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608B1 -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608B1
KR100661608B1 KR1020040116286A KR20040116286A KR100661608B1 KR 100661608 B1 KR100661608 B1 KR 100661608B1 KR 1020040116286 A KR1020040116286 A KR 1020040116286A KR 20040116286 A KR20040116286 A KR 20040116286A KR 100661608 B1 KR100661608 B1 KR 100661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er
plate
rail
spring clip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7436A (ko
Inventor
엄기영
문형석
여인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16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608B1/ko
Publication of KR20060077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38Indirect fastening of rails by using tie-plates or chairs; Fastening of rails on the tie-plates or in the chairs
    • E01B9/44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 E01B9/46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by clamps
    • E01B9/48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by clamps by resilient steel cli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일이 안치되는 침목의 상면부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중앙부에 스프링 클립 고정구를 구비하고 서로 인접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연결시켜 주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침목간 플레이트와;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의 스프링 클립 고정구에 일단부가 고정된 형태에서 레일의 풋부를 탄력적으로 고정시켜 주는 스프링 클립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레일을 보다 견고하고 강력하게 고정할 수 있고, 철도 차량의 상하 진동을 유효 적절하게 감쇄시켜 선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들에게 보다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레일 풋, 베이스 플레이트, 플레이트, 스프링 클립

Description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 {Elastic device for fastening rails to crossties on railroad tie}
도 1은 종래 철도 레일의 탄성 체결장치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가 실시된 궤도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 중 스프링 클립 체결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중 침목부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침목 2 : 레일
6 : 베이스 플레이트 7 : 침목간 플레이트
8 : 스프링 클립 9 : 고정판
10 : 볼트 21 : 레일 풋
61 : 안착홈 62 : 걸림돌기
71 : 스프링 클립 고정구
본 발명은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목의 상부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서로 인접된 두개의 침목 사이에 서 침목간 플레이트를 통해 상호 연결되게 구성시키되,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부에는 스프링 클립 고정구를 형성시켜 침목과 침목 사이에서 스프링 클립으로 레일 풋부를 탄력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레일을 보다 견고하고 강력하게 고정할 수 있고, 철도 차량의 운행시 레일의 상하 처짐에 의해 유발되는 철도 차량의 상하 진동을 유효 적절하게 감쇄시켜 선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들에게 보다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레일의 탄성 체결장치는 좌우 2개의 레일을 침목 및 기타 지지체에 고정 체결하는 장치로서, 레일의 궤도 간격을 유지해 주고 철도 차량의 주행 시 차량에 의해 궤도에 가해지는 상하, 좌우 방향의 하중 및 진동을 하부구조인 침목과 도상자갈 및 노반 등에 감쇄시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레일 탄성 체결장치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2002-0092132호의 종래 기술에 게재된 바와 같이 크게 PR 클립 및 e 클립의 영국형과, RN형 및 나브라형의 프랑스형 또는 W형 및 보슬러형의 독일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에 있어서 영국형은 적은 부품수와 유지보수면에서 장점을 지니 고 있으나, 조절성이 부족하고 2중 틸팅 방지기능이 없어 파손이 쉽게 발생되어 유지보수에 상당히 어려운 단점이 있고, 프랑스형과 독일형은 나사를 사용하므로 선로에 수없이 많이 설치된 체결장치의 나사 체결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유지보수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이 출원한 상기 공개특허공보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침목(1)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33)의 상부면 중앙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상부 지지턱(311)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고정부(31)가 돌출형성되고, 이 고정부(31)의 일측으로는 측면 지지턱(32)이 돌출 형성된 숄더(3)와; 상기 숄더(3)의 고정부(31)가 내측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상부 지지턱(311)에 지지 고정되도록 끝단부가 근접된 위치에 대칭 형성되며, 상기 끝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만곡부(41)는 상기 측면 지지턱(32)에 지지 고정되고, 직선 형태의 전방부는 레일 풋(21)을 압압 고정하도록 절곡 형성된 체결 스프링(4)과; 상기 체결 스프링(4)과 레일 풋(21)의 사이에 위치되는 인슈레이터(5);로 레일 체결장치를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은 나사방식을 적용하지 않고도 2중 안전장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숄더와 체결 스프링을 제공함에 따라 그 만큼 체결작업을 위한 공간이 적고, 어느 정도의 유지보수비의 절감효과와 함께 안전성 향상 효과를 가지나, 그 구성 부품의 구조가 복잡하고 그 수가 많아 생산 및 설치 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침목 위에서 종래 다른 체결장치와 마찬가지로 레일을 고정시켜 줌으로써 진동 감쇄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침목의 상부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서로 인접된 두개가 침목간 플레이트를 통해 연결되게 설치하고, 이 침목간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형성된 스프링 클립 고정구에 레일 풋부를 탄력적으로 고정시켜 주는 스프링 클립을 설치하여 레일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철도 차량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을 대폭 감쇄시켜 선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른 선로 유지보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들에게 보다 안락하고 안정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은, 레일이 안치되는 침목의 상면부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중앙부에 스프링 클립 고정구를 구비하고 서로 인접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연결시켜 주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침목간 플레이트와;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의 스프링 클립 고정구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레일의 풋부를 탄력적으로 고정시켜 주는 스프링 클립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와 스프링 클립은 레일의 양측부에서 체결 및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부에는 침목간 플레이트가 끼워지는 안착홈과 그 일측면 일부가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고정판을 설치하고 이 고정판과 침목간 플레이트는 볼트를 통해 침목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장치가 실시된 궤도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 장치 중 스프링 클립 체결부의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장치중 침목부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레일(2)이 안치되는 침목(1)의 양측 상면부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6)와;
중앙부에 스프링 클립 고정구(71)를 구비하고 서로 인접된 베이스 플레이트(6)를 연결시켜 주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침목간 플레이트(7)와;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7)의 스프링 클립 고정구(71)에 그 일단부가 고정된 형태에서 타단부가 레일 풋(21)부를 탄력적으로 고정시켜 주는 스프링 클립(8)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7)와 스프링 클립(8)은 레일(2)의 양측부에서 나란히 체결 및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의 양측부에는 침목간 플레이트(7)의 양단부 가 끼워지는 안착홈(61)과,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7)의 일측면 일부가 끼워져 걸려지도록 하는 걸림돌기(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7)의 상면에는 고정판(9)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판(9)과 침목간 플레이트(7)는 볼트(10)를 통해 침목(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7)의 양단부에 형성된 볼트 통과공(72)은 장방형으로 형성하여 침목간의 간격이 서로 상이하여도 볼트(10)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침목(1)의 양측 상면에 형성된 안치홈(11)에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6)를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의 중앙 상면부로 레일 풋(21)부가 올려지도록 하여 레일(2)을 설치한다.
이후, 서로 인접된 두개의 베이스 플레이트(6)의 양측부에 각각 침목간 플레이트(7)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의 상면 양단부에는 침목간 플레이트(7)의 양단부가 끼워지는 안착홈(61)과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7)의 길이방향에 단부의 일측면이 끼워져 걸려지도록 하는 걸림돌기(6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7)를 침목(1)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7)를 침목(1)에 볼트(10)를 통해 고정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7)의 상면에는 고정판(9)이 덮혀져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7)와 함께 침목(1)상에 볼트(10)를 통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 사이에 침목간 플레이트(7)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침목간 플레이트(7)의 길이방향 단부 일측면이 걸림돌기(62)의 저부로 끼워지도록 하여 베이스 플레이트(6)의 안착홈(61)에 안치시킨 후 걸림돌기(62)가 형성된 반대쪽의 상면부로 고정판(9)을 덮은 다음 볼트(10)를 이용하여 고정판(9)과 침목간 플레이트(7)를 침목(1)상에 고정시켜 주면 된다.
이 때,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7)의 양단부에 형성된 볼트 통과공(72)은 도 2의 확대도와 같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록 침목(1)들의 간격이 서로 상이하더라도 볼트(10)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침목(1)상에 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침목간 플레이트(7)를 인접된 두개의 베이스 플레이트(6)에 결합시키고 고정판(9)을 덮고 볼트(1)를 통해 침목(1)에 고정시키면 상기 고정판(9)의 내단부가 도 4와 같이 레일 풋(21)의 외측면과 맞닿아 지지되게 되므로 차량 주행에 따른 진동에 의한 레일(2)의 좌우 이동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레일의 간격이 유지된다.
이후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7)의 중앙부에 형성된 스프링 클립 고정구(71)에 스프링 클립(8)의 일단부를 결합시키면 상기 스프링 클립(8)의 타단부가 레일 풋(21)부의 상면에 강한 탄성력을 갖고 압압하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상기 레일(2)은 스프링 클립(8)들의 탄성력에 의해 침목(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7)를 도 2와 같이 레일(2)의 양측부에 모두 설치하고 각각의 침목간 플레이트(7)의 스프링 클립 고정구(71)와 레일 풋(21) 사이 에는 각각 스프링 클립(8)을 체결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침목(1)과 침목 사이의 레일 풋(21)부가 베이스 플레이트(6) 사이에 설치된 침목간 플레이트(7)의 스프링 클립 고정구(71)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된 스프링 클립(7)에 의해 탄력적으로 고정되므로 레일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철도 차량의 운행에 따른 진동이 상기 스프링 클립(7)를 통해 대폭 감쇄되어 선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른 선로 유지보수 대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차의 운행에 따른 진동 감소로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승객에게 안락한 승차감을 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 의하면, 침목의 상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침목간 플레이트을 설치하고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형성된 스프링 클립 고정구상에 스프링 클립을 설치하여 침목간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 클립이 레일 풋부를 압압하는 형태로 고정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레일을 보다 견고하고 완벽하게 고정할 수 있고, 철도 차량의 운행에 따른 진동을 대폭 감쇄시킬 수 있어 선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 론 그로 인해 선로 유지보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들에게 보다 안락하고 안정된 승차감을 줄 수 있어 열차 운행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레일이 안치되는 침목의 상면부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서로 인접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연결시켜 주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침목간 플레이트와;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 중앙부에 일단부가 고정된 형태에서 레일의 풋부를 탄력적으로 고정시켜 주는 스프링 클립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의 중앙부에는 스프링 클립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스프링 클립 고정구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와 스프링 클립은 레일의 양측부에서 체결 및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부에는 침목간 플레이트가 끼워지는 안착홈과,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의 일측면 일부가 걸려지는 걸림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고정판을 설치하고, 이 고정판과 침목간 플레이트는 볼트를 통해 침목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목간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볼트 통과공은 장방형으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
KR1020040116286A 2004-12-30 2004-12-30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 KR100661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286A KR100661608B1 (ko) 2004-12-30 2004-12-30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286A KR100661608B1 (ko) 2004-12-30 2004-12-30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436A KR20060077436A (ko) 2006-07-05
KR100661608B1 true KR100661608B1 (ko) 2006-12-26

Family

ID=3716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286A KR100661608B1 (ko) 2004-12-30 2004-12-30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6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584B1 (ko) * 2006-10-14 2007-01-11 주식회사 삼안 연약지반 철도 보강을 위한 방석침목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7401A (ja) * 1990-03-15 1991-11-28 Everts En Van Der Weyden Expoit Maatsch Ewem Bv レールを取付け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H04155001A (ja) * 1990-10-19 1992-05-28 Keiji Shimizu レール締結構造
JPH08177001A (ja) * 1994-12-27 1996-07-09 Kubota Corp 継目用短まくらぎ
US6471140B2 (en) 2000-08-11 2002-10-29 Lewis Bolt & Nut Company Rail anchoring spik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7401A (ja) * 1990-03-15 1991-11-28 Everts En Van Der Weyden Expoit Maatsch Ewem Bv レールを取付け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H04155001A (ja) * 1990-10-19 1992-05-28 Keiji Shimizu レール締結構造
JPH08177001A (ja) * 1994-12-27 1996-07-09 Kubota Corp 継目用短まくらぎ
US6471140B2 (en) 2000-08-11 2002-10-29 Lewis Bolt & Nut Company Rail anchoring spi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436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107301A (ja) 鉄道レールの防振装置
KR100817446B1 (ko) 철도 교량 레일 방진시설
KR100661608B1 (ko) 철도 레일의 침목간 탄성 체결장치
KR20180126272A (ko) 철도 건널목의 보판
KR100660007B1 (ko) 철도 레일 고정 구조
KR20140000963U (ko) 레일체결장치
KR101061078B1 (ko) 콘크리트 궤도 분기기용 탄성패드
JP2001011819A (ja) まくらぎ弾性支持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まくらぎ弾性支持構造
KR200410831Y1 (ko) 스프링 클립을 이용한 철도 레일 체결장치
KR100661607B1 (ko) 레일의 탄성 체결장치
KR100817449B1 (ko) 교량용 철도 침목 체결부재
KR200410829Y1 (ko) 급커브 철도 레일의 체결장치
KR20110009373U (ko) 철도 레일 설치구조
KR101094876B1 (ko) 레일용 절연패드의 이탈방지 장치
KR200479970Y1 (ko) 이중완충기능이 가능한 가이드플레이트를 구비한 교량용 레일체결장치
JP2006299740A (ja) 振動減衰締結装置および軌道
KR100440800B1 (ko) 팬드롤형 교량용 콘크리트 방진침목
KR200312651Y1 (ko) 철도 궤도 방진 방음 체결장치용 와셔 볼트
JP3081826B2 (ja) レールの無螺釘弾性締結装置
KR20050090103A (ko) 철도 레일 이음매용 방진 체결장치
KR101219391B1 (ko) 레일 방진 구조
KR20120008725U (ko) 레일체결장치
KR200410833Y1 (ko) 결속 압착식 철도 레일 체결장치
KR200236034Y1 (ko) 철도선로의 침목 횡 저항력 증강 장치
KR200410827Y1 (ko) 덮개판 클립을 이용한 철도 레일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