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0677A - 지시장치와 이를 갖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지시장치와 이를 갖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0677A
KR20130030677A KR1020110094307A KR20110094307A KR20130030677A KR 20130030677 A KR20130030677 A KR 20130030677A KR 1020110094307 A KR1020110094307 A KR 1020110094307A KR 20110094307 A KR20110094307 A KR 20110094307A KR 20130030677 A KR20130030677 A KR 20130030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unit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devic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주
윤영
강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4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0677A/ko
Priority to US13/613,875 priority patent/US9546811B2/en
Priority to EP12184226.4A priority patent/EP2570757B1/en
Priority to CN2012103495613A priority patent/CN103017436A/zh
Publication of KR20130030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6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8Sensor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6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식품의 상태에 따라 식품의 저장조건을 가변하여 식품을 보다 신선하게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식품의 상태를 측정하는 지시장치는 본체와 분리되어 휴대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지시장치의 측정단자는 필요시에만 식품에 접촉할 수 있고 하나의 지시장치로 다수의 식품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식품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입력된 식품의 상태 정보에 따라 식품의 저장조건을 결정하는 판단부와, 결정된 저장조건에 따라 냉각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본체와 별도로 휴대 가능하게 마련되고 식품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지시장치측정부와 측정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지시장치표시부를 포함하는 지시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시장치와 이를 갖는 냉장고{INDICAT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저장하고자 하는 식품의 종류와 상태에 따른 저장조건을 안내하는 지시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장치를 구비하여 저장실에 저장된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의 저장실은 저장실에 저장되는 식품이 신선하게 보관되도록 일정한 저장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한편, 식품을 보다 신선하고 장기간 저장하도록 식품의 상태, 예를 들어 식품의 염도나 산도 등에 따라 저장온도가 가변하는 냉장고가 있다. 이러한 냉장고의 일례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1-001864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2-002951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78822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 공보들에 개시된 냉장고는 식품을 저장하는 용기에 식품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단자가 부착됨으로써, 측정단자가 식품에 계속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측정단자를 통해 측정된 상태 정보 또는 측정된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된 저장온도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냉장고의 저장온도에 대한 신뢰를 갖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저장실에 저장된 식품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단자가 필요시에만 식품에 접촉될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가 직접 식품의 상태를 측정하고 냉장고가 그 결과를 반영하여 저장조건을 결정하므로 냉장고의 저장조건을 신뢰할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장치;와,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식품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결정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를 통해 결정된 저장조건에 따라 상기 냉각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와 별도로 휴대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지시장치측정부와, 상기 지시장치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지시장치표시부를 포함하는 지시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는 식품의 염도와, 식품의 산도와, 식품의 온도와, 식품에 포함된 세균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시장치측정부는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도록 염도측정부와, 산도측정부와, 온도측정부와, 세균수측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에 따른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는 상기 지시장치가 보관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보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상기 지시장치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시장치는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지시장치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와 상기 지시장치통신부는 각각 상기 유선 통신을 위해 상호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는 상기 식품의 종류 정보를 입력받는 종류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식품의 상태 정보와 상기 종류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식품의 종류 정보에 따라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류입력부는 상기 식품의 종류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와 상기 식품의 종류 정보에 따른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은 식품의 저장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장치;와,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식품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결정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를 통해 결정된 저장조건에 따라 상기 냉각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와 별도로 휴대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지시장치측정부와, 상기 지시장치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상기 본체의 상기 입력부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지시장치통신부를 포함하는 지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장치;와,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입력받는 저장조건입력부;와, 상기 저장조건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저장조건에 따라 상기 냉각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와 별도로 휴대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지시장치측정부와, 상기 지시장치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결정하는 지시장치판단부와, 상기 지시장치판단부를 통해 결정된 식품의 저장조건을 표시하는 지시장치표시부를 포함하는 지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시장치판단부는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에 따른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지시장치메모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조건입력부는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수동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조건입력부는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상기 지시장치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시장치는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지시장치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시장치는 상기 식품의 종류 정보를 입력받는 지시장치종류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장치판단부는 상기 지시장치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식품의 상태 정보와 상기 지시장치종류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식품의 종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시장치종류입력부는 상기 식품의 종류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시장치판단부는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와 상기 식품의 종류 정보에 따른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지시장치메모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장치;와,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입력받는 저장조건입력부;와, 상기 저장조건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저장조건에 따라 상기 냉각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와 별도로 휴대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지시장치측정부와, 상기 지시장치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결정하는 지시장치판단부와, 상기 지시장치판단부를 통해 결정된 식품의 저장조건을 상기 본체의 상기 저장조건입력부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지시장치통신부를 포함하는 지시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본체와 분리되어 별도로 마련되는 지시장치를 통해 필요시에만 식품에 접촉하여 식품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식품에 측정단자가 장기간 접촉하여 발생하는 위생상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종래 저장용기 각각에 측정단자가 마련되는 냉장고에 비해 하나의 지시장치로 저장용기 각각에 저장된 식품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사용자가 지시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식품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고, 냉장고가 측정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저장조건을 결정하므로 사용자가 냉장고의 저장조건에 대해 신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그 지시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지시장치 및 그 보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그 지시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그 지시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고(1)는 저장실(11)을 갖는 본체(10)와, 본체(10)와 분리되어 별도로 제공되는 지시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실(11)은 식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12)를 수납하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면은 본체(10)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1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저장실(11)은 본체(10)에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11) 내부에서 찬 공기가 아래로 가라앉게 되므로 도어(13)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저장실(11) 내부의 냉기의 유출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와 같이 저장실의 상면이 개방되는 뚜껑식 냉장고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저장실의 전면이 개방되는 스탠드식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저장실(11)에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용기(12)가 수납될 수 있다. 저장용기(12)에는 김치와, 야채와, 생선 등의 식품이 저장될 수 있다. 하나의 저장실(1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용기(12)가 수납될 수 있고, 저장용기(12)는 서로 다른 크기로 마련되거나 동일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저장용기(12)는 식품을 저장하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면을 덮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용기(12)가 저장실(11)에 적층될 수 있다.
냉장고(1)에는 저장실(11)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장치(18,도 3)가 마련된다. 냉각장치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증발기와, 팽창밸브와, 송풍팬과, 냉기덕트 및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에는 저장실(11)에 저장된 식품에 열을 가하여 숙성시키기 위한 히팅장치(미도시)와, 저장실(11)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20,도 3)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냉장고(1)는 저장되는 식품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저장온도 등의 저장조건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식품의 종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종류정보입력부(26)와, 식품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상태정보입력부(15)와, 식품의 저장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판단부(27)와, 식품의 저장조건에 따라 냉각장치(18)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종류정보입력부(26)는 식품의 종류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이때 식품의 종류는 크게 김치와, 야채와, 생선 등으로 분류될 수 있고, 나아가 배추김치와, 무김치와, 물김치 등과 같이 그 재료 및 양념의 양 등을 기준으로 더욱 세부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
종류정보입력부(26)는 사용자가 주어진 식품 종류에서 하나의 식품 종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선택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정보입력부(26)의 선택버튼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배추김치와, 무김치와, 물김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이 마련되어 있으나, 이것은 일례에 불과하고 다른 종류의 식품 입력버튼이 더 포함되거나 또는 배추김치와, 무김치와, 물김치의 입력버튼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태정보입력부(15)는 식품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이때, 식품의 상태 정보는 식품의 염도와, 식품의 산도와, 식품의 온도와, 식품에 포함된 세균의 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정보입력부(15)는 식품의 각 상태 항목에 따라 복수개의 선택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정보입력부(15)의 선택버튼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식품의 각 상태 항목 중 식품의 염도에 대한 선택버튼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염도 수준에 따라 분류되는 고염과, 중염과, 저염의 선택버튼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선택버튼을 통해 직접 수동으로 식품의 상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제4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지시장치(30)에는 상태정보입력부(15)와 통신할 수 있는 지시장치통신부(38)가 마련되어 식품의 상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전송할 수 있다.
판단부(27)는 종류정보입력부(26)를 통해 입력된 식품의 종류 정보와 상태정보입력부(15)를 통해 입력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식품의 저장온도 등의 저장조건을 결정한다. 식품의 저장온도는 각 식품별로 식품의 결빙을 피하면서 식품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온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저장온도는 식품의 상태와 식품의 종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식품의 염도가 높을수록 식품의 결빙온도가 낮고 식품의 염도가 낮을수록 결빙온도가 높다. 따라서, 식품의 염도가 높을수록 저장온도는 낮고 식품의 염도가 높을수록 저장온도는 높게 된다.
또한, 식품의 염도가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식품의 종류에 따라 결빙온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추김치는 무김치에 비해 결빙온도가 낮고, 무김치는 물김치에 비해 결빙온도가 낮다. 따라서, 염도가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배추김치는 무김치에 비해 저장온도가 낮고, 무김치는 물김치에 비해 저장온도가 낮다.
이러한 식품의 저장온도 등의 저장조건은 식품의 종류와 식품의 상태를 동시에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저장조건의 판단은 설계 사양이고,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저장온도 등은 편의상 범위 별로 분류되는 복수의 노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온도는 강, 중, 약의 복수의 노치로 제공될 수 있다.
판단부(27)에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정하여진 식품의 상태와 종류에 따른 저장조건이 미리 저장된 메모리부(28)가 마련된다. 판단부(27)는 메모리부(28)를 탐색하여 종류정보입력부(26)를 통해 입력된 식품의 종류 정보와 상태정보입력부(15)를 통해 입력된 식품의 상태 정보에 따른 저장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판단부(27)를 통해 결정된 식품의 저장조건에 따라 냉각장치(18)의 구동을 제어한다. 나아가 필요시 히팅장치(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저장실(1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20)로부터 저장실(11)의 현재 온도 정보를 전달받고, 판단부(27)를 통해 결정된 식품의 저장온도를 비교하여 냉각장치(18)를 가동시키거나 냉각장치(18)의 가동을 중지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종류정보입력부(26)를 통해 입력된 식품의 종류 정보와, 상태정보입력부(15)를 통해 입력된 식품의 상태 정보와, 판단부(27)를 통해 결정된 식품의 저장조건정보 등을 표시하도록 표시부(2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어부(16)가 판단부(27)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지시장치(30)는 저장용기(12)에 보관되는 식품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지시장치(30)는 본체(10) 및 저장용기(12)와 별도로 휴대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장치(30)는 식품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지시장치측정부(31)와, 지시장치측정부(31)를 통해 측정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지시장치표시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시장치측정부(31)는 식품의 염도와, 식품의 산도와, 식품의 온도와, 식품에 포함된 세균 수 등의 각종 식품의 상태를 측정하도록 염도측정부와, 산도측정부와, 온도측정부와, 세균수측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측정부는 각종 식품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측정단자의 일례로 한 쌍의 전극(32)으로 구성된 염도 측정단자가 도시되어 있다. 식품의 염도는 식품의 이온 농도에 따라 전기전도도가 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염도 측정전극(32)을 식품에 접촉시키고, 한 쌍의 염도 측정전극(32)에 전압을 인가한 뒤,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염도를 계산할 수 있다.
지시장치표시부(36)는 지시장치측정부(31)에서 측정된 식품의 각종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지시장치표시부(36)를 통해 식품의 각종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식품의 각종 상태 정보를 본체(10)의 상태정보입력부(15)에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상태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저장조건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식품을 보다 신선하고 장기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시장치(30)는 본체(10)와 분리되어 별도로 마련되므로 필요시에만 식품에 접촉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가 지시장치(30)를 통해 직접 식품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과정을 거치므로 사용자가 냉장고(1)의 저장조건에 대해 신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지시장치 및 그 보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지시장치(30) 역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지시장치(30)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도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 및 그 지시장치(30)에 대해 부연 설명한다.
지시장치(30)는 외관상 대략 길쭉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탐지부(44)와 몸체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탐지부(44)에는 측정전극(32)이 마련될 수 있고, 몸체부(43)에는 지시장치표시부(36)가 마련될 수 있다.
탐지부(44)의 단부에는 한 쌍의 돌출부(45)가 그 사이에 개구부(46)를 형성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며, 측정전극(32)은 그 일부가 개구부(46)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식품의 상태를 측정 시에 측정전극(32)이 식품에 과격하게 접촉되는 것이 예방되고 따라서 측정전극(32)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체(10)의 외상에는 지시장치(30)를 장착하여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17)가 마련될 수 있다. 보관부(17)는 본체(10)의 외상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보관부(17)가 본체(10)의 외상에 홈 형태로 마련되는 것은 일례에 불과하고, 보관부(17)는 본체(10)의 외상에서 돌출하는 형태나 본체(10)의 내부로 슬라이딩하는 서랍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17)에는 지시장치(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홀더(19)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홀더(19)는 탄성재질로 마련되고, 보관부(17)의 내벽(23)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지시장치(30)가 고정홀더(19)의 내면(25)으로 삽입되면 입구(24)가 좌우로 벌어지며 탄성력에 의해 지시장치(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고정홀더(19) 역시 그 형태 및 구성은 상기와는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지시장치(30)를 본체(10)에 고정시키는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다.
한편, 본체(10)의 외관에는 전술한 종류정보입력부(26)의 선택버튼과, 상태정보입력부(15)의 선택버튼과, 표시부(21)의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조작부(14)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지시장치(30)는 식품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지시장치측정부(31)와, 지시장치측정부(31)를 통해 측정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지시장치표시부(36)와, 지시장치측정부(31)를 통해 측정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본체(10)의 상태정보입력부(15)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전송할 수 있는 지시장치통신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장치통신부(38)의 송신단자(53)와 상태정보입력부(15)의 수신단자(52)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지시장치통신부(38)는 상태정보입력부(15)와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지시장치통신부(38)는 블루투스(Bluetooth)와 적외선 통신(RFID) 등의 근거리 통신과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인터넷을 통해 무선으로 상태정보입력부(15)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지시장치표시부(26)에 표시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본체(10)의 상태정보입력부(15)에 직접 수동으로 입력할 필요 없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지시장치(30)에는 지시장치표시부(26)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그 지시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다른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냉장고(1)의 본체(10)는 식품의 상태와 종류에 따른 저장온도 등의 저장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저장조건입력부(29)와, 저장조건입력부(29)를 통해 입력된 저장조건에 따라 냉각장치(18)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장조건입력부(29)는 저장온도에 따라 복수개 마련되는 선택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저장온도 범위에 따라 마련된 강, 중, 약의 선택버튼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지시장치(30)는 식품의 각종 상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지시장치측정부(31)와, 식품의 종류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있는 지시장치종류입력부(33)와, 지시장치측정부(31)를 통해 측정된 식품의 상태 정보와 지시장치종류입력부(33)를 통해 입력된 식품의 종류 정보를 바탕으로 식품의 저장조건을 결정하는 지시장치판단부(34)와, 지시장치판단부(34)를 통해 결정된 식품의 저장조건을 표시하는 지시장치표시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시장치판단부(34)에는 식품의 상태와 종류에 따른 저장조건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지시장치메모리부(35)가 마련되어, 지시장치판단부(34)는 지시장치메모리부(35)를 탐색함으로써 측정된 식품의 상태와 입력된 식품의 종류에 따른 저장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에에 따르면 지시장치(30)는 식품의 각종 상태 정보를 측정할 뿐만 아니라, 식품의 종류 정보를 입력받고, 나아가 식품의 상태 정보와 식품의 종류 정보를 바탕으로 식품의 저장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된 식품의 저장조건은 지시장치표시부(36)를 통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지시장치표시부(36)에 표시된 저장조건을 직접 본체(10)의 저장조건입력부(29)에 입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지시장치(30)는 지시장치측정부(31)와, 지시장치종류정보입력부(33)와, 지시장치판단부(34)와, 지시장치표시부(36)와, 지시장치통신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시장치통신부(38)는 지시장치판단부(34)에서 결정된 식품의 저장온도 등의 저장조건 정보를 본체(10)의 저장조건입력부(29)에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지시장치통신부(38)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저장조건입력부(29)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지시장치(30)를 통해 식품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고, 지시장치(30)에 식품의 종류 정보를 입력하면 지시장치(30)에서 식품의 저장조건이 결정되고, 결정된 저장조건 정보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본체(10)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냉장고는 식품의 종류와 식품의 상태를 모두 고려하여 식품의 저장조건을 결정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저장하는 식품의 종류가 미리 정하여져서 저장되는 식품의 상태만을 고려하여 저장조건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식품의 종류 정보를 입력받는 본체(10)의 종류정보입력부(26) 또는 지시장치(30)의 지시장치종류정보입력부(33)는 생략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10)의 판단부(27)와, 지시장치(30)의 지시장치판단부(34) 역시 식품의 상태 정보만을 바탕으로 식품의 저장조건을 판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11 : 저장실 12 : 저장용기
13 : 도어 14 : 조작부
15 : 본체상태정보입력부 16 : 제어부
17 : 보관부 18 : 냉각장치
19 : 고정홀더 20 : 온도감지부
21 : 본체표시부 23 : 보관부 내벽
24 : 입구 25 : 고정홀더 내면
26 : 본체종류정보입력부 27 : 본체판단부
28 : 본체메모리부 29 : 저장조건입력부
30 : 지시장치 31 : 지시장치측정부
32 : 측정전극 33 : 지시장치종류정보입력부 34 : 지시장치판단부 35 : 지시장치메모리부
36 : 지시장치표시부 38 : 지시장치통신부
43 : 몸체부 44 : 탐지부
45 : 돌출부 46 : 개구부
52 : 수신단자 53 : 송신단자

Claims (23)

  1.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장치;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식품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결정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를 통해 결정된 저장조건에 따라 상기 냉각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와 별도로 휴대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지시장치측정부와, 상기 지시장치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지시장치표시부를 포함하는 지시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는 식품의 염도와, 식품의 산도와, 식품의 온도와, 식품에 포함된 세균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장치측정부는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도록 염도측정부와, 산도측정부와, 온도측정부와, 세균수측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에 따른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장치가 보관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보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상기 지시장치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장치는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지시장치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와 상기 지시장치통신부는 각각 상기 유선 통신을 위해 상호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의 종류 정보를 입력받는 종류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식품의 상태 정보와 상기 종류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식품의 종류 정보에 따라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종류입력부는 상기 식품의 종류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와 상기 식품의 종류 정보에 따른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은 식품의 저장온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장치;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식품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결정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를 통해 결정된 저장조건에 따라 상기 냉각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와 별도로 휴대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지시장치측정부와, 상기 지시장치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상기 본체의 상기 입력부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지시장치통신부를 포함하는 지시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장치;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입력받는 저장조건입력부;
    상기 저장조건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저장조건에 따라 상기 냉각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와 별도로 휴대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지시장치측정부와, 상기 지시장치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결정하는 지시장치판단부와, 상기 지시장치판단부를 통해 결정된 식품의 저장조건을 표시하는 지시장치표시부를 포함하는 지시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장치판단부는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에 따른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지시장치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건입력부는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수동으로 입력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건입력부는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상기 지시장치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장치는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지시장치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장치는 상기 식품의 종류 정보를 입력받는 지시장치종류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장치판단부는 상기 지시장치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식품의 상태 정보와 상기 지시장치종류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식품의 종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장치종류입력부는 상기 식품의 종류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장치판단부는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와 상기 식품의 종류 정보에 따른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지시장치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장치;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입력받는 저장조건입력부;
    상기 저장조건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저장조건에 따라 상기 냉각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와 별도로 휴대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식품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지시장치측정부와, 상기 지시장치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식품의 저장조건을 결정하는 지시장치판단부와, 상기 지시장치판단부를 통해 결정된 식품의 저장조건을 상기 본체의 상기 저장조건입력부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지시장치통신부를 포함하는 지시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10094307A 2011-09-19 2011-09-19 지시장치와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3003067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307A KR20130030677A (ko) 2011-09-19 2011-09-19 지시장치와 이를 갖는 냉장고
US13/613,875 US9546811B2 (en) 2011-09-19 2012-09-13 Indicat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12184226.4A EP2570757B1 (en) 2011-09-19 2012-09-13 Indicat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2012103495613A CN103017436A (zh) 2011-09-19 2012-09-19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307A KR20130030677A (ko) 2011-09-19 2011-09-19 지시장치와 이를 갖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677A true KR20130030677A (ko) 2013-03-27

Family

ID=4722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307A KR20130030677A (ko) 2011-09-19 2011-09-19 지시장치와 이를 갖는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46811B2 (ko)
EP (1) EP2570757B1 (ko)
KR (1) KR20130030677A (ko)
CN (1) CN1030174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138B1 (ko) * 2016-08-09 2017-03-07 (주)우성기업 일정량의 육수를 유지하면서 슬러시를 생성하는 슬러시 제조장치.
KR20190089601A (ko) * 2018-01-23 2019-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테이블형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4511B (zh) * 2014-08-29 2018-04-10 酷派软件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冰箱的智能温控方法、装置及冰箱
WO2016145496A1 (pt) * 2015-03-13 2016-09-22 MACEDO, Juliana Cardoso Vicente de Sistema, método e dispositivo para medição de temperatura de alimentos e bebidas em refrigeradores e congeladores
KR101830660B1 (ko) * 2016-01-29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와 통신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 시스템
CN105791425A (zh) * 2016-04-22 2016-07-20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食物备制系统
CN106679319B (zh) * 2016-12-02 2019-12-1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保鲜控制方法
CN106642912B (zh) * 2016-12-02 2019-08-0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保鲜控制方法
CN106705535B (zh) * 2016-12-02 2019-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保鲜控制方法
CN106642915A (zh) * 2016-12-09 2017-05-1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具有气调保鲜功能的冷藏冷冻装置
US20180299192A1 (en) * 2017-04-17 2018-10-18 Todd Victor Clark Perishable food storage locker
CN112696867B (zh) * 2019-10-23 2023-06-30 青岛海高设计制造有限公司 用于冰箱的控制方法及装置、冰箱
CN113091372B (zh) * 2019-12-23 2022-07-26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7429A (en) * 1985-09-06 1987-10-06 Kolpak Industries, Inc. Rapid chill refrigerator control
KR100588131B1 (ko) 1999-08-20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 숙성제어 방법 및 이를 구비한 김치냉장고
KR20020029513A (ko) 2000-10-13 2002-04-19 황한규 김치저장고 및 숙성제어방법
US6550259B2 (en) * 2000-12-22 2003-04-22 Premark Feg L.L.C. Chiller control system
JP3917413B2 (ja) * 2001-11-28 2007-05-23 福島工業株式会社 食材の冷却加工装置
US6982640B2 (en) 2002-11-21 2006-01-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FID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food freshness
KR20040094453A (ko) * 2003-05-02 2004-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US7283814B2 (en) 2003-07-31 2007-10-16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in wireless data networks
US7703389B2 (en) * 2003-08-14 2010-04-27 Mclemore John D Cooking apparatus with cooking characteristic monitoring system
US7680691B2 (en) 2004-04-29 2010-03-16 S.C. Johnson & Son, Inc.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ITMO20040193A1 (it) 2004-07-23 2004-10-23 Angelo Grandi Cucine Spa Sistema e sonda per la rivealzione di un parametro
ITMO20040211A1 (it) * 2004-08-06 2004-11-06 G I S P A Sa Sistema di controllo della riduzione della temoperatura di un alimento.
ITPD20050041A1 (it) * 2005-02-17 2006-08-18 Irinox S P A Abbattitore per il raffreddamento rapido e o il congelamento rapido di alimenti, con sonda perfezionata per il rilevamento della loro temperatura
ITPN20050026A1 (it) * 2005-04-29 2006-10-30 Electrolux Professional Spa "apparecchio di raffreddamento a funzionamento adattativo"
KR100665066B1 (ko) * 2005-05-03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맞춤숙성이 가능한 숙성장치 및 그 방법
US7367198B2 (en) * 2005-07-07 2008-05-06 Hussmann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 for a refrigerated merchandiser
US20080048954A1 (en) * 2006-08-24 2008-02-28 Winia Mand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operation mode of kimchi refrigerator
US8011195B2 (en) * 2006-09-18 2011-09-06 Lg Electronics Inc. Kimchi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7520668B2 (en) * 2007-01-24 2009-04-21 Innova Electronics Corporation Multi function thermometer
KR100878822B1 (ko) * 2007-07-12 2009-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US20090096617A1 (en) * 2007-10-10 2009-04-16 Multiteria, Ll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ood temperature in food service equipment
US20100128753A1 (en) * 2008-11-26 2010-05-27 Rubbermaid Incorporated Multiple-Stage Thermometer and Temperature Monitor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138B1 (ko) * 2016-08-09 2017-03-07 (주)우성기업 일정량의 육수를 유지하면서 슬러시를 생성하는 슬러시 제조장치.
KR20190089601A (ko) * 2018-01-23 2019-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테이블형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46811B2 (en) 2017-01-17
EP2570757B1 (en) 2017-08-23
EP2570757A3 (en) 2015-09-09
EP2570757A2 (en) 2013-03-20
US20130067937A1 (en) 2013-03-21
CN103017436A (zh)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0677A (ko) 지시장치와 이를 갖는 냉장고
US8464544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320647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40125105A (ko) 냉장고 및 그 동작 방법
KR10164543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JP2008545942A (ja) 無線技術を使用する食品温度設定
CN106895636B (zh) 冰箱
KR20170071218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22743A (ko) 물품 보관 장치 및 이의 물품 상태 식별 방법
CN107257908B (zh) 家用制冷器具的冷却物特有的运行
US10670328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07602B1 (ko) 냉장고
KR20150124155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951525B1 (ko) 과냉각 시스템
US20070036201A1 (en) Storage appliance having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59917A (ko) 냉장고
CN114562845B (zh) 冷藏冷冻设备的控制方法与冷藏冷冻设备
KR100527881B1 (ko) 김치저장고의 숙성제어를 위한 장치
KR100690137B1 (ko) 고내온도 제공형 냉장고
KR100707358B1 (ko) 2개의 온도센서를 갖는 김치저장고 및 이러한 김치저장고의 숙성 제어방법
KR100961794B1 (ko) 과냉각 장치
KR102054627B1 (ko) 음식물 쓰레기 냉동 보관 장치
CN110864478B (zh) 冰箱冷藏室的制冷控制方法和冰箱
KR20010003966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5008A (ko) 김치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