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877A - 수산 부산물과 천연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배합사료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산 부산물과 천연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배합사료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877A
KR20160121877A KR1020150051651A KR20150051651A KR20160121877A KR 20160121877 A KR20160121877 A KR 20160121877A KR 1020150051651 A KR1020150051651 A KR 1020150051651A KR 20150051651 A KR20150051651 A KR 20150051651A KR 20160121877 A KR20160121877 A KR 20160121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feed
weight
shells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욱
Original Assignee
최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욱 filed Critical 최정욱
Priority to KR1020150051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1877A/ko
Publication of KR20160121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8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수산소재인 참치, 명태, 고등어 등의 수산 부산물과 멍게껍질, 미더덕껍질, 게껍질, 새우껍질, 다시마 뿌리와 참숯, 유황 및 황토를 포함하여 수산 양식장의 배합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적인 기능성 배합사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습식 배합사료로서 어류의 흡수력과 소화력을 증가시키고, 멍게껍질, 미더덕껍질 등에 포함된 고분자성 물질의 식이섬유질과 천연 항생제 역할을 하는 게껍질에 포함된 고분자성 물질의 키토산과 다시마 뿌리에 포함된 천연 조미료인 MSG(mono sodium glutamate)와 요오드 성분 및 각종 무기질의 미네랄 성분을 제공한다. 또한, 참숯은 기공이 많아 수분 흡착력이 높으며, 원적외선 효과와 항균력을 제공한다. 유황은 해독 작용 및 성장촉진 역할을 갖고 있어 사료 효율을 높일 수 있고, 황토는 많은 양의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생체를 보온하고 항균력, 면역력 증강의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산 부산물과 천연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배합사료 제조 방법 {Manufacturing process of functional assorted feed using marine by-product and natural material}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기능성 배합사료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참치, 명태, 고등어 등의 수산 부산물과 멍게껍질, 미더덕껍질, 게껍질, 새우껍질, 다시마 뿌리와 참숯, 유황, 황토를 첨가하여 양식용 기능성 배합사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산업화 및 생활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폐기물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폐기물로 인한 대기, 수질 및 토양의 환경오염은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폐기물 처리, 재활용 기술 및 오염된 대기, 수질, 토양의 정화에 대한 해결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각종 폐기물로 인해 발생되는 인, 질소, 유기물 등은 하천 및 연근해의 수질을 오염시키며, 이들 오염물질은 하천 및 연근해를 부영양화시켜 녹조현상과 적조현상으로 생태계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특히 남해안과 서해안에는 연안 양식업이 성행하고 있으며, 양식한 해양 수산물을 가공하는 업체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가공업체로부터 배출되는 수산 부산물들을 방치하거나 연안 바다로 배출함으로써 남해안과 서해안의 연안 바다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적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참치, 명태, 고등어 등의 수산 부산물인 경우에는 대부분 단미사료 및 어묵 등의 식품에 재활용되고 있으나,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와 폐수로 인하여 많은 민원이 발생하고 있으며, 남해안의 자연환경을 크게 오염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남해안에서 대량으로 양식되는 멍게, 미더덕 및 게 등의 수산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멍게껍질, 미더덕 껍질, 게껍질 등은 일부 유기질 비료의 부재료로 재활용되고 있으나, 염분으로 인한 문제가 심각하여 대부분은 바다에 버리거나 또는 방치하는 방법으로 처리됨으로써 수질과 토지 및 해양 오염으로 이어지는 2차 환경오염이 문제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78904 호에서는 게껍질을 농축계분과 혼합하여 비료로 사용하여 재활용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 내용은 폐기물로 배출되는 게껍질의 배출량에 비해 처리량이 문제일 뿐만 아니라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2차 오염문제와 잔류염분 등의 문제로 재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존의 양식용 배합사료의 재료로는 참치, 명태, 고등어 등의 수산 부산물을 완전히 건조하여 제조한 어분과 어류의 사료로는 적합하지 않는 동물의 부산물, 대두박 등의 식물성 부산물 등을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양식용 배합사료를 사용할 경우 어류의 성장속도 저하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수산부산물로 구성되며, 친환경적이고, 어류의 성장속도를 높이기 위한 습식 상태의 배합사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878904 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참치, 명태, 고등어 등의 수산 부산물을 완전 건조하지 않고, 습식 반죽 상태로 제조하여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최소로 하였으며, 수산 부산물 반죽에 분쇄한 멍게껍질 분말, 미더덕껍질 분말, 게껍질분말, 새우껍질 분말, 다시마 뿌리 분말과 천연소재인 참숯, 유황, 황토 등의 분말을 혼합하여 친환경적인 기능성 습식 배합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멍게껍질, 미더덕껍질 등에 포함된 고분자성 물질의 식이섬유질과 천연 항생제 역할을 하는 게껍질에 포함된 고분자성 물질의 키토산과 다시마 뿌리에 포함된 천연 조미료인 MSG(mono sodium glutamate)와 요오드 성분 및 각종 무기질의 미네랄 성분을 제공한다.
또한 참숯은 기공이 많아 수분 흡착력이 높으며, 원적외선 효과와 항균력을 제공한다. 유황은 해독 작용 및 성장촉진 역할을 갖고 있어 사료 효율을 높일 수 있고, 황토는 많은 양의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생체를 보온하고 항균력, 면역력 증강의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양식용 배합사료와 차별화된 순수한 수산부산물로 구성되는 친환경적인 양식용 기능성 배합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기능성 배합사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수산 부산물을 파쇄하는 단계;
(B) 상기 파쇄된 수산 부산물을 가열하여 자숙하는 단계;
(C) 상기 자숙된 수산 부산물을 함수율 10 내지 40 중량%로 탈수하는 단계;
(D) 상기 탈수된 수산 부산물을 반죽 상태로 분쇄하는 단계;
(E) 상기 분쇄된 수산 부산물에 (a)멍게껍질 분말, 미더덕껍질 분말, 게껍질 분말, 새우껍질 분말 및 다시마 뿌리 분말 (b)참숯 분말, 유황 분말 및 황토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및
(F) 상기 혼합된 수산 부산물을 펠렛 모양의 배합사료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합 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수산 복합재료의 배합사료를 수산 양식장의 사료로 사용함으로써 수산부산물의 잔류 염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때 피낭류껍질인 멍게껍질, 미더덕껍질 등은 고분자 물질의 식이섬유질을 제공하고, 게껍질과 새우껍질은 천연 항생제인 고분자 물질의 키토산을 제공하고, 다시마 뿌리는 천연 조미료인 MSG(mono sodium glutamate)와 요오드 성분 및 각종 무기질의 미네랄 성분 등을 제공한다.
참숯은 기공이 많아 수분 흡착력이 높으며, 원적외선 효과와 항균력을 제공한다. 유황은 해독 작용 및 성장촉진 역할을 갖고 있어 사료 효율을 높일 수 있고, 황토는 많은 양의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생체를 보온하고 항균력, 면역력 증강의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배합사료와는 차별화되는 습식 상태이기 때문에 어류의 섭취와 소화력이 뛰어나 어류의 성장속도가 향상되고, 폐기물인 수산 부산물을 재활용하여 친환경적으로 부가가치가 높고, 공정상 2차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며, 공정이 간단하고 대량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원가가 저렴하여 어민들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합사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산 부산물 및 천연소재를 이용한 배합사료의 제조방법은,
(A) 수산 부산물을 파쇄하는 단계;
(B) 상기 파쇄된 수산 부산물을 가열하여 자숙하는 단계;
(C) 상기 자숙된 수산 부산물을 함수율 10 내지 40 중량%로 탈수하는 단계;
(D) 상기 탈수된 수산 부산물을 반죽 상태로 분쇄하는 단계;
(E) 상기 분쇄된 수산 부산물에 (a)멍게껍질 분말, 미더덕껍질 분말, 게껍질 분말, 새우껍질 분말 및 다시마 뿌리 분말 (b)참숯 분말, 유황 분말 및 황토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및
(F) 상기 혼합된 수산 부산물을 펠렛 모양의 배합사료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합사료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산 부산물은 어류의 부산물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참치, 명태, 고등어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어류의 부산물 일 수 있다.
(A) 수산 부산물은 세척한 후, 날이 톱니식인 파쇄기를 이용하여 자숙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1 내지 10 cm의 크기로 파쇄할 수 있다.
(B) 파쇄된 수산 부산물을 물에 중탕하여 수분을 함유 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에서 1시간 동안 열을 가하여 자숙 할 수 있다.
(C) 자숙된 수산 부산물의 함수율이 10 내지 40 중량%로 탈수 할 수 있다. 상기 범위내의 함수율에서 어류의 사료 섭취가 용이하고, 소화력이 뛰어나 바람직하다.
(D) 탈수한 수산 부산물을 칼날식 분쇄기로 반죽 상태로 분쇄한다.
(E) 반죽 상태로 분쇄한 수산 부산물을 100 내지 600 메쉬의 나노입자 크기로 분말화한 (a) 멍게껍질 분말, 미더덕껍질 분말, 게껍질 분말, 새우껍질 분말 및 다시마뿌리 분말 (b)참숯 분말, 유황 분말 및 황토 분말과 혼합하여, 분말 성분이 고르게 섞일 수 있도록 5 내지 10 시간동안 교반기에서 교반한다.
상기 (a)의 멍게껍질, 미더덕껍질은 고분자 물질의 식이섬유질을 제공하고, 게껍질과 새우껍질은 천연 항생제인 고분자 물질의 키토산을 제공하고, 다시마 뿌리는 천연 조미료인 MSG(mono sodium glutamate)와 요오드 성분 및 각종 무기질의 미네랄 성분 등을 제공한다.
상기 (b)는 천연소재로 참숯은 기공이 많아 수분 흡착력이 높으며, 원적외선 효과와 항균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펠렛 모양의 사료는 참숯의 흡착력으로 인해 공기중에 장시간 방치되어도 사료의 형태를 보존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유황은 해독 작용 및 성장촉진 역할을 갖고 있어 사료 효율을 높일 수 있고, 황토는 많은 양의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생체를 보온하고 항균력, 면역력 증강의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혼합단계에서는 공급하고자 하는 성분의 비율에 따라 그 혼합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반죽 상태의 수산 부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멍게껍질 분말 10 내지 30 중량부, 미더덕껍질 분말 10 내지 30 중량부, 게껍질 분말 1내지 15 중량부, 새우껍질 분말 1 내지 15 중량부, 다시마뿌리 분말 0.5 내지 5 중량부, 참숯 분말 0.5 내지 5 중량부, 유황 분말 0.5 내지 5 중량부, 황토 분말 0.5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할 수 있다.
(F) 상기 혼합물을 일정한 크기의 입자상으로 성형하기 위해 압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펠렛 모양의 습식 배합사료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성형되는 사료의 직경은 어류의 원활한 섭취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mm 일 수 있다.
상기 제조된 배합사료는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멍게껍질, 미더덕껍질, 게껍질 또는 다시마 뿌리는 어류 또는 가축의 단미사료 및 배합사료로 사용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참치, 명태 및 고등어의 수산 부산물을 선별하고 1 내지 10 cm의 크기로 파쇄 한다. 파쇄한 참치, 명태 및 고등어의 수산 부산물을 중탕기를 이용해 열을 가하여, 130℃온도에서 1시간 동안 자숙한다. 자숙한 참치, 명태 및 고등어의 수산 부산물을 함수율 30 중량%로 탈수 한다. 탈수한 참치, 명태 및 고등어의 수산 부산물을 반죽 상태로 분쇄한다.
반죽 상태의 수산 부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멍게껍질 분말 20 중량부, 미더덕껍질 분말 20 중량부, 게껍질 분말 10 중량부, 새우껍질 분말 10 중량부, 다시마뿌리 분말 1 중량부, 참숯 분말 1 중량부, 유황 분말 1 중량부, 황토 분말 1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일정한 크기의 입자상으로 성형하기 위해 압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1 ~ 5mm 입자 크기의 펠렛 모양으로 압출하였다. 제조된 펠렛 모양 습식의 배합사료를 20L의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 포장하였다.
[비교예 1]
참치, 명태 및 고등어의 수산부산물과 멍게껍질, 미더덕껍질, 게껍질, 새우껍질 및 다시마 뿌리를 혼합하고, 참숯, 유황, 황토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사료를 제조하였다.
제조 된 실시예1의 펠렛 모양의 사료는 1달 동안 공기중에 방치하여도 펠렛의 형태가 온전히 유지 되었으나, 비교예 1은 형태가 유지 되지 않고 붕괴가 발생하였다. 이는 참숯의 수분 흡착력으로 인하여 펠렛의 형태가 유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A) 수산 부산물을 파쇄하는 단계;
    (B) 상기 파쇄된 수산 부산물을 가열하여 자숙하는 단계;
    (C) 상기 자숙된 수산 부산물을 함수율 10 내지 40 중량%로 탈수하는 단계;
    (D) 상기 탈수된 수산 부산물을 반죽 상태로 분쇄하는 단계;
    (E) 상기 분쇄된 수산 부산물에 (a)멍게껍질 분말, 미더덕껍질 분말, 게껍질 분말, 새우껍질 분말 및 다시마 뿌리 분말 (b)참숯 분말, 유황 분말 및 황토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및
    (F) 상기 혼합된 수산 부산물을 펠렛 모양의 배합사료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합사료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수산 부산물을 100 내지 150℃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자숙하는 배합사료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수산 부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멍게껍질 분말 10 내지 30 중량부, 미더덕껍질 분말 10 내지 30 중량부, 게껍질 분말 1 내지 15 중량부, 새우껍질 분말 1 내지 15 중량부, 참숯 분말 0.5 내지 5 중량부, 유황 분말 0.5 내지 5 중량부, 황토 분말 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배합사료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성형되는 사료의 직경은 1 내지 5mm인 배합사료의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어류 또는 가축의 사료용 배합사료.

KR1020150051651A 2015-04-13 2015-04-13 수산 부산물과 천연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배합사료 제조 방법 KR201601218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51A KR20160121877A (ko) 2015-04-13 2015-04-13 수산 부산물과 천연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배합사료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51A KR20160121877A (ko) 2015-04-13 2015-04-13 수산 부산물과 천연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배합사료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877A true KR20160121877A (ko) 2016-10-21

Family

ID=5725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651A KR20160121877A (ko) 2015-04-13 2015-04-13 수산 부산물과 천연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배합사료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18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925B1 (ko) * 2016-12-21 2018-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101877926B1 (ko) * 2016-12-21 2018-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20190135948A (ko) * 2019-09-11 2019-12-09 이상술 불가사리 가공물과 가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904B1 (ko) 2007-06-29 2009-01-15 이충렬 농축계분과 음식물 찌꺼기 및 해양 부산물을 이용한융합입상 유기질 비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904B1 (ko) 2007-06-29 2009-01-15 이충렬 농축계분과 음식물 찌꺼기 및 해양 부산물을 이용한융합입상 유기질 비료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925B1 (ko) * 2016-12-21 2018-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101877926B1 (ko) * 2016-12-21 2018-07-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KR20190135948A (ko) * 2019-09-11 2019-12-09 이상술 불가사리 가공물과 가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enugopal et al. Seafood industry effluents: Environmental hazards, treatment and resource recovery
KR100934127B1 (ko) 굴 패각을 이용한 비료 및 그 제조방법
GB2605324A (en) Hermetia illucens (L.) breeding method and preparation method for hermetia illucens (L.) pupa shell composite material
KR20160121877A (ko) 수산 부산물과 천연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배합사료 제조 방법
KR20170085353A (ko) 꼬막 패각 소성 분말을 이용한 천연 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akra et al. Circular bioeconomy for stress-resilient fisheries and aquaculture
JP7012738B2 (ja) 車前子皮を用いた有機緩効性肥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96334B1 (ko) 추어용 복합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004800A (ja) 飼料添加剤及びその製法
KR101795671B1 (ko)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의 제조방법
CN105028956A (zh) 一种黄颡鱼饲料的配置方法
CN103875978A (zh) 一种耐水性水产养殖饲料的制备方法
Murphy et al. Characterization and utilization of waste streams from mollusc aquaculture and fishing industries
CN103005181A (zh) 一种青鱼饲料的配方及生产工艺
CN116391795A (zh) 一种肉骨粉的制备方法
KR20110067477A (ko) 친환경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조용 중합체 조성물
CN107647201A (zh) 一种有机复合营养鱼饲料及其生产方法
CN105124249A (zh) 一种可自降解的水产混养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575805B1 (ko) 수중 광반응 생물인 미세조류를 함유하는 압착 성형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CN111772037A (zh) 一种漂浮软颗粒饲料及其加工方法、应用
JP2009232709A (ja) フグ類用配合飼料
WO2012170519A2 (en) Process for producing fertilizer from animal manure
JP2008000738A (ja) 海岸漂着海藻の再資源化利用技術及びビジネス・システム。
CN104585533A (zh) 一种军曹鱼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im et al. Zero-emission management of organic fisheries’ waste and its favorable impact on the envie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