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479B1 - 핸드레일용 가설부재 - Google Patents

핸드레일용 가설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479B1
KR100653479B1 KR20010053897A KR20010053897A KR100653479B1 KR 100653479 B1 KR100653479 B1 KR 100653479B1 KR 20010053897 A KR20010053897 A KR 20010053897A KR 20010053897 A KR20010053897 A KR 20010053897A KR 100653479 B1 KR100653479 B1 KR 100653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temporary
horizontal
support
horizont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53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9109A (ko
Inventor
타다히코후지시로
다케요시카도와키
Original Assignee
유갱가이샤 라릿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갱가이샤 라릿크 filed Critical 유갱가이샤 라릿크
Publication of KR20020089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479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성 및 강도의 측면에서 잇점이 많은 쐐기방식을 개량한 것으로, 정숙한 시공이 가능하고, 안정성이 높은 발판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를 제공한다.
발판 등에 있어서의 지주의 끼워넣기부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로서, 수평부재와, 수평부재의 일단에서 경사로 연장되는 경사부재로 되고, 상기 수평부재의 양단 및 경사부재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선단에는 접속지지구를 구비하고, 접속지지구는 상기 끼워넣기부에 삽입 가능한 하향의 끼움부를 구비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상면을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끼움부와 끼워넣기부 사이에 박아 넣어지는 쐐기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경사부재를 수평부재에 대하여 고정 가능하게 접합한다.
건축, 발판, 핸드레일, 부평부재, 경사부재

Description

핸드레일용 가설부재{Temporary handrail members for scaffold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경사부재의 접합부의 확대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접속지지구의 확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접속지지구의 확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주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른 지주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제1실시형태의 적용예를 보인 설명도.
도 8은 제2실시형태에 의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의 정면도.
도 9는 제3실시형태에 의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의 정면도.
도 10은 제4실시형태에 의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의 정면도.
도 11은 제4실시형태에 의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의 부착순서를 보인 공정도.
도 12는 제5실시형태에 의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의 부착순서를 보인 공정도.
도 13은 제6실시형태에 의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의 정면도.
도 14는 종래 기술을 설명한 발판 등의 설명도.
도 15는 종래 기술에 대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평부재 2 ..... 접합부
2a ..... 경사부재의 열림방지 스토퍼
3 ..... 경사부재 4 ..... 접속지지구
4a ..... 걸림부 4b ..... 걸림부의 관통공
4c ..... 걸림부의 끼움부 4d ..... 쐐기부재
4e ..... 쐐기부재의 빠짐방지부재 4f ..... 턱부분
100 ..... 지주 101 .... 지주의 끼워넣기부
본 발명은, 건축용 조립 프레임용 발판 또는 소규모용 발판 등의 공사용 발판(이하에서는 단순히 발판이라고 칭함) 또는 센터링 공사장(이하에서는 발판과 센터링공사장을 총칭하여 발판 등이라고 칭함)에 작업원이나 자재의 낙하방지를 목적으로 부착되는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에 관한 것으로, 발판 등의 지주를 겸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건축 공사에서는 기초의 주위에 발판등이 가설되지만, 특히 2층 이상의 건물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작업원이나 자재의 낙하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발판 등에 핸드레일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대표적인 구조를 도 14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종래, 발판 등(50)을 구축하는 지주 등의 지주(60) 사이에 단파이프로 되는 핸드레일(70)을 부착한다. 그리고 80은 작업원이 보행하기 위한 판이 부착된 프레임이다. 또한 핸드레일(70)의 지주(60)에 대한 부착 수단으로서는, 하나의 자리에 파이프를 파지하는 클램프를 한쌍으로 설치하는 소위 자재형 혹은 직교형의 더블클램프가 사용되는 것이 많았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핸드레일(70)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었다. 첫번째로 안전성에 관한 문제이다. 즉 종래의 핸드레일(70)은 지주(60) 사이에 수평으로 가설되지만, 통상 상하의 직물프레임(80)의 사이에 하나 내지 둘의 핸드레일(70) 밖에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핸드레일(70)의 상하에 구형의 비교적 큰 공간(90,90)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90)에서 자재 등이 낙하하기 쉽다.
두번째로 발판 등(50)의 강도에 관한 문제이다. 즉 종래의 핸드레일(70)은 통상 수평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브레이스(brace)와 같이 발판 등을 보강하는 기능을 발휘하지 않는다. 그리고 종래의 핸드레일(70)은 상술한 더블클램프에 의하여 지주(60)에 대하여 입체적으로 교착하여 설치되는 것이 많기 때문에, 발판 등(50)을 완전한 트러스 구조로 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발판 등의 흔들림을 회피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그리고 마직막으로 기공성에 관한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핸드레일(70)은 더블클램프에 의하여 부착되는 것이 많고, 이러한 더블클램블는 볼트 체결을 필요 로 하기 때문에, 발판 등 구조의 시공성이 좋지 않다. 또한 자재 등의 낙하 사고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구간에 있어서 핸드레일(70)의 설치수를 증가시키고 있지만, 이것에 의하여 시공성 악화가 더욱 조장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최근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도 식 위상차를 가지는 사방 포켓형상의 끼워넣기부(101)을 용접한 건축용 프레임등의 지주(100)가 개발되고, 핸드레일(110)으로서도 양단에 상기 끼워넣기부(101)에 삽입되는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형식의 핸드레일에서는 더블클램프를 사용하지 않도록 됨과 동시에 상기 끼워넣기부에 끼워지는 부분을 지주(100)의 끼워넣기부(101)에 끼우는 것으로 핸드레일의 부착이 완료되기 때문에 간단하다. 또한 더블클램프의 사용시와 같이 핸드레일이 지주(100)와 입체적으로 교착하는 것 없이, 핸드레일을 인접하는 지주(100) 사이에서 형성되는 평면과 동일면 상에서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것 보다는 강도가 높은 발판 등을 건축하는 것이 가능한 잇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의한 핸드레일에 의해서도,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상기 핸드레일은, 그 부착의 경우, 삽입되는 부분을 직접 끼워넣기부(101)에 햄머 등을 이용하여 박아넣어 지지만, 종래의 핸드레일은 그 양단에 끼워넣기부를 용접하여 일체화한 것이기 때문에, 삽입되는 부분이 망치에 의하여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발생하는 햄머음이 직접 지주(100) 이나 핸드레일을 진동시키고, 이들은 통상 중공 파이프로 되기 때문에, 그 내부에서 햄머음이 공진하고, 소음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모든 부품이 금속제이기 때문에 그 높은 공명음은 멀리까지 전달되고 넓은 범위에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특히 시공성이나 강도의 면에서 이점이 많은 상술한 방식을 개량한 것으로, 조용한 시공이 가능하고, 더욱이 안전성이 높은 발판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발판 등에 있어서의 지주의 끼워넣기부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로서,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일측단에서 경사로 연장되는 경사부재로 되고, 상기 수평부재의 양단 및 상기 경사부재 가운데 어느 하나의 선단에는 접속지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지지구는 상기 끼워넣기부에 삽입 또는 걸쳐서 끼우는 것이 가능한 끼움부를 구비하는 가고정용의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상면을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원호와 끼워넣기부 사이에 박어 넣어지고, 수평부재 등과는 별체로 쐐기부재로 구성되는 수단을 사용한다. 경사부재는 자재 등의 낙하 방호용 부재인 외에 발판 등의 브레이스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브레이스 겸용 핸드레일로서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부착의 대상은, 작업원의 고소 보행용 구조체인 발판 외에, 건축물의 베란다나 거실 등을 지지하는 구조체인 지지체가 주로 해당한다. 단, 부착의 대상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대상 구조체가 끼워지는 부분을 구비하는 지주를 구비한 것이면, 그 연설부분에 본 발명의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항에서는, 끼움부를 하향시키는 수단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걸림부를 용이하게 지주의 끼워넣기부에 가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3항에서는, 경사부재를 수평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접합하는 수단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경사부재를 수평부재와 일직선상으로 중첩하도록 접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술한 수단에 의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의 부착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부착을 필요로 하는 층에 있어서 부착작업이 진행된다. 즉 발판 등의 2층 부분에 본 발명의 가설부재를 부착하는 경우, 작업원은 실제로 2층에 서서 본 발명의 가설부재를 부착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핸드레일을 부착 목적의 층보다 밑에 층에서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면, 본 발명의 가설부재의 부착작업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다. 즉, 2층에 핸드레일을 부착하는 경우는, 1층에서, 3층에서 부착하는 경우에는 2층에서 핸드레일의 부착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면, 윗층의 핸드레일 부착작업이 완료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원은 핸드레일에 의한 낙하가 방지되는 상태로 핸드레일을 순차적으로 상층으로 부착하여 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선행 핸드레일로 하기 위해서, 제4항에서는 수평부재의 경사부재를 접합하지 않은 타측단부의 접속지지구를 상기 타측단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수단을 이용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면, 수평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한 접속지지구, 수평부재의 일측단의 접속지지구, 최후에 경사부재의 접속지지구의 순으로 부착해 나가는 것이 가능하게 되지만, 최초의 접속지지구의 부착은,그 회전구조에 의하여 수평부재를 직립한 상태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다음의 접속지지구의 부착도 상기 회전구조에 의하여 수평부재를 수평상태로 해가면서 가능하게 된다.
제5항에서는 경사부재와 수평부재의 접합부에, 경사부재를 소정각도로 유지하는 열림방지스토퍼를 설치하는 수단을 사용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면, 경사부재는 상기 소정각도 를 최대의 열림각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소정각도를 어떠한 것으로 하는가는 부착의 대상으로 되는 지주 등의 간격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6항에서는, 경사부재에 L자형의 보강재를 설치하는 수단을 사용한다. 이러한 것에 의하여 자재 등의 낙하방호 기능을 높일 수 있다.
제7항에서는, 경사부재에, 그 중간을 축으로 회전 가능한 보강재가 설치되고, 이러한 보강재는 상기 끼워넣기부로의 삽입부를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수단에서도 제4항과 동일하게 보강재에 의한 낙하방호기능의 향상이 얻어지는 이외에 발판 등의 구조강도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제8항에서는, 특히 발판 등의 측면에 부착되는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를 개시한다. 즉 발판 등에 있어서의 지주의 끼워넣기부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로서,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중간부분 보다 좌우 경사하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부재로 되고, 상기 수평부재의 양단 및 상기 양경사부재의 각 선단에는 접속지지구를 구비하는 전체구조를 구비한다. 접속지지구의 구성은, 제1항의 것과 동일하다.
제9항에서는, 이들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의 접속지지구로서, 더욱이 걸림부의 하부에 지주과 당접 가능한 턱부분을 설치하는 수단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의 가고정시에 걸림부로의 집중적인 하중이 없어지고, 하중은 턱부분에도 분산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보이는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의 정면도이다. 이러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는, 수평부재(1)의 일측단에 리벳부재 등의 접합부(2)를 통하여 경사부재(3)를 솔잎과 같은 형상으로 부착하여 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1)의 양선단 및 경사부재(3)의 일단에는 지주로의 접속지지구(4)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부재(3)를 회전 가능한 접합구조를 구비하는 리벳에 의하여 수평부재(1)에 부착한다. 따라서 미사용시에는 경사부재(3)는, 수평부재(1)와 일직선상으로 되도록 접어두어서, 운반 및 보관의 경우에 편리하게 한다. 단 상기 접철 기능을 발휘하는 접합구조는 리벳(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볼트 및 너트 등과 다른 공지된 구조를 취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더욱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경사부재(3)의 최대 열림각도를 규제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부(2)에 열림 방지 스토퍼(2a)를 설치한다. 상기 스토퍼(2a)는, 소정 두께의 금속 플레이트의 주연에 가공을 실시한 것을 접합부(2)에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한 것이다. 그리고 형상적인 특징으로서, 그 상부주연을 직선상으로 하여 규제부(2b)로 하는 것과 동시에, 이것과 연결되는 좌우 주연의 수평부재(1), 경사부재(3)의 일측 부분ㅇ(도면에서는 우측 주연부)을 원호상으로 하여 회전허용부(2c)로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경사부재(3)는 최대 열림 각도에 도달한 때, 상기 직선형상 규제부(2b)가 수평부재(1)의 일부와 간섭되는 것에 의하여, 그 이상 경사부재(3)가 열리는 것이 규제된다. 한편 이렇게 열린 상태에서 경사부재(3)을 수평부재(1) 측에 접은 때에는, 상기 원호상의 회전허용부(2c)는 수평부재(1)와 간섭하지 않아서, 경사부재(3)의 리벳 등에 의한 회전 동작은 지장없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부재(3)의 최대 열림각도를 규제한 것으로, 경사부재(3)가 임의로 예를 들여 90도로 열릴 때, 그 선단이 하단에서 작업중인 사람에게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경사부재(3)는 수평부재(1) 보다 길고, 또한 부착하고자 하는 지주 간격에 의해서는 더욱 길게 설정되지만, 이러한 경우에 불의의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점에서 유용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접속지지구(4)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사방에 끼워넣기부(101)를 형성한 지주(100)에 고정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구비한다. 즉, 지주(100)의 끼워넣기부(101)에 삽입 또는 걸림에 의하여 가고정 가능한, 단면 コ자형상의 걸림부(4a)를 구비하고, 더욱이 상기 걸림부(4a)와는 별체로 쐐기부재(4d)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부(4a)의 상면에는 쐐기부재(4d)가 상하에 관통 가능한 관통공(4b)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걸림부(4a)의 선단에는 끼워넣기부(101)에 삽입 가능한 끼움부(4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4e는, 쐐기부재(4d)의 선단에 설치되는 반구상의 빠짐방지부재이고, 별체로 하는 쐐기부재(4d)가 상기 관통공(4b)에서 불필요하게 탈락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또한 도면중에서 4f는 걸림부(4a)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턱부분이고, 상기 턱부분(4f)가 지주(100)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걸림부(4a)에 의한 가고정시에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의 수평부재(1)를 거의 수평으로 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걸림부(4a)로의 하중을 분산시켜, 상기 걸림부(4a)의 국부적인 피로를 경감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턱부분(4f)에도 쐐기부재(4d)의 관통공(4g)를 형성하여 두고, 상기 관통공(4g)에 있어서는 상기 빠짐방지부재(4e)를 삽입, 관통 가능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지지구(4)에 있어서의 걸림부(4a)의 선단 끼움부(4c)는, 상기 접속지지구(4)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지지구(4)의 횡폭(A) 보다 약간 협소한 폭(B)로 하고 있다. 이것은 일정한 내하중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접속지지구(4)는 지주(100)의 끼워넣기부(101) 보다 횡폭이 크게 되지만, 그대로의 상태에서 걸림부(4a)를 구부리는 가공을 하는 것으로는, 선단 끼움부(4c)가 끼워넣기부(101)에 삽입할 수 없게 되기 때문으로, 이것을 처리하기 위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끼워넣기부(101)의 내부 또는 선단 끼움부(4c)를 폭이 좁게 가공하고, 상기 끼움부(4c)를 끼워넣기부(101)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를 발판 등에 있어서의 지주(10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수평부재(1) 양단에 있는 접속지지구(4)의 끼움부(4c)를 지주(100)의 좌우의 끼워넣기부(101)에 끼워서 또는 걸리도록 하여 가고정하여 둔다. 그리고 경사부재(3)의 걸림부(4a)는, 수평부재(1)의 접속지지구(4)를 가고정한 위치 보다 한단계 밑의 끼워넣기부(101)에 가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의 상하로 연속하여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를 부착하여 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의 가공정이 끝나면, 다음에는 각 접속지지구(4)에 있어서의 쐐기부재(4d)를 수직으로 세우고, 그 후단을 햄머 등의 수동공구를 이용하여 끼워넣기부(101)에 박아 넣는다. 이 때 쐐기부재(4d)는, 수평부재(1)나 경사부재(3)과는 별체로 구비되고, 쐐기부재(4d)의 햄머음이 직접 수평부재(1)나 경사부재(3)으로 타고 가지 않게 되는 점, 상기 쐐기부재(4d)는 걸림부(4a)의 끼움부를 지주(100) 측으로 후퇴시키면서 서서히 긴밀함을 증가시키면서 끼워넣기부(101)에 박히는 점 등에서, 종래의 쐐기부재에 의한 체결수단에 비하여 타격음이 작고, 공명음도 가급적 작게 되어, 조용상 상태에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쐐기부재(4d)를 박아넣는 것에 의하여,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의 부착은 완료되지만, 그 사이에 더블클램프 등을 일체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성이 극히 좋아지고, 또한 가고정 후에 쐐기부재(4d)를 박아넣도록 하고 있어서, 거의 한사람의 작업원으로도 안정한 상태로 가고정 및 쐐기부재(4d)를 박아넣는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을 안전하면서도 확실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경사부재(3)에 의하여, 수평부재(1)와 판이 부착된 직물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대각선상으로 차폐한 것으로, 상기 공간의 간격이 협소화되고, 자 재 등의 낙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에 의하면 수평부재(1), 경사부재(3)와도 인접하는 지주 사이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고, 또한 상술한 독자의 쐐기방식에 의하여 체결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트러스 구조를 가지고, 강도가 높은 발판 등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부착의 대상으로 되는 지주는, 사방에 끼워넣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반(200) 상에 끼워넣기공(201)을 형성한 것이어도 충분히 가능하다. 단 여기서 사방으로 한 것은, 건출물을 둘러싸도록 박스형상으로 발판 등이 형성되는 경우에, 그 코너에서는 끼워넣기부를 사방으로 형성한 지주가 필요한 이유에 기초하고 있는 것으로, 반드시 끼워넣기부가 사방에 구비되어 있어야 할 필요는 없다. 즉, 별도의 적용예로서는, 발판 등의 정면에 있어서, 좌우의 한쌍의 끼워넣기부가 구비되어 있는 지주이어도 본 발명의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는 충분히 부착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더욱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넣기공이 없어도, 플랜지(F)가 주변에 설치된 원반상의 끼워넣기부에도 본 발명의 부착의 대상으로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플랜지가 부착된 원반형상의 끼워넣기부에 본 발명의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하향의 끼움부(4c)를 플랜지(F)에 끼워 걸리게 하는 것으로 가고정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쐐기부재(4d)를 박아넣는다. 그리고 쐐기부재(4d)을 박아서 넣는 양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하여, 끼움부(4c)는 플랜지(F)와 밀접하게 되고, 접속지지구(4)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서 4f는 턱부분이고, 4g는 쐐기부재(4d)의 선단을 피하는 관통공이며, 기본적이 구성 및 기능을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재(3)를 수평부재(1)의 상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경사부재(3)를 회전 가능하게 수평부재(1)에 접합하는 것이나, 상기 접합부(2)에 경사부재(3)의 열림 멈춤 스토퍼(2a)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경사부재(3)의 상하에 L자형의 보강재(5,5)를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보강재(5,5)에 의하여 수평재(1)와 판부착된 직물프레임(8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보다 협소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경사부재(3)의 중간에 리벳부재(6)를 개재하여 좌우 보강재(7,7)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보강재(7)의 선단에는 지주(100)의 끼워넣기부(101)로의 삽입부(8)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2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공간을 협소화하여 자재 등의 낙하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보강재(7)에 의하여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의 비틀림 강도가 증가되고, 결과적으로 보다 강도가 높은 발판 등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에 있어서는, 부착하고자 하는 계단에 작업원이 서서 부착 작업을 진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 그 계단에서는 아직 핸드레일용 가설부재가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완전한 낙하방지는 기대하기 어렵다. 여기서 보다 안전하게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서, 선행 부착이 가능한 제4실시형태에 의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의 특징은, 수평부재(1)의 양단에 설치되는 접속지지구(4) 가운데, 경사부재(3)를 접합하지 않는 타단의 접속지지구(4')를 수평부재(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점에 있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의 부착 순서를 보인 것이다. 우선, 작업원(W)은 부착하고자 하는 계단의 한층 아래의 계단에 서서, 수평부재(1)와 경사부재(3)의 접합부(2) 측의 접속지지구(4)를 쥐고, 수평재(1)를 거의 직립한 상태로, 수평재(1)의 타단의 접속지지구(4')를 윗층의 끼워넣기부(101)에 걸리게 하여 가고정한다(도면중의 A부분 참조). 도시한 바에서는 경사부재(3)을 접은 상태를 보이고 있지만, 이들은 열려 있어도 지장이 없다.
다음에 수평부재(1)와 경사부재(3)의 접합부(2) 측의 접속지지구(4)를 상방으로 잡아올리는 것이지만(도면의 B부분 참조), 이 때 작업원(W)은 수평부재(1)가 수평상태로 되도록, 경사부재(3)의 선단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접속지지구(4)를 윗층의 끼워넣기부(101)에 걸리도록 또는 걸쳐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도면의 C부분 참조).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수평재(1)의 양단의 접속지지구(4,4')의 끼워 걸리게 하는 것이 완료되면, 경사부재(3)의 접속지지구(4)를 끼워넣기부(101)에 걸리게 하여, 일단의 가고정은 완료한다. 그 후, 쐐기부재를 박아넣음으로써, 일련의 부착작업을 완료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제4실시형태에 관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에 있어서는, 아랫층에서 선행 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순서를 따르면, 작업원(W)은 핸드레일이 가설 된 상태로 윗층에 핸드레일을 부착하여 가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작업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에 있어서도, 상술한 열림방지 스토퍼나 보강재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접속지지구(4) 자체의 구조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다. 단, 이러한 부착작업의 용이성을 감안하면, 경사부재(3)의 열림방지 스토퍼를 설치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 경사부재(3)가 회전 자유로운 편이, 자유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열림방지 스토퍼를 설치하여도 좋고, 더욱이 수평부재(1)에 경사부재(3)이 고정설치된 상태이어도 좋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수평부재(1)와 경사부재(3)를 회동 불가능하게 강제적으로 접속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접합부에 상당하는 접속지지구(4")를 회동 가능하게 하여 두면, 선행 핸드레일로서 아랫층에서 윗층 핸드레일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5실시형태로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수평부재(1)와 경사부재(3)의 접합부에 상당하는 회전 가능한 접속지지구(4")의 끼움부(4"c)를 지주의 끼워넣기부(101)에 삽입하여 걸리게 하여 가고정(도면의 A부분)하고, 다음에 경사부재(3)를 잡아올리는것에 의하여 수평부재(1)의 선단의 접속지지구(4)를 지주의 끼워넣기부(101)에 걸리게 하며(도면의 B부분 참조), 최종으로 경사부재(3)의 선단의 접속지지구(4)에 대하여 동일하게 끼워넣기부(101)에 걸리게 하는 것이다(도면의 C부분 참조). 그리고 여기서는 수평부재(1)와 경사부재(3)의 접합부에 상당하는 접속지지구(4")을 회전 가능하게 하지만, 이것을 포함하여 접속지지구(4)의 전체를 회전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수평부재(1)와 경사부재(3)를 회동 불가능하게 접속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제5실시형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를 선행 부착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다. 단, 수평부재(1)와 경사부재(3)를 회동 불가능하게 접합한 경우, 이들을 선행 부착하는 경우에는, 제5실시예와 같이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3은, 발판 등의 측면에 부착되는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를 보인 것이다. 즉, 상기 제1실시예에서 제5실시예까지의 실시형태에 의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가 발판 등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정면 측에 부착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그 제6실시형태에 의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는, 발판 등의 측면에 부착된 것으로, 예를 들면 일직선상 혹은 끝단이 있는 형상으로 구축된 발판 등의 종단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는, 수평부재(10)의 중간에서 좌우 각각에 경사부재(11,12)를 경사 하방에 설치하여 두고, 각단에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조의 접속지지구(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의 부착 방법도, 상기 실시형태와 어떠한 변형도 없고, 우선 접속지지구(13)의 각 걸림부(14)를 지주(100)의 끼워넣기부(101)에 가고정하여 두고, 그 후 쐐기부재(15)를 박아넣어서 부착을 완료한다.
그리고 이러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에 있어서도, 경사부재(11,12)에 의하여 자재 등의 낙하가 유효하게 방지될 수 있음을 시작으로, 작은 인원으로 시공성이 좋고, 더욱이 정숙하게 부착되며 발판 등의 강도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를 걸림부와 쐐기부재의 2개의 부재에 의하여 발판 등 지주에 부착하도록 한 것으로, 걸림부에 의하여 적은 인원으로 시공성이 좋은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를 가고정 가능하고, 더욱이 쐐기부재의 박아넣기에 의하여, 지금보다 작은 인원으로 핸드래일용 가설부재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쐐기부재의 박아넣기시 발생하는 음도 종래의 쐐기방식의 것에 비하여 극히 작게 된다. 더욱이 경사부재가 방호재로 되어 자재등의 낙하방지를 유효하게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경사부재가 브레이스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강도가 높은 발판 등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한 등, 종래 기술에서 얻어지지 않는 여러자기 실용적 효과를 발휘하는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선행 부착이 가능한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로 한 것으로, 보다 안전하게 가설부재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9)

  1. 발판 등에 있어서의 지주의 끼워넣기부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로써;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일단에서 경사로 연장되는 경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부재의 양단 및 상기 경사부재 중의 어느 하나의 선단에는 접속지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지지구는 상기 끼워넣기부에 삽입 또는 걸려 지지되는 가능한 끼움부를 구비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상면을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끼움부와 끼워넣기부 사이에 박아 넣어지는 쐐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용 가설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끼움부는 하방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용 가설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재를 수평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용 가설부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평부재의 경사부재를 접합하지 않는 타단의 접속지지구를 상기 타단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용 가설부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재와 수평부재의 접합부에는, 경사부재를 소정 각도로 유지하는 열림방지 스토퍼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용 가설부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재에는, L자형의 보강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용 가설부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재에는, 그 중간을 축으로 회전 가능한 보강재가 설치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끼워넣기부로의 삽입부를 설치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용 가설부재.
  8. 발판 등에 있어서의 지주의 끼워넣기부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핸드레일용 가설부재로서,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에서 좌우 경사 하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부재의 양단 및 상기 경사부재의 각 선단에는 접속지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지지구는 상기 끼워넣기부에 걸쳐지는 하향의 끼움부를 구비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상면을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끼움부와 끼워넣기부 사이에 박아넣어지는 쐐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용 가설부재.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지지구는, 걸림부의 하부에 지주와 접촉 가능한 턱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용 가설부재.
KR20010053897A 2001-05-21 2001-09-03 핸드레일용 가설부재 KR100653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50722 2001-05-21
JP2001150722 2001-05-21
JPJP-P-2001-00223298 2001-07-24
JP2001223298A JP3400794B2 (ja) 2001-05-21 2001-07-24 手摺り用仮設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109A KR20020089109A (ko) 2002-11-29
KR100653479B1 true KR100653479B1 (ko) 2006-12-04

Family

ID=2661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53897A KR100653479B1 (ko) 2001-05-21 2001-09-03 핸드레일용 가설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400794B2 (ko)
KR (1) KR1006534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4639C (zh) * 2004-01-21 2008-11-19 拉里克有限公司 脚手架板结构以及挡板的安装结构
FR2922928B1 (fr) * 2007-10-29 2017-07-21 Duarib Protection a montage securise sur un echafaudage et echafaudage comportant une telle protection
JP4950238B2 (ja) * 2009-03-03 2012-06-13 アルインコ株式会社 妻側安全手摺り
JP5485579B2 (ja) * 2009-04-08 2014-05-07 ホリー株式会社 出隅用仮設足場及びその構築方法
CN103038430B (zh) * 2010-07-26 2015-11-25 日铁住金建材株式会社 带斜撑的连接件和临时设置脚手架
JP5809955B2 (ja) * 2011-12-16 2015-11-11 日鐵住金建材株式会社 仮設足場
KR101635931B1 (ko) * 2015-11-20 2016-07-04 이장섭 안전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킨 시스템 틀비계
JP6749600B2 (ja) * 2016-07-13 2020-09-02 株式会社三共 先行手摺り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468U (ja) 1995-12-06 1996-10-01 株式会社ダイサン 仮設足場の手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00794B2 (ja) 2003-04-28
KR20020089109A (ko) 2002-11-29
JP2003041766A (ja) 200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0609C2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техни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в строительстве
KR100653479B1 (ko) 핸드레일용 가설부재
US20020166722A1 (en) Mobile outrigger scaffolding system
JP6984864B2 (ja) 親綱支柱及びその設置方法
JP5809955B2 (ja) 仮設足場
JP2007177502A (ja) 金網パネルおよび金網パネルの取付方法
JP6856949B2 (ja) 足場の支持装置
JP7202518B2 (ja) 仮設足場の妻側先行手摺
JP3162625U (ja) 屋根上作業用安全金具
CN100416020C (zh) 扶手用暂设构件
JP2603722Y2 (ja) 足場用壁つなぎ金具
JP6940905B1 (ja) 単管建地用先行筋交い及び仮設足場
US20030047385A1 (en) Mobile outrigger scaffolding system
JPH0635054Y2 (ja) 足場装置
JP3513695B2 (ja) 外壁支持具
JP4549876B2 (ja) 先行手摺用固定金具及び先行手摺用固定金具付き建枠
JP2575796Y2 (ja) 外部養生用被覆体のフレーム
JP3230577B2 (ja) 足場付矢板取付金具
JP5745898B2 (ja) 先行手摺枠付き方杖型つなぎ材および仮設足場
JP2590508Y2 (ja) 張出足場用ブラケット
KR20000005948A (ko) 발판망판받침부재와,발판망판과,받침틀과,받침틀용보조부재및원호형상의발판용코너접속부재
JP2006177083A (ja) 昇降可能な仮設足場を用いた建設物の施工方法
JP2022177780A (ja) 仮設手摺及びその設置方法
JP2022177780A5 (ko)
JPH05336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