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121B1 -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121B1
KR100669121B1 KR1020000036041A KR20000036041A KR100669121B1 KR 100669121 B1 KR100669121 B1 KR 100669121B1 KR 1020000036041 A KR1020000036041 A KR 1020000036041A KR 20000036041 A KR20000036041 A KR 20000036041A KR 100669121 B1 KR100669121 B1 KR 100669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urface layer
laminate
disposable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561A (ko
Inventor
오츠보도시후미
단지히로유키
미시마요시타카
스즈키나오미
오니시가즈아키
이시카와노리히코
야베요우코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07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나 기저귀 커버와 병용하는 데 알맞은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을 목적으로 한다.
20∼5000 mm2의 개구(21)를 적어도 하나 갖는 표면층(11)과, 표면층(11)의 하부면에 접촉하는 삼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변 유지층(12)과, 유지층(12)의 하부면에 접촉하는 수분 흡수층(13)과, 흡수층(13)의 하부면을 덮는 불투액성 이면층(14)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에 의해서 변 수용부가 형성된다. 적층체의 폭은 변 수용부의 전단으로 향하여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표면층(11)의 측연부에는 누설방지둑(16)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DISPOSABLE WEARING ARTICLE FOR TREATMENT OF FECES}
도 1은 착용 상태에 있는 착용 물품(패드)의 측면도.
도 2는 착용 물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발명의 실시 양태예를 나타내는 도 2와 같은 도면.
도 7은 도 6의 D-D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E-E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착용 물품(패드) 3 : 전방부
4 : 후방부 6 : 전단 가장자리부
7 : 후단 가장자리부 8 : 측연부
11 : 표면층 12 : 유지층
13 : 흡수층 14 : 이면층
16 : 누설방지둑 21, 21A : 개구(관통 구멍)
22, 22A : 오목부 23 : 공극
32 : 기저연부 33 : 정수리연부
34 : 측벽부 36 : 탄성 부재
38 : 부재 41 : 부재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나 기저귀 커버 등과 병용하는 데 알맞은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랑이 영역의 내면에 변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된 일회용 기저귀는 잘 알려져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4-15921호, 평5-86320호, 평7-7620호 공보에는 그와 같은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지예에서는 하나의 기저귀로 변과 소변을 처리할 수 있다고 하는 편리함이 있는 반면, 소변만의 처리에 이 기저귀가 사용되면, 변을 수용하려고 하여 기저귀 제조시에 써버린 자재와 시간이 전혀 쓸모없게 된다. 기저귀 수요자는 그 기저귀의 편리함을 누리지 못한채 기저귀를 버리게 되므로, 결국 값이 높은 기저귀를 산 것이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이 과제로 하는 것은 소변과는 별도로 변만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해서,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으로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것은 이러한 착용 물품이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에 있다.
즉, 서로 직교하는 종축과 횡축을 가지고, 상기 종축 방향으로 전방부와 그 전방부에 이어지는 후방부를 구비하여, 상기 종축에 관해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 변 수용부가 면적 20∼5000 mm2의 개구를 적어도 하나 갖는 표면층과, 상기 표면층의 하부면에 접촉하고 상기 개구의 바로 아래에 상기 개구와 거의 동일한 개구 면적의 오목부를 갖는 삼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변 유지층과, 상기 유지층의 하부면에 접촉하여 흡수성 재료가 적어도 50 중량%를 차지하는 수분 흡수층과, 상기 흡수층의 하부면을 덮는 불투액성의 이면층을 갖는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것. 상기 적층체의 상기 횡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이 상기 후방부에서는 거의 한결같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전방부에서는 상기 적층체의 전단으로 갈수록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 상기 표면층의 상기 전후방부 사이에 연장되는 측연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이면층으로부터 상기 표면층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승하고, 그것과는 반대인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누설방지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는 이하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 양태가 있다.
(1) 상기 표면층은 소수성 시트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2) 상기 적층체의 측면 형상은 상기 후방부가 거의 평탄하며, 상기 전방부가 상기 표면층을 내측으로 하여 만곡하고 있다.
(3) 상기 누설방지둑이, 권축 복합 섬유 및 합성 수지 발포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다.
(4) 상기 누설방지둑이 상기 적층체의 전후방부 사이에 연장되는 측연부에 있어서 상기 이면층과 일체를 이루는 기저연부와, 상기 표면층의 상부면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종축 방향으로 탄성 신축가능한 정수리연부와, 상기 기저연부와 정수리연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누설방지벽을 갖고 있다.
(5) 상기 적층체의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와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폭 방향 중앙부 상부면의 상측에는 상기 적층체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한 부재가 배치되고, 그 부재의 양측 부분보다도 중간이 높게 형성되어 있다.
(6) 상기 유지층이 적어도 5 mm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개구의 바로 아래의 오목부의 깊이가 적어도 2.5 mm이다.
(7) 상기 오목부가 상기 유지층을 그 두께 방향에 있어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있다.
(8) 상기 표면층 및 유지층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전후방부 중의 적어도 전방부에 있어서, 폭 방향 단면 형상이 역 V자형을 나타내고 있다.
(9) 상기 역 V자형을 나타내고 있는 상기 유지층의 전방부는 폭 방향 중앙부가 상기 흡수층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인 변 수거 패드를 상세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은 사용 상태에 있는 패드(1)의 측면도이다. 패드(1)는 이것과 병용되는 일회용 기저귀나 팬티 등의 착의(2)의 내측에 놓여지고, 그 착의(2)에 의해서 항문을 중심으로 착용자의 둔부(5)에 압접되는 것으로, 사용 상태에 있을 때의 측면 형상은 전방부(3)가 아래쪽에, 후방부(4)가 상측에 위치하여, 대략 J 자형 내지 L 자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 2∼4는 패드(1)의 사시도와 패드(1)의 폭 W를 2등분하는 종축 A-A에 따른 단면도와, 종축 A-A에 직교하여 패드(1)의 길이 L을 전방부(3)와 후방부(4)에서 대략 2등분하는 횡축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패드(1)는 전단 가장자리부(6)와 후단 가장자리부(7)와, 이들 양단 가장자리부(6, 7) 사이에 연장되는 양측연부(8)를 가지고, 양측연부(8) 사이의 폭 W는 패드(1)의 후방부(4)와 대략 같고, 전방부(3)에서는 후단 가장자리부(7)로부터 전단 가장자리부(6)로 갈수록 점차로 작아진다.
패드(1)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표면층(11)과 표면층(11)의 하부면에 접촉하는 변 유지층(12)과, 유지층(12)의 하부면에 접촉하는 수분 흡수층(13)과, 흡수층(13)의 하부면을 피복하는 이면층(14)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로서, 양측연부(8)에서는 표면층(11)의 상부면에 누설방지둑(16)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누설방지둑(16)은 후단 가장자리부(7)로부터 전단 가장자리(6)로 갈수록 점차 접근하여, 전단 가장자리(6)에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면층(14)은 흡수층(13)의 가장자리부에서 상측으로 향하여 절곡되고, 표면층(11)과, 유지층(12)과, 흡수 층(13)과의 측면을 덮어, 누설방지둑(16)의 외면에 접합하고 있다.
도 2∼4에서 분명하게 예시된 바와 같이, 표면층(11)에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관통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21)은 20∼5000 mm2의 개구 면적을 가지고, 그 관통 구멍(21) 중에서, 패드(1) 착용자의 항문에 일치될 것으로 추정되는 폭 방향 중앙부의 관통 구멍(21A)은 특히 크게 형성되는 일이 있다. 유지층(12)은 관통 구멍(21)의 거의 바로 아래에 관통 구멍(21)의 개구 면적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도 큰 오목부(22)를 갖는다. 바람직한 오목부(22)는 유지층(21)의 상하부면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며, 도 2에서는 그 관통 구멍의 내측에 흡수층(13)이 제외되어 있다. 표면층(11)의 큰 관통 구멍(21A)의 바로 아래에는 그것과 동일하게 큰 오목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4에 분명하게 예시된 바와 같이, 표면층(11)과 유지층(12)은 서로 중합되는 하부면과 상부면에서,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로 접합되어 일체가 되고, 후방부(4)에서는 평탄해지며, 전방부(3)에서는 표면층(11)을 내측으로 하여 상측으로 향하여 만곡되어 있다. 흡수층(13)도 역시 후방부(4)에서 평평하지만, 전방부(3)에서는 폭 방향 중앙부가 흡수층(13)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완만하게 만곡 또는 굴곡되어 있다. 유지층(12)과 흡수층(13)은 전후단 가장자리부(6, 7)에서 유지층(12)의 하부면에 접합하는 한편, 만곡하는 부위에서는 공극(23)을 형성하고 있다. 유지층(12)의 큰 관통 구멍(22A)은 공극(23)으로 통해 있다. 표면층(11)의 상부면에는 누설방지둑(16)이 접합되어 있고, 이 누설방지둑(16)의 후방부(4)에 서는 평평하게 연장되며, 전방부(3)에서는 표면층(11)과 같이 만곡되어 있다. 흡수층(14)의 하부면 및 표면층(11)과 유지층(12)과 흡수층(13)의 측면을 덮는다
이면층(14)은 패드(1)의 전단 가장자리부(6)와 측연부(8)에서는 누설방지둑(16)의 측면부에 접합하고, 후단 가장자리부(7)에서는 표면층(11)의 상부면에 접합하고 있다. 이러한 이면층(14)은 필요하면 흡수층(13)의 하부면이나 각 층(11∼13)의 측면에 접합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패드(1)의 전방부(3)에 있어서의 폭 방향 단면에서는 일체가 된 표면층(11)과 유지층(12)이 역 V자형을 나타내는 한편, 흡수층(13)이 평탄하고, 유지층(12)과 흡수층(13)과의 사이에 공극(23)이 형성된다. 유지층(12)과 흡수층(13)은 서로의 측연부에서 중합되어 접합하고 있다. 표면층(11), 또는 표면층(11)과 유지층(12)은 패드(1)의 전방부(3)만이 아니라 후방부(4)에서도 역 V자형을 나타내는 일이 있다. 이러한 경우의 표면층(11)은 역 V자형의 정상부가 착용자의 엉덩이의 사이에 밀착하여, 그 사이를 이행하는 묽은 변의 흐름을 멈추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패드(1)의 표면층(11)에는 소수성의 시트 재료, 예컨대 합성 섬유 부직포, 합성 수지 필름, 합성 수지 발포 시트 등이 사용된다. 합성 수지 발포 시트라면, 예컨대 평량 25∼80 g/m2, 두께 0.5∼3 mm, 밀도 0.008∼0.03 g/cm3의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나 발포 폴리스티렌 시트 등이 사용된다. 이들 시트 재료는 그 표면에 발수 처리를 실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유지층(12)에는 패드(1)의 두께 방향과 폭 방향에 있어서 통기·통수성을 갖는 합성 수지계 삼차원 네트워크 구조물이 사용된다. 이러한 구조물에는, 예컨대 폴리에틸렌을 외피로 하고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스테르를 코어로 하는 6∼100d의 복합 섬유를 100∼1500 g/m2의 평량으로, 두께가 5∼100 mm가 되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권축한 상태에서 서로 접합시킨 것이 있다. 이러한 구조물에서는 복합 섬유의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중량%까지를 친수성 또는 흡수성의 섬유, 섬유형의 고흡수성 폴리머로 대체시킬 수 있다. 이 섬유형의 고흡수성 폴리머가 복합 섬유와 용착하면 네트워크 구조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구조물로서, 연속 기포의 발포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네트워크 구조물은 탄성체로서, 그 두께 방향으로 35 g/cm2의 하중을 5분간 가한 후에 그 하중을 제거하여 30분간 방치했을 때에 원래의 두께의 50% 이상으로까지 되돌아가는 탄성 압축 회복율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층(13)은 20∼600 g/m2의 평량과 적어도 8 g/g의 생리 함염수 흡수 능력을 갖는 것으로, 분쇄 펄프,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분말과의 혼합물, 열가소성 합성 섬유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의 혼합물, 열가소성 합성 섬유와 섬유형 고흡수성 폴리머와의 혼합물 등으로 형성된다. 열가소성 합성 섬유와 섬유형 고흡수성 폴리머와의 혼합물은 섬유형 고흡수성 폴리머를 70 중량%까지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합성 섬유에는 친수성의 것이여도 소수성의 것이여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열가소성 합성 섬유는 권축한 복합 섬유로서, 흡수층(13)에 많은 통수성 공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습윤 상태에서 압축되어도, 탄성적으로 원래의 두께 부근까지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층(14)은 실질적인 측면에서, 불투액성 또는 통기 불투액성의 합성 섬유 계 부직포나 합성 수지 필름으로 제조한다. 사용 필름의 외면에 부직포를 붙이는 것에 따라, 필름의 촉감을 천으로 바꿀 수 있다.
누설방지둑(16)은 권축 복합 섬유의 집합체나 우레탄 스폰지 등의 합성 수지 발포체를 소수성 또는 실질적으로 불투액성의 부직포나 필름으로 피복한 것으로, 압축되면 탄성적으로 변형한다. 도시예의 누설방지둑(16)은 단면이 대략 반원형 내지 타원형태의 것으로(도 3, 4 참조), 그 폭 p는 5∼30 mm, 높이 q는 5∼2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누설방지둑(16)은 도시예 외에, 필요하면 패드(1)의 후단 가장자리부(7)에 따라서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패드(l)의 각 층(11∼14) 및 누설방지둑(16)을 서로 접합할 때에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접합하는 것끼리를 용착할 수도 있다. 또한, 패드(1)의 이면층(14)의 하부면에는 매직 테이프 등의 상품명으로 알려진 기계적 파스너의 훅 부재(31)(도 3 참조)를 부착하여, 패드(1)와 동시에 착용하는 팬츠(2)의 내면에 고정 수단으로 할 수 있다. 다만, 패드(1)의 후방부(4)만을 팬츠(2)에 고정하고 전방부(3)는 고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패드(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부(3)가 밑이 되고, 후방부(4)가 위가 되어, 표면층(11)이 큰 관통 구멍(21A)과 항문 등이 거의 일치하도록 착용자의 둔부에 접촉하고, 동시에 착용하는 팬츠(2)나 기저귀 등의 착의 에 의해서, 그 접촉한 위치에 패드(1)를 유지한다. 패드(1)는 약간 뾰족한 전단 가장자리부(6)가 양 다리 사이 또는 엉덩이의 사이에 끼여, 누설방지둑(16)이 둔부에 밀착하게 되고, 따라서 배설된 변이 패드(1)로부터 누설되지 않게 된다. 누설방지둑(16)은 압축되면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것이므로, 둔부에 잘 밀착하여 수분이 많은 묽은 변이 배설된 경우라도 뛰어난 누설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패드(1)의 내부에 있어서, 변은 표면층(11)의 관통 구멍(21)을 통과하고, 유지층(12)의 오목부(22) 및 /또는 유지층(12)과 흡수층(13)과의 사이의 공극(23)에 수용됨에 따라, 패드(1)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오목부(22) 및 공극(23)내에서는 수분이 유지층(12)의 섬유형 고흡수성 폴리머에 흡수되거나, 흡수층(13)에 흡수되거나 하기 때문에, 거기에는 변의 고형분만이 남는다. 표면층(11)이 소수성 시트로 형성되어 있으면, 표면층(11)의 위에 배설된 변, 특히 묽은 변은 표면층(11)에 튀겨 오목부(22)로 용이하게 유입한다.
이렇게 하여 패드(1)에서는 변을 피부로부터 이격시켜 오목부(22)나 공극(23)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가 광범위에 걸쳐 더러워지거나, 염증이 생기거나 하는 일이 없다. 변의 고형분은 그것만을 패드(1)로부터 수세 화장실에서 제거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패드(1)를 일회용 기저귀와 병용하면, 기저귀를 변으로 더럽히는 일이 거의 없으므로, 그 기저귀는 주로 소변만을 처리할 수 있으면 좋은 것이 된다. 이러한 기저귀는 그 구조가 종래의 기저귀의 그것에 비교해서 간단하고, 기저귀의 제조 비용을 내릴 수 있다.
도 6∼8은 본 발명의 실시 양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 2와 같은 도면과, 그 D- D선 단면도와, E-E선 단면도이다. 도시예의 패드(101)는 도 2의 패드(1)와 다르고, 패드(1)의 폭을 2등분하는 종축 D-D 방향으로의 탄성 신축성을 갖는 비교적 길이가 긴 누설방지둑(16)을 갖고 있다. 누설방지둑(16)은 실질적으로 불투액성의 시트, 예컨대 부직포나 합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패드(101)의 측연부(8)에 있어서 이면층(14)과 중합되어 일체가 된 기저연부(32)와, 표면층(11)의 상부면 상측에 위치하는 정수리연부(33)와, 이들 기저연부(32)와 정수리연부(33)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측벽부(34)를 갖는다. 정수리연부(33)에는 고리형으로 뭉쳐진 탄성 시트(36)가 종축 D-D 방향으로 신장되어, 편평해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정수리연부(33)는 탄성 시트(36)의 수축에 의해서 개더(37)가 생겨 있다. 패드(101)의 전단 가장자리부(6)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엉덩이의 사이에 끼여 그 사이를 이행하는 묽은 변의 흐름을 멈추게 할 수 있는 탄성 부재(38)가 부착되어 있다. 패드(101)의 후단 가장자리부(7)에는 양 누설방지둑(16) 사이에 누설방지 시트(39)가 연장되어 있고, 시트(39)가 종축 D-D와 교차하는 부위에는 패드(101)와 착용자의 등뼈에 의한 등 오목부의 간극을 메울 수 있도록 탄성 부재(41)가 부착되어 있다. 부재(41)의 평면 형상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꼭대기부(42)가 전단 가장자리부(6)로 향하여 뾰족하거나, 또는 그것과는 반대의 방향을 향하여 뾰족한 이등변 삼각형의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부재(38, 41)는 권축한 복합 섬유의 집합체나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 발포 폴리우레탄 등으로 만들어지고, 이들 부재의 양측 부위에 비해서 중간이 높게 형성되어 있다. 누설방지 시트(39)는 양 누설방지둑(16)의 정수리연부(13)와 접합하는 것 외에, 패드(101)의 후단 가장자리부(7)측 에서는 이면층(14)에 접합하여, 패드(101)의 전단 가장자리부(6)로 향하여 개구하는 제1 포켓(43)을 형성하고 있다.
도 7에 분명하게 예시된 바와 같이, 표면층(11)과 유지층(12)과 흡수층(13)은 서로 중첩되어,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되어 있고, 이들 유지층(12)과 흡수층(13)과의 사이에는 도 3과 같은 공극(23)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패드(101)의 전방부(3)에서는 도 3의 것보다도 작은 원호, 예컨대 R= 20∼80 mm의 원호를 그려 만곡하고 있다. 이 만곡한 상태는 수축하고자 하는 탄성 부재(36)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다.
이러한 패드(101)는 누설방지둑(16)의 정수리연부(33)의 탄성 시트(36)를 폭 넓게 피부에 밀착시켜 착용한다. 패드(101)는 표면층(11)의 상부면과 누설방지둑(16)의 내면과의 사이에 제2 포켓(44)이 있어(도 7 참조), 묽은 변의 측방향으로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우의 누설방지둑(16) 사이에 많은 변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패드(101)는 탄성 부재(38)와, 제1, 제2 포켓(43, 44)으로 사방이 둘러싸인 상태에 있으므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많은 변을 누설없이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패드(1, 101)가 분리 불가능하게 기저귀에 고정되어 있는 것도, 본 발명의 실시 양태의 하나이다.
본 발명에 관한 착용 물품은 폭이 좁게 만들어진 전단부를 엉덩이의 사이에 접촉시키고, 측연부에 형성된 탄성 변형가능한 누설방지둑을 피부에 밀착시킴에 따 라, 변, 특히 묽은 변을 유지층의 오목부에 수용하게 되므로, 묽은 변으로 피부를 넓은 범위에 걸쳐 더럽히는 일이 없다. 오목부내의 묽은 변은 그 수분이 유지층이나 흡수층에 흡수되어 고형분만이 남게 되어, 피부가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지 않고, 또한 변을 수세 화장실에서 처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착용 물품을 일회용 기저귀와 병용하면, 그 기저귀에는 소변을 흡수하는 기능만을 부가하면 되기 때문에, 기저귀의 구조가 간단해져, 제조 비용을 내릴 수 있다.
이 착용 물품은 적층체의 전방부가 표면층 내측으로 하여 만곡하여, 물품의 측면 형상이 J자형 내지 L자형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착용자의 둔부에 용이하게 밀착한다.

Claims (10)

  1. 서로 직교하는 종축과 횡축을 가지고, 상기 종축 방향으로 전방부와 그 전방부에 이어지는 후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종축에 대해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 변 수용부가, 면적 20∼5000 mm2의 개구를 1 이상 갖는 표면층과, 이 표면층의 하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개구의 바로 아래에 상기 개구와 거의 동일한 개구 면적의 오목부를 갖는 삼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변 유지층과, 이 유지층의 하부면에 접촉하여 흡수성 재료가 적어도 50 중량%인 수분 흡수층과, 이 흡수층의 하부면을 덮는 불투액성의 이면층을 갖는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이 적층체의 상기 횡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이 상기 후방부에서는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는 반면, 상기 전방부에서는 상기 적층체의 전단으로 갈수록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누설방지둑이 상기 표면층의 상기 전후방부 사이에 연장되는 측연부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이면층으로부터 상기 표면층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승하고, 그것과는 반대인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이 소수성 시트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측면 형상은 상기 후방부가 거의 평평하며, 상기 전방부가 상기 표면층을 내측으로 하여 만곡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방지둑이 권축한 복합 섬유 및 합성 수지 발포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방지둑이 상기 적층체의 전후방부 사이에 연장되는 측연부에 있어서 상기 이면층과 일체를 이루는 기저연부와, 상기 표면층의 상부면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종축 방향으로 탄성 신축 가능한 정수리연부와, 상기 기저연부와 정수리연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누설방지벽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있어서의 폭 방향 중앙부 상측에는, 상기 적층체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한 부재가 배치되고, 그 부재가 그 양측 부분보다도 중간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층이 적어도 5 mm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개구의 바로 아래의 오목부의 깊이가 적어도 2.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상기 유지층을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 및 유지층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전후방부 중의 적어도 전방부에 있어서, 폭 방향 단면 형상이 역 V자형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 V자형을 나타내고 있는 상기 유지층의 전방부는 폭 방향 중앙부가 상기 흡수층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
KR1020000036041A 1999-06-29 2000-06-28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669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442799A JP3691292B2 (ja) 1999-06-29 1999-06-29 便処理用の使い捨てパッド
JP99-184427 1999-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561A KR20010007561A (ko) 2001-01-26
KR100669121B1 true KR100669121B1 (ko) 2007-01-16

Family

ID=16152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041A KR100669121B1 (ko) 1999-06-29 2000-06-28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450998B1 (ko)
EP (1) EP1064898B1 (ko)
JP (1) JP3691292B2 (ko)
KR (1) KR100669121B1 (ko)
CN (1) CN1129411C (ko)
CA (1) CA2312615C (ko)
DE (1) DE60022826T2 (ko)
ID (1) ID26449A (ko)
MY (1) MY121157A (ko)
TW (1) TW5095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200856L (sv) * 2002-03-21 2003-09-22 Sca Hygiene Prod Ab Inlägg till absorberande alster
US7749208B2 (en) 2002-03-21 2010-07-06 Sca Hygiene Products Ab Insert for absorbent article having a feces retaining layer and spacer element
JP3805274B2 (ja) * 2002-04-09 2006-08-02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20080262459A1 (en) * 2004-06-30 2008-10-23 Daio Paper Corporation Paper Diaper
JP4694798B2 (ja) * 2004-06-30 2011-06-08 大王製紙株式会社 紙おむつ
TW200806271A (en) * 2006-04-05 2008-02-01 Uni Charm Corp Absorbent wearing article and flexible structure with multiple tubiform portions
US9456935B2 (en) 2012-12-18 2016-10-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raised barriers
US9107780B2 (en) 2013-03-07 2015-08-18 1567958 Alberta Ltd. Disposable pad for children's outfit
US10271997B2 (en) 2014-04-08 2019-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substrates having zonal treatments
CN104434408A (zh) * 2014-12-01 2015-03-25 李钊 便捷式尿不湿
JP6844085B2 (ja) * 2016-12-22 2021-03-17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補助パッド
WO2018143921A1 (en) 2017-01-31 2018-08-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body side pocket
AU2018244777B2 (en) 2017-03-31 2023-02-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n exudate management layer
KR102164776B1 (ko) * 2017-03-31 2020-10-1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삼출물 관리층을 구비한 흡수 용품
CN110494110B (zh) 2017-03-31 2022-07-15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流出物管理层的吸收制品
JP6938822B2 (ja) * 2017-07-26 2021-09-22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補助パッド
GB2578997B (en) 2017-07-31 2021-12-29 Kimberly Clark Co Absorbent article with bodyside liner providing a barrier region
JP6974094B2 (ja) * 2017-09-27 2021-12-01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7000648B2 (ja) * 2017-11-29 2022-02-04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補助パッド
JP6758332B2 (ja) * 2018-01-10 2020-09-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585751B2 (ja) * 2018-02-26 2019-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低体重児用おむつ
CN110522563A (zh) * 2018-05-23 2019-12-03 文宜平 婴儿屎尿裤
KR102014032B1 (ko) * 2018-11-17 2019-10-21 김미희 체액의 등쪽 흐름 방지방법 및 이를 위한 소성 지지대, 체액흡수 물품 및 팬티
KR102562145B1 (ko) 2021-05-11 2023-08-01 케어포유 주식회사 용변 보조 패드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87092A0 (en) 1988-07-13 1988-12-30 Aviram Yitzchaki Sanitary towel
US4990147A (en) * 1988-09-02 1991-0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 liner for waste material isolation
SE500808C2 (sv) 1989-11-17 1994-09-05 Moelnlycke Ab Urinuppsamlande inlägg i en blöja eller ett inkontinensskydd
JPH0415921A (ja) 1990-05-09 1992-01-21 Sumitomo Metal Ind Ltd プラズマ活性化方法及びその装置
SE468271B (sv) * 1991-03-01 1992-12-07 Moelnlycke Ab Inlaegg avsett att baeras av en manlig brukare inuti ett absorberande alster
JPH0586320A (ja) 1991-09-25 1993-04-06 Asahi Glass Co Ltd 塗料用樹脂組成物
JP3343624B2 (ja) 1992-12-04 2002-11-11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吸収体製品
US5306266A (en) * 1992-12-21 1994-04-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spacers for use i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JP3012423B2 (ja) * 1993-03-05 2000-0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H077620A (ja) 1993-06-17 1995-01-10 Chuo Denshi Kk 監視装置における静止画像伝送方法
SE508206C2 (sv) * 1995-09-06 1998-09-14 Moelnlycke Ab Absorberande alster för upptagande av kroppsvätskor
SE505392C2 (sv) * 1995-11-16 1997-08-18 Moelnlycke Ab Vätskeabsorberande artikel försedd med krökt elastik för bildande av läckagespärr
US6423884B1 (en) 1996-10-11 2002-07-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pertures for fecal material
US6133501A (en) * 1996-10-24 2000-10-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retaining structure for receiving and retaining fecal material
SE512762C2 (sv) * 1997-02-28 2000-05-08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rtikel, såsom en blöja eller ett inkontinensskydd
JP3535958B2 (ja) * 1997-09-04 2004-06-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
JP3406205B2 (ja) * 1997-10-08 2003-05-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6022338A (en) 1997-11-19 2000-02-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multilayered containment barrier
JP3492234B2 (ja) * 1998-05-29 2004-02-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体液処理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64898B1 (en) 2005-09-28
KR20010007561A (ko) 2001-01-26
CN1129411C (zh) 2003-12-03
CN1286969A (zh) 2001-03-14
EP1064898A2 (en) 2001-01-03
EP1064898A3 (en) 2001-04-04
ID26449A (id) 2001-01-04
DE60022826D1 (de) 2006-02-09
JP2001008957A (ja) 2001-01-16
CA2312615C (en) 2004-05-18
DE60022826T2 (de) 2006-07-06
CA2312615A1 (en) 2000-12-29
JP3691292B2 (ja) 2005-09-07
MY121157A (en) 2005-12-30
US6450998B1 (en) 2002-09-17
TW509562B (en) 2002-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121B1 (ko) 변 처리용의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739401B1 (ko) 변처리용의 일회용 착용물품
KR100796221B1 (ko)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KR100633749B1 (ko) 표면 구조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
KR100590456B1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이트
TWI257858B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for absorption of body fluids
JP3725008B2 (ja) 吸収性物品
EP0591647B1 (en) Stretchable absorbent article
KR100812494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4653537B2 (ja) 吸収性物品
JP5189960B2 (ja) 吸収性物品
KR101205578B1 (ko) 흡수성 물품
JP2010017342A (ja) 吸収性物品
JP2001504729A (ja) 高く持ち上げられた部分を有する吸収物品
KR20020069174A (ko) 일회용 체액 흡수성 물품
US6508796B2 (en) Absorbent article
JP5102106B2 (ja) 吸収性物品
GB2139096A (en) Absorbant structure with reservoirs and a channel
JP3183357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3865565B2 (ja) 前漏れ防止効果の高い吸収性物品
JP5237084B2 (ja) 吸収性物品
JP4418549B2 (ja) 尿取りパッド
JP3737418B2 (ja) 吸収性物品
JPH044742Y2 (ko)
JP2565492B2 (ja) 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