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924B1 - 양파착즙박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양파착즙박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924B1
KR102078924B1 KR1020180108616A KR20180108616A KR102078924B1 KR 102078924 B1 KR102078924 B1 KR 102078924B1 KR 1020180108616 A KR1020180108616 A KR 1020180108616A KR 20180108616 A KR20180108616 A KR 20180108616A KR 102078924 B1 KR102078924 B1 KR 102078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alone
weight
feed
onion juic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환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8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02A40/818Alternative feeds for fish, e.g. in aquacul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분 및 양파착즙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종래 전복용 배합사료에 포함되던 해조류를 양파착즙박으로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복의 성장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파착즙박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Feed composition containing onion pomace}
본 발명은 양파착즙박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분 및 양파착즙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종래 전복용 배합사료에 포함되던 해조류(미역, 다시마 등)를 양파착즙박으로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복의 성장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전복 양식장의 경우, 전복 사육 관리의 용이성 때문에 자연산 먹이인 미역이나 다시마 공급을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자연산 먹이인 미역이나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는 전복의 성장에 필요로 하는 영양학적 요구량, 특히 단백질(아미노산) 25~35% 및 지질(지방산) 3~7%의 요구량보다 낮은 함량의 단백질(15% 이하) 및 지질(2% 이하)을 함유하고 있어, 많은 연구 결과에 보고된 바와 같이, 자연산 먹이인 해조류를 전복에 공급하는 것보다 배합사료를 전복에 공급하는 것이 보다 우수한 전복 성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전복 양식을 위해서는 전복용 배합사료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배합사료는 다시마 또는 미역과 같은 해조류를 약 20-25%를 포함하고 있어, 겨울철을 제외한 다른 계절에는 상기 해조류의 이용성이 제한적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6335호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보고된 750종의 해조류 가운데 우점 군락을 형성하는 그룹은 크게 겨울-봄 해조군락(한해성)과 여름-가을 해조군락(온대성)으로 구분되고 있다.
한해성 종들은 10월 말 즉, 수온이 15℃ 이하로 하강하는 시기에 발아하여 11월에 유엽이 형성되고 4월에 최대 성장을 한 후 6월 이후 쇠락하는 종류들로 미역, 다시마, 개다시마, 모자반류, 삼나무말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해중림을 이루기도 한다. 온대성 해조류는 4월 이후 출현하여 여름에 번무하고 10월 이후 쇠락하는 종류로서 도박류, 그물바탕말류, 청각류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비교적 크기가 작다. 곰피, 대황, 감태, 우뭇가사리 등은 다년생 해조류로 우리나라 남해안과 제주도를 포함하는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데 이중 곰피와 감태는 양식 품종으로 개발되었다.
이처럼 대부분의 우점종들은 6월 이후에 쇠락하여 자취를 감추고, 여름철에 생육한다고 하더라도 생산성이 낮기 때문에 전복 먹이로 공급할 수 있는 종은 곰피 등 극히 소수의 종으로 국한된다.
현재 전복 먹이로 공급되고 있는 양식 미역과 다시마는 5월부터 끝녹음이 일어나 크기가 작아지고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대부분 5~6월에 수확하고 있고, 고수온기에 대부분 소실되므로 생 해조류의 공급이 어려운 9~11월에는 전복 먹이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불안정한 미역, 다시마의 공급과 저장상의 문제는 구입가격의 상승과 상당한 노동력을 수반하는 요인으로 작용해 양식 의욕 저감 및 양식원가 비율이 상승하여 수익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며, 특히 다시마의 경우 바닷물 수온이 23~24℃가 넘으면 잎이 녹아내리는 치명적 한계가 있으며, 태풍 등에 의해서 파도가 강해지면 소실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기존의 전복용 배합사료 내 해조류를 완전히 대체하기 위하여, 양파 엑기스 추출 후 폐기물로 버려지는 양파착즙박을 새로운 전복용 배합사료 소재로 발굴하여 재활용하면서 해조류 대체원으로 사용함에 따라, 전복용 배합사료의 단가를 낮추면서 전복의 생존율과 성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2016-0046335 A KR 10-1568466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전복용 배합사료 내 해조류를 완전히 대체하기 위하여, 양파 엑기스 추출 후 폐기물로 버려지는 양파착즙박을 대체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전복용 배합사료의 단가를 낮추면서 전복의 생존율과 성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파착즙박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어분 및 양파착즙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건중량 기준으로, 배합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양파착즙박 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건중량 기준으로, 배합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양파착즙박 5 내지 30 중량부, 단백질원 4 내지 35 중량부, 탄수화물원 15 내지 30 중량부 및 지질원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백질원은 어분, 육분, 면실박, 갑각류 분말, 카제인 및 대두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탄수화물원은 소맥분, 덱스트린, α-감자전분, α+β 감자전분, 수크로오즈 및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지질원은 대두유, 어유, 우지 및 오징어간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백질원은 어분, 카제인 및 대두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탄수화물원은 소맥분 및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지질원은 대두유 및 오징어간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 미네랄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양파착즙박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은 어분 및 양파착즙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주로 전복용 배합사료에 포함하나 값비싸고 겨울철 이외에는 사용에 제한되는 해조류를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복 성장 및 가식부의 영양소 함량을 향상시켜 보다 용이하게 전복을 양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파 엑기스 추출 후 폐기물로 버려지는 양파착즙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폐기하는데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양파착즙박이 값싸고 연중 이용 가능하여 전복 양식 생산 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합사료 내 해조류를 양파착즙박으로 전량 대체함으로써, 본 발명의 배합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은 양식 수조의 청소 또는 전복의 선별 작업시 야기되는 공기노출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므로, 전복의 누적폐사율을 크게 감소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해수 내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사료 내 건물(dry matter)의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양파착즙박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어분 및 양파착즙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종래 전복용 배합사료에 포함되던 해조류(미역, 다시마 등) 성분을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전복의 성장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은 특히 전복 치패를 성장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건중량 기준으로, 배합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양파착즙박 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양파착즙박은 해조류 함량 일부 또는 전량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건중량 기준으로, 배합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양파착즙박 5 내지 30 중량부, 단백질원 4 내지 35 중량부, 탄수화물원 15 내지 30 중량부 및 지질원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배합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양파착즙박 5 내지 20 중량부, 단백질원 4 내지 34 중량부, 탄수화물원 20 내지 25 중량부 및 지질원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 내 양파착즙박, 단백질원, 탄수화물원 및 지질원의 중량부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영양 성분 과잉 또는 결핍에 의해 전복의 껍데기가 지나치게 발육되어 식품으로서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특히 전복에 영양성분들이 편중되지 않게 공급될 수 있도록 지질원을 0.5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원은 어분, 육분, 면실박, 갑각류 분말, 카제인 및 대두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탄수화물원은 소맥분, 덱스트린, α-감자전분, α+β 감자전분, 수크로오즈 및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지질원은 대두유, 어유, 우지 및 오징어간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단백질원은 어분, 카제인 및 대두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탄수화물원은 소맥분 및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지질원은 대두유 및 오징어간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 미네랄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되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비타민, 미네랄 및 첨가제의 종류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비타민 및 미네랄은 성장 및 질병 예방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비타민 믹스로는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티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보플라빈, 피리독신, 나이아신(niacin), 칼슘-D-판토테네이트(Ca-D-pantothenate), 미오-이노시톨, D-바이오틴, 엽산(folic acid), p-아미노 벤조산(p-amino benzoic acid), 비타민 K3, 비타민 A, 비타민 D3, 염화 콜린, 사이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 등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미네랄 믹스로는 NaCl, MgSO4·7H20, NaH2PO4·2H20, KH2PO4, CaH4(PO4)2·H20, 페릭 사이트레이트(ferric citrate), ZnSO4·7H20, 칼슘-락테이트(Calcium lactate), CuCl, AlCl3· 6H20, KIO3, Na2Se2O3, MnSO4·H20, CoCl2·6H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첨가제로는 점도제로서 알긴산나트륨을 포함한 통상의 사료 첨가제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실시예>
전복용 배합사료 제조
전복용 배합사료 내에 해조류인 미역을 20% 포함하여 양파착즙박을 함유하지 않는 사료를 제조하고, 대조군(Con)으로 표시하였다.
그리고 양파착즙박을 수거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서, 전복용 배합사료 내 미역 대체원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대조군의 전복용 배합사료에 있어서, 미역을 양파착즙박으로 각각 25%, 50%, 75% 및 100% 대체한 전복용 배합사료를 제조하였으며, OEB25, OEB50, OEB75 및 OEB100으로 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용 배합사료의 성형은 각각의 사료 원료를 혼합하고(Samwoo Industry Co., Daegu, Korea), 혼합물 100g 당 물 100g을 첨가하여 다시 혼합한 후, 압착하여 1cm×1cm×0.15cm가 되도록 실험 사료를 절단하였다. 그 다음 5%의 염화칼슘 수용액에 1분간 침지하여 알긴산나트륨을 칼슘염으로 치환시켰다. 제조된 실험사료는 농산물 건조기(UDS-4522F, Kyung Dong Navien, Seoul, Korea)를 이용하여 30℃에서 24시간 건조시킨 후, -20℃의 냉동고에 저장하여 사료 공급시마다 소량씩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용 배합사료인 OEB25, OEB50, OEB75, OEB100 및 대조군과 건미역(Undaria)의 영양성분 및 함량을 비교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배합사료(%, 건중량기준)
대조군(Con) OEB25 OEB50 OEB75 OEB100 건미역
어분 25 25 25 25 25 -
대두박 4 4 4 4 4
카제인 5 5 5 5 5
소맥분 22 22 22 22 22
양파착즙박 0 5 10 15 20
미역분말 20 15 10 5 0
오징어 간유 0.5 0.5 0.5 0.5 0.5
대두유 0.5 0.5 0.5 0.5 0.5
알긴산나트륨 20 20 20 20 20
미네랄 믹스 2 2 2 2 2
비타민 믹스 1 1 1 1 1
총합계 100 100 100 100 100
건물 90.1 91.4 90.5 90.4 90.2 85.4
조단백질 31.7 30.4 30.0 29.6 29.4 22.9
조지질 4.3 4.3 4.2 4.1 4.1 1.4
회분 11.7 10.4 9.1 7.9 6.8 22.9
전복 양식 실험
실험에 사용된 치패는 실험 사육환경에 적응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위치한 개인 전복양식장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총 3개의 3.6톤 콘크리트 raceway(수량: 3.4톤) 수조당 각각 14개의 100L(40cm×50cm×50cm) 가두리 수조를 설치하여 실험구로 설정하였으며, 각 실험구당 전복을 60마리씩 수용하였다. 각각의 실험구에는 은신처용 shelter을 넣어주었으며, raceway 별 환수량은 108L/min이었고, 사육실험 기간동안 충분한 양의 산소를 공급하여 주었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전복에 상기 대조군(Con), OEB25, OEB50, OEB75 및 OEB100의 전복용 배합사료를 각각 1일 1회(17:00) 전복 전 체중의 1.5~3.0% 이상 되도록 사료를 충분히 공급하여 항상 사료가 소량씩 남게 하였으며, 남은 사료는 새로운 사료를 공급하기 전에 매일 제거하여 주었다. 실험기간 동안 평균 사육 수온은 18.0~18.6℃(Mean±SD: 18.2±0.10℃)이고, 빛은 자연광 주기를 따랐으며, 전복 양식 실험은 총 16주간 실시하였다.
또한, 전복용 배합사료의 전복 양식 효율을 보다 용이하게 알아보기 위하여, 자연산 먹이인 건미역만을 상기 배합사료와 동일한 조건으로 공급하여 전복 양식 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
상기 전복 양식 실험 종료 시 각각의 실험구에서 생존한 전복 30마리를 무작위로 샘플링하여 냉동 보관하였다.
*각 전복의 각장, 각폭 및 각고는 디지털 캘리퍼스(Mitutoyo사, Kawasaki사,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영양학적 상태 지수의 측정을 위해 전중량에 대한 가식부 무게의 비를 계산하였다.
실험사료와 전복 가식부의 일반성분은 AOAC(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0)에 따라 분석하고, 조단백질은 켈달법(Auto Kjeldahl System, Buchi B-324/435/412, 스위스)에 따라 분석하고, 조지방은 에테르 추출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조회분은 550℃ 회화로에서 4시간 동안 태운 후 정량하였다.
수분은 105℃ 드라이 오븐에서 24시간 건조시킨 후 측정하였다.
또한, 통계분석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및 던칸의 다중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으로서 SAS version 9.3 program(SAS Institute, Cary, NC, 미국)을 이용하여 상기 각 분석 구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1) 전복의 체중 증가, 생존율 및 일일성장율 분석
사료를 달리하여 16주간 양식한 전복에 대하여, 상기 사료에 따른 전복의 생존율, 체중 증가 및 일일성장률을 분석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초기 제충
(Initial weight)
(g/abalone)
최종 체중
(Final weight)
(g/abalone)
생존율
(Survival)
(%)
체중 증가
(Weight gain)
(g/abalone)
일일성장률
(SGR1)
(%/day)
대조군(Con) 6.0±0.00 12.8±0.04c 92.2±1.47a 6.78±0.038c 0.66±0.002c
OEB25 6.0±0.00 13.1±0.11b 91.1±1.47a 7.05±0.104b 0.69±0.007b
OEB50 6.0±0.00 13.7±0.09a 92.8±2.22a 7.67±0.094a 0.74±0.006a
OEB75 6.0±0.00 13.1±0.03b 91.1±1.47a 7.07±0.035b 0.70±0.003b
OEB100 6.0±0.00 12.4±0.06d 92.2±2.42a 6.44±0.066d 0.65±0.005d
건미역 6.0±0.00 12.1±0.09e 86.1±1.11a 6.11±0.087e 0.61±0.006e
* 각 측정치의 윗첨자가 동일한 문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음(p>0.05)
* 일일성장율(SGR, %/day)은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되었다.
[수학식]
성장속도(SGR)=[(ln(Wf)-ln(Wi)) / 급여 일수]×100
(단, ln(Wf): 전복의 최종 평균 무게의 자연 로그값, ln(Wi): 전복의 최초 평균 무게의 자연 로그값)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생존율은 대조군 및 실험용 배합사료(OEB25, OEB50, OEB75, OEB100)를 공급받은 전복 모두 91% 이상으로 나타나서 배합사료 내 미역을 양파착즙박으로 대체함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건미역 사료만을 공급한 실험구(86.1%)보다 유의적으로 높지는 않으나 차이를 보였다(p>0.05).
그러나 실험용 배합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의 체중 증가와 일일성장률은 대조군 사료를 공급받은 전복과 비교할 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모든 배합사료(대조군, OEB25, OEB50, OEB75, OEB100)를 공급받은 전복의 성장과 일일성장율이 건미역 사료만을 사료로 공급한 전복의 경우보다 매우 유의적으로 우수한 성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p<0.05). 특히, OEB50 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의 성장과 일일성장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2) 전복의 각장, 각폭, 각고의 성장 및 가식부 무게 분석
사료를 달리하여 16주간 양식한 전복에 대하여, 사료에 따른 전복의 각장(Shell length), 각폭(Shell width), 각고(Shell height), 가식부 무게(Soft body weight) 및 가식부 무게/전체 무게(Soft body weight/total weight)를 분석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각장
(mm)
각폭
(mm)
각고
(mm)
가식부 무게
(g)
가식부 무게
/전체 무게
대조군
(Con)
51.1±0.42b 34.5±0.29c 12.3±0.10b 8.2±0.10 b 0.64±0.005a
OEB25 52.1±0.22b 35.1±0.11b 12.4±0.03b 8.4±0.09 b 0.64±0.002a
OEB50 53.8±0.99a 36.5±0.04a 13.0±0.08a 8.7±0.11 a 0.63±0.003a
OEB75 51.3±0.26b 35.2±0.11b 12.2±0.05b 8.3±0.04 b 0.63±0.003a
OEB100 49.1±0.09c 33.2±0.07c 11.5±0.01c 7.8±0.03 c 0.64±0.000a
건미역 48.4±0.25c 32.8±0.17c 11.3±0.06c 7.7±0.13 c 0.63±0.007a
* 각 측정치의 윗첨자가 동일한 문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음(p>0.05)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각장, 각폭, 각고, 가식부 무게 및 전체 무게에 대한 가식부 무게의 비율에 있어서는, OEB50 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이 다른 모든 사료와 비교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전체 무게에 대한 가식부의 비율을 제외한 다른 측정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건미역 사료만을 공급받은 경우보다 모두 유의적으로 우수한 성장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대조군을 포함한 OEB25, OEB50 및 OEB75의 배합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은 각장, 각폭 및 각고 모두에서 자연산 먹이인 건미역을 공급받은 전복보다 유의적으로 모두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배합사료 내 미역을 양파착즙박으로 25%(OEB25), 50%(OEB50) 및 75%(OEB75) 대체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었다.
이에 따라, 대조군 사료에서 미역을 양파착즙박으로 대체하여도 본 발명에 따른 배합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이 우수하게 성장한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전복의 성장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전복 가식부의 성분 분석
사료를 달리하여 16주간 양식한 전복에 대하여, 상기 사료에 따른 전복 가식부의 성분을 분석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분
(Moisture)
조단백질
(Crude protein)
조지질
(Crude lipid)
회분
(Ash)
대조군(Con) 75.2 ±0.01a 19.2±0.06a 1.3±0.06a 2.1±0.01a
CPB25 75.3±0.08a 19.5±0.19a 1.2±0.04a 2.1±0.03a
CPB50 75.2±0.06a 19.7±0.18a 1.2±0.03a 2.1±0.03a
CPB75 75.2±0.23a 19.4±0.15a 1.2±0.04a 2.1±0.03a
CPB100 75.4±0.14a 19.5±0.07a 1.3±0.03a 2.1±0.04a
건미역 75.5±0.06a 19.5±0.07a 1.2±0.05a 2.1±0.04a
* 각 측정치의 윗첨자가 동일한 문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음(p>0.05)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전복용 배합사료 내 미역을 양파착즙박으로 대체함에 따라 수분, 조단백질, 조지질 및 회분의 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배합사료의 수중 안정성 평가
해수 내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사료 내 건물(dry matter) 함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사료의 수중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관련하여 도 1은 해수 내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사료 내 건물(dry matter)의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12시간 경과 후에는 OEB25 사료 내 건물의 함량이 다른 사료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고, 24시간 및 48시간 경과 후에는 OEB100 사료 내 건물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역을 양파착즙박으로 대체한 본 발명에 따른 배합사료, 특히 OEB100 사료는 시간이 경과하여도 건물의 함량이 다른 사료들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사료 내 성분들간의 결착력이 매우 좋아 수중 안정성이 우수하고, 이로 인하여 수질오염을 줄여 양식장 환경오염의 저감을 통한 환경친화적 양식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복의 섭취율이 좋아 전복의 성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에 미역 사료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건물의 함량이 다른 사료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미역의 결착력이 저하되어 사료의 수중 안정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전복의 사료 섭취량이 저하되며, 허실 사료량의 증가로 사육수질의 악화를 초래하여 성장이 저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조성의 사료에 대한 전복의 성장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사료에 따른 전복의 생존율, 체중 증가 및 일일성장률을 살펴본 결과, OEB25, OEB50 및 OEB75 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에서 대조군 사료와 건미역을 공급받은 전복보다 성장이 우수하였다. 또한 OEB25 사료의 12시간에서의 수중 안정성과 OEB100사료의 24시간과 48시간에서의 수중 안정성이 다른 모든 사료에 비하여 높았다.
그리고 사료에 따른 전복의 각장, 각폭, 각고의 성장 및 가식부의 무게를 분석한 결과, 각장, 각폭과 각고의 성장이 전반적으로 대조군을 포함한 배합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은 자연산 먹이인 건미역을 공급받은 전복보다 모두 유의적으로 우수한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전복의 성장율을 잘 반영하였다. 또한, 사료에 따른 전복 가식부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실험용 배합사료를 공급받은 전복은 가식부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질 및 회분의 함량 모두에서 미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기존의 전복용 배합사료 내에 포함되었던 해조류 성분을 본 발명에 따라 양파착즙박으로 전량 대체하여도 전복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우수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전복의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어분, 양파착즙박, 및 미역분말을 포함하되,
    상기 어분과 양파착즙박은 1 : 0.2 - 0.8의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양파착즙박과 미역분말의 혼합 함량은 어분보다 적으며,
    상기 양파착즙박과 미역분말은 1 : 0.3 - 3.0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상기 양파착즙박과 미역분말의 중량비에 따른 전복 가식부 성분의 유의확률 p-값(p-value)이 0.05를 초과하며,
    상기 전복 가식부 성분은 조단백질, 조지질, 및 회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건중량 기준으로, 배합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양파착즙박 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건중량 기준으로, 배합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양파착즙박 5 내지 30 중량부, 단백질원 4 내지 35 중량부, 탄수화물원 15 내지 30 중량부 및 지질원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분은 단백질원이며,
    상기 미역분말은 탄수화물원, 단백질원, 및 지질원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원은 육분, 면실박, 갑각류 분말, 카제인 및 대두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탄수화물원은 소맥분, 덱스트린, α-감자전분, α+β 감자전분, 수크로오즈 및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지질원은 대두유, 어유, 우지 및 오징어간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 미네랄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6. 삭제
KR1020180108616A 2018-09-12 2018-09-12 양파착즙박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102078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616A KR102078924B1 (ko) 2018-09-12 2018-09-12 양파착즙박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616A KR102078924B1 (ko) 2018-09-12 2018-09-12 양파착즙박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924B1 true KR102078924B1 (ko) 2020-02-19

Family

ID=69669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616A KR102078924B1 (ko) 2018-09-12 2018-09-12 양파착즙박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9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558A (ko) * 1998-03-21 1999-10-15 배평암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KR20110053212A (ko) * 2011-04-01 2011-05-19 정진욱 마늘양파껍질가공방법과 이의 첨가사료
KR101568466B1 (ko) 2013-06-05 2015-11-11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민물뱀장어 친어 양식용 사료
KR20160046335A (ko) 2014-10-20 2016-04-29 (주) 진산인포시스 전복 사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34939A (ko) * 2015-05-13 2016-11-24 농업회사법인 녹색곤충 주식회사 곤충을 이용한 양어용 사료 첨가제
KR20180072291A (ko) * 2016-12-21 2018-06-2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558A (ko) * 1998-03-21 1999-10-15 배평암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KR20110053212A (ko) * 2011-04-01 2011-05-19 정진욱 마늘양파껍질가공방법과 이의 첨가사료
KR101568466B1 (ko) 2013-06-05 2015-11-11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민물뱀장어 친어 양식용 사료
KR20160046335A (ko) 2014-10-20 2016-04-29 (주) 진산인포시스 전복 사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34939A (ko) * 2015-05-13 2016-11-24 농업회사법인 녹색곤충 주식회사 곤충을 이용한 양어용 사료 첨가제
KR20180072291A (ko) * 2016-12-21 2018-06-2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rnandez et al. Nutrition of the sea urchin Paracentrotus lividus (Echinodermata: Echinoidea) fed different artificial food
Haliloglu et al. Comparison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some tissues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living in seawater and freshwater
Carefoot Feeding, food preference, and the uptake of food energy by the supralittoral isopod Ligia pallasii
Mugrditchian et al. Linseed oil and animal fat as alternative lipid sources in dry diets for chinook salmon (Oncorhynchus tshawytscha)
KR101453762B1 (ko) 매니옥 전분을 함유하는 넙치용 고단백 ep 사료 조성물
KR100282253B1 (ko)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Santos et al. Can artificial diets be a feasible alternative for the gonadal growth and maturation of the sea urchin Paracentrotus lividus (Lamarck, 1816)?
Emeka et al. Comparative study of growth performance, food utilization and survival of the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Burchell, 1822) fingerlings fed live maggot (Musca domestica) and coppens commercial feed
KR100480527B1 (ko) 털게 축양용 사료 조성물
KR102078924B1 (ko) 양파착즙박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20200004562A (ko) 감귤껍질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100498808B1 (ko) 민어 양식용 배합 사료
KR101765796B1 (ko)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102089159B1 (ko) 당근잎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20170027650A (ko) 동절기용 넙치 사료 조성물
KR100595967B1 (ko) 조피볼락(우럭) 양식용 사료 조성물
Orire et al. Effects of Crude Protein Levels and Binders on Feed Buoyancy.
KR101877925B1 (ko)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Bassey et al. Effects of different inclusion levels of moringa oleifera leaf meal (MLM) on the fecundity and gonadosomatic index (GSI) of the African Catfish Heterobranchus longifilis
KR20160053190A (ko)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101877926B1 (ko)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Abdelhamid et al.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etaine and/or stocking density on performance of Nile tilapia
KR101188245B1 (ko) 생존율과 증체율이 개선된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aade et al. The Effect of Corn Starch Substitution with Sargassum sp. Starch in Diet on Grow-Out of Cultivated Rabbitfish,(Siganus guttatus) in Floating Net Cages
Cárcamo Effect of diet on gonadal and somatic production of the sea urchin Loxechinus albus under sea-based cultivation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