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081B1 - 온도 팽창 밸브 - Google Patents

온도 팽창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081B1
KR100646081B1 KR1020000022725A KR20000022725A KR100646081B1 KR 100646081 B1 KR100646081 B1 KR 100646081B1 KR 1020000022725 A KR1020000022725 A KR 1020000022725A KR 20000022725 A KR20000022725 A KR 20000022725A KR 100646081 B1 KR100646081 B1 KR 100646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nsing
temperature
refrigerant
valve body
power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7107A (ko
Inventor
에이지 후꾸다
가즈히꼬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ublication of KR20000077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7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3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fluid pressure, e.g.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 F25B41/3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fluid pressure, e.g.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via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01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23/12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with sensing element responsive to pressure or volume changes in a confined fluid
    • G05D23/121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with sensing element responsive to pressure or volume changes in a confined fluid characterised by the sens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1/00Details of ejectors not being used as compression device; 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8Expansion valves combined with a sensor
    • F25B2341/0682Expansion valves combined with a sensor the sensor contains sorbent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1/00Details of ejectors not being used as compression device; 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8Expansion valves combined with a sensor
    • F25B2341/0683Expansion valves combined with a sensor the sensor is disposed in the suction line and influenced by the temperature or the pressure of the suction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 에어콘 등에 장비되는 온도 팽창 밸브의 헌팅 현상(hunting phenomenon)의 방지를 도모한다.
온도 팽창 밸브의 밸브 본체(50)는, 밸브실(54)내에 밸브체(120)를 포함하며, 증발기로 향하는 고압 냉매의 유량을 제어한다. 증발기로부터 되돌아온 냉매는, 통로(63) 안을 통과할 때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100)에 접촉하여, 온도를 전달함과 동시에, 냉매 압력을 동력 소자부(80) 쪽으로 전달한다. 파이프 형상의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는 동력 소자부(80)의 다이어프램(82)의 위치에 따라 밸브체(120)를 가압하여 고압 냉매의 유량을 규제한다.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100)내에는, 수지제 튜브(140)가 삽입되고, 튜브(140)내에 열 밸러스트재(40)가 충전된다.

Description

온도 팽창 밸브 {THERMAL EXPANSION VAL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열 밸러스트재 50 : 밸브 본체
80 : 동력 소자부 100 :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
140 : 수지제 튜브
본 발명은 냉동 사이클에 사용되는 온도 팽창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 증발기에 공급하는 냉매 유량의 제어와 냉매의 감압을 목적으로, 도 2에 도시하는 온도 팽창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네모난 기둥(角柱) 형상의 밸브 본체(510)에는, 오리피스(516)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냉매 통로(514)와, 제 2 냉매 통로(519)가 서로 독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냉매 통로(514)의 일단부는 증발기(515)의 입구에 연통되고, 증발기(515)의 출구는 제 2 냉매 통로(519), 압축기(511), 응축기(512), 리시버(513)를 통해서 제 1 냉매 통로(514)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냉매 통로(514)에 연통되는 밸브실(524)에는 오리피스(516)에 착탈 가능한 구형상의 밸브체(518)를 가압하는 바이어스 스프링인 가압수단(517)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밸브실(524)은 플러그(525)로 밀봉되고, 밸브체(518)는 지지부(526)를 통해서 가압된다. 밸브 본체(510)에는 제 2 냉매 통로(519)에 인접하여 다이어프램(522; diaphragm)을 구비한 동력 소자(520; power element)가 고정되어 있다. 다이어프램(522)에 의해 구획된 동력 소자(520)의 상부 챔버(520a)는 기밀하게 되어 있으며, 온도대응 작동유체가 봉입되어 있다.
동력 소자(520)의 상부 챔버(520a)로부터 연장된 소형 파이프(521)는 상부 챔버(520a)로부터의 탈기 및 상기 온도대응 작동유체의 상부 챔버(520a)로의 주입에 사용된 후에 단부가 밀봉되어 있다. 동력 소자(520)의 하부 챔버(520b)에서는, 밸브 본체(510)내에 밸브체(518)로부터 제 2 냉매 통로(519)를 관통하여 연장된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인 밸브체 구동부재(523)의 연장단이 배치되어 다이어프램(522)에 맞닿아 있다. 밸브체 구동부재(523)는 열 용량이 큰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서, 증발기(515)의 출구로부터 방출되어 제 2 냉매 통로(519)를 흐르는 냉매 증기의 온도를 동력 소자(520)의 상부 챔버(520a) 안의 온도대응 작동유체에 전달하여, 이 온도에 대응한 압력의 작동 가스를 발생시킨다. 하부 챔버(520b)는 밸브 본체(510)의 안에서 밸브체 구동부재(523) 주위의 간극을 통해서 제 2 냉매 통로(519)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동력 소자(520)의 다이어프램(522)은 상부 챔버(520a)내의 온도대응 작동유체의 작동 가스의 압력과, 하부 챔버(520b)내의 증발기(515)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 증기의 압력의 차이에 따라 밸브체(518)를 위한 가압수단(517)의 가압력의 영향 하에서 밸브체 구동부재(523)에 의해 오리피스(516)에 대한 밸브체(518)의 밸브 개방도(즉, 액체 냉매의 증발기의 입구로의 유입량)를 조정한다.
이러한 종래의 온도 팽창 밸브에 있어서, 동력 소자(520)가 외부 분위기에 노출되어 있어서, 상부 챔버(520a)내의 온도대응 작동유체가 밸브체 구동부재(523)에 의해 전달되는 증발기 출구의 냉매의 온도뿐만 아니라 외부 분위기 특히, 엔진 룸의 온도 영향도 받는다. 나아가서는, 증발기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온도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여 밸브체(518)의 개폐를 빈번하게 반복하는 소위, 헌팅(hunting) 현상을 일으키기 쉬운 경우도 있다. 이러한 헌팅의 요인으로서는 증발기의 구조, 냉동 사이클의 배관방법, 온도 팽창 밸브의 사용방법 또는 열부하(thermal load)와의 균형 등이 있다.
종래, 상기 헌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열 밸러스트재(heat ballast member)를 이용한 것이 채용되었다. 도 3은 열 밸러스트재를 이용한 온도 팽창 밸브의 단면도로서, 도 2의 종래의 온도 팽창 밸브와는 다이어프램과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인 밸브체 구동부재의 구성이 크게 다르고, 그밖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도 3에 있어서, 온도 팽창 밸브는 네모 기둥 형상의 밸브 본체(50)를 포함하며, 밸브 본체(50)에는, 응축기(512)를 거쳐 리시버 탱크(513)로부터 유입되는 액상의 냉매가 제 1 통로(62)에 도입되는 포트(52)와, 제 1 통로(62)로부터의 냉매를 증발기(515)로 보내는 포트(58)와, 증발기로부터 되돌아온 기상의 냉매가 통과하는 제 2 통로(63)의 입구 포트(60)와, 냉매를 압축기(511)쪽으로 보내는 출구 포트(64)가 설치된다.
액상의 냉매가 도입되는 포트(52)는, 밸브 본체(50)의 중심축선상에 설치되는 밸브실(54)에 연통되고, 밸브실(54)은 너트 형상의 플러그(130)로 밀봉된다. 밸브실(54)은 오리피스(78)를 통해서 냉매를 증발기(515)에 보내는 포트(58)에 연통된다. 오리피스(78)를 관통하는 소구경의 샤프트(114)의 선단에는 구형상의 밸브체(120)가 설치되고, 밸브체(120)는 지지부재(122)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부재(122)는 바이어스 스프링(124)에 의해 밸브체(120)를 오리피스(78)를 향해 가압한다. 밸브체(120)가 오리피스(78)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변화시킴으로써, 냉매의 유로 면적이 조절된다. 액상의 냉매는, 오리피스(78)를 통과하는 동안에 팽창되어, 제 1 통로(62)를 지나 포트(58)로부터 증발기로 보내진다. 증발기로부터 되돌아온 기상 냉매는, 포트(60)로부터 도입되고, 제 2 통로(63)를 지나 포트(64)로부터 압축기쪽으로 보내진다.
밸브 본체(50)는, 상단부로부터 축선상에 제 1 홀(70)이 형성되고, 제 1 홀에 동력 소자부(80)가 나사부 등을 이용하여 부착된다. 동력 소자부(80)는, 온도감지부를 구성하는 상·하부 하우징(91, 81)과, 이러한 하우징에 삽입되는 동시에, 이들과 용접에 의해 고정 부착된 다이어프램(82)을 포함하며, 다이어프램(82) 중앙부의 원형 구멍에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100)의 상단부가, 다이어프램 지지부재(82')와 함께 전체 둘레에 걸쳐 용접에 의해 부착된다. 더욱이, 다이어프램 지지부재(82')는 하부 하우징(81)에 의해 지지된다.
상·하부 하우징(91, 81) 내에는, 통로(62) 내에 흐르고 있는 냉매와 같거나 성질이 비슷한 기액(氣液) 2상(相)의 냉매가 온도대응 작동유체로서 봉입되어 있으며, 봉입후에는 소형 파이프(21)에 의해 밀봉된다. 또한, 소형 파이프(21) 대신에 상부 하우징(91)에 용접되는 플러그체(plug body)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하부 하우징(91, 81) 내에는, 다이어프램(82)에 의해 구획되어 상부 챔버(83)와 하부 챔버(85)가 형성된다.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100)는, 제 2 통로(63) 안에 노출되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열 밸러스트재(40)가 수용되어 있다.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100)의 꼭대기부는 상부 챔버(83)에 연통되고, 상부 챔버(83)와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100)의 중공부(84)에 의해 밀폐공간(83a)을 구성한다. 파이프 형상의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100)는 밸브 본체(50)의 축선상에 형성된 제 2 홀(72)을 관통하여, 제 3 홀(74)에 삽입된다. 제 2 홀(72)과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100)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며, 이 간극을 지나 통로(63)내의 냉매가 다이어프램의 하부 챔버(85)로 도입된다.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100)는 제 3 홀(74)에 대해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입되며, 이 선단부는 샤프트(114)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샤프트(114)는 밸브 본체(50)에 형성된 제 4 홀(76)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입되며, 그 타단부는 밸브체(120)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시정수(時定數) 지연부재로서 기능하는 열 밸러스트재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즉, 열 밸러스트재(40)로서, 예컨대 입자 형태의 활성탄을 이용한 경우에는 온도대응 작동유체와 열 밸러스트재(40)의 조합은, 흡착 평형 타입이며 상당히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압력을 온도의 일차 방정식에 가깝게 만들 수 있고, 또한 그 일차 방정식의 계수는 열 밸러스트재(40)로서 봉입된 입자 형태의 활성탄의 양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온도 팽창 밸브의 사용자가 온도 팽창 밸브의 특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흡착 평형 타입의 압력-온도의 평형 상태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증발기(515)의 출구로부터 방출되는 냉매 증기의 온도 상승 및 하강시의 양쪽 모두의 경우에 비교적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해서, 즉 시정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헌팅 현상의 요인인 외란의 영향에 의한 온도 팽창 밸브의 과민한 동작을 억제할 수 있는 공조기의 성능을 안정시킴으로써 공조기의 동작 효율을 향상시킨다.
더욱이 열 밸러스트재로서, 예를 들면 알루미나·실리카 소결체를 이용한 경우에는, 온도대응 작동유체와 열 밸러스트재(40)와의 조합은, 기액 평형 타입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증발기(515)의 출구로부터 방출되는 냉매 증기의 온도 상승시에는 열 밸러스트재(40)의 다수개의 미세 구멍 안에 들어가 있는 동력 소자(20)의 한쪽 챔버(20a)내의 온도대응 작동유체가 액상에서부터 기상으로 변화(기화)하는 것이 지연되고, 즉 시정수가 커지고, 또한 상기 온도의 하강시에는 상부 챔버(83) 및 열 밸러스트재(40) 이외의 공간의 작동 가스가 이들 벽면에서 기상에서 액상으로 급속하게 변화(액화)하는 것이 방해받지 않게, 즉 시정수가 작아지는 것이다. 즉, 전자의 경우에는 증발기의 입구에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서서히 증대시켜야만 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증발기의 입구에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급속하게 저하시킨다.
여기에서, 온도가 하강하여 재빨리 밸브를 조여서, 증발기에 유입되는 냉매의 공급량이 감소하고, 그 결과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밸브는 급속하게 열리지 않기 때문에,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공급량은 급격하게 증가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냉동 사이클에 헌팅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열 밸러스트재를 이용한 온도 팽창 밸브의 헌팅 억제 특성은 유효하기 때문에 널리 채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헌팅 현상은, 각각의 냉동 사이클의 작동 특성에 따라 다르며,특히 증발기로부터 송출되는 저압 냉매에 미세한 온도 변화가 생기면 냉매에 발생하는 작은 맥동이 그대로 밸브체의 개폐 작동에 전달되어, 밸브 동작이 불안정해지고, 열 밸러스트재를 사용해도 헌팅 현상을 억제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온도 팽창 밸브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여 종래의 동작을 유지하면서, 증발기로부터 송출되는 저압 냉매에 미세한 온도 변화가 있더라도, 헌팅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된 동작에 의해 증발기에 송출되는 고압 냉매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온도 팽창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온도 팽창 밸브는,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향하는 냉매 통로를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통로 내부에 온도 감지 기능을 가지며 중공부가 내부에 형성된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를 내장한 온도 팽창 밸브로서, 상기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의 중공부의 선단이 상기 부재를 구동시키는 동력 소자부를 구성하는 다이어프램의 중앙 개구부에 고정 부착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에 의해 형성되는 동력 소자부 내의 상부 압력실과 상기 중공부를 연통시켜서 작동 유체가 봉입된 밀폐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중공부에 수용된 열 밸러스트재와 상기 중공부의 내벽 사이에 시정수 지연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압될 액상 냉매의 통로 및 증발기(evaporator)로부터 압축기(compressor)를 향하는 기상 냉매의 통로를 포함하는 밸브 본체와, 밸브 본체에 장착되는 동력 소자부와, 액상 냉매의 통로에 설치된 오리피스를 흐르는 냉매 유량을 조정하는 밸브체와, 동력 소자부를 구성하는 다이어프램과, 다이어프램에 연결되는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와,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와 밸브체를 연결하는 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동력 소자부의 온도 감지 작용에 의해 상기 밸브체를 구동시키는 팽창 밸브로서, 상기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는 중공이 파이프 형상을 이루고, 그 중공부의 선단이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앙부의 원형 구멍에 부착되는 상기 중공부와 상기 동력 소자부의 다이어프램의 상부 공간에 의해 밀폐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의 중공부에 수용된 열 밸러스트재와 상기 중공부의 내벽 사이에 시정수 지연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온도 팽창 밸브는,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의 중공부의 내벽과 그 중공부에 수용된 열 밸러스트재 사이에 시정수 지연부재를 설치했기 때문에,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로부터 열 밸러스트재로의 온도 전달이 지연되고, 열 밸러스트재만을 사용했을 때 보다 한층 더 시정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가 온도 상승했을 때에는 온도대응 작동유체가 액상에서 기상으로 상변화하는 데 있어서 더욱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되고,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가 온도 저하되었을 때에는, 상기 작동유체가 기상에서 액상으로 급속하게 변화하는 것이 방해받지 않아, 온도 팽창 밸브가 밸브 개방 방향으로 움직일 때에는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반대로 밸브 폐쇄 방향으로 움직일 때에는 급속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온도 팽창 밸브의 헌팅 현상을 더욱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정수 지연부재를 사용할 뿐이므로, 종래의 온도 팽창 밸브에 변경을 가하지 않고 헌팅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립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온도 팽창 밸브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팽창 밸브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래의 온도 팽창 밸브와는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의 구성만이 다를 뿐이므로, 종래의 온도 팽창 밸브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40은 예를 들어 수지재 또는 스테인레스 등으로 이루어진 시정수 지연부재로서, 도면에서는 폴리아세탈로 이루어진 수지제 튜브를 도시하고 있으며, 열 밸러스트재(40)와 온도감지 및 압력 전달부재(100)의 중공부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온도감지 및 압력 전달부재(100)의 중공부에는 열 밸러스트재(40)와 수지제 튜브(140)가 구비되어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제 튜브(140)가 중공부(84)에 충전되어 있는 열 밸러스트재(40)의 존재 범위까지 설치되어 있으나, 헌팅 현상의 정도에 따라 수지제 튜브를 설치하는 범위를 열 밸러스트재(40)의 일부 범위로 해도 무방한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열 밸러스트재(40)로서 입자 형태의 활성탄을 충전하고, 이 입자 형태의 활성탄을 충전한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100)와 다이어프램(82)을 상술한 바와 같이 용접하여, 동력 소자부(80)와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100)의 밀폐공간(83a)을 만든다. 이러한 공간(83a)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91)에는, 온도대응 작동유체의 봉입을 위한 소형 파이프(봉입 모세관; 21)를 부착하며, 상기 소형 파이프(21)의 일단부(도면에서는 밀봉되어 있음)로부터 탈기시키고, 이러한 탈기후에 상기 작동유체를 봉입하여, 소형 파이프(21)의 일단부를 밀봉한다. 또한, 소형 파이프(21) 대신에 종래와 마찬가지로 플러그체를 이용하여 봉입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밀폐공간(83a) 내의 압력은,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100)가 노출되는 제 2 통로(63)의 냉매 가스의 함수가 되어, 상당히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압력이 온도의 일차 방정식에 가깝게 될 수 있다.
게다가, 증발기의 출구로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 상승 및 하강시의 양쪽 모두의 경우에 수지제 튜브(140)의 존재로 인해, 열 밸러스트재로 열이 전달되는 것이 지연됨으로써 시정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것이 외란의 영향에 의한 온도 팽창 밸브의 헌팅 동작을 더욱 억제하게 된다.
또한, 열 밸러스트재로 예컨대 알루미나·실리카 소결체를 이용한 경우에도, 증발기의 출구로부터 방출되는 냉매의 온도 상승시(가열도(heating degree)의 상승시)에는, 수지재의 존재로 인해 열 밸러스트재에 열이 전달되는 것이 지연되게 되어, 열 밸러스트재(40)의 다수개의 미세 구멍 안에 들어가 있는 동력 소자부(80)의 상부 챔버(83)내의 온도대응 작동유체가 액상에서 기상으로 변화(기화)하는 것이 지연되며, 또한 상기 온도의 하강시(가열도의 하강시)에는 상부 챔버(83) 및 열 밸러스트재(40) 이외의 공간의 작동 가스가 이들 벽면에서 기상에서 액상으로 급속하게 변화(액화)하는 것이 방해받지 않는다. 즉, 전자의 경우에는 증발기의 입구에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열 밸러스트재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한층 더 서서히 증가시켜야만 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증발기의 입구에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급속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시정수 지연부재의 재질 및 두께를 적당히 선정함으로써 시정수를 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도 팽창 밸브는,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의 중공부에 수지를 열 밸러스트재를 이용하여 헌팅 현상을 억제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시정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헌팅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도 팽창 밸브는 종래의 온도 팽창 밸브를 대폭적으로 변경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제조 비용을 줄인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Claims (3)

  1.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향하는 냉매 통로를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통로 내부에 온도 감지 기능을 가지며 중공부가 내부에 형성된 온도감지 및 압력 전달부재를 내장한 온도 팽창 밸브로서,
    상기 온도감지 및 압력 전달부재의 중공부의 선단이 상기 온도감지 및 압력 전달부재를 구동시키는 동력 소자부를 구성하는 다이어프램의 중앙 개구부에 고정 부착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에 의해 형성되는 동력 소자부 내의 상부 챔버와 상기 중공부를 연통시켜서 작동 유체가 봉입된 밀폐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중공부에 수용된 열 밸러스트재(heat ballast member)와 상기 중공부의 내벽 사이에 시정수(時定數) 지연부재를 구비한 온도 팽창 밸브.
  2. 감압될 액상 냉매의 통로 및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향하는 기상 냉매의 통로를 포함하는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에 장착되는 동력 소자부와, 상기 액상 냉매의 통로에 설치된 오리피스를 통해 흐르는 냉매 유량을 조정하는 밸브체와, 상기 동력 소자부를 구성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다이어프램에 연결되는 온도감지 및 압력 전달부재와, 상기 온도감지 및 압력전달부재와 밸브체를 연결하는 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동력 소자부의 온도감지 작용에 의해 상기 밸브체를 구동시키는 온도 팽창 밸브로서,
    상기 온도감지 및 압력 전달부재는 중공 파이프의 형상을 이루며, 상기 중공부의 선단이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앙부의 원형 구멍에 부착되는 상기 중공부와 상기 동력 소자부의 다이어프램의 상부 공간에 의해 밀폐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온도감지 및 압력 전달부재의 중공부에 수용된 열 밸러스트재와 상기 중공부의 내벽 사이에 시정수 지연부재를 구비한 온도 팽창 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 및 압력 전달부재 내부에 삽입된 시정수 지연부재 내에 열 밸러스트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팽창 밸브.
KR1020000022725A 1999-05-11 2000-04-28 온도 팽창 밸브 KR100646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130312 1999-05-11
JP13031299A JP3995828B2 (ja) 1999-05-11 1999-05-11 温度膨張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7107A KR20000077107A (ko) 2000-12-26
KR100646081B1 true KR100646081B1 (ko) 2006-11-13

Family

ID=1503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725A KR100646081B1 (ko) 1999-05-11 2000-04-28 온도 팽창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23994B1 (ko)
EP (1) EP1052464B1 (ko)
JP (1) JP3995828B2 (ko)
KR (1) KR100646081B1 (ko)
CN (1) CN1142400C (ko)
DE (1) DE6001731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3123A (ja) 1999-07-19 2001-02-09 Fuji Koki Corp 温度膨張弁
JP4162839B2 (ja) * 2000-08-10 2008-10-08 株式会社不二工機 温度式膨張弁
KR20020047669A (ko) * 2000-12-13 2002-06-22 이계안 자동차용 냉방장치의 팽창밸브
JP3815978B2 (ja) * 2001-04-13 2006-08-30 株式会社不二工機 温度式膨張弁
JP4118740B2 (ja) * 2002-07-11 2008-07-16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
US6848624B2 (en) * 2002-10-18 2005-02-01 Parker-Hannifin Corporation Refrigeration expansion valve with thermal mass power element
US6868684B2 (en) * 2002-12-17 2005-03-22 Parker-Hannifin Corporation Block valve with integral refrigerant lines
US7513684B2 (en) * 2005-02-17 2009-04-07 Parker-Hannifin Corporation Calcium silicate hydrate material for use as ballast in thermostatic expansion valve
JP5141489B2 (ja) * 2008-10-07 2013-02-13 株式会社デンソー 温度式膨張弁
DE102009056281A1 (de) * 2008-12-02 2010-09-16 Denso Corporation, Kariya-City Expansionsventi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2010230249A (ja) * 2009-03-27 2010-10-14 Denso Corp 温度式膨張弁および温度式膨張弁の製造方法
US10254026B2 (en) 2011-04-21 2019-04-09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Control algorithm for electronic expansion valve modulation
CN103291992A (zh) * 2012-02-28 2013-09-11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热力膨胀阀
CN103742246A (zh) * 2013-12-23 2014-04-23 柳州正菱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节温装置
US11879676B2 (en) 2021-07-30 2024-01-23 Danfoss A/S Thermal expansion valve for a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with a thermal expansion valve
US20230034594A1 (en) * 2021-07-30 2023-02-02 Danfoss A/S Thermal expansion valve for a residential refrigeration appl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85243A (en) * 1943-04-23 1945-09-18 Milwaukee Gas Specialty Co Refrigerating system
US2577902A (en) * 1947-02-24 1951-12-11 Carrier Corp Control bulb for thermal expansion valves
US3366330A (en) * 1966-03-30 1968-01-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Heat shield for an oven control
US3537645A (en) * 1969-01-16 1970-11-03 Controls Co Of America Bulbless expansion valve
US3822563A (en) * 1973-04-25 1974-07-09 Controls Co Of America Refrigeration system incorporating temperature responsive wax element valve controlling evaporator outlet temperature
US4065939A (en) * 1976-01-30 1978-01-03 The Singer Company Combination valve
JP3224139B2 (ja) * 1992-03-11 2001-10-29 株式会社不二工機 温度膨脹弁の製造方法
JP3219841B2 (ja) * 1992-05-15 2001-10-15 株式会社不二工機 温度膨脹弁の製造方法
JP3305039B2 (ja) * 1993-04-22 2002-07-22 株式会社不二工機 温度膨脹弁
JP3116995B2 (ja) * 1996-09-02 2000-12-11 株式会社デンソー 温度式膨張弁
JP3785229B2 (ja) * 1996-09-12 2006-06-14 株式会社不二工機 膨張弁
US6062484A (en) * 1998-05-20 2000-05-16 Eaton Corporation Modular thermal expansion valve and cartridg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52464B1 (en) 2005-01-12
JP3995828B2 (ja) 2007-10-24
DE60017315T2 (de) 2006-01-12
US6223994B1 (en) 2001-05-01
KR20000077107A (ko) 2000-12-26
CN1142400C (zh) 2004-03-17
JP2000320706A (ja) 2000-11-24
DE60017315D1 (de) 2005-02-17
CN1275705A (zh) 2000-12-06
EP1052464A3 (en) 2002-01-02
EP1052464A2 (en)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081B1 (ko) 온도 팽창 밸브
KR100347351B1 (ko) 팽창밸브
US5127237A (en) Expansion valve
EP0569619B1 (en) Thermal expansion valve
JP4162839B2 (ja) 温度式膨張弁
JPH02166367A (ja) 温度膨張弁
KR100663999B1 (ko) 온도 팽창 밸브
US6474088B2 (en) Thermal expansion valve
KR100706971B1 (ko) 온도 팽창 밸브
KR19980024054A (ko) 팽창 밸브
JP2007315727A (ja) 膨張弁
JP3920059B2 (ja) 膨張弁
JP3476619B2 (ja) 膨張弁
JP2006292185A (ja) 膨張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
KR101027488B1 (ko) 팽창밸브
JP2002022317A (ja) 温度膨張弁
JPH06241620A (ja) 冷凍サイクルの制御弁
JP2008116075A (ja) 膨張弁
JP2004190947A (ja) 膨張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