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805B1 -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805B1
KR100672805B1 KR1020030042312A KR20030042312A KR100672805B1 KR 100672805 B1 KR100672805 B1 KR 100672805B1 KR 1020030042312 A KR1020030042312 A KR 1020030042312A KR 20030042312 A KR20030042312 A KR 20030042312A KR 100672805 B1 KR100672805 B1 KR 100672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llel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punch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2756A (ko
Inventor
야소다히사시
쯔치다타카시
Original Assignee
유에이치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에이치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에이치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2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44Mechanical working of the substrate, e.g. drilling or punch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펀칭찌꺼기에 의한 수율의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단부에 상응하는 크기의 펀치와 다이를 구비한 다종의 금형을 굳이 준비하지 않아도 여러가지 크기의 제품 단부에 적응하여 그 제품 단부를 펀칭가공하는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간격조정가능하게 형성한 1쌍의 평행날(S1,S1)과, 적어도 1쌍의 평행날(S1,S1) 사이의 길이를 갖는 중간날(S2)을 구비하고, 상기 1쌍의 평행날 (S1,S1)로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에 형성된 제품 단부(a)의 평행하는 양단 가장자리(a1,a1)를 펀칭하고, 중간날(S2)로 상기 양단 가장자리(a1,a1) 사이의 가장자리 (a2)를 펀칭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CUTTING METHOD OF FLEXIBLE PRINTED-WIRING BOARD}
도 1은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제품의 펀칭공정도로서, 도 1(a)는 제품의 확대평면도이고, 도 1(b)는 평행날로 제품 단부의 평행하는 양단 가장자리를 펀칭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고, 도 1(c)는 중간날로 제품의 평행하는 양단 가장자리 사이의 가장자리를 펀칭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고, 도 1(d)는 상기 중간날로 제품 단부 이외의 외주를 펀칭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2는 가공기의 측면단면도로서, 플렉서블 프린트배선체와 이동기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가공기의 정면단면도로서, 플렉서블 프린트배선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평행날을 커터홀더에 지지하는 평행날 지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중간날을 커터홀더에 지지하는 중간날 지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평행날 지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동 평행날 지지구조의 확대도로서, 도 7(a)는 확대정면도로서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확대측면도로서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중간날 지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동 중간날 지지구조의 확대도로서, 도 9(a)는 확대정면도로서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b)는 확대측면도이다.
도 10은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제품의 펀칭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고, 도 10(a)는 전체길이에 걸쳐서 직선형상을 나타내는 길이가 짧은 제품의 펀칭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고, 도 10(b)는 전체길이에 걸쳐서 직선형상을 나타내는 길이가 긴 제품의 펀칭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S1 … 평행날 S2 … 중간날
FP …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 a … 제품 단부(피결합부)
A … 제품 S1a … 날부
a1,a1 … 제품 단부의 평행하는 양단 가장자리
S1b … 역방향 경사 날부
a2 … 제품 단부의 평행하는 양단 가장자리 사이의 가장자리
a3 … 경사 안내부
본 발명은 일단 또는 양단에 고정밀도의 펀칭대상부를 갖는 제품을 복수개 형성한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으로부터 그 제품을 절단하는 절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에는 일단 또는 양단에 커넥터에 결합되는 피결합부를 갖는 제품이 복수개 형성되고, 펀칭으로 1제품씩 분리된다.
종래, 제품 개개의 펀칭은 일본 특허제2662477호 공보에 개시하는 바와 같이 멀티펀치로 고정밀도를 요하는 그 피결합부를 펀칭한 후 피결합부분을 제거한 제품의 외주를 톰슨(Thompson)형을 이용하여 펀칭하고 있다.
이와 같이, 펀치를 사용하면 선단에 펀칭찌꺼기가 부착된 펀치로 피결합부분의 펀칭이 계속되어서 수율을 나쁘게 한다.
또한, 펀치의 경우, 피결합부분의 형상에 따른 형태의 펀치를 복수종 제작해야만 하고, 제작이 번거롭고, 또한, 그 비용도 높다.
게다가, 피결합부에 일치하는 펀치를 그 때마다 교환할 필요가 생기고, 그 작업도 번거롭고, 재고관리도 골칫거리이다.
또한, 멀티펀치와 같이 피결합부에 따른 형태의 복수종의 펀치를 갖는 펀치유닛을 지지대에 XㆍY축방향 제어이동가능하게 설치한 경우에는 비용이 들고, 또한, 설치공간을 점유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게다가, 톰슨 펀칭은 전용 가공기까지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을 반송하여 행 하기 때문에 전용 가공기의 사용에 의한 설비비가 고가이며 생산비용이 높아진다라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펀칭찌꺼기에 의한 수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단부에 상응하는 크기의 펀치와 다이를 구비한 다종의 금형을 굳이 제작준비하지 않더라도 여러가지 크기의 제품 단부에 적응하여 그 제품 단부를 정밀도 좋게 펀칭가공하는,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또 다른 목적은 톰슨 펀칭을 사용하지 않고 제품의 외주 전체를 펀칭가공하는,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구한 기술적 수단은 1쌍의 평행날과, 적어도 1쌍의 평행날 사이의 길이를 갖는 중간날을 구비하고, 상기 1쌍의 평행날로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에 형성된 제품 단부의 평행하는 양단 가장자리를 펀칭하고, 상기 중간날로 상기 양단 가장자리 사이의 가장자리를 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이다(청구항1).
즉, 1쌍의 평행날과 중간날을 병용하여 펀칭찌꺼기를 발생시키지 않고 제품 단부를 펀칭가공한다.
펀칭가공에 있어서는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에 부여된 타겟마크를 촬상하여 그 중심을 화상처리하여 중심을 검출하거나 패턴매칭법을 사용하여 행한다.
또한, 1쌍의 평행날이 간격조정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여러가지 크기의 제품 단부에 적응시키는데에 있어서 최적인 것이다(청구항2). 이 청구항2에 있어서는 적어도 최소한으로 조정된 1쌍의 평행날 간격의 길이를 갖는 중간날을 사용한다 (청구항2). 또한, 길이가 다른 수종의 중간날 중에서 교환가능하게 선택사용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이다.
게다가, 중간날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에 형성된 제품 단부 이외의 외주부분을 펀칭하도록 하면 톰슨 펀칭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청구항3).
상기 평행날에 있어서의 동일측의 단부 각각을 외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 날부로 구성하고 있으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품(A) 단부 이외의 외주측에 그 날부(S1a)를 향한 상태로 제품(A)의 평행하는 양단 가장자리(a1,a1)를 평행날 (S1,S1)로 펀칭함으로써 중간날(S2)을 이용하여 제품(A) 단부 이외의 외주부분을 펀칭할 때에 상기 날부(S1a)로 펀칭된 개소에 교차하는 중간날(S2)의 펀칭각도의 자유도를 확대시킴으로써 전체길이에 걸쳐서 직선형상을 나타내는 변화가 적은 제품(A)이여도 그 단부 이외의 외주의 펀칭을 중간날(S2)로 연속해서 행하도록 한다(청구항4).
또한, 상기 날부와는 반대측의 평행날 단부 각각을 그 날부와는 역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역방향 경사 날부로 구성하고 있으면 동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행날(S1)에 의한 제품(A) 단부의 평행한 양단 가장자리(a1,a1)의 펀칭 후에 상기 역방향 경사 날부(S1b)에 의한 펀칭부 도중을 교차하도록 중간날(S2)로 펀칭함으로써 제품(A)에 있어서의 양단 가장자리(a1,a1) 선단 양 가장자리부분에 폭치수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평면에서 바라봐서 ハ자형상의 경사 안내부(a3,a3)를 형성하고, 이것이 커넥터로의 접속시의 가이드로 된다(청구항5).
이어서, 본 발명의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도 1은 절단방법의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제품(A)을 복수 형성한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에 있어서의 제품 단부인 피결합부(a)에는 커넥터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고정밀도의 펀칭이 요구되고, 1쌍의 평행날(S1,S1)로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결합부(a)의 평행하는 양단 가장자리(a1,a1)를 동시에 펀칭하고, 또한, 적어도 상기 평행날(S1,S1) 사이의 길이를 갖는 중간날(S2)로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결합부(a)에 있어서의 양단 가장자리(a1,a1) 사이의 가장자리(a2)를 펀칭한 후, 도 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결합부(a)를 제거한 제품(A)의 외주를 상기 중간날(S2)를 몇번 하강시켜서 펀칭하고 있다.
상기 절단방법의 실시형태에서는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FP)에 있어서의 각 제품근방이나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FP)의 원하는 개소에 마크를 부여하고, 상기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FP)을 워크 홀더(WH)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고, 이 워크 홀더(WH)의 하나의 가장자리를 이동기구(K)로 클램프하여 XㆍY축선방향으로 제어이동시켜서 상기 마크를 가공기(M)에 설치되어 있는 촬상수단(카메라)(C)으로 촬상하여 그 중심을 검출한 후, 마크의 중심좌표에 대해서 고정적인 거리를 가지고서 이간하고 있는 제품 단부(a)를 가공기(M)에 설치되어 있는 1쌍의 평행날(S1,S1)과 중간날(S2)을 사용하여 펀칭하고, 제품 단부(a)를 제거한 제품(A)의 외주를 중간날 (S2)로 펀칭하도록 되어 있다(도 2, 도 3참조).
상기 1쌍의 평행날(S1,S1), 중간날(S2)을 갖는 커터홀더(KH) 각각은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쌍의 평행날(S1,S1) 사이의 중간부분, 중간날(S2)의 중간부분에 상당하는 상면부분 각각으로부터 연락용 삽입축(1)을 돌출 형성하고, 가공기(M)에 구동원으로 상하이동가능하게 하는 동력베어링(D)에 상기 연락용 삽입축(1)을 둘레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삽입하고 또한 멈춤나사(100)로 그 임의의 회동각도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둘레방향으로의 회동각도 조정가능한 구성에 의해서 제품 단부(a)를 펀칭할 때의 1쌍의 평행날(S1,S1)의 방향설정, 제품 단부(a)를 펀칭할 때의 중간날(S2)의 방향설정, 제품 단부(a)를 제거한 제품(A)의 외주를 펀칭할 때의 중간날(S2)의 방향설정이 각각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호 101은 멈춤나사(100)의 삽입구멍이다.
가공기(M)의 상세한 설명을 도 2, 도 3을 기초로 설명하면 이 도 2, 도 3은 상기 평행날(S1,S1), 중간날(S2)의 승강기구(2), 회동기구(3)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부호 U는 베이스(E)에 설치되는 대략 コ자형상의 유닛이고, 이 유닛(U)에 상기 동력베어링(D)을 수직상태로 지지하여 이 동력베어링(D) 하단에 상기 연락용 삽 입축(1)을 축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삽입하고, 멈춤나사(100)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동력베어링(D)은 그 중간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친 부분에 스플라인 (d1)을 형성함과 아울러 축외주부 상단에 이송나사부(d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플라인(d1)을 갖는 축부와 이송나사부(d2)를 갖는 축부는 축방향으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걸어맞춰져 있고, 상기 동력베어링(D)에는 상기 스플라인(d1) 외주에 스플라인통(4)을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하여 두고, 상기 동력베어링(D)은 상기 스플라인통(4)을 통해서 타이밍풀리(5)의 내부에 끼워장착되어 있다.
또한, 동력베어링(D) 상부의 이송나사부(d2)에는 너트부재(6)가 끼워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너트부재(6)를 상기 유닛(U) 일단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부케이스 (7)의 지지구멍(17) 내에 대해서 베어링(BL)을 통해서 내부로 끼우고, 상기 너트부재(6)의 하부에는 타이밍풀리(8)가 고정되어 있다.
회동기구(3)는 유닛(U) 내의 수용공간에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모터(스테핑 모터나 서보모터 등)(M1)를 설치하고, 그 출력축(M1')에 설치한 모터풀리(13)와 상기 타이밍풀리(5)에 걸쳐서 타이밍벨트(TB)를 걸어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승강기구(2)는 상부케이스(7)에 설치고정되는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모터(M2)(스테핑모터나 서보모터 등)의 출력축(M2')에 모터풀리(12)를 설치하고, 이 모터풀리(12)와 상기 타이밍풀리(8) 사이에 타이밍벨트(TB)를 걸어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평행날(S1,S1)을 갖는 커터홀더(KH), 중간날(S2)을 갖는 커터홀더(KH)는 도 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나란히 설치하는 유닛(U) 각각에 개별로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모터(M1')의 회전량에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력베어링(D)과 동축인 연락용 삽입축(1)을 둘레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평행날(S1,S1), 중간날(S2)을 그 임의의 회동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고, 또한, 모터(M2)를 정회전, 역회전시켜서 타이밍풀리(8)와 너트부재(6)를 회동시키면 스플라인통(4)에 의해 회동이 규제된 상태로 지지되는 동력베어링(D)이 너트부재(6)와 이송나사부(d2)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커터홀더(KH)를 상하로 제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기구(K)를 제어이동하여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FP)의 각 제품 (A)의 단부를 평행날(S1,S1), 중간날(S2)의 바로밑에 제어이동시킬때마다 모터(M1',M1')를 제어하여 상기 평행날(S1,S1), 중간날(S2)을 원하는 회동각도로 조정하면서 모터(M2',M2')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도 1(b), 도 1(c), 도 1(d)에 나타내는 공정을 가지고서 제품(A)을 펀칭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도 9에 관해서 설명하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1쌍의 평행날(S1,S1)과 길이가 다른 다종 중에서 선택된 중간날(S2)을 교환가능하게 선택사용하여 제품(A) 단부와 함께 제품(A)의 외주를 펀칭가공하는 것이다.
도 6, 도 7은 1쌍의 평행날(S1,S1)의 커터홀더(KH)로의 지지구조(하기에서는 평행날 지지구조로 칭한다)(9)를 나타내며, 도 8, 도 9는 중간날(S2)의 커터홀더 (KH)로의 지지구조(하기에서는 중간날 지지구조로 칭한다)(10)를 각각 나타내고 있 다.
평행날 지지구조(9)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을 개방하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된 커터홀더(KH)의 그 양쪽의 짧은 측면 중앙부에 걸쳐서 둘레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회동축(19)과, 이 회동축(19)의 중앙부를 경계로 각각 절반부에 나사형성된 역나사부(29,29)와, 상기 회동축(19)의 중도부분에 동축상을 가지고서 고정된 제1베벨기어(39)와, 긴 측면의 일면에 회전조작가능하게 관통상태로 설치되어 내측단에 상기 제1베벨기어(39)에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59)를 구비한 조작축(49)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평행날 지지구조(9)의 커터홀더(KH)는 그 내부공간의 짧은측 안길이를 평행날(S1)의 길이보다 자주 조금 넓게 하고 있다.
상기 조작축(49)에는 그 외단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의 삽입용 오목부(49a)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축(49)을 정회전, 역회전함으로써 평행날 (S1,S2)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커터홀더(KH)의 하나의 긴 측면에는 평행날(S1,S1)의 일측 단면에 나사결합하는 고정나사(69)의 축부가 삽입통과하는 가이드 장공(79,7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나사(69)를 꽉조임으로써 간격조정된 팽행날(S1,S1)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중간날 지지구조(1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날(S2)의 베이스부를 삽입이탈가능하게 하는 삽입이탈홈(10a)을 형성한 커터홀더(KH)의 앞면에 멈춤나사 (100)의 삽입구멍(101)을 형성한 구성이고, 멈춤나사(100)를 이완시킴으로써 길이가 다른 중간날(S2)로 교환할 수 있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부호 1은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연락용 삽입축, D는 그 연락용 삽입축(1)이 삽입이탈할 수 있게 동축상에 접속되는 동력베어링, 100은 연락용 삽입축(1)을 그 둘레방향으로 원하는대로 회동시킨 상태로 고정하는 멈춤나사이다
이상과 같이, 조작축(49)을 회전조작하여 평행날(S1,S1)의 간격을 제품(A) 단부의 평행하는 양단 가장자리(a1,a1) 간격에 일치시키고, 상기 이동기구(K)를 제어이동하여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FP)의 각 제품 단부를 평행날(S1,S1), 중간날 (S2) 바로밑에 제어이동시킬 때마다 모터(M1',M1')를 제어하여 평행날(S1,S1), 중간날(S2)을 원하는 회동각도로 조정하면서 모터(M2',M2')를 제어함으로써 여러가지 크기의 제품(A) 단부에 적응하여 상기 도 1(b), 도 1(c), 도 1(d)에 나타내는 공정을 가지고서 제품(A)을 펀칭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2의 실시형태에 관해서는 상술하지는 않지만 중간날(S2)의 길이가 불변인 점을 제외하고는 차이가 없고, 커터홀더(KH)로의 지지구성에 관해서는 도 5나 도 8에 나타내는 구조를 채용한다.
이어서,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 실시형태는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는 평행날(S1,S1)에 있어서의 동일측의 단부 각각을 외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 날부(S1a,S1a)로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날부(S1a,S1a)와는 반대측의 평행날(S1,S1) 단부 각각을 상기 날부(S1a,S1a)와는 역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역방향 경사 날부(S1b,S1b)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0(a)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쌍의 평행날 (S1,S1)로 피결합부(a)의 평행하는 양단 가장자리(a1,a1)를 동시에 펀칭하고, 또한, 역방향 경사 날부(S1b,S1b)로 펀칭된 개소에 교차하도록 중간날(S2)로 피결합부(a)에 있어서의 양단 가장자리(a1,a1) 사이의 가장자리(a2)를 펀칭한 후, 피결합부(a)를 제거한 제품(A)의 외주를 상기 날부(S1a,S1a)로 펀칭한 개소에 교차하도록 박아넣어지는 중간날(S2)의 하강을 시작하여 그 중간날(S2)을 필요수 하강시켜서 전체길이에 걸쳐서 직선형상을 나타내는, 변화가 적은 제품(A)을 펀칭하고 있다.
길이가 짧은 제품(A)는,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품(A)의 외주를 펀칭할 때에 날부(S1a)로 펀칭된 개소에 반드시 교차하도록 하여 중간날(S2)로 펀칭할 수 있다.
또한, 길이가 긴 제품(A)은,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부(S1a)로 펀칭된 개소로의 교차범위의 확대로 중간날(S2)의 펀칭각도의 자유도를 크게 하여 중간날(S2)로 펀칭되는 개소를 확실하게 연속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0(a), 도 10(b) 모두 평행날(S1,S1)에 의한 제품(A) 단부의 평행한 양단 가장자리(a1,a1)를 펀칭한 후에 날부(S1a,S1a)에 의한 펀칭부 도중을 교차하도록 중간날(S2)로 제품 단부의 평행하는 양단 가장자리 사이의 가장자리(a2)를 펀칭함으로써 펀칭된 제품에는 그 단부 선단 양 가장자리부분에 폭치수를 축소하는, 평면에서 바라봐서 ハ자형상의 경사 안내부(a3)가 형성되고, 이것이 커넥터로의 가이드부를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1쌍의 평행날과, 이 평행날 사이의 길이를 갖는 중간날을 구비하고 있고, 평행날과 중간날을 사용하여 제품 단부를 펀칭가공하도록 하고 있고, 펀칭찌꺼기가 펀칭수단에 부착된 채로 펀칭가공을 계속할 우려없이 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쌍의 평행날이 간격조정가능하게 되어 있고, 중간날의 길이를 적어도 최소한으로 조정된 1쌍의 평행날 사이의 길이로 하고 있으면 평행날과 상기 중간날로 여러가지 크기의 제품 단부를 펀칭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 단부에 상응하는 크기의 펀치와 다이를 구비한 다종의 금형을 굳이 제작준비할 필요가 없고, 설비비용이 고비용으로 되지 않고, 제품 단부의 크기마다 금형을 교환하는 작업이 일절 불필요하게 된다.
게다가, 중간날로 제품 단부이외의 외주부분을 펀칭하도록 하고 있는 청구항3에 있어서는 제품 단부를 펀칭가공하는 수단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톰슨 펀칭하고 있던 부분이 펀칭된다.
또한, 평행날에 있어서의 동일측의 단부 각각을 외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 날부로 구성하고 있으면 전체길이에 걸쳐서 직선형상을 나타내는, 변화가 적은 제품을 펀칭함에 있어서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날부로 펀칭된 개소에 반드시 교차하도록 하여 중간날을 펀칭할 수 있거나(길이가 짧은 제품), 상기 날부로 펀칭된 개소로의 교차범위의 확대로 중간날의 펀칭각도의 자유도를 크게 하여 중간날로 펀칭되는 개소를 확실히 연속시킬 수 있어(길이가 긴 제품), 편리하다.
또한, 상기 날부와는 반대측의 평행날 단부 각각을 상기 날부와는 역방향으 로 절곡형성된 역방향 경사 날부로 구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평행날에 의한 제품 단부의 평행한 양단 가장자리를 펀칭한 후에 역방향 경사 날부에 의한 펀칭부 도중을 교차하도록 중간날로 펀칭함으로써 펀칭된 제품에 있어서의 단부 선단 양 가장자리부분에 평면에서 바라봐서 ハ자형상의 경사 안내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그 경사 안내부가 커넥터로의 접속시의 가이드로 되고, 커넥터로의 결합을 간단하게 행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Claims (5)

1쌍의 평행날과, 적어도 1쌍의 평행날 사이의 길이를 갖는 중간날을 구비하고, 상기 1쌍의 평행날로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에 형성된 제품 단부의 평행하는 양단 가장자리를 펀칭하고, 상기 중간날로 상기 양단 가장자리 사이의 가장자리를 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1쌍의 평행날과, 적어도 최대한으로 조정된 1쌍의 평행날 간격의 길이를 갖는 중간날을 구비하고, 상기 1쌍의 평행날로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에 형성된 제품 단부의 평행하는 양단 가장자리를 펀칭하고, 상기 중간날로 상기 양단 가장자리 사이의 가장자리를 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날로 상기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에 형성된 제품 단부 이외의 외주부분을 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날에 있어서의 동일측의 단부 각각을 외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 날부로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날부와는 반대측의 평행날 단부 각각을 상기 날부와는 역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역방향 경사 날부로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
KR1020030042312A 2002-06-28 2003-06-27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 KR100672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90354A JP2004034161A (ja) 2002-06-28 2002-06-28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切断方法
JPJP-P-2002-00190354 2002-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756A KR20040002756A (ko) 2004-01-07
KR100672805B1 true KR100672805B1 (ko) 2007-01-22

Family

ID=3043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312A KR100672805B1 (ko) 2002-06-28 2003-06-27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034161A (ko)
KR (1) KR100672805B1 (ko)
CN (1) CN100484730C (ko)
TW (1) TWI2687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452B1 (ko) 2004-10-18 2006-11-15 주식회사 써키트 플렉스 Fpc 칼날금형
KR100615074B1 (ko) * 2004-10-18 2006-08-22 주식회사 써키트 플렉스 비연속 컴파운드금형을 이용한 에프피씨 외형의 타발방법
JP2007098546A (ja) * 2005-10-07 2007-04-19 Kyocera Mita Corp 穿孔装置
KR100733250B1 (ko) * 2005-10-26 2007-06-27 삼성전기주식회사 2단계 전단금형을 이용한 경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100651467B1 (ko) * 2005-10-31 2006-11-29 삼성전기주식회사 경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전단 방법
CN100420553C (zh) * 2005-11-02 2008-09-24 富展电子(上海)有限公司 柔性电路板的冲切方法
KR100809218B1 (ko) 2006-08-16 2008-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절단이 용이한 브리지를 갖는 어레이 기판
JP5305733B2 (ja) * 2008-05-16 2013-10-02 京セラ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分割装置及び方法
CN101686604B (zh) * 2008-09-24 2011-05-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电路板整版冲切方法
TWI385039B (zh) * 2009-04-23 2013-02-11 Kuo Chung Wang Actuator tool for cutting board
JP2011029451A (ja) * 2009-07-27 2011-02-10 Fujitsu Ltd プリント配線基板、電子機器、およびプリント配線基板の製造方法
TWI507119B (zh) * 2010-07-16 2015-11-01 Zhen Ding Technology Co Ltd 柔性電路板及其製作方法
MY190720A (en) 2014-03-28 2022-05-12 Zeon Corp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dip-molded article
CN105415436A (zh) * 2015-12-11 2016-03-23 苏州米达思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胶内缩补强片的生产工艺
JP6897937B2 (ja) * 2016-11-17 2021-07-07 住友電工プリントサーキット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板状治具、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個片のハンドリング用具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設備
CN108124385B (zh) * 2017-12-21 2019-12-27 上达电子(深圳)股份有限公司 柔性线路板成型方法及模具
CN110139486B (zh) * 2019-05-14 2022-09-16 广东顺德施瑞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线路板连续化生产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7582A (ja) * 1991-12-24 1993-07-20 Nikko Kogyo Kk 基板の切断方法および装置
JPH06132628A (ja) * 1992-10-19 1994-05-13 Fujikura Ltd 片面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板の製法
JP2000024991A (ja) 1998-07-10 2000-01-25 Amada Co Ltd 板材保護用シートのカット金型及びカット方法
JP2000198020A (ja) 1998-12-29 2000-07-18 Fujita Seisakusho:Kk 難削板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3292A (ja) * 2001-03-26 2002-10-03 Sumitomo Bakelite Co Ltd ポリエーテルスルフォン樹脂フィルムの切断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7582A (ja) * 1991-12-24 1993-07-20 Nikko Kogyo Kk 基板の切断方法および装置
JPH06132628A (ja) * 1992-10-19 1994-05-13 Fujikura Ltd 片面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板の製法
JP2000024991A (ja) 1998-07-10 2000-01-25 Amada Co Ltd 板材保護用シートのカット金型及びカット方法
JP2000198020A (ja) 1998-12-29 2000-07-18 Fujita Seisakusho:Kk 難削板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84730C (zh) 2009-05-06
JP2004034161A (ja) 2004-02-05
TWI268747B (en) 2006-12-11
KR20040002756A (ko) 2004-01-07
TW200402259A (en) 2004-02-01
CN1470370A (zh) 200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805B1 (ko) 플렉서블 프린트배선판의 절단방법
EP3315240B1 (en) Apparatus for plate punching and laser cutting
US5096346A (en) Side face machining apparatus
US20120255410A1 (en) Cutting apparatus
KR101578015B1 (ko) Nct 펀칭기 착탈용 부스바 펀칭장치
CN110667180B (zh) 一种瓦楞纸箱制作开槽切角机及方法
US5402698A (en) Method for sychronizing tooling in a die-cutting machine for generating die-cut blanks
JP2861928B2 (ja) ダイホルダ取付構造
CN211101057U (zh) 一种电子雷管剪平装置
KR200438855Y1 (ko) 동파이프 커팅장치
JPH11898A (ja) 印刷回路基板用打ち抜き機
CN205734081U (zh) 轴工件自动打孔机的自动送料装置
KR200209848Y1 (ko) 펀칭다이 결합구조
CN215033763U (zh) 一种双钻头打孔设备
US7028596B1 (en) Rotary cutting unit
JP4739889B2 (ja) ベルトスリーブ材の幅切断装置
EP1040880A1 (en) Tool centering mechanism in punch press
CN214925122U (zh) 一种全自动圆模弯刀机
CN114425577B (zh) 一种五金冲压机械人输送系统
CN213969140U (zh) 一种便于拆卸携带的打孔机
CN219443094U (zh) 一种应用在冷弯成型设备上的散热孔冲一体机
CN220049803U (zh) 一种清除装置
CN217344510U (zh) 一种超大尺寸印制板分段自动外形加工装置
CN216177672U (zh) 一种弧形模切板的激光切割设备
CN218080769U (zh) 散热器铲齿装置用防刮上刀结构以及铲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