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638B1 - 강선 삽입기 - Google Patents

강선 삽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638B1
KR100648638B1 KR1020050117957A KR20050117957A KR100648638B1 KR 100648638 B1 KR100648638 B1 KR 100648638B1 KR 1020050117957 A KR1020050117957 A KR 1020050117957A KR 20050117957 A KR20050117957 A KR 20050117957A KR 100648638 B1 KR100648638 B1 KR 100648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cutter
guide mechanism
driving
wir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남섬
Original Assignee
서남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남섬 filed Critical 서남섬
Priority to KR1020050117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6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강선을 절단하는 커터기를 삽입대상물로부터 소정거리 간격을 두고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비숙련자일지라도 이격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킨 강선 삽입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강선삽입기는, 테이블(1)과, 상기 테이블상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강선(W)을 사이에 끼워 가압하여 강제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지지롤러(11) 및 구동롤러(12)와,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테이블의 강선인출측에 구비되어 삽입대상물의 위치에 대응하여 강선의 인출각도를 조절하는 인출측 강선안내기구(50)와, 상기 인출측 강선안내기구의 끝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측 강선안내기구를 통해 인출되어 삽입대상물에 삽입된 강선을 절단하는 커터기(60)와, 테이블 하부에 구비하여 자체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주행기구(30)를 구비하며, 상기 커터기(60)가 구비된 인출측 강선안내기구(50)를 테이블(1)로부터 분리형성하고, 상기 커터기(60)의 위치를 강선 인출방향으로 조절하는 커터기위치조절기구(70)를 인출측 강선안내기구(50)와 테이블(1) 사이에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선 삽입기{Steel Wire Inserting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교량용 상판의 삽입구멍에 강선을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기의 인출측 강선안내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기의 인출측 강선안내기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기의 강선 커터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기에서 분기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테이블 10 : 삽입구동기구
11 : 지지롤러 12 : 구동롤러
24 : 분기밸브 30 : 주행기구
40 : 인입측 강선안내기구 50 : 인출측 강선안내기구
51 : 지지브라켓 60 : 커터기
70 : 커터기위치조절기구 71 : 고정프레임
72 : 구동실린더 72a : 실린더몸체
72b : 실린더로드 73 : 가이드봉
74 : 유압호스 75 : 레버
본 발명은 강선 삽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교량용 상판의 보강을 위해 복수개의 삽입구멍에 설치되는 인장강선을 기계적인 힘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강선 삽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교량의 상판은 행인과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교량의 최상측에 시공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철근을 배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내구력을 향상시켜 제조되고 있으나, 지속되는 하중에 의한 처짐변형이나, 이 처짐변형에 의한 균열 발생을 예방함과 동시에 보다 안전하게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인장강선을 설치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교량용 상판(101)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삽입구멍(102)을 폭방향으로 복수개(통상 9~12개) 구비하고, 이 삽입구멍(102)에 인장강선(W)을 삽입한 후, 양쪽에서 인장력을 가하여 인장강선(W)의 양끝단을 고정함으로써 인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상판(101)을 설치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인장강선의 삽입작업을 위한 장치가 제공되어 있지 않 기 때문에, 일일이 작업자의 노동력에 의존하고 있었던 것으로, 인장강선의 선단을 삽입구멍에 넣고 여러 사람이 힘을 모아 밀어 넣었다.
인장강선은 통상 인장강도가 높은 여러 가닥의 금속와이어를 꼬아 이루어지고 매우 두껍기 때문에 상당히 무겁다. 따라서 길이가 대략 30m 정도인 상판에 인장강선을 삽입하는 매우 힘들고 어렵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많은 작업인원을 필요로 하여 시공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량용 상판의 삽입구멍에 인장강선을 넣는 등, 강선을 삽입대상물의 삽입구멍에 삽입하는 작업이 기계동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또한 작업인원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강선 삽입기를 특허출원 제10-2005-0069449호로서 제안한 바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10-2005-0069449호의 강선 삽입기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상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강선을 사이에 끼워 가압하여 강제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지지롤러 및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강선을 삽입대상물에 강제로 삽입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의 강선 인출측에 강선안내기구가 구비되어 삽입대상물의 위치에 대응하여 강선의 인출각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인출측 강선안내기구의 끝부분에는 커터기가 구비되어 상기 인출측 강선안내기구를 통해 인출되어 삽입대상물에 삽입된 강선을 절단하도록 되어 있으며, 테이블 하부에는 주행기구를 구비하여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강선삽입기는, 주행기구를 이용하여 강선삽입기의 인출측 강선안내기구를 삽입대상물에 근접시킨 후, 구동롤러를 구동시키게 되면, 강선을 삽입대상물에 삽입시킬 수 있고, 삽입 완료후 인출측 강선안내기구의 선단부에 구비된 커터기로 강선을 절단함으로써 강선 삽입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게 수행되어진다.
한편, 콘크리트 교량용 상판은, 삽입구멍에 인장강선을 삽입한 후, 양쪽에서 인장력을 가하여 인장강선의 양끝단을 고정함으로써 인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강선삽입기의 커터기에 의해 절단된 강선의 끝단이 교량용 상판으로부터 소정길이, 즉 강선의 끝단을 잡아당겨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길이로 돌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량용 상판으로부터 강선을 소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인출측 강선안내기구 끝단에 구비된 커터기의 위치를 교량용 상판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킨 위치에 오도록 주행기구를 조정해야 한다. 그러나, 주행기구를 전,후로 조정하여 커터기가 원하는 위치에 오도록 하는 작업은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어렵기 때문에, 숙련을 요하고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강선을 절단하는 커터기를 삽입대상물로부터 소정거리 간격을 두어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비숙련자일지라도 간격조절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킨 강선 삽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상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강선을 사이에 끼워 가압하여 강제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지지롤러 및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테이블의 강선인출측에 구비되어 삽입대상물의 위치에 대응하여 강선의 인출각도를 조절하는 인출측 강선안내기구와, 상기 인출측 강선안내기구의 끝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측 강선안내기구를 통해 인출되어 삽입대상물에 삽입된 강선을 절단하는 커터기와, 테이블 하부에 구비하여 자체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주행기구를 구비하는 강선 삽입기에 있어서, 상기 커터기가 구비된 인출측 강선안내기구를 테이블로부터 분리형성하고, 상기 커터기의 위치를 강선 인출방향으로 조절하는 커터기위치조절기구를 인출측 강선안내기구와 테이블 사이에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터기위치조절기구는, 테이블측에 구비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실린더몸체를 연결하고 실린더로드의 끝단을 인출측 강선안내기구에 연결하여 인출측 강선안내기구를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고정프레임에 관통되고 일단이 상기 인출측 강선안내기구에 고정되어 인출측 강선안내기구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봉으로 구성된 강선 삽입기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실린더는, 유압펌프와 연결된 분기밸브에 구비된 레버의 조작으로 실린더로드가 전,후진 구동되는 강선삽입기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강선 삽입기는 예를 들면 직경 12.7mm 또는 15.5mm의 강선(W)을 끌어 당겨 이동시키기 위한 삽입구동기구(10)를 구비하고, 삽입구동기구(10)는, 테이블(1) 상에 회전자유롭게 구비되어 강선(W)을 상하 양쪽에서 가압하는 복수개의 지지롤러(11) 및 구동롤러(12)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구동롤러(12)는 상기 지지롤러(11)에 지지된 강선(W)을 가압하여 마찰력을 발생하고, 이 마찰력에 의해 강선(W)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바깥둘레면이 지지롤러(11)의 바깥둘레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지롤러(11)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동롤러(12)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원은, 전동모터(21)와, 이 전동모터(21)의 회전력으로 유압을 발생하는 유압펌프(22)와, 상기 유압펌프(22)로부터 발생된 유압을 분기밸브(24)를 통해 공급받아 구동롤러(12)의 구동축(12a)을 회전시키는 유압모터(23)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블(1)을 탑재하여 운반하기 위한 주행기구(30)와, 테이블(1)의 강선 인입측에 구비되고 강선공급부(도시 안됨)로부터의 강선 인입방향을 조절하는 인입측 강선안내기구(40)와, 상기 테이블(1)의 강선 인출측에 구비되고 강선(W)을 교량의 상판에 형성한 삽입구멍을 향하여 안내하도록 강선 인출각도를 조절하는 인출측 강선안내기구(50)와, 상기 인출측 강선안내기구(50)를 통해 인출 되어 삽입대상물인 교량의 상판에 삽입된 강선(W)을 절단하는 커터기(60)를 더욱 구비한다.
인출측 강선안내기구(5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지지브라켓(51)과, 이 지지브라켓(51)에 힌지부(52)로 소정각도 회전자유롭게 설치된 회전판(53)과, 이 회전판(53)으로부터 강선(W)의 인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판(54)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54)에 제1 및 제2 안내롤러(54a,54b)가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인출측에 있는 지지롤러(11)로부터 인출되는 강선(W)을 삽입대상물인 교량의 상판에 형성한 삽입구멍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53) 상단에는 수나사부(55a)를 가지는 나사봉(55)이 고정된 핸들(56)이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지지브라켓(51)에는 상기 나사봉(55)에 나사맞춤되는 암나사부(57a)를 구비하는 고정부재(57)가 설치되어 핸들(56)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삽입대상물의 삽입구멍 높이에 대응시켜 강선의 인출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커터기(60)는, 인출측 강선안내기구(50)의 지지판(54) 끝단에 설치되고, 전동모터(61)에 의해 회전하는 커터(62)를 구비하고 있으며, 커터(62)는 제2 안내롤러(54b)에 근접시켜 위치된 것으로, 삽입대상물에 삽입된 강선(W)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커터기(60)를 구비한 인출측 강선안내기구(50)는, 테이블(1)로부터 분리형성되고, 인출측 강선안내기구(50)와 테이블(1) 사이에 구비된 커터기위치조절기구(70)에 의해 강선 인출방향으로 커터기(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커터기위치조절기구(70)는, 테이블(1)측에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한 고정프레임(7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프레임(71)에 유압으로 구동하는 구동실린더(72)의 실린더몸체(72a)를 연결하고, 구동실린더(72)의 실린더로드(72b) 끝단은 인출측 강선안내기구(50)의 지지브라켓(51)에 연결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실린더(72)의 하부에는 고정프레임(71)을 관통하여 지지되는 가이드봉(73)을 구비하며, 이 가이드봉(73)의 일단을 상기 지지브라켓(51)에 고정하여 인출측 강선안내기구(50)이 인출방향으로 직선이동할 때,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실린더(72)는 유압펌프(22)로부터 발생된 유압이 공급되는 분기밸브(24)와 유압호스(74)로 연결되고, 분기밸브(24)에 구비된 레버(75)를 좌,우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구동실린더(72)의 전,후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강선 삽입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모터(21)에 전원을 인가하여 유압펌프(22)를 구동시키면, 유압펌프(22)에 의해 발생된 유압이 분기밸브(24)를 통해 유압모터(23)로 전달되고, 이 유압모터(23)의 구동으로 구동롤러(12)가 구동축(12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강선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강선(W)의 시작끝단을 인입측 강선안내기구(40)로 안내시켜 구동롤러(12)와 지지롤러(11) 사이에 끼워 넣으면, 고무재질의 구동롤러(12)의 가압에 의한 강선(W)과의 접촉 마찰력에 의해 강선(W)이 당겨져 이동하게 되고, 인출측에 있는 지지롤러(11)와 인출측 강선안내기구(50)의 제 1 및 제2 안내롤러(54a,54b)로 안내되어 인출되며, 이어서 강선(W)의 시작끝단을 삽입대상물인 교량의 상판에 형성한 삽입구멍에 넣으면 기계적인 힘으로 강선(W)을 상판의 삽입구멍에 삽입할 수 있게 되고, 삽입후에는 커터기(60)의 커터(62)로 강선(W)을 절단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강선 삽입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콘크리트 교량용 상판은, 삽입구멍에 강선을 삽입한 후, 양쪽에서 인장력을 가하여 인장강선의 양끝단을 고정함으로써 인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커터기(60)에 의해 절단된 강선(W)의 끝단이 교량용 상판으로부터 소정 길이, 즉 강선의 끝단을 잡아당기고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길이로 돌출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강선(W)을 소정 길이 돌출시켜 절단할 수 있도록 커터기(60)의 위치를 소망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주행기구(30)를 이용하여 강선 삽입기를 삽입대상물(101)과 소정간격 떨어지게 이격시켜 커터기(60)의 위치가 소망하는 위치가 아닌 경우(도 5의 가상선 상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75)를 좌,우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밸브(24)를 통해 유압호스(74)로 공급되는 유압의 작용방향이 전환되므로 구동실린더(72)의 실린더로드(72b)를 전,후진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실린더로드(72b) 끝단에 고정된 인출측 강선안내기구(50)의 지지프레임(51)을 강선의 인출방향으로 이동시켜 커터기(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이드봉(73)은 지지프레임(51)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인출측 강선안내기구(50)가 흔들림 없이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커터기(60)의 위치를 인출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도 5에서와 같이 삽입대상물(101)로부터 소정 거리(L)에 커터리(60)을 위치시킬 수 있고, 소망하는 길이로 돌출한 상태로 강선(W)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커터기(60)의 위치 조절은 유압으로 동작하는 구동실린더(72)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기에 의하면, 강선을 절단하는 커터기가 강선 인출방향으로 위치조절되어 삽입대상물로부터 소망하는 간격을 두어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이로써 강선의 끝단을 삽입대상물로부터 원하는 길이로 돌출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커터기를 소망의 거리로 유지하는 작업은 비숙련자일지라도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상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강선을 사이에 끼워 가압하여 강제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지지롤러 및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테이블의 강선인출측에 구비되어 삽입대상물의 위치에 대응하여 강선의 인출각도를 조절하는 인출측 강선안내기구와, 상기 인출측 강선안내기구의 끝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측 강선안내기구를 통해 인출되어 삽입대상물에 삽입된 강선을 절단하는 커터기와, 테이블 하부에 구비하여 자체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주행기구를 구비하는 강선삽입기에 있어서,
    상기 커터기가 구비된 인출측 강선안내기구를 테이블로부터 분리형성하고, 상기 커터기의 위치를 강선 인출방향으로 조절하는 커터기위치조절기구를 인출측 강선안내기구와 테이블 사이에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기위치조절기구는, 테이블측에 구비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실린더몸체를 연결하고 실린더로드의 끝단을 인출측 강선안내기구에 연결하여 인출측 강선안내기구를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고정프레임에 관통되고 일단이 상기 인출측 강선안내기구에 고정되어 인출측 강선안내기구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실린더는, 유압펌프와 연결된 분기밸브에 구비된 레버의 조작으로 실린더로드가 전,후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기.
KR1020050117957A 2005-12-06 2005-12-06 강선 삽입기 KR100648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957A KR100648638B1 (ko) 2005-12-06 2005-12-06 강선 삽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957A KR100648638B1 (ko) 2005-12-06 2005-12-06 강선 삽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638B1 true KR100648638B1 (ko) 2006-11-23

Family

ID=3771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957A KR100648638B1 (ko) 2005-12-06 2005-12-06 강선 삽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63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562B1 (ko) 2008-06-05 2010-07-16 심상신 강선 삽입장치
KR101466209B1 (ko) * 2014-10-06 2014-11-27 박경수 강연선 삽입장치
KR20150145040A (ko) * 2014-06-18 2015-12-29 서남섬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
KR20170006606A (ko) * 2015-07-08 2017-01-18 강범식 파이프 내경 검사장비
KR20170021013A (ko) 2015-08-17 2017-02-27 이해영 구조물 보강용 다중 강선 삽입장치
KR101712358B1 (ko) 2016-06-28 2017-03-06 (주)센벡스 강선 절단기
CN108103958A (zh) * 2017-06-08 2018-06-01 泉州旗信专利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高效的桥梁设备
CN114770622A (zh) * 2022-04-27 2022-07-22 宏安泰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外墙保温施工设备及施工方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562B1 (ko) 2008-06-05 2010-07-16 심상신 강선 삽입장치
KR20150145040A (ko) * 2014-06-18 2015-12-29 서남섬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
KR101587406B1 (ko) 2014-06-18 2016-01-21 서남섬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
KR101466209B1 (ko) * 2014-10-06 2014-11-27 박경수 강연선 삽입장치
KR20170006606A (ko) * 2015-07-08 2017-01-18 강범식 파이프 내경 검사장비
KR101699385B1 (ko) 2015-07-08 2017-01-24 강범식 파이프 내경 검사장비
KR20170021013A (ko) 2015-08-17 2017-02-27 이해영 구조물 보강용 다중 강선 삽입장치
KR101712358B1 (ko) 2016-06-28 2017-03-06 (주)센벡스 강선 절단기
CN108103958A (zh) * 2017-06-08 2018-06-01 泉州旗信专利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高效的桥梁设备
CN108103958B (zh) * 2017-06-08 2020-06-19 泉州旗信专利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高效的桥梁设备
CN114770622A (zh) * 2022-04-27 2022-07-22 宏安泰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外墙保温施工设备及施工方法
CN114770622B (zh) * 2022-04-27 2024-02-13 宏安泰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外墙保温施工用的保温板的切割设备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8638B1 (ko) 강선 삽입기
JP4067535B2 (ja) 穿孔装置
KR20050023380A (ko) 금속재 절단장치
KR100542154B1 (ko) 강선 삽입기
CN211310410U (zh) 一种绕线夹紧装置
CN104148731B (zh) 一种薄壁金属管材切割机
CN103624321B (zh) 滑座式飞剪剪刃快换装置
CN204184055U (zh) 一种压印装置
KR102108540B1 (ko) 방음패널의 흡음재 조립장치
CN205276888U (zh) 一种钢板骨架混凝土钢筋预埋安装装置
CN211071371U (zh) 一种折弯机
KR100611308B1 (ko) 강관말뚝 절단기
CN210499126U (zh) 一种新型轴承压入机
CN208304693U (zh) 自动拉丝装置
KR20090109244A (ko) 관 연결을 위한 가열 부재 성형장치
KR102017249B1 (ko) 파일 절단기
CN220261178U (zh) 一种高压胶管裁切机辅助夹持装置
KR101630424B1 (ko) 타공 장치
CN214263703U (zh) 一种高效率建筑施工用钢筋切割设备
CN210789923U (zh) 一种电机蜗杆的自动拉入安装装置
CN216706825U (zh) 一种自动上料的液压剪板机
CN214185465U (zh) 一种道路施工用新型型材切割机
CN214490421U (zh) 液压式桩腿应急拔销装置
CN220972250U (zh) 精密型油缸活塞杆装配装置
CN217050847U (zh) 一种皮革自动割料分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