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358B1 - 강선 절단기 - Google Patents

강선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358B1
KR101712358B1 KR1020160081147A KR20160081147A KR101712358B1 KR 101712358 B1 KR101712358 B1 KR 101712358B1 KR 1020160081147 A KR1020160081147 A KR 1020160081147A KR 20160081147 A KR20160081147 A KR 20160081147A KR 101712358 B1 KR101712358 B1 KR 101712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cutting assembly
hole
main body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덕
최희정
권창욱
유영집
김석원
박광옥
Original Assignee
(주)센벡스
(주)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센벡스, (주)대영 filed Critical (주)센벡스
Priority to KR1020160081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7/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pivoted on a singl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9/00Hand-held metal-shearing or metal-cutting devices
    • B23D29/002Hand-held metal-shearing or metal-cutting devices for cutting wire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체 완성 후 강선을 긴장하는 포스트 텐션 공법 등에서 정착단에 형성되는 포켓 등 작은 규모의 공간에 삽입되어 간단하게 강선을 절단할 수 있으면서 유지 관리가 편리한 강선 절단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강선 절단기는 전단이 좁아지게 테이퍼진 것으로 중앙에 강선인입공이 형성되고, 강선인입공 후면에 밀착면이 형성되는 절단부 하우징; 전방이 상기 밀착면과 밀착되도록 절단부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으로 강선이 통과되는 강선관통공이 형성되는 절단어셈블리; 상기 절단어셈블리 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강선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강선인출공이 형성되고, 절단어셈블리의 강선관통공과 회전축이 어긋나게 회전하여 절단어셈블리를 강선관통공과 편심되게 회전시키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로 구성되되, 상기 절단어셈블리는 회전체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트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선 절단기{Cutting device for prestressing wir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체 완성 후 강선을 긴장하는 포스트 텐션 공법 등에서 정착단에 형성되는 포켓 등 작은 규모의 공간에 삽입되어 간단하게 강선을 절단할 수 있으면서 유지 관리가 편리한 강선 절단기에 대한 것이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외력에 의해 일어나는 인장 응력을 상쇄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에 미리 압축의 프리스트레스를 주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증가시킨 것이다.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강선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프리 텐션 공법과 포스트 텐션 공법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콘크리트 구조체 완성 후 강선을 긴장하는 포스트 텐션 공법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2)의 단부 정착을 위해 구조체(1) 단부에 포켓(4)을 소정 크기로 형성하고 정착구(3)를 설치한다.
그리고 강선(2)을 긴장하여 웨지로 고정한 다음 강선(2)을 절단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데, 종래에는 일반적인 그라인더 커터에 의해 강선(2)을 절단하였다.
도 1에서 화살표는 강선(2)의 절단 위치를 나타낸다.
그러나 포켓(4)의 공간이 좁은 경우, 그라인더 커터가 포켓(4) 내부까지 들어갈 수 없다. 따라서 포켓(4) 내부에서 강선(2)을 절단하기 곤란한 경우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 포켓(4) 내에 그라인더 커터를 삽입하기 위하여 포켓(4) 주변의 콘크리트를 할석하여 절단해야 할 수도 있다.
설령 그라인더 커터가 포켓(4) 내부에 들어간다 하더라도 강선(2) 절단시 포켓(4) 주변의 콘크리트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에 플라즈마 절단기를 이용하여 강선을 절단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상기 방법에서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강선을 고온의 플라즈마 상태로 만든 다음,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상태의 강선을 절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한 강선 절단은 금속인 웨지에 고온의 열 영향을 주어 웨지 성능을 저하할 수 있다. 아울러 강선 외주면에 도포된 그리스가 점화되어 화재 발생의 우려가 있으므로, 소화 장비를 항상 대기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플라즈마 절단기는 대형 장비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고공 작업에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KR 10-0648638 B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착단에 형성된 포켓 내에 삽입 가능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의 손상 없이 강선을 절단할 수 있는 강선 절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소형 장비의 사용으로 고공 작업에 활용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강선을 절단할 수 있으며, 유지 관리가 편리한 강선 절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전단이 좁아지게 테이퍼진 것으로 중앙에 강선인입공이 형성되고, 강선인입공 후면에 밀착면이 형성되는 절단부 하우징; 전방이 상기 밀착면과 밀착되도록 절단부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으로 강선이 통과되는 강선관통공이 형성되는 절단어셈블리; 상기 절단어셈블리 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강선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강선인출공이 형성되고, 절단어셈블리의 강선관통공과 회전축이 어긋나게 회전하여 절단어셈블리를 강선관통공과 편심되게 회전시키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로 구성되되, 상기 절단어셈블리는 회전체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트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체의 전방에는 제1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어셈블리의 본체 후방에는 상기 제1삽입홈부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제1삽입홈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1삽입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는 유압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랙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 일부 또는 전부에는 상기 랙 기어에 맞물려 회전력이 전달되는 톱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랙 기어의 후단에는 랙 기어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유압실린더의 내부 또는 랙 기어에는 탄성에 의해 랙 기어를 후진시키는 복귀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기를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절단어셈블리의 본체 후방의 제1삽입돌부 주변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가압링이 삽입되되, 상기 가압링과 홈부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삽입되어 가압링이 회전체의 전방을 밀어 절단어셈블리가 전방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비트 부재의 후방 중 어느 일측에는 제2삽입돌부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타측의 비트 부재의 후방 또는 본체의 전방에는 제2삽입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절단부 하우징은 전방이 개방되어 내부에 절단어셈블리의 비트 부재가 수납되는 하우징 본체 및 하우징 본체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전방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캡 부재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캡 부재가 하우징 본체의 전방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되, 상기 나사산은 다줄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절단부 하우징의 밀착면과 절단어셈블리의 비트 부재 사이에는 강선인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강선삽입공이 형성된 구경조절블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강선 절단기 전방에 위치한 절단부 하우징의 전단을 테이퍼지게 형성함으로써, 포트스 텐션 공법 등에서 정착단에 형성된 포켓 등 작은 규모의 공간 내에 강선 절단기를 쉽게 삽입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의 손상 없이 강선을 절단할 수 있다.
둘째,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비트 부재가 회전하면 비트 부재의 전면과 절단부 하우징의 밀착면 사이의 전단에 의해 강선을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방법으로 강선을 절단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다.
셋째, 유압에 의해 랙 기어 및 회전체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강선 절단기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였다. 따라서 소형 장비의 사용으로 고공 작업에도 널리 활용할 수 있으며, 손쉽게 강한 구동력을 얻을 수 있는 등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
넷째, 회전체와 절단어셈블리의 본체 사이 및/또는 본체와 비트 부재 사이에 상호 대응되도록 홈부와 돌부를 형성하면 회전체의 회전력이 잘 전달되어 강선의 절단이 더욱 용이하다.
다섯째, 절단부 하우징을 하우징 본체와 캡 부재로 분리 구성하면, 캡 부재를 개방하여 비트 부재 또는 캡 부재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아울러 강선인입공의 구경이 다른 캡 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직경의 강선을 절단할 수 있다.
여섯째, 절단부 하우징과 절단어셈블리 사이에 구경조절블록이 구비되면, 강선 직경에 따라 구경이 상이한 복수의 구경조절블록 중에서 강선 직경에 따라 구경조절블록만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다.
일곱째, 열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열에 의한 웨지의 성능 저하가 없어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화재 발생의 우려가 없어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포스트 텐션 공법의 강선 정착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일측 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가 포켓 내 강선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일측 방향 단면도.
도 6은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강선이 절단되는 작동 관계를 도시하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일측 방향 단면도.
도 7은 구동부의 랙 기어와 회전체의 톱니부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타측 방향 단면도.
도 8은 복동식 유압실린더를 도시하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타측 방향 단면도.
도 9는 단동식 유압실린더를 도시하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타측 방향 단면도.
도 10은 가압링이 구비된 절단어셈블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가압링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일측 방향 단면도.
도 12는 절단어셈블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절단부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일측 방향 단면도.
도 14는 다줄 나사에 의한 절단부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구경조절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6은 확대안내부가 형성된 구경조절블록을 도시하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일측 방향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일측 방향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가 포켓 내 강선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일측 방향 단면도이고, 도 6은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강선이 절단되는 작동 관계를 도시하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일측 방향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강선 절단기는 전단이 좁아지게 테이퍼진 것으로 중앙에 강선인입공(H1)이 형성되고, 강선인입공(H1) 후면에 밀착면(511)이 형성되는 절단부 하우징(51); 전방이 상기 밀착면(511)과 밀착되도록 절단부 하우징(5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으로 강선(2)이 통과되는 강선관통공(H2)이 형성되는 절단어셈블리(52); 상기 절단어셈블리(52) 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강선관통공(H2)과 대응되는 위치에 강선인출공(H3)이 형성되고, 절단어셈블리(52)의 강선관통공(H2)과 회전축이 어긋나게 회전하여 절단어셈블리(52)를 강선관통공(H2)과 편심되게 회전시키는 회전체(53); 및 상기 회전체(53)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54); 로 구성되되, 상기 절단어셈블리(52)는 회전체(53)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본체(521) 및 상기 본체(521)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트 부재(5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강선 절단기(5)는 콘크리트 구조체(1) 완성 후 강선(2)을 긴장하는 포스트 텐션 공법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정착단에 형성되는 포켓(4) 등 작은 규모의 공간에 삽입하여 강선(2)을 쉽게 절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강선(2)은 포스트 텐션 공법에서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긴장재로, 강연선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 강선 절단기(5)는 절단부 하우징(51), 절단어셈블리(52), 회전체(53) 및 구동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단부 하우징(51)은 전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체(1)의 손상 없이 정착단에 형성된 포켓(4) 내에 삽입이 용이하다.
상기 절단부 하우징(51)은 중앙에 강선(2)이 인입되는 강선인입공(H1)이 형성된다.
상기 절단어셈블리(52)는 전방이 절단부 하우징(51)의 강선인입공(H1) 후면에 형성된 밀착면(511)과 밀착되도록 절단부 하우징(5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다.
상기 절단어셈블리(52)에는 강선인입공(H1)을 통하여 인입된 강선(2)이 통과되는 강선관통공(H2)이 형성된다.
상기 절단부 하우징(51)의 강선인입공(H1)과 절단어셈블리(52)의 강선관통공(H2)을 차례대로 관통하면서 강선(2)이 삽입된다.
상기 절단어셈블리(52)는 회전체(53)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본체(521) 및 상기 본체(521)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트 부재(52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비트 부재(522)가 회전하면서 비트 부재(522)의 전면과 절단부 하우징(51)의 밀착면(511) 사이의 전단에 의해 강선(2)이 절단된다.
상기 비트 부재(522)는 본체(521)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므로, 비트 부재(522)만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에 강선(2)의 절단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회전되는 비트 부재(522)의 전면이 손상되어 무뎌지더라도 절단어셈블리(52)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비트 부재(522)만 교체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상기 회전체(53)는 절단어셈블리(52) 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강선관통공(H2)과 대응되는 위치에 강선인출공(H3)이 형성된다.
비트 부재(522)가 회전하면서 절단된 강선(2')은 회전체(53)의 강선인출공(H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회전체(53)는 절단어셈블리(52)의 강선관통공(H2)과 회전축이 어긋나게 회전하여 절단어셈블리(52)를 강선관통공(H2)과 편심되게 회전시킨다.
즉, 도 4에서 A-A'는 강선(2)이 삽입되는 삽입축이고, B-B'는 절단어셈블리(52) 및 회전체(53)의 회전축이다.
따라서 절단어셈블리(52)의 강선관통공(H2)이 절단부 하우징(51)의 강선인입공(H1)과 어긋나면서 강선(2)이 절단된다.
상기 구동부(54)는 회전체(53)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으로, 구동부(54)에 대하여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53) 및 구동부(54)는 회전부 하우징(55) 내에 구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절단부 하우징(51)은 회전부 하우징(55) 전면에 결합볼트 등으로 체결 가능하다.
상기 회전부 하우징(55) 상부에는 손잡이(57)를 결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강선 절단기(5)를 이용한 강선 절단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2)을 절단하기 전에는 절단부 하우징(51)의 강선인입공(H1)과 절단어셈블리(52)의 강선관통공(H2)이 일치하여 이들 구멍으로 강선(2)을 삽입한다.
이후, 구동부(54)의 구동에 의해 회전체(53)가 회전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어셈블리(52)의 강선관통공(H2)이 절단부 하우징(51)의 강선인입공(H1)과 어긋나면서 강선(2)을 절단한다.
절단된 강선(2')은 회전체(53)의 강선인출공(H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7은 구동부의 랙 기어와 회전체의 톱니부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타측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54)는 유압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랙 기어(54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체(53)의 외주면 일부 또는 전부에는 상기 랙 기어(541)에 맞물려 회전력이 전달되는 톱니부(531)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모터에 의하여 회전체(53)를 구동할 경우, 별도의 감속기를 설치하여야 하고 전기적인 구동으로 구성이 복잡하며 큰 구동력을 얻기 위해 모터의 용량을 키워야 한다. 또한, 잦은 고장으로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강선(2)의 구경이 커져 큰 구동력을 얻고자 하는 경우 강선 절단기(5) 내부의 모터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곤란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압에 의해 랙 기어(541) 및 회전체(53)를 구동함으로써, 강선 절단기(5)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강한 구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랙 기어(541) 전진 시 랙 기어(541)가 회전체(53)에 밀려 상부로 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부 하우징(55) 내의 랙 기어(541) 끝단 상부에는 랙 기어(541) 상단에 밀착되어 랙 기어(541)의 안정적인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록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강선(2)의 직경이 커져 큰 구동력을 얻고자 할 경우, 유압 펌프만 간단하게 교체하면 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도 8은 복동식 유압실린더를 도시하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타측 방향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랙 기어(541)의 후단에는 랙 기어(541)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54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강선(2) 절단을 위해 랙 기어(541)를 전진시키고 강선(2) 절단 후 랙 기어(541)를 후진하여 복귀시키기 위해, 도 8과 같이 유압실린더(542)를 복동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542)는 실린더(542a), 피스톤(542b), 피스톤 로드(542c), 유압공급라인(542d)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랙 기어(541)의 전진 및 후진을 위하여 두 개의 유압공급라인(542d)을 구비하여 각각 구동하도록 한다.
상기 유압실린더(542)는 회전부 하우징(55) 일측에 결합 가능하다.
도 9는 단동식 유압실린더를 도시하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타측 방향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542)의 내부 또는 랙 기어(541)에는 탄성에 의해 랙 기어(541)를 후진시키는 복귀스프링(54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랙 기어(541)를 전진하여 강선(2)을 절단하는 경우에는 큰 하중이 걸리나, 일단 강선(2)을 절단한 후에는 하중이 거의 걸리지 않아 굳이 유압에 의해 랙 기어(541)를 후진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542)를 단동식으로 구성하여 강선(2)을 절단한 후에 유압을 해제하면, 상기 복귀스프링(543)에 의해 자동으로 랙 기어(541)가 후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귀스프링(543)은 피스톤(542b) 전방의 피스톤 로드(542c) 외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회전부 하우징(55) 내 랙 기어(541) 전방에 복귀스프링(543)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가압링이 구비된 절단어셈블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가압링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일측 방향 단면도이다.
앞서 도 3, 도 4 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53)의 전방에는 제1삽입홈부(G1)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어셈블리(52)의 본체(521) 후방에는 상기 제1삽입홈부(G1)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제1삽입홈부(G1)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1삽입돌부(P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삽입홈부(G1)와 제1삽입돌부(P1)를 형성하면, 회전체(53)와 절단어셈블리(52)의 본체(521)가 상호 끼움 결합되어 회전체(53)의 회전력이 절단어셈블리(52)에 잘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부(G1)와 제1삽입돌부(P1)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성 가능하다.
즉, 도 3 및 도 4의 실시예는 제1삽입홈부(G1)와 제1삽입돌부(P1)가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되었으나, 회전체(53)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기만 하면 제1삽입홈부(G1)와 제1삽입돌부(P1)를 다각형 형상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어셈블리(52)의 본체(521) 후방의 제1삽입돌부(P1) 주변에는 홈부(523)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523)에는 가압링(524)이 삽입되되, 상기 가압링(524)과 홈부(523)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525)가 삽입되어 가압링(524)이 회전체(53)의 전방을 밀어 절단어셈블리(52)가 전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절단어셈블리(52)의 비트 부재(522) 전면이 절단부 하우징(51)의 밀착면(511)에 밀착되므로, 비트 부재(522)의 전면과 절단부 하우징(51)의 밀착면(511) 사이의 전단에 의해 강선(2)을 정밀하고 절단할 수 있다.
도 12는 절단어셈블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521)의 전방 또는 비트 부재(522)의 후방 중 어느 일측에는 제2삽입돌부(P2)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타측의 비트 부재(522)의 후방 또는 본체(521)의 전방에는 제2삽입홈부(G2)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삽입돌부(P2)와 제2삽입홈부(G2)가 형성되면, 상기 본체(521)와 비트 부재(522)가 상호 끼움 결합되어 회전체(53)의 회전력이 잘 전달된다.
도 4에서는 본체(521)의 전방에 제2삽입홈부(G2)가 형성되고 비트 부재(522)의 후방에 제2삽입돌부(P2)가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그리고 도 12에서는 본체(521)의 전방에 제2삽입돌부(P2)가 형성되고 비트 부재(522)의 후방에 제2삽입홈부(G2)가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그 밖에 상기 본체(521)와 비트 부재(522)는 볼트공에 부가적으로 결합 볼트를 체결하여 상호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돌부(P2)는 십자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강선(2)의 직경이 비교적 작을 때에는 제2삽입돌부(P2)를 십자형으로 구성하여 사용하고, 강선(2)의 직경이 클 때에는 제2삽입돌부(P2)를 사각형으로 구성하여 큰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절단부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일측 방향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 하우징(51)은 전방이 개방되어 내부에 절단어셈블리(52)의 비트 부재(522)가 수납되는 하우징 본체(512) 및 하우징 본체(512)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부재(514)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캡 부재(514)는 하우징 본체(512)의 전방 외주면에 나사 결합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결합 볼트에 의해 이들 부재를 상호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캡 부재(514)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포켓(4) 내에 쉽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캡 부재(514)는 중앙에 강선(2) 인입을 위한 강선인입공(H1)이 형성되며, 강선인입공(H1)의 후방에 밀착면(5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절단부 하우징(51)을 하우징 본체(512)와 캡 부재(514)로 분리 구성하면, 전방에 위치한 캡 부재(514)를 개방하여 하우징 본체(512) 내부에 수납된 비트 부재(522)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반복적인 강선(2) 절단으로 캡 부재(514)의 밀착면(511)이 손상되면 캡 부재(514)만 분리하여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다.
아울러 강선인입공(H1)의 구경이 다른 캡 부재(514)를 다양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직경이 다른 강선(2)도 폭 넓게 절단할 수 있다.
도 14는 다줄 나사에 의한 절단부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본체(512)의 전방 외주면에는 나사산(513)이 형성되고, 상기 캡 부재(514)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515)이 형성되어 캡 부재(514)가 하우징 본체(512)의 전방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비트 부재(522)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강선(2) 절단시 강선인입공(H1)의 일측만 계속 힘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강선(2)의 반복 절단으로 강선인입공(H1)의 일측면이 닳아 무뎌지면 강선(2)의 절단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캡 부재(514)를 나사 결합된 하우징 본체(512)로부터 쉽게 탈착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나사산(513)은 다줄 나사(513a, 513b, 513c)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면 강선인입공(H1)의 일측이 닳아 무뎌지더라도 캡 부재(514)를 하우징 본체(512) 외측의 다른 나사산에 결합시켜 캡 부재(514)의 결합 각도를 변경시킴으로써, 손상되지 않은 강선인입공(H1) 측이 비트 부재(522)에 의한 절단 측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통상 강선(2) 절단 시 120˚의 각도 내에서 손상이 발생하므로, 도 14와 같이 나사산(513)을 시작점이 서로 다른 3개의 3줄 나사로 하여 캡 부재(514)의 각도를 120˚씩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 부재(514)의 수명을 3배까지 늘릴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다줄 나사(513a, 513b, 513c) 중 몇 번째 나사산에 캡 부재(514)를 결합한 것인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캡 부재(514) 외주면에는 별도의 위치표시부(516)를 두거나 숫자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구경조절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16은 확대안내부가 형성된 구경조절블록을 도시하는 본 발명 강선 절단기의 일측 방향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 하우징(51)의 밀착면(511)과 절단어셈블리(52)의 비트 부재(522) 사이에는 강선인입공(H1)과 대응되는 위치에 강선삽입공(H4)이 형성된 구경조절블록(5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경조절블록(56)은 강선삽입공(H4)의 구경을 다양하게 하여 강선(2)의 직경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절단부 하우징(51)의 강선인입공(H1)은 직경이 큰 강선(2)이 통과될 수 있도록 고정된 구경을 갖도록 구성하고, 강선(2)의 직경에 따라 구경이 상이한 복수의 구경조절블록(56)을 구비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강선(2)의 직경에 따라 구경조절블록(56)만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강선(2)은 구경조절블록(56)과 절단어셈블리(52) 사이에서 절단되므로, 구경조절블록(56)의 절단면이 무뎌질 경우 절단어셈블리(52)의 교체 없이 구경조절블록(56)만 간단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강선삽입공(H4)은 강선인입공(H1)과 대응되도록 구경조절블록(56)의 중앙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비트 부재(522)가 회전하면서 비트 부재(522)의 전면에 위치되는 구경조절블록(56)이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더라도 강선삽입공(H4)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
상기 절단부 하우징(51)의 밀착면(511)과 절단어셈블리(52)의 비트 부재(522) 사이에 구경조절블록(56)이 구비되는 경우, 도 16과 같이 상기 절단부 하우징(51)의 강선인입공(H1) 후방에는 구경조절블록(56)이 삽입되는 구경조절블록 수납부(51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경조절블록(56) 및 구경조절블록 수납부(517)의 중심은 절단부 하우징(51)의 강선인입공(H1)과 중심을 동일하게 위치시킨다.
상기 구경조절블록(56)과 구경조절블록 수납부(517)는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이들의 끼움 결합에 의하여 회전체(53)의 회전력을 원활하게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강선삽입공(H4)의 전단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강선삽입공(H4)의 폭이 좁아지도록 확대안내부(561)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강선(2)이 강선삽입공(H4) 내측으로 쉽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1: 구조체 2, 2': 강선
3: 정착구 4: 포켓
5: 강선 절단기 51: 절단부 하우징
511: 밀착면 512: 하우징 본체
513: 나사산 513a, 513b, 513c: 다줄 나사
514: 캡 부재 515: 암나사산
516: 위치표시부 517: 구경조절블록 수납부
52: 절단어셈블리 521: 본체
522: 비트 부재 523: 홈부
524: 가압링 525: 탄성 부재
53: 회전체 531: 톱니부
54: 구동부 541: 랙 기어
542: 유압실린더 542a: 실린더
542b: 피스톤 542c: 피스톤 로드
542d: 유압공급라인 543: 복귀스프링
55: 회전부 하우징 56: 구경조절블록
561: 확대안내부 57: 손잡이
G1: 제1삽입홈부 G2: 제2삽입홈부
H1: 강선인입공 H2: 강선관통공
H3: 강선인출공 H4: 강선삽입공
P1: 제1삽입돌부 P2: 제2삽입돌부

Claims (10)

  1. 전단이 좁아지게 테이퍼진 것으로 중앙에 강선인입공(H1)이 형성되고, 강선인입공(H1) 후면에 밀착면(511)이 형성되는 절단부 하우징(51);
    전방이 상기 밀착면(511)과 밀착되도록 절단부 하우징(5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으로 강선(2)이 통과되는 강선관통공(H2)이 형성되는 절단어셈블리(52);
    상기 절단어셈블리(52) 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강선관통공(H2)과 대응되는 위치에 강선인출공(H3)이 형성되고, 절단어셈블리(52)의 강선관통공(H2)과 회전축이 어긋나게 회전하여 절단어셈블리(52)를 강선관통공(H2)과 편심되게 회전시키는 회전체(53); 및
    상기 회전체(53)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54); 로 구성되되,
    상기 절단어셈블리(52)는 회전체(53)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본체(521) 및 상기 본체(521)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트 부재(522)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체(53)의 전방에는 제1삽입홈부(G1)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어셈블리(52)의 본체(521) 후방에는 상기 제1삽입홈부(G1)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제1삽입홈부(G1)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1삽입돌부(P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기.
  2. 제1항에서,
    상기 구동부(54)는 유압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랙 기어(54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체(53)의 외주면 일부 또는 전부에는 상기 랙 기어(541)에 맞물려 회전력이 전달되는 톱니부(5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기.
  3. 제2항에서,
    상기 랙 기어(541)의 후단에는 랙 기어(541)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5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기.
  4. 제3항에서,
    상기 유압실린더(542)의 내부 또는 랙 기어(541)에는 탄성에 의해 랙 기어(541)를 후진시키는 복귀스프링(54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기.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절단어셈블리(52)의 본체(521) 후방의 제1삽입돌부(P1) 주변에는 홈부(523)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523)에는 가압링(524)이 삽입되되, 상기 가압링(524)과 홈부(523)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525)가 삽입되어 가압링(524)이 회전체(53)의 전방을 밀어 절단어셈블리(52)가 전방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기.
  7. 제1항에서,
    상기 본체(521)의 전방 또는 비트 부재(522)의 후방 중 어느 일측에는 제2삽입돌부(P2)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타측의 비트 부재(522)의 후방 또는 본체(521)의 전방에는 제2삽입홈부(G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기.
  8. 제1항에서,
    상기 절단부 하우징(51)은 전방이 개방되어 내부에 절단어셈블리(52)의 비트 부재(522)가 수납되는 하우징 본체(512) 및 하우징 본체(512)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부재(5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기.
  9. 제8항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512)의 전방 외주면에는 나사산(513)이 형성되고, 상기 캡 부재(514)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515)이 형성되어 캡 부재(514)가 하우징 본체(512)의 전방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되, 상기 나사산(513)은 다줄 나사(513a, 513b, 513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기.
  10. 제1항에서,
    상기 절단부 하우징(51)의 밀착면(511)과 절단어셈블리(52)의 비트 부재(522) 사이에는 강선인입공(H1)과 대응되는 위치에 강선삽입공(H4)이 형성된 구경조절블록(5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절단기.
KR1020160081147A 2016-06-28 2016-06-28 강선 절단기 KR101712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147A KR101712358B1 (ko) 2016-06-28 2016-06-28 강선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147A KR101712358B1 (ko) 2016-06-28 2016-06-28 강선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358B1 true KR101712358B1 (ko) 2017-03-06

Family

ID=58398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147A KR101712358B1 (ko) 2016-06-28 2016-06-28 강선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3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444A (ko) * 2018-09-21 2020-03-31 정삼식 그라운드 앵커의 보강을 통한 재긴장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571A (ko) * 2004-11-09 2006-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용접 와이어 절단장치
KR100648638B1 (ko) 2005-12-06 2006-11-23 서남섬 강선 삽입기
KR20100063243A (ko) * 2008-12-03 2010-06-11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재용 심선 인장 절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571A (ko) * 2004-11-09 2006-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용접 와이어 절단장치
KR100648638B1 (ko) 2005-12-06 2006-11-23 서남섬 강선 삽입기
KR20100063243A (ko) * 2008-12-03 2010-06-11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재용 심선 인장 절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444A (ko) * 2018-09-21 2020-03-31 정삼식 그라운드 앵커의 보강을 통한 재긴장 시공방법
KR102167163B1 (ko) * 2018-09-21 2020-10-16 정삼식 그라운드 앵커의 보강을 통한 재긴장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03420A1 (en) Auto-adjustable bearing wrench
US10927927B2 (en) Tensioning device for a stirred ball mill with a belt or chain drive, and stirred ball mill
CA2812247C (en) Excavator fastener
US9878463B2 (en) Chain saw
US4289049A (en) Bolt holding machine wrench
KR101712358B1 (ko) 강선 절단기
CN109070244A (zh) 孔锯组件
EP3808520B1 (en) Chain saw
US20240181520A1 (en) Frameless lightweight post-tensioning jack and method for using same
CN100371135C (zh) 工具起子头夹持结构
CN210702930U (zh) 一种去毛刺组件及滚齿机
CA2619208A1 (en) Tensioning assembly for a cable bolt
US20110203425A1 (en) Manually driven and self-contained, controlled tightening hydraulic wrench
JP2006521117A (ja) 歯根摘出のための方法と装置
CN207105126U (zh) 一种电链锯
KR100800041B1 (ko) 전동 공구
CN107234674A (zh) 一种电链锯
CN113629595A (zh) 一种环形多角度开缆装置
KR20090108442A (ko) 제거식 그라운드앵커의 강연선 홀딩장치
DE29714520U1 (de) Fliehkraftgesteuerte Kupplung für einen Elektrobohrer bzw. -schrauber
CN2782288Y (zh) 用于铰孔机上的铰深孔的夹具
KR101320795B1 (ko) 스크류 자동 공급 및 체결 장치와 그의 동작 방법
CN210361087U (zh) 变向套筒扳手
CN110976963B (zh) 一种钢结构制作型钢打孔加工机械
CN108568772A (zh) 包括使反抗转矩转向的支撑支架和动力螺纹驱动器的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