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406B1 -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406B1
KR101587406B1 KR1020140074279A KR20140074279A KR101587406B1 KR 101587406 B1 KR101587406 B1 KR 101587406B1 KR 1020140074279 A KR1020140074279 A KR 1020140074279A KR 20140074279 A KR20140074279 A KR 20140074279A KR 101587406 B1 KR101587406 B1 KR 101587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pipe
guide
tub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040A (ko
Inventor
서남섬
Original Assignee
서남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남섬 filed Critical 서남섬
Priority to KR1020140074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406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교량 상판의 인장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판 내부에 여러 가닥의 강선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강선을 절단함에 있어 강선의 원활한 삽입과정은 유지하면서도 작업자가 안전하게 강선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작업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평지 또는 고공에서도 안전하게 강선을 절단할 수 있고 새로운 강선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Steel cutting guide device}
본 발명은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교량 상판의 인장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판 내부에 여러 가닥의 강선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강선을 절단함에 있어 강선의 원활한 삽입과 작업자가 안전하게 강선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작업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평지 또는 고공에서도 안전하게 강선을 절단할 수 있고 새로운 강선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등록된 등록특허 제10-1036847호(등록일: 2011년 05월 18일) 강선 삽입장치는,
강선(W)을 강선삽입구멍(3a)으로 이동시키는 강선이동기구(20)를 구비하며, 상기 강선이동기구(20)는, 상기 강선(W)과 마찰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강선(W)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24)들과 구동롤러(26)들 및, 상기 지지롤러(24)들과 구동롤러(26)들이 상기 강선(W)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롤러(26)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강선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선(W)이 끼워져 관통되는 다단의 관 세그먼트(30a)들로 구성되며, 상기 강선이동기구(20)로부터 인출된 강선(W)을 원거리의 상기 강선삽입구멍(3a)으로 이송시키는 텔레스코픽 이송관(30)과;
상기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관 세그먼트(30a)들을 자동으로 펼치거나 접으면서 신장 및 수축시키는 신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을 간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A)에 형성된 강선삽입구멍(B)까지 강선을 가이드하는 과정에서 교량(A)과 차량(3)의 텔레스코픽 크레인(2)에 형성된 관 세그먼트(1) 사이공간에 플랙시블연결관(1a)을 형성하여 관 세그먼트(1)를 통하여 유입된 강선의 각도를 탄력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안전하게 강관삽입구멍(B)으로 삽입을 유도한다.
또한, 작업자는 강선삽입구멍(B) 위치에서 강선의 원활한 삽입을 유도함과 더불어 강선삽입구멍(B)에 여러 가닥의 강선을 삽입하기 위하여 삽입된 강선의 끝부분을 절단하고 다시 강선을 삽입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강선삽입구멍에 어려 가닥의 강선을 삽입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삽입된 강선의 끝부분을 절단하고 다시 강선을 삽입하는 작업과정에서 플랙시블 연결관(1a)외부로 노출된 강선 부분을 절단하고 다시 강선을 강선삽입구멍으로 삽입하는 작업이 반복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강선의 절단작업을 위하여 강선삽입구멍과 플랙시블 연결관 사이에 노출된 강선을 절단하고 다시 강선을 강선삽입구멍으로 삽입하는 과정이 반복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강선의 절단과 삽입의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강선의 절단작업의 작업공간이 확보되지 못하여 작업자가 강선의 정단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특히, 교량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경우 크레인에 매달린 상태로 강선 절단작업을 함으로서 매우 위험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여러 가닥의 강선을 강선삽입구멍(B)에 삽입하는 작업에서 삽입된 강선의 끝부분을 절단 시 강선을 절단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 있으며 절단작업 후에는 신속하게 새로운 강선을 강선삽입구멍에 삽입할 수 있느 형태는 갖출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강선 삽입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 상판의 인장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교량에 형성된 강선삽입구멍에 여러 가닥의 강선을 삽입하는 과정에 있어서, 관 세그먼트에 의하여 강선삽입구멍까지 이동된 강선을 원활하게 강선삽입구멍으로 삽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입되는 강선을 절단하여 여러 가닥의 강선을 강선삽입구멍에 삽입하는 작업에서 작업자의 절단작업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안정적인 절단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일측이 플랙시블 연결관(1a)에 연결되는 가이드관(10);
상기 가이드관(1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끼움되며 일측에 걸림돌기(21)에 의하여 가이드관(10) 내부로 완전삽입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신축관(20);
상기 가이드관(10)의 하부에 일측이 상기 가이드관(10)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타측이 가이드관(10)의 전방으로 일부 돌출된 밀착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관(10)의 일측 외측으로는 돌출되는 걸림부(11)를 더 포함하여, 가이드관(10)이 플랙시블 연결관(1a) 내부로 일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관(30)의 일측 단부로는 환형링(31)을 더 포함하여 강선삽입구멍(B)의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유입되는 강선이 외부로 이탈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축관(20)의 일측 단부 내측으로는 테이퍼부(22)를 더 포함하여 신축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강선이 걸림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는 플랙시블 연결관(1a)으로부터 유입되는 강선을 강선삽입구멍에 삽입하는 과정이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신축관에 의하여 강선삽입구멍 입구까지 정확하게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럼으로, 여러 개의 강선을 하나의 강선삽입구멍에 삽입하기 위하여 강선의 삽입작업과 절단작업을 연속 병행해야 하는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효율의 상승은 지면에서 이루어지는 강선삽입작업에서도 작업효율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으나 특히, 교량이 설치된 후 상판의 연결을 위하여 작업하는 고공작업에서는 그 작업효율의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선이 신축관의 내부를 통해 강선삽입구멍에 삽입된 후 강선의 절단을 위하여 신축관을 가이드관 내부로 삽입하여 작업자가 강선을 안정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안전이 보장된 상태에서 강선의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강선 삽입장치를 이용하여 교량 상판에 강선을 삽입하는 과정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를 이용하여 강선을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를 이용하여 강선을 절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를 이용하여 강선을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를 이용하여 강선을 절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100)는 텔레스코픽 크레인(2)에 연결되며 여러 개의 관 세그먼트(1)가 신축가능하게 형성된 텔레스코픽 이송관의 끝부분에 형성된 플랙시블 연결관(1a)에 일측이 끼움되며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관(10)과, 상기 가이드관(1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끼움되며 일측에 걸림돌기(21)에 의하여 가이드관(10) 내부로 완전삽입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신축관(20)과, 상기 가이드관(10)의 하부에 일측이 상기 가이드관(10)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타측이 가이드관(10)의 전방으로 일부 돌출된 밀착관(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10)은 강선안내부(1a)에 일측이 끼움되는 과정에서 깊게 끼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관(10)의 외측으로는 돌출되는 걸림부(11)를 형성하여 가이드관(10)의 일정길이만 끼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관(10)을 관 세그먼트(1)에 직접 연결하는 경우 관 세그먼트(1)에 끼움되는 부분을 절곡하여 휘어지도록 함으로써 차후 밀착관(30)의 끝부분이 강관삽입구멍(B)의 입구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관(20)의 일측 단부 내측으로는 테이퍼부(22)를 형성하여 신축관(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강선(200)이 가이드관(10)에서 신축관(20)으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걸림없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밀착관(30)의 일측 단부로는 환형링(31)을 형성하고 환형링(31)의 중앙부분이 신축관(20)의 중앙부분과 대략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환형링(31)의 구성에 의하여 신축관(20)에서 배출되는 강선(200)이 원활하게 강선삽입구멍(B)으로 유입될 수 있음과 동시에 환형링(31)이 강선삽입구멍(B)이 형성된 교량(A) 표면에 밀착됨으로써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100)가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지지된다.
한편, 강선삽입구멍(B)은 교량(A)의 거푸집 내부에 주름관파이프를 형성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함으로써 강관삽입구멍(B)를 형성하는 주름관 파이프의 끝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100)의 사용상태를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를 이용하여 강선을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를 이용하여 강선을 절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강선 삽입시 >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선(200)을 강선삽입구멍(B)에 삽입시에는 가이드관(10)으로부터 신축관(20)을 최대한 연장시켜 신축관(20)의 걸림돌기(21)가 형성된 끝부분이 밀착관(30)의 환형링(31)측에 근접시킨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플랙시블 연결관(1a)으로부터 유입되는 강관(200)이 강선삽입구멍(B)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된다.
이때,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100)는 일측이 플랙시블 연결관(1a)에 끼움되고 타측이 밀착관(30)의 끝부분이 교량(A)에 밀착됨으로써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 강선 절단시 >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선(200)을 강선삽입구멍(B)에 삽입한 상태에서 강선을 여러 가닥으로 삽입하기 위하여 강선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신축관(20)을 가이드관(10)측으로 밀어 넣어 강선을 일부분 노출시켜 강선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작업공간(C)을 확보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강선절단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강선을 절단하는 작업 중에도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100)는 플랙시블 연결관(1a)과 교량(A)에 지지된 상태가 유지되어 흔들림이 방지됨으로써 안전하게 강선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강선의 절단작업이 마무리된 후에는 다시 신축관(20)을 환형링(31) 측으로 밀착시켜 원활하게 강선(200)을 강선삽입구멍(B) 내부로의 삽입을 유도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 : 가이드관 11 : 걸림부
20 : 신축관 21 : 걸림돌기
22 : 테이퍼부 30 : 밀착관
31 : 환형링

Claims (4)

  1. 일측이 플랙시블 연결관(1a)에 연결되는 가이드관(10);
    상기 가이드관(1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끼움되며 일측에 걸림돌기(21)에 의하여 가이드관(10) 내부로 완전삽입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신축관(20);
    상기 가이드관(10)의 하부에 일측이 상기 가이드관(10)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타측이 가이드관(10)의 전방으로 일부 돌출된 밀착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10)의 일측 외측으로는 돌출되는 걸림부(11)를 더 포함하여, 가이드관(10)이 플랙시블 연결관(1a) 내부로 일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관(20)의 일측 단부 내측으로는 테이퍼부(22)를 더 포함하여 신축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강선이 걸림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관(30)의 일측 단부로는 환형링(31)을 더 포함하여 강선삽입구멍(B)의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유입되는 강선이 외부로 이탈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
KR1020140074279A 2014-06-18 2014-06-18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 KR101587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279A KR101587406B1 (ko) 2014-06-18 2014-06-18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279A KR101587406B1 (ko) 2014-06-18 2014-06-18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040A KR20150145040A (ko) 2015-12-29
KR101587406B1 true KR101587406B1 (ko) 2016-01-21

Family

ID=55085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279A KR101587406B1 (ko) 2014-06-18 2014-06-18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4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0115A (zh) * 2019-11-20 2020-01-17 赵丽娟 一种用于桥梁施工的预应力梁板张拉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638B1 (ko) 2005-12-06 2006-11-23 서남섬 강선 삽입기
KR101036847B1 (ko) 2009-06-03 2011-05-25 서남섬 강선 삽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8146A (ja) * 1997-08-26 1999-03-02 Maruyasu Kogyo Kk チューブを長尺物へ挿入する方法とその挿入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638B1 (ko) 2005-12-06 2006-11-23 서남섬 강선 삽입기
KR101036847B1 (ko) 2009-06-03 2011-05-25 서남섬 강선 삽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040A (ko) 201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468B1 (ko) 원터치식 철근 결합장치
KR101683681B1 (ko) 케이블 드럼 유압 풀링 장치
US20150232314A1 (en) Wire gripper
KR101587406B1 (ko)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
US20180085866A1 (en) Wire rope tube clamp device
IT201600104112A1 (it) Macchina per la saldatura in opera di raccordi a sella per polifusione.
US10603815B2 (en) Concrete form system
US10569311B2 (en) Plumbing devic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20180079017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eparing wire rope
JP2020523504A (ja) テンプレートおよびテンプレートの使用方法
KR101661034B1 (ko) 벽체시공용 수도관 지지장치
US10807335B2 (en) Bead core forming device
KR101555815B1 (ko) 포스트 바 연결용 로프의 클램핑장치
CN104836170A (zh) 控制缆卡扣固定装置
KR100662707B1 (ko)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JPWO2015186416A1 (ja) 巻癖形成装置
KR101303062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1546781B1 (ko) 비굴착 관로 보수부재
KR101427123B1 (ko) 맨홀의 핸들 겸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1413568B1 (ko) 너트 절단 장치
JP4446956B2 (ja) 防護管装着補助具
KR102555699B1 (ko) 전선배관 견인장치
US10695594B2 (en) Safety anchor apparatus
JP2007063805A (ja) 柱鉄筋のための位置決め治具および位置決め装置
JP6696872B2 (ja) 螺旋管の製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