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272B1 - 차량 헤드라이닝 장착용 선글래스 케이스의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헤드라이닝 장착용 선글래스 케이스의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272B1
KR100666272B1 KR1020050084465A KR20050084465A KR100666272B1 KR 100666272 B1 KR100666272 B1 KR 100666272B1 KR 1020050084465 A KR1020050084465 A KR 1020050084465A KR 20050084465 A KR20050084465 A KR 20050084465A KR 100666272 B1 KR100666272 B1 KR 100666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unglass
movable body
headlin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희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4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082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spec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석이나 조수석 상부의 헤드라이닝 도중에 선글래스의 보관을 위하여 마련되는 선글래스 케이스에 차량 충돌시 운전자 및 승객의 머리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FMH 법규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헤드라이닝 장착용 선글래스 케이스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헤드 라이닝의 내측에 위치되는 인너 패널에 브라켓의 일단이 고정형성되어지되, 개방된 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헤드라이닝의 내측에 고정장착되는 용기형상의 바디가 형성되고, 바디의 상부면은 상기한 브라켓에 고정장착되며, 상기한 바디의 개방된 하부단에는 바디의 내부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가 씌워지는 선글래스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한 바디는 상부면과 그 측면의 중앙부 상측을 포함하는 고정 바디와, 상기한 하부단과 그 측면의 중앙부 하측을 포함하는 가동 바디로 구분형성되어지되, 상기한 가동 바디의 측면 상단부 일부 구간이 상기 고정 바디의 측면 하단부에 수용되어 계합되도록 형성되고, 그 계합된 일부 구간에는 가동 바디가 고정 바디 내에서 소정 범위 이동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도록 훅으로써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글래스 케이스, 헤드 라이닝, 훅, 바디

Description

차량 헤드라이닝 장착용 선글래스 케이스의 충격흡수장치{Damping apparatus of a sunglass case on the headlin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선글래스 케이스가 헤드 라이닝에 장착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선글래스 케이스 바디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선글래스 케이스 바디의 요부를 발췌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선글래스 케이스에 충격이 가해진 상태의 도면.
도 5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루프 패널 12 : 헤드라이닝
14 : 인너 패널 16 : 브라켓
30 : 선글래스 케이스 31 : 바디
32 : 커버 33 : 선글래스 지지체
40 : 고정 바디 41 : 상부면
43 : 내향 훅 44 : 절개부
50 : 가동 바디 51 : 마감돌부
53 : 외향 훅 54 : 연장부재
55 : 스톱퍼
본 발명은 차량 헤드라이닝 장착용 선글래스 케이스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전석이나 조수석 상부의 헤드라이닝 도중에 선글래스의 보관을 위하여 마련되는 선글래스 케이스에 차량 충돌시 운전자 및 승객의 머리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FMH 법규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헤드라이닝 장착용 선글래스 케이스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전석이나 조수석 상부의 헤드라이닝의 도중에는 운전자나 승객이 사용하던 선글래스나 안경 등이 보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글래스 케이스가 마련된다.
도 5는 종래의 선글래스 케이스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루프 패널(10) 하부에는 차량 실내의 천정을 이루는 헤드라이닝(12)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라이닝(12)의 내측으로 선글래스 케이스(20)는 함몰된 형태로 장착된다.
선글래스 케이스(20)를 지지하기에 헤드라이닝은 재질의 특성상 충분한 강도가 없기 때문에 루프 패널(10)과 헤드라이닝(12) 사이에 마련된 인너 패널(14)에는 선글래스 케이스(20)의 장착을 위한 브라켓(16)이 고정장착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패널(14)에 일단이 고정된 브라켓(16)의 다른 일단에 선글래스 케이스(20)가 고정장착되는 것이다. 인너 패널(14)과 헤드라이닝(12) 사이에 타원상으로 표시된 부분은 에어 백(18)을 지시하는 것이다.
한편, 루프 패널(10)과 헤드라이닝(12) 사이의 공간에 브라켓(16)에 의해서 지지되는 선글래스 케이스(20)는 바디(21)와 커버(22)로 구분형성된다.
바디(21)는 용기형상으로 성형된 후에 헤드라이닝(12)에 장착될 때에는 그 개방된 부분이 하측을 향하게 되는데, 설명의 편의를 의하여 브라켓(16)에 접촉되는 부분을 상부면이라 하고, 용기의 개방된 부분의 외측을 하부단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바디(21)의 상부면에는 상기한 브라켓(16)에 나사 등으로써 고정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공(24)이 마련되고, 바디(21)의 하부단에는 헤드라이닝(12)과의 조립과정에서 그 조립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헤드라이닝(12)에 가 하부가 걸리도록 하기 위한 마감돌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커버(22)는 바디(21)의 양측에 회동되면서 열리거나 닫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23은 선글래스 지지체로 상기한 커버(22)와 함께 바디(21)의 내부에 조립된 후에 커버(22)의 개폐동작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바디(21) 내부에 수납되는 선글래스의 위치를 잡아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선글래스 케이스(20)에 사용자가 선글래스를 보관하거나 꺼내게 될 때에 사용자는 커버(22)를 개방방향으로 열어 바디(21)의 공간내에 위치된 선글래스 지지체(23)에 접혀진 선글라스를 위치시키게 된다. 바디(21) 내에 선글래스를 안치한 후에 사용자는 개방되어 있던 커버(22)를 닫게 된다.
선글래스 케이스(20)에서 보관되었던 선글래스를 꺼내는 동작은 넣을 때의 동작과 반대로 진행된다.
한편, 자동차의 경우 그 설계과정에서 설계안전 법규에 맞추어 운전자나 승객의 안전을 위한 설계가 이루어져야만 하는데, 운전자나 조수석 승객의 상부에 설치되는 선글래스 케이스의 경우에는 FMH(Free Motion Headform) 법규에 위배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글래스 케이스의 구조에서 차량의 추돌사고시와 같이 외력이 가해져 운전자 또는 조수석 승객의 머리가 선글래스 케이스에 부딪치게 될 경우에 운전자 또는 조수석 승객의 머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해줄 별도의 장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운전석이나 조수석 상부의 헤드라이닝 도중에 선글래스의 보관을 위하여 마 련되는 선글래스 케이스에 차량 충돌시 운전자 및 승객의 머리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FMH 법규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헤드라이닝 장착용 선글래스 케이스의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헤드 라이닝의 내측에 위치되는 인너 패널에 브라켓의 일단이 고정형성되어지되, 개방된 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헤드라이닝의 내측에 고정장착되는 용기형상의 바디가 형성되고, 바디의 상부면은 상기한 브라켓에 고정장착되며, 상기한 바디의 개방된 하부단에는 바디의 내부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가 씌워지는 선글래스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한 바디는 상부면과 그 측면의 중앙부 상측을 포함하는 고정 바디와, 상기한 하부단과 그 측면의 중앙부 하측을 포함하는 가동 바디로 구분형성되어지되, 상기한 가동 바디의 측면 상단부 일부 구간이 상기 고정 바디의 측면 하단부에 수용되어 계합되도록 형성되고, 그 계합된 일부 구간에는 가동 바디가 고정 바디 내에서 소정 범위 이동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도록 훅으로써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선글래스 케이스의 충격흡수장치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선글래스 케이스가 헤드 라이닝에 장착된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선글래스 케이스 바디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선글래스 케이스 바디의 요부를 발췌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선글래스 케이스에 충격이 가해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30은 본 발명에 의해서 형성된 선글래스 케이스를 지시하는 것이고, 일부의 도면부호는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사용된 부호가 그대로 인용된다.
상기한 선글래스 케이스(3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종래기술의 설명에서와 같이 바디(31)와, 커버(32), 선글래스 지지체(33)로 대별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디(31)는 본 발명의 목적인 운전자나 승객의 머리부가 부딪쳤을 경우에 그 충격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바디(31)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나누어 상부체를 고정 바디(40)라 하고, 그 하부체를 가동 바디(50)라고 하기로 한다.
고정 바디(40)는 헤드라이닝(12) 내측의 인너 패널(14)에 고정된 브라켓(16)에 그 상부면(41)이 고정장착되도록 형성되며, 상부면(41)의 사방으로 하향 연장되는 측면(42)의 하단부에는 가동 바디(50)의 상단부가 소정구간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가동 바디(50)는 운전자나 승객의 머리부가 부딪치게 되어 충격이 전달될 때 에 상기한 그 상단부가 고정 바디(40)의 하단부 내측으로 소정구간 수용될 수 있도록 고정 바디(40)의 측면(42)보다 작은 크기의 측면(52)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한 가동 바디(5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고정 바디(40)와 계합된 가동 바디(50)의 상단부 소정구간이 고정 바디(40)의 하단부에 인입되면서 선글래스 케이스(30)를 이루는 바디(31)의 전체적인 높이가 줄어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가동 바디(50)의 측면 하단에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부분은 선글래스 케이스(30)가 헤드라이닝(12)에 함몰된 채로 장착되었을 때에 선글래스 케이스(30)의 장착을 위해 헤드라이닝(12)에 뚫려진 공간 등 헤드라이닝과 선글래스 케이스의 연결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마감돌부(51)이다.
한편, 상기한 고정 바디(40)와 가동 바디(50)가 계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가동 바디(50)에 외력이 가해져 고정 바디(40)를 향해 가동 바디(50)가 인입되는 동작이 허용될 수 있도록 상기한 고정 바디(40)와 가동 바디(50)는 훅(43,53)으로써 체결된다. 즉, 고정 바디(40)의 측면(42) 하단부 내측으로는 내향 훅(43)이 돌출형성되고, 가동 바디(50)의 측면(52) 상단부 외측으로는 외향 훅(53)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내향 훅(43)와 외향 훅(53)은 고정 바디(40)의 측면 하단부와 가동 바디(50)의 측면 상단부 전둘레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가동 바디(5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고정 바디(4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동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당한 개소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가동 바디(50)에 형성되는 외향 훅(53)은 가동 바디(50)의 상단부에 소정의 푹과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된 연장부재(54)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는 연장부재(54)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서 외향 훅(53)이 내향 훅(43)에 대하여 물림과 해제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외향 훅(53)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소정구간 떨어진 위치의 연장부재(54) 외측면에는 고정 바디(40)의 하단부가 걸릴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55)가 산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 바디(40)에 형성되는 내향 훅(43) 양측 및 상측으로는 상기 내향 훅(43)이 형성된 부분이 외향 훅(53)과 조립 및 탈거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 바디(40)의 몸체와는 절개형성된 절개부(4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내향 훅(43)이 구비된 고정 바디(40)와, 외향 훅(53)이 구비된 가동 바디(50)가 상호 훅(43,53)으로써 조립된 바디(31)의 하부단에는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커버(32)가 개폐동작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바디(31)의 내부에는 수납되는 선글래스의 위치를 잡아주며 지지하기 위한 선글래스 지지체(33)가 커버(32)와 함께 조립되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후 헤드라이닝(12)의 도중에 함몰된 채 장착된 선글래스 케이스(30)에 운전자나 승객이 선글래스 또는 안경을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이미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커버(32)를 개방한 후에 바디(31)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선글래스 지지체(33)에 선글래스를 위치시킨 후 개방된 커버(32)를 닫으면 된다.
반대로, 선글래스 케이스(30)에 보관되어 있는 선글래스를 꺼내고자 할 경우에는 커버(32)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개방한 후에 바디(31)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선글래스 지지체(33)로부터 선글래스를 분리해 꺼낸 후, 개방된 커버(32)를 다시 닫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후 헤드라이닝(12)의 도중에 선글래스 케이스(30)가 함몰된 채 장착된 상태의 차량이 주행 중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서 운전자나 승객의 머리부가 상기한 선글래스 케이스(30)에 부딪치게 되었을 때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의 추돌 사고시와 같이 차량의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거나, 차량이 급장차하게 되어 관성에 의해 운전자 또는 승객의 머리부가 선글래스 케이스(30)에 부딪치게 되면, 선글래스 케이스(30)의 바디(31) 중 가동 바디(50)가 상측으로 밀리면서 고정 바디(40)의 내부로 소정구간 인입되어진다.
즉, 고정 바디(40)와 가동 바디(50)의 체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있는 내향 훅(43)과 외향 훅(53)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면서 고정 바디(40)의 측면(42) 하단 부가 가동 바디(50)의 연장부재(54)에 형성되어 있는 스톱퍼(55)를 넘게 되므로서, 고정 바디(40)의 상부면(41)과 가동 바디(50)의 상단부 간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선글래스 케이스(30)를 이루는 바디(31)의 전체 높이가 줄어들게 되는데, 선글래스 케이스(30)의 높이가 줄어드는만큼 운전자 또는 승객의 머리부에 가해지는 충격은 감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작된 후 차량의 운전석이나 조수석 상부측의 헤드라이닝(12)에 소정부분이 함몰된 채 장착된 선글래스 케이스(30)는 차량 설계과정에서 FMH 법규를 충족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운전자 또는 조수석 승객의 머리부가 외부의 충격이나 관성 등에 의해서 헤드라이닝 도중에 장착된 선글래스 케이스에 부딪치게 되더라도 고정 바디와 가동 바디로 분리형성된 바디의 높이가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서 좁혀지게 되므로서, 운전자나 조수석 승객의 머리부가 받게 되는 충격이 흡수되어 부상을 방지될 뿐만 아니라, 차량 설계과정에서 FMH 법규에 충족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헤드 라이닝의 내측에 위치되는 인너 패널에 브라켓의 일단이 고정형성되어지되, 개방된 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헤드라이닝의 내측에 고정장착되는 용기형상의 바디가 형성되고, 바디의 상부면은 상기한 브라켓에 고정장착되며, 상기한 바디의 개방된 하부단에는 바디의 내부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가 씌워지는 선글래스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한 바디(31)는 상부면과 그 측면의 중앙부 상측을 포함하는 고정 바디(40)와, 상기한 하부단과 그 측면의 중앙부 하측을 포함하는 가동 바디(50)로 구분형성되어지되, 상기한 가동 바디(50)의 측면(52) 상단부 일부 구간이 상기 고정 바디(40)의 측면(42) 하단부에 수용되어 계합되도록 형성되고, 그 계합된 일부 구간에는 가동 바디(50)가 고정 바디(40) 내에서 소정 범위 이동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도록 훅(43,53)으로써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닝 장착용 선글래스 케이스의 충격흡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바디(40)와 가동 바디(50)의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훅(43,53)은 고정 바디(40)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내향 훅(43)과, 상기한 내향 훅(43)에 대응되는 위치의 가동 바디(50)의 상단에 형성된 외향 훅(53)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닝 장착용 선글래스 케이스의 충격흡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동 바디(50)에 형성된 외향 훅(53)의 하부측에는 고정 바디(40)의 하단이 걸리도록 산형상의 스톱퍼(55)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닝 장착용 선글래스 케이스의 충격흡수장치.
  4. 제 2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향 훅(53)은 가동 바디(50)의 상단에서 소정의 폭이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재(54)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닝 장착용 선글래스 케이스의 충격흡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장부재(54)가 대향되는 고정 바디(40)의 내향 훅(43) 양측 및 상측으로는 상기 내향 훅(43)이 형성된 부분에 탄성이 지닐 수 있도록 절개형성된 절개부(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닝 장착용 선글래스 케이스의 충격흡수장치.
KR1020050084465A 2005-09-12 2005-09-12 차량 헤드라이닝 장착용 선글래스 케이스의 충격흡수장치 KR100666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465A KR100666272B1 (ko) 2005-09-12 2005-09-12 차량 헤드라이닝 장착용 선글래스 케이스의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465A KR100666272B1 (ko) 2005-09-12 2005-09-12 차량 헤드라이닝 장착용 선글래스 케이스의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272B1 true KR100666272B1 (ko) 2007-01-10

Family

ID=3786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465A KR100666272B1 (ko) 2005-09-12 2005-09-12 차량 헤드라이닝 장착용 선글래스 케이스의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2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753A (ja) * 1997-06-23 1999-01-19 Manzo Okuno 吸水性布地着脱式関節防護用具
JPH1111091A (ja) * 1997-06-20 1999-01-19 Hisashi Takayama マウス用製図機
JPH1119092A (ja) * 1997-07-02 1999-01-26 Japan Medical Dynamic Marketing Inc 高周波利用生体組織処理装置
JPH1119093A (ja) * 1997-04-04 1999-01-26 Ethicon Endo Surgery Inc 電気手術用止血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093A (ja) * 1997-04-04 1999-01-26 Ethicon Endo Surgery Inc 電気手術用止血装置
JPH1111091A (ja) * 1997-06-20 1999-01-19 Hisashi Takayama マウス用製図機
JPH119753A (ja) * 1997-06-23 1999-01-19 Manzo Okuno 吸水性布地着脱式関節防護用具
JPH1119092A (ja) * 1997-07-02 1999-01-26 Japan Medical Dynamic Marketing Inc 高周波利用生体組織処理装置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09753호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11091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9-019092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9-019093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34527A1 (en) Cushioning clip
US6431640B1 (en) Assist grip
US8540305B2 (en) Hollow torque rod for a closure panel
KR100666272B1 (ko) 차량 헤드라이닝 장착용 선글래스 케이스의 충격흡수장치
KR20160028258A (ko)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
KR200489036Y1 (ko) 2단식 사이드 게이트 구조를 갖는 화물차 적재함
KR20140004684U (ko) 차량용 도어 가드
JP4396382B2 (ja) 車両の乗員保護構造
KR100747027B1 (ko) 선글라스 케이스가 구비된 자동차의 루프 트림 구조
KR200146223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스토퍼
KR200163553Y1 (ko) 차량용 안경 보관장치
KR100526875B1 (ko) 차량용 테일 게이트
KR200153171Y1 (ko) 자동차 글루브박스의 완충구조
JP4566027B2 (ja) 衝撃吸収体
JP2012236439A (ja) 自動車の車室側壁構造
KR100401659B1 (ko) 자동차의 도어포켓
KR20110126423A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 열림 방지 장치
KR0182889B1 (ko) 글로브 박스의 체결 및 소음방지구조
JP2009006976A (ja) 車両用ドア構造
KR200228019Y1 (ko) 도어의 암 레스트 구조
KR100368397B1 (ko)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
JP2003040039A (ja) グローブボックス構造
KR100368327B1 (ko) 차량용 룸미러의 스토퍼
KR200252014Y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완충클립
KR100231537B1 (ko) 차량 글러브 박스의 스톱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