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507B1 -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507B1
KR102164507B1 KR1020190109373A KR20190109373A KR102164507B1 KR 102164507 B1 KR102164507 B1 KR 102164507B1 KR 1020190109373 A KR1020190109373 A KR 1020190109373A KR 20190109373 A KR20190109373 A KR 20190109373A KR 102164507 B1 KR102164507 B1 KR 102164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play
cover
camer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복현
황혜영
민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90109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507B1/ko
Priority to PCT/KR2020/009930 priority patent/WO2021045389A1/ko
Priority to US17/640,118 priority patent/US20220330682A1/en
Priority to CN202080062418.9A priority patent/CN114342349B/zh
Priority to KR1020200107150A priority patent/KR102557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3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1Features of the hi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2040/225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of the lid
    • A45D2040/226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of the lid by limiting the angle between base and lid in the open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2044/007Device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hair or skin or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cosmetic or hair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48Infrared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88Skin; Derm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물품 수용부가 형성된 바디, 물품 수용부를 개폐하는 커버, 및 바디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카메라 장착부를 포함하고, 커버에는 카메라 장착부에 배치된 카메라를 노출시키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A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 재료, 의약품 등의 물품이 보관되는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용자에게 화장품, 메이크업 방법 등을 추천하거나 안내하는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화장품, 메이크업 방법 등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서 메이크업 방법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이동 단말기에 표시된 추천 메이크업 방법을 참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과 거울을 번갈아 가면서 봐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를 위해, 화장 재료 등이 수용되는 컨테이너(용기)가 자체적으로 카메라,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폐 상태와 관계없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컨테이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하는 컨테이너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제의 발림 정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컨테이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는 물품 수용부가 형성된 바디, 물품 수용부를 개폐하는 커버, 및 바디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카메라 장착부를 포함하고, 커버에는 카메라 장착부에 배치된 카메라를 노출시키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장착부는 바디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장착부는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카메라 장착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커버의 내면과 외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카메라 장착부에 장착된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검출된 자외선 차단제 존재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커버의 내면과 외면 각각에 배치된 경우, 물품 수용부의 개폐 여부에 따라 내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와 외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가 턴-오프될 수 있다.
커버는 물품 수용부를 덮는 방향으로 최대 각도인 제1 각도, 물품 수용부를 오픈하는 방향으로 최대 각도인 제2 각도, 또는 제1 각도와 제2 각도 사이의 각도인 제3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커버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내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는 턴-오프되고, 커버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외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는 턴-오프될 수 있다.
커버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외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는 턴-온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턴-오프되고, 커버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내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는 턴-온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물품 수용부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품 수용부에는 화장 재료 및 퍼프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될 수 있다.
커버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가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카메라 장착부에 장착된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얼굴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가 열려있을 때나 닫혀있을 때 모두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높아지며, 카메라 수를 줄여 제조 비용을 절감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가 장착되는 카메라 장착부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카메라 사용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커버의 내면과 외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가 커버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턴-온 및 턴-오프 되므로, 디스플레이를 통한 정보 확인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디스플레이의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잇다.
또한, 사용자 얼굴에서 자외선 차단제의 존재 영역과 자외선 차단제의 비존재 영역을 검출하여 표시함으로써, 메이크업 편의성을 제공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카메라 장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 검출부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전환 장치, 카메라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가 자외선 차단제의 분포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의 예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컨테이너 시스템은 서버(1), 컨테이너(100) 및 이동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는 컨테이너(100) 및 이동 단말기(200)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버(1)는 컨테이너(100)에서 실행되는 기능 및 이동 단말기(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서버(1)는 현재 날씨 정보(예를 들어, 자외선 지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자외선 차단제의 제품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컨테이너(100)는 화장품, 의약품 등과 같은 물품을 수용할 수 있다. 컨테이너(100)는 서버(1) 및 이동 단말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컨테이너(100)는 서버(1)로부터 현재 날씨 정보, 자외선 차단제의 제품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100)는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컨테이너(100)에 보관 중인 화장 재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는 컨테이너(100)의 바디(20, 도 5b 참고)에 부착된 바코드(bar code), QR 코드 등을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바디(20)에 보관 중인 화장 재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바코드 리더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바디(20)에 보관 중인 화장 재료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205)에 저장할 수 있고, 컨테이너(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화장 재료에 대한 정보는, 생산일자, 사용 유효기간, 제조사, 성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100)의 바디(20)에 자외선 차단제가 수용된 경우, 화장 재료에 대한 정보는 자외선 차단제의 SPF(Sun Protection Factor) 지수, PA 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는 컨테이너(100)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서버(1) 및 컨테이너(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컨테이너(100)에서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컨테이너(100)는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자외선 차단제 검출 모드로의 동작 명령 또는 피부 케어 모드로의 동작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컨테이너(100)의 동작 모드를 입력할 수 있다.
혹은, 컨테이너(100)는 자외선 차단제 검출 모드로의 동작 명령 또는 피부 케어 모드로의 동작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별도의 버튼(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동 단말기(200)는 입력부(201), 카메라(202), 디스플레이부(203), 통신부(204), 메모리(205) 및 제어부(21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스마트 와치(smart watch)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 데스크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0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01)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형성되거나, 물리적인 키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202)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202)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3)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03)는 컨테이너(100)에 포함된 화장품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204)는 서버(1) 및 컨테이너(100)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04)는 입력부(201), 카메라(202) 등을 통해 획득한 정보, 메모리(205)에 저장된 정보 등을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04)는 외부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04)는 컨테이너(100)에 수용된 화장품의 잔량 등과 같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205)는 컨테이너(100)와 연동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05)는 컨테이너(100)에 수용된 화장 재료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제어 블록도이다.
컨테이너(100)는 센싱부(101), 디스플레이(102), 통신부(103), 카메라(104), 입력부(105), 저장부(107), 필터 전환 장치(30), 및 제어부(11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01)는 컨테이너(100)와 관련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01)는 잔량 검출부(미도시), 개폐 검출부(미도시), 위치 검출부(미도시), 퍼프 오염도 검출부(미도시), 자외선 센싱부(미도시)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잔량 검출부(미도시)는 컨테이너(100)에 수용된 물품의 잔량을 센싱할 수 있다. 이하, 컨테이너(100)에 수용되는 물품은 화장 재료인 것으로 가정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다. 즉, 실시 예에 따라, 컨테이너(100)에 수용되는 물품은 의약품 등일 수도 있다.
일 예로, 잔량 검출부(미도시)는 용량 검출 모듈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잔량 검출부(미도시)는 질량 검출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량 검출 모듈은 물품 수용부(22)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질량 검출 모듈이 물품 수용부(22)에 수용된 물품의 질량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질량 검출 모듈을 통해 물품 수용부(22)에 남은 물품의 잔량을 산출할 수 있고, 산출 결과에 따른 알람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10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물품 수용부(22)에 알약이 수용된 경우, 후술하는 개폐 검출부(미도시)를 통해 물품 수용부(22)가 오픈된 날짜를 획득하고, 잔량 검출부(미도시)를 통한 질량 변화를 통해 알약의 복용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10)는 알약의 복용 스케쥴 등을 획득하여 디스플레이(102)에 표시할 수 있다.
개폐 검출부(미도시)는 컨테이너(100)의 개폐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개폐 검출부(미도시)는 압력 센싱 모듈일 수 있다. 압력 센싱 모듈은 컨테이너(100)의 커버와 바디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가 오픈 상태일 때는 커버와 접촉되지 않고, 바디가 닫힌 상태일 때에만 커버와 접촉되는 면에 압력 센싱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압력 센싱 모듈이 감지한 압력의 변화에 기초하여 컨테이너(100)의 개폐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개폐 검출부(미도시)는 각도 센싱 모듈일 수 있다. 후술하는 도 4a 내지 도 4b,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0)가 커버가 기울지는 형태로 개폐되는 경우에는, 커버와 바디를 연결하는 힌지축에 각도 센싱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각도 센싱 모듈이 감지한 각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컨테이너(100)의 개폐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미도시)는 컨테이너(1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미도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오염도 검출부(미도시)는 컨테이너(100)에 보관되는 퍼프의 오염도를 검출할 수 있다. 퍼프 오염도 검출부(미도시)는 패브릭(fabric) 센서일 수 있다. 패브릭 센서는 산도(ph) 또는 온도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오염도를 센싱할 수 있다.
패브릭 센서는 후술하는 물품 수용부(22)에 배치될 수 있다. 혹은, 패브릭 센서는 퍼프에 배치될 수도 있다.
패브릭 센서는 고분자 소재가 거즈 등에 의해 덮힌 형태로 형성되며, 저항 변화를 감지하는 전자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패브릭 소재에 포함된 고분자 소재는 퍼프(미도시) 등에서 전달된 액체에 의해 젖을 수 있고, 이 경우 산도 또는 온도가 변하므로 부피가 변하게 된다. 패브릭 센서 내 전자 소자는 고분자 소재의 부피 변화로 이한 저항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퍼프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자외선 센싱부(미도시)는 자외선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센싱부(101)는 레이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2)는 컨테이너(100)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02)는 자외선 지수 등과 같은 현재 날씨, 오늘 일정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통신부(103)가 서버(1)로부터 현재 날씨 정보를 수신하고,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일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02)는 개폐 검출부(미도시)의 검출 정보를 이용하여 물품 수용부(22)에 수용된 화장 재료의 사용 시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02)는 질량 검출부(미도시)의 검출 정보를 이용하여 물품 수용부(22)에 수용된 화장 재료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02)는 이동 단말기(200) 등을 통해 획득한 화장 재료의 성분, 원산지, 외부 환경 정보에 따른 화장 방법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102)는 물품 수용부(22)에 수용될 화장 재료 제품의 로고를 표시할 수 있다. 물품 수용부(22)에 수용될 화장 재료의 제품에는 진품 여부 판별을 위한 워터마크가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바코드 정보, 생산 일자 별 워터마크 정보를 획득하여,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2)는 투명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가 컨테이너(100)의 커버(10, 도 4a 내지 도 4e 참고) 또는 바디(20, 도 4a 내지 도 4e 참고)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10)에 투명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는 커버(10)의 외면 또는 내면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바디(20)에 투명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 중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지 않은 영역에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2)는 컨테이너의 모양에 따라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통신부(103)는 이동 단말기(200) 및 서버(1)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03)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이동 통신 기술(예를 들어, 3G, 4G, 5G 등) 등을 통해 다른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104)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04)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104)는 후술하는 카메라 장착부(27)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104)는 커버(10)의 외면(10a) 및 내면(10b)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104)는 커버(10)외 외면(10a)과 내면(10b)을 연결하는 사이드에 배치될 수도 있다.
입력부(105)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05)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형성되거나, 물리적인 키 버튼(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05)는 자외선 차단제의 발림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07)는 컨테이너(10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07)는 컨테이너(100)에 수용된 화장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컨테이너(100)에 수용된 화장품은 리필될 수 있고, 리필시 화장품의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저장부(107)는 현재 컨테이너(100)에 수용된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고, 갱신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컨테이너(100)에 수용된 화장품에 대한 정보는 화장품의 유효기간, 화장품 사용 날짜, 화장품 잔량, 화장품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전환 장치(30)는 카메라(104)의 렌즈에 집광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전환 장치(30)는 제1 모드에서는 입사되는 광을 모두 통과시키고, 제2 모드에서는 입사되는 광 중 특정 파장의 광만 통과시킬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컨테이너(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필터 전환 장치(30)를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컨테이너(100)가 자외선 차단제 검출 모드로 동작할 때 필터 전환 장치(30)를 제2 모드로 제어하고, 컨테이너(100)가 자외선 차단제 검출 모드를 제외한 일반 모드로 동작할 때 필터 환 장치(30)를 제1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자외선 차단제 검출 모드로 동작할 때 필터 전환 장치(30)를 제2 모드로 제어한 후, 사용자 얼굴에서 자외선 차단제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필터 전환 장치(30)를 이용하여 사용자 얼굴에서 반사되는 자외선 광만 카메라(104)로 투과시킴으로써, 자외선 차단제를 가시화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렇게 획득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102)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모드에 따라 일반 영상 이미지 또는 자외선 차단 제를 가시화한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표시 할 수 있다.
피부에 영향을 주는 자외선은 크게 UVA(파장 320-400nm)와 UVB(파장 280-320nm)로, UVA는 피부 깊숙하게 침투해 주름, 탄력저하, 색소 침착 등 피부 노화를 일으키며, 피부를 까맣게 태우는 자외선이고, UVB는 피부 표피 또는 진피 상부까지 침투하여 홍반을 일으키며, 장시간 노출되면 일광화상까지 일으킬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피부암을 유발할 수 있는 자외선이다. 이에, 무기자외선 차단제는 입사되는 UVA 자외선을 물리적으로 산란시킴으로써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고, 유기자외선 차단제는 입사되는 UVB 자외선을 흡수해 다른 형태의 열과 빛으로 방출함으로써 피부에 입사하는 자외선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피부 영역 중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된 영역과 도포되지 않은 영역에는 자외선이 반사되는 특성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입사되는 자외선(UVA 또는 UVB)의 일부가 피부 표면에서 반사되므로 이를 카메라(104)가 촬영할 수 있는데, 무기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된 피부영역에서는 입사되는 UVA가 산란되어 카메라(104)로 반사되는 UVA가 거의 없게 되고,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된 영역에서는 입사되는 UVB가 다른 형태의 열이나 빛으로 방출되어 카메라(104)로 반사되는 UVB가 거의 없게 됩니다.
통상 자외선 차단 화장품에는 무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자와선 차단제가 도포되지 않은 피부표면으로 입사되는 자외선 중 일부는 반사되어 카메라(104)로 촬영하였을시(필터(31)에서 자외선 성분만 필터링된 신호) 휘도 신호가 일반적인 가시광선 보다 상당히 낮아서 어느 정도 검게 촬영된 영상으로 표시되는 반면에,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된 영역으로 입사되는 자외선은 대부분이 산란되거나 다른 형태의 열이나 빛으로 방출되어 카메라(104)로 촬영하였을시(필터(31)에서 자외선 신호만 필터링된 신호) 휘도 신호가 거의 제로에 가까운 블렉 레벨이어서 아주 검은 색으로 촬영된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카메라(104) 및 필터 전환 장치(3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중 자외선이 반사되는 영역과 자외선이 반사되지 않는 영역을 센싱함으로써, 자외선 차단제의 도포 영역 및 도포량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터 전환 장치(30)는 입사되는 광 중 자외선 파장에 해당하는 광만 통과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카메라(104)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에서 방출되는 열 또는 빛을 센싱함으로써, 자외선 차단제의 발림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얼굴 중 자외선 차단제가 발린 부분에 도달한 자외선은 열과 빛으로 방출되고, 사용자의 얼굴 중 자외선 차단제가 발려 있지 않은 부분에 도달한 자외선은 사용자의 얼굴에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얼굴에서 방출되는 열 또는 빛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에서 자외선 차단제의 도포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터 전환 장치(30)는 입사되는 광 중 적외선 파장에 해당하는 광만 통과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필터 전환 장치(30)를 제어하여 적외선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외선 영상 이미지에서 고온 영역을 자외선이 반사된 영역, 즉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된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110)는 적외선 영상 이미지에서 열과 빛이 방출된 영역을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 중 자외선 차단제가 남아 있는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제어부(110)가 적외선을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시광선 및 자외선 촬영소자로 사용되는 CCD 또는 CMOS 대신에 적외선에 반응하는 마이크로 볼로미터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 컨테이너(100)는 사용자의 얼굴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제를 감지하기 위해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을 발산하기 위한 발광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도 8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에 따라, 발광부(4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테이너(100)는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CCD 센서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에 자외선 차단제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자외선 차단제가 존재하는 영역만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센싱부(101), 디스플레이(102), 통신부(103), 카메라(104), 입력부(105), 저장부(107) 및 필터 전환 장치(3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100)는 커버(10)와 바디(20)를 포함하며, 커버(10)는 바디(20)에 힌지 연결되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닫힘 상태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림 상태로 조절될 수 있다.
바디(20)에는 화장품이 수용될 수 있고, 화장품이 사용되지 않을 때 커버(10)는 바디(20)에 수용된 화장품을 덮어, 화장품을 보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2)는 커버(10)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10)의 외면(10a)과 내면(10b) 각각에 디스플레이(102)가 형성되어, 닫힘 상태에서는 커버(10)의 외면(10a)에 형성된 디스플레이(102)가 턴-온되고, 열림 상태에서는 커버(10)의 내면(10b)에 형성된 디스플레이(102)가 턴-온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10)에 형성된 디스플레이(102)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닫힘 상태에서는 커버(10)의 외면(10a)이 정면이 되도록 정보를 표시하고, 열림 상태에서는 커버(10)의 내면(10b)이 정면이 되도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100)는 커버(11)와 바디(21)를 포함하며, 커버(11)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바디(21)에서 분리되는 구조로, 디스플레이(102)가 커버(1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02)는 투명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도 4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100)는 커버(13)와 바디(23)를 포함하며, 커버(13)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바디(23)에서 분리되는 구조로, 디스플레이(102)가 커버(13)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10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02)는 투명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도 4e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제4 실시 예에 다른 컨테이너(100)는 커버(15)와 바디(25)를 포함하며, 커버(15)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바디(25)에서 분리되는 구조로, 디스플레이(102)가 바디(25)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2)는 바디(25)의 일부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02)는 바디(25)의 측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검출함으로써, 정보 표시 영역을 결정하고, 디스플레이(102) 중 정보 표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레이저 센서(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혹은,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102) 보다 내면에 배치된 압력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컨테이너(100)를 잡고 있는 부위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바디(25)에 두 개의 디스플레이(102)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에 하나의 디스플레이(102)가 배치되고, 그 반대면인 후면에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102)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02)의 베젤과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02)의 베젤은 측면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측면 부분에서,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02)의 베젤과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02)의 베젤이 중첩될 수도 있다. 측변 부분은 디스플레이(102)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 회로가 배치되므로, 굴곡이 없는 평편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02)와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02) 중 어느 하나가 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다른 하나는 투명 디스플레이 상태로 제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컨테이너(100) 내부가 투과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컨테이너(100)에 수용된 물품과 디스플레이(102)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고, 컨테이너(100)의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100)의 배치가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컨테이너(100)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컨테이너(100)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인 경우로 가정하여, 카메라 장착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카메라 장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컨테이너(100)는 커버(10)와 커버(10)에 힌지 연결되는 바디(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0)에는 물품 수용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물품 수용부(22)에는 파운데이션, 선크림 등과 같은 화장 재료, 퍼프(puff)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물품 수용부(22)에 수용되는 물품은 교체될 수 있다.
물품 수용부(22)에 수용되는 물품은 컨테이너(100)에만 장착 가능한 전용품일 수 있다.
물품 수용부(22)에 수용되는 물품 자체에는 바코드 등이 부여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물품 수용부(22)에는 알약 등과 같은 의약품이 수용될 수도 있다.
바디(20)는 물품 수용부(22)가 형성된 케이스(21)를 갖고, 케이스(23)에는 커버(10)의 개폐를 조절하는 버튼(23)이 구비될 수 있다.
커버(10)는 바디(20), 특히 물품 수용부(22)를 개폐할 수 있다. 커버(10)의 내부에는 컨테이너(100)의 구동을 위한 소자들이 집적된 회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10) 등은 커버(10) 내부에 배치된 회로(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104)가 바디(20)에 설치된 경우 카메라(104)는 제어부(110)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버(10)와 바디(20) 중 어느 하나에는 힌지축(14)이 제공되고, 커버(10)와 바디(20) 중 다른 하나에는 힌지축(1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축 서포터(24)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b의 예시를 참조하면, 커버(10)에 힌지축(14)이 제공되고, 바디(20)에 힌지축 서포터(24)가 제공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컨테이너(100)는 카메라(104)와, 카메라(104)가 장착되는 카메라 장착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0)에는 카메라 장착부(27)에 배치된 카메라(104)를 노출시키는 함몰부(S1)가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장착부(27) 커버(10)와 바디(2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카메라 장착부(27)가 바디(20)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다.
커버(10)에 형성된 함몰부(S1)는 카메라(104)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함몰부(S1)는 카메라 장착부(27)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04)는 커버(10)의 개폐 상태와 관계 없이 동작할 수 있다.
즉, 함몰부(S1)를 통해 카메라(104)는 커버(10)가 닫힘 상태일 때 혹은 열림 상태일 때 모두 기능할 수 있기 때문에, 닫힘 상태일 때 기능하는 카메라와 열림 상태일 때 기능하는 카메라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즉, 카메라(104)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컨테이너(100)의 제조 비용을 절감 가능한 이점이 있다.
카메라 장착부(27)가 바디(20)에 배치되는 경우, 케이스(21)에는 카메라 장착부(27)가 배치되는 수용홈(28)이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장착부(27)는 수용홈(28)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장착부(27)는 바디(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케이스(21)에는 카메라 장착부(27)의 회전축(미도시)을 지지하는 회전축 서포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장착부(27)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경우, 사용자는 카메라 장착부(27)를 회전시켜 카메라(104)의 촬영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한 이점이 있다.
카메라 장착부(27)의 형상은 회전에 용이한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 장착부(27)에는 카메라 장착부(27)의 회전을 돕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27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카메라 장착부에 돌기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카메라 장착부(27)에 복수개의 돌기(27a)가 형성된 경우, 복수개의 돌기(27a)는 카메라 장착부(27)의 회전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장착부(27)의 표면에 돌기(27a)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카메라 장착부(27)를 회전시키고자 할 때 표면이 미끄러워 카메라 장착부(27)의 회전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장착부(27)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27a)가 형성될 경우에는, 돌기(27a)가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경우를 최소화하여, 카메라 장착부(27)의 회전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한편, 함몰부(S1)가 형성된 커버(10)의 외면(10a)과 내면(10b) 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102)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2)가 커버(10)의 외면(10a)과 내면(10b) 각각에 배치된 경우, 물품 수용부(22)의 개폐 여부에 따라 외면(10a)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02a)와 내면(10b)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02b) 중 어느 하나가 턴-오프될 수 있다.
커버(10)는 물품 수용부(22)를 덮는 방향(W1) 또는 물품 수용부(22)를 오픈하는 방향(W2)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커버(10)는 물품 수용부(22)를 덮는 방향(W1)으로 최대 각도인 제1 각도, 물품 수용부(22)를 오픈하는 방향으로 최대 각도인 제2 각도, 또는 제1 각도와 제2 각도 사이의 각도인 제3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커버(10)와 바디(20) 사이에 연결된 힌지축에 연결된 각도 센싱 모듈(미도시)을 통해 커버(10)가 기울어진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커버(10)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내면(10b)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02b)는 턴-오프되고, 커버(10)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외면(10a)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02a)는 턴-오프될 수 있다.
커버(10)가 제1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외면(10a)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02a)는 턴-온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턴-오프되고, 커버(10)가 제2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내면(10b)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02b)는 턴-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2)는 카메라 장착부(27)에 장착된 카메라(104)가 촬영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02)는 컨테이너(10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100)와 관련된 정보는 물품 수용부(22)에 수용된 화장 재료에 대한 정보, 카메라(104) 및 필터 전환 장치(30)를 통해 검출한 자외선 차단제 도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 도포 정보는, 자외선 차단제 존재 영역과 자외선 차단제 비존재 영역, 자외선 차단제 도포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자외선 차단제 도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필터 전환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전환 장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필터 전환 장치(30)는 특정 파장 영역만을 투과시키고, 다른 파장은 차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전환 장치(30)는 자외선 파장에 해당하는 광만 투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필터 전환 장치(30)는 카메라 장착부(27)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전환장치(30)는 카메라(104) 렌즈의 상부에 필터(31)가 선택적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전환 장치(30)는 필터(31), 필터(31)가 배치되는 플레이트(32), 플레이트(33)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31)는 자외선 영역만 투과시킬 수 있다.
구동부(33)는 플레이트(33)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33)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31)는 플레이트(33)에 배치될 수 있고, 플레이트(33)의 회전에 의해 필터(31)는 광통로(S2)와 나란하게 위치하거나, 광통로(S1)와 이격될 수 있다.
광통로(S2)는 카메라(104)의 렌즈로 모이는 빛이 통과하는 통로일 수 있다. 따라서, 필터(31)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통로(S2) 상에 위치할 경우 카메라(104)는 자외선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고, 필터(31)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통로(S2)와 이격되어 위치할 경우 카메라(104)는 일반 영상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자외선 차단제 검출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플레이트(33)가 광통로(S2)를 가리는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부(3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자외선 차단제 검출 모드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플레이트(33)가 광통로(S2)를 가리지 않는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부(3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플레이트(33)가 광통로(S2)를 가리는 각도로 회전된 경우, 카메라(104)를 통해 자외선 영상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110)는 자외선 영상 이미지를 직접 디스플레이(102)에 표시하거나, 또는 자외선 영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자외선 차단제가 발린 영역을 검출한 후 자외선 차단제의 검출 영역과 자외선 차단제의 비검출 영역을 구분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자외선 차단제가 발린 영역과 발리지 않은 영역을 사용자 직접 확인 가능하도록 이미지 정보로 디스플레이(102)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2)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는 자외선 차단제가 발린 영역과 발리지 않은 영역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자외선 영상 이미지의 자외선 검출 영역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 중 자외선 차단제가 존재하는 영역과 사용자의 얼굴 중 자외선 차단제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자외선 영상 이미지에서 자외선 검출량을 획득하여, 사용자의 얼굴 중 자외선 차단제의 도포량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자외선 차단제의 도포량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0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필터 전환 장치(30)의 필터(31)는 적외선 광만 투과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적외선 광만 투과시키는 필터(31)를 광 통로(S2) 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적외선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외선 영상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중 자외선 차단제가 발린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영상 이미지는 온도 분포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영상 이미지는 온도가 높은 영역일수록 밝은색으로 표현되고, 온도가 낮은 영역일수록 어두운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은 사용자의 얼굴 중 자외선 차단제가 존재하는 영역에 도달시 열과 빛으로 방출되어 온도가 높으므로 적외선 영상 이미지에서 하얀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반대로, 자외선은 사용자의 얼굴 중 자외선 차단제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도달시 피부에 흡수될 수 있고, 온도가 높아지지 않으므로 적외선 영상 이미지에서 검은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외선 영상 이미지의 색상 분포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 중 자외선 차단제가 존재하는 영역과 사용자의 얼굴 중 자외선 차단제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b와 달리, 필터 전환 장치(30)는 복수개의 필터(31)를 구비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필터 전환 장치(30)의 플레이트(32)에는 자외선만 투과시키기 위한 제1 필터와 적외선만 투과시키기 위한 제2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 필터와 제2 필터 중 어느 하나가 광통로(S2) 상에 배치되도록 구동부(3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 필터가 광통로(S2) 상에 배치되도록 구동부(33)를 제어한 경우에는, 자외선 영상 이미지를 통해 자외선 차단제 도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제2 필터가 광통로(S2) 상에 배치되도록 구동부(33)를 제어한 경우에는, 적외선 영상 이미지를 통해 자외선 차단제 도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전환 장치(30)가 복수개의 필터(3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을 고려하여 자외선 영상 이미지 또는 적외선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여 자외선 차단제 도포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과 관계없이 자외선 차단제 도포 정보를 검출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전환 장치, 카메라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필터 전화 장치(30) 및 카메라(104)는 카메라 장착부(27)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04)는 렌즈(104a), 이미지 센서(104b) 및 프로세서(104c)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104a)는 가싱관선 뿐만 아니라, 약 280 내지 약 400nm의 파장 범위에서 광 에너지에 대한 투과율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V-A는 약 320 내지 400 nm에 해당하고, UV-B는 약 280 내지 320nm에 해당한다. 따라서, 렌즈(104a)는 UV-A 또는 UV-B에 따라 적합한 광 에너지에 대한 투과를 허용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렌즈(104a)는 3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일 수 있다. 렌즈(104a)가 복수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일 경우, 필터(31)는 복수개의 렌즈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04)는 렌즈(104a)가 필터 전환 장치(30)의 광통로(S2)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필터 전환 장치(30)는 광통로(S2)가 카메라 장착부(27)의 카메라홀(27h)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카메라 장착부(27)의 카메라홀(27h), 광통로(S2) 및 렌즈(104a)는 위쪽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순서대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홀(27h)과 광통로(S2) 사이에는 필터(31)가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자외선 차단제 검출 이미지를 표시할 때 카메라홀(27h)과 광통로(S2) 사이에 필터(31)가 위치하도록 구동부(33)를 제어하고, 일반 이미지를 표시할 때 카메라홀(27h)과 광통로(S2) 사이에 필터(31)가 위치하지 않도록 구동부(33)를 제어할 수 있다.
필터(31)는 자외선 차단제가 최대 흡수력(300-400 nm)이고 투과율이 그 영역(>400 nm) 밖에서 최소화되는 스펙트럼 영역에서 투과율이 최대가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필터(31)는 렌즈(104a) 및 이미지 센서(104c)와 광 통신할 수 있다. 필터(31)는 약 390nm 이상의 고광밀도 및 약 390nm 이하의 저광밀도를 갖을 수 있다.
필터(31)는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에 따른 파장 범위에 대응하는 투과율 범위를 갖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제는 390nm 이상의 광 에너지를 갖는 광을 흡수하지 않는 성분을 갖을 때 사람이 425nm 이하의 광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필터(31)는 425nm 이하를 포함하는 투과율 범위를 갖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104b)는 렌즈(104a)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04b)는 렌즈(104a)를 통해 들어온 빛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소자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플레이트(32)가 회전하도록 구동부(33)를 제어할 수 있고, 플레이트(32)의 회전에 의해 필터(31)가 광통로(S2) 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필터(31)가 광통로(S2) 상에 배치되는 것은, 필터(31)가 광통로(S2)와 연장되는 가상의 선 상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104b)는 광통로(S2)와 연장되는 가상의 선 상에 필터(31)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104b)는 광통로(S2)와 연장되는 가상의 선 상이 필터(31)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필터(31)에 의해 필터링된 파장의 광으로 형성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필터(31)가 자외선 파장의 광만 통과시킬 경우, 이미지 센서(104b)는 자외선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필터(31)가 적외선 파장의 광만 통과시킬 경우, 이미지 센서(104b)는 적외선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c)는 이미지 센서(104b)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프로세서(104c)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통해 자외선 차단제 도포 정보를 획득하고, 컨테이너 내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제의 종류 또는 SPF/PA 등급 정보를 고려한 자외선 차단제 도포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0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04c)는 UV 데이터, 이미지 촬영 시간, 자외선 차단제의 유형, 및 도포(application) 방식 등과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자외선 영상 이미지 또는 적외선 영상 이미지를 직접 디스플레이(102)에 표시하거나, 자외선 영상 이미지 또는 적외선 영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자외선 차단제의 분포를 분석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02)에 표시할 수 있다. 혹은, 디스플레이(102)는 필터(31)를 통해 자외선 광만 통과시킴으로써 획득한 자외선 검출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102)는 카메라(104)가 촬영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검출된 자외선 차단제 존재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가 자외선 차단제의 분포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의 예시 도면이다.
제어부(110)는 카메라(104) 및 필터 전환 장치(30)를 구동시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사용자 얼굴에서 자외선 차단제 존재 영역과 자외선 차단제 비존재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 존재 영역은, 자외선 차단제가 일정량 이상 발린 상태로 추정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자외선 차단제 비존재 영역은, 자외선 차단제가 일정량 이상 발리지 않은 상태로 추정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즉, 자외선 차단제 비존재 영역은, 자외선 차단제가 일정량 미만 발린 것으로 추정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제어부(110)는 자외선 영상 이미지 또는 적외선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얼굴 영역에서 자외선 차단제 존재 영역과 자외선 차단제 비존재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입력부(50)를 통해 자외선 차단제 표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50)는 컨테이너(100)에 구비된 물리적인 버튼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컨테이너(100)가 열린 상태로 판단되면, 카메라(104)로 촬영한 일반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02b)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100)가 열린 상태란, 커버(10)가 물품 수용부(22)를 오픈하는 방향(W2)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이미지란, 필터(31)가 광통로(S2) 상에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미지 센서(104b)가 획득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 이미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미지로, 사용자의 얼굴만이 도시된 이미지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일반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02b)를 제어한 상태에서, 버튼(5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버튼(50)에 기설정된 기준 이상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02b)가 일반 이미지 대신에 자외선 차단제 검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 검출 이미지는, 자외선 영상 이미지이거나, 혹은 자외선 영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자외선 차단제가 발린 영역을 추출한 후 가공한 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버튼(50)에 기설정된 기준 미만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02b)가 일반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버튼(50)에 의해 디스플레이(102b)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일반 이미지와 자외선 차단제 검출 이미지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 검출 이미지는, 필터(31)가 광통로(S2)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미지 센서(104b)가 획득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자외선 차단제 검출 이미지를 표시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2b)에는 사용자의 얼굴이 표시되고, 사용자의 얼굴 중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되지 않은 영역(52)은 다소 검게 표시되고,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된 영역(51)은 아주 검게 표시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된 영역(51)은 자외선이 반사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혹은,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된 영역(51)은 적외선 영상 이미지 상에서 고온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자외선 차단제 검출 이미지가 자외선 영상 이미지 혹은 적외선 영상 이미지에서 자외선 차단제의 도포 영역을 분석한 후 영상 처리한 이미지인 경우, 자외선 차단제의 도포 영역을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되지 않은 영역과 구분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미도시)는 일반 이미지 상에 오버랩되는 GUI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02b)자외선 차단제 도포량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내에 포함된 자외선 차단제의 종류 또는 SPF/PA 등급 정보를 고려한 자외선 차단제 도포 정보를 표시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2b)가 자외선 차단제 검출 이미지를 표시할 때, 자외선 차단제 비존재 영역(52)에는 자외선 차단제 존재 영역(51) 보다 밝게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참조하여,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야 하는 얼굴 부위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버튼(50)을 통해 일반 이미지와 자외선 차단제 검출 이미지를 용이하게 번갈아 가면서 확인 가능한 이점이 있다. 사용자는 버튼(50)을 누르는 동안 또는 한번 버튼(50)을 터치한 후 일정기간 동안 자외선 차단 이미지를 확인 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102b)는 자외선 차단제 비존재 영역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미도시)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102b)는 자외선 차단제 존재 영역과 자외선 차단제 비존재 영역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개의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02)는 자외선 차단제의 도포량까지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자외선 차단제 검출 이미지를 표시할 때, 자외선 차단제 검출 이미지는 자외선 차단제의 도포량에 따라 밝기가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자외선 차단제의 도포량이 제일 많은 제1 영역(51a)이 제일 어두운 색으로 표시되고, 자외선 차단제의 도포량이 제1 영역(51a) 보다 적은 제2 영역(51b)은 제1 영역(51a) 보다 밝은 색으로 표시되는 자외선 차단제 검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되지 않은 제3 영역(52)은 제1 영역(51a) 및 제2 영역(51b) 보다 밝게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자외선 차단제의 도포량이 많은 영역일수록 진하게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02b)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외선 차단제가 이미 발린 영역이더라도, 자외선 차단제가 부족한 영역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가 자외선 차단제 존재 영역과 자외선 차단제 비존재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자외선 발광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0)가 발광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40)는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발광부(40)는 자외선 차단제 검출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일정량의 자외선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부(40)는 사용자 얼굴 방향으로 자외선을 발산할 수 있다.
발광부(40)는 커버(10)의 내면(10b)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40)는 커버(10)의 내면(10b) 중 커버(10)의 외둘레와 디스플레이(102b)의 외둘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발광부(40)는 바디(20)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발광부(40)는 자외선 외에 적외선 등을 발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100)는 피부 케어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고, 피부 케어 모드로 동작시 발광부(40)는 적외선을 발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테이너(100)에 수용된 화장 재료를 이용하여 화장 중이거나, 피부 케어 명령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110)는 컨테이너(100)의 동작 모드를 피부 케어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컨테이너(100)가 발광부(40)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컨테이너(100)가 낮 시간대에 실외에 위치할 때 차단제 검출 영역과 자외선 차단제 비존재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컨테이너(100)는 위치 검출부(미도시)를 통해 검출한 현재 위치가 실외에 해당하고, 현재 시간이 자외선이 검출되는 설정 시간(예를 들어, 오전 10:00 ~ 오후 05:00)에 해당하는 경우, 차단제 검출 영역과 자외선 차단제 비존재 영역을 구분하는 자외선 차단제 검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100)는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 알람을 출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날씨 정보와 물품 수용부(22)에 수용된 화장품 정보, 물품 수용부(22)에 수용된 화장품의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10)는 통신부(103) 또는 자외선 센싱부(미도시)를 통해 현재 자외선 지수 등과 같은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외부 서버로부터 현재 자외선 지수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03)를 제어하거나, 현재 외선량을 측정하도록 자외선 센싱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제어부(110)는 물품 수용부(22)에 수용된 화장품 정보를 입력부(105)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 수용부(22)에 자외선 차단제가 수용된 경우, 제어부(110)는 입력부(105)를 통해 화장품 정보로 SPF 또는 PA 등과 같은 자외선 지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05)는 키버튼 등을 통해 자외선 지수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거나, 물품 수용부(22)에 수용된 화장품에 대한 QR 코드를 통해 자외선 지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위치 검출부(미도시), 개폐 검출부(미도시), 잔량 검출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위치 검출부(미도시)를 통해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현재 사용자의 위치가 실내 또는 실외인지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개폐 검출부(미도시)를 통해 컨테이너(100)가 개폐될 때의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컨테이너(100)가 개폐된 시간을 화장품의 사용 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컨테이너(100)가 열린 상태일 때 물품 수용부(22)에 수용된 화장품의 잔량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컨테이너(110)가 열린 상태에서 잔량 검출부(미도시)가 검출한 화장품의 잔량 변화를 통해 화장품의 사용량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10)는 위치 검출부(미도시), 개폐 검출부(미도시) 및 잔량 검출부(미도시)를 통해 현재 위치, 화장품의 사용 시간 및 화장품 사용량을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야외 활동 중이며, 오전 8:00에 SPF 35인 자외선 차단제를 2g 사용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화장품 사용 시간(예를 들어, 오전 8:00)으로부터 기준 시간(예를 들어, 3시간)을 경과하면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시간은 현재 자외선 지수와 자외선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량을 통해 산출된 시간으로, 자외선 차단제의 효력이 기준치 이하로 예측되는 시간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03)를 통해 컨테이너(100)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200)이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 알람을 출력하도록 이동 단말기(200)에 알람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알람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 알람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03)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10)는 컨테이너(100)의 디스플레이(102)에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 알람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10)는 컨테이너(100)에 수용된 화장품의 정보와 화장품의 사용 정보 등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카메라 장착부(27)에 장착된 카메라(104)가 촬영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얼굴의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2)는 측정된 사용자 얼굴의 피부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피부 상태는 주름, 탄력, 노화 등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일 예로, 제어부(110)는 카메라(104) 및 발광부(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발광부(40)를 제어할 수 있고, 이 경우 피부의 표피 아래에 손상된 멜라닌 색소가 자외선과 반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0)는 자외선이 멜라닌 색소와 반응함에 따라 방출되는 자기형광(autofluorescence)을 측정하고, 형광 스펙트럼을 통해 특정 파장들의 형광 강도 비를 분석함으로써 피부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물품 수용부가 형성된 바디;
    상기 물품 수용부를 개폐하는 커버;
    상기 바디와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카메라 장착부; 및
    상기 커버의 내면과 외면 각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물품 수용부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최소 각도인 제1 각도, 상기 물품 수용부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최대 각도인 제2 각도, 또는 상기 물품 수용부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 사이의 각도인 제3 각도로 기울어지고,
    상기 내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는
    상기 커버가 상기 물품 수용부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턴-오프되고,
    상기 외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는
    상기 커버가 상기 물품 수용부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제2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턴-오프되는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바디에 배치되는
    컨테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컨테이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착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는
    컨테이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카메라 장착부에 배치된 카메라를 노출시키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컨테이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카메라 장착부에 장착된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컨테이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검출된 자외선 차단제 존재 영역을 표시하는
    컨테이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용부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내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와 상기 외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가 턴-오프되는
    컨테이너.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는
    상기 커버가 상기 물품 수용부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턴-온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턴-오프되고,
    상기 내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는
    상기 커버가 상기 물품 수용부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제2 각도로 기울어진 경우 턴-온되는
    컨테이너.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용부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용부에는
    화장 재료 및 퍼프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되는
    컨테이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가 배치되는
    컨테이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착부에 장착된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얼굴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KR1020190109373A 2019-09-04 2019-09-04 컨테이너 KR102164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373A KR102164507B1 (ko) 2019-09-04 2019-09-04 컨테이너
PCT/KR2020/009930 WO2021045389A1 (ko) 2019-09-04 2020-07-28 컨테이너
US17/640,118 US20220330682A1 (en) 2019-09-04 2020-07-28 Container
CN202080062418.9A CN114342349B (zh) 2019-09-04 2020-07-28 容器
KR1020200107150A KR102557729B1 (ko) 2019-09-04 2020-08-25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373A KR102164507B1 (ko) 2019-09-04 2019-09-04 컨테이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150A Division KR102557729B1 (ko) 2019-09-04 2020-08-25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507B1 true KR102164507B1 (ko) 2020-10-12

Family

ID=7288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373A KR102164507B1 (ko) 2019-09-04 2019-09-04 컨테이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30682A1 (ko)
KR (1) KR102164507B1 (ko)
CN (1) CN114342349B (ko)
WO (1) WO20210453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340A (ko)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크라캔컴퍼니 자외선 관련 피부 진단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166A (ko) * 2004-10-05 2006-04-10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KR200483132Y1 (ko) * 2016-08-18 2017-04-06 주식회사 이엑스쏠라 휴대폰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파운데이션 콤팩트 용기
KR20180089196A (ko) *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하이 스마트 화장품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4195A (ja) * 2003-07-23 2005-02-17 Nec Saitama Ltd メイクアップ支援システム、方法、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で実行するプログラム
US20050099533A1 (en) * 2003-11-10 2005-05-12 Casio Computer Co., Ltd.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KR100565334B1 (ko) * 2004-06-25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환경 설정 장치와 방법
KR100866552B1 (ko) * 2007-01-24 2008-11-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디지털 피부 영상 장치 및 영상 분석 방법
CN201388210Y (zh) * 2008-12-18 2010-01-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JP5612846B2 (ja) * 2009-10-08 2014-10-22 株式会社 資生堂 皮膚外用剤の塗りむら評価方法、塗りむら評価装置、及び塗りむら評価プログラム
US9173570B2 (en) * 2012-04-12 2015-11-03 Thomas Nathan Millikan Viewing and processing multispectral images
CN202588699U (zh) * 2012-04-27 2012-12-12 上海申视汽车新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式化妆盒
US9383256B2 (en) * 2013-12-19 2016-07-05 Jie Lian UV dosimetry system with sensor data correction
KR101667917B1 (ko) * 2014-02-03 2016-10-2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필터변환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피부 영상화장치
KR102348049B1 (ko) * 2017-08-28 2022-01-10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제의 도포 특성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KR101876705B1 (ko) * 2018-03-26 2018-07-09 최성희 자외선 측정모듈을 구비한 화장품용기
CN108760685B (zh) * 2018-05-29 2020-09-11 北京优彩科技有限公司 防晒霜涂抹痕迹检测设备及ap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166A (ko) * 2004-10-05 2006-04-10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KR200483132Y1 (ko) * 2016-08-18 2017-04-06 주식회사 이엑스쏠라 휴대폰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파운데이션 콤팩트 용기
KR20180089196A (ko) *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하이 스마트 화장품 패키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340A (ko)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크라캔컴퍼니 자외선 관련 피부 진단 장치
KR102461151B1 (ko) * 2020-12-29 2022-12-06 주식회사 크라캔컴퍼니 자외선 관련 피부 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5389A1 (ko) 2021-03-11
CN114342349A (zh) 2022-04-12
US20220330682A1 (en) 2022-10-20
CN114342349B (zh) 202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969541U (zh) 环境光传感器和电子设备
US10568517B2 (en) Viewing and processing multispectral images
US10324032B2 (en) Light-based shielding detection
US9766121B2 (en) Mobile device based ultra-violet (UV) radiation sensing
CN102186418B (zh) 便携式皮肤诊断装置
US9846473B1 (en) Display with windows for visible and infrared components
KR101048768B1 (ko) 조도, 근접도 및 색온도 측정이 가능한 이미지센서
EP3485342B1 (en) Optical fingerprint sensor with force sensing capability
KR100992411B1 (ko) 피사체의 근접여부 판단이 가능한 이미지센서
WO2017211152A1 (en) Optical collimators for under-screen optical sensor module for on-screen fingerprint sensing
WO2018127101A1 (en) Improving optical sensing performance of under-screen optical sensor module for on-screen fingerprint sensing
US11719572B2 (en) Real time ultraviolet light reflectance imaging
KR102164507B1 (ko) 컨테이너
KR102557729B1 (ko) 컨테이너
GB2427464A (en) Mobile telephone featuring an ultra violet detector
KR102461151B1 (ko) 자외선 관련 피부 진단 장치
KR100760709B1 (ko) 다중 광원을 이용하는 피부 관찰 장치
KR20060059045A (ko) 휴대단말기의 자외선 지수 측정 장치
KR20220023925A (ko) 미러 기기
CN114078281A (zh) 检测装置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