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860B1 - 찜기 - Google Patents

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860B1
KR100636860B1 KR1020040098456A KR20040098456A KR100636860B1 KR 100636860 B1 KR100636860 B1 KR 100636860B1 KR 1020040098456 A KR1020040098456 A KR 1020040098456A KR 20040098456 A KR20040098456 A KR 20040098456A KR 100636860 B1 KR100636860 B1 KR 100636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por
steam
base
discharge
stea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9386A (ko
Inventor
이복용
Original Assignee
이복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용 filed Critical 이복용
Priority to KR1020040098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860B1/ko
Publication of KR20060059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음식점 등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킹크랩(king-crab), 대게, 또는 바닷가재 등을 찜으로 요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찜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공간이 구획되어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수증기 발생기로부터 수증기가 공급되어 상기 공간으로 수증기를 분산시켜 배출하는 다수의 수증기 배출부재, 상기 베이스에 제공되는 공간에 설치되며,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베이스의 공간에 배치되며 찜 대상물이 수용되는 다수의 수용함, 그리고 상기 수용함들의 상단에 배치되는 다수의 덮개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팀의 손님이 시간 차이를 두고 방문하여도 해당 손님들의 찜 요리를 서로 다른 수용함에서 각각 익힐 수 있어 정해진 시간 동안 요리된 음식을 손님들에게 제공할 수 있어 항상 같은 맛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증기가 물로 변하여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고 바로 배출부로 배출이 되어 청결하고, 육질을 좋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킹크랩, 대게, 바닷가재, 찜 요리, 수증기 배출관

Description

찜기{Steam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 부분인 증기가 배출되는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A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음식점 등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킹크랩(king-crab), 대게, 또는 바닷가재 등을 찜으로 요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뜨거운 증기를 이용하여 찜 요리를 할 수 있는 킹크랩(king-crab), 대게, 또는 바닷가재 등(이하, '찜 대상물'이라고 함)은, 통상의 찜통을 사용한다. 이러한 찜통은 하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고, 중간부에 수증기가 올라올 수 있으며, 찜 대상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칸막이 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칸막이 부재는 하부에 물이 끓어 발생하는 수증기가 잘 올라올 수 있도록 메쉬 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찜통은 음식물 등을 가열할 수 있는 버너 등에 올려놓고 화력을 가하면 물이 끓어 뜨거운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 수증기가 칸막이 부재에 제공된 통공들을 통과하면서 칸막이 부재에 놓여진 찜 대상물을 익히게 된다. 이에 따라 찜 요리가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찜통을 이용한 찜 요리는, 대형의 음식점에서 시간적인 차이를 두고 방문하는 많은 손님들의 음식을 한꺼번에 하게되면, 찜통에서 적당한 시간을 맞추어 요리된 음식은 맛이 아주 좋으나, 따뜻함을 유지하기 위하여 찜통에서 찜 대상물이 적정한 시간을 넘긴 상태에서 보관하게 되면 음식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찜통에서 수증기에 의하여 익혀지는 동안 찜 통 내부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다시 찜통의 뚜껑 등에 부딪히면서 물로 변화되고, 이와 같이 수증기가 변한 물이 다시 찜 대상물에 떨어지는 경우 육질이 좋지 않게 되고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찜통은 찜 대상물을 같은 통에서 동일한 물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익히는 경우에 앞선 찜 대상물에서 나오는 성분들이 다시 물에 섞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찜 음식 맛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 차이를 두고 방문하는 음식점에 방문하는 많은 손님들에 제공될 찜 음식의 맛이 항상 일정하고 최상의 육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개의 공간이 구획되어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수증기 발생기로부터 수증기가 공급되어 상기 공간으로 수증기를 분산시켜 배출하는 다수의 수증기 배출부재, 상기 베이스에 제공되는 공간에 설치되며,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베이스의 공간에 배치되며 찜 대상물이 수용되는 다수의 수용함, 그리고 상기 수용함들의 상단에 배치되는 다수의 덮개를 포함하는 찜기를 제공한다.
상기 배출부재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관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로의 하부측으로 수증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 찜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찜기는 다수의 공간이 구비된 베이스(1), 상기 베이스(1)에 제공된 공간(1a)들에 배치되며 찜 대상물이 수용되는 다수의 수용함(3), 그리고 상기 수용함(3)의 뚜껑 역할을 하는 다수의 덮개(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찜기는 상기 베이스(1)에 제공된 공간(1a)들에 뜨거운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증기 발생기(7)를 포함하며, 상기 수증기 발생기(7)에 관로(9)로 연결되어 각각의 공간(1a)들에 찜 요리를 위한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증기 배출부재(11)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는 찜기를 이루는 일종을 틀이며, 상부에 다수의 공간(1a)들이 인접하는 공간들과 구획된 상태로 배치된다. 도 1에서는 3개의 공간이 제공되고 이 공간들에 수용함(3)이 각각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그 수를 다르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하나에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1)에 제공되는 공간(1a)에는 수증기 배출부재(11)가 저면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수증기 배출부재(11)는 관로(9)를 통하여 수증기 발생기(7)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수증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관로(9)는 각각의 공간(1a)들에 수증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공간(1a)들에 선택적으로 수증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밸브(13)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증기 배출부재(11)는, 도 3 및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아래측으로 향하여 수증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아래측에 다수의 구멍(11a)들이 제공된다.
상기 수증기 배출부재(11)에 제공된 구멍(11a)들이 아래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것은, 수증기가 수용함(3)에 배치된 찜 대상물(k)에 직접 부딪히지 않도록 하 고, 공간(1a) 및 수용함(3)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수증기가 분포되도록 확산시켜 찜 대상물을 균일한 수증기 분위기 속에서 익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수증기가 찜 대상물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과도한 수증기가 찜 대상물에 부딪혀 물로 변화하여 찜 대상물의 육질이 물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증기가 변화된 물이 단지 수용함(3)의 외벽 및 공간(1a)의 외벽을 따라 배출부(15,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하고 있음)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배출부(15)는 베이스(1)에 제공된 공간(1a)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배출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공간(1a) 내에서 수증기가 변화되어 모일 수 있는 물 등을 신속하게 배출하여 찜 과정에서는 신선한 수증기 분위기를 유지하도록 하여 찜 요리의 육질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1)에 제공된 공간(1a)에는 상기 수용함(3)을 올려 놓기 위한 걸림턱(1b)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가 띄어진 위치에서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b)은 상기 수용함(3)을 베이스에 제공된 공간(1a)에 올려 놓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용함(3)은 바닥면에 수증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3a)들이 제공된다. 상기 수용함(3)에 제공된 구멍(3a)들은 상기 수증기 배출부재(11)를 통하여 나오는 수증기가 수용함(3)의 내부로 퍼지면서 올라오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의 구멍(3a)에 의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매쉬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수용함(3)은 베이스(1)에 공간(1a)들을 형성하고 그 위에 놓여지 는 구조를 가지므로 베이스(1)의 높이를 높이지 않고도 편리하게 요리사가 요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함(3)에는 덮개(5)가 놓여질 수 있는 또 다른 걸림턱(3b)이 제공되어 덮개(5)가 놓여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덮개(5, 편의상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덮개(5)는 내면이 경사진 형태인 경사부(5a)로 이루어져 고온의 수증기 덮개(5)의 경사부(5a)에 부딪히면서 물로 변할 때 찜 대상물(k)에 물이 직접 떨어지지 않고 수용함(3)의 내벽을 따라 흘러내려 베이스(1)의 배출부(15)로 바로 배출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 외의 작용 효과는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술한 실시 예의 설명으로 대치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찜 요리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요리사가 찜 대상물을 수용함(3)에 넣고, 이 수용함(3)에 고온의 수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밸브(13)들 중의 하나를 오프시킨다. 그러면, 수증기 발생기(7)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관로(9)를 따라 베이스(1)의 공간(1a, 편의상 부호를 부여한 것을 예로 설명함)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수증기 배출부재(11)를 통하게 된다. 상기 수증기 배출부재(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증기 발생기(7)로 부터 유입된 수증기가 하방으로 뚫어져 있는 구멍(11a)을 통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수증기는 베이스(1)의 공간(1a)에서 좌, 우로 확산되면서, 수용함(3)의 구멍(3a)을 통하여 상기 수용함(3)으로 유입된다. 이때에도 상기 뜨거운 수증기는 찜 대상물(k)에 직접 분사되지 않고 수용함 (3) 내부의 공간에 확산되어 전체적인 수증기 분위기가 된다.
따라서 찜 대상물이 뜨거운 수증기 분위기에서 익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수증기가 과도하게 유입된 경우라면 주로 벽면에 수증기가 부딪히면서 물로 변하여 수용함(3) 및 베이스(1)에 제공된 공간(1a)의 벽면을 따라 배출부(15)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찜 대상물에 수증기가 과도하게 부딪혀 육질이 물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수용함(3)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간 차이를 두고 찜 요리가 가능하게 되어 맛있는 요리를 식탁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 팀의 손님이 시간 차이를 두고 방문하여도 해당 손님들의 찜 요리를 서로 다른 수용함에서 각각 익힐 수 있어 정해진 시간 동안 요리된 음식을 손님들에게 제공할 수 있어 항상 같은 맛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증기가 물로 변하여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고 바로 배출부로 배출이 되어 청결하고, 육질을 좋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다수의 공간이 제공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수증기 발생기에서 공급되는 수증기가 이동되는 수증기 관로에서 분기되어 연결되며 각각 상기 공간들로 수증기를 공급하는 다수의 수증기 배출부재;
    상기 수증기 관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다수의 수증기 배출부재로 공급되는 관로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수증기 배출부재들로 공급되는 수증기를 각각 차단할 수 있는 다수의 밸브;
    상기 베이스에 제공되는 공간에 설치되며,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베이스의 공간에 배치되며 찜 대상물이 수용되는 다수의 수용함; 그리고
    상기 수용함들의 상단에 배치되는 다수의 덮개;
    를 포함하는 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함의 하부에는 수증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제공된 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관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로의 하부측으로 수증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제공된 찜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하여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 수 있도록 내면이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찜기.
KR1020040098456A 2004-11-29 2004-11-29 찜기 KR100636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456A KR100636860B1 (ko) 2004-11-29 2004-11-29 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456A KR100636860B1 (ko) 2004-11-29 2004-11-29 찜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752U Division KR200376385Y1 (ko) 2004-11-29 2004-11-29 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386A KR20060059386A (ko) 2006-06-02
KR100636860B1 true KR100636860B1 (ko) 2006-10-24

Family

ID=37156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456A KR100636860B1 (ko) 2004-11-29 2004-11-29 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23Y1 (ko) * 2012-11-30 2013-06-19 이경애 해물 찜 용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3419A (ja) 1984-03-16 1985-10-01 日清製粉株式会社 連続蒸熱処理装置
JPS63254318A (ja) 1987-04-09 1988-10-21 Hitachi Heating Appliance Co Ltd 蒸気加熱調理器
JPH1156631A (ja) 1997-08-25 1999-03-02 Fujimori Kogyo Kk 蒸し加工装置
KR200175060Y1 (ko) 1999-10-13 2000-03-15 이근순 만두·찐빵용 찜기
KR200339315Y1 (ko) 2003-10-31 2004-01-16 김영호 만두 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3419A (ja) 1984-03-16 1985-10-01 日清製粉株式会社 連続蒸熱処理装置
JPS63254318A (ja) 1987-04-09 1988-10-21 Hitachi Heating Appliance Co Ltd 蒸気加熱調理器
JPH1156631A (ja) 1997-08-25 1999-03-02 Fujimori Kogyo Kk 蒸し加工装置
KR200175060Y1 (ko) 1999-10-13 2000-03-15 이근순 만두·찐빵용 찜기
KR200339315Y1 (ko) 2003-10-31 2004-01-16 김영호 만두 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386A (ko) 200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4235A (en) Food steamer flavoring support
EP0780078B1 (en) Food steamer
US5552577A (en) Multi-purpose cooker for steaming, drying or boiling foodstuffs
US7743697B2 (en) Steam cooker
JPH0576843B2 (ko)
US20060011192A1 (en) Multi-chambered convertible grilling device
KR200376385Y1 (ko) 찜기
KR100636860B1 (ko) 찜기
KR101214728B1 (ko) 다기능 구이기
KR20070099729A (ko) 구이와 부(附)요리의 복합 요리가 가능한 구이판
US20030070559A1 (en) Vegetable and related food products steamer cooker
KR102227717B1 (ko) 나열식 테이블 스팀찜기
KR101645410B1 (ko) 즉석 찜 포장용기
JP2588141B2 (ja) 組合せ調理鍋
KR100812295B1 (ko) 조리장치
KR200487295Y1 (ko) 요리용 찜기
US10765250B1 (en) Steam cooking apparatuses with invertible steaming insert baskets and controlled venting lids
JPH072137B2 (ja) 加熱調理装置
JP3678214B2 (ja) 電気調理器
KR101945939B1 (ko) 찜기 겸용 전골냄비
JP2001120440A (ja) 加熱調理器
KR20140000624A (ko) 무연 로스터
JPH0752666Y2 (ja) 電磁調理器による加熱調理可能な膳付弁当容器
KR200292211Y1 (ko) 다단의 타공판을 구비한 찜통
US637662A (en) Culinary stea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