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671B1 -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671B1
KR101795671B1 KR1020160158653A KR20160158653A KR101795671B1 KR 101795671 B1 KR101795671 B1 KR 101795671B1 KR 1020160158653 A KR1020160158653 A KR 1020160158653A KR 20160158653 A KR20160158653 A KR 20160158653A KR 101795671 B1 KR101795671 B1 KR 101795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ixture
parts
food wastes
com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농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농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농산
Priority to KR1020160158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4Biological compos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3/00Calcareous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5/00Fertilisers containing magnesium
    • C05F17/0027
    • C05F17/009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80Separation, elimination or disposal of harmful substances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C05G3/0058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10Solid or semi-solid fertilisers, e.g. powders
    • C05G5/12Granules or fl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 Y02W30/4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음식물 폐기물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혼합된 음식물 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단계와 상기 선별단계가 완료된 음식물 폐기물을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음식물 폐기물에 퇴비 성분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만들어진 혼합물을 균일한 입경의 알갱이 형태로 성형하는 펠렛 성형단계와 상기 펠렛 성형단계가 완료된 혼합물을 세척하여 냉각시키고 탈염하는 냉각 및 탈염단계와 상기 냉각 및 탈염단계가 완료된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를 완료한 혼합물을 상온의 온도로 14~ 21일 동안 후숙하는 후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의 제조방법 {Farm products compost of manufacture method using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폐기물에서 고형물 등과 같은 이물질을 분리하여 밭작물용 퇴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하여 펠렛 공정단계를 포함하는 밭작물용 퇴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대부분 여러 가지 혼합물이 뒤섞여 있고,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기온이 높을 경우 쉽게 부패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그대로 땅속에 매립할 경우 심한 악취 및 가스와 함께 침출수가 발생하여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폐기물로 매립할 경우 자원낭비를 초래함은 물론 폐기처리에 따른 비용과 환경오염 즉,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로 인하여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을 초래하고, 음식물의 부패에 따른 악취와 가스 및 병해충으로 인하여 각종 피부질환 및 전염성 질병을 야기하는 등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환경오염과 자원낭비를 줄이고자 수분이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반 쓰레기와 분리 수거하여 가축의 사료나 농업용 퇴비로 생산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를 가축의 사료나 농업용 퇴비로 생산하여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음식물 쓰레기에 혼합되어 있는 비닐류ㆍ젓가락ㆍ병마개 등 각종 이물질과 금속류를 선별 제거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적당한 크기로 분쇄한 다음, 함유된 수분을 탈수하여 어느 정도 제거한 후, 탈수된 음식물 찌꺼기를 살균 처리하는 한편 발효 건조하여 가축의 사료로 생산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8-0067738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007174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음식물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의 분리율을 높여 금속 물질이나 유해 환경 호르몬이 잘 흡수되지 않아 밭 작물의 생육을 왕성하게 하는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의 퇴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차적인 환경오염 없이 건조 및 발효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저비용, 고효율의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 제조방법에 있어서,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음식물 폐기물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혼합된 음식물 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단계와 상기 선별단계가 완료된 음식물 폐기물을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음식물 폐기물에 퇴비 성분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만들어진 혼합물을 균일한 입경의 알갱이 형태로 성형하는 펠렛 성형단계와 상기 펠렛 성형단계가 완료된 혼합물을 세척하여 냉각시키고 탈염하는 냉각 및 탈염단계와 상기 냉각 및 탈염단계가 완료된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를 완료한 혼합물을 상온의 온도로 14~ 21일 동안 후숙하는 후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효단계에서의 발효는 30~ 40℃의 온도로 20~ 24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탈염단계를 완료한 혼합물의 염도는 0.1~ 0.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별단계를 마친 상기 음식물 폐기물에 인(P), 질소(N)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정량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분쇄단계를 완료한 상기 음식물 폐기물에 생석회(CaO) 및 고토 (MgO)를 추가로 투입하여 고온에서 증숙하고, 황토 분말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에서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석회질 3~ 7중량부를 음식물 폐기물에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에서 토양의 공극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1~ 5mm의 크기로 분쇄한 볏짚 또는 생초를 2~ 6중량부를 상기 음식물 폐기물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식물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의 분리율을 높여 금속 물질이나 유해 환경호르몬이 잘 흡수되지 않는 밭작물용 퇴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밭작물용 퇴비는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량을 절감시키고 무공해 농산물 생산의 기반을 조성하여 국민건강에도 이바지할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음식물 폐기물의 처리시 악취 및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양질의 밭작물용 퇴비로 재활용하여 소득증대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 제조방법의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음식물 폐기물을 혼합기와 같은 일정 공간부(도시는 생략)에 투입하여 혼합하고, 혼합된 음식물 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거친다. (선별 단계)
상기 단계에서는 음식물 저장탱크에 음식물(음식물) 폐기물을 모으고, 이 가운데 오(汚) 물질(자성물질, 비닐류 등)을 선별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선별단계를 마친 음식물 폐기물에 첨가제 및 결착제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첨가제는 인(P) 및 질소(N)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정량 혼합된 혼합물이며 상기 결착제는 점토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비율은 전체 100중량부에서 상기 첨가제는 3~ 5중량부, 결착제는 10~ 15중량부가 되도록 한다.
상기 첨가제로는 인(P), 질소(N)가 단독 또는 정량 혼합된 혼합물이 이용되는 데, 상기 음식물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해 3중량부 미만의 경우에는 최종 산물에 미네랄이 부족하여 제품의 질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5중량부를 초과하면 첨가제 혼합량이 많아져 최종 산물의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결착제로는 토양과의 친화성과 점착성을 갖는 점토가 이용되는 데, 상기 음식물 폐기물 100중량부에 10중량부 미만의 점토를 혼합하게 되면, 이하 단계의 펠렛 성형 가공이 거의 불가능하고 15중량부를 초과하면 점토를 혼합하게 되면 펠렛 성형율은 상승되나, 펠렛 성형 후 얻어진 최종 산물의 강도가 지나치게 강해져 펠렛이 토양에서 녹지 않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음식물 폐기물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결착제는 10 ~ 15중량부를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선별단계가 완료된 음식물 폐기물을 분쇄시킨다. (분쇄단계)
상기 분쇄단계에서는 아주 미세한 크기로 파쇄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음식물 폐기물은 대략 총 100중량부에 유기물 10~ 20중량부, 함수율 80~ 90중량부의 성분으로 구성된 물질로 농작물 재배에 필요한 필수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한 천연고분과 유기혼합물이다.
여기서, 미세하게 파쇄되어 분쇄된 상기 음식물 폐기물에 동식물성 유기물 분말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동식물성 유기물은 음식물 쓰레기만으로는 밭작물용 퇴비에 필요한 유기물 성분이 부족함으로 이 부족한 유기물 성분을 보충하고, 분말을 투입함으로써 수분량을 조절하기 위해서이다. 다시 말해, 첨가제로서 동식물성 유기물 분말을 혼합하는 이유는 음식물 쓰레기만으로는 농업진흥청에 고시한 퇴비의 규격을 맞출 수 없기 때문이다.
음식물 폐기물만으로 만든 퇴비보다 퇴비의 품질을 높이고, 여러 종류의 동식물성 유기물을 분쇄 혼합하여 각각의 유기물 성분을 서로 보완하여 비료 공정 규격품 이상의 질 좋은 퇴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번데기 분말 및 들깨 분말을 총 100중량부에 각각 5~ 8중량부를 각각 투입하였다. 5중량부 미만이면 첨가효과가 미미하고, 8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자칫 과도한 투입으로 퇴비의 질을 덜어드리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분쇄단계를 완료한 음식물 폐기물에 염소, 기체, 암모니아, 이산화탄소를 증발시키고 염분을 감소시키도록, 생석회(CaO) 및 고토 (MgO)를 추가로 총 100중량부에서 3~ 7중량부를 각각 투입하여 고온(60~ 80℃)에서 증숙한다. 상기 중량부의 수치범위가 경제성이 높으며 퇴비로서의 활용가치가 높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밭 작물의 재배에 필요한 필수 미량 무기 성분을 보충하도록 황토 분말을 상기 1~ 3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황토는 태양 에너지의 저장고라 불릴 정도로 동식물의 성장에 꼭 필요한 원적외선을 다량 발산하여 일명 살아있는 생명체라 불리기도 한다.
상기 황토 중량부의 범위가 1 중량부 미만이면 첨가효과가 미미하고, 3 중량부를 초과하면 지나친 첨부로 인하여 전체적인 퇴비의 구성 성분에 변화를 줄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음식물 폐기물에 퇴비 성분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든다.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단계는 음식물 폐기물 100중량부에 퇴비성분인 칼륨 0.5~ 1중량부, 칼슘 0.4~ 0.7중량부, 마그네슘 0.2~ 0.5중량부, 규소 0.6~ 1중량부, 붕소 0.3~ 0.8중량부, 철 0.1~ 0.4중량부 및 아연 0.2~ 0.7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다.
상기 중량부들은 많은 실험과 데이터의 결과로서 나타난 수치 범위인 것이다.
상기 혼합물을 이루는 퇴비 성분은 칼륨, 칼슘, 마그네슘, 규소, 붕소, 철 및 아연 등의 각 구성요소는 100 내지 300mesh(메쉬) 입도 크기의 분말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에서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석회질 3~ 7중량부를 음식물 폐기물에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부가 3중량부 미만이면 첨가 효과가 미미하고 7중량부를 초과하면 지나친 남용으로 효과의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상기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에서 토양의 공극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1~ 5mm의 크기로 분쇄한 볏짚 또는 생초를 2~ 6중량부를 상기 음식물 폐기물에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중량부 미만이면 첨가 효과가 거의 없고, 6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다 공극으로 퇴비를 구성하는 구조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상기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에서 만들어진 혼합물과 분쇄된 음식물 폐기물을 펠렛 성형기를 통해 균일한 입경의 작은 알갱이 형태로 성형한다. (펠렛 성형단계)
상기 펠렛 성형단계는 고운 입자로 분쇄된 재료들을 펠렛기(도시는 생략)를 통해 가늘고 긴 재료로 압출하고 압출하는 과정에서 펠렛기의 출구 측에 설치된 커터(미도시)를 통해서 설정된 크기, 예를 들어 직경 2㎜~ 7㎜, 길이 2㎜~ 7㎜ 정도의 원통형 펠렛(pellet)으로 절단된다. 이때의 직경과 길이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펠렛 성형단계에서 제조된 펠렛을 구(球) 형상으로 가공하여 퇴비의 모양으로 형성하는 가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가공방식은 펠렛 형상을 갖는 재료들을 가공기(미도시)를 통해 동그란 구 형상으로 가공한다. 즉, 가공기는 다량의 펠렛이 투입된 상태에서 외체가 회전되며 다단으로 형성된 그 내부를 펠렛이 통과할 때마다 적정량의 수분을 분사시키고 동시에 탈취기능을 갖는 탄소 또는 석회 등의 분말을 분사시킴으로써 구(球) 형상으로 제조된다. 구 형상으로 가공된 재료들은 강제적인 열풍에 의해 건조되거나 혹은 상온에서 건조됨으로써 악취의 발생을 차단한다.
따라서, 본 단계의 펠렛 성형물은 원통형으로 절단되며, 지름 3~ 8mm의 구 형상으로 수분 함유량은 전체 100중량부 중에서 10~ 18중량부가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펠렛 성형단계가 완료된 성형물(혼합물)을 세척하여 탈염(脫鹽) 및 냉각한다. (탈염 및 냉각 단계)
탈염을 하는 이유는 혼합물에 염분이 너무 많이 함유되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퇴비가 지나치게 산성화가 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성형물(혼합물)을 세척하여 탈염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서, 염분의 함유율을 인위적으로 하락시키는 것이다.
상기 탈염을 완료한 혼합물의 염도는 0.1~ 0.5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염도가 0.1도 미만이면 퇴비의 조건에 적합하지 못하고 효과가 없으며, 0.5도를 초과하면 지나치게 염도가 높아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더 나아가, 펠렛 가공된 퇴비가 60~ 80℃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즉각적인 포장 작업(마지막 단계, 이하에서 설명함)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탈염과 동시에 세척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연스러운 냉각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탈염 및 냉각단계를 완료한 혼합물은 이하에 서술할 발효단계의 작업을 위하여 리턴 컨베이어(미도시)를 통하여 발효탱크에 이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탈염 냉각단계가 완료된 혼합물을 발효탱크에 투입하여 발효시키는 것이다. (발효단계)
상기 단계는 탈염이 완료된 혼합물을 발효탱크(미도시)의 내측에 투입되어 발효된다. 본 발효단계에서의 발효조건은 30~ 40℃의 온도로 20~ 24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30℃ 미만이면 발효가 이루어지기 어렵고, 40℃를 초과하면 고온으로 인하여 지나치게 건조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수분 함유율은 총 100중량부에서 30~ 50중량부의 범위에서 pH는 6~ 9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30~ 50중량부의 수치범위에 있을 때, 경제성이 높고 밭 작물의 생육에 있어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발효 탱크에는 내부에 저장된 혼합물의 발효 효율을 높이고, 퇴비의 수분 함유량을 적정량(50중량부 미만)으로 줄이기 위하여 산소공급 설비인 공기공급 브로와(미도시)가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발효단계를 완료한 혼합물을 상온의 온도로 14~ 21일 동안 후숙하는 것이다. (후숙단계)
상기 후숙단계는 혼합물을 상온(15~ 30℃)의 온도조건을 유지하는 후숙창고(미도시)에서 14~ 21일 동안 후숙하는데, 가끔 상하로 교반시켜 발효를 더욱 촉진시키는 것이다. 후숙기간이 14일 미만이면 효과가 거의 없으며, 21일을 초과하면 상기 혼합물의 지나친 건조화가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후숙단계가 완료되면 퇴비가 생산되어 포장 단위로 포장하는 것이다. (포장단계)
상기 단계는 포장기(미도시)로 공급되어 퇴비로의 공급이 용이하도록 일정 단위로 포장하는 단계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퇴비는 토양에 뿌려지며 사용되는데, 악취가 발생하지 않고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퇴비는 밭작물에도 살포하는 것은 물론이고 골프장, 축구장 등의 잔디, 과수원에도 살포함으로서, 독한 농약과 다량의 화학비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토양과 자연환경이 오염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밭작물을 비롯한 농경지에 사용되며 농작물의 생산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 실시예 1]
수거한 음식물 음식물 폐기물 30kg을 음식물 저장탱크에 투입하고, 고형체 선별기 및 분쇄기를 통하여 오물질을 제거하고 미세하게 파쇄 및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재차 선별하였고, 선별된 음식물 폐기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칼륨 1중량부, 칼슘 0.5중량부, 마그네슘 0.3중량부, 규소 0.8중량부, 붕소 0.5중량부, 철 0.2중량부, 아연 0.5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혼합물을 펠렛 성형기를 통하여 원통형으로 성형하였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성형물을 탈염(脫鹽) 및 세척하여 발효를 위하여 발효탱크에 투입하였다. 이때, 발효탱크의 온도를 60℃로 유지하면서 24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상기에서 발효된 성형물을 후숙 창고에 저장하여 약 20일 동안 후숙하여 퇴비를 완성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퇴비를 염분을 측정한 결과 약 0.3중랑부이었으며, 함수율은 약 30중량부였다.
따라서, 농업진흥청에서 고시하는 퇴비의 염분의 량(1 중량부 이하), 함수율(40 중량부 이하)을 모두 만족하였다.
[ 실시예 2]
시중의 일반 퇴비, 고액 분리된 퇴비 및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에 대해 각각 수분, 유기물, 염분, pH, 중금속 함량 및 대장균군을 조사하였다(이하 표 1 참조).
[표 1]
Figure 112016115824417-pat00001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시중의 일반 퇴비에 대하여 황산을 이용한 중금속 추출 과정을 적용한 결과, 중금속 농도가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아연의 경우 962.5mg/kg에서 358.5mg/kg로 감소하였고, 구리는 844.9mg/kg에서 590.4mg/kg로 대폭 감소하였다. 또한, 최종적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제된 밭작물용 퇴비의 경우에서도 중금속 농도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일반 퇴비에 포함된 중금속 농도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밭작물용 퇴비의 중금속 농도는 3878% 저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밭작물용 퇴비의 유기물 농도 및 염도는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일반 퇴비 및 고액분리된 퇴비에 비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pH 중화 및 미네랄 함량 증가를 위해 첨가된 생석회와 황토에 의해 유기물 농도 및 염도가 희석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Claims (7)

  1.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음식물 폐기물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혼합된 음식물 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단계;
    선별단계를 마친 상기 음식물 폐기물에 첨가제 및 결착제를 혼합하되, 전체 100중량부에 첨가제는 인(P) 및 질소(N)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3~5중량부, 결착제는 10~15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선별단계가 완료된 음식물 폐기물을 분쇄하는 분쇄단계;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음식물 폐기물은 상기 음식물 폐기물 총 100중량부에 유기물 10~ 20중량부, 함수율 80~ 90중량부의 성분으로 구성된 음식물 폐기물에 퇴비 성분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되,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혼합물 전체중량 대비 석회질 3~ 7중량부를 음식물 폐기물에 더 추가하고, 토양의 공극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혼합물 전체중량 대비 1~ 5mm의 크기로 분쇄한 볏짚 또는 생초 2~ 6중량부를 상기 음식물 폐기물에 추가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만들어진 혼합물을 균일한 입경의 알갱이 형태로 성형하는 펠렛 성형단계;
    상기 펠렛 성형단계가 완료된 혼합물을 염도 0.1~ 0.5도 범위로 세척하여 냉각시키고 탈염하는 냉각 및 탈염단계;
    상기 냉각 및 탈염단계가 완료된 혼합물을 30~ 40℃의 온도에서 20~ 24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발효단계;
    상기 발효단계를 완료한 혼합물을 상온의 온도로 14~ 21일 동안 후숙하는 후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단계를 완료한 상기 음식물 폐기물에 생석회(CaO) 및 고토 (MgO)를 추가로 투입하여 고온에서 증숙하고, 황토 분말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60158653A 2016-11-25 2016-11-25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의 제조방법 KR101795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653A KR101795671B1 (ko) 2016-11-25 2016-11-25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653A KR101795671B1 (ko) 2016-11-25 2016-11-25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671B1 true KR101795671B1 (ko) 2017-11-08

Family

ID=6038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653A KR101795671B1 (ko) 2016-11-25 2016-11-25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6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8052A (zh) * 2019-10-31 2020-05-01 湖南省蔬菜研究所 基于餐厨垃圾的土壤改良剂及其制备方法和土壤改良方法
KR102222555B1 (ko) 2020-10-08 2021-03-08 김경자 원예용 친환경 퇴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CN113185330A (zh) * 2021-05-08 2021-07-30 南开大学 一种网格化管理的分散式厨余垃圾好氧发酵技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908Y1 (ko) * 2001-04-12 2001-10-11 금강산랜드 주식회사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비료 제조장치
KR101553240B1 (ko) * 2014-07-09 2015-09-15 농업회사법인 농협흙사랑 주식회사 유기농 발효 펠릿퇴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908Y1 (ko) * 2001-04-12 2001-10-11 금강산랜드 주식회사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비료 제조장치
KR101553240B1 (ko) * 2014-07-09 2015-09-15 농업회사법인 농협흙사랑 주식회사 유기농 발효 펠릿퇴비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8052A (zh) * 2019-10-31 2020-05-01 湖南省蔬菜研究所 基于餐厨垃圾的土壤改良剂及其制备方法和土壤改良方法
KR102222555B1 (ko) 2020-10-08 2021-03-08 김경자 원예용 친환경 퇴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CN113185330A (zh) * 2021-05-08 2021-07-30 南开大学 一种网格化管理的分散式厨余垃圾好氧发酵技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38090B (zh) 以可控的堆肥方式处理城市污水处理厂污泥的方法
US8007558B2 (en) Organo-mineral soil amendment
CN106542938A (zh) 一种生物炭基沼渣有机肥及其制备方法
KR100934127B1 (ko) 굴 패각을 이용한 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795671B1 (ko)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밭작물용 퇴비의 제조방법
CN104177150A (zh) 铁尾矿残渣复垦土壤及制备方法
CN101885626B (zh) 菇废料禽畜粪复合肥及其生产方法
KR100388346B1 (ko) 농수축산 폐기물과 슬러지를 원료로 한 비료와 그 제조방법
KR20130098718A (ko) 분뇨 슬러지의 입자화 및 발효화를 통한 퇴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KR101558873B1 (ko)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하여 염분농도가 저감된 유기질 비료를 제조하는 방법
KR100466363B1 (ko)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퇴비
CN110724017A (zh) 一种利用污泥堆肥制备生物质肥料的方法
KR20130023001A (ko) 축산분뇨,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친환경 식물에 영양분, 산소를 공급하는 숨쉬는 대롱형 막대 유기질 비료 제조방법
US20220324766A1 (en) Organomineral fertilizer and process therefor
EP3834593B1 (en) Method of animal liquid manure processing
JP2010241637A (ja) 有機肥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04780B1 (ko) 친환경 유기질 칼슘 비료의 제조 방법 및 친환경 유기 칼슘 비료의 제조 장치
US9403729B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elletized compost
KR19980076708A (ko) 하수 슬러지오니와 Fly Ash를 이용한 비료의 제조방법과 수도용 완효성 노동력 절감형 비료
JPH0244088A (ja) 養鶏場から排出される廃鶏等による有機質肥料および飼料の製造方法
WO2017180298A1 (en) Organic fertilizer from anaerobic digestate and stabilized liquid fish product
KR100220210B1 (ko) Fly ash를 수분 조절제로 이용한 수도작용 완효성 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6812A (ko) 비료 및 연료와 그 제조 방법
KR101905157B1 (ko)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40297B1 (ko) 환경 오염물질을 이용한 칼슘 영양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