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5558A -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5558A
KR19990075558A KR1019980009815A KR19980009815A KR19990075558A KR 19990075558 A KR19990075558 A KR 19990075558A KR 1019980009815 A KR1019980009815 A KR 1019980009815A KR 19980009815 A KR19980009815 A KR 19980009815A KR 19990075558 A KR19990075558 A KR 19990075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alone
vitamin
mixture
meal
fe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2253B1 (ko
Inventor
박승렬
김재우
명정인
전임기
이해영
임영수
김광수
이상민
Original Assignee
배평암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평암,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진흥원) filed Critical 배평암
Priority to KR1019980009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253B1/ko
Publication of KR19990075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253B1/ko

Links

Landscapes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 성장율이 우수하고 경제성이 뛰어난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어분, 육분, 대두박, 면실박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원(30-50%), 소맥분, 덱스트린, α-감자 전분, α+β-감자 전분, 수크로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원(20-35%), 0.5% 이상의 n-3계 고불포화지방산(highly unsaturated fatty acid)을 포함하는 지질원(0.5-10%), 점착제(3-10%) 및 첨가제를 포함하며, 자연 사료보다 전복의 성장을 증대시키고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며 특히 기존의 배합 사료보다 경제성이 탁월하게 향상되어, 양식원가 절감을 통한 양식경영의 안정 및 어업인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본 발명은 전복 성장율이 우수하고 경제성이 뛰어난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어분, 육분, 대두박, 면실박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원(30-50%), 소맥분, 덱스트린, α-감자 전분, α+β-감자 전분, 수크로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원(20-35%), 0.5% 이상의 n-3계 HUFA를 포함하는 지질원(0.5-10%), 점착제(3-10%)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전복 양식용 배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복류는 세계적으로 100 여종 이상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말전복(Haliotis giganta), 둥근전복(H. discus), 시볼트 전복(H. sieboldii), 오분자기(H. diversicolor superfexta)와 참전복(H. discus hannai) 등이 서식하고 있다. 서식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볼 때 참전복이 우리나라에 가장 적합한 양식 대상종으로 생각되며,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의 노력에 의해 현재는 전복 종묘 생산 기술이 확립되어 있다. 이러한 전복은 옛날부터 매우 고급의 수산 식품으로 자리를 잡아 왔고, 앞으로도 값비싼 식품으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복은 주로 인공 종묘로 생산하여 종묘를 암초 지대에 방류하여 상품 크기의 것을 다시 수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부분적으로 채롱 수하식으로 양식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전복 양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전복을 육상 수조에서 양성하는 곳이 현저히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양식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은 대상종에 적합한 서식 환경, 질병과 성장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먹이 공급이다. 이러한 외부 요인들 중 환경이나 질병은 자연 의존적인 인자인 반면에 사료는 양어가들이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특히 사료는 양식 경영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값싸고 질좋은 사료의 안정적 확보가 양식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전복류의 초기 먹이에 대해서는 로리아와 스즈끼(loriya and Suzuke, 1987), 노만 등(Norman-Boudrean et al., 1986), 오가이 등(Ohgai et al., 1991), 한(1994)과 김(1992)이 연구한 바 있다. 전복 종묘 생산은 부착기 이후부터 부착규조가 붙은 파판에 부착시켜 규조를 주 먹이로 사육하여 각장 1 cm 가까이 키운 후에는 파판에서 박리하여 3 cm 가량 중간 육성하여 바다에 방류하고 있다. 전복 종묘를 바다에 방류하면 생존율이 50% 이하로 낮지만 육상수조 등에서 중간 육성할 경우에는 생존율이 훨씬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전복의 육성용 먹이로는 주로 생 미역, 생 파래, 생 다시마와 같은 천연 먹이를 사용하다가 여름에는 건조 미역이나 건조 다시마를 주 먹이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천연 먹이는 공급이 불안정할 뿐 아니라 가격의 변동이 심하고, 성장 효과 역시 배합 사료로 사육하는 것보다 낮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Viana et al., 1993), 대상 종에 적합한 배합 사료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참전복 육성용 사료에 대한 연구로는 노와 유(1984)가 육상식물에 대한 이용성을 조사한 바 있고, 영양 요구 및 배합 사료 효과에 관해서도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Harada and Akishima, 1985 ; Ogino and Kato, 1964 ; Ogino and Ohta, 1963 ; Uki et al., 1985a,b,c ; Uki et al., 1986a, b ; 정 등, 1994).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적정한 배합 사료가 개발되지 않아 효율적인 양식이 불가능한 실정이며, 외국에서 수입되고 있는 사료는 가격이 kg 당 10,000원 전후로 경제적인 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복의 필수 영양소 요구량, 값싼 사료 단백질 원료의 이용성을 기초로 전복 성장율과 사료효율이 우수하고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며, 값싼 실용 배합 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계속하던 중, 어분, 육분, 대두박, 면실박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원(30-50%), 소맥분, 덱스트린, α-감자 전분, α+β-감자 전분, 수크로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원(20-35%), 0.5% 이상의 n-3계 HUFA를 포함하는 지질원(0.5-10%), 점착제(3-10%)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저비용의 전복 양식용 배합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전복을 양식한 결과, 전복의 생존율과 증체율이 우수한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전복 성장율이 우수하고 경제성이 뛰어난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분, 육분, 대두박, 면실박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원(30-50%), 소맥분, 덱스트린, α-감자 전분, α+β-감자 전분, 수크로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원(20-35%), 0.5% 이상의 n-3계 고불포화지방산(highly unsaturated fatty acid, 이하 'HUFA'로 약칭함)를 포함하는 지질원(0.5-10%이하) 및 점착제(3-10%)를 포함하는 전복 양식용 배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더하여 첨가제로 해조류, 비타민 혼합물, 미네랄 혼합물, 레시틴, α-셀루로즈, 효모 또는 효소 혼합물 등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배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30-50% 의 단백질원, 20-35% 의 탄수화물원, 0.5-10% 의 지질원 및 점착제와 각종 첨가제를 포함하는 전복 양식용 배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합 사료에 사용되는 단백질원은 어분, 육분, 대두박, 면실박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전복 양식을 위한 배합 사료의 단백질원으로 카제인이 사용되고 있으나 카제인은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경제적인 배합 사료원으로는 부적합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를 대체할 수 있고 단백질 품질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경제적인 단백질원을 선택하였다.
본 발명의 배합 사료에 사용되는 탄수화물원으로는 소맥분, 덱스트린, α-감자 전분, α+β-감자 전분, 수크로즈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배합 사료에 사용되는 지질원은 0.5% 이상의 n-3계 HUFA를 포함하고 그외 다양한 지방산과 오징어 간유, 옥수수유, 우지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지질원을 포함한다. 전복의 배합 사료에는 한 종류의 지방산보다는 0.5% 이상의 n-3계 HUFA를 포함하는 조건에서 다양한 지방산과 다양한 지질원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합 사료에 사용되는 점착제로는 알긴산 나트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더하여 해조류, 비타민 혼합물, 미네랄 혼합물, 레시틴, α-셀루로즈, 효모 또는 효소 혼합물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배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실용적인 배합 사료가 개발되었다 하더라도 실용적인 배합 사료의 첨가물과 조성비를 개선하여 성장효과를 더 높이는 한편, 필수 영양소의 과다 첨가를 최소화하여 사료원가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배합 사료에 첨가되는 비타민과 미네랄의 적정 첨가수준을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비타민들은 각각 어종마다 요구하는 양이 다를 뿐아니라 어류의 성장 상태나 서식 환경에 따라서도 어체에 대한 활성이 변화되며, 사료에 각종 비타민이 부족하면 성장이 저하되고 질병에 대한 내성이 약해지는 등 여러 가지 결핍 증상이 나타난다.
반면, 사료에 첨가되는 각종 비타민들은 가격이 비싸고 저장시나 사료 제조시에 안정성이 낮은 종류가 있기 때문에 사료 배합시 각각의 첨가량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비타민 혼합물은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티아민, 리보플라빈, 피리독신, 나이아신(niacin), 칼슘-D-판토테네이트(Ca-D-pantothenate), 미오-이노시톨, D-바이오틴, 엽산(folic acid), p-아미노 벤조산(p-amino benzoic acid), 비타민 K3, 비타민 A, 비타민 D3, 염화 콜린, 사이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네랄 혼합물은 NaCl, MgSO4·7H20, NaH2PO4·2H20, KH2PO4, CaH4(PO4)2·H20, 페릭 사이트레이트(ferric citrate), ZnSO4·7H20, 칼슘-락테이트(Calcium lactate), CuCl, AlCl3·6H20, KIO3, Na2Se2O3, MnSO4·H20, CoCl2·6H2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합 사료는 사료 배합비 대로 각 원료를 잘 혼합한 후 두께 0.15 cm, 가로 세로 1 × 1 cm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육면체가 되도록 절단하여 진공 건조시킨 후 냉동고에 보관하여 두었다가 사료 급여시마다 전복 양식용 육상수조 등에 2일에 1회 2-5 g 정도로 투여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배합 사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난 배합 사료에 함량을 달리한 비타민 혼합물 및 미네랄 혼합물을 첨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난 총 9종의 실험 배합사료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타민 혼합물은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티아민, 리보플라빈, 피리독신, 나이아신(niacin), 칼슘-D-판토테네이트(Ca-D-pantothenate), 미오-이노시톨, D-바이오틴, 엽산(folic acid), p-아미노 벤조산(p-amino benzoic acid), 비타민 K3, 비타민 A, 비타민 D3, 염화 콜린, 사이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 을 포함하는 것이고, 미네랄 혼합물은 NaCl, MgSO4·7H20, NaH2PO4·2H20, KH2PO4, CaH4(PO4)2·H20, 페릭 사이트레이트(ferric citrate), ZnSO4·7H20, 칼슘-락테이트(Calcium lactate), CuCl, AlCl3·6H20, KIO3, Na2Se2O3, MnSO4·H20, CoCl2·6H20를 포함한다.
실험 사료의 성분은 AOAC 방법(1990)에 따라 분석하였는데, 조단백질(N×6.25)은 자동 분석기(Vapodest 5/6, Gerhard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조지방은 에테르를 사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조섬유는 자동 분석기(Fibertec, Tecator)를 이용하였고, 조회분은 550 ℃의 회화로에서 4시간동안 태운 후 정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배합 사료의 제조
실험 사료 성형은 실험 사료 배합비 대로 각 원료를 잘 혼합한 후 두께 0.15 cm, 가로 세로 1 × 1 cm 크기의 육면체가 되도록 절단하여 진공 건조시킨 후 -25 ℃ 의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사료 급여시마다 사용하였다.
〈실시예 3〉실험어의 사육 및 관리
실험 치패는 평균 체중 100 mg 의 참전복을 선별하여 27개의 20ℓ들이 실험 수조에 70마리씩 임의 배치하여 각 사료당 4개월 동안 세 번 반복 사육 실험을 하였다. 사료는 2일 1회 각 실험수조마다 2∼4 g씩 급여하였고, 먹고 남은 잔량은 다음 사료 급여 전에 수거하였다. 주수량은 3ℓ/분으로 조절하였으며, 사육기간 중의 수온은 12∼17℃(평균±표준편차 = 13.4±1.17℃), 비중은 1.026∼1.028 (평균±표준편차 = 1.027±0.0005)였다.
〈실시예 4〉실험어의 생존율, 증체율, 성장 정도의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표 1에 나타난 실용적인 배합비에 비타민 혼합물(0∼2%)과 미네랄 혼합물(0∼6%)의 함량을 각각 달리하여 100㎎ 전후의 참전복 치패를 4개월간 사육 실험한 결과를 하기 표 4, 표 5 및 표 6 에 나타내었다.
분석용 어체는 실험 시작시 100마리, 실험 종료시에는 각 수조에 수용된 실험치패 전체를 샘플로 취하여 냉동 보관(-75℃)하다가 각각 무게, 각장, 각폭 등을 측정한 후, 가식부를 분리하여 성분 분석하였다.
어체의 일반성분은 AOAC 방법(1990)에 따라 분석하였는데, 조단백질(N×6.25)은 자동 분석기(Vapodest 5/6, Gerhard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조지방은 에테르를 사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수분은 105 ℃의 마른 솥에서 4시간 동안 건조 후 측정하였다. 또한, 조섬유는 자동 분석기(Fibertec, Tecator)를 이용하였고, 조회분은 550 ℃의 회화로에서 4시간동안 태운 후 정량하였다.
측정 결과는 윈도우 프로그램용 SPSS (SPSS for Window program; SPSS Inc., 1993) 으로 아노바-테스트(ANOVA-test)를 실시하여 던칸 방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 Duncan, 1955)으로 처리 평균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존율은 비타민 혼합물이 1% 및 2% 첨가 실험군(사료번호 4와 6)과 미네랄 혼합물이 0% 및 2% 첨가 실험군(사료번호 8)이 89%로 비타민 혼합물 1.5% 첨가군(사료번호 5)과 0.5% 첨가군(사료번호 3)의 78∼81% 보다 높았다(P>0.05), 하지만 생존율의 변화는 사료의 비타민 또는 미네랄 혼합물의 첨가 수준에 따른 특별한 경향은 없었다.
또한 최종 평균체중, 증체율, 가식부(edible portion) 중량, 체중에 대한 가식부 중량비, 각장, 각폭 및 각장에 대한 체중비의 값들은 사료의 비타민 및 미네랄 함량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P>0.05).
상기 표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가식부의 일반 성분중에서 최종 가식부의 수분은 75.2∼77.9% 로 실험 시작시의 81.4% 보다 감소하였으며, 미네랄 혼합물 6% 첨가구가 75.2% 로 가장 낮았다(P<0.05). 단백질 함량은 실험 시작시보다 실험 종료시에 대체로 높아졌으며, 미네랄 혼합물 6% 첨가군이 15.8% 로 가장 높았다(P<0.05). 실험 시작시 0.97% 였던 지질 함량은 종료시 1.31∼1.65% 범위로 모든 실험군에서 증가되었으며, 미네랄 혼합물 6% 첨가군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P<0.05). 회분함량은 실험 전후 2.8∼3.1% 범위로 서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실험 종료시에는 비타민 혼합물 무첨가 실험군이 가장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실험의 배합비에서는 비타민 혼합물과 미네랄 혼합물의 첨가량을 소량으로 조절하여도 전복의 성장률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어 전복용 배합사료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합 사료는 사료의 단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고가의 비타민 혼합물과 미네랄 혼합물이 소량만 보충되어도 전복의 성장 효과가 우수하여 전복용 배합 사료 단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합 사료는 자연 사료보다 전복의 성장을 증대시키고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고 특히 기존의 배합 사료보다 경제성이 탁월하게 향상된 이점이 있어, 양식원가 절감을 통한 양식경영의 안정 및 어업인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6)

  1. 어분, 육분, 대두박, 면실박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원(30-50%), 소맥분, 덱스트린, α-감자 전분, α+β-감자 전분, 수크로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원(20-35%), 0.5% 이상의 n-3계 HUFA를 포함하는 지질원(0.5-10%) 및 점착제(3-10%)를 포함하는 전복 양식용 배합 사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에 더하여 해조류, 레시틴, α-셀루로즈, 효모 또는 효소 혼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배합 사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에 더하여 비타민 혼합물, 미네랄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배합 사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백색 어분 15 - 23%, 대두박 20 - 25%, 미역분말 3 - 6%, 소맥분 20 - 25%, 스피룰리나 0.0 - 0.5%, 소맥아박 3 - 6%, α-감자 전분 3 - 7%, 맥주효모 1 - 2%, 오징어 간유 2 - 4%, 레시틴 0.0 - 0.5%, 알긴산 나트륨 4 - 7%, α-셀루로오즈 0.0 - 6.5%, 비타민 혼합물 0.0 - 2.5%, 미네랄 혼합물 0.0 - 4.0%, 효소 혼합물 0.0 - 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배합 사료 조성물.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비타민 혼합물은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티아민, 리보플라빈, 피리독신, 나이아신(niacin), 칼슘-D-판토테네이트(Ca-D-pantothenate), 미오-이노시톨, D-바이오틴, 엽산(folic acid), p-아미노 벤조산(p-amino benzoic acid), 비타민 K3, 비타민 A, 비타민 D3, 염화 콜린, 사이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배합 사료 조성물.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미네랄 혼합물은 NaCl, MgSO4·7H20, NaH2PO4·2H20, KH2PO4, CaH4(PO4)2·H20, 페릭 사이트레이트(ferric citrate), ZnSO4·7H20, 칼슘-락테이트(Calcium lactate), CuCl, AlCl3·6H20, KIO3, Na2Se2O3, MnSO4·H20, CoCl2·6H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양식용 배합 사료 조성물.
KR1019980009815A 1998-03-21 1998-03-21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KR100282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815A KR100282253B1 (ko) 1998-03-21 1998-03-21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815A KR100282253B1 (ko) 1998-03-21 1998-03-21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558A true KR19990075558A (ko) 1999-10-15
KR100282253B1 KR100282253B1 (ko) 2001-02-15

Family

ID=65909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815A KR100282253B1 (ko) 1998-03-21 1998-03-21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25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758B1 (ko) * 2000-12-07 2003-11-15 손형우 전복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60642B1 (ko) * 2005-02-02 2006-12-26 대한민국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KR100861943B1 (ko) * 2007-04-30 2008-10-0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공역 리놀레인산을 어류 지질 성분으로 전환시키면서 어류의 성장율을 동시에 개선시키기 위한 어류용 사료 및 그 용도
KR20160103638A (ko) 2015-02-25 2016-09-02 양정자 홍색 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
KR101877926B1 (ko) * 2016-12-21 2018-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101877925B1 (ko) * 2016-12-21 2018-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102078924B1 (ko) * 2018-09-12 2020-02-1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양파착즙박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431A (ko) * 2000-02-14 2000-05-06 이남재 연성 고형 입자사료의 제조방법
KR20020028608A (ko) * 2000-10-11 2002-04-17 김보현 전복 패각 색택 개선을 위한 기능성 배합사료 조성물
KR101090508B1 (ko) 2008-11-06 2011-12-07 김상철 해양 생물 종묘용 먹이 생물 배양을 위한 배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해양 생물의 속성 재배 기술
KR101479661B1 (ko) * 2011-07-15 2015-01-13 대한민국 해삼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4605B1 (ko) 2011-12-23 2013-11-29 한국식품연구원 식품의 일반 대사에너지 측정을 위한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식품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일반 대사에너지의 측정방법
CN103583419A (zh) * 2013-10-08 2014-02-19 威海长青海洋科技股份有限公司 鲍苗转口期饲饵方法
KR101746273B1 (ko) 2015-02-25 2017-06-12 양정자 홍조색소(β-carotene)를 포함하는 전복 종묘용 사료조성물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604A (ko) * 1993-07-26 1995-02-16 데이비드 후란시스 워커, 에드가 존 영, 파멜라 카예 히쿠로아 인공적인 전복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758B1 (ko) * 2000-12-07 2003-11-15 손형우 전복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60642B1 (ko) * 2005-02-02 2006-12-26 대한민국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KR100861943B1 (ko) * 2007-04-30 2008-10-0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공역 리놀레인산을 어류 지질 성분으로 전환시키면서 어류의 성장율을 동시에 개선시키기 위한 어류용 사료 및 그 용도
KR20160103638A (ko) 2015-02-25 2016-09-02 양정자 홍색 패각을 갖는 전복종묘 양식방법
KR101877926B1 (ko) * 2016-12-21 2018-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101877925B1 (ko) * 2016-12-21 2018-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102078924B1 (ko) * 2018-09-12 2020-02-1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양파착즙박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2253B1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253B1 (ko) 전복 양식용 배합사료 조성물
Carefoot Feeding, food preference, and the uptake of food energy by the supralittoral isopod Ligia pallasii
Hung et al. Effects of feeding rates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nutrient metabolism in striped bass (Morone saxatilis) fingerlings
Shearer Dietary potassium requirement of juvenile chinook salmon
Arai Eel, Anguilla spp.
Zupo et al. Roe enhancement of Paracentrotus lividus: Nutritional effects of fresh and formulated diets
Santiago et al. Response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fry to diets containing Azolla meal
KR100480527B1 (ko) 털게 축양용 사료 조성물
KR100498808B1 (ko) 민어 양식용 배합 사료
CN1232183C (zh) 石斑鱼亲鱼营养强化饲料及其制备方法
Ali et al. Impact of formulated diets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ornamental fish Pterophyllum scalare (Angel fish).
CN109549026A (zh) 一种水产新品种杂交鲌“先锋1号”的专用饲料
Olivotto et al. Larval diets and nutrition
CN106135752B (zh) 一种诸氏鲻虾虎鱼生长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佐藤秀一 et al. Mineral nutrition in fish. XXIII. Availability to carp of manganese contained in various types of fish meals.
JPH11127795A (ja) 養魚用餌料
CN113854441A (zh) 一种翘嘴鳜专用功能性配合饲料及其应用
KR101877925B1 (ko)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Simanjuntak et al. Bioenrichment of Papaya Leaf Meal (Carica papaya) with Different Feed Formulation to Increase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Growth
KR102078924B1 (ko) 양파착즙박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20200004562A (ko) 감귤껍질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CN109984252A (zh) 一种合理的青蟹配合饲料
Deniel Growth of 0-group turbot (Scophthalmus maximus L. 1758) fed on artificial diets
JP2592503B2 (ja) 養魚用飼料
Lochmann et al. Baitfi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