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457A - 넙치용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넙치용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457A
KR20200111457A KR1020190031134A KR20190031134A KR20200111457A KR 20200111457 A KR20200111457 A KR 20200111457A KR 1020190031134 A KR1020190031134 A KR 1020190031134A KR 20190031134 A KR20190031134 A KR 20190031134A KR 20200111457 A KR20200111457 A KR 20200111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eed composition
fish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민
Original Assignee
이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민 filed Critical 이동민
Priority to KR102019003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1457A/ko
Publication of KR20200111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02A40/818Alternative feeds for fish, e.g. in aquacul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넙치용 사료 조성물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어분 40 ~ 50 중량부, 크릴분말 5 ~ 10 중량부, 대두박 0.1 ~ 0.3 중량부, 글루텐 밀 1 ~ 7 중량부, 어유 0.05 ~ 0.3 중량부 및 첨가제 0.01 ~ 3 중량부를 포함하고, 가소화 단백질/가소화에너지의 비율이 26~29g DP/MJ DE 을 유지하고, 상기 어육부산물(fish hydrolysate)은 사람이 섭취하는 부분을 제외한 생선의 머리, 내장, 뼈, 연골, 표피가 물과 효소의 개입에 의해 가수분해된 산물이고, 상기 육분은 포유동물의 도축과정에서 나오는 조직을 증기피복솥(steam jacketed drum)에 넣고 건열식(乾熱式)으로 처리하여 탈지, 건조, 분쇄한 것이고, 상기 첨가제는 유인제, 비타민, 인지방, 광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광물질은 MgSO4·7H2O, NaH2PO4·2H2O, KH2PO4, CaH4(PO4)2·H2O, ZnSO4·7H2O, CuCl2, AlCl3·6H2O, KIO3, 및 MnSO4·H2O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넙치용 사료 조성물 {FEED COMPOSITION FOR FLOUNDER}
본 발명은 넙치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곤충을 첨가하여 넙치가 효과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넙치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넙치(olive flounder, Paralichtys olivaceus)는 가자미목 넙치과에 속하며, 몸길이가 약 45㎝인 육식성 어류로, 한국 연근해, 일본 남부, 남중국해, 동중국해 등 온대 해역에 분포한다. 이러한 넙치는 1990년 이래로 인공 양식이 개시되었으며, 해산어류 중 가장 빠른 성장과 높은 사료효율로 중요 양식종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넙치의 양식은 현재 잡어(raw fish)에 기반한 습사료(moist pellet, MP)를 사용하여 사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습사료는 전체 사료에 대하여 잡어가 80~90중량%, 분말사료가 10~20중량% 포함되도록 혼합되어 분쇄되고, 이를 펠렛으로 성형하여 냉동한 사료로, 성장률이 좋다.
그러나 이러한 습사료는 급이시 쉽게 붕괴되고 물의 침투가 빨라 쉽게 가라앉는 등 허실량이 20~30%로 높으며, 이러한 사료허실에 의한 수중 질소 및 인 부하량의 증가는 양식장 및 연안해역을 오염시키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영양소 불균형에서 유래되는 어류질병의 빈번한 발생 및 폐사율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으며, 어족자원의 고갈로 인한 잡어의 불안정한 공급 및 이로 인한 가격의 등락폭이 심하고, 잡어의 보관, 제조, 및 재보관, 급이에 따른 막대한 비용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값비싼 어분의 사용량을 줄여 사료비를 낮추고, 수질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여러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관련 공지기술들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60642호(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및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84720호(넙치용 무어분 EP 사료 조성물)가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사료를 활용하여 넙치가 효과적으로 성장할 수 있으며, 사료로 인한 연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넙치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넙치용 사료 조성물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어분 40 ~ 50 중량부, 크릴분말 5 ~ 10 중량부, 대두박 0.1 ~ 0.3 중량부, 글루텐 밀 1 ~ 7 중량부, 어유 0.05 ~ 0.3 중량부 및 첨가제 0.01 ~ 3 중량부를 포함하고, 가소화 단백질/가소화에너지의 비율이 26~29g DP/MJ DE 을 유지하고, 상기 어육부산물(fish hydrolysate)은 사람이 섭취하는 부분을 제외한 생선의 머리, 내장, 뼈, 연골, 표피가 물과 효소의 개입에 의해 가수분해된 산물이고, 상기 육분은 포유동물의 도축과정에서 나오는 조직을 증기피복솥(steam jacketed drum)에 넣고 건열식(乾熱式)으로 처리하여 탈지, 건조, 분쇄한 것이고, 상기 첨가제는 유인제, 비타민, 인지방, 광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광물질은 MgSO4·7H2O, NaH2PO4·2H2O, KH2PO4, CaH4(PO4)2·H2O, ZnSO4·7H2O, CuCl2, AlCl3·6H2O, KIO3, 및 MnSO4·H2O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곤충이 건조된 후에 분쇄되어 형성된 곤충 분말이 18 ~ 3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곤충 분말은, 귀뚜라미 및 동애등에 중 적어도 하나의 곤충이 건조된 후 분쇄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곤충 분말은, 귀뚜라미 분말 13 ~ 20 중량부 및 동애등에 분말 5 ~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유는, 오징어 간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비타민 프리믹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분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에서 44.8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크릴분말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에서 8.6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곤충 분말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에서 귀뚜라미 분말 17.2 중량부 및 동애등에 분말 8.6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두박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에서 8.6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글루텐 밀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 중에서 4.3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유는, 전체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 중에서 4.3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첨가제는, 전체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 중에서 3.4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넙치용 사료 조성물은 넙치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연안의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넙치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넙치용 사료 조성물의 함유물의 비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넙치용 사료 조성물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넙치용 사료 조성물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어분 40 ~ 50 중량부, 크릴분말 5 ~ 10 중량부, 대두박 0.1 ~ 0.3 중량부, 글루텐 밀 1 ~ 7 중량부, 어유 0.05 ~ 0.3 중량부 및 첨가제 0.01 ~ 3 중량부를 포함하고, 가소화 단백질/가소화에너지의 비율이 26~29g DP/MJ DE 을 유지하고, 상기 어육부산물(fish hydrolysate)은 사람이 섭취하는 부분을 제외한 생선의 머리, 내장, 뼈, 연골, 표피가 물과 효소의 개입에 의해 가수분해된 산물이고, 상기 육분은 포유동물의 도축과정에서 나오는 조직을 증기피복솥(steam jacketed drum)에 넣고 건열식(乾熱式)으로 처리하여 탈지, 건조, 분쇄한 것이고, 상기 첨가제는 유인제, 비타민, 인지방, 광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광물질은 MgSO4·7H2O, NaH2PO4·2H2O, KH2PO4, CaH4(PO4)2·H2O, ZnSO4·7H2O, CuCl2, AlCl3·6H2O, KIO3, 및 MnSO4·H2O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곤충이 건조된 후에 분쇄되어 형성된 곤충 분말이 18 ~ 3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곤충 분말은, 귀뚜라미 및 동애등에 중 적어도 하나의 곤충이 건조된 후 분쇄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곤충 분말은, 귀뚜라미 분말 13 ~ 20 중량부 및 동애등에 분말 5 ~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유는, 오징어 간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비타민 프리믹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분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에서 44.8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크릴분말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에서 8.6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곤충 분말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에서 귀뚜라미 분말 17.2 중량부 및 동애등에 분말 8.6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두박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에서 8.6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글루텐 밀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 중에서 4.3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유는, 전체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 중에서 4.3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첨가제는, 전체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 중에서 3.4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넙치용 사료 조성물의 함유물의 비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넙치용 사료 조성물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넙치용 사료 조성물은 넙치의 성장에 필요한 충분한 향의 단백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과 인의 배성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넙치용 사료 조성물은 어분, 크릴분말, 귀뚜라미, 동애등에, 대두박, 글루텐 밀, 오지어 간유 및 비타민 프리믹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성분들이 서로 혼합된 뒤, 일정한 펠릿 형태로 압출 성형되어 건조 및 쿨링되어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넙치용 사료 조성물은 어분 40 ~ 50 중량부, 크릴분말 5 ~ 10 중량부, 귀뚜라미 13 ~ 20 중량부, 동애등에 5 ~ 10 중량부, 대두박 0.1 ~ 0.3 중량부, 글루텐 밀 1 ~ 7 중량부, 오징어 간유 0.05 ~ 0.3 중량부, 비타민 프리믹스 0.01 ~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함량 (단위 kg) 중량부
어분 1.04 44.8
크릴분말 0.2 8.6
귀뚜라미 0.4 17.2
동애등에 0.2 8.6
대두박 0.2 8.6
글루텐 밀 0.1 4.3
오징어 간유 0.1 4.3
비타민 프리믹스 0.08 3.4
합계 1.72
여기서, 어분은 사람이 섭취하는 부분을 제외한 생선의 머리, 내장, 뼈, 연골, 표피 등이 물과 효소의 개입에 의해 가수분해된 산물로, 이러한 어부은 가수분해과정을 거치는 동안 효소의 작용으로 단백질 분자가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으로 분해된 것이다.
이와 같은 어분은 원래의 단백질에서 느낄 수 없는 향과 풍미를 지니며, 아미노산 조성과 그 이용율 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낸다.
여기서, 상기 어분이 상기 넙치용 사료 조성물 중에서 40 미만으로 첨가되면, 사료의 향과 풍미가 풍부하지 않아 기호성이 저하되고, 아미노산 미 균형 및 그 이용율이 저하되어 넙치에게 영양결핍이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어분이 50 중량부 초과하게 되면, 사료비가 상승하여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어분은 40 ~ 50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이 적당하며, 일례로 44.8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크릴분말은 증체율과 사료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릴분말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크릴분이 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라이신(lysine) 등과 같은 필수 아미노산과 비타민류가 충분히 공급되기 어렵고 넙치의 증체율과 사료효율이 향상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크릴분말이 1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다량 함유에 따른 효과의 상승없이 원가만 상승되어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원가절감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크릴분말은 5 ~ 10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이 적당할 수 있으며, 일례로 8.6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대두박은 콩을 분쇄하여 헥산으로 기름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로 평균 단백질 함량이 44%인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 아미노산 조성이 좋고 양적으로 많이 생산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대두박은 전체 사료 조성물 중에서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단백질원의 부족으로 영양결핍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사료 조성물 중에서 0.3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아미노산 불균형 및 기호성 감소로 사료섭취량이 떨어져 넙치의 성장이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두박은 0.1 ~ 0.3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일례로 0.2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어유는 필수지방산 및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포함되는 것으로, 고도불포화지방산(EPA, DHA)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어유는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유지되도록 하며, 이러한 고도불포화지방산에 의해 생체막의 유동성 및 효소활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어유는 정어리, 청어, 고등어 등 지방이 풍부한 고기를 끓여서 압착하여 얻어지는 기름으로, 상어간유, 명태간유, 고래유, 오징어유, 멸치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유는 전체 사료 조성물 중에서 0.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종래와 같은 비율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유지되기 어려워 세포의 유동성이 개선되지 않고 소화관의 활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유가 0.3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필수 지방산의 과잉축적으로 성장장애 등이 유발될 수 있고, 상품가치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유는 0.05 ~ 0.3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일례로 0.1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유는 오징어 간유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어유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첨가제는 사료의 섭취율을 높이고, 상기한 성분으로 충족되지 않은 성분들을 보충하기 위하여 포함되는 것으로, 흡습성이 강한 유인제나, 지용성 비타민 A, D, E 또는 수용성 비타민 콜린, 또는 인지방이나 미량의 광물질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첨가제는 전체 사료 조성물 중에서 0.01 ~ 3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첨가제가 전체 사료 조성물 중에서 3 중량부 이상 사용되면 다른 성분의 상대적인 함량이 감소하게 되어 영양성분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비타민 프리믹스를 활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흡습성이 강한 유인제는 사료의 물성을 소프트하게 만들어 섭취율을 높이고 소화장애를 배제할 수 있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베타인 함유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용성 비타민 A, D, E를 첨가하면, 골격성장과 세포의 항산화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수용성 비타민 콜린의 첨가로 그 혼합율을 더 높이면 간내 지방 축적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인지방과 미량광물질의 첨가로 세포의 유동성을 개선하고 소화관의 활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광물질로는 NaCl, MgSO4·7H2O, NaH2PO4·2H2O, KH2PO4, CaH4(PO4)2 ·H2O, ZnSO4·7H2O, CuCl2, AlCl3·6H2O, KIO3, MnSO4·H2O, 페릭 사이트레이트 (ferric citrate) 및 칼슘 락테이트 (calcium lactat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가소화 단백질/가소화에너지의 비율이 26~29g DP/MJ DE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상술한 가소화 단백질/가소화 에너지의 비율범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가소화 단백질/가소화에너지의 비율이 26g DP/MJ DE 미만인 경우 단백질 함량에 비해 에너지 함량이 너무 많아 넙치의 사료 섭취량이 적어지고, 이에 따라 다른 필수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받을 수 없게 되어 성장이 저하되어, 이로 인해 결국 단백질과 인의 배출량이 증가되어 수질 오염율을 증가시키고, 사료의 에너지 함량이 지나치게 높음에 따라 어체의 간내 지방 과다축적으로 간 기능의 활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가소화 단백질/가소화에너지의 비율이 29g DP/MJ DE을 초과하면 단백질함량에 비해 에너지가 부족하여, 넙치는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충당하기 위해 단백질을 분해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므로 단백질 효율이 낮아지고 성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암모니아 생성으로 인한 과다한 질소 배설을 초래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적정한 가소화 단백질/가소화에너지의 비율을 유지시킴으로써 필수 영양소가 적정한 수준으로 공급되어 넙치의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어체의 간내 지방의 과다 축적을 막아 간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과다한 질소 배설을 방지하여 수질의 오염을 예방하는 효과를 갖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넙치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하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1. 제1 단계 : 넙치용 사료 조성물 제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넙치용 사료 조성물은, 귀뚜라미 및 등애등에의 유충 또는 성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준비한 후에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어분, 크릴분말, 대두박, 클루텐 밀, 오징어 간유 및 비타민 프리믹스를 서로 혼합하여 넙치용 사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2. 제2 단계 : 넙치 사료 제조
상기 제조된 넙치 사료용 조성물을 압축기계를 통해 100~120℃에서 0.5~1분동안 가공하여 펠렛 또는 환의 형태로 제조된 넙치 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100℃미만으로 상기 시간 미만 동안 가공하게 되면 펠렛 또는 환의 형태로 제조되지 않아 넙치에게 급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되며, 120℃초과에서 상기 시간을 초과하여 가공하게 되면 오히려 영양성분의 파괴가 일어나 본 발명이 목적하는 넙치 증체효과는 얻기 어려울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실시예 1, 2 및 3, 비교예 1> 넙치용 사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나 있는 재료 종류 및 이들의 배합 비로 혼합하여 넙치용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귀뚜라미 분말과 등애등에 분말은 귀뚜라미와 등애등에를 소정의 온도에서 5 시간 동안 열품 건조한 후에 이를 분쇄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ㅅ다.
추가 재료로는, 어분, 크릴분말, 대두박, 글루텐 밀, 오징어 간유 및 비타민 프리믹스를 사용하였다.
재료 종류
(단위 kg)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어분 1.04 1.04 1.04 1.04
크릴분말 0.2 0.2 0.2 0.2
귀뚜라미 0.4 0 0.4 0
동애등에 0 0.2 0.2 0
대두박 0.2 0.2 0.2 0.2
글루텐 밀 0.1 0.1 0.1 0.1
오징어 간유 0.1 0.1 0.1 0.1
비타민 프리믹스 0.08 0.08 0.08 0.08
합게 2.12 1.92 2.32 1.72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사료를 이용하여 8주간 사육한 넙치의 증체율, 사료계수, 폐사율, 단백질 배설량, 인 배설량을 각각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넙치의 사육 및 관리 -
평균 체중 153.5±5.2g의 넙치 치어 2,000마리 씩을 8 Х 9 m 콘크리트 수조에 수용하여 8주간 사료를 1일 2회 급이하였으며, 수온은 17℃ 지하해수를 공급하고, 용존산소는 정상적인 성장에 필요한 7ppm 이상으로 유지하며 자연광 주기를 이용하여 사육하였다. 아울러 급이시험은 유수식으로 하였다.
- 측정방법 -
단백질과 인 배출량 분석을 위해 실험구 별로 10마리씩 무작위로 추출하여 전어체 단백질과 인을 분석하였다.
증체량은 실험 종료시 총 중량과 실험 개시시 총 중량의 차이로 구하였으며, 사료섭취량은 매 주 섭취량을 합하여 구하였다.
섭취 사료량의 건조 중량은 일정량의 시료를 105 ℃ 오븐에서 24시간 건조한 후 수분 함량을 구하여 계산하였다.
전체 실험어의 마리수 및 계량은 실험시작과 종료시 하루 동안 절식한 후 측정하였다.
* 증체량= 실험종료시 [0056] 총 중량-실험 개시시 총 중량
* 사료계수= 소요된 총사료량(건조중량)χ증체량 (습중량)
* 폐사율: 폐사마리수/실험개시 총 마리수 Х 100
* 단백질 배설량: [(실험종료시 어체중 Х 종료어 단백질 함량)-(실험개시시 어체중 Х 개시어 단백질 함량)]/증체량 Х 1000
* 인 배설량:
사료 중체량
(g)
상대치
(%)
사료
계수
상대치
(%)
폐사율
(%)
상대치
(%)
단백질
배설량(g)
상대치
(%)

배설량(g)
상대치
(%)
실시예 1 138.0 93.1 1.20 144.6 5.65 128.4 473.9 170.4 18.6 190.8
실시예 2 143.9 97.1 0.83 100.0 3.45 78.4 285.6 102.7 7.6 78.3
실시예 3 148.2 100.0 0.83 100.0 4.40 100 278.1 100.0 9.7 100.0
상기 표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넙치용 사료 조성물의 성분 및 배합비로 구성된 실시예 3 의 사료의 경우 중체량이 가장 큰것으로 보았을 때, 귀뚜라미와 등애등에의 단백질이 넙치의 성장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또한, 실시예 2의 중체량이 실시예 1의 중체량보다 더 큰 것을 보았을 때, 귀뚜라미보다는 동애등에의 단백질이 넙치의 성장에 더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사료계수의 경우 실시예 3 사료와 실시예 2 사료의 사료 계수가 0.83으로, 사료 효율이 120%에 해당되지만, 실시예 1의 경우 사료 계수가 1.20으로 사료 효율(사료계수의 역수를 백분율로 표시)이 약 83%로 실시예 2와 3에 비하여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사료를 사용하는 경우 넙치의 성장을 위해 사용되는 사료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폐사율의 경우 실시예 2의 경우가 가장 낮게 측정되었으나, 실시예 3의 사료를 통해 성장한 넙치는 성장 속도가 빨라진 것에 따라 수명이 짧게 된 것으로 파악되므로 실시예 2와 3의 폐사율은 허용될 만큼의 적정하다고 판단된다.
<실험예 2>
실시예 1 내지 3과 시중의 사료의 급여에 따른 단백질 배출량 및 인 배출량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비교예 1은 퓨리나 제품이다.
사료 단백질 배설량(g) 인배설량(g)
실시예 1 308.3 11.0
실시예 2 296.3 9.4
실시예 3 285.4 7.5
비교예 1 358.3 14.4
상기 표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는 시중의 사료보다 단백질 배설량과 인배설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질 개선의 효과가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배합비에 따른 실시예 3의 사료 조성물의 화학적 조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조단백질 (N Х 6.25)은 자동 켈달시스템 (Auto Kjeldahl System, Gerhardt VAP500T/TT125, KG, Germany)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지방은 산가수분해법으로, 수분은 105 ℃에서 24시간 건조하여 구하였으며, 조회분은 550 ℃에서 4시간 회화하여 구하였다. 조섬유는 Fibertec (Tecator, Sweden) 자동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칼슘은 습식회화법으로 KMnO4로 적정하여 구하였으며, 인은 vanado-molybdate 법으로 분석하였다(AOAC, 1990).
사료의 총에너지 함량은 adiabatic bomb calorimeter (Parr-6200, Moline, IL)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가소화 단백질과 가소화 에너지 함량은 사료혼합물에 0.5%의 Cr2O3를 섞어 충분히 혼합한 후 분을 채집하여 간접법으로 구하였다.
영양소 실시예 3(%)
수분 8.98 ± 0.91
조단백질 53.01 ± 0.46
조지방 11.84 ± 0.36
조섬유 1.12 ± 0.23
조회분 10.94 ± 0.26
칼슘 1.84 ± 0.04
총인 1.45 ± 0.02
유효인 0.64
가소화 단백질(g DP, digestible protein) 476 g/kg
가소화 에너지(MJ DE, digestible energy) 17.9 MJ/kg
g DP/MJ DE 26.6
본 발명에 따른 성분 및 배합비로 이루어진 사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넙치를 사육하는 경우 수질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단백질 및 인의 배설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생존율 및 성장정도는 기존의 어분을 사용하는 경우와 동등하거나 그보다 향상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P 사료 조성물은 값 비싼 어분을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료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넙치 성장에 필요한 영양성분이 충분히 갖춰진 사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Claims (7)

  1. 전체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어분 40 ~ 50 중량부, 크릴분말 5 ~ 10 중량부, 대두박 0.1 ~ 0.3 중량부, 글루텐 밀 1 ~ 7 중량부, 어유 0.05 ~ 0.3 중량부 및 첨가제 0.01 ~ 3 중량부를 포함하고,
    가소화 단백질/가소화에너지의 비율이 26~29g DP/MJ DE 을 유지하고,
    상기 어육부산물(fish hydrolysate)은 사람이 섭취하는 부분을 제외한 생선의 머리, 내장, 뼈, 연골, 표피가 물과 효소의 개입에 의해 가수분해된 산물이고,
    상기 육분은 포유동물의 도축과정에서 나오는 조직을 증기피복솥(steam jacketed drum)에 넣고 건열식(乾熱式)으로 처리하여 탈지, 건조, 분쇄한 것이고,
    상기 첨가제는 유인제, 비타민, 인지방, 광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광물질은 MgSO4·7H2O, NaH2PO4·2H2O, KH2PO4, CaH4(PO4)2·H2O, ZnSO4·7H2O, CuCl2, AlCl3·6H2O, KIO3, 및 MnSO4·H2O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용 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곤충이 건조된 후에 분쇄되어 형성된 곤충 분말이 18 ~ 3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용 사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 분말은,
    귀뚜라미 및 동애등에 중 적어도 하나의 곤충이 건조된 후 분쇄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용 사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 분말은,
    귀뚜라미 분말 13 ~ 20 중량부 및 동애등에 분말 5 ~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용 사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유는,
    오징어 간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용 사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비타민 프리믹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용 사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분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에서 44.8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크릴분말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에서 8.6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곤충 분말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에서 귀뚜라미 분말 17.2 중량부 및 동애등에 분말 8.6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두박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중에서 8.6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글루텐 밀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 중에서 4.3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유는,
    전체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 중에서 4.3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첨가제는,
    전체 사료 조성물 100중량부 중에서 3.4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용 사료 조성물.
KR1020190031134A 2019-03-19 2019-03-19 넙치용 사료 조성물 KR20200111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134A KR20200111457A (ko) 2019-03-19 2019-03-19 넙치용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134A KR20200111457A (ko) 2019-03-19 2019-03-19 넙치용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457A true KR20200111457A (ko) 2020-09-29

Family

ID=72661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134A KR20200111457A (ko) 2019-03-19 2019-03-19 넙치용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14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178B1 (ko) * 2021-05-13 2021-08-06 대한민국 동애등에 공급을 통한 넙치 양식방법 및 사료조성물
KR102373268B1 (ko) * 2021-12-02 2022-03-14 대한민국 기능성 곤충원료 사료 조성물을 이용한 강도다리 양식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178B1 (ko) * 2021-05-13 2021-08-06 대한민국 동애등에 공급을 통한 넙치 양식방법 및 사료조성물
KR102373268B1 (ko) * 2021-12-02 2022-03-14 대한민국 기능성 곤충원료 사료 조성물을 이용한 강도다리 양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721B1 (ko) 흰다리 새우용 사료 조성물
Dallaire et al. Effect of algal incorporation on growth, survival and carcass composition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fry
Pretorius The evaluation of larvae of Musca domestica (common house fly) as protein source for broiler production
Ravindran et al. Feed resources for poultry production in Asia and the Pacific. III. Animal protein sources
Shiau et al. Replacement of Fishmeal with Soybean Meal in Ma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xO. aureus) Fingerling Diets at a Suboptimal Protein Level
US20100175441A1 (en) Bioproduction of hydrolysate from squid processing byproducts for aquaculture feed ingredient and organic fertilizer
CN102469808B (zh) 天然物质作为用于水生动物的饲料添加剂的用途
Bureau Rendered products in fish aquaculture feeds
CN101756065A (zh) 一种改良野猪专用育肥饲料
KR102029024B1 (ko) 곤충 기름을 이용한 반려동물 사료 제조 방법
JP2004057156A (ja) 養魚用飼料
KR101284720B1 (ko) 넙치용 무어분 ep사료 조성물
KR20200111457A (ko) 넙치용 사료 조성물
US20150181909A1 (en) Method for improving feed efficiency and increasing growth rates in animals
KR101837273B1 (ko) 갈색거저리를 이용한 넙치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0262B1 (ko) 넙치 양식을 위한 배합사료조성물
Edea et al. Black Soldier Fly (Hermetiaillucens) Larvae as a Sustainable Source of Protein in Poultry Feeding: A Review
CN110403064B (zh) 一种昆虫源性的冬棚养殖专用虾饲料
Finstad et al. Feeding soy or fish meal to Alaskan reindeer (Rangifer tarandus tarandus)–effects on animal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Bilen et al. Effects of different protein sources on growth performance and food consumption of goldfish, Carassius auratus
Crețu et al. Effects of feeding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and body composition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Walbaum 1792).
Kowalska Insects as a source of nutrients in animal feed
Nadtochii et al. Investigation of fly larvae Lucilia caesar application in pet feed composition.
Gugołek et al. Feeds of animal origin in rabbit nutrition–a review
Matin Evaluation of the nutritional values of seven insect meals for inclusion in poultry di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