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949B1 -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공방법 - Google Patents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949B1
KR102081949B1 KR1020190111265A KR20190111265A KR102081949B1 KR 102081949 B1 KR102081949 B1 KR 102081949B1 KR 1020190111265 A KR1020190111265 A KR 1020190111265A KR 20190111265 A KR20190111265 A KR 20190111265A KR 102081949 B1 KR102081949 B1 KR 102081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ion
target material
fixing
punching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만
Original Assignee
임병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만 filed Critical 임병만
Priority to KR1020190111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43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소재의 플랜지 양단이 좌우방향으로 향하는 상태로 공급된 후, 이의 수평방향에서 펀칭장치가 인입되면서 대상소재의 플랜지를 가압함으로써 타공작업이 이루어지는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공방법{Horizontal bidirectional punching apparatus and punch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소재의 플랜지 양단이 좌우방향으로 향하는 상태로 공급된 후, 이의 수평방향에서 펀칭장치가 인입되면서 대상소재의 플랜지를 가압함으로써 타공작업이 이루어지는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펀칭장치는 주로 평판체로 이루어진 각종 소재에 펀치를 이용하여 구멍을 천공하는 기계로서, 이러한 펀칭장치는 소재의 종류나 사용용도 등에 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펀칭장치는 펀칭공구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대상소재를 가압함으로써 대상소재에 홀을 타공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종래의 펀칭장치에 대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141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철판으로 된 소재에 항상 일정하면서 정확한 위치에 구멍을 뚫을 수 있게 되면서 드릴작업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펀칭 프레스용 금형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개방부를 가지는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하나 이상의 구멍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각 구멍으로 수직 작동하는가이드와 펀치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와 펀치는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에 의해 탄지 설치되며, 각 펀치의 상부는 하나의 펀칭헤드에 의해 고정되고, 몸체의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구멍과 동일 위치에 하부금형의 다이들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펀칭장치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대상소재를 가압하여 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H형 빔, ㄷ형 빔 등의 플랜지 부분의 양쪽을 타공하기 위해서는 한 쪽 플랜지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1차로 타공한 뒤, 다른 플랜지가 다시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2차로 타공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필요함에 따라, 타공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141호(2005.11.07.)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상소재의 플랜지 양단이 좌우방향으로 향하는 상태로 공급된 후, 이의 수평방향에서 펀칭장치가 인입되면서 대상소재의 플랜지를 가압함으로써 타공작업이 이루어지는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공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플랜지와 웨브를 포함하는 대상소재(T)의 플랜지에 복수 개의 홀을 타공하기 위한 펀칭장치(400)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가 좌우방향 양단을 향하도록 대상소재(T)가 배치된 상태로 후단에서 전단으로 공급되는 작업대(100); 상기 작업대(100)의 전방측에서 선택적으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스탑퍼(200); 상기 작업대(100)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하부에 형성된 고정몸체(320)가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면서 상기 작업대(100)로 공급된 대상소재(T)가 고정되도록 하는 펀칭 고정부(300); 및 상기 작업대(100)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펀칭 고정부(300)에 의해 고정된 대상소재(T)의 한 쌍의 플랜지를 각각 타공하도록 구성되는 펀칭장치(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작업대(100)의 후방측에는, 일측 끝단에 회전롤러(131)가 구비된 상태로 한 쌍이 상기 작업대(100)의 좌우방향 양단에 타단측이 상기 작업대(100)의 경사진 전방을 향하는 상태로 체결되는 공급 가이드부(13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펀칭 고정부(300)는, 로드가 하방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작업대의 상방측에 배치 고정되는 고정용 실린더(310); 및 수평방향으로 연통되는 복수 개의 타공홀(321)이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용 실린더(310)의 로드 끝단에 구비되며, 인출시 상기 대상소재(T)를 가압하면서 고정하는 고정몸체(320);를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펀칭장치(40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빔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타공 가이드홈(411)이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상태로 상기 작업대의 좌우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타공 가이드부(410); 상기 타공 가이드홈(411)을 통과하여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타공부(420); 복수 개의 타공부(420)가 동시에 동작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타공부(420)와 체결되는 연동부(430); 및 상기 연동부(430)의 외측방향에 구비되며, 로드 끝단이 상기 연동부(430)와 체결되는 타공용 실린더(440);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타공부(420)는, 일단이 상기 타공 가이드홈(411)을 통과하여 상기 작업대(100)의 좌우방향 내측을 향하고, 타단이 상기 작업대(100)의 좌우방향 외측을 향하는 상태로 구비되는 타공 돌기부(421); 및 상기 타공 돌기부(421)의 타단측에 구비되며,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동부(430)가 삽입 고정되는 연동홈(422a)이 형성되는 타공 몸체부(422);를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타공 가이드부(410)의 상부에는 상기 타공부(420)가 고정되는 타공부재 고정부(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공 가이드홈(411)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타공부(420)가 상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타공부재 고정부(600)는, 하면에서 상방으로 패인 형태로 이루어지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안착홈(61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타공 가이드부(410)의 상방에 배치되는 돌기 안착부(610);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기 돌기 안착부(610)보다 좌우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몸체 고정부(620);를 포함하며, 상기 타공부(420)가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타공 돌기부(421)가 상기 안착홈(611)에 안착되고, 상기 타공 몸체부(422)가 상기 몸체 고정부(620)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를 이용한 타공방법에 있어서, 대상소재(T)의 설정된 타공수 및 타공 간격에 따라 펀칭장치(400)를 조정하는 초기 설정 단계; 타공을 실시할 대상소재(T)를 공급 배치하는 대상소재 공급단계; 타공작업 전 상기 대상소재(T)를 고정하는 대상소재 고정단계; 고정된 대상소재(T)의 좌우방향에 배치된 펀칭장치(400)를 동작하여 타공작업을 실시하는 타공단계; 및 상기 대상소재(T)의 고정을 해제하되, 상기 대상소재(T)의 타공시 발생한 조각(P)을 펀칭 고정부(300)의 고정몸체(320)로부터 분리하는 고정 해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해제 단계는, 복수 개의 고정용 실린더(310) 중 전방에 위치한 것부터 순차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소재의 플랜지 양단이 좌우방향으로 향하는 상태로 공급된 후, 이의 수평방향에서 펀칭장치가 인입되면서 대상소재의 플랜지를 가압함으로써 타공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플랜지 양단을 한번에 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펀칭장치의 타공 가이드부에 타공부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타공부의 설치 개수 및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타공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펀칭장치의 타공 가이드부의 상부에 타공부재 고정부가 구성되어 타공에 이용되지 않는 타공부를 상기 타공부재 고정부에 고정함으로써, 타공 간격을 더욱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급 가이드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대상소재가 공급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B)는 대상소재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의 파단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실시예의 펀칭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실시예의 펀칭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우측면도.
도 12는 도 9의 C-C'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실시예의 펀칭장치의 우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몸체의 내부에 안착된 조각을 배출하기 위한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를 이용한 펀칭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5는 대상소재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는 대상소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7 및 도 18은 대상소재가 펀칭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대상소재의 조각을 배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0은 대상소재의 고정이 완전히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급 가이드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대상소재가 공급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B)는 대상소재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의 파단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A-A'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실시예의 펀칭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실시예의 펀칭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우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C-C'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실시예의 펀칭장치의 우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몸체의 내부에 안착된 조각을 배출하기 위한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를 이용한 펀칭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5는 대상소재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는 대상소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7 및 도 18은 대상소재가 펀칭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대상소재의 조각을 배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0은 대상소재의 고정이 완전히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랜지와 웨브를 포함하는 대상소재(T)의 플랜지에 복수 개의 홀을 타공하기 위한 펀칭장치(400)에 있어서, 작업대(100), 스탑퍼(200), 펀칭 고정부(300) 및 펀칭장치(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대상소재(T)는 일반적인 'ㄷ', 'H'형태의 형강과 같이 웨브의 양단에 한 쌍의 플랜지가 각각 형성된 철제 빔(beam)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작업대(100)는 대상소재(T)의 작업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대상소재(T)의 플랜지가 좌우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배치된 상태로 후단에서 전단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작업대(100)는 후방측에서 공급되는 대상소재(T)를 상기 펀칭장치(400)로 이송시켜 타공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테이블 프레임(110), 복수 개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면서 상기 테이블 프레임(1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롤러(12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작업대(100)의 후방에는 상기 대상소재(T)를 공급하는 공급장치(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공급장치에 의해 상기 작업대(100)의 후방측으로 공급된 대상소재(T)는 상기 이송롤러(120)의 회전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송롤러(120)는 상기 대상소재(T)의 진입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대상소재(T)를 공급할 수 있으며, 별도의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대상소재(T)의 공급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대(100)의 후방측에는 공급되는 대상소재(T)가 중심부에 위치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급 가이드부(1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공급 가이드부(130)는 일측 끝단에 회전롤러(131)가 구비된 상태로 한 쌍이 상기 작업대(100)의 좌우방향 양단에 타단측이 상기 작업대(100)의 경사진 전방을 향하는 상태로 체결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공급 가이드부(130)는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대상소재(T)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이를 통과하는 대상소재(T)의 좌우방향 양면이 상기 회전롤러(131)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공급 가이드부(130)의 복원력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안정적으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급 가이드부(130)의 경사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대상소재의 규격에 따라 상기 공급 가이드부(130)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진입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탑퍼(200)는 작업대(100)로 공급된 대상소재(T)가 일정 위치에 정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작업대(100)의 전방측에서 선택적으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스탑퍼(200)는 로드가 상방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작업대(100)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정지용 실린더(210) 및 상기 정지용 실린더(210)의 로드 끝단에 일면이 상기 작업대(100)를 향하는 상태로 직립 설치된 정지부재(22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스탑퍼(200)가 동작되어 로드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정지부재(220)는 상기 작업대(100)보다 상방으로 돌출 배치되며, 상기 작업대(100)로 공급된 대상소재(T)는 상기 정지부재(220)에 의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가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펀칭 고정부(300)는 상기 대상소재(T)를 고정하되, 상기 펀칭장치(400)의 타공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작업대(100)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하부에 구비된 고정몸체(320)가 하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작업대(100)로 공급된 대상소재(T)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대상소재(T)를 고정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펀칭 고정부(300)는 로드가 하방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작업대(100)의 상방측에 배치 고정되는 고정용 실린더(310) 및 수평방향으로 연통되는 복수 개의 타공홀(321)이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용 실린더(310)의 로드 끝단에 구비되며, 인출시 상기 대상소재(T)를 가압하면서 고정하는 고정몸체(3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320)는 대상소재(T)의 웨브와 플랜지 사이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웨브와 면접촉되면서 상기 대상소재(T)를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대상소재(T)의 형태에 따라 대응되는 금형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대상소재(T)가 'ㄷ'자형 빔인 것으로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는 바, 상기 고정몸체(320)는 상기 대상소재(T)의 플랜지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함체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상기 펀칭 고정부(300)는 최초 동작시 상기 로드가 인입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대상소재(T)가 작업대(100)의 상부로 공급되어 상기 스탑퍼(200)에 의해 일정 위치에 정지된 상태가 되면 고정용 실린더(310)가 동작되면서 상기 로드가 인출되며, 이로 인해 상기 고정몸체(320)가 상기 대상소재(T)의 웨브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대상소재(T)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상기 고정용 실린더(310)는 고정몸체(30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가 전후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복수 개가 동시에 동작되거나 또는 정해진 순서로 동작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용 실린더(310)를 특정 순서로 동작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펀칭장치(400)는 상기 작업대(100)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펀칭 고정부(300)에 의해 고정된 대상소재(T)의 한 쌍이 플랜지를 각각 타공하도록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타공 가이드부(410), 타공부(420), 연동부(430), 타공용 실린더(440)를 포함한다.
상기 타공 가이드부(410)는 상기 타공부(420)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빔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타공 가이드홈(411)이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상태로 상기 작업대(100)의 좌우방향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상기 타공 가이드부(410)에는 복수 개의 인출입 가이드홈(412)이 좌우방향으로 연통 형성된다.
상기 타공부(420)는 상기 타공 가이드홈(411)을 통과하여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부연하면, 상기 타공부(420)는 일단이 상기 타공 가이드홈(411)을 통과하여 상기 작업대(100)의 좌우방향 내측을 향하고, 타단이 상기 작업대(100)의 좌우방향 외측을 향하는 상태로 구비되는 타공 돌기부(421) 및 상기 타공 돌기부(421)의 타단측에 구비되는 타공 몸체부(422)를 포함한다.
즉, 상기 타공부(420)는 상기 타공 돌기부(421)가 상기 작업대(100)의 좌우방향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타공 몸체부(422)가 상기 타공 가이드부(410)에 다다르면 진입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타공부(420)는 복수 개의 타공 가이드홈(411)에 각각 구비되는데, 타공하고자 하는 홀의 개수 및 간격에 따라 알맞은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타공 가이드홈(411)에 타공부(420)를 구비하면 좁은 간격으로 다수 개의 홀을 타공할 수 있으며, 하나 걸러 하나식 타공부(420)를 구비하게 되면, 상기보다 넓은 간격으로 적은 수의 홀을 타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공부(420)는 상기 타공홀(321)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공 가이드부(410)에 구비된 타공부(420)의 중심축은 상기 타공홀(321)의 중심축과 서로 동일한 수직면 상에 존재하도록 구비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320)는 대상소재(T)의 타공작업시, 대상소재(T)가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몸체(320)는 대상소재(T)가 인입된 이후,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대상소재(T)의 내부 공간에 안착된 상태로 대상소재를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상태에서 상기 타공부(420)가 대상소재(T)를 타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타공홀(321)의 중심축과 상기 타공부(420)의 중심축이 동일한 수직면 상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몸체(32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대상소재(T)를 고정한 상태일 때, 상기 타공부(420)의 돌출된 끝단이 상기 타공홀(321)을 통과하면서 대상소재(T)를 타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동부(430)는 복수 개의 타공부(420)가 동시에 동작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타공부(420)의 타공 몸체부(422)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연동부(43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기 타공 가이드부(410)와 외측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면대향된 상태로 상기 타공 몸체부(422)와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타공 몸체부(422)의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연동홈(422a)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연동홈(422a)에 상기 연동부(430)가 동시에 삽입 체결됨에 따라 복수 개의 타공부(420)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연동부(430)에는 상기 타공 가이드부(410)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인출입 가이드홈(412)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진입 가이드 돌기(43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타공 가이드부(410)와 연동부(430)의 사이에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세하게는 상기 진입 가이드 돌기(431)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연동부(430)가 상기 타공 가이드부(410)측으로 이동하면 압축되고, 상기 연동부(430)가 이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원래 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타공용 실린더(440)는 상기 작업대(100)의 내측방향으로 로드가 인출되는 상태로 상기 연동부(430)의 외측방향에 구비되며, 로드 끝단이 상기 연동부(430)와 체결된다.
이때, 상기 타공용 실린더(440)는 복수 개가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연동부(430)와 체결되는데, 타공용 실린더(440)의 개수는 대상소재(T)의 두께에 따라 사용자가 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펀칭장치(40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받침대(500)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받침대(50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타공 가이드부(41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4 및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받침대(500)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유압 실린더가 구비되어 상기 받침대(500) 전체를 상하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타공부(420)의 끝단이 배치된 높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500)의 상단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홈(510)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510)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되 일측 끝단에 모터가 연결되는 이동축(520)이 배치되며, 상기 타공 가이드부(410)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축(520)과 나사 체결되어 상기 이동축(520)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돌기(41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타공 가이드부(410)는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펀칭장치(400) 전체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타공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500)에는 상기 이동홈(510)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전후진 가이드홈(5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타공용 실린더(440)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홈(53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 보조돌기(441)가 더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타공 가이드부(4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이동 보조돌기(441)가 상기 전후진 가이드홈(530)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펀칭장치(400)의 전후진이 더욱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타공용 실린더(440)가 동작되면서 로드를 인출하게 되면, 상기 타공부(420)가 상기 작업대(100)의 내측방향으로 진입하게 되고, 상가 타공 돌기부(421)의 끝단이 상기 타공홀(321)측으로 진입하면서 상기 대상소재(T)를 타공하게 된다.
이후, 상기 타공용 실린더(440)의 로드가 다시 인입되면 상기 대상소재(T)의 타공이 완료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계한 타공 계획에 따라, 작업자가 타공부(420)를 적절하게 배치하여 타공작업이 실시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복수 개의 타공 가이드홈(411) 중 타공 계획에 대응되는 위치의 타공 가이드홈(411)에 타공 돌기부(421)를 안착시킨 뒤, 상기 타공 몸체부(422)를 상기 연동부(430)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타공부(420)가 조립되도록 한다.
이때, 복수 개의 타공부(420) 중에서 타공 계획에 따라 사용되지 않는 타공부(420)가 존재하게 되며, 이는 별도의 보관함에 적재하여 보관해야 되며, 타공 계획이 변경되는 경우, 타공부(420)를 보관함으로부터 꺼내어 조립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타공부(420)를 안전하게 보관하되, 타공계획의 변경시 타공부(420)의 조립이 더욱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부재 고정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타공 가이드홈(411)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타공부(420)가 상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타공부재 고정부(600)는 타공 가이드홈(411)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 타공부(420)가 고정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타공부재 고정부(600)는 하면에서 상방으로 패인 형태로 이루어지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안착홈(611)을 포함하며, 상기 타공 가이드부(410)의 상방에 배치되는 돌기 안착부(610)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기 돌기 안착부(610)보다 좌우방향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타공 몸체부(422)가 체결 고정되는 몸체 고정부(6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안착홈(611)은 상기 타공 돌기부(421)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공 가이드홈(411)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타공 가이드홈(411)과 대응되는 상방에 배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안착홈(611)은 상기 타공 가이드홈(411)의 수직 상방에 배치된 상태가 되며,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공 가이드홈(411)과 안착홈(611)은 하나로 연결된 상태가 되면서 상기 타공부(420)가 상기 홈들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면서 원활하게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타공 몸체부(422)의 상부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고정부(620)의 하단이 삽입 체결되는 상부 고정홈(422b)이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 고정부(520)가 상기 고정홈(422b)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타공부(420)와 타공부재 고정부(600)가 체결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타공부(42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타공 돌기부(421)는 상기 돌기 안착부(610)에 안착된 상태가 되며, 상기 타공 몸체부(422)는 하단이 연동부(430)로부터 분리되면서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부 고정홈(422b)으로 상기 몸체 고정부(620)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타공부(420)가 상기 타공 가이드부(410)의 상부에 고정 배치된 상태가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타공에 사용할 타공부(420)는 연동부(430)에 체결하고, 사용하지 않는 타공부(420)는 상기 타공부재 고정부(600)에 체결함으로써, 타공 조건의 변경시, 타공부(420)의 설치 및 보관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하면, 복수 개의 타공부(420)가 타공부재 고정부(600)에 체결된 상태에서, 타공 조건에 따라 타공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응되는 타공부(420)는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동부(430)와 체결되도록 하고, 나머지는 상기 타공부재 고정부(600)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후, 타공 조건이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타공에 필요하지 않은 타공부(420)는 다시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타공부재 고정부(600)와 체결함으로써, 타공 조건이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타공부(420)가 펀칭장치(400) 내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타공부(4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타공 간격 및 개수를 변경하도록 이루어지는 바, 타공 전 사전 작업이 더욱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타공부(420)가 상기 타공홀(321)로 인입되면서 대상소재(T)의 타공이 이루어지는 바, 타공된 대상소재(T)의 조각(P)들은 상기 고정몸체(320)의 내부에 놓인 상태가 되는데, 상기 조각(P)들이 고정몸체(320)의 내부 공간에 계속해서 머무르게 되면, 이후, 타공 공정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소재(T)의 후단측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부에 쌓인 조각(P)들을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각(P)들을 배출하는 과정은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수동으로 작업시 타공 공정을 주기적으로 정지해야 됨에 따라 시간 손실이 발생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타공작업 이후, 상기 대상소재(T)를 다시 상승시키기 위해 동작되는 복수 개의 고정용 실린더(310)가 동시에 동작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동작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대상소재(T)의 내부에 쌓인 조각(P)이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하면, 타공작업 이후, 복수 개의 고정용 실린더(310)의 로드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시, 상기 대상소재(T)의 길이방향 전단측에 위치한 고정용 실린더(310)의 로드부터 차례대로 상승하면서 상기 대상소재(T)가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대상소재(T)의 전단은 상방을 향하고, 후단은 하방을 향하는 상태로 기울어지게 되는 바, 내부 공간에 쌓여 있던 조각(P)들이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대상소재(T)의 후단측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조각(P)들은 상기 이송롤러(120)의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작업대(100)의 하방에 위치한 수거함(미도시)에 수거되어 배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대상소재(T)의 후단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하고, 복수 개의 고정용 실린더(310)가 복귀시 동작되는 순서가 서로 상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절단된 조각(P)들이 쉽게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를 이용한 타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1. 초기 설정 단계
초기 설정 단계는 대상소재(T)의 설정된 타공수 및 타공 간격에 따라 펀칭장치(400)를 조정하는 과정이다.
부연하면, 상기 초기 설정 단계는 타공하고자 하는 대상소재(T)의 규격 및 설계된 타공 조건에 따라 타공부(420)의 개수를 결정하여 타공 가이드부(410)에 설치하되, 상기 펀칭장치(400)를 전후 또는 상하로 이동시켜 타공부(420)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상술하면, 상기 초기 설정 단계에서는 받침대(5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펀칭장치(40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축(52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펀칭장치(400)가 전후진을 하면서 설계된 조건에 알맞은 전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공부(420)는 설정된 타공조건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배열 설치되는데, 제 1실시예에 따른 편칭장치(400)의 경우, 설정된 타공수 및 타공 간격에 대응하는 타공 가이드홈(411)에 상기 타공 돌기부(42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부(420)를 상기 펀칭장치(400)에 배열 조립됨에 따라 타공 준비가 완료되도록 한다.
한편, 제 2실시예에 따른 펀칭장치(400)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펀칭장치(400)에 복수 개의 타공부(420)가 내장된 상태인 바, 복수 개의 타공부(420) 중 타공조건에 따라 타공에 사용할 타공부(420)는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타공 가이드부(410) 및 상기 연동부(430)와 체결되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는 타공부(420)는 상기 타공부재 고정부(600)에 체결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타공 준비가 완료되도록 한다.
2. 대상소재 공급단계
대상소재 공급단계는 타공을 실시할 대상소재(T)를 공급 배치하는 과정으로서, 상술하면, 공급장치에 의해 상기 대상소재(T)를 작업대(100)의 후단측에서 전단측으로 상기 대상소재(T)가 공급되는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소재(T)는 공급 가이드부(13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상태로 공급된다.
부연하면, 상기 대상소재 공급단계는 상기 대상소재(T)의 플랜지 양단이 좌우방향으로 향하는 상태로 상기 작업대(100)의 후단측에서 별도의 공급장치 등에 의해 진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대상소재가 공급되면, 스탑퍼(200)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동작되며, 상기 대상소재(T)는 스탑퍼(200)에 의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일정한 위치에 정지된다.
3. 대상소재 고정단계
대상소재 고정단계는 타공작업 전 상기 대상소재(T)를 고정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술하면, 상기 대상소재(T)가 상기 스탑퍼(200)에 의해 완전히 정지된 상태가 되면, 펀칭 고정부(300)의 고정몸체(320)는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대상소재(T)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대상소재(T)가 고정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이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실린더(310)는 복수 개가 동시에 동작되면서 상기 고정몸체(32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대상소재(T)를 가압하도록 한다.
4. 타공단계
타공단계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대상소재(T)의 좌우방향에 배치된 펀칭장치(400)를 동작하여 타공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으로서, 부연하면, 상기 타공단계는 도 18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 배치된 펀칭장치(400)의 타공부(420)가 순차적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대상소재(T)를 타공하거나, 또는 도 1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 배치된 펀칭장치(400)가 동시에 내측방향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대상소재(T)를 타공하도록 한다.
도 17 및 18을 참고하여 상술하면, 상기 타공단계에서는 상기 타공용 실린더(440)의 동작에 따라 연동부(430)가 작업대(100)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이로 인에 상기 연동부(430)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인 상기 타공부(420) 또한 작업대(100)측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대상소재(T)를 가압하여 상기 타공홀(321)로 인입됨에 따라 상기 대상소재(T)의 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타공된 대상소재(T)의 조각(P)은 상기 고정몸체(320)의 내부에 안착된 상태가 되며, 상기 타공부(420)는 다시 인출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5. 고정 해제 단계
상기 고정 해제 단계는 상기 대상소재(T)의 고정을 해제하되, 상기 대상소재(T)의 타공시 발생한 조각(P)을 상기 고정몸체(32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이다.
부연하면, 상기 고정 해제 단계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32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대상소재(T)의 고정을 해제한 뒤, 상기 정지부재(22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대상소재(T)의 고정이 완전히 해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 해제 단계에서는 상기 조각(P)을 상기 고정몸체(320)로부터 분리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320)를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상기 고정용 실린더(310)는 전방에 위치한 것부터 순차적으로 상승함으로써 상기 고정몸체(320)가 기울어진 상태가 되면서 상기 고정몸체(320)의 내부에 안착된 조각(P)들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부연하면, 복수 개의 고정용 실린더(310) 중 전방에 위치한 것을 먼저 상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몸체(320)의 전단이 상방을 향하고, 후단이 하방을 향하는 상태로 기울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고정몸체(320)의 조각(P)들이 기울어진 면을 따라 후단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고정몸체(320)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배출된 조각(P)들은 별도의 수거함(미도시) 등에 수거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조각(P)들이 배출된 이후,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에 위치한 고정용 실린더(310)가 상승하면서 상기 고정몸체(320)는 완전히 상승한 상태, 즉, 상기 작업대(100)의 상방에 수평하게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대상소재(T)의 고정이 해제됨과 동시에 타공 공정의 부산물인 조각(P)들의 처리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스탑퍼(200)의 정지부재(220)는 다시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대상소재(T)의 고정이 완전히 해제된 상태가 되며, 이후, 상기 대상소재(T)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수거되면서 타공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 작업대 110 : 테이블 프레임
120 : 이송롤러 130 : 공급 가이드부
131 : 공급롤러
200 : 스탑퍼 210 : 정지용 실린더
220 : 정지부재
300 : 펀칭 고정부 310 : 고정용 실린더
320 : 고정몸체 321 : 타공홀
400 : 펀칭장치 410 : 타공 가이드부
411 : 타공 가이드홈 412 : 인출입 가이드홈
413 : 이동돌기
420 : 타공부 421 : 타공 돌기부
422 : 타공 몸체부 422a : 연동홈
422b : 상부 고정홈
430 : 연동부 431 : 진입 가이드 돌기
440 : 타공용 실린더
500 : 받침대 510 : 이동홈
520 : 이동축
600 : 타공부재 고정부 610 : 돌기 안착부
611 : 안착홈 620 : 몸체 고정부

Claims (9)

  1. 한 쌍의 플랜지와 웨브를 포함하는 대상소재(T)의 플랜지에 복수 개의 홀을 타공하기 위한 펀칭장치(400)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가 좌우방향 양단을 향하도록 대상소재(T)가 배치된 상태로 후단에서 전단으로 공급되는 작업대(100);
    상기 작업대(100)의 전방측에서 선택적으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스탑퍼(200);
    상기 작업대(100)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하부에 형성된 고정몸체(320)가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면서 상기 작업대(100)로 공급된 대상소재(T)가 고정되도록 하는 펀칭 고정부(300); 및
    상기 작업대(100)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펀칭 고정부(300)에 의해 고정된 대상소재(T)의 한 쌍의 플랜지를 각각 타공하도록 구성되는 펀칭장치(400);
    를 포함하며,
    상기 펀칭장치(40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빔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타공 가이드홈(411)이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상태로 상기 작업대의 좌우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타공 가이드부(410);
    상기 타공 가이드홈(411)을 통과하여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타공부(420);
    복수 개의 타공부(420)가 동시에 동작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타공부(420)와 체결되는 연동부(430); 및
    상기 연동부(430)의 외측방향에 구비되며, 로드 끝단이 상기 연동부(430)와 체결되는 타공용 실린더(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0)의 후방측에는,
    일측 끝단에 회전롤러(131)가 구비된 상태로 한 쌍이 상기 작업대(100)의 좌우방향 양단에 타단측이 상기 작업대(100)의 경사진 전방을 향하는 상태로 체결되는 공급 가이드부(1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펀칭 고정부(300)는,
    로드가 하방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작업대의 상방측에 배치 고정되는 고정용 실린더(310); 및
    수평방향으로 연통되는 복수 개의 타공홀(321)이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용 실린더(310)의 로드 끝단에 구비되며, 인출시 상기 대상소재(T)를 가압하면서 고정하는 고정몸체(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420)는,
    일단이 상기 타공 가이드홈(411)을 통과하여 상기 작업대(100)의 좌우방향 내측을 향하고, 타단이 상기 작업대(100)의 좌우방향 외측을 향하는 상태로 구비되는 타공 돌기부(421); 및
    상기 타공 돌기부(421)의 타단측에 구비되며,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동부(430)가 삽입 고정되는 연동홈(422a)이 형성되는 타공 몸체부(4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타공 가이드부(410)의 상부에는 상기 타공부(420)가 고정되는 타공부재 고정부(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타공 가이드홈(411)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타공부(420)가 상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타공부재 고정부(600)는,
    하면에서 상방으로 패인 형태로 이루어지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안착홈(61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타공 가이드부(410)의 상방에 배치되는 돌기 안착부(610);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기 돌기 안착부(610)보다 좌우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몸체 고정부(620);
    를 포함하며, 상기 타공부(420)가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타공 돌기부(421)가 상기 안착홈(611)에 안착되고, 상기 타공 몸체부(422)가 상기 몸체 고정부(620)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8. 청구항 1 내지 3, 청구항 5 내지 7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를 이용한 타공방법에 있어서,
    대상소재(T)의 설정된 타공수 및 타공 간격에 따라 펀칭장치(400)를 조정하는 초기 설정 단계;
    타공을 실시할 대상소재(T)를 공급 배치하는 대상소재 공급단계;
    타공작업 전 상기 대상소재(T)를 고정하는 대상소재 고정단계;
    고정된 대상소재(T)의 좌우방향에 배치된 펀칭장치(400)를 동작하여 타공작업을 실시하는 타공단계;
    상기 대상소재(T)의 고정을 해제하되, 상기 대상소재(T)의 타공시 발생한 조각(P)을 펀칭 고정부(300)의 고정몸체(320)로부터 분리하는 고정 해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양방향 타공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해제 단계는,
    복수 개의 고정용 실린더(310) 중 전방에 위치한 것부터 순차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양방향 타공방법.
KR1020190111265A 2019-09-09 2019-09-09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공방법 KR102081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265A KR102081949B1 (ko) 2019-09-09 2019-09-09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265A KR102081949B1 (ko) 2019-09-09 2019-09-09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949B1 true KR102081949B1 (ko) 2020-02-26

Family

ID=6963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265A KR102081949B1 (ko) 2019-09-09 2019-09-09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94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1020A (ja) * 1999-06-10 2000-12-19 Yasuda Seiko Kk バーリング金型
KR200401141Y1 (ko) 2005-08-22 2005-11-15 정대근 펀칭 프레스용 금형구조
KR20090039991A (ko) * 2007-10-19 2009-04-23 김장호 펀칭장치
KR20110095763A (ko) * 2010-02-19 2011-08-25 주식회사화신 버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30424B1 (ko) * 2016-01-20 2016-06-14 김성영 타공 장치
KR101632875B1 (ko) * 2016-04-18 2016-06-23 이종세 펀칭장치
KR20170066745A (ko) * 2015-12-04 2017-06-15 성일기업(주) 자동차 시트 프레임 성형용 프레스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1020A (ja) * 1999-06-10 2000-12-19 Yasuda Seiko Kk バーリング金型
KR200401141Y1 (ko) 2005-08-22 2005-11-15 정대근 펀칭 프레스용 금형구조
KR20090039991A (ko) * 2007-10-19 2009-04-23 김장호 펀칭장치
KR20110095763A (ko) * 2010-02-19 2011-08-25 주식회사화신 버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66745A (ko) * 2015-12-04 2017-06-15 성일기업(주) 자동차 시트 프레임 성형용 프레스 장치
KR101630424B1 (ko) * 2016-01-20 2016-06-14 김성영 타공 장치
KR101632875B1 (ko) * 2016-04-18 2016-06-23 이종세 펀칭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2668B1 (en) Punching machine with compact frame
US4082026A (en) Portable press
KR102081949B1 (ko) 수평형 양방향 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공방법
CN105013953A (zh) 一种高精度冲孔裁切装置
CN108435888A (zh) 一种铝板打孔装置
CN208214040U (zh) 一种铝板打孔装置
US2656888A (en) Round cornering machine
CN210497897U (zh) 一种管状型材冲孔机
JP3193252B2 (ja) カム式小型トランスファプレス機
CN206153904U (zh) 冲孔锯切机构
CN208178224U (zh) 一种自动卷圆机
GB20246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ating tubes
US3680422A (en) Pipe slotter
US680599A (en) Punch.
US2395082A (en) Convertible mounting means for punch and die tools
CN218283419U (zh) 一种左右后门锁扣加强板加工用连续模
US3211038A (en) Parallel bridge tooling
DD212662B1 (de) Biegewerkzeug zum herstellen von rohren durch einrollen und durchsetzen
US3599522A (en) Die set
CN218361527U (zh) 具有自动落料机构的离合器钣金件冲压模具
CN216262974U (zh) 一种全自动数控冲孔模具
CN218049944U (zh) 一种后备箱左右饰板前支架加工用连续模
CN220196087U (zh) 一种精冲分离机
CN213410018U (zh) 一种带有拦料机构的冲孔设备
CN210547383U (zh) 一种多功能手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