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611B1 - 오일성 원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일성 원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611B1
KR100667611B1 KR1020000017572A KR20000017572A KR100667611B1 KR 100667611 B1 KR100667611 B1 KR 100667611B1 KR 1020000017572 A KR1020000017572 A KR 1020000017572A KR 20000017572 A KR20000017572 A KR 20000017572A KR 100667611 B1 KR100667611 B1 KR 100667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neutral amino
composition
raw material
alan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4687A (ko
Inventor
이시이히로지
고야마마사코
이치카와도모미치
후나쿠보도시히코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14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우수한 보습성과 투습성을 겸비하고, 또한 포수성(抱水性)과 유화 안정성이 우수하며, 나아가서는 사용감(끈적거리는 느낌이 없음, 친숙성이 양호함, 중량감이 없음, 퍼짐성이 양호함)이 우수하고, 화장품 조성물과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경우, 보습성과 투습성, 또한 유화 안정성을 부여하여 사용감을 우수하게 하는 오일성 원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유효 성분으로서 특정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알킬 또는 알케닐 에스테르와 특정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스테롤 에스테르를 함께 함유하거나, 양친매성 물질을 추가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 원료 조성물.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 알케닐 에스테르,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스테롤 에스테르, 양친매성, 오일성 원료 조성물

Description

오일성 원료 조성물 {Oily material composition}
본 발명은 특정한 두 종류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를 함유(즉, 함께 함유한다)하거나, 양친매성 물질을 추가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 원료 조성물 및 특정한 두 종류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를 함께 함유하거나, 양친매성 물질을 추가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알콜 부분이 탄소수 1 내지 3O의 측쇄 또는 직쇄,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 그룹인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알킬 또는 알케닐 에스테르와 알콜 부분이 스테롤 잔기인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스테롤 에스테르의 두 종류의 에스테르를 함유하거나, 콜레스테롤 등의 양친매성 물질을 추가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 원료 조성물 및 이러한 두 종류의 에스테르를 함유하거나, 콜레스테롤 등의 양친매성 물질을 추가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표피 각질층은 생체로부터 수분의 증발을 조정하며 외계로부터 여러 가지 자극을 방어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피부가 적절하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표피 각질 층의 수분이 중요하며, 피부의 윤기나 유연성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각질층의 수분을 유지하는 성분으로서는, NMF(천연 보습인자) 등의 수용성 보습 성분 이외에, 유용성(油溶性) 성분이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즉, 유용성 성분은 수분 증발을 억제하기 위한 오일 막을 형성하는 이외에, 그 자체가 어느 정도의 수분을 유지함으로써(보습 성능), 각질의 수분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모발에 관해서도, 피부와 동일하게 건강하면서 윤기나 팽팽함을 유지하는 컨디셔닝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적정한 수분량이 필요하며, 유용성 성분이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종래부터 오일성 원료로서, 피부 화장품이나 두발 화장품에 바셀린, 라놀린 등이 범용되고 있다.
그러나, 바셀린과 같은 탄화수소유 자체에는 수분을 유지하는 작용은 없으며, 오로지 오일막을 형성하여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것이다. 따라서, 과도한 폐쇄성이 있으며, 피부의 정상적인 생리작용을 억제하는 이외에 사용 도중과 사용 후의 끈적거리는 느낌, 퍼짐성의 악화, 친숙성의 악화, 무거운 감촉 등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습 성능을 갖는 오일제로서 범용되는 라놀린도 바셀린과 동일하게 오일막을 형성하여 수분 증발을 억제하므로 폐쇄성을 가지며, 또한 사용 도중 과 사용 후의 끈적거리는 느낌, 퍼짐성의 악화, 친숙성의 악화, 무거운 감촉 등이라는 문제점이 있는 것도 바셀린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러한 폐쇄성에 따르는 폐해를 제거하고자, 어느 정도의 수분 증발능(투습 성능)을 구비한 오일막을 형성하는 오일성 원료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한편, 안전성이 높은 오일성 원료로서, 아미노산계 유도체가 개발되어 있다. 즉, 피부 또는 두발 화장품 및 외용약(外用藥)의 오일성 원료로서, 일본 특허공보 제(소)54-129O8호에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과 탄소수 12 내지 30의 고급 알콜의 에스테르가 기재되어 있고, 일본 특허공보 제(소)56-126O9호에는, N-장쇄 아실 산성 아미노산과 탄소수 8 내지 22의 고급 알콜의 에스테르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원료 자체의 보습 성능이 낮으므로, 스킨 케어나 헤어 케어를 목적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배합할 때, 이의 보습 성능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발에 대한 컨디셔닝 효과에 대해서도 충분하지 않다.
그리고, 보습 성능이 우수한 오일성 원료로서, 스테롤 그룹을 갖는 오일성 원료가 개발되어 있다. 즉, 일본 특허공보 제(소)59-2332O호에는, 지방산과 스테롤의 에스테르가 기재되어 있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5-112514호에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과 스테롤의 에스테르가 각각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스테롤을 갖는 에스테르는 보습 성능은 향상되지만, 화장품에 배합하는 경우, 이의 사용 도중과 사용 후의 끈적거리는 느낌, 퍼짐성의 악화, 친숙성의 악화, 무거운 감촉으로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3-275697호에는, 보습 성능을 갖는 오일성 원료로서 N-장쇄 아실 산성 아미노산과 스테롤의 에스테르 및 N-장쇄 아실 산성 아미노산과 탄소수 8 내지 22의 고급 알콜의 에스테르 혼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오일성 원료는 화장품 조성물에 배합하는 경우, 이의 사용 도중과 사용 후의 끈적거리는 느낌, 퍼짐성의 악화, 친숙성의 악화, 무거운 감촉 등 이라는 점에 대해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것을 요약하면, 보습 성능을 갖는 오일제(오일성 원료)로서는, 라놀린, 지방산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아실 산성 아미노산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등이 공지되어 있지만, 사용시에 끈적거리는 느낌, 무거운 감촉 등의 불쾌감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습 성능에 관해서도 불충분하다. 또한, 이들을 배합하여 제조한 유화(乳化) 상태의 화장품 조성물과 피부 외용제 조성물(유화물)의 안정성에도 문제가 있다.
위에 기재된 종래 기술의 배경하에, 본 발명의 목적은, 보습 성능과 투습 성능이 우수하며, 화장품 조성물이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배합하는 경우, 이의 사용감을 우수하게 하는 오일성 원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한 두 종류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오일성 원료 조성물이 그 자체가 우수한 보습성과 투습성을 겸비하고, 사용감(끈적거리는 느낌이 없음, 퍼짐성이 양호함, 친숙성의 양호함 및 무거운 감촉이 없음)이 우수하며, 이를 화장품 조성물과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경우, 보습성과 투습성을 부여하고 이의 사용감을 우수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위와 같은 오일성 원료 조성물에 콜레스테 롤 등의 양친매성 물질을 배합하면 화장품 조성물과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보습 성능과 포수성이 비약적으로 높아짐을 밝혀내고,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관련하여, 포수성이란, 라놀린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용성 물질이 물을 감싸안는 성능을 말하며, 보습 성능과 유화물 안정성의 지표로 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셀린 등은 폐쇄성의 오일막(피막)을 형성하고 또한 피부와의 친화성이 없으며(친숙성이 나쁘다) 관능성이 나쁘다. 또한, 바셀린이나 유동 파라핀 등의 탄화수소유에 콜레스테롤을 첨가하면 어느 정도 포수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지만, 반드시 충분한 것은 아니다[참조: E. V. Truter; J. Soc. Cosmet. Chem., 13, 173 (1962)].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관계되는 양친매성 물질은 피막을 형성하지만 피부에 잘 친화된다. 이러한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포수성, 나아가서는 보습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것은 본 발명자의 신규한 발견이다. 또한, 이러한 양친매성 물질에 의한 유화 안정화 작용은 W/O형 유화 안정화 작용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즉,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 화학식 1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와 화학식 2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의 두 종류의 에스테르를 함유하거나, 양친매성 물질을 추가로 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 원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두 종류의 에스테르를 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0006659550-pat00001
Figure 112000006659550-pat00002
위의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5 내지 21의 측쇄 또는 직쇄 알킬 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그룹이며,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메틸 그룹, 에틸 그룹, 탄소수 3 내지 4의 측쇄 또는 직쇄 알킬 그룹, 또는 하이드록시메틸 또는 하이드록시에틸 그룹이고,
R4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측쇄 또는 직쇄 알킬 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이며,
R5는 스테롤의 알콜 잔기이고,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이다.
양친매성 물질로서는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등을 함유하는 스테롤류, 인지질, 세라미드, 지방산 등을 들 수 있지만, 포수성의 견지에서 스테롤류가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에서의 장쇄 아실 그룹(R1CO)으로서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22의 직쇄 또는 측쇄,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 그룹이며, 예를 들면,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 이소스테아르산, 2-에틸헥산산, 코코넛유 지방산, 팜핵유 지방산, 수소화 팜핵유 지방산, 우지 지방산, 수소화 우지 지방산 등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는 아실 그룹을 들 수 있다. 이들 지방산은 하이드록실 그룹을 갖는 지방산이라도 지장이 없다. 바람직한 아실 그룹으로서는, 카프로일 그룹, 라우로일 그룹, 미리스토일 그룹, 팔미토일 그룹, 스테아로일 그룹과 베헤노일 그룹 및 코코넛유 지방산, 팜핵유 지방산, 수소화 팜핵유 지방산과 수소화 우지 지방산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는 1가의 산기(아실 그룹)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에서 중성 아미노산 부위를 구성하는 중성 아미노산으로서는, 각각 독립적으로, 글리신, 알라닌,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세린, 트레오닌,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 β-알라닌,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카프로산, 사르코신, N-메틸-β-알라닌 등의 중성 아미노산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글리신, 알라닌, β-알라닌, α-아미노부티르산, γ-아미노부티르산, 사르코신 및 N-메틸-β-알라닌이며, 보다 바람직한 것은 사르코신, 알라닌, 글리신 및 N-메틸-β-알라닌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사르코신 및 N-메틸-β-알라닌이다. 이들 아미노산은 광학 활성체 및 라세미체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의 알콜 부위를 구성하는 탄화수소 그룹(R4)으로서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측쇄 또는 직쇄 알킬 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알킬 그룹이며,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t-부탄올, 이소부탄올, 3-메틸-1-부탄올, 2-메틸-1-부탄올, 후젤유, 펜탄올, 헥산올, 사이클로헥산올, 옥탄올, 2-에틸헥산올, 데칸올, 라우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세틸 알콜, 세토스테아릴 알콜, 스테아릴 알콜, 올레일 알콜, 아르알킬 알콜, 베헤닐 알콜, 호호바 알콜, 2-헥사데실 알콜, 2-옥틸도데칸올 및 이소스테아릴 알콜로부터 유도됨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라우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세틸 알콜, 세토스테아릴 알콜, 스테아릴 알콜, 올레일 알콜, 아르알킬 알콜, 베헤닐 알콜, 호호바 알콜, 2-헥사데실 알콜, 2-옥틸도데칸올 및 이소스테아릴 알콜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라우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세토스테아릴 알콜, 베헤닐 알콜, 호호바 알콜, 2-헥사데실 알콜, 2-옥틸도데칸올 및 이소스테아릴 알콜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베헤닐 알콜, 2-헥사데실 알콜, 2-옥틸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 알콜 및 베헤닐 알콜이다.
화학식 2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의 알콜 부위를 구성하는 스테롤(R50H)은 콜레스테롤, 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피토스테롤, 라노스테롤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피토스테롤 및 라노스테롤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피토스테롤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콜레스테롤 및 피토스테롤이다. 이들은 동물 유래, 식물 유래 및 합성물 중의 어느 것이라도 지장이 없다.
본 발명의 오일성 원료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화학식 1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와 화학식 2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의 조성비 범위는 중량비로 99:1 내지 35:65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6:4 내지 4O:6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3:7 내지 60:4O이다. 화학식 1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의 조성비가 99:1보다도 큰 경우에는 충분한 보습성이 얻어지지 않는 한편, 35:65보다 작은 경우에는 끈적거리는 느낌이 나타나며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두 종류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 원료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과 알킬 및/또는 알케 닐 알콜 및 스테롤을 상압 또는 감압하에서 가열, 탈수, 축합 에스테르화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톨루엔 등의 용매를 사용하는 공비, 탈수, 축합반응이나 에스테르 교환반응으로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의 합성에 사용되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이나 알콜류는 반드시 단일 화합물일 필요는 없으며, 아실 그룹이나 중성 아미노산의 종류가 상이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또한 쇄 길이 등이 상이한 알콜 혼합물일 수도 있다.
또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과 알킬 또는/및 알케닐 알콜과의 에스테르와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과 스테롤과의 에스테르를 각각 별개로 합성하고, 혼합하여 오일성 원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는 지장이 없으면 반응 혼합물 그대로 본 발명의 오일성 원료 조성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또는 원하는 바에 따라, 재결정법,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정제하여 본 발명의 오일성 원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조 원료인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및 이의 염이나 화장품 조성물에 허용되는 알콜 등, 또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및 이의 염에 함유될 수 있는 원료인 중성 아미노산 등이나 부산물인 지방산 등은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효과를 억제하지 않는 범위로 함유해도 지장이 없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와 관련하여,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은, 예를 들면, 염기성 촉매하에 장쇄 지방산 할라이드와 아미노산을 반응시키는 소위 쇼텐바우만 반응[참조: 일본 특허공보 제(소)51-38681호 등] 등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두 종류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에 양친매성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추가로 함유하는 오일성 원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과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의 양친매성 물질의 사용량(배합량)은 요컨대 양친매성 물질을 사용하는 효과가 나타나는 양이라고 불리지만, 이러한 양은, 예를 들면, 콜레스테롤의 경우에는 이것과 위와 같은 두 종류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의 합계량에서 차지하는 비율로서 0.1 내지 2O%일 수 있다.
화학식 2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스테롤 에스테르를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과 스테롤로부터 합성하는 경우, 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예를 들면,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알킬 및/또는 알케닐 알콜 및 스테롤로부터 합성하는 경우 등이며, 합성 목적물에 미반응 스테롤이 잔존하는 경우, 이러한 합성 목적물을 사용할 때 양친매성 물질을 다시 가할 필요가 없다. 양친매성 물질의 양이 적을 때, 물론 별도로 가할 필요가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양친매성 물질을 사용(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오일성 원료 조성물,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화장품용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보습 성능과 유화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됨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오일성 원료 조성물은, 이것을 그 자체로서 유통시킬 수 있으며, 이후에 화장품 조성물이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오일성 원료 조성물은, 이것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세안 크림, 세안 폼, 클렌징 크림, 맛사지 크림, 콜드 크림, 모이스처 크림, 유액(乳液), 화장수, 핸드 크림, 팩, 남성 피부용 화장품, 베이비용 피부 보호제, 파운데이션, 립스틱, 프레스 파우더, 아이 쉐도우, 코스메틱, 헤어 리퀴드, 세트 로숀, 퍼머넌트 웨이브액, 헤어 크림, 헤어 로숀, 헤어 무스, 샴푸, 헤어 린스, 헤어 컨디셔너, 보디 샴푸, 고형 세제, 액상 세제, 땀 억제제, 에프터쉐이빙 크림, 썬 크림, 썬 오일, 모발 배양제, 모발 양육제, 염모제, 목욕용제, 외용 의약 조성물, 또한 동물용 샴푸나 동물용 린스 등의 화장품 조성물이나 피부 외용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장품 조성물과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유화계, 용액계, 가용화계, 분말분산계, 수-유 2층계, 수-유-분말 3층계 등의 어떠한 제형이라도 지장이 없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오일성 원료 조성물의 배합량(중량%)은 세안 크림, 세안 폼, 클렌징 크림, 헤어 리퀴드, 세트 로숀, 퍼머넌트 웨이브액, 헤어 로숀, 헤어 무스, 샴푸, 헤어 린스, 헤어 컨디셔너, 보디 샴푸, 고형 세제, 액상 세제, 땀 억제제, 에프터쉐이빙 크림, 썬 크림, 썬 오일, 모발 배양제, 모발 양육제, 염모제, 목욕용제, 동물용 샴푸, 동물용 린스 등에서는 O.O5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O.5 내지 5중량%이고, 맛사지 크림, 콜드 크림, 모이스처 크림, 유액, 화장수, 핸드 크림, 팩, 남성 피부용 화장품, 베이비용 피부 보호제, 파운데이션, 립스틱, 프레스 파우더, 아이 쉐도우, 코스메틱 등에서는 0.05 내지 6O중량%, 바람직하게는 O.1 내지 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O.5 내지 20중량%이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오일성 원료 조성물의 배합량(중량%)은 젤리제상, 연고제 등에 있어서는 O.1 내지 85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O중량%이고, 로숀제, 에어졸제 등에 있어 서는 O.O5 내지 3O중량%, 바람직하게는 O.1 내지 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O.5 내지 1O중량%이다.
화장품 조성물과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오일성 원료로서 두 종류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 또는 추가의 양친매성 물질을 일단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오일성 원료 조성물로 하지 않고 각각 별개로 제조된 두 종류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 또는 추가의 양친매성 물질을 직접 화장품 조성물이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오일성 원료로서 추가로 배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두 종류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의 사용 비율과 이들과 양친매성 물질과의 사용 비율은, 본 발명의 오일성 원료 조성물에서 앞에서 설명한 두 종류의 에스테르의 조성비 및 이들과 양친매성 물질과의 조성비와 각각 동일하며, 또한 두 종류의 에스테르의 합계 배합량 또는 이들과 양친매성 물질과의 합계 배합량은 본 발명의 오일성 원료 조성물의 앞에서 설명한 배합량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는,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오일성 원료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은 범위에서 임의로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것에는, 예를 들면,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및 이로부터 수득되는 고급 알콜류, 스쿠알란, 피마자유 및 이의 유도체, 밀납, 액상 및 정제 라놀린을 함유하는 라놀린류 및 이의 유도체, 마카다미아, 너트유, 호호바유, 카르나바 왁스, 참기름, 카카오유, 팜유, 밍크유, 목납, 칸델리라 왁스, 고래 기름 등의 동식물 유래의 오일성 원료, 파라핀, 미세 결정성 왁스, 유동 파라핀, 바셀린, 세레신 등의 석유 및 광물 유래의 오일성 원료를 비롯하여 메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옥시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 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지방산 변성 폴리실록산, 지방족 알콜 변성 폴리실록산, 아미노산 변성 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 중합체 등의 실리콘류, 수지산, 지방산 에스테르, 케톤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종류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 또는 추가의 양친매성 물질로 이루어진 오일성 원료 조성물을 추가로 사용하거나, 이러한 두 종류의 에스테르 또는 추가의 양친매성 물질을 병용하는 경우, 다른 오일성 원료의 끈적거리는 느낌 등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으므로, 위와 같은 종래의 오일성 원료를 배합한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억제하지 않는 범위에서, 계면활성제로서 N-장쇄 아실 산성 아미노산 염이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염 등의 N-장쇄 아실 아미노산 염, N-장쇄 지방산 아실-N-메틸타우린 염, 알킬 설페이트 및 이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지방산의 금속염 및 약염기염, 설포석신산계 계면활성제, 알킬 포스페이트 및 이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알킬 에테르 카복실산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글리세롤 에테르 및 이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에테르형 계면활성제, 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이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소르비탄 에스테르 및 이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에테르 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롤 에스테르, 지방산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아실아미노산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소르비탄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알킬 글루코사이드류, 경화 피마자유 피로글루탐산 디에스테르와 이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및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등의 질소 함유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의 지방족 아민염, 이들의 4급 암모늄염, 벤즈알코늄염 등의 방향족 4급 암모늄염, 지방산 아실 아르기닌 에스테르, 알킬옥시하이드록시프로필 아르기닌염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카복시베타인 등의 베타인형 계면활성제, 아미노카복실산형 계면활성제, 이미다졸린형 계면활성제 등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의 각종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는, 위와 같은 계면활성제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억제하지 않는 범위에서 화장품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리신, 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아르기닌,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로이신, 발린 등의 아미노산류; 피롤리돈카복실산 및 이의 염, 트리메틸글리신, 라우로일라이신 등의 아미노산 유도체류; 글리세롤, 에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이소프렌 글리콜 등의 다가 알콜; 폴리글루탐산, 폴리아스파르트산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노산 및 이의 염, 폴리에틸렌 글리콜, 아라비아 고무류, 알긴산염, 크산탄검,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염, 키틴, 키토산, 수용성 키틴, 카복시비닐 중합체,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염화디메틸메틸렌피페리듐, 폴리비닐피롤리돈 유도체 4급 암모늄, 양이온화 단백질, 콜라겐 분해물 및 이의 유도체, 아실화 단백질, 폴리글리세롤 등의 수용성 고분자; 만니톨 등의 당 알콜 및 이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에탄올, 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첨가제 및 약제로서는, 통상적인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배합되는 전반적인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파라벤 유도체 등의 방부제, 향료, 색소, 점도 조정제, 펄화제, 산화 방지제, 살균제, 히노키티올, 하이드로코르티손(V), ε-아미노카복실산, 아줄렌, 알란토인, 글리시리즈산 유도체, β­글리시레틴산 등의 소염제, 진통제, 항진균제, 각질 연화 박리제, 피부 착색제, 호르몬제, 벤조페논 유도체, 파라아미노벤조산 유도체, 메톡시신남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우로칸산 및 이의 유도체, 4-3급-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안트라닐산메틸, 디메톡시벤질리덴디옥소이미다졸리딘프로피온산-2-에틸헥실 등의 자외선 흡수제, 판토텐산 및 이의 유도체, 플라센타 엑기스, 알란토인 등의 모발 양육제, 알부틴, 코지산, 비타민 C 및 이의 유도체 등의 미백용 약제, 땀 억제제, 땀냄새 방지제, 비타민 A, B1, B2, B6, E 및 이의 유도체 등의 비타민제, 자주쓴풀 엑기스, 세파란틴 등의 혈관 확장제, 하이드로퀴논 및 이의 유도체, γ-오리자놀, pH 조정제, 생약 등의 약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일성 원료 조성물은 자동차 왁스 등의 기타 제품에도 배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법 자체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적절하게 공지된 방법에 따를 수 있다.
실시예
아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실시예 1>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콜레스테릴과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2-헥사데실의 합성: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가와켄파인케미칼가부시키가이샤 제품) 53g, 콜레스테롤 5g 및 2-헥사데칸올(고큐알콜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품) 42g을 50OmL들이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촉매로서 p-톨루엔설폰산을 2g 가한 다음, 질소 기류하에 13O℃에서 5시간 동안 탈수 축합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종료후, 반응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O%) 1.6g으로 중화시켜 수층을 제거하고, 탈이온수 1OOg 속에서 물로 세척한 다음,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하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불용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오일상 생성물 62g을 여액으로서 수득하였다.
분석 결과, 이러한 생성물(조성물)의 산가는 0.O3이고, 비누화 값은 100이며, pH는 6.09(1% 현탁액)이고, 비중 D20 30는 O.8959이며, 질소 함량은 2.335중량%(켈달법)이었다.
<제조실시예 2>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콜레스테릴과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2-헥사데실의 합성: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가와켄파인케미칼가부시키가이샤 제품) 52g, 콜레스테롤 10g 및 2-헥사데칸올(고큐알콜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품) 38g을 50OmL들이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촉매로서 p-톨루엔설폰산을 2g 가한 다음, 질소 기류하에 130℃에서 5시간 동안 탈수 축합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종료후, 반응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1.6g으로 중화시켜 수층을 제거하고, 탈이온수 100g 속에서 물로 세척한 다음,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하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불용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오일상 생성물 63g을 여액으로서 수득하였다.
분석 결과, 이러한 생성물(조성물)의 산가는 0.03이고, 비누화 값은 98이며, 비중 D20 30는 0.9O27이며, 콜레스테롤 함량은 2.17%(HPLC)이었다.
IR(순수): 2,925cm-1(C-H), 1,735cm-1(에스테르), 1,650cm-1(아미드).
<제조실시예 3>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콜레스테릴과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2-헥사데실의 합성: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가와켄파인케미칼가부시키가이샤 제품) 51g, 콜레스테롤 20g 및 2-헥사데칸올(고큐알콜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품) 29g을 500mL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촉매로서 p-톨루엔설폰산을 2g 가한 다음, 질소 기류하에 130℃에서 5시간 동안 탈수 축합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종료후, 반응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1.6g으로 중화시켜 수층을 제거하고, 탈이온수 10Og 속에서 물로 세척한 다음,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하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불용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오일상 생성물 59g을 여액으로서 수득하였다.
분석 결과, 이러한 생성물(조성물)의 산가는 O.04이고, 비누화 값은 96이며, 비중 D20 30는 O.9178이고, 콜레스테롤 함량은 1.36%(HPLC)이었다.
IR(순수): 2,925cm-1(C-H), 1,735cm-1(에스테르), 1,650cm-1(아미드).
FAB-MS: 538,683(M+H)+1.
<제조실시예 4>
N-혼합 지방산 아실 알라닌 콜레스테릴과 N-혼합 지방산 아실 알라닌-2-옥틸도데실의 합성:
N-혼합 지방산 아실 알라닌[아실 그룹 조성(중량비): 카프릴 그룹 11.3중량%, 카프로일 그룹 9.4중량%, 라우로일 그룹 58.7중량%, 미리스토일 그룹 18.5중량%, 팔미토일 그룹 2.1중량%] 40g, 콜레스테롤 20g 및 2-옥틸도데칸올(고큐알콜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품) 40g을 500mL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촉매로서 p-톨루엔설폰산을 1g 가한 다음, 질소 기류하에 130℃에서 5시간 동안 탈수 축합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종료후, 반응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0.8g으로 중화시켜 수층을 제거하고, 탈이온수 100g에서 물로 세척한 다음,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하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불용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오일상 내지 페이스트상 생성물 59g을 여액으로서 수득하였다.
분석 결과, 이러한 생성물(조성물)의 산가는 0.27이고, 비누화 값은 90이며, pH는 6.23(1% 현탁액)이었다.
<제조실시예 5>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콜레스테릴과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2-헥사데실의 합성: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가와켄파인케미칼가부시키가이샤 제품) 48g, 콜레스테롤 30g 및 2-헥사데칸올(고큐알콜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품) 22g을 50OmL들이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촉매로서 p-톨루엔설폰산을 2g 가한 다음, 질소 기류하에 130℃에서 5시간 동안 탈수 축합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종료후, 반응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1.6g으로 중화시켜 수층을 제거하고, 탈이온수 10Og 속에서 물로 세척한 다음,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하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불용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오일상 생성물 60g을 여액으로서 수득하였다.
분석 결과, 이러한 생성물(조성물)의 산가는 0.04이고, 비누화 값은 86이며, 콜레스테롤 함량은 5.65%(HPLC)이었다.
<제조실시예 6>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콜레스테릴과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2-옥틸도데실의 합성: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가와켄파인케미칼가부시키가이샤 제품) 47g, 콜레스테롤 20g 및 2-옥틸도데칸올(고큐알콜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품) 33g을 500mL들이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촉매로서 p-톨루엔설폰산을 2g 가한 다음, 질소 기류하에 130℃에서 5시간 동안 탈수 축합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종료후, 반응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1.6g으로 중화시켜 수층을 제거하고, 탈이온수 100g 속에서 물로 세척한 다음,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하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불용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오일상 생성물 62g을 여액으로서 수득하였다.
분석 결과, 이러한 생성물(조성물)의 산가는 0.10이고, 비누화 값은 85이었다.
<제조실시예 7>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피토스테릴과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2-헥사데실의 합성: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가와켄파인케미칼가부시키가이샤 제품) 50g, 피토스테롤 20g 및 2-헥사데칸올(고큐알콜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품) 33g을 500mL들이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촉매로서 p-톨루엔설폰산을 2g 가한 다음, 질소 기류하에 130℃에서 5시간 동안 탈수 축합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종료후, 반응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1.6g으로 중화시켜 수층을 제거하고, 탈이온수 100g 속에서 물로 세척한 다음,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하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불용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오일상 생성물 59g을 여액으로서 수득하였다.
분석 결과, 이러한 생성물(조성물)의 산가는 0.08이고, 비누화 값은 92이었다.
<제조실시예 8>
N-라우로일-N-메틸-β-알라닌콜레스테릴과 N-라우로일-N-메틸-β-알라닌-2-헥사데실의 합성:
N-라우로일-N-메틸-β-알라닌(가와켄파인케미칼가부시키가이샤 제품) 48g, 콜레스테롤 20g 및 2-헥사데칸올(고큐알콜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품) 32g을 500mL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촉매로서 p-톨루엔설폰산을 2g 가한 다음, 질소 기류하에 130℃에서 5시간 동안 탈수 축합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종료후, 반응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1.6g으로 중화시켜 수층을 제거하고, 탈이온수 100g 속에서 물로 세척한 다음,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하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불용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오일상 생성물 66g을 여액으로서 수득하였다.
분석 결과, 이러한 생성물(조성물)의 산가는 O.02이고, 비누화 값은 94이며, 콜레스테롤 함량은 4.92%(HPLC)이었다.
<제조실시예 9>
N-라우로일사르코신콜레스테릴과 N-라우로일사르코신-2-헥사데실과의 조성물의 합성:
N-라우로일사르코신(가와켄파인케미칼가부시키가이샤 제품) 47g, 콜레스테롤 20g 및 2-헥사데칸올(고큐알콜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품) 33g을 50OmL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촉매로서 p-톨루엔설폰산을 2g 가한 다음, 질소 기류하에 130℃에서 5시간 동안 탈수 축합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종료후, 반응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1.6g으로 중화시켜 수층을 제거하고, 탈이온수 100g 속에서 물로 세척한 다음,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하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불용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오일상 생성물 59g을 여액으로서 수득하였다.
분석 결과, 이러한 생성물(조성물)의 산가는 0.16이고, 비누화 값은 98이었다.
<제조실시예 10>
N-미리스토일알라닌콜레스테릴과 N-미리스토일알라닌-2-헥사데실의 합성:
N-미리스토일알라닌 48g, 콜레스테롤 20g 및 2-헥사데칸올(고큐알콜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품) 32g을 500mL들이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촉매로서 p-톨루엔설폰산을 2g 가한 다음, 질소 기류하에 130℃에서 5시간 동안 탈수 축합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종료후, 반응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1.6g으로 중화시켜 수층을 제거하고, 탈이온수 100g 속에서 물로 세척한 다음,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하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불용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오일상 생성물 63g을 여액으로서 수득하였다.
분석 결과, 이러한 생성물(조성물)의 산가는 0.04이고, 비누화 값은 94이었다.
<제조실시예 11>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피토스테릴과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베헤닐과의 조성물의 합성: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가와켄파인케미칼가부시키가이샤 제품) 46g, 피토스테롤 15g, 베헤닐알콜(가오가부시키가이샤 제품) 39g을 50OmL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촉매로서 p-톨루엔설폰산을 2g 가한 다음, 질소 기류하에 130℃에서 5시간 동안 탈수 축합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종료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2g으로 중화시켜 탈이온수 300g 속에서 물로 세척한 다음,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하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고체상 생성물을 64g 수득하였다.
분석 결과, 이러한 생성물의 산가는 0.O2이고, 비누화 값은 86이며, 피토스테롤 함량은 2.98%(HPLC)이었다.
<참고예 1>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2-헥실데실의 합성: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 55g과 헥실데칸올 45g을 500mL들이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촉매로서 p-톨루엔설폰산 2g을 가한 다음, 13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후, 반응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1.6g으로 중화시켜 수층을 제거하고, 탈이온수 100g 속에서 물로 세척한 다음,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하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불용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오일상 생성물 70g을 여액으로서 수득하였다.
분석 결과, 이러한 생성물의 산가는 0.02이고, 비누화 값은 103이었다.
IR(순수): 2,940cm-1 (C-H), 1,740cm-1(에스테르), 1,660cm-1(아미드).
<참고예 2>
N-라우로일알라닌-2-옥틸도데실의 합성:
N-라우로일알라닌 10g과 2-옥틸도데칸올 9.5g을 200mL들이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촉매로서 p-톨루엔설폰산 0.5g을 가한 다음, 13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약 20OmL 가하고, 수층을 제거하여 수득한 오일상을 다시 물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 5g을 가하여 추출한 오일상을 잘 건조시키고, 황산마그네슘을 여과 분리하여 액상 생성물을 16g(수율 82%) 수득하였다.
IR(순수): 2,940cm-1 (C-H), 1,730cm-1(에스테르), 1,650cm-1(아미드).
<참고예 3>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콜레스테릴의 합성: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가와켄파인케미칼가부시키가이샤 제품) 94g과 콜레스테롤 104g을 1,0O0mL들이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톨루엔 303g 및 촉매로서 p-톨루엔설폰산을 4g 가한 다음, 130 내지 140℃에서 6시간 동안 탈수 축합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종료후, 반응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2%) 206g으로 중화 반응을 수행하고, 유기층을 탈이온수 속에서 물로 세척하였다. 톨루엔을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고, 수득한 고체상 생성물을 아세톤과 메탄올로 차례로 재결정화하여 콜레스테롤 등의 미반응물 또는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여과 분리하고, 건조시켜 목적물을 88g 수득하였다.
분석 결과, 이러한 생성물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O.O7%(HPLC)이었다.
IR(KR): 2,925cm-1 (C-H), 1,715cm-1(에스테르), 1,650cm-1(아미드).
<참고예 4>
N-미리스토일알라닌콜레스테릴의 합성:
N-미리스토일알라닌 34g과 콜레스테롤 43g을 500mL들이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톨루엔 115g을 가한 다음, 촉매로서 p-톨루엔설폰산을 1.5g 가하고, 질소 기류하에 130℃에서 5시간 동안 탈수 축합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종료후, 반응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2%) 100g으로 중화시켜 탈이온수 속에서 물로 세척하고, 톨루엔을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였다. 또한, 아세톤으로 용해시키고, 재결정화하여 콜레스테롤 등의 미반응물 또는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여과, 건조시켜 분말상 생성물을 24g 수득하였다.
분석 결과, 이러한 생성물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0.03%(HPLC)이었다.
IR(KB): 2,925cm-1 (C-H), 1,745cm-1(에스테르), 1,645cm-1(아미드).
<시험예 1(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및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7)>
참고예 1과 참고예 3에서 수득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오일성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보습성과 끈적거리지 않음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시료는 바셀린을 50%로 희석시켜 각각의 시험에 제공하였다.
보습성과 끈적거리지 않는 것은, 전문 패널 5명에 의한 관능 평가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각각의 시료를 각각의 패널이 손의 살갗에 적정량 도포하고, 다음의 평가 기준에 따라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보습성은 다음 평가 기준에 따르는 각 패널의 평가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평균치가 1.0 내지 2.O인 경우를 보습성이 높음(◎), O.5 내지 1.0 미만인 경우를 보습성이 약간 있음(0), 0 내지 0.5 미만의 경우를 보습성 적음(△), 그리고 -1.0 내지 0 미만의 경우를 보습성 없음(×)이라고 판정하였다.
(보습성 평가 기준)
2: 대단히 촉촉함, 1: 촉촉함, 0: 어느 쪽이나 없음, 그리고 -1: 촉촉하지 않음. 단, 오일성 원료로서 바셀린을 사용하는 경우의 평가점을 O(블랭크)으로 하였다.
끈적거리지 않는 것은, 다음 평가 기준에 따르는 각각의 패널 평가에 대한 평균치를 산출하고, 평균치가 1.0 내지 2.0인 경우를 끈적거리지 않음(◎), 0.5 내지 1.0 미만의 경우를 끈적거림이 적음(○), 0 내지 0.5 미만의 경우를 약간 끈적거림(△), 그리고 -1.0 내지 0 미만의 경우를 끈적거림(×)이라고 판정하였다.
(끈적거리지 않음의 평가 기준)
2: 끈적거리지 않음, 1: 끈적거림이 적음, O: 약간 끈적거림, 그리고 -1: 끈적거림. 단, 오일성 원료로서 바셀린을 사용하는 경우의 평가점을 0(블랭크)으로 하였다.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당해 표로부터 어느 실시예도 비교예에 비하여 보습성 및 끈적거리지 않는 것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참고예 1의 화합물 (중량%) 참고예 3의 화합물 (중량%) 보습성 끈적거림이 없음
비교예 1 100 0 X
실시예 11 97 3
실시예 12 95 5
실시예 13 90 10
실시예 14 80 20
실시예 15 70 30
실시예 16 50 50
실시예 17 40 60
비교예 2 30 70 X
비교예 3 10 90 X
비교예 4 0 100 X
<시험예 2(비교예 5 내지 비교예 9 및 실시예 18 내지 실시예 20)>
제조실시예와 참고예에서 수득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 라놀린 및 N-라우로일글루탐산디(콜레스테릴, 2-옥틸도데실)[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3-275697호에 기재되어 있는 N-장쇄 아실 산성 아미노산 에스테르]의 보습성, 끈적거리지 않음 및 투습성에 관해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오일성 원료는 바셀린으로 50%로 희석하여 각 시험에 제공하였다.
보습성과 끈적거리지 않는 것의 시험은 시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투습성 시험은 직경 7cm의 셀로판에 각각의 시료 25mg을 도포하고 염화칼슘을 투입한 투습 컵(JIS Z­0208)에 부착하였다. 25℃ 및 습도 90%의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의 염화칼슘의 중량 변화로부터 투습성를 구하였다. 수치는 셀로판을 블랭크(100%)로 할 때의 값이다.
(투습성 평가 기준)
◎: 25% 이상, ○: 20% 내지 25% 미만, △: 15% 내지 20% 미만, 그리고 ×: 15% 미만.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로부터 어느 다른 실시예도 비교예에 비하여 보습성, 끈적거리지 않음 및 투습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오일성 원료 조성물 또는 오일성 원료 보습성 끈적거림 없음 투습성
실시예 18 제조실시예 3의 조성물
실시예 19 제조실시예 5의 조성물
실시예 20 제조실시예 6의 조성물
비교예 5 참고예 1의 화합물 X
비교예 6 참고예 2의 화합물 X
비교예 7 참고예 3의 화합물 X
비교예 8 N-라우로일글루탐산디(콜레스테릴, 2-옥틸도데실) X
비교예 9 라놀린 X
<시험예 3(비교예 10 내지 비교예 11 및 실시예 21)>
전문 패널 5명에 의해 오일성 원료의 모발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각각 오일성 원료의 O.5중량% 에탄올 용액을 제조하였다. 동일 인물의 모발을 사용하여 길이와 무게(2g)를 일치시킨 모발 다발을 준비하였다. 또한, 모발 다발은 평가 시험 전에 1중량%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수용액 약 1000mL(40℃)로 세정하고, 40℃의 온수에서 헹구어 빨아낸 다음, 잘 건조시켰다. 이러한 모발 다발을 에탄올 용액에 1분 동안 침지시키고, 다시 잘 건조시켜 모발의 컨디셔닝성(손의 감촉이 좋음)을 평가하였다. 다음 평가 기준에 따르는 각 패널 평가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평균치가 1.0 내지 2.O인 경우를 대단히 양호함(◎), 0.5 내지 1.0 미만의 경우를 양호함(○), 그리고 -1.0 내지 0.5 미만의 경우를 불량(△)이라고 판정하였다.
(평가 기준)
2: 대단히 양호, 1: 양호, 0: 보통, 그리고 -1: 나쁨.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3으로부터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교하여 모발에 대한 컨디셔닝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오일성 원료 조성물 또는 오일성 원료 모발의 컨디셔닝성
실시예 21 제조실시예 10의 조성물
비교예 10 참고예 2의 화합물
비교예 11 참고예 4의 화합물
<시험예 4(비교예 12 내지 비교예 14 및 실시예 22 내지 실시예 23)>
각각 오일성 원료를 함유하는 유액을 표 4에 기재한 처방에 따라 제조하였다. 전문 패널 5명에 의해 이들 유액의 적정량을 손의 살갗에 바르고 끈적거리는 느낌(없는 것이 양호), 퍼짐성이 양호(퍼지는 것이 양호), 친숙함이 양호, 중량감(무거운 느낌으로 불량) 및 촉촉한 느낌(촉촉한 것이 양호)에 관해서 다음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다음 평가 기준에 따르는 각 패널 평가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평균치가 1.0 내지 2.O의 경우를 대단히 양호(◎), O.5 내지 1.O 미만의 경우를 양호(○), 0 내지 0.5 미만의 경우를 보통(△), 그리고 -1.0 내지 0 미만의 경우를 불량(×)이라고 판정하였다.
(평가 기준)
2: 대단히 양호, 1: 양호, O: 보통, 그리고 -1: 나쁘다.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표 4로부터 어느 실시예도 비교예에 비하여 각 평가 항목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2 실시예 23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교예 14
성분 A
유동 파라핀 20 20 20 20 20
제조실시예 1의 조성물 3
제조실시예 2의 조성물 3
참고예 1의 화합물 3
참고예 3의 화합물 3
라우로일글루탐산디(콜레스테릴, 베헤닐, 옥틸도데실) 3
세타놀 1 1 1 1 1
스테아르산 글리세릴 2 2 2 2 2
POE(15)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4 4 4 4 4
부틸파라벤 0.1 0.1 0.1 0.1 0.1
성분B
PEG400 3.1 3.1 3.1 3.1 3.1
1,3-부틸렌 글리콜 1.5 1.5 1.5 1.5 1.5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정제수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관능 평가
끈적거리는 느낌 X X
퍼짐성이 양호 X X
친숙함 X
중량감 X X
촉촉한 느낌 X
<시험예 5(실시예 24 내지 실시예 25 및 비교예 15)>
전문 패널 4명에 의해 모발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각각 유성 원료의 0.5중량% 에탄올 용액을 제조하였다. 모발 다발은 동일 인물의 모발을 사용하여 크기 와 무게(2g)를 일치시킨 것을 준비하였다. 또한, 평가 전에 1중량%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수용액 약 2000mL(40℃)로 세정하고, 4O℃의 온수에서 헹구어 빨아낸 다음, 잘 건조시켰다. 이러한 모발 다발을 위의 용액에 30초 동안 침지시키고, 다시 잘 건조시켜 촉촉한 느낌(촉촉한 것을 양호), 퍼짐성의 양호(퍼지는 것을 양호)에 관해서 다음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다음의 평가 기준에 따르는 각각 패널 평가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평균치가 3.0 내지 4.0인 경우를 대단히 양호(◎), 2.0 내지 3.O 미만의 경우를 양호(○), 1.0 내지 2.0 미만의 경우를 보통(△), 그리고 0 내지 1.O 미만의 경우를 불량(×)이라고 판정하였다.
(평가 기준)
4: 대단히 양호, 3: 양호, 2: 보통, 1: 나쁘다, 그리고 O: 대단히 나쁘다.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다. 표 5로부터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하여 촉촉한 느낌과 퍼짐성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오일성 원료 또는 오일성 원료 조성물 촉촉함 퍼짐성
실시예 24 제조실시예 3
실시예 25 제조실시예 7
비교예 15 라놀린
<시험예 6(비교예 16 내지 비교예 19 및 실시예 26 내지 실시예 28)>
표 6에 기재한 조성물 10g에 이온교환수를 첨가하여 충분하게 교반하면서 W/O형 유화물로 하였다. 이때 W/O형 유화물로서 유화할 수 있는 최대 수첨가량을 가지고 포수력으로 하였다. 방수력(放水力)은 시료 조성물 10g에 대한 최대 수첨가량의 백분율로서 나타내었다.
결과를 표 6에 기재하였다. 표 6으로부터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하여 포수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실시예
16 17 18 19 26 27 28
참고예 1의 화합물 100 65 64.5
참고예 2의 화합물 65
참고예 3의 화합물 20 35 34 33
바셀린 90 99 80
콜레스테롤 3 1 1.5 2
포수력% 480 350 0 50 40 1,000 1,600
실시예 29
표 7에 기재된 조성 크림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이러한 크림은 우수한 보습성이 있으며 사용감(끈적거리는 느낌, 친숙성, 무거운 느낌, 퍼짐성)이 우수하다.
(오일상 성분)
스쿠알란 4
옥탄산 세틸 8
제조실시예 11의 조성물 2
디메틸실록산(10cs) 3
베헤닐 알콜 2
스테아르산 2
모노스테아르산 프로필렌 글리콜 1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릴 2
모노스테아르산 소르비탄 1
부틸파라벤 0.1
비타민 E 적정
(수성 성분)
스테아로일글루탐산나트륨 0.4
부틸렌 글리콜 7
글리세롤 3
크산탄검 1% 수용액 10
메틸파라벤 0.1
정제수 잔여
본 발명의 두 종류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오일성 원료 조성물은 우수한 보습성과 투습성를 겸비하고 사용감(끈적거리는 느낌이 없음, 친숙성의 양호, 중량감이 없음 및 퍼짐성이 양호)이 우수하고 화장품 조성물과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경우, 보습성과 투습성을 부여하여 사용감을 우수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위와 같은 두 종류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에스테르에 추가하여 양친매성 물질을 사용하면 포수성, 나아가서는 보습 성능이 보다 향상되며 또한 유화 안정성도 향상된다.

Claims (10)

  1. 유효 성분으로서 화학식 1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알킬 또는 알케닐 에스테르와 화학식 2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스테롤 에스테르를 96:4 내지 40:60의 비로 함께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 원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6052549791-pat00003
    화학식 2
    Figure 112006052549791-pat00004
    위의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5 내지 21의 측쇄 또는 직쇄 알킬 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그룹이며,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메틸 그룹, 에틸 그룹, 탄소수 3 내지 4의 측쇄 또는 직쇄 알킬 그룹, 또는 하이드록시메틸 또는 하이드록시에틸 그룹이고,
    R4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측쇄 또는 직쇄 알킬 그룹 또는 알케닐 그룹이며,
    R5는 스테롤의 알콜 잔기이고,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알킬 또는 알케닐 에스테르에서의 중성 아미노산이 글리신, 알라닌,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세린, 트레오닌,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 β-알라닌,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카프르산, 사르코신 및 N-메틸-β-알라닌으로부터 선택된 중성 아미노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 원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스테롤 에스테르에서의 중성 아미노산이 글리신, 알라닌,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세린, 트레오닌,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 β-알라닌,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카프르산, 사르코신 및 N-메틸-β-알라닌로부터 선택된 중성 아미노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 원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스테롤 에스테르에서의 스테롤이 콜레스테롤, 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피토스테롤 및 라노스테롤로부터 선택된 스테롤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 원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양친매성 물질을 추가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 원료 조성물.
  6. 제1항에 따르는 조성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양친매성 물질을 추가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9. 제1항에 따르는 조성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양친매성 물질을 추가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000017572A 1999-04-16 2000-04-04 오일성 원료 조성물 KR100667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895099 1999-04-16
JP99-108950 1999-04-16
JP99-229048 1999-08-13
JP22904899A JP3802288B2 (ja) 1999-04-16 1999-08-13 油性原料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687A KR20010014687A (ko) 2001-02-26
KR100667611B1 true KR100667611B1 (ko) 2007-01-15

Family

ID=2644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572A KR100667611B1 (ko) 1999-04-16 2000-04-04 오일성 원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47790B1 (ko)
EP (1) EP1044676B1 (ko)
JP (1) JP3802288B2 (ko)
KR (1) KR100667611B1 (ko)
DE (1) DE6004179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0257B2 (en) 2000-12-12 2011-12-20 L'oreal S.A.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 polymer and at least one film-forming silicone resin and methods of using
ES2320103T3 (es) * 2001-06-26 2009-05-19 L'oreal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un compuesto de baja solubilidad y un derivado lipofilo de acido aminado, utilizaciones y procedimientos correspondientes.
FR2826264B1 (fr) 2001-06-26 2005-03-04 Oreal Solubilisation de derives 1,3,5 triazine par des esters n-acyles d'acide amine
FR2827511B1 (fr) * 2001-07-19 2003-10-17 Oreal Composition autobronzante contenant un ester n-acyle d'acide amine et un agent autobronzant
FR2837700B1 (fr) * 2002-03-28 2004-05-28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contenant l'association d'un tetrahydrocurcuminoide et d'une huile amidee
US6872401B2 (en) 2002-03-28 2005-03-29 L'oreal Cosmetic/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 tetrahydrocurcuminoid and an amide oil
US20050008598A1 (en) 2003-07-11 2005-01-13 Shaoxiang Lu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 structuring agent, silicone powder and swelling agent
FR2847466B1 (fr) * 2002-11-22 2004-12-24 Oreal Composition notamment cosmetique contenant des derives de coumarines et des derives lipophiles d'acide amine
AU2003288109A1 (en) * 2002-11-22 2004-06-18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oumarin derivatives and lipophilic amino acid derivatives
FR2847814B1 (fr) * 2002-12-02 2006-02-17 Oreal Composition notamment cosmetique contenant au moins un para-hydroxybenzoate d'alkyle et au moins un derive lipophile d'acide amine
EP1569597A2 (en) * 2002-12-02 2005-09-07 L'oreal Composition, especially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one alkyl para-hydroxybenzoate and at least one lipophilic amino acid derivative
DE10312000A1 (de) * 2003-03-19 2004-09-30 Cognis Deutschland Gmbh & Co. Kg Ethercarbonsäureester von Sterolen bzw. Stanolen
JP4421831B2 (ja) * 2003-03-27 2010-02-24 株式会社コーセー 油性化粧料
DE102004006144A1 (de) * 2004-02-07 2005-08-25 Merck Patent Gmbh Formulierungshilfsmittel
US7176172B2 (en) * 2004-10-25 2007-02-13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Quaternary ammonium polyol salts as anti-aging actives in personal care compositions
US8124063B2 (en) * 2004-10-25 2012-02-28 Conopco, Inc. Method for moisturizing human skin using dihydroxypropyltri(C1-C3 alkyl) ammonium salts
FR2878157B1 (fr) * 2004-11-23 2007-03-02 Durlin France Sa Composition de vernis a base de solvant a base de solvant d'origine vegetale
DE102005032268A1 (de) * 2005-07-11 2007-01-18 Plt Patent & Licence Trading Ltd. Oligomere von Cholesterol und dessen Derivaten sowie diese enthaltende Arzneimittel
JP4912175B2 (ja) * 2007-02-08 2012-04-11 日本エマルジョン株式会社 油性基剤
JP5666763B2 (ja) * 2007-04-11 2015-02-12 味の素株式会社 油中水型乳化組成物
DE102007038098A1 (de) 2007-08-13 2009-02-19 Merck Patent Gmbh Tyrosinaseinhibitoren
DE102007038097A1 (de) 2007-08-13 2009-02-19 Merck Patent Gmbh Tyrosinaseinhibitoren
US20100322881A1 (en) * 2008-02-06 2010-12-23 Merck Patent Gesellschaft Uvb filter based on ascorbic acid derivatives
JP5550127B2 (ja) * 2008-10-23 2014-07-16 株式会社ミルボン 毛髪化粧料
US8598228B2 (en) 2009-05-08 2013-12-03 Merck Patent Gmbh Cinnamic acid ascorbates
ES2656363T3 (es) 2009-12-15 2018-02-26 L'oréal Composición con una capacidad de hidratación mejorada
JP2016502982A (ja) 2012-12-13 2016-02-01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enkter Haftung タンパク質接着性の活性物質としての3−ヒドロキシ−4−オキソ−4h−ピランまたは3−ヒドロキシ−4−オキソ−1,4−ジヒドロピリジンの誘導体
JP2013056943A (ja) * 2012-12-25 2013-03-28 Ajinomoto Co Inc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6301611B2 (ja) * 2013-08-23 2018-03-28 日本水産株式会社 化粧料のための組成物
FR3036034B1 (fr) 2015-05-13 2018-10-12 L'oreal Composition comprenant des derives d'acide salicylique et un solvant particulier
JP2016000745A (ja) * 2015-08-06 2016-01-07 ロレアル 水和能力が強化された組成物
US20180369095A1 (en) 2015-12-21 2018-12-27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pecific filler combination and a film-forming polymer to increase long-lasting effects
FR3046928B1 (fr) 2016-01-26 2019-08-09 L'oreal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comprenant une merocyanine et une phase huileuse comprenant au moins un amide n-substitue
CN107916093A (zh) * 2016-10-08 2018-04-17 中石化石油工程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乳化剂及其制备方法和油基钻井液
JP6353939B1 (ja) * 2017-02-15 2018-07-04 横関油脂工業株式会社 油状組成物、その製法、油性基剤および皮膚外用剤
JP7187781B2 (ja) * 2017-04-04 2022-12-13 味の素株式会社 保湿剤
TWI823851B (zh) * 2017-05-30 2023-12-01 日商花王股份有限公司 油中水型乳化組成物
FR3090335B1 (fr) 2018-12-20 2021-04-30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monoglycéride, un ester tartrique de monoglycéride et un dérivé d’acide salicylique
FR3097434B1 (fr) 2019-06-19 2022-03-25 Oreal Compositions comprenant au moins un composé de la famille des N-acylamino-amides et au moins un alkylpolyglycosi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3592A2 (en) * 1990-02-23 1991-08-28 Ajinomoto Co., Inc. Oil-soluble N-long chained acyl acidic amino acid ester, mixture thereof and perfuming cosmetics containing the same
EP0538764A1 (en) * 1991-10-21 1993-04-28 Ajinomoto Co., Inc. N-long chain acyl neutral amino acid esters; and cosmetics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908B2 (ko) * 1973-09-11 1979-05-26
JPS5612609B2 (ko) * 1975-05-02 1981-03-23
DE69127007T2 (de) * 1990-02-20 1997-11-13 Fuji Photo Film Co Ltd Polysaccharide enthaltende photographische Materialien
WO1994022994A1 (en) * 1993-03-30 1994-10-13 Ajinomoto Co., Inc. Detergent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3592A2 (en) * 1990-02-23 1991-08-28 Ajinomoto Co., Inc. Oil-soluble N-long chained acyl acidic amino acid ester, mixture thereof and perfuming cosmetics containing the same
EP0538764A1 (en) * 1991-10-21 1993-04-28 Ajinomoto Co., Inc. N-long chain acyl neutral amino acid esters; and cosmetics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02288B2 (ja) 2006-07-26
JP2000355531A (ja) 2000-12-26
EP1044676A2 (en) 2000-10-18
KR20010014687A (ko) 2001-02-26
DE60041796D1 (de) 2009-04-30
US6447790B1 (en) 2002-09-10
EP1044676A3 (en) 2002-01-02
EP1044676B1 (en)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611B1 (ko) 오일성 원료 조성물
JP3609834B2 (ja) 皮膚外用剤
WO2013041388A1 (en) Use of isosorbide derivatives for producing cosmetic preparations
JPH11240828A (ja) 化粧料用油性原料
JP4841075B2 (ja) 美白化粧料
JP2001026518A (ja) 皮膚外用剤組成物
WO1999062463A1 (en) α-HYDROXY FATTY ACID DERIVATIVES AND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CONTAINING THE SAME
JPH11246841A (ja) 紫外線吸収性組成物
JP4912175B2 (ja) 油性基剤
JPH0995432A (ja) 皮膚外用剤
KR100490706B1 (ko) 비이온성계면활성제및이를함유하는조성물,화장품및피부외용제
JPH07258019A (ja) 化粧料
JPH11189522A (ja) 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JP2005239625A (ja) 毛髪化粧料
JP2003026530A (ja) 化粧料及び外用剤
EP0895778A2 (en) Cosmetic composition
JP3235673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3569959B2 (ja) 皮膚外用剤
JP3600434B2 (ja) 透明油状組成物
JP2000191499A (ja) 保湿用皮膚化粧料
JP3140513B2 (ja) 外用医薬基剤および外用医薬組成物
JP3712676B2 (ja) 外用剤組成物
JP4011247B2 (ja) 化粧料
JP2681665B2 (ja) 化粧料
JP3889518B2 (ja) 非イオン性界面活性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