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190B1 - 물품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물품공급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190B1
KR100659190B1 KR1019980046051A KR19980046051A KR100659190B1 KR 100659190 B1 KR100659190 B1 KR 100659190B1 KR 1019980046051 A KR1019980046051 A KR 1019980046051A KR 19980046051 A KR19980046051 A KR 19980046051A KR 100659190 B1 KR100659190 B1 KR 100659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bles
fruits
supply apparatus
article
conveying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6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6801A (ko
Inventor
토루 이시이
스스무 오카타
히데오 에구치
히로쓰나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이시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66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65G47/68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from a single conveyor lane consisting of one conveyor or several adjacent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B65G47/31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by varying the relative speeds of the conveyors forming the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다수의 물품을 소정의 위치, 간격, 자세로 정돈시켜 공급하는 작업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는 물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반송로 양측부에 배열된 롤러를 회전시키고, 다수의 청과물을 반송로 중앙부로 이동시키면서 반송한다. 중합 또는 집합된 상태로 반송되는 청과물을 전후로 분산시켜 반송로 중앙부를 따라 1열로 정렬시켜 반송하므로, 분류용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리시빙(receiving) 롤러의 중앙부에 대하여 청과물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다수의 청과물을 소정의 위치, 간격, 자세로 정돈시켜 공급하는 작업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 공급 장치
본 발명은, 예컨대, 귤, 사과, 토마토, 수박, 배, 감, 복숭아, 감자와 같은 청과물, 혹은, 테니스, 축구, 야구, 탁구와 같은 구기용 볼 등의 구형상 또는 타원형상을 갖는 물품을 정렬공급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물품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술 예와 같은 청과물을 공급하는 장치로서는, 예컨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과물 이송방향의 상류 단부 또는 하류 단부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V자형으로 가설된 분산 벨트(30,30) 사이로 청과물(A)을 반송하고, 분산 벨트(30,30)에 의해 청과물(A)을 전후로 분산시키면서 정렬하여 정렬 벨트(31)로 반송하는 동시에, 정렬 벨트(31)에서 분류용 컨베이어(33)로 청과물(A)을 순차로 반송하는 장치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청과물(A)의 외주면에 광택용 왁스가 도포되어 있는 경우, 청과물(A)과 분산 벨트(30)와의 접촉 저항이 커서, 분산 벨트(30,30) 사이에 재치(載置)된 청과물(A)을 전후로 분산시키거나 청과물(A)의 재치 위치를 수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타원형을 갖는 청과물(A)은 분산 벨트(30)와의 접촉 면적이 커서, 한쪽의 분산 벨트(30)에 접촉된 상태로 반송될 경우가 있으므로, 반송로 중앙부에 대하여 청과물(A)을 정렬재치할 수 없다.
또한, 정렬 벨트(31)에 재치된 청과물(A)을 양측부에 가설한 가이드판(32)에 의해 센터링(centering)하고자 해도 접촉 저항이 크기 때문에, 청과물(A)이 경사지거나 또는 기립할뿐 그 재치 위치를 수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분류용 컨베이어(33)의 중앙부 재치면에 대하여 편심 상태로 청과물(A)이 재치되거나 기립 상태로 청과물(A)이 재치되기 때문에, 청과물(A)의 주위면 전체를 예컨대, 촬상용 카메라등에 의해 촬상하는 것이 어렵고, 분류 작업을 정확히 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인접한 청과물(A)의 접촉 저항 또는 가이드판(32)간에 생기는 접촉 저항에 의해, 일부의 청과물(A)이 집합된 상태로 반송되거나 전후에 재치된 청과물(A)의 간격이 불규칙해질 경우가 있으며, 청과물(A)의 간격 및 개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도 갖고 있다.
다른 공급 방법으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로 하부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34)에 의해 분산 컨베이어(35)를 진동시키고, 분산 컨베이어(35)에 재치된 청과물(A)을 전후로 분산시키면서 정렬 컨베이어(36)로 반송하고, 정렬 컨베이어(36)로부터 분류용 컨베이어(33)에 순차로 반송하는 장치를 이용할 경우, 청과물(A)의 크기, 형상, 종류에 따라서 분산 컨베이어(35)와의 접촉 면적이 다르므로, 접촉 면적이 크면 이송 속도가 빨라지고, 접촉 면적이 작으면 이송 속도가 느려져서 청과물(A)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반송 방향을 향해 평면에서 보아 열린각이 큰 대략 V자형(이하, 평면에서 볼 때 대략 V자형이라 함)으로 배열된 지지 롤러에 의해 물품을 반송로 중앙부로 이동시키면서 반송하게 되므로, 임의의 크기의 물품을 전후로 분산시키면서 반송로 중앙부로 정렬시킬 수 있으며, 소정의 위치, 간격, 자세로 정돈시켜 공급하는 작업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는 물품 공급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1 항 기재의 발명은,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로상에, 상기 물품이 재치되는 전후 간격에 사이를 두고 지지 롤러를 반송 방향으로 배열하고, 상기 반송로상에 배열된 지지 롤러를 평면에서 볼 때 대략 V자형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면서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배열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롤러를 상기 반송 방향을 향해서 물품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을 구비한 물품 공급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2 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범위 제 1 항 기재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반송로의 선단측에 축받이된 지지 롤러를 반송 방향을 향해서 각도가 커지도록 배열한 물품 공급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3 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범위 제 1 항 또는 제 2 항 기재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반송로의 선단측에 배열된 지지 롤러가 상기 선단측 후단에 배열된 지지 롤러의 회전 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된 물품 공급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4 항 및 제 5 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범위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기재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반송로 양측부의 지지 롤러를 반송로의 선단측에서 종단측을 향해 서서히 각도가 작아지도록 배열한 물품 공급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6 항 및 제 7 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4 항 및 제 5 항 기재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반송로 양측부의 지지 롤러를 반송로의 중앙부에서 양측부를 향해서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한 물품 공급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8 항 및 제 9 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5 항 또는 제 6 항 및 제 7 항 기재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반송로의 중간부에 배열된 지지 롤러가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한 회전력보다도 큰 저항이 부여되었을 때 슬립되도록 설치한 물품 공급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7 항 또는 제 8 항 및 제 9 항 기재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반송로의 종단측에 배열된 지지 롤러가 상기 종단측 전단에 배열된 지지 롤러의 회전 속도보다도 빠르게 설정된 물품 공급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13 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9 항 또는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기재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반송로의 종단부에 배열된 지지 롤러에 가깝게, 상기 지지 롤러보다도 작은 가이드 롤러를 폭방향으로 복수 배열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 롤러를 상기 반송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낮아지도록 복수열로 설치한 물품 공급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1 항 기재의 물품 공급 장치는, 반송 방향을 향하여 평면에서 볼 때 대략 V자형으로 배열된 지지 롤러를 회전 수단에 의해 반송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지지 롤러에 재치된 임의의 크기(예컨대 대, 중, 소)의 물품을 반송로 중앙부로 이동(센터링)시키는 동시에, 반송로중의 물품을 진동 및 요동시키면서 반송하여, 중합 또는 집합된 상태로 반송되는 물품을 전후로 분산시킨다. 또한, 반송로 중앙부를 향하여 이동되는 방향에 이송력이 적극적으로 작용하여 물품의 센터링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예컨대, 분류용 컨베이어의 중앙부 재치면에 대하여 물품을 1개씩 정확하고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게 된다.
청구범위 제 2 항 기재의 물품 공급 장치는, 상기 청구범위 제 1 항 기재의 작용에 부가하여, 선단측에 배열된 각도가 큰 지지 롤러에 의해, 반송로 중앙부를 향하여 물품을 적극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반송하기 때문에, 반송로 양측부에 설치한 가이드 부재(예컨대 가이드판)에 물품이 접촉하거나 그 반송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임의의 크기의 물품을 분산 및 정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범위 제 3 항 기재의 물품 공급 장치는, 상기 청구범위 제 1 항 또는 제 2 항 기재의 작용에 부가하여, 선단측의 지지 롤러를 빠르게 회전시켜서, 지지 롤러와 접촉하는 물품을 반송로 중앙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면서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기 때문에, 다수의 물품을 전후로 분산 및 정렬하는 작업을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으며, 공급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범위 제 4 항 및 제 5 항 기재의 물품 공급 장치는, 상기 청구범위 제 1, 2 항 또는 제 3 항 기재의 작용에 부가하여, 양측부의 지지 롤러를 반송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각도가 작아지도록 배열하기 때문에, 반송 방향의 이송력은 점점 증대되고 폭방향의 이송력은 감쇠되어 물품의 횡진동이 적어지기 때문에, 물품의 공급 위치 및 공급 자세가 안정되게 된다.
청구범위 제 6 항 및 제 7 항 기재의 물품 공급 장치는, 상기 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4 항 및 제 5 항 기재의 작용에 부가하여, 양측부의 지지 롤러에 재치되는 청과물을 지지 롤러의 경사면을 따라 반송로 중앙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반송하기 때문에, 지지 롤러의 회전 및 경사에 의해 물품을 확실히 센터링할 수 있게 된다.
청구범위 제 8 항 및 제 9 항 기재의 물품 공급 장치는, 상기 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5 항 또는 제 6 항 및 제 7 항 기재의 작용에 부가하여, 물품이 재치되었을 때 중간부의 지지 롤러를 슬립(공전)시켜서 반송로상에 물품이 잠시 저장되게 되므로, 후속의 물품이 순차로 접촉되고, 그 접촉시에 부여되는 이송력에 의해 전후의 물품이 접촉 또는 근접된 상태로 정렬 반송할 수 있게 된다.
청구범위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기재의 물품 공급 장치는, 상기 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7 항 또는 제 8 항 및 제 9 항 기재의 작용에 부가하여, 종단측의 지지 롤러를 빠르게 회전시켜 1열로 정렬된 물품을 반송 방향으로 가속반송하기 때문에, 다수의 물품을 전후로 이격(예컨대 등간격)시켜 다음 공정(예컨대, 분류용 컨베이어)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청구범위 제 13 항 기재의 물품 공급 장치는, 상기 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9 항 또는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기재의 작용에 부가하여, 반송로 종단부에 배열된 복수의 가이드 롤러를 따라서 1열로 정렬된 물품이 센터링된 상태로 다음 공정에 공급되기 때문에, 예컨대, 분류용 컨베이어의 중앙부 재치면에 대하여 물품을 확실히 반송할 수 있으며, 물품의 외주면에 왁스가 도포되어 있어도 가이드 롤러의 접촉 저항이 작기 때문에 물품이 정체하지 않으며, 물품의 반송 작업을 원활히 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면은 물품의 일예로서, 다수의 청과물을 1개씩 정렬공급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물품 공급 장치를 나타내고,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공급 장치(1)는 반송로 전단에 설치된 운송용 컨베이어(2)와 반송로 후단에 설치된 분류용 컨베이어(3)의 사이에 설치되고, 운송용 컨베이어(2)로부터 공급되는 다수의 청과물(A)을 전후로 분산시키면서 반송로 중앙부에 (예컨대 1열로) 정렬시키고, 분류용 컨베이어(3)를 구성하는 리시빙 롤러(3a)의 중앙부에 대하여 1개씩 반송하게 된다.
상술한 물품 공급 장치(1)는,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로 양측부에 가설한 부착틀(5,5)에, 중공(中空) 또는 중실(中實)의 등직경의 지지 롤러(6)를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하는 동시에, 그 지지 롤러(6)를 반송 방향에 대하여 임의의 크기(예컨대, 대, 중, 소)의 청과물(A)이 재치되도록 전후방향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하며, 또한, 반송로 양측부에 축받이된 영역(a,b,c)의 지지 롤러(6)를 반송 방향으로 평면에서 볼 때 대략 V자형(예컨대,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지지 롤러(6)의 내단측을 늦추고 외단측을 선행시킨 상태)이 되도록 배열한다. 실시예에서는, 치수가 긴 지지 롤러(6)를 반송로 일측부에 배열하고 치수가 짧은 지지 롤러(6)를 반송로 타측부에 배열하지만, 치수가 동일한 지지 롤러(6)를 반송로 양측부에 배열하여도 된다.
또한, 지지 롤러(6)는 예컨대, 합성수지, 금속, 나무등의 재질로 형성되고, 롤러의 외주면을 자유단측에서 기단측을 향하여 외경이 동일한 형상(예컨대 원통형상 또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롤러의 외주면을 자유단측에서 기단측을 향하여 지름이 커지는 형상(예컨대 원추형)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지지 롤러(6)의 외주면에, 예컨대, 돌출조, 돌기등의 접촉 저항을 부여하는 부분을 형성하거나 부설하여도 좋으며, 또는, 예컨대, 합성고무등의 접촉 저항이 큰 부재로 롤러 주위면을 형성하거나 피복하여도 좋다.
지지 롤러(6)의 중심부에 고정된 지지축(7)의 기단부를 부착틀(5)에 고정한 축받이부(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받이되고, 지지축(7)의 기단부에 고정된 풀리(9)와 반송로의 양측 하부에 축걸침된 회전축(10)과의 사이에 구동 벨트(11)(예컨대 구형 벨트)가 설치된다(예컨대 8자형으로 교차시켜 설치함). 선단측 하부에 설치한 감속기 장착 구동 모터(12)는, 스프로킷(sprocket)(13,14) 및 구동 체인(15)을 통해 회전축(10)을 동기회전시키는 동시에, 구동 벨트(11)를 통해 지지축(7)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반송로 양측부에 배열한 지지 롤러(6)를 반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선단부의 지지 롤러(6)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0)의 선단측 축주위면에 형성된 지름이 큰 축부(10a)에 구동 벨트(11)를 걸고, 반송로 중앙부를 향해서 청과물(A)이 능동적으로 이동(센터링)되는 방향으로 빠르게 회전한다.
중간부의 지지 롤러(6)는, 회전축(10)의 중간부 축주위면에 형성된 지름이 작은 축부(10b)에 구동 벨트(11)를 걸고, 선단부 및 종단부에 배열된 지지 롤러(6)의 회전 속도보다도 저속으로 회전된다. 또한, 지지 롤러(6)는 회전축(10)에 의한 회전력보다도 큰 저항이 부여되었을 때 슬립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지지 롤러(6)와 지지축(7) 또는 회전축(10)과 구동 벨트(11)를 슬립시켜, 청과물(A)의 반송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반송정지시킴으로써 반송로상에 청과물(A)을 잠시 저장시킨다.
종단부의 지지 롤러(6)는, 회전축(10)의 종단측 축주위면에 형성된 외경이 최대인 축부(10c)에 구동 벨트(11)를 걸고, 선단부 및 중간부에 배열된 지지 롤러(6)의 회전 속도보다도 빠르게 회전시켜서 지지 롤러(6)상에 반송된 청과물(A)을 반송 방향으로 가속반송하고, 반송로 중앙부에 정렬된 청과물(A)을 전후 등간격으로 이격시켜 분류용 컨베이터(3)의 리시빙 롤러(3a) 사이에 1개씩 반송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회전축(10)에 형성된 축부(10a,10b,10c)의 외경의 차에 의해 지지 롤러(6)의 회전 속도가 가변조절되지만, 예컨대, 지지 롤러(6)의 지지축(7)에 고정되는 풀리(9)의 외경의 치수를 변경시켜 지지 롤러(6)의 회전 속도를 가변설정하여도 된다.
다른 회전 방법으로서, 반송로의 전체 길이 또는 일부에 배열된 지지 롤러(6)를, 예컨대, 지지축(7)의 기단부에 스프로킷을 통해 체인을 걸거나, 롤러에 모터를 내장하거나 직결(直結)하는 등의 회전 수단에 의해 독립 또는 연동하여 회전구동시켜도 되며, 또한, 지지 롤러(6)의 주위면에 예컨대, 벨트, 고무롤러등의 부재를 압접하여 회전시켜도 된다.
또한, 선단부, 중간부, 종단부에 배열된 지지 롤러(6)의 회전 속도를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정하여도 되며, 속도 설정시에 있어서, 선단부의 지지 롤러(6)는 다른 부분에 배열된 지지 롤러(6)보다도 빠른 속도가 되도록 설정한다.
반송로상의 영역(a,b,c)에 배열된 지지 롤러(6)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방향으로 서서히 각도(영역 a,b,c의 순으로 완만해지는 각도)가 작아지도록 배열되고, 지지 롤러(6)상에 재치된 반송로 중앙부를 향하여 청과물(A)을 이동(센터링)시킨다.
예컨대, 선단측의 영역(a)에 배열된 지지 롤러(6)는 큰 각도 θ1(예컨대 약 13도)으로 설정되고, 중간부의 영역(b)에 배열된 지지 롤러(6)는 상술한 각도 θ1보다는 작고 후술하는 각도 θ3보다는 큰 각도 θ2(예컨대 약 8도)로 설정되며, 종단측의 영역(c)에 배열된 지지 롤러(6)는 상술한 각도 θ2보다 작은 각도 θ3(예컨대 약 3도)로 설정된다.
또, 영역(a,b,c)에 배열된 지지 롤러(6)를 임의의 각도(각도 θ1,θ2,θ3)로 변경하여도 좋다. 또한, 각도(θ1,θ3), 각도(θ1,θ2), 각도(θ2,θ3)로 지지 롤러(6)를 조합시켜 배열하거나, 각도(θ1,θ2,θ3)중 어느 한쌍의 각도의 지지 롤러(6)를 배열하여도 좋다.
또한, 양측부의 지지 롤러(6)는, 반송로 중앙부에서 반송로 양측부를 향하여 서서히 높아지는 각도 θ4(예컨대 약 3 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도 3 참조), 지지 롤러(6)상에 재치된 청과물(A)을 반송로 중앙부로 이동(센터링)시킨다. 또, 양측부에 배열된 지지 롤러(6)를 임의의 경사 각도 θ4로 변경하여도 좋다.
반송로의 종단부에는, 종단부에 배열된 지지 롤러(6)에 가깝게, 예컨대, 능형(菱形), 구형, 타원형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한 가이드 롤러(16)를 폭방향으로 복수개 배열하고, 또한, 반송 방향으로 서서히 낮아지도록 복수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16)는 롤러의 중심부에 삽통된 지지축(17)을 종단측 양측부에 가설한 지지틀(18)에 축걸침하는 동시에, 반송로 중앙부에서 반송로 양측부를 향하여 서서히 높아지도록 배열되고, 분류용 컨베이어(3)를 구성하는 리시빙 롤러(3a)에 대하여 청과물(A)이 반송가이드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반송로 중앙부에 정렬된 청과물(A)을 리시빙 롤러(3a)의 중앙부를 향하여 반송가이드한다.
반송로의 양측 상부에는, 반송로 중앙부를 향하여 청과물(A)이 센터링 가이드되는 간격 및 각도로 경사지게 반송 가이드(19)를 가설한다. 또, 반송로의 선단측 양측부에만 반송 가이드(19)를 가설하여도 되며, 또한, 반송 가이드(19)를 제거하여도 반송로 중앙부에 청과물(A)을 정렬시킬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물품 공급 장치(1)에 의해 다수의 청과물(A)을 1개씩 정렬공급하게 된다.
우선,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송용 컨베이어(2)에 방출된 다수의 청과물(A)을 전후 및 좌우로 분산시키면서 반송하여, 물품 공급 장치(1)의 선단측 양측부에 배열한 지지 롤러(6)에 순차로 반송한다.
이어서, 도 3,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측의 영역(a)에 배열된 각도가 큰 지지 롤러(6)를 빠르게 회전시키고, 청과물(A)을 반송로 중앙부로 적극적으로 이동(센터링)시키는 동시에, 청과물(A)을 진동 및 요동시키면서 반송하여 중합 또는 집합된 상태로 반송되는 청과물(A)을 전후로 분산시킨다.
또한, 영역(b,c)에 배열된 지지 롤러(6)에 의해 청과물(A)을 반송로 중앙부로 이동(센터링)시키면서 반송하는 동시에, 양측부의 지지 롤러(6)에 재치된 청과물(A)을 지지 롤러(6)의 경사면을 따라서 반송로 중앙부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반송로 중앙부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이송력이 작용하여, 한쪽의 지지 롤러(6) 사이에 청과물(A)이 재치되어도 지지 롤러(6)를 따라 청과물(A)이 반송로 중앙부로 이동되어, 지지 롤러(6)의 회전 및 경사에 의해 청과물(A)을 확실히 센터링할 수 있다.
또한, 영역(a,b,c)에 배열된 지지 롤러(6)를 반송 방향으로 영역 a,b,c순으로 각도가 작아지도록 배열시키기 때문에, 반송 방향의 이송력은 점점 증대하고 폭방향의 이송력은 감쇠하므로, 청과물(A)의 횡진동이 적어지고 청과물(A)의 공급 위치 및 공급 자세가 안정된다.
중간부의 지지 롤러(6)에 청과물(A)이 재치되었을 때, 청과물(A)과의 접촉 저항에 의해 지지 롤러(6)가 슬립하여 반송로상에 청과물(A)이 잠시 저장된다. 잠시 저장된 청과물(A)에 후속의 청과물(A)을 순차로 접촉시키고, 그 접촉시에 부여되는 이송력에 의해 전후의 청과물(A)을 접촉된 상태로 정렬반송한다.
다음에, 반송로 중앙부에 정렬된 청과물(A)을 분류용 컨베이어(3)의 리시빙 롤러(3a)로 옮길 때, 도 4,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c)의 종단부에 배열된 지지 롤러(6)에 의해 가속반송되어, 1열로 정렬된 청과물(A)을 전후 등간격으로 이격시켜 분류용 컨베이어(3)의 리시빙 롤러(3a) 사이에 순차로 반송되는 동시에, 종단부에 배열된 가이드 롤러(16)를 따라 1열로 정렬된 청과물(A)을 센터링 상태로 반송하기 때문에, 리시빙 롤러(3a)의 중앙부에 대하여 청과물(A)을 1개씩 정확하고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영역(a,b,c)에 배열된 지지 롤러(6)에 의해 임의의 크기의 청과물(A)을 반송로 중앙부로 이동시키면서 반송하기 때문에, 중합 또는 집합된 상태로 반송되는 청과물(A)을 전후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양측부의 지지 롤러(6)를 반송로 중앙부를 향하여 청과물(A)이 이동되는 각도로 경사지기 때문에, 지지 롤러(6)의 경사면을 따라 청과물(A)이 반송로 중앙부로 이동되고, 지지 롤러(6)의 회전 및 경사에 의해 청과물(A)을 확실히 센터링할 수 있으며, 분류용 컨베이어(3)를 구성하는 리시빙 롤러(3a)의 중앙부에 대하여 청과물(A)을 1개씩 정확하고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더구나, 종래예의 벨트(30,31)보다 지지 롤러(6) 쪽이 접촉 저항이 작고, 청과물(A)의 위치 및 자세를 수정하거나 센터링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분류용 컨베이어(3)의 리시빙 롤러(3a)에 대하여 편심 상태로 청과물(A)이 재치되거나, 청과물(A)이 중합된 상태로 반송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청과물(A)의 공급 작업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원형상의 청과물(A)이 기립 자세로 재치되어도, 지지 롤러(6)의 회전에 의해 가로로 긴 자세로 수정되기 때문에, 예컨대, 작업자의 눈, 촬상용 카메라등의 검사 수단에 의해 청과물(A)의 표리(表裏) 양면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검사할 수 있게 된다.
또, 선단측에 배열된 각도가 큰 지지 롤러(6)를 빠르게 회전시켜, 청과물(A)을 반송로 중앙부를 향해 적극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반송하기 때문에, 종래예와 같이 가이드판 등과의 접촉에 의해 청과물(A)의 반송이 방해되거나, 청과물(A)의 위치 및 자세가 변위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청과물(A)의 정렬 작업 및 분산 작업을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으며, 공급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양측부의 지지 롤러(6)를 영역 a,b,c순으로 각도가 작아지도록 배열하기 때문에, 청과물(A)의 횡진동이 점점 적어져서, 분류용 컨베이어(3)의 리시빙 롤러(3a)에 반송되는 청과물(A)의 공급 위치 및 공급 자세가 안정된다.
청과물(A)이 재치되었을 때 중간부의 지지 롤러(6)를 슬립시켜서, 반송로상에 저장되는 청과물(A)에 후속의 청과물(A)을 순차로 접촉시키기 때문에, 전후의 청과물(A)을 접촉시킨 상태로 정렬반송할 수 있으며, 종래예와 같이 청과물(A)의 간격이 불규칙해지거나 공급량이 변동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며, 청과물(A)의 공급 작업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영역(c)의 종단부의 지지 롤러(6)에 의해 청과물(A)을 가속반송하여, 1열로 정렬된 청과물(A)을 등간격으로 이격시켜 분류용 컨베이어(3)의 리시빙 롤러(3a) 사이로 반송시키기 때문에, 상술한 검사 수단에 의해 청과물(A)의 표리 양면을 확실히 검사할 수 있으며, 청과물(A)을 동일한 계급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정확히 행할 수 있으며, 분류 능력 및 분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종단부에 배열된 가이드 롤러(16)를 따라 분류용 컨베이어(3)의 리시빙 롤러(3a)에 대하여 반송 방향으로 청과물(A)을 가이드하기 때문에, 분류용 컨베이어(3)의 리시빙 롤러(3a)에 대하여 청과물(A)을 센터링한 상태로 정확하고 확실히 반송시킬 수 있으며, 청과물(A)의 외주면에 왁스가 도포되어 있어도 가이드 롤러(16)의 접촉 저항이 작기 때문에, 청과물(A)이 정체되거나 반송이 방해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며, 청과물(A)의 반송 작업을 원활히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과, 상술의 실시예와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물품은 실시예의 청과물(A)에 대응하고,
이하 동일하게,
회전 수단은, 지지축(7), 풀리(9), 회전축(10), 구동 벨트(11), 구동 모터(12), 스프로킷(13,14), 구동 체인(15)에 대응하지만,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예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외경이 동일하게 형성된 지지 롤러(6)를 반송로의 양측부에 배열하지만, 예컨대, 임의의 외경(예컨대 대, 중, 소)으로 형성된 지지 롤러(6)를, 반송로의 선단측에서 종단측을 향해 외경이 작아지는 순으로 배열 또는 교대로 배열하여도 되고, 청과물(A)을 정렬 및 센터링한 상태로 반송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송로의 전체 길이 또는 일부에 배열된 지지 롤러(6)를 임의의 각도(각도 θ1~θ4)로 설정하여도 된다.
또, 분류용 컨베이어(3)를 구성하는 리시빙 롤러(3a)로 청과물(A)을 1개씩 반송하지만, 예컨대, 건반형으로 배열된 리시빙 판 또는 버킷, 컵, 트레이 등의 재치부로 반송하는 작업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실시예와 같은 용도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분류용 컨베이어(3)의 선단측 상부에, 청과물(A)의 상부 주위면에 대하여 압착된 상태로 느슨하게 자세 유지 벨트(20)를 걸고(도 2의 가상선으로 표시함), 분류용 컨베이어(3)의 리시빙 롤러(3a)로 반송되는 청과물(A)에 자세 유지 벨트(20)를 압착하면서 반송하여도 좋으며, 이에 의해, 반송시에 있어서 청과물(A)의 위치, 자세, 간격이 변위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면에서 볼 때 대략 V자형으로 배열된 지지 롤러에 의해 물품을 반송로 중앙부로 이동시키면서 반송하기 때문에 중합 또는 집합된 상태로 반송되는 물품을 전후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물품이 확실히 정렬 및 센터링되기 때문에 예컨대, 분류용 컨베이어의 중앙부 재치면에 대하여 물품을 1개씩 정확하고 확실히 반송할 수 있으며, 다수의 물품을 소정의 위치, 간격, 자세로 정돈시켜 공급하는 작업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종래예의 벨트보다 지지 롤러 쪽이 접촉 저항이 작아서, 물품의 위치 및 자세를 수정하거나 센터링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분류용 컨베이어에 대하여 편심 상태 또는 중합된 상태로 재치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며, 물품의 공급 작업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타원형상을 갖는 물품이 기립 자세로 재치되어도 지지 롤러의 회전에 의해 가로로 긴 자세로 수정되기 때문에, 예컨대, 작업자의 눈, 촬상용 카메라등의 검사 수단에 의해 물품의 표리 양면을 정확히 또한 확실히 검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단측에 배열된 각도가 큰 지지 롤러에 의해 물품을 반송로 중앙부를 향해 적극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반송하기 때문에, 종래예와 같이 가이드판 등과의 접촉에 의해 물품의 반송이 방해되거나 물품의 위치 및 자세가 변위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선단측의 지지 롤러를 빠르게 회전시켜 다수의 물품을 반송 방향에 대해 적극적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물품의 분산 및 정렬 작업을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으며, 공급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양측부의 지지 롤러를 반송 방향으로 각도가 서서히 작아지도록 배열하기 때문에, 반송 방향의 이송력은 점점 증대하고 폭방향의 이송력은 감쇠되므로, 물품의 횡진동이 적어지고 물품의 공급 위치 및 공급 자세가 안정되게 된다.
또한, 지지 롤러의 경사면을 따라 물품을 반송로 중앙부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한쪽의 지지 롤러에 물품이 재치되어도 지지 롤러의 회전 및 경사에 의해 물품을 확실히 센터링할 수 있으며, 종래예와 같이 분류용 컨베이어의 재치면에 대하여 편심 상태로 물품이 재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중간부의 지지 롤러를 물품이 재치되었을 때 슬립시켜 반송로상에 저장된 물품에 후속의 물품을 순차 접촉시키기 때문에, 전후의 물품을 접촉된 상태로 정렬반송시킬 수 있고, 종래예와 같이 물품의 간격이 불규칙해지거나 공급량이 변동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며, 물품의 공급 작업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 종단측의 지지 롤러에 의해 물품을 반송 방향으로 가속반송시키고 1열로 정렬된 물품을 전후로 이격시켜 다음 공정에 공급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검사 수단에 의해 물품의 표리 양면을 확실히 검사할 수 있고, 물품을 분류하는 작업을 확실히 행할 수 있으며, 분류 능력 및 분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단부에 배열된 가이드 롤러를 따라 물품을 센터링 상태로 반송하기 때문에 물품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으며, 물품의 외주면에 왁스가 도포되어 있어도 가이드 롤러의 접촉 저항이 작기 때문에, 물품이 정체되거나 그 반송이 방해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물품의 반송 작업을 원활히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물품 공급 장치에 의한 정렬 동작 및 공급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물품 공급 장치에 의한 정렬 동작 및 공급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청과물의 센터링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청과물의 반송(transfer)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선단측에 배열된 지지 롤러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종단측에 배열된 지지 롤러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제1 종래예의 공급 장치에 의한 공급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제2 종래예의 공급 장치에 의한 공급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청과물 a,b,c: 영역
1: 물품 공급 장치 2: 운송용 컨베이어
3: 분류용 컨베이어 3a: 리시빙 롤러
6: 지지 롤러 7: 지지축
9: 풀리(pulley) 10: 회전축
11: 구동 벨트 12: 구동 모터
13,14: 스프로킷 15: 구동 체인
16: 가이드 롤러 19: 반송 가이드

Claims (12)

  1. 물품 공급 장치에 있어서,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로 상에, 상기 물품이 재치되는 전후 간격을 두고 다수의 지지 롤러가 반송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지지 롤러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평면에서 볼 때 대략 V자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다수의 지지 롤러를 물품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반송로 양측부의 지지 롤러를 반송로의 상류 단부에서 하류 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각도가 작아지도록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의 선단측에 축받이된 지지 롤러를 반송 방향으로 각도가 커지도록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공급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의 선단측에 배열된 지지 롤러를 상기 선단측 후단에 배열된 지지 롤러의 회전 속도보다도 빠른 속도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공급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 양측부의 지지 롤러를 반송로의 선단측에서 종단측을 향해서 서서히 각도가 작아지도록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공급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 양측부의 지지 롤러를 반송로의 중앙부에서 양측부를 향해서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공급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 양측부의 지지 롤러를 반송로의 중앙부에서 양측부를 향해서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공급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의 중간부에 배열된 지지 롤러를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한 회전력보다도 큰 저항이 부여되었을 때 슬립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공급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의 중간부에 배열된 지지 롤러를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한 회전력보다도 큰 저항이 부여되었을 때 슬립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공급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의 종단측에 배열된 지지 롤러가 상기 종단측 전단에 배열된 지지 롤러의 회전 속도보다도 빠른 속도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공급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의 종단측에 배열된 지지 롤러가 상기 종단측 전단에 배열된 지지 롤러의 회전 속도보다도 빠른 속도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공급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의 종단측에 배열된 지지 롤러가 상기 종단측 전단에 배열된 지지 롤러의 회전 속도보다도 빠른 속도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공급 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의 종단부에 배열된 지지 롤러에 가깝게, 상기 지지 롤러보다도 작은 가이드 롤러를 폭방향으로 복수 배열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 롤러를 상기 반송 방향으로 서서히 낮아지도록 복수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공급 장치.
KR1019980046051A 1998-01-13 1998-10-30 물품공급장치 KR100659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7827 1998-01-13
JP1782798A JPH11199033A (ja) 1998-01-13 1998-01-13 物品供給装置
JP??10-17827 1998-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801A KR19990066801A (ko) 1999-08-16
KR100659190B1 true KR100659190B1 (ko) 2008-01-21

Family

ID=1195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6051A KR100659190B1 (ko) 1998-01-13 1998-10-30 물품공급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928758A1 (ko)
JP (1) JPH11199033A (ko)
KR (1) KR100659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373B1 (ko) * 1999-06-24 2002-04-12 정희문 오토바이용 2중관 머플러의 밴딩을 위한 메움재 공급장치
KR100393379B1 (ko) * 2000-08-17 2003-07-31 대한민국 사과꼭지를 위로 향하도록 자세를 교정하여 하나씩공급하는 장치
DE102006058633A1 (de) 2006-12-13 2008-06-19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socyanaten in der Gasphase
CN108057654A (zh) * 2017-12-21 2018-05-22 南京因坦利软件有限公司 一种计算机硬件生产用主板除杂装置
CN108486981B (zh) * 2018-03-01 2020-09-22 温州品力智能幕墙门窗有限公司 一种汽车上下坡辅助装置
CN113696063A (zh) * 2021-08-23 2021-11-26 温州市安耐管件有限公司 一种角钢自动上料除锈装置
CN114056654B (zh) * 2021-11-16 2023-08-04 广东水利电力职业技术学院(广东省水利电力技工学校) 椭圆状水果定向排列抓取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1049A (en) * 1951-06-07 1955-02-01 Adamson Stephens Mfg Co Speed adjusting conveyer for connecting two conveyers running at different speeds
DE3214350C2 (de) * 1981-05-08 1986-05-28 E.C.H. Will (Gmbh & Co), 2000 Hamburg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Blattlagen
JPS6087110A (ja) * 1983-10-15 1985-05-16 Hitachi Battery Hanbai Service Kk 物品の整列装置
JPS61145020A (ja) * 1984-12-19 1986-07-02 Iseki & Co Ltd 果実等整列装置
US5400896A (en) * 1993-10-13 1995-03-28 Western Atlas Inc. Unscrambling convey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28758A1 (en) 1999-07-14
JPH11199033A (ja) 1999-07-27
KR19990066801A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0490B2 (ja) 果菜自動選別装置用の果菜載せ体と、果菜自動選別装置と、果菜自動選別方法
KR100659190B1 (ko) 물품공급장치
US6170637B1 (en) Article feeding apparatus
JP4806669B2 (ja) 農産物分別装置
JP6818347B2 (ja) 果菜自動選別方法と果菜自動選別装置
JPH1029721A (ja) 果菜物供給装置
JP4093659B2 (ja) 物品供給装置
JPH11199034A (ja) 物品供給装置
JP4172991B2 (ja) 物品供給装置
JPH11301840A (ja) 物品供給装置
JP2000007141A (ja) 物品供給装置
JPH11343024A (ja) 物品供給装置
JPH10279060A (ja) 物品搬送装置
JP2003237949A (ja) 容器反転装置
JP2647043B2 (ja) 塊状青果物の高速整列供給装置
JP3396073B2 (ja) 小物品の外観検査装置における振り分け装置
JP2000281213A (ja) 物品供給装置
JPH04272021A (ja) 円形偏平物品の検査用姿勢変換装置
JP2003292147A (ja) 物品供給装置
JP2003176017A (ja) 物品供給装置
JP2003118829A (ja) 物品供給装置
JP2000118686A (ja) 物品供給装置
JP3626848B2 (ja) 農産物の移載装置
JP4046797B2 (ja) 物品搬送装置
JPH0734016Y2 (ja) 農産物の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