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720B1 -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720B1
KR101284720B1 KR1020110003194A KR20110003194A KR101284720B1 KR 101284720 B1 KR101284720 B1 KR 101284720B1 KR 1020110003194 A KR1020110003194 A KR 1020110003194A KR 20110003194 A KR20110003194 A KR 20110003194A KR 101284720 B1 KR101284720 B1 KR 101284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ish
feed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1840A (ko
Inventor
김정대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03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720B1/ko
Publication of KR2012008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4Pretreatment of feeding-stuffs with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Abstract

본 발명은 어분을 사용하지 않는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전체 EP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어육부산물 15~20중량부, 육분 20~40중량부, 크릴분 5~10중량부, 대두박 8~15중량부, 어유 5~8중량부, 오징어간분말 5~10중량부, 소맥분 12~18중량부, 옥수수 글루텐 5중량부 이하, 첨가제 8중량부 이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원가가 절감되는 동시에 넙치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가 충분히 공급되어 기존의 어분사료와 같은 성장률을 보이며, 단백질 및 인의 배설량은 감소시킬 수 있는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Extruded pellet feed composition for flatfish}
본 발명은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분을 사용하지 않아 원가가 절감되는 동시에 넙치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가 충분히 공급되어 기존의 어분사료와 같은 성장률을 보이며, 단백질 및 인의 배설량은 감소시킬 수 있는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넙치는 가자미목 넙치과에 속하며, 몸길이가 약 45㎝인 육식성 어류로, 한국 연근해, 일본 남부, 남중국해, 동중국해 등 온대 해역에 분포한다. 이러한 넙치는 1990년 이래로 인공양식이 개시되었으며, 해산어류 중 가장 빠른 성장과 높은 사료효율로 중요 양식종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넙치의 양식은 현재 잡어(raw fish)에 기반한 습사료(moist pellet, MP)를 사용하여 사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습사료는 전체 사료에 대하여 잡어가 80~90중량%, 분말사료가 10~20중량% 포함되도록 혼합되어 분쇄되고, 이를 펠렛으로 성형하여 냉동한 사료로, 성장률이 좋다.
그러나 이러한 습사료는 급이시 쉽게 붕괴되고 물의 침투가 빨라 쉽게 가라앉는 등 허실량이 20~30%로 높으며, 이러한 사료허실에 의한 수중 질소 및 인 부하량의 증가는 양식장 및 연안해역을 오염시키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영양소 불균형에서 유래되는 어류질병의 빈번한 발생 및 폐사율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으며, 어족자원의 고갈로 인한 잡어의 불안정한 공급 및 이로 인한 가격의 등락폭이 심하고, 잡어의 보관, 제조, 및 재보관, 급이에 따른 막대한 비용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일정한 형태로 압출하여 건조시킨 형태의 EP사료(extruded pellet)가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EP사료는 물성이 딱딱해서 섭취와 소화장애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습사료에 비하여 성장률이 느린 단점이 있으며, 전체 사료량 중 값 비싼 어분의 함유량이 60~70중량%로 매우 높기 때문에 사료비가 비싸고, 수질 오염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었다.
따라서 값비싼 어분의 사용량을 줄여 사료비를 낮추고, 수질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사료비를 낮추는 동시에 사료 내에 성장시 필요한 영양소가 충분히 함유되어 넙치의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어류 품질을 균일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어류의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영양소 중에서도 단백질은 성장에 필수적인 영양소로 적정한 단백질의 함량을 포함하되 단백질/에너지 비가 넙치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도록 충분히 포함된 사료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질오염원인 단백질과 인의 배설량이 최소화되면서도 넙치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함유하고 있으며, 어분을 사용하지 않아 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료의 섭취율을 높이고 부족한 영양성분을 충족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분한 단백질 및 에너지를 공급하여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체 EP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어육부산물 15~20중량부, 육분 20~40중량부, 크릴분 5~10중량부, 대두박 8~15중량부, 어유 5~8중량부, 오징어간분말 5~10중량부, 소맥분 12~18중량부, 옥수수 글루텐 5중량부 이하, 첨가제 8중량부 이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유인제, 비타민, 인지방, 광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혹은 둘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물질로는 NaCl, MgSO4·7H2O, NaH2PO4·2H2O, KH2PO4, CaH4(PO4)2 ·H2O, ZnSO4·7H2O, CuCl2, AlCl3·6H2O, KIO3, MnSO4·H2O, 페릭 사이트레이트 (ferric citrate) 및 칼슘 락테이트 (calcium lactat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EP사료 조성물은 가소화 단백질/가소화에너지의 비율이 26~29g DP/MJ DE 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은 값 비싼 어분을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료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넙치 성장에 필요한 영양성분이 충분히 갖추고 있으며, 이 사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넙치를 사육하는 경우 수질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단백질 및 인의 배설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생존율 및 성장정도는 기존의 어분사료를 사용하는 경우와 동등하거나 그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유인제, 지용성 비타민 A, D, E, 수용성 비타민 콜린, 인지방, 또는 광물질 들을 첨가함으로써 사료의 섭취율을 높여 소화장애를 배제할 수 있고, 부족한 영양성분을 충족시켜 골격성장을 향상시키거나 소화관을 활성화시켜 넙치 성장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적정한 가소화 단백질/가소화에너지의 비율을 유지시킴으로써 필수 영양소가 적정한 수준으로 공급되어 넙치의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어체 내 지방의 과다 축적을 막아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균일화시킬 수 있으며, 과다한 질소 배설을 방지하여 수질의 오염을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어분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 가격을 낮추는 동시에 넙치의 성장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단백질을 비롯한 필수 영양소의 공급이 가능하여 성장률이 유지되며,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과 인의 배설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넙치용 무어분 EP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EP사료 조성물은 어육부산물, 육분, 크릴분, 대두박, 어유, 오징어간분말, 소맥분, 옥수수 글루텐,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한 성분들이 서로 혼합된 뒤, 일정한 펠릿 형태로 압출 성형되어 건조 및 쿨링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EP 사료 조성물은 전체 EP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어육부산물 15~20중량부, 육분 20~40중량부, 크릴분 5~10중량부, 대두박 8~15중량부, 어유 5~8중량부, 오징어간분말 5~10중량부, 소맥분 12~18중량부, 옥수수 글루텐 5중량부 이하, 첨가제 8중량부 이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육부산물(fish hydrolysate)은 사람이 섭취하는 부분을 제외한 생선의 머리, 내장, 뼈, 연골, 표피 등이 물과 효소의 개입에 의해 가수분해된 산물로, 이러한 어육부산물은 가수분해과정을 거치는 동안 효소의 작용으로 단백질 분자가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으로 분해된 것이다. 이와 같은 어육부산물은 원래의 단백질에서 느낄 수 없는 향과 풍미를 지니며, 아미노산 조성과 그 이용율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낸다.
또한, 상기 어육부산물이 전체 EP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사료의 향과 풍미가 풍부하지 않아 기호성이 저하되고, 아미노산 미균형 및 그 이용율이 저하되어 영양결핍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사료비가 상승하며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육분(meat meal)은 단백질 공급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포유동물의 도축과정에서 나오는 조직을 증기피복솥(steam jacketed drum)에 넣고 건열식(乾熱式)으로 처리하여 탈지, 건조, 분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육분은 전체 EP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넙치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의 공급이 부족하여 영양결핍이 발생될 수 있고, 4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아미노산 불균형으로 성장이 저하되고 단백질의 배설량이 증가하게 되어 수질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상기 크릴분(krill meal)은 증체율과 사료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포함되는 것으로, 전체 EP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크릴분이 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라이신(lysine) 등과 같은 필수 아미노산과 비타민류가 충분히 공급되기 어렵고 넙치의 증체율과 사료효율이 향상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크릴분이 1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다량 함유에 따른 효과의 상승없이 원가만 상승되어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원가절감효과를 달성하기 어렵다.
상기 대두박은 콩을 분쇄하여 헥산으로 기름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로 평균 단백질 함량이 44%인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 아미노산 조성이 좋고 양적으로 많이 생산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대두박은 전체 EP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8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단백질원의 부족으로 영양결핍이 발생할 수 있고, 15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아미노산 불균형 및 기호성 감소로 사료섭취량이 떨어져 넙치의 성장이 지연될 수 있다.
상기 어유는 필수지방산 및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포함되는 것으로, 고도불포화지방산(EPA, DHA)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어분을 사용하지 않는 본 발명의 EP 사료 조성물에서도 종래 사료 조성물과 같이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유지되도록 하며, 이러한 고도불포화지방산에 의해 생체막의 유동성 및 효소활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어유는 정어리, 청어, 고등어 등 지방이 풍부한 고기를 끓여서 압착하여 얻어지는 기름으로, 상어간유, 명태간유, 고래유, 오징어유, 멸치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유는 전체 EP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종래와 같은 비율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유지되기 어려워 세포의 유동성이 개선되지 않고 소화관의 활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8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필수 지방산의 과잉축적으로 성장장애 등이 유발될 수 있고, 상품가치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오징어간분말(squid liver powder)은 단백질을 공급하는 동시에 어유와 더불어 지방산 및 인지질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 EP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10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영양소가 편중될 수 있다.
상기 소맥분은 넙치 성장을 위한 에너지공급 및 사료 조성물의 펠릿 형성을 돕기 위한 결착제 역할을 하는 탄수화물원으로써, 전체 EP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맥분이 12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탄수화물원의 부족으로 성장에 필요한 충분한 에너지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성장을 방해하고, 각 성분들이 서로 결착되지 않아 사료 성형이 어렵게 된다. 또한, 소맥분이 18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소맥분의 과다공급으로 다른 영양소와의 불균형이 발생되며, 사료섭취시 사료가 잘 분산되지 않아 소화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옥수수 글루텐(corn gluten)은 식물성 단백질원으로써, 소맥분의 사용으로 부족한 아미노산을 보충하거나, 부족한 단백질원의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옥수수 글루텐은 전체 EP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이하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첨가 가능하다. 다만, 상기 옥수수 글루텐이 5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기호성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첨가제는 사료의 섭취율을 높이고, 상기한 성분으로 충족되지 않은 성분들을 보충하기 위하여 포함되는 것으로, 흡습성이 강한 유인제나, 지용성 비타민 A, D, E 또는 수용성 비타민 콜린, 또는 인지방이나 미량의 광물질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첨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는 전체 EP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8중량부 이하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8중량부 이상 사용되면 다른 성분의 상대적인 함량이 감소하게 되어 영양성분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습성이 강한 유인제는 사료의 물성을 소프트하게 만들어 섭취율을 높이고 소화장애를 배제할 수 있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베타인 함유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용성 비타민 A, D, E를 첨가하면, 골격성장과 세포의 항산화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수용성 비타민 콜린의 첨가로 그 혼합율을 더 높이면 간내 지방 축적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인지방과 미량광물질의 첨가로 세포의 유동성을 개선하고 소화관의 활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광물질로는 NaCl, MgSO4·7H2O, NaH2PO4·2H2O, KH2PO4, CaH4(PO4)2 ·H2O, ZnSO4·7H2O, CuCl2, AlCl3·6H2O, KIO3, MnSO4·H2O, 페릭 사이트레이트 (ferric citrate) 및 칼슘 락테이트 (calcium lactat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 및 배합비로 혼합되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은 전체 영양성분이 하기 표 1과 같으며, 이는 넙치 성장에 필요한 영양성분의 수준이다. 즉, 본 발명의 배합비로 이루어졌을 때, 하기와 같은 필수 영양성분의 균형 및 필수 지방산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영양소 함량(단위)
수분 10.0%이하
조단백질 52.0%이상
조지방 10.0%이상
조섬유 3.0%이하
조회분 14%이하
칼슘 1.0%이상
총인 1.5%이하
유효인 0.6%이상
가소화 단백질(g DP, digestible protein) 460g/kg이상
가소화 에너지(MJ DE, digestible energy) 18.0MJ/kg이하
g DP/MJ DE 26~29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은 가소화 단백질/가소화에너지의 비율이 26~29g DP/MJ DE 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성분 및 배합비로 이루어진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의 경우 상기와 같은 가소화 단백질/가소화 에너지의 비율범위가 유지될 수 있다.
만약 가소화 단백질/가소화에너지의 비율이 26g DP/MJ DE 미만인 경우 단백질 함량에 비해 에너지 함량이 너무 많아 넙치의 사료 섭취량이 적어지고, 이에 따라 다른 필수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받을 수 없게 되어 성장이 저하되며, 이로 인해 결국 단백질과 인의 배출량이 증가되어 수질오염율을 증가시키고, 사료의 에너지 함량이 지나치게 높음에 따라 어체의 간내 지방 과다축적으로 간 기능의 활력을 떨어뜨린다.
반대로 가소화 단백질/가소화에너지의 비율이 29g DP/MJ DE을 초과하면 단백질함량에 비해 에너지가 부족하여 넙치는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충당하기 위해 단백질을 분해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므로 단백질 효율이 낮아지고 성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암모니아 생성으로 인한 과다한 질소 배설을 초래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적정한 가소화 단백질/가소화에너지의 비율을 유지시킴으로써 필수 영양소가 적정한 수준으로 공급되어 넙치의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어체의 간내 지방의 과다 축적을 막아 간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과다한 질소 배설을 방지하여 수질의 오염을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비(단위: 중량%)로 각 조성물을 혼합한 뒤, 일정한 펠릿 형태로 압출성형하여 건조 및 쿨링하여 무어분 사료, 어분사료 및 습사료를 제조하였다. 무어분사료 (실시예 1)의 성분 분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조성물 실시예 1
(무어분사료)
실시예 2
(어분사료)
실시예 3
(습사료)
어분(fish meal, super prime) - 70 -
어육부산물(fish hydrolysate) 18 - -
소맥분(wheat flour) 15 15 -
대두박(dehulled soybean meal) 10 5 -
오징어간분말(squid liver powder) 5 2 -
옥수수 글루텐(corn gluten) 3 - -
크릴분(krill meal) 6 - -
첨가제(additives) 8 5 2
어유(fish oil) 5 3 -
육분(meat meal) 30 - -
잡어(trash meal) - - 90
분말 배합사료(mash feed) - - 8
총 계 100 100 100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사료를 이용하여 8주간 사육한 넙치의 증체율, 사료계수, 폐사율, 단백질 배설량, 인 배설량을 각각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넙치의 사육 및 관리 -
평균 체중 153.5±5.2g의 넙치 치어 2,000마리 씩을 8 × 9 m 콘크리트 수조에 수용하여 8주간 사료를 1일 2회 급이하였으며, 수온은 17℃ 지하해수를 공급하고, 용존산소는 정상적인 성장에 필요한 7ppm 이상으로 유지하며 자연광 주기를 이용하여 사육하였다. 아울러 급이시험은 유수식으로 하였다.
- 측정방법 -
단백질과 인 배출량 분석을 위해 실험구 별로 10마리씩 무작위로 추출하여 전어체 단백질과 인을 분석하였다. 증체량은 실험 종료시 총 중량과 실험 개시시 총 중량의 차이로 구하였으며, 사료섭취량은 매 주 섭취량을 합하여 구하였다. 섭취 사료량의 건조 중량은 일정량의 시료를 105 ℃ 오븐에서 24시간 건조한 후 수분 함량을 구하여 계산하였다. 전체 실험어의 마리수 및 계량은 실험시작과 종료시 하루 동안 절식한 후 측정하였다.
* 증체량= 실험종료시 총 중량-실험 개시시 총 중량
* 사료계수= 소요된 총사료량(건조중량)÷증체량 (습중량)
* 폐사율: 폐사마리수/실험개시 총 마리수 × 100
* 단백질 배설량: [(실험종료시 어체중 × 종료어 단백질 함량)-(실험개시시 어체중 × 개시어 단백질 함량)]/증체량 × 1000
* 인 배설량: [(실험종료시 어체중 × 종료어 인 함량)-(실험개시시 어체중 × 개시어 인 함량)]/증체량 × 1000
사료 증체량
(g)
상대치
(%)
사료계수 상대치
(%)
폐사율
(%)
상대치
(%)
단백질
배설량
(g)
상대치
(%)

배설량
(g)
상대치
(%)
실시예1 143.9 97.1 0.83 100.0 3.45 78.4 285.6 102.7 7.6 78.3
실시예2 148.2 100.0 0.83 100.0 4.40 100 278.1 100.0 9.7 100.0
실시예3 138.0 93.1 1.20 144.6 5.65 128.4 473.9 170.4 18.6 190.8
상기 표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성분 및 배합비로 구성된 실시예 1의 사료의 경우 증체량이 어분사료인 실시예 2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는 반면, 습사료인 실시예 3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비하여 증체량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성분 배합비에 따라 제조된 EP 사료조성물의 경우 넙치의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료계수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사료는 사료계수가 0.83으로, 사료효율이 약120%에 해당하며, 이는 실시예 2(어분사료)와 동등한 수치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실시예 3의 경우 사료계수가 1.20으로 사료효율(사료계수의 역수를 백분율로 표시)이 약 83%로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에 비하여 떨어짐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사료를 사용하는 경우 넙치의 성장을 위해 사용되는 사료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사율의 경우 실시예 1의 경우가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경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실시예 1은 넙치의 생존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단백질 배설량이 실시예 2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인 배설량의 경우 실시예 2에 비하여 약 21.7%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배합비에 따른 실시예 1의 사료 조성물의 화학적 조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조단백질 (N × 6.25)은 자동 켈달시스템 (Auto Kjeldahl System, Gerhardt VAP500T/TT125, KG, Germany)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지방은 산가수분해법으로, 수분은 105 ℃에서 24시간 건조하여 구하였으며, 조회분은 550 ℃에서 4시간 회화하여 구하였다. 조섬유는 Fibertec (Tecator, Sweden) 자동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칼슘은 습식회화법으로 KMnO4로 적정하여 구하였으며, 인은 vanado-molybdate 법으로 분석하였다 (AOAC, 1990). 사료의 총에너지 함량은 adiabatic bomb calorimeter (Parr-6200, Moline, IL)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가소화 단백질과 가소화 에너지 함량은 사료혼합물에 0.5%의 Cr2O3를 섞어 충분히 혼합한 후 분을 채집하여 간접법으로 구하였다.
영양소 실시예 1(%)
수분 8.98±0.91
조단백질 53.01±0.46
조지방 11.84±0.36
조섬유 1.12±0.23
조회분 10.94±0.26
칼슘 1.84±0.04
총인 1.45±0.02
유효인 0.64 (계산치)
가소화 단백질(g DP, digestible protein) 476 g/kg
가소화 에너지(MJ DE, digestible energy) 17.9 MJ/kg
g DP/MJ DE 26.6
상기 표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합비에 따라 제조된 EP사료 조성물은 상술한 표 1에 기재된 영양소 수준에 포함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성분 및 배합비로 이루어진 EP사료조성물을 사용하여 넙치를 사육하는 경우 수질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단백질 및 인의 배설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생존율 및 성장정도는 기존의 어분사료를 사용하는 경우와 동등하거나 그보다 향상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P 사료 조성물은 값 비싼 어분을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료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넙치 성장에 필요한 영양성분이 충분히 갖춰진 사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실험예 3>
실시예 1과 시판 EP사료 2종의 급여에 따른 단백질 배출량 및 인 배출량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넙치의 사육 및 관리, 측정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비교예 1은 고려특수사료(주), 비교예 2는 퓨리나 제품이다.
사료 단백질 배설량 (g) 인배설량 (g)
실시예1 285.6 7.6
비교예1 308.3 11.0
비교예2 296.3 9.8
상기 표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무어분 EP 사료 조성물은 시판되고 있는 종래 EP사료에 비하여 단백질 및 인의 배출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넙치용 무어분 EP 사료 조성물은 종래의 시판되고 있는 EP사료보다도 단백질 및 인의 배출량이 적으며, 이는 수질오염의 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Claims (4)

  1. 전체 EP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어육부산물 15~20중량부, 육분 20~40중량부, 크릴분 5~10중량부, 대두박 8~15중량부, 어유 5~8중량부, 오징어간분말 5~10중량부, 소맥분 12~18중량부, 옥수수 글루텐 5중량부 이하, 첨가제 8중량부 이하를 포함하고,
    가소화 단백질/가소화에너지의 비율이 26~29g DP/MJ DE 을 유지하고,
    상기 어육부산물(fish hydrolysate)은 사람이 섭취하는 부분을 제외한 생선의 머리, 내장, 뼈, 연골, 표피가 물과 효소의 개입에 의해 가수분해된 산물이고,
    상기 육분은 포유동물의 도축과정에서 나오는 조직을 증기피복솥(steam jacketed drum)에 넣고 건열식(乾熱式)으로 처리하여 탈지, 건조, 분쇄한 것이고,
    상기 첨가제는 유인제, 비타민, 인지방, 광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광물질은 MgSO4·7H2O, NaH2PO4·2H2O, KH2PO4, CaH4(PO4)2·H2O, ZnSO4·7H2O, CuCl2, AlCl3·6H2O, KIO3, 및 MnSO4·H2O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003194A 2011-01-12 2011-01-12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 KR101284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194A KR101284720B1 (ko) 2011-01-12 2011-01-12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194A KR101284720B1 (ko) 2011-01-12 2011-01-12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840A KR20120081840A (ko) 2012-07-20
KR101284720B1 true KR101284720B1 (ko) 2013-07-17

Family

ID=4671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194A KR101284720B1 (ko) 2011-01-12 2011-01-12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7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148B1 (ko) * 2018-04-18 2019-10-0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셀 매스를 이용한 넙치 육성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5542B (zh) * 2013-07-25 2015-05-20 太仓市丰缘农场专业合作社 一种营养鱼饲料
CN103431227B (zh) * 2013-08-22 2015-04-29 福建天马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南美白对虾养殖中期配合饲料
KR101423293B1 (ko) * 2014-04-29 2014-07-24 대한민국 단백질 원료을 조절한 생사료 대체용 넙치 고효율 ep 사료 조성물
KR102558684B1 (ko) 2022-09-06 2023-07-25 대봉엘에프 영어조합법인 넙치 친어용 ep사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974A (ko) * 1998-06-11 1998-10-07 배승철 해산어용 어분대체품
KR20060088920A (ko) * 2005-02-02 2006-08-07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974A (ko) * 1998-06-11 1998-10-07 배승철 해산어용 어분대체품
KR20060088920A (ko) * 2005-02-02 2006-08-07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148B1 (ko) * 2018-04-18 2019-10-0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셀 매스를 이용한 넙치 육성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840A (ko) 201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721B1 (ko) 흰다리 새우용 사료 조성물
Leal et al. Use of shrimp protein hydrolysate i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 feeds
Dallaire et al. Effect of algal incorporation on growth, survival and carcass composition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fry
CN102469808B (zh) 天然物质作为用于水生动物的饲料添加剂的用途
Bureau Rendered products in fish aquaculture feeds
KR101302299B1 (ko) 뱀장어용 ep사료
CN101611764A (zh) 一种复合水产诱食剂
CN101756065A (zh) 一种改良野猪专用育肥饲料
CN105166455A (zh) 一种新型环保、营养高效型黄颡鱼配合饲料
KR101284720B1 (ko)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
CN103478449A (zh) 大黄鱼中成鱼浮性膨化颗粒配合饲料
JP2004057156A (ja) 養魚用飼料
CN104489245A (zh) 一种大口黑鲈专用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70018509A (ko) 갈색거저리를 이용한 새우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eña-Rodríguez et al. Practical diets for the sustainable production of brown shrimp, Farfantepenaeus californiensis, juveniles in presence of the green macroalga Ulva clathrata as natural food
CN104970218A (zh) 一种鲟鱼饲料及其制备方法
Jackson et al. Fish silage as a dietary ingredient for salmon. II. Preliminary growth findings and nutritional pathology
Adewole et al. Growth performance in Clarias gariepinus Burchell fingerlings fed blood meal–bovine rumen digesta blend diets
KR102230262B1 (ko) 넙치 양식을 위한 배합사료조성물
CN105192412A (zh) 一种绿狐尾藻的猪饲料及其制备方法
KR20200111457A (ko) 넙치용 사료 조성물
CN103564206A (zh) 大黄鱼幼鱼浮性膨化颗粒配合饲料
CN110710618A (zh) 一种循环水跑道养殖鳜鱼膨化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Pai et al. Development of cost effective nutritionally balanced food for freshwater ornamental fish Black Molly (Poecilia latipinna)
CN105341322A (zh) 一种提高草鱼生长性能的饲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