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424B1 - 타공 장치 - Google Patents

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424B1
KR101630424B1 KR1020160006987A KR20160006987A KR101630424B1 KR 101630424 B1 KR101630424 B1 KR 101630424B1 KR 1020160006987 A KR1020160006987 A KR 1020160006987A KR 20160006987 A KR20160006987 A KR 20160006987A KR 101630424 B1 KR101630424 B1 KR 101630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unching
base
perforated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영
Original Assignee
김성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영 filed Critical 김성영
Priority to KR1020160006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43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2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other articles of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Abstract

타공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되어 있는 타공 대상물에 구멍을 형성하는 타공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타공 대상물에 결합되어 상기 타공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타공 대상물을 펀칭하는 펀칭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타공 장치{PUN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타공 대상물에 구멍을 형성하여 작업 시간의 단축에 따른 생산성 향상이 가능한 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등으로 건설되는 건축물의 경우 벽면이나 천장 등의 작업시 거푸집이라는 가설물을 미리 축조하고, 여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소정시간 경화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거푸집을 축조하기 위해, 종래에는 목재 패널 또는 목재와 철재로 이루어진 유로폼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목재 패널의 경우 반복 사용시 파손이 빈번하여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재활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유로폼의 경우 수명은 길지만 중량이 무거워 운반이 힘들었기 때문에, 최근에는 오래 쓸 수 있으며 중량이 가벼운 알루미늄폼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알루미늄폼은 장방형 패널의 뒷면에 보강재가 일체로 마련되며, 여러장의 폼을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각 측면에는 다수의 체결공이 마련되어 있다. 체결공은 볼트나 쐐기핀 등의 체결구에 의해 상호간에 단단히 체결된다.
종래의 경우, 알루미늄폼에 체결공을 형성하기 위해 작업자가 체결공이 형성되는 위치를 직접 표시 후 타공하므로, 위치 표시에 대한 정확도가 감소하고, 체결공 형성 시간이 많이 필요하여 전체 작업 공정이 지연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제10-2012-0011449호(공개일자:2012년02월08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동으로 타공 대상물에 구멍을 형성하여 작업 시간의 단축에 따른 생산성 향상이 가능한 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타공 위치의 제어를 통해 정확한 크기의 구멍을 정확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는 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의 안전 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되어 있는 타공 대상물에 구멍을 형성하는 타공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타공 대상물에 결합되어 상기 타공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타공 대상물을 펀칭하는 펀칭 유닛을 포함하는 타공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펀칭 유닛은, 상기 타공 대상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펀칭홀이 형성되는 펀칭 플레이트; 상기 펀칭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펀칭홀을 관통하여 상기 타공 대상물을 타격하는 펀칭 로드; 및 상기 펀칭 로드에 결합되는 로드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타공 대상물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타공 대상물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펀칭 유닛 또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타공 대상물에 밀착되는 진동방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방지 어셈블리는, 상기 타공 대상물에 밀착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를 이동시키는 롤러 구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타공 대상물을 지지하는 서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수단에는 상기 서포트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는, 상기 구동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높이 조절 부재; 및 상기 높이 조절 부재의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타공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이동 수단에 형성된 상기 구동홀을 따라 이동하는 작동 플레이트; 및 상기 작동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로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타공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 수단에 결합되는 클램프 레일; 상기 클램프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타공 대상물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에 동력을 제공하는 클램프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 대상물이 미리 설정된 간격에 따라 타공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수단과 상기 펀칭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공 대상물은 알루미늄폼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으로 타공 대상물에 구멍을 형성하여 구멍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이에 따라 전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유닛에 의한 타공 위치의 제어를 통해 정확한 크기의 구멍을 정확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공 대상물에 대한 타공 작업의 자동화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 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로 타공 대상물이 펀칭 유닛에 의해 타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에서 이동 수단에 결합된 서포트의 일측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에서 이동 수단에 결합된 서포트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에서 이동 수단에 결합된 서포트의 일측 측면에 대향되는 타측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에서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로 타공 대상물이 펀칭 유닛에 의해 타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산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자재가 사용되며, 이러한 자재에는 각각의 자재들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자재에 대한 체결공을 형성하기 위해 자재의 적어도 일 부분에 구멍을 뚫는 타공이 요구될 수 있다. 특히, 건설 현장에서 건축물의 벽면 내지 천장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거푸집이 설치되는데, 최근에는 중량과 강성 내지 재활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알루미늄폼(20)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10)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자재에 구멍을 뚫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타공 대상물이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알루미늄폼(20)인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알루미늄폼(2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타공 장치(10)에 의해 알루미늄폼(20)에 형성된 구멍은 거푸집 설치시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복수의 알루미늄폼(20)을 서로 체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알루미늄폼(20)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되도록 마련된다. 즉, 알루미늄폼(20)의 예를 들어 측면이 이동 수단(300)의 이동부재(310)에 결합되는 경우 알루미늄폼(20)의 측면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알루미늄폼(20)의 상면이 타공될 수 있다. 다만, 알루미늄폼(20)에서 절곡된 부분은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타공되는 부분도 상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베이스(100)는 바닥 등에 놓여지며, 가이드 레일(200)과 펀칭 유닛(400)이 결합되어 지지된다. 베이스(100)에는 알루미늄폼(20)을 지지하는 받침대(11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알루미늄폼(20)이 절곡된 경우 예를 들어 측면이 이동 수단(300)의 이동부재(310)에 결합되면 상면이 받침대(110)에 놓여져 지지될 수 있다. 받침대(110)는 단면이 사각형인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알루미늄폼(20)이 지지되는 부분은 평편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받침대(11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베이스(100)에는 디스플레이부재(900)가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재(900)는 전체 작업 진행 상황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타공 횟수와 타공 간격 등을 입력하면 현재 타공 횟수와 남은 타공 횟수 또는 타공 간격 등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재(900)는 터치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재(900)를 통해 데이터 입력과 출력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200)은 베이스(100)에 결합되며, 이동 수단(300)의 이동부재(31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가이드 레일(200)은 예를 들어 펀칭 유닛(400)의 하측에서 베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200)은 LM 가이드 레일(200)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수단(300), 특히 이동부재(310)는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가이드 레일(2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레일(200)이 베이스(10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경우 이동부재(310)는 가이드 레일(200)에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펀칭 유닛(400)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이동부재(310)는 알루미늄폼(20)에 결합되며, 알루미늄폼(20)을 펀칭 유닛(400)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동부재(310)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알루미늄폼(20)이 예를 들어 펀칭 유닛(400)의 하측에 위치하면 펀칭 유닛(400)이 작동하여 알루미늄폼(20)을 타공한다.
이동 수단(300)은 이동부재(310)와, 동력 공급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310)는 알루미늄폼(2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알루미늄폼(2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부재(310)는 알루미늄폼(20)이 고정된 상태로 가이드 레일(200)에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이동한다. 이동부재(310)에는 후술하는 높이 조절 부재(610)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구동홀(330)이 형성될 수 있다. 동력 공급원(320)은 이동부재(310)에 연결되며 이동부재(310)가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부재(310)에 동력을 공급한다. 동력 공급원(320)은 도 3에서와 같이 베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이동부재(3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동력 공급원(320)은 다양한 종류의 유압 모터 내지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펀칭 유닛(400)은 베이스(100)에 결합되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폼(20)의 상측에서 알루미늄폼(20)을 펀칭하여 구멍을 뚫도록 마련된다. 편칭 유닛은 펀칭 플레이트(410)와, 펀칭 로드(420)와, 로드 실린더(430)를 포함할 수 있다. 펀칭 플레이트(410)는 알루미늄폼(20)로부터 이격되도록 베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펀칭 플레이트(410)는 사각형의 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폼(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베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펀칭 플레이트(410)에는 펀칭 로드(420)가 관통할 수 있는 펀칭홀(4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펀칭 로드(420)는 펀칭 플레이트(410)의 펀칭홀(411)을 통과하여 알루미늄폼(20)을 타격한다(도 5 및 도 6 참조). 펀칭 로드(420)는 길이 방향의 부재로 마련되어 펀칭 플레이트(410)에 결합된다. 그리고, 펀칭 로드(420)는 로드 실린더(43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왕복 운동을 하며 펀칭 플레이트(410)에 형성된 펀칭홀(411)을 관통하고 알루미늄폼(20)을 타격하여 알루미늄폼(20)에 구멍을 형성한다. 로드 실린더(430)는 펀칭 로드(420)에 결합되어 펀칭 로드(420)에 동력을 제공하며, 다양한 종류의 실린더,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유닛(800)은 베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폼(20)이 미리 설정된 간격에 따라 타공될 수 있도록 이동 수단(300) 또는 펀칭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수단(300)의 이동 속도가 일정하게 고정된 경우 펀칭 유닛(400)의 펀칭 속도를 조절하여 타공 횟수 또는 타공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펀칭 유닛(400)의 펀칭 속도가 일정하게 고정된 경우 이동 수단(30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여 타공 횟수 또는 타공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이동 수단(300)의 이동 속도와 펀칭 유닛(400)의 펀칭 속도를 모두 고정하거나, 모두 고정하지 않고 임의로 조절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유닛(800)은 이동 수단(300)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공급원(320) 또는 펀칭 로드(420)에 동력을 제공하는 로드 실린더(430)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제어유닛(800)은 반드시 베이스(100)에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의 타공 장치(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이동 수단(300)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공급원(320) 또는 펀칭 로드(420)에 동력을 제공하는 로드 실린더(4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10)는 자동으로 알루미늄폼(20)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구멍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이에 따라 전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진동방지 어셈블리(500)는 펀칭 유닛(400)의 펀칭 플레이트(410)에 결합될 수 있고,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1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진동방지 어셈블리(500)는 알루미늄폼(20)에 밀착되어 알루미늄폼(20)의 타공시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방지한다. 즉, 이동 수단(300)의 이동부재(310)는 알루미늄폼(20)의 전체에 접촉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지만, 도 1에서와 같이 알루미늄폼(20)의 일부에만 접촉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동부재(310)가 알루미늄폼(20)의 일부에만 접촉되어 결합되는 경우 이동부재(310)가 결합되지 않은 알루미늄폼(20)의 부분을 펀칭 로드(420)가 타격하면, 펀칭 로드(420)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알루미늄폼(20)에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폼(20)의 타공시 진동이 발생되면 알루미늄폼(20)에 형성되는 구멍의 정밀도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방지 어셈블리(500)는 알루미늄폼(20)에 밀착되어 알루미늄폼(20)의 타공시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한다.
진동방지 어셈블리(500)는 롤러(510)와, 롤러 구동 실린더(52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510)는 알루미늄폼(20)에 밀착되어 알루미늄폼(20)의 타공시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방지한다. 여기서, 롤러(510)는, 롤러(510)와 알루미늄폼(20) 사이의 마찰의 감소를 위해 알루미늄폼(20)이 이동부재(310)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경우 알루미늄폼(20)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한다. 그리고, 롤러 구동 실린더(520)는 롤러(510)에 결합되며 롤러(510)를 알루미늄폼(20)측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즉, 알루미늄폼(20)의 크기, 두께 등에 따라 롤러(510)와 알루미늄폼(20) 사이의 간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롤러 구동 실린더(520)가 롤러(510)를 알루미늄폼(20)측으로 이동시켜 다양한 크기 또는 두께를 가지는 알루미늄폼(20)에 대해서도 롤러(510)와 알루미늄폼(20)이 밀착될 수 있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에서 이동 수단에 결합된 서포트의 일측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에서 이동 수단에 결합된 서포트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에서 이동 수단에 결합된 서포트의 일측 측면에 대향되는 타측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4 및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서포트(600)는 이동 수단(300)의 이동부재(310)에 형성된 구동홀(33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알루미늄폼(20)을 지지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받침대(110)가 알루미늄폼(20)의 상측을 지지할 수 있다면, 서포트(600)는 알루미늄폼(2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서포트(600)는 높이 조절 부재(610)와, 지지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절 부재(610)는 이동부재(310)의 구동홀(330)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높이 조절 부재(610)의 대향되는 위치에는 알루미늄폼(2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620)가 결합되며, 높이 조절 부재(6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연동되어 지지부재(620)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면, 높이 조절 부재(610)는 작동 플레이트(611)와, 로킹부재(612)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플레이트(611)는 지지부재(620)에 결합되며, 이동부재(310)에 형성된 구동홀(330)을 따라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로킹부재(612)는 작동 플레이트(611)에 결합되며, 작동 플레이트(611)가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작동 플레이트(611)를 고정시킨다. 로킹부재(612)는 손잡이(613)와 고정봉(6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손잡이(613)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손잡이(613)에 결합된 캠형부재(미도시)가 고정봉(614)을 가압하여 작동 플레이트(611)를 고정시키며, 손잡이(613)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형부재(미도시)와 고정봉(614)의 접촉이 해제되어 작동 플레이트(611)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지지부재(620)는 작동 플레이트(611)의 대향되는 위치에서 작동 플레이트(611)에 결합되며, 작동 플레이트(611)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된다. 즉, 다양한 알루미늄폼(20)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620)가 예를 들어 알루미늄폼(20)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지지부재(620)가 알루미늄폼(20)의 높이방향으로 상하 이동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재(620)는 작동 플레이트(611)에 결합되어 이동하며 로킹부재(612)가 작동 플레이트(611)를 고정하는 경우 작동 플레이트(611)에 결합된 지지부재(620)도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각종 알루미늄폼(2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에서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부재(700)는 이동 수단(300)의 이동부재(310)에 결합되며, 알루미늄폼(20)을 가압하여 알루미늄폼(20)을 고정한다. 고정부재(700)는 클램프 레일(710)과, 클램프(720)와, 클램프 실린더(73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 레일(710)은 이동 수단(300)의 이동부재(3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클램프 레일(710)은 LM 가이드 레일(200)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720)는 클램프 레일(7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알루미늄폼(20)을 가압하여 알루미늄폼(20)를 이동부재(310)에 고정한다. 여기서, 클램프(720)는 이동부재(310)의 대향되는 위치에서 알루미늄폼(20)을 가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알루미늄폼(20)은 클램프(720)와 이동부재(310)의 사이에 위치하여 클램프(720)와 이동부재(310)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된다. 클램프 실린더(730)는 클램프(720)에 결합되어 클램프(720)가 클램프 레일(7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클램프(720)에 동력을 제공한다. 클램프 실린더(730)는 다양한 실린더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알루미늄폼(2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알루미늄폼(20)의 전방이 받침대(110)에 올려져 지지되고 알루미늄폼(20)의 하측은 지지부재(620)에 의해 지지되며, 알루미늄폼(20)의 후방은 클램프(720)에 의해 이동부재(310)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동부재(310)는 동력 공급원(320)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이동한다. 여기서, 알루미늄폼(20)의 예를 들어 하측은 서포트(600)의 지지부재(620)에 의해 지지되는데, 지지부재(620)의 높이는 높이 조절 부재(610)에 의해 조절된다. 그리고, 이동부재(310)에 결합되어 이동부재(310)와 함께 이동하는 알루미늄폼(20)이 베이스(100)에 결합된 받침대(110)에 의해 상측이 지지되어 펀칭 유닛(400)의 하측에 알루미늄폼(20)이 위치하는 경우 펀칭 로드(420)가 펀칭 플레이트(410)에 형성된 펀칭홀(411)을 통과하여 알루미늄폼(20)을 타격하며(도 5 및 도 6 참조), 이에 의해 알루미늄폼(20)에 구멍이 형성된다. 여기서, 알루미늄폼(20)의 측면에는 진동방지 어셈블리(500)가 밀착되어 알루미늄폼(20)의 타공시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방지한다. 한편, 제어유닛(800)은 이동 수단(300) 또는 펀칭 유닛(400)을 조절하여 알루미늄폼(20)이 미리 설정된 횟수와 간격에 따라 타공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타공 장치 20 : 알루미늄폼
100 : 베이스 110 : 받침대
200 : 가이드 레일 300 : 이동 수단
310 : 이동부재 320 : 동력 공급원
330 : 구동홀 400 : 펀칭 유닛
410 : 펀칭 플레이트 411 : 펀칭홀
420 : 펀칭 로드 430 : 로드 실린더
500 : 진동방지 어셈블리 510 : 롤러
520 : 롤러 구동 실린더 600 : 서포트
610 : 높이 조절 부재 611 : 작동 플레이트
612 : 로킹부재 613 : 손잡이
614 : 고정봉 620 : 지지부재
700 : 고정부재 710 : 클램프 레일
720 : 클램프 730 : 클램프 실린더
800 : 제어유닛 900 : 디스플레이부재

Claims (13)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공 대상물에 결합되어 상기 타공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타공 대상물을 펀칭하는 펀칭 유닛; 및
    상기 펀칭 유닛 또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타공 대상물에 밀착되는 진동방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방지 어셈블리는,
    상기 타공 대상물에 밀착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를 이동시키는 롤러 구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 유닛은,
    상기 타공 대상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펀칭홀이 형성되는 펀칭 플레이트;
    상기 펀칭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펀칭홀을 관통하여 상기 타공 대상물을 타격하는 펀칭 로드; 및
    상기 펀칭 로드에 결합되는 로드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타공 대상물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 공급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타공 대상물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5. 삭제
  6. 삭제
  7.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공 대상물에 결합되어 상기 타공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타공 대상물을 펀칭하는 펀칭 유닛; 및
    상기 이동 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타공 대상물을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단에는 상기 서포트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는,
    상기 구동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높이 조절 부재; 및
    상기 높이 조절 부재의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타공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이동 수단에 형성된 상기 구동홀을 따라 이동하는 작동 플레이트; 및
    상기 작동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로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10.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공 대상물에 결합되어 상기 타공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타공 대상물을 펀칭하는 펀칭 유닛; 및
    상기 이동 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타공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 수단에 결합되는 클램프 레일;
    상기 클램프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타공 대상물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에 동력을 제공하는 클램프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11. 삭제
  12. 제1항, 제7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 대상물이 미리 설정된 간격에 따라 타공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수단과 상기 펀칭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13. 제1항, 제7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 대상물은 알루미늄폼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KR1020160006987A 2016-01-20 2016-01-20 타공 장치 KR101630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987A KR101630424B1 (ko) 2016-01-20 2016-01-20 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987A KR101630424B1 (ko) 2016-01-20 2016-01-20 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424B1 true KR101630424B1 (ko) 2016-06-14

Family

ID=5619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987A KR101630424B1 (ko) 2016-01-20 2016-01-20 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4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949B1 (ko) * 2019-09-09 2020-02-26 임병만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9856A (ja) * 2001-02-16 2002-08-28 Amada Eng Center Co Ltd 防振装置およびこの防振装置を用いたパンチ・レーザ複合加工機
KR20120011449A (ko) 2010-07-29 2012-02-08 천 식 김 금속가공용 타공 및 타발장치
KR20130141820A (ko) * 2012-06-18 2013-12-27 주식회사 싸이텍 찬넬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9856A (ja) * 2001-02-16 2002-08-28 Amada Eng Center Co Ltd 防振装置およびこの防振装置を用いたパンチ・レーザ複合加工機
KR20120011449A (ko) 2010-07-29 2012-02-08 천 식 김 금속가공용 타공 및 타발장치
KR20130141820A (ko) * 2012-06-18 2013-12-27 주식회사 싸이텍 찬넬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949B1 (ko) * 2019-09-09 2020-02-26 임병만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41222A1 (zh) C型钢的成型和冲孔的生产线及其加工工艺
KR101612539B1 (ko) 천공 위치 이동식 건축 자재용 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홀 천공 방법
KR101578841B1 (ko)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KR101630424B1 (ko) 타공 장치
KR20080085497A (ko) 포터블형 펀칭 장치
KR102265990B1 (ko) 펀칭 금형장치
KR100648638B1 (ko) 강선 삽입기
CN104162579A (zh) 基于激光定位与板材调节的冲孔装置
KR101580280B1 (ko) 복합 가공장치
KR101544134B1 (ko) 다기능 파이프 가공장치
JP2021515701A (ja) リベット留め機および方法
US20170274549A1 (en) Trim Cover Perfora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20094997A (ko) 앵글용 절단기
JP5902460B2 (ja) シート打抜き装置
CN104162586A (zh) 双面冲孔式钣金冲孔装置
KR101581590B1 (ko) 데크 플레이트 상면 가공장치
KR101686948B1 (ko) 홀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홀 가공방법
EP3317032B1 (en) Press punching machine and respective method of punching apertures in elongated non-ferric enclosed polygonally profiled workpieces
KR200314614Y1 (ko) 에이치형 빔용 연결 보강판의 모서리 가공장치
KR101670712B1 (ko) 부품 제조용 리벳팅 머신
KR100459377B1 (ko) 에이치형 빔용 연결 보강판의 모서리 가공장치
KR101254111B1 (ko) 유로폼 탈판용 리벳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KR100737457B1 (ko) 진공성형물 후처리 장치 방법 및 제품
AU2016209592B2 (en) Wallboard punch assembly with stripper bushings
CN105689521A (zh) 多重定位调节式钣金冲孔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