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359B1 - 용지가이드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용지가이드방법 - Google Patents

용지가이드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용지가이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359B1
KR100675359B1 KR1020050033443A KR20050033443A KR100675359B1 KR 100675359 B1 KR100675359 B1 KR 100675359B1 KR 1020050033443 A KR1020050033443 A KR 1020050033443A KR 20050033443 A KR20050033443 A KR 20050033443A KR 100675359 B1 KR100675359 B1 KR 100675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guide
paper guide
detection sensor
predetermined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3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359B1/ko
Priority to US11/384,543 priority patent/US20060239763A1/en
Priority to CNA2006100777148A priority patent/CN1850565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2Frames; Beds;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22Equipment for exact control of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t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2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2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2Distance
    • B65H2511/222Stro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자동으로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할 수 있는 용지가이드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용지가이드방법이 개시된다. 용지가이드장치는 급지 트레이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 가이드; 용지 가이드를 이송하는 가이드 이송부; 및 가이드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토대로 용지 가이드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지를 급지 트레이에 자동으로 정렬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용지가이드장치의 수동조작에 따른 사용자의 번거로움과 조작의 어려움을 없앨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작의 정확성의 저하에 따른 사행 또는 스큐 급지에 의한 인쇄품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급지 트레이, 용지, 가이드, 정렬, 고정, 자동

Description

용지가이드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용지가이드방법{paper-guiding apparatus,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and paper-guiding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용지가이드장치가 적용된 복합기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복합기의 용지가이드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선 I-I을 따라 취한 용지가이드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일치하는 용지가이드장치가 적용된 복합기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복합기의 용지가이드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5 에 도시한 복합기의 용지가이드장치의 제어부의 블록도.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선 II-II를 따라 취한 용지검출센서의 부분 단면도.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도 5에 도시한 복합기의 용지가이드장치의 위치검출센서의 부분 정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일치하는 용지가이드장치가 적용된 복합기의 용지가이드방법의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복합기 101: 급지 장치
110: 급지 트레이 112, 114: 받침대
120: 용지가이드장치 122: 용지 가이드
129: 위치조정부 130: 용지검출센서
131, 145: 센싱부 134, 147: 센싱액츄에이터
143: 위치검출센서 152: 가이드 이송부
153: 모터 155: 랙
157: 피니언 165: 제어부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 복합기, 레이저빔 프린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 장치에 사용되는 용지가이드장치,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용지가이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 복합기, 레이저빔 프린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급지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급지 장치는 복수 매의 용지를 적재하는 급지 카세트 또는 급지 트레이, 및 급지 트레이에 설치되고 급지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는 용지가이드장치를 구비한다. 용지가이드장치는 크기가 다른 여러 가지 용지를 크기에 따라 정렬 및 고정하고, 용지의 급지시 용지가 스큐(Skew)되지 않고 급지되도록 가이드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용지가이드장치(20)를 구비하는 복합기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가이드장치(20)는 좌,우방향(화살표(A, B)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급지 트레이(10)의 내부 받침대(14)에 설치된 용지 가이드(21)를 구비한다.
용지 가이드(21)는 정렬 가이드부(22), 이동손잡이(24), 록킹부(28), 및 이동 가이드부(32)를 구비한다.
정렬 가이드부(22)는 용지의 일측 가장자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면(23)을 구비하는 수직벽으로 구성된다.
정렬 가이드부(22)의 전방 상부에는 이동손잡이(24)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록킹부(28)는 록킹해제 손잡이(29), 록킹 돌기(30; 도 3 참조), 및 록킹가이드 돌기(31)를 구비한다. 록킹해제 손잡이(29)는 이동손잡이(24)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정렬 가이드부(22)의 전방 상부에 형성된다. 록킹해제 손잡이(29)의 양측에는 록킹해제 손잡이(29)가 사용자에 의해 그리핑(Gripping)될 때 바닥부분(29a)이 위로 들어올려지도록 제1 및 제2절개홈(34; 하나만 도시함)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 돌기(30)는 록킹해제 손잡이(29)의 바닥부분(29a)에 형성된 하나의 일자형 돌기로 구성된다. 록킹가이드 돌기(31)는 록킹 돌기(30)에 대향하게 내부 받침대(14)의 전방에 가로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톱니형 돌기로 구성된다. 록킹 돌기(30)는, 록킹해제 손잡이(29)가 사용자에 의해 그리핑될 때는 록킹해제 손잡이(29)의 바닥부분(29a)과 함께 위로 들어올려져 록킹가이드 돌기(31)로부터 이격되어 자유상태로 되고, 록킹해제 손잡이(29)에 대해 그리핑되는 힘이 제거될 때는 바닥부분(29a)과 함께 아래로 복귀하여 록킹가이드 돌기(31)와 맞물리게 된다.
이동가이드부(32)는 정렬가이드부(22)의 하부에서 정렬가이드부(22)와 일체로 연결된 ㄷ자형 브라켓 형태로 형성된다. 이동가이드부(32)는 내부 받침대(14)의 가이드용 절개부(18)와 급지 트레이(10)의 외부 받침대(12)의 후단부 사이의 공간을 따라 좌,우로 가이드된다. 외부 받침대(12)는 후단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13, 13')를 통해 본체 프레임(15)에 힌지 고정된다.
이동 가이드부(32)의 후단 내면에는 긴 가이드돌출부(33)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돌출부(33)는 내부 받침대(14)에 록킹가이드 돌기(31)와 평행하게 형성된 긴 가이드홈(16)에 삽입된다. 가이드돌출부(33)는, 용지 가이드(21)가 용지의 일측 가장자리를 정렬 및 고정할 때, 가이드부(22)의 가이드면(23)의 어느 일단에 작용된 힘이 타단에 전달되어 가이드면(23)이 비틀려지는 것을 방지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용지가이드장치(2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급지 트레이(10)의 외부 및 내부 받침대(12, 14)위에 다수 매의 용지가 적재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록킹해제 손잡이(29)와 이동손잡이(24)를 손으로 그리핑여 록킹해제 손잡이(29)가 이동손잡이(24) 쪽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면, 록킹해제 손잡이(29)의 바닥부분(29a)은 록킹 돌기(30)와 함께 위로 들어올려져 록킹가이드 돌기(31)로부터 이격되고, 그 결과, 록킹 돌기(30)는 록킹가이드 돌기(31)와 맞물 리지 않는 자유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용지 가이드(21)는 이동 가이드부(32)의 가이드돌출부(33)가 가이드홈(16)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용지의 일측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우측방향(도 2의 회살표(A)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후, 정렬 가이드부(22)의 가이드면(23)이 용지의 일측 가장자리에 도달하면, 가이드면(23)은 용지의 일측 가장자리와 접촉하면서 용지를 우측으로 밀게 되고, 그 결과, 용지는 가이드면(23)과 내부 받침대(14)의 제1측벽(17)의 내측면 사이에 정렬된다. 이때, 제1측벽(17)의 내측면은 용지의 정렬기준면이 된다.
용지가 정렬된 후, 사용자가 록킹해제 손잡이(29)와 이동손잡이(24)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록킹해제 손잡이(29)의 바닥부분(29a)은 아래로 하강하여 원위치되고, 록킹 돌기(30)는 용지 가이드(21)를 록킹하도록 록킹가이드 돌기(31)와 다시 맞물리게 된다. 그 결과, 용지는 정렬된 세팅위치에 고정된다.
그후, 용지는 픽업롤러 어셈블리(도시하지 않음)의 픽업롤러를 통하여 가이드면(23)과 제1측벽(17)의 내측면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픽업되고, 일련의 인쇄과정을 수행하는 화상형성부(도시하지 않음)로 이동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용지가이드장치(20)는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용지 가이드(21)를 이동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 종래의 용지가이드장치(20)는 용지 가이드(21)를 록킹 돌기(30)와 록킹가이드 돌기(31) 사이의 물리적인 맞물림을 통해 록킹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록킹 돌기(30)와 록킹가이드 돌기(31)를 서로 록킹하거나 해제하는 조작이 어려울 뿐 아 니라, 무리한 조작시 구성부품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제작오차 등에 의해 록킹 돌기(30)와 록킹가이드 돌기(31)가 너무 꽉 맞물리게 제작될 경우, 록킹 돌기(30)를 록킹가이드 돌기(31)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록킹해제 작동부(29)를 무리하게 동작하거나, 록킹돌기(30)가 록킹가이드 돌기(31)로부터 완전히 이격되지 않은 상태에서 용지 가이드(21)를 무리하게 이동시키면, 록킹해제 손잡이(29), 록킹돌기(30), 록킹가이드 돌기(31) 등의 구성부품들이 파손되기 쉽다.
또한, 종래의 용지가이드장치(2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용지 가이드(21)를 이동시키므로, 조작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그에 따라 용지를 정확하게 가이드면(23)과 제1측벽(17)의 내측면 사이에 정렬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용지가 급지 트레이(10)에 정확하게 정렬 및 고정되지 못하면, 용지가 인쇄를 위해 픽업될 때 사행 또는 스큐(skew) 급지되는 요인이 되어 인쇄품질을 불량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를 자동으로 정렬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동조작에 따른 사용자의 번거로움과 조작의 어려움을 없앰과 동시에 조작의 정확성의 저하에 따른 사행 또는 스큐 급지에 의한 인쇄품질 불량을 방지하도록 한 용지가이드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용지가이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장치는 급지 트레이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 가이드; 용지 가이드를 이송하는 가이드 이송부; 및 가이드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토대로 용지 가이드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이드 이송부는 모터,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피니언, 및 피니언의 회전력을 용지 가이드에 전달하도록 용지 가이드와 연결되고,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치조정부는 급지 트레이에 용지가 적재되었는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용지검출센서, 용지에 의해 동작하도록 용지 가이드에 설치되고,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 및 용지검출센서와 위치검출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용지 가이드를 이송하도록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하고, 용지 가이드의 이송시 위치검출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용지 가이드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도록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용지 검출센서와 위치검출센서는 각각 포토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 위치검출센서는, 용지 가이드에 설치되고,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센싱부; 및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센싱단부, 적어도 일단부가 용지 가이드 밖으로 제1소정거리(d) 만큼 돌출된 작동단부, 및 용지 가이드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센싱단부와 작동단부를 연결하는 지지봉을 구비하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액튜에이터의 작동단부는 오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제1소정거리(d)는 0.5 내지 1.5mm의 범위를 갖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용지검출센서와 위치검출센서의 동작에 따라 용지 가이드를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는 세팅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용지검출센서가 '온'신호를 출력하고 위치검출센서가 '오프'신호를 출력할 때 용지 가이드를 용지와 접촉하는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하고, 용지 가이드가 용지와 접촉하여 위치검출센서가 '온'신호를 출력할 때 용지 가이드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도록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한다.
또, 제어부는, 용지검출센서가 '온'신호를 출력하고 위치검출센서가 '온'신호를 출력할 때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이 '온'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용지 가이드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하고, 용지 가이드가 용지와 접촉하여 위치검출센서가 '온'신호를 출력할 때 용지 가이드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도록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한다.
용지 가이드의 정지위치는, 용지 가이드가 용지와 접촉하여 위치검출센서가 '온'신호를 출력할 때 용지 가이드를 제2소정거리(X) 만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소정거리(X)의 2배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다시 제2소정거리(X) 만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위치검출센서가 다시 '온'신호를 발생하는지의 유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소정거리(X)는 용지의 정렬 허용오차에 상응하는 거리,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mm의 범위를 갖는 것이 좋다.
또한, 제어부는 용지검출센서와 위치검출센서의 동작에 따라 용지 가이드를 용지의 적재를 대기하는 대기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용지검출센서가 '오프'신호를 출력하고 위치검출센서가 '오프'신호를 출력할 때 용지 가이드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하고, 용지 가이드가 대기위치에 도달하여 위치검출센서가 '온'신호를 출력할 때 용지 가이드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한다. 이때, 용지가이드장치는 급지 트레이에 설치되고, 용지 가이드가 대기위치에 도달할 때 용지 가이드가 대기위치 너머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함과 동시에 위치검출센서를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적재하는 급지 트레이, 및 급지 트레이에 설치되고 용지의 폭에 맞추어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는 용지가이드장치를 포함하며; 용지가이드장치는, 급지 트레이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 가이드; 용지 가이드를 이송하는 가이드 이송부; 및 가이드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토대로 용지 가이드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이드 이송부는 모터,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피니언, 및 피니언의 회전력을 용지 가이드에 전달하도록 용지 가이드와 연결되고,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치조정부는 급지 트레이에 용지가 적재되었는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용지검 출센서, 용지 가이드에 설치되고,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 및 용지검출센서와 위치검출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용지 가이드를 이송하도록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하고, 용지 가이드의 이송시 위치검출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용지 가이드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도록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위치검출센서는, 용지 가이드에 설치되고,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센싱부; 및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센싱단부, 적어도 일단부가 용지 가이드 밖으로 제1소정거리(d) 만큼 돌출된 작동단부, 및 용지 가이드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센싱단부와 작동단부를 연결하는 지지봉을 구비하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소정거리(d)는 0.5 내지 1.5mm의 범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지 가이드의 정지위치는, 용지 가이드의 이송시 용지 가이드가 용지와 접촉하여 위치검출센서가 '온'신호를 출력할 때 용지 가이드를 제2소정거리(X) 만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소정거리(X)의 2배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다시 제2소정거리(X) 만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위치검출센서가 다시 '온'신호를 발생하는지의 유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소정거리(X)는 용지의 정렬 허용오차에 상응하는 거리,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mm의 범위를 갖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방법은 급지 트레이의 용지적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급지 트레이의 용지 적재 유무에 따라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용지 가이드의 위치에 따라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용지 가이드가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는 세팅위치와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지 않는 비세팅 위치 중 하나로 판단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용지 가이드의 위치가 비세팅 위치인 것으로 판단될 때, 및 용지 가이드의 위치가 세팅위치로 판단되더라도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이 '온'된 후 소정시간 이내인 것으로 판단될 때 용지 가이드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용지 가이드가 용지와 접촉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토대로 용지 가이드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용지 가이드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용지와 접촉하는 용지 가이드의 위치에서부터 소정거리(X) 만큼 제1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는 단계, 용지 가이드를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소정거리(X)의 2배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 이동시키는 단계, 용지 가이드를 제1방향으로 소정거리(X) 만큼 이동시키는 단계, 용지 가이드가 용지와 접촉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용지 가이드가 용지와 접촉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용지 가이드의 정지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소정거리(X)는 용지의 정렬 허용오차에 상응하는 거리,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mm의 범위를 갖는 것이 좋다. 또, 용지 가이드의 정지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용지 가이 드가 용지와 접촉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 용지 가이드의 이동을 정지하는 단계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급지 트레이에 용지가 적재되지 않을 때 용지 가이드를 용지의 적재를 대기하는 대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대기위치와 비대기 위치 중 하나로 판단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용지 가이드의 위치가 비대기 위치인 것으로 판단될 때 용지 가이드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용지 가이드가 대기위치에 도달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용지 가이드가 대기위치에 도달할 때 용지 가이드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용지 가이드가 대기위치에 도달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용지 가이드가 대기위치에 위치한 스토퍼와 접촉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지 가이드가 대기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급지 트레이에 용지가 적재될 때 용지 가이드를 세팅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용지가이드방법은 급지 트레이에 용지가 적재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급지 트레이에 용지가 적재된 것으로 판단될 때 용지 가이드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용지 가이드가 용지와 접촉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토대로 용지 가이드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지가이드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용지가이드방법을 첨부도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가이드장치가 적용되는 화상형성장치로써, 인쇄기능, 복사기능, 및 스캐닝기능을 구비하는 복합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복합기(100)는 용지를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급지장치(101)를 포함한다. 급지장치(101)는 복수 매의 용지를 적재하는 급지 카세트 또는 급지 트레이(110), 급지 트레이(110)에 적재된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는 용지가이드장치(120), 및 본체 내부에서 급지 트레이(110) 위쪽에 설치되고, 급지 트레이(110)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여 복합기 내부로 공급하는 픽업롤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픽업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
여기서, 급지 트레이(110)와 용지가이드장치(120)를 제외한 픽업부는 본 발명의 요지를 구성하지 않고, 또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급지 트레이(110)는 외부 및 내부 받침대(112, 114)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받침대(112)는 외부 케이스(103)의 개구(104)를 오픈하거나 밀폐하도록 양측 후단부에 형성된 힌지부(113, 113')를 통해 내부 프레임(105)에 힌지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내부 받침대(114)는 내부 프레임(105)상에 설치되고, 경사벽(119)과 제1 및 제2측벽(117, 118)을 구비한다. 경사벽(119)에는 급지 트레이(110)에 적재된 용지가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될 때 한 장씩 급지되도록 용지를 분리하는 다수의 용지분리부재(119a)가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제1측벽(117)은 용지가 급지트레이(110)에 적재될 때 용지의 제1가장자리를 정렬 및 고정하는 정렬기준면의 역할을 하는 내측면(117a)를 구비한다.
용지가이드장치(120)는 용지 가이드(122), 가이드 이송부(152), 및 위치조정부(129)를 구비한다.
용지 가이드(122)는 용지의 제2가장자리를 정렬 및 고정하는 가이드면(123)을 구비한 장방형 판체로 구성된다. 용지 가이드(122)의 하부에는, 용지 가이드(122)가 후술하는 가이드 이송부(152)의 랙(155)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용지 가이드(122)를 랙(155)의 일측 단부에 고정하는 연결부(158)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58)는 나사 등과 같은 적당한 고정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랙(155)에 고정되며, 랙(155)의 이송시 내부 받침대(114)의 앞쪽에서 가로로 형성된 긴 가이드홈(159)을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 이송부(152)는 용지 가이드(122)를 좌,우방향(도 5의 화살표(A,B)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153), 피니언(157), 및 랙(155)으로 구성된다.
모터(153)는 내부 프레임(105)에 형성된 고정브라켓(175)에 고정 및 지지된다.
피니언(157)은 모터(153)의 구동축(154)의 단부에 형성된다.
랙(155)은 용지 가이드(122)를 이송하도록 일측 단부의 상면에서 용지 가이드(122)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158)와 연결되어 있다. 랙(155)의 하면에는 피니언(157)과 맞물리는 랙기어(156)가 형성된다. 따라서, 피니언(157)이 모터(153)의 구동축(154)에 의해 회전할 때, 랙(155)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용지 가이드 (122)를 상응하는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위치조정부(129)는, 가이드 이송부(152)의 동작을 제어하고, 용지 가이드(122)의 이송시 용지 가이드(122)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용지 가이드(122)의 위치를 토대로 용지 가이드(122)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는 것으로, 용지검출센서(130), 위치검출센서(143), 및 제어부(165)를 포함한다.
용지검출센서(130)는 급지 트레이(110)에 용지가 적재되었는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으로, 용지에 의해 동작되도록 급지 트레이(110)의 내부 받침대(114)의 우측에 설치된다.
용지검출센서(130)는 제1센싱부(131), 및 제1센싱액츄에이터(134)를 구비하는 포토센서로 구성된다.
제1센싱부(131)는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있는 발광부(도시하지 않음)와 수광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센싱액츄에이터(134)는 제1작동단부(136), 제1센싱단부(135), 제1지지봉(140), 및 탄성스프링(138)을 구비한다. 제1작동단부(136)는 내부 받침대(114)에 형성된 개구(116)를 통해 위로 돌출된다. 제1센싱단부(135)는 제1센싱부(131)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설치되고, 바(Bar) 형태로 형성된다. 제1센싱단부(135)는 제1센싱부(131)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를 차단하거나 개방하여 제1센싱부(131)를 동작한다. 제1지지봉(140)은 양단부가 내부 받침대(114)의 하면에 고정된 브라켓(139, 139')에 지지된다. 탄성스프링(138)은 제1지지봉(140) 둘레에 감기도록 설치된다. 탄성스프링(138)의 양단부는 제1작동단부(136) 가 내부 받침대(114)의 개구(116)를 통해 위로 돌출하는 탄성력을 받도록 내부 받침대(114)의 하면과 제1작동단부(136)에 각각 형성된 고정걸이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P)가 급지 트레이(110)의 내부 받침대(114)에 적재될 때, 제1작동단부(136)는 용지(P)의 무게에 의해 내부 받침대(114)의 개구(116)를 통해 아래로 눌러지고, 그 결과, 제1작동단부(136)는 제1지지봉(14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작동단부(136)에 연결된 제1센싱단부(135)는 제1센싱부(131)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에서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이동하고, 제1센싱부(131)는 용지(P)가 있음을 검출하는 '온'신호, 즉 하이신호를 발생한다.
반대로,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P)가 내부 받침대(114)에서 제거되거나 완전히 소모되면, 제1작동단부(136)는 탄성스프링(138)의 탄성력에 의해 내부 받침대(114)의 개구(116)를 통해 위로 돌출하게 되고, 그 결과, 제1작동단부(136)는 제1지지봉(140)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센싱단부(135)는 개방위치에서 차단위치로 복귀하고, 제1센싱부(131)는 용지(P)가 없음을 검출하는 '오프'신호, 즉 로우신호를 발생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위치검출센서(143)는 용지 가이드(122)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으로, 용지 가이드(122)에 설치된다.
위치검출센서(143)는 제2센싱부(145)와 제2센싱액츄에이터(147)를 구비하는 포토센서로 구성된다.
제2센싱부(145)는 용지 가이드(122)의 후단에 형성된 제1설치개구(125)에 설 치되고,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있는 발광부(도시하지 않음)와 수광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제2센싱액츄에이터(147)는 제2센싱단부(148), 제2작동단부(150), 및 제2지지봉(149)을 구비한다. 제2센싱단부(148)는 제2센싱부(145)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설치되고, 바 형태로 형성된다. 제2센싱단부(148)는 제2센싱부(145)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를 차단하거나 개방하여 제2센싱부(145)를 동작한다. 제2작동단부(150)는 용지 가이드(122)의 중앙에 형성된 제2설치개구(124)에 배치된 오각형 형태의 판 부재로 형성된다. 내부 받침대(114)에는 용지 가이드(122)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이라도 제2작동단부(150)가 자유롭게 동작할 수 있도록 제2작동단부(150)의 이동경로를 따라 길게 형성된 동작가이드홈(160)이 형성되어 있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작동단부(150)의 양측면(151)은 용지 및 후술하는 스토퍼(170)와 쉽게 접촉할 수 있도록 수직면 형태로 형성되며, 용지 가이드(122) 밖으로 제1소정거리(d)(도 8a 참조) 만큼 돌출된다. 양측면(151)이 용지 가이드(122), 특히 가이드면(123) 밖으로 돌출되는 제1소정거리(d), 즉 제2작동단부(150)의 동작거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지 가이드(122)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는 동안 용지가 용지 가이드(122)에 의해 제2소정거리(X) 만큼 밀린 후 양측면(151)이 용지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원위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2센싱단부(148)가 제2센싱부(145)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의 차단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2소정거리(X) 보다 작게 설정된다. 예를들면, 제1소정거리(d)는 0.5 내지 1.5mm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지지봉(149)은 제1 및 제2설치개구(125, 124) 사이에 형성된 고정홀 (126)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제2센싱단부(148)와 제2작동단부(150)를 고정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 가이드(122)가 용지와 접촉하거나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지 않은 비세팅 위치에 있을 때나, 스토퍼(170)와 접촉하여 용지의 적재를 대기하지 않는 비대기 위치에 있을 때, 제2작동단부(150)는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하지 않는 수직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2지지봉(149)을 통해 제2작동단부(150)와 연결된 제2센싱단부(148)는 제2센싱부(145)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의 차단위치에 위치하고, 제2센싱부(145)는 용지 가이드(122)가 비세팅 위치 또는 비대기 위치에 있음을 나타내는 '오프'신호, 즉 로우신호를 발생한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 가이드(122)가 가이드 이송부(152)의 랙(155)에 의해 우측방향(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하여 용지(P)와 접촉하는 접촉위치 또는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는 세팅위치에 위치할 때, 제2작동단부(150)는 용지(P)에 의해 밀려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제2지지봉(149)을 통해 제2작동단부(150)와 연결된 제2센싱단부(148)는 제2센싱부(145)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의 차단위치에서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이동하고, 제2센싱부(145)는 용지 가이드(122)가 접촉위치 또는 세팅위치에 있음을 나타내는 '온'신호, 즉 하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 가이드(122)가 가이드 이송부(152)의 랙(155)에 의해 좌측방향(화살표(B)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토퍼(170)와 접촉하는 대기위치에 도달할 때, 제2작동단부(150)는 스토퍼(170)에 의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 전된다. 그 결과, 제2센싱단부(148)는 차단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하고, 제2센싱부(145)는 용지 가이드(122)가 대기위치에 있음을 나타내는 '온'신호, 즉 하이신호를 발생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65)는, 내부 받침대(114) 뒷쪽에서 내부프레임(105)에 설치되고, 복합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166)과 모터(153)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구동회로(167)를 집적한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마이콤(166)과 모터구동회로(167)는 연결선(178)을 통해 용지검출센서(130)와 위치검출센서(143), 및 모터(153)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165)는 급지 트레이(110)에 용지가 적재될 때 용지 가이드(122)의 위치에 따라 용지 가이드(122)를 세팅위치로 이송시키도록 가이드 이송부(152)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5)의 마이콤(166)은 급지 트레이(110)에 용지가 적재되고 용지 가이드(122)가 비세팅 위치에 있을 때, 즉 용지검출센서(130)의 제1센싱부(131)가 하이신호를 발생하고 위치검출센서(143)의 제2센싱부(145)가 로우신호를 발생할 때 용지 가이드(122)를 용지와 접촉하는 방향, 즉 우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어신호를 모터구동회로(167)에 출력하여 가이드 이송부(152)의 모터(153)의 구동을 제어하고, 용지 가이드(122)가 용지와 접촉하는 접촉위치에 도달할 때 위치검출센서(143)의 제2센싱부(145)에서 발생되는 하이신호에 따라 용지 가이드(122)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는 제어신호를 모터구동회로(167)에 출력하여 모터 (153)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 마이콤(166)은, 급지트레이(110)에 용지가 적재되고 용지 가이드(122)가 세팅위치에 있을 때, 즉 용지검출센서(130)의 제1센싱부(131)가 하이신호를 발생하고 위치검출센서(143)의 제1센싱부(145)가 하이신호를 발생할 때, 용지 가이드(122)가 세팅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용지 가이드(122)를 이송시키지 않고 그 위치에 유지시키는 제어신호를 모터구동회로(167)에 출력하여 모터(153)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러나, 마이콤(166)은, 용지검출센서(130)의 제1센싱부(131)가 하이신호를 발생하고 위치검출센서(143)의 제1센싱부(145)가 하이신호를 발생하더라도, 복합기(100)의 전원이 '온'된 직후, 즉 복합기(100)의 전원이 '온'된 후 소정시간, 예를들면 5초가 경과하지 않았으면, 용지 가이드(122)를 우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어신호를 모터구동회로(167)에 출력하여 가이드 이송부(152)의 모터(153)의 구동을 제어한 다음, 용지 가이드(122)가 접촉위치에 도달하여 위치검출센서(143)의 제1센싱부(145)가 하이신호를 발생할 때 용지 가이드(122)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는 제어신호를 모터구동회로(167)에 출력하여 모터(153)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 이유는 용지검출센서(130)의 제1센싱부(131)와 위치검출센서(143)의 제1센싱부(145)가 모두 하이신호를 발생하는 경우에는 용지 가이드(122)가 세팅위치에 위치하므로, 용지 가이드(122)를 다시 세팅위치로 이송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나, 복합기(100)의 전원 오프시 사용자에 의한 용지 가이드(122)의 이동 등에 의해 용지의 정렬상태 등의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복합기(100)의 전원이 처음 '온'될 때는 이 를 조정하는 동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마이콤(166)에 의한 용지 가이드(122)의 정지위치 조정은, 용지 가이드(122)가 접촉위치에 도달하여 위치검출센서(143)의 제2센싱부(145)가 하이신호를 발생할 때 용지 가이드(122)를 제2소정거리(X) 만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소정거리(X)의 2배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 좌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다시 제2소정거리(X) 만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2센싱부(145)가 다시 하이신호를 발생하면 용지 가이드(122)를 정지시키도록 모터(153)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수행된다. 만일, 이때, 제2센싱부(145)가 로우신호를 발생하면, 하이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용지 가이드(122)를 우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동작과 용지 가이드(122)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여기서, 제2소정거리(X)는 용지와 제1측벽(117)의 내측면(117a) 및 용지 가이드(122)의 가이드면(123) 사이의 정렬 허용오차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mm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용지 가이드(122)를, 용지의 정렬 허용오차를 고려하여 용지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고, 다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최초위치로 복귀시킨 다음, 위치검출센서(143)가 용지에 의해 동작하는지의 유무에 따라 용지 가이드(122)의 정지여부를 결정하는 이유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일 용지가 용지 가이드(122)의 가이드면(123)과 제1측벽(117)의 내측면(117a) 사이에서 가이드면(123)에서부터 돌출된 제2작동단부(150)의 동작범위, 즉 제1소정거리(d)(즉, 0.5 내지 1.5mm의 범위) 보다 작은 제1갭으로 정렬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용지 가이드(122)의 정지위치 조정을 위해 가이드면(123)이 용지를 제2 소정거리(X)(즉, 2 내지 5mm의 범위) 만큼 우측방향으로 밀 때, 용지는 제1갭과 제2소정거리(X) 사이의 차이 만큼 구부러진다. 그 후, 가이드면(123)이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시 최초위치에 복귀하면, 용지는 다시 최초 상태로 펴지면서 가이드면(123)과의 사이에 제1갭을 갖는 상태로 정렬된다. 이때, 제2작동단부(150)는 제1갭 보다 큰 제1소정거리(d)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에 의해 밀리게 된다. 그 결과, 제2센싱단부(148)는 제2센싱부(145)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제2센싱부(145)는 하이신호를 발생한다.
반대로, 용지가 가이드면(123)과 내측면(117a) 사이에서 제1소정거리(d) 보다 큰 제2갭으로 정렬으로 정렬되어 있다면, 가이드면(123)이 용지를 제2소정거리(X) 만큼 우측으로 밀 때, 용지는 제2갭과 제2소정거리(X) 사이의 차이 만큼 구부러지거나, 제2소정거리(X) 만큼 밀리게 된다. 그 후, 가이드면(123)이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시 최초위치에 복귀하면, 용지는 다시 가이드면(123)과의 사이에 제2갭을 갖는 상태로 정렬되거나, 가이드면(123)과의 사이에 제2소정거리(X)를 갖는 상태로 정렬된다. 이때, 작동단부(150)는 제2갭 보다 작은 제1소정거리(d)만큼 가이드면(123)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수직위치에 위치한다. 그 결과, 제2센싱단부(148)는 제2센싱부(145)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제2센싱부(145)는 로우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용지 가이드(122)가 최초위치에 복귀할 때, 제2센싱부(143)가 하 이신호를 발생하면, 용지는 정상범위, 즉 제1소정거리(d) 범위 이하의 갭으로 정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반면, 제2센싱부(143)가 로우신호를 발생하면, 비정상 범위, 즉 제1소정거리(d) 범위 이상의 갭으로 정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센싱부(143)가 로우신호를 발생하면, 마이콤(166)은 하이신호가 발생할 때까지 용지 가이드(122)를 우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동작과 용지 가이드(122)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모터구동회로(167)를 통해 모터(153)의 구동을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65)는, 급지 트레이(110)에 용지가 적재되지 않을 때는 용지 가이드(122)의 위치에 따라 용지 가이드(122)를 용지의 적재를 대기하는 대기위치(도 8c)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이송부(152)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5)의 마이콤(166)은, 급지 트레이(100)에 용지가 적재되지 않고 용지 가이드(122)가 대기위치에 위치하지 않을 때, 즉 용지검출센서(130)의 제1센싱부(131)가 로우신호를 발생하고 위치검출센서(143)의 제2센싱부(145)가 로우신호를 발생할 때 용지 가이드(122)를 대기위치로 이송시키는 제어신호를 모터구동회로(167)에 출력하여 가이드 이송부(152)의 모터(153)의 구동을 제어하고, 용지 가이드(122)가 대기위치에 도달할 때 위치검출센서(143)의 동작, 즉 위치검출센서(143)의 제2센싱부(145)에서 발생되는 하이신호에 따라 용지 가이드(122)의 이송을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모터구동회로(167)에 출력하여 모터(153)의 구동을 제어한다.
용지 가이드(122)가 대기위치에 도달할 때 용지 가이드(122)가 대기위치 너 머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함과 동시에 위치검출센서(143)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용지가이드장치(120)는 스토퍼(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70)는 내부 받침대(114)의 제2측벽(118) 근처에서 위치검출센서(143)의 제2작동단부(150)의 이동경로에 배치된다. 따라서, 스토퍼(170)는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용지 가이드(122)가 대기위치에 도달할 때, 용지 가이드(122)가 대기위치 너머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함과 동시에 제2작동단부(15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2센싱단부(148)는 차단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되고, 제2센싱부(145)는 하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마이콤(166)은, 급지 트레이(100)에 용지가 적재되지 않고 용지 가이드(122)가 대기위치에 위치할 때, 즉 용지검출센서(130)의 제1센싱부(131)가 로우신호를 발생하고 위치검출센서(143)의 제2센싱부(145)가 하이신호를 발생할 때 용지 가이드(122)가 대기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용지 가이드(122)를 이송시키지 않고 그 위치에 유지시키는 제어신호를 모터구동회로(167)에 출력하여 모터(153)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용지가이드장치(120)가 적용되는 화상형성장치는 복합기(100)인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한 구성과 원리로 다른 화상형성장치, 예를들면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빔 프린터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용지가이드장치(120)가 적용되는 복합기(100)의 용지가이드방법을 도 9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합기(100)의 전원이 '온'되면(S1), 제어부(165)의 마이콤(166)은,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용지검출센서(130)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급지 트레이(110)에 용지가 적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
즉, S2 단계에서, 마이콤(166)은, 용지검출센서(130)에서 출력된 신호가 하이신호이면, 급지 트레이(110)에 용지가 적재된 것으로 판단하고, 용지검출센서(130)에서 출력된 신호가 로우신호이면, 급지 트레이(110)에 용지가 적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S2 단계에서 판단결과, 급지 트레이(110)에 용지가 적재된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콤(166)은,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위치검출센서(143)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용지 가이드(122)가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는 세팅위치 또는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지 않는 비세팅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3).
즉, S3 단계에서, 마이콤(166)은 위치검출센서(143)에서 출력된 신호가 하이신호이면, 용지 가이드(122)가 세팅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위치검출센서(143)에서 출력된 신호가 로우신호이면, 용지 가이드(122)가 비세팅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S3 단계에서 판단결과, 용지 가이드(122)가 세팅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콤(166)은 복합기(100)의 전원이 '온'된 후 경과한 시간이 소정시간, 예를들면 5초 이내인지를 판단하고(S4), 용지 가이드(122)가 비세팅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S5 단계로 이동한다.
S4 단계에서 판단결과, 복합기(100)의 전원이 '온'된 후 경과한 시간이 5초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콤(166)은 복합기(100)의 전원이 '온'된 후 복합기(100)의 전원 오프시 발생할 수 있는 용지의 정렬변동을 조정하기 위한 S5 내지 S10단계의 동작을 이미 실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S11 단계로 이동한다.
S4 단계에서 판단결과, 복합기(100)의 전원이 '온'된 후 경과한 시간이 5초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콤(166)은 복합기(100)의 전원 오프시 발생할 수 있는 용지의 정렬변동을 조정하기 위하여, 모터구동회로(167)를 통해 가이드 이송부(152)의 모터(153)를 일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여 용지 가이드(122)를 용지의 제2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우측방향(도 5의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시킨다(S5). 이때, 모터(153)의 동력은 구동축(154), 피니언(157), 및 랙기어(156)를 통해 랙(155)에 전달되므로, 연결부(158)를 통해 랙(155)과 연결된 용지 가이드(122)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후, 용지 가이드(122)가 용지의 제2가장자리 근처에 도달하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검출센서(143)의 제2작동단부(150)는 용지와 접촉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제2센싱단부(148)는 제2센싱부(145)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의 차단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하고, 제2센싱부(145)는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제2센싱부(145)가 하이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마이콤(166)은 용지 가이드(122)의 가이드면(123)이 용지의 제2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접촉위치에 있음을 판단하고(S6), 모터구동회로(167)를 통해 모터(153)를 일방향으로 더 구동하도록 제어 하여 소정거리(X), 예를들면 2 내지 5mm 만큼 우측방향으로 더 이동시키고, 모터(15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S7). 이때, 용지가 가이드면(123)과 제1측벽(117)의 내측면(117a) 사이에 조금의 갭도 없는 상태로 완전히 정렬되어 있다면, 용지는 가이드면(123)이 미는 힘에 의해 구부러져 있다가, 다음 단계(S8)에서 가이드면(123)이 좌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어서, 마이콤(166)은 모터구동회로(167)를 통해 모터(153)를 타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여 용지 가이드(122)의 가이드면(123)을 소정거리(X)의 2배 만큼, 즉 4 내지 10mm만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모터(15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S8).
그리고, 마이콤(166)은 다시 모터구동회로(167)를 통해 모터(153)를 일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여 소정거리(X), 즉 2 내지 5mm 만큼 우측방향로 이동시킨 후 모터(15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S9). 이때, 용지 가이드(122)는 S6 단계에서 가이드면(123)이 처음으로 용지의 제2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접촉위치, 즉 제2센싱부(145)가 처음으로 하이신호를 발생한 위치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마이콤(166)은 다시 가이드면(123)이 용지의 제2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 즉 위치검출센서(143)의 제2센싱부(145)에서 출력된 신호가 하이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
S10 단계에서 판단결과, 제2센싱부(145)에서 출력된 신호가 하이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콤(166)은 용지가 정상범위 내에서 정확히 정렬된 것으로 판단하고, 용지 가이드(122)를 조정된 세팅위치에 유지한다(S11). 이때, 용지의 제2가장 자리와 가이드면(123) 사이의 거리는 제2작동단부(150)가 가이드면(123)에서 돌출된 제1소정거리(d), 즉 제2작동단부(150)가 용지에 의해 제2센싱부(145)를 동작하는 거리인 예를들면 0.5 내지 1.5mm이하로 유지된다.
그러나, S10 단계에서 판단결과, 제2센싱부(145)에서 출력된 신호가 로우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콤(166)은 용지가 정확히 정렬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위의 S5 내지 S9 단계 까지의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S2 단계에서 판단결과, 급지 트레이(110)에 용지가 적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콤(166)은 도 8a 및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위치검출센서(143)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용지 가이드(122)가 용지의 적재를 대기하는 대기위치 또는 용지의 적재를 대기하지 않는 비대기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12).
즉, 마이콤(166)은, 위치검출센서(143)에서 출력된 신호가 하이신호이면, 용지 가이드(122)가 대기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로우신호이면, 용지 가이드(122)가 비대기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S12 단계에서 판단결과, 용지 가이드(122)가 대기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콤(166)은 S15 단계로 이동하고, 용지 가이드(122)가 비대기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용지 가이드(122)를 대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모터구동회로(167)를 통해 모터(153)를 타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여, 구동축(154), 피니언(159) 및 랙(155)을 통해 용지 가이드(122)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S13).
그 후, 용지 가이드(122)가 대기위치에 도달하면,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 이, 위치검출센서(143)의 제2작동단부(150)는 스토퍼(170)와 접촉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제2센싱단부(148)는 제2센싱부(145)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의 차단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하고, 제2센싱부(145)는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제2센싱부(145)가 하이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마이콤(166)은 용지 가이드(122)의 가이드면(123)이 스토퍼(170)와 접촉하는 대기위치에 위치함을 판단하고 (S14), 모터구동회로(167)를 통해 모터(153)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용지 가이드(122)를 대기위치에 유지한다(S15).
이후, 마이콤(165)은 급지 트레이(110)에 용지가 적재될 때 용지 가이드(122)를 세팅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S2 단계와 같은 방법으로 급지 트레이(110)에 용지가 적재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6).
S16 단계에서 판단결과, 급지 트레이(110)에 용지가 적재된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콤(166)은 용지 가이드(122)를 세팅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S5 단계 이후의 동작을 반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지 가이드 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용지가이드방법은 용지를 급지 트레이에 자동으로 정렬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동조작에 따른 사용자의 번거로움과 조작의 어려움을 없앨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작의 정확성의 저하에 따른 사행 또는 스큐급지에 의한 인쇄품질 불량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위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5)

  1. 삭제
  2. 급지 트레이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 가이드;
    상기 용지 가이드를 이송하는 가이드 이송부; 및
    상기 용지의 규격 및 적재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가이드 이송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이송부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의 회전력을 상기 용지 가이드에 전달하도록 상기 용지 가이드와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장치.
  3. 급지 트레이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 가이드;
    상기 용지 가이드를 이송하는 가이드 이송부; 및
    상기 용지의 규격 및 적재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가이드 이송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급지 트레이에 용지가 적재되었는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용지검출센서;
    상기 용지에 의해 동작하도록 상기 용지 가이드에 설치되고, 상기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 및
    상기 용지검출센서와 상기 위치검출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용지 가이드를 이송하도록 상기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하고, 상기 용지 가이드의 이송시 상기 위치검출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용지 가이드의 상기 정지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검출센서는 포토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센서는 포토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센서는,
    상기 용지 가이드에 설치되고,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센싱부; 및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센싱단부, 적어도 일단부가 용지 가이드 밖으로 제1소정거리(d) 만큼 돌출된 작동단부, 및 상기 용지 가이드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센싱단부와 상기 작동단부를 연결하는 지지봉을 구비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단부는 오각형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정거리(d)는 0.5 내지 1.5m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검출센서가 '온'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위치검출센서가 '오프'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용지 가이드를 용지와 접촉하는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하고, 상기 용지 가이드가 용지와 접촉하여 상기 위치검출센서가 '온'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용지 가이드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검출센서가 '온'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위치검출센서가 '온'신호를 출력할 때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이 '온'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하고, 상기 용지 가이드가 용지와 접촉하여 상기 위치검출센서가 '온'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용지 가이드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가이드의 상기 정지위치는, 상기 용지 가이드가 용지와 접촉하여 상기 위치검출센서가 '온'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용지 가이드를 제2소정거리(X) 만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소정거리(X)의 2배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다시 상기 제2소정거리(X) 만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위치검출센서가 다시 '온'신호를 출력하는지의 유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정거리(X)는 용지의 정렬 허용오차에 상응하는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정거리(X)는 2 내지 5m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트레이에 설치되고, 상기 용지 가이드가 용지의 적재를 대기하는 대기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용지 가이드가 상기 대기위치 너머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위치검출센서를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검출센서가 '오프'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위치검출센서가 '오프'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용지 가이드를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하고, 상기 용지 가이드가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여 상기 위치검출센서가 '온'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용지 가이드의 이송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장치.
  15. 삭제
  16. 용지를 적재하는 급지 트레이; 및
    상기 급지 트레이에 설치되고 용지의 폭에 맞추어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는 용지가이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가이드장치는,
    상기 급지 트레이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 가이드;
    상기 용지 가이드를 이송하는 가이드 이송부; 및
    상기 용지의 규격 및 적재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가이드 이송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이송부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의 회전력을 상기 용지 가이드에 전달하도록 상기 용지 가이드와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용지를 적재하는 급지 트레이; 및
    상기 급지 트레이에 설치되고 용지의 폭에 맞추어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는 용지가이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가이드장치는,
    상기 급지 트레이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 가이드;
    상기 용지 가이드를 이송하는 가이드 이송부; 및
    상기 용지의 규격 및 적재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가이드 이송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급지 트레이에 용지가 적재되었는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용지검출센서;
    상기 용지 가이드에 설치되고, 상기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 및
    상기 용지검출센서와 상기 위치검출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용지 가이드를 이송하도록 상기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하고, 상기 용지 가이드의 이송시 위치검출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용지 가이드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가이드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센서는,
    상기 용지 가이드에 설치되고,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센싱부; 및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센싱단부,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용지 가이드 밖으로 제1소정거리(d) 만큼 돌출된 작동단부, 및 상기 용지 가이드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센싱단부와 상기 작동단부를 연결하 는 지지봉을 구비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정거리(d)는 0.5 내지 1.5m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가이드의 상기 정지위치는, 상기 용지 가이드의 이송시 상기 용지 가이드가 용지와 접촉하여 상기 위치검출센서가 '온'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용지 가이드를 제2소정거리(X) 만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소정거리(X)의 2배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다시 상기 제2소정거리(X) 만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위치검출센서가 다시 '온'신호를 출력하는지의 유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정거리(X)는 용지의 정렬 허용오차에 상응하는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정거리(X)는 2 내지 5m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삭제
  24. 급지 트레이의 용지적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급지 트레이의 상기 용지적재 유무에 따라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기 용지 가이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상기 용지 가이드가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는 세팅위치와 용지를 정렬 및 고정하지 않는 비세팅 위치 중 하나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용지 가이드의 위치가 상기 비세팅 위치인 것으로 판단될 때, 및 상기 용지 가이드의 위치가 상기 세팅위치로 판단되더라도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이 '온'된 후 소정시간 이내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용지 가이드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용지 가이드가 용지와 접촉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토대로 상기 용지 가이드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가이드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는 상기 단계는,
    검출된 상기 용지 가이드의 위치에서부터 소정거리(X) 만큼 상기 제1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용지 가이드를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소정거리(X)의 2배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용지 가이드를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소정거리(X) 만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용지 가이드가 상기 용지와 접촉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용지 가이드가 상기 용지와 접촉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용지 가이드의 정지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거리(X)는 용지의 정렬 허용오차에 상응하는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거리(X)는 2 내지 5m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가이드의 상기 정지여부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용지 가이드가 상기 용지와 접촉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용지 가이드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 이드방법.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판단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상기 용지 가이드가 용지의 적재를 대기하는 대기위치와 용지의 적재를 대기하지 않는 비대기 위치 중 하나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용지 가이드의 위치가 상기 비대기 위치인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용지 가이드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용지 가이드가 상기 대기위치에 도달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용지 가이드가 상기 대기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용지 가이드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가이드가 상기 대기위치에 도달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용지 가이드가 상기 대기위치에 위치한 스토퍼와 접촉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트레이에 용지가 적재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급지 트레이에 상기 용지가 적재된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용지 가이드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용지 가이드가 상기 용지와 접촉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용지 가이드의 위치를 토대로 상기 용지 가이드의 정지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가이드방법.
  34. 삭제
  35. 삭제
KR1020050033443A 2005-04-22 2005-04-22 용지가이드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용지가이드방법 KR100675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443A KR100675359B1 (ko) 2005-04-22 2005-04-22 용지가이드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용지가이드방법
US11/384,543 US20060239763A1 (en) 2005-04-22 2006-03-21 Paper-guid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CNA2006100777148A CN1850565A (zh) 2005-04-22 2006-04-24 导纸装置,具有该导纸装置的成像设备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443A KR100675359B1 (ko) 2005-04-22 2005-04-22 용지가이드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용지가이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5359B1 true KR100675359B1 (ko) 2007-01-30

Family

ID=37132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443A KR100675359B1 (ko) 2005-04-22 2005-04-22 용지가이드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용지가이드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239763A1 (ko)
KR (1) KR100675359B1 (ko)
CN (1) CN18505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067B1 (ko) * 2012-09-27 2014-12-16 주식회사 푸른기술 매체용지 처리기의 번들 픽업기구
KR102125711B1 (ko) * 2020-04-07 2020-06-23 황인 금속 박판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5148B2 (ja) * 2008-12-26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紙幅検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757910B2 (en) * 2009-08-30 2014-06-24 Pitney Bowes Inc. Printer mounting arrangement for feed guide mechanisms
CN104071608B (zh) * 2014-06-27 2016-09-07 宁波荣华办公用品有限公司 输稿器中的纸张定位机构
CN105398239A (zh) * 2015-12-11 2016-03-16 天津瑞美富晨科技有限公司 可切换打印纸类型的打印机
CN105365399A (zh) * 2015-12-11 2016-03-02 大连中盈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复合功能的打印机
JP6772628B2 (ja) * 2016-07-28 2020-10-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規制部材
CN108128644B (zh) * 2016-12-01 2021-05-07 纳思达股份有限公司 纸盘和图像形成装置
CN107215689A (zh) * 2017-06-27 2017-09-29 莫佩行 打印机进纸盒
CN107298324A (zh) * 2017-06-27 2017-10-27 莫佩行 打印机纸张固定装置
CN111148635B (zh) * 2017-09-07 2022-06-1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用于装订打印作业的系统、方法和介质
JP7399384B2 (ja) * 2019-11-29 2023-12-18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載置装置、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067B1 (ko) * 2012-09-27 2014-12-16 주식회사 푸른기술 매체용지 처리기의 번들 픽업기구
KR102125711B1 (ko) * 2020-04-07 2020-06-23 황인 금속 박판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39763A1 (en) 2006-10-26
CN1850565A (zh) 200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359B1 (ko) 용지가이드장치,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용지가이드방법
US7618037B2 (en) Paper feeding apparatus of image forming device and paper feeding method thereof
US7604232B2 (en) Sheet feeding device
JP2018154457A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システム
US6834854B2 (en) Sheet supply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808747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シート給送装置
US11066260B2 (en) Sheet lo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loading device
JP6593298B2 (ja) 画像形成装置
JP6920841B2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システム
US20220063298A1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US7810806B2 (en) Paper feed mechanism and image generating apparatus with reversely driven feed roller
JP2007022738A (ja) 給紙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6124653A (ja) シート給紙装置
US7396116B2 (en) Ink jet printer having spare ink cartridges
JP2001171893A (ja) 画像形成装置
JP3686023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548822Y2 (ja) 記録紙の搬送機構
KR100268134B1 (ko) 자동 급지장치
JP4498063B2 (ja) 画像形成装置
JPH09188443A (ja) 画像形成装置の手差しトレイ
JP2016088747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154491A (ja) シート供給機構、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249278A (ja) 画像形成装置の排紙装置
JP2006111426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219665B1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