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885B1 - 고무 크롤러 및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 - Google Patents

고무 크롤러 및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885B1
KR100638885B1 KR1020020026894A KR20020026894A KR100638885B1 KR 100638885 B1 KR100638885 B1 KR 100638885B1 KR 1020020026894 A KR1020020026894 A KR 1020020026894A KR 20020026894 A KR20020026894 A KR 20020026894A KR 100638885 B1 KR100638885 B1 KR 100638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rubber crawler
periphery
band
leng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7890A (ko
Inventor
치히사 요시다
카츠아키 요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7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62D55/253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having elements interconnected by one or more cables or lik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6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 B62D55/28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detachable
    • B62D55/286For soft grounds, e.g. consisting of snow or swamp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 크롤러 및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는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된 띠본체 및 견인용 러그를 구비하고 있으며, 강성이 낮은 제1러그 주변부와 강성이 높은 제2러그 주변부의 강성차를 작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2러그 주변부에 위치하는 제2러그의 띠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한 굵기를 상기 제1러그 주변부에 위치하는 제1러그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굵기보다 가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강성이 작은 부분과 강성이 큰 부분을 가지는 고무 크롤러를 장착한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를 운전할 경우, 상기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무 크롤러 및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RUBBER CRAWLER AND RUBBER CRAWLER TRAVELL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7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8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9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10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11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접지면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C-C의 화살표에 의한 단면도,
도 15는 종래의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6은 종래의 고무 크롤러의 접지면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7은 종래의 고무 크롤러에 있어서 접지된 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 2 고무 크롤러
3 구동륜 5 종동륜
6 전동륜 12 띠본체
13 러그 14 제1러그 주변부
14a 제1러그 15 제2러브 주변부
15a 제2러그 16 보강패드
18 제1러그 돌출단부(제1돌출단부)
19 제2러그 돌출단부(제2돌출단부)
20 볼록부 21 광폭부
22 테이퍼 측벽 23 스트레이트면
24 테이퍼면 α(α1, α2)테이퍼 각도
본 발명은 콤바인, 운반차, 설상차 등과 같이 지반이 약한 땅이나 밭 등을 주행하는 차량에 부착되는 고무 크롤러 및 이를 장착한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무 크롤러를 구비한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는 현재 콤바인 등의 농업기계, 백호(BACKHOE) 등의 건설작업기계 등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의 일례를 도 15에 도시하였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31)는 고무 크롤러(32), 고무 크롤러(3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륜인 구동 스프로켓(SPROCKET)(33), 고무 크롤러(32)의 내면에 접하여 마련되는 종동륜(35) 및 전동륜(36)을 구비하고 있다.
고무 크롤러(32)는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된 띠본체(39) 및 띠본체(39)의 외면에 복수로 형성된 견인용 러그(LUG)(40)로 크게 구성된다.
러그(40)를 띠본체(39)에 형성할 때는, 견인(TRACTION)성능의 향상, 러그(40) 사이의 흙의 배출성의 향상을 위해, 띠본체(39)의 폭방향에 대해 러그(40)의 길이를 길고 짧게 변화시켜 길이가 긴 러그와 짧은 러그를 교호적으로 배열하거나, 러그(40)를 띠본체(39)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갈짓자(之 ) 형상으로 배열하는 여러 가지 배열패턴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 배열패턴의 일례를 도 16에 도시하였다.
도 16은 고무 크롤러(32)의 접지면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6의 고무 크롤러(32)는 띠본체(39)의 폭방향에 대해 길이가 짧은 단축러그(41)와 길이가 긴 연장러그(42)를 띠본체(39)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호적으로 배열된 배열패턴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배열패턴을 가지는 고무 크롤러(32)를 장착한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31)를 운전하면 고무 크롤러(32)가 전동륜(36)의 하부를 통과할 때에 고무 크롤 러(32)의 자중이나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31)가 부착되어 있는 주행기구(미도시)의 중량 등에 의해 가압되고, 고무 크롤러(32)의 가압된 부분은 하방향으로 변형되도록 되어 있었다.
이 경우 단축러그(41)와 연장러그(42)는 띠폭방향에 대해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단축러그(41)가 형성되어 있는 단축러그 주변부와 연장러그가 형성되어 있는 연장러그 주변부의 강성이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축러그 주변부의 강성보다도 상기 연장러그 주변부의 강성이 크므로, 이에 따라 상기 단축러그 주변부와 상기 연장러그 주변부와의 사이에 강성차가 생기게 되어 있었다.
상기 강성차가 있을 때의 고무 크롤러의 변형 상태를 도 17에서 설명한다.
도 17은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31)의 운전시에, 고무 크롤러(32)가 접지하고 있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에서는 이중점선에 의한 가상선이 변형전의 고무 크롤러(32)를, 실선이 변형된 고무 크롤러(32)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무 크롤러(32)의 접지되어 있는 부분은 고무 크롤러(32)의 자중이나 주행기구의 중량 등의 하중에 의하여 가압되어 하방향으로 변형되어 있다.
이 변형은 상기 연장러그 주변부의 변형량보다 상기 단축러그 주변부의 변형량이 크며, 그 변형량의 차이는 도 17에서 기호(A)로 표시한 화살표(이하, '변형차(A)'라고 함)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축러그 주변부와 상기 연장러그 주변부와의 사이에 변형차(A)가 생기 는 것은, 단축러그가 연장러그 보다 그 크기가 작으므로(상기 띠폭방향에 대해 길이가 짧기 때문에), 상기 단축러그 주변부의 수직강성이 상기 연장러그 주변부의 수직강성 보다 작아지기 때문이다.
변형차(A)가 생김으로써 전동륜(36)은 변형차(A) 만큼 상하로 운동하게 되고, 이 상하 운동에 의해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31)는 운전중에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은 주행기구 전체로 전파되고, 주행기구가 진동하면 운전자가 이 주행기구를 조종하기 어렵게 되며 승차감이 나빠진다.
더욱이 상기 진동에 의해 주행기구내에 마련된 전자기기, 계기류의 고장 및 오작동 등을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축러그 주변부와 같이 강성이 낮은 부분과 연장러그 주변부와 같이 강성이 높은 부분으로 이루어진 고무 크롤러를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에 장착하여 운전할 때, 상기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고무 크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강성이 낮은 부분과 높은 부분으로 이루어진 고무 크롤러를 장착하고 있는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에 있어서, 운전중에 생기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된 띠본체와, 상기 띠본 체의 길이방향으로 교차되어 연장되는 측방향모양이 거의 사다리꼴인 견인용 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러그가 상기 띠본체의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강성이 낮은 제1러그 주변부와 강성이 높은 제2러그 주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러그가 상기 띠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러그배열패턴을 가지는 고무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제1러그 주변부와 상기 제2러그 주변부와의 강성차를 작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2러그 주변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러그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굵기를 상기 제1러그 주변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러그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굵기보다 가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크롤러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강성이 작은 상기 제1러그 주변부와 상기 강성이 큰 상기 제2러그 주변부가 형성되는 러그의 배열패턴을 가지는 고무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제1러그 주변부와 상기 제2러그 주변부와의 강성차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강성차에 의해 생기는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된 띠본체와, 상기 띠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교차되어 돌출되는 측방향모양이 거의 사다리꼴인 견인용 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러그가 상기 띠본체의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강성이 낮은 제1러그 주변부와 강성이 높은 제2러그 주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러그가 상기 띠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러그배열패턴을 가지는 고무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제1러그 주변부와 상기 제2러그 주변부의 강성차를 작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러그 주변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러그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굵기를 상기 제2러그 주변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러그의 굵기보다 굵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크롤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강성이 작은 상기 제1러그 주변부와 상기 강성이 큰 상기 제2러그 주변부가 형성되는 러그의 배열패턴을 가지는 고무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제1러그 주변부와 상기 제2러그 주변부의 강성차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강성차에 의해 생기는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러그는 측방에서 볼 경우, 근원부에서 돌출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러그의 테이퍼를 형성한 테이퍼 측벽과 상기 띠본체의 외면이 교차하는 부분의 내각의 각도는 상기 테이퍼 형상을 이루기 위한 테이퍼 각도이며, 상기 제2러그의 상기 굵기를 가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2러그의 상기 테이퍼 각도가 상기 제1러그의 상기 테이퍼 각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러그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굵기를 상기 제1러그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굵기보다 가늘게 하여 상기 제1러그 주변부와 상기 제2러그 주변부와의 강성차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강성차에 의해 생기는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러그는 측방에서 볼 경우, 근원부에서 돌출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러그의 테이퍼를 형성한 테이퍼 측벽과 상기 띠본체의 외면이 교차하는 부분의 내각의 각도는 상기 테이퍼 형상을 이루기 위한 테이퍼 각도이며, 상기 제1러그의 상기 굵기를 굵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러 그의 상기 테이퍼 각도가 상기 제2러그의 상기 테이퍼 각도보다 큰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러그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굵기를 상기 제2러그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굵기보다 굵게 하여 상기 제1러그 주변부와 상기 제2러그 주변부의 강성차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강성차에 의해 생기는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러그의 굵기를 굵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러그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근원부폭을 상기 제2러그의 상기 근원부폭보다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러그가 위치하는 상기 제1러그 주변부의 강성을 높이고 상기 제2러그 주변부와의 강성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무 크롤러가 장착된 상기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의 운전중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러그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굵기를 상기 제1러그의 굵기보다 가늘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굵기가 굵은 상기 제1러그와 굵기가 가는 상기 제2러그가 교호적으로 배열되는 배열패턴이 되므로 불균형감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2러그의 상기 테이퍼 측벽의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는 상기 제2러그의 돌출단부로부터 수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트레이트면 및 상기 스트레이트면으로부터 상기 제2러그의 근원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러그의 돌출단부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돌출단부폭은 상기 제1러그의 돌출단부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돌출단부폭과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러그의 돌출단부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돌출단부폭과 상기 제1러그의 상기 돌출단부폭을 거의 동일하게 함으로써 불균형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러그의 돌출단부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돌출단부폭이 상기 제2러그의 돌출단부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돌출단부폭보다 10~30%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강성이 낮은 상기 제1러그 주변부의 강성을 높이고 상기 제2러그 주변부와의 강성차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강성차에 의해 생기는 상기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띠본체는 상기 러그의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는 내부 위치에 내설되는 보강패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강패드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상기 띠본체의 내면부분에 볼록부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패드를 상기 러그의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띠본체의 내부위치에 마련하면 러그 주변부의 강성은 높아지지만 반대로 상기 러그 사이의 띠본체부분의 강성은 상기 러그 주변부의 강성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이에 따라, 상기 러그 사이의 상기 띠본체 부분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고무 크롤러의 강성이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의 강성차를 작게 할 수 있으며 고무 크롤러를 장착한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의 운전시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 크롤러는 상기 제2러그 주변부의 강성은 높으나 그 밖의 부분인 상기 제2러그 주변부 사이의 부분(상기 제1러그 주변부 및 상기 제2러그 주변 부 사이의 상기 띠본체부분)의 강성은 낮다.
그러므로, 상기 제2러그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상기 띠본체의 내면부분에 볼록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러그의 근원부분에 대응하는 띠본체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한 광폭부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러그 주변부 사이의 상기 띠본체부분의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고무 크롤러를 장착한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의 운전시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고무 크롤러에 있어서 가장 변형되기 쉬운(강성이 낮은) 부분이 띠본체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1러그 주변부와 상기 제2러그 주변부와의 상기 강성차를 작게 하기 위해 상기 띠본체의 고무 경도를 상기 러그의 고무 경도보다 높게 상기 띠본체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띠본체의 강성을 높이고, 강성이 높은 부분(예를 들어 상기 제2러그 주변부)과의 강성차를 작게 할 수 있으며 고무 크롤러를 장착한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의 운전중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에 따르면, 고무 크롤러, 상기 고무 크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륜, 상기 고무 크롤러의 내면에 접하여 마련되는 종동륜 및 전동륜을 구비한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무 크롤러로서 전술한 내용의 고무 크롤러를 이용한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에 따라, 고무 크롤러는 강성이 작은 제1러그 주변부와 강성이 큰 제2러그 주변부와의 강성차가 작으므로, 상기 고무 크롤러를 장착한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는 상기 강성차에 의해 생기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고 운전자의 운전시의 조종성이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주행기구에 장착된 전자기기나 계기류가 상기 진동에 의한 고장이나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 및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는 콤바인 등의 농업기계나 백호(BACKHOE) 등의 건설작업기계, 설상차 등과 같이 다양한 기계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를 도 12에 도시하였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1)는 고무 크롤러(2), 고무 크롤러(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륜인 구동 스프로켓(SPROCKET)(3), 고무 크롤러(2)의 내면에 접하여 마련되는 종동륜(5) 및 전동륜(6)으로 크게 구성된다.
고무 크롤러(2)는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띠본체(12)와 띠본체(12)의 외면에 복수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견인용 러그(LUG)(13)로 크게 구성된다.
러그(13)는 측방향에서 보면 거의 사다리꼴 형상이고, 띠본체(12)의 길이방향으로 교차되어 연장되어 있으며, 띠본체(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상기 배열패턴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고무 크롤러(2)를 접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크롤러(2)는 띠본체(12)의 폭방향에 대해 단축 제1러그(14a)와 연장 제2러그(15a)가 상기 띠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교호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띠본체(12)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띠폭방향에 대해 길이가 상이한 러그(13)를 배열하는 것은 상기 띠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한 러그 사이에 진흙 또는 흙이 가득 차서 러그(13)(고무 크롤러(2))의 견인력을 감소시키지 않기 위해서이다. 결국 상기 배열패턴을 채용함으로써 서로 이웃한 러그 사이에 진흙 또는 흙이 가득 차는 것을 방지(배토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러그(13)(고무 크롤러(2))의 견인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띠본체(12)의 폭방향의 중앙에는 구동스프로켓(3)의 톱니가 맞물리는 맞물림공(17)이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공(17)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띠본체(12) 전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으며, 맞물림공(17)에 구동스프로켓(3)의 톱니가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됨으로써 구동스프로켓(3)은 고무 크롤러(2)와 맞물림되어 동력을 고무 크롤러(2)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4는 고무 크롤러(2)의 도 13의 C-C의 화살표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크롤러(2)에는 보강패드(16) 및 고무 크롤러(2)의 신장을 규제하는 스틸코드 등의 확장체(26)가 내설된다.
보강패드(16)는 금속, 경질수지 등의 재료로 형성되고 러그(13)의 위치와 대응하는 띠본체(12)의 내부위치에 복수로 마련되며, 보강패드(16)에는 전동륜(6)의 위치를 규제하는 돌기부(27)가 띠본체(12)의 내면측에서 돌출되어 마련된다.
도 14에 도시된 전동륜(6)은 돌기부(27)를 넘어 고무 크롤러(2)의 내주면상을 전동하는 이른바 과전륜(跨轉輪)으로 구성되며, 구동스프로켓(3)에 의해 구동되는 고무 크롤러(2)는 그 접지부분이 전동륜(6)의 하부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고무 크롤러(2)가 전동륜(6)의 하부를 통과할 때의 모양을 설명한다.
고무 크롤러(2)가 접지되어 전동륜(6)의 하부를 통과할 때에, 고무 크롤러(2)는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1)가 부착되는 주행기구의 중량이나 고무 크롤러(2)의 자중 등의 하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가압되어 변형된다.
고무 크롤러(2)에 있어서 제1러그(14a)가 형성되어 있는 주변부(이하, '제1러그 주변부(14)'라고 함)와 제2러그(15a)가 형성되어 있는 주변부(이하, '제2러그 주변부(15)'라고 함)는 상기 변형에 대한 변형량이 다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러그 주변부(14)의 변형량이 제2러그 주변부(15)의 변형량보다 크므로 제1러그 주변부(14)의 변형량과 제2러그 주변부(15)의 변형량은 차이(이하, '변형차'라고 함)가 있다.
바꿔 말하면, 제1러그(14a)와 제2러그(15a)의 크기(상기 띠폭방향에 대한 상기 길이)가 다르므로(제1러그(14a)가 제2러그(15a)보다 작다), 제1러그 주변부(14)의 수직강성과 제2러그 주변부(15)의 수직강성에 차이(이하, '강성차'라고 함)가 있다.
전동륜(6)은 상기 강성차에 의해 생긴 상기 변형차만큼 상하로 운동한다.
이 상하 운동은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1)의 진동의 원인이 되어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1)가 부착되어 있는 주행기구로 전파된다.
고무 크롤러(2)는 상기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신규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하, 고무 크롤러(2)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도 13에서 설명한 고무 크롤러(2)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1러그(14a)와 제2러그(15a)는 모두 띠본체(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근원부분에서 돌출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돌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띠길이방향(화살표(X)로 표시한 방향, 이하 다른 도면에 있어서도 동일함)에 대한 전후의 측벽은 테이퍼가 형성된(경사상의) 테이퍼 측벽(22)으로 되어 있다.
제2러그(15a)의 테이퍼 측벽(22)에는 제2러그(15a)의 돌출단부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트레이트면(23) 및 스트레이트면(23)에서 제2러그(15a)의 근원부분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면(2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테이퍼 측벽(22)과 띠본체(12)의 외면이 교차하는 각도를 테이퍼 각도(α)라고 하면 제2러그(15a)의 테이퍼 각도(이하, '제2테이퍼 각도(α2)'라고 함)는 제1러그(14α)의 테이퍼 각도(이하, '제1테이퍼 각도(α1)'라고 함)보다 작다.
이와 같이 제2테이퍼 각도(α2)를 제1테이퍼 각도(α1)보다 작게 함으로써 제2러그(15a)의 띠길이방향에 대한 굵기를 제1러그(14a)의 띠길이방향에 대한 굵기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점선은 제1러그(14a)와 제2러그(15a)의 굵기를 비교하기 위해 제1러그(14a)의 외형을 가상선으로 하여 제2러그(15a)의 위치에 나타낸 것이다 (후술하는 도 2 및 도 3에 있어서도 동일함).
이에 따라 제2러그(15a)가 형성되어 있는 주변부(이하, '제2러그 주변부(15)'라고 함)의 수직강성을 제1러그(14a)가 형성되어 있는 주변부(이하, '제1러그 주변부(14)'라고 함)의 수직강성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스트레이트면(23)을 마련함으로써, 제2러그(15a)의 돌출단부(이하, '제2돌출단부(19)'라고 함)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돌출단부폭과 제1러그(14a)의 돌출단부(이하, '제1돌출단부(18)'라고 함)의 돌출단부폭을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제1러그(14a)의 상기 돌출단부폭과 제2러그(15a)의 상기 돌출단부폭의 차이는 2~3mm 정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굵기가 상대적으로 굵은 제1러그(14a)와 가는 제2러그(15a)의 배열패턴이 불균형하게 느껴지는 경우, 상기 돌출단부폭을 거의 동일하게 함으로써 불균형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이트면(23)을 형성함으로써 스트레이트면(23)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제2러그(15a)의 돌출단부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굵기를 굵게 할 수 있고, 돌출단부의 마찰에 의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제2러그(15a)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스트레이트면(23)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스트레이트면(23)을 제2러그(15a)에 형성하지 않아도 제2테이퍼 각도(α2)를 제1테이퍼 각도(α1)보다 작게 함으로써, 제2러그(15a)의 띠길이방향에 대한 굵기를 제1러그(14a)의 띠길이방향에 대한 굵기보다 가늘게 하여 제1러그 주변부(14)와 제2러그 주변부(15)의 강성차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중인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1)의 운전시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2러그(15a)는 그 편측의 테이퍼 측벽(22)에 대한 제2테이퍼 각도(α2)를 제1테이퍼 각도(α1) 보다 작게 함으로써, 제2러그(15a)의 굵기를 제1러그(14a)의 굵기보다 가늘게 하여 제1러그 주변부(14)와 제2러그 주변부(15)의 상기 강성차를 작게 한다.
상기 제3실시예는 제2러그(15a)에 있어서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전방향 또는 후방향 중 어느 일방향의 테이퍼 측벽(22)의 제2테이퍼 각도(α2)를 작게 한 것이지만, 이 때 제2러그(15a)가 지면을 밟는 면을 가지는 테이퍼 측벽(22)과 반대되는 테이퍼 측벽(22)의 제2테이퍼 각도(α2)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2러그(15a)의 강도(강성)가 충분하다면 상기 밟힘면을 가지는 테이퍼 측벽(22)의 상기 제2테이퍼 각도(α2)를 작게 하는 수단을 강구하여도 좋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4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러그(14a)의 제1테이퍼 각도(α1)를 제2테이퍼 각도(α2)보다 크게 하여 제1러그(14a)의 굵기를 제2러그(15a)의 굵기보다 굵게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점선은 제1러그(14a)와 제2러그(15a)의 굵기를 비교하기 위해 제2러그(15a)의 외형을 가상선으로 하여 제1러그(14a)의 위치에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라, 제1러그 주변부(14)의 강성을 높임으로써 제2러그 주변부(15)의 강성과의 강성차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제1러그(14a)를 굵게 함으로써 제1러그(14a)의 제1돌출단부(18)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돌출단부폭은 제2러그(15a)의 제2돌출단부(19)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돌출단부폭보다 넓어지지만, 제1러그(14a)의 돌출단부폭은 제2러그(15a)의 돌출단부폭보다 10~30% 증가시킨 범위 내에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고무 크롤러(2)를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1)에 장착할 경우의 구동륜(35)의 주변을 나타낸 부분측면도이다.
제5실시예에 따른 고무 크롤러(2)는 제1러그(14a)의 띠길이방향에 대한 근원폭(화살표(B)로 나타낸 폭)이 제2러그(15a)의 근원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강성이 낮은 제1러그 주변부(14)에 위치하는 제1러그(14a)의 상기 근원폭을 넓게 함으로써 제1러그 주변부(14)의 강성을 높여 강성이 높은 제2러그 주변부(15)와의 강성차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1)에 장착하여 운전할 경우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에 구비된 러그의 배열패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띠본체(12)에 배열된 러그(13)는 띠본체(12)의 폭방향을 따라 쭉 곧은 것을 배열한 배열패턴을 가지고 있지만, 상기 제6실시예에 따른 러그(13)의 배열패턴은 'へ'자형 러그(13)로서 상기 띠폭방향에 대한 길이가 길고 짧은 것을 상기 띠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교호적으로 배열한 것이다.
이러한 배열패턴을 가지는 고무 크롤러(2)에 있어서도 접지되는 곳에 강성이 작은(변형량이 큰) 제1러그 주변부(14)와 강성이 큰(변형량이 작은) 제2러그 주변부(1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배열패턴을 가지는 고무 크롤러에 있어서도 제1러그(14a)와 제2러그(15a)를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하여 제1러그 주변부(14)와 제2러그 주변부의 강성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7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제2러그(15a) 대신에 띠폭방향에 대한 길이가 거의 동일한 두 개의 러그(13)를 상기 띠폭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배열패턴에 있어서도 상기 강성이 작은 제1러그 주변부(14)와 상기 강성이 큰 제2러그 주변부(15)가 형성되어 있지만, 제1러그 주변부(14)에 위치하는 제1러그(14a)와 제2러그 주변부(15)에 위치하는 제2러그(15a)를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하여, 제1러그 주변부(14)와 제2러그 주변부(15)의 상기 강성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8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8실시예에 따른 고무 크롤러(2)는 상기 띠폭방향에 대한 길이가 거의 동일한 러그(13)를 띠본체(12)의 길이방향으로 갈짓자(之 ) 형상으로 배열한 배열패턴을 가지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일점선은 고무 크롤러(2)를 구비한 주행기구의 중량에 따른 하중이 걸리는 위치(방향)를 나타내고 있다(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점선도 마찬가지이다).
제8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하중이 걸리는 위치가 띠본체(12)의 폭방향 중앙에서 어긋나 있다.
이에 의해 서로 이웃한 러그(13)의 하중분담의 비율이 변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성이 작은 제1러그 주변부(14)와 상기 강성이 큰 제2러그 주변부(15)가 형성된다.
상기 제8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러그 주변부(14)에 위치하는 제1러그(14a)와 제2러그 주변부(15)에 위치하는 제2러그(15a)를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하여 제1러그 주변부(14)와 제2러그 주변부(15)의 강성차를 작게 하여 고무 크롤러(2)를 장착한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1)의 운전중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9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9실시예에서는, 고무 크롤러(2)의 제2러그(15a)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띠본체(12)의 내면부분에 보강을 위한 볼록부(20)가 형성되어 있다.
고무 크롤러(2)에 있어서 가장 변형되기 쉬운 것은 띠본체(12)이다.
상기 제9실시예와 같이 강성이 높은 제2러그(15a)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띠본체(12)의 내면부분에 볼록부(20)를 마련하면, 강성이 높은 제2러그 주변부(15) 이외의 부분, 즉 강성이 낮은 띠본체(12) 부분 및 제1러그 주변부(14)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러그 주변부(15)와 강성이 낮은 부분(제2러그(15a) 사이의 띠본체(12) 부분 및 제1러그 주변부(14))의 강성차를 작게 할 수 있고, 고무 크롤러(2)를 장착한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1)의 운전시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10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10실시예는 보강패드(16)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띠본체(12)의 내면부분에 볼록부(20)를 형성한 것이다.
띠본체(12)에 내설된 보강패드(16)에 의해 보강패드(16)가 내설된 주변부분은 강성이 높아지지만, 보강패드(16) 사이의 띠본체(12) 부분은 보강패드(16)가 내설되어 있는 주변부분 보다 강성이 낮게 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패드(16) 사이의 띠본체(12)의 내면부분에 볼록부(20)를 마련함으로써 보강패드(16)가 내설된 주변부와 보강패드(16) 사이의 띠본체(12) 부분과의 강성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무 크롤러(2)가 전동륜(6)의 하부를 통과할 때의 보강패드(16) 부근의 변형량과 보강패드(16) 사이의 띠본체(12) 부분의 변형량의 차이를 작게 하여 전동륜(6)의 상하 운동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크롤러의 제1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11실시예에 따른 고무 크롤러(2)에는 강성이 낮은 제1러그 주변부(14)에 위치하는 제1러그(14a)와 강성이 높은 제2러그 주변부(15)에 위치하는 제2러그(15a)와의 간격에 상당하는 띠본체(12)의 내면부분에 보강을 위한 볼록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러그(14a)의 근원부분에 대응하는 띠본체(12)부분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어 두꺼운 부분을 광폭부(21)로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있어서, 광폭부(2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즉 제2러그(15a)의 근원부분에 대응하는 띠본체(12)부분의 두께는 기호E의 화살표로 그 폭을 나타내고 있으며, 광폭부(21)는 기호D로 표시한 부분만큼 두께가 더 두껍게 되어 있다.
볼록부(20)를 형성한 이유는 제10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지만 제11실시예에서는 광폭부(21)를 더 마련함으로써, 강성이 낮은 부분(제1러그 주변부(14) 및 러그(13) 사이의 띠본체(12)부분)의 강성을 높이고 강성이 높은 제2러그 주변부(15)와 강성이 낮은 부분(제1러그 주변부(14) 및 러그(13) 사이의 띠본체(12)부분)과의 강성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고무 크롤러(2)는 제1실시예 내지 제11실시예에서 설명한 각각의 수단을 적절하게 적용함으로써, 강성이 낮은 부분과 높은 부분의 강성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 내지 제10실시예에 따른 고무 크롤러(2)는 모두 강성이 높은 부분(제2러그 주변부(15), 띠본체(12)의 보강패드(16) 주변부 등)과 낮은 부분(제1러그 주변부(14), 러그 사이의 띠본체(12)부분 등)의 강성차가 작으므로,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1)에 고무 크롤러(2)를 장착하여 운전할 경우, 전동륜(6)의 상하 운동이 작아지고 상기 상하 운동에 의해 생기는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1)의 진동이 감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와 같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제4실시예에 있어서, 제1러그(14a)의 굵기를 굵게 할 경우에는 제1러그(14a)의 띠길이방향에 대한 돌출단부폭은 제2러그(15a)의 돌출단부폭보다 10~30%증가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1러그 주변부(14)의 강성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10~30%의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제1러그(14a)의 돌출단부폭을 넓게(또는 좁게)하여도 좋다.
제8실시예에 따른 제2러그 주변부(15)에 위치하는 제2러그(15a)는 두 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두 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확장체(26)의 수, 굵기 등을 증가하여 띠본체(12)의 강성을 높여도 좋다.
고무 크롤러의 러그(13)의 배열패턴은 제1실시예, 제6실시예 또는 제7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러그 배열패턴에 의해 강성이 낮은 부분과 높은 부분이 형성되는 고무 크롤러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강성이 낮은 부분과 강성이 높은 부분이 형성된 고무 크롤러를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에 장착하여 운전할 경우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된 띠본체와, 상기 띠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교차되어 돌출되는 측방향모양이 거의 사다리꼴인 견인용 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러그가 상기 띠본체의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한편 강성이 낮은 제1러그 주변부와 강성이 높은 제2러그 주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러그가 상기 띠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러그배열패턴을 가지는 고무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제1러그 주변부와 상기 제2러그 주변부와의 강성차를 작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2러그 주변부에 위치하는 제2러그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굵기를 상기 제1러그 주변부에 위치하는 제1러그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굵기보다 가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크롤러.
  2.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된 띠본체와, 상기 띠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교차되어 돌출되는 측방향모양이 거의 사다리꼴인 견인용 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러그가 상기 띠본체의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한편 강성이 낮은 제1러그 주변부와 강성이 높은 제2러그 주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러그가 상기 띠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러그배열패턴을 가지는 고무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제1러그 주변부와 상기 제2러그 주변부와의 강성차를 작게 하기 위하여 상게 제1러그 주변부에 위치하는 제1러그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굵기를 상기 제2러그 주변부에 위치하는 제2러그의 굵기보다 굵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크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러그는 측방에서 볼 경우, 근원부에서 돌출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러그에 테이퍼를 형성한 테이퍼 측벽과 상기 띠본체의 외면이 교차하는 부분의 내각의 각도는 상기 테이퍼 형상을 이루기 위한 테이퍼 각도이며,
    상기 제2러그의 상기 굵기를 가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2러그의 상기 테이퍼 각도가 상기 제1러그의 상기 테이퍼 각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크롤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꼴 형상의 러그는 측방에서 볼 경우, 근원부에서 돌출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러그에 테이퍼를 형성한 테이퍼 측벽과 상기 띠본체의 외면이 교차하는 부분의 내각의 각도는 상기 테이퍼 형상을 이루기 위한 테이퍼 각도이며,
    상기 제1러그의 상기 굵기를 굵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러그의 상기 테이퍼 각도가 상기 제2러그의 상기 테이퍼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크롤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러그의 상기 굵기를 굵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러그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근원부폭을 상기 제2러그의 상기 근원부폭보다 넓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크롤러.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러그의 상기 테이퍼 측벽의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는 상기 제2러그의 돌출단부로부터 수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트레이트면 및 상기 스트레이트면으로부터 상기 제2러그의 근원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러그의 돌출단부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돌출단부폭은 상기 제1러그의 돌출단부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돌출단부폭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크롤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러그의 돌출단부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돌출단부폭이 상기 제2러그의 돌출단부의 상기 띠길이방향에 대한 돌출단부폭보다 10~30% 증가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크롤러.
  8.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띠본체는 상기 러그의 각 위치에 대응하여 내부 위치에 마련되는 보강패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강패드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상기 띠본체의 내면부분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크롤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러그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상기 띠본체의 내면부분에 볼록부를 마련하고,
    상기 제1러그의 근원부분에 대응하는 띠본체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그 부분을 광폭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크롤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러그 주변부와 상기 제2러그 주변부와의 강성차를 작게 하기 위하여 상기 띠본체 고무의 경도를 상기 러그의 경도보다 높게 하여 띠본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크롤러.
  11. 고무 크롤러, 상기 고무 크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륜, 상기 고무 크롤러의 내면에 접하여 마련되는 종동륜 및 전동륜을 구비한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무 크롤러에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고무 크롤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
KR1020020026894A 2001-05-16 2002-05-15 고무 크롤러 및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 KR100638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47031A JP3619169B2 (ja) 2001-05-16 2001-05-16 ゴムクローラおよびゴムクローラ走行装置
JPJP-P-2001-00147031 2001-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890A KR20020087890A (ko) 2002-11-23
KR100638885B1 true KR100638885B1 (ko) 2006-10-25

Family

ID=1899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894A KR100638885B1 (ko) 2001-05-16 2002-05-15 고무 크롤러 및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619169B2 (ko)
KR (1) KR100638885B1 (ko)
CN (1) CN1259212C (ko)
TW (1) TW5379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4025152D1 (de) 2004-07-30 2010-03-04 Box Minato Kk Rolle
EP1832502B1 (en) * 2004-12-20 2010-06-16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Endless line body and crawler device
JP4157874B2 (ja) * 2005-03-14 2008-10-0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弾性クローラ
JP4849992B2 (ja) * 2006-05-16 2012-01-1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ムクローラ
CN103787024A (zh) * 2012-11-01 2014-05-14 常州翔宇资源再生科技有限公司 一种废电路板干式回收生产线用皮带输送机
CN103662603B (zh) * 2013-11-30 2016-04-06 南通剑桥输送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夹压功能的传输带结构
CN103863592B (zh) * 2014-04-06 2016-03-23 赵东顺 一种高精度称量器
US9254964B2 (en) * 2014-04-16 2016-02-09 Laitram, L.L.C. Textured-top conveyor belt modu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0076A (en) * 1990-02-14 1995-01-10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Rubber crawler belt of a tracked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0076A (en) * 1990-02-14 1995-01-10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Rubber crawler belt of a tracke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890A (ko) 2002-11-23
TW537987B (en) 2003-06-21
JP3619169B2 (ja) 2005-02-09
JP2002337766A (ja) 2002-11-27
CN1259212C (zh) 2006-06-14
CN1385349A (zh)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1675B2 (en) Lug arrangement for elastic crawler
US7695077B2 (en) Coreless rubber crawler
US6474756B2 (en) Rubber crawler belt
KR100638885B1 (ko) 고무 크롤러 및 고무 크롤러 주행장치
US20140239709A1 (en) Crawler track and crawler track segment
JP2010018091A (ja) ゴムクローラ
WO2011024841A1 (ja) ゴムクローラ
JP5469163B2 (ja) ゴムクローラ
JP2000072056A (ja) 弾性クローラおよび弾性クローラ用幅方向補強体
JP4157863B2 (ja) 弾性クローラ
JP4471456B2 (ja) 弾性クローラ及び弾性クローラ用芯体
JP2005041265A (ja) 振動を低減したゴムクローラ
JP4083863B2 (ja) 弾性クローラ
JP5587577B2 (ja) ゴムクローラ
JP2528017B2 (ja) 装軌車両のゴム履帯
JPH03235766A (ja) ゴム履帯のラグパターン
JPH11198873A (ja) 内周駆動型ゴムクロ−ラ及びゴムクロ−ラ装置
JP4152146B2 (ja) 弾性クローラ
JPH03235768A (ja) ゴム履帯の芯金
JP2871192B2 (ja) クローラ用芯金及び弾性クローラ
JPH11240471A (ja) 無限軌道履帯装置
JPH04331674A (ja) クローラ用無端履帯
JP2003246283A (ja) 装軌車両のゴム履帯
JPH042583A (ja) 弾性クローラ
JP2000025416A (ja) ラグを有する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216

Effective date: 200605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100093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216

Effective date: 200605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