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319A -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319A
KR20050031319A KR1020030067578A KR20030067578A KR20050031319A KR 20050031319 A KR20050031319 A KR 20050031319A KR 1020030067578 A KR1020030067578 A KR 1020030067578A KR 20030067578 A KR20030067578 A KR 20030067578A KR 20050031319 A KR20050031319 A KR 20050031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wder
feed
composition
vitam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3966B1 (ko
Inventor
이해영
강용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Priority to KR10-2003-0067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966B1/ko
Publication of KR20050031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r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어분 20~52 중량%, 대두박 10~25 중량%, 콘글루텐밀 3~8 중량%, 소맥분 10~20 중량%, 알파 감자전분 3~10 중량%, 오징어간유 3~17 중량%, 미네랄 혼합물 0.5~5 중량% 및 비타민 혼합물 0.5~3 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성분 외에 크릴 새우분말, 오징어간 분말 및 농축대두단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함량은 크릴 새우분말 5~35 중량%, 오징어간 분말 5~35 중량%, 농축대두단백 5~35 중량%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Composition of feed stuff for cultivation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본 발명은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 해산어 양식은 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자연산 방어 치어를 채포하여 생사료를 급여하여 양식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공 종묘생산 기술개발과 적정 배합사료 개발 등 양식기술이 발전하여 육상수조식 및 가두리식 양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해산어 양식 생산량은 최근 넙치, 조피볼락을 중심으로 10만여톤을 생산하고 있다. 우리 나라 등 동북아시아의 기후조건에 적합한 넙치와 조피볼락은 해산어류중 가장 빠른 성장과 높은 사료효율로 중요 양식종으로 부각됨에 따라 효율적 양식을 위한 적합한 배합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성장패턴, 적정 사료원료, 단백질, 지질, 지방산 및 탄수화물의 첨가량 등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양식어종이 넙치 및 조피볼락에 편중되어 생산량의 90%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일시 대량 출하시 가격이 하락하는 등 판로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신품종을 개발하는 등 양식어종을 다양화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양식어종의 대상으로는 참돔, 감성돔, 돌돔, 농어, 붉바리, 범가자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돌돔은 맛이 좋아 고급 횟감으로 이용되나 가격이 비싼 편이다.
돌돔은 농어목 돌돔과에 속하며, 우리 나라, 일본 및 중국 연안의 암초지대에 서식하는 연안 정착성 어류로서 꾸준한 인공 종묘생산의 기술개발로 대량 종묘생산의 기틀이 마련되어 유망한 양식어종으로 부상하고 있다. 또한 돌돔은 저수온에서 성장이 다소 늦은 단점이 있지만, 빛 또는 수온으로 산란시기를 조절하여 종묘생산 시기의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저수온기인 겨울에 종묘생산을 하여 고수온기인 봄부터 가을까지 양성하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돌돔은 식욕이 왕성하여 배합사료를 모두 잘 먹기 때문에 사료급여 등 사육관리는 비교적 용이하다(강 등, 1998).
주요 양식어종인 돌돔의 양식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고품질 배합사료를 개발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각종 영양소 요구량은 배합사료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되지만, 어류의 필수 영양소는 수십 여종 이상으로(NRC, 1993),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등 주요 영양소 외에도 아미노산, 지방산, 미네랄 및 비타민 등 필수 미량 영양소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모든 필수 미량 영양소의 종류와 요구량을 구명하는데는 수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배합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는 먼저 영양소 요구량을 구명하여 그 어종에 맞는 사료설계를 해야한다. 어류에 필요한 영양소는 수십 여종이 있지만 그 중 단백질 및 아미노산은 성장에 있어 가장 중요한 영양소로서, 사료중 가장 높은 함량과 비용을 차지한다(Moon and Gatlin, 1991; NRC, 1993; Lee et al., 2001). 건강하고 우수한 해산어 양식생산은 먹이 의존적이므로 세계적으로 해산어용 사료개발에 관하여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돌돔 양식에 적합한 배합 사료가 개발되지 않아 효율적인 양식이 불가능한 실정이며, 외국에서 수입되고 있는 사료는 가격이 비싸 경제적인 면에서 부담이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돌돔 배합사료 원료의 가격을 크게 낮추어 경제적이며, 영양가가 높은 돌돔 양식에 적합한 사료 조성물을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경제적이며 영양가가 높은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어분 20~52 중량%, 대두박 10~25 중량%, 콘글루텐밀 3~8 중량%, 소맥분 10~20 중량%, 알파 감자전분 3~10 중량%, 오징어간유 3~17 중량%, 미네랄 혼합물 0.5~5 중량% 및 비타민 혼합물 0.5~3 중량%를 포함하는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에서 어분, 대두박 및 콘글루텐밀은 단백질원으로 사용되며, 함량은 사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어분 20~52 중량%, 대두박 10~25 중량% 및 콘글루텐밀 3~8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단백질원의 양이 지나치게 적으면 돌돔 사육시 영양이 결핍되며, 너무 과다하면 돌돔이 지나치게 발육되어 식용상품으로서의 상품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백질원을 보다 품질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단백질원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에서 소맥분 및 알파 감자 전분은 탄수화물원으로 사용되며, 함량은 사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소맥분 10~20 중량% 및 알파 감자전분 3~1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원의 양이 지나치게 적으면 돌돔 사육시 영양 결핍현상이 일어나고, 너무 과다하면 다른 영양소와 균형을 잃게 된다.
본 발명의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에서 오징어간유는 지질원으로 사용되며, 함량은 사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3~17 중량%를 포함한다. 만약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영양소가 편중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징어간유 대신에 옥수수유 또는 대두유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에서 비타민 혼합물과 미네랄 혼합물은 영양강화제로 사용되며, 돌돔의 성장과 질병에 대한 내성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미네랄 혼합물은 NaCl, MgSO4·7H20, NaH2PO4·2H20, KH2PO4, CaH4(PO4)2·H20, 페릭 사이트레이트(ferric citrate), ZnSO4·7H20, 칼슘-락테이트(Calcium lactate), CuCl, AlCl3·6H20, KIO3, Na2Se2O3 , MnSO4·H20, CoCl2·6H20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함량은 상기 단백질원, 지질원 또는 탄수화물원의 배함량에 따라 조절되며, 사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5~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타민 혼합물은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티아민, 리보플라빈, 피리독신, 나이아신(niacin), 칼슘-D-판토테네이트(Ca-D-pantothenate), 미오-이노시톨, D-바이오틴, 엽산(folic acid), p-아미노벤조산(p-aminobenzoic acid), 비타민 K3, 비타민 A, 비타민 D3, 염화 콜린 및 사이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함량은 상기 단백질원, 지질원 또는 탄수화물원의 배함량에 따라 조절되며, 사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5~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성분 외에 크릴 새우분말, 오징어간 분말 및 농축대두단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함량은 크릴 새우분말 5~35 중량%, 오징어간 분말 5~35 중량%, 농축대두단백 5~35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사료원료를 혼합기로 혼합하여 분말 사료 조성물을 만들고, 상기 분말 사료 조성물 70 중량%에 물 30 중량%를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모이스트 펠렛 제조기에 넣고, 압출하여 펠렛으로 성형하여 제조한다. 이 때 물 대신 수산물자숙액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은 사료의 종류에 따라 돌돔의 증체율, 사료효율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만(P < 0.05), 생존율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P > 0.05).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 중 단백질원인 어분의 비율을 달리하고, 크릴 새우분말, 농축대두단백, 오징어간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첨가한 경우, 크릴 새우분말 20 중량%와 크릴 새우분말 30 중량%를 첨가한 경우에 높은 증체율과 높은 사료효율(P = 0.001)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단백질원인 어분의 일부를 농축대두단백, 오징어간분말, 크릴 새우분말로 대체할 수 있으며, 특히 크릴 새우분말의 경우 가격은 비싼편이지만 증체율과 사료효율이 좋아 돌돔의 빠른 성장을 원할 경우 대체 효과가 크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6주간 돌돔을 사육한 후, 돌돔 체내에 있는 일반성분은 AOAC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다양한 사료원료에 따른 돌돔 치어의 일반성분인 수분, 단백질, 지질 및 회분 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다(P < 0.05).
따라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사료원료의 종류 및 함유량에 따라 증체율과 사료효율에서 차이가 크고, 전어체의 일반성분에 영향을 미치므로 사료원료의 선택이 중요한 요소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사료 조성물의 제조
어분 51.5 중량%, 대두박 15 중량%, 콘글루텐밀 5 중량%, 소맥분 12.5 중량%, 알파 전분 5 중량%, 오징어간유 5 중량%, 미네랄 혼합물 3 중량% 및 비타민 혼합물 2.5 중량% 및 콜린 0.5 중량%를 혼합기로 혼합하여 분말 사료 조성물을 만들었다.
상기 분말 사료 조성물 70 중량%에 물 30 중량%를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모이스트 펠렛 제조기에 넣고, 60~8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성형하였다.
압출된 펠렛은 진공건조 시킨 후, 냉동고(-25℃)에 보관하여 두었다가 사료 급여시마다 필요한 분량만큼 적절한 크기로 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11 : 사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에서 어분의 비율을 달리하고, 크릴 새우분말(10 중량%, 20 중량%, 30 중량%), 농축대두단백(10 중량%, 20 중량%, 30 중량%), 오징어간분말(10 중량%, 20 중량%, 30 중량%) 또는 이들의 혼합물(크릴 새우분말 10 중량%, 오징어간 분말 10 중량% 및 농축대두단백 10 중량%)을 추가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7의 사료 조성물의 성분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고, 실시예 8~11의 사료 조성물의 성분비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단위 : 중량%)
실시예 1 농축대두단백 오징어간 분말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어분 51.5 41.5 31.5 21.5 41.5 31.5 21.5
대두박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콘글루텐밀 5.0 5.0 5.0 5.0 5.0 5.0 5.0
소맥분 12.5 12.5 12.5 12.5 12.5 12.5 12.5
알파 전분 5.0 5.0 5.0 5.0 5.0 5.0 5.0
오징어간유 5.0 5.0 5.0 5.0 5.0 5.0 5.0
미네랄혼합물 3.0 3.0 3.0 3.0 3.0 3.0 3.0
비타민혼합물 2.5 2.5 2.5 2.5 2.5 2.5 2.5
콜린 0.5 0.5 0.5 0.5 0.5 0.5 0.5
크릴새우분말 - - - - - - -
농축대두단백 - 10.0 20.0 30.0 - - -
오징어간분말 - - - - 10.0 20.0 30.0
(단위 : 중량%)
크릴새우분말 혼합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어분 41.5 31.5 21.5 21.5
대두박 15.0 15.0 15.0 15.0
콘 글루텐 밀 5.0 5.0 5.0 5.0
소맥분 12.5 12.5 12.5 12.5
알파 감자전분 5.0 5.0 5.0 5.0
오징어간유 5.0 5.0 5.0 5.0
미네랄혼합물 3.0 3.0 3.0 3.0
비타민혼합물 2.5 2.5 2.5 2.5
콜린 0.5 0.5 0.5 0.5
크릴새우분말 10.0 20.0 30.0 10.0
농축대두단백 - - - 10.0
오징어간분말 - - - 10.0
실험예 1 : 돌돔의 증체율, 사료효율 및 생존율 측정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6주간 사육한 돌돔의 증체율, 사료효율 및 생존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 돌돔의 사육 및 관리
10톤 FRP 사각수조를 이용하여 유수식으로 1일 3~4회 먹이를 공급하여 예비사육 중이던 동일 어미로부터 출산한 평균 체중 5.35±0.06 g의 돌돔 치어 20마리씩을 60ℓ 원형 FRP 수조에 3반복 수용하여 1일 2회(오전 9시30분, 오후 4시) 먹이를 만복 공급하였다.
고압모래 여과장치로 여과된 자연해수를 실험 시작시에 3ℓ/min씩 흘려주었고, 돌돔이 성장함에 따라 실험 종료시에는 5ℓ/min으로 조절하였다.
각 수조당 에어스톤을 설치하여 산소를 보충하면서, 용존산소는 정상적인 성장에 필요한 5ppm 이상으로 유지하였다.
자연광 주기를 이용하였으며, 이 기간동안의 사육수온은 자연수온으로 13.0 ~ 26.5℃ 이었다.
2. 돌돔의 증체율, 사료효율 및 생존율 측정
상기 1에서 사육한 돌돔을 실험구 별로 5마리씩 무작위로 추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어체의 측정은 실험 시작하기 전 실험어의 중량을 측정하였고, 실험 종료 후는 2일간 절식시킨 후 MS222 100 ppm에 마취시켜 각 실험수조에 수용된 실험어 전체 체중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증체율로 사료효율을 계산하였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최초 체중(g) 최종 체중(g) 증체율(%) 사료효율(g) 생존율(%)
실시예 1 5.37 12.10 126 0.63 100
실시예 2(SC 10) 5.35 11.45 114 0.64 100
실시예 3(SC 20) 5.40 10.65 97 0.55 100
실시예 4(SC 30) 5.40 9.95 84 0.54 100
실시예 5(SL 10) 5.32 11.38 114 0.65 100
실시예 6(SL 20) 5.33 11.92 123 0.71 100
실시예 7(SL 30) 5.32 11.77 121 0.64 100
실시예 8(KR 10) 5.38 11.77 119 0.70 100
실시예 9(KR 20) 5.28 13.46 155 1.02 100
실시예 10(KR 30) 5.35 14.28 167 0.97 100
실시예 11(SC 10 + SL 10 + KR 10) 5.33 12.30 131 0.55 100
※ SC : 농축대두단백, SL : 오징어간 분말, KR : 크릴 새우분말,
다중검정(P < 0.05)
증체율 = (최종평균체중 - 초기체중) × 100 / 초기체중
사료효율 = 체중증가 ×100 / 사료 공급량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서 단백질원인 어분을 크릴 새우분말 20 중량%(실시예 9)와 크릴 새우분말 30 중량%(실시예 10)로 일부 대체한 경우, 높은 증체율과 높은 사료효율(P = 0.001)을 나타내었다.
또한, 오징어간분말을 20 중량%(실시예 6), 30 중량%(실시예 7) 첨가한 경우와 혼합물(실시예 11)을 첨가한 경우는, 증체율 및 사료효율이 어분 단독 첨가구(실시예 1)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 중 단백질원인 어분을 농축대두단백 10 중량%, 오징어간분말 30 중량%, 크릴 새우분말 30 중량%까지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은 사료의 종류에 따라 돌돔의 증체율, 사료효율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지만(P < 0.05), 생존율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 > 0.05).
따라서, 사료원료의 종류에 따라 증체율과 사료효율에서 차이가 크기 때문에 사료원료의 선택이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성분 분석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로 사육한 돌돔의 체내 각 조직에 영양성분 분석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어체는 -75℃에 보관후 실험구별로 5마리씩 무작위 추출하였으며, 각 조직별로 잘 갈은 후 균질하게 혼합하여 일반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돌돔의 일반성분은 AOAC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수분은 105℃에서 건조하여 항량을 구하는 상압가열 건조법, 조단백질은 Kjeldahl 질소 정량법(N×6.25), 조지방은 에테르를 용매로한 soxhlet 추출법, 조섬유는 자동 분석기(Fibertec, Tecator, Sweden), 조회분은 550℃의 회화로에서 4시간 동안 태운 후 정량하는 직접 회화법으로 각각 분석하였으며, 가용성 무질소물은 100-(수분+조단백질+조지방+조섬유+조회분)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측정 결과는 윈도우 프로그램용 SPSS로 아노바-테스트(ANOVA-test)를 실시하여 던칸의 다중검정 방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 Duncan, 1955)으로 평균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수분 일반성분(%, 건조중량)
단백질 지질 회분
실시예 1 72.76 56.54 24.30 16.63
실시예 2(SC 10) 73.59 59.46 21.65 15.63
실시예 3(SC 20) 74.23 61.74 22.72 15.50
실시예 4(SC 30) 74.94 62.31 20.74 15.97
실시예 5(SL 10) 73.23 58.34 24.53 16.56
실시예 6(SL 20) 72.25 56.04 25.14 15.24
실시예 7(SL 30) 72.28 55.16 27.90 14.62
실시예 8(KR 10) 72.74 56.91 26.72 15.77
실시예 9(KR 20) 73.11 56.45 28.60 14.27
실시예 10(KR 30) 72.01 55.53 31.14 13.14
실시예 11(SC 10 + SL 10 + KR 10) 71.53 55.33 27.15 15.01
※ SC : 농축대두단백, SL : 오징어간 분말, KR : 크릴 새우분말
다중검정(P < 0.05)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분 함량은 농축대두단백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어체의 수분은 증가하였고, 오징어간분말 첨가구에서는 낮은 함량에서 수분함량이 높았지만,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어체의 수분 함량은 감소하였다. 또한, 크릴 새우분말 함유량이 20 중량%까지는 전어체의 수분 함량은 높았지만,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어체의 수분 함량은 다시 감소하였다. 혼합 첨가구에서는 낮은 수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단백질 함량은 농축대두단백 첨가구와 오징어간분말 첨가구에서는 수분 함량과 단백질 함량이 비례 관계를 나타내었고, 크릴 새우분말 첨가구에서는 수분 함량과 단백질 함량이 반비례 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농축대두단백 첨가구에서는 어분 단독 첨가구(실시예 1) 보다 전어체의 단백질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오징어간분말의 10 중량% 첨가구는 어분 단독 첨가구(실시예 1) 보다 높은 단백질 함량을 나타내었지만 오징어간분말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전어체의 단백질 함량은 감소하였다. 또한, 혼합첨가구에서도 어분 단독 첨가구(실시예 1) 보다 낮은 단백질 함량을 나타내었다.
지질 함량은 농축대두단백 첨가구와 오징어간분말 첨가구에서는 수분 함량과 지질 함량이 반비례 관계를 나타내었고, 크릴 새우분말 첨가구에서는 수분 함량과 지질 함량이 비례 관계를 나타내었다. 크릴 새우분말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지질 함량은 증가하였지만, 혼합 첨가구는 어분 단독 첨가구(실시예 1)와 유사한 지질 함량을 나타내었다.
회분 함량은 오징어간분말의 10 중량% 첨가구에서는 어분 단독 첨가구(실시예 1)와 유사한 회분 함량을 나타내었지만, 오징어간 분말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전어체의 회분 함량은 감소하였다. 또한, 크릴 새우분말 첨가구에서도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어체의 회분 함량이 감소하였고, 혼합 첨가구에서도 어분 단독 첨가구(실시예 1) 보다 낮은 회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은 다양한 사료원료에 따른 돌돔 치어의 일반성분인 수분, 단백질, 지질 및 회분 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 < 0.05).
따라서, 사료원료의 종류 및 함유량은 전어체의 일반성분에 영향을 미치므로, 사료원료의 선택이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은 사료 원료대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경제적이며, 외화절약 및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어분 20~52 중량%, 대두박 10~25 중량%, 콘글루텐밀 3~8 중량%, 소맥분 10~20 중량%, 알파 감자전분 3~10 중량%, 오징어간유 3~17 중량%, 미네랄 혼합물 0.5~5 중량% 및 비타민 혼합물 0.5~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미네랄 혼합물은 NaCl, MgSO4·7H20, NaH2PO4·2H 20, KH2PO4, CaH4(PO4)2·H20, 페릭 사이트레이트(ferric citrate), ZnSO4·7H20, 칼슘-락테이트(Calcium lactate), CuCl, AlCl3·6H20, KIO3, Na2Se 2O3, MnSO4·H20, CoCl2·6H20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비타민 혼합물은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티아민, 리보플라빈, 피리독신, 나이아신(niacin), 칼슘-D-판토테네이트(Ca-D-pantothenate), 미오-이노시톨, D-바이오틴, 엽산(folic acid), p-아미노벤조산 (p-aminobenzoic acid), 비타민 K3, 비타민 A, 비타민 D3, 염화 콜린 및 사이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릴 새우분말, 오징어간 분말 및 농축대두단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크릴 새우분말, 오징어간 분말, 농축대두단백은 각각 5~3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
KR10-2003-0067578A 2003-09-29 2003-09-29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 KR100503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578A KR100503966B1 (ko) 2003-09-29 2003-09-29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578A KR100503966B1 (ko) 2003-09-29 2003-09-29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319A true KR20050031319A (ko) 2005-04-06
KR100503966B1 KR100503966B1 (ko) 2005-07-27

Family

ID=3723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578A KR100503966B1 (ko) 2003-09-29 2003-09-29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96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642B1 (ko) * 2005-02-02 2006-12-26 대한민국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CN102318782A (zh) * 2011-10-24 2012-01-18 天津市晨辉饲料有限公司 一种使鹦鹉鱼体色增红的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2940166A (zh) * 2012-12-10 2013-02-27 房鸿超 一种鹦鹉复配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423293B1 (ko) * 2014-04-29 2014-07-24 대한민국 단백질 원료을 조절한 생사료 대체용 넙치 고효율 ep 사료 조성물
KR20160007735A (ko) * 2014-06-26 2016-01-2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울금 및 스테비아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새우 생육증진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469B1 (ko) * 2011-05-27 2013-09-06 사단법인 영암무화과클러스터사업단 무화과 잎을 이용한 양어용 사료
KR101277767B1 (ko) * 2011-06-14 2013-06-24 황재호 녹차를 이용한 양어용 사료
CN102919528A (zh) * 2012-11-23 2013-02-13 浙江海洋学院 一种条石鲷鱼饲料
CN104187166B (zh) * 2014-09-09 2017-02-01 广东海洋大学 一种墨吉明对虾专用配合饲料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642B1 (ko) * 2005-02-02 2006-12-26 대한민국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CN102318782A (zh) * 2011-10-24 2012-01-18 天津市晨辉饲料有限公司 一种使鹦鹉鱼体色增红的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2940166A (zh) * 2012-12-10 2013-02-27 房鸿超 一种鹦鹉复配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423293B1 (ko) * 2014-04-29 2014-07-24 대한민국 단백질 원료을 조절한 생사료 대체용 넙치 고효율 ep 사료 조성물
KR20160007735A (ko) * 2014-06-26 2016-01-2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울금 및 스테비아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새우 생육증진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3966B1 (ko) 200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642B1 (ko) 넙치 양식용 사료 조성물
CN103082151B (zh) 一种三疣梭子蟹无鱼粉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489248A (zh) 一种脆肉鲩的膨化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489245A (zh) 一种大口黑鲈专用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R100503966B1 (ko) 돌돔 양식용 사료 조성물
CN105533291B (zh) 一种无鱼粉无豆粕黄河鲤鱼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855681A (zh) 一种太阳鱼繁殖期膨化配合饲料
KR101920075B1 (ko) 어분대체제를 이용한 강도다리용 완전배합 ep사료 조성물
KR100595967B1 (ko) 조피볼락(우럭) 양식용 사료 조성물
KR100498808B1 (ko) 민어 양식용 배합 사료
CN104273398A (zh) 斑节对虾养殖前期配合饲料
CN104585555A (zh) 一种饲养细鳞斜颌鲴的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146221A (zh) 一种凡纳对虾与多鳞鱚混养用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877925B1 (ko)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CN104970230A (zh) 一种大菱鲆低鱼粉配合饲料
KR20020003430A (ko) 전복 양식용 사료
Abdelhamid et al.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etaine and/or stocking density on performance of Nile tilapia
CN112155137A (zh) 一种马苏大麻哈鱼幼鱼饲料及其制备方法
CN111184148A (zh) 一种促进黄颡鱼生长及提高利用率的饲料配方及加工工艺
CN104585554A (zh) 一种饲养鳙鱼的饲料及其制备方法
CN110250367A (zh) 一种改善黄颡鱼体色的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Venkateswarlu Growth performance effect of dietary fish meal quality in shrimp Litopenaeus vannamei
KR20200004562A (ko) 감귤껍질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CN114073285B (zh) 水产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185224A (zh) 一种凡纳滨对虾工厂化养殖专用饲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