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315B1 - 촬상장치 및 카메라모듈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및 카메라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315B1
KR100637315B1 KR1020040090641A KR20040090641A KR100637315B1 KR 100637315 B1 KR100637315 B1 KR 100637315B1 KR 1020040090641 A KR1020040090641 A KR 1020040090641A KR 20040090641 A KR20040090641 A KR 20040090641A KR 100637315 B1 KR100637315 B1 KR 100637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isplay
unit
imagin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844A (ko
Inventor
마츠다다카오
나가토모쇼이치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88337A external-priority patent/JP42415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89617A external-priority patent/JP406699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5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2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2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 H04N1/0053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using rotatably mounted or foldabl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6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 가능한 본체부와 덮개부를 갖는 촬상장치 및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으로, 무선부(121)를 갖는 본체부(1)와, 표시부(21)를 갖는 덮개부(2)와, 본체부(1)에 일단측에서, 덮개부(2)에 타단측에서 각각 회전운동 자유롭게 힌지결합(4ㆍ5)되는 연결부(3)를 구비하고, 본체부(1)에 대해 덮개부(2)를 접이 가능하게 한 접이식 휴대전자기기이며, 연결부(3)에 본체부(1)측으로부터 덮개부(2)측으로 향하여 설치된 카메라모듈(300)을 구비하고, 또한 카메라모듈(300)의 촬상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제어부(133)와, 카메라모듈(300)의 기동ㆍ종료 및 무선부(121)를 제어하는 제어부(122)와, 각 부의 데이터통신을 제어하는 주소ㆍ데이터버스처리부(1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촬상장치, 카메라모듈, 휴대전화기, 휴대전자기기, 통신처리, 무선통신

Description

촬상장치 및 카메라모듈{IMAGE PICKUP APPARATUS AND CAMERA MODULE}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전화기(100)에 있어서 본체부(1)상에 덮개부( 2)를 겹친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휴대전화기(100)에 있어서, 덮개부(2)를 열어 본체부(1)의 연장상에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상기 도 2a로부터, 연결부(3)의 카메라부(31) 및 플래시용 LED(32)를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으로 오도록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연결부(3)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a는 휴대전화기(100)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부(1)에 덮개부(2)를 겹친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b는 휴대전화기(100)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덮개부(2)를 열어 본체부(1)의 연장상에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c는 휴대전화기(100)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4b로부터, 연결부(3)의 카메라부(31) 및 플래시용 LED(32)를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으로 오도록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휴대전화기(100)의 통신ㆍ화상ㆍ제어처리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전화기(200)에 있어서 본체부(1)상에 덮개부 (2)를 겹친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a는 휴대전화기(200)에 있어서, 덮개부(2)를 열어 본체부(1)의 연장상에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b는 도 7a의 상태로부터, 연결부(3)에 설치된 카메라부(31) 및 플래시용 LED(32)를 정면측으로 돌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c는 도 7a의 상태로부터, 연결부(3)에 설치된 카메라부(31) 및 플래시용 LED(32)를 배면측으로 돌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연결부(3)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9a는 휴대전화기(200)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부(1)에 덮개부(2)를 겹친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b는 휴대전화기(200)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덮개부(2)를 열어 본체부(1)의 연장상에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c는 휴대전화기(200)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9b의 상태로부터, 연결부(3)에 설치된 카메라부(31) 및 플래시용 LED(32)를 정면측으로 돌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d는 휴대전화기(200)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9b의 상태로부터, 연결부(3)에 설치된 카메라부(31) 및 플래시용 LED(32)를 배면측으로 돌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전화기(400)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기적인 접속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휴대전화기(400)의 기능적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12는 휴대전화기(400)에 있어서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카메라 모듈이 기동하기까지의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휴대전화기(400)에 있어서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스루화상의 표시시에 있어서의 제어신호와 화상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휴대전화기(400)에 있어서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셔터버튼눌러내림에 의해 촬상화상이 보존되기까지의 제어신호와 화상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휴대전화기(400)에 있어서의 촬영모드로의 이행으로부터 종료까지의 시퀀스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6a는 휴대전화기(400) 표시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처리 또는 착신의 수신대기상태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b는 휴대전화기(400) 표시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촬영모드전환중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c는 휴대전화기(400) 표시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스루화상을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a는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전화기(500)에 있어서 본체부(1)상에 덮개부(2)를 겹친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7b는 휴대전화기(500)에 있어서, 덮개부(2)를 열어 본체부(1)의 연장상에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7c는 휴대전화기(500)의 촬영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8a는 휴대전화기(500)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부(1)에 덮개부(2)를 겹친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8b는 휴대전화기(200)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덮개부(2)를 열어 본체부(1)의 연장상에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휴대전화기(500)의 통신ㆍ화상ㆍ제어처리를 나타낸 블록도.
도 20은 휴대전화기(600)의 본체부(1) 및 덮개부(2)를 열고, 본체부(1)의 연장상에 위치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연결부분의 내부의 전기적인 접속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1은 휴대전화기(600)의 본체부(1) 및 덮개부(2)를 열고, 본체부(1)의 연장상에 위치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연결부분의 내부의 전기적인 접속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2는 휴대전화기(600)의 기능적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3은 휴대전화기(600)에 있어서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카메라 모듈이 기동하기까지의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휴대전화기(600)에 있어서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촬상화상의 표시부로의 표시시에 있어서의 제어신호와 화상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휴대전화기(600)에 있어서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셔터버튼눌러내림에 의해 촬상화상이 보존되기까지의 제어신호와 화상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휴대전화(600)에 있어서의 촬영모드로의 이행으로부터 종료까지의 시퀀스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부 2: 덮개부
3: 연결부 4: 제 1 힌지부
5: 제 2 힌지부 11: 조작부
13: 마이크로스위치 14: 본체부기판
15: 덮개부기판 16: 연결부기판
21: 메인표시부 22: 서브표시부
31: 촬상디바이스 32: 플래시용 LED(발광부재)
34: 렌즈배리어 100: 휴대전화기
101: 내장안테나 102: 스피커
103: 녹음용 마이크 104: 마이크
105: 통지용 스피커 106: 통지용 LED
107: 플래시용 LED 121: 무선부
122: 제어부 123: 주소ㆍ데이터버스처리부
124: RAM 125: 프로그램ROM
126: 음원IC 127: 앰프
128: 표시모듈계 드라이버 129: DSP
130: 화상메모리 131: 화상처리부
132: 카메라RAM 133: 카메라제어부
134: 모터 135: 셔터
136: 마이크로스위치 200: 휴대전화기
300: 카메라모듈 311: 렌즈
400: 휴대전화기 401: 제 1 힌지접속부
402: 제 1 힌지접속부 500: 휴대전화기
501: 제 2 힌지접속부 502: 제 2 힌지접속부
600: 휴대전화기 1001: 굴곡단부
1002: 노치부 1003: 굴곡단부
1221: 통신데이터처리부 1222: 시스템ROM
1223: 오디오인터페이스 2001: 굴곡단부
2002: 노치부 2003: 노치부
3001: 굴곡연장부
본 발명은 접이 가능한 본체부와 덮개부를 갖는 촬상장치 및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키입력조작을 실시하는 조작부를 갖는 본체부를 연결부의 일단측에 힌지결합하고, 표시부를 갖는 덮개부를 연결부의 타단측에 힌지결합한 접이식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연결부에 카메라부를 설치한 것이 있다.
또 본체부와 덮개부를 결합하는 힌지부에 회전 자유롭게 카메라부를 편입한 것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부착 휴대전화기의 구조에서는, 덮개체의 표시부를 파인더(모니터)로서 보면서 카메라로서 사용하는 면으로부터는 풍경촬영 및 타인촬영으로부터 자신촬영으로의 전환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하는 경우, 카메라부를 손으로 회전시켜 방향을 반대측으로 바꾸거나, 휴대전화기를 뒤집어서 바꿔 쥐거나 하는 등 귀찮은 조작을 동반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카메라부착의 접이식 휴대전자기기 등의 촬상장치에 있어서, 간단하게 풍경촬영 및 타인촬영과 자신촬영을 신속히 전환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와 같은 촬상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부착의 접이식 휴대전자기기에 있어서, 통신처리, 촬상처리에 있어서 서로의 처리동작을 원활하게 전환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고밀도 실장을 요하는 카메라부착 휴대전화 등의 카메라모듈에 있어서, 사이즈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는 렌즈구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촬상장치는, 본체부, 덮개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 1 회전운동축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덮개부에 결합되는 제 2 회전운동축을 구비하고, 해당 제 1 회전운동축과 제 2 회전운동축에 각각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광축으로 하는 렌즈와, 이 렌즈를 통하여 입력된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을 내장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또 청구항 2의 촬상장치는, 상기 청구항 1의 구성에 덧붙여서 상기 본체부는 조작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덮개부는 제 1 표시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조작수단에 의한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촬상수단을 제어하는 촬상제어수단과, 상기 촬상제어수단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상기 제 1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 1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청구항 4의 촬상장치는, 상기 청구항 2의 구성에 덧붙여서 외부와의 무선통신처리를 실시하는 무선통신수단과, 이 무선통신수단에 의한 무선통신처리에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제 1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 2 표시제어수단과, 상기 촬상제어수단에 의한 촬상이 실시되고 있을 때는 상기 제 2 표시제어수단에 의한 제어보다도 상기 제 1 표시제어수단에 의한 제어를 우선시키도록 처리하는 처리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1 기재의 카메라모듈은, 제 1 회전운동축과 제 2 회전운동축을 구비한 케이스에 내장되고, 해당 제 1 회전운동축과 제 2 회전운동축에 각각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광축으로 하는 렌즈와, 이 렌즈를 통하여 입력된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렌즈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장치 및 카메라모듈의 한 실시형태로서 휴대전화기(100)를 나타낸 도 1∼도 4c에 있어서, “1”은 본체부, “2”는 덮개부, “3”은 연결부, “4”는 제 1 힌지부, “5”는 제 2 힌지부이다.
본체부(1)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면(도시에서는 좌측면)측에 카메라키나 셔터키 등을 포함하는 각종 입력키 및 숫자키 등에 의한 조작부(입력부, 11), 내장안테나(101, 파선직사각형부분), 마이크(104)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 1 및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의 조작부(11)를 갖는 면상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덮개부(2)가 겹쳐진다.
이들 본체부(1) 및 덮개부(2)는 그 겹쳐진 상태의 긴쪽방향 일단측에 형성된 동일방향으로의 굴곡단부(1001, 2001)에 있어서, 연결부(3)를 통하여 서로 회전운동 자유롭게 맞붙여져 있다.
덮개부(2)는 본체부(1)를 덮는 크기이고, 본체부(1)와 겹쳐지는 면측에 메인표시부(21)를 구비하며, 그 이면측에 서브표시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또 스피커(102)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힌지부(4) 및 제 2 힌지부(5)를 구비하는 동시에, 제 1 힌지부(4)로부터 제 2 힌지부(5)로 향하는 단면에 카메라부(31) 및 플래시용 LED(발광부재, 32)가 나란히 구비되어 있다.
이 연결부(3)는 도 2a, 2b 및 도 4b,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의 굴곡단부(1001)에 대해 제 1 힌지부(4)에 의해 회전운동 자유롭게 결합되는 동시에, 덮개부(2)의 굴곡단부(2001)에 대해 제 2 힌지부(5)에 의해 회전운동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본체부(1) 및 덮개부(2)의 굴곡단부(1001, 2001)에는 연결부(3)를 편입하기 위한 노치부(1002, 200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의 노치부(1002)에는 연결부(3)의 위치상태를 검출하는 마이크로스위치(13)가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상기의 휴대전화기(100)의 통신ㆍ화상ㆍ제어처리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부(121)는 내장안테나(101)에 접속되어 해당 안테나(101)를 구동제어하는 회로부이며, 외부의 통신서비스사업자가 채용하는 무선통신방식(예를 들면 CDMA, PDC, GSM 등)에 의거하는 무선신호의 변조처리 및 단말인증처리를 포함하는 통신처리를 실시한다.
제어부(122)는 해당 휴대전화기의 회로 전체를 제어하는 동시에, 통신서비스사업자를 경유한 WWW접속의 제어를 실시하는 것으로, 통신데이터처리부(1221), 시스템ROM(1222) 및 오디오인터페이스(1223)를 갖고 있다. 통신데이터처리부(1221)는 음성복호부호화처리회로, 패킷데이터생성회로 및 패킷데이터복원회로를 포함하고, 통신서비스사업자가 채용하는 통신프로토콜을 따른 데이터처리를 실시한다. 시스템ROM(1222)에는 해당 휴대전화기의 기간(基幹)부분을 제어하는 기본시스템이 격납된다. 오디오인터페이스(1223)는 통신데이터처리부(1221)에서 처리되는 음성신호의 입출력을 실시하는 것이며, 해당 휴대전화기에 구비된 스피커(101), 녹음용 마이크(103) 및 마이크(104)가 접속되어 있다.
주소ㆍ데이터버스처리부(123)는 제어부(122)와 주변회로(도시파선테두리내의 회로)의 데이터의 입출력타이밍 등을 제어ㆍ관리하는 것이다. RAM(124)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주소록데이터, 네트워크접속에 이용되는 메일데이터 및 인터넷주소 및 촬상디바이스(카메라부, 31)에서 촬상된 화상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프로그램ROM(125)은 화상처리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 등을 격납한다. 음원IC(126)는 통지음의 파형을 기억하는 동시에, 통지음으로서 멜로디 등을 출력하는 것이다. 앰프(127)는 음원IC(126)로부터의 출력을 증폭한다. 통지용 스피커(105)는 통지음을 재생한다.
표시모듈계 드라이버(128)는 메인표시부(21), 서브표시부(22), 플래시용 LED (32), 휴대전화기에 구비된 통지용 LED(106)를 구동하는 것이다. 촬상디바이스(카메라부, 31)는 그 촬상렌즈(311)에 의해 피사체상이 결상되는 CCD 등으로 이루어지고, DSP(129)는 이 촬상디바이스(카메라부, 31)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입력부(조작부, 11)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3)를 검출하는 마이크로스위치(SW, 13)가 ON 때와 OFF 때에 촬영데이터 및 모니터표시의 위와 아래가 전환 제어된다.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00)에 있어서, 연결부(3)는 제 1 힌지부(4)에 의해 본체부(1)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결합되고, 제 2 힌지부(5)에 의해 덮개부(2)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휴대전화기(100)는 덮개부(2)가 본체부(1)에 겹쳐진 상태에서는 도 1 및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3)에 설치된 카메라부(31)가 본체부(1)측으로부터 덮개부(2)측으로 향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부(2)가 본체부(1)에 겹쳐진 상태로부터 덮개부(2)를 연결부(3)의 제 2 힌지부(5)에서 회전운동시켜 본체부(1)에 대해 열고, 도 2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 및 덮개부(2)의 굴곡단부(1001, 2001)가 서로 등을 맞대고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본체부(1)의 연장상에 덮개부(2)를 위치시킨 상태로 하면, 휴대전화기(100)를 한쪽 손으로 쥔 사용자측(정면측)으로 메인표시부(21)와 카메라부(31) 및 플래시용 LED(32)가 향한 상태가 되며, 메인표시부(21)를 파인더(모니터)로서 보면서 카메라부(31)에서 자신촬영(Self Portrait)의 사용에 적합한 상태가 된다. 또 텔레비전전화(Portable video phone)로서의 사용에도 적합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메인표시부(21)의 표시방향을 유지한 채 덮개부(2)를 위로 끌어올리도록하여 연결부(3)를 제 1 힌지부(4)에서 회전운동시키고, 도 2b 및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에 대해 넘어가도록하여 조작부(11)를 갖는 면의 이면측에 덮개부(2) 및 연결부(3)를 위치시킨 상태로 하는 것으로 연결부(3)의 카메라부(31) 및 플래시용 LED(32)를 메인표시부(21)와 반대측(배면측)으로 돌리면 메인표시부(21)를 보면서 카메라부(31)에 의한 풍경촬영의 사 용에 적합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00)는 본체부(1) 및 덮개부(2)를 힌지부(4ㆍ5)를 통하여 결합하는 연결부(3)에 1개의 카메라부(31)를 설치하는 구성이므로, 본체부(1)에 대한 연결부(3)를 통한 덮개부(2)의 간단한 회전운동 조작에 의해 풍경촬영이나 타인촬영에 덧붙여 자신촬영이나 텔레비전전화를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 연결부(3)에 본체부(1)측으로부터 덮개부(2)측으로 돌려서 카메라부(31)를 설치하는 구성이므로, 렌즈광축방향에 대해서 실장에 여유를 갖게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망원렌즈의 내장에도 유리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의 휴대전화기(200)에 대해서 도 6∼도 9d에 나타낸다. 기본구성이 상기한 실시형태 1의 휴대전화기(100)와 똑같은 부재ㆍ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시와 같이 연결부(3)는 덮개부(2)측의 제 2 힌지부(5)로부터 굴곡하여 연장하는 굴곡연장부(3001)을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굴곡연장부(3001)의 선단면에 카메라부(31) 및 플래시용 LED(발광부재, 32)가 나열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부(2)에는 상기 실시형태 1의 노치부(2002)보다 크고, 연결부(3)의 굴곡연장부(3001)를 수납 가능하며 또한 통과 가능하게 하는 노치부(200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에는 상기 실시형태 1의 굴곡단부(1001)와는 반대방향으로 굴 곡하는 굴곡단부(1003)가 형성되어 있다. 또 덮개부(2)에는 상기 실시형태 1의 굴곡단부(2001)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도 6∼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의 굴곡단부(1003)를 제외한 부분에 겹쳐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휴대전화(200)는 도 6 및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 및 덮개부(2)를 겹친 접이상태에 있어서, 연결부(3)의 굴곡연장부(3001)와 그 선단면의 카메라부(31) 및 플래시용 LED(32)가 덮개부(2)의 노치부(2002)내에 수납상태로 되므로 카메라부(31) 및 플래시용 LED(32)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9a에 나타난 상태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덮개부(2)를 연결부(3)와 함께 제 1 힌지부(4)에서 회전운동시켜 본체부(1)에 대해 열고, 도 7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의 연장상에 덮개부(2) 및 연결부(3)를 위치시킨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도 연결부(3)의 굴곡연장부(3001)와 카메라부(31) 및 플래시용 LED(32)의 수납상태가 유지되므로 통상의 통화처리에 있어서도 카메라가 사용자의 얼굴(피부)에 닿는 것에 의한 렌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인표시부(21)의 표시방향을 유지한 채, 덮개부(2)를 사용자측(정면측)으로 가까이 끌어당기도록 움직이게 하면, 연결부(3)는 도 8에 있어서, 도면중 왼쪽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 2 힌지부(5)와 제 1 힌지부(4)를 회전운동시킨다.
즉 도 7b 및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의 연장상의 바로앞측에 덮개부(2)가 위치, 연결부(3)의 굴곡연장부(3001)가 바로앞측으로 향한 상태가 된 다.
따라서 휴대전화기(200)를 한쪽 손으로 쥔 사용자의 쪽을 메인표시부(21)와 카메라부(31) 및 플래시용 LED(32)가 향한 상태가 되고, 즉 메인표시부(21)를 파인더(모니터)로서 보면서 카메라부(31)에 의한 자신촬영(Self Portrait)의 사용에 적합한 상태가 된다. 또 텔레비전화로서의 사용에도 적합한 상태가 된다.
또 이 상태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메인표시부(21)의 표시방향을 유지한 채, 덮개부(2)를 들어올리도록하여 연결부(3)를 제 1 힌지부(4)에서 회전운동시키고, 도 7c 및 도 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에 대해 넘어가도록하여 조작부(11)를 갖는 면의 이면측에 덮개부(2) 및 연결부(3)를 위치시킨 상태로 하는 것으로 연결부(3)의 굴곡연장부(3001)에 설치한 카메라부(31) 및 플래시용 LED(32)를 메인표시부(21)와 반대측으로 돌린다.
이에 따라 메인표시부(21)를 보면서 카메라부(31)에 의한 풍경촬영이나 타인촬영의 사용에 적합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2의 휴대전화기(200)에 따르면, 상기한 실시형태 1과 똑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지는 것에 덧붙여 다음의 이점이 얻어진다.
즉 연결부(3)의 굴곡연장부(3001)의 선단면에 설치된 카메라부(31) 및 플래시용 LED(32)를 도 6 및 도 9a에 나타낸 본체부(1) 및 덮개부(2)를 겹친 접이상태와, 도 7a 및 도 9b에 나타낸 본체부(1)의 연장상에 덮개부(2) 및 연결부(3)를 위치시킨 상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덮개부(2)의 노치부(2003)에 수납하여 보호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전화기(400)의 전기적 접속과 촬상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이다. 또한 휴대전화기(400)의 외관은 상기 실시형태 1 또는 실시형태 2에 준하는 것으로, 기본구성이 상기한 실시형태 1, 2와 똑같은 부재ㆍ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연결부(3)를 통하여 본체부(1)와 덮개부(2)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자부품의 전기적인 접속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의 내부에는 전자부품으로서 본체부(1)의 각 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본체부기판(14)이 실장된다. 마찬가지로 덮개부(2)의 내부에는 덮개부기판(15)이 실장되고, 연결부(3)의 내부에는 카메라모듈(300) 등을 탑재한 연결부기판(16)이 배치된다.
본체부(1)와 연결부(3)를 결합하는 제 1 힌지부(4)는 각각이 통상의 제 1 힌지접속부(401)와 제 1 힌지접속부(402)로 이루어지고, 마찬가지로 연결부(3)와 덮개부(2)를 결합하는 제 2 힌지부(5)는 제 2 힌지접속부(501)와 제 2 힌지접속부(502)로 이루어진다.
플렉시블케이블(171, 172)은 예를 들면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필름(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의 위에 도체패턴을 형성한 플렉시블ㆍ프린트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이며, 접어구부림이나 굴곡, 가동부배선을 가능하게 하여 일단측과 타단측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플렉시블케이블(171)은 본체부기판(14)의 일단과 연결부기판(16)의 일단을 제 1 힌지접속부(401)의 내부를 돌아서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플렉시블케이블(172)은 연결부기판(16)의 일단과 덮개부기판(15)의 일단을 제 2 힌지접속부(502)의 내부를 돌아서 접속된다.
그리고 본체부(1)와 연결부(3) 및 덮개부(2)와 연결부(3)가 회전운동한 경우는 플렉시블케이블(171, 172)이 이완 또는 굴곡하는 것으로 접속하는 기판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도 11에 휴대전화기(400)의 내부구성을 나타낸다. 본체부(1)는 안테나부(101), 무선부(121), 제어부(122), 스피커(105), AMP(127), 음원IC(126), 조작부(입력부, 11), 화상메모리(130), 프로그램ROM(125), 메인RAM(124) 및 마이크(104)를 구비한다.
덮개부(2)는 표시계 드라이버(128), 메인표시부(21), 서브표시부(22), D/A부(1021) 및 스피커(102)를 구비한다.
연결부(3)는 카메라모듈(300), 주소ㆍ데이터버스처리부(123), 화상처리부(131) 및 마이크로스위치(136)를 구비한다.
카메라모듈(300)은 디지털카메라의 기능을 갖고, 촬상화상을 화상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모듈이며, 플래시용 LED(발광부재, 32), 카메라제어부(133), 카메라RAM(132), 렌즈(311), 모터(134), 셔터(135), 촬상디바이스(31) 및 DSP(129)를 구비한다.
카메라제어부(133)는 내부ROM에 격납되어 있는 시스템프로그램이나 화상처리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판독하여 후술하는 카메라 RAM(132)에 형성된 작업메모리에 전개하고, 이들 프로그램이나 제어부(122)의 지시에 따라서 카메라모듈(300)내의 각 부, 화상처리부(131) 및 표시계 드라이버(128)를 제어한다.
카메라RAM(132)은 카메라제어부(133)가 각종 처리를 실시할 때에 각종 데이터나 버퍼의 전개나 촬상된 화상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메모리영역을 형성한다.
모터(134)는 스테핑모터 또는 피에조모터 등이며, 렌즈(311)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촬상디바이스(31)에 결상되는 피사체의 크기(화각) 또는 핀트의 조정(초점맞춤점 조정)을 실시한다.
셔터(135)는 렌즈(311)의 개구부의 크기를 조절하여 촬상디바이스(31)에 노광되는 피사체의 광량을 조정한다.
화상처리부(131)는 DSP(129)로부터 입력되는 YUV신호 등에 의한 화상데이터 등을 토대로 휘도조정이나 화이트밸런스조정 등의 각종 화상조정, GIF나 JPEG, TIFF, BMP 등의 규격에 준거한 형식으로의 화상변환, 또는 화상데이터의 압축/복호화처리를 실시한다.
마이크로스위치(136)는 제 1 힌지접속부(402) 및 제 2 힌지접속부(501)의 내부에 있는 스위치이다. 이 마이크로스위치(136)에 의해 검출되는 신호의 조합으로부터 상기한 도 1∼도 2b(도 4a∼4c), 도 6∼도 7c(도 9a∼9d)에 나타내는 각 상태를 검출한다.
화상메모리(130)는 카메라모듈(300)에 의해 촬영된 화상이나 데이터통신에 의해 취득된 화상 등의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플래시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다. D/A부(1021)는 오디오인터페이스(1223)로부터의 음성디지털신호를 D/A변환하여 스피커(102)에 출력한다.
휴대전화기(400)에 있어서의 촬영모드로의 이행으로부터 종료까지의 시퀀스에 대해서 도 1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122)는 조작부(입력부, 11)에 의한 촬영모드의 지시를 검출하고(스텝A1), 검출되지 않는 경우(스텝A1: N) 그대로 종료한다.
스텝A1에 있어서, 촬영모드로 이행하는 지시를 검출한 경우(스텝A1: Y), 제어부(122)는 주소ㆍ데이터버스처리부(123)의 데이터의 입출력에 카메라모듈(300)로부터 화상처리부(131)로의 입출력과 화상처리부(131)로부터 표시계 드라이버(128)로의 출력을 우선하도록 지시하고(스텝A2), 카메라제어부(133)에 지시를 보내어서 카메라모듈(300)의 각 부를 기동시켜서 촬영모드로 이행시키며(스텝B1), 표시계 드라이버(128)에 지시하여 메인표시부(21) 또는 서브표시부(22)의 표시화면에 촬영모드로 전환 중인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시킨다(스텝C1).
여기에서 스텝A1, 2에 있어서의 제어신호의 흐름을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의 내부구성에 카메라모듈(300)을 기동하기 위해 카메라제어부(133)에 지시를 송신하기까지의 제어신호를 점선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a, 도 16b는 상기의 상태에 있어서의 메인표시부(21) 또는 서브표시부(22)에 표시되는 표시화면의 표시형태에 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도 16a는 촬영ㆍ화상편집ㆍ각종 설정 등의 사용자로부터의 처리 및 착신의 수신대기상태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화면은 화면 전체인 메인윈도우영역(41)에 투과형의 윈도우이며, 제어부(122)로부터 표시계 드라이버(128)에 일정한 주기로 송신되는 수신전파정보ㆍ전지잔량정보ㆍ시각정보를 토대로 표시의 제어가 실시되는 투과서브윈도우영역(42)을 겹치는 구성이다.
도 16b는 상기의 스텝C1에 있어서 촬영모드로 전환 중인 것이 메인윈도우영역(41)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카메라모듈(300)을 촬영모드로 이행시키는 지시에 의해 카메라모듈(300)의 각 부를 기동시킨 후(스텝B1), 카메라제어부(133)는 촬상디바이스(31)에서 촬영되어 DSP(129)에 의해 변환된 화상데이터(YUV신호)를 화상처리부(131)에 출력하고(스텝B2), 해당 화상처리부(131)에서 RGB 등의 표시용의 화상형식으로 변환된 화상데이터를 표시계 드라이버(128)에 출력하며(스텝B3), 메인윈도우영역(41)에 그 화상을 표시한다(스텝C2).
도 16c는 스텝C2에 있어서, 촬영된 화상을 실시간으로 메인윈도우영역(41)에 표시하는 경우의 스루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화면에는 촬상디바이스(31)에서 촬영된 피사체(43)가 메인윈도우영역(41)에 표시되고, 그 위에 투과서브윈도우영역(42)가 투과표시된다. 여기에 있어서, 마이크로스위치(136)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도 2a(도 4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2b(도 4c)에 나타내는 상태로의 이행(또는 도 7b(도 9c))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7b(도 9d)에 나타내는 상태로의 이행), 또는 그 반대를 검지한 경우(스텝B4: YES)에 카메라제어부(133)는 상하방향을 반전하도록 표시계 드라이버(128)에 제어지시를 출력한다(스텝B5).
여기에서 스텝B1∼B5 및 스텝C2에 있어서의 제어신호와 화상신호의 흐름을 도 13에 나타낸다.
도 13은 카메라제어부(133)의 지시에 의해 카메라모듈(300)의 각 부를 기동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촬상디바이스(31)에서 촬영된 화상을 메인윈도우영역(41)에 스루화상으로서 표시하고, 파인더기능을 실현시키는 제어신호(점선)와 화상신호(일점쇄선)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인더기능을 실현시키는 처리는 카메라제어부(133)가 덮개부(2)와 연결부(3)의 각 부를 제어하여 실시한다. 이 사이 제어부(122)는 셔터키의 조작대기상태이며(스텝A3), 투과서브윈도우영역(42)의 표시의 제어를 제외하고 데이터통신 또는 착신처리 등의 다른 처리에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기를 효율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스텝A3 후 조작부(입력부, 11)의 셔터키의 조작이 검출된 경우(스텝A4: YES), 제어부(122)는 조작부(입력부)(11)에 있어서의 셔터버튼의 눌러내림신호를 카메라제어부(133)에 보낸다.
카메라제어부(133)는 그 눌러내림신호의 수신에 의해 촬상디바이스(31)에서 촬영된 화상데이터(YUV신호)를 화상처리부(131)에서 JPEG 등의 소정의 화상형식으로의 변환 및 압축부호화처리를 실시하고(스텝B6), 그 처리된 화상데이터를 제어부(122)에 보낸다.
그리고 제어부(122)에서는 화상처리부(131)로부터 보내어진 화상데이터를 화 상메모리(130)에 격납하고(스텝A5), 조작부(입력부, 11)에 의한 촬영모드의 종료가 검출되기까지 스텝A3∼5의 처리를 실시하도록 대기한다(스텝A6).
여기에서 스텝A4, 5 및 스텝B6에 있어서의 제어신호와 화상신호의 흐름을 도 14에 나타낸다.
도 14는 셔터버튼눌러내림에 의해 촬상디바이스(31)에서 촬영된 화상이 화상처리부(131)에서 소정의 화상형식으로 변환된 후에 화상메모리(130)에 격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122)는 사용자가 파인더기능으로 확인하면서 셔터버튼을 눌러내린 것에 의한 신호를 카메라제어부(133)에 송신하고, 그에 따라 얻어지는 화상을 화상메모리(130)에 격납하는 처리를 실시하는 것만으로 좋다.
스텝A6에 있어서, 촬영모드의 종료가 검출되면(스텝A6: YES), 제어부(122)는 카메라제어부(133)와 표시계 드라이버(128)에 촬영모드종료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주소ㆍ데이터버스처리부(123)의 데이터입출력을, 제어부(122)로부터의 것을 우선하도록 지시하여(스텝A7) 종료한다.
또 카메라제어부(133)는 촬영모드종료의 제어신호의 입력을 검출하는 것으로(스텝B7: YES) 카메라모듈(300)의 각 부의 동작을 종료시킨다(스텝B8).
또 표시계 드라이버(128)는 촬영모드종료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메인윈도우영역(41)에 표시하는 화상을 제어부(12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 전환하여(스텝C4)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휴대전화기(400)는 카메라모듈(300)에 있어서 촬영된 화상을 메인표시부(21) 또는 서브표시부(22)에 표시하는 카메라제어부(133)를 구비하는 한편, 무선부(121)의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부(122)를 본체부(1)에 구비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무선에 의한 착신의 수신대기나 데이터통신처리와 촬영처리가 서로 영향 받는 일 없이 신속히 실시할 수 있으며, 촬영동작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으로의 노이즈의 저감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카메라모듈(300)과 메인표시부(21) 또는 서브표시부(22)와 본체부(1)의 사이에 데이터통신을 제어하는 주소ㆍ데이터버스처리부(123)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스루화상의 촬영시에 있어서 본체부(1)측으로 화상데이터가 유입되는 일이 없다. 특히 화상데이터를 도 10에 나타내는 플렉시블ㆍ프린트기판(171)내의 데이터버스를 통하여 메인표시부(21, 또는 서브표시부(22))에 계속적으로 보내는 상황에 있어서도, 플렉시블ㆍ프린트기판(171)내의 데이터버스가 화상데이터에 의해 점유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본체부(1)에 있어서의 처리로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촬영시에 있어서의 카메라모듈(300)로부터 메인표시부(21) 또는 서브표시부(22)로의 화상데이터의 통신은 본체부(1)로부터의 통신보다 우선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파인더로서 활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화상표시를 원활히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전화기(5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a∼18b에 나타내는 외관도에 있어서, “1”은 본체부, “2”는 덮개부, “3”은 연결부, “4”는 제 1 힌지부, “5”는 제 2 힌지부이다.
본체부(1)는 카메라키 등을 포함하는 각종 입력키 및 숫자키 등에 의한 조작부(도 19의 입력부, 11)를 구비하고 있다. 또 내장안테나(101), 마이크(104)를 구비하고 있다. 전화로서 사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도 17a 및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의 조작부(11)를 갖는 면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덮개부(2)가 겹쳐진다.
본체부(1) 및 덮개부(2)는 그 겹쳐진 상태의 긴쪽방향 일단측에 있어서, 연결부(3)를 통하여 서로 회전운동 자유롭게 맞붙여져 있다.
덮개부(2)는 본체부(1)를 덮는 크기이고, 본체부(1)의 조작부(11)가 설치되는 면측에 메인표시부(21, 도 19 참조)를 구비하며, 그 이면측에 도 17a∼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표시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3)는 일단측에 있어서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의 단부에 대해서 제 1 힌지부(4)에 의해 회전운동 자유롭게 결합되는 동시에, 덮개부(2)의 단부에 대해서 제 2 힌지부(5)에 의해 회전운동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이 연결부(3)에는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부(4, 5)와 반대측의 선단면에 카메라부(31)와 플래시용 LED(3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연결부(3)의 상면에는 셔터버튼(330이 구비되어 있다. 또 연결부(3)의 선단면에는 카메라부(31)를 개폐하는 렌즈배리어(34)가 맞붙여져 있다.
도 19는 휴대전화기(500)의 통신ㆍ화상ㆍ제어처리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부(121)는 내장안테나(101)에 접속되어 해당 내장안테나(101)를 구동제 어하는 회로부이며, 외부의 통신서비스사업자가 채용하는 무선통신방식(예를 들면 CDMA, PDC, GSM 등)에 의거하는 무선신호의 변조처리 및 단말인증처리를 포함하는 통신처리를 실시한다.
제어부(122)는 해당 휴대전화기(500)의 회로 전체를 제어하는 동시에, 통신서비스사업자를 경유한 WWW접속의 제어를 실시하는 것으로, 통신데이터처리부(1221), 시스템ROM(1222) 및 오디오인터페이스(1223)를 갖고 있다. 통신데이터처리부(1221)는 음성복호화처리회로, 패킷데이터생성회로 및 패킷데이터복원회로를 포함하고, 통신서비스사업자가 채용하는 통신프로토콜을 따른 데이터처리를 실시한다. 시스템ROM(1222)에는 해당 휴대전화기(500)의 기간부분을 제어하는 기본시스템이 격납된다. 오디오인터페이스(1223)는 통신데이터처리부(1221)에서 처리되는 음성신호의 입출력을 실시하는 것이며, 해당 휴대전화기(500)에 구비된 스피커(102), 녹음용 마이크(103) 및 마이크(104)가 접속되어 있다.
주소ㆍ데이터버스처리부(123)는 제어부(122)와 주변회로(도시파선테두리내의 회로)의 데이터의 입출력타이밍 등을 제어ㆍ관리하는 것이다. RAM(124)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주소록데이터, 네트워크접속에 이용되는 메일데이터 및 인터넷주소 및 촬상디바이스(카메라부, 31)에서 촬상된 화상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프로그램ROM(125)은 화상처리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 등을 격납한다. 음원IC(126)는 통지음의 파형을 기억하는 동시에, 통지음으로서 멜로디 등을 출력하는 것이다. 앰프(127)는 음원IC(126)로부터의 출력을 증폭한다. 휴대전화기(500)에 구비된 통지용 스피커(105)는 통지음을 재생한다.
표시모듈계 드라이버(128)는 메인표시부(21), 서브표시부(22), 휴대전화기(500)에 구비된 통지용 LED(106), 플래시용 LED(107)를 구동하는 것이다. 촬상디바이스(카메라부, 31)는 그 촬상렌즈(311)에 의해 피사체상이 결상되는 CCD 등으로 이루어지고, DSP(129)는 이 촬상디바이스(카메라부, 31)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처리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4에서는 연결부(3)의 일단측에 있어서, 본체부(1)를 제 1 힌지부(4)에 의해, 덮개부(2)를 제 2 힌지부(5)에 의해 각각 결합한 접이식 휴대전화기이며, 연결부(3)의 힌지부(4, 5)와 반대측의 선단면에 카메라부(31)가 향한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7a 및 도 18a에 나타내어지는 본체부(1) 및 덮개부(2)를 겹친 접이상태로부터 본체부(1) 및 덮개부(2)를 연결부(3)에 대해서 힌지부(4, 5)에서 위쪽과 아래쪽으로 각각 회전운동시키고, 도 17b 및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 및 덮개부(2)를 여는 것으로 휴대전화기(500)를 한쪽 손으로 쥐고 카메라부(31)에 의한 촬영에 적합한 상태가 된다.
즉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3)의 렌즈배리어(34)를 가로로 슬라이드시켜서 카메라부(31)를 열고나서 도 1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 및 덮개부(2)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하는 연결부(3)를 한쪽 손의 가운뎃손가락의 위에 놓고 후측으로부터 엄지손가락을 댄 상태에서 메인표시부(21)를 파인더(모니터)로서 보면서 집게손가락으로 셔터버튼(32)을 누르면 카메라부(31)에 의해 촬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4에 따르면, 본체부(1) 및 덮개부(2)를 일단측에서 각각 힌지결합하는 연결부(3)를 구비하고, 타단측에 카메라부(31)를 설치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는 연결부(3)를 한쪽 손으로 꽉 끼워서 쥐고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손흔들림을 억제하여 촬영할 수 있어서 카메라사용시의 취급성이 좋다.
또 본체부(1) 및 덮개부(2)를 접어 포갠 상태에서는 그 연장상에 위치하는 연결부(3)에 카메라부(31)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콤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 및 덮개부(2)를 일단측에서 힌지결합하는 연결부(3)의 타단측을 향하여 카메라부(31)를 설치하는 구성이므로 렌즈광축방향에 대해서 실장에 여유를 갖게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망원렌즈의 내장에도 유리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부(3)를 한쪽 손으로 꽉 끼워서 쥠으로써 손흔들림을 억제하여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고성능화에도 유리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실시형태 5)
실시형태 5는 연결부(3)를 통하여 본체부(1)와 덮개부(2)를 결합하는 휴대전화기(600)에 있어서의 전기적 접속과 촬상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이다. 또한 기본구성이 상기한 실시형태 4와 똑같은 부재ㆍ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 21에 연결부(3)를 통하여 본체부(1)와 덮개부(2)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자부품의 전기적인 접속구성을 나타낸다. 도 20은 연결부분의 측면도이며, 도 21은 연결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20,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의 내부에는 전자부품으로서 본체부(1)의 각 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본체부기판(14)이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덮개부(2)의 내부에는 덮개부기판(15)이 배치되고, 연결부(3)의 내부에는 카메라모듈(300) 등을 탑재한 연결부기판(16)이 배치된다.
본체부(1)와 연결부(3)를 결합하는 제 1 힌지부(4)는 각각이 통상의 제 1 힌지접속부(401)와 제 1 힌지접속부(402)로 이루어지고, 마찬가지로 연결부(3)와 덮개부(2)를 결합하는 제 2 힌지부(5)는 제 2 힌지접속부(501)와 제 2 힌지접속부(502)로 이루어진다.
플렉시블케이블(171, 172)은 플렉시블한 기판에 배선을 설치한 것이며, 예를 들면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필름(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의 위에 도체패턴을 형성한 플렉시블ㆍ프린트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을 들 수 있고, 접어구부림이나 굴곡, 가동부배선을 가능하게 하여 일단측과 타단측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플렉시블케이블(171)은 본체부기판(14)의 일단과 연결부기판(16)의 일단을, 제 1 힌지접속부(401)의 내부를 돌아서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플렉시블케이블(172)은 연결부기판(16)의 일단과 덮개부기판(15)의 일단을 제 2 힌지접속부(502)의 내부를 돌아서 접속된다.
그리고 본체부(1)와 연결부(3) 및 덮개부(2)와 연결부(3)가 회전운동한 경우는 플렉시블케이블(171), 플렉시블케이블(172)이 이완 또는 굴곡하는 것으로 접속 하는 기판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도 22에 휴대전화기(600)의 내부구성을 나타낸다.
본체부(1)는 안테나부(101), 무선부(121), 제어부(122), 스피커(105), AMP (127), 음원IC(126), 조작부(입력부, 11), 화상메모리(130), 프로그램ROM(125), 메인RAM(124) 및 마이크(104)를 구비한다. 덮개부(2)는 표시계 드라이버(128), 메인표시부(21), 서브표시부(22), D/A부(1021) 및 스피커(102)를 구비한다. 연결부(3)는 카메라모듈(300), 주소ㆍ데이터버스처리부(123), 화상처리부(131), 렌즈배리어개폐검출부(1360) 및 개폐검출부(137)를 구비한다.
카메라모듈(300)은 디지털카메라의 기능을 갖고, 촬상화상을 화상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모듈이며, 플래시용 LED(발광부재, 32), 카메라제어부(133), 스위치검출부(138), 카메라RAM(132), 모터(134), 렌즈(311), 셔터(135), 촬상디바이스(31) 및 DSP(129)를 구비한다.
카메라제어부(133)는 내부ROM에 격납되어 있는 시스템프로그램이나 화상처리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후술하는 카메라RAM (132)에 형성된 워크메모리에 전개하며, 이들 프로그램이나 제어부(122)의 지시에 따라서 카메라모듈(300)내의 각 부, 화상처리부(131) 및 표시계 드라이버(128)를 제어한다.
카메라RAM(132)은 카메라제어부(133)가 각종 처리를 실시할 때에 각종 데이터나 버퍼의 전개나 촬상된 화상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메모리영역을 형성한다.
모터(134)는 스테핑모터 또는 피에조모터 등이며, 렌즈(311)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촬상디바이스(31)에 결상되는 피사체의 크기(화각) 또는 핀트의 조정(초점맞춤점 조정)을 실시한다.
셔터(135)는 렌즈(311)의 개구부의 크기를 조정하여 촬상디바이스(31)에 노광되는 피사체의 광량을 조정한다. 스위치검출부(138)는 셔터버튼(32)의 눌러내림상태로서 반(半)누름상태와 본(本)누름상태를 식별하여 출력하는 스위치이다.
화상처리부(131)는 DSP(129)로부터 입력되는 YUV신호 등에 의한 화상데이터 등을 토대로 휘도조정이나 화이트밸런스조정 등의 각종 화상조정, GIF나 JPEG, TIFF, BMP 등의 규격에 준거한 형식으로의 화상변환, 또는 화상데이터의 압축/복호화처리를 실시한다.
렌즈배리어개폐검출부(1360)는 렌즈배리어(34)의 개폐를 검출하는 마이크로스위치이며, 렌즈배리어(34)의 열림상태 또는 닫힘상태를 검출하여 제어부(122)에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개폐검출부(137)는 제 1 힌지접속부(402) 및 제 2 힌지접속부(501)의 내부에 있는 마이크로스위치이며, 본체부(1)와 덮개부(2)의 상대적인 각도로부터 그 개폐를 검출한다(닫힘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도 18a 및 열림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도 18b를 참조).
화상메모리(130)는 카메라모듈(300)에 의해 촬영된 화상이나 데이터통신에 의해 취득된 화상 등의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플래시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다.
D/A부(1021)는 오디오인터페이스(1223)로부터의 음성디지털신호를 D/A변환하여 스피커(102)에 출력한다.
휴대전화기(600)에 있어서의 촬영모드로의 이행으로부터 종료까지의 시퀀스에 대해서 도 2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122)는 렌즈배리어(34)가 열린 것을 렌즈배리어개폐검출부(1360)에서 검출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의 촬영모드로의 이행지시를 검출하고(스텝A1), 검출되지 않는 경우(스텝A1: N) 그대로 종료한다.
스텝A1에 있어서, 촬영모드로 이행하는 지시를 검출한 경우(스텝A1: Y) 제어부(122)는 주소ㆍ데이터버스처리부(123)의 데이터입출력에 대해서 카메라모듈(300)로부터 화상처리부(131)로의 입출력과 화상처리부(131)로부터 표시계 드라이버(128)로의 출력을 우선하도록 지시하고(스텝A2), 카메라제어부(133)에 지시를 보내어서 카메라모듈(300)의 각 부를 기동시켜서 촬영모드로 이행시키며(스텝B1), 표시계 드라이버(128)에 지시하고, 메인표시부(21) 또는 서브표시부(22)의 표시화면에 촬영모드로 전환 중인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시킨다(스텝C1).
여기에서 스텝A1, 2에 있어서의 제어신호의 흐름을 도 23에 나타낸다.
도 23은 상기한 도 22에 있어서, 렌즈배리어개폐검출부(1360)에 의해 렌즈배리어(34)가 열린 것을 검출하여 카메라모듈(300)을 기동하기 위해 카메라제어부(133)에 지시를 송신하기까지의 제어신호를 점선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스텝B1 후 카메라제어부(133)는 촬상디바이스(31)에서 촬상되어 DSP(129)에 의해 변환된 화상데이터(YUV신호)를 화상처리부(131)에 출력하고(스텝B2), 해당 화 상처리부(131)에서 RGB 등의 표시용의 화상형식으로 변환된 화상데이터를 표시계 드라이버(128)에 출력하며(스텝B3), 열림상태인 경우(도 17b, 도 18b를 참조)는 본체부(1)와 겹치는 측에 있는 메인표시부(21)에, 한편 닫힘상태인 경우(도 17a, 도 18a를 참조)는 본체부(1)와 겹치지 않는 측에 있는 서브표시부(22)에 그 화상을 표시한다(스텝C2).
여기에 있어서, 카메라제어부(133)는 개폐검출부(137)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열림상태로부터 닫힘상태로의 이행 또는 그 반대를 검출한 경우(스텝B4: Y) 화상의 표시를 상기한 메인표시부(21) 또는 서브표시부(22)로 전환한다(스텝B5).
여기에서 스텝B1∼B5 및 스텝C2에 있어서의 제어신호와 화상신호의 흐름을 도 24에 나타낸다.
도 24는 카메라제어부(133)의 지시에 의해 카메라모듈(300)의 각 부를 기동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촬상디바이스(31)에서 촬영된 화상을 스루화상으로서 표시화면에 표시하여 파인더기능을 실현시키는 제어신호(점선)와 화상신호(일점쇄선)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인더기능을 실현시키는 처리는 카메라제어부(133)가 덮개부(2)와 연결부(3)의 각 부를 제어하여 실시한다. 이 사이 제어부(122)는 무선부(121)로부터의 착신수신대기상태 또는 통신상태이며(스텝A3), 착신처리 또는 데이터통신 등의 다른 처리에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기를 효율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텝B1∼B5 및 스텝C2에 있어서의 스루화상의 표시처리시에 있어 서, 카메라제어부(133)는 스위치검출부(138)에 의해 셔터버튼(32)의 반누름상태를 검출하고(스텝B6: Y), 모터(134)를 구동하여 초점맞춤점 조정을 실시하며(스텝B7), 셔터버튼(32)의 본누름상태를 검출하고(스텝B8: Y), 촬상디바이스(31)에서 촬영된 화상데이터(YUV신호)를 화상처리부(131)에서 JPEG 등의 소정의 화상형식으로 변환 및 압축부호화처리를 실시하며(스텝B9), 그 처리된 화상데이터를 제어부(122)에 보낸다.
그리고 제어부(122)에서는 화상처리부(131)로부터 보내어진 화상데이터를 화상메모리(130)에 격납하고(스텝A4), 렌즈배리어(34)가 닫혀진 것이 검출되기까지 스텝A2∼A4의 처리를 실시하도록 대기한다(스텝A5).
여기에서 스텝B6∼B9 및 스텝A4에 있어서의 제어신호와 화상신호의 흐름을 도 25에 나타낸다.
도 25는 셔터버튼(32) 눌러내림에 의해 촬상디바이스(31)에서 촬상된 화상이 화상처리부(131)에서 변환된 후에 화상메모리(130)에 격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122)는 사용자가 파인더기능으로 확인하면서 셔터버튼(32)의 눌러내림에 의해 얻어진 화상데이터를 보존하는 처리를 실시하는 것만으로 좋으며, 통신 등의 다른 처리를 집중하여 실시할 수 있다.
스텝A5에 있어서, 렌즈배리어(34)가 닫혀진 것에 의한 촬영모드의 종료가 검출되면(스텝A5: Y), 제어부(122)는 카메라제어부(133)와 표시계 드라이버(128)에 촬영모드 종료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주소ㆍ데이터버스처리부(123)의 데이터입출력을 제어부(122)로부터의 것을 우선하도록 지시하여(스텝A6) 종료한다.
또 카메라제어부(133)는 촬영모드멈춤용의 제어신호의 입력을 검출하는 것으로(스텝B10: Y) 카메라모듈(300)의 각 부의 동작을 종료시킨다(스텝B11). 또 표시계 드라이버(128)는 촬영모드 종료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면(스텝C3: Y), 메인표시부(21) 또는 서브표시부(22)의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화상을 제어부(122)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로 전환하여(스텝C4)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렌즈배리어(34)의 개폐를 검출하는 렌즈배리어개폐검출부(1360)에 의해 카메라모듈(300)을 기동시킬 수 있으며, 덮개부(2)의 양면에 촬상화상을 표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접어 포갠 상태인지 열린 상태인지에 관계없이 카메라촬영에 의한 촬상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카메라모듈(300)과 무선부(121)의 제어를 따로 실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서로의 동작이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개폐검출부(137)에 의해 접어 포갠 상태와 열린 상태를 검지하여 촬상화상을 표시하는 면을 메인표시부(21) 또는 서브표시부(22)로 전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여분의 표시화면으로의 표시를 억제하여 전력소비를 억제하고, 효율적인 촬상화상의 표시를 실시할 수 있다.
또 카메라모듈(300)과 카메라제어부(133)를 연결부(3)에 설치하고, 무선부(121)와 제어부(122)를 본체부(1)에 설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카메라동작시 및 무선통신시에 있어서의 서로가 받는 노이즈의 저감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카메라모듈(300)과, 표시계 드라이버(128)와, 본체부(1)의 사이에 데이터통신을 제어하는 주소ㆍ데이터버스처리부(123)를 설치하는 것으로 카메라모듈(300) 에 의한 촬상화상을 메인표시부(21) 또는 서브표시부(22)에 표시할 때에 본체부(1)측으로 화상데이터가 유입되는 일이 없으며, 본체부(1)측의 데이터버스가 화상데이터에 점유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본체부(1)측에 있는 무선부(121)의 처리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촬영시에 있어서의 카메라모듈(300)로부터 메인표시부(21) 또는 서브표시부(22)로의 화상데이터의 통신을 본체부(1)로부터의 통신보다 우선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촬상화상의 실시간표시를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기로 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PDA 등 다른 휴대통신단말기기를 포함하는 휴대전자기기이어도 좋다.
또 연결부의 형상도 임의이며, 그 밖에 구체적인 세부구조 등에 대해서도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체부 및 덮개부를 연결부에 공통으로 힌지결합해도 좋고, 렌즈배리어를 슬라이드기구로 하지 않고, 착탈식으로 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Claims (12)

  1. 조작수단을 갖는 본체부와,
    제 1 표시수단을 갖는 덮개부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 1 회전운동축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덮개부에 결합되는 제 2 회전운동축을 구비하고, 해당 제 1 회전운동축과 제 2 회전운동축에 각각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광축으로 하는 렌즈와, 이 렌즈를 통하여 입력된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수단을 내장하는 연결부와,
    상기 조작수단에 의한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촬상수단을 제어하는 촬상제어 수단과,
    상기 촬상제어수단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상기 제 1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 1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회전운동축과 상기 제 2 회전운동축의 전후관계에 의해 상기 제 1 표시수단과 상기 광축이 동일방향으로 되는 제 1 형태와, 상기 제 1 표시수단과 상기 광축이 반대방향으로 되는 제 2 형태를 갖고,
    상기 제 1 형태에 의한 촬상인지, 상기 제 2 형태에 의한 촬상인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 1 표시제어수단은 이 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된 형태에 의해 표시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와의 무선통신처리를 실시하는 무선통신수단과,
    이 무선통신수단에 의한 무선통신처리에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제 1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 2 표시제어수단과,
    상기 촬상제어수단에 의한 촬상이 실시되고 있을 때는 상기 제 2 표시제어수단에 의한 제어보다도 상기 제 1 표시제어수단에 의한 제어를 우선시키도록 처리하는 처리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음성입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덮개부는 음성출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음성입력수단에 의해서 입력된 음성을 외부로 무선송신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무선수신된 음성을 상기 음성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시키도록 상기 무선통 신수단을 제어하는 무선통신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렌즈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렌즈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촬상수단에 의한 촬상을 지시하는 지시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가 겹친상태에서 노출하는 제 2 표시수단과,
    상기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가 겹친상태인 때, 상기 촬상제어수단에 의해서 촬상된 화상을 상기 제 2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 3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렌즈배리어와, 이 렌즈배리어의 이동에 의해 상기 렌즈가 노출된 상태가 되면 촬영모드의 개시를 지시하는 개시지시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040090641A 2003-11-10 2004-11-09 촬상장치 및 카메라모듈 KR100637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79687 2003-11-10
JP2003379691 2003-11-10
JPJP-P-2003-00379691 2003-11-10
JP2003379687 2003-11-10
JP2004288337A JP4241565B2 (ja) 2003-11-10 2004-09-30 撮像装置及びヒンジユニット
JPJP-P-2004-00288337 2004-09-30
JP2004289617A JP4066990B2 (ja) 2003-11-10 2004-10-01 撮像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JP-P-2004-00289617 2004-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844A KR20050045844A (ko) 2005-05-17
KR100637315B1 true KR100637315B1 (ko) 2006-10-23

Family

ID=3455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641A KR100637315B1 (ko) 2003-11-10 2004-11-09 촬상장치 및 카메라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099533A1 (ko)
KR (1) KR100637315B1 (ko)
CN (1) CN10049606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496B1 (ko) * 2003-09-30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장치
KR100630098B1 (ko) * 2004-02-20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JP2005328379A (ja) * 2004-05-14 2005-11-24 Toshiba Corp 入力ガイド表示操作システム
KR100630068B1 (ko) * 2005-01-25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FI20050106A (fi) * 2005-01-31 2006-08-01 Elcoteq Se Matkaviestinlaite
JP5106868B2 (ja) * 2007-01-24 2012-12-26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1389197A (zh) * 2007-09-14 2009-03-18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用于可折叠式电子装置的铰链以及该可折叠式电子装置
KR101474754B1 (ko) * 2008-01-30 2014-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정보 단말기
JP4748204B2 (ja) * 2008-11-05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4670939B2 (ja) 2008-11-05 2011-04-1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EP2202949A1 (en) * 2008-12-24 2010-06-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ple-fol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864524B2 (en) * 2008-12-24 2011-01-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ple-fol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2076200B (zh) * 2009-11-24 2014-11-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US8483784B2 (en) * 2009-12-18 2013-07-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a rotatable member
EP2512107A3 (en) * 2009-12-18 2012-10-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a rotatable member
US8843183B2 (en) * 2010-01-15 2014-09-23 Blackberry Limi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overlapping first and second body members
US8290549B2 (en) 2010-06-16 2012-10-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rotatable member
EP2498480B1 (en) * 2011-03-11 2013-05-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Clamshell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put device in hinge
US8687361B2 (en) 2011-03-11 2014-04-01 Blackberry Limited Clamshell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put device in hinge
US8769772B2 (en) 2011-08-10 2014-07-08 Blackberry Limited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member rotatable between first and second positions
US10013031B2 (en) * 2016-09-30 2018-07-03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mechanically interfacing camera to hinge of information handling system
TWI672577B (zh) * 2018-04-17 2019-09-21 宏碁股份有限公司 筆記型電腦
KR102164507B1 (ko) * 2019-09-04 2020-10-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컨테이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113A (ja) * 1999-02-26 2000-09-14 Hitachi Ltd 情報通信端末装置
JP3546997B2 (ja) * 1999-12-24 2004-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情報端末装置
JP3483144B2 (ja) * 2001-05-31 2004-0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JP2003018261A (ja) * 2001-06-29 2003-01-17 Casio Comput Co Ltd 携帯型端末機
US20030179314A1 (en) * 2002-02-15 2003-09-25 Nikon Corporation Camera
KR100761630B1 (ko) * 2003-04-16 2007-09-27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부착 휴대 기기
US7443404B2 (en) * 2003-10-17 2008-10-28 Casio Computer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17550A (zh) 2005-05-18
CN100496064C (zh) 2009-06-03
US20050099533A1 (en) 2005-05-12
KR20050045844A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7315B1 (ko) 촬상장치 및 카메라모듈
JP4053444B2 (ja)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JP4378072B2 (ja) 電子機器、撮像装置、携帯通信機器、映像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032024A (ja) カメラ付携帯電話機
JP2004015703A (ja) 携帯型通信装置
JPWO2006046681A1 (ja) 携帯電話装置
JP2008085865A (ja) 携帯機器
US20090109331A1 (en) Portable device and imaging device
JP2002209133A (ja) 通信機能付き撮像装置
JP2004274777A (ja)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JP2000092360A (ja) 多機能付き通信装置と通信装置の制御方法
JP4066990B2 (ja) 撮像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4281353B2 (ja) 撮像機能付き携帯電子機器
JP4926832B2 (ja) 撮像機能付き端末装置、該端末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該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241565B2 (ja) 撮像装置及びヒンジユニット
JP2004166159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JP3337573B2 (ja) 情報通信用端末装置
JP4069681B2 (ja) 携帯端末及びその報知方法
JP2005045317A (ja) カメラ付き筐体折畳み形電子機器
KR100467894B1 (ko)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159363A (ja) 携帯電話機
JP4507188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JP2005143000A (ja) スライド式携帯電子機器
JP2004040382A (ja) カメラ付き携帯情報端末
KR100617573B1 (ko) 화상통화용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