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642B1 -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642B1
KR100660642B1 KR1020050009404A KR20050009404A KR100660642B1 KR 100660642 B1 KR100660642 B1 KR 100660642B1 KR 1020050009404 A KR1020050009404 A KR 1020050009404A KR 20050009404 A KR20050009404 A KR 20050009404A KR 100660642 B1 KR100660642 B1 KR 100660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eed
krill
flou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8920A (ko
Inventor
이해영
강용진
김강웅
김경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50009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064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8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3/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 H02P23/0004Control strategies in general, e.g. linear type, e.g. P, PI, PID, using robust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6Linear motors
    • H02P25/062Linear motors of the induction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nverter used
    • H02P2201/13DC-link of current link type, e.g. typically for thyristor bridges, having an inductor in series with rect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분 및 크릴, 참치부산물 어분, 콘 글루텐 밀, 대두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백질 공급원, 탄수화물 공급원, 지질 공급원 및 미량영양소 공급원을 포함하는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단백질 공급원으로 어분의 일부를 크릴로 대체함으로써 넙치의 성장을 촉진시켜 증체율과 사료효율이 좋아져 양식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어분의 일부를 가격이 저렴한 참치부산물 어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대체함으로써 양식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외화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어분의 일부를 대두박 또는 콘 글루텐 밀로 대체하여 사용하므로 경제적이다.
크릴, 넙치 양식, 참치부산물 어분, 콘 글루텐 밀, 대두박

Description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Composition of feed stuff for olive flounder aquaculture}
본 발명은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분 및 크릴, 참치부산물 어분, 콘 글루텐 밀, 대두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백질 공급원, 탄수화물 공급원, 지질 공급원 및 미량영양소 공급원을 포함하는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 해산어 양식은 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자연산 방어 치어를 채포하여 생사료를 급여하여 양식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공 종묘생산 기술개발과 적정 배합사료 개발 등 양식기술이 발전하여 육상수조식 및 가두리식 양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해산어 양식 생산량은 최근 넙치, 조피볼락(우럭)을 중심으로 10만여 톤을 생산하고 있다. 우리 나라 등 동북아시아의 기후조건에 적합한 넙치와 조피볼락(우럭)은 해산어류중 가장 빠른 성장과 높은 사료효율로 중요 양식종으로 부각됨에 따라 효율적 양식을 위한 적합한 배합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성장패턴, 적정 사료원료, 단백질, 지질, 지방산 및 탄수화물의 첨가량 등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중 조피볼락에 대해 한국 특허출원번호 2004-0082402에 본 발명자들의 발명이 기술되어 있다.
넙치[olive flounder, Paralichtys olivaceus]는 가자미목 넙치과에 속하며, 몸길이는 약 45 cm로 눈이 있는 쪽은 황갈색 바탕에 짙은 갈색을 띠고 눈이 없는 쪽은 흰색을 띤다. 한국 연근해, 일본 남부, 남중국해, 동중국해 등 온대 해역에 분포한다.
주요 양식어종인 넙치 양식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고품질 배합사료를 개발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각종 영양소 요구량은 배합사료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되지만, 어류의 필수 영양소는 수십 여종 이상으로,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등 주요 영양소 외에도 아미노산, 지방산, 미네랄 및 비타민 등 필수 미량 영양소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모든 필수 미량 영양소의 종류와 요구량을 규명하는 데 수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배합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는 먼저 영양소 요구량을 구명하여 그 어종에 맞는 사료설계를 해야한다. 어류에 필요한 영양소는 수십 여종이 있지만 그 중 단백질 및 아미노산은 성장에 있어 가장 중요한 영양소로서, 사료중 가장 높은 함량과 비용을 차지한다. 건강하고 우수한 해산어 양식생산은 먹이 의존적이므로 세계적으로 해산어용 사료개발에 관하여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넙치 양식에 적합한 배합 사료가 개발 시판되고 있지만 여전히 생사료에 비하여 생산기간이 길어 효율적인 양식이 불가능한 실정이며, 일부 어업인은 외국에서 수입되고 있는 비싼 사료를 사용하므로 경제적인 면에서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어분의 경우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가 격이 점점 오르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넙치에 대하여 사료의 영양소가 고루 갖추어진 양질의 경제적인 저오염 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단백질 공급원으로 이용 가능한 양식용 사료 원료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다 경제적이며 실용적인 넙치 양식용 배합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단백질 공급원으로 어분의 일부를 크릴로 대체함으로써 넙치의 성장을 촉진시켜 증체율과 사료효율이 좋아져 양식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어분의 일부를 가격이 저렴한 참치부산물 어분, 콘 글루텐 밀, 대두박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대체함으로써 어분 첨가사료와 유사한 넙치의 성장 및 사료효율이 나타나 양식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분 및 크릴, 참치부산물 어분, 콘 글루텐 밀, 대두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백질 공급원, 탄수화물 공급원, 지질 공급원 및 미량영양소 공급원을 포함하는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어분 및 크릴, 참치부산물 어분, 콘 글루텐 밀, 대두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백질 공급원, 탄수화물 공급원, 지질 공급원 및 미량영양소 공급원을 포함하는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어분 및 크릴, 참치부산물 어분, 콘 글루텐 밀, 대 두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백질 공급원, 탄수화물 공급원, 지질 공급원 및 미량영양소 공급원을 포함한다.
상기 사료 조성물중 상기 크릴은 크릴 분말일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상기 단백질 공급원은 어분 30~70 중량부 및 크릴 분말 10~20 중량부, 참치부산물 어분 20~40 중량부, 콘 글루텐 밀 5~10 중량부, 대두박 10~30 중량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탄수화물 공급원은 소맥분, 알파 감자전분, 옥수수 전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 17~25 중량부이고, 상기 지질공급원은 대두유, 옥수수유, 오징어간유 또는 명태간유 5~10 중량부이고, 상기 미량영양소 공급원은 미네랄 혼합물 0.5~3.0 중량부 및 비타민 혼합물 0.5~3.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서 상기 단백질 공급원은 어분, 크릴, 참치부산물 어분, 콘 글루텐 밀, 대두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함량은 어분 30~70 중량부 및 크릴 10~20 중량부, 참치부산물 어분 20~40 중량부, 콘 글루텐 밀 5~10 중량부, 대두박 10~30 중량%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단백질 공급원의 양이 지나치게 적으면 넙치 사육시 기호성이 저하되거나 영양이 결핍되며, 너무 과다하면 영양 불균형에 의한 과도한 영양소 축적으로 성장 저하 또는 식용상품으로서의 상품성이 저하된다. 특히, 크릴의 경우 10 중량부 미만이면 넙치의 증체율과 사료효율이 향상되지 않고, 30 중량부 이상이면 가격이 비싸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참치부산물 어분의 경우 가격이 어분의 약 절반 정도이지만, 어분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경제적으로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백질 주 공급원인 어분의 일부를 대두박 10~30 중량부 및 콘 글루텐밀 5~10 중량부 가운데 적 어도 어느 하나로 대체할 수 있다. 크릴 분말은 종류에 따라 성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용하거나, 어분과 유사한 성장 및 사료효율을 위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서 상기 탄수화물 공급원은 소맥분, 알파 감자 전분또는 옥수수 전분을 이용할 수 있으며, 함량은 소맥분, 알파 감자전분, 옥수수 전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 17~2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 공급원의 양이 지나치게 적으면 넙치 사육시 영양 결핍현상이 일어나거나 사료성형에 문제가 발생하고, 너무 과다하면 다른 영양소와 균형을 잃게 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서 상기 지질 공급원은 옥수수유 또는 대두유를 이용할 수 있으며, 함량은 5~10 중량부를 포함한다. 만약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필수지방산이 결핍되거나 과잉 축적되어 성장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옥수수유와 대두유 대신에 필수 지방산 요구량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오징어간유와 명태간유로 10 중량부까지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서 환경친화적 사료로서 해조(미역)분말 2~5 중량부, 이스트 1~2 중량부, 스피루리나 0.5~1.0 중량부 및 레시틴 0.5~1.0 중량부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이용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영양 결핍현상이 일어나거나 사료성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서 상기 미량 영양소 공급원은 비타민 혼합물과 미네랄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넙치의 성장과 질병에 대한 내성을 높이는 작용 등을 한다.
상기 미네랄 혼합물은 NaCl, MgSO4·7H20, NaH2PO4·2H2 0, KH2PO4, CaH4(PO4)2·H20, 페릭 시트레이트(ferric citrate), ZnSO4·7H20, 칼슘-락테이트(Calcium lactate), CuCl, AlCl3·6H20, KIO3, Na2Se2O3 , MnSO4·H20, CoCl2·6H20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함량은 상기 단백질 공급원, 지질 공급원 또는 탄수화물 공급원의 배합량에 따라 조절되며, 0.5~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타민 혼합물은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티아민, 리보플라빈, 피리독신, 나이아신(niacin), 칼슘-D-판토테네이트(Ca-D-pantothenate), 미오-이노시톨, D-바이오틴, 엽산(folic acid), p-아미노벤조산(p-aminobenzoic acid), 비타민 K3, 비타민 A, 비타민 D3, 염화 콜린 및 시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함량은 상기 단백질 공급원, 지질 공급원 또는 탄수화물 공급원의 배합량에 따라 조절되며, 0.5~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공급원으로 크릴, 참치부산물 어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 넙치(어분) 사료용 조성물은 증체율과 사료효율을 높게 하거나 유사하게 한다. 특히, 단백질 공급원으로 어분의 일부를 크릴 분말(10 중량부)로 대체한 경우, 높은 증체율(p < 0.005)과 높은 사료효율(p < 0.03)을 나타낸다.
반면, 단백질 공급원으로 어분만을 포함한 경우 생존율이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공급원으로 크릴 분말을 포함한 넙치(어분) 사료용 조성물과 유사하게 나타난 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공급원으로 어분의 일부를 크릴 분말로 대체하여 5, 10, 20 중량부를 포함한 본 발명의 넙치(어분) 사료용 조성물은 크릴 분말의 함량이 20 중량부에서 증체율과 사료효율이 높게 나타난다.
반면, 단백질 공급원으로 크릴 분말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증체율과 사료효율이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공급원으로 다양한 크릴 분말 종류에 따라서 포함한 넙치(어분) 사료용 조성물보다 낮거나 유사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은 사료의 종류에 따라 넙치의 증체율(p<0.02~0.0001), 사료효율(p<0.03~0.002)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만, 생존율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거나(p>0.05), 나타내거나(p<0.0001) 하여 사육환경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단백질 공급원으로 크릴, 참치부산물 어분, 콘 글루텐 밀, 대두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증체율과 사료효율이 좋아지거나 유사하며, 특히 크릴을 사용할 경우 양식생산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한 참치부산물 어분을 사용할 경우 양식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어, 넙치의 빠른 성장과 양식생산 단가 절감을 원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6주간 넙치를 사육한 후, 넙치 체내에 있는 일반성분을 AOAC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크릴의 종류와 함유량에 따라 넙치 치어의 일반성분인 수분, 단백질, 지질 및 회분 함량중 크릴분말 10% 첨가구의 지질 함량은 낮아졌지만 다른 시험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20% 크릴분말 첨가 사료로 사육한 성장이 우수한 넙치 전어체의 일반 성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7 : 사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어분, 소맥분, 크릴 분말, 참치부산물 어분, 알파 감자전분, 옥수수 전분, 콘 글루텐 밀, 오징어간유, 선오일, 프리믹스, 해조 분말을 혼합기로 혼합하여 분말 사료 조성물을 만들었다.
상기 분말 사료 조성물에, 30~40 중량부의 증류수를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모이스트 펠렛 제조기에 넣고, 60~8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성형하였다.
압출된 펠렛은 진공건조 시킨 후, 냉동고(-25℃)에 보관하여 두었다가 사료 급여시마다 필요한 분량만큼 적절한 크기로 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8~15 : 사료 조성물의 제조
단백질 공급원으로 어분, 대두박, 콘 글루텐 밀, 참치부산물 어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1~7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18 : 사료 조성물의 제조
단백질 공급원으로 어분, 크릴 분말, 대두박, 콘 글루텐 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1~7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9~22 : 사료 조성물의 제조
단백질 공급원으로 어분, 냉동 크릴, 크릴 분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1~7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단백질 공급원으로 어분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1~7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3 :
단백질 공급원으로 어분, 대두박, 콘 글루텐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1~7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의 사료 조성물의 성분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8~15의 사료 조성물의 성분비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6~18의 사료 조성물의 성분비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9~22의 사료 조성물의 성분비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1~3의 사료 조성물의 성분비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단위 : 중량%)
원료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어분 60.0 50.0 40.0 30.0 15.0 0.0 0.0
대두박 0.0 0.0 0.0 0.0 0.0 0.0 10.0
소맥분 11.0 11.0 11.0 11.0 11.0 11.0 13.0
크릴 분말 10.0 20.0 30.0 - - - 20.0
참치부산물 어분 - - - 40.0 55.0 70.0 35.0
알파 감자전분 7.0 7.0 7.0 7.0 7.0 7.0 0.0
옥수수 전분 0.0 0.0 0.0 0.0 0.0 0.0 4.0
콘 글루텐 밀 0.0 0.0 0.0 0.0 0.0 0.0 5.0
오징어 간유 5.0 5.0 5.0 5.0 5.0 5.0 0.0
선 오일 0.0 0.0 0.0 0.0 0.0 0.0 5.0
프리믹스 D 또는 H 7.0 7.0 7.0 7.0 7.0 7.0 6.0
해조 분말 0.0 0.0 0.0 0.0 0.0 0.0 2.0
※ 1) 선 오일 : 어유, 옥수수유, 에톡시퀸, 대두 레시틴, 비타민 A,D 및 E.
2) 프리믹스 D(㎎/㎏) : KI, MnSO4·H2O, ZnSO4·H2O, 비타민 K, 바이오틴(2%), 콜린, 나이아신, 칼슘 판토테네이트(Calcium pantothenate), 엽산(Folic acid),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C, 타우린, 아스파르트산, 다시마분말, 이스트, 스피루리나, 부형제(소맥분)
3) 프리믹스 H(mg/kg) : NaCl, MgSO7H2O, NaH2PO2H2O, KH2PO4, CaH4(PO4)H2O, 페릭 시트레이트(ferric citrate), ZnSO7H2O, 칼슘 락테이트(Calcium lactate), CuCl, AlCl6H2O, KIO3, Na2Se2O3 , MnSOH2O, CoCl6H2O,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티아민, 리보플라빈, 피리독신, 나이아신(niacin), 칼슘-D-판토테네이트(Ca-D-pantothenate), 미오-이노시톨, D-바이오틴, 엽산(folic acid), p-아미노벤조산(p-aminobenzoic acid), 비타민 K3, 비타민 A, 비타민 D3, 염화 콜린 및 시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
(단위 : 중량%)
원료 실시예 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어분 45.0 35.0 45.0 35.0 35.0 15.0 0.0 15.0
대두박 20.0 30.0 20.0 30.0 10.0 10.0 10.0 20.0
소맥분 13.0 13.0 8.0 8.0 13.0 13.0 13.0 0.0
크릴 분말 - - - - - - - 20.0
참치부산물 어분 - - - - 20.0 40.0 55.0 20.0
알파 감자전분 0.0 0.0 0.0 0.0 0.0 0.0 0.0 0.0
옥수수 전분 4.0 4.0 4.0 4.0 4.0 4.0 4.0 4.0
콘 글루텐 밀 5.0 5.0 10.0 10.0 5.0 5.0 5.0 5.0
오징어 간유 0.0 0.0 0.0 0.0 0.0 0.0 0.0 0.0
선 오일 5.0 5.0 5.0 5.0 5.0 5.0 5.0 8.0
프리믹스 D 또는 H 6.0 6.0 6.0 6.0 6.0 6.0 6.0 6.0
해조 분말 2.0 2.0 2.0 2.0 2.0 2.0 2.0 2.0
※ 표 1 참조
(단위 : 중량%)
원료 실시예16 실시예 17 실시예18
어분 50.0 45.0 35.0
대두박 10.0 10.0 10.0
소맥분 13.0 13.0 13.0
크릴 분말 5.0 10.0 20.0
참치부산물 어분 - - -
알파 감자전분 0.0 0.0 0.0
옥수수 전분 4.0 4.0 4.0
콘 글루텐 밀 5.0 5.0 5.0
오징어 간유 0.0 0.0 0.0
선 오일 5.0 5.0 5.0
프리믹스 D 또는 H 6.0 6.0 6.0
해조 분말 2.0 2.0 2.0
※ 표 1 참조
(단위 : 중량%)
원료 실시예 19 실시예 20 실시예 21 실시예 22
어분 60.0 50.0 50.0 50.0
대두박 0.0 0.0 0.0 0.0
소맥분 11.0 11.0 11.0 18.4
냉동 크릴 10.0 20.0 10.0 10.0
크릴 분말 - - 10.0 10.0
알파 감자전분 7.0 7.0 7.0 7.0
옥수수 전분 0.0 0.0 0.0 0.0
콘 글루텐 밀 0.0 0.0 0.0 0.0
오징어 간유 5.0 5.0 5.0 1.0
선 오일 0.0 0.0 0.0 0.0
미네랄 프리믹스 4.0 4.0 4.0 1.0
비타민 프리믹스 3.0 3.0 3.0 1.0
※ 표 1 참조
(단위 : 중량%)
원료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어분 70.0 55.0 55.0
대두박 0.0 10.0 10.0
소맥분 11.0 13.0 13.0
크릴 분말 - - -
참치부산물 어분 - - -
알파 감자전분 7.0 0.0 0.0
옥수수 전분 0.0 4.0 4.0
콘 글루텐 밀 0.0 5.0 5.0
오징어 간유 5.0 0.0 5.0
선 오일 0.0 5.0 0.0
프리믹스 D 또는 H 7.0 6.0 6.0
해조 분말 0.0 2.0 2.0
※ 표 1 참조
실험예 1 : 넙치의 증체율, 사료효율 및 생존율 측정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6주간(또는 8주간) 사육한 넙치의 증체율, 사료효율 및 생존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 넙치의 사육 및 관리
3톤 FRP 원형수조를 이용하여 유수식으로 1일 3~4회 먹이를 공급하여 예비사육 중이던 동일 어미로부터 출산한 평균 체중 5.03±0.09 g (16.30±1.00 g, 또는 27.50±1.50 g)의 넙치 치어 20마리(10마리 또는 12마리)씩을 300ℓ 원형 FRP 수조에 3번 반복 수용하여 1일 2회(오전 9시30분, 오후 4시) 먹이를 만복 공급하였다.
고압모래 여과장치로 여과된 자연해수를 실험 시작시에 3ℓ/min씩 흘려주었고, 넙치가 성장함에 따라 실험 종료시에는 5ℓ/min으로 조절하였다.
각 수조당 에어스톤을 설치하여 산소를 보충하면서, 용존산소는 정상적인 성장에 필요한 5ppm 이상으로 유지하였다. 자연광 주기를 이용하여 8주간 실험하였으며, 이 기간동안의 사육수온은 자연수온으로 19.9 ~ 29.5℃ (15.6 ~ 26.5℃ 또는 22.0~26.5℃) 이었다.
2. 넙치의 증체율, 사료효율 및 생존율 측정
상기 1에서 사육한 넙치를 실험구별로 5마리씩 무작위로 추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어체의 측정은 실험 시작하기 전 실험어의 중량을 측정하였고, 실험 종료 후는 2일간 절식시킨 후 MS222 100 ppm에 마취시켜 각 실험수조에 수용된 실험어 전체 체중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증체율로 사료효율을 계산하였다.
결과를 표 6 내지 표 10에 나타내었다.
최초 체중(g) 최종 체중(g) 증체율(%) 사료효율(%) 생존율(%)
실시예 1 4.9 41.1 722 114 97
실시예 2 5.0 46.3 817 123 93
실시예 3 5.1 38.3 667 124 97
실시예 4 5.1 35.8 602 130 95
실시예 5 5.1 31.1 507 111 85
실험예 6 5.1 28.0 448 100 87
실험예 7 5.1 27.7 447 114 90
※ 1) 증체율 = {(최종평균체중 - 초기체중) / 초기체중} × 100
2) 사료효율 = (체중증가 / 사료 공급량) ×100
3) 다중검정 : p<0.05
표 6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공급원으로 크릴 분말을 포함한 넙치 사료용 조성물은 증체율과 사료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공급원으로 참치 부산물 어분을 포함한 넙치 사료용 조성물은 크릴 분말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증체율과 사료효율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특히, 단백질 공급원으로 어분의 일부를 크릴 분말(20 중량%)로 대체한 실시예 2의 경우, 높은 증체율(p < 0.005)과 높은 사료효율(p < 0.03)을 나타내었다. 생존율은 실험사료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므로, 어분의 20 중량%를 크릴 분말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분의 일부를 크릴 분말과 참치부산물 어분으로 대체하여 크릴 분말과 참치부산물 어분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최초 체중(g) 최종 체중(g) 증체율(%) 사료효율(%) 생존율(%)
실시예 8 16.1 34.3 112 101 92
실시예 9 16.1 36.0 124 113 97
실시예 10 16.3 33.5 105 108 92
실시예 11 16.0 34.7 116 104 92
실시예 12 16.0 32.7 105 106 97
실시예 13 16.5 34.5 109 94 89
실시예 14 15.9 27.8 75 57 36
실시예 15 16.3 24.8 52 45 28
※ 1) 증체율 = {(최종평균체중 - 초기체중) / 초기체중} × 100
2) 사료효율 = (체중증가 / 사료 공급량) ×100
3) 다중검정 : p<0.05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료의 종류에 따라 증체율, 사료효율, 생존율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공급원으로 어분의 일부를 대두박(30 중량%) 및 콘 글루텐 밀(5.0 중량%)로 대체한 실시예 9의 경우, 높은 증체율(p < 0.005)과 높은 사료효율(p < 0.03)을 나타내었다. 또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대두박, 콘 글루텐 밀 및 참치부산물 어분을 사용한 경우도 높은 증체율과 높은 사료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단백질 공급원으로 어분을 대체하여 대두박, 콘 글루텐 밀 및 참치부산물 어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초 체중(g) 최종 체중(g) 증체율(%) 사료효율(%) 생존율(%)
실시예 16 16.7 33.4 100 96 75
실시예 17 16.1 31.3 94 82 72
실시예 18 16.1 45.1 180 114 94
※ 1) 증체율 = {(최종평균체중 - 초기체중) / 초기체중} × 100
2) 사료효율 = (체중증가 / 사료 공급량) ×100
3) 다중검정 : p<0.05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공급원으로 어분의 일부를 대두박(10 중량%), 크릴 분말(20%) 및 콘 글루텐 밀(5.0 중량%) 로 대체한 실시예 18의 경우, 높은 증체율(p < 0.05)과 높은 사료효율(p < 0.05)을 나타내므로, 크릴 분말 20 중량%를 포함한 사료 조성물이 성장과 사료효율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단백질 공급원으로 어분의 일부를 대두박, 크릴 분말 및 콘 글루텐 밀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초 체중(g) 최종 체중(g) 증체율(%) 사료효율(%) 생존율(%)
실시예 19 27.69 38.75 40 44 94
실시예 20 27.31 31.28 15 18 100
실시예 21 27.55 34.55 25 27 92
실시예 22 27.29 34.88 28 31 96
※ 1) 증체율 = {(최종평균체중 - 초기체중) / 초기체중} × 100
2) 사료효율 = (체중증가 / 사료 공급량) ×100
3) 다중검정 : p<0.05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공급원으로 어분의 일부를 냉동 크릴(20 중량%)로 대체한 실시예 20의 경우, 낮은 증체율(p < 0.005)과 낮은 사료효율(p < 0.005)을 나타내었다. 냉동 크릴과 크릴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한 실시예 21과 실시예 22도 낮은 증체율과 낮은 사료효율을 나타내었다. 생존율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므로, 크릴의 종류로는 냉동 크릴보다 크릴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초 체중(g) 최종 체중(g) 증체율(%) 사료효율(%) 생존율(%)
비교예 1 4.9 52.0 957 135 92
비교예 2 5.0 32.6 549 126 77
비교예 3 5.0 32.6 549 126 77
※ 1) 증체율 = {(최종평균체중 - 초기체중) / 초기체중} × 100
2) 사료효율 = (체중증가 / 사료 공급량) ×100
3) 다중검정 : p<0.05
단백질 공급원으로 어분만을 포함한 비교예 1의 경우 생존율이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공급원으로 크릴 분말을 포함한 넙치 사료용 조성물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백질 공급원으로 크릴 분말 및 참치부산물 어분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2~3의 경우 증체율과 사료효율이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공급원으로 크릴을 포함한 넙치(어분) 사료용 조성물보다 낮게 나타났다.
상기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크릴의 종류와 함유량에 따라 넙치의 증체율(p< 0.005), 사료효율(p< 0.03)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생존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넙치 사료 조성물은 단백질 공급원으로 크릴, 참치부산물 어분, 콩 글루텐 밀, 대두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증체율과 사료효율이 좋아지며, 특히 크릴 분말을 사용할 경우 양식생산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한 참치부산물 어분을 사용할 경우 양식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어, 넙치의 빠른 성장 및 사료효율과 양식생산 단가 절감을 원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험예 2 : 성분 분석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로 사육한 넙치의 체내 각 조직의 영양성분 분석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어체는 -75℃에 보관후 실험구별로 5마리씩 무작위 추출하였으며, 각 조직별로 잘 갈은 후 균질하게 혼합하여 일반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넙치의 일반성분은 AOAC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수분은 105℃에서 건조하여 함량을 구하는 상압가열 건조법, 조단백질은 Kjeldahl 질소 정량법(N×6.25), 조지방은 에테르를 용매로 한 soxhlet 추출법, 조섬유는 자동 분석기(Fibertec, Tecator, Sweden), 조회분은 550℃의 회화로에서 4시간 동안 태운 후 정량하는 직접 회화법으로 각각 분석하였으며, 가용성 무질소물은 100-(수분+조단백질+조지방+조섬유+조회분)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측정 결과는 윈도우 프로그램용 SPSS로 아노바-테스트(ANOVA-test)를 실시하여 던칸의 다중검정 방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 Duncan, 1955)으로 평균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과는 표 11 내지 표 14에 나타내었다.
수분 일반성분(%)
단백질 지질 회분
실시예 8 76.81 15.24 2.51 2.98
실시예 9 76.74 15.89 2.45 3.21
실시예 10 75.67 15.40 3.48 3.01
실시예 11 78.80 14.89 2.63 2.93
실시예 12 76.62 15.51 2.42 3.28
실시예 13 76.26 15.33 2.59 3.64
실시예 14 77.02 14.71 2.21 3.87
실시예 15 78.42 14.56 1.50 3.90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은 대두박, 콘 글루텐 밀 또는 참치부산물 어분의 함유량에 따라 넙치의 일반성분인 수분, 단백질, 지질 및 회분 함량중 대두박 30% 함유 고지질사료 섭취구의 넙치에서만 전어체 수분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55% 참치부산물 어분 섭취구는 회분 함량이 높았지만, 다른 시험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우수한 성장을 나타낸 사료로 사육한 넙치 전어체의 일반성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넙치 치어 사료중 대두박 10~30 중량%, 콘 글루텐 밀 5~10 중량% 또는 참치 부산물 어분 20~40 중량%까지 어분을 대체할 수 있었다.
수분 일반성분(%)
단백질 지질 회분
실시예 16 76.60 15.21 2.78 3.37
실시예 17 77.73 15.32 1.83 3.62
실시예 18 76.23 15.66 2.96 2.93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은 대두박, 크릴 분말 및 콘 글루텐 밀의 함유량에 따라 넙치의 일반성분인 수분, 단백질, 지질 및 회분 함량중 10% 크릴 분말 첨가 사료를 섭취한 넙치 전어체의 지질만 낮았고 다른 시험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20% 크릴 분말을 함유한 사료를 섭식하여 우수한 성장을 나타낸 넙치 전어체의 일반성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넙치 치어 사료중 대두박 10 중량%, 크릴 분말 10~20 중량% 및 콘 글루텐 밀 5 중량%까지 어분을 대체할 수 있었다.
수분 일반성분(%)
단백질 지질 회분
실시예 19 76.31 15.17 3.43 3.45
실시예 20 76.46 16.33 3.32 3.93
실시예 21 74.82 16.82 3.98 3.33
표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은 냉동 크릴이 포함됨에 따라 넙치의 일반성분인 수분, 단백질, 지질 및 회분 함량에서 지질 성분이 많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므로 사육한 넙치 전어체의 성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냉동 크릴과 크릴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넙치 전어체의 수분과 지질 성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넙치 치어 사료중 냉동 크릴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수분 일반성분(%)
단백질 지질 회분
비교예 2 76.97 15.45 2.79 3.17
표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교예 2의 사료 조성물은 대두박 및 콘 글루텐 밀의 함유량에 따라 넙치의 일반 성분인 수분, 단백질, 지질 및 회분 함량에서 표 11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사육한 넙치 전어체의 일반성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은 대두박, 콘 글루텐 밀, 크릴 분말 또는 참치 부산물의 함유량에 따라 넙치의 일반성분인 수분, 단백질, 지질 및 회분 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사육한 넙치 전어체의 일반성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넙치 치어 사료중 대두박 10~30 중량%, 콘 글루텐 밀 5~10 중량%, 크릴 분말 10~20 중량% 또는 참치 부산물 어분 20~40 중량%까지 어분을 대체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은 단백질 공급원으로 어분의 일부를 크릴로 대체함으로써 넙치의 성장을 촉진시켜 증체율과 사료효율이 좋아져 양식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어분의 일부를 가격이 저렴한 참치부산물 어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대체함으로써 어분 첨가사료와 유사한 넙치의 성장 및 사료효율이 나타나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고, 양식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외화가 절약된다. 또한 어분의 일부를 대두박 또는 콘 글루텐 밀로 대체하여 사용하므로 경제적이다.

Claims (6)

  1.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30~ 70 중량부의 어분에 10~20 중량부의 크릴 또는 20~40 중량부의 참치부산물 어분 중의 어느 하나, 5~10 중량부의 콘 글루텐 밀 및 10~30 중량부의 대두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성분을 포함하고, 탄수화물 공급원은 소맥분, 알파 감자전분, 옥수수 전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 17~25 중량부이고, 지질공급원은 대두유, 옥수수유, 오징어간유 또는 명태간유 5~10 중량부이고, 미량영양소 공급원은 미네랄 혼합물 0.5~3.0 중량부 및 비타민 혼합물 0.5~3.0 중량부로 구성되는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릴은 크릴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혼합물은 NaCl, MgSO4·7H20, NaH2PO4·2H20, KH2PO4, CaH4(PO4)2·H20, 페릭 시트레이트(ferric citrate), ZnSO4·7H20, 칼슘-락테이트(Calcium lactate), CuCl, AlCl3·6H20, KIO3, Na2Se2O3, MnSO4·H20, CoCl2·6H20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혼합물은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티아민, 리보플라빈, 피리독신, 나이아신(niacin), 칼슘-D-판토테네이트(Ca-D-pantothenate), 미오-이노시톨, D-바이오틴, 엽산(folic acid), p-아미노벤조산 (p-aminobenzoic acid), 비타민 K3, 비타민 A, 비타민 D3, 염화 콜린 및 시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해조분말 2~5 중량부, 이스트 1~2 중량부, 스피루리나 0.5~1 중량부 및 레시틴 0.5~1 중량부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KR1020050009404A 2005-02-02 2005-02-02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KR100660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404A KR100660642B1 (ko) 2005-02-02 2005-02-02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404A KR100660642B1 (ko) 2005-02-02 2005-02-02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920A KR20060088920A (ko) 2006-08-07
KR100660642B1 true KR100660642B1 (ko) 2006-12-26

Family

ID=37177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404A KR100660642B1 (ko) 2005-02-02 2005-02-02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064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620B1 (ko) * 2009-05-25 2011-06-09 농업회사법인 제우 주식회사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KR101644775B1 (ko) 2015-09-11 2016-08-04 대한민국 성어용 넙치 사료 조성물
KR101644774B1 (ko) 2015-09-02 2016-08-04 대한민국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KR20170027650A (ko) 2016-03-02 2017-03-10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KR20170031599A (ko) 2016-03-02 2017-03-21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성어용 넙치 사료 조성물
KR20190027434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알파벳 기호성 및 보존안정성이 개선된 반려동물용 사료의 제조방법
KR102230262B1 (ko) 2019-11-07 2021-04-09 대한민국 넙치 양식을 위한 배합사료조성물
KR102279637B1 (ko) 2020-12-04 2021-07-21 대한민국 육상수조식 양식장 육성기 넙치용 배합사료의 물성조절 제조방법
KR20220160135A (ko) * 2021-05-26 2022-12-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쿠아포닉스 기반의 농수산물 복합재배용 사료 조성물
KR20220167490A (ko) 2021-06-14 2022-12-2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먹이유인도가 높은 전갱이분을 포함하는 넙치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263B1 (ko) * 2010-12-01 2011-07-04 동원팜스(주) 양어용 완전혼합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84720B1 (ko) * 2011-01-12 2013-07-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
KR101453762B1 (ko) * 2014-08-05 2014-10-22 대한민국 매니옥 전분을 함유하는 넙치용 고단백 ep 사료 조성물
KR101670955B1 (ko) * 2014-08-29 2016-11-01 (주)동창 양식어류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양식시킨 양식어류
KR101887470B1 (ko) * 2016-08-05 2018-08-10 대한민국 명태 양식을 위한 배합사료조성물
KR101944039B1 (ko) * 2016-12-29 2019-01-30 주식회사 알파벳 인삼꽃을 이용한 동물 사료용 조성물
KR101985910B1 (ko) * 2016-12-29 2019-06-04 주식회사 알파벳 벼메뚜기를 이용한 동물 사료용 조성물
CN114073285B (zh) * 2020-08-21 2024-02-09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水产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R102452301B1 (ko) * 2020-09-18 2022-10-17 김한샘 김 포자 또는 김 양식용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736135A (zh) * 2022-11-18 2023-03-07 广东雅琪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复合酶解蛋白粉的加州鲈饲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7723A (ja) * 1995-08-02 1997-02-10 Nippon Nousan Kogyo Kk 養魚用シングルモイストペレット飼料の製造方法
KR19990075558A (ko) * 1998-03-21 1999-10-15 배평암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JPH11313617A (ja) 1998-03-16 1999-11-16 Seiretsu Tei アロエを用いた養魚用天然飼料及びこれを用いた養魚用飼料
KR20040085913A (ko) * 2003-04-02 2004-10-08 이순이 차가 버섯을 포함하는 어류 양식용 사료 조성물
KR20040087618A (ko) * 2003-04-08 2004-10-14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민어 양식용 배합 사료
KR20050031319A (ko) * 2003-09-29 2005-04-06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7723A (ja) * 1995-08-02 1997-02-10 Nippon Nousan Kogyo Kk 養魚用シングルモイストペレット飼料の製造方法
JPH11313617A (ja) 1998-03-16 1999-11-16 Seiretsu Tei アロエを用いた養魚用天然飼料及びこれを用いた養魚用飼料
KR19990075558A (ko) * 1998-03-21 1999-10-15 배평암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KR20040085913A (ko) * 2003-04-02 2004-10-08 이순이 차가 버섯을 포함하는 어류 양식용 사료 조성물
KR20040087618A (ko) * 2003-04-08 2004-10-14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민어 양식용 배합 사료
KR20050031319A (ko) * 2003-09-29 2005-04-06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620B1 (ko) * 2009-05-25 2011-06-09 농업회사법인 제우 주식회사 양식 넙치용 액상 사료첨가제
KR101644774B1 (ko) 2015-09-02 2016-08-04 대한민국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KR101644775B1 (ko) 2015-09-11 2016-08-04 대한민국 성어용 넙치 사료 조성물
KR20170027650A (ko) 2016-03-02 2017-03-10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KR20170031599A (ko) 2016-03-02 2017-03-21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성어용 넙치 사료 조성물
KR20190027434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알파벳 기호성 및 보존안정성이 개선된 반려동물용 사료의 제조방법
KR102006938B1 (ko) 2017-09-07 2019-08-02 주식회사 알파벳 기호성 및 보존안정성이 개선된 반려동물용 사료의 제조방법
KR102230262B1 (ko) 2019-11-07 2021-04-09 대한민국 넙치 양식을 위한 배합사료조성물
KR102279637B1 (ko) 2020-12-04 2021-07-21 대한민국 육상수조식 양식장 육성기 넙치용 배합사료의 물성조절 제조방법
KR20220160135A (ko) * 2021-05-26 2022-12-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쿠아포닉스 기반의 농수산물 복합재배용 사료 조성물
KR102625985B1 (ko) * 2021-05-26 2024-01-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쿠아포닉스 기반의 농수산물 복합재배용 사료 조성물
KR20220167490A (ko) 2021-06-14 2022-12-2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먹이유인도가 높은 전갱이분을 포함하는 넙치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920A (ko) 2006-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642B1 (ko)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Takeuchi et al. Common carp, Cyprinus carpio
KR101453762B1 (ko) 매니옥 전분을 함유하는 넙치용 고단백 ep 사료 조성물
CN104489248A (zh) 一种脆肉鲩的膨化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855681A (zh) 一种太阳鱼繁殖期膨化配合饲料
CN111543564A (zh) 一种蓝子鱼缓沉性膨化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920075B1 (ko) 어분대체제를 이용한 강도다리용 완전배합 ep사료 조성물
Goda et al. Dietary effects of Azolla pinnata combined with exogenous digestive enzyme (Digestin™) on growth and nutrients utilization of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de Man 1879)
Nwanna et al. Effect of protein deficient diets on the growth and carcass protein ash ratio of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Burchell 1822)
KR100503966B1 (ko)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
KR100595967B1 (ko) 조피볼락(우럭) 양식용 사료 조성물
KR101284720B1 (ko)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
KR100480527B1 (ko) 털게 축양용 사료 조성물
CN105454733A (zh) 一种虹鳟饲料的营养强化剂及其应用
CN104273398A (zh) 斑节对虾养殖前期配合饲料
KR100498808B1 (ko) 민어 양식용 배합 사료
KR101644774B1 (ko)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Bani et al. Effect of fish meal replacement by protein sources on the extruded and pressed diet of European sea bass juvenile (Dicentrarchus labrax)
KR101877925B1 (ko)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CN105124203A (zh) 一种提高草鱼生长性能的饲料及其制备方法
CN110250367A (zh) 一种改善黄颡鱼体色的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671565B1 (ko) 카폭박을 포함하는 비육돈 사육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사육 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돈육
KR20190060026A (ko) 어류용 기능성 첨가물과 이를 포함하는 어류용 사료 및 이의 급이방법
CN107494896A (zh) 一种利用向日葵副产物制备的禽类饲料
KR101877926B1 (ko)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