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841B1 -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 Google Patents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841B1
KR101578841B1 KR1020140047883A KR20140047883A KR101578841B1 KR 101578841 B1 KR101578841 B1 KR 101578841B1 KR 1020140047883 A KR1020140047883 A KR 1020140047883A KR 20140047883 A KR20140047883 A KR 20140047883A KR 101578841 B1 KR101578841 B1 KR 101578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ipe
pipe
perforation
reinforc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235A (ko
Inventor
복동규
Original Assignee
복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복동규 filed Critical 복동규
Priority to KR1020140047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841B1/ko
Publication of KR20140057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8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tubes or other hollow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강파이프를 올려놓는 하부지그, 이 하부지그의 상측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하부지그에 올려진 보강파이프의 상측을 가압하는 상부지그, 하부지그의 양측에 배치되고 회전과 전후진되며 보강파이프의 둘레면에 한 쌍씩의 천공홀을 통공하는 천공부, 및 이 하부지그의 전측에 구비되어 천공홀이 통공되는 중에 보강파이프의 전측 양쪽으로 곡률지게 모따기 하는 모따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난간파이프로 사용되는 보강파이프의 양측에 천공홀을 통공하는 작업과 전측을 모따기하는 작업을 자동 설비로써 동시에 진행함에 따라 보강파이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GUARDRAIL MANUFACTURE DEVICE}
본 발명은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간파이프로 사용되는 보강파이프의 양측에 천공홀을 통공하는 작업과 전측을 모따기하는 작업을 자동 설비로써 동시에 진행함에 따라 보강파이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파이프나 스테인레스 재질인 파이프를 이용한 난간파이프는 설치현장에서 지주파이프의 상,하부에 가로파이프를 용접작업에 의해서 고정하고 있는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을 뿐만 아니라, 용접기와 전기를 사용하여야 했기 때문에 행인들의 통행에 지장을 초래함과 함께 동시에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으며, 각종 설비를 설치 현장까지 운반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한편, 지주파이프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로파이프와, 지주파이프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로파이프 사이에는, 지주파이프와 가까운 위치의 좌,우 양편에 보강용 연결파이프를 용접에 의해서 고정하고 있기도 하다. 보강용 연결파이프는 상,하부 가로파이프 상호간을 잡아주어 외부충격에 대항할 수 있는 보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용접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근래에 들어 지주파이프와 가로파이프의 연결구조에 있어 용접작업 없이 연결부재들을 이용한 설치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난간파이프에 대해서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085387호(발명의 명칭: 울타리용 난간파이프 결합구조)에 제안되어 있다.
기존 난간파이프의 보강파이프는 가로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해 홀을 뚫도록 드릴 작업을 선행 후, 최상측의 가로파이프 하측을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곡률지게 모따기 작업을 후행해야 함에 따라, 작업자가 일일이 순서대로 작업함으로써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난간파이프로 사용되는 보강파이프의 양측에 천공홀을 통공하는 작업과 전측을 모따기하는 작업을 자동 설비로써 동시에 진행함에 따라 보강파이프의 성형 제작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킴으로써 보강파이프의 생산성을 급격히 향상시키고자 하는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자동 설비로써 난간파이프용 보강파이프를 성형 제작함에 따라 작업자수를 줄이고,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는: 보강파이프를 올려놓는 하부지그; 상기 하부지그의 상측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지그에 올려진 상기 보강파이프의 상측을 가압하는 상부지그; 상기 하부지그의 양측에 배치되고, 회전과 전후진되며 상기 보강파이프의 둘레면에 한 쌍씩의 천공홀을 통공하는 천공부; 및 상기 하부지그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천공홀이 통공되는 중에 상기 보강파이프의 전측 양쪽으로 곡률지게 모따기 하는 모따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천공부는, 상기 보강파이프의 축 방향에 대해 양측으로 일대일 대응되게 배치되는 천공툴부재; 상기 천공툴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상부지그와 상기 하부지그에 의해 위치 고정된 상기 보강파이프의 둘레면에 천공홀을 통공하도록 상기 보강파이프의 축 방향에 대해 일측에 위치한 상기 천공툴부재와 타측에 위치한 상기 천공툴부재를 상기 보강파이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보강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천공툴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직선 왕복 이동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모따기부는, 상기 하부지그의 전측에서 상기 보강파이프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실린더부재; 및 상기 실린더부재의 전후진 작동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그와 상기 하부지그 사이에 위치 고정된 상기 보강파이프의 전측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부재의 전후진 작동으로 상기 보강파이프의 전측 양쪽을 모따기하는 모따기툴을 포함한다.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모따기툴의 강제 이동으로 모따기되는 상기 보강파이프를 지지하도록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홀을 구비하고, 고정되는 고정블록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파이프는 상기 하부지그에 놓인 채 상기 상부지그에 가압되기 전에, 상기 모따기툴을 내부로 수용하기 위해 푸쉬부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푸쉬부는, 상기 보강파이프의 후측에 고정 위치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어 전후진 작동되며 상기 보강파이프를 미는 푸쉬부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난간파이프로 사용되는 보강파이프의 양측에 천공홀을 통공하는 작업과 전측을 모따기하는 작업을 자동 설비로써 동시에 진행함에 따라 보강파이프의 성형 제작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킴으로써 보강파이프의 생산성을 급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자동 설비로써 난간파이프용 보강파이프를 성형 제작함에 따라 작업자수를 줄일 수 있고,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중 상부지그와 하부지그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중 천공부와 이동부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중 천공부와 이동부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중 모따기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중 푸쉬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성형제작장치로 제작되는 보강파이프가 설치된 난간파이프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제작장치로 제작된 보강파이프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중 상부지그와 하부지그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중 천공부와 이동부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중 천공부와 이동부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중 모따기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중 푸쉬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성형제작장치로 제작되는 보강파이프가 설치된 난간파이프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제작장치로 제작된 보강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제작장치는 난간파이프(10) 중 보강파이프(20)를 성형 제작하는 설비이다.
이때, 난간파이프(10)는 화분이나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아파트 발코니 등에 설치되다.
아울러, 난간파이프(10)는 나란한 복수 개의 가로파이프(30) 및 가로파이프(30)를 삽입하여 지지함으로써 가로파이프(30)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보강파이프(20)를 포함한다. 특히, 보강파이프(20)는 세로로 세워지게 설치되는데, 상측을 최상측의 가로파이프(30) 하측 둘레면에 용접한다. 이때, 보강파이프(20)의 상측은 대응되는 가로파이프(30)에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보강파이프(20)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천공홀(22)을 통공한다. 천공홀(22)은 보강파이프(20)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한 쌍씩 배치된다. 그리고, 보강파이프(20)는 상측 양쪽에 곡률지게 모따기홈(24)을 형성한다.
최상측의 가로파이프(30)는 모따기홈(24)에 안착되어 접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제작장치는 하부지그(200), 상부지그(300), 천공부(400) 및 모따기부(500)를 포함한다.
도 3에서처럼, 하부지그(200)는 보강파이프(20)를 올려놓아 지지한다. 그래서, 하부지그(200)는 보강파이프(20)의 둘레면과 동일 곡률인 곡면을 내측에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지그(200)는, 후술할, 천공툴부재(4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보강파이프(20)를 노출시키도록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요홈(210)을 형성한다.
특히, 하부지그(200)는 작업대(100)에 고정 설치된다.
물론, 하부지그(200)는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부지그(300)는 하부지그(200)의 상측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하부지그(200)에 올려진 보강파이프(20)의 상측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지그(300)는 보강파이프(20)의 둘레면과 동일 곡률인 곡면을 내측에 형성한다. 그리고, 상부지그(300)는 하부지그(200)의 하부요홈(210)과 일대일로 대응되게 상부요홈(310)을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한다.
상부지그(300)는 하강하면서 하부지그(200)의 상측을 덮어 보강파이프(20)를 고정한다.
특히, 작업대(100)에는 설치대(320)가 구비된다. 설치대(320)는 승하강작동부재(330)를 장착한다. 승하강작동부재(330)는 전후진되는 실린더로 한다. 특히, 승하강작동부재(330)는 상부지그(300)를 고정 설치한다. 따라서, 상부지그(300)는 승하강작동부재(330)에 의해 승하강된다. 상부지그(30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승하강작동부재(330)에 구속된다. 그리고, 상부지그(300)는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천공부(400)는 보강파이프(20)의 둘레면에 한 쌍씩의 천공홀(22)을 통공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천공부(400)는 하부지그(200)의 축 방향에 대해 양측에 배치되고, 회전을 하면서 전후진되며 보강파이프(20)에 천공홀(22)을 통공한다.
도 4 및 도 5에서처럼, 천공부(400)는 천공툴부재(410), 회전부(420) 및 이동부(430)를 포함한다.
천공툴부재(410)는 보강파이프(20)의 축 방향에 대해 양측으로 일대일 대응되게 배치된다. 즉, 천공툴부재(410)는 하부요홈(210)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천공툴부재(410)는 엔드밀 등으로 한다. 물론, 천공툴부재(41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회전부(420)는 천공툴부재(41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전부(420)는 종동휠(422), 동력전달부재(424) 및 구동모터(426)를 포함한다.
종동휠(422)은 보강파이프(20)의 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천공툴부재(410) 각각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즉, 종동휠(422)은 하부지그(200)에 놓여진 보강파이프(20)의 축 방향에 대해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천공툴부재(410) 각각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타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천공툴부재(410) 각각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동력전달부재(424)는 종동휠(422) 전체를 감싸며 무한 회전된다. 즉, 동력전달부재(424)는 하부지그(200)에 놓여진 보강파이프(20)의 축 방향에 대해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천공툴부재(410) 각각의 둘레면에 형성된 종동휠(422) 전체를 감싸고, 타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천공툴부재(410) 각각의 둘레면에 형성된 종동휠(422) 전체를 감싼다.
여기서, 동력전달부재(424)는 벨트나 체인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구동모터(426)는 보강파이프(20)의 일측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재(424)를 강제 회전키는 역할을 하고, 보강파이프(20)의 타측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재(424)를 강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모터(426)는 1개 이상 구비된다.
특히, 천공툴부재(410)는 보강파이프(20)의 축 방향을 따라 일대일 대응되는 한 쌍이 아닌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천공툴부재(410)가 보강파이프(20)를 관통함으로써 관통되는 부위의 천공홀(22) 가장자리에는 버(burr)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천공툴부재(4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 보강파이프(20)의 내부로 삽입되며 천공홀(22)을 통공한다.
그리고, 이동부(430)는 보강파이프(20)의 축 방향에 대해 일측에 위치한 천공툴부재(410)와 타측에 위치한 천공툴부재(410)를 보강파이프(2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천공툴부재(410)는 각각 회전부(420)의 가동으로 인해 회전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래서, 이동부(430)는 천공툴부재(410)를 이동시키며 상부지그(300)와 하부지그(200)에 의해 위치 고정된 보강파이프(20)의 둘레면에 천공홀(22)을 통공하도록 한다.
여기서, 이동부(430)는 베이스플레이트(432) 및 가이드부재(434)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432)는 보강파이프(20)의 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천공툴부재(410)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다. 즉, 베이스플레이트(432)는 하부지그(200)에 놓여진 보강파이프(20)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베이스플레이트(432)는 복수 개의 천공툴부재(410)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다. 이때, 마주하는 천공툴부재(410)는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물론, 베이스플레이트(432)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부재(434)는 베이스플레이트(432)를 직선 왕복 이동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각각의 베이스플레이트(432)는 대응되는 가이드부재(434)를 따라 하부지그(200)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하부지그(20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후진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부재(434)는 LM가이드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각각의 베이스플레이트(432)는 실린더 등 전후진 작동수단에 의해 강제로 전후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주하는 베이스플레이트(432)가 일정거리 이상 전진시, 일직선상의 천공툴부재(410)는 보강파이프(20) 내부에서 서로 부딪히게 된다.
그래서, 작업대(100)는 각각의 베이스플레이트(432)의 전후진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센싱부재(433)를 구비한다. 센싱부재(433)가 감지시, 베이스플레이트(432)는 전진 또는 후진 상태를 정지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43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천공툴부재(410) 각각이 종동휠(422)을 형성하고, 종동휠(422)은 동력전달부재(424)에 감기기 때문에, 종동휠(422)과 동력전달부재(424)가 베이스플레이트(432) 상측으로 노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각 베이스플레이트(432)는 커버(436)를 구비한다. 커버(436)는 베이스플레이트(432)를 개폐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432) 또는 작업대(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커버(436)는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도 6에서처럼, 모따기부(500)는 하부지그(200)의 전측에 구비되어 천공홀(22)이 통공되는 중에 보강파이프(20)의 전측 양쪽으로 곡률지게 모따기 하여 모따기홈(24)을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모따기부(500)는 실린더부재(510) 및 모따기툴(520)을 포함한다.
실린더부재(510)는 하부지그(200)의 전측에서 보강파이프(20)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모따기툴(520)은 실린더부재(510)의 전후진 작동부위에 형성된다. 그리고, 모따기툴(520)은 상부지그(300)와 하부지그(200) 사이에 위치 고정된 보강파이프(20)의 전측 내부에 위치하여 실린더부재(510)의 전후진 왕복 작동으로 보강파이프(20)의 전측 양쪽을 모따기하여 모따기홈(24)을 성형한다.
즉, 모따기툴(520)은 최초에 보강파이프(20)의 전측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실린더부재(510)의 왕복 이동시 보강파이프(20)의 전측 양쪽에 모따기홈(24)을 성형하게 된다.
아울러, 모따기툴(520)이 왕복 이동시, 보강파이프(20)의 전측이 모따기툴(520)의 이동 방향으로 휘어지려는 힘을 받기 때문에, 모따기홈(24)이 제대로 성형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모따기부(500)는 고정블록(530)을 더 포함한다.
고정블록(530)은 모따기툴(520)의 강제 이동으로 모따기되는 보강파이프(20)를 지지하도록 보강파이프(20)의 전측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홀(532)을 구비한다. 그리고, 고정블록(530)은 작업대(100)에 고정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보강파이프(20)는 전측이 고정블록(530)에 견고하게 지지된 채, 모따기툴(520)이 왕복 이동되며 보강파이프(20)의 전측에 모따기홈(24)을 제대로 성형한다.
한편, 작업자가 보강파이프(20)를 하부지그(200)에 놓은 상태로, 보강파이프(20)는 모따기툴(520) 방향으로 이동하여 모따기툴(520)을 전측 내부에 삽입하여야 한다.
그래서, 도 7에서처럼, 보강파이프(20)는 하부지그(200)에 놓인 채 상부지그(300)에 가압되기 전(前)에, 모따기툴(520)을 내부로 수용하기 위해 푸쉬부(600)에 의해 이동된다.
푸쉬부(600)는 거치대(610) 및 푸쉬부재(620)를 포함한다.
거치대(610)는 보강파이프(20)의 후측에 고정 위치한다. 그리고, 푸쉬부재(620)는 거치대(610)에 고정 거치되어, 보강파이프(20) 방향으로 전진 및 보강파이프(2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후진 작동한다. 아울러, 푸쉬부재(620)는 전진되며 보강파이프(20)를 모따기툴(520) 방향으로 미는 역할을 한다.
특히, 푸쉬부재(620)가 보강파이프(20)를 모따기툴(520) 방향으로 미는 상태에서, 상부지그(300)가 하강하며 보강파이프(20)의 상측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보강파이프(20)는 전측에 모따기툴(520)을 삽입한 채 견고하게 고정된다. 물론, 거치대(61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푸쉬부재(620)는 실린더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난간파이프 20: 보강파이프
22: 천공홀 24: 모따기홈
100: 작업대 200: 하부지그
300: 상부지그 400: 천공부
410: 천공툴부재 420: 회전부
430: 이동부 500: 모따기부
600: 푸쉬부

Claims (7)

  1. 보강파이프를 올려놓는 하부지그; 상기 하부지그의 양측에 배치되고, 난간파이프를 통과되게 삽입 가능하도록 회전과 전후진되며 상기 보강파이프의 둘레면에 한 쌍씩의 천공홀을 통공하는 천공부; 및 상기 하부지그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천공홀이 통공되는 중에 상기 보강파이프의 전측 양쪽으로 곡률지게 모따기 하는 모따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천공부는, 상기 보강파이프에 양측으로 통공되는 상기 천공홀에 버(burr)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강파이프의 축 방향에 대해 양측으로 일대일 대응되게 배치되어 대응되는 상기 보강파이프의 둘레면을 천공하는 천공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그의 상측에는 승하강되며 상기 하부지그에 올려져 천공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보강파이프의 상측을 가압하는 상부지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상기 천공툴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상부지그와 상기 하부지그에 의해 위치 고정된 상기 보강파이프의 둘레면에 천공홀을 통공하도록 상기 보강파이프의 축 방향에 대해 일측에 위치한 상기 천공툴부재와 타측에 위치한 상기 천공툴부재를 상기 보강파이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보강파이프의 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천공툴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직선 왕복 이동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하부지그의 전측에서 상기 보강파이프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실린더부재; 및
    상기 실린더부재의 전후진 작동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그와 상기 하부지그 사이에 위치 고정된 상기 보강파이프의 전측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부재의 전후진 작동으로 상기 보강파이프의 전측 양쪽을 모따기하는 모따기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모따기툴의 강제 이동으로 모따기되는 상기 보강파이프를 지지하도록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홀을 구비하고, 고정되는 고정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파이프는 상기 하부지그에 놓인 채 상기 상부지그에 가압되기 전에, 상기 모따기툴을 내부로 수용하기 위해 푸쉬부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는,
    상기 보강파이프의 후측에 고정 위치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어 전후진 작동되며 상기 보강파이프를 미는 푸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KR1020140047883A 2014-04-22 2014-04-22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KR101578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883A KR101578841B1 (ko) 2014-04-22 2014-04-22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883A KR101578841B1 (ko) 2014-04-22 2014-04-22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235A KR20140057235A (ko) 2014-05-12
KR101578841B1 true KR101578841B1 (ko) 2015-12-18

Family

ID=50888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883A KR101578841B1 (ko) 2014-04-22 2014-04-22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8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421A (ko) * 2018-11-13 2020-05-21 (주)티케이인더스트리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의 홀 가공장치
KR20200062493A (ko) * 2018-11-27 2020-06-04 배유근 고속 자동문의 pvc 드럼 자동화 시스템
KR20200104092A (ko) * 2019-02-26 2020-09-03 김정윤 자동 파이프 천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635B1 (ko) * 2018-04-24 2019-08-19 김명호 와이어제품 성형기용 면취장치
CN108687222A (zh) * 2018-04-26 2018-10-23 湖州剑力金属制品有限公司 自动管件冲孔设备
KR102043591B1 (ko) * 2019-05-15 2019-11-12 이정재 파이프 천공장치
KR102320588B1 (ko) * 2021-05-14 2021-11-01 윤덕용 홀 성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427B2 (ja) * 1990-08-07 2001-01-22 トムソン チユーブズ アンド デイスプレイズ ソシエテ アノニム 偏向ヨークコイル
KR100676423B1 (ko) * 2003-11-25 2007-01-31 문규연 자동 인덱스 드릴링 머신
KR101158400B1 (ko) * 2011-06-07 2012-06-25 서광기연 주식회사 파이프 단부 복합 면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427B2 (ja) * 1990-08-07 2001-01-22 トムソン チユーブズ アンド デイスプレイズ ソシエテ アノニム 偏向ヨークコイル
KR100676423B1 (ko) * 2003-11-25 2007-01-31 문규연 자동 인덱스 드릴링 머신
KR101158400B1 (ko) * 2011-06-07 2012-06-25 서광기연 주식회사 파이프 단부 복합 면취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421A (ko) * 2018-11-13 2020-05-21 (주)티케이인더스트리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의 홀 가공장치
KR102217840B1 (ko) * 2018-11-13 2021-02-19 최호천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의 홀 가공장치
KR20200062493A (ko) * 2018-11-27 2020-06-04 배유근 고속 자동문의 pvc 드럼 자동화 시스템
KR102141906B1 (ko) * 2018-11-27 2020-08-06 배유근 고속 자동문의 pvc 드럼 자동화 시스템
KR20200104092A (ko) * 2019-02-26 2020-09-03 김정윤 자동 파이프 천공장치
KR102196016B1 (ko) 2019-02-26 2020-12-29 김정윤 자동 파이프 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235A (ko)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841B1 (ko)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KR101934947B1 (ko) 다축 홀 가공장치
CN105082291B (zh) 一种全自动立梃生产线
CN111483010B (zh) 一种聚酯薄膜成型后自动化加工系统及加工工艺
CN107838360A (zh) 自动铆接机
KR101544134B1 (ko) 다기능 파이프 가공장치
ATE249293T1 (de) Maschine für die bearbeitung von werkstücken, insbesondere von blechen, mit wenigstens einer biegestation sowie wenigstens einer fügevorrichtung
TW201821174A (zh) 管件加工用模具裝置及管件加工用穿孔加工裝置
KR20120082481A (ko) 앵글 펀칭 장치
CN211221100U (zh) 一种雨伞手柄高效打孔设备
CN217451715U (zh) 一种金属制品高效率冲压机
CN206614557U (zh) 一种应用于污水处理罐的侧壁深处机器人打孔机
KR101632875B1 (ko) 펀칭장치
KR102228907B1 (ko) 판넬용 펀칭 및 절단 장치
CN110788169B (zh) 一种电梯地坎的折弯工艺及其折弯设备
CN204622254U (zh) 一种封边同步打孔装置
CN209851113U (zh) 一种自动推料型木材打孔机
CN215790360U (zh) 一种塑料管打孔机
CN215143852U (zh) 一种自动冲孔机
JP2007518576A (ja) 工具抜取り装置を備えたビードトリマー
CN205111394U (zh) 一种拉床夹头装卸装置
CN217666590U (zh) 一种不锈钢管中心孔快速定位打孔装置
CN218109009U (zh) 弹片冲压加工用连续加工设备
EP2159019B1 (en) Method and machine for processing components for fixtures made of wood and the like
CN210080596U (zh) 线束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