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926B1 -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926B1
KR101877926B1 KR1020160175724A KR20160175724A KR101877926B1 KR 101877926 B1 KR101877926 B1 KR 101877926B1 KR 1020160175724 A KR1020160175724 A KR 1020160175724A KR 20160175724 A KR20160175724 A KR 20160175724A KR 101877926 B1 KR101877926 B1 KR 101877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alone
weight
feed
parts
seaw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2294A (ko
Inventor
조성환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5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92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2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02A40/818Alternative feeds for fish, e.g. in aquacul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멍게 피낭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종래 전복용 배합사료에 포함하던 해조류 성분을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전복의 성장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feed composition for the abalone}
본 발명은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멍게 피낭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종래 전복용 배합사료에 포함하던 해조류 성분을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전복의 성장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전복 양식장의 경우, 전복 사육 관리의 용이성 때문에 자연산 먹이인 미역이나 다시마 공급을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자연산 먹이인 미역이나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는 전복의 성장에 필요로 하는 영양학적 요구량, 특히 단백질(아미노산) 25~35% 및 지질(지방산) 3~7%의 요구량 보다 낮은 함량의 단백질(15% 이하) 및 지질(2% 이하)을 함유하고 있어, 많은 연구 결과에 보고된 바와 같이, 자연산 먹이인 해조류를 전복에 공급하는 것보다 배합사료를 전복에 공급하는 것이 보다 우수한 전복 성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전복 양식을 위해서는 전복용 배합사료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배합사료는 다시마 또는 미역과 같은 해조류를 약 20-25%를 포함하고 있어, 겨울철을 제외한 다른 계절에는 상기 해조류의 이용성이 제한적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6335호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보고된 750종의 해조류 가운데 우점 군락을 형성하는 그룹은 크게 겨울-봄 해조군락(한해성)과 여름-가을 해조군락(온대성)으로 구분되고 있다.
한해성 종들은 10월 말 즉, 수온이 15 이하로 하강하는 시기에 발아하여 11월에 유엽이 형성되고 4월에 최대 성장을 한 후 6월 이후 쇠락하는 종류들로 미역, 다시마, 개다시마, 모자반류, 삼나무말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해중림을 이루기도 한다. 온대성 해조류는 4월 이후 출현하여 여름에 번무하고 10월 이후 쇠락하는 종류로서 도박류, 그물바탕말류, 청각류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비교적 크기가 작다. 곰피, 대황, 감태, 우뭇가사리 등은 다년생 해조류로 우리나라 남해안과 제주도를 포함하는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데 이중 곰피와 감태는 양식 품종으로 개발되었다.
이처럼 대부분의 우점종들은 6월 이후에 쇠락하여 자취를 감추고, 여름철에 생육한다고 하더라도 생산성이 낮기 때문에 전복 먹이로 공급할 수 있는 종은 곰피 등 극히 소수의 종으로 국한된다.
현재 전복 먹이로 공급되고 있는 양식 미역과 다시마는 5월부터 끝 녹음이 일어나 크기가 작아지고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대부분 5~6월에 수확하고 있다. 또한, 전복 먹이로 공급되는 미역과 다시마는 고수온기에 대부분 소실되므로 생 해조류의 공급이 어려운 9~11월에는 전복 먹이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다시마의 경우 바닷물 수온이 23~24도가 넘으면 잎이 녹아내리는 치명적 한계가 있으며, 태풍 등에 의해서 파도가 강해지면 소실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 식량 자원으로서의 해조류 수요량 증가와 전복 양식장의 규모 확대로 인하여 해조류의 국제 가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전복 먹이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사료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전복용 배합사료 내 포함되는 해조류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원으로 멍게 피낭을 개발하였다. 상기 멍게 피낭은 식품으로 이용되는 멍게 가식부를 제외한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멍게피낭을 포함한 전복용 배합사료가 전복을 용이하게 성장시킴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멍게 피낭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멍게 피낭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조성물은 해조류 및 멍게 피낭을 1 내지 40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멍게 피낭은 해조류 및 멍게 피낭의 총중량에 대해, 5 내지 100%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멍게 피낭은 해조류 및 멍게 피낭의 총중량에 대해, 20 내지 80%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은 멍게 피낭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주로 전복용 배합사료에 포함하나 값비싸고 겨울철 이외에는 사용에 제한되는 해조류를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전복 성장 및 가식부의 영양소 함량을 향상시켜 보다 용이하게 전복을 양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로 바다로 버려지던 멍게 피낭을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해양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멍게 피낭이 값싸고 연중 이용 가능하므로, 전복 양식 생산 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멍게 피낭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멍게 피낭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종래 전복용 배합사료에 포함하던 해조류 성분을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전복의 성장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은 특히 전복 치패를 성장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은 멍게 피낭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해조류 및 멍게 피낭을 1 내지 40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복의 성장 둔화를 방지하면서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해조류 및 멍게 피낭을 5 내지 25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 멍게 피낭은 해조류 함량 일부 또는 전량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멍게 피낭은 전복용 배합사료에 주로 함유되는 해조류를 대체하기 위하여 포함된 것으로서, 탄수화물을 약 46% 이상 함유하고 조단백질 또한 높은 함량 함유함에 따라, 상기 해조류의 일부 또는 전량을 멍게 피낭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멍게 피낭은, 조성물 내에 1 ~ 40중량%로 포함되거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중량%로 포함되는 해조류 및 멍게 피낭의 총중량에 대해, 5 내지 100%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멍게 피낭은 해조류 및 멍게 피낭의 총중량에 대해, 20 내지 80%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멍게 피낭은 해조류 및 멍게 피낭의 총중량에 대해, 2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해조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미역이나 다시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건중량 기준으로 단백질원 20 ~ 60중량%, 탄수화물원 5 ~ 25중량% 및 지질원 1 ~ 10중량%와, 해조류 및 멍게 피낭 5 내지 40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영양 성분 과잉 또는 결핍에 의해 전복의 껍데기가 지나치게 발육되어 식품으로서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으로, 특히 전복에 영양 성분들이 편중되지 않고 공급될 수 있도록 조지질을 1 ~ 10중량%로, 바람직하게는 1 ~ 5중량%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 상기 단백질원은 어분, 육분, 면실박, 갑각류 분말, 카제인 및 대두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탄수화물은 소맥분, 덱스트린, α-감자전분, α+β 감자전분 및 수크로오즈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지질원은 대두유, 어유, 우지 및 오징어간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 미네랄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때 상기 비타민, 미네랄 및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비타민 및 미네랄은 성장 및 질병 예방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비타민 믹스로는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티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보플라빈, 피리독신, 나이아신(niacin), 칼슘-D-판토테네이트(Ca-D-pantothenate), 미오-이노시톨, D-바이오틴, 엽산(folic acid), p-아미노 벤조산(p-amino benzoic acid), 비타민 K3, 비타민 A, 비타민 D3, 염화 콜린, 사이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 등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미네랄 믹스로는 NaCl, MgSO4·7H20, NaH2PO4·2H20, KH2PO4, CaH4(PO4)2·H20, 페릭 사이트레이트(ferric citrate), ZnSO4·7H20, 칼슘-락테이트(Calcium lactate), CuCl, AlCl3·6H20, KIO3, Na2Se2O3, MnSO4·H20, CoCl2·6H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첨가제로는 점도제로서 알긴산나트륨을 포함한 통상의 사료 첨가제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제조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내에 해조류인 다시마를 20% 포함하여 멍게 피낭을 함유하지 않는 사료를 제조하고, 대조군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대조군의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에 있어서, 다시마를 멍게 피낭으로 20%, 40%, 60%, 80% 및 100%로 각각 대체한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를 제조하고, ST20, ST40, ST60, ST80 및 ST100으로 각각 표시하였다.
또한, 이때 상기 제조한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인 ST20, ST40, ST60, ST80, ST100 및 대조군과 건미역의 영양성분 및 함량을 비교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성분
배합사료(%, 건중량기준)
대조군 ST20 ST40 ST60 ST80 ST100 건미역
어분
(조단백질:73.2%, 조지질:0.7%)
20 20 20 20 20 20









카제인 9 9 9 9 9 9
대두박
(조단백질:53.5%, 조지질:2.0%)
15 12 9 6 3 0
덱스트린 5.5 5.5 5.5 5.5 5.5 5.5
소백분 5 8 11 14 17 20
다시마
(조단백질:10.5%, 조지질:0.1%)
20 16 12 8 4 0
멍게 피낭
(조단백질:44.8%, 조지질:1.1%)
0 4 8 12 16 20
오징어 간유 0.25 0.25 0.25 0.25 0.25 0.25
대두유 0.25 0.25 0.25 0.25 0.25 0.25
알긴산나트륨 22 22 22 22 22 22
미네랄 프리믹스* 2 2 2 2 2 2
비타민 프리믹스** 1 1 1 1 1 1
총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영양성분 (%, 건중량기준)
건조물 88.5 89.9 87.2 88.3 91.3 91.6 86.0
조단백질 32.4 33.2 33.9 34.3 34.6 35.0 20.7
조지질 2.9 3.0 3.2 3.3 3.4 3.6 0.8
회분 15.0 14.5 14.6 13.0 12.8 11.3 36.1
* 미네랄 프리믹스(g kg-1 mix): NaCl, 10; MgSO4·7H2O, 150; NaH2PO4·2H2O, 250; KH2PO4, 320; CaH4(PO4)2·H2O, 200; Ferriccitrate, 25; ZnSO4·7H2O, 4; Ca-lactate, 38.5; CuCl, 0.3; AlCl3·6H2O, 0.15; KIO3, 0.03; Na2Se2O3, 0.01; MnSO4·H2O, 2; CoCl2·6H2O, 0.1.을 포함함.
** 비타민 프리믹스(g kg-1 mix): 셀룰로오스에 희석된 L-ascorbic acid, 200; α-tocopheryl acetate, 20; thiamin hydrochloride, 5; riboflavin, 8; pyridoxine, 2; niacin, 40; Ca-D-pantothenate, 12; myo-inositol, 200; D-biotin, 0.4; folic acid, 1.5; p-amino benzoic acid, 20; K3, 4; A, 1.5; D3, 0.003; cholinechloride, 200; cyanocobalamin, 0.003을 포함함.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다시마를 멍게 피낭으로 각각 20%, 40%, 60%, 80% 및 100% 대체한 ST20, ST40, ST60, ST80 및 ST100은 상기 멍게 피낭 함량 증가에 따라 대두박의 함량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멍게 피낭 내 조단백질이 높은 함량으로 포함되어 있어, 다시마를 멍게 피낭으로 대체하는 함량이 증가할수록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대조군, ST20, ST40, ST60, ST80 및 ST100의 조단백질 함량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즉, 다시마의 일부 또는 전부를 멍게 피낭으로 대체한 ST20, ST40, ST60, ST80 및 ST100과 멍게 피낭을 포함하지 않는 대조군의 조단백질 함량이 일정하도록 상기 멍게 피낭의 함량 증가와 함께 대두박의 함량을 감소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ST20, ST40, ST60, ST80 및 ST100과 대조군은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의 단백질 및 지질 요구량을 모두 만족하도록 제조되었다.
전복 양식 실험
실험에 사용된 전복 치패는 개인양식장에서 구입하여 양식 실험 조건에서 2주간 적응시켰으며, 적응 기간 동안에는 건다시마를 1일 1회 전체중의 2~3% 정도 공급하였다.
21개의 70L 플라스틱 수용기(120cm×36cm)에 각각 70마리의 전복 치패(평균 마리 무게:3.3g)를 수용하여 3개의 10톤 콘크리트 raceway(수량: 2.8톤)에 분산 수용하였으며, 충분한 양의 산소를 공급하여 주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수용기에는 shelter를 넣어 주어 전복의 은신처를 제공하여 주었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전복에 상기 대조군, ST20, ST40, ST60, ST80 및 ST100의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를 각각 1일 1회(17:00) 충분한 양(전체중의 3%)으로 공급하였으며, 남은 먹이는 매일 제거하여 주었다.
실험기간 동안 평균 양식수온(Mean±SD)은 24.6±3.60℃이었으며, raceway별 환수량은 76.3L/min이었고, 빛은 자연광주기를 따랐다.
전복 양식 실험은 총 16주간 실시하였다,
또한, 상기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의 전복 양식 효율을 보다 용이하게 알아보기 위하여, 자연산 먹이인 건미역만을 상기 배합사료와 동일한 조건으로 공급하여 전복 양식 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
상기 전복 양식 실험 종료 시 각각의 실험구에서 생존한 전복 30마리를 무작위로 샘플링하여 냉동 보관하였다.
각 전복의 각장과 각폭은 디지털캘리퍼스(Mitutoyo사, Kawasaki사,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영양학적 상태 지수 측정을 위하여, 전중량에 대한 가식부의 비를 측정하였다.
실험사료와 전복 가식부의 일반성분은 AOAC(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0)에 따라 분석하고, 조단백질은 켈달법(Auto Kjeldahl System, Buchi B-324/435/412, 스위스)에 따라 분석하고, 조지방은 에테르 추출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조회분은 550℃ 회화로에서 4시간 동안 태운 후 정량하였다.
수분은 105℃ 드라이 오븐에서 24시간 건조시킨 후 측정하였다.
또한, 통계분석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및 던칸의 다중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으로서 SAS version 9.3 program(SAS Institute, Cary, NC, 미국)을 이용하여 상기 각 분석 구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1) 전복의 체중 증가, 생존율 및 일일성장율 분석
상기 사료를 달리하여 16주간 양식한 전복에 대하여, 상기 사료에 따른 전복 의 생존율, 체중 증가 및 일일성장율을 분석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초기 체중
(Initial weight)
(g abalone-1)
최종 체중
Final weight (g abalone-1)
생존율
Survival
(%)
체중 증가
Weight gain
(g abalone-1)
일일성장율
SGR1
(% day-1)
대조군 3.3 ± 0.01 6.2 ± 0.06 92.4 ± 1.26a 2.8 ± 0.05bc 0.55 ± 0.007bc
ST20 3.3 ± 0.00 6.3 ± 0.06 90.5 ± 1.26a 3.0 ± 0.06ab 0.58 ± 0.008b
ST40 3.3 ± 0.01 6.5 ± 0.10 90.5 ± 2.08a 3.2 ± 0.10a 0.60 ± 0.014a
ST60 3.3 ± 0.00 6.3 ± 0.06 90.5 ± 2.08a 2.9 ± 0.06b 0.57 ± 0.009b
ST80 3.3 ± 0.00 6.1 ± 0.80 89.5 ± 3.12a 2.8 ± 0.07bc 0.55 ± 0.011bc
ST100 3.3 ± 0.01 6.0 ± 0.04 93.8 ± 0.95a 2.7 ± 0.05c 0.53 ± 0.008c
건미역 3.3 ± 0.00 5.2 ± 0.03 88.6 ± 2.18a 1.9 ± 0.03d 0.40 ± 0.005d
F-value 0.82 73.3 84.4
P-value P > 0.5 P < 0.0001 P < 0.0001
* 각 측정치의 윗첨자가 동일한 문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음(P>0.05)
* 일일성장율(SGR, % body weight gain/day)는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되었다.
[수학식]
성장속도(SGR)=[(In(Wf)-In(Wi)) / 급여 일수]×100
(단, In(Wf): 전복의 최종 평균 무게의 자연 로그값, In(Wi): 전복의 최초 평균 무게의 자연 로그값)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전복의 생존율의 경우, 공급된 사료 종류와 관계없이 모든 사료에서 88%이상으로 나타남에 따라, 배합사료 내 다시마를 멍게 피낭으로 대체함에 의한 유의적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조군 사료를 공급한 전복의 체증 증가와 일일성장율(specific growth rate, SGR)은 ST20, ST60, ST80 및 ST100 사료를 공급한 전복과 비교할 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 > 0.05).
반면, ST40을 공급한 전복의 체중 증가와 일일성장율은 다른 모든 사료와 비교할 때 가장 우수한 성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P < 0.05).
또한 배합사료(대조군, ST20, ST40, ST60, ST80 및 ST100)를 공급한 전복은, 건미역만을 사료로 공급한 전복의 경우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한 성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P < 0.05).
(2) 전복의 각장, 각폭, 각고의 성장 및 가식부 무게 분석
상기 사료를 달리하여 16주간 양식한 전복에 대하여, 상기 사료에 따른 전복 의 각장(Shell length), 각폭(Shell width), 각고(Shell height), 가식부 무게(Soft body weight) 및 가식부 무게/전체 무게(Soft body weight/total weight)를 분석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각장
(mm)
각폭
(mm)
각고
(mm)
가식부 무게
(g)
가식부 무게/전체 무게
대조군 39.6 ± 0.05bc 26.7 ± 0.04cd 9.1 ± 0.04ab 3.9 ± 0.02c 0.63 ± 0.002c
ST20 40.1 ± 0.11ab 27.2 ± 0.09b 9.3 ± 0.01ab 4.1 ± 0.01b 0.65 ± 0.001ab
ST40 40.6 ± 0.17a 27.9 ± 0.14a 9.6 ± 0.14a 4.3 ± 0.04a 0.65 ± 0.004a
ST60 39.8 ± 0.06b 26.9 ± 0.03bc 9.3 ± 0.01ab 4.0 ± 0.02b 0.64 ± 0.002b
ST80 39.1 ± 0.06cd 26.4 ± 0.06d 8.9 ± 0.01b 3.8 ± 0.01cd 0.62 ± 0.002cd
ST100 38.8 ± 0.20d 25.6 ± 0.21e 8.8 ± 0.05b 3.6 ± 0.03d 0.61 ± 0.001d
건미역 37.9 ± 0.35e 24.7 ± 0.23f 8.0 ± 0.43c 3.0 ± 0.11e 0.61 ± 0.007d
F-value 24.6 65.2 8.8 73.8 28.6
P-value P < 0.0001 P < 0.0001 P < 0.0004 P < 0.0001 P < 0.0001
* 각 측정치의 윗첨자가 동일한 문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음(P>0.05)
상기 표 3을 참고하면, 전복의 각장에 있어서는 ST40의 전복이 대조군, ST60, ST80, ST100 및 건미역 보다 유의적으로 더 길게 나타났으나(P < 0.05), ST20의 전복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내지 않았다(P > 0.05).
전복의 각폭에 있어서는 ST40의 전복이 다른 모든 사료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P < 0.05).
전복의 각고에 있어서는, ST40의 전복이 ST80, ST100 및 건미역을 공급받은 전복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5).
전복 가식부의 무게에 있어서는, ST40의 전복이 다른 모든 사료를 공급받은 전복보다 유의적으로 무겁게 나타났으며, 전복 가식부의 무게는 ST20, ST60, 대조군, ST80, ST100 및 건미역 순으로 무겁게 나타났다.
전복 전중에 대한 가식부의 비에 있어서는, ST40의 전복이 대조군, ST60, ST80. ST100 및 건미역을 공급한 전복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5).
상기 결과로부터, 대조군을 포함한 ST20, ST40, ST60, ST80 및 ST100의 배합사료를 공급한 전복은 각장, 각폭, 각고 및 가식부 무게 모두에서 자연산 먹이인 건미역을 공급한 전복보다 유의적으로 모두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복의 영양학적 상태 지수(각장, 각폭, 각고, 가식부 무게 및 전중에 대한 가식부 비)는 전복의 체중 증가와 일일성장율 결과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3) 전복 가식부의 성분 분석
상기 사료를 달리하여 16주간 양식한 전복에 대하여, 상기 사료에 따른 전복 가식부의 성분을 분석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분
(Moisture)
조단백질
(Crude protein)
조지질
(Crude lipid)
회분
(Ash)
대조군 73.3 ± 0.13cd 17.6 ± 0.10e 0.9 ± 0.01d 1.5 ± 0.01e
ST20 73.6 ± 0.20bcd 19.3 ± 0.10c 1.0 ± 0.01b 2.2 ± 0.08a
ST40 73.8 ± 0.07bc 19.6 ± 0.06b 1.0 ± 0.01c 1.8 ± 0.04bc
ST60 73.0 ± 0.26d 20.1 ± 0.07a 1.1 ± 0.00a 1.6 ± 0.06de
ST80 74.7 ± 0.33a 18.8 ± 0.10d 1.0 ± 0.01b 1.7 ± 0.10cd
ST100 73.0 ± 0.36cd 18.8 ± 0.12d 1.1 ± 0.01ab 1.7 ± 0.02cd
건미역 74.1 ± 0.11ab 15.9 ± 0.09f 0.8 ± 0.01e 2.0 ± 0.02b
F-value 6.8 234.4 142.2 15.2
P-value P < 0.002 P < 0.0001 P < 0.0001 P < 0.0001
* 각 측정치의 윗첨자가 동일한 문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음(P>0.05)
상기 표 4를 참고하면, 전복 사료 내 다시마를 멍게 피낭으로 대체함에 따라 전복 가식부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질 및 회분의 함량 모두에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는(P < 0.05) 반면에, 뚜렷한 경향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들로부터, 전복용 배합사료 내 20%의 다시마 첨가 시 다시마를 멍게 피낭으로 완전히 대체하여도 전복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다시마 40%를 멍게 피낭으로 대체할 시 가장 우수한 전복의 성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7)

  1. 건중량 기준으로, 배합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멍게 피낭 4~20 중량부, 다시마 0~16 중량부, 어분 20 중량부, 대두박 0~12 중량부, 소맥분 8~20 중량부, 카제인 9 중량부, 덱스트린 5.5 중량부 오징어 간유 0.25 중량부, 대두유 0.25 중량부, 알긴산나트륨 22 중량부, 미네랄 2 중량부 및 비타민 1 중량부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175724A 2016-12-21 2016-12-21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101877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724A KR101877926B1 (ko) 2016-12-21 2016-12-21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724A KR101877926B1 (ko) 2016-12-21 2016-12-21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294A KR20180072294A (ko) 2018-06-29
KR101877926B1 true KR101877926B1 (ko) 2018-07-13

Family

ID=62781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724A KR101877926B1 (ko) 2016-12-21 2016-12-21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9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558A (ko) * 1998-03-21 1999-10-15 배평암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KR20160053190A (ko) * 2014-10-31 2016-05-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20160121877A (ko) * 2015-04-13 2016-10-21 최정욱 수산 부산물과 천연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배합사료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558A (ko) * 1998-03-21 1999-10-15 배평암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KR20160053190A (ko) * 2014-10-31 2016-05-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20160121877A (ko) * 2015-04-13 2016-10-21 최정욱 수산 부산물과 천연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배합사료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294A (ko)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642B1 (ko)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CN102835548A (zh) 一种罗氏沼虾苗期微颗粒饲料及其制备方法
CN111543564A (zh) 一种蓝子鱼缓沉性膨化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920075B1 (ko) 어분대체제를 이용한 강도다리용 완전배합 ep사료 조성물
KR100282253B1 (ko)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KR101837273B1 (ko) 갈색거저리를 이용한 넙치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wanna et al. Effect of protein deficient diets on the growth and carcass protein ash ratio of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Burchell 1822)
Aina et al. Substitution of maize with cassava and sweet potato meal as the energy source in the rations of layer birds
KR101644774B1 (ko)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KR101765796B1 (ko)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JP2003516714A (ja) 稚魚用の完全飼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77926B1 (ko)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100498808B1 (ko) 민어 양식용 배합 사료
Ali et al. Impact of formulated diets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ornamental fish Pterophyllum scalare (Angel fish).
KR101877925B1 (ko)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CN111867390A (zh) 富含杂卤石的动物饲料
KR101939194B1 (ko) 조단백 함량이 저감된 맞춤형 민물장어 양식용 사료조성물 및 이의 용도
Atapattu et al. Effects of gradual feed dilution with inert or less nutritive materials on growth performance, feed cost and meat organoleptic properties of broiler chicken
KR20050031319A (ko)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
CN101984843B (zh) 一种防治黄颡鱼变色专用饲料添加剂预混料
KR100595967B1 (ko) 조피볼락(우럭) 양식용 사료 조성물
KR20160053190A (ko)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20200004562A (ko) 감귤껍질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20170027650A (ko)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KR102078924B1 (ko) 양파착즙박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