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706B1 - 비이온성계면활성제및이를함유하는조성물,화장품및피부외용제 - Google Patents

비이온성계면활성제및이를함유하는조성물,화장품및피부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706B1
KR100490706B1 KR10-1998-0045637A KR19980045637A KR100490706B1 KR 100490706 B1 KR100490706 B1 KR 100490706B1 KR 19980045637 A KR19980045637 A KR 19980045637A KR 100490706 B1 KR100490706 B1 KR 100490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ter
neutral amino
amino acid
chain acyl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5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473A (ko
Inventor
히로지 이시
마사코 고야마
도모미치 이치카와
도시히코 후나쿠보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37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667Neutral esters, e.g. sorbitan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45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07C233/4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C07C233/4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hydrogen atom or to a carbon atom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45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07C233/4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C07C233/49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n acyclic un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46Esters of carboxylic acids with amino alcohols; Esters of amino carboxylic acids with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8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cheeks, e.g. rou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9/00Preparations for removing hair or for aiding hair removal
    • A61Q9/02Shav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면에서 바람직하고, 또한 이를 배합한 화장품이나 피부 외용제의 관능면에서도 만족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글리세린 중합도가 4 이상인 폴리글리세린과 탄소수 6 내지 22의 아실 그룹을 갖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 또는 이를 1종 이상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Description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화장품 및 피부 외용제
본 발명은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글리세린 중합도가 4 이상인 폴리글리세린 1 분자에 적어도 1개 이상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분자가 에스테르 결합하고 있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서 1종 이상 함유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이러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1종 이상 배합한 화장품 및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관계되는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는 이의 구조식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비이온성 물질이고, 또한, 계면활성작용(유화 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종이다.
종래, 화장품, 피부 외용제 등의 유화 제품 등을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서는, 오래 전에는 비누 유화법에서 사용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일반적이었지만, 오늘날에는 에틸렌 옥사이드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범용되어 왔다. 그러나, 에틸렌 옥사이드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민감한 피부에 대한 피부 자극 등의 점에서 안전성이 문제가 되고 있고, 소비자의 안전성에의 관심이 높아지게 됨에 따라, 에틸렌 옥사이드계가 아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요망되고 있고, 특히 천연계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소비자에게도 바람직한 경향으로 되어 있다.
저자극성 등의 안전성에서 우수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글리세린과 지방산의 에스테르화물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지방산은, 주지한 바와 같이, 천연 물질이고, 또한, 폴리글리세린은 천연 물질인 글리세린을 축합한 것이기 때문에,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에틸렌 옥사이드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안전성상 바람직하고, 또한 공업적으로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유액, 크림 등의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에 사용하였을 때, 끈적한 느낌이 생기는 등, 관능적으로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또한, 유화제로서 사용한 경우, 수득되는 유화물의 유화 안정성이 나쁘다고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천연계 계면활성제로서, 아미노산의 지방산 아실화물인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이 저자극성으로, 안정성이 높은 계면활성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화제 등으로서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이러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이 도입된 화합물이 몇몇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제(소)54-62991호에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의 알콜 에스테르가 향장품 분야의 계면활성제로서 적합하다고 개시되어 있고, 알콜로서, 다가 알콜, 폴리옥시알킬렌 다가 알콜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보의 실시예에 있는 모노(N-라우로일-N-메틸-β-알라닌)글리세린 에스테르, 디(N-라우로일-N-메틸-β-알라닌)글리세린 에스테르 등은 위에 서술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의 글리세린 에스테르이며, 안전면에서 바람직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 모노글리세린 및 디글리세린 에스테르는 안전성은 우수하지만, 이들을 화장품이나 피부 외용제에 배합한 경우, 사용시의 흡수성 양호, 매끄러움, 피부 적응성 양호 및 상쾌감, 및 사용 후의 끈적거림 없음, 및 상쾌감이라는 관능면에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수득되지 않았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배경하에서, 유화 안정성이 우수하고, 안전성면에서 바람직하고, 또한 이를 배합한 화장품이나 피부 외용제의 관능면에서도 만족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것보다 안전성이 높고, 유화 안정성이 우수하고, 동시에 사용감에서도 우수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 등은, 이러한 실정에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중합도 4 이상의 폴리글리세린과 탄소수 6 내지 22의 장쇄 아실 그룹을 갖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를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에 유화제 등으로서 사용한 경우, 우수한 사용감이 발휘되는 것을 발견하여, 이러한 지견에 따라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글리세린 중합도가 4 이상인 폴리글리세린과 탄소수 6 내지 22의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 그룹을 갖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서 1종 이상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이러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1종 이상 배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및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복수의 X 중의 1개 이상은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잔기이고, 나머지 X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잔기이고,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의 장쇄 아실 그룹으로서는, 탄소수 6 내지 22의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그룹이고, 바람직하게는,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리놀산, 리놀레산, 올레산, 이소스테아르산, 2-에틸헥산산, 야자유 지방산, 우지 지방산, 경화 우지유 지방산 등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는 아실 그룹을 들 수 있다.
또한, 중성 아미노산(잔기)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세린, 트레오닌, 프롤린, β-알라닌, 아미노낙산, 사르코신, N-메틸-β-알라닌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글리신, 알라닌, β-알라닌, 아미노낙산, 사르코신 및 N-메틸-β-알라닌이 바람직하다.
폴리글리세린으로서는, 글리세린의 중합도가 4 이상인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인 것이다. 글리세린 중합도가 3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관능이 수득되지 않는다.
이들 폴리글리세린에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도입되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은 폴리글리세린 1분자에 대하여 1분자일 수 있고, 그 이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테트라글리세린은 1분자내에 에스테르화가 가능한 수산기를 6개 가지지만, 이들의 일부가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으로 에스테르화되어 있어도 좋고, 모두가 에스테르화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그 사용 목적에 따라서, 폴리글리세린의 중합도나 이에 대한 아실 중성 아미노산의 결합수를 적절하게 바꾸는 것으로 HLB 값(친수성-친유성 균형치: hydrophile-lipophile balance)이 다른 각종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합성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과 폴리글리세린을 상압 또는 감압하의 가열 탈수 축합 에스테르화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후술되는 실시예 22 및 기타 참조). 또한, 공비 탈수 축합 반응이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한 것도 가능하다(후술되는 실시예 1 및 기타 참조) 게다가 또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또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글리세린 에스테르와 글리시돌 또는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을 부가시켜 본 발명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를 제조할 수도 있다. 수득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의 정제법으로서는, 수증기 탈취, 활성탄 등의 흡착제에 의한 탈색, 물 또는 무기 염수에서의 세정에 의한 탈염, 또한 헥산 등의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미반응된 폴리글리세린이나 아실아미노산 등의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이러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의 합성에 사용하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이나 이의 글리세린 에스테르는 반드시 단일 화합물일 필요는 없고, 아실 그룹이나 중성 아미노산의 종류가 다른 혼합물이라도 좋다. 이 경우, 수득되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는 상기 화학식 1에서 복수의 X가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잔기일 경우, 이들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이 서로 상이하게 된다. 또한, 수득되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는 단일의 분자 종류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분자 종류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러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의 혼합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조성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은, 예를 들면 염기성 촉매하에서 장쇄 지방산 할라이드와 아미노산을 반응시키는, 소위 쇼텐·바우만 반응(일본 특허공보 제(소)51-38681호 등 참조)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폴리글리세린은, 예를 들면 글리세린의 탈수 축합 반응, 글리시돌,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등을 사용한 글리세린 유사 화합물로부터의 중합 반응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폴리글리세린의 예로서는, 「폴리글리세린 #310」(테트라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500」 (헥사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750」(데카글리세린)(이상, 모두, 사카모토(板本) 약품공업(주)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득되는 폴리글리세린은, 통상 단일 조성의 것은 수득되지지 않고, 예를 들면 테트라글리세린의 경우, 트리글리세린, 펜타글리세린 및 기타의 폴리글리세린, 및 미반응 원료의 글리세린을 함유하는 것이 있다. 소기의 폴리글리세린은, 그 이외의 폴리글리세린이나 미반응 글리세린을 정제 제거한 다음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과의 반응에 사용하여도 좋고, 지장이 없으면 그대로 사용하여도 좋다.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과 폴리글리세린을 사용하여, 먼저 설명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는, 원료인 폴리글리세린을 특히 정제하지 않은 경우, 통상, 소기의 중합도와는 상이한 중합도의 폴리글리세린의 에스테르화 화합물이 함유된 혼합물 형태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장품이나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데에는, 단일 중합도의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일 필요는 없고, 이러한 폴리글리세린 부위의 중합도가 상이한 에스테르화 화합물이 함유된 혼합물의 경우라도, 본 발명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 작용을 나타내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이러한 혼합물도, 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조성물에 포함된다. 또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의 모노글리세린 에스테르, 디글리세린 에스테르 또는 트리글리세린 에스테르도, 본 발명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루탐산 에스테르에, 비이온성 계면활성 작용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로 함유되어 있어도 상관없으며, 이러한 혼합물도 또한, 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조성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는, 이를 1종 이상 세안 크림, 세안 폼, 클렌징 크림, 마사지 크림, 콜드 크림, 모이스쳐 크림, 유액, 화장수, 핸드 크림, 팩, 남성피부용 화장품, 유아용 피부보호제, 파운데이션, 립스틱, 프레스 파우더, 아이샤도우, 코즈메틱, 헤어 리퀴드, 세트 로션, 퍼머넌트 웨이브액, 헤어 크림, 헤어 로션, 헤어 무스, 샴푸, 헤어 린스, 헤어 컨디셔너, 바디 샴푸, 고형 세제, 액상 세제, 제한제(制汗劑), 애프터쉐이빙 크림, 일소(日燒)방지용 크림, 일소방지용 오일, 양모제(養毛劑), 육모제(育毛劑), 욕용제(溶用劑), 외용 의약 조성물 등의 화장품이나 피부 외용제의 제조에 있어서, 유화제(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는, 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형태라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화장품 및 피부 외용제의 제형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유화계, 용액계, 가용화계, 분말분산계, 물-오일 2층계, 물-오일-분말 3층계 등, 어떠한 제형이라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화장품 및 피부 외용제에는, 유상 원료로서,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및 이로부터 수득되는 고급 알롤류, 스쿠알란, 피마자유 및 이의 유도체, 밀랍, 액상 및 정제 라놀린을 포함하는 라놀린류 및 이의 유도체, 콜레스테롤 및 이의 유도체, 마카데미아너츠 기름, 호호바 기름, 카르나바 왁스, 참기름, 카카오 유지, 팜유, 밍크 기름, 목랍, 칸델릴라 왁스, 고래 왁스 등의 동식물 유래의 유상 원료, 파라핀, 미세결정성 왁스, 유동 파라핀, 바셀린, 세레신 등 석유 및 광물 유래의 유상 원료를 비롯하여, 메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옥시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 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지방산 변성 폴리실록산, 지방족 알콜 변성 폴리실록산, 아미노산 변성 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 중합체 등의 실리콘류, 수지산, 에스테르, 케톤류 등, 유성 성분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것이면, 본 발명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 또는 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은 범위에서 임의로 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및 피부 외용제에는, 본 발명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 또는 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은 범위에서, 다른 계면활성제로서, N-장쇄 아실 산성 아미노산염이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염 등의 N-장쇄 아실 아미노산염, N-장쇄 지방산 아실-N-메틸타우린염, 알킬 설페이트 및 이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설페이트, 지방산의 금속염 및 약염기염, 설포호박산계 계면활성제, 알킬 포스페이트 및 이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알킬 에테르 카복실산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에테르 및 이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에테르형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에스테르 및 이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소르비탄 에스테르 및 이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에테르 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에스테르, 지방산 폴리 글리세린 에스테르, N-장쇄 아실펩티드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 소르비탄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알킬글루코사이드류, 경화 피마자유 피로글루탐산 디에스테르 및 이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및 지방산 알카놀아미드 등의 질소 함유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의 지방족 아민염, 이들의 4급 암모늄염, 벤잘코늄염 등의 방향족 4급 암모늄염, 지방산 아실알기닌 에스테르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카복시베타인 등의 베타인형 계면활성제, 아미노카복실산형 계면활성제, 이미다졸린형 계면활성제 등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의 각종 계면활성제도, 본 발명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 또는 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조성물에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및 피부 외용제에는, 수상 성분으로서, 글리신, 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알기닌, 글루탐산, 아스파라긴산, 류신, 발린 등의 아미노산류;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이소프렌 글리콜 등의 다가 알콜; 폴리글루탐산, 폴리아스파라긴산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노산 및 이의 염, 폴리에틸렌 글리콜, 아라비아 고무류, 알긴산염, 크산탄검, 히알론산, 히알론산염, 키틴, 키토산, 수용성 키틴, 카복시비닐 중합체,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염화디메틸메틸렌 피페리듐, 폴리비닐피롤리돈 유도체 4급 암모늄, 양이온화 단백질, 콜라겐 분해물 및 이의 유도체, 아실화 단백질, 폴리글리세린,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 등의 수용성 고분자; 만니톨 등의 당알콜 및 이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및 에탄올, 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및 피부 외용제에 배합되는 첨가제 및 약제로서는, 통상 화장품 및 피부 외용제에 배합되는 것 모두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파라벤 유도체 등의 방부제, 향료, 색소, 점도 조정제, 펄화제, 산화방지제, 살균제, 소염제, 진통제, 항진균제, 각질 연화 박리제, 피부착색제, 호르몬제, 자외선 흡수제, 육모제, 미백제, 발한방지제, 땀냄새 방지제, 비타민제, pH 조정제, 생약 등의 약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상기의 성분을 적절하게 배합하여 제조할 화장품 및 피부 외용제에 배합해야 할 본 발명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 또는 이를 유효성분으로서 1종 이상 함유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사용량은, 제품 형태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통상 0.01 내지 100중량%(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화장 리무버로서, 다른 성분을 추가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중량%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모노(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데카글리세린 에스테르(MMMA-10)의 합성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가와겐(川硏)파인케미칼(주) 제품) 313g과 메탄올 256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촉매로서 p-톨루엔설폰산을 2.85g 가하여, 가열 환류하에 5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이 반응액의 산가(酸價)가 10 이하인 것을 확인한 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1.2g으로 중화시킨 후, 메탄올을 감압 증류 제거한다. 잔사를 물로 세정하고, 건조시켜 N-미리스토일-N-메틸-알라닌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한다. 이 N-미리스토일-N-메틸-메탄-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 163g과 데카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379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수산화나트륨 1.1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페이스트상 내지 오일상 생성물 460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02, 비누화가 52.7(이론값 53.2) 및 수산기가 582(이론값 585)의 화합물이었다.
본 화합물에 대하여,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측정을 수행한 결과, 파수 3350cm-1(수산기), 2900cm-1(C-H), 1730cm-1(에스테르), 1620cm-1(아미드) 및 1150cm-1(에테르)로 특성 흡수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 펜타(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데카글리세린 에스테르(PMMA-10)의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고, 이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 409g과 데카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89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수산화나트륨 1.2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페이스트상 내지 오일상 생성물 503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09, 비누화가 127.5(이론값 125.5) 및 수산기가 163(이론값 175)의 화합물이었다.
본 화합물에 대하여,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측정을 수행한 결과, 파수 3400cm-1(수산기), 2900cm-1(C-H), 1730cm-1(에스테르), 1630cm-1(아미드) 및 1120cm-1(에테르)로 특성 흡수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트리(N-혼합 지방산 아실알라닌)데카글리세린 에스테르(TCAA-10)의 합성
N-혼합 지방산 아실알라닌(아실 그룹의 조성(중량비): 카프릴 그룹 11.3%, 카프로일 그룹 9.4%, 라우로일 그룹 58.7%, 미리스토일 그룹 18.5%, 팔미토일 그룹 2.1%) 268g과 메탄올 256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촉매로서 p-톨루엔설폰산을 2.62g 가하여, 가열 환류하에 5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이 반응액의 산가가 10 이하인 것을 확인한 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1.1g으로 중화시킨 후, 메탄올을 감압 증류 제거한다. 잔사를 물로 세정하고 건조시켜 N-혼합 지방산 아실알라닌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한다. 이 N-혼합 지방산 아실알라닌메틸 에스테르 255g와 데카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227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수산화나트륨 1.0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페이스트상 내지 오일상 생성물 411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26, 비누화가 114.2(이론값 110.8) 및 수산기가 327(이론값 332)의 화합물이었다.
실시예 4: 모노(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헥사글리세린 에스테르(MMMA-6)의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고, 이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 164g과 헥사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231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수산화나트륨 0.79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페이스트상 내지 오일상 생성물 321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07, 비누화가 73.6(이론값 74.0) 및 수산기가 501(이론값 518)의 화합물이었다.
본 화합물에 대하여,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측정을 수행한 결과, 파수 3350cm-1(수산기), 2900cm-1(C-H), 1730cm-1(에스테르), 1630cm-1(아미드) 및 1100cm-1(에테르)로 특성 흡수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디(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헥사글리세린 에스테르(DMMA-6)의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고, 이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 327g과 헥사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231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수산화나트륨 1.1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오일상 생성물 487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01, 비누화가 107,2(이론값 106.5) 및 수산기가 315(이론값 319)의 화합물이었다.
실시예 6: 트리(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헥사글리세린 에스테르(TMMA-6)의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고, 이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 293g과 헥사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38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수산화나트륨 0.86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오일상 생성물 366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11, 비누화가 126.4(이론값 124.7) 및 수산기가 182(이론값 207)의 화합물이었다.
본 화합물에 대하여,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측정을 수행한 결과, 파수 3375cm-1(수산기), 2900cm-1(C-H), 1730cm-1(에스테르), 1630cm-1(아미드) 및 1120cm-1(에테르)로 특성 흡수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화합물에 대하여 ESI 질량 스펙트럼(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um) 측정을 수행하여, 1350(M+H)+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7: 트리(N-야자유 지방산 알라닌)헥사글리세린 에스테르(TCAA-6)의 합성
N-야자유 지방산 아실알라닌 270g과 메탄올 256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촉매로서 p-톨루엔설폰산 2.63g을 가하고, 가열 환류하에 5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이 반응액의 산가가 10 이하인 것을 확인한 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1.1g으로 중화시킨 후, 메탄올을 감압 증류 제거한다. 잔사를 물로 세정하고 건조시켜, N-야자유 지방산 알라닌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한다. 이 N-야자유 지방산 알라닌메틸 에스테르 256g과 헥사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39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수산화나트륨 0.96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오일상 생성물 322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18, 비누화가 141.5(이론값 137.6) 및 수산기가 230(이론값 229)의 화합물이었다.
본 화합물에 대하여,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측정을 수행한 결과, 파수 3300cm-1(수산기), 2900cm-1(C-H), 1740cm-1(에스테르), 1640cm-1(아미드) 및 1120cm-1(에테르)로 특성 흡수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8: 트리(N-야자유 지방산 글리신)헥사글리세린 에스테르(TCGA-6)의 합성
N-야자유 지방산 글리신 256g와 메탄올 256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촉매로서 p-톨루엔설폰산을 2.56g을 가하여, 가열 환류하에 5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이 반응액의 산가가 10 이하인 것을 확인한 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1.1g으로 중화시킨 후, 메탄올을 감압 증류 제거한다. 잔사를 물로 세정하고 건조시켜, N-야자유 지방산 글리신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한다. 이 N-야자유 지방산 글리신메틸 에스테르 322g과 헥사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84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수산화나트륨 1.0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페이스트상 생성물 454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81, 비누화가 141.8(이론값 142,5) 및 수산기가 252(이론값 237)의 화합물이었다.
실시예 9: 테트라(N-야자유 지방산 글리신)헥사글리세린 에스테르(TTCGA-6)의 합성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N-야자유 지방산 글리신메틸 에스테르를 수록하고, 이 N-야자유 지방산 글리신메틸 에스테르 322g과 헥사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38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수산화나트륨 0.76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수행하여, 페이스트상 생성물 388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67, 비누화가 153.2(이론값 158.0) 및 수산기가 186(이론값 158)의 화합물이었다.
실시예 10: 테트라(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데카글리세린 에스테르(TTMMA-10)의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고, 이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 326g과 데카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89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수산화나트륨 1.0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페이스트상 내지 오일상 생성물 453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13, 비누화가 115.8(이론값 115.6) 및 수산기가 232(이론값 231)의 화합물이었다.
실시예 11: 디(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테트라글리세린 에스테르(DMMA-4)의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고, 이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 196g과 테트라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94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수산화나트륨 0.7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페이스트상 내지 오일상 생성물 228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06, 비누화가 122.2(이론값 123.9) 및 수산기가 256(이론값 247)의 화합물이었다.
또한, 본 화합물에 대하여 ESI 질량 스펙트럼 측정을 수행하여, 906(M+H)+를 확인하였다.
본 화합물에 대하여,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측정을 수행한 결과, 파수 3400cm-1(수산기), 2900cm-1(C-H), 1745cm-1(에스테르), 1640cm-1(아미드) 및 1130cm-1(에테르)로 특성 흡수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펜타(N-야자유 지방산 알라닌)데카글리세린 에스테르(PCAA-10)의 합성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N-야자유 지방산 알라닌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고, 이 N-야자유 지방산 알라닌메틸 에스테르 284g과 데카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51g을 가하고, 또한 수산화나트륨 0.87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페이스트상 내지 오일상 생성물 369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12, 비누화가 137.3(이론값 138.5) 및 수산기가 225(이론값 193)의 화합물이었다.
본 화합물에 대하여,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측정을 수행한 결과, 파수 3300cm-1(수산기), 2925cm-1(C-H), 1740cm-1(에스테르), 1650cm-1(아미드) 및 1120cm-1(에테르)로 특성 흡수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3: 테트라(N-야자유 지방산 알라닌)헥사글리세린 에스테르(TTCAA-6)의 합성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N-야자유 지방산 알라닌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고, 이 N-야자유 지방산 알라닌메틸 에스테르 339g과 헥사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38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수산화나트륨 0.95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오일상 생성물 418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14, 비누화가 154.1(이론값 152.0) 및 수산기가 175(152)의 화합물이었다.
실시예 14: 디(N-야자유 지방산 알라닌)테트라글리세린 에스테르(DCAA-4)의 합성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N-야자유 지방산 알라닌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고, 이 N-야자유 지방산 알라닌메틸 에스테르 226g과 테트라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25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수산화나트륨 0.95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오일상 생성물 209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17, 비누화가 138.0(이론값 136.6) 및 수산기가 290(이론값 273)의 화합물이었다.
본 화합물에 대하여,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측정을 수행한 결과, 파수 3300cm-1(수산기), 2925cm-1(C-H), 1745cm-1(에스테르) , 1650cm-1(아미드) 및 1120cm-1(에테르)로 특성 흡수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5: 트리(N-야자유 지방산 알라닌)테트라글리세린 에스테르(TCAA-4)의 합성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N-야자유 지방산 알라닌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고, 이 N-야자유 지방산 알라닌메틸 에스테르 255g과 테트라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94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수산화나트륨 0.94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오일상 생성물 301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17, 비누화가 159.5(이론값 156.6) 및 수산기가 179(이론값 156)의 화합물이었다.
실시예 16: 트리(N-야자유 지방산 글리신)테트라글리세린 에스테르(TCGA-4)의 합성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N-야자유 지방산 글리신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고, 이 N-야자유 지방산 글리신메틸 에스테르 243g과 테트라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94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수산화나트륨 0.84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수행하여, 페이스트상 생성물 298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33, 비누화가 162.1(이론값 163.0) 및 수산기가 185(이론값 163)의 화합물이었다.
실시예 17: 디(N-야자유 지방산 글리신)테트라글리세린 에스테르(DCGA-4)의 합성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N-야자유 지방산 글리신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고, 이 N-야자유 지방산 글리신메틸 에스테르 270g과 테트라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57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또한 수산화나트륨 0.85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페이스트상 생성물 371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20, 비누화가 139.2(이론값 141.0) 및 수산기가 301(이론값 283)의 화합물이었다.
본 화합물에 대하여,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측정을 수행한 결과, 파수 3300cm-1(수산기), 2925cm-1(C-H), 1740cm-1(에스테르), 1640cm-1(아미드) 및 1150cm-1(에테르)로 특성 흡수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8: 펜타(N-야자유 지방산 글리신)데카글리세린 에스테르(PCGA-10)의 합성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N-야자유 지방산 글리신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고, 이 N-야자유 지방산 글리신메틸 에스테르 270g과 데카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51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수산화나트륨 0.84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페이스트상 생성물 323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36, 비누화가 143.4(이론값 143.4) 및 수산기가 226(이론값 200)의 화합물이었다.
실시예 19: 헥사(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데카글리세린 에스테르(HMMA-10)의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고, 이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 393g과 데카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51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수산화나트륨 1.08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오일상 생성물 455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07, 비누화가 131.2(이론값 132.9) 및 수산기가 146(이론값 132)의 화합물이었다.
실시예 20: 테트라(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헥사글리세린 에스테르(TTMMA-6)의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고, 이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 392g과 헥사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38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수산화나트륨 1.06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오일상 생성물 479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09, 비누화가 134.6(이론값 136.4) 및 수산기가 149(이론값 136)의 화합물이었다.
실시예 21: 트리(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테트라글리세린 에스테르(TMMA-4)의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고, 이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 294g과 테트라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94g을 1000mL 플라스크에 가하고, 수산화나트륨 1.08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오일상 생성물 340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10, 비누화가 138.3(이론값 140.1) 및 수산기가 142(이론값 140)의 화합물이었다.
또한, 본 화합물에 대하여 ESI 질량 스펙트럼 측정을 수행하여, 1201(M+H)+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2: 모노(N-야자유 지방산 사르코신)데카글리세린 에스테르(MCSA-10)의 합성
1000mL 플라스크에 N-야자유 지방산 사르코신 81g과 데카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227g, 또한 촉매로서 황산을 1.54g 가하고, 질소 기류하 150℃에서, 8시간 동안 탈수 축합 반응을 수행한다.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2.55g으로 중화하고,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오일상 생성물 260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1.55, 비누화가 53.8(이론값 55.4) 및 수산기가 601(이론값 610)의 화합물이었다.
실시예 23: 모노(N-야자유 지방산 사르코신)테트라글리세린 에스테르(MCSA-4)의 합성
1000mL 플라스크에 N-야자유 지방산 사르코신 135g과 테트라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57g, 또한 촉매로서 황산 1.46g을 가하고, 질소 기류하 150℃에서, 8시간 동안 탈수 축합 반응을 수행한다.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2.43g으로 중화하고,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오일상 생성물 237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1.05, 비누화가 100.2(이론값 98.9) 및 수산기가 479(이론값 494)의 화합물이었다.
실시예 24: 트리(N-야자유 지방산 사르코신)데카글리세린 에스테르(TCSA-10)의 합성
1000mL 플라스크에 N-야자유 지방산 사르코신 161g과 데카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51g, 또한 촉매로서 황산 1.56g을 가하고, 질소 기류하 150℃에서, 8시간 동안 탈수 축합 반응을 수행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2.61g으로 중화하고,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오일상 생성물 258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60, 비누화가 109.2(이론값 110.9) 및 수산기가 320(이론값 332)의 화합물이었다.
실시예 25: 모노(N-야자유 지방산 알라닌)헥사글리세린 에스테르(MCAA-6)의 합성
1000mL 플라스크에 N-야자유 지방산 알라닌 135g과 헥사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231g, 또한 촉매로서 황산 1.83g을 가하고, 질소 기류하 150℃에서, 8시간 동안 탈수 축합 반응을 수행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2.98g으로 중화하고,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오일상 생성물 311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1.27, 비누화가 77.2(이론값 78.4) 및 수산기가 533(이론값 549)의 화합물이었다.
본 화합물에 대하여,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측정을 수행한 결과, 파수 3300cm-1(수산기), 2900cm-1(C-H), 1730cm-1(에스테르), 1640cm-1(아미드) 및 1100cm-1(에테르)로 특성 흡수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6: 모노(N-라우로일-N-메틸-β-알라닌)테트라글리세린 에스테르(MLMA-4)의 합성
1000mL 플라스크에 N-라우로일-N-메틸-β-알라닌 142g과 테트라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57g, 또한 촉매로서 황산을 1.49g 가하고, 질소 기류하 150℃에서, 8시간 동안 탈수 축합 반응을 수행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2.44g으로 중화하고,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오일상 생성물 235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1.07, 비누화가 97.2(이론값 96.5) 및 수산기가 479(이론값 482)의 화합물이었다.
실시예 27: 디(N-라우로일-β-알라닌)테트라글리세린 에스테르(DLBA-4)의 합성
1000mL 플라스크에 N-라우로일알라닌 271g과 테트라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57g, 또한 촉매로서 황산 1.46g을 가하고, 질소 기류하 150℃에서, 8시간 동안 탈수 축합 반응을 수행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2.39g으로 중화하고,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오일상 생성물 377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97, 비누화가 137.1(이론값 136.6) 및 수산기가 288(이론값 273)의 화합물이었다.
실시예 28: 모노(N-라우로일-γ-아미노낙산)테트라글리세린 에스테르(MLγ A-4)의 합성
1000mL 플라스크에 N-라우로일-γ-아미노낙산 142g과 테트라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57g, 또한 촉매로서 황산 1.49g을 가하고, 질소 기류하 150℃에서, 8시간 동안 탈수 축합 반응을 수행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2.45g으로 중화하고,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오일상 생성물 299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1.04, 비누화가 77.1(이론값 76.9) 및 수산기가 388(이론값 384)의 화합물이었다.
실시예 29: 모노(N-스테아로일알라닌)헥사글리세린 에스테르(MSAA-6)의 합성
1000mL 플라스크에 N-스테아로일알라닌 106g과 헥사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38g, 또한 촉매로서 황산 1.22g을 가하고, 질소 기류하 150℃에서, 8시간 동안 탈수 축합 반응을 수행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2.00g으로 중화하고,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오일상 생성물 194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97, 비누화가 72.7(이론값 70.1) 및 수산기가 477(이론값 491)의 화합물이었다.
실시예 30: 디(N-야자유 지방산 알라닌)테트라글리세린 에스테르(DCAA-4)의 합성
1000mL 플라스크에 N-야자유 지방산 알라닌(야자유 지방산을 약 10% 포함) 123g과 테트라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66g, 또한 촉매로서 황산 1.83g을 가하고, 질소 기류하 150℃에서, 8시간 동안 탈수 축합 반응을 수행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2.98g으로 중화하고,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오일상 생성물 140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16.7의 화합물이었다.
또한, 상기 생성물 140g에 노르말 헥산 750g을 가하고, 50℃ 부근까지 교반하면서 승온시킨 후, 정치 분층시켜, 헥산층을 제거한다. DCAA-4층 중의 헥산을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으로 제거한 후, 오일상 생성물 103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6.0의 화합물이었다.
참고예 1: 모노(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디글리세린 에스테르(MMMA-2)의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를 수득하고, 이 N-미리스토일-N-메틸-β-알라닌메틸 에스테르 327g과 디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주) 제품) 166g을 가하고, 또한 수산화나트륨 1.00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 후, 150℃ 및 60mmHg 이하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오일상 생성물 447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01, 비누화가 119.1(이론값 121.5) 및 수산기가 383(이론값 364)의 화합물이었다.
참고예 2: 모노(N-라우로일)알라닌디글리세린 에스테르(MLAA-2)의 합성
1000mL 플라스크에 N-라우로일알라닌 162g과 디글리세린(사카모토 약품공업 (주) 제품) 99g, 또한 촉매로서 황산을 1.30g 가하고, 질소 기류하 150℃에서, 8시간 동안 탈수 축합 반응을 수행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 2.14g으로 중화하고, 60mmHg 및 95 내지 105℃의 조건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오일상 생성물 221g을 수득한다.
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가 0.82, 비누화가 132.2(이론값 134.1) 및 수산기가 533(이론값 536)의 화합물이었다.
이하, 배합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 또는 이를 유효 성분으로서 1종 이상 함유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실시예 31 내지 46 및 비교예 1 및 2(유액)
실시예 또는 참고예에 의해 수득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 또는 이를 유효 성분으로서 1종 이상 함유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하기 표 1의 (a)에 나타내는 조성의 유액을 제조한다. 이들 유액의 관능 평가를 패널리스트 5명에 의해 수행한다. 표 1의 (b)에 평가 기준을, 그리고 표 1의 (c)에 평가 결과의 산출법을 나타내었다.
평가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표 1]
[표 2]
실시예 47 내지 48 및 비교예 3 내지 8(유액)
실시예 14 및 25 및 비교예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지방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는 조성의 유액을 제조한다. 이들 유액의 제조법은, 성분 A와 성분 B를 각각 70℃로 가온하고, 성분 A에 성분 B를 서서히 가하여 균질혼합기로 유화시킨다.
이들의 유액을 다음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유화 안정성을 평가한다. 즉, 제조 직후의 각 유액을 40℃의 항온실에 방치하고, 1개월 후에 유액의 상태를 관찰한다. 유화 안정성의 판정 기준은 40℃에서 1개월 동안 안정하면 ○, 1개월에 분리되어 있으면 ×로 한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실시예 49(화장수)
하기 표 4에 나타내는 조성의 화장수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즉, 성분 1 및 2를 각각 용해시켜, 성분 1에 성분 2를 혼합시킨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화장수는 흡수성 양호, 피부 적응성 양호, 및 상쾌감에서 우수한 관능을 나타낸다.
[표 4]
실시예 50(에몰리언트 로션)
하기 표 5에 나타내는 조성의 에몰리언트 로션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성분 1 및 3을 각각 용해시키고, 성분 1에 성분 3을 가하여 혼합 유화시킨다. 여기에 성분 2를 가하여, 균질혼합기로 유화시켜 제품을 수득한다. 이 에몰리언트 로션은 흡수성 양호, 피부 적응성 양호 및 매끄러움에서 우수한 관능을 나타낸다.
[표 5]
실시예 51(W/O형 유액)
하기 표 6에 나타내는 조성의 W/O형 유액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이 W/O형 유액은 흡수성 양호, 피부 적응성 양호 및 끈적거림이 없는 우수한 관능을 나타낸다.
[표 6]
실시예 52(O/W형 크림)
하기 표 7에 나타내는 조성의 O/W형 크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유상을 80℃, 그리고 수상을 50℃까지 가온하고, 유상을 교반하면서 수상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시킨다. 이 O/W형 크림은 흡수성 양호, 적응성 양호 및 끈적거림이 없는 우수한 관능을 나타낸다.
[표 7]
실시예 53(유액)
하기 표 8에 나타내는 조성의 유액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우선, 성분 1, 2 및 3을 각각 60℃로 가온하고, 성분 1을 교반하면서 이에 성분 2를 서서히 첨가한다. 다음에, 성분 3을 서서히 첨가하고 30℃로 냉각한다. 이 유액은 흡수성 양호 및 적응성 양호로 우수한 관능을 나타낸다.
[표 8]
실시예 54(에몰리언트 크림)
하기 표 9에 나타내는 조성의 에몰리언트 크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우선, 성분 2와 3을 각각 50℃로 가열하고, 성분 3을 성분 2에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물을 수득한다. 성분 1의 70℃ 가열 용해물에 앞서의 혼합물을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또한, 성분 4를 70℃로 가열한 것을 상기 분산액 중에 충분히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균질혼합기로 유화하여 제품을 수득한다. 이 에몰리언트 크림은 흡수성 양호, 적응성 양호 및 매끄러움에서 우수한 관능을 나타낸다.
[표 9]
실시예 55(자외선 방지 에센스)
하기 표 10에 나타내는 조성의 자외선 방지 에센스를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정제수에 보습제, 트리에탄올아민을 70℃로 가열 용해시킨다. 유분을 70℃로 가열 용해 후, 계면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향료를 순차 용해하고, 70℃에서 균질혼합기로 균일하게 용해시킨다. 이 자외선 방지 에센스는 상쾌감 및 끈적거림이 없는 우수한 사용감을 갖고 있다.
[표 10]
실시예 56(썬탠 오일)
하기 표 11에 나타내는 조성의 썬탠 오일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이 썬탠 오일은 매끄럽고 끈적거림이 없는 우수한 사용감을 갖고 있다.
[표 11]
실시예 57(W/O 형 파운데이션 크림)
하기 표 12에 나타내는 조성의 W/O형 파운데이션 크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성분 3을 교반 후, 충분히 혼합 분쇄된 성분 1을 첨가하고, 균질혼합기 처리한다. 성분 2를 용해 후에 앞서의 혼합물에 첨가하여 균질혼합기 처리를 수행하여 제품을 수득한다. 이 W/O형 파운데이션 크림은 흡수성 양호 및 매끄러움에서 우수하다.
[표 12]
실시예 58(분말 파운데이션)
하기 표 13에 나타내는 조성의 분말 파운데이션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우선, 성분 1(안료 성분)을 혼합하고, 분쇄기로 분쇄시킨다. 다음에, 이를 고속 혼합기로 옮기고, 성분 2 및 3을 미리 혼합한 것에 상기 안료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체로 걸러서 입도를 고르게 하고, 압축 성형하여 제품을 수득한다. 이 분말 파운데이션은 피부와의 적응성이 좋고, 또한 흡수성 양호로 우수하다.
[표 13]
실시예 59(양용(兩用) 파운데이션)
하기 표 14에 나타내는 조성의 양용 파운데이션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성분 1을 혼합하고, 분쇄기로 분쇄시킨다. 이를 고속 혼합기로 옮기고, 성분 2 및 3을 미리 혼합한 것을 성분 1에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체로 걸러서 입도를 고르게 하고, 압축 성형하여 제품을 수득한다. 이 양용 파운데이션은 피부와의 적응성이 좋고, 또한 흡수성 양호로 우수하다.
[표 14]
실시예 60(볼연지)
하기 표 15에 나타내는 조성의 볼연지를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이산화티탄, 카올린, 산화철(적), 적색 202호를 유동 파라핀의 일부에 가하고, 롤러로 분산 처리한다. 다른 성분을 미리 혼합하여 가열 용해한 후, 균질혼합기로 전체 성분을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분산후, 교반하면서 냉각하여 제품을 수득한다. 이 불연지는 피부와의 적응성이 좋고, 끈적거림이 없고, 흡수성 양호로 우수하다.
[표 15]
실시예 61(유화형 립스틱)
하기 표 16에 나타내는 조성의 유화형 립스틱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성분 1 중의 이산화티탄, 적색 201호 및 적색 202호를 피마자유의 일부에 가하여 롤러로 분산 처리한다. 적색 223호를 피마자유에 용해시킨다. 성분 1의 다른 성분을 가열 융해시켜, 안료 및 염료와 함께 균질혼합기로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성분 2를 가열 용해시켜 앞서의 혼합물에 균질혼합기로 유화 분산 후, 거푸집에 따라 넣고 급냉하여 스틱상으로 만든다. 이 유화형 립스틱은 피부와의 적응성이 좋고, 끈적거림이 없고, 흡수성 양호로 우수하다.
[표 16]
실시예 62(립스틱)
하기 표 17에 나타내는 조성의 립스틱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성분 2를 가열 용해하고, 여기에 성분 1을 가하여 롤 밀로 혼련시켜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탈포시킨 후에, 거푸집에 따라 넣고 급냉하여, 스틱상으로 만든다. 이 립스틱은 피부와의 적응성이 좋고, 끈적거림이 없고, 또한 흡수성 양호로 우수하다.
[표 17]
실시예 63(아이브로우 펜슬)
하기 표 18에 나타내는 조성의 아이브로우 펜슬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성분 1의 분말 성분을 혼합기로 잘 혼합하고, 가열 융해시킨 다른 성분과 분쇄기로 분산 처리후 압축 성형하여 제품을 수득한다. 이 아이브로우 펜슬은 피부와의 적응성이 좋고, 끈적거림이 없는 우수한 것이다.
[표 18]
실시예 64(O/W형 파운데이션 크림)
하기 표 19에 나타내는 O/W형 파운데이션 크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성분 2 중의 벤토나이트를 분산시킨 프로필렌 글리롤을 정제수예 가하여 70℃에서 균질혼합기 처리한 후, 나머지 성분 2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한다. 이에 혼합 분쇄된 성분 1을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70℃에서 균질혼합기 처리한다. 다음에, 70 내지 80℃로 가열된 성분 3을 서서히 첨가하고, 70℃에서 균질혼합기 처리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여 제품을 수득한다. 이 O/W형 파운데이션 크림은 흡수성이 양호하고 매끄러움에서 우수하다.
[표 19]
실시예 65(컨디셔닝 샴푸)
하기 표 20에 나타내는 조성의 컨디셔닝 샴푸를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정제수에 양이온화 셀룰로스를 첨가하여, 가열 교반하여 70℃까지 승온시킨다. 이에 다른 성분을 가하여 교반 용해하고, 냉각하여 제품을 수득한다. 이 컨디셔닝 샴푸는 끈적거림이 없고, 또한 상쾌감에서 우수하다.
[표 20]
실시예 66(린스 겸용 샴푸)
하기 표 21에 나타내는 조성의 린스 겸용 샴푸를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정제수에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과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가열 용해하여 70℃로 유지하고, 나머지 성분을 가하여 용해 후 냉각하여 제품을 수득한다. 본 린스 겸용 샴푸는 끈적거림이 없고, 또한 상쾌한 사용감을 갖고 있다.
[표 21]
실시예 67(헤어 트리트먼트 크림)
하기 표 22에 나타내는 조성의 헤어 트리트먼트 크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성분 1 및 2를 각각 80℃까지 가온하고, 성분 2를 교반하면서 성분 1을 서서히 가하고, 냉각하여 제품을 수득한다. 본 헤어 트리트먼트 크림은 사용감에 있어서, 흡수성이 좋고, 끈적거림이 없는 감촉을 갖고 있다.
[표 22]
실시예 68(헤어 로션)
하기 표 23에 나타내는 조성의 헤어 로션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성분 1 및 2를 각각 80℃까지 가온하고, 성분 2를 교반하면서 성분 1을 서서히 가하고, 냉각하여 제품을 수득한다. 본 헤어 로션은 흡수성이 좋고, 또한 끈적거림이 없는 촉감을 갖고 있다.
[표 23]
실시예 69(클렌징 폼)
하기 표 24에 나타내는 조성의 클렌징 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성분 1 및 2를 각각 80℃까지 가온하고, 성분 2을 교반하면서 성분 1을 서서히 가하고, 냉각하여 제품을 수득한다. 본 클렌징 폼은 사용감에 있어서, 흡수성이 좋고, 끈적거림이 없고, 또한 상쾌한 감촉을 갖고 있다.
[표 24]
실시예 70(클렌징 오일)
하기 표 25에 나타내는 조성의 클렌징 오일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이 클렌징 오일은 상쾌감이 있고, 또한 끈적거림이 없는 우수한 사용감을 갖고 있다.
[표 25]
실시예 71(화장 리무버)
하기 표 26에 나타내는 화장 리무버를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성분 1 및 2를 각각 80℃까지 가온하고, 성분 2를 교반하면서 성분 1을 서서히 가하고, 냉각하여 제품을 수득한다. 본 화장 리무버는 사용감에 있어서, 흡수성이 좋고, 끈적거림이 없고, 또한 상쾌한 감촉을 갖고 있다.
[표 26]
실시예 72(쉐이빙 폼)
하기 표 27에 나타내는 쉐이빙 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정제수에 글리세린, 트리에탄올아민 및 실시예 28의 화합물을 첨가하고 70℃로 가열한 것을 수상부로 한다. 다른 성분을 가열 용해하고, 이를 유상부로 한다. 수상부에 유상부를 가하여 중화 반응을 수행한다. 충전은 병에 원액을 가하고, 밸브 장착 후, 가스를 충전시킨다. 본 쉐이빙 폼은 끈적거림이 없고, 또한 상쾌한 사용감을 갖고 있다.
[표 27]
실시예 73(바디 샴푸)
하기 표 28에 나타내는 조성의 바디 샴푸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본 바디 샴푸는 끈적거림이 없고, 또한 상쾌한 세정 마무리의 사용감을 갖고 있다.
[표 28]
이하, 피부 외용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성분의 배합비는 중량%이다.
실시예 74(클로람페니콜 연고)
하기 표 29에 나타내는 조성의 클로람페니콜 연고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본 클로람페니콜 연고는, 끈적거림이 없고 또한 적응성이 양호한 사용감을 갖고 있다.
[표 29]
실시예 75(부신피질 호르몬 연고)
하기 표 30에 나타내는 조성의 부신피질 호르몬 연고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본 부신피질 호르몬 연고는 끈적거림이 없고, 적응성이 양호한 사용감을 갖고 있다.
[표 30]
본 발명에 관련된, 글리세린 중합도가 4 이상인 폴리글리세린과 탄소수 6 내지 22의 아실 그룹을 갖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 또는 이를 유효 성분으로서 1종 이상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안전면에서 바람직하고, 이를 배합시킨 화장품이나 피부 외용제를 관능면에서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의, 글리세린 중합도가 4 이상인 폴리글리세린과 탄소수 6 내지 22의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아실 그룹을 갖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복수의 X 중의 1개 이상은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잔기이고, 나머지 X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잔기이고,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이 글리신, 알라닌, β-알라닌, α-아미노낙산, 아미노낙산, 사르코신 및 N-메틸-β-알라닌으로부터 선택된 중성 아미노산의 N-장쇄 아실 유도체의 1종임을 특징으로 하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르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의 1종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르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1종 이상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르는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1종 이상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KR10-1998-0045637A 1997-10-30 1998-10-29 비이온성계면활성제및이를함유하는조성물,화장품및피부외용제 KR100490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473897 1997-10-30
JP97-334738 1997-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473A KR19990037473A (ko) 1999-05-25
KR100490706B1 true KR100490706B1 (ko) 2005-09-20

Family

ID=18280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5637A KR100490706B1 (ko) 1997-10-30 1998-10-29 비이온성계면활성제및이를함유하는조성물,화장품및피부외용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87359B1 (ko)
EP (1) EP0913390B1 (ko)
KR (1) KR100490706B1 (ko)
DE (1) DE69808016T2 (ko)
TW (1) TW5537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25793B (en) 1997-12-25 2005-01-01 Ajinomoto Kk Cosmetic composition
US6514918B1 (en) 2000-08-18 2003-02-04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Viscous, mild, and effective cleansing compositions
FR2826264B1 (fr) * 2001-06-26 2005-03-04 Oreal Solubilisation de derives 1,3,5 triazine par des esters n-acyles d'acide amine
FR2827511B1 (fr) 2001-07-19 2003-10-17 Oreal Composition autobronzante contenant un ester n-acyle d'acide amine et un agent autobronzant
DE10148966A1 (de) * 2001-10-04 2003-04-10 Beiersdorf Ag Betainhaltige Kosmetika
KR20180051543A (ko) 2015-09-11 2018-05-16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단백질 및 폴리알콕시 지방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6846409B2 (ja) 2015-09-11 2021-03-24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ポリアルコキシ脂肪族化合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908B2 (ko) * 1973-09-11 1979-05-26
JPS5437839A (en) * 1977-08-31 1979-03-20 Nippon Emarujiyon Kk Cosmetics
JPS5462991A (en) * 1978-10-12 1979-05-21 Nippon Emarujiyon Kk Oil soluble surfactant
JPS59196809A (ja) 1983-04-22 1984-11-08 Lion Corp 毛髪化粧料組成物
US5466396A (en) * 1993-11-19 1995-11-14 Lever Brothers Company Isethionate esters of alkyl alkoxy carboxylic acid
US5744062A (en) * 1996-08-29 1998-04-28 R.I.T.A. Corporation Balanced emulsifier blends for oil-in-water emul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08016T2 (de) 2003-06-05
EP0913390A3 (en) 2001-02-07
EP0913390B1 (en) 2002-09-18
EP0913390A2 (en) 1999-05-06
DE69808016D1 (de) 2002-10-24
KR19990037473A (ko) 1999-05-25
US6387359B1 (en) 2002-05-14
TW553747B (en) 200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611B1 (ko) 오일성 원료 조성물
JP4747075B2 (ja) 化粧料および外用剤
KR0166372B1 (ko) 지용성 n-장쇄 아실 산성 아미노산 에스테르, 이의 혼합물 및 이를 함유한 향료 화장품
JP2866114B2 (ja) 化粧料
EP0538764B1 (en) N-long chain acyl neutral amino acid esters; and cosmetics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JPH11240828A (ja) 化粧料用油性原料
EP1212033A2 (en) Aqueous low pressur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ropellant, a thickener and a surfactant
KR100490706B1 (ko) 비이온성계면활성제및이를함유하는조성물,화장품및피부외용제
JP2011178733A (ja) N−長鎖アシル酸性アミノ酸ジエステル化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料及び洗浄料
JP3889518B2 (ja) 非イオン性界面活性剤
JPH11189522A (ja) 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JP5731739B2 (ja) 非イオン界面活性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料及び外用剤
JP3483984B2 (ja) 化粧料
JP5253490B2 (ja) 洗浄用化粧料
JP4824517B2 (ja) 外用組成物
JP2010100594A (ja) 非イオン界面活性剤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料及び外用剤
JP2003026530A (ja) 化粧料及び外用剤
JP3471150B2 (ja) 毛髪処理剤
JPH0967241A (ja) 化粧料
JPH08269077A (ja) β−ヒドロキシアルキルグリコシド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及び洗浄剤組成物
JP4700319B2 (ja) ワックス状脂肪酸エステル及びこれを含有する毛髪化粧料組成物
EP2512411B1 (en) Composition with enhanced hydration ability
JP2008081402A (ja) 皮膚化粧料
JPH08268865A (ja) 化粧料
JPH05286844A (ja) 油性基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