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409B1 - 선박용 스풀밸브 - Google Patents

선박용 스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409B1
KR100668409B1 KR1020040053715A KR20040053715A KR100668409B1 KR 100668409 B1 KR100668409 B1 KR 100668409B1 KR 1020040053715 A KR1020040053715 A KR 1020040053715A KR 20040053715 A KR20040053715 A KR 20040053715A KR 100668409 B1 KR100668409 B1 KR 100668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pilot
piston
por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7199A (ko
Inventor
요시카와코조
마쯔다요시히사
쿠보야마유타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카이샤 나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7236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3052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0988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7657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5874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248785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카이샤 나브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카이샤 나브코
Publication of KR20050007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Abstract

밸브 본체(2)에 형성된 스풀 구멍(10)에, 펌프에 접속된 펌프 포트(20)와, 선박용 기기에 접속되는 액추에이터 포트(16)와, 탱크에 연통하고 있는 탱프 포트(24)가 연통하고 있다. 스풀 구멍(10)에 삽입통과되어 있는 스풀(26)을 그 한쪽의 단부측으로부터 파일럿부(28)가 압압한다. 스풀(26)을 그 다른쪽의 단부측으로부터 피스톤 구멍(68)과 피스톤(70)으로 이루어지는 가압수단이 압압한다. 파일럿부(28)에 의해 스풀(26)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펌프 포트(20) 및 탱크 포트(24)와 액추에이터 포트(16)의 압유의 공급 및 배출이 제어된다. 파일럿부(28)에서는 밸브 본체(2)에 형성된 피스톤 구멍(3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피스톤(32)에 삽입되고, 피스톤(32)과 피스톤 구멍(30)에 의해서 압력실이 구획되어 있다. 이 압력실에 압유를 공급 및 배출하는 파일럿 스풀(58)이 밸브 본체(2)에 설치되고, 상기 파일럿 스풀(58)을 이동시키는 전자식 구동부(66)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스풀밸브{SPOOL VALVE FOR SHIP}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선박용 스풀의 중립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박용 스풀밸브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 포트와 펌프 포트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박용 스풀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 포트와 펌프 포트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박용 스풀밸브의 파일럿 부근의 확대 종단면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선박용 스풀밸브의 파일럿 부근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선박용 스풀의 파일럿부 부근을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선박용 스풀에 있어서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포트와 탱크 포트가 접속되고, 배기용 액추에이터 포트와 펌프 포트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선박용 스풀밸브에 있어서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포트와 탱크 포트가 접속되고, 배기용 액추에이터 포트와 펌프 포트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선박용 스풀밸브에 있어서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포트가 중립상태로 되고, 배기용 액추에이터 포트와 펌프 포트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선박용 스풀밸브에 있어서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포트와 탱크 포트가 접속되고, 배기용 액추에이터 포트와 펌프 포트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선박용 스풀밸브의 파일럿부 부근의 확대 종단면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선박용 스풀밸브의 파일럿부 부근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선박용 스풀의 파일럿부 부근을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선박용 스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선박용 스풀밸브의 횡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선박용 스풀밸브의 제 1 전자구동부 파단 좌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선박용 스풀밸브의 제 2 전자구동부 파단 우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선박용 스풀밸브의 횡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선박용 스풀밸브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선박용 스풀밸브의 제 1 전자구동부 파단 좌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선박용 스풀밸브의 제 2 전자구동부 파단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예컨대, 선박에 있어서 사용되는 유체기기를 제어하는 선박용 스풀밸브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선박용 스풀밸브는, 예컨대, 선박의 내연기관으로의 연료공급펌프를 제어하거나, 선박의 내연기관의 배기밸브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선박용 스풀밸브의 일례가 PCT 국제 공개 공보 WO94/2957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스풀밸브에서는 밸브본체에 스풀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풀 구멍에는 압력유체 실린더의 챔버 내에 압력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포트가 설치되어 있다. 유체 압력원에 접속된 펌프 포트와, 탱크에 접속된 탱크 포트도 스풀 구멍에 설치되어 있다. 스풀 구멍에는 스풀이 삽입통과되고, 상기 스풀에 의해서 액추에이터 포트를 펌프 포트에 접속한 상태와, 탱크 포트에 접속한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스풀의 일단의 내부에는 파일럿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파일럿부에서는 스풀의 일단의 내부에 그 축선방향을 따라 형성한 압력실 내에 피스톤이 고정되어 있다. 이 압력실 내에는 스풀의 한쪽의 단부의 내부에 형성한 파일럿 스풀에 의해서 압력유체가 공급 및 배출된다. 상기 파일럿 스풀은 위치결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압력실 내에 압력유체를 공급하는 상태 또는 상기 구멍 내로부터 압력유체를 배출하는 상태로, 스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진다. 또한, 스풀의 다른쪽의 단부에는 압력유체에 의해서 스풀을 다른쪽의 단부측에 압압하고 있는 가압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풀밸브에서는 파일럿 스풀을, 예컨대, 스풀의 다른쪽의 단부측으로 이동시키면 압력실 내에 압력유체가 공급되고, 압력실 내의 압력이 높게 되고, 스풀이 다른쪽의 단부측으로 이동하고, 가압수단으로부터의 압압력과 균형을 이루는 상태에서 스풀이 정지한다. 마찬가지로 파일럿 스풀을 스풀의 한쪽의 단부측으로 이동시키면 압력실 내로부터 압력유체가 배출되고, 압력실 내의 압력이 낮게 되고, 스풀이 한쪽의 단부측으로 이동하고, 가압수단으로부터의 압압력과 균형을 이루는 상태에서 스풀이 정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풀밸브에서는 스풀의 한쪽의 단부 내부에, 압력실이나 파일럿 스풀을 형성할 필요가 있고, 그 제조가 번거롭다.
또한, 파일럿 스풀은 스풀밸브와 동일한 범위를 이동할 필요가 있고, 그 제조가 번거롭다.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한 선박용 스풀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한 선박용 스풀은 밸브 본체를 갖고 있다. 밸브 본체는, 예컨대, 관형상부와, 이 관형상부의 양 개구부를 각각 폐쇄하는 2개의 커버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 본체, 예컨대, 관형상부에 제 1 스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스풀 구멍에 펌프 포트가 연통하고, 이 펌프 포트는 유체 압력원에 접속된다. 상기 제 1 스풀 구멍에 액추에이터 포트가 연 통하고, 이 액추에이터 포트는 압력유체에 의해서 구동되는 선박용 기기에 접속된다. 상기 제 1 스풀 구멍에 탱크 포트가 연통하고, 이 탱크 포트는 탱크에 연통된다. 이들 각 포트는 밸브 본체, 예컨대, 관형상부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스풀 구멍에 스풀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 스풀은, 예컨대, 상기 관형상부의 양 개구 간을 연결하는 축선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풀을 그 한쪽의 단부측으로부터 파일럿부가 압압한다. 상기 스풀을 그 다른쪽의 단부측으로부터 가압수단이 압압한다. 상기 파일럿부에 의해 상기 스풀을 원하는 위치로 제어함으로써, 예컨대, 진퇴시킴으로써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액추에이터 포트로의 압력유체의 공급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 포트로부터 상기 탱크 포트로의 상기 압력유체의 배출이 제어된다. 상기 파일럿부에서는 스풀이 아닌 상기 밸브 본체에 제 1 피스톤 구멍이 형성되고, 이 제 1 피스톤 구멍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제 1 피스톤이 삽입되어 있다. 이 제 1 피스톤 구멍은, 예컨대, 스풀의 한쪽의 단부측에 있는 커버에, 스풀의 슬라이딩방향(축선방향)과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피스톤은 제 1 피스톤 구멍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스풀의 한쪽의 단부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제 1 피스톤 구멍과 제 1 피스톤은 각각 복수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피스톤과 상기 밸브 본체에 의해서 제 1 압력실이 구획되어 있다. 이 제 1 압력실에 상기 압력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파일럿 스풀이 설치되어 있다. 이 파일럿 스풀도 상기 밸브 본체, 예컨대, 스풀의 한쪽측의 단부측에 있는 커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풀의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전자식 구동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자식 구동부는 상기 밸브 본체와는 별개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선박용 스풀밸브에서는 파일럿 스풀을 전자식 구동부에 의해서 이동시키면 파일럿부의 제 1 압력실에 압력유체가 급배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파일럿부의 제 1 피스톤이 진퇴하여 파일럿부의 제 1 압력실의 압력과 가압수단의 압압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로 스풀을 이동시키고, 액추에이터 포트로의 압력유체를 급배(給排)한다. 상기 선박용 스풀밸브에서는 파일럿부가 스풀 내부가 아니고, 스풀과는 별개로 밸브 본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풀 내에 파일럿부를 형성하는 것보다, 그 가공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전자식 구동부의 이동범위는 스풀의 이동범위보다 작게 된다. 이것에 기인하여 전자식 구동부에는 이동범위가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파일럿부가 작게 됨으로써 그 가공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상기 제 1 피스톤보다 상기 밸브 본체의 중심측에 슬리브를 배치할 수 있다. 이 슬리브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스풀의 슬라이딩방향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리브에 상기 압력실과 연통하는 제 1 통로와, 상기 압력원과 연통하는 제 2 통로와, 상기 탱크와 연통하는 제 3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일럿 스풀이 상기 슬리브 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파일럿 스풀이 상기 전자식 구동부에 의해서 구동된다, 상기 파일럿 스풀이 제 1 통로를 제 2 통로 또는 제 3 통로에 연통 및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압력실로의 상기 압력유체의 공급 및 배출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파일럿 스풀이 삽입통과되어 있는 슬리브가 제 1 압력실 에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파일럿 스풀과 제 1 압력실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파일럿 스풀밸브의 이동이 크게 지연되는 일없이 스풀이 이동하고, 압력유체의 응답 지연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슬리브는 밸브 본체와 별개로 형성하여 밸브 본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풀밸브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스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스풀 내에 형성된 제 2 스풀 구멍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스풀 구멍은 상기 스풀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스풀 구멍에 제 2 피스톤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어, 밸브 본체에 접촉하고 있다. 제 2 피스톤에 의해 상기 스풀 내에 제 2 압력실이 구획되어 있다. 이 제 2 압력실과 상기 압력원을 제 4 통로가 연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가압수단은 압력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스풀에 대한 압압력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예컨대, 스프링 등에 의해서 압압력을 발생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동일한 공간에서 큰 압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스풀을 비교적 고속으로 가동할 수 있다.
상기 스풀과 상기 파일럿 스풀 사이에 피드백 스프링을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피드백 스프링에 의해 스풀의 이동을 파일럿 스풀에 압력으로 전달할 수 있고, 전자식 구동부의 추력과, 스풀을 피드백 스프링으로 미는 압력을 균형있게 함으로써 압력실로의 압력유체의 공급, 배출을 제어하고 있으므로 정밀도가 높은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전자식 구동부에는 이동범위가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례 솔레노이드를 전자식 구동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것에 기인하 여 솔레노이드 부분에 오일이 들어간 오일 침투 타입의 것이 사용가능하고, 전자식 구동부의 플런저에 접촉하는 밀봉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슬라이딩 저항이나 히스를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다 고속으로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피드백 스프링의 스프링력은 상기 파일럿 스풀과 상기 슬리브 사이의 플로우 포스(flow force)(압력유체의 흐름에 의한 추력)보다 크게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피드백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파일럿 스풀은 전자식 구동부에 항상 압압되므로 파일럿 스풀과 전자식 구동부의 출력축을 연결시킬 필요가 없고, 출력축에 파일럿 스풀을 접촉시키는 것만으로도 좋고, 출력축과 파일럿 스풀 사이의 커플링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 1 통로를 노치부와 각이 진 구멍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가공이 복잡한 각이 진 구멍을 가공할 필요가 있는 거리인 가공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풀에 스트로크 센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트로크 센서로부터의 신호, 예컨대, 스풀의 스트로크를 표시하는 스트로크 신호와, 제어신호, 예컨대, 전자식 구동부에 의한 스풀의 스트로크를 표시하는 스트로크 지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식 구동부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실제 스풀의 스트로크가, 스토로크 지시신호에 의해 지시된 스토로크로 되도록 전자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어, 고정밀도로 스풀의 스트로크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선박용 스풀밸브는 밸브 본체에 형성된 제 1 스풀 구멍을 갖고 있다. 이 제 1 스풀 구멍에 연통한 펌프 포트가 압력원에 접속된 다. 제 1 스풀 구멍에 연통한 연료용 포트가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에 접속된다. 제 1 스풀 구멍에 연통한 배기용 포트가 배기밸브용 액추에이터에 접속된다. 제 1 스풀 구멍에 연통한 탱크 포트가 탱크에 연통된다. 이들 각 포트는 밸브 본체, 예컨대, 관형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제 1 스풀 구멍에 스풀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 스풀은, 에컨대, 상기 관형상부의 양 개구 간을 연결하는 선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 포트, 탱크 포트, 연료용 포트 및 배기용 포트는 스풀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풀을 그 한쪽의 단부측으로부터 파일럿부가 압압한다. 스풀을 그 다른쪽의 단부측으로부터 가압수단이 압압한다. 파일럿부에 의해 스풀을 원하는 위치로 제어함으로써, 예컨대, 진퇴시킴으로써 펌프 포트로부터 연료용 또는 배기밸브용 포트로의 압력유체의 공급, 또는 상기 연료용 또는 배기밸브용 포트로부터 상기 탱크 포트로의 상기 압력유체의 배출이 제어된다. 파일럿부에서는 스풀이 아닌 밸브 본체에 제 1 피스톤 구멍이 형성되고, 이 제 1 피스톤 구멍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제 1 피스톤이 삽입되어 있다. 이 제 1 피스톤 구멍은, 예컨대, 스풀의 한쪽의 단부측에 있는 밸브 본체의 커버에 스풀의 슬라이딩방향(축선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피스톤은 제 1 피스톤 구멍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스풀의 한쪽의 단부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제 1 피스톤 구멍과 제 1 피스톤은 각각 복수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일럿 스풀도 상기 밸브 본체, 예컨대, 스풀의 한쪽측의 단부측에 있는 커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풀의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피 스톤과 상기 밸브 본체에 의해서 제 1 압력실이 구획되어 있다. 이 제 1 압력실에 상기 압력원으로부터의 압력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파일럿 스풀이 설치되어 있다. 이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전자식 구동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자식 구동부는 상기 밸브 본체와는 별개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전자식 구동부의 추력과 대항하는 스풀 되돌림 수단과, 스풀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스풀 되돌림 수단으로서는, 예컨대,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고, 이 탄성체는 스풀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출수단의 신호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식 구동부가 제어된다. 상기 파일럿부에 의해 상기 스풀을 원하는 위치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연료용 포트로의 상기 압력유체의 공급을 행하는 연료공급위치와, 상기 연료용 포트로부터 상기 탱크 포트로의 상기 압력유체의 배출을 행하는 연료배출위치와, 상기 배기용 포트로부터 상기 탱크 포트로의 상기 압력유체의 공급을 행하는 배기공급위치와, 상기 배기용 포트로부터 상기 탱크 포트로의 상기 압력유체의 배출을 행하는 배기배출위치로 스풀의 위치가 전환된다.
상기 선박용 스풀밸브에서는 파일럿 스풀을 전자식 구동부에 의해서 이동시키면 파일럿부의 제 1 압력실에 압력유체가 급배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파일럿부의 제 1 피스톤이 진퇴하여 파일럿부의 제 1 압력실의 압력과 가압수단의 압압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로 스풀을 이동시키고, 연료용 포트 또는 배기용 포트로 압력유체를 급배한다. 이 때, 스풀 되돌림 수단에 의해 스풀의 이동을 파일럿 스풀에 압력으로 전달할 수 있고, 전자식 구동부의 추력과, 스풀을 스풀 되돌림 수단으로 미는 압력을 균형있게 함으로써 압력실로의 압력유체의 공급, 배출을 제어하고 있으므로 정밀도가 높은 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선박용 스풀밸브에서는 파일럿부가 스풀 내부가 아니고, 스풀과는 별개로 밸브 본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풀 내에 파일럿부를 형성하는 것보다 그 가공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전자식 구동부의 이동범위는 스풀의 이동범위보다 작게 된다. 이것에 기인하여 전자식 구동부는 이동범위가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파일럿부가 작게 됨으로써 그 가공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상기 제 1 피스톤보다 상기 밸브 본체의 중심측에 슬리브를 배치할 수 있다. 이 슬리브는 밸브 본체의 커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길이방향이 상기 스풀의 슬라이딩방향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리브에 상기 제 1 압력실과 연통하는 제 1 통로와, 상기 압력원과 연통하는 제 2 통로와, 상기 탱크와 연통하는 제 3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일럿 스풀이 상기 슬리브 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파일럿 스풀이 상기 전자식 구동부에 의해서 구동된다. 상기 파일럿 스풀이 제 1 통로를 제 2 통로 또는 제 3 통로에 연통 및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압력실로의 상기 압력유체의 공급 및 배출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파일럿 스풀이 삽입통과되어 있는 슬리브가 제 1 압력실에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파일럿 스풀과 제 1 압력실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파일럿 스풀밸브의 이동이 크게 지연되는 일없이 스풀이 이동하고, 압력유체의 응답 지연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슬리브는 밸브 본체와는 별개로 형성하여 밸브 본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풀 밸브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스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스풀 내에 형성된 제 2 스풀 구멍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제 2 스풀 구멍은 상기 스풀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스풀 구멍에 제 2 피스톤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어, 밸브 본체에 접촉하고 있다. 제 2 피스톤에 의해 상기 스풀 내에 제 2 압력실이 구획되어 있다. 이 제 2 압력실과 상기 압력원을 제 4 통로가 연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가압수단은 압력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스풀에 대한 압압력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예컨대, 스프링 등에 의해서 압압력을 발생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동일한 공간에서 큰 압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스풀을 비교적 고속으로 가동할 수 있다.
상기 스풀과 상기 파일럿 스풀 사이에 스풀 되돌림 수단으로서, 피드백 스프링을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피드백 스프링에 의해 스풀의 이동을 파일럿 스풀에 압력으로 전달할 수 있고, 전자식 구동부의 추력과, 스풀을 피드백 스프링으로 미는 압력을 균형있게 함으로써 압력실로의 압력유체의 공급, 배출을 제어하고 있으므로 정밀도가 높은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전자식 구동부에는 이동범위가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례 솔레노이드를 전자식 구동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것에 기인하여 솔레노이드 부분에 오일이 들어간 오일 침투 타입의 것이 사용가능하고, 전자식 구동부의 플런저에 접촉하는 밀봉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슬라이딩 저항이나 히스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보다 고속으로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피드백 스프링의 스프링력은 상기 파일럿 스풀과 상기 슬리브 사이의 플로우 포스(압력유체의 흐름에 의한 추력)보다 크게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피드백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파일럿 스풀은 전자식 구동부에 항상 압압되므로 파일럿 스풀과 전자식 구동부의 출력축을 연결시킬 필요가 없고, 출력축에 파일럿 스풀을 접촉시키는 것만으로도 좋고, 출력축과 파일럿 스풀 사이의 커프링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 1 통로를 노치부와 각이 진 구멍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가공이 복잡한 각이 진 구멍을 가공할 필요가 있는 거리인 가공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검출수단으로서, 상기 스풀에 스트로크 센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트로크 센서로부터의 신호, 예컨대, 스풀의 스트로크를 표시하는 스트로크 신호와, 제어신호, 예컨대, 전자식 구동부에 의한 스풀의 스트로크를 표시하는 스트로크 지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식 구동부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실제 스풀의 스트로크가, 스트로크 지시신호에 기초하여 지시된 스트로크로 되도록 전자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어, 고정밀도로 스풀의 스트로크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선박용 스풀밸브는 밸브 본체를 갖고 있다. 이 밸브 본체에 스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풀 구멍에 연통하고 있는 펌프 포트가 압력원에 접속된다. 상기 스풀 구멍에 연통하는 작동 포트가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또는 배기밸브용 액추에이터에 접속된다. 상기 작동 포트는 연료공급 액추에이터용과, 배기밸브 액추에이터용을 각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풀 구멍에 연 통하고 있는 탱크 포트가 탱크에 연통된다. 스풀 구멍에 스풀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 스풀은 스풀 구멍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다. 상기 스풀을 그 한쪽의 단부로부터 다른쪽의 단부측으로 제 1 파일럿부가 압압한다. 상기 스풀을 그 다른쪽의 단부로부터 한쪽의 단부측으로 제 2 파일럿부가 압압한다. 작동 포트와 탱크 포트가 연통하는 중립위치에 중립기구가 상기 스풀을 가압한다. 중립위치로서는, 예컨대, 스풀을 그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및 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으로 각각 동일한 힘으로 압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압력유체를 사용하거나, 탄성수단을 사용한다. 제 1 파일럿부에서는 밸브 본체의 일단측에 형성된 제 1 피스톤 구멍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제 1 피스톤이 삽입되고, 제 1 피스톤과 밸브 본체에 의해서 제 1 압력실이 구획되어 있다. 제 1 압력실의 체적은 제 1 피스톤의 슬라이딩에 의해서 확대 축소된다. 제 1 압력실에 압력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제 1 파일럿 스풀이, 예컨대, 밸브 본체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압력실이 펌프 포트와 연통하는 공급위치와, 제 1 압력실이 탱크 포트와 연통하는 배출위치로 제 1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제 1 전자식 구동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파일럿부에서는 밸브 본체의 타단측에 형성된 제 2 피스톤 구멍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제 2 피스톤이 삽입통과되고, 상기 제 2 피스톤과 상기 밸브 본체에 의해서 제 2 압력실이 구획되어 있다. 제 2 압력실은 펌프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압력실의 수압 면적은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파일럿 스풀이 공급위치에 있고, 제 1 압력실에 압력유체가 공급되어 있을 때, 제 1 및 제 2 압력실에는 동일한 펌프 포트로부터 압력유체가 공급되고, 제 1 및 제 2 압력실의 수압 면적은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피스톤은 동일한 힘으로 스풀밸브를 양단으로부터 각각 내측을 향해 압압한다. 스풀은 중립기구에 의해서 중립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제 1 전자식 구동부에 의해서 제 1 파일럿 스풀을 배출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압력실로부터 압력유체가 배출되고, 제 2 압력실의 압력유체에 의해서 제 2 피스톤이 중립기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스풀을 펌프 포트로부터 작동포트로 압력유체의 공급을 행하는 위치로 전환된다.
상기 선박용 스풀밸브에서는 제 1 파일럿부는 스풀 안이 아니고 밸브 본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풀에 파일럿부를 설치하기 위하여 스풀에 가공을 행하는 것보다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동일한 힘으로 스풀 밸브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압압하도록 제 1 및 제 2 파일럿부를 설치하여 두고, 제 1 파일럿부로의 압력유체를 배출함으로써 스풀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제 2 압력실에는 가압된 압력유체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되어 있지 않은 압력실에 압력유체를 공급하여 스풀을 이동시키는 것에 비해서 유체의 압축이나 통로 길이의 영향이 적어, 그 작동이 빠르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선박용 스풀은 상기 형태와 마찬가지로 밸브 본체와, 스풀 구멍과, 펌프 포트와, 작동 포트와, 탱크 포트와, 스풀과, 제 1 및 제 2 파일럿부와, 중립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중립기구는 제 3 피스톤과 제 4 피스톤을 구비하고 있다. 제 3 피스톤은 밸브 본체의 일단측에 형성된 제 3 피스톤 구멍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고, 스풀을 압압할 수 있다. 상기 제 3 피스톤과 밸브 본체에 의해서 제 3 압력실이 구획되어 있다. 제 4 피스톤은 밸브 본체의 타단측에 형성된 제 4 피스톤 구멍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 4 피스톤이 스풀을 압압할 수 있다. 상기 제 4 피스톤과 밸브 본체에 의해서 제 4 압력실이 구획되어 있다. 제 3 피스톤이 중립위치로부터 타단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 1 스토퍼가 규제하고 있다. 제 4 피스톤이 중립위치로부터 일단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 2 스토퍼가 규제하고 있다. 제 3 및 제 4 압력실은 항상 펌프 포트에 접속되고, 제 3 피스톤과 제 4 피스톤은 스풀의 양단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 3 및 제 4 피스톤의 수압 면적이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압력실의 수압 면적이 동등하게 형성되고, 제 1 파일럿부의 제 1 압력실로부터 압력유체를 배출함으로써 제 2 압력실의 압력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제 2 피스톤이 중립기구의 제 3 피스톤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스풀을 펌프 포트로부터 작동 포트로 압력유체의 공급을 행하는 공급위치로 전환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피스톤에 가해지고 있는 힘은 제 1~제 4 압력실에 가해지는 힘보다 크다. 동일한 펌프 포트로부터의 압력 유체를 제 1~제 4 압력실에 공급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피스톤의 수압 면적을 제 3 및 제 4 피스톤의 수압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박용 스풀밸브에서는 제 1 파일럿부는 스풀 안이 아니고, 밸브 본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풀에 파일럿부를 설치하기 위해 스풀에 가공을 행하는 것보다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 3 압력실에 압력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스풀을 중립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중립기구를 펌프 포트로부터의 압력유체의 압력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에 비해서 복귀력을 크게 할 수 있고, 그 복귀속도를 비교적 빠르게 할 수 있다.
상기 양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 1 전자식 구동부는 제 1 압력실이 탱크 포트와 연통하는 위치로 제 1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제 1 솔레노이드와, 제 1 압력실이 펌프 포트와 연통하는 위치로 제 1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제 2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 1 솔레노이드에 의해서 제 1 파일럿 스풀을 구동한 후, 제 1 파일럿 스풀을 구동시킬 때에 제 2 솔레노이드에 의해 전환속도를 빠르게 함과 아울러 제 1 솔레노이드의 역기전력에 저항하여 제 1 파일럿 스풀이 작동하기 시작하기까지의 응답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풀의 전환도 빠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솔레노이드를 비례 솔레노이드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 1 솔레노이드 스풀의 위치를 임의의 위치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제 1 솔레노이드의 작동 포트가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연료의 분사율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는 밸브 본체를 갖고 있다. 이 밸브 본체에 스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풀 구멍에 연통한 펌프 포트가 압력원에 접속된다. 스풀 구멍에 연통한 연료용 포트가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에 접속된다. 스풀 구멍에 연통한 배기용 포트가 배기밸브용 액추에이터에 접속된다. 스풀 구멍에 연통한 탱크 포트가 탱크에 접속된다. 스풀 구멍에 스풀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 스풀을 그 한쪽의 단부로부터 제 1 파일럿이 압압한다. 스풀을 그 다른쪽의 단부로부터 제 2 파일럿부가 압압한다. 연료용 포트 및 배기용 포트가 탱크 포트에 연통하는 중립위치 로 중립기구가 스풀을 가압한다. 제 1 파일럿부에서는 밸브 본체의 일단측에 형성된 제 1 피스톤 구멍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제 1 피스톤이 삽입되고, 제 1 피스톤과 밸브 본체에 의해서 제 1 압력실이 구획되어 있다. 이 제 1 압력실에 압력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도록 제 1 파일럿 스풀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도록 제 1 전자식 구동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파일럿부에서는 밸브 본체의 타단측에 형성된 제 2 피스톤 구멍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제 2 피스톤이 삽입되고, 제 2 피스톤과 밸브 본체에 의해서 제 2 압력실이 구획되어 있다. 제 2 압력실에 압력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제 2 파일럿 스풀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도록 제 2 전자식 구동부도 설치되어 있다. 제 1 전자식 구동부는 제 1 압력실이 탱크 포트와 연통하는 배출위치로 제 1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제 1 솔레노이드와, 제 1 압력실이 펌프 포트와 연통하는 공급위치로 제 1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제 2 솔레노이드를 갖고 있다. 제 2 전자식 구동부는 제 2 압력실이 탱크 포트와 연통하는 배출위치로 제 2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제 3 솔레노이드와, 제 2 압력실이 펌프 포트와 연통하는 공급위치로 제 2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제 4 솔레노이드를 갖고 있다. 상기 선박용 스풀밸브는 펌프 포트로부터 연료용 포트로의 압력유체의 공급을 행하는 연료공급위치와, 펌프 포트로부터 배기용 포트로의 상기 압력유체의 공급을 행하는 배기위치와, 상기 중립위치로 전환된다.
이 구성에서는 제 1 및 제 2 파일럿부는 스풀 안이 아니고, 밸브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스풀에 파일럿부를 설치하기 위하여 스풀에 가공을 행하는 것보다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압력실이 펌프 포트에 접속되는 상태에서는 중립기구에 의해서 스풀은 중립위치에 있고, 연료용 포트 및 배기용 포트가 탱크 포트에 연통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예컨대, 제 1 파일럿 스풀이 제 1 전자식 구동부의 제 1 솔레노이드에 의해서 배출위치로 이동시켜지면 제 2 파일럿부로부터의 파일럿압에 의해서 스풀이 슬라이딩하고, 연료용 포트가 펌프 포트에 연통하여 연료공급위치로 전환된다. 배기용 포트는 중립위치와 마찬가지로 탱크 포트에 연통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제 1 파일럿 스풀이 제 1 전자식 구동부의 제 2 솔레노이드에 의해 공급위치로 이동시켜짐으로써 스풀은 중립위치로 돌아간다. 혹은 중립위치에 있어서 제 2 파일럿 스풀이 제 2 전자식 구동부의 제 3 솔레노이드에 의해서 배출위치로 이동시켜지면 제 1 파일럿부로부터의 파일럿압에 의해서 스풀이 슬라이딩하고, 배기용 포트가 펌프 포트에 연통하는 배기위치로 전환된다. 연료용 포트는 탱크 포트에 연통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제 2 파일럿 스풀이 제 2 전자식 구동부의 제 4 솔레노이드에 의해서 공급위치로 이동시켜짐으로써 스풀은 중립위치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제 1 파일럿 스풀을 공급위치와 배출위치의 2개의 위치로 고속으로 구동할 수 있고, 스풀을 연료공급위치 또는 중립위치로 고속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와는 별도로 설치된 제 3 및 제 4 솔레노이드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제 2 파일럿 스풀을 공급위치와 배출위치의 2개의 위치로 고속으로 구동할 수 있고, 스풀을 중립위치 또는 배기위치로 고속으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와 배기밸브용 액추에이터를 1개의 선박용 스풀로 구동하여도 각각 의 작동의 영향을 저감하여, 고속 구동할 수 있다.
즉, 전자 파일럿 스풀밸브에서, 예컨대, 연료공급, 배기 및 중립의 3위치로 전환되기 때문에 3위치 전환 전자밸브를 1개만 사용하는 경우, 연료공급위치 또는 배기위치로부터 중립위치로 고속으로 되돌리고자 하였을 때에, 예컨대, 연료공급위치로부터 중립위치로 되돌리게 하고 있는데도 중립위치를 통과하여 배기위치까지 전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전자식 구동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솔레노이드로 파일럿 스풀밸브를 2위치로 전환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반대측까지 전환되는 일이 없어, 고속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선박용 스풀밸브는, 예컨대, 선박의 내연기관에 연료를 공급하는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2)를 갖고 있다. 밸브 본체(2)는 관형상부(4)를 갖고 있다. 이 관형상부(4)는 양단이 개방되어 있다. 이들 양단은 각각 커버(6,8)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상기 관형상부(4)의 내부의 중심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스풀 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풀 구멍(10)은 원형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풀 구멍(1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거의 중앙에는 바깥쪽을 향하여 직경을 확대한 환상 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홈(14)은 관형상부(4)에 형성한 액추에이터 포트(16)를 통해 액추에이터(도시 안함)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환상 홈(14)으로부터 커버(6)측으로 약간 접근한 위치에 환상 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홈(18)은 관형상부(4)에 형성한 펌프 포트(20)를 통해서 압력원, 예컨대, 압유(壓油) 펌프에 접속되어 있다. 환상 홈(14)으로부터 커버(8)측으로 약간 접근한 위치에 환상 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홈(22)은 관형상부(4)에 형성한 탱크 포트(24)를 통해서 탱크(도시 안함)에 접속되어 있다.
스풀 구멍(10)에는 스풀(26)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스풀(26)은 그 축선이 스풀 구멍(10)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풀(26)은 스풀 구멍(10)의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풀(26)의 양단부에 각각 밸브체(26a,26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밸브체(26a,26b)는 팽대부(膨大部)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팽대부의 직경은 각 환상 홈(14,18,22)을 폐쇄가능하게 스풀 구멍(10)의 직경과 거의 일치하도록 선택되어 있다. 이들 밸브체(26a,26b) 간의 스풀(26)의 부분의 직경은 스풀 구멍(10)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도 1은 밸브체(26a)가 환상 홈(18)을 폐쇄하고, 또한, 밸브체(26b)가 환상 홈(22)을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액추에이터에는 압력유체, 예컨대, 압유의 공급, 배출은 행해지지 않는다.
도 1의 상태로부터 스풀(26)이 커버(6)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 2에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환상 홈(18)에 대한 밸브체(26a)에 의한 폐쇄가 일부 해제되고, 펌프 포트(20)로부터의 압유가 스풀 구멍(10), 액추에이터 포트(16)를 통해서 액추이에터에 공급되어 있다. 이 때, 밸브체(26b)에 의한 환상 홈(22)의 폐쇄는 계속되어 있고, 액추에이터 포트(16)로부터 탱크로의 압유의 배출은 행해지고 있지 않다. 액추에이터 포트(16)와 펌프 포트(20)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스풀(26)의 위치를 변경하여 펌프 포트(20)의 개구상태를 변경시킴으로써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스풀(26)을 커버(8)측으로 슬라이딩시킨 상태를 도 3에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환상 홈(22)에 대한 밸브체(26a)에 의한 폐쇄가 일부 해제되고, 액추에이터로부터의 압유가 액축에이터(16), 스풀 구멍(10), 탱크 포트(24)를 통해서 탱크에 배출되어 있다. 이 때, 밸브체(26a)에 의한 환상 홈(18)의 폐쇄는 계속되어 있고, 액추에이터 포트(16)로의 펌프로부터의 압유의 공급은 행해지고 있지 않다. 액추에이터 포트(16)와 탱크 포트(24)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스풀(26)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탱크 포트(24)의 개구상태를 변경할 수 있고, 탱크에 배출되는 압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밸브 본체(2)의 일부인 커버(6)에는 파일럿부(28)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부(28)는 커버(6)에 형성된 제 1 피스톤 구멍(30,30)을 갖고 있다. 이들 피스톤 구멍(30,30)은 스풀 구멍(10)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이 축선으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피스톤 구멍(30,30)은 스풀(26)의 축선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스풀(26)의 밸브체(26a)에 대향하는 측이 개구되어 있다. 이들 피스톤 구멍(30,30)에 제 1 피스톤(32,32)이 피스톤 구멍(30,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32,32)의 선단부는 상기 피스톤 구멍(30,30)의 개구로부터 스풀(26)측으로 돌출하고, 스풀(26)의 밸브체(26a)의 끝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들 피스톤(32,32)의 내부는 피스톤 구멍(30)의 안쪽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중공부의 선단부와 피스톤 구멍(30)의 안쪽부 사이에 탄성체, 예컨대, 코일 스프링(34,34)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 (34,34)에 의해서 피스톤(32,32)의 스풀(26)로의 접촉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이들 피스톤(32,32)이 진퇴함으로써 이들 피스톤(32,32)의 내부 중공과 피스톤 구멍(30)에 의해서 형성된 제 1 압력실의 용적이 변화한다.
이들 피스톤(32,32)의 내측, 예컨대, 스풀 구멍(10)의 축선 상에 위치하도록 슬리브(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리브(36)는 그 양단부가 개구되고, 그 중심 축선이 스풀 구멍(10)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36)의 축선방향의 거의 중앙에는 제 1 통로(37)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통로(37)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36)의 내주면으로부터 짧은 거리만큼 바깥쪽을 향해 형성된 각이 진 구멍(38)과, 이 각이 진 구멍(38)에 연통하는 노치부(40)와, 이 노치부(40)의 바깥쪽으로 슬리브(36)의 외주면 전체 영역에 형성된 환상 홈(42)으로 이루어진다. 제 1 통로(37)는 커버(6)에 형성한 통로(44)를 통해서 피스톤 구멍(30,30)에 연통하고 있다.
상기 제 1 통로(37)보다 스풀 구멍(10)측에 근접한 위치에 제 2 통로(46)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통로(46)는 슬리브(36)의 내주면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는 각이 진 구멍(48)과, 슬리브(36)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 홈(50)으로 이루어진다. 환상 홈(50)은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커버(6) 및 환상부(4)에 형성한 통로를 통해서, 펌프에 연이어지는 환상 홈(18)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통로(37)에 있어서의 제 2 통로(46)와 반대측에, 제 3 통로(52)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통로(52)는 슬리브(36)의 내주면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는 각이 진 구멍(54)과, 슬리브(36)의 외주면 전체 영역에 형성된 환상 홈(56)으로 이루어진다. 이 환상 홈(56)은 도시하지 않지 만 커버(6) 및 관형상부(4)에 형성한 통로를 통해서, 탱크에 연이어지는 환상 홈(20)에 접속되어 있다.
슬리브(36)의 내측 구멍에 파일럿 스풀(58)이 설치되어 있다. 파일럿 스풀(58)의 중심 축선이 스풀 구멍(10)의 축선과 일치하고 있다. 파일럿 스풀(58)은 그 중앙부에 밸브체(58a)를 갖고 있다. 파일럿 스풀(58)이 그 축선방향을 따라 진퇴함에 따라 밸브체(58a)도 이동한다. 밸브체(58a)가 제 1 통로(37)를 폐쇄하고 있을 때, 피스톤(32)과 피스톤 구멍(30)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압력실은 탱크 및 펌프로부터 완전히 차단되어 있다.
파일럿 스풀(58)이 스풀 구멍(10)과 반대측으로 이동할 때, 즉, 커버(6)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밸브체(58a)도 스풀 구멍(10)과 반대측으로 이동하여 제 1 통로(37)와 제 2 통로(46)가 접속되고, 제 1 압력실의 일부인 피스톤 구멍(30) 내에 압유가 공급된다. 이것에 수반해서 피스톤(32,32)이 스풀 구멍(10)측, 즉 커버(8)측으로 이동한다.
파일럿 스풀(58)이 스풀 구멍(10)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즉, 커버(8)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밸브체(58a)도 커버(8)측으로 이동하여 제 1 통로(37)와 제 3 통로(52)가 접속되고, 피스톤 구멍(30) 내의 압유가 탱크에 배출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피스톤(32,32)이 커버(6)측으로 이동한다.
파일럿 스풀(58)의 이동량에 따라 피스톤 구멍(30)과 피스톤(32)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압력실 내로의 압유의 공급상태 및 압유의 배출상태가 변화한다.
스풀(26)의 밸브체(26a)의 단부에는 오목 개소(6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 목 개소(60)의 안쪽부와 파일럿 스풀(58)의 스풀 구멍(10)측의 단부 사이에는 피드백 스프링(62)이 배치되어 있다. 이 피드백 스프링(62)은 신축가능한 것이다. 스풀(26)이 커버(8)측으로 이동한 경우에 피드백 스프링(62)은 신장하여 파일럿 스풀(58)을 커버(8)측으로 이동시킨다. 스풀(26)이 커버(6)측으로 이동하면 피드백 스프링(62)은 축소하여 파일럿 스풀(58)을 커버(6)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피드백 스프링(62)은, 예컨대,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구성되고, 그 스프링력은 파일럿 스풀(58)과 슬리브(36) 사이의 플로우 포스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파일럿 스풀(58)에 있어서의 스풀 구멍(10)과 반대측의 단부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64)을 통해서 전자식 구동부, 예컨대, 비례 솔레노이드(66)의 플런저(66a)에 결합되어 있다. 비례 솔레노이드(66)는 이것에 공급된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플런저(66a)의 위치를 임의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비례 솔레노이드(66)의 구동에 따라 파일럿 스풀(58)의 위치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다.
스풀(26)의 다른쪽의 단부, 즉 밸브체(26b)측에는 가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압수단은 복수, 예컨대, 2개의 제 2 스풀 구멍(68)을 갖고 있다. 제 2 스풀 구멍(68)은 스풀(26)의 축선의 양측에 그 축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선대칭으로, 스풀(26)의 축선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스풀 구멍(68)의 커버(8)측의 단부는 개구되고, 이들 스풀 구멍(68)의 내측 단부는 스풀(26) 내에 형성된 제 4 통로(70)를 통해서, 펌프 포트(20)에 연이어지는 환상 홈(18)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4 통로(70)는 스풀(26)이 어느 위치로 이동하여도 제 2 스풀 구멍(68)에 압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그 형성위치가 선택되어 있다.
이들 스풀 구멍(68) 내에 제 2 피스톤(72,72)이 각각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들 피스톤(72,72)의 한쪽의 단부가 커버(8)에 형성된 접촉부(74)에 접촉하고 있다. 이들 피스톤(72,72)은 이동불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들 피스톤(72)의 내측 단부와 스풀 구멍(68)의 내측 단부 사이에 제 2 압력실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72,72)이 이동불가능하고, 제 4 통로(70)로부터 압유가 공급되어 있으므로 그 압유의 반력에 의해서 스풀(26)은 커버(6)측으로 항상 압압되어 있다.
커버(8)의 중앙에는 위치검출수단, 예컨대, 스트로크 센서(74)가 설치되어, 스풀(26)의 스트로크를 검출하고 있다. 이 검출된 스트로크를 표시하는 스트로크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비례 솔레노이드(66)의 제어수단에 공급되고 있다. 이 제어수단에는 미리 스풀(26)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값을 표시하는 스트로크 지시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스트로크 신호가 스트로크 지시신호에 일치하도록 비례 솔레노이드(66)가 제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박용 스풀밸브에 있어서, 예컨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풀(26)의 밸브체(26a,26b)가 환상 홈(18,22)을 폐쇄함으로써 액추에이터 포트(16)가 펌프 포트(20) 및 탱크 포트(24)로부터 각각 차단되고, 파일럿 스풀(58)의 밸브체(58a)가 제 1 통로(37)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한다. 이 때, 피스톤 구멍(34a) 내에는 소정량의 압유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를 중립상태로 칭한다.
상기 중립상태에 있어서 비례 솔레노이드(66)의 플런저(66a)가 제어수단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양만큼 커버(8)측으로 이동시켜진 것으로 한다. 이 때, 파일럿 스풀(58)의 밸브체(58a)도 커버(8)측에 미리 정해진 양만큼 이동하고, 제 1 통로(37)와 제 3 통로(52)가 소정의 개구도를 유지하여 접속되고, 피스톤 구멍(30)으로부터 탱크에 압유가 배출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피스톤(32)이 비례 솔레노이드(66)측으로 상기 개구도에 따른 양만큼 후퇴하고, 스풀(26)에 대한 압압력이 작게 되고, 스풀(26)이 비례 솔레노이드(66)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피드백 스프링(62)이 압축된다. 제 4 통로(70)를 통해서 피스톤(72)에 압유가 공급되고 있지만, 스풀(26)이 커버(6)측으로 이동한 것에 의해 제 2 압력실의 체적이 크게 되고, 압유에 기초하여 반력은 작게 된다. 이 반력과 피스톤(32)의 압압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서 스풀(26)은 정지한다.
이 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 포트(20)와 액추에이터 포트(16)가 소정의 개구도로 연통하고, 액추에이터 포트(16)에 펌프 포트로부터 압유가 공급된다. 동시에 압축된 피드백 스프링(62)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고자 하면 신장하므로 파일럿 스풀(58)이 비례 솔레노이드(66)측으로 압압되고, 밸브체(58a)가 제 1 통로(37)를 폐쇄한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서, 피스톤(32)의 압압력은 변화하지 않고 일정하게 된다. 그 때문에 펌프에 액추에이터 포트(16)가 접속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중립상태에 있어서 비례 솔레노이드(66)의 플런저(66a)가 제어수단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양만큼 비례 솔레노이드(66)측으로 이동시켜진 것으로 한다. 이 때, 파일럿 스풀(58)의 밸브체(58a)도 비례 솔레노이드(66)측으로 미리 정해진 양만큼 이동하고, 제 1 통로(37)와 제 2 통로(46)가 소정의 개구도를 유지하여 접속되고, 펌프로부터 피스톤 구멍(34a) 내에 압유가 공급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피스톤(32)이 스풀(26)의 밸브체(26a)를 커버(8)측으로 상기 개구도에 따른 압압력으로 압압한다. 이 때, 피드백 스프링(62)이 신장한다. 스풀(26)의 커버(8)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피스톤(72)과 스풀 구멍(68)에 의한 제 2 압력실의 체적이 작게 되고, 제 4 통로(70)를 통해서 피스톤(72)에 공급된 압유에 기초하는 반력이 크게 된다. 이 반력과 피스톤(30)에 의한 압압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서 스풀(26)은 정지한다.
이 때,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 포트(24)와 액추에이터 포트(16)가 소정의 개구도로 연통하고, 액추에이터 포트(16)로부터 탱크에 압유가 배출된다. 동시에 신장된 피드백 스프링(62)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고자 축소하므로 파일럿 스풀(58)이 커버(8)측으로 견인되고, 밸브체(58a)가 제 1 통로(37)를 폐쇄한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서, 피스톤(32)의 압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탱크에 액추에이터 포트(16)가 접속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선박용 스풀밸브에서는 파일럿부(28)가 스풀밸브(26)의 내부가 아니고, 밸브 본체(2)의 일부를 이루는 커버(6)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그 제조가 용이하게 행해진다. 특히, 파일럿 스풀(58)은 슬리브(36)에 삽입통과되고, 그 슬리브(36)는 커버(8)와는 별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슬리브(36)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통로(37)의 부분은 모두 각이 진 구멍으로 형성하지 않고, 각이 진 구멍(38)과 노치부(40)에 의해서 형성하여, 제조가 비교적 어려 운 각이 진 구멍(38)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를 짧게 하고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슬리브(36)와 파일럿 스풀(58)은 피스톤(32) 및 피스톤 구멍(30)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피스톤 구멍(30)으로의 압유의 공급 및 배출을 빠르게 행할 수 있고, 파일럿 스풀(58)의 움직임에 대한 피스톤(30)의 응답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종래 기술 문헌에서는 파일럿 스풀이 스풀 내에 설치되어 있고, 파일럿 스풀과 스풀의 위치맞춤이 필요하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파일럿 스풀(58)을 중립위치로 되돌리기 위하여 피드백 스프링(62)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스풀(26)과 파일럿 스풀(58)의 위치맞춤이 불필요하다.
제 2 실시형태의 선박용 스풀밸브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 스풀(58)을 커플링(64)을 끼우지 않고 비례 솔레노이드(66)의 플런저(66a)에 접촉시킨 것이다.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드백 스프링(62)의 스프링력은 파일럿 스풀(58)과 슬리브(36) 사이의 플로우 포스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파일럿 스풀(58)과 비례 솔레노이드(66)의 플런저(66a)를 연결하지 않고 접촉시키는 것만으로도 좋고, 커플링(64)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상기 양 실시형태에서는 압력유체로서 압유를 사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예컨대, 압축공기를 압력유체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양 실시형태에서는 가압수단으로서 스풀 구멍(68)과 피스톤(70)을 이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예컨대, 스풀(26)을 커버(6)측으로 압압하는 탄성체를 사용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양 실시형태에서는 파일럿 스풀밸브를 전자식 구동부에 의해서 이동시킨 후, 중립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피드백 스프링(62)을 사용하였지만 피드백 스프링(62)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예컨대, 전자식 구동부를 사용하여 중립위치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상기 양 실시형태에서는 전자식 구동부로서 비례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예컨대, 리니어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선박용 스풀밸브는, 예컨대, 선박의 내연기관에 연료를 공급하는 액추에이터, 예컨대, 펌프(도시 안함)와, 선박의 내연기관으로부터 배기하는 액추에이터, 예컨대, 배기밸브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것이므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102)를 갖고 있다. 밸브 본체(102)는 관형상부(104)를 갖고 있다. 이 관형상부(104)는 양단이 개방되고, 이들 양단은 각각 커버(106,108)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다.
상기 관형상부(104)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예컨대, 관형상부(104)의 축선상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스풀 구멍(1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풀 구멍(110)은, 예컨대, 원형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풀 구멍(11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중앙보다 약간 커버(108)측에 근접한 위치에는 바깥쪽을 향하여 직경을 확대한 환상 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홈(112)은, 관형상부(104)에 형성한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포트(114)를 통해서 연료공급용 펌프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환상 홈(112)으로부터 커버(106)측으로 약간 근접한 위치에 환상 홈(1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홈(116)은 관형상부(104)에 형성한 펌프 포트(118)를 통해 서 압력원, 예컨대, 압유 펌프에 접속되어 있다. 환상 홈(116)으로부터 커버(108)측으로 약간 근접한 위치에 환상 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홈(120)은, 관형상부(104)에 형성한 배기용 액추에이터 포트(122)를 통해서 배기용 액추에이터에 접속되어 있다. 즉, 환상 홈(116)의 양측에 환상 홈(112,120)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 홈(120)으로부터 커버(106)측에 근접한 위치와, 환상 홈(112)보다 커버(108)측에 근접한 위치 각각에 환상 홈(124a,124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환상 홈(124a,124b)은 관형상부(104)에 형성한 탱크 포트(125a,125b)를 통해서 탱크(도시 안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2개의 탱크 포트(125a,125b)를 설치하였지만 관형상부(104) 내에 환상 홈(124a,124b)을 연결하는 유체 경로를 형성하고, 탱크 포트(125a,125b)의 한쪽만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풀 구멍(110)에는 스풀(126)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스풀(126)은 그 축선이 스풀 구멍(110)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스풀 구멍(110)의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풀(126)의 양단부 및 중앙부에는 스풀(126)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어 밸브체(126a,126b,126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밸브체(126a,126b,126c)는, 각 환상 홈(112,116,120,124a,124b)을 폐쇄가능하게 직경이 스풀 구멍(110)의 직경과 거의 일치하도록 확대된 팽대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밸브체(126a,126b,126c) 간의 부분의 직경은 스풀 구멍(10)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도 7은 밸브체(126a)가 환상 홈(124b)과 환상 홈(112)을 연통시키고, 밸브체(126b)가 환상 홈(112)과 환상 홈(116)을 폐쇄하거나, 환상 홈(116)과 환상 홈 (120)을 연통시키고, 밸브체(126c)가 환상 홈(124a)을 폐쇄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연료공급용 펌프로부터 압력유체, 예컨대, 압유가 탱크에 배출되거나, 배기밸브에 압유의 공급이 행해지고 있다. 스풀(126)의 위치를 스풀(126)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함으로써 환상 홈(116)의 개구상태를 변경시킴으로써 배기밸브에 공급되는 압유량을 조정할 수 있고, 동일하게 환상 홈(124b)의 개구상태를 변경시킴으로써 연료공급용 펌프로부터 배출되는 압유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도 7의 상태로부터 스풀(126)이 커버(106)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 8에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환상 홈(116)이 밸브체(126b)에 의해서 완전히 폐쇄되고, 환상 홈(112,120)으로의 압유의 공급은 정지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공급용 펌프 및 배기밸브로의 압유의 공급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도 7보다 개구상태는 좁게 되어 있지만 밸브체(126a)는 환상 홈(112)과 환상 홈(124b)을 연통시키고 있고, 연료공급용 펌프로부터 탱크로의 압유의 배출이 계속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126c)는 환상 홈(124b)의 폐쇄를 해제하여 환상 홈(120)과 환상 홈(124a)을 연통시키고 있다. 따라서, 배기밸브로부터 압유가 탱크에 배출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스풀(126)을 커버(106)측으로 더욱 슬라이딩시킨 상태를 도 9에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환상 홈(124b)이 밸브체(126a)에 의해서 완전히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공급용 펌프로부터의 압유의 배출은 정지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126b)에 의한 환상 홈(116)에 의한 폐쇄가 계속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공급용 펌프 및 배기밸브로의 압유의 공급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밸브체(126c)는 환상 홈(124a)의 개구도를 도 8에 나타내는 상태보다 넓게 하고 있 으므로 배기밸브로부터의 압유의 배출량이 도 8에 나타내는 상태보다 많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스풀(126)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탱크 포트(124a)의 개구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고, 탱크에 배기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압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0에 또한 스풀(126)을 커버(106)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밸브체(126a)가 완전히 환상 홈(124b)을 폐쇄하고, 밸브체(126b)가 환상 홈(112,116)을 연통시키고 있다. 따라서,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에 압유가 공급된다. 이 때, 밸브체(126b)는 환상 홈(116)과 환상 홈(120)을 비연통상태로 하고, 밸브체(126c)가 환상 홈(120,124a)을 연통시키고 있다. 이 때의 환상 홈(124a)의 개구도는 도 9보다 크다. 따라서, 배기밸브로부터 탱크에 압유가 도 9의 상태보다 많이 배출된다.
밸브체(102)의 일부인 커버(106)에는 파일럿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부(128)는 커버(106)에 형성된 제 1 피스톤 구멍(130,130)을 갖고 있다. 이들 피스톤 구멍(130,130)은 스풀 구멍(110)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그 축선으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피스톤 구멍(130,130)은 스풀(126)의 축선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스풀(126)의 밸브체(126c)에 대향하는 측이 개구되어 있다. 이들 피스톤 구멍(130,130)에 제 1 피스톤(132,132)이 피스톤 구멍(130,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132,132)의 선단부는 상기 피스톤 구멍(130,130)의 개구로부터 스풀(126)측으로 돌출하고, 스풀(126)의 밸브체(126c)의 끝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들 피스톤(132,132)의 내부는 피스톤 구멍(130)의 안쪽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중공부의 선단부와 피스톤 구멍(130)의 안쪽부 사이에 탄성체, 예컨대, 코일 스프링(134,134)이 설치되고, 피스톤(132,132)의 스풀(126)로의 접촉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이들 피스톤(132,132)이 진퇴함으로써 이들 피스톤(132,132)의 내부 중공과 피스톤 구멍(130)에 의해서 형성된 제 1 압력실의 용적이 변화한다.
이들 피스톤(132,132)의 내측, 예컨대, 스풀 구멍(110)의 축선 상에 위치하도록 슬리브(1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리브(136)는 그 양단부가 개구되고, 그 중심 축선이 스풀 구멍(110)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136)의 축선방향의 거의 중앙에는 제 1 통로(137)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통로(137)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136)의 내주면으로부터 짧은 거리만큼 바깥쪽을 향해 형성된 각이 진 구멍(138)과, 이 각이 진 구멍(138)에 연통하는 노치부(140)와, 이 노치부(140)의 바깥쪽에 슬리브(136)의 외주면 전체 영역에 형성된 환상 홈(142)으로 이루어진다. 제 1 통로(137)는 커버(106)에 형성한 통로(144)를 통해서 피스톤 구멍(130,130)에 연통하고 있다.
상기 제 1 통로(137)보다 스풀 구멍(110)측에 근접한 위치에 제 2 통로(146)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통로(146)는 슬리브(136)의 내주면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는 각이 진 구멍(148)과, 슬리브(136)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 홈(150)으로 이루어진다. 환상 홈(150)은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커버(106) 및 환상부(104)에 형성한 통로를 통해서, 펌프에 연이어지는 환상 홈(116)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통로(137) 에 있어서의 제 2 통로(146)와 반대측에, 제 3 통로(152)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통로(152)는 슬리브(136)의 내주면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는 각이 진 구멍(154)과, 슬리브(136)의 외주면 전체 영역에 형성된 환상 홈(156)으로 이루어진다. 이 환상 홈(156)은 도시하지 않지만 커버(106) 및 관형상부(104)에 형성한 통로를 통해서, 탱크에 연이어지는 환상 홈(124a)에 접속되어 있다.
슬리브(136)의 내측 구멍에 파일럿 스풀(158)이, 그 중심 축선이 스풀 구멍(110)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파일럿 스풀(158)은 그 중앙부에 밸브체(158a)를 갖고 있다. 파일럿 스풀(158)이 그 축선방향을 따라 진퇴함에 수반하여 밸브체(158a)도 이동한다. 밸브체(158a)가 제 1 통로(137)를 폐쇄하고 있을 때, 피스톤(132)과 피스톤 구멍(130)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압력실은 탱크 및 펌프로부터 완전히 차단되어 있다.
파일럿 스풀(158)이 스풀 구멍(110)과 반대측으로 이동할 때, 즉, 커버(106)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밸브체(158a)도 스풀 구멍(110)과 반대측으로 이동하여 제 1 통로(137)와 제 2 통로(146)가 접속되고, 제 1 압력실의 일부인 피스톤 구멍(130) 내에 압유가 공급된다. 이것에 수반해서 피스톤(132,132)이 스풀 구멍(110)측, 즉 커버(108)측으로 이동한다.
파일럿 스풀(158)이 스풀 구멍(110)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즉, 커버(108)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밸브체(158a)도 커버(108)측으로 이동하여 제 1 통로(137)와 제 3 통로(152)가 접속되고, 피스톤 구멍(130) 내의 압유가 탱크에 배출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피스톤(132,132)이 커버(106)측으로 이동한다.
파일럿 스풀(158)의 이동량에 따라 피스톤 구멍(130)과 피스톤(132)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압력실 내로의 압유의 공급상태 및 압유의 배출상태가 변화한다.
스풀(126)의 밸브체(126c)의 단부에는 오목 개소(16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 개소(160)의 안쪽부와 파일럿 스풀(158)의 스풀 구멍(110)측의 단부 사이에는 되돌림 수단, 예컨대, 피드백 스프링(162)이 배치되어 있다. 이 피드백 스프링(162)은 신축가능한 것이다. 스풀(126)이 커버(108)측으로 이동한 경우에 피드백 스프링(162)은 신장하여 파일럿 스풀(158)을 커버(108)측으로 이동시킨다. 스풀(126)이 커버(106)측으로 이동하면 피드백 스프링(162)은 축소하여 파일럿 스풀(158)을 커버(106)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피드백 스프링(162)은, 예컨대,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구성되고, 그 스프링력은 파일럿 스풀(158)과 슬리브(136) 사이의 플로우 포스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파일럿 스풀(158)에 있어서의 스풀 구멍(110)과 반대측의 단부는,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164)을 통해서 전자식 구동부, 예컨대, 비례 솔레노이드(166)의 플런저(166a)에 결합되어 있다. 비례 솔레노이드(166)는, 이것에 공급된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플런저(166a)의 위치를 임의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비례 솔레노이드(166)의 구동에 따라 파일럿 스풀(158)의 위치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다.
스풀(126)의 다른쪽의 단부, 즉 밸브체(126a)측에는 가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압수단은 복수, 예컨대, 2개의 제 2 스풀 구멍(168)을 갖고 있다. 제 2 스풀 구멍(168)은, 스풀(126)의 축선의 양측에 그 축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선대칭으로, 스풀(126)의 축선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스풀 구멍(168)의 커버(108)측의 단부는 개구되고, 이들 스풀 구멍(168)의 내측 단부는 스풀(126) 내에 형성된 제 4 통로(170)를 통해서, 펌프 포트(118)에 연이어지는 환상 홈(116)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4 통로(170)는 스풀(126)이 어느 위치로 이동하여도 제 2 스풀 구멍(168)에 압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그 형성위치가 선택되어 있다.
이들 스풀 구멍(168) 내에 제 2 피스톤(172,172)이 각각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들 피스톤(172,172)의 한쪽의 단부가 커버(108)에 접촉하고 있다. 이들 피스톤(172,172)은 이동불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들 피스톤(172)의 내측 단부와 스풀 구멍(168)의 내측 단부 사이에 제 2 압력실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172,172)이 이동불가능하고, 제 4 통로(170)로부터 압유가 공급되어 있으므로 그 압유의 반력에 의해서 스풀(126)은 커버(106)측으로 항상 압압되고 있다.
커버(108)의 중앙에는 위치검출수단, 예컨대, 스트로크 센서(176)가 설치되어, 스풀(126)의 스트로크를 검출하고 있다. 이 검출된 스트로크를 표시하는 스트로크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비례 솔레노이드(166)의 제어수단에 공급되고 있다. 이 제어수단에는 미리 스풀(126)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값을 표시하는 스트로크 지시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스트로크 신호가 스트로크 지시신호에 일치하도록 비례 솔레노이드(166)가 제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박용 스풀밸브에 있어서, 예컨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풀(126)의 밸브체(126a,126b)가 환상 홈(116,124b)을 폐쇄함으로써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포트(114)가 펌프 포트(118) 및 탱크 포트(125b)로부터 각각 차단 되고, 밸브체(126c)가 탱크 포트(125a)에 접속된 환상 홈(124a)의 일부를 폐쇄하여 배기용 액추에이터 포트(122)를 탱크 포트(125a)에 연통하고, 파일럿 스풀(158)의 밸브체(158a)가 제 1 통로(137)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한다. 이 때, 피스톤 구멍(130) 내에는 소정량의 압유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를 중립상태로 칭한다.
상기 중립상태에 있어서 비례 솔레노이드(166)의 플런저(166a)가 제어수단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양만큼 커버(108)측으로 이동시켜진 것으로 한다. 이 때, 파일럿 스풀(158)의 밸브체(158a)도 커버(108)측에 미리 정해진 양만큼 이동하고, 제 1 통로(137)와 제 3 통로(152)가 소정의 개구도를 유지하여 접속되고, 피스톤 구멍(130)으로부터 탱크에 압유가 배출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피스톤(132)이 비례 솔레노이드(166)측으로 상기 개구도에 따른 양만큼 후퇴하고, 스풀(126)에 대한 압압력이 작게 되고, 스풀(126)이 비례 솔레노이드(166)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피드백 스프링(162)이 압축된다. 제 4 통로(170)를 통해서 피스톤(172)에 압유가 공급되고 있지만, 스풀(126)이 커버(106)측으로 이동한 것에 의해 제 2 압력실의 체적이 크게 되고, 압유에 기초하여 반력은 작게 된다. 이 반력과 피스톤(132)의 압압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서 스풀(126)은 정지한다.
이 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 포트(118)에 접속된 환상 홈(116)과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포트(114)에 접속된 환상 홈(112)이 소정의 개구도로 연통하고,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포트(114)에 펌프 포트(118)로부터 압유가 공급된다. 또한, 이 때, 환상 홈(124a)으로의 밸브체(126c)에 의한 폐쇄가 작게 되고, 배 기용 액추에이터 포트(122)로부터 탱크 포트(125a)에 도 9의 상태보다 많은 양의 압유가 배출된다. 동시에 압축된 피드백 스프링(162)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고자 신장하므로 파일럿 스풀(158)이 비례 솔레노이드(166)측으로 압압되고, 밸브체(158a)가 제 1 통로(137)를 폐쇄한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서, 피스톤(132)의 압압력은 변화하지 않고 일정하게 된다. 그 때문에 도 10의 상태, 즉,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포트(114)로 압유가 공급되고, 배기용 액추에이터 포트로부터 많은 양으로 압유가 배출되는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도 10의 상태로부터 비례 솔레노이드(166)의 플런저(166a)가 제어수단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양만큼 커버(106)측으로 이동시켜지는 것으로 한다. 이 때, 파일럿 스풀(158)의 밸브체(158a)도 커버(106)측에 미리 정해진 양만큼 이동하고, 제 1 통로(137)와 제 2 통로(146)가 소정의 개구도를 유지하여 접속되고, 피스톤 구멍(130) 내에 압유가 공급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피스톤(132)이 스풀 구멍(110)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피드백 스프링(162)이 신장된다. 제 4 통로를 통해서 피스톤(172)에 압유가 고급되고 있지만, 스풀(126)이 커버(108)측으로 이동한 것에 의해 제 2 압력실의 체적이 작게 되고, 압유에 기초하여 반력이 크게 되고, 이 반력과 피스톤(132)의 압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서 스풀(126)이 정지한다. 이 때, 밸브체(126a)가 환상 홈(124b)을 폐쇄하고, 밸브체(126b)가 환상 홈(116)을 폐쇄하고, 밸브체(126c)가 환상 홈(124a)의 개구도를 좁게 하고, 도 9의 상태로 된다. 이 때, 신장된 피드백 스프링(162)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고자 축소하므로 파일럿 스풀(158)이 커버(108)측에 압압되고, 밸브체(158a)가 제 1 통로를 폐쇄한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서, 피스톤(132)의 압압력은 변화하지 않고 일정하게 된다. 그 때문에 도 9의 상태가 유지된다. 즉,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포트로의 압유의 공급이 정지되고, 배기용 액추에이터 포트(122)로부터 적은 양으로 압유의 배출이 행해진다.
이 상태에 있어서 비례 솔레노이드(166)의 플런저(166a)가 제어수단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양만큼 커버(108)측에 더욱 이동시켜진 것으로 하고, 이 때,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풀(126)이 커버(108)측으로 이동하고, 밸브체(126a)가 환상 홈(124b)의 일부를 개방하고, 밸브체(126b)가 환상 홈(116)을 폐쇄하고, 밸브체(126c)가 환상 홈(124a)의 개구도를 도 9의 상태보다 좁은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서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114)로부터 탱크 포트(124b)로 압유가 배출되고, 또한, 배기용 액추에이터 포트(122)로부터 도 9보다 적은 양으로 압유가 배출된다. 이 때의 파일럿부(128)의 피스톤(132) 등의 동작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의 상태에 있어서 비례 솔레노이드(166)의 플런저(166a)가 제어수단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양만큼 커버(108)측으로 이동시켜지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여 스풀(126)이 커버(108)측으로 이동하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126a)에 의한 환상 홈(124b)의 폐쇄도가 좁게 되고, 즉, 환상 홈(124b)의 개구도를 넓어지고, 밸브체(126b)는 환상 홈(112)과 환상 홈(116)을 폐쇄하지만 환상 홈(116)과 환상 홈(120)을 연통시키고, 밸브체(126a)는 환상 홈(124a)을 폐쇄한다. 이것에 의해서,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포트(114)로부터 탱크 포트(124b)로 압유의 배출량이 도 8의 상태보다 많게 되고, 또한, 배기용 액추에이터 포트(122)로 펌프 포트(118)로부터 압유의 공급이 개시된다. 이 때의 파일럿부(128)의 피스톤(132) 등의 동작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도 7의 상태에 있어서 비례 솔레노이드(166)의 플런저(166a)가 제어수단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양만큼 커버(106)측으로 이동시켜지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여 스풀(126)이 커버(106)측으로 이동하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126a)가 환상 홈(124b)의 폐쇄상태를 크게 하고, 또한, 밸브체(126b)가 환상 홈(116)을 폐쇄하고, 밸브체(126c)가 환상 홈(124a)의 폐쇄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서,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포트(114)로부터 탱크 포트(124b)로의 압유의 배출량이 감소하고, 배기용 액추에이터 포트(122)로부터 펌프 포트(125a)로의 배출이 개시된다. 이 때의 파일럿부(128)의 피스톤(132) 등의 동작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도 8의 상태에 있어서 비례 솔레노이드(166)의 플런저(166a)가 제어수단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양만큼 커버(106)측으로 이동시켜지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여 스풀(126)이 커버(106)측으로 이동하고, 도 9에 나타내는 상태로 돌아간다. 이하, 마찬가지의 동작이 반복된다.
상기 선박용 스풀밸브에서는 파일럿부(128)가 스풀밸브(126)의 내부가 아니고, 밸브 본체(102)의 일부를 이루는 커버(106)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그 제조가 용이하게 행해진다. 특히, 파일럿 스풀(158)은 슬리브(136)에 삽입통과되고, 그 슬리브(136)는 커버(108)와는 별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슬리브(136)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통로(137)의 부분은 모두 각이 진 구멍으로 형성하지 않고, 각이 진 구멍(138)과 노치부(140)에 의해서 형성하고, 제조가 비교적 어려운 각이 진 구멍(138)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를 짧게 하고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슬리브(136)와 파일럿 스풀(158)은 피스톤(132) 및 피스톤 구멍(130)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피스톤 구멍(130)으로의 압유의 공급 및 배출을 빠르게 행할 수 있고, 파일럿 스풀(158)의 움직임에 대한 피스톤(130)의 응답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종래 기술 문헌에서는 파일럿 스풀이 스풀 내에 설치되어 있고, 파일럿 스풀과 스풀의 위치맞춤이 필요하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파일럿 스풀(158)을 중립위치로 되돌리기 위하여 피드백 스프링(162)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스풀(126)과 파일럿 스풀(158)의 위치맞춤이 불필요하다.
제 4 실시형태의 선박용 스풀밸브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 스풀(158)을 커플링(164)을 끼우지 않고 비례 솔레노이드(166)의 플런저(166a)에 접촉시킨 것이다. 다른 구성은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드백 스프링(162)의 스프링력은 파일럿 스풀(158)과 슬리브(136) 사이의 플로우 포스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파일럿 스풀(158)과 비례 솔레노이드(166)의 플런저(166a)를 연결하지 않고 접촉시키는 것만으로도 좋고, 커플링(164)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제 5 실시형태의 선박용 스풀밸브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풀 (126)의 밸브체(126c)의 단부를 일부 제거하고, 커버(106)에 슬리브(136)에 있어서의 밸브체(126c)측의 단부를 덮도록 주머니 형상부(190)를 슬리브(136)에 접근하여 설치하고, 이 주머니 형상부(190)의 내부와 슬리브(136)의 단부 사이에 피드백 스프링(162a)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피드백 스프링(162a)에는 길이가 짧은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피드백 스프링(162a)의 설치 공간을 적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3~제 5 실시형태에서는 압력유체로서 유압을 사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예컨대, 압축공기를 압력유체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 3~제 5 실시형태에서는 가압수단으로서 스풀 구멍(168)과 피스톤(172)을 이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예컨대, 스풀(126)을 커버(106)측에 압압하는 탄성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3~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전자식 구동부로서 비례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한 것은 아니고, 예컨대, 리니어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선박용 스풀밸브는, 예컨대, 선박의 내연기관에 연료를 공급하는 액추에이터, 예컨대,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도시 안함)와, 선박의 내연기관으로부터 배기하는 배기밸브를 작동시키는 배기밸브용 액추에이터(도시 안함)를 1개로 구동하는 것이다.
상기 선박용 스풀밸브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202)를 갖고 있다. 이 밸브 본체(202)는 하우징(204)과, 이 하우징(204)의 양단에 설치된 커버(206,208)를 갖고 있다.
하우징(204)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스풀 구멍(2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풀 구멍(210)은 하우징(204)의 양단에 개구되어 있다. 상기 스풀 구멍(210)은 원형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풀 구멍(210)의 길이방향의 거의 중앙보다 커버(208)측으로 약간 근접한 위치에 환상 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홈(212)은 스풀 구멍(210)의 직경을 확대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상 홈(212)은 하우징(204)에 형성한 작동 포트, 예컨대, 배기용 액추에이터 포트(222)를 통해서 배기밸브용 액추에이터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환상 홈(212)으로부터 커버(206)측으로 약간 접근한 거의 중앙위치에 환상 홈(216)이 환상 홈(212)과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상 홈(216)은 하우징(204)에 형성한 펌프 포트(218)를 통해서 압력원, 압유 펌프(도시 안함)에 접속되어 있다.
환상 홈(216)으로부터 커버(208)측에 근접한 위치에 환상 홈(220)이 환상 홈(212)과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상 홈(220)은 하우징(204)에 형성한 작동 포트, 예컨대,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214)를 통해서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환상 홈(216)의 양측에 환상 홈(212,220)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 홈(220)으로부터 커버(206)측에 근접한 위치와, 환상 홈(212)으로부터 커버(208)측에 근접한 위치에 환상 홈(224a,224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환상 홈(224a,224b)은 하우징(204)에 형성한 탱크 포트(226a,226b)를 통해서 탱크(도시 안함)에 접속되어 있다. 2개의 탱크 포트(226a,226b)를 형성하고 있지만 하우징(204)에 환상 홈(224a,224b)을 연결하는 유체 경로를 형성하고, 탱크 포트(226a,226b)의 한쪽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스풀 구멍(210)에는 스풀(228)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스풀(228)은 그 축선이 스풀 구멍(210)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스풀 구멍(210)의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풀(228)의 양단부 및 중앙부에는 스풀(228)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어 대경부(228a,228b,228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대경부(228a,228b,228c)는 각 환상 홈(212,216,220,224a,224b)이 폐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들 직경은 스풀 구멍(210)의 직경과 거의 일치한다. 이들 대경부(228a,228b,228c) 간의 스풀(28)의 부분의 직경은 스풀 구멍(210)의 직경보다 작다. 또한, 대경부(228a)의 대경부(228b)측을 향한 면, 대경부(228b)의 대경부(228a,228c)측을 향한 면, 대경부(228c)의 대경부(228b)측을 향한 면에는 각각 노치부(230a,230b,230c,230d)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는 스풀(228)이 중립상태에 있는 스풀밸브를 나타낸 것으로, 환상 홈(216)이 대경부(228b)에 의해서 완전히 폐쇄되어 있다. 환상 홈(212)과 환상 홈(224b)은 노치부(230a)를 통해서 연통되어 있다. 환상 홈(220)과 환상 홈(214a)은 노치부(230d)를 통해 연통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환상 홈(212,220)으로 펌프로부터 압유의 공급은 행해지지 않고, 또한,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및 배기밸브용 액추에이터는 탱크에 연통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중립상태로부터, 스풀(228)이 커버(206)측(도 15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이동하면 우선 대경부(228a)가 환상 홈(212)과 환상 홈(224b) 사이를 폐쇄하고, 배기용 액추에이터 포트(222)와 탱크 포트(226b)가 차단된다. 이어서, 환상 홈(212,216)이 연통하고, 배기용 액추에이터 포트(222)에 펌프 포트(218)로부터 압유가 공급된다. 또한, 환상 홈(224a)과 환상 홈(220)의 연통상태는 유지되고,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포트(214)와 탱크 포트(226a)의 연통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즉, 선박용 스풀밸브는 배기위치로 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중립상태로부터, 스풀(228)이 커버(208)측(도 15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이동하면 우선 대경부(228c)가 환상 홈(220)과 환상 홈(224a) 사이를 폐쇄하고,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포트(214)와 탱크 포트(226a)가 차단된다. 이어서, 환상 홈(220,216)이 연통하고,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포트(214)에 펌프 포트(218)로부터 압유가 공급된다. 또한, 환상 홈(224b)과 환상 홈(216)의 연통상태는 유지되고, 배기용 액추에이터 포트(222)와 탱크 포트(226a)의 연통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즉, 선박용 스풀밸브는 연료공급위치로 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중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중립기구(232a,232b)가 상기 스풀밸브에는 설치되어 있다. 중립기구(232a,232b)는 스풀(228)의 양단부가 위치하는 드레인 구멍(234a,234b)에 배치되어 있다. 드레인 구멍(234a,234b)은 하우징(204)의 양단부와 커버(206,208)에 걸쳐져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중립기구(232a,232b)는 스풀(228)의 양단부에 각각 삽입통과된 스프링 수용부(236a,236b)를 갖고 있다. 이들 스프링 수용부(236a,236b)는 스풀(228)의 양단부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되고, 스풀 구멍(210)의 외주부에 형성된 단차부에 접촉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 수용부(236a,236b)는 스풀(228)의 양단부와 드레인 구멍(234a,234b)의 커버(206,208)의 면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수단, 예컨대, 코일 스프링(238a,238b)에 의 해서 각각 스풀(228)의 중앙측을 향해 압압되어 있다. 이들 코일 스프링(238a,238b)은 같은 압압력을 갖는다.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코일 스프링(238a,238b)의 압압력에 의해서 스풀(228)이 압압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부(236a,236b)가 상기 단차부에 접촉하고, 스풀(228)의 중앙측으로의 이동이 규정되는 것이므로 스풀(228)은 도 15에 나타내는 위치에 정지하고, 중립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커버(206,208)에는 스풀(228)을 구동하기 위한 제 1 파일럿부(240b) 및 제 2 파일럿부(240a)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파일럿부(240b)는 밸브 본체(202)의 일부인 커버(208)에 설치되고, 스풀 구멍(210)에 연통하도록 형성된 제 1 피스톤 구멍(242b)을 갖고 있다. 이 제 1 피스톤 구멍(242b)은 스풀(228)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스풀(228)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피스톤 구멍(242b)에는 스풀(228)의 커버(208)측의 단부에 선단이 접촉하도록 제 1 피스톤 구멍(242b)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 제 1 피스톤(244b)은 제 1 피스톤 구멍(242b)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 제 1 피스톤(244b)의 후단부보다 후방의 제 1 피스톤 구멍(242b)의 부분에 제 1 압력실(246b)이 구획되어 있다. 이 제 1 압력실(246b) 내에는 제 1 피스톤(244b)이 스풀(228)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수단, 예컨대, 코일 스프링(248a)이 배치되어 있다.
커버(206)에도 마찬가지로 제 2 파일럿부(240a)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파일럿부(240a)는 제 1 파일럿부(240b)와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제 2 파일럿부(240a)의 각 구성요소는, 대응하는 제 1 파일럿부(240b)의 구성요소에 붙인 부호의 말미의 첨자를 b에서 a로 변경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파일럿부(240b,240a)는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제 1 피스톤(244a), 제 2 피스톤(244b)의 수압 면적은 동일하다.
제 1 파일럿부(240b)의 제 1 압력실(246b)에는 커버(208)의 측방에 설치한 제 1 파일럿 스풀밸브(250b)에 의해서 파일럿 압유가 공급 및 배출된다. 제 1 파일럿 스풀밸브(250b)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풀 구멍(252b)을 갖고 있다. 이 스풀 구멍(252b)의 중앙에 제 2 압력실 포트(25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압력실 포트(254b)는 커버(206) 내에 형성한 파일럿 유체 통로(256b)를 통해서 제 1 파일럿부(240b)의 제 1 압력실(246b)에 연통하고 있다.
스풀 구멍(252b)에는 펌프 포트(258b)와 탱크 포트(260b)가 제 1 압력실 포트(254b)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펌프 포트(256b)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208)와 하우징(204)에 형성된 펌프 통로(262a)를 통해서 하우징(204)의 환상 홈(216)[펌프 포트(218)에 접속되어 있는)과 연통하고 있다. 탱크 포트(260b)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208)와 하우징(204)에 형성된 탱크 통로(264b)를 통해서 하우징(204)의 환상 홈(220)[탱크 포트(226b)에 접속되어 있는]과 연통하고 있다.
스풀 구멍(252b)에는 제 1 파일럿 스풀(265b)이 삽입통과되고, 스풀 구멍(252b)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 1 파일럿 스풀(265b)에는 그 양단에 2개의 대경부(266b,268b)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266b)는 펌프 포트(258b)와 제 2 압력실 포트(254b)를 차단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266b)는 제 2 압 력실 포트(254b)와 탱크 포트(260b)를 차단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파일럿 스풀밸브(250b)는 펌프 포트(258b)와 제 2 압력실 포트(254b)가 연통하여 제 2 압력실 포트(254a)와 탱크 포트(260a)를 차단하고 있는 공급위치와, 펌프 포트(258a)와 제 2 압력실 포트(254a)를 차단하여 대경부(268b)가 제 2 압력실 포트(254b)와 탱크 포트(260b)를 연통하고 있는 배출위치 중 어느 한쪽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 1 파일럿 스풀(265b)의 양단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270b,272b)를 구비한 제 1 전자밸브 구동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솔레노이드(272b)가 소자(消磁)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 3 솔레노이드(270a)가 여자되면 제 1 파일럿 스풀(265b)이 배출상태로 이동하고, 제 1 솔레노이드(270b)가 소자되고, 제 2 솔레노이드(272b)가 여자되면 제 1 파일럿 스풀(265b)이 공급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270b,272b)가 함께 소자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스프링에 의해서 공급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공급위치에서는 파일럿 압유가 펌프 포트(258b), 제 2 압력실 포트(254b), 파일럿 유체 통로(256b)를 통해서 제 2 압력실(246b)에 공급되고, 제 1 피스톤(242b)을 스풀(228)측에 압압한다. 배출위치에서는 제 1 압력실(246b) 내의 파일럿 압유가 파일럿 유체 통로(256b)와 제 2 압력실 포트(254b)를 통해서 탱크 포트(260b)에 흐르고, 제 1 피스톤(244b)을 스풀(228)측에 압압하고 있는 압압력이 소실된다. 또한, 그 압압력은 중립기구(232b)의 코일 스프링(238b)에 의한 압압력보다 크게 되도록 제 1 피스톤(244b)의 수압 면적이 선택되어 있다.
제 2 파일럿부(240a)의 제 2 압력실(246a)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 이, 커버(206)의 측방에 설치한 제 2 파일럿 스풀밸브(250a)에 의해서 압유가 공급 및 배출된다. 이 제 2 파일럿 스풀밸브(250a) 및 제 2 전자식 구동부는 제 1 파일럿 스풀밸브(250b) 및 제 1 전자식 구동부와 동일한 구성이고, 제 2 파일럿 스풀밸브(250a)의 각 구성요소는, 대응하는 제 1 파일럿 스풀밸브(250b)의 구성요소에 붙인 부호의 말미의 첨자를 b에서 a로 변경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파일럿부(240b)와 제 2 파일럿부(240a)의 수압 면적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파일럿 스풀밸브(250b,250a)가 공급위치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피스톤(244b,244a)은 동일한 압압력에 의해서 내측을 향하여 압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박용 스풀밸브에서는 제 1 및 제 2 파일럿 스풀밸브(250b,250a)가 모두 공급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 1 및 제 2 압력실(246b,246a)에 펌프 포트(218)로부터 동일한 압력의 파일럿 압유가 각각 공급되고, 이 파일럿압에 의해 결정되는 동일한 압압력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피스톤(244b,244a)이 스풀(228)의 중앙측을 향하여 압압되어 있다. 따라서, 중립기구(232a,232b)의 작용에 의해서 스풀(228)은 도 15에 나타내는 중립위치에 있다. 즉,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포트(214)가 탱크 포트(226b)에 연통하고, 배기용 액추에이터 포트(222)가 탱크 포트(226a)에 연통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 1 파일럿 스풀밸브(250b)가 배출위치로 제 1 솔레노이드(270a)에 의해서 전환되면 제 1 압력실(246b)의 파일럿 압유가 배출되고, 제 1 피스톤(244b)의 압압력이 소실된다. 이것에 의해서 제 2 피스톤(244a)의 압압력이 중립기구(232b)의 코일 스프링(238b)의 압압력에 저항하여 스풀(228)을 커버(208)측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스풀(228)이 연료공급위치로 전환되게 되고,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가 구동된다. 이 상태로부터 중립위치로 복귀시키는 경우, 제 1 솔레노이드(270b)가 소자되고, 제 2 솔레노이드(272b)가 여자되고, 제 1 파일럿 스풀밸브(250b)가 공급위치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서 제 1 압력실(246b)에 파일럿 압유가 공급되고, 제 1 피스톤(244b)에 제 2 피스톤의 압압력(244a)과 동일한 압압력이 생기고, 중립기구(232b)의 스프링(238b)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스풀(228)은 중립위치로 복귀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제 1 및 제 2 압력실(244b,244a)에 파일럿 압유가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 2 파일럿 스풀밸브(250a)를 배출위치로 전환하면 스풀(228)이 커버(6)측으로 이동하여, 배기위치로 된다. 이것에 의해서, 배기밸브가 구동된다. 이 상태로부터 제 2 파일럿 스풀밸브(250a)가 공급위치로 전환되면 스풀(228)은 중립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파일럿 스풀밸브(250b,250a)의 드레인 구멍(274a,274b)은 드레인 통로(276a,276b)를 통해서 밸브 본체(202)의 드레인 구멍(234a,234b)에 연통하고 있다. 드레인 구멍(234a,234b)은 밸브 본체(202)에 형성한 드레인 포트(278a,278b)와 연통하고 있다.
상기 선박용 스풀밸브에서는 스풀(228)의 중립위치와 연료공급위치의 전환, 중립위치와 배기위치의 전환이, 스풀(228)의 양단에 균등하게 파일럿 압유를 공급하여 힘이 균형을 이루게 하거나, 상기 파일럿 압유의 한쪽을 배출하여 힘이 균형 을 이루게 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압력실에는 가압된 압력 유체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되어 있지 않은 압력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여 스풀을 이동시키는 것에 비해서 유체의 압축이나 통로 길이의 영향이 적고, 전환 작동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파일럿부(240b,240a)는 밸브 본체(202)의 일부인 커버(208,206)에 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스풀 내에 파일럿부를 설치하는 경부보다 가공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파일럿압의 공급 및 배출의 전환은 1개의 파일럿 스풀밸브에 각각 설치한 2개의 솔레노이드의 한쪽을 여자하고, 또한, 다른쪽을 소자하거나, 한쪽을 소자하고, 또한 다른쪽을 여자함으로써 행해지고 있으므로 파일럿부의 동작도 고속으로 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선박용 스풀밸브를 설명한다. 제 7 실시형태의 선박용 스풀밸브는 제 6 실시형태의 선박용 스풀밸브와 비교하여 제 1 및 제 2 파일럿부(400b,400a)와 중립기구(320b,320a)의 구성이 상위하다.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선박용 스풀밸브와 마찬가지이므로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선박용 스풀밸브의 제 1 파일럿부(400b)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제 1 피스톤 구멍(420b)을 스풀(228)의 축선방향을 따라 축선의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들 제 1 피스톤 구멍(420b)에 제 1 피스톤(440b)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통과되고, 제 1 피스톤(440b)의 배후에 제 1 압력실(460b)이 형성되고, 이들 제 1 압력실(460b)에 코일 스프링(480b)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압력실(460b)은 파일럿압 통로(256a)를 통해서 제 1 스풀밸브(250b)의 제 1 압력 실 포트(254a)에 연통하고 있다. 상기 제 1 파일럿부(400b)와 마찬가지로 제 2 파일럿부(400a)도 구성되어 있다. 제 2 파일럿부(400a)의 구성요소에는 이들에 대응하는 제 1 파일럿부(400b)의 구성요소의 부호의 말미의 첨자를 a로 대신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중립기구(320b)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208)에 형성된 2개의 제 3 피스톤 구멍(322b)을 갖고 있다. 이들 제 3 피스톤 구멍(322b)은 스풀(228)의 축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양측에 축선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제 3 피스톤 구멍(322b)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파일럿부(400b)의 제 2 피스톤 구멍(420b)끼리를 연결하는 직선과, 제 3 피스톤 구멍(322b)끼리를 연결하는 직선이 직교하도록, 또한, 축선으로부터 각 제 2 및 제 4 피스톤 구멍(322b,420b)까지의 거리가 거의 같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제 3 피스톤 구멍(322b)의 선단은 드레인 구멍(34b)에 개구되어 있다.
이들 제 3 피스톤 구멍(322b)에는 제 3 피스톤(324b)이 각각 삽입통과되고, 이들 선단이 스풀(228)의 단부에 접촉하고 있다. 이들 제 3 피스톤 구멍(322b)에 있어서의 제 3 피스톤(324b)의 후부보다 후방의 부분에 제 3 피스톤실(326b)이 구획되어 있다. 제 3 피스톤(324b)의 후부에는 제 1 스토퍼(328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스토퍼(328b)는 제 3 피스톤실(326b)의 선단측에 형성된 단차부에 접촉할 수 있다. 이들 제 1 스토퍼(328b)는 제 3 피스톤(326b)이 중립위치를 초과하여 스풀(228)을 커버(208)측에 압압하지 않도록 제 3 피스톤(326b)의 스풀 구멍 (210)측으로의 이동범위를 규제하고 있다. 제 3 피스톤실(326b)은 탄성수단, 예컨대, 코일 스프링(330b)에 의해서 스풀 구멍(210)측에 압압되어 있다. 제 3 피스톤실(326b)은 도 20에 나타내는 펌프 통로(262b)를 통해서 펌프 포트(216)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제 3 피스톤(324b) 및 2개의 제 1 피스톤(420b)은 각각 스풀(228)의 축을 대칭축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스풀(228)에는 그 라디알방향의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커버(206)측에도 마찬가지로 중립기구(320a)가 설치되어 있다. 중립기구(320a)는 중립기구(320b)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립기구(320b)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의 말미의 첨자를 a로 대신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중립기구(320a,320b)는 제 3 및 제 4 피스톤(324b,324a)이 거의 동일한 수압 면적이다. 또한, 제 1 및 제 2 파일럿부(400b,400a)에 압유가 공급되었을 때에 제 1 및 제 2 피스톤(324b.324a)의 압압력보다, 제 4 및 제 3 파일럿실(336a,336b)의 압압력이 작게 되도록 제 3 및 제 4 피스톤(324b,324a)의 수압 면적이 선택되어 있다. 또한, 스풀 밸브(28)의 축선상에 관통구멍(500)이 형성되고, 그 양단이 각각 드레인 구멍(234a,234b)에 연통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드레인 구멍(234a,234b)의 용적이 감소할 때에 드레인 구멍(234a,234b)에 드레인 포트(278a,238b)로부터 오일이 유출 또는 유입됨과 아울러 관통구멍(500)을 통해서 오일이 유출 또는 유입되기 때문에 스풀(28) 이동시의 오일의 흐름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박용 스풀밸브에 있어서도 제 6 실시형태의 선박용 스풀 밸브와 마찬가지로, 제 1~제 4 솔레노이드(270a,270b,272a,272b)의 여자, 소자를 행함으로써 스풀(228)을 연료공급위치, 배출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연료공급위치로부터 중립위치로 복귀할 때에는 제 1 솔레노이드(270b)를 소자함과 아울러 제 2 솔레노이드(272b)를 여자한다. 제 1 파일럿 스풀(265b)은 압 배출위치로부터 압 공급위치로 전환한다. 제 1 압력실(460b)에는 파일럿압이 공급되고, 제 1 피스톤(440b)은 제 2 피스톤(440a)과 동등한 압압력으로 스풀(228)을 밀기 때문에 제 1 피스톤(440b)의 압압력과 제 2 피스톤(440a)의 압압력이 균형을 이룬다. 그 때문에 스풀(228)은 제 3 피스톤(324b)의 압압력에 의해 중립위치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 4 피스톤(324a)은 제 2 스토퍼(328a)에 의해서 커버(208)측으로의 이동이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228)에 작용하고 있지 않다. 스풀(228)이 중립위치로 복귀하면 스풀(228)이 제 4 피스톤(324a)과 접촉하고, 제 3 피스톤(324b)과 제 4 피스톤(324a)의 압압력이 균형을 이루어 스풀(28)이 중립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배기위치로부터 중립위치로 복귀하는 때도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이 실시형태의 선박용 스풀밸브에서는 1개의 파일럿부의 전환에 2개의 전자식 솔레노이드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파일럿부의 전환을 고속을 행할 수 있고, 이것에 수반하여 스풀밸브의 전환도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파일럿부를 전환하기 위한 파일럿 스풀밸브는 파일럿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파일럿부까지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파일럿부를 더욱 고속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파일럿부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전자식 솔레노이드는 2위치의 밸브를 이용할 수 있고, 싼값으로 고속의 전환이 가능한 선박용 스풀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6 및 제 7 실시형태에서는 작동 포트로서,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포트(214)와 배기용 액추에이터 포트(222)를 설치하였지만 어느 한쪽의 포트만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풀의 어느 한쪽의 파일럿부 및 파일럿 스풀부는 불필요하므로 그 대신에 압력실에는 직접 펌프 포트로부터 압유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제 6 및 제 7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솔레노이드에는 여자 및 소자에 의해서 2위치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였지만 이 대신에 파일럿 스풀의 위치를 임의의 위치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비례 솔레노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포트에 펌프 포트를 접속할 때에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포트와 펌프 포트의 연통상태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에 있어서의 연료의 분사율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가 용이한 선박의 스풀밸브를 제공한다.

Claims (19)

  1. 밸브 본체에 형성된 제 1 스풀 구멍;
    상기 제 1 스풀 구멍에 연통하고, 압력원에 접속되는 펌프 포트;
    상기 제 1 스풀 구멍에 연통하고, 선박용 기기에 접속되는 액추에이터 포트;
    상기 제 1 스풀 구멍에 연통하고, 탱크에 연통되는 탱크 포트;
    상기 제 1 스풀 구멍에 삽입통과되어 있는 스풀;
    상기 스풀을 그 한쪽의 단부측으로부터 압압하는 파일럿부; 및
    상기 스풀을 그 다른쪽의 단부측으로부터 압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일럿 부에 의해 상기 스풀을 원하는 위치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액추에이터 포트로의 압력유체의 공급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 포트로부터 상기 탱크 포트로의 상기 압력유체의 배출을 제어하는 선박용 스풀밸브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부에서는 상기 밸브 본체에 형성된 제 1 피스톤 구멍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제 1 피스톤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피스톤과 상기 밸브 본체에 의해서 제 1 압력실이 구획되고, 이 제 1 압력실에 상기 압력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파일럿 스풀이 설치되고, 이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전자식 구동부를 설치하고, 이 전자식 구동부의 추력과 대항하는 스풀 되돌림 수단을 설치하고, 스풀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이 검출수단의 신호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식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풀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스톤보다 상기 밸브 본체의 중심측에 슬리브를 배치하고, 이 슬리브에 상기 제 1 압력실과 연통하는 제 1 통로와, 상기 압력원과 연통하는 제 2 통로와, 상기 탱크와 연통하는 제 3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파일럿 스풀을 상기 슬리브 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하고, 상기 파일럿 스풀의 슬라이딩에 의해서 제 1 통로를 제 2 통로 또는 제 3 통로에 연통 및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압력실로의 상기 압력유체의 공급 및 배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풀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스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스풀 내로 형성된 제 2 스풀 구멍과, 이 제 2 스풀 구멍에 삽입되어, 밸브 본체에 접촉하는 제 2 피스톤과, 제 2 피스톤에 의해 상기 스풀 내에 구획된 제 2 압력실과, 이 제 2 압력실과 상기 압력원을 연통하는 제 4 통로로 이루어지는 선박용 스풀밸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되돌림 수단이 상기 스풀과 상기 파일럿 스풀 사이에 배치된 피드백 스프링이고, 상기 전자식 구동부가 비례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풀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스프링의 스프링력은 상기 파일럿 스풀과 상기 슬리브 사이의 플로우 포스(flow force)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풀밸 브.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로는 노치부와 각이 진 구멍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풀밸브.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이 상기 스풀에 설치된 스트로크 센서이고, 이 스트로크 센서로부터의 신호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식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풀밸브.
  8. 밸브 본체에 형성된 제 1 스풀 구멍;
    상기 제 1 스풀 구멍에 연통하고, 압력원에 접속되는 펌프 포트;
    상기 제 1 스풀 구멍에 연통하고,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연료용 포트;
    상기 제 1 스풀 구멍에 연통하고, 배기밸브용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배기용 포트;
    상기 제 1 스풀 구멍에 연통하고, 탱크에 연통되는 탱크 포트;
    상기 제 1 스풀 구멍에 삽입통과되어 있는 스풀;
    상기 스풀을 그 한쪽의 단부측으로부터 압압하는 파일럿부; 및
    상기 스풀을 그 다른쪽의 단부측으로부터 압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는 선박용 스풀밸브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부에서는 상기 밸브 본체에 형성된 제 1 피스톤 구멍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제 1 피스톤을 삽입하고, 상기 제 1 피스톤과 상기 밸브 본체에 의해서 제 1 압력실을 구획하고, 이 제 1 압력실에 상기 압력원으로부터의 압력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파일럿 스풀을 설치하고, 이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전자식 구동부를 설치하고, 이 전자식 구동부의 추력과 대항하는 스풀 되돌림 수단을 설치하고, 스풀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이 검출수단의 신호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식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파일럿부에 의해 상기 스풀을 원하는 위치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연료용 포트로의 상기 압력유체의 공급을 행하는 연료공급위치와, 상기 연료용 포트로부터 상기 탱크 포트로의 상기 압력유체의 배출을 행하는 연료배출위치와, 상기 배기용 포트로부터 상기 탱크 포트로의 상기 압력유체의 공급을 행하는 배기공급위치와, 상기 배기용 포트로부터 상기 탱크 포트로의 상기 압력유체의 배출을 행하는 배기배출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풀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스톤보다 상기 밸브 본체의 중심측에 슬리브를 배치하고, 이 슬리브에 상기 제 1 압력실과 연통하는 제 1 통로와, 상기 압력원과 연통하는 제 2 통로와, 상기 탱크와 연통하는 제 3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파일럿 스풀을 상기 슬리브 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하고, 상기 파일럿 스풀의 슬라이딩에 의해서 제 1 통로를 제 2 통로 또는 제 3 통로에 연통 및 차단시킴으로써 상 기 압력실로의 상기 압력유체의 공급 및 배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풀밸브.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스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스풀 내로 형성된 제 2 스풀 구멍과, 이 제 2 스풀 구멍에 삽입되어, 밸브 본체에 접촉하는 제 2 피스톤과, 제 2 피스톤에 의해 상기 스풀 내에 구획된 제 2 압력실과, 이 제 2 압력실과 상기 압력원을 연통하는 제 4 통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풀밸브.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되돌림 수단으로서, 상기 스풀과 상기 파일럿 스풀 사이에 피드백 스프링을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전자식 구동부가 비례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풀밸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스프링의 스프링력은 상기 파일럿 스풀과 상기 슬리브 사이의 플로우 포스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풀밸브.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로는 노치부와 각이 진 구멍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풀밸브.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으로서, 상기 스풀에 스트로크 센 서를 설치하고, 이 스트로크 센서로부터의 신호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식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풀밸브.
  15. 밸브 본체에 형성된 스풀 구멍;
    상기 스풀 구멍에 연통하고, 압력원에 접속되는 펌프 포트;
    상기 스풀 구멍에 연통하고,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또는 배기밸브용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작동 포트;
    상기 스풀 구멍에 연통하고, 탱크에 연통되는 탱크 포트;
    상기 스풀 구멍에 삽입통과되어 있는 스풀;
    상기 스풀을 그 한쪽의 단부으로부터 압압하는 제 1 파일럿부;
    상기 스풀을 그 다른쪽의 단부으로부터 압압하는 제 2 파일럿부; 및
    상기 작동 포트와 탱크 포트가 연통하는 중립위치에, 상기 스풀을 가압하는 중립기구를 구비한 선박용 스풀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일럿부에서는 상기 밸브 본체의 일단측에 형성된 제 1 피스톤 구멍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제 1 피스톤을 삽입하고, 상기 제 1 피스톤과 상기 밸브 본체에 의해서 제 1 압력실을 구획하고,
    상기 제 1 압력실에 압력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제 1 파일럿 스풀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압력실이 상기 펌프 포트에 연통하는 공급위치와, 상기 제 1 압력실이 상기 탱크 포트와 연통하는 배출위치로, 상기 제 1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제 1 전자식 구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 2 파일럿부에서는 상기 밸브 본체의 타단측에 형성된 제 2 피스톤 구멍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제 2 피스톤이 삽입통과하고, 상기 제 2 피스톤과 상기 밸브 본체에 의해서 제 2 압력실을 구획하고,
    상기 제 2 압력실은 상기 펌프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압력실의 수압 면적은 동등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자식 구동부에 의해서 제 1 파일럿 스풀을 상기 배출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압력실로부터 압력유체를 배출하고, 상기 제 2 압력실의 압력유체에 의해서 상기 제 2 피스톤이 상기 중립기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스풀을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작동 포트로의 압력유체의 공급을 행하는 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풀밸브.
  16. 밸브 본체에 형성된 스풀 구멍;
    상기 스풀 구멍에 연통하고, 압력원에 접속되는 펌프 포트;
    상기 스풀 구멍에 연통하고,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 또는 배기밸브용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작동 포트;
    상기 스풀 구멍에 연통하고, 탱크에 연통되는 탱크 포트;
    상기 스풀 구멍에 삽입통과되어 있는 스풀;
    상기 스풀을 그 한쪽의 단부으로부터 압압하는 제 1 파일럿부;
    상기 스풀을 그 다른쪽의 단부으로부터 압압하는 제 2 파일럿부; 및
    상기 작동 포트와 탱크 포트가 연통하는 중립위치에, 상기 스풀을 가압하는 중립기구를 구비한 선박용 스풀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일럿부에서는 상기 밸브 본체의 일단측에 형성된 제 1 피스톤 구멍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제 1 피스톤을 삽입하고, 상기 제 1 피스톤과 상기 밸브 본체에 의해서 제 1 압력실을 구획하고,
    상기 제 1 압력실에 압력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제 1 파일럿 스풀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압력실이 상기 펌프 포트에 연통하는 공급위치와, 상기 제 1 압력실이 상기 탱크 포트와 연통하는 배출위치로, 상기 제 1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제 1 전자식 구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 2 파일럿부에서는 상기 밸브 본체의 타단측에 형성된 제 2 피스톤 구멍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제 2 피스톤을 삽입하고, 상기 제 2 피스톤과 상기 밸브 본체에 의해서 제 2 압력실을 구획하고,
    상기 제 2 압력실은 상기 펌프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압력실과 상기 제 2 압력실의 수압 면적은 동등하게 형성되고,
    상기 중립기구는, 상기 밸브 본체의 일단측에 형성된 제 3 피스톤 구멍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스풀을 압압할 수 있는 제 3 피스톤과, 이 제 3 피스톤과 상기 밸브 본체에 의해서 구획되는 제 3 압력실과, 상기 밸브 본체의 타단측에 형성된 제 4 피스톤 구멍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스풀을 압압할 수 있는 제 4 피스톤과, 이 제 4 피스톤과 상기 밸브 본체에 의해서 구획되는 제 4 압력실과, 상기 제 3 피스톤이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타단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4 피스톤이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일단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 2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및 제 4 압력실은 상기 펌프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 3 피스톤과 제 4 피스톤은 상기 스풀의 양단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피스톤의 수압 면적이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풀밸브.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식 구동부는 상기 제 1 압력실이 상기 탱크 포트와 연통하는 위치로 상기 제 1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제 1 솔레노이드와, 상기 제 1 압력실이 상기 펌프 포트와 연통하는 위치로 상기 제 1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제 2 솔레노이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풀밸브.
  18. 밸브 본체에 형성된 스풀 구멍;
    상기 스풀 구멍에 연통하고, 압력원에 접속되는 펌프 포트;
    상기 스풀 구멍에 연통하고, 연료공급용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연료용 포트;
    상기 스풀 구멍에 연통하고, 배기밸브용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배기용 포트;
    상기 스풀 구멍에 연통하고, 탱크에 접속되는 탱크 포트;
    상기 스풀 구멍에 삽입통과되어 있는 스풀;
    상기 스풀을 그 한쪽의 단부으로부터 압압하는 제 1 파일럿부;
    상기 스풀을 그 다른쪽의 단부으로부터 압압하는 제 2 파일럿부; 및
    상기 연료용 포트와 배기용 포트가 상기 탱크 포트와 연통하는 중립위치에, 상기 스풀을 가압하는 중립기구를 구비한 선박용 스풀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일럿부에서는 상기 밸브 본체의 일단측에 형성된 제 1 피스톤 구멍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제 1 피스톤을 삽입하고, 상기 제 1 피스톤과 상기 밸브 본체에 의해서 제 1 압력실을 구획하고,
    상기 제 1 압력실에 압력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제 1 파일럿 스풀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제 1 전자식 구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 2 파일럿부에서는 상기 밸브 본체의 타단측에 형성된 제 2 피스톤 구멍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제 2 피스톤을 삽입하고, 상기 제 2 피스톤과 상기 밸브 본체에 의해서 제 2 압력실을 구획하고,
    상기 제 2 압력실에 상기 압력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제 2 파일럿 스풀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제 2 전자식 구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전자식 구동부는, 상기 제 1 압력실이 상기 탱크 포트와 연통하는 배출위치로 상기 제 1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제 1 솔레노이드와, 상기 제 1 압력실이 상기 펌프 포트와 연통하는 공급위치로 상기 제 1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 는 제 2 솔레노이드를 갖고,
    상기 제 2 전자식 구동부는, 상기 제 2 압력실이 상기 탱크 포트와 연통하는 배출위치로 상기 제 2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제 3 솔레노이드와, 상기 제 2 압력실이 상기 펌프 포트와 연통하는 공급위치로 상기 제 2 파일럿 스풀을 이동시키는 제 4 솔레노이드를 갖고,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연료용 포트로의 상기 압력원으로부터의 압력유체의 공급을 행하는 연료공급위치와,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배기용 포트로의 상기 압력유체의 공급을 행하는 배기위치와, 상기 중립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풀밸브.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솔레노이드를 비례 솔레노이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스풀밸브.
KR1020040053715A 2003-07-09 2004-07-09 선박용 스풀밸브 KR100668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72368A JP2005030529A (ja) 2003-07-09 2003-07-09 舶用スプール弁
JPJP-P-2003-00272368 2003-07-09
JPJP-P-2003-00309886 2003-09-02
JP2003309886A JP2005076576A (ja) 2003-09-02 2003-09-02 舶用スプール弁
JPJP-P-2004-00058741 2004-03-03
JP2004058741A JP2005248785A (ja) 2004-03-03 2004-03-03 舶用スプール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199A KR20050007199A (ko) 2005-01-17
KR100668409B1 true KR100668409B1 (ko) 2007-01-16

Family

ID=3459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715A KR100668409B1 (ko) 2003-07-09 2004-07-09 선박용 스풀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68409B1 (ko)
CN (1) CN10035455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5518B2 (en) * 2007-01-05 2010-06-15 Mac Valves, Inc. Valve assembly with dual actuation solenoids
CN102221112A (zh) * 2010-04-14 2011-10-19 南京理工大学 气动/液压内磁式位置检测滑阀
JP6710609B2 (ja) * 2016-08-31 2020-06-1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スプール弁および弁システム
KR102034339B1 (ko) * 2016-12-20 2019-10-18 현대코어모션 주식회사 릴리프 밸브의 공용화가 가능한 건설장비용 반전방지밸브
DE102017200418A1 (de) * 2017-01-12 2018-07-12 Robert Bosch Gmbh Ventilbaugruppe zur Zweikreis-Summierung
CN108413074B (zh) * 2018-06-14 2019-07-16 江苏金晟元特种阀门股份有限公司 一种插装式换向阀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0586A (ja) 1983-04-08 1984-10-29 Toyooki Kogyo Co Ltd パイロツト操作切換弁
US5108070A (en) 1990-03-28 1992-04-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low control solenoid valve apparatus
JPH0996302A (ja) * 1995-09-29 1997-04-08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流量制御弁
JPH10169828A (ja) 1996-12-12 1998-06-26 Unisia Jecs Corp 弁開度制御装置
KR19980033210A (ko) * 1996-10-28 1998-07-25 타카다요시유키 파일로트식 3포오트 전환밸브
JPH10332021A (ja) 1997-06-04 1998-12-15 Nkk Corp 電磁式方向切換弁
JPH11218253A (ja) 1998-02-02 1999-08-10 Kenji Masuda 比例電磁式方向絞り弁
KR20000071764A (ko) * 1999-04-27 2000-11-25 다까다 요시유끼 배력구동 파일롯형 전자밸브
JP2001124227A (ja) 1999-10-25 2001-05-11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ソレノイドバルブ
JP2005030529A (ja) 2003-07-09 2005-02-03 Nabco Ltd 舶用スプール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0121B1 (da) * 1993-06-04 1995-05-29 Man B & W Diesel Gmbh Gliderventil og stor totakts forbrændingsmotor
JPH10280919A (ja) * 1997-04-02 1998-10-20 Unisia Jecs Corp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4014025B2 (ja) * 2001-04-18 2007-1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プール弁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0586A (ja) 1983-04-08 1984-10-29 Toyooki Kogyo Co Ltd パイロツト操作切換弁
US5108070A (en) 1990-03-28 1992-04-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low control solenoid valve apparatus
JPH0996302A (ja) * 1995-09-29 1997-04-08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流量制御弁
KR19980033210A (ko) * 1996-10-28 1998-07-25 타카다요시유키 파일로트식 3포오트 전환밸브
JPH10169828A (ja) 1996-12-12 1998-06-26 Unisia Jecs Corp 弁開度制御装置
JPH10332021A (ja) 1997-06-04 1998-12-15 Nkk Corp 電磁式方向切換弁
JPH11218253A (ja) 1998-02-02 1999-08-10 Kenji Masuda 比例電磁式方向絞り弁
KR20000071764A (ko) * 1999-04-27 2000-11-25 다까다 요시유끼 배력구동 파일롯형 전자밸브
JP2001124227A (ja) 1999-10-25 2001-05-11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ソレノイドバルブ
JP2005030529A (ja) 2003-07-09 2005-02-03 Nabco Ltd 舶用スプール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54558C (zh) 2007-12-12
CN1576525A (zh) 2005-02-09
KR20050007199A (ko) 2005-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5155B2 (en) Control valve apparatus and pressure circuit
EP1048854B1 (en) Servo-driving pilot-type solenoid valve
JP6656831B2 (ja) 電磁比例弁
KR100668409B1 (ko) 선박용 스풀밸브
US10895269B2 (en) Double acting hydraulic pressure intensifier
KR20030017633A (ko) 압력 변환 장치를 갖는 연료 분사 장치 및 압력 변환 장치
KR20190073487A (ko) 압력 증폭기를 구비한 유압 액추에이터
CN107690509B (zh) 用于发动机阀的气动促动器
EP1961973B1 (en) Actuator control device
EP3896293A1 (en) Fluid pressure cylinder
KR102179209B1 (ko) 카트리지 압력 증폭기를 구비한 유압 액추에이터
CN112703323A (zh) 流体压力缸
WO2004085855A1 (ja) 液圧装置
JP2009150296A (ja) 吸排気弁駆動装置
EP0999116A1 (en) Switching valve for a 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
JP6564225B2 (ja) 制御弁
JP2005248785A (ja) 舶用スプール弁
US8602055B2 (en) Hydraulic valve device
JP2002188604A (ja) 油圧制御バルブ
KR930701668A (ko) 선회식 작업장치의 유압회로
JP2005076576A (ja) 舶用スプール弁
JP3989242B2 (ja) シーケンス弁
US6817177B2 (en) Replenishing device for a closed circuit
JP7436426B2 (ja) 増圧装置
JP2005030529A (ja) 舶用スプール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