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158B1 - 혈압계용 체결 장치 및 전자 혈압계 - Google Patents

혈압계용 체결 장치 및 전자 혈압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158B1
KR100672158B1 KR1020050052909A KR20050052909A KR100672158B1 KR 100672158 B1 KR100672158 B1 KR 100672158B1 KR 1020050052909 A KR1020050052909 A KR 1020050052909A KR 20050052909 A KR20050052909 A KR 20050052909A KR 100672158 B1 KR100672158 B1 KR 100672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blood pressure
fastening device
voltage
pressure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6487A (ko
Inventor
히로시 키시모토
요시히코 사노
히로미치 카로
키이치로 미야타
켄지 에다
타카히데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6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41Details of apparatus construction, e.g. pump units or housings therefor, cuff pressurising systems, arrangements of fluid conduits or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233Occlu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혈압계용 체결 장치로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신축 가능한 EPAM과, 상기 일래스토머 또는 폴리머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마련된 전극을 갖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EPAM의 신축에 응하여 생체의 일부를 체결하도록 변형하는 컬러를 갖는다.
혈압계용 체결 장치 및 전자 혈압계

Description

혈압계용 체결 장치 및 전자 혈압계{SPHYGMOMANOMETER CLAMPING DEVICE AND ELECTRONIC SPHYGMOMANOMETER}
도 1의 A 및 B는 제1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제1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전자 혈압계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전자 혈압계의 기본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5의 A 및 B는 실시예에 관한 EPAM에 전압을 인가한 때의 변형의 양상을 도시한 모식도.
도 6의 A 및 B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의 체결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의 A 및 B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의 체결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의 A 및 B는 제3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의 체결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
도 9의 A 및 B는 제4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의 체결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
도 1O의 A 및 B는 제5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의 체결 동작을 도시한 사 시도.
도 11의 A 및 B는 제5의 실시예에 관한 EPAM의 단면도.
도 12는 접합부의 양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제6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제7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제1의 실시예에 관한 EPAM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기술분야
본 발명은 혈압계에 이용된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혈압 계측 중에, 인체의 동맥을 가압하여 발생되는 동맥압 맥파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인체의 일부, 예를 들면 상완(upper arm)에 블래더(bladder)를 감고, 그 블래더 주위에서 구속 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상완의 사이즈에 맞추어 구속 고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커프스(손목이나 팔을 가압하기 위한 완대(arm band))에 상완을 삽입한 후, 상완의 사이즈에 응하여 자동적으로 커프스가 감기고, 커프스 내의 블래더에 공기를 송압함으로써 상완이 구속 가압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장치로서, 일본국 실개평2-135OO3호 공보에는 블래더를 내 포하는 커프스의 감기를 행하기 위해, 감기용 와이어 로프를 모터에 접속된 풀리에 감아서 전달하는 감기용 클러치, 감기 풀음용 클러치 및 가압시의 완대의 풀림을 멈추는 로크 클러치를 구비한 플로팅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1O-314123호 공보에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가요성 완체와, 가요성 완체를 감기 위한 테이프 및 권취 롤러와, 권취 롤러를 회전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권취 롤러를 회전함에 의해 감아서 고정을 행하는 혈압 측정용 완체 감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7-124128호 공보에는 수납실 내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 가동 부재와, 가동 부재와 연결된 벨로즈와, 벨로즈에 압력 공기를 보내는 펌프를 구비하고, 압력 공기에 의해 벨로즈가 신장됨으로써 가동 부재가 이동하고, 커프스가 생체에 감겨지는 혈압 측정용 완체의 자동 감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인체의 일부에 커프스나 가요성 완체를 감아 고정하기 위한 권취용 유닛의 기구부로서, 와이어 로프, 풀리, 클러치, 롤러 등의 구동 전달부, 및 그것들을 구동하는 모터를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부품 개수가 많아저서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고, 장치 백체가 크며 무겁게 되는 요인으로 된다.
또한, 부품 개수가 많고 복잡하게 되기 때문에, 소음이나 소비 전류가 커지는 요인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간이한 구성에 의한 혈압계용 체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 혈압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서는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신축 가능한 일래스토머 또는 폴리머와, 상기 일래스토머 또는 폴리머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마련된 전극을 갖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일래스토머 또는 폴리머의 신축에 응하여 생체의 일부를 체결하도록 변형하는 고정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신축 가능한 일래스토머 또는 폴리머로서는 유전 일래스토머나 전계 왜곡 폴리머(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 등의 전기장 응답성을 갖는 고왜성 플라스틱(high strain plastic)이라고 불리는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전장 응답성 고분자 인공 근육(EPAM)을 이용한 것이 알맞다. 또한, 고정구의 형상은 개략 링 형상이면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생체의 일부를 체결하기 위한 고정구를 변형시키기 위해 모터나 클러치 등의 부품이 필요 없고, 간편한 구성에 의한 혈압계용 체결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고전압으로 장시간 인가시키면 콘덴서 효과가 나타난다. 그 때문에, 인체 측정시(체결시)에 있어서, 인체 체결 구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을 전력 절약화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구의 내측에 혈압 측정할 때에 가압되는 유체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유체대를 통하여 생체의 일부를 체결하는 구성을 알맞게 이용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가요성 또는 스프링성을 갖음으로써 액추에이터에서 발생하는 힘이 적어도 고정구를 변형시키며, 또한, 반복 변형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적어도 2 이상의 부품을 연결함으로써 링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부품은 평판 또는 R형상을 갖음으로써, 둘레 길이가 다른 부위를, 부품의 갯수 만을 바꿈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R형상이란, 평판이 아닌 곡면을 말하고, 측정 부위의 형상에 응한 곡면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원호 형상의 곡면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부품 사이에 상기 액추에이터가 배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복수개가 마련됨으로써, 체결 장치의 둘레 길이를 크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인접하는 부품에 마련된 슬라이드부에 가이드되는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신축에 응하여 상기 부품이 상기 인접하는 부품에 대해 상대 이동함으로써, 부품끼리가 벗겨지는 일 없이 체결 장치의 변형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인접하는 부품에 마련된 복수의 슬라이드부에 가이드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신축에 응하여 상기 부품이 상기 인접하는 부품에 대해 상대 이동하고, 상기 돌기부의 각각이 상기 슬라이드부의 각각에 대해 이동하는 양이 다른 것이 알맞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측정하는 생체의 일부가 상완이나 손목 등의 경우와 같이, HW 속에 대한 삽입측, 고정구로부터의 돌기측에 대해 직경이 다른 부위를 측정하는 경우, 각 슬라이드부로의 슬라이드 양이 상완의 형상에 따라 정해진다. 그 결과, 측정부위 전체에 걸쳐서 결합력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올바른 혈압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생체의 체결시에 상기 생체의 일부의 형상에 응하여 변형하고, 생체를 고정구에 삽인하는 측의 내경보다 생체가 고정구로부터 돌출하는 측의 내경이 작아지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변형량을 증폭하여 상기 고정구를 변형시키는 변형량 증폭 수단을 갖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변형을 복원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체결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의 변형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고정구와의 접합부에 전극을 마련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신축 가능한 폴리머의 양면에 도전성 신축 재료를 전극으로서 마련함으로써, 액추에이터의 변형시에 있어서도 폴리머막 등에 대해 안정된 전압 인가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압을 인가함 으로써 상기 고정구의 둘레 방향에 대해 수축하는 제 1의 일래스토머 또는 폴리머와,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고정구의 둘레 방향에 대해 팽창하는 제2의 일래스토머 또는 폴리머를 가지며, 각각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스프링부가 없어도 액추에이터가 고정하고, 개방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부품 개수의 삭감, 장치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는 상기 유체대를 가압하는 펌프와, 상기 유체대의 내기압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와, 검출한 상기 내기압에 의거하여 혈압 측정을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연산 수단을 갖는 전자 혈압계에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소형, 경량의 전자 혈압계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이한 구성에 의한 혈압계용 체결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소형화, 경량화를 도모한 전자 혈압계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에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기능, 그 상대 위치 등은 특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한번 설명한 부재에 관한 재질, 형상, 기능 등은 특히 다시 기재하지 않는 한 처음의 설명과 같은 것이다.
(혈압계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을 알맞게 채용할 수 있는 전자 혈압계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 시한 블록도이다.
전자 혈압계(A)는 혈압 측정할 때에 상완에 감는 유체대(1)와, 그 유체대(1)를 주위에서 가압, 고정하기 위한 가압 고정용 액추에이터(21) 및 고정구로서의 컬러(curler)(22)(도 1 참조)를 구비한 체결 장치(이하, 「체결 장치」라고 칭한다)(2)와, 공기 등의 유체가 충전되는 유체대(1)에 유체를 보내서 가압하는 펌프(3)와, 유체대(1) 내의 유체를 배출하는 밸브(4)와, 유체대(1)의 내기압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5)와, 검출한 내기압에 의거하여 내장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혈압 측정을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연산 수단으로서의 CPU(6)와, 측정시의 설정이나 측정의 시작을 행하는 조작부(7)와, 설정 데이터, 연산 데이터, 측정 결과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8)와, 설정 상태나 측정 결과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9)와, 각 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부(1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CPU(6)는 압력 센서(5)로부터 출력되고, 발진 회로(11)에서 변환된 신호에 의거하여 유체대(1) 내의 압력을 검출한다. 그리고, CPU(6)는 가압이 필요한 경우는 펌프 구동 회로(12)에 의해 펌프(3)를 구동하고, 유체대(1) 내의 압력을 높인다. 한편, 감압이 필요한 경우는 밸브 구동 회로(13)에 의해 밸브(4)를 개방하여, 유체대(1) 내의 압력을 낮춘다.
또한, CPU(6)는 구동 회로(14)를 제어하고, 상완을 유체대(1)를 통하여 체결하도록 체결 장치(2)를 구동한다.
또한, 체결 장치(2)로서는 후술하는 전장 응답성 고분자 인공 근육(EPAM : Electroactive Polymer Artificial Muscle)을 이용한 것이 알맞고, 이하의 각 실시 예에서는 EPAM을 액추에이터(21)에 이용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혈압계의 기본 동작)
도 4는 본 발명을 알맞게 채용할 수 있는 전자 혈압계의 기본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전원이 ON 되고, 동작이 시작하면, 전자 혈압계(A)의 각 설정 상태를 초기 상태로 리셋하는 초기화가 행하여진다(스텝 ST1).
전자 혈압계(A)는 체결 장치(2)를 구동하고, 체결 장치(2)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정구로서의 컬러가 상완의 체결을 시작한다(스텝 ST2). 그 후, 컬러는 상완에 대해 어느 정도 체결된 상태로 고정된다(스텝 ST3).
상완과 고정된 컬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유체대(1)는 펌프(3)에 의해 소정의 압력까지 가압된다. 그리고, 압력 센서(5)가 검출한 유체대(1)의 압력 변동을 나타내는 신호가, 발진 회로(11)을 경유하여 CPU(6)에 송신되고, 그 신호에 의거하여 측정이 시작된다(스텝 ST4).
그 후, 유체대(1) 내의 압력은 밸브(4)를 개방함으로써 서서히 감압되고(스텝 ST5), CPU(6)는 수축기 혈압, 확장기 혈압 및 맥박수를 산출한다(스텝 ST6). 산출된 혈압치 등은 표시부(9)에 표시된다(스텝 ST7).
측정이 종료되면, 구동 회로(14)는 체결 장치(2)를 구동하고, 컬러의 체결을 개방한다. 또한, 상완을 가압하고 있던 유체대(1) 내의 공기도 밸브(4)로부터 배기되고, 상완이 체결로부터 개방되고(스텝 ST8), 1사이클의 측정 동작이 종료된다.
이하에, 본 발명에 알맞게 이용되는 혈압 측정용 체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 다. 또한, 이하에서는 인체의 상완의 혈압을 측정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지만, 인체 이외의 생체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측정하는 부위도 생체의 일부인 손목이나 발목이라도 좋다.
[제1의 실시예]
도 1의 A 및 B는 제1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의 체결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제1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의 체결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한 체결 장치(2)는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신축 가능한 EPAM과 상기 EPAM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마련된 전극(도시 생략)을 갖는 액추에이터(21)와, 상기 EPAM의 신축에 응하여 생체의 일부를 체결하도록 변형하는 개략 링 형상의 고정구로서, 유체대(1)을 상완에 대해 체결 고정하는 고정구로서의 컬러(22)와, 액추에이터(21)의 단부를 컬러(22)와 접합하는 접합부(23a, 23b)를 갖는다.
또한, 유체대(1)는 컬러(22)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고, 혈압 측정할 때에 가압된다. 그리고, 컬러(22)는 유체대(1)를 통하여 생체의 일부인, 예를 들면, 상완을 체결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22)는 가요성 또는 스프링성을 갖는 판형상의 탄성체를 약 1둘레분 감는 원통형을 하고 있고, 판의 일단에 지름 방향으로 절곡한 상태로 마련된 접합부(23a)와, 판의 타단에 지름 방향으로 절곡한 상태로 마련된 접합부(23b)를 갖는다. 그리고, 판의 일부에 마련된 개구(22a)로부터, 접합부(23a)가 외측에 튀어나간 상태로, 접합부(23a)와 접합부(23b)의 사이에 액추에이터 (21)가 부착되어 있다. 이로써, 액추에이터(21)에서 발생하는 힘이 적어도 컬러(22)를 변형시키고, 또한, 반복 변형 동작이 가능해진다.
액추에이터(21)와 컬러(22)의 접합부(23a, 23b)는 액추에이터(21)가 체결 장치(2)의 동작중에 벗겨지지 않는 구성이면 좋고,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1)의 양단부가 들어가는 구멍이 마련된 통형상의 접합부라도 좋다.
또한, 접합부(23a, 23b)에는 전극을 마련함으로써 간편하게 액추에이터(21)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축 가능한 폴리머막의 양면에 신축성이 있는 전극막(예를 들면, 탄성체에 탄소의 입자를 분산시킨 도전성 신축 재료)으로 끼우고 전압을 가하면 전극간 거리가 줄어들고, 가로 방향으로 폴리머막이 늘어난다. 그리고, 그 성질을 체결 장치(2)에 이용함으로써, 모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편한 구성으로 상완에 대한 체결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전극에 신축성이 있는 도전성 재료를 채용함에 의해, 액추에이터(21)의 변형시에 있어서도 폴리머막 등에 대해 안정된 전압 인가가 가능해진다.
도 5의 A 및 B는 실시예에 관한 액추에이터에 전압을 인가한 때의 변형의 양상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제1의 실시예에 관한 액추에이터(21)는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양면에 신축성이 있는 전극(25a, 25b)이 마련된 필름형상의 EPAM(1)을,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상태로 1둘레 또는 복수둘레 감은 것이다. 또한, EPAM(1)을 감을 때에는 인접하는 전극끼리를 절연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절연물이 EPAM(1)과 함께 롤 상태로 감겨지고 있다. 그리고,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25a, 25b) 사이에 전압(V)을 인가함으로써, 액추에이터(21)는 지름 방향으로 압축되어 축방향으로 늘어난다. 그 때문에, 액추에이터(21)는 컬러(22)의 둘레 방향에 따라 신장하고, 접합부(23a, 23b) 사이의 거리가 떨어지기 때문에, 컬러(22)의 내경이 작아지고, 상완을 체결할 수 있다.
제1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2)는 상술한 액추에이터(21)를 이용함으로써, 모터나 클러치 등의 복잡한 기구를 이용하는 일 없이 컬러(22)를 초기(개방) 상태(도 1의 A)로부터 체결 상태(도 1의 B)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변형하고 있던 액추에이터(21)는 전압의 인가를 정지하면, 컬러(22)가 갖는 스프링성(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에 되돌아오고, 컬러(22)가 체결 상태로부터 초기 상태로 되돌아온다. 또한, 컬러(22) 자신의 복원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21)에 스프링부를 마련하는 것도 유효하다.
따라서 제1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2)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나타낸 모터나 클러치 등의 복잡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편한 구성으로 모터보다 응답성이 좋은 체결 동작을 행할 수 있고, 혈압계의 소형화,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구동음이 없기 때문에 액추에이터의 구동시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더하여,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도 필요 없기 때문에, 혈압계 전체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제2의 실시예]
도 6의 A 및 B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의 체결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의 A 및 B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의 체결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의 A 및 B에 도시한 체결 장치(1O2)는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신축 가능한 EPAM과 상기 EPAM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마련된 전극(도시 생략)을 갖는 액추에이터(121)와, 상기 EPAM의 신축에 응하여 생체의 일부를 체결하도록 변형하는 개략 링 형상의 고정구로서, 유체대(101)을 상완에 대해 체결 고정하는 컬러(122)와, 액추에이터(121)의 단부를 컬러(122)와 접합하는 접합부(123a, 123b)와, 액추에이터(121)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배치된 전극(도시 생략)을 갖는다.
컬러(122)는 도 7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또는 스프링성을 갖는 판형상의 탄성체의 일단을 절곡하고, 그 양단부가 겹치도록 개략 1둘레분 감는 원통형을 하고 있다. 컬러(122)의 일단은 액추에이터(121)가 부착되도록, 지름 방향으로 절곡된 접합부(123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컬러(122)의 외주부에 지름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된 판형상의 접합부(123b)와 접합부(123a) 사이에 액추에이터(121)를 끼워지지하고 있다.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액추에이터(121)는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EPAM(2)의 축방향의 양단에 전극(125a, 125b)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EPAM(2)의 사이에도 교대로 복수의 전극(125a, 125b)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125a, 125b) 사이의 각각에 전압(V)을 인가함으로써, 액추에이터(121)는 축방향으로 압축되고 지름 방향으로 팽창한다. 그 때문에, 액추에이터(121)는 컬러(122)의 둘레 방향에 따라 수축하고, 접합부(123a, 123b) 사이의 거리가 근접하기 때문에, 컬러(122)의 내경이 작아지고, 상완을 체결할 수 있다.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102)는 상술한 액추에이터(121)를 이용함으로써, 모터나 클러치 등의 복잡한 기구를 이용하는 일 없이 컬러(122)를 초기(개방) 상태(도 6의 A)로부터 체결 상태(도 6의 B)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전압의 인가를 정지하면, 변형하고 있던 액추에이터(121)는 컬러(122)가 갖는 스프링성(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오고, 컬러(122)가 체결 상태로부터서 초기 상태로 되돌아온다. 또한, 필요에 응하여 접합부(123a, 123b) 사이에 스프링을 마련하고, 그 탄성력을 이용하여도 좋다.
따라서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102)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나타낸 모터나 클러치 등의 복잡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편한 구성으로 모터보다 응답성이 좋은 체결 동작을 행할 수가 있고, 혈압계의 소형화,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구동음이 없기 때문에 액추에이터의 구동시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더하여,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도 필요 없기 때문에, 혈압계 전체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제3의 실시예]
도 8의 A 및 B는 제3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의 체결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의 A 및 B에 도시한 체결 장치(202)는 복수의 분할 컬러(222)와,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장 방향으로 수축함과 함께 전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팽창하는 복수의 액추에이터(221)와, 액추에이터(221)의 단부를 분할 컬러(222)와 접합하는 접합부(223a, 223b)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컬러의 내경을 상완이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유지하는 신축부로서의 스프링부(224)와, 액추에이터(221)와 분할 컬러(222)의 접합부에 액추에이터(221)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배치된 전극(도시 생략)을 갖는다.
분할 컬러(222)는 접합부(223a, 223b)가 마련되어 있는 원호형상의 본체부(222a)와, 인접하는 본체부(222a)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부(222b, 222c)와, 인접하는 본체부(222a)에 마련된 돌기부(도시 생략)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222d)을 구비한다. 그리고, 적어도 2 이상의 평판 또는 R형상을 갖는 분할 컬러(222)를 연결함으로써 링 형상의 고정구가 구성된다.
슬라이드부(222b, 222c)는 본체부(222a)의 축방향으로 평행한 1변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분할 컬러(222)는 복수의 부품을 결합하여 일체로 하여도 좋고, 일체 성형에 의해 제작하여도 좋다.
따라서 분할 컬러(222)는 인접하는 분할 컬러(222)에 마련된 슬라이드부(222b, 222c)에 가이드되는 돌기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액추에이터(221)의 신축에 응하여 분할 컬러(222)가 인접하는 분할 컬러(222)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액추에이터(221)는 분할 컬러(222)의 접합부(223a)와, 인접하는 분할 컬러 (222)의 접합부(223b)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221)와 대응하여, 각 분할 컬러(222)의 사이에, 체결시에 컬러 전체가 넓어지는 방향으로 압력을 발생하는 스프링부(224)를 구비하고 있다.
제3의 실시예에 관한 액추에이터(221)는 제2의 실시예에서 이용한 도 5의 B에 도시한 EPAM(2)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접합부(223a, 223b)에 마련된 전극(도시 생략)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원주형상의 액추에이터(221)는 원주의 축방향으로 압축되고 원주의 지름 방향으로 팽창한다. 그 때문에, 액추에이터(221)는 분할 컬러(222)의 둘레 방향에 따라 수축하고, 접합부(223a, 223b) 사이의 거리가 근접하기 때문에, 분할 컬러(222)를 연결한 체결 장치(202)의 내경이 작아지고, 상완을 체결할 수 있다.
제3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202)는 상술한 액추에이터(221)를 이용함으로써, 모터나 클러치 등의 복잡한 기구를 이용하는 일 없이 각 분할 컬러(222)를 초기(개방) 상태(도 8의 A)로부터 체결 상태(도 8의 B)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전압의 인가를 정지하면, 변형하고 있던 액추에이터(221)는 스프링부(224)의 탄성력의 도움을 얻어서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고, 각분할 컬러(222)가 체결 상태로부터 초기 상태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제3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202)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나타낸 모터나 클러치 등의 복잡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편한 구성으로 모터보다 응답성이 좋은 체결 동작을 행할 수가 있고, 혈압계의 소형화,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구동음이 없기 때문에 액추에이터의 구동시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더하여,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도 필요 없기 때문에, 혈압계 전체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분할 컬러(222)는 인접하는 분할 컬러에 마련된 복수의 슬라이드부(222b, 222c)에 가이드되는 복수의 돌기부(도시 생략)를 가지며, 액추에이터(221)의 신축에 응하여 분할 컬러(222)가 인접하는 분할 컬러에 대해 상대 이동하고, 상기 돌기부의 각각이 슬라이드부(222b, 222c)의 각각에 대해 이동하는 량을 다르게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다.
또한, 복수의 분할 컬러(222)로 이루어지는 체결 장치(202)는 상완의 체결시에 상완의 형상에 응하여 변형하고, 상완을 컬러에 삽입하는 측의 내경보다 상완이 컬러로부터 돌출하는 측의 내경이 작아지도록 변형 가능한 구성이다.
즉, 인접하는 분할 컬러에 대해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가 각 분할 컬러마다 2개소씩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완과 같이 컬러의 삽입측, 컬러로부터의 돌출측에 대해 직경이 다른 부위를 측정하는 경우, 각 슬라이드부에서의 슬라이드 량이 상완의 형상에 따라 정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상완의 측정 부위중 손에 가까운 부위는 직경이 작기 때문에, 그것에 맞추어서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드 량이 많아진다. 한편, 어깨에 가까운 부위는 직경이 크기 때문에, 그것에 맞추어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드 량은 적게 끝난다. 그 결과, 측정 부위 전체에 걸쳐서 결합력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올바른 혈압 측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분할 컬러(222)를 채용함에 의해, 둘레 길이가 다른 부위를, 분할 컬러(222)의 수를 바꾸기만 함으르써,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분할된 컬러(222)를 이용하고, 각 분할된 컬러(222) 사이에 각각 액추에이터를 배치함으로써, 체결 장치의 둘레 길이를 크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측정 전(개방 상태)의 체결 장치의 내경을 크게할 수 있고, 측정자의 손목이나 상완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고, 측정자에게 주는 심리적인 압박을 줄일 수 있다.
[제4의 실시예]
도 9의 A 및 B는 제4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의 체결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의 A 및 B에 도시한 체결 장치(302)는 복수의 분할 컬러(322)와,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장 방향으로 수축함과 함께 전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팽창한1 복수의 액추에이터(321)와, 액추에이터(321)의 단부를 분할 컬러(322)와 접합하는 접합부(323a, 323b)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컬러의 내경을 상완이 삽입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유지하는 신축부로서의 스프링부(324)와, 액추에이터(321)와 분할 컬러(322)의 접합부에 액추에이터(321)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배치된 전극(도시 생략)을 갖는다.
분할 컬러(322)는 접합부(323a)가 마련되어 있는 원호형상의 본체부(322a)와, 인접하는 본체부(322a)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부(322b, 322c)와, 인접하는 본체부(322a)에 마련된 돌기부(도시 생략)가 삽입하는 슬라이드 홈(322d)과, 본체부(322a), 슬라이드부(322b, 322c)에 둘러싸인 개구부(322e)와, 개구부 (322e)를 끼우고 본체부(322a)와 반대측에 마련된 접합부(323b)를 구비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323b, 323c)는 그들의 일단이 본체부(322a)의 축방향으로 평행한 1변의 양단부와 결합하고 있고, 그들의 타단이 접합부(323b)와 연결하고 있다. 또한, 분할 컬러(322)는 복수의 부품을 결합하여 일체로 하여도 좋고, 일체 성형에 의해 제작하여도 좋다.
액추에이터(321)는 분할 컬러(322)의 접합부(323a)와, 인접하는 분할 컬러(322)의 접합부(323b)의 사이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321)와 대응하여, 각 개구부(322e)에, 체결시에 컬러 전체가 넓어지는 방향으로 압력을 발생하는 스프링부(324)를 구비하고 있다.
제4의 실시예에 관한 액추에이터(321)는 제1의 실시예에서 이용한 도 5의 A에 도시한 EPAM(1)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접합부(323a, 323b)에 마련된 전극(도시 생략)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원주형상의 액추에이터(321)는 원주의 지름 방향으로 압축되어 원주의 축방향으로 팽창한다. 그 때문에, 액추에이터(321)는 분할 컬러(322)의 둘레 방향에 따라 팽창하고, 접합부(323a, 323b)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분할 컬러(322)를 연결한 체결 장치(302)의 내경(17)이 작아지고, 상완을 체결할 수 있다.
제4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302)는 상술한 액추에이터(321)를 이용함으로써, 모터나 클러치 등의 복잡한 기구를 이용하는 일 없이 각 분할 컬러(322)를 초기(개방)상태(도 9의 A)로부터 체결 상태(도 9의 B)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전압의 인가를 정지하면, 변형하고 있던 액추에이터(321)는 스프링부 (324)의 탄성력의 힘을 얻어서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고, 각 분할 컬러(322)가 체결 상태로부터 초기 상태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제4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302)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나타낸 모터나 클러치 등의 복잡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편한 구성으로 모터보다 응답성이 좋은 체결 동작을 행할 수가 있고, 혈압계의 소형화,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구동음이 없기 때문에 액추에이터의 구동시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더하여,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도 필요 없기 때문에, 혈압계 전체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4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302)에 의하면, 분할 컬러를 채용함에 의해, 둘레 길이가 다른 부위를, 분할 컬러의 수를 바꾸기만 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분할 컬러를 이용하고, 각 분할 컬러 사이에 각각 EPAM을 배치함으로써, 액추에이터의 둘레 길이를 크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측정 전(개방 상태)의 액추에이터의 내경을 크게할 수 있고, 측정자의 손목이나 상완의 삽입이 용이해지고, 측정자에게 주는 심리적인 압박을 줄일 수 있다
[제5의 실시예]
도 1O의 A 및 B는 제5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의 체결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O의 A 및 B에 도시한 체결 장치(402)는 도 8의 A 및 B에 도시한 체결 장 치(202)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특히 다른 점은 전압의 인가 방향이 1종류의 액추에이터(221)를 전압의 인가 방향이 다른 2종류의 EPAM으로 이루어지는 액추에이터(421)로 변경하고, 스프링부(224)를 폐기한 것이다.
즉, 제5의 실시예에 관한 액추에이터(421)는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컬러의 둘레 방향에 대해 수축하는 제 1의 EPAM과,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컬러의 둘레 방향에 대해 팽창하는 제2의 EPAM을 갖는다.
도 10에 도시한 체결 장치(402)는 복수의 분할 컬러(222)와,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장 방향으로 수축함과 함께 전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팽창하는 2종류의 EPAM(421a, 421b)(도 11 참조)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액추에이터(421)와, 액추에이터(421)의 단부를 분할 컬러(422)와 접합하는 접합부(423a, 423b)와, EPAM(421a, 421b)과 분할 컬러(422)의 접합부에, EPAM(421a, 421b)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각각 배치된 전극(도시 생략)을 갖는다.
도 11의 A 및 B는 EPAM(421a, 421b)과 각각에 전압을 인가 하기 위해 마련된 전극 쌍(421c, 421d)으로 이루어지는 제5의 실시예에 관한 EPAM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제3의 실시예과 비교하여 같은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구성, 작용,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제5의 실시예에 관한 액추에이터(421)는 제1의 실시예, 2에서 이용한 도 5의 A 및 B에 도시한 EPAM(1, 2)을 이용할 수 있다. 제5의 실시예에서는 액추에이터(421)는 원통(원주)형상이고, 액추에이터(421)의 외측에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롤 상태로 감은 EPAM(421a)(EPAM(1))이 배치되고, 내측에 도 5의 B에 도시한 원통형의 EPAM(421b) (EPAM(2))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 쌍(421c)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전극 쌍(421d) 사이(도 11의 A 및 B 참조)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원통형의 EPAM(421b)은 원통의 축방향으로 압축되고 원통의 지름 방향으로 팽창한다. 그 때문에, 액추에이터(421) 전체는 분할 컬러(422)의 둘레 방향에 따라 수축하고, 접합부(423a, 423b) 사이의 거리가 근접하기 때문에, 분할 컬러(422)를 연결한 체결 장치(402)의 내경이 작아지고, 상완을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전극 쌍(421d)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전극 쌍(421c) 사이(도 11 참조)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원통형상의 EPAM(421a)은 원통의 지름 방향으로 압축되고 원통의 축방향으로 팽창한다. 그 때문에, 액추에이터(421) 전체는 분할 컬러(422)의 지름 방향에 따라 팽창하고, 접합부(423a, 423b) 사이의 거리가 떨어지기 때문에, 분할 컬러(422)를 연결한 체결 장치(402)의 내경이 커지고, 상완을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5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402)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나타낸 모터나 클러치 등의 복잡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편한 구성으로 모터보다 응답성이 좋은 체결 동작을 행할 수가 있고, 혈압계의 소형화,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구동음이 없기 때문에 액추에이터의 구동시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더하여,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도 필요 없기 때문에, 혈압계 전체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압의 인가 방향이 다른 2종류의 EPAM을 마련하고, 각각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스프링부가 없어도 액추에이터가 체결, 개방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부품 개수의 삭감, 장치의 소형·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6의 실시예]
도 13은 제6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체결 장치(502)는 도시하지 않은 블래더(공기대)를 상완에 대해 체결하여 고정하는 컬러(522)와,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장 방향으로 수축함과 함께 전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팽창하는 액추에이터(521)와, 액추에이터(521)의 단부를 컬러(522)와 접합하는 접합부(523a, 523b)와, 액추에이터(521)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배치된 전극(도시 생략)을 갖는다.
컬러(522)는 판형상의 탄성체의 일단을 절곡하고, 그 양단부가 겹쳐지도록 약 1둘레분 감은 원통형을 하고 있다. 컬러(522)의 일단(522a)은 접합부(523a)와 연결부(524a)에 의해 연결하고 있고, 컬러(522)의 타단(522b)은 접합부(523b)와 연결부(524b)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524a, 524b)는 지점(525)에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교차하고 있고, 접합부(523a, 523b) 사이에 끼워지지된 액추에이터(521)의 신축에 맞추어서 지점(525)를 중심으로 가동한다.
제6의 실시예에 관한 액추에이터(521)는 예를 들면, 도 5의 A 및 B에 도시한 EPAM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액추에이터(521)의 양단에 마련된 전극(도시 생략)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액추에이터(21)는 축방향으로 압축되고 지름 방향으로 신장한다. 그 때문에, 액추에이터(521)은 컬러(522)의 둘레 방향에 따라 신장하고, 접합부(523a, 523b) 사이의 거리가 떨어지기 때문에, 연결부(524a, 524b)가 컬러(522)의 내경이 작아지고, 상완을 체결할 수 있다.
즉, 제6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502)는 액추에이터(521)의 변형량을 증폭하여 컬러(522)를 변형시키는 변형량 증폭 수단으로서, 지레(정자)의 원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접합부와 컬러의 단부를 연결하고, 지점을 중심으로 연결부 끼리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성을 채용하였다.
따라서 제6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502)는 상술한 구성을 채용함에 의해, 모터나 클러치 등의 복잡한 기구를 이용하는 일 없이 컬러(522)를 초기(개방) 상태로부터 체결 상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전압의 인가를 정지하면, 변형하고 있던 액추에이터(521)은 컬러(522)의 스프링성(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오고, 컬러(522)가 체결 상태로부터 초기 상태로 되돌아온다.
또한, 제6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502)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나타낸 모터나 클러치 등의 복잡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편한 구성으로 모터보다 응답성이 좋은 체결 동작을 행할 수가 있고, 혈압계의 소형화,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구동음이 없기 때문에 액추에이터의 구동시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더하여,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도 필요 없기 때문에, 혈압계 전체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제7의 실시예]
도 14는 제7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체결 장치(602)는 도시하지 않은 블래더를 상완에 대해 체결 고정 하는 컬러(622)와,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장 방향으로 수축함과 함께 전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팽창하는 액추에이터(621)와, 액추에이터(621)의 일단에 고정된 래크(623)와, 래크(623)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2단 기어(624)와, 2단계 기어(624)와 맞물리는 래크(625)와,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배치된 전극(도시 생략)을 갖는다.
컬러(622)는 판형상의 탄성체의 일단을 절곡하고, 그 양단부가 겹쳐지도록 약 1둘레분 감은 원통형을 하고 있다. 컬러(622)의 일단(622a)에는 래크(625)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컬러(622)의 타단(622b)는 액추에이터(621)의 타단이 접합하고 있다.
제7의 실시예에 관한 액추에이터(621)는 예를 들면, 도 5의 A 및 B에 도시한 EPAM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액추에이터(621)의 양단에 마련된 전극(도시 생략)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액추에이터(621)는 축방향으로 압축되어 지름 방향으로 신장한다.
그 때문에, 액추에이터(621)에 부착되어 있는 래크(623)가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하고, 래크(623)와 맞물려 있는 소경의 기어부(624a)가 회전함과 함께, 대경(大徑)의 기어부(624b)도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기어부(624b)와 맞물리는 래크(625)가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양단(622a, 622b) 사이의 거리 가 떨어지기 때문에, 컬러(622)의 내경이 작아지고, 상완을 체결할 수 있다.
즉, 제7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602)는 액추에이터(621)의 변형량을 증폭하여 컬러(622)를 변형시키는 변형량 증폭 수단으로서, 기어와 래크의 조합을 채용하였다.
따라서 제7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602)는 상술한 구성을 채용함에 의해, 액추에이터(621)의 특성(예를 들면, 신축률, 작동압)을 고려하여 기어비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모터나 클러치 등의 복잡한 기구를 이용하는 일 없이 컬러(622)를 초기(개방) 상태로부터 체결 상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전압의 인가를 정지하면, 변형하고 있던 액추에이터(621)는 컬러(622)의 스프링성(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오고, 컬러(622)가 체결 상태로부터 초기 상태로 되돌아온다.
또한, 제7의 실시예에 관한 체결 장치(602)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나타낸 모터나 클러치 등의 복잡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편한 구성으로 모터보다 응답성이 좋은 체결 동작을 행할 수가 있고, 혈압계의 소형화,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구동음이 없기 때문에 액추에이터의 구동시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더하여,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도 필요 없기 때문에, 혈압계 전체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생체의 일부를 체결하기 위한 고정구를 변형시키 기 위해 모터나 클러치 등의 부품이 필요 없고, 간편한 구성에 의한 혈압계용 체결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고전압으로 장시간 인가시키면 콘덴서 효과가 나타난다. 그 때문에, 인체 측정시(체결시)에 있어서, 인체 체결 구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을 전력 절약화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구의 내측에 혈압 측정할 때에 가압되는 유체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유체대를 통하여 생체의 일부를 체결하는 구성을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가요성 또는 스프링성을 갖음으로써 액추에이터에서 발생하는 힘이 적어도 고정구를 변형시키며, 또한, 반복 변형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적어도 2 이상의 부품을 연결함으로써 링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부품은 평판 또는 R형상을 갖음으로써, 둘레 길이가 다른 부위를, 부품의 수를 바꾸기만 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R형상이란, 평판이 아닌 곡면을 말하고, 측정 부위의 형상에 응한 곡면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원호 형상의 곡면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부품 사이에 상기 액추에이터가 배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를 복수 갖음으로써, 체결 장치의 둘레 길이를 크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인접하는 부품에 마련된 슬라이드부에 가이드되는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신축에 응하여 상기 부품이 상기 인접하는 부품에 대해 상대 이동함으로써, 부품끼리가 벗겨지는 일 없이 체결 장치의 변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측정하는 생체의 일부가 상완이나 손목 등의 경우와 같이, HW 속에 대한 삽입측, 고정구로부터의 돌기측에 대해 직경이 다른 부위를 측정하는 경우, 각 슬라이드부로의 슬라이드 량이 상완의 형상에 따라 정해진다. 그 결과, 측정부위 전체에 걸쳐서 결합력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올바른 혈압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변형을 복원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체결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의 변형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고정구와의 접합부에 전극을 마련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신축 가능한 폴리머의 양면에 도전성 신축 재료를 전극으로서 마련함으로써, 액추에이터의 변형시에 있어서도 폴리머막 등에 대해 안정된 전압 인가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고정구의 둘레 방향에 대해 수축하는 제 1의 일래스토머 또는 폴리머와,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고정구의 둘레 방향에 대해 팽창하는 제2의 일래스 토머 또는 폴리머를 가지며, 각각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스프링부가 없어도 액추에이터가 고정하고, 개방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부품 개수의 삭감, 장치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압계용 체결 장치는 상기 유체대를 가압하는 펌프와, 상기 유체대의 내기압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와, 검출한 상기 내기압에 의거하여 혈압 측정을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연산 수단을 갖는 전자 혈압계에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소형, 경량의 전자 혈압계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이한 구성에 의한 혈압계용 체결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소형화, 경량화를 도모한 전자 혈압계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4)

  1.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신축 가능한 일래스토머 또는 폴리머와, 상기 일래스토머 또는 폴리머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마련된 전극을 갖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일래스토머 또는 폴리머의 신축에 응하여 생체의 일부를 체결하도록 변형하는 고정구를 갖고,
    상기 고정구의 내측에 혈압 측정할 때에 가압되는 유체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유체대를 통하여 생체의 일부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체결 장치.
  2.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신축 가능한 일래스토머 또는 폴리머와, 상기 일래스토머 또는 폴리머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마련된 전극을 갖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일래스토머 또는 폴리머의 신축에 응하여 생체의 일부를 체결하도록 변형하는 고정구를 갖고,
    상기 고정구는 적어도 2 이상의 부품을 연결함으로써 링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부품은 평판 또는 R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체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가요성 또는 스프링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체결 장치.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부품들 사이에 복수 개의 상기 액추에이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체결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인접하는 부품에 마련된 슬라이드부에 가이드되는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신축에 응하여 상기 부품이 상기 인접하는 부품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체결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인접하는 부품에 마련된 복수의 슬라이드부에 가이드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신축에 응하여 상기 부품이 상기 인접하는 부품에 대해 상대 이동하고, 상기 돌기부의 각각이 상기 슬라이드부의 각각에 대해 이동하는 량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체결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생체의 체결시에 상기 생체의 일부의 형상에 응하여 변형하고, 생체를 고정구에 삽입하는 측의 내경보다 생체가 고정구로부터 돌출하는 측의 내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체결 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변형량을 증폭하여 상기 고정구를 변형시키는 변형량 증폭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체결 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변형을 복원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체결 장치.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고정구와의 접합부에 전극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체결 장치.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신축 가능한 일래스토머 또는 폴리머의 양면에 도전성 신축 재료를 전극으로서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체결 장치.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고정구 둘레 방향에 대해 수축하는 제1의 일래스토머 또는 폴리머와,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고정구의 둘레 방향에 대해 팽창하는 제 2의 일래스토머 또는 폴리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체결 장치.
  14. 제 1항에 따른 혈압계용 체결 장치와,
    상기 유체대를 가압하는 펌프와,
    상기 유체대의 내기압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와,
    검출한 상기 내기압에 의거하여 혈압 측정을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연산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혈압계.
KR1020050052909A 2004-06-23 2005-06-20 혈압계용 체결 장치 및 전자 혈압계 KR100672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84879 2004-06-23
JP2004184879A JP2006006450A (ja) 2004-06-23 2004-06-23 血圧計用締付装置及び電子血圧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487A KR20060046487A (ko) 2006-05-17
KR100672158B1 true KR100672158B1 (ko) 2007-01-19

Family

ID=34978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909A KR100672158B1 (ko) 2004-06-23 2005-06-20 혈압계용 체결 장치 및 전자 혈압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288597A1 (ko)
EP (1) EP1609413A1 (ko)
JP (1) JP2006006450A (ko)
KR (1) KR100672158B1 (ko)
CN (1) CN10034954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5449B2 (ja) * 2004-09-02 2010-12-0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計用カフ
JP2007125246A (ja) * 2005-11-04 2007-05-24 Terumo Corp 血圧測定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カフ
US20100007245A1 (en) * 2006-02-07 2010-01-14 Edwin Jager Electroactive Polymer Actuators, Applications and Methods for Fabrication Thereof
US8771196B2 (en) 2006-03-29 2014-07-08 Citizen Holdings Co., Ltd. Cuff for blood pressure meter
KR100847898B1 (ko) * 2006-09-05 2008-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압력 인가 장치 및 상기 압력 인가 장치를 구비한 생체신호 측정 장치
DE102008001386A1 (de) * 2008-04-25 2009-10-29 Robert Bosch Gmbh Absperrorgan
KR101534590B1 (ko) * 2008-11-12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혈압 측정 장치
RU2477076C1 (ru) * 2008-12-11 2013-03-10 Эй энд Ди КО., ЛТД.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кровяного давления
KR101494433B1 (ko) 2009-01-19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압장치
US9532722B2 (en) 2011-06-21 2017-01-03 Masimo Corporation Patient monitoring system
US9986919B2 (en) 2011-06-21 2018-06-05 Masimo Corporation Patient monitoring system
TWI413510B (zh) * 2011-07-14 2013-11-01 Polygreen Germany Gmbh Blood pressure gauges
DE102011052797B4 (de) * 2011-08-18 2013-05-29 Polygreen Germany Gmbh Arm-umwickelndes Streifenband für Blutdruck-Messgeräte
US8753284B2 (en) 2011-11-08 2014-06-17 Elwha, Llc Blood pressure cuff
US8702614B2 (en) 2011-11-08 2014-04-22 Elwha Llc Inflatable cuff with built-in drug delivery device for dynamic drug therapy response to blood pressure incidents
KR101350935B1 (ko) * 2012-02-16 2014-01-1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압 측정용 신축성 고무링 커프
JP6006535B2 (ja) * 2012-05-30 2016-10-12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
WO2014017975A1 (en) * 2012-07-26 2014-01-30 Probonova Medical Innovations Ab A method for blood pressure cuff application and blood pressure cuff support
US10555678B2 (en) 2013-08-05 2020-02-11 Masimo Corporation Blood pressure monitor with valve-chamber assembly
US9311792B2 (en) * 2013-09-27 2016-04-12 Nokia Technologies Oy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2270209B1 (ko) * 2014-10-28 202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체 착용형 전자 장치
KR102324735B1 (ko) 2015-01-19 2021-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적응적 제어가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JP6287894B2 (ja) * 2015-02-27 2018-03-07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用カフおよび血圧計
CN105125196B (zh) * 2015-09-18 2018-09-14 深圳邦普医疗设备系统有限公司 一种电子血压计
TWI549652B (zh) * 2015-12-25 2016-09-21 信泰光學(深圳)有限公司 旋轉筒裝置
TWI627914B (zh) * 2017-07-03 2018-07-01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鞋用氣壓固定裝置
CN109259747A (zh) * 2018-09-14 2019-01-25 高密市鑫佳工贸有限公司 一种能够检测身体血压的内衣及使用方法
TWM590430U (zh) * 2019-10-18 2020-02-11 豪展醫療科技股份有限公司 血壓計臂帶
US11139755B2 (en) 2020-01-31 2021-10-0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ariable stiffening device comprising electrode stacks in a flexible envelope
US11370496B2 (en) 2020-01-31 2022-06-2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Programmable texture surfaces having artificial muscles
US11453347B2 (en) 2020-03-12 2022-09-2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uction devices having artificial muscles
US11611293B2 (en) 2020-03-13 2023-03-2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rtificial muscles having a reciprocating electrode stack
CN111528768B (zh) * 2020-04-13 2022-12-06 珠海明象医用科技有限公司 一种电致形变弯曲的内窥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24403A1 (en) * 2001-12-28 2003-07-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Wearable human motion applicato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0377A (en) * 1961-10-30 1963-05-21 Peter F Salisbury Blood pressure measurement
US3517661A (en) * 1967-04-24 1970-06-30 Picker Corp Differential plethysmography
JPH0628636B2 (ja) * 1986-12-11 1994-04-20 コーリン電子株式会社 血圧計用腕帯および血圧計用圧迫装置
JPH03141925A (ja) * 1989-10-27 1991-06-17 Brother Ind Ltd 血圧計
JPH07124127A (ja) * 1993-06-18 1995-05-16 Omron Corp 血圧計用腕帯
JPH07124128A (ja) * 1993-10-29 1995-05-16 Nippon Colin Co Ltd 血圧測定用腕帯の自動巻付装置
CN2232722Y (zh) * 1995-07-13 1996-08-14 马觉民 血压计袖套
JPH10165378A (ja) * 1996-12-05 1998-06-23 Fukuda Denshi Co Ltd 血圧測定用カフ
JPH10314123A (ja) * 1997-05-21 1998-12-02 Nippon Colin Co Ltd 血圧測定用腕帯巻付装置
JPH10314143A (ja) * 1997-05-22 1998-12-02 Terumo Corp 皮下脂肪計
JP3669245B2 (ja) * 2000-03-28 2005-07-06 松下電工株式会社 圧迫装置及び圧迫装置を備えたマッサージ機及び圧迫装置を備えた血圧計
JP3740985B2 (ja) * 2001-01-23 2006-02-01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計用カフ
JP4196058B2 (ja) * 2001-12-28 2008-12-1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を具備したマッサージ機及び該アクチュエータを具備した血圧計
JP3861705B2 (ja) * 2002-01-31 2006-12-20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歪アクチュエータ
US20040242956A1 (en) * 2002-07-29 2004-12-02 Scorvo Sean K. System for controlling fluid in a body
US7618386B2 (en) * 2004-07-22 2009-11-17 Nordt Development Co., Llc Two-component compression collar clamp for arm or leg
US7879070B2 (en) * 2004-07-28 2011-02-01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oactive polymer-based actuation mechanism for grasp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24403A1 (en) * 2001-12-28 2003-07-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Wearable human motion appl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49543C (zh) 2007-11-21
US20050288597A1 (en) 2005-12-29
KR20060046487A (ko) 2006-05-17
CN1711962A (zh) 2005-12-28
EP1609413A1 (en) 2005-12-28
JP2006006450A (ja)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158B1 (ko) 혈압계용 체결 장치 및 전자 혈압계
EP1621129A1 (en) Air pump, living body pressurization air intake and exhaust device, and electronic sphygmomanometer
KR100999986B1 (ko) 정밀도 좋게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혈압 측정 장치
KR100678820B1 (ko) 에어 펌프, 펌프 시스템, 전자 혈압계 및 마사지기
KR100775715B1 (ko) 에어 밸브, 전자 혈압계 및 에어 마사지기
TWI494080B (zh) 血壓資訊測量裝置用壓脈帶及備有壓脈帶之血壓資訊測量裝置
JP3826938B2 (ja) 血圧計
WO2010004840A1 (ja)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情報測定装置
JP5633447B2 (ja)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の製造方法
WO2009116388A1 (ja) 血圧情報測定装置
JP2007151566A (ja) 血圧測定装置
JP5251447B2 (ja)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情報測定装置
WO2010013554A1 (ja) 血圧情報測定装置
TW200843698A (en) Blood pressure monitor capable of precisely measuring blood pressure
Bolivar et al. Towards a series elastic actuator with electrically modulated stiffness for Powered Ankle-Foot Orthoses
KR20080096962A (ko) 혈압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압 측정방법
TWI646940B (zh) 臂帶裝置與運用該臂帶裝置的血壓量測裝置
JP2006288914A (ja) 通電すると発熱し収縮作用を発現する形状記憶合金アクチュエータを利用した血圧計用カフの構造。
JP2010035696A (ja) 血圧測定装置
JP5405860B2 (ja) 血圧計
Edher Design, fabrication, and testing of a dielectric elastomer based ambulatory active compression device
JP2023114789A (ja) 血圧測定用カフ
JP2015217099A (ja) カフ及び血圧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