지된다.
타이밍 리커버리부(220)는 디지털 전압 제어 발진기를 이용한 위상 동기 루프(PLL) 회로를 포함한다. 발진기로부터의 출력(샘플링 클록)은 외부 재생 클록과의 위상 동기 상태를 얻도록 설계된다.
이하, 시퀀서에 의해 수행되는 각 블록의 제어 동작을 설명한다.
도 2a는 시퀀서(230)의 상태 천이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시퀀서(230)에 의한 각 블록의 제어 상태 천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는 시퀀서(230)의 조건 판정과, 다음 상태에서의 목적지를 표에 통합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a에서, 상태 S0∼S5는 시퀀서의 각 상태(도 2b의 0 내지 4)를 의미한다. 참조 번호 T0∼T8은 각 상태 간의 천이 조건을 나타낸다.
기호 S0는 오프셋, 비대칭성, 진폭 제어를 주파수 제어가능한 정도로 조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기호 S1는 주파수 제어를 위상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을 정도까지 조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기호 S2는 위상 인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기호 S3은 적응 등화를 시작하여, 위상 동기의 판정을 대기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S4는 정적 리드 상태를 나타낸다.
전원이 온 상태로 된 후, 또는 광학 디스크의 재생 시작 이전에, 시퀀서의 상태를 S0로 초기화한다. SO의 기간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셋 제어 부(211), 비대칭성 제어부(212) 및 진폭 제어부 (213)는 하이 게인 모드로 설정되며, 적응 등화기(215), 주파수 제어(CFC) 및 위상 제어는 오프 상태로 설정된다. 다음에, 오프셋, 비대칭성, 진폭 제어의 수속을 검출하는 경우, 조건 TO가 성립하여, S1으로의 천이가 수행된다. 도 2c는, SO에서, T0=1이 만족되는 경우 후속 상태가 S1임을 보여주고 있다. 조건 T2, T4, T6, T7, T8와 같이, 표에 ×로 표시되는 조건은 1 또는 O일 수 있다.
이때, 오프셋 제어부(211), 비대칭성 제어부(212), 진폭 제어부(213)를 로우 게인 모드로 하고, 주파수 제어(CFC)를 온 상태로 설정한다.
주파수 오차가 임계값 이하로 설정되는 경우, 조건 T2이 성립되어, 상태 S2로의 천이가 수행된다. 이때, 위상 제어를 하이 게인 모드로 설정한다. 다음, 위상 인입의 완료시, 조건 T4가 성립하여, 상태 S3로의 천이가 수행된다.
이때, 적응 등화기(215)를 하이 게인 모드로 설정하고 위상 제어를 ML 모드로 설정한다. 여기서, 정상 리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임을 검출한 경우, 조건 T8이 성립하여, 상태 S4로의 천이가 수행된다.
그러나, 정상 리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 소정의 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T7가 성립하여 상태S2로의 천이가 수행된다. 또한, 주파수 제어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위상 인입이 실패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주파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주파수를 미세 조정하여, 상태 S2에서의 위상 인입으로부터 동작을 재시작한 다. 이러한 처리는 정상 리드 가능한 상태가 된 것이 검출될 때까지 반복한다. 또한, 상태 S1으로의 천이를 완전히 일시적으로 수행하여, 주파수 인입 제어로부터 동작을 재시작할 수도 있다.
다음, 정상적인 리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조건 T8이 성립하여, 상태 S4로의 천이를 수행한다. 이때, 오프셋과 비대칭성을 ML 모드로 설정하고 적응 등화기를 로우 게인 모드로 설정하며 주파수 제어를 오프 상태로 설정한다.
조건 T8에서 정상 리드가 수행될 수 있는 상태는, 위상 동기 및 적응 등화가 충분히 성공하여, 재생 신호가 일정 레벨 이상의 성능을 갖고 재생 신호를 판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태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여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동기 신호는 동기 복조시 소정의 간격으로 연속하여 검출되는 것을 판정하고 있다. 그러나, 항상 이 방법이 이용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태 S3에서, 주파수 오차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조건T6이 성립하여 상태 S1으로부터 동작을 재시작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3a, 도 3b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퀀서의 상태 천이도와, 시퀀서의 상태 천이 테이블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3a에서, 참조번호 S0 내지 S5는 시퀀서의 각 상태를, T0 내지 Tl0은 각 상태 사이의 천이 조건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한 시퀀서(230)에 의해 구한 각 블록의 상태 천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c는 시퀀서(230)의 조건 판정과, 다음 상태에서의 목적지를 표에 통합하여 전체적으 로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상태 S5가 추가되는 점에서 도 3a와 상이하다. 이 상태 S5를 가하는 것에 의해, VFO 영역을 갖는 디스크에서의 고속 액세스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상태 S5는 VFO 영역에 기록되어 있고 일정주파수를 갖는 VF0를 이용한 고속 인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랜덤 기록 가능/판독 가능 디스크에서는, 많은 경우, 각 기록의 선두에서, VFO라 불리고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소정의 길이를 갖고 기록된다. 재생시에, VFO 영역을 이용하여 주파수 인입과 위상 인입을 수행하여 고속의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태 S0 내지 S4의 천이는 도 2a의 실시형태의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전원이 턴온된 후, 시퀀서의 상태는 상태 SO로 초기화된다. 이 상태 SO의 기간에서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프셋 제어부(211), 비대칭성 제어부(212), 및 진폭 제어부(213)가 하이 게인 모드로 설정되며, 적응 등화기(215), 주파수 제어(CFC) 및 위상 제어는 오프 상태로 설정된다. 오프셋, 비대칭성, 진폭 제어의 수속을 검출하는 경우, 조건 T0이 성립되고, 상태 S1으로의 천이가 수행된다. 도 3c는, 상태 SO 에서, TO= 1가 만족되는 경우, 다음 상태가 상태 S1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테이블에 있어서, 어떤 상태로부터 복수의 상태로 천이하는 경우에는, 그 상태들이 조건의 값(1과 0)의 조합에 의해 하여 서로 식별될 수 있다. 예컨대, 상태 S3로부터 상태 S4로의 천이가 수행되는 경우, 조건 T5, T6, T7, T8이, 예컨대, 0, 0, 0, 1인 값을 각각 갖는다. 조건 T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방법에 대해서는 여러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데이터의 비트 수를 4비트로 설정하고 그 데이터를 비트 컨텐츠로 표현한다.
상태 S1 내지 S4에서, VF0 영역이 검출되면, 조건 T1, T3, T5, 또는 T9이 성립하여, 상태 S5로의 천이가 수행된다.
상태 S5의 기간에서, 오프셋 제어부(211), 비대칭성 제어부(212), 및 진폭 제어부(213)는 로우 게인 모드로 설정되며, 적응 등화기(215), 주파수 제어는 오프 상태로 설정되며, 위상 제어는 VF0 전용으로 된다(도 3b의 상태 S5).
위상 인입이 종료했을 때 조건 TlO가 성립하여, 상태 S3으로의 천이가 수행된다. 이때, 적응 등화기(215)를 하이 게인 모드로 설정하고, 위상 제어를 ML 모드로 설정한다. 이 경우, 정상 리드가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되지 않는 경우, 도 2a의 경우에서와 같이, 상태 S2 또는 상태 S3로부터 동작을 재시작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시퀀서(230)는 천이 조건 T0 내지 T10을 유효/무효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도 2a, 도 2b 및 도 3a 및 도 3b의 상태 천이를 하나의 시퀀서로 실현할 수도 있다. 재생될 디스크를, 디스크 상에 기록된 식별 정보 등을 이용하여 식별함으로써, 최적의 상태 천이도가 선택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 상태에서의 각 블록의 제어 신호의 값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 디스크에 대하여 최적의 시퀀스의 실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도 4는 시퀀서(230)의 기능들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예컨대,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서, 상태 천이를 도 2a에 도시한 모드, 도 3a에 도시한 모드로 임의로 전환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제어될 각 블록의 여러 게인들을 제공하여, 게인들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천이 모드 선택부 및 게인 선택부가 설치된다. 이 천이 모드 선택부 및 게인 선택부는 디스크 판별 결과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천이 모드 및 게인 설정 데이터를 전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디스크 판별에 대해서는, 디스크가 장치 자체적으로 자동 판별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강제적으로 판별정보를 부여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주파수 제어는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수행한다고 했다. 그러나, 주파수 제어가 하이 게인 동작 상태 및 로우 게인 동작 상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실행 단계에서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요소를 변형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적절히 조합하여 여러가지의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형태에 표시되는 전체 구성요소로부터 몇몇 구성요소를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서로 적절하게 조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최우도 추정법 복호 처리를 최적의 환경에서, 최적의 상태로 항상 수행하기 때문에, 안정된 재생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추가 이점 및 변형예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세부 설명 및 여기 설명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더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규정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고 여러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1)

  1.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의 재생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로서,
    상기 재생 신호의 파형을 등화하는 전치 파형 등화기와;
    상기 전치 파형 등화기로부터의 출력의 DC 레벨을 조정하는 오프셋 제어부와;
    상기 오프셋 제어부로부터의 출력의 비대칭성을 보정하는 비대칭성 제어부와;
    상기 비대칭성 제어부로부터의 출력의 진폭을 제어하는 진폭 제어부와;
    상기 진폭 제어부로부터의 출력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의 출력을 적응 등화하여 원하는 부분 응답 파형을 출력에 제공하는 적응 등화기와;
    상기 적응 등화기로부터의 출력을 복호화하여 2진 데이터를 얻고, 또한 입력 신호와 이상 신호 간의 오차 정보를 얻는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의 출력 주파수를 감시하여, 상기 출력 주파수가 원하는 주파수가 되도록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샘플링 신호 주파수를 제어하는 주파수 제어 장치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의 출력 위상을 감시하여, 상기 출력 위 상이 원하는 위상이 되도록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샘플링 신호 위상을 제어하는 위상 제어 장치와;
    상기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로 얻어지는 오차 정보를 귀환시키는 모드(ML 모드)를, 적어도 상기 주파수 제어 장치와 위상 제어 장치로부터의 출력이 각각 소정의 제어 범위로 설정될 때까지는, 상기 오프셋 제어부와, 비대칭성 제어부와, 진폭 제어부와, 적응 등화기에 대하여 오프 상태로 유지시키고, 출력이 미리 결정된 제어 범위에 도달할 때까지는, 상기 오프셋 제어부, 비대칭성 제어부, 진폭 제어부, 적응 등화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온으로 하는 시퀀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서는 상태 천이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기록 정보의 재생을 개시하기 전에,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상기 오프셋 제어부, 비대칭성 제어부, 진폭 제어부, 적응 등화기, 주파수 제어 장치, 위상 제어 장치의 모드 각각을 적어도 하이 게인 모드와 로우 게인 모드로 전환하여 상태 천이를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제어부, 비대칭성 제어부, 진폭 제어부, 적응 등화기, 주파수 제어 장치, 위상 제어 장치의 6개 블록들의 각각을 적어도 하이 게인 모드와 로우 게인 모드로 전환하여 상태 천이를 수행하는 수단은,
    상기 6개 블록들을 각각 하이 게인 모드, 하이 게인 모드, 하이 게인 모드, 오프 상태, 오프 상태 및 오프 상태로 설정하여, 주파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정도로 오프셋, 비대칭성 및 진폭 제어를 조정하는 상태 SO로의 천이를 수행하고;
    상기 6개 블록들을 각각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오프 상태, 온 상태 및 오프 상태로 설정하여, 위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정도로 주파수 제어를 조정하는 상태 S1로의 천이를 수행하고;
    상기 6개 블록들을 각각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오프 상태, 온 상태 및 하이 게인 모드로 설정하여, 위상 인입을 수행하는 상태 S2로의 천이를 수행하고;
    상기 6개 블록들을 각각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하이 게인 모드, 온 상태 및 ML 모드로 설정하여, 적응 등화를 시작하고 위상 동기의 판정을 대기하는 상태 S3으로의 천이를 수행하고;
    상기 6개 블록들을 ML 모드, ML 모드, ML 모드, 로우 게인 모드, 오프 상태 및 ML 모드로 설정하여, 정상 판독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 S4로의 천이를 수행하는 것인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천이를 수행하는 수단은 상기 6개 블록들을 각각,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오프 상태, 오프 상태, 및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트랙상에서 소정의 주파수를 갖고 VFO 영역 상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판독하여 위상 정합을 수행하는 VF0 전용 상태로 설정하는 상태 S5로의 천이를 더 수행하는 것인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서는 상태 S0 내지 S4 간에 상태 천이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와, 상태 S0 내지 S5 간에 상태 천이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6.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의 재생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방법으로서,
    상기 재생 신호의 파형을 등화하는 전치 파형 등화기와, 상기 전치 파형 등화기로부터의 출력의 DC 레벨을 조정하는 오프셋 제어부와, 상기 오프셋 제어부로부터의 출력의 비대칭성을 보정하는 비대칭성 제어부와, 상기 비대칭성 제어부로부터의 출력의 진폭을 제어하는 진폭 제어부와, 상기 진폭 제어부로부터의 출력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의 출력을 적응 등화하여 원하는 부분 응답 파형을 출력에 제공하는 적응 등화기와, 상기 적응 등화기로부터의 출력을 복호화하여 2진 데이터를 얻고, 또한 입력 신호와 이상 신호 간의 오차 정보를 얻는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의 출력 주파수를 감시하여, 상기 출력 주파수가 원하는 주파수가 되도록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샘플링 신호 주파수를 제어하는 주파수 제어 장치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의 출력 위상을 감시하여, 상기 출력 위상이 원하는 위상이 되도록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샘플링 신호 위상을 제어하는 위상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최우도 추정법 복호기로 얻어지는 오차 정보를 귀환시키는 모드(ML 모드)를, 적어도 상기 주파수 제어 장치와 위상 제어 장치로부터의 출력이 각각 소정의 제어 범위로 설정될 때까지는, 상기 오프셋 제어부와, 비대칭성 제어부와, 진폭 제어부와, 적응 등화기에 대하여 오프 상태로 유지시키고, 출력이 미리 결정된 제어 범위에 도달할 때까지는, 상기 오프셋 제어부, 비대칭성 제어부, 진폭 제어부, 적응 등화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온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 재생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태 천이 처리를 수행하는 시퀀서를 가지며, 상기 시퀀서는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기록 정보의 재생을 개시하기 전에,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상기 오프셋 제어부, 비대칭성 제어부, 진폭 제어부, 적응 등화기, 주파수 제어 장치, 위상 제어 장치의 모드 각각을 적어도 하이 게인 모드와 로우 게인 모드로 전환하는 것인 디지털 데이터 재생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제어부, 비대칭성 제어부, 진폭 제어부, 적응 등화기, 주파수 제어 장치, 위상 제어 장치의 6개 블록들의 각각을 적어도 하이 게인 모드와 로우 게인 모드로 전환하여 상태 천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6개 블록들을 각각 하이 게인 모드, 하이 게인 모드, 하이 게인 모드, 오프 상태, 오프 상태 및 오프 상태로 설정하여, 주파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정도로 오프셋, 비대칭성 및 진폭 제어를 조정하는 상태 SO로의 천이를 수행하고;
    상기 6개 블록들을 각각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오프 상태, 온 상태 및 오프 상태로 설정하여, 위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정도로 주파수 제어를 조정하는 상태 S1로의 천이를 수행하고;
    상기 6개 블록들을 각각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오프 상태, 온 상태 및 하이 게인 모드로 설정하여, 위상 인입을 수행하는 상태 S2로의 천이를 수행하고;
    상기 6개 블록들을 각각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하이 게인 모드, 온 상태 및 ML 모드로 설정하여, 적응 등화를 시작하고 위상 동기의 판정을 대기하는 상태 S3으로의 천이를 수행하고;
    상기 6개 블록들을 ML 모드, ML 모드, ML 모드, 로우 게인 모드, 오프 상태 및 ML 모드로 설정하여, 정상 판독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 S4로의 천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데이터 재생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제어부, 비대칭성 제어부, 진폭 제어부, 적응 등화기, 주파수 제어 장치, 위상 제어 장치의 6개 블록들을 각각,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오프 상태, 오프 상태, 및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트랙상에서 소정의 주파수를 갖고 VFO 영역 상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판독하여 위상 정합을 수행하는 VF0 전용 상태로 설정하는 상태 S5로의 천이를 더 수행하는 디지털 데이터 재생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제어부, 비대칭성 제어부, 진폭 제어부, 적응 등화기, 주파수 제어 장치, 위상 제어 장치의 6개 블록들을 각각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하이 게인 모드, 온 상태 및 ML 모드로 설정하여, 적응 등화를 시작하고 위상 동기의 판정을 대기하는 상태 S3로의 천이를 수행하는 경우에서도,
    정상 판독을 수행할 수 있음을 소정의 기간 동안 검출하지 못한 때에는, 상태 S2로의 천이를 수행하고 위상 인입으로부터 동작을 다시 시작하는 디지털 데이터 재생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제어부, 비대칭성 제어부, 진폭 제어부, 적응 등화기, 주파수 제어 장치, 위상 제어 장치의 6개 블록들을 각각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로우 게인 모드, 하이 게인 모드, 온 상태 및 ML 모드로 설정하여, 적응 등화를 시작하고 위상 동기의 판정을 대기하는 상태 S3로의 천이를 수행하는 경우에서도,
    정상 판독을 수행할 수 있음을 소정의 기간 동안 검출하지 못한 때에는, 상태 S1으로의 천이를 수행하고 위상 인입으로부터 동작을 다시 시작하는 디지털 데이터 재생 방법.
KR1020050102106A 2004-10-29 2005-10-28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678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15891 2004-10-29
JP2004315891A JP2006127661A (ja) 2004-10-29 2004-10-29 デジタルデータ再生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288A KR20060052288A (ko) 2006-05-19
KR100678444B1 true KR100678444B1 (ko) 2007-02-05

Family

ID=3626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106A KR100678444B1 (ko) 2004-10-29 2005-10-28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92804A1 (ko)
JP (1) JP2006127661A (ko)
KR (1) KR100678444B1 (ko)
CN (1) CN1783307A (ko)
TW (1) TW20063097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2913B2 (en) * 2005-10-03 2010-12-14 Clariphy Communications, Inc. High-speed receiver architecture
US8483343B2 (en) * 2005-10-03 2013-07-09 Clariphy Communications, Inc. High-speed receiver architecture
US8831074B2 (en) 2005-10-03 2014-09-09 Clariphy Communications, Inc. High-speed receiver architecture
US7778320B2 (en) * 2005-10-03 2010-08-17 Clariphy Communications, Inc. Multi-channel equalization to compensate for impairments introduced by interleaved devices
US8139630B2 (en) * 2005-10-03 2012-03-20 Clariphy Communications, Inc. High-speed receiver architecture
US8094056B2 (en) * 2006-02-02 2012-01-10 Clariphy Communications, Inc. Analog-to-digital converter
US8284870B1 (en) * 2006-02-07 2012-10-09 Link—A—Media Devices Corporation Timing loop
US7917563B1 (en) 2006-02-07 2011-03-29 Link—A—Media Devices Corporation Read channel processor
JP4826438B2 (ja) * 2006-11-15 2011-11-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ディスク記録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JP4941515B2 (ja) * 2009-07-02 2012-05-30 富士通株式会社 受信回路、オフセット調整方法、及び送受信システム
CN102243880B (zh) * 2011-03-16 2015-02-18 中国科学院上海光学精密机械研究所 变参数自适应prml数据接收器及其数据处理方法
US11671285B1 (en) * 2022-05-27 2023-06-06 Nanya Technology Corporation Signal receiv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7726A (ja) * 1994-09-06 1996-03-22 Hitachi Ltd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誤り検出方法および記録媒体再生装置
US5760984A (en) * 1995-10-20 1998-06-02 Cirrus Logic, Inc. Cost reduced interpolated timing recovery in a sampled amplitude read channel
KR100244767B1 (ko) * 1997-06-25 2000-02-15 전주범 디지탈 자기 기록/재생 시스템의 선택적 동기/비동기 부분 응답 채널 데이터 검출 장치
US6023386A (en) * 1997-10-31 2000-02-08 Cirrus Logic, Inc. Fault tolerant sync mark detector for synchronizing a time varying sequence detector in a sampled amplitude read channel
US6816328B2 (en) * 2000-06-20 2004-11-09 Infineon Technologies North America Corp. Pseudo-synchronous interpolated timing recovery for a sampled amplitude read channel
JP3609721B2 (ja) * 2000-12-19 2005-01-12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ジタルデータ再生方法
JP4133474B2 (ja) * 2003-03-13 2008-08-13 富士通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信号記録再生回路および情報記録再生方法
JP2006127679A (ja) * 2004-10-29 2006-05-18 Toshiba Corp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再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288A (ko) 2006-05-19
TW200630970A (en) 2006-09-01
JP2006127661A (ja) 2006-05-18
US20060092804A1 (en) 2006-05-04
CN1783307A (zh)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444B1 (ko)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JP3331090B2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データ再生処理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JP3540222B2 (ja) 光ディスクシステムのデータ再生装置
US7256953B2 (en) Data synchronizing signal detector, signal processing device using the detector,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he detector and the device, data synchronizing signal detect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for using in the method
US5448424A (en) AGC circuit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ing AGC circuit
TW200818132A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o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on the medium
JPH0773598A (ja) タイミング抽出回路とこれを用いた記録再生装置
JP4109173B2 (ja) 適応等化装置、及び適応等化方法
US20070025224A1 (en) Optical disk drive
US6922384B2 (e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JP2002190165A (ja) デジタル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ジタルデータ再生方法
JP2005093053A (ja) データ再生装置及び方法
JPH097304A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WO2006100981A1 (ja) 情報記録媒体、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
JP2002230904A (ja) 情報再生装置
JP2001110146A (ja) 再生装置
JPH0869672A (ja) データ処理装置
JP3949660B2 (ja) 光記録再生装置用等化装置およびその等化方法
JP3693592B2 (ja) データ再生装置
JPH11203795A (ja) 光ディスクの復号装置
US20070115785A1 (e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JPH09330564A (ja) ディジタル情報再生装置
JP2004342290A (ja) 光学記憶媒体からの読み出し信号を復号するための電子回路、光学記憶媒体を読み出すための電子装置、光学記憶媒体を読み出すため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JP3781163B2 (ja) 再生装置
JP2004039178A (ja) デジタル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