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156B1 -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156B1
KR100665156B1 KR1020010002858A KR20010002858A KR100665156B1 KR 100665156 B1 KR100665156 B1 KR 100665156B1 KR 1020010002858 A KR1020010002858 A KR 1020010002858A KR 20010002858 A KR20010002858 A KR 20010002858A KR 100665156 B1 KR100665156 B1 KR 100665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ata
command
setting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6337A (ko
Inventor
호리구찌마리
사또마꼬또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6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9Mechanical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IEEE 1394 방식 등의 네트워크에 있어서, 스트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타겟 디바이스가 버스 상의 접속을 구축함으로써 전송로를 확보(secure)하는 경우에, 전송로의 변경(alteration)을 용이하게 행하고자 하는 것이다.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출력 디바이스(1)로부터 출력된 스트림 데이터는 입력 디바이스(2)에 의해 수신된다. 출력 디바이스(1)의 출력 데이터가 입력 디바이스(2)의 데이터 입력부(2b)에 입력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지령을 출력 디바이스 혹은 다른 디바이스가 전송할 때, 입력 디바이스(2)는 상기 지령에 기초하여 입력 설정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지령을 전송한 디바이스가 입력 설정을 취소하는 지령을 전송할 때, 입력 디바이스(2)는 입력 설정을 해지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IEEE 1394 방식, 스트림 데이터, 타겟 디바이스, 전송로, 출력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

Description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RD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데크(video deck)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5는 IEEE 1394 방식의 버스에서의 데이터 전송 사이클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IEEE 1394 방식의 버스를 사용하는 접속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AV/C 명령 트랜잭션 세트를 사용함으로써 전송되는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AV/C 명령 트랜잭션 세트의 명령 및 응답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선택 제어 명령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펑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플러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착신지 플러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착신지 플러그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선택 제어 응답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 데이터(status data)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플러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IRD(소스 디바이스)
2 : 비디오 데크(타겟 디바이스)
3 : 텔레비전 수상기(제어 디바이스)
9 : IEEE 1394 방식의 버스
111, 212, 321 : 버스와의 인터페이스부
112, 213, 322 : 중앙 제어 유닛(CPU)
본 발명은 예컨데, IEEE 1394 방식의 버스선에 접속된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IEEE 1394 방식의 직렬 데이터 버스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AV 디바이스가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버스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비교적 대용량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등을 실시간 (real time) 전송하는 경우에 사용되도록 등시성 전송 모드가 준비되고, 정지 화상, 텍스트 데이터, 제어 명령 등을 확실하게 전송하는 경우에 사용되도록 비동기 전송 모드가 준비된다. 각각의 모든 모드에는 전용 대역이 전송에 사용된다.
도 18은 IEEE 1394 방식의 버스를 사용하는 접속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제, 데이터를 송출하는 디바이스인 소스 디바이스 "a", 소스 디바이스 "a"로부터 송출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바이스인 타겟 디바이스 "b", 그리고 양 디바이스 "a" 및 "b"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기 "c"가 IEEE 1394 방식의 버스 "d"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제어기(c)의 제어 하에 양 디바이스 "a" 및 "b" 사이에서 비디오 데이터가 전송될 때, 제어기(c)는 버스 "d" 상의 등시성 전송용 채널을 확보(secure)하여, 양 디바이스 "a" 및 "b" 사이에 접속을 구축하고 소스 디바이스 "a"로부터 타겟 디바이스 "b"로의 전송을 개시한다.
소스 디바이스 "a" 및 타겟 디바이스 "b"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예컨데, AV 디바이스 등에 적용될 수 있는 AV/C 명령 트랜잭션 설정(AV/C command transaction set)이라 칭하는 제어 명령의 전송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AV/C 명령 트랜잭션 설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http://www.1394TA.org에 공개되어 있다.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타겟 디바이스로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등의 데이터 전송을 고려할 때, 입력 선택이 타겟 디바이스 측에서 수행될 수 있다면, 입력 디바이스에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선택은 자유롭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타겟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구축하고, 버스 상의 전송로 확보 등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처리를 일찍부터 제안했다(일본 특허 출원 11-328764).
IEEE 1394 방식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접속을 구축한 디바이스만이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가 접속을 구축한다면, 소스 디바이스 및 제어기와 같은 버스 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은 접속을 해제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없다. 버스 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사이에 데이터 전송이 개시되도록 한 경우에도, 전송로 중에 무료 라인(free line)이 없다면,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구축된 접속이 해제될 때까지 제어기는 기다려야한다. 제어기가 버스 상의 전송 제어를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IEEE 1394 방식 등의 네트워크에서 스트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타겟 디바이스가 버스 상의 접속을 구축함으로써 전송로를 확보하는 경 우에, 전송로의 변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된 스트림 데이터가 입력 디바이스에 수신된다. 출력 디바이스 혹은 다른 디바이스는 출력 디바이스의 출력 데이터가 입력 디바이스의 데이터 입력부에 입력될 수 있도록 설정하기 위한 지령을 전송할 때, 입력 디바이스는 상기 지령에 기초한 입력 설정을 수행한다. 또한, 지령을 전송한 디바이스가 입력 설정을 취소하는 지령을 전송할 때, 입력 디바이스는 입력 설정을 해제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디바이스가 입력 설정을 수행한 후에 입력 설정을 수행하도록 지령을 전송한 디바이스로부터 취소 지령이 수신될 때, 입력 설정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가 도 1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복수의 디바이스가 IEEE 1394 방식의 직렬 데이터 버스(9)를 통해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된다고 가정한다. 이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RD (Integrated receiver decoder: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 장치; 1), 비디오 데크(2), 및 텔레비전 수상기(3)는 버스(9)에 접속된다. 디바이스 각각은 IEEE 1394 방식의 버스 접속용 단자를 구비한 디바이스이고, AV/C 명령 트랜잭션 세트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는 기능이 실장되어 있다. 여기서, 텔레비전 수상기(3)는 버스(9) 상에서의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디바이스로서 역할을 하는 제어기(제어 디바이스) 의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버스(1)에 접속된 IRD(1)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는 제어기로서 역할을 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 디바이스와 같은 AV 디바이스 이외의 디바이스가 버스(9)에 접속되는 경우도 있다.
AV/C 명령 트랜잭션 세트에서 규정된 기능적인 관점에서 볼 때, 각 디바이스 1, 2 및 3은 각 기능을 구현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서브유닛, 및 버스(9)와 내부 서브유닛 사이에서 데이터 입력 및 출력을 수행하는 플러그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RD(1)는 방송을 수신하는 튜너 서브유닛(1a)을 구비하고, 비디오 데크(2)는 기록 매체(여기서 비디오 테이프)로의 정보 기록 및 매체로부터의 정보 재생을 수행하는 테이프 서브유닛(2a)을 구비하며, 텔레비전 수상기(3)는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3a) 등을 구비한다. 또한 각각의 디바이스 1, 2 및 3은 각각 플러그부 1a, 2a 및 3a를 구비한다. 각 플러그부 1a, 2a 및 3a에는 복수의 플러그가 실장되어 버스(9) 상의 복수 채널에 접속될 수 있다. 플러그 및 채널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후술하는 전송예의 설명에 있어서, IRD (1)은 데이터 출력 디바이스로서 역할을 하는 소스 디바이스로서 취급되고, 비디오 데크(2)는 데이터 입력 디바이스로서 역할을 하는 타겟 디바이스로서 취급되며, 텔레비전 수상기(3)는 제어 디바이스로서 역할을 하는 제어기로서 취급된다.
도 2는 IRD(1)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IRD(1)는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이다. 접속된 안테나(101)에 수신된 신호는 튜너(102)에서 수신 처리된다. 따라서 소정의 채널 방송파가 수신된다. 튜너(102)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디-스크 램블 회로(de-scramble circuit; 103)에서 방송 데이터에 실시된 스크램블을 해제하는 처리를 시행한다. 스크램블이 해제된 데이터는 데이터 분리부(104)에 공급된다. 1 채널로 다중화된 데이터 중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데이터 분리부(104)에서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는 MPEG 비디오 디코더(105)에 공급되고, MPEG 방식의 디코더 처리를 수행한다. 그 다음에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합성 신호(resultant signal)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6)에 공급된다.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는 출력 단자(107)에 공급된다. 데이터 분리부(104)에서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MPEG 오디오 디코더(108)에 공급되고, MPEG 방식의 디코드 처리를 수행한다. 그 다음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합성 신호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09)에 공급된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출력 단자(110)에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IRD(1)는 IEEE 1394 인터페이스부(111)를 구비하여, 접속된 버스(9)에 MPEG 방식으로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IRD(1)가 다양한 데이터 방송 채널 혹은 오디오 데이터 채널을 수신할 때, IRD(1) 역시 수신된 데이터를 IEEE 1394 인터페이스부(111)로부터 버스(9)로 송출할 수 있다.
수신 동작 및 버스(9)로의 데이터 송출 동작은 중심 제어 유닛(CPU; 112)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또한, IEEE 1394 인터페이스부(111)로부터 버스(9)로의 데이터 송출 및 인터페이스부(111)에서 버스(9)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역시 CPU(112)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CPU(112)에는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기억하 는 메모리(1113)가 접속된다.
도 3은 비디오 데크(2)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비디오 데크(2)는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로서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매체에 비디오 데이터(및 그 비디오 데이터를 동반하는 오디오 데이터 등)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디지털 방식의 디바이스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비디오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데크(2)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케이스인 카세트(201)에 장착된 자기 테이프가 회전 헤드 드럼부(202)에 부착된 자기 헤드를 사용하여 기록 및 재생하는 그러한 구성을 갖는다. 회전 헤드 드럼부(202)의 자기 헤드에서 재생된 신호는 기록 및 재생 시스템 회로(203)에 제공되어 처리된다. 따라서 MPEG 방식의 재생 데이터가 획득되고, 그 재생 데이터를 MPEG 디코더(204)에서 디코드하여 원래 디지털 데이터를 복원한다. 복원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05)에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그 다음에,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는 아날로그 출력 단자(206)로부터 출력되고 그 단자(206)에 접속된 모터 등에 공급된다. 또한, MPEG 디코더(204)에서 디코드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는 디지털 출력 단자(207)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MPEG 디코더(204)에 공급된 재생된 데이터는 IEEE 1394 인터페이스부(212)에 공급되고, MPEG 방식으로 부호화되고 그대로 남아있는 비디오 데이터로서, 접속된 버스(9)로 송출될 수 있게 된다.
기록 시스템의 구성에 있어서, 아날로그 입력 단자(208)에서 획득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9)에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 된다. 그 다음에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는 MPEG 인코더(210)에 공급된다. MPEG 인코더(210)에서 MPEG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한다. MPEG 인코더(210)에서 MPEG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는 기록 및 재생 시스템 회로(203)에 공급되어 처리된다. 따라서 회전 헤드 드럼부(202)에 공급될 기록 신호가 획득된다. 이러한 기록 신호는 카세트(201)에 장착된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다. 또한, 버스(9)로부터 IEEE 1394 인터페이스부(212)에 공급된 MPEG 방식의 비디오 데이터 있어서도, MPEG 인코더(210)를 통해 기록 및 재생 시스템 회로(203)에 공급되고 카세트(201)에 장착된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다.
이러한 회로에 있어서 재생 동작 및 기록 동작은 중심 제어 유닛(CPU; 213)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또한, IEEE 1394 인터페이스부(212)로부터 버스(9)로의 데이터 전송 및 인터페이스부(212)에서 버스(9)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역시 CPU(213)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CPU(213)에는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214)가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비디오 데크(1)에 장착된 카세트(201)에 있어서, 불휘발성 메모리(215)가 카세트에 부착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한 메모리(215)가 카세트에 부착된 경우에, CPU(215)는 메모리(215)의 기억 데이터의 판독 및 기입을 관리한다. 메모리(215)에는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데이터의 인덱스 정보(기록일시, 채널 및 프로그램과 같은) 등이 기억된다.
텔레비전 수상기(3)의 구성은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4는 텔레비전 수상기(3)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여기서, 텔레비전 수상기(3)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소위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로서 구성 된다. 안테나 등이 접속된 입력 단자(301)는 튜너(302)에 접속된다. 그 튜너 (302)에서 수신 처리되어, 소정의 채널의 방송파를 수신한다. 튜너(302)에서 수신된 신호는 디-스크램블 회로(303)에서 필요에 의해 방송 데이터에 적용된 스크램블을 해제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스크램블이 해제된 데이터는 데이터 분리부(304)에 공급된다. 1 채널로 다중화된 데이터 중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데이터 분리부(304)에서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는 MPEG 비디오 디코더(305)에 공급되고 MPEG 방식의 디코드 처리를 수행한다. 그 다음에 합성 신호가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6)에 공급된다.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는 수상 처리 회로(307)에 공급된다. 따라서 음극선관과 같은 표시 수단(309)을 구동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된다. 또한 외부 입력 단자(308)에 획득된 비디오 데이터를 수상 처리 회로(307)에 공급하여 표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
데이터 분리부(304)에서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MPEG 오디오 디코더(310)에 공급되고, MPEG 방식의 디코드 처리를 수행한다. 그 다음에, 합성 신호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11)에 공급된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사운드 처리 회로(312)에 공급된다. 스피커를 구동하는 처리가 수행되어 스피커(314)로부터 사운드가 출력된다. 또한 외부 입력 단자(313)에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를 사운드 처리 회로(312)에 공급하여 표시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IRD(1)는 IEEE 1394 인터페이스부(321)를 구비하여, 접속 된 버스(9)에 튜너(102)에 수신된 MPEG 방식 등의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을 송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버스(9)를 통해 전송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는 데이터 분리부(304)를 통해 디코더(305, 310)에 제공될 수 있고, 비디오 영상 수신 및 오디오 출력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텔레비전 수상기에서의 이러한 동작들 및 버스(9)를 통한 전송 동작은 중앙 제어 유닛(CPU; 322)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IEEE 1394 인터페이스부(321)로부터 버스(9)로의 데이터 전송 및 인터페이스부(321)에서 버스(9)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역시 CPU(322)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버스(9) 상에서의 전송을 관리하는 제어기로서의 기능 역시 CPU(322)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CPU(322) 및 그것의 주변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텔레비전 수상기(3) 내의 제어부(3a)에 상응한다. CPU(322)에는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323)가 접속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텔레비전 수상기에 관한 다양한 조작 및 버스(9)에 접속된 다른 디바이스의 동작(입력 전환 동작, 기록 동작, 재생 동작 등)에 관한 조작 등을 지시하는 조작키, 및 원격 제어 디바이스로부터의 유사한 조작 지령을 수신하는 수신부가 제공된다. 조작 지령에 기초한 제어는 CPU(322)에 의해 수행된다.
이제 상술한 각 디바이스가 접속된 IEEE 1394 방식의 버스(9)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태에 관해 기술될 것이다. 도 5는 IEEE 1394에서 접속된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사이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IEEE 1394에 따르면, 데이터는 패킷으로 분할되고, 패킷들은 125㎲의 길이의 사이클을 기준으로 하여 시분할 하여 전송된다. 이러한 사이클은 사이클 마스터 기능을 갖는 노드(버스에 접속된 어떤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사이클 개시 신호에 의해 생성된다. 등시성 패킷은 모든 사이클의 선두로부터 전송에 필요한 대역(그것이 비록 시간 유닛이지만 대역이라 칭함)을 확보한다. 따라서 등시성 전송에 있어서, 일정 시간 내의 데이터 전송이 확보된다. 전송 에러가 발생하면, 보호하는 메커니즘이 없게 되어 데이터가 손실된다. 각 사이클에서 등시성 전송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 시간 동안 조정 (arbitration)의 결과, 버스를 확보하는 노드가 비동기성 패킷을 송출한다. 이러한 비동기성 전송에 있어서, 확실한 전송은 승인 및 재시도를 사용함으로써 확보된다. 그러나, 전송 타이밍은 일정하게 되지 않는다.
소정의 노드(디바이스)가 등시성 전송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노드는 등시성 기능에 대응해야 한다. 또한, 등시성 기능에 대응하는 노드 중 적어도 하나는 사이클 마스터 기능을 가져야 한다. 또한, IEEE 1394 직렬 버스에 접속된 노드 중 적어도 하나는 등시성 자원 관리자 기능을 가져야 한다. 등시성 자원 관리자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는 상술된 제어기(본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상기)에 상응한다.
도 6은 버스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플러그,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 및 등시성 채널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AV 디바이스(11∼13)는 IEEE 1394 직렬 버스에 의해 접속된다. AV 디바이스(13)의 OMPR에 의해 전송속도 및 oPCR의 수가 규정된 oPCR [0] 내지 oPCR [2]들 중에서 oPCR [1]에 의해 채널이 지정된 등시성 데이터가 IEEE 1394 직렬 버스의 채널 #1로 송출된다. AV 디바이스의 iMPR에 의해 전송율 및 iPCR의 수가 규정된 iPCR [0]와 iPCR [1] 중 에서, iPCR [0]은 입력 채널 #1을 지정한다. AV 디바이스(11)는 IEEE 1394 직렬 버스의 채널 #1로 송출된 등시성 데이터를 판독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AV 디바이스(12)는 oPCR [0]에서 지정된 채널 #2로 등시성 데이터를 송출한다. AV 디바이스(11)는 iPCR [1]에서 지정된 채널 #2로부터 등시성 데이터를 판독한다.
확보된 채널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원의 디바이스의 출력 플러그로부터 버스 상에 송출된 데이터는 데이터 수신 착신지의 디바이스의 입력 플러그에 의해 수신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채널 및 플러그를 설정하여 접속을 구축하는 처리는 버스에 접속된 소정의 디바이스(제어기)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이런 식으로, 데이터 전송은 IEEE 1394 직렬 버스에 의해 접속된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및 상태 판정 등은 IEEE 1394 직렬 버스를 통해 접속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으로써 규정된 AV/C 명령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AV/C 명령에서 사용된 데이터는 이하 기술될 것이다.
도 7은 AV/C 명령의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전송된 패킷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AV/C 명령은 AV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세트이고, CTS(명령 세트의 ID) = "0000"이다. AV/C 명령 프레임 및 응답 프레임은 노드들 사이에서 교환된다. 버스 및 AV 디바이스에 부담(burden)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명령에 대한 응답은 100ms 이내에 전송되도록 한정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동기 패킷의 데이터는 수평 방향 32 비트(=1 쿼드렛)로 구성된다. 도 7의 상단 (upper columns)은 패킷의 헤더 부분을 도시하고, 도 7의 하단(lower columns)은 데이터 블럭을 도시한다. destination ID는 착신지를 나타낸다.
CTS는 명령 세트의 ID를 나타낸다. AV/C 명령 세트에 있어서, CTS = "0000"이다. c type/response의 필드는 패킷이 명령인 경우에 명령의 기능 분류를 나타내고, 패킷이 응답인 경우에는 명령의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명령은 크게 다음과 같이 4 종류로 분할된다: (1) 외부로부터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CONTROL), (2) 외부로부터 상태에 대해 묻는 명령(STATUS), (3) 제어 명령의 지원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외부로부터 묻는 명령(GENERAL INQUIRY(opcode의 지원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SPECIFIC INQUIRY(opcode 및 operand의 지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및 (4) 상태 변화의 통보를 외부에 요청하는 명령(NOTIFY).
응답은 명령 종류에 따라 반송된다. CONTROL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서, "NOT IMPLEMENTED", "ACCEPTED", "REJECTED" 및 "INTERIM"(잠정적인 응답; interim response)이 있다. STATUS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서, "NOT IMPLEMENTED", "REJECTED", "IN TRANSACTION", 및 "STABLE"이 있다. "GENERAL INQUIRY" 및 "SPECIFIC INQUIRY"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서, "IMPLEMENTED" 및 "NOT IMPLEMENTED"가 있다. "NOTIFY"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서, "NOT IMPLEMENTED", "REJECTED", "INTERIM", 및 "CHANGED"가 있다. 여기서 기술된 것 이외의 명령 및 응답이 정의되기도 한다.
"subunit type"은 디바이스 내의 기능을 지정하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어, "tape recorder/player", "tuner" 등이 할당된다. 동일한 종류의 subunit이 복수개가 존재하는 경우를 식별하기 위해, 식별 번호로서 subunit ID를 사용하여 어드 레싱을 수행한다. "opcode"는 명령을 나타낸다. "operand"는 명령의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Additional operands"는 필요에 응하여 부가된 필드이다. "padding" 역시 필요에 응하여 부가된 필드이다. "data CRC"(Cyclic Redundancy Check)는 데이터 전송 시에 에러 체크를 위해 사용된다.
도 8은 AV/C 명령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8의 (a)는 c type/response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다. 그것의 상단(upper column)은 명령을 도시하고, 그것의 하단(lower column)은 응답을 도시한다. "CONTROL"은 "0000"에 할당된다. "STATUS"는 "0001"에 할당된다. "SPECIFIC INQUIRY"는 "0010"에 할당된다. "NOTIFY"는 "0011"에 할당된다. "GENERAL INQUIRY"는 "0100"에 할당된다. "0101 내지 0111"은 앞으로의 명세서를 위해 보류되고 확보된다. "NOT IMPLEMENTED"는 "1000"에 할당된다. "ACCEPTED"는 "1001"에 할당된다. "REJECTED"는 "1010"에 할당된다. "IN TRANSITION"은 "1011"에 할당된다. "IMPLEMENTED/STABLE"은 "1100"에 할당된다. "CHANGED"는 "1101"에 할당된다. "INTERIM"은 "1111"에 할당된다. "1110"은 앞으로의 명세서를 위해 보류되고 확보된다.
도 8의 (b)는 subunit type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Video Monitor"는 "00000"에 할당된다. "Disk recorder/Player"는 "00011"에 할당된다. "Tape recorder/Player"는 "00100"에 할당된다. "Tuner"는 "00101"에 할당된다. "Video Camera"는 "00111"에 할당된다. "Vender unique"는 "11100"에 할당된다. "Subunit type extended to next byte"는 "11110"에 할당된다. "Unit"은 "11111" 에 할당되고, 그것은 명령 혹은 응답이 디바이스 그 자체에 전송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원의 턴온 및 턴오프가 언급될 수 있다.
도 8의 (c)는 opcode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subunit type 각각에 대해, opcode의 테이블이 존재한다. 도 8의 (c)에 있어서, subunit type이 "Tape recorder/ player"인 경우의 opcode가 도시된다. 또한, 각 opcode에 대해, operand가 정의된다. 여기서, "VENDOR-DEPENDENT"는 "00h"에 할당된다. "SEARCH MODE"는 "50h"에 할당된다. "TIMECODE"는 "51h"에 할당된다. "ATN"은 "52h"에 할당된다. "OPEN MIC"는 "60h"에 할당된다. "READ MIC"는 "61h"에 할당된다. "WRITE MIC"는 "62h"에 할당된다. "LOAD MEDIUM"은 "C1h"에 할당된다. "RECORD"는 "C2h"에 할당된다. "PLAY"는 "C3h"에 할당된다. "WIND"는 "C4h"에 할당된다.
따라서, 규정된 AV/C 명령 트랜잭션 세트를 사용함으로써 버스에 접속된 디바이스의 제어가 수행되고, 버스에 의해 접속된 디바이스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제어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트림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는 입력 디바이스(타겟 디바이스)에 대해, 입력 선택 상태를 제어하는 명령과,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입력 선택을 해제하는 취소용 명령이 준비된다. 명령의 패킷은 적절한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디바이스 혹은 출력 디바이스 및 입력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 중 하나에 의해 송출된다. 그러나, 취소 명령은 적절한 명령으로 해제되는 입력 선택을 수행하는 명령을 발행(issued)하는 장치에 의해서만 송출될 수 있다.
도 9는 이러한 명령인 입력 선택 제어 명령의 [opcode] 및 [operand]의 데이 터 구성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도 7에 도시된 패킷에 배치된다. 명령이 제어 지령을 행하는 데이터이므로 그것의 명령 형태는 [CONTROL]이 된다. [opcode]의 영역에는 적절한 명령인 [INPUT SELECT]의 데이터가 배치된다. [operand (0)]의 영역에는 제어 상태의 상세를 보여주는 서브펑션의 데이터가 배치된다. [operand (1)]의 영역에는 1 내지 4 비트의 구간은 정의되지 않고 ("reserved"로 표기된 부분), 5 내지 8 비트의 구간에는 특정 데이터(여기서, "1111"인 값 F)가 배치되어, 여기서의 명령에서는 사용되지 않은 영역임을 나타낸다.
[operand (2) 및 operand (3)]의 영역에는 출력 디바이스의 노드 ID가 배치된다. [operand (4)]의 영역에는 출력 디바이스의 출력 플러그 ID가 배치된다. 출력 디바이스의 노드 ID 및 출력 플러그 ID에 의해,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출력 디바이스(소스 디바이스)와, 그 디바이스의 출력 플러그가 지정된다.
[operand (5)]의 영역에는 입력 디바이스의 입력 플러그 ID가 배치된다. [operand (6)] 및 [operand (7)]의 영역에는 입력 디바이스의 내부 기능 블럭인 서브유닛에 관여하는 데이터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operand (6)]의 영역에는 입력 디바이스 측의 서브유닛인 착신지 서브유닛의 형태에 관여하는 데이터 및 서브유닛 ID의 데이터가 배치된다. [operand (7)]의 영역에는 착신지 서브유닛의 입력 플러그의 데이터가 배치된다. [operand (6)]의 영역이 특정 값(데이터 FF와 같은)을 가질 때, 입력 디바이스의 서브유닛을 특정하지 않는 지시가 된다. [operand (8)]의 영역은 여기서 정의되지 않는다.
입력 디바이스의 입력 플러그 ID가 이러한 명령을 전송하는 디바이스(즉, 출력 디바이스 혹은 제어 디바이스)에서 명령을 전송하는 그러한 단계로 알려지지 않은 경우에는 예컨데 최대값의 데이터가 배치된다. 출력 디바이스의 출력 플러그 ID는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는 플러그의 ID 데이터를 배치한다.
도 10은 [operand (0)]의 영역에 배치된 제어 상태의 상세를 도시하는 서브펑션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한다. 여기서, 다음 네 개의 서브펑션이 정의된다.
값이 "0"일 때, 서브펑션은 [Connect]의 서브펑션이고, 명령은 출력 디바이스와 접속을 구축하는 지시를 수행하는 명령이다.
값이 "1"일 때, 서브펑션은 [path change]의 서브펑션이고, 명령은 디바이스 선택이 수행되는 경우에 경로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이다. 이러한 경로 변경은 예컨데, 버스(9)를 사용하는 경로(전송로)로부터 아날로그 전송로로 변경하는 경우, 혹은 그 역의 변경이다.
값이 "2"일 때, 서브펑션은 [select]의 서브펑션이고, 명령은 출력 디바이스의 선택을 수행하는 명령이지만,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지 않는 그러한 상태에서는 대기(wait)시키는 명령이다.
값이 "3"일 때, 서브펑션은 [disconnect]의 서브펑션이고, 명령은 출력 디바이스와의 사이에 구축된 접속을 단절하는 명령이다. 이러한 명령은 수행될 취소를 실행시키는 명령에 상응한다.
도 11은 출력 플러그 ID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컨데, [0] 내지 [30]의 31개의 직렬 버스용 출력 플러그 및 [0] 내지 [30]의 31개의 외부 출력 플러그는 개별의 ID를 보유하고 있다. 외부 출력 플러그는 버스(9)를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이다. "Reserved"로 표기된 부분은 플러그 ID가 정의되지 않은 데이터 값이다.
도 12는 [operand (7)]의 영역에 있는 착신지 서브유닛의 입력 플러그 ID의 데이터 예를 도시한다. 도 12의 예는 [operand (6)]의 영역이 데이터 FF가 되고 착신지 서브유닛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의 예이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0] 내지 [30]의 31개의 직렬 버스용 입력 플러그, 및 [0] 내지 [30]의 31개의 외부 입력 플러그는 개별의 ID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 7F의 경우에 있어서, 직렬 버스용으로 사용되는 그러한 종류의 입력 플러그 중 하나를 사용하도록 지시하며, 그들 중에서 입력 플러그를 특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데이터 FF의 경우에 있어서, 외부 입력용으로 사용되는 그러한 종류의 입력 플러그 중 하나를 사용하도록 지시하며, 그들 중에서 외부 입력 플러그를 특정하지는 않는다. "Reserved"으로 표기된 부분은 플러그 ID가 정의되지 않은 데이터 값이다.
도 13은 [operand (6)]의 영역이 데이터 FF 이외의 것인 경우(즉, 착신지 서브유닛이 특정되지 않은 경우)에, [operand (7)]의 영역에서 착신지 서브유닛의 입력 플러그 ID의 데이터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0] 내지 [30]의 31개의 서브유닛에 개별적으로 제공된 ID가 사용된다. 또한, 데이터 FF의 경우에, 서브유닛의 입력 플러그를 특정하지 않도록 지시한다. "Reserved"으로 표기된 부분은 정 의되지 않은 데이터 값이다.
지금까지 기술된 도 9에 도시한 명령의 패킷이 입력 디바이스로 전송될 때,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은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명령의 전송원으로 반송된다. 도 14는 응답으로서 역할을 하는 입력 선택 제어 응답의 [opcode] 및 [operand]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도 7에 도시된 패킷에 배치된다. [opcode]의 영역에는 적절한 명령인 [INPUT SELECT]의 데이터가 배치된다. [operand (0)]의 영역에는 제어 상태의 상세를 보여주는 서브펑션의 데이터가 배치된다. 서브펑션의 데이터는 명령의 데이터가 그대로 반송되게 한다. [operand (1)]의 영역은 1 내지 4 비트의 구간에서 정의되지 않고("reserved"로 표기된 부분), 5 내지 8 비트의 구간에는 입력 디바이스가 명령을 통해 지시하는 지령의 수행 상태에 관여하는 데이터인 상태 데이터(result status)가 배치된다.
[operand (2)] 및 다음 operands의 영역에는 기본적으로 제어 명령에 배치된 데이터가 그대로 배치되도록 반송된다. 입력 플러그 ID 혹은 착신지 플러그 ID의 값으로써, 데이터가 플러그 종류만을 지시하고 플러그를 지정하지 않을 때, 입력 디바이스에 할당된 입력 플러그(혹은 착신지 플러그)의 ID가 배치되고 반송된다.
[operand (1)]의 구간의 5 내지 8 비트 순으로 배치된 입력 디바이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 [result status]로서, 예컨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정의된다. 이러한 상태 데이터가 사용될 때 응답 형태로서, 명령의 지시에 뒤따르는 [ACCEPTED] 이외에도, 명령의 지시를 거절하는 [REJECTED] 및 잠정적인 응답을 반송하는 [INTERIM]가 있다. 응답 형태 각각에 대해, 복수의 상태 데이터 값이 설정된다.
도 15는 최상부로부터 차례로 기술될 것이다. 명령의 지시에 뒤따르는 [ACCEPTED]의 응답의 경우에 있어서, 다음 2개의 데이터가 준비된다.
1. [no error] 데이터
명령의 지시가 성공됨을 나타내는 데이터
2. [ready] 데이터
스트림 데이터가 입력 디바이스 내에 입력될 수 있는 그러한 상태에서 접속이 완료되지만, 어떤 경우로 인해 대기 상태가 야기됨을 나타내는 데이터
명령의 지시를 거절하는 [REJECTED]의 응답의 경우에는 이하 8개의 데이터가 준비된다.
1. [disabled] 데이터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지령에 응답하여 입력 설정 수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
2. [locked] 데이터
입력 디바이스의 동작이 그러한 이유로 인해(사운드 기록 중에서와 같이) 로크되어(locked) 입력 설정이 수행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데이터
3. [p-to-p] 데이터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제어 하에 접속이 구축되므로, 입력 플러그 내에 룸이 없어 접속이 구축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데이터
4. [insufficient resource] 데이터
버스 상의 대역(채널)에 룸이 없으므로, 접속이 구축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데이터
5. [source not found] 데이터
출력 디바이스(소스 디바이스)의 지정된 출력 플러그가 발견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데이터
6. [not selected] 데이터
지정된 경로가 설정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데이터. 이러한 데이터는 경로 변경이 지정되는 경우에, 그 경로로의 변경이 수행될 수 없을 때 사용된다.
7. [not registered] 데이터
지정된 경로가 등록됨을 나타내는 데이터. 이러한 데이터 역시 경로 변경이 지정되는 경우에, 그 지정된 플러그가 없을 때 사용된다.
8. [any other reason] 데이터
지령이 그 이외의 다른 이유로 거절될 때의 데이터.
또한, 명령에 대한 잠정적인 응답인 [INTERIM]의 응답의 경우에 있어서, 다음 2개의 데이터가 준비된다.
1. [no information] 데이터
어떤 이유 때문에 AV/C 명령 트랜잭션 세트에서 규정된 임의의 시간(예컨데, 100ms) 내에 응답이 주어질 수 없을 때 일시적으로 전송된 데이터
2. [busy] 데이터
어떤 이유 때문에 AV/C 명령 트랜잭션 세트에서 규정된 임의의 시간(예컨데, 100ms) 내에 응답이 주어질 수 없을 때 일시적으로 전송된 데이터. 이러한 데이터가 수신될 때, 선정된 시간(예컨데, 10초)의 경과 후에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됨이 판정될 수 있다.
도 16은 제어 응답의 경우에 배치된 입력 플러그 ID의 데이터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0] 내지 [30]의 31개의 직렬 버스용 플러그 및, [0] 내지 [30]의 31개의 외부 출력 플러그는 각각 ID를 가지고 있다. 또한 앞으로 정의될 수 있는 ID가 준비된다. 여기서, 최대값 FF의 데이터는 명령의 지령에 뒤따르는 [ACCEPTED] 응답의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지금까지 기술된 구성을 갖는 입력 선택 명령을 사용하는 전송 처리의 예는 이제 도 17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IRD(1)는 스트림 데이터의 출력 디바이스(소스 디바이스)로서 사용된다. IRD(1)에 의해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가 버스(9) 상에 송출된다. 또한, 입력 디바이스(타겟 디바이스)로서, IRD(1)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비디오 데크(2)가 사용된다. 여기서, 전송의 지시는 버스 상의 제어 디바이스인 텔레비전 수상기(3)에 의해 발행된다.
이제, 텔레비전 수상기(3) 내에서의 조작에 기초하여, IRD(1)에 의해 수신된 특정 채널의 방송 데이터(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데크(2)에 기록하게 하는 제어는 텔레비전 수상기(3)에 의해 수행된다는 것을 가정한다. 이 때, 제어 디바이스(텔레비전 수상기; 3)는 입력 디바이스(비디오 데크; 2)에 대하 여, 입력 선택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단계 S11), 출력 디바이스(IRD; 1)로부터 출력된 데이터가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 될 수 있도록 접속 관리를 요청하는 지령을 전송한다. 이러한 제어 명령에서, 서브펑션은 접속을 구축하는 지령을 행하는 [Connect]가 된다(도 10 참조).
이 때, 입력 디바이스인 비디오 데크(2)에서는, 내부 기능 블럭인 테이프 서브유닛을 입력 플러그에 접속시키는 내부 접속 처리를 완료한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인 IRD(1)에 대하여, 비디오 데크(2)는 양 디바이스 사이를 접속하는 지점 대 지점(point to point; P 대 P)의 접속을 확립하여, 버스 상의 전송로를 확보하는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12). 이러한 접속이 확립될 때, 입력 선택 제어 명령의 전송원인 텔레비전 수상기(3)에 대하여, 비디오 데크(2)는 제어 명령의 지시에 대한 이해를 나타내는 [ACCEPTED]의 응답을 반환한다(단계 S13).
지금까지 기술된 처리가 수행될 때, 예컨데, IRD(1)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가 확보된 버스 상의 전송로에 송출되도록 한다. 비디오 데크(2)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비디오 데크(2) 내의 테이프 서브유닛에 제공하여, 기록 매체(비디오 테이프)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제, IRD(1) 및 비디오 데크(2)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요청이 어떤 이유로 인해 제어 디바이스의 역할을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3)에서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 텔레비전 수상기(3)는 적절한 접속을 해제하는 입력 선택 제어 명령을 비디오 데크(2)에 전송한다(단계 S14). 이러한 제어 명령에 있어서, 서브펑션은 접속의 접속 해제를 지시하는 [disconnect]가 된다(도 10 참조).
비디오 데크(2)가 그것의 서브펑션으로서 [disconnect]를 갖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때, 비디오 데크(2) 내의 CPU는 비디오 데크(2)와 IRD(1) 사이의 P 대 P 접속을 해제하는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15). 해제 처리가 수행된 후에, 비디오 데크(2)로부터 제어 디바이스로서 역할을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3)에 대하여, 접속이 해제됨을 나타내는 [ACCEPTED]의 응답을 반송한다(단계 S16).
이러한 식으로, 적절한 접속은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명령에 기초하여 수행된 접속을 해제하는 명령을 버스 상의 입력 디바이스에 전송함으로써 해제된다. 입력 디바이스가 P 대 P 접속을 관리하는 경우에, 입력 디바이스 이외의 디바이스로부터의 접속이 해제될 수 있게 된다. 텔레비전 수상기와 같은 제어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의 지령에 기초하여, 출력 디바이스의 변경과 같은 다양한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접속을 확립시키는 요구를 발행하는 제어 디바이스만이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지령을 발행할 수 있도록 개조된다. 따라서, 버스 상의 다른 디바이스는 접속을 해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버스 상에서 전송로 설정 상태는 혼동되지 않게 된다.
지금까지 기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 설정 및 해제는 출력 디바이스(IRD; 1)와 다른 제어 디바이스(텔레비전 수상기; 3)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수행된다. 대신에, 예컨데, 출력 디바이스에 제어 기능을 내장시켜, 출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접속 설정 및 취소를 실행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가 버스 상에서 전 송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가 기술되었다. 실시예는 다양한 다른 스트림 데이터가 버스 상에서 전송될 때 사용된 제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 및 입력 디바이스로서, 상술된 실시예 이외의 디바이스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IEEE 1394 방식의 버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경우가 기술되었다. 그러나, 실시예는 유사한 데이터 전송이 다른 네트워크 구성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이 각 디바이스에서 설정된다. 대신에, 유사한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은 임의의 제공 매체(provision medium)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분배되고, 사용자는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버스(IEEE 1394 방식의 버스와 같은)에 접속된 컴퓨터 장치 등에 실장되어,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공 매체로서, 광디스크 혹은 자기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 기록 매체 외에도, 인터넷과 같은 통신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매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디바이스가 입력 설정을 수행한 이후에, 입력 설정을 수행하는 지령을 전송하는 디바이스로부터 취소 지령이 수신될 때, 입력 설정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입력 디바이스만이 데이터 전송 설정을 해제하는 그러한 구조가 채택되더라도, 설정을 수행하게 하는 디바이스로부터의 지령이 발행되는 한은, 입력 디바이스에 단지 취소 지령을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에 대한 설정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버스 상의 전송 대역의 유효한 이용이 가능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입력 설정 지령은 입력 디바이스의 입력 플러그를 지정하는 지령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입력 디바이스에서 입력 플러그를 특정시킨 입력 설정 처리와, 그것의 해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는 입력 플러그가 입력 설정 및 그것의 해제를 확실히 수행하도록 지정된 그러한 상태에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지정된 입력 플러그는 단지 플러그의 종류만을 지정한다. 입력 설정에 필요한 플러그를 특정하는 데이터는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에 기초하여 획득된다. 그리고 취소 지령은 데이터에 의해 특정된 플러그의 입력 설정을 취소하는 지령으로 구성된다. 입력 디바이스에 대해 입력 설정을 지시하는 디바이스 측에서는, 입력 디바이스의 입력 플러그의 상태가 공지되지 않더라도, 입력 설정을 수행하는 지령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력 설정을 취소할 때, 특정한 플러그가 지시된다. 따라서, 필요한 플러그에 의해 접속된 설정만이 확실히 해제 처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력 디바이스의 내부 기능 블럭의 플러그 역시 지정된다. 입력 디바이스의 내부 기능 블럭의 플러그에서도 특정한 입력 설정 처리 및 그것의 해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항에 정의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된 스트림 데이터를 입력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력 디바이스 또는 다른 디바이스가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데이터 입력부에 상기 출력 디바이스의 출력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지령(order)을 전송할 때,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상기 지령에 기초하여 입력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 지령을 전송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입력 설정을 취소하는 지령을 전송할 때,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상기 입력 설정을 해제하는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입력 설정 지령은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입력 플러그를 지정하는 지령이고,
    상기 지정된 입력 플러그는 상기 입력 플러그의 종류만을 지정하고, 상기 입력 설정에 필요한 상기 입력 플러그를 지정하는 데이터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에 기초하여 획득되며, 상기 취소 지령은 상기 데이터에 의해 지정된 플러그의 상기 입력 설정을 취소하는 지령인 통신 방법.
  10.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입출력 수단; 및
    상기 입출력 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에서 소정의 디바이스로부터의 스트림 데이터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지령을 검출할 때, 상기 스트림 데이터의 입력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 입력 설정이 수행된 상태에서 상기 지령을 발행하는 것과 같은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 설정을 취소하는 지령을 검출할 때, 상기 입력 설정을 해제하는 처리를 행하는 통신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의 제어 하에 수행된 상기 입력 설정은 상기 검출된 지령에 의해 지시된 입력 플러그로부터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입력하는 설정이고,
    상기 통신 제어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지령에서 상기 입력 플러그의 종류만 지정될 때, 상기 특정 종류의 입력 플러그들 중 특정 종류의 임의의 입력 플러그를 사용함으로써 입력 설정이 수행되고,
    상기 입출력 수단은 상기 입력 설정을 위해 사용된 상기 입력 플러그에 관여하는 데이터를 상기 지령의 발생원의 디바이스에 대하여 전송하며,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이 취소 지령을 검출하고 상기 입력 설정을 위해 사용되는 입력 플러그가 특정될 때,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 설정을 해제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KR1020010002858A 2000-01-18 2001-01-18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KR100665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09391 2000-01-18
JP2000009391A JP2001203727A (ja) 2000-01-18 2000-01-18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337A KR20010076337A (ko) 2001-08-11
KR100665156B1 true KR100665156B1 (ko) 2007-01-09

Family

ID=1853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858A KR100665156B1 (ko) 2000-01-18 2001-01-18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6) US7050449B2 (ko)
EP (1) EP1128273B1 (ko)
JP (1) JP2001203727A (ko)
KR (1) KR100665156B1 (ko)
CN (1) CN1193544C (ko)
DE (1) DE6011845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0315B1 (en) 1999-09-10 2006-10-31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utilizing extended AV/C command and response frames including transaction label and common result/error code
US6901444B1 (en) * 2000-06-30 2005-05-31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ata structures between devices in a networking environment
JP2003061013A (ja) * 2001-08-17 2003-02-2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6944704B2 (en) * 2001-10-04 2005-09-1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extended AV/C command frames including status inquiry, notify inquiry and control inquiry command types
US7003604B2 (en) * 2001-10-04 2006-02-21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ancelling a pending AV/C notify command
JP3844217B2 (ja) * 2002-04-03 2006-11-08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システム、信号出力装置、信号入力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3844218B2 (ja) * 2002-04-03 2006-11-08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システム、信号入力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20180049590A1 (en) * 2016-04-29 2018-02-22 Alan Backus Device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nd preparing foods
US8707857B2 (en) 2005-08-08 2014-04-29 Ronald M. Popeil Cooking device to deep fat fry foods
US8186265B2 (en) 2005-08-08 2012-05-29 Ron's Enterprises, Inc. Device to efficiently cook food
US8850965B2 (en) 2005-08-08 2014-10-07 Ronald M. Popeil Device to efficiently cook food
US10412981B2 (en) 2017-02-27 2019-09-17 Ronald M. Popeil System and method for deep frying poultry while avoiding skin damag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2917A (ko) * 1998-02-24 1999-09-27 미따라이 하지메 데이타통신시스템,데이타통신방법,데이타통신장치및디지탈인터페이스
WO1999057838A2 (en) * 1998-05-07 1999-1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to device command and control in a network
KR19990084414A (ko) * 1998-05-06 1999-12-06 윤종용 Ieee 1394 네트웍 시스템의 시스템 디바이스 동작 상태 표시 방법
EP0971509A1 (en) * 1998-07-06 2000-01-12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Bandwidth reservation
US6094684A (en) * 1997-04-02 2000-07-25 Alpha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
WO2000070830A1 (fr) * 1999-05-19 2000-11-23 Sony Corporation Procede de communication, dispositif de communication, controleur de communication, systeme de communication et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277778B5 (de) 1988-12-06 1993-06-24 Jenoptik Jena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busvergabe an datenverarbeitende einrichtungen
JPH03123244A (ja) 1989-10-06 1991-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装置
US5933430A (en) * 1995-08-12 1999-08-03 Sony Corporation Data communication method
US6657999B1 (en) * 1997-03-31 2003-12-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ink layer gateway computer for interconnecting ethernet and 1394 networks
US6081533A (en) * 1997-06-25 2000-06-27 Com21,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pplication interface module in a subscriber terminal unit
JP4054451B2 (ja) * 1997-08-26 2008-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
US6680944B1 (en) * 1998-03-09 2004-01-20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edictive time stamping of isochronous data packets transmitted over an IEEE 1394-1995 serial bus network
KR100298979B1 (ko) * 1998-06-12 2001-09-06 윤종용 아이 트리플 이 1394 시리얼 버스 토폴로지 최적화방법
US6593937B2 (en) * 1998-06-18 2003-07-15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handling high bandwidth on-screen-display graphics data over a distributed IEEE 1394 network utilizing an isochronous data transmission format
US20010014102A1 (en) * 1998-09-24 2001-08-16 Doris Ann Mattingly Isochronous pipes channel mapping
US7013354B1 (en) * 1998-10-05 2006-03-14 Canon Kabushiki Kaisha Channel protocol for IEEE 1394 data transmission
KR100354740B1 (ko) * 1998-10-15 2002-12-18 삼성전자 주식회사 Ieee1394직렬버스를위한채널확장방법
US6169725B1 (en) * 1998-10-30 2001-01-02 Sony Corporation Of Jap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toration of internal connections in a home audio/video system
KR100335432B1 (ko) * 1998-11-18 2002-06-20 윤종용 Ieee 1394 등시성 데이타의 외부 동기 네트워크로의 전송시에 채널 재배열 방법 및 그 장치
US6466549B1 (en) * 1999-04-12 2002-10-15 Intel Corporation Broadcast discovery in a network having one or more 1394 buses
US6711181B1 (en) * 1999-11-17 2004-03-23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acket parsing and data reconstruction in an IEEE 1394-1995 serial bus network
US6657987B1 (en) * 2000-03-24 2003-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cheduling methodology for connections with quality of service (QoS) constraints in a polling based media access control (MAC)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4684A (en) * 1997-04-02 2000-07-25 Alpha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
KR19990072917A (ko) * 1998-02-24 1999-09-27 미따라이 하지메 데이타통신시스템,데이타통신방법,데이타통신장치및디지탈인터페이스
KR19990084414A (ko) * 1998-05-06 1999-12-06 윤종용 Ieee 1394 네트웍 시스템의 시스템 디바이스 동작 상태 표시 방법
WO1999057838A2 (en) * 1998-05-07 1999-1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to device command and control in a network
KR20010043328A (ko) * 1998-05-07 2001-05-25 윤종용 네트워크내의 디바이스-디바이스간 명령 및 제어를 위한방법 및 시스템
EP0971509A1 (en) * 1998-07-06 2000-01-12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Bandwidth reservation
WO2000070830A1 (fr) * 1999-05-19 2000-11-23 Sony Corporation Procede de communication, dispositif de communication, controleur de communication, systeme de communication et support
KR20010072005A (ko) * 1999-05-19 2001-07-31 이데이 노부유끼 통신방법, 통신장치, 통신 제어 장치, 통신 시스템 및제공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80414A1 (en) 2005-08-18
EP1128273A3 (en) 2003-07-09
EP1128273A2 (en) 2001-08-29
KR20010076337A (ko) 2001-08-11
US20050180413A1 (en) 2005-08-18
US20050180411A1 (en) 2005-08-18
US7050449B2 (en) 2006-05-23
US20050180412A1 (en) 2005-08-18
US20050207438A1 (en) 2005-09-22
US7411950B2 (en) 2008-08-12
JP2001203727A (ja) 2001-07-27
US7453872B2 (en) 2008-11-18
EP1128273B1 (en) 2006-04-05
DE60118450T2 (de) 2006-11-16
CN1306361A (zh) 2001-08-01
US7529262B2 (en) 2009-05-05
CN1193544C (zh) 2005-03-16
US20010021194A1 (en) 2001-09-13
US7411951B2 (en) 2008-08-12
DE60118450D1 (de)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1950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10032277A1 (en) Transmission method, transmission system, transmission control unit and input unit
US7408954B2 (en)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streaming data
JP414768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6993606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connected by a network
KR20020011927A (ko) 통신 제어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장치
US6832267B2 (en) Transmission method, transmission system, input unit, output unit and transmission control unit
JP4491956B2 (ja)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JP4609693B2 (ja) 送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及びデータ送信プログラム
JP2005167387A (ja) 電子機器及び通信制御方法
JPH10124454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内部の信号接続制御方法
EP1098475A1 (en) Network connection recognition method, network system and network connection terminal device
JP2001024654A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並びに提供媒体
JP2001156812A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JP2002051056A (ja)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JP2001148705A (ja) 制御方法及び通信装置
JP2002077750A (ja) 選局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20010036846A (ko) 링크기능을 이용한 브이씨알의 녹화방법
JP2004220681A (ja) デジタル制御記録再生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KR20010036847A (ko) 링크기능을 이용한 브이씨알의 재생방법
KR20010036849A (ko) 링크기능을 이용한 브이씨알의 예약 녹화 및 재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