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249B1 - 파일 절단기 - Google Patents

파일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249B1
KR102017249B1 KR1020170061029A KR20170061029A KR102017249B1 KR 102017249 B1 KR102017249 B1 KR 102017249B1 KR 1020170061029 A KR1020170061029 A KR 1020170061029A KR 20170061029 A KR20170061029 A KR 20170061029A KR 102017249 B1 KR102017249 B1 KR 102017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ed
pile
fi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6247A (ko
Inventor
한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림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림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림기업
Priority to KR1020170061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249B1/ko
Publication of KR20180126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 등에서 구조물의 중량 지지를 위해 관입 지주로 사용되는 파일의 시공 후 지표면 상으로 돌출되는 상단부를 처리시키는 파일 절단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상기 절단기는 파일이 개구부를 통하여 자유로이 삽입ㆍ이탈됨과 동시에 개폐되는 파지요소를 이용해 상기 파일이 해제 또는 고정되게한 바이스유닛과, 상기 바이스유닛의 상면에서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는 베드와, 상기 베드를 타고 이동하며 전도 또는 기립되고 가이드롤에 의해 안내되어 구동하고 하변에 절삭구간을 갖는 무한궤도의 와이어톱이 구비되는 절삭유닛 및 베드와 절삭유닛의 사이에 개재되어 유압에 의해 신장ㆍ수축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가 수축하면 절삭유닛이 베드를 타고 기립상태에서 전도되면서 와이어톱의 절삭구간을 이용해 상기 파일을 간단히 절단시키게 된다.

Description

파일 절단기{Pile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연약지반 등에서 구조물의 중량 지지를 위해 관입 지주로 사용되는 파일의 시공 후 지표면 상으로 돌출되는 상단부를 처리시키는 파일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건축 또는 토목공사 현장의 연약한 지반 등에서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둥 모양의 구조 부재는 크게 나누어 선단 지지파일ㆍ지반 지지파일ㆍ마찰파일ㆍ다지기 파일ㆍ스톱파일 및 횡력 저항파일들을 수 있는데, 그러한 파일들은 대략 나무나 콘크리트 또는 형강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일들은 주로 항타공법으로 시공되고 있는 것으로, 파일의 시공 후 그 파일의 상단부에서 충격으로 인한 손상 부분의 제거 또는 시공되어 지표면으로 돌출되는 파일들의 상단부 높낮이 정렬을 위해 처리작업이 필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은 파일의 상단부 처리작업은 파쇄기나, 파일의 둘레에 부착방식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절단기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먼저, 전자의 파쇄기 경우에는 그 파일의 처리면이 매끄럽지 못하여 추가적으로 그 매끄럽지 못한 처리면의 정리를 위한 마무리작업이 요구된다.
그리고 후자 부착방식의 절단기 경우에서는 파일의 외주에 양분되어 반원의 밴드형으로 이루는 한 쌍의 지지부들을 설치한 후, 그 지지부 상에서 수평 조절되어 설치되는 레일부를 타고 이동하는 이송부에 그라인더가 구비된 절단부를 탑재하여 소기 파일의 절단작업을 이루게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처리작업들에서 파쇄기는 파일의 상단부를 잘게 부수어 처리하는 것으로 그 처리표면이 매끄럽지 못함은 물론, 그 처리된 표면의 수평가공이 용이하지 않았고, 더욱이 수공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도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착방식의 절단기에서는 처리할 파일의 둘레에서 지지부와 레일부, 그리고 절단부가 탑재되는 이송부들을 조립해야 하는 설치작업이 요구되는 것으로, 절단기의 설치 또는 해체작업이 따라 수공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따라 파일의 처리작업이 번거롭고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일이 수중에 묻혀있을 경우에는 그 처리작업이 난공사로 시공이 매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근래에 와서는 상기에서와같이 처리할 파일의 둘레에 부착하지 않고 간단한 삽입ㆍ이탈방식으로 설치하여 파일의 상단부를 효율적으로 처리시키게 하는 절단기의 혁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998178호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처리할 파일이 간단한 삽입ㆍ이탈방식으로 설치되고, 와이어톱을 이용해 처리면의 후가공을 요하지 않게 매끄럽고 정교하게 절단시킬 수 있는 파일 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일 처리를 위한 절삭유닛이 수직 및 수평부로 이루는 베드를 이용해 기립ㆍ전도되게 하여 기기의 부피를 줄이고 운반이 용이한 파일 절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약지반 등에서 구조물의 중량 지지를 위해 관입 지주로 사용되는 파일의 시공 후 지표면 상으로 돌출되는 상단부를 처리시키는 파일 절단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상기 절단기는 파일이 개구부를 통하여 자유로이 삽입ㆍ이탈됨과 동시에 개폐되는 파지요소를 이용해 상기 파일이 해제 또는 고정되게 한 바이스유닛과, 상기 바이스유닛의 상면에서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는 베드와, 상기 베드를 타고 이동하며 전도 또는 기립되고 가이드롤에 의해 안내되어 구동하여 하변에 절삭구간을 갖는 무한궤도의 와이어톱이 구비되는 절삭유닛 및 베드와 절삭유닛의 사이에 개재되어 유압에 의해 신장ㆍ수축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가 수축하면 절삭유닛이 베드를 타고 기립상태에서 전도되면서 와이어톱의 절삭구간을 이용해 상기 파일을 간단히 절단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절단기에 의하면, 처리할 파일이 개폐되는 파지요소가 구비되는 개구부를 갖는 바이스유닛을 이용해 간편히 고정ㆍ해제되게 하므로 절단기의 설치 및 해체가 간편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 및 수평부로 이루는 베드를 이용해 와이어톱이 구비되는 절단유닛이 기립ㆍ전도되게 하면서 소기 파일 처리면의 절단공정을 수행하게 하므로 처리면을 매끄럽고 수평적으로 정교하게 처리하고, 기기의 부피를 줄여 운반이 용이하므로 작업성은 물론 제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유닛의 와이어톱 절단구간 이면을 서포트들로 받쳐 긴장상태가 안정되고 확고하게 유지되게 하므로 절삭공정이 보다 안정되고 작업성을 높이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파일 절단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파일 절단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파일 절단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측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로서, 처리할 파일을 절단시키는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절단기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건축 또는 토목공사 현장의 연약지반 등에서 구조물의 중량 지지를 위해 관입 지주로 사용되는 파일(P)의 시공 후, 지표면 상으로 돌출되는 상단부를 처리시키는 파일 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파일 절단기는 크게 나누어 바이스유닛(10)과 베드(20), 그리고 절삭유닛(30)으로 구성된다.
먼저, 바이스유닛(10)은 대략 평판재로 이루어 상기 처리할 파일(P)이 자유로이 삽입ㆍ이탈되는 개구부(12)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12) 양측으로 유압 구동에 의해 도 1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개폐되며 파일(P)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한 쌍의 파지요소(14)가 구비되어 있다.
또 베드(20)는 상기 바이스유닛(10) 상에서 채널형의 형강을 이용하여 이루는 수평부(22)와 수직부(24)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베드(20)는 이후에 설명할 절삭유닛(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프레임 기능을 겸하게 될 것이다.
또한 절삭유닛(30)은 평판재로 이루어 이면에 상기에서의 베드(20)를 타고 이동하는 활차(32)가 구비되고, 전면에는 유압모터(M)에 의해 구동하는 주동 가이드롤(33)과 종동 가이드롤(34)에 의해 안내되어 무한궤도로 구동하는 와이어톱(36), 그리고 상기 와이어톱(36)의 하변에 절삭구간(36a)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의 베드(20)와 절삭유닛(30)의 사이에는 유압에 의해 신장ㆍ수축되는 액추에이터(40)가 개재되어 있다.
한편 절삭유닛(30)의 양측에는 와이어톱(36)의 절삭구간(36a)을 이면에서 받치어 와이어톱(36)의 절삭공정 시 긴장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서포트(38)가 더 구비되어 있다.
또 베드(20)의 이면, 즉 베드(20)의 수직부(24)에는 절단기의 운반을 위한 걸이유닛(50)이 구비된다. 이러한 걸이유닛(50)은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해 절단기를 들어올려 운반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 절단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지반에 시공된 파일(P)의 상단부 측으로 절단기의 바이스유닛(10) 개구부(12)를 통하여 밀어 넣은 후, 파지요소(14)를 닫는다. 이렇게 파지요소(14)가 닫히면 파일(P)은 개구부(12) 내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베드(20)의 수직부(24)에 구비되는 액추에이터(40)를 구동시키어 신장상태에서 수축되면 절삭유닛(30)의 활차(32)가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베드(20)의 수평 및 수직부(22,24)를 타고 이동하여 절삭유닛(30)이 기립상태에서 전도되면서 수평부(22)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와이어톱(36)의 절삭구간(36a)을 이용해 파일(P)을 절단시키게 될 것이다. 그리고 절삭공정이 완료되면 액추에이터(40)를 수축상태에서 신장시켜 상기와는 역순으로 절삭유닛(30)을 기립시키고 다음 절삭공정을 대기하게 된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바이스유닛 12: 개구부 14: 파지요소
20: 베드 22: 수평부 24: 수직부
30: 절삭유신 32: 활차 33: 주동 가이드롤
34: 종동 가이드롤 36: 와이어톱 38: 서포트
40: 액추에이터
50: 걸이요소

Claims (3)

  1. 연약지반 등에서 구조물의 중량 지지를 위해 관입 지주로 사용되는 파일의 시공 후 지표면 상으로 돌출되는 상단부를 처리시키는 파일 절단기로서,
    상기 파일이 개구부를 통하여 자유로이 삽입ㆍ이탈됨과 동시에 개폐되는 파지요소를 이용해 상기 파일이 해제 또는 고정되게 한 바이스유닛;
    상기 바이스유닛의 상면에서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는 베드;
    상기 베드를 타고 이동하며 전도 또는 기립되고, 주ㆍ종동 가이드롤에 의해 안내되어 구동하고 하변에 절삭구간을 갖는 무한궤도의 와이어톱이 구비되는 절삭유닛; 및
    상기 베드와 상기 절삭유닛의 사이에 개재되어 유압에 의해 신장ㆍ수축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가 신장상태에서 수축하면 상기 절삭유닛이 상기 베드를 타고 기립상태에서 전도되면서 상기 와이어톱의 절삭구간으로 상기 파일을 절단시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유닛의 양측에 상기 와이어톱의 절삭구간을 이면에서 받쳐 긴장상태를 유지시키게 하는 서포트들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절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의 이면에 상기 절단기의 운반을 위한 걸이유닛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절단기.
KR1020170061029A 2017-05-17 2017-05-17 파일 절단기 KR102017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029A KR102017249B1 (ko) 2017-05-17 2017-05-17 파일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029A KR102017249B1 (ko) 2017-05-17 2017-05-17 파일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247A KR20180126247A (ko) 2018-11-27
KR102017249B1 true KR102017249B1 (ko) 2019-09-11

Family

ID=64603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029A KR102017249B1 (ko) 2017-05-17 2017-05-17 파일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2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00436B (zh) * 2021-01-14 2022-05-06 武汉市市政路桥有限公司 一种公路软基施工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591B1 (ko) 2016-04-29 2017-10-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파일 두부 절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178B1 (ko) 2008-05-09 2010-12-07 신한테크주식회사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591B1 (ko) 2016-04-29 2017-10-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파일 두부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247A (ko) 201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249B1 (ko) 파일 절단기
JP5888460B1 (ja) 根株除去工法及び根株除去装置
RU2631434C2 (ru) Режу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резки сваи
JP6432857B2 (ja) 溝切削装置
KR101546414B1 (ko)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절단장치
JP6738533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解体方法
KR101515187B1 (ko) 세륜기에 설치되는 베어링 모듈의 결합 장치
JP2021042529A (ja) 切断装置
JP6261887B2 (ja) 把持切断装置
US20100236803A1 (en) Driving cap for wooden stakes
CN201158102Y (zh) 一种新型切割机
JP2017052223A (ja) ワイヤーソー装置
JP3191364U (ja) 法面保護工法用アンカー打込み装置
JP6523867B2 (ja) 杭圧入工法、反力架台及び杭圧入引抜機
US20200165791A1 (en) Pile Support Device for a Pile Driver
CN106049287A (zh) 一种自动穿橡胶棒的装置及方法
CN207757887U (zh) 管桩切割机
KR101201215B1 (ko)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의 운반 장치
JP2014151411A (ja) ダイヤモンドワイヤーソーによる金属製構造物の切断方法
CN213039215U (zh) 一种切割工艺岩石底部水平钻孔支撑装置
CN220485279U (zh) 厂房建设施工升降架
CN215199851U (zh) 一种桥梁建设用管道切割装置
CN216757982U (zh) 一种建筑施工用钢筋切割装置
CN210338398U (zh) 一种钢筋打捆装置
CN215589654U (zh) 一种金刚石绳锯导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