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927A - 통신 제어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제어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927A
KR20020011927A KR1020010046947A KR20010046947A KR20020011927A KR 20020011927 A KR20020011927 A KR 20020011927A KR 1020010046947 A KR1020010046947 A KR 1020010046947A KR 20010046947 A KR20010046947 A KR 20010046947A KR 20020011927 A KR20020011927 A KR 20020011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response
stat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게야마유이찌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20011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9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06F13/4291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using a clocked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IEEE 1394 방식 등의 네트워크 내에서, 특정 기기로부터의 요구가 있은 후에 무엇인가의 통지를 행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문제를 회피한다.
복수 대의 통신 장치 사이에서 서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된 네트워크 내에서의 통신을 제어하는 경우에, 네트워크 내의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2 통신 장치에 대하여 제1 커맨드를 보내고, 제2 통신 장치의 제어로 실행되는 소정의 상태 변화가 있었던 것을, 제1 통신 장치에 통지시키는 지시를 행했을 때에, 제2 통신 장치는 제1 커맨드를 수신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소정의 상태 변화가 있었을 때만, 제1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태 변화가 있었던 것을 통지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통지하지 않도록 했다.

Description

통신 제어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장치{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에 접속된 기기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되는 통신 제어 방법 및 통신 시스템과, 그 통신 제어 방법을 적용한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IEEE 1394 방식의 직렬 데이터 버스를 이용한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오디오 기기나 비디오 기기(이들 기기를 AV 기기라 함)가 개발되어 있다. 상기 버스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대용량의 동화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을 리얼타임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등시성 전송 모드와, 정지 화상, 텍스트 데이터, 제어 커맨드 등을 확실하게 전송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비동기 전송 모드가 준비되고, 각각의 모드마다 전용의 대역이 전송에 사용되고, 양 모드의 전송은 1개의 버스상에서 혼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소정의 커맨드(AV/C Command Transaction Set: 이하 AVC/C 커맨드라고 한다)를 이용함으로써, AV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IEEE 1394 방식의 상세 및 AV/C 커맨드의 상세에 대해서는 "1394 Trade Association"에 공개되어 있는 "AV/C Digital Interface Command Set General Specification"에 기재되어 있다.
이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에 접속되는 AV 기기 간에서의 AV/C 커맨드의 전송에서는 단순히 상대의 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 커맨드의 전송에 의한 처리 뿐만 아니라, 상대의 기기의 상태를 아는 상태 커맨드나, 상대의 기기로부터 소정의 상태의 변화를 통지시킬수 있도록 요구하는 통지 커맨드가 정의되고, 이들의 커맨드에 기초한 처리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통지 커맨드의 사용예로서는 예를 들면 버스 라인 상의 채널이 비어 있지 않을 때, 그 채널을 설정하고 있는 기기에 대하여 통지 커맨드를 보내고, 채널이 비게 될 때에 이것을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들 커맨드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런데, 네트워크내의 상대의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상태의 변화를 통지시키도록 요구하는 통지 커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커맨드를 수신한 측의 기기에서는 그 커맨드로 지시된 상태의 변화가 언제 발생할 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그 기기내에 어떤 기기로부터의 요구인지를 큐로서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이 큐를 기억해 두는 영역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그 영역이 전부 사용 중일 때는, 새로운 통지 커맨드를 수신했다고 해도 그 커맨드는 거절되어 버린다.
따라서, 예를 들면 어떤 기기에서 기억할 수 있는 큐의 수가 1개이고, 그 기기로 보내진 통지 커맨드로 지시된 상태의 변화가 한참을 경과해도 발생하지 않을 때, 그 기기는 별도의 기기로부터의 통지 커맨드를 받을 수 없는 상태가 계속되는 것으로 되어, 네트워크 내에서 준비된 커맨드를 사용한 통지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는 상태가 발생해 버린다. 이와 같은 경우에, 네트워크내의 기기 구성에 변화가 있었을 때에 발생하는 버스 리셋이 발생할 때까지, 큐의 기억이 계속되고, 버스 리셋이 발생하지 않는 한 새로운 통지 커맨드의 접수를 할 수 없는 상태가 계속되어 버린다.
또,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으로 구성된 네트워크의 경우에는 버스 브릿지를 사용하여 복수의 네트워크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버스 브릿지로 접속된 다른 네트워크내의 기기에는 버스 리셋의 정보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버스 브릿지로 접속된 복수의 네트워크 간에서 통지 커맨드가 교환된 경우에는 버스 리셋에 의한 취소도 유효하게 기능하지 않게 되어 버린다.
예를 들면, 한쪽의 네트워크내의 기기(컨트롤 기기)로부터 통지 커맨드가 출력되고, 다른쪽의 네트워크내의 기기(타겟 기기)에서, 그 커맨드에 의한 지시가 큐로서 기억된 상태에서, 통지 커맨드를 출력한 기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그 네트워크에서는 버스 리셋이 발생하지만, 큐를 기억한 타겟 기기가 속한 네트워크에서는 버스 리셋이 발생하지 않고, 타겟 기기가 불필요한 큐를 기억하게되어 버린다.
또 반대로, 타겟 기기측의 네트워크에서 버스 리셋이 발생했을 때, 기억된큐가 무효하게 되어 있으나, 컨트롤 기기에서는 통지 커맨드에 기초한 이벤트의 통지를 계속 기다리게 된다.
도 1은 통지 커맨드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네트워크 내에 3개의 컨트롤러 a,b,c가 존재하고, 각 컨트롤러로부터의 통지 커맨드를 받은 타겟 기기에서는, 2개의 통지의 큐를 기억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컨트롤러 a로부터 타겟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에 관한 상태 변화를 통지시키는 통지 커맨드를 송신한다(단계 S81).
이 통지 커맨드를 타겟 기기가 수신 하면, 처리 x에 관한 2개의 큐의 기억 영역 내의 하나에, 컨트롤러 a의 노드 ID가 기억되고, 타겟 기기로부터 컨트롤러 a에 대하여, 통지 커맨드를 수리한 것을 나타내는 인터림 응답(INTERIM RESPONSE)을 반송한다(단계 S82).
그 후, 컨트롤러 b로부터 타겟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 x에 관한 상태 변화를 통지시키는 통지 커맨드를 송신했다고 하자(단계 S83). 이 통지 커맨드를 타겟 기기가 수신하면, 처리 x 에 관한 나머지 1개의 큐의 기억 영역에, 컨트롤러 b의 노드 ID가 기억되고, 타겟 기기로부터 컨트롤러 b에 대하여, 통지 커맨드를 수리한 것을 나타내는 인터림 응답을 반송한다(단계 S84).
그 후, 다시 컨트롤러 C로 부터도 타겟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 X에 관한 상태 변화를 통지시키는 통지 커맨드를 송신했다고 하자(단계 S85).
이 통지 커맨드를 타겟 기기가 수신하면, 이 때에는 처리 X에 관한 큐의 기억 영역이 비어 있지 않으므로, 그 통지 커맨드를 거절하는 거절 응답이 타겟 기기로부터 컨트롤러 C에 대하여 반송된다(단계 S86).
그리고, 타겟 기기의 제어에 의해서, 처리 X에 관한 상태 변화가 발생 했을 때, 그 처리 X에 관한 큐에 기억된 컨트롤러 a 및 b에 대하여,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상태 변화의 응답을 보내고(단계 S87, S88), 큐에 기억된 노드 ID를 소거한다.
이와 같이, 타겟 기기에서 큐의 기억 영역이 비지 않은 상태에서는 새로운 통지 커맨드의 수리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별도의 처리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예에서는 컨트롤러 a, b와 타겟기기는 동일한 네트워크내에 존재하고, 이 네트워크와 버스 브릿지로 접속된 별개의 네트워크내에 컨트롤러 C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예에서는 먼저 컨트롤러 a로부터 타겟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 X에 관한 상태 변화를 통지시키는 통지 커맨드를 송신한다(단계 S91). 이 통지 커맨드를 타겟 기기가 수신하면, 처리 X에 관한 2개의 큐의 기억 영역내의 하나에, 컨트롤러 a의 노드 ID가 기억되고, 타겟 기기로부터 컨트롤러 a에 대하여, 통지 커맨드를 수리한 것을 나타내는 인터림 응답을 반송한다(단계 S92).
그 후, 컨트롤러 C로부터도 타겟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 X에 관한 상태 변화를 통지시키는 통지 커맨드를 송신했다고 하자(단계 S93).
이 통지 커맨드를 타겟 기기가 수신하면, 처리 X에 관한 나머지 1개의 큐의 기억 영역에, 컨트롤러 C의 노드 ID가 기억되고, 타겟 기기로부터 컨트롤러 C에 대하여, 통지 커맨드를 수리한 것을 나타내는 인터림 응답을 반송한다(단계 S94).
그 후, 컨트롤러 C가 버스로부터 이탈되었다고 하자. 이 때, 이 컨트롤러 C가 접속된 네트워크 내에서는 버스 리셋이 발생 하지만, 타겟 기기가 접속된 네트워크 내에서는 버스 리셋이 발생하지 않고, 타겟 기기의 큐의 영역에, 컨트롤러 C의 노드 ID가 기억된 상태로 되어 버린다.
따라서, 이 후에 컨트롤러 b로부터 타겟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 X에 관한 상태 변화를 통지시키는 통지 커맨드를 송신했다고 하면(단계 S95), 이 때에는 타겟 기기에 처리 X에 관한 큐의 기억 영역이 비어 있지 않으므로, 그 통지 커맨드를 거절하는 거절 응답이 타겟 기기로부터 컨트롤러 C에 대하여 반송되어 버린다(단계 S96). 그러나 실제로는 컨트롤러 C는 네트워크로부터 이미 이탈되어 있으므로, 필요없는 데이터가 큐에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단계 S95, S96에서 통지 커맨드가 거절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그 후, 예를 들면 컨트롤러 b가 네트워크로부터 이탈되어 버스 리셋이 발생했을 때, 비로서 타겟 기기의 큐의 기억 영역이 초기화된다. 이 버스 리셋이 발생했을 때에는 예를 들면 컨트롤러 a로부터 타겟 기기에 대하여 통지 커맨드를 재송신 함으로써(단계 S97), 컨트롤러 a에 대한 큐의 기억이 복귀한다.
이와 같이, 버스 브릿지로 접속된 다른 네트워크내의 기기로부터의 통지 커맨드의 전송시에는 버스 리셋에 의한 초기화가 유효하게 기능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여기서는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으로 접속된 네트워크에서 통지 커맨드를 사용하는 경우의 문제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그 밖의 통신 구성의 네트워크 내에서의 통지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IEEE 1394방식의 버스 라인등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내에서 특정의 기기로부터의 요구가 있었던 후에, 무엇인가의 통지를 행하는 경우의 문제를 회피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대의 통신 장치 사이에 서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한 네트워크 내에서의 통신을 제어하는 경우에, 네트워크내의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2 통신 장치에 대하여 제1 커맨드를 보내고, 제1 통신 장치의 제어로 실행되는 소정의 상태 변화가 있었던 것을, 제1 통신 장치에 통지시키는 지시를 행했을 때에, 제2 통신 장치는 제1 커맨드를 받은 후 소정 시간이 경과 할 때까지의 동안에, 소정의 상태 변화가 있었을때에만 제1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태 변화가 있었던 것을 통지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통지하지 않도록 했다.
이러한 발명에 의하면, 제1 통신 장치로부터 보내진 통지를 실행시키는 제1 커맨드는 소정 시간 동안만 유효하게 되고, 이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1 커맨드에 의한 지시가 무효로 된다.
도 1은 통지 커맨드의 전송예(예 1)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2는 통지 커맨드의 전송예(예 2)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네트워크 내의 기기의 구성예(IRD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네트워크 내의 기기의 구성예(텔레비젼 수상기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네트워크 내의 기기의 구성예(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내의 기기의 구성예(오디오 기록 재생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네트워크 내의 기기의 구성예(오디오 재생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IEEE 1394 방식의 버스에서의 데이터 전송의 사이클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CRS 아키텍쳐의 어드레스 공간의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주요한 CRS의 위치, 명칭, 기능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제너럴 ROM 포맷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은 버스 인포블록, 루트 디렉토리, 유닛 디렉토리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4는 PCR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5a-15d는 OMPR, OPCR, iMPR, iPCR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6은 플러그, 플러그 컨트롤 레지스터, 전송 채널의 관계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7은 디스크립터의 계층 구조에 의한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8은 디스크립터의 데이터 포맷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9는 도 18의 제너레이션 ID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0은 도 18의 리스트 ID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1은 AV/C 커맨드의 스택 모델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2는 FCP의 커맨드와 응답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3은 도 22의 커맨드와 응답의 관계를 더 상세히 나타내는 설명도.
도 24는 AV/C 커맨드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5는 AV/C 커맨드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6a-26b은 AV/C 커맨드의 커맨드 및 응답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통지 커맨드 수신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통지 커맨드의 포맷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응답의 포맷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송예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통지 커맨드 수신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2는 도 31의 예에 의한 전송예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커맨드 및 응답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4는 도 33의 예에 따른 커맨드 및 응답을 사용한 전송예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튜너
102 : 디스크램블
103 : 디멀티플렉서
104 : MPEG 비디오 디코더
106 : NTSC 인코더
107, 110 : D/A 변환부
109 : MPEG 오디오 디코더
111 : CPU
112 : IEEE 1394 인터페이스
113 : 워크 RAM
114 : RAM
115 : 조작 패널
116 : 적외선 수광부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 3~도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네트워크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예의 경우에는 IEEE 1394 방식에서 규격화된 버스 라인(1a, 1b, 1c, 1d)을 사용하여 복수대의 AV 기기를 접속시켜 네트워크를 구성시키고 있다. 즉, 본 예에있어서는 AV 기기로서, IRD(Intergrated Receiver Decoder: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100)와, 텔레비젼 수상기(200)와,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300)와, 오디오 기록 재생 장치(400)와, 오디오 재생 장치(500)를 준비하여, 각종 기기(100~500)를 구비하는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용 포트를, 버스 라인(1a, 1b, 1c, 1d)에 순서대로 접속시키고 있다.
이 경우, IRD(100)와 텔레비젼 수상기(200)와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300)의 3대의 기기로 제1의 네트워크(N1)가 구성되어 있고, 오디오 기록 재생 장치(400)와 오디오 재생 장치(500)로 제2의 네트워크(N2)가 구성된다. 그리고, 제1 네트워크(N1)와 제2 네트워크(N2)를 버스 라인(1d)으로 접속하고 있다. 이 버스 라인(1d)이 2 개의 네트워크간을 접속시키는 버스 브릿지에 상당한다.
또한, 버스 라인(1a-1d)에 접속되어 있는 각 기기는, AV/C 커맨드에 있어서는 유닛이라고 불리우고 있다. 유닛간에서는 AV/C 커맨드로 규정되어 있는 커맨드를 사용하여, 각 유닛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상호 판독/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유닛이 갖는 각각의 기능은 서브유닛이라고 불리고 있다.
또, 각 유닛은 노드(Node)라고도 불리고, 여기서는 버스 상에서의 노드 ID로서, IRD(100)를 노드 A, 텔레비젼 수상기(200)를 노드 B,,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300)를 노드 C, 오디오 기록 재생 장치(400)를 노드 D, 오디오 재생 장치(500)를 노드 E로 하고 있다. 단, 이 노드 ID는 버스 리셋시에 다시 부여되는 것이며, 별도의 노드 ID로 변화되는 경우도 있다. 또, 실제의 노드 ID는 각 네트워크마다에 부여되는 것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네트워크가 버스 브릿지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노드 ID와 네트워크 식별 ID를 사용하여 각 기기가 인식되는 것이다.
도 4는 IRD(100)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위성으로부터의 방송 전파를 안테나(100a)에 의해서 수신하여 단자(100b)에 입력하고,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 선택 수단으로서의 튜너(101)에 공급한다. IRD(100)는 중앙 제어 유닛(CPU)(111)의 제어에 기초하여 각 회로가 동작하도록 되어 있고, 튜너(101)에 의해서 소정의 채널의 신호를 얻는다. 튜너(101)에서 얻어진 수신 신호는 디스크램블 회로(102)로 공급된다.
디스크램블 회로(102)는 IRD(100) 본체에 삽입된 IC 카드(도시 생략)에 기억되어 있는 계약 채널의 암호 키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데이터 중 계약된 채널(또는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채널)의 다중화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디멀티플렉서(103)에 공급한다.
디멀티플렉서(103)는 공급되는 다중화 데이터를 각 채널마다 재배열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규정된 채널만을 추출하여, 영상 부분의 패킷으로 구성된 비디오 스트림을 MPEG 비디오 데이터(104)에 송출함과 함께, 음성 부분의 패킷으로 구성된 중첩 스트림을 MPEG 오디오 디코더(109)로 송출한다.
MPEG 비디오 데이터(104)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드하는 것에 의해서, 압축 부호화 전의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고, 이것을 가산기(105)를 통해서 NTSC 인코더(106)로 송출한다. NTSC 인코더(106)는 영상 데이터 NTSC 방식의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하고, 이것을 NTSC방식의 비디오 데이터로서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107)로 송출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07)는 NTSC 데이터를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이것을 접속된 수상기에 공급한다. 도 1에서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수상기로서는 예를 들면 텔레비젼 수상기(200)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예의 IRD(100)는 CPU(111)의 제어에 기초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용으로 각종 표시용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GUI 데이터 생성부(108)를 구비한다. 이 GUI 데이터 생성부(108)에서 생성된 GUI용의 영상 데이터(표시 데이터)는 가산기(105)에 공급되어, MPEG 비디오 데이터(104)가 출력하는 영상 데이터에 중첩되어 GUI용의 영상이 수신된 방송의 영상에 중첩되도록 하고 있다.
MPEG 오디오 디코더(109)는 오디오 스트립을 디코드함으로써, 압축 부호화 전의 PCM오디오 데이터를 복원하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10)에 송출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10)는 PCM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화함으로써, LCH 오디오 신호 및 RCH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여, 이것을 접속된 오디오 재생 시스템의 스피커(도시 생략)를 통해서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또한, 본예의 IRD(100)은 멀티플렉서(103)에서 추출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IEEE 1394 인터페이스부(112)에 공급하고, 인터페이스부(112)에 접속된 IEEE(1394) 방식의 버스 라인에 송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수신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은 등시성 전송 모드를 송출된다. 또한 GUI 데이터 생성부(108)에서 GUI용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그 영상 데이터를 CPU(111)를 개재하여 인터페이스부(112)에 공급하고, 인터페이스부(112)로부터 버스 라인에 GUI용의 영상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CPU(111)에는, 워크 RAM(113) 및 RAM(114)이 접속되어 있고, 이들의 메모리를 사용하여 제어 처리가 행해진다. 또, 조작 패널(115)로부터의 조작 지령 및 적외선 수광부(116)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가, CPU(111)에 공급되어, 각종 조작에 기초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버스 라인 측으로부터 인터페이스부(112)로 전송되는 커맨드나 응답 등을 CPU(111)가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5는 텔레비젼 수신기(2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예의 텔레비젼 수상기(200)는,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로 불리우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표시시키는 장치이다.
도시 생략된 안테나가 접속된 튜너(201)에서, 소정의 채널을 수신하여 얻은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 회로부(202)로 공급하여 디코드한다. 디코드된 방송 데이터를 다중 분리부(203)에 공급하여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분리한다. 분리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생성부(204)에 공급하여, 수상용의 처리를 행하고, 그 처리된 신호에 의해 CRT 구동 회로(205)로 음극선관(CRT)(206)을 구동하여 영상을 표시시킨다. 또한, 다중 분리부(203)에서 분리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 재생부(207)로 공급하여 아날로그 변환, 증폭 등의 음성 처리를 행하여, 처리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208)로 공급하여 출력시킨다.
또, 텔레비젼 수상기(200)는,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에 접촉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부(209)를 구비하여,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측으로부터 이 인터페이스부(209)에서 얻어지는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다중 분리부(203)에 공급하여 CRT(206)에서의 영상의 표시 및 스피커(208)로부터의 음성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 튜너(201)가 수신하여 얻은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다중 분리부(203)로부터 인터페이스부(209)로 공급하여 IEEE 1394 방식의 버스측에 송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텔레비젼 수상기(200)에서의 표시 처리 및 인터페이스부(209)를 개재한 후 전송 처리에 대해서는 중앙 제어 유닛(CPU)(210)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CPU(210)에는,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 ROM인 메모리(211) 및 워크 RAM인 메모리(212)가 접속되어 있다. 또, 조작 패널(214)로부터의 조작 정보 및 적외선 수광부(215)가 수광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정보가 CPU(210)에 공급되고, 그 조작 정보나 제어 정보에 대응한 동작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IEEE 1394 방식의 버스를 통해서 인터페이스부(209)가 AV/C 커맨드 등의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그 데이터는 CPU(210)에 공급하여, CPU(210)가 대응한 동작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도 6은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기록계의 구성으로는,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300)에 내장된 튜너(301)에서 소정의 채널을 수신하여 얻은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인코더(302)에 공급하고, 기록에 적합한 방식의 데이터, 예를 들면 MPEG2 방식의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 한다. 수신한 방송 데이터가 MPEG2 방식의 경우에는 인코더(302)에서의 처리는 행하지 않는다.
MPEG 인코더(302)에서 인코드된 데이터는 기록 재생부(303)에 공급되고, 기록용의 처리를 행하고, 처리된 기록 데이터를 회전 헤드 드럼(304)내의 기록 헤드에 공급하여 테이프 카세트(305)내의 자기 테이프에 기록시킨다.
외부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에 대해서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06)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MPEG 인코드(302)에서 예를 들면 MPEG2 방식의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 하여 기록 재생부(303)에 공급하여 기록용의 처리를 행하고, 처리된 기록 데이터를 회전 헤드 드럼(304)내의 기록 헤드에 공급하여, 테이프 카세트(305)내의 자기 테이프에 기록시킨다.
재생계의 구성으로서는, 테이프 카셋트(305) 내의 자기 테이프를 회전 헤드드럼(304)에서 재생하여 얻은 신호를 기록 재생부(303)에서 재생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얻는다. 이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MPEG 디코더(307)에 공급하여, 예를 들어, MPEG2 방식으로부터의 디코드를 행한다. 디코드된 데이터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8)에 공급하여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하여 외부로 출력시킨다.
또한,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300)는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309)를 구비하고,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측으로부터 이 인터페이스(309)에서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기록 재생부(303)에 공급하여 테이프 카셋트(305) 내의 자기 테이프에 기록시킬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 카셋트(305) 내의 자기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기록 재생부(303)로부터 인터페이스(309)에 공급하여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측에 송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인터페이스부(309)를 통한 전송 시에는, 이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300) 내에서 매체(자기 테이프)에 기록하는 방식(예를 들어, 상술한 MPEG2 방식)과,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방식이 다를 때,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300) 내의 회로에서 방식 변환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300)에서의 기록 처리나 재생 처리, 및 인터페이스부(309)를 통한 전송 처리에 대해서는, 중앙 제어 유닛(CPU; 310)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CPU(310)에는, 워크 RAM인 메모리(31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조작 패널(312)로부터의 조작 정보 및 적외선 수광부(313)가 수광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정보가 CPU(310)에 공급되어, 그 조작 정보나 제어 정보에 대응한 동작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IEEE 1394 방식의 버스를 통해 인터페이스부(309)가 AV/C 커맨드 등의 제어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는, 그 데이터는 CPU(310)에 공급되어 CPU(310)가 대응한 동작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7은, 오디오 기록 재생 장치(400)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예의 오디오 기록 재생 장치(400)는, MD(미니 디스크)라 불리우는 수지 패키지에 수납된 광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를 기록 매체로서 사용하여, 음성 신호 등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기록하고 재생하는 장치이다.
기록계의 구성으로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의 2 채널의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01)에서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한다. 변환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는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인코더(402)에 공급하여, ATRAC 방식으로 압축된 음성 데이터로 인코드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직접 디지털 음성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는, 그 입력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01)를 통하지 않고 직접 ATRAC 인코더(402)에 공급한다. 인코더(402)에서 인코드된 데이터는, 기록 재생부(403)에 공급하여 기록용의 처리를 행하고, 그 처리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광 픽업(404)을 구동하여, 디스크(광 자기 디스크)(405)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또, 기록시에는 도시하지 않은 자기 헤드에 의해 자계 변조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재생계의 구성으로서는, 디스크(광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405)에 기록된 데이터를 광 픽업(404)으로 판독하고, 기록 재생부(403)에서 재생 처리를 행하여, ATRAC 방식으로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얻는다. 이 재생 음성 데이터를 ATRAC 디코더(406)에 공급하고, 소정 방식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디코드하여 그 디코드된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07)에 공급하여, 2 채널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시킨다. 또한, 외부에 직접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경우에는, ATRAC 디코더(406)에서 디코드된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07)를 통하지 않고 직접 출력시킨다. 도 7의 예에서는, 아날로그 변환된 출력 음성 신호를 증폭기 장치(491)에 공급하여 증폭 등의 음성 출력 처리를 행하고, 접속된 스피커(492, 493)로부터 2 채널의 음성(오디오)을 출력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오디오 기록 재생 장치(400)는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408)를 구비하여,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측에서 이 인터페이스부(408)에서 얻어지는 음성 데이터를 ATRAC 인코더(402)를 경유하여 기록 재생부(402)에 공급하여, 디스크(405)에 기록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디스크(405)로부터 재생된 음성 데이터를 기록 재생부(402)로부터 ATRAC 디코더(406)를 통해 인터페이스부(408)에 공급하여,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측에 송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오디오 기록 재생 장치(400)에서의 기록 처리나 재생 처리, 및 인터페이스부(408)를 통한 전송 처리에 대해서는, 중앙 제어 유닛(CPU)(410)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CPU(410)에는, 워크 RAM인 메모리(41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조작 패널(412)로부터의 조작 정보가 CPU(410)에 공급되어, 그 조작 정보에 대응한 동작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을 통해 인터페이스부(408)가 AV/C 커맨드 등의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때에는, 그 데이터를 CPU(410)에 공급하여 CPU(410)가 대응한 동작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8은, 오디오 재생 장치(500)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예의 오디오 재생 장치(500)는, CD(컴팩트 디스크)라 불리우는 광 디스크에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이다.
광 디스크(501)에 기록된 데이터를 광 픽업(502)으로 판독하고, 재생부(503)에서 재생 처리를 행하여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얻는다. 이 재생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04)에 공급하고, 2 채널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시킨다. 또한, 외부로 직접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경우에는,재생부(503)에서 처리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04)를 통하지 않고 직접 출력시킨다. 도 8의 예에서는, 아날로그 변환된 출력 음성 신호를 증폭기 장치(491)에 공급하여 증폭 등의 음성 출력 처리를 행하고, 접속된 스피커(492, 493)로부터 2 채널의 음성(오디오)을 출력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오디오 재생 장치(500)는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505)를 구비하여, 디스크(501)로부터 재생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부(503)로부터 인터페이스부(505)에 공급하여,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측에 송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오디오 재생 장치(500)에서의 재생 처리 및 인터페이스부(505)를 통한 전송 처리에 대해서는, 중앙 제어 유닛(CPU)(510)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CPU(510)에는, 워크 RAM인 메모리(51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조작 패널(512)로부터의 조작 정보가 CPU(510)에 공급되어, 그 조작 정보에 대응한 동작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을 통해 인터페이스부(505)가 AV/C 커맨드 등의 제어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는, 그 데이터를 CPU(510)에 공급하여 CPU(510)가 대응한 동작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각 기기를 접속한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으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지는 처리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IEEE 1394으로 접속된 기기의 데이터 전송의 사이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IEEE 1394에서는, 데이터는 패킷으로 분할되고, 125㎲ 길이의 사이클을 기준으로 하여 시분할로 전송된다. 이 사이클은, 사이클 마스터 기능을 갖는노드(버스에 접속된 어느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사이클 스타트 신호에 의해 생성된다. 등시성 패킷은 모든 사이클의 선두로부터 전송에 필요한 대역(시간 단위이지만 대역이라 불림)을 확보한다. 이 때문에, 등시성 전송에서는 데이터의 일정 시간 내의 전송이 보증된다. 단, 전송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보호할 장치가 없어 데이터는 상실된다. 각 사이클의 등시성 전송에 사용되어 있지 않은 시간에, 중재의 결과, 버스를 확보한 노드가 비동기 패킷을 송출하는 비동기 전송에서는, 승인 및 재시도를 이용함으로써 확실한 전송은 보증되지만, 전송 타이밍은 일정하게 되지 않는다.
소정의 노드가 등시성 전송을 행하기 위해서는, 그 노드가 등시성 기능에 대응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등시성 기능에 대응한 노드 중 적어도 하나는, 사이클 마스터 기능을 갖고 있어야 한다. 또한, IEEE 1394 직렬 버스에 접속된 노드의 중 적어도 하나는 등시성 자원 매니저의 기능을 갖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
IEEE 1394는 ISO/IEC 13213에서 규정된 64비트의 어드레스 공간을 갖는 CSR (Control & Status Register) 아키텍쳐에 준거하고 있다. 도 10은 CSR 아키텍쳐의 어드레스 공간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위 16비트는, 각 IEEE 1394 상의 노드를 나타내는 노드 ID이고, 나머지 48비트는 각 노드에 주어진 어드레스 공간의 지정에 사용된다. 이 상위 16비트는 다시 버스 ID의 10비트와 물리 ID(협의적으로는 노드 ID)의 6비트로 분리된다. 모든 비트가 1이되는 값은 특별할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1023개의 버스와 63개의 노드를 지정할 수 있다.
하위 48비트로서 규정되는 어드레스 공간 중의 상위 20비트로 규정되는 공간은 2048 바이트의 CSR 특유의 레지스터나 IEEE 1394 특유의 레지스터 등에 사용되는 이니셜 레지스터 스페이스(lnitial Register Space), 프라이빗 스페이스 (Private Space ), 및 이니셜 메모리 스페이스(lnitial Memory Space) 등으로 분할되고, 하위 28 비트로 규정되는 공간은 그 상위 20비트로 규정되는 공간이 이니셜 레지스터 스페이스인 경우, 컨피그레이션 ROM(configuration read only mcmory), 노드 특유의 용도로 사용되는 이니셜 유닛 스페이스(Initial Unit Space), 플러그 컨트롤 레지스터(Plug Control Register(PCRs)) 등으로서 이용된다.
도 11은, 주요한 CSR의 옵셋 어드레스, 명칭, 및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옵셋이란 이니셜 레지스터 스페이스가 시작되는 FFFFF000000Oh(마지막에 h가 붙은 숫자는 16진 표시인 것을 나타냄) 번지로부터의 옵셋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있다. 옵셋 220h를 갖는 대역폭 이용가능 레지스터(Bandwidth Available Register)는 등시성 통신에 할당 가능한 대역을 나타내고 있고, 등시성 자원 매니저로서 동작하고 있는 노드의 값만이 유효로 된다. 즉, 도 10의 CSR는 각 노드가 갖고 있지만, 대역폭 이용가능 레지스터에 대해서는, 등시성 자원 매니저의 것만이 유효로 된다. 환언하면, 대역폭 이용가능 레지스터는 실질적으로 등시성 자원 매니저만이 갖는다. 대역폭 이용가능 레지스터에는, 등시성 통신에 대역을 할당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최대치가 보존되고, 대역을 할당할 때마다 그 값이 감소해 간다.
옵셋(224h 내지 228h)의 채널 이용가능 레지스터(Channels Available Resister)는, 그 각 비트가 O 내지 63번의 채널 번호의 각각에 대응하여, 비트가 0인 경우에는, 그 채널이 이미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등시성 자원 매니저로서 동작하고 있는 노드의 채널 이용가능 레지스터만이 유효하다.
도 10으로 되돌아가서, 이니셜 레지스터 스페이스 내의 어드레스(200h 내지 400h)에, 제너럴 ROM 포맷에 기초를 둔 컨피그레이션 ROM이 배치된다. 도 12는 제너럴 ROM 포맷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IEEE 1394 상의 액세스의 단위인 노드는, 노드 중에 어드레스 공간을 공통으로 사용하면서 독립적으로 동작을 하는 유닛을 여러개 가질 수 있다. 유닛 디렉토리(unit directories)는, 이 유닛에 대한 소프트웨어의 버전이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버스 인포 블록(bus info block)과 루트 디렉토리(root directory)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지만, 그 밖의 블록의 위치는 옵셋 어드레스에 의해서 지정된다.
도 13은 버스 인포 블록, 루트 디렉토리, 및 유닛 디렉토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버스 인포 블록 내의 컴패니 ID에는, 기기의 제조자를 나타내는 ID 번호가 저장된다. ChiP ID에는, 그 기기 고유의, 다른 기기와 중복이 없는 세계에서 유일한 ID가 기억된다. 또한, IEC61883의 규격에 의해, IEC61883을 만족한 기기의 유닛 디렉토리의 유닛 스펙 ID (Unit spec id)의 제1 옥텟에는 00h가, 제2 옥텟에는 Aoh가, 제3 옥텟에는 2Dh가 각각 기입된다. 또한, 유닛 스위치 버전(unit sw version)의 제1 옥텟에는 01h가, 제3 옥텟의 LSB (Least Significant Bit)에는 1이 기입된다.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기의 입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노드는 도 10의 이니셜 유닛 스페이스 내의 어드레스(900h 내지 9FFh)에, IEC61883으로 규정되는 PCR(Plug Control Register)를 갖는다. 이것은 논리적으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와 유사한신호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플러그라는 개념을 실체화한 것이다. 도 14는, PCR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PCR은 출력 플러그를 나타내는 oPCR(output Plug Contro1 Register), 입력 플러그를 나타내는 iPCR(input Plug Control Register) 을 갖는다. 또한, PCR은 각 기기 고유의 출력 플러그 또는 입력 플러그의 정보를 나타내는 레지스터 oMPR(output Master Plug Register)과 iMPR(input Master Plug Register)을 갖는다. 각 기기는, oMPR 및 iMPR을 각각 복수 개 갖는 것은 아니지만, 개개의 플러그에 대응한 oPCR 및 iPCR을, 기기의 능력에 의해서 복수 개 갖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에 도시되는 PCR은, 각각 31개의 oPCR 및 iPCR을 갖는다. 등시성 데이터의 흐름은, 이들의 플러그에 대응하는 레지스터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된다.
도 15a-15d는, oMPR, oPCR, iMPR, 및 iPCR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oMPR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15b는 oPCR의 구성을, 도 15c는 iMPR의 구성을, 도 15d는 iPCR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다. oMPR 및 iMPR의 MSB 측의 2 비트의 데이터 레이트 캐퍼빌리티(data rate capability)에는, 그 기기가 송신 또는 수신 가능한 등시성 데이터의 최대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코드가 저장된다. oMPR의 브로드캐스트 채널 페이스(broadcast channel base)는, 브로드캐스트 출력에 사용되는 채널의 번호를 규정한다.
oMPR의 LSB 측의 5비트의 번호(number of output plugs)에는, 그 기기가 갖는 출력 플러그 수, 즉 oPCR의 수를 나타내는 값이 저장된다. iMPR의 LSB 측의 5비트의 번호(number of input plugs)에는, 그 기기가 갖는 입력 플러그 수, 즉 ipCR의 수를 나타내는 값이 저장된다. "non-persistent extension fild" 및 "persistent extension field"는, 장래의 확장을 위해 정의된 영역이다.
oPCR 및 iPCR의 MSB의 온라인(on-line)은, 플러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즉, 그 값이 1이면 그 플러그가 ON-LINE이고, 0이면 OFF-LINE인 것을 나타낸다. oPCR 및 iPCR의 브로드캐스트 커넥션 카운터(broadcast connection counter)의 값은, 브로드캐스트 커넥션의 있음 (1) 또는 없음 (O)을 나타낸다. oPCR 및 iPCR의 6 비트 폭을 갖는 포인트 투 포인트 커넥션 카운터 (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가 갖는 값은, 그 플러그가 갖는 포인트 투 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eonneetion)의 수를 나타낸다.
oPCR 및 iPCR의 6비트 폭을 갖는 채널 번호(channel number)가 갖는 값은, 그 플러그가 접속되는 등시성 채널의 번호를 나타낸다. oPCR의 2 비트 폭을 갖는 데이터 레이트(data rate)의 값은, 그 플러그로부터 출력되는 등시성 데이터의 패킷의 현실의 전송 속도를 나타낸다. oPCR의 4 비트 폭을 갖는 오버헤드 ID (overhead ID)에 저장되는 코드는, 등시성 통신의 오버의 대역 폭을 나타낸다. oPCR의 1O 비트 폭을 갖는 페이로드(payload)의 값은, 그 플러그가 취급할 수 있는 등시성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최대치를 나타낸다.
도 16은 플러그, 플러그 컨트롤 레지스터, 및 등시성 채널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V 디바이스(AV-device)(71∼73)는, IEEE 1394 직렬 버스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AV 디바이스(73)의 oMPR에 의해 전송 속도와 oPCR의 수가 규정된 oPCR〔0〕∼oPCR〔2〕 중, oPCR〔1〕에 의해 채널이 지정된 등시성 데이터는, IEEE1394 직렬 버스의 채널 #1(channel #1)에 송출된다. AV 디바이스(71)의 iMPR에 의해 전송 속도와 iPCR의 수가 규정된 ipCR〔0〕과 iPCR〔1〕 중, 입력 채널#1이 전송 속도와 iPCR〔0〕에 의해, AV 디바이스(71)는, IEEE 1394 직렬 버스의 채널#1에 송출된 등시성 데이터를 판독한다. 마찬가지로, AV 디바이스(72)는, oPCR 〔0〕으로 지정된 채널 #2(channel #2)에, 등시성 데이터를 송출하고, AV 디바이스(71)는 iPRC〔1〕로서 지정된 채널 #2로부터 그 등시성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와 같이 하여, IEEE 1394 직렬 버스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는 기기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이 행하여지지만, 본 예의 시스템에서는, 이 IEEE 1394 직렬 버스를 통해 접속된 기기의 컨트롤을 위한 커맨드로서 규정된 AV/C 커맨드 세트를 이용하여, 각 기기의 컨트롤이나 상태의 판단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이 AV/C 커맨드 세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예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AV/C 커맨드 세트에서의 서브유닛 아이덴티파이어 디스크립터(Subunit Identifier Descriptor)의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도 17∼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7은, 서브유닛 아이덴티파이어 디스크립터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유닛 아이덴티파이어 디스크립터의 계층 구조의 리스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리스트란, 예를 들면, 튜너이면 수신할 수 있는 채널, 디스크이면 거기에 기록되어 있는 곡(曲) 등을 나타낸다. 계층구조의 최상위의 리스트는 루트 리스트라고 불리고 있고, 예를 들면, 리스트 O이 그 하위의 리스트에 대한 루트가 된다. 다른 리스트도 마찬가지로 루트 리스트가 된다. 루트 리스트는 오브젝트 수만큼 존재한다. 여기서, 오브젝트란, 예를 들면, 버스에 접속된 AV 기기가 튜너인 경우, 디지털 방송에서의 각 채널 등이다. 또한, 하나의 계층의 모든 리스트는, 공통의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도 18은, 제너럴 서브유닛 디스크립터(General Subunit Identifier Descriptor)의 포맷을 나타내고 있다. 서브유닛 디스크립터에는 기능에 관한 속성 정보가 내용으로서 기술되어 있다. 디스크립터 길이(descriptor length) 필드는, 그 필드 자신의 값은 포함되고 있지 않다. 제너레이션 ID(Generation lD)는, AV/C 커맨드 세트의 버전을 나타내고 있고, 그 값은 예를 들면 "00h" (h는 16진을 나타냄)로 되어있다. 여기서, "OOh"는,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구조와 커맨드가 AV/C 제너럴 규격(General Specification)의 버전 3.0인 것을 뜻하고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00h”를 제외한 모든 값은, 장래의 사양을 위해 예약 확보되어 있다.
리스트 ID 사이즈(size of list ID)는, 리스트 ID의 바이트 수를 나타내고 있다. 오브젝트 ID 사이즈 (size of object ID)는, 오브젝트 ID의 바이트 수를 나타내고 있다. 오브젝트 포션 사이즈(size of object portion)는, 제어시, 참조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리스트 중의 위치(바이트 수)를 나타내고 있다. 루트 오브젝트 리스트 수(number of root object list)는, 루트 오브젝트 리스트의 수를 나타내고 있다. 루트 오브젝트 리스트 ID(root object list id)는, 각각 독립한 계층의 최상위의 루트 오브젝트 리스트를 식별하기 위한 ID를 나타내고 있다.
서브유닛에 속하는 데이터 량(subunit dependent length)는 후속의 서브유닛에 속하는 데이터 필드(subunit dependent information) 필드의 바이트 수를 나타내고 있다. 서브유닛에 속하는 데이터 필드는, 기능에 고유의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인 제조 메이커 특유의 데이터 길이(manufaceturer dependent length)는, 후속의 제조 메이커 특유의 데이터(manufacturer dependent information) 필드의 바이트 수를 나타내고 있다. 제조 메이커 특유의 데이터는, 펜더(제조 메이커)의 사양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또한, 디스크립터 중에 제조 메이커 특유의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이 필드는 존재하지 않는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리스트 ID의 할당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0000h 내지 0FFFh" 및 "4000h 내지 FFFFh"는, 장래의 사양을 위한 할당 범위로서 예약 확보되어 있다. "1000h 내지 3FFFh" 및 "10000h 내지 리스트 ID의 최대치"는 기능 타입의 종속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준비되어 있다.
다음에, 본 예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AV/C 커맨드 세트에 대하여, 도 21 ~ 도 2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1은, AV/C 커맨드 세트의 스택 모델을 나타내고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층(81), 링크층(2), 트랜잭션층(83), 및 직렬 버스 매니지먼트(84)는, IEEE 1394에 준거하고 있다. 기능 제어 프로토콜(FCP: Function Control Protocol)(85)은 IEC61883에 준거하고 있다. AV/C 커맨드 세트(86)는, 1394 TA 스펙에 준거하고 있다.
도 22는 도 21의 FCP85의 커맨드와 응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CP는 IEEE 1394 방식의 버스 상의 기기(노드)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하는 측이 컨트롤러이고, 제어되는 측이 타겟이다. FCP의 커맨드의 송신 또는 응답은, IEEE 1394의 비동기 통신의 라이트 트랜잭션을이용하여, 노드 사이에서 행해진다. 데이터를 수취한 타겟은, 수신 확인을 위해 응답을 컨트롤러에 반환한다.
도 23는, 도 22에 도시된 FCP의 커맨드와 응답의 관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IEEE 1394 버스를 통해 노드(A)와 노드(B)가 접속되어 있다. 노드(A)가 컨트롤러이고, 노드(B)가 타겟이다. 노드(A)와 노드(B)에는, 커맨드 레지스터 및 응답 레지스터가 각각 512 바이트씩 준비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가 타겟의 커맨드 레지스터(93)에 커맨드 메시지를 기입하는 것에 의해 명령을 전송한다. 또한 반대로, 타겟이 컨트롤러의 응답 레지스터(92) 에 응답 메시지를 기입하는 것에 의해 응답을 전송하고 있다. 이상 2개의 메시지에 대하여, 제어 정보의 교환을 행한다. FCP로 전송되는 커맨드 세트의 종류는, 후술하는 도 24의 데이터 필드 중의 CTS에 기록된다.
도 24는, AV/C 커맨드의 비동기 전송 모드로 전송되는 패킷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AV/C 커맨드 세트는, AV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 세트로, CTS (커맨드 세트의 ID) = "0000" 이다. AV/C 커맨드 프레임 및 응답 프레임이, 상기 FCP를 이용하여 노드 사이에서 교환된다. 버스 및 AV 기기에 부담을 걸지 않기 위해서 커맨드에 대한 응답은 1OOms 이내에 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동기 패킷의 데이터는, 수평 방향 32 피트(= 1 quadlet)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상단은 패킷의 헤더 부분을 나타내고 있고, 도면 중 하단은 데이터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목적지 ID(destination ID)는 수신처를 나타내고 있다.
CTS는 커맨드 세트의 ID를 나타내고 있고, AV/C 커맨드 세트에서는 CTS = "0000"이다. C 타입/응답(C type/response)의 필드는, 패킷이 커맨드인 경우에는 커맨드의 기능 분류를 나타내고, 패킷이 응답인 경우에는 커맨드의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커맨드는 크게 나누어, (1) 기능을 외부에서 제어하는 커맨드 (CONTROL), (2) 외부에서 상태를 문의하는 커맨드 (STATUS), (3) 제어 커맨드의 서포트의 유무를 외부에서 문의하는 커맨드 (GENERAL INQUIRY (opcode의 서포트의 유무) 및 SPECIFIC INQUIRY (opcode 및 operands의 서포트의 유무)), (4) 상태의 변화를 외부에 알리도록 요구하는 커맨드 (NOTIFY) 의 4 종류가 정의되어 있다.
응답은 커맨드의 종류에 따라서 반환된다. 컨트롤(CONTROL) 커맨드에 대한 응답에는, 「실장되어 있지 않음」(NOT IMPLEMENTED), 「수용」(ACCEPTED), 「거절」(REJECTED), 및 「잠정」(INTERIM)이 있다. 스테이터스 (STATUS) 커맨드에 대한 응답에는, 「실장되어 있지 않음」(NOT IMPLEMENTED), 「거절」(REJECTED), 「이행중」(IN TRANSITION), 및 「안정」(STABLE)이 있다. 커맨드의 서포트의 유무를 외부에서 문의하는 커맨드(GENERAL INQUIRY 및 SPECIFIC INQUIRY)에 대한 응답에는 「실장되어 있음」(IMPLEMENTED) 및 「실장되어 있지 않음」(NOT IMPLEMENTED) 이 있다. 상태의 변화를 외부에 알리도록 요구하는 커맨드(NOTIFY)에 대한 응답에는 「실장되어 있지 않음」(NOT IMPLEMENTED), 「거절」(REJECTED), 「잠정」(INTERIM) 및「변화됨」(CHANGED)이 있다.
서브유닛 타입(subunit type)은 기기 내의 기능을 특정하기 위해서 설치되고 있고, 예를 들면, 테이프 레코더/플레이어(tape recorder/player), 튜너(tuner) 등이 할당된다. 이 서브유닛 타입에는, 기기에 대응한 기능 외에 다른 기기에 정보를 공개하는 서브유닛인 BBS(Bulletin Board Subunit)에 대해서도 할당이 있다. 동일한 종류의 서브유닛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의 판별을 행하기 위해서, 판별 번호로서 서브유닛 ID(subunit id)로 어드레싱을 행한다. 오퍼레이션의 코드인 오피코드(opcode)는 커맨드를 나타내고 있고, 피연산자(operand)는 커맨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있다. 필요에 따라서 부가되는 필드(additional operands)도 준비되어 있다. 피연산자의 후에는 제로(0) 데이터 등이 필요에 따라 부가된다. 데이터 CRC(Cyclic Redundancy Check)는 데이터 전송 시의 에러 체크에 사용된다.
도 25는, AV/C 커맨드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5의 좌측은, 커맨드 타입/응답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 상단이 커맨드를 표하고 있고, 도면 중 하단이 응답을 표하고 있다. "OOOO"에는 컨트롤(CONTROL), "0001"에는 스테이터스(STATUS), "0010"에는 스피시픽 인콰이어리(SPECIFIC INQUIRY), "0011"에는 노티파이(NOTIFY), "0100"에는 제너럴 인콰이어리(GENERAL INQUIRY)가 할당되어 있다. "0101 내지 O111"는 장래의 사양을 위해 예약 확보되어 있다. 또한, "1OOO"에는 실장되지 않음(NOT INPLEMENTED), "1001"에는 수용(ACCEPTED), "1010"에는 거절 (REJECTED), "1011"에는 이행중 (IN TRANSITION), "1100"에는 실장되어 있음 (IMPLEMENTED/STABLE), "1101"에는 상태 변화 (CHANGED), "1111"에는 잠정 응답 (INTERIM) 이 할당되어 있다. "1110"는 장래의 사양를 위해 예약 확보되어 있다.
도 25의 중앙은, 서브유닛 타입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00000"에는 비디오 모니터, "O0011"에는 디스크 레코더/플레이어, "00100"에는 테이프 레코더/플레이어, "00101"에는 튜너, "00111"에는 비디오 카메라, "01010"에는 BBS (Bulletin Board Subunit)라 불리우는 게시판으로서 사용되는 서브유닛, "111OO"에는 제조 메이커 특유의 서브유닛 타입(Vender unique), "1111O"에는 특정한 서브유닛 타입(Subunit type extended to next byte)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11111"에는 유닛이 할당되어 있지만, 이것은 기기 그 자체에 전송되는 경우에 이용되고, 예를 들면 전원의 온 오프 등을 들 수 있다.
도 25의 우측은, 오피코드(오퍼레이션 코드; opcode) 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각 서브유닛 타입마다 오퍼레이션 코드의 테이블이 존재하고, 여기서는, 서브유닛 타입이 테이프 레코더/플레이어의 경우의 오퍼레이션 코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오피코드마다 피연산자가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OOh"에 는 제조 메이커 특유의 값(Vender dependent), "50h"에는 검색 모드, "51h"에는 타임 코드, "52h"에는 ATN, "60h"에는 오픈 메모리, "61h"에는 메모리 판독, "62 h"에는 메모리 기입, "C1h"에는 로드, "C2h"에는 녹음, "C1C3h"에는 재생, "C4h"에는 되감기가 할당되고 있다.
도 26a-26b는, AV/C 커맨드와 응답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타겟(소비자)으로서의 재생 기기에 재생지시를 행하는 경우, 컨트롤러는, 도 26a와 같은 커맨드를 타겟에 전송한다. 이 커맨드는, AV/C 커맨드 세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CTS = "0000"으로 되어 있다. ctype(커맨드 타입)에는, 기기를 외부에서 제어하는 커맨드(CONTROL)를 이용하기 때문에, c 타입 = "0000"로 되어 있다(도 25 참조). 서브유닛 타입은 테이프 레코더/플레이어인 것보다, 서브유닛 타입 ="00100"으로 되어 있다(도 25 참조). id는 ID0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id = "OOO"으로 되어 있다. 오퍼레이션 코드는 재생을 의미하는 "C3h"로 되어 있다 (도 25 참조). 피연산자는 순방향(FORWARD)을 의미하는 "75h"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재생되면, 타겟은 도 26b와 같은 응답을 컨트롤러에게 반환된다. 여기서는, 「수용」(accepted)이 응답에 들어 가기 때문에, 응답 = "1001"로 되어 있다(도 25 참조). 응답을 제외하고 다른 것은 도 26a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을 사용하여 실행되는, 본예의 전송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네트워크 구성으로 한 뒤에, 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기기에서 상술한 AV/C 커맨드의 교환을 행하는 것으로 하고, 그 커맨드로서 통지(NOTIFY)를 사용하는 경우의 처리이다. 노티파이 커맨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대의 기기로부터 소정의 상태 변화를 통지시키도록 요구하는 소위 통지 커맨드이다. 이 노티파이 커맨드를 수신한 기기에서는, 그 커맨드로 지시된 통지를 행하기 위해서, 노티파이용의 큐의 기억처리를 행한다. 이 큐의 기억은, 예를 들면 각 기기의 중앙 제어 유닛에 접속된 메모리를 기억영역으로서 사용하고, 노티파이 커맨드의 발행원의 노드 ID 등을 기억한다. 그리고, 노티파이 커맨트로 지시된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다고 제어 수단이 판단했을 때, 큐에 기억된 노드 ID의 기기에 대하여, 해당하는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것을 통지한다. 이 통지는, 상태 변화 (CHNGED) 의 응답이 사용된다.
노티파이 커맨드의 사용예 로서는, 예를 들면 버스 라인 상에서의 채널이나 대역의 사용상태에 관한 변화가 있었을 때에, 그것을 알리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IEEE 1394 방식의 버스 라인에서는, 준비된 채널 중의 특정한 채널 및 대역을 사용하여, 다른 기기와의 커넥션을 다투어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것이 행해지지만, 그 커넥션을 해제하여, 그 채널을 사용되지 않은 상황에 개방하는 것은, 커넥션을 다투어 기기로 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해당하는 채널을 사용하고 싶은 다른 기기가 있었을 때, 그 커넥션을 다툰 기기에 대하여 해당하는 채널이 개방되는 처리가 실행된 때에 통지시키도록, 노티파이 커맨드를 보내는 것이 고려된다.
도 27는, 본 예의 경우에. 타겟이 되는 기기가 노티파이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의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도 27의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설명하면, 우선 각 기기의 제어 수단(중앙 제어 유닛 등)은, 버스 라인을 통해 자국선의 노티파이 커맨드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T11). 이 판단에서, 노티파이 커맨드를 수신한 것이라고 판단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노티파이 커맨드를 기억한 것이 라고 판단했을 때, 큐의 기억 영역이 비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T12).
여기서, 큐의 기억 영역이 비어있음을 판단했을 때에는, 커맨드 발행원의 노드 ID를 해당하는 큐의 기억 영역에 기억시킨다 (단계 ST13). 또한, 이 큐의 기억을 행했을 때에는, 노티파이 커맨드가 정상적으로 처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커맨드의 발행원에 대하여 「잠정」(INTERIM) 의 응답을 송신한다. 또, 노티파이 커맨드로 지시된 통지할 필요가 있는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를 기억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에 대해서도 동시에 기억시킨다. 또한, 통지하는 상태 변화마다 큐의 기억 영역이 나뉘어져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상태 변화에 관한 정보의 기억은 필요없다.
그리고 단계 ST13에서 기억시키는 처리를 행한 후, 제어 수단의 내부에 설정된 카운터의 카운트 다운을 개시시킨다(단계 ST14). 이 카운터는, 노티파이 커맨드를 수신하고 나서 그 커맨드의 지시가 유효인 시간을 정하는 카운터이고, 예를 들면 수분에서 수십분 정도의 사전에 결정된 일정 시간의 계측을 카운트 다운으로 행한다.
이 카운트를 개시한 후에는, 통지 커맨드로 지시된 통지할 필요가 있는 상태 변화가 있는지 없는지를 감시하고, 그 상태 변화가 발생했을 때는, 큐에 기억된 노드 ID에 대하여 상태 변화(CHNCED)의 응답을 송신한다. 여기서. 제어 수단에서는 이 상태변화(CHNCED)의 응답의 송신을 행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단계 ST15), 그 응답의 송신을 행한 경우, 단계 ST19로 행하여, 해당하는 큐에 기억된 노드 ID 등의 데이터를 소거한다.
또한, 단계 ST15에서 상태 변화의 응답의 송신이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동일한 기기로부터의 재차 노티파이 커맨드의 전송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T16). 이 판단에서, 동일한 기기로부터의 재차 노티파이 커맨드의 전송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 단계 ST14에서 카운트 다운시킨 카운터 값을 초기치로 리세트시켜, 재차 그 초기치로부터의 카운터 다운을 개시시킨다(단계 ST17).
또한, 단계 ST16에서 동일한 기기로부터의 재차 노티파이 커맨드의 전송이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단계 ST14에서 카운트 다운시킨 카운터의 값이 O으로 되고, 마감 시간( 타임아웃)이 됐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T18). 이 판단에서 마감 시간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와, 단계 ST17에서의 타임 값의 리셋을 행한 경우에는, 단계 ST15의 판단으로 되돌아가서, 상태 변화의 응답의 송신을 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한다.
그리고, 단계 ST18의 판단에서 마감 시간이 됐다고 판단했을 때, 단계 ST19로 행하여, 해당하는 큐에 기억된 노드 ID 등의 데이터를 소거한다. 단계 ST19에서 소거한 후에는, 단계 ST11에 되돌아가서, 다음의 노티파이 커맨드의 수신이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 또한, 단계 ST12의 판단에서, 큐의 기억 영역에 빈 부분이 없다고 판단한 때에는, 노티파이 커맨드를 거절(REJECTED)하는 응답을 반송한다(단계 ST20). 이때에는, 노티파이 커맨드용의 카운터(즉, 단계 ST14에서 개시된 카운터)가 타임아웃하기까지의 남은 시간의 정보를 부가하여 전송한다. 단계 ST20에서 응답을 전송한 후에는, 단계 ST11의 판단으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본예의 경우에 전송되는 노티파이 커맨드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28은, 노티파이 커맨드가 전송될 때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 28에 나타난 오퍼레이션 코드와 피연산자(오퍼랜드)의 데이터는 도 24에 나타난 AV/C 커맨드 패킷의 오퍼레이션 코드와 피연산자의 구간에 배치된다. 도 28에 나타낸 노티파이 커맨드의 데이터의 경우에는, 등시성 채널의 사용상태의 변화를 통지하기 위한 예로, 채널의 사용상태로 변화하였을 때(구체적으로는 채널에 빈 부분이 발생했을 때), 통지를 행하는 것이다. 오퍼레이션 코드 구간에는 채널 사용 상태의 데이터를 배치하고, 피연산자〔o〕의 구간에는, 등시성 채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배치된다. 그 밖의 피연산자의 구간은, 여기서는 최대치〔FF〕를 배치한다.
그리고, 이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29에 나타나는 데이터 구성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의 응답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노티파이 커맨드에 의한 통지를 승낙하는 「잠정(INTERIM)」 응답을 송신하는 경우(단계 ST13에서의 처리)와, 노티파이 커맨드에 의한 통지를 거절하는 「거절」(REJECTED) 응답을 송신하는 경우(단계 ST20에서의 처리)등이 있고, 도 24에 나타낸 AV/C 커맨드 패킷의 응답 타입의 데이터로, 어느 하나가 나타내어 진다. 그리고 오퍼레이션 코드의 구간과 피연산자〔O〕 구간은 커맨드 데이터가 그대로 배치된다.
그리고, 피연산자〔1〕 이후의 구간에는, 지정된 등시성 채널의 현재의 사용 상황에 관한 데이터가 배치된다. 도 27의 예에서는, 피연산자 1〕,〔2〕에, 그 채널을 사용하고 있는 노드 ID의 데이터가 배치되어, 피연산자〔3〕에, 사용하고 있는 출력 플러그(oPCR) 번호의 데이터가 배치된다.
그리고, 피연산자〔4〕에, 노티파이 커맨드 용의 카운터의 현재의 카운트값에 기초한 타임아웃 시간의 데이터를 배치한다. 예를 들면, 노티파이 커맨드용의 카운터가 10분의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라고 하면, 「잠정」(INTERIM) 응답의 경우에는, 카운트 다운을 개시한 직후이기 때문에, 타임아웃 시간으로서 10분을 통지한다. 또한, 「거절」(REJECTED) 응답의 경우에는, 현재 사용 중의 큐를 설정했을 때에 카운트 다운시킨 카운터의 남은 시간(즉 10분 미만의 값)을 통지한다.
또한, 도 28, 도 29의 예에서는, 채널의 사용상태에 관한 변화가 있는 것을통지하는 노티파이 커맨드 및 응답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그 밖의 상태에 관한 변화가 있는 것을 통지시키는 노티파이 커맨드 및 응답으로 해도 된다. 또한, 채널의 사용 상태에 관한 변화가 있는 것을 통지시키는 노티파이 커맨드 및 응답의 경우에는, 타겟이 되는 기기는, 해당하는 채널을 사용하여 커넥션을 설정한 기기가 된다. 또한, 채널의 설정 외에, 버스 라인상에서의 대역 설정에 대하여, 동일한 형태의 노티파이 커맨드 및 응답으로 설정 상태의 변화를 통지시키도록 해도 된다.
도 30은, 본 예의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노티파이 커맨드를 전송한 경우의 처리 예를, 타겟 기기에서의 큐의 기억 상태와, 응답 등의 전송 상태를 시간의 경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네트워크 구성 중의 노드 A의 기기(IRD100)를 타겟으로 하여, 노드 B의 기기(텔레비전 수상기200)는 제1 컨트롤러, 노드 C의 기기(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 300)는 제2 컨트롤러, 노드 D의 기기(오디오 기록 재생 장치400)는 제3 컨트롤러로 한다. 그리고, 타겟에 대하여 각 컨트롤러는 노티파이 커맨드를 전송한 경우에 대한 처리로 한다. 또한. 본예의 타겟(노드 A)는, 상태 X에 관한 큐로서 두개의 기억 영역이 준비되는 것으로 한다.
도 30에 따라 전송 상태를 설명하면, 우선 제1 컨트롤러(노드 B)가, 타겟(노드 A)에 대하여, 상태 X에 관한 변화를 통지시키기 위한 노티파이 커맨드를 전송한다(단계 S11). 이 커맨드를 수신한 타겟(노드 A)에서는, 두개의 큐의 기억 영역 중 하나에 노드 B의 노드 ID를 기억시켜, 제1 컨트롤러(노드 B)에 대하여 노티파이 커맨드를 승낙하는 「잠정」(INTERIM)의 응답을 전송한다(단계 S12). 또, 단계S11의 처리가 행해진 단계에서, 일정한 시간 t0를 계측하는 카운터의 카운트 다운을 개시시킨다.
다음에, 제2 컨트롤러(노드 C)가, 타겟(노드 A)에 대하여, 상태 X에 관한 변화를 통지시키기 위한 노티파이 커맨드를 전송했다고 한다(단계 S13). 이 커맨드를 수신한 타겟(노드 A)에서는, 남은 하나의 큐의 기록 영역에 노드 B의 노드 ID를 기억시켜, 제2 컨트롤러(노드 C)에 대하여 노티파이 커맨드를 승낙하는 「잠정」(INTERIM) 응답을 전송한다(단계 S14).
여기까지의 처리가 행하여진 상태에서, 타겟 기기에서는, 노드 B의 노티파이 커맨드를 수신하고 나서, 카운터로 계측하는 시간 t0이 경과하여 타임아웃이 된 것으로 한다. 이 때, 노드 B의 노드 ID의 큐의 기억이 소거된다. 이 큐의 기억 영역의 하나가 소거되는 것으로, 다른 컨트롤러로부터의 노티파이 커맨드를 승낙하게 된다. 즉, 예를 들면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컨트롤러(노드 D)로부터 타겟(노드 A)에 대하여, 상태 X에 관한 변화를 통지시키기 위한 노티파이 커맨드가 전송되면(단계 S15), 하나의 큐의 기억 영역에, 노드 C의 노드 ID를 기억시켜, 제3 컨트롤러(노드 D)에 대하여, 노티파이 커맨드를 승낙하는 「잠정」(INTERIM)의 응답을 전송하는 처리가 행해진다(단계 S16).
또한 이 예에서는, 타겟 기기에서는, 노드 C의 노티파이 커맨드를 수신하고 나서, 카운터로 계측하는 시간 t0이 경과하여 타임아웃하기 전(또는 타임아웃한 직후)에, 제2 컨트롤러(노드 C)로부터, 타겟(노드 A)에, 상태 X에 관한 변화를 통지시키기 위한 노티파이 커맨드가 재차 전송되었다고 한다(단계 S17). 이 재차의 노티파이 커맨드의 전송으로, 카운터로 계측하는 시간이 초기치로 복귀되어, 노드 C의 큐가 소거되지 않고 남는다.
또한, 타겟 기기에 있어서, 노드 D의 노티파이 커맨드를 수신하고 나서, 카운터로 계측하는 시간 t0이 경과하여 타임아웃이 된 것으로 한다. 이 때, 노드 D의 노드 ID의 큐의 기억이 소거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컨트롤러(노드 D)가 네트워크로부터 이탈된 경우에도, 이 노드 D의 노드 ID의 큐의 기억이 타겟 기기에 남는 일이 없게 되어, 타겟 기기에 준비된 큐의 기억 영역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컨트롤러 측에서, 노티파이 커맨드에 의한 통지를 언제까지나 기다리고 싶은 경우에는, 단계 S17에 나타낸 노티파이 커맨드의 재차의 전송에 의한 확인을 행하는 것으로, 유효 기간이 갱신되어, 노티파이 커맨드는 계속 유효하다. 이 유효 기간이 갱신 처리를 반복하는 것으로, 장시간 통지를 계속 대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컨트롤러측에서 유효 기간이 끊어지는 것에 대한 판단은, 예를 들면 노티파이 커맨드를 전송한 직후에 반송되는 응답에 포함되는 타임아웃 시간의 데이터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또, 여기까지 설명한 처리에서는, 타겟 기기에 있어서, 타임아웃 시간이 됐을 때, 해당하는 큐의 기억 데이터를 소거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것만 설명하였지만, 타겟 기기로부터 컨트롤러에 대하여, 노티파이 커맨드에 의한 통지가 타임아웃임을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도 31의 플로우차트는, 이 경우의 타겟 기기에서의 처리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단계(ST 19)에서의 타임아웃이 되었을 때의 해당하는 큐의 노드 ID를 소거하는 처리까지는, 도 25의 플로우차트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 에는 단계(ST 19)의 소거 처리를 행한 후에, 소거한 노드의 컨트롤러에 대하여, 「거절」(REJECTED)의 응답을 보내어, 노티파이 커맨드에 의한 통지가 무효화된 것을 통지한다(단계(ST 21)). 그리고, 그 통지 후에, 단계(ST 11)로 되돌아가, 노티파이 커맨드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이와 같이 무효화된 것을 통지함으로써, 이 응답을 수신한 컨트롤러에서는, 타임아웃이 되는 시간을 카운트하지 않고, 자신이 보낸 노티파이 커맨드가 무효가 된 것을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32는, 타임아웃이 된 것을 통지하는 경우의 전송 처리예를, 타겟 기기에서의 큐의 기억 상태와, 응답 등의 전송 상태를 시간의 경과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타겟을 노드 A의 기기로 하고, 제1 컨트롤러를 노드 D의 기기로 하고, 제2 컨트롤러를 노드 C의 기기로 하고, 타겟에서는 하나의 큐의 기억 영역만이 준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2에 따라서 전송 상태를 설명하면, 우선 제1 컨트롤러(노드 D)가, 타겟(노드 A)에 대하여, 상태 X에 관한 변화를 통지시키기 위한 노티파이 커맨드를 전송한다(단계 S21). 이 커맨드를 수신한 타겟(노드 A)에서는, 큐의 기억 영역에, 노드 D의 노드 ID를 기억시키고, 제1 컨트롤러(노드 D)에 대하여, 노티파이 커맨드를승낙하는「잠정(暫定)」(INTERIM)의 응답을 전송한다(단계 S22). 또, 단계 S22의 처리가 행하여진 단계에서, 일정한 시간 t0를 계측하는 카운터의 카운트 다운을 개시시킨다.
다음에, 제2 컨트롤러(노드 C)가, 타겟(노드 A)에 대하여, 상태 X에 관한 변화를 통지시키기 위한 노티파이 커맨드를 전했던 것으로 한다(단계 S23). 이 커맨드를 수신한 타겟(노드 A)에서는, 큐의 기억 영역에 빈 부분이 없기 때문에, 그 노티파이 커맨드를 거절(REJECTED)하는 응답을 보내어, 노티파이 커맨드에 의한 통지를 할 수 없는 것을 통지한다(단계 S24). 이 거절의 응답에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드 D의 큐가 타임아웃하는 시간의 정보를 부가한다.
그리고, 제1 컨트롤러(노드 D)의 큐를 기억하고 나서, 시간 t0가 경과하여 타임아웃하면, 해당하는 큐의 기억 데이터가 소거된다. 이 때, 타겟(노드 A)으로부터 제1 컨트롤러(노드 D)에 대하여, 노티파이 커맨드가 무효가 된 것을 나타내는 거절(REJECTED)의 응답을 전송한다(단계 S25). 이 응답에는, 타임아웃 시간의 정보를 부가시키지 않는다.
또한, 타임아웃이 되기 전에 거절의 응답을 수신한 제2의 컨트롤러(노드 C)에서는, 그 거절의 응답에 부가된 타임아웃 시간부터, 타임아웃이 되는 타이밍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노드 D의 큐의 기억이 소거된 직후에, 제2 컨트롤러(노드 C)가, 타겟(노드 A)에 대하여, 상태 X에 관한 변화를 통지시키기 위한 노티파이 커맨드를 재차 전송하여(단계 S26), 노티파이 커맨드의 전송을 성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단계(S26)에서의 노티파이 커맨드의 전송이 있으면, 큐의 기억 영역에, 노드 C의 노드 ID를 기억시키고, 제2 컨트롤러(노드 C)에 대하여, 노티파이 커맨드를 승낙하는「잠정」(INTERIM)의 응답을 전송한다(단계 S27).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큐의 기억 데이터를 소거시키는 조건으로서, 타임아웃이 되었을 때로 하였지만, 그 외의 조건으로 큐의 기억 데이터를 소거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타겟으로 되는 기기의 메인의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화했을 때(단 버스 라인을 통해 통신을 행하기 위한 부분의 전원은 투입된 그대로로 한다), 상태의 변화를 통지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것으로 하여, 큐의 기억 데이터를 소거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 32의 예에서는, 타겟으로 되는 기기가 전원 오프로 되었을 때, 그 때에 큐로서 기억된 컨트롤러(노드 C)에 대하여, 노티파이 커맨드가 무효화된 것을 나타내는 거절(REJECTED)의 응답을 전송한다(단계 S28). 이 응답에는, 타임아웃 시간의 정보를 부가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전원 오프 등으로 노티파이 커맨드가 무효화된 것을 통지함으로써, 노티파이 커맨드를 전송한 측의 기기에서, 상태가 변화하는 것의 통지를 계속하여 대기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마감 시간(타임아웃)에서 노티파이 커맨드가 무효화되는 경우의 응답과, 큐의 기억 영역이 없기 때문에 노티파이 커맨드가 무효화되는 경우의 응답을, 동일한 거절(REJECTED)의 응답으로서 전송하도록 하였지만, 각각을 다른 응답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큐의 기억 영역에 빈 부분이 없기 때문에, 노티파이 커맨드를 접수할 수 없는 상태(소위 큐 과도 상태)로 전송되는 응답을, 미정의의 데이터값을 사용하여 새롭게 정의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도 3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큐 과도를 나타내는〔TIMEOUT TIME〕의 응답을 값 "1110"으로 정의시켜서(그 외는 도 25에 나타낸 커맨드 및 응답과 동일함), 큐 과도 상태일 때, 이〔TIMEOUT TIME〕의 응답을 반송하고, 그 응답으로 나타내어지는 타임아웃 시간부터, 노티파이 커맨드가 접수되는 시간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도 34은, 이 응답을 준비한 경우의 전송 처리예를, 타겟 기기에서의 큐의 기억 상태와, 응답 등의 전송 상태를 시간의 경과로써 나타낸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타겟을 노드 A의 기기로 하고, 제1 컨트롤러를 노드 D의 기기로 하고, 제2 컨트롤러를 노드 C의 기기로서 하고, 타겟에서는 하나의 큐의 기억 영역만이 준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4에 따라서 전송 상태를 설명하면, 우선 제1 컨트롤러(노드 D)가, 타겟(노드 A)에 대하여, 상태 X에 관한 변화를 통지시키기 위한 노티파이 커맨드를 전송한다(단계 S31). 이 커맨드를 수신한 타겟(노드 A)에서는, 큐의 기억 영역에, 노드 D의 노드 ID를 기억시키고, 제1 컨트롤러(노드 D)에 대하여, 노티파이 커맨드를 승낙하는「잠정」(INTERIM)의 응답을 전송한다(단계 S32). 또한, 단계 S22의 처리가 행하여진 단계에서, 일정한 시간 t0를 계측하는 카운터의 카운트 다운을 개시시킨다.
다음에, 제2 컨트롤러(노드 C)가, 타겟(노드 A)에 대하여, 상태 X에 관한 변화를 통지시키기 위한 노티파이 커맨드를 전송했던 것으로 한다(단계 S33). 이 커맨드를 수신한 타겟(노드 A)에서는, 큐의 기억 영역에 빈 부분이 없기 때문에, 큐 과도를 나타내는 [TIMEOUT TIME〕의 응답을 전송하고, 큐 과도로 인해 노티파이 커맨드에 따른 통지를 할 수 없는 것을 통지한다(단계 S34). 이 때, 노드 D의 큐가 타임아웃하는 시간의 정보가 부가되어 있음으로써, 제2 컨트롤러(노드 C)는, 노티파이 커맨드를 접수할 수 있도록 되는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컨트롤러(노드 D)의 큐를 기억하고 나서, 시간 t0가 경과하여 타임아웃하면, 해당하는 큐의 기억 데이터가 소거된다. 이 때, 타겟(노드 A)로부터 제1 컨트롤러(노드 D)에 대하여, 노티파이 커맨드가 무효화된 것을 나타내는 거절(REJECTED)의 응답을 전송한다(단계 S35). 이 응답에는, 타임아웃 시간의 정보를 부가시키지 않는다.
또한, 큐 과도를 나타내는〔TIMEOUT TIME〕의 응답을 수신한 제2의 컨트롤러(노드 C)에서는, 그 응답에 부가된 타임아웃 시간부터, 타임아웃이 되는 타이밍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노드 D의 큐의 기억이 소거된 직후에, 제2 컨트롤러(노드 C)가, 타겟(노드 A)에 대하여, 상태 X에 관한 변화를 통지시키기 위한 노티파이 커맨드를 재차 전송하여(단계 S36), 노티파이 커맨드의 전송을 성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단계 S36에서의 노티파이 커맨드의 전송이 있으면, 큐의 기억 영역에, 노드 C의 노드 ID를 기억시키고, 제2 컨트롤러(노드 C)에 대하여, 노티파이 커맨드를 승낙하는 「잠정」(INTERIM)의 응답을 전송한다(단계 S37).
또한, 타겟으로 되는 기기가 전원 오프로 되었을 때에는, 그 때에 큐로서 기억된 컨트롤러(노드 C)에 대하여, 노티파이 커맨드가 무효화된 것을 나타내는 거절(REJECTED)의 응답을 전송한다(단계 S38). 이 응답에는, 타임아웃 시간의 정보를 부가시키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큐 과도인 것을 나타내는 전용의 응답을 준비함으로써, 응답을 수신하는 측의 기기에서는, 노티파이 커맨드가 무효화되었을 때, 그 무효화된 원인을 보다 상세히 알 수 있어, 신속하게 필요한 대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노티파이 커맨드를 수신하는 타겟 기기로서, IRD100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네트워크 내의 그 외의 기기가, 타겟 기기가 되어, 마찬가지의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타겟 기기의 제어로 설정되는 채널이나 대역의 사용 상황을, 노티파이 커맨드로 통지시키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타겟 기기의 제어로서 실행되는 처리이면, 그 외의 처리 상태의 변화를 통지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IEEE 1394 방식의 버스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그 외의 네트워크 구성의 기기 사이에서 같은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유선의 신호선으로 직접 접속하여 구성되는 네트워크와는 달리, 무선 전송에 의한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행해지는 구성의 네트워크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통신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제1 통신 장치로부터 보내진 통지를 실행시키는 제1 커맨드는 소정 시간 동안만 유효하게 되고, 이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1 커맨드에 의한 지시가 무효하게 되어, 커맨드가 유효한 시간의 설정을 적절하게 행함으로써, 제2 통신 장치에서의 통지를 위한 데이터 기억 등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고, 통지를 위한 기억 데이터가 언제까지나 제2 통신 장치에 남아 네트워크 내에서의 적절한 통지 처리를 할 수 없게 되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통신 제어 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2의 통신 장치가 제1 커맨드를 받은 경우에, 소정 시간에 관한 정보를, 제1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1 통신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제1 통신 장치는 그 커맨드가 유효한 시간을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통신 제어 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3 통신 장치로부터 제2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상태 변화가 있었던 것을 제3 통신 장치에 대하여 통지시키는 제2 커맨드를 보냈을때, 제2 통신 장치가 통지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에, 소정 시간에 관한 정보를 제2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3 통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한 것에 의해서, 제2 커맨드가 거절된 제3 통신 장치에서는 응답에 포함된 시간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커맨드가 수신되는 시간을 판단을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그의 판단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시 제2 커맨드를 보내 그 제2 커맨드에 기초한 처리를 확실하게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통신 제어 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1 커맨드를 받은 후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제2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장치에 대하여 타임아웃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제1 통신 장치에서 제1 커맨드가 무효로 된 것이 확실하게 판단되어 예를 들면 다시 제1 커맨드를 보내도록 하는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통신 제어 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1 커맨드를 받은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2 통신 장치가, 소정의 상태 변화를 통지 할 수 없는 상태로 된 때에도 제2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장치에 대하여 타임아웃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예를 들면 제2 통신 장치가 전원 오프 상태로 되는 등에 의해, 상태 변화를 통지할 수 없게 된 때에 그것을 제1 통신 장치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통신 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소정의 상태 변화는 제2 통신 장치의 제어로 설정되는 네트워크 상의 대역 또는 채널의 사용 상태에 관한 변화인 것이므로, 예를 들면 제1 통신 장치에서는 사용하고자 하는 대역 또는 채널이 비었을 때 이것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아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통신 제어 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1 통신 장치는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타이밍 전 또는 후에, 소정 시간을 연장시키는 커맨드를 제2 통신 장치에 보내는 것에 의해서, 통지시키는 커맨드가 유효한 시간을 소정 시간 동안으로 제한해도 연장시킨 커맨드의 송신으로 결과적으로 통지가 유효한 기간을 임의의 기간으로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제1 통신 장치로부터 보내진 통지 를 실행시키는 제1 커맨드는 소정 시간 동안만 유효하게 되고, 이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1 커맨드에 의한 지시가 무효하게 되어, 커맨드가 유효한 시간의 설정을 적절히 행함으로써, 제2 통신 장치에서의 통지를 위한 데이터 기억 등을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고, 통지를 위한 기억 데이터가 언제까지나 제2 통신 장치에 남아 네트워크 내에서의 적절한 통지 처리를 할 수 없게 되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2 통신 장치는 제2 통신 수단이 커맨드를 수신했을 때, 소정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생성시키는 응답 생성 수단을 포함하여, 응답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응답을 제2 통신 수단으로부터 제1 통신 장치로 송신시킴으로써, 제1 통신 장치는 응답에 포함되는 정보로부터 커맨드가 유효한 시간을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1 통신 장치로의 응답을 송신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제2 통신 수단이, 제1 통신 장치 이외의 통신 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상태 변화가 있었던 것을 통지시키는 커맨드를 수신했을 때, 응답 생성 수단은 소정 시간에 관한 정보를 부가하여 통지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을 고지하는 응답을 생성시켜 제2 통신 수단으로부터 전송하는 것에 의해, 커맨드가 거절된 통신 장치에서는 응답에 포함된 시간의 정보에 기초하여 커맨드가 수신되는 시간을 판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판단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시 커맨드를 보내 그 커맨드에 기초한 처리를 확실히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2 통신 장치는 제2 제어 수단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했을 때, 제2 통신 수단으로부터 제1 통신 장치에 대하여 타임아웃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서, 제1 통신 장치에서 제1 커맨드가 무효로 된 것이 확실하게 판단되어, 예를 들면 다시 제1 커맨드를 보내는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2 제어 수단은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1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상태 변화를 통지 할 수 없는 상태로 된 것으로 판단했을 때에도, 제2 통신 수단으로부터 제1 통신 장치에 대하여 타임아웃인 것을 나타내며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제2 통신 장치가 전원 오프 상태로 되는 등에 의해 상태 변화를 통지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이것을 제1 통신 장치에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2 통신 장치의 제2 제어 수단이 판단하는 소정의 상태 변화는 제2 통신 장치의 제어로 설정되는 네트워크 상의 대역 또는 채널의 사용 상태에 관한 변화이므로, 예를 들면 제1 통신 장치에서는 사용하고자 하는 대역 또는 채널이 비어있을 때, 이것을 신속하고 확실히 아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1 통신 장치의 제1 제어 수단은,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타이밍 전 또는 후에, 소정 시간을 연장시키는 제2 커맨드를 커맨드 생성 수단에서 생성시켜, 그 제2 커맨드를 제1 통신 수단으로부터 제2 통신 장치로 보내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통지시키는 커맨드가 유효한 시간을 소정 시간 동안으로 제한해도 그 연장시킨 커맨드의 송신으로 결과적으로 통지가 유효한 기간을 임의의 기간으로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통신 장치에 의하면, 이 장치가 수신한 커맨드에 기초하여, 소정의 상태 변화를 통지할 필요가 있을 때, 커맨드를 수신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시간 동안만, 통지함으로써, 예를 들면 소정의 상태 변화의 통지를 위한 데이터 기록을 행하는 시간을 제한할 수 있어, 이 장치에 통지하기 위한 데이터가 언제까지나 남아, 네트워크 내의 다른 장치가 그 통신 장치에 대하여 커맨드를 보낼수 없는 사태가 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통신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통신 수단이 커맨드를 수신했을 때, 소정 시간에 과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생성시키는 응답 생성 수단을 포함하여, 응답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응답을 통신 수단으로부터 다른 통신 장치로 송신시키는 것에 의해, 커맨드를 보내 응답을 수신한 장치에서는 커맨드가 유효한 시간을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통신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다른 통신 장치로의 응답을 송신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통신 수단이 다른 통신 장치 이외의 통신 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상태 변화가 있었던것을 통지시키는 커맨드를 수신했을 때, 응답 생성 수단은 소정 시간에 관한 정보를 부가하여 통지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을 고지하는 응답을 생성시켜 통신 수단으로부터 전송하는 것에 의해, 이 응답을 수신한 통신 장치에서는 응답에 포함된 시간의 정보에 기초하여 커멘드가 수신되는 시간을 판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그 판단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시 커맨드를 보내 그 커맨드에 기초한 처리를 확실하게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통신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어 수단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했을 때, 통신 수단으로부터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타임아웃인 것을 타나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서, 이 통신 장치에 대하여 커맨드를 보낸 장치측에서, 그 커맨드가 무효하게 된 것이 확실하게 판단되어, 예를 들면 다시 커맨드를 보내는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통신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상태 변화를 통지할 수 없는 상태로 된 것으로 판단했을 때에도 통신 수단으로부터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타임아웃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서, 예를 들면 이 통신 장치가 전원 오프 상태로 되는 등에 의해, 상태 변화를 통지할 수 없게 된 때, 이것이 상대의 장치에서 판단될 수 있도록 된다.
청구항 20에 기재된 통신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어 수단이 판단하는 소정의 상태 변화는 네트워크 상의 대역 또는 채널의 사용 상태에 관한 변화이므로, 예를 들면 이 통신 장치의 제어로 설정되는 대역 또는채널이 빈경우에, 이것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상대의 통신 장치에 알려 주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1에 기재된 통신 장치에 의하면, 이 장치로부터 보낸 커맨드가 유효한 시간의 판단에 기초하여, 그 커맨드를 재송신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커맨드에 한한 시간만 유효한 경우에도, 그 커맨드에 의한 통지 처리를 계속적으로 상대에게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21)

  1. 복수 대의 통신 장치 사이에서 서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된 네트워크 내에서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내에서의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2 통신 장치에 대하여 제1 커맨드를 보내고, 제2 통신 장치의 제어로 실행되는 소정의 상태 변화가 있었던 것을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통지시키는 지시를 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커맨드를 받은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소정의 상태 변화가 있었을 때,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태 변화가 있었던 것을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소정의 상태 변화가 있었을 때,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태 변화가 있었던 것을 통지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커맨드를 받은 경우에, 상기 소정 시간에 관한 정보를, 제1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맨드가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보내지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제3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상태 변화가 있었던 것을 상기 제3 통신 장치에 대하여 통지시키는 제2 커맨드를 보냈을 때,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통지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에, 상기 소정 시간에 관한 정보를 제2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제3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맨드를 받은 후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대하여 타임아웃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맨드를 받은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제2통신 장치가, 상기 소정의 상태 변화를 통지할 수 없는 상태로 된 때에도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대하여 타임아웃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상태 변화는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제어로 설정되는 상기 네트워크 상의 대역 또는 채널의 사용 상태에 관한 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타이밍 전 또는 후에, 상기 소정 시간을 연장시키는 커맨드를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8. 복수대의 통신 장치를, 서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된 네트워크 내에서 접속하여 구성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1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그 외의 통신 장치의 제어로 실행되는 소정의 상태 변화가 있었던 것을 통지시키는 커맨드를 생성시키는 커맨드 생성 수단과,
    상기 커맨드 생성 수단이 생성시킨 커맨드를 상기 네트워크에 송출시켜, 그 커맨드의 송신지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하는 제1 통신 수단과,
    상기 제1 통신 수단이 수신한 통지를 판단하는 제1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의 커맨드를 수신하여, 그 커맨드의 송신원에 대하여 통지를 송신하는 제2 통신 수단과,
    상기 제2의 통신 수단이 상기 커맨드를 수신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커맨드로 지시된 소정의 상태 변화의 유부를 판단하는 제2 제어 수단과,
    상기 제2 제어 수단이 소정의 상태 변화를 검출했을 때, 상기 제2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시키는 통지를 생성시키는 통지 생성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수단이 상기 커맨드를 수신했을 때, 상기 소정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생성시키는 응답 생성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응답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응답을 상기 제2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로의 응답을 송신하여,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제2 통신 수단이, 상기 제1 통신 장치 이외의 통신 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상태 변화가 있었던 것을 통지시키는 커맨드를 수신했을 때, 상기 응답 생성 수단을 상기 소정 시간에 관한 정보를 부가하여 통지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을 고지하는 응답을 생성시켜 상기 제2 통신 수단으로부터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제어 수단에서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했을 때, 상기 제2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대하여 타임아웃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상태 변화를 통지할수 없는 상태로 된 것으로 판단했을 때에도, 상기 제2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대하여 타임아웃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제2 제어 수단이 판단하는 소정의 상태 변화는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제어로 설정되는 상기 네트워크 상의 대역 또는 채널의 사용 상태에 관한 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의 제1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타이밍 전 또는 후에, 상기 소정 시간을 연장시키는 커맨드를 상기 커맨드 생성 수단에서생성시켜, 그 커맨드를 제1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보내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5. 소정의 전송로에 의해 형성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그 네트워크 내의 다른 통신 장치와 서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내의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커맨드를 수신하여, 그 커맨드의 송신원에 대하여 통지를 송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커맨드를 수신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커맨드로 지시된 소정의 상태 변화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제어 수단이 소정의 상태 변화를 검출했을 때,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시키는 통지를 생성시키는 통지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커맨드를 수신했을 때, 상기 소정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생성시키는 응답 생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응답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응답을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의 응답을 송신하여,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 이외의 통신 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상태 변화가 있었던 것을 통지시키는 커맨드를 수신했을 때, 상기 응답 생성 수단은 상기 소정 시간에 관한 정보를 부가하여 통지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을 고지하는 응답을 생성시켜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서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했을 때,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타임아웃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상태 변화를 통지할 수 없는 상태로 된 것으로 판단했을 때에도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타임아웃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판단하는 소정의 상태 변화는 상기 네트워크 상의 대역 또는 채널의 사용 상태에 관한 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1. 소정의 전송로에 의해 형성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그 네트워크 내의 다른 통신 장치와 서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내의 다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그 외의 통신 장치의 제어로 실행되는 소정의 상태 변화가 있었던 것을 통지시키는 커맨드를 생성시키는 커맨드 생성 수단과,
    상기 커맨드 생성 수단이 생성시킨 커맨드를 상기 네트워크에 송출시켜 그 커맨드의 송신원으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이 수신한 통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에서 상기 상태 변화에 관한 통지가 유효한 시간에 관한 정보를 검출했을 때, 그 유효한 시간이 끝나는 타이밍 전 또는 후에, 상기 커맨드 생성 수단에서 상기 유효한 시간을 연장시키는 커맨드를 생성시켜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출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KR1020010046947A 2000-08-04 2001-08-03 통신 제어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장치 KR200200119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37453 2000-08-04
JP2000237453A JP2002051055A (ja) 2000-08-04 2000-08-04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927A true KR20020011927A (ko) 2002-02-09

Family

ID=18729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947A KR20020011927A (ko) 2000-08-04 2001-08-03 통신 제어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20046311A1 (ko)
JP (1) JP2002051055A (ko)
KR (1) KR200200119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0649B2 (en) 2003-08-22 2010-09-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upply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3626B1 (fr) * 2001-04-12 2003-07-04 Canon Kk Procede et dispositif de configuration d'une unite fonctionnelle ayant un caractere temporaire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JP3730599B2 (ja) * 2002-06-27 2006-01-05 株式会社東芝 サーバ装置および状態制御方法
AU2003252347A1 (en) * 2002-07-31 2004-03-11 Sharp Kabushiki Kaisha Data communication device, its intermittent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describing it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is recorded
JP3900522B2 (ja) * 2002-08-29 2007-04-04 ヤマハ株式会社 コマンド同期確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404184B2 (en) * 2004-09-13 2008-07-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fficient firmware update for hierarchical data storage systems
KR20090021796A (ko) * 2007-08-28 200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기기 제어 방법
US9131265B2 (en) * 2011-05-19 2015-09-08 Maxlinear,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atellite television service to a premises
US9270703B1 (en) * 2013-10-22 2016-02-23 Amazon Technologies, Inc. Enhanced control-plane security for network-accessible services
JP6562723B2 (ja) * 2015-06-09 2019-08-21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075843A1 (en) * 2015-09-10 2017-03-16 Qualcomm Incorporated Unified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chip and intrachip node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0704A (en) * 1992-04-03 1998-06-02 Expeditor Systems Patient tracking system for hospital emergency facility
DE69520378T2 (de) * 1994-03-09 2001-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atenübertragungssystem und Verfahren
JP3164732B2 (ja) * 1994-07-04 2001-05-08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US5852746A (en) * 1995-06-26 1998-12-22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for transmitting a message using status button to system administrator by using a signal comprising predetermined number of changes effected over a period
JP3783282B2 (ja) * 1996-06-04 2006-06-0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電子機器
US6388989B1 (en) * 1998-06-29 2002-05-14 Cisco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memory overrun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US6484217B1 (en) * 1999-04-20 2002-11-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shared device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0649B2 (en) 2003-08-22 2010-09-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upply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51055A (ja) 2002-02-15
US20020046311A1 (en) 200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99967A1 (en) Transmission method, transmission system,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US7411950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2009864A (ja) 制御方法及び通信装置
KR20020011927A (ko) 통신 제어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장치
KR100649340B1 (ko) 통신 방법,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제공 매체
KR100715881B1 (ko) 전자 장치 및 그 보수 방법
EP1098476A1 (en) Network connection recognizing method and network-connected terminal device
KR100739263B1 (ko) 기기 제어 방법, 전송 장치 및 매체
JP4320955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EP1178631A2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EP1113624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TW533716B (en) Transission method, electronic machine and providing medium
WO2002076026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donnees
JP2002051056A (ja)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KR20010071821A (ko) 네트워크접속인식방법, 네트워크시스템 및네트워크접속단말장치
WO2000072551A1 (fr) Procede de communication, systeme de communication et dispositif electronique
JP4635290B2 (ja) 制御方法及び表示装置
JP2002051054A (ja)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JP2001024654A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並びに提供媒体
JP2001060960A (ja) 伝送方法及び電子機器並びに提供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