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066B1 - 맞춤숙성이 가능한 숙성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맞춤숙성이 가능한 숙성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066B1
KR100665066B1 KR1020050037144A KR20050037144A KR100665066B1 KR 100665066 B1 KR100665066 B1 KR 100665066B1 KR 1020050037144 A KR1020050037144 A KR 1020050037144A KR 20050037144 A KR20050037144 A KR 20050037144A KR 100665066 B1 KR100665066 B1 KR 100665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pening
aging
article
uni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4924A (ko
Inventor
함경희
김정한
이재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7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066B1/ko
Priority to US11/331,007 priority patent/US20060249029A1/en
Priority to JP2006124136A priority patent/JP2006311861A/ja
Priority to CNB2006100794745A priority patent/CN100429301C/zh
Publication of KR2006011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숙성이 가능한 숙성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숙성이 가능한 숙성장치는, 저장실 내 물품을 숙성하기 위한 숙성부와; 상기 물품의 초기 숙성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숙성조건 설정부와; 상기 초기 숙성 조건에 따라 숙성이 진행되는 상기 물품이 소정의 숙성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물품의 숙성 상태까지의 조건을 기억하도록 선택하기 위한 기억 키를 갖는 입력부와;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기억키가 선택될 때, 숙성 개시후 상기 기억키 선택시까지의 숙성 시간 및 상기 각 숙성 시간에서의 숙성 온도를 맞춤숙성조건으로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숙성정도를 용이하게 기억할 수 있으며, 기억된 숙성정도를 선택함으로써 일정한 숙성도의 물품을 반복하여 얻을 수 있다.
냉장고, 맞춤 숙성

Description

맞춤숙성이 가능한 숙성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FOR CUSTOMIZING FERMENTATION LEVEL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숙성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숙성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내지 도 6은 도 1의 숙성장치에 있어서 입력부 및 표시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숙성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숙성장치 15 : 본체
17 : 본체커버 21 : 온도 감지 센서
25 : 타이머 30 : 제어부
40 : 메모리부 45 : 숙성조건 설정부
50 : 저장실 60 : 숙성부
61 : 가열부 65 : 냉각부
70 : 입력부 71 : 숙성키
73 : 냉장보관키 75a, 75b, 75c : 기억키
76a : 선택키 76b : 선택저장키
77 : 전원키 79 : 기억표시부
80 : 표시부 90 : 경보부
본 발명은 맞춤숙성이 가능한 숙성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도주, 된장, 간장, 김치, 식초, 치즈 등은 그 제조과정에서 특정 시간, 온도, 습도 등의 조건 하에서 숙성시켜 각각 특수한 향기와 맛을 갖도록 한 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물품을 숙성하는 방법은 그 물품에 따라 각각 다른데, 김치의 경우를 예를 들면, 종래에는 김치를 담근 후에 김치독과 같은 저장용기에 넣어 땅속에 묻거나, 실온에 일정시간 방치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김치를 전용으로 숙성 및 냉장보관하는 김치냉장고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김치냉장고의 일반적 구성에 대하여는 한국특허출원 제1998-005587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김치냉장고에서 저장된 김치를 숙성하여 냉장보관하는 방법으로는 숙성할 온도와 숙성 시간을 직접 입력하여 숙성을 수행한 후에 냉장보관 하는 수동 익힘과, 김치의 종류와 익힘정도에 따라 숙성 조건이 미리 설정된 자동익힘 버튼을 선택하여 자동으로 선택된 단계까지 숙성을 진행한 후 냉장보관모드로 전환하는 자동 익힘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수동 익힘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숙성도의 물품을 얻기 위해서는 매번 숙성을 수행할 때마다 김치가 원하는 숙성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반복적으로 맛을 보거나, 냄새를 맡아 확인한 후 숙성을 완료하고 냉장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자동 익힘 기능을 가진 김치냉장고의 경우에도 대표적인 숙성 물품의 숙성 조건이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자동 익힘키를 제공하고 있으나, 선택할 수 있는 물품의 종류 및 숙성도는 제조 시 공장에서부터 일률적으로 설정되어 나오기 때문에 그 선택의 폭이 제한될 수 밖에 없고, 따라서, 제공된 숙성 조건이 사용자의 입맛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전술한 수동 익힘에서의 불편함이 그대로 재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물품의 숙성도를 용이하게 기억할 수 있으며, 기억된 숙성도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숙성도의 물품을 반복하여 얻을 수 있는 맞춤숙성이 가능한 숙성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물품의 저장을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저장실을 갖는 숙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내 물품을 숙성하기 위한 숙성부와; 상기 물품의 초기 숙성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숙성조건 설정부와; 상기 초기 숙성 조건에 따라 숙성이 진행되는 상기 물품이 소정의 숙성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물품의 숙성 상태까지의 조건을 기억하도록 선택하기 위한 기억 키를 갖는 입력부와;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기억키가 선택될 때, 숙성 개시후 상기 기억키 선택시까지의 숙성 시간 및 상기 각 숙성 시간에서의 숙성 온도를 맞춤숙성조건으로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숙성조건 설정부는 상기 물품의 숙성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숙성 온도 설정키와, 상기 물품의 숙성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숙성 시간 설정키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숙성조건 설정부는 상기 물품의 종류 및 숙성하고자 하는 숙성도에 따라 숙성 시간 및 상기 숙성 시간에 따른 숙성 온도가 미리 저장된 자동 익힘키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맞춤숙성조건이 저장되었음이 표시되는 기억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키 선택시 상기 맞춤숙성조건값이 저장되었음을 상기 기억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맞춤숙성조건을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는 저장되는 상기 맞춤숙성조건의 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키 및 상기 기억표시부가 각각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는 하나의 상기 기억키와, 상기 맞춤숙성조건의 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억표시부가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키가 선택될 때, 상기 물품의 숙성을 완료하고 냉장보관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숙성부는 상기 저장실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및 상기 저장실을 냉각 하기 위한 냉각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와; 상기 저장실 내 물품의 숙성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맞춤숙성조건이 설정된 상기 기억키가 다시 선택될 때, 상기 온도 감지 센서의 감지결과와 상기 타이머가 카운트한 숙성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이 상기 맞춤숙성조건에 따라 숙성되도록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이 상기 맞춤숙성조건에 따라 숙성을 수행하여 완료할 때, 상기 물품이 냉장보관상태로 자동 전환되도록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품이 상기 맞춤숙성조건에 따라 숙성을 수행하여 완료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물품의 숙성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물품의 저장을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저장실을 갖는 숙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내 물품을 숙성하기 위한 숙성부와; 상기 물품의 초기 숙성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숙성 조건 설정부와; 상기 초기 숙성 조건에 따라 숙성이 진행되는 상기 물품이 소정의 숙성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물품의 숙성 상태까지의 숙성 조건을 기억하도록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억키를 갖는 입력부와; 상기 숙성 조건이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기억키가 선택될 때, 숙성 개시후 상기 기억키 선택시까지의 숙성 시간 및 상기 각 숙성 시간에서의 숙성 온도를 맞춤숙성조건으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숙성장치에 의하여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숙성조건 설정부는 숙성 온도 설정키 및 자동 익힘 키 중 하나 이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복수 개의 맞춤숙성조건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맞춤숙성조건이 저장되었음을 표시하는 기억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키 선택시 상기 맞춤숙성조건이 저장되었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키가 선택될 때, 상기 물품이 숙성을 완료하고 냉장보관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숙성부는 상기 저장실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및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와; 상기 저장실 내 물품의 숙성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맞춤숙성조건이 설정된 상기 기억키가 다시 선택될 때, 상기 온도 감지 센서의 감지결과 및 상기 타이머가 카운트한 숙성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이 상기 맞춤숙성조건에 따라 숙성되도록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이 상기 맞춤숙성조건에 따라 숙성을 수행하여 완료할 때, 상기 물품이 냉장보관상태로 자동 전환되도록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품의 숙성이 완료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물품의 숙성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물품의 숙성 시간 및 상기 각 숙성 시간에서의 숙성 온도를 맞춤 숙성조건으로 기억하여 저장하는 맞춤숙성 방법에 있어서, 숙성을 요하는 물품을 상기 저장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 물품의 초기 숙성 조건인 숙성 시간 및 숙성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의 상기 물품을 상기 초기 숙성 조건에 따라 숙성하는 단계; 상기 물품의 숙성 시간을 카운트 하고 각 숙성 시간에서의 숙성 온도를 숙성 조건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물품이 소정의 숙성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숙성 상태까지의 숙성 조건을 기억하도록 기억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기억키 선택시의 상기 숙성 조건을 맞춤숙성조건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숙성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억키가 선택될 때, 상기 물품의 숙성을 완료하고 냉장보관 상태로 자동전환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숙성을 요하는 물품을 상기 저장실에 다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맞춤숙성조건을 상기 기억키를 통해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저장실내의 상기 물품의 상기 맞춤숙성조건에 따라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품을 상기 맞춤숙성조건에 따라 숙성을 수행하여 완료될 때, 상기 물품의 숙성을 완료하고 냉장보관상태로 자동전환되도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품의 숙성이 완료될 때, 상기 물품의 숙성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 김치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숙성을 요하는 모든 물품에 대한 숙성장치 또는 저장장치에 대하여도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숙성이 가능한 숙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의 숙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숙성장치(10)는 저장실(50)과, 저장실(50)을 가열 및 냉각하기 위한 숙성부(60), 숙성조건 설정부(45), 입력부(70) 및 제어부(3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숙성장치(10)는 온도 감지 센서(21), 타이머(25), 표시부(80), 경보부(90) 및 메모리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50)은 본체(15)의 내부에 물품을 저장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마련된다. 저장실(50)은 본체(15) 내부에 하나가 마련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여러 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저장실(50)이 여러 개로 마련되는 경우, 각 저장실(50)은 단열재로 구획되어 저장실(50) 전체가 동일하게 작동될 수도 있고, 각 저장실(50)이 독립적으로 숙성 및 냉장보관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숙성부(60)는 가열부(61) 및 냉각부(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50) 내의 물품이 숙성 및 냉장보관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숙성부(60)는 실온이 숙성 온도 및 냉장보관온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가열부(61)만 마련될 수 있으며, 실온이 숙성 온도 및 냉장 보관 온도 보다 높은 경우에는 냉각부(65)만 마 련될 수도 있다. 물론, 가열부(61) 및 냉각부(65)가 함께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열부(61)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전기저항발열체로 할 수 있으며, 냉각부(65)는 압축기를 포함한 냉동사이클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저장실(50)의 4면을 냉매관과 히터가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숙성 조건 설정부(45)는 저장실(50)내 물품의 초기 숙성 조건을 설정하도록 마련된다. 숙성 조건 설정부(45)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숙성 온도와 숙성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숙성 온도 설정키(46a) 및 설정된 숙성 온도를 나타내기 위한 숙성 온도 표시부(46b)가 마련될 수 있다. 숙성조건 설정부(45)의 키 구성 및 표시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숙성 온도 설정키(46a)가 마련되어 반복하여 누를 경우 숙성 온도가 변환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0 부터 9 까지의 숫자 키가 각각 마련되어 숙성 온도를 직접 입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숙성 온도 표시부(46b)도 설정된 숙성 온도가 숫자로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숙성조건 설정부(45)는 숙성을 진행할 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숙성 시간 설정키(47a)와, 설정 시간 표시부(47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배추김치를 숙성하기 위하여 숙성 온도 설정키(46a)를 이용하여 숙성 온도를 22 ℃로 설정하고, 숙성 시간을 29시간으로 설정하여 숙성을 진행 할 수 있다. 숙성 시간 설정키(46a) 및 설정 시간 표시부(47b)의 키 구성 및 표시방법도 도 3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숙성 온도 설정키(46a) 및 설정 온도 표시부(46b)와 같이 다 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초기 숙성 조건은 숙성될 물품에 따라 다르게 마련된다. 예를 들어, 숙성 온도는 하나의 값으로 일정할 수도 있고, 숙성 시간에 따라 여러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추 김치를 숙성 온도 22 ℃ 에서 29시간 동안 숙성할 수도 있고, 22 ℃ 에서 15시간 숙성 후 25 ℃ 에서 5시간 숙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숙성 시간을 설정하지 않고, 숙성 온도 만을 설정하여 숙성을 진행 할 수도 있다.
숙성 조건 설정부(4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숙성될 물품의 종류 및 숙성하고자 하는 숙성도에 따라 미리 숙성 온도 및 숙성 시간이 저장된 자동 익힘키(48a, 48b, 48c)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0)는 자동 익힘키(48a, 48b, 48c)를 선택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숙성 조건에 따라 숙성을 수행하도록 숙성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자동 익힘키(48a, 48b, 48c)의 상부에는 자동 익힘키(48a, 48b, 48c)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자동익힘 선택표시부(48d)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수동 익힘 운전 방식의 김치 냉장고에 있어서의 입력부(70) 및 표시부(8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자동 익힘 운전 방식의 김치냉장고에 있어서의 입력부(70) 및 표시부(8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입력부(70)는 숙성모드 운전을 선택하기 위한 숙성키(71)와, 숙성을 완료한 후 냉장보관모드 운전으로 전환하기 위한 냉장보관키(73), 사용자의 입맛에 맞는 숙성상태에서의 숙성 조건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키(75) 및 숙성장치의 작동을 위한 전원키(77)를 포함한다.
숙성키(71)는 수동 익힘기능을 갖는 숙성장치에서 숙성 조건 설정부(45)에 의해 초기 숙성 조건이 설정된 후에, 수동으로 숙성을 개시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숙성키(71)가 선택되면 제어부(30)에 의해 숙성부(60)가 작동되어 저장실(50) 내의 온도를 설정된 숙성 온도로 가열한다.
기억키(75)는 물품의 숙성 정도가 사용자가 기억하고자 하는 특정 숙성상태에 도달한 경우 이를 기억하기 위해 선택된다. 기억키(75)가 선택되면, 제어부(30)는 기억키(75) 선택시까지 타이머(25)가 카운트한 전체 숙성 시간과 각 숙성 시간에서의 숙성 온도를 저장한다. 여기서, 기억키(75)는 사용자가 기억하고자 하는 맞춤숙성조건의 개수에 따라 적정한 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하나의 맞춤숙성조건의 저장이 가능한 경우, 도 4 및 도5는 3개의 맞춤숙성조건의 저장이 가능한 경우를 나타낸다. 물론, 기억키(75)는 필요에 따라 4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미 사용자에 의해 제1기억키(75a) 선택을 통하여 맞춤숙성조건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추후에 다시 제1기억키(75a)를 선택함으로써 다른 맞춤숙성조건을 재기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기억키(75)의 개수는 저장 가능한 맞춤숙성조건의 개수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맞춤숙성조건의 저장이 가능한 경우에도 맞춤숙성조건 선택이 가능한 선택키(75)와 선택된 위치에서의 기억을 입력하는 선택저장키(76b)를 이용하면 3개의 맞춤숙성조건의 저장이 가능하 며, 이러한 방법으로 4개 이상의 맞춤숙성조건의 저장 및 표시가 가능하다.
도 6은 자동 익힘 기능이 있는 숙성장치(10)에서의 입력부(70) 및 표시부(8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자동 익힘 기능이 있는 숙성장치(10)의 입력부(70)에는 잘익은 맛, 보통 맛, 덜익은 맛등으로 미리 숙성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자동 익힘 키(48a, 48b, 48c)등이 제공될 수 있다. 자동 익힘 키(48a, 48b, 48c)의 상단에는 이들 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이를 나타내는 표시부(48d)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자동 익힘 키(48a, 48b, 48c)는 도 6에 도시된 구성 외에도 숙성될 물품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키 등 다양한 종류 및 배치를 가지며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자동 익힘 키(48a, 48b, 48c)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숙성을 진행하다가 어느 특정 숙성상태에서 이를 기억하고자 하는 경우, 기억키(75)를 선택하여 그 숙성상태 까지의 숙성 조건을 맞춤숙성조건으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억키(75)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수 및 배치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억표시부(79)는 기억키(75)를 통하여 맞춤숙성조건이 저장되는 경우, 제어부(30)에 의해 맞춤숙성조건이 저장되었음을 표시하도록 마련된다. 기억표시부(79)는 제한적이지 않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기억키(75)의 상단에 마련되어 기억키(75)가 선택되는 경우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LED, 79)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기억표시부(7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억키(75)의 개수에 대응하는 수만큼 기억키(75)의 상단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억키(75)와 별도로 마련되어 기억되는 맞춤숙성조건의 개수만큼 마련될 수도 있다.
냉장보관키(73)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부(30)를 통하여 숙성모드 운전을 종료하고 냉장보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기억키(75)가 선택되는 경우, 별도의 냉장보관키(73)를 이용하지 않고 제어부(30)가 숙성을 완료하는 동시에 냉장보관상태로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숙성부(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전술한 맞춤숙성조건의 기억을 마친 후에 동일한 물품을 다시 저장하여 기억된 맞춤숙성조건으로 숙성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선택하고자 하는 맞춤숙성조건에 해당하는 기억키(75)를 선택하기만 하면, 제어부(30)가 숙성부(60)를 제어하여 저장된 숙성 조건으로 숙성을 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숙성상태의 물품을 반복하여 쉽게 얻을 수 있게 된다.
제어부(75)는 설정된 초기 숙성 조건에 따라 숙성운전이 가능하도록 숙성부(60)를 제어하며, 사용자에 의해 기억키(75)가 선택되는 경우 숙성 개시후 기억키 선택시점까지 카운트된 전체 숙성 시간과, 각 숙성 시간에서의 숙성 온도를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부(30)는 기억키(71) 선택시 숙성 운전모드에서 냉장보관모드로 자동으로 전환시킬 수도 있고, 입력부(70)에 별도로 마련된 냉장보관키(73)의 입력을 받아 수동으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 물론, 숙성을 종료하지 않고 계속 진행하다가 새로운 숙성상태에서 다시 기억키(75)를 선택하여 숙성 조건을 재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상기 맞춤숙성조건을 메모리부(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40)는 저장된 맞춤숙성조건을 선택하여 맞춤숙성을 수행하는 경우, 타이머(25)를 작동시키며, 카운트된 각 숙성 시간에서의 저장실(50)의 온도가 맞춤숙성조건으로 저장된 숙성 온도로 유지되도록 숙성부(6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는 타이머(25)가 카운트한 물품의 숙성 시간과 맞춤숙성조건으로 저장된 전체 숙성 시간을 비교하여 물품의 숙성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평가 결과, 아직 맞춤숙성조건으로 저장된 전체 숙성 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숙성 모드를 유지하며, 도달된 경우에는 숙성을 완료하고 냉장보관모드로 전환되도록 숙성부(60)를 제어한다. 한편, 입력부(70)에 별도의 냉장보관키(73)를 마련하여 수동으로 숙성모드에서 냉장보관모드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평가한 숙성정도를 표시하여 물품의 숙성진행정도를 표시하기 위해 표시부(80)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이경우, 제어부(30)는 상기 평가결과를 표시부(80)를 통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온도가 물품의 숙성과정에서 일정한 경우에는 제어부(30)는 타이머가 카운트한 전체 숙성 시간과, 설정된 숙성 온도만을 저장할 수도 있다.
경보부(90)는 제어부(30)가 저장된 맞춤숙성조건에 따라 숙성을 수행하여 완료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경보부(90)의 경보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LED(발광다이오드)가 소정의 주기를 가지고 점멸하는 시각적 경보수단일 수도 있고, 소정의 경보음을 발생하는 청각적 경보수단일 수도 있으며, 두 가지 경보수단이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경보부(90)는 사용자에게 숙성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저장하여 전환하도록 할 수 있고, 자동으로 숙성이 완료되고 냉장보관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부(40)는 본체(15)에 마련되어 물품의 숙성 조건이 제어부(30)에 의해 저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부(40)에는 숙성이 개시되면 제어부(30)에 의해 타이머(25)에서 카운트한 숙성 시간과, 각 숙성 시간에서의 숙성 온도가 저장될 수 있다.
온도 감지 센서(21)는 저장실(50)에 마련되어 저장실(50) 내의 온도를 감지한다. 온도 감지 센서(21)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온도 감지 센서(21)는 저장실(50) 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실(50) 내에 물품 수용을 위한 별도의 저장통이 마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저장통의 내부 적소에 마련될 수도 있다. 온도 감지 센서(21)에서 감지한 감지 결과는 제어부(30)가 저장실(50)의 온도를 초기 숙성 조건에 따라 유지하도록 숙성부(60)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타이머(25)는 숙성장치 본체(15)에 마련되어 저장실(50) 내의 물품이 숙성을 개시하는 경우, 숙성 개시시부터의 시간을 카운트한다. 카운트된 시간은 제어부(30)로 송신되어 제어부(30)에 저장되거나, 제어부(30)에 의해 메모리부(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맞춤숙성이 가능한 숙성장치의 맞춤숙성방법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맞춤숙성조건 설정을 위한 초기단계에 해당하는 흐름도이고, 도 8은 설정된 맞춤숙성조건을 선택하여 물품을 숙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숙성장치(10)의 저장실(50) 내에 숙성하려는 물품을 저장한다(S111). 숙성을 시작하기 전에 숙성 조건 설정부(45)를 통하여 초기 숙성 조건를 설정한다(S113). 이때, 수동 익힘에서는 숙성 온도 설정키(46a) 및 숙성 시간 설정키(47a)를 통하여 초기 숙성 조건을 설정하며, 자동 익힘에서는 자동 익힘키(48)를 선택하면 자동 익힘키(48)에 미리 저장된 숙성 조건이 초기 숙성 조건으로 자동 설정된다. 입력부(70)에 마련된 숙성키(71)를 선택하면 제어부(30)는 숙성부(60)를 제어하여 저장실(50)내 물품을 초기 숙성 조건에 따라 숙성 한다(S115). 물품의 숙성이 시작되면 제어부(30)는 타이머(25)를 작동시켜 숙성 개시 후부터의 시간을 카운트하며, 카운트한 숙성 시간과 각 숙성시간에서의 숙성 온도를 저장한다(S115). 여기서, 물품의 숙성 시간 전체에 걸쳐 숙성 온도가 일정한 경우에는 제어부(30)는 숙성 개시후부터의 각 숙성 시간과 숙성 온도를 저장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기억키(75)가 선택될 때의 전체 숙성 시간과 그때의 숙성 온도만을 저장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는 맞춤숙성조건을 설정하고자 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만일 사용자가 맞춤숙성도를 설정하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에는 초기 숙성 조건에 따라 숙성을 수행한 후 냉장보관모드로 자동 전환 되거나, 냉장보관키(73)의 입력을 받아 냉장보관모드로 전환 됨으로써 숙성을 완료할 수 있다(S119, S123, S125).
한편, 숙성진행 중 사용자는 물품의 숙성정도를 확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맛을 보거나, 냄새를 맡거나 할 수도 있고, 물품의 색깔을 통하여 그 숙 성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물품의 현재 숙성상태가 사용자가 기억하고자 하는 숙성상태에 있는 경우(S119), 사용자는 이를 기억하도록 기억키(71)를 선택할 수 있다(S121). 기억키(71)가 선택되면 제어부(30)는 기억키(71) 선택시까지 카운트된 전체 숙성 시간과 각 숙성 시간에서의 숙성 온도를 맞춤숙성조건으로 하여 저장한다(S121). 이때, 상기 숙성 조건은 제어부(30)에 저장될 수도 있고, 제어부(30)에 의해 메모리부(40)에 저장될 수도 있다.
맞춤숙성조건이 저장되는 것과 동시에 제어부(30)는 냉장보관키(73)의 입력을 받아 또는 자동으로 물품이 숙성을 완료하고 냉장보관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숙성부(60)를 제어한다(S125). 여기서, 사용자가 숙성을 계속 진행하길 원하는 경우, 예를 들어, 맞춤숙성도를 여러 단계로 설정하길 원하는 경우, 혹은 좀더 숙성을 해본 후에 저장된 맞춤숙성도를 변경하여 다시 저장하길 원하는 경우에는 숙성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S123).
도 8은 사용자가 이미 설정된 맞춤숙성조건을 선택하여 맞춤숙성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맞춤숙성시 저장되었던 동종의 물품을 숙성장치에 저장한다(S131). 여기서, 사용자는 먼저 저장된 맞춤숙성조건을 선택하여 숙성을 진행할 수도 있고(S133), 이미 저장된 맞춤숙성조건을 변경하거나, 재저장을 할 수도 있다(S113). 이 경우에는 도 7의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된 맞춤숙성조건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30)는 숙성부(60)를 제어하여 저장실(50) 내의 물품이 선택된 맞춤숙성조건에 따라 숙성되도록 한다(S135). 사용자는 맞춤숙성조건에 따라 숙성을 수행하는 도중에도 맞춤숙성을 다시 설정할 수도 있다(S137, S117). 이경우 사용자는 전술한 도 7의 과정을 다시 수행하여 새로운 맞춤숙성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맞춤숙성조건으로 저장된 전체 숙성 시간과, 타이머(25)에서 카운트하는 현재의 숙성 시간을 비교하여 물품의 숙성 정도를 평가하며, 이를 표시부(80)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물품의 숙성 시간이 맞춤숙성조건으로 저장된 전체 숙성 시간에 도달한 경우에는 제어부(30)는 물품이 숙성을 완료하고 냉장보관되도록 숙성부(60)를 제어한다(S139). 여기서, 물품의 숙성이 완료되었음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는 경보부(9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숙성이 완료하고 냉장보관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 제어부(30)는 입력부(70)에 마련된 냉장보관키(73)의 입력을 받거나, 자동으로 냉장보관상태로 전환되도록 숙성부(60)를 제어할 수 있다(S139).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맞춤숙성이 가능한 숙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맞춤숙성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숙성정도를 용이하게 기억할 수 있으며, 기억된 숙성정도를 선택함으로써 일정한 숙성도의 물품을 반복하여 얻을 수 있다.

Claims (26)

  1. 물품의 저장을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저장실을 갖는 숙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내 물품을 숙성하기 위한 숙성부와;
    상기 물품의 초기 숙성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숙성조건 설정부와;
    상기 초기 숙성 조건에 따라 숙성이 진행되는 상기 물품이 소정의 숙성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물품의 숙성 상태까지의 조건을 기억하도록 선택하기 위한 기억 키를 갖는 입력부와;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기억키가 선택될 때, 숙성 개시후 상기 기억키 선택시까지의 숙성 시간 및 상기 각 숙성 시간에서의 숙성 온도를 맞춤숙성조건으로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조건 설정부는 상기 물품의 숙성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숙성 온도 설정키와, 상기 물품의 숙성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숙성 시간 설정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조건 설정부는 상기 물품의 종류 및 숙성하고자 하는 숙성도에 따라 숙성 시간 및 상기 숙성 시간에 따른 숙성 온도가 미리 저장된 자동 익힘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숙성조건이 저장되었음이 표시되는 기억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키 선택시 상기 맞춤숙성조건값이 저장되었음을 상기 기억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맞춤숙성조건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는 저장되는 상기 맞춤숙성조건의 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키 및 상기 기억표시부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는 하나의 상기 기억키와, 상기 맞춤숙성조건의 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억표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키가 선택될 때, 상기 물품의 숙성을 완료하고 냉장보관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부는 상기 저장실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및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와;
    상기 저장실 내 물품의 숙성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맞춤숙성조건이 설정된 상기 기억키가 다시 선택될 때, 상기 온도 감지 센서의 감지결과와 상기 타이머가 카운트한 숙성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이 상기 맞춤숙성조건에 따라 숙성되도록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이 상기 맞춤숙성조건에 따라 숙성을 수행하여 완료할 때, 상기 물품이 냉장보관상태로 자동 전환되도록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상기 맞춤숙성조건에 따라 숙성을 수행하여 완료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물품의 숙성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13. 물품의 저장을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저장실을 갖는 숙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내 물품을 숙성하기 위한 숙성부와;
    상기 물품의 초기 숙성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숙성 조건 설정부와;
    상기 초기 숙성 조건에 따라 숙성이 진행되는 상기 물품이 소정의 숙성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물품의 숙성 상태까지의 조건을 기억하도록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억키를 갖는 입력부와;
    상기 숙성 조건이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기억키가 선택될 때, 숙성 개시후 상기 기억키 선택시까지의 숙성 시간 및 상기 각 숙성 시간에서의 숙성 온도를 맞춤숙성조건으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 조건 설정부는 숙성 온도 설정키 및 자동 익힘키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복수 개의 맞춤숙성조건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맞춤숙성조건이 저장되었음을 표시하는 기억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키 선택시 상기 맞춤숙성조건이 저장되었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키가 선택될 때, 상기 물품이 숙성을 완료하고 냉장보관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부는 상기 저장실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및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 센서와;
    상기 저장실 내 물품의 숙성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맞춤숙성조건이 설정된 상기 기억키가 다시 선택될 때, 상기 온도 감지 센서의 감지결과 및 상기 타이머가 카운트한 숙성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이 상기 맞춤숙성조건에 따라 숙성되도록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이 상기 맞춤숙성조건에 따라 숙성을 수행하여 완료할 때, 상기 물품이 냉장보관상태로 자동 전환되도록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숙성이 완료될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물품의 숙성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장치
  22. 물품의 숙성 시간 및 상기 각 숙성 시간에서의 숙성 온도를 맞춤 숙성조건으로 기억하여 저장하는 맞춤숙성 방법에 있어서,
    숙성을 요하는 물품을 상기 저장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 물품의 초기 숙성 조건인 숙성 시간 및 숙성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저장실 내의 상기 물품을 상기 초기 숙성 조건에 따라 숙성하는 단계;
    상기 물품의 숙성 시간을 카운트 하고 각 숙성 시간에서의 숙성 온도를 숙성 조건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물품이 소정의 숙성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숙성 상태까지의 숙성 조건을 기억하도록 기억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기억키 선택시의 상기 숙성 조건을 맞춤숙성조건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숙성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키가 선택될 때, 상기 물품의 숙성을 완료하고 냉장보관 상태로 자동전환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숙성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숙성을 요하는 물품을 상기 저장실에 다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맞춤숙성조건을 상기 기억키를 통해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저장실내의 상기 물품을 상기 맞춤숙성조건에 따라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숙성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을 상기 맞춤숙성조건에 따라 숙성을 수행하여 완료될 때, 상기 물품의 숙성을 완료하고 냉장보관상태로 자동전환되도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숙성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숙성이 완료될 때, 상기 물품의 숙성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숙성방법.
KR1020050037144A 2005-05-03 2005-05-03 맞춤숙성이 가능한 숙성장치 및 그 방법 KR100665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144A KR100665066B1 (ko) 2005-05-03 2005-05-03 맞춤숙성이 가능한 숙성장치 및 그 방법
US11/331,007 US20060249029A1 (en) 2005-05-03 2006-01-13 Fermentation apparatus for customizing fermentation level and method thereof
JP2006124136A JP2006311861A (ja) 2005-05-03 2006-04-27 カスタマイズ熟成が可能な熟成装置及びその方法
CNB2006100794745A CN100429301C (zh) 2005-05-03 2006-05-08 用于定制发酵水平的发酵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144A KR100665066B1 (ko) 2005-05-03 2005-05-03 맞춤숙성이 가능한 숙성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924A KR20060114924A (ko) 2006-11-08
KR100665066B1 true KR100665066B1 (ko) 2007-01-04

Family

ID=37392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144A KR100665066B1 (ko) 2005-05-03 2005-05-03 맞춤숙성이 가능한 숙성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49029A1 (ko)
JP (1) JP2006311861A (ko)
KR (1) KR100665066B1 (ko)
CN (1) CN10042930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710B1 (ko) * 2006-01-14 201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냉각제어방법
KR20130030677A (ko) * 2011-09-19 2013-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시장치와 이를 갖는 냉장고
JP6826588B2 (ja) * 2015-07-29 2021-02-0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物品収容装置
KR102548435B1 (ko) 2015-12-30 2023-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육류 숙성 장치, 그 육류 숙성 방법, 육류 숙성 시스템 및 냉장고
CN114568462B (zh) * 2020-11-30 2024-03-15 东芝家用电器制造(南海)有限公司 发酵方法、存储设备、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708533A (zh) * 2021-01-12 2021-04-27 宁夏金蛋蛋农业食品有限公司 一种窖藏脆萝卜用发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503B1 (ko) * 1991-09-26 1996-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발효와/또는 저장기능의 김치전용 냉장고
KR960014841B1 (ko) * 1993-12-11 1996-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효장치가 있는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29301C (zh) 2008-10-29
CN1876802A (zh) 2006-12-13
KR20060114924A (ko) 2006-11-08
US20060249029A1 (en) 2006-11-09
JP2006311861A (ja) 200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8086B1 (ko) 맞춤숙성이 가능한 숙성장치 및 그 방법
KR100665066B1 (ko) 맞춤숙성이 가능한 숙성장치 및 그 방법
US6744019B2 (en) Electric cooking apparatus
KR2012001777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11750593A (zh) 冰箱、果蔬储藏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218421B1 (ko) 냉장고의다양한김치류숙성방법
KR20000014216A (ko) 김치 냉장고의 숙성 및 보관 제어방법
KR100325548B1 (ko) 김치저장고의 숙성제어방법
KR0129236B1 (ko) 냉장고의 김치 숙성 및 보관방법
KR20000033160A (ko) 전자김치독의 익힘정도 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KR100265217B1 (ko) 김치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100330932B1 (ko)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김치저장고 및 그 구동방법
KR20030096912A (ko) 김치 냉장고
KR970006113B1 (ko) 김치냉장고의 숙성제어방법
KR101274393B1 (ko) 전기 오븐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11147A (ko)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060067605A (ko) 업소용 숙성 냉장고
KR970006114B1 (ko) 김치냉장고의 숙성제어방법
KR950003128B1 (ko) 냉장고의 김치숙성 제어 시스템
KR20180022230A (ko)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표시 방법
KR100239566B1 (ko) 김치저장고의 고장표시 방법
KR20000049349A (ko) 김치 냉장고의 숙성 제어방법
KR100340326B1 (ko) 주류 보관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080790A (ko) 김치저장고의 김치 숙성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0221109Y1 (ko) 김치냉장고 아날로그형태 온도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