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894B1 -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894B1
KR100467894B1 KR10-2002-0062110A KR20020062110A KR100467894B1 KR 100467894 B1 KR100467894 B1 KR 100467894B1 KR 20020062110 A KR20020062110 A KR 20020062110A KR 100467894 B1 KR100467894 B1 KR 100467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mer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3179A (ko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2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894B1/ko
Publication of KR20040033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함으로써, 주변의 조도에 영향을 받지않고 언제나 선명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카메라의 영상 촬영시 주변을 밝게 비춰주기 위하여 발광하는 플래시; 및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카메라의 영상 촬영 및 플래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including flash for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두운 곳에서 사진 촬영시 주변의 조도를 밝게 비춰줄 수 있는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대방과 음성통화을 수행하기 위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들어 통신 기술 및 이동통신 단말기 제작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기능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 및 상용화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을 전달하는 통화기능 이외에, 이동통신 단말기로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E-mail 수신 및 발신, 대금결재 등 다양한 기능이 일반화 되어있으며,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 렌즈를 설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사물의 형상을 찍는 카메라폰 기능과 자신의 형상을 카메라로 찍어 상대방에게 전송해 주는 화상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화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카메라 렌즈가 장착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렌즈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폴더형 카메라렌즈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힌지부(1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본체(10)와 폴더(11)로 구성되며, 본체(10)의 내부면에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송신부(14)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진 키패드(13)가 설치되고, 폴더(11)의 내부면에는 문자 및 숫자를 나타내는 액정표시부(15)와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신부(16)와 렌즈홀(17)이 설치되며 렌즈홀(17)의 중앙에 카메라 렌즈(18)를 설치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2a는 종래의 외장형 카메라가 탈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내측에 다수개의 숫자키 및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110)와, 상기 키패드(110)의 하단에 마이크를 포함하는 송신부(120)를 구비하는 본체(100)와, 데이터가 출력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액정표시부(210)와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신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와 힌지부(300)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로부터 일정각도까지 개폐되는 폴더(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이어폰 및 카메라의 플러그와 공용으로 결합할 수 있는 잭(미도시)을 구비하고, 피사체의 형상을 읽어들이는 카메라렌즈(410)와 전원을 인가 받는 전원부(미도시)와 상기 잭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 카메라 플러그(미도시)를 구비하는 카메라(4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400)는 피사체의 위치에 맞춰 상기 카메라렌즈(410)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 플러그를 축으로 360도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있으므로, 상기 카메라(400)를 회전시켜 상기 카메라렌즈(410)의 방향을 사용자를 향하도록 조정하게되면 카메라렌즈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렌즈(410)의 방향을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향하도록 조정하게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카메라폰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렌즈(410)의 방향전환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해지고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와 카메라폰으로의 상호 변환 조작이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2b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탈착되는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400)는 그 상단 중앙부에 피사체의 형상을 읽어들이는 카메라렌즈(410)를 구비하고, 한 쪽 측면에 일반 이어폰 플러그와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된 카메라 플러그(420)와 상기 카메라(400)의 작동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극(430)을 구비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되었을 때 폴더 개폐 시 상기 폴더와 간섭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사진 촬영시 주변의 조도를 밝게해 주기 위한 플래시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 선명한 사진을 촬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어두운 곳에서 사진 촬영시 주변을 밝게 비춰 줄 수 있는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함으로써, 주변의 조도에 영향을 받지않고 언제나 선명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렌즈가 장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a는 종래의 외장형 카메라가 탈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b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탈착되는 카메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탈착되는 카메라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7a 및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이동통신 단말기 41: 접속부
42: 플래시 43: 조도센서
44: 키패드 45: 제어부
46: 액정화면 47: 저장부
48: 전송 처리부 49: 플래시 회전구동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정화면과 동일한 방향의 영상을 포착하기 위한 전면 렌즈와 상기 전면 렌즈의 반대방향의 영상을 포착하기 위한 후면 렌즈로 이루어진 카메라를 부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영상 촬영시 주변을 밝게 비춰주기 위하여 발광하는 플래시; 및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영상 촬영 및 상기 플래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탈착되는 카메라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이용되는 카메라(30)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촬영부(31)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촬영제어신호 등을 촬영부(31)로 출력하고 촬영부(3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처리부(32)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촬영제어신호 등을 촬영부(31)로 접속시키고 신호처리부(32)에 의해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접속시켜 주는 접속부(33)를 구비한다.
촬영부(31)는 외부의 영상을 포착하기 위한 카메라 렌즈와 주변으로부터 상기 카메라 렌즈로 입력되는 빛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씨모스(CMOS)나 씨씨디(CCD)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메라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촬영부(31)의 카메라 렌즈에 영상이 포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를 눌러 촬영을 지시하면, 접속부(33)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촬영명령을 신호처리부(32)로 접속시킨다.
이렇게, 사용자의 촬영지시가 접속부(33)를 통해 접속되면, 신호처리부(32)는 사용자의 촬영명령을 촬영부(31)로 전달한다. 이어 촬영부(31)는 사용자의 촬영지시에 따라 상기 카메라 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촬영하여 신호처리부(32)로 출력한다.
이때, 신호처리부(32)는 촬영부(3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접속부(33)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30)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경우 플래시를 발광시켜 주변의 조도를 밝게해 주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40)는, 카메라(3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접속부(41)와, 카메라(30)의 촬영시 주변의 조도를 밝게해 주기 위해 발광하는 플래시(42)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센서(43)와, 사진 촬영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44)와, 접속부(41)에 의해 접속되는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및 전송을 제어하고 조도 센서(43)에 의해 감지되는 조도 세기나 키패드(4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플래시(4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5)와, 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3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화면(LCD)(46)과, 제어부(45)에 의해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47)와, 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처리부(48)와, 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플래시(42)를 상하방향으로 일정 각도 정도 회전시키기 위한 플래시 회전구동부(49)를 구비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키패드(44)를 눌러 플래시 구동모드를 설정하면, 제어부(45)는 카메라(30)의 사진 촬영시 주변 조도에 관계없이 플래시(42)를 발광시킨다.
만일, 사용자가 키패드(44)를 눌러 플래시 자동제어모드를 설정하면, 제어부(45)는 카메라(30)의 사진 촬영시 조도 센서(43)에 의해 감지되는 주변의 조도에 따라 플래시(42)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43)에 의해 감지된 조도세기가 제어부(45) 내에 미리 설정된 기준조도세기보다 크면, 제어부(45)는 사진 촬영시 플래시(42)를 발광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조도 센서(43)에 의해 감지된 조도세기가 제어부(45) 내에 미리 설정된 기준조도세기보다 작으면, 제어부(45)는 사진 촬영시 플래시(42)를 발광시킨다.
그리고, 플래시(42)와 조도 센서(43)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40) 상에 이격되어 장착되되, 플래시(42)는 카메라(30)의 렌즈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 촬영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카메라(30)의 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키패드(46)의 키를 눌러 촬영지시를 하면, 제어부(42)는 사용자의 촬영명령을 접속부(41)를 통해 카메라(3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30)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진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40)로 전달한다.
이때,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40)를 플래시 구동모드로 설정하였으면, 제어부(45)는 카메라(30)의 사진 촬영시 주변 조도에 관계없이 플래시(42)를 발광시킨다.
만일,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40)를 플래시 자동제어모드로 설정하였으면, 제어부(45)는 조도 센서(43)에 의해 감지된 조도세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조도세기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플래시(42)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비교결과 주변 조도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조도세기보다 큰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5)는 카메라(30)의 사진 촬영시 플래시(42)를 발광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비교결과 주변 조도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조도세기보다 작은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5)는 카메라(30)의 사진 촬영시 플래시(42)를 발광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44)의 키를 눌러 플래시(42)의 회전을 지시하면, 제어부(45)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플래시(42)를 상방향이나 하방향으로 일정각도 정도 회저시키기 위하여 플래시 회전구동부(49)를 구동시킨다. 이때, 플래시 회전구동부(49)는 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플래시(42)를 상방향이나 하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조도 센서없이 구현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구현할 경우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음과 같이 플래시를 구동시킨다.
먼저, 사용자가 키패드(44)를 눌러 사진촬영모드를 설정한 후 사진 촬영지시를 하면, 카메라(30)는 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촬영부(31)의 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촬영한다. 이때, 제어부(45)는 주변 조도에 관계없이 플래시(42)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은 플래시(42)가 이동통신 단말기(40) 상에 구현되는 예를 살펴보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단, 플래시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 장착되는 경우를 예로서 살펴본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42)는 접이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40)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래시(42)는 하폴더(51) 좌측 상단에 장착되되, 힌지(52)의 좌측 부분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40)에 부착되는 카메라는 액정화면(46) 방향의 전면을 촬영하기 위한 전면 렌즈(53)와 액정화면(46) 반대방향의 후면을 촬영하기 위한 후면 렌즈(5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40)의 카메라가 전면과 후면을 각각 촬영하기 위한 전면 렌즈(53)와 후면 렌즈(54)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플래시(42)를 접이식으로 구현함으로써, 플래시(42)가 전면 렌즈(53) 또는 후면 렌즈(54)를 통해 영상을 촬영할 경우 주변을 밝게 비춰줄 수 있다.
도 5a는 플래시(42)가 전면 렌즈(53)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래시(42)를 후면 렌즈(54)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키패드(44)의 키를 누르면, 제어부(45)는 플래시(42)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플래시 회전구동부(49)를 구동시킨다. 이때, 플래시 회전구동부(49)는 플래시(42)를 후면 렌즈(54) 방향으로 구동시켜 도 5b에서와 같이 플래시(42)가 후면 렌즈(54)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또한, 플래시(42)가 도 5b에서와 같이 후면 렌즈(54)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래시(42)를 전면 렌즈(53)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키패드(44)의 키를 누르면, 제어부(45)는 플래시(42)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플래시회전구동부(49)를 구동시킨다. 이때, 플래시 회전구동부(49)는 플래시(42)를 전면 렌즈(53) 방향으로 구동시켜 도 5a에서와 같이 플래시(42)가 전면 렌즈(53)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로서,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접속부(41), 플래시(42), 조도센서(43), 키패드(44), 제어부(45), 액정화면(46), 저장부(47), 그리고 전송처리부(48)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60)는 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플래시(42)를 옆으로 수평하게 일정 길이만큼 돌출시키기 위한 플래시 돌출구동부(61)를 구비한다.
여기서, 플래시(42)는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하폴더(62) 좌측 상단에 장착되되, 힌지(63)의 좌측 부분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플래시(42)가 구현될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60)를 휴대시 도 7a에서와 같이 플래시(42)가 하폴더(62) 좌측 상단에 위치하도록 한다.
도 7a에서와 같이 플래시(42)가 하폴더(62)의 좌측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래시(42)를 옆으로 돌출시키기 위하여 키패드(44)의 키를 누르면, 제어부(45)는 플래시(42)를 옆으로 돌출시키기 위하여 플래시 돌출구동부(61)를 구동시킨다. 이때, 플래시 돌출구동부(61)는 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도 7b에서와 같이 플래시(42)를 이동통신 단말기(60)의 옆으로 수평되게 일정길이 만큼 돌출시킨다.
이렇게, 플래시(42)가 옆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플래시(42)는 중심축(64)을중심으로 180도 회전된다. 여기서, 플래시(42)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플래시(42)가 회전됨으로써, 사용자는 도 7b에서와같이 플래시(42)가 전면 렌즈(65) 방향을 향하도록 하거나 도 7c에서 처럼 플래시(42)가 후면 렌즈(66) 바향을 향하도록 할 수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42)가 옆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래시(42)를 원위치시키기 위하여 키패드(44)의 키를 누르면, 제어부(45)는 플래시(42)를 원위치시키기 위하여 플래시 돌출구동부(61)를 구동시킨다. 이때, 플래시 돌출구동부(61)는 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도 7a에서와 같이 플래시(42)를 하폴더(62)의 좌측 상단에 위치시킨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장착한 카메라용 플래시를 통해 사진 촬영시 주변을 밝게 비춰줌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선명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고,이로인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액정화면과 동일한 방향의 영상을 포착하기 위한 전면 렌즈와 상기 전면 렌즈의 반대방향의 영상을 포착하기 위한 후면 렌즈로 이루어진 카메라를 부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영상 촬영시 주변을 밝게 비춰주기 위하여 발광하는 플래시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영상 촬영 및 상기 플래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플래시를 상기 전면 렌즈의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시키거나 상기 후면 렌즈의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플래시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플래시 회전구동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키패드 상의 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플래시 회전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액정화면과 동일한 방향의 영상을 포착하기 위한 전면 렌즈와 상기 전면 렌즈의 반대방향의 영상을 포착하기 위한 후면 렌즈로 이루어진 카메라를 부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영상 촬영시 주변을 밝게 비춰주기 위하여 발광하는 플래시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영상 촬영 및 상기 플래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플래시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옆으로 수평하게 일정 길이만큼 돌출시키기 위한 플래시 돌출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키패드 상의 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플래시 돌출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삭제
  7.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상폴더와 하폴더로 이루어진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상기 플래시는 상기 하폴더의 상측부와 상기 힌지의 일측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2-0062110A 2002-10-11 2002-10-11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67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110A KR100467894B1 (ko) 2002-10-11 2002-10-11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110A KR100467894B1 (ko) 2002-10-11 2002-10-11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179A KR20040033179A (ko) 2004-04-21
KR100467894B1 true KR100467894B1 (ko) 2005-01-24

Family

ID=37332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110A KR100467894B1 (ko) 2002-10-11 2002-10-11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8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669B1 (ko) * 2003-04-22 2005-07-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자동 밝기 조정가능 발광 회로
KR100889107B1 (ko) 2007-04-06 2009-03-17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카메라활성화 상태 제어 방법
KR101359006B1 (ko) * 2013-08-02 2014-02-07 (주) 맑은생각 조도센서를 활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23490A (ko) * 2021-08-10 2023-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플래시 제어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4491A (ja) * 1997-09-03 1999-03-26 Canon Inc 照明を有する撮像装置
KR19990046292A (ko) * 1999-02-03 1999-07-05 오병호 사진촬영이가능한휴대폰
KR200249959Y1 (ko) * 2001-07-20 2001-11-17 최공주 휴대용 송수신 단말장치의 주변 밝기에 따른 조명장치
KR20020012735A (ko) * 2000-08-08 2002-02-20 김재명 내외장 및 착탈식 플래쉬 기능을 추가한 영상 통화용단말기
KR200272803Y1 (ko) * 2002-02-04 2002-04-19 김선섭 플래시 일체형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전화기
JP2002232544A (ja) * 2001-01-30 2002-08-16 Olympus Optical Co Ltd 携帯型無線電話機
KR20040018700A (ko) * 2002-08-26 2004-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KR20040026297A (ko) * 2002-09-24 2004-03-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4491A (ja) * 1997-09-03 1999-03-26 Canon Inc 照明を有する撮像装置
KR19990046292A (ko) * 1999-02-03 1999-07-05 오병호 사진촬영이가능한휴대폰
KR20020012735A (ko) * 2000-08-08 2002-02-20 김재명 내외장 및 착탈식 플래쉬 기능을 추가한 영상 통화용단말기
JP2002232544A (ja) * 2001-01-30 2002-08-16 Olympus Optical Co Ltd 携帯型無線電話機
KR200249959Y1 (ko) * 2001-07-20 2001-11-17 최공주 휴대용 송수신 단말장치의 주변 밝기에 따른 조명장치
KR200272803Y1 (ko) * 2002-02-04 2002-04-19 김선섭 플래시 일체형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전화기
KR20040018700A (ko) * 2002-08-26 2004-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KR20040026297A (ko) * 2002-09-24 2004-03-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179A (ko)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3444B2 (ja)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US7705903B2 (en)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471966B2 (en) Foldable cellular telephone
JP4199576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KR100467894B1 (ko)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187154A (ja) カメラ搭載携帯端末
JP2004274777A (ja)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JP2006018181A (ja) 携帯型電子装置撮影システム、撮影補助光生成装置、携帯型電子装置、電力供給装置
JP2003018261A (ja) 携帯型端末機
KR20040026297A (ko) 카메라용 플래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JP4281353B2 (ja) 撮像機能付き携帯電子機器
JP2004159363A (ja) 携帯電話機
US20050186987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70070553A (ko) 오토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40028181A (ko)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디지털 카메라 및 그를 사용한사진전송 방법
KR100452346B1 (ko) 착탈식 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74440Y1 (ko) 바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56113A (ko) 사진 촬영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21767A (ko) 적외선 통신을 위한 디지털 카메라 및 그를 사용한사진전송 방법
KR20040029573A (ko) 무선 광통신을 위한 디지털 카메라 및 그를 사용한사진전송 방법
JP2004032598A (ja) カメラ付携帯機器
JP2004173299A (ja) 携帯電話機
JP2005167983A (ja) 撮像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4343180A (ja) 携帯電話機
JP2004159362A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