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014B1 - 냉장고의 해동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014B1
KR100632014B1 KR20040108081A KR20040108081A KR100632014B1 KR 100632014 B1 KR100632014 B1 KR 100632014B1 KR 20040108081 A KR20040108081 A KR 20040108081A KR 20040108081 A KR20040108081 A KR 20040108081A KR 100632014 B1 KR100632014 B1 KR 100632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awing
plate
chamber
refrigerator
frozen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108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9578A (ko
Inventor
김세영
김양규
전찬호
이희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108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014B1/ko
Publication of KR20060069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장실과 냉동실중 어느 한곳에 별도의 해동실을 형성하고, 상기 해동실에 대류히터와 열선이 매설된 해동판을 설치하고, 상기 해동판이 해동실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층으로 구성되고, 아울러, 해동실에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어 동결식품으로의 빠른 열전도와 함께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냉장고, 해동실, 해동판, 동결식품, 히터

Description

냉장고의 해동장치{Thawing apparatus in 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해동실이 적용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동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장고 본체 20 : 냉장실
30 : 냉동실 40 : 냉장실 도어
50 : 냉동실 도어 60 : 기계실
100 : 해동실 102 : 해동실 도어
106 : 콘센트 108 : 가이드 레일
110 : 대류히터 112 : 전원공급부
114 : 팬 116 : 격벽
118 : 흡토출 유로 120, 220, 320 : 해동판
122, 222, 322 : 열선 126, 226, 326 : 접지단자
130 : 온도 검출부 301 : 롤러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냉장고의 본체에 형성되는 해동실과 해동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동결된 음식물을 취식 전에 최적의 상태로 해동시킬수 있도록 해동실과 해동판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동결된 음식물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해동되어 음식물의 풍미를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냉장고의 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장고는, 음식물이 영상의 저온에서 보관되도록 하는 냉장실과, 음식물이 영하의 저온에서 동결보관되도록 하는 냉동실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의 내부에는 육류, 즉석식품 및 장기보관식품이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들 냉동실에 보관되는 식품은 사용자가 취식을 할 때 해동된 뒤에 취식된다.
그러나, 음식물이 냉동실에서 오랫동안 보관되면, 음식물의 수분이 증발되어 음식물의 자체적인 풍미가 저하되며, 음식물의 조리시에는 표면이 먼저 익고 내부는 익지않기 때문에, 조리된 음식물의 맛은 더욱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동결식품은 동결보관된다는 자체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조리된 뒤에 음식물의 풍미가 극히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동결식품은 조리가 수행되기 전에 먼저 해동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음식물의 해동과정은, 음식물의 내외부가 모두 해동되고, 해동되는 과정이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신속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요인을 감안하여 종래에 적용된 해동방법은, 음식물이 상온에서 외부공기에 의해서 서서히 가열되도록 하거나, 전자레인지 내부에 넣고서 낮은 출력의 고주파가 가하여지도록 하는 것이 적용된 바가 있다.
그러나, 상온에서 동결식품이 서시히 해동되는 과정 중에는, 음식물이 외부와 노출되기 때문에, 쉽게 부패되어 취식이 불가능하게 되는 일이 잦다. 그리고, 전자 레인지의 내부에서 고주파에 의해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중에는, 고주파에 의해서 음식물의 표면이 조리가 되어 버려서 음식물의 풍미가 저하되며, 또한, 냉동실에서 음식물을 꺼내어서 해동되는 장소로 이동을 해야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은 더욱 증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장고의 내부에 별도의 해동실과 해동판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량의 동결식품을 동시에 해동시킬 수 있으며, 동결식품의 부피에 맞추어 동결식품에 가해지는 열이 다면적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해동과정이 보다 신속하고 올바르게 수행되도록 하며, 해동판을 해동실 내부로 부터 착탈가능하도록 분리시켜 해동시 동결식품에 의해 오염된 해동판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냉장고의 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냉장고의 내부에 형성되는 별도의 해동실과, 상기 해동실 내부에 설치되고 동결식품과 접촉하는 다수의 해동판과, 상기 해동판을 가열시키도록 해동판에 매설된 열선 및 상기 열선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공급부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해동판은 해동실 내부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동판에 전원공급부와 통전되도록 설치되는 접지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동판은 복층으로 구획되고 해동실 내부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해동판은 해동실에서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해동실 내부에서 해동판이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해동판의 상방에 설치되는 대류히터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대류히터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통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해동실이 적용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냉장고 본체(10)와,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냉장실(20) 및 냉동실(30)과, 상기 냉장실(20) 및 냉동실(30)의 전면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음식물이 취출가능하도록 하는 냉장실 도어(40) 및 냉동실 도어(50)가 포함된다. 또한, 해동되는 식품이 보관되는 해동실(100)이 냉장실(20)의 일측에 놓이고, 상기 해동실(100)이 개방되도록 하는 해동실 도어(102)가 해동실(100)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해동실(100)에는 냉동실(30)에서 보관되었던 동결식품이 요리를 하기 전에 일시 보관 되어 음식물이 해동되도록 하는 장소이다. 그리고, 상기 해동실(100)에는 소정의 열원이 더 형성되어 있어, 음식물이 급속하게 해동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동실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해동실(100)은, 냉장고 본체(10)의 후방 하측에 형성된 기계실(60)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동결식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해동실 도어(102)가 설치되어 냉장고 본체(100)의 다른 부분과 구획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해동실(100)의 열원으로, 대류히터(110)와 해동판(120)이 설치되어, 해동실(10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대류히터(110)는 해동실(100) 내부의 공기를 가열시켜 동결식품의 표면으로 가열된 공기를 골고루 공급시켜 동결식품의 해동을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며, 해동판(120)은 동결식품의 표면과 직접 맞 닿아 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대류히터(110)와 해동판(120)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대류히터(110)는, 해동실(100) 내부의 상측에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대류히터(100)는 기계실(60)에 설치된 전원공급부(112)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112)로 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 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해동실(100) 내부의 공기를 가열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대류히터(100)에서 발생되는 가열된 공기를 동결식품에 골고루 분사시키기 위해 해동실(100) 내부의 대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팬(114)이 설치된다. 상기 팬(114)은, 대류히터(110)의 상방에 설치되어 대류히터(11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동결식품으로 송풍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팬(114)에 의해 동결식품으로 송풍되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해동실(100) 내부에서 원활하게 대류되도록 흡토출 유로(118)가 형성된다. 상기 흡토출 유로(118)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대류히터(110)와 동결식품이 구획되도록 격벽(116)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116)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흡토출 유로(118)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해동실(100)에 구획되도록 격벽(116)이 형성되고, 대류히터(110)에서 발생된 가열된 공기가 토출되는 구조는, 해동실(100) 내부의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해동실(100) 내부에 동결식품을 보관하고자 할 때, 상기 고온의 대류히터(110)에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게 하여 화상을 입는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동실 내부의 원활한 대류를 위해 설치 된 고속으로 회전하는 팬(114)에 의한 사용자의 부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해동실(100) 내부의 하측에는 다수의 해동판(120)이 설치되는데, 상기 동결식품이 직접 맞닿아 상기 동결식품을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해동판(120)의 내부에 열선(122)이 매설된다. 상기 해동판(120)에 설치되는 열선(122)은 상기 대류히터(110)와 마찮가지로, 상기 전원공급부(112)로 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 저항을 이용하여 해동판(120)을 가열시켜 상기 해동판(120)과 맞닿는 동결식품을 직접 가열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해동판(120)은 해동실로 부터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각각의 해동판(120)과 전원공급부(112)가 병렬로 연결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112)에서 연장되는 콘센트(106)가 해동실(100) 내부의 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해동판(120)의 일측에 상기 콘센트(106)와 결합되어 상기 열선(122)에 전류를 통전시키는 접지단자(12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106)와 접지단자(126)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해동판을 받쳐주는 지지대(104)가 해동실 내부의 측벽에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해동판에는 동결식품의 표면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가 설치 될 수도 있다. 상기 온도 검출부(130)는 해동판(120)으로 부터 일정 높이 이상 이격되고 그 끝에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된 탐침(Probe)과 같은 구조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탐침은, 해동판(120)에 안착되는 동결식품의 표면보다 내측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게 때문에, 보다 정확한 동결식품의 해동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냉장고의 해동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냉동실(30)에 보관되던 동결식품을 해동시키기 위해 해동실(100)의 일측에 형성된 해동실 도어(102)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해동실(100)의 콘센트(106)에 접지된 해동판(120)을 분리하여 상기 해동판(120)에 동결식품을 배치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동결식품의 부피를 고려하여, 불필요한 해동판(120)을 콘센트(106)에서 분리시키고 동결식품을 배치할 수 도 있다.
그리고, 해동판(120)에 동결식품의 배치가 완료되면, 상기 해동판(120)을 해동실(100)에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해동실(100) 내부에 설치된 콘센트(106)에 해동판(120)의 접지단자(126)를 결합시키고, 상기 해동판(120)과 해동판(120) 위에 배치된 동결식품의 하중을 받쳐주는 지지대(104)에 상기 해동판(120)이 걸쳐지도록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해동판(20)위에 동결식품이 배치되면, 해동실(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소정의 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상기 전원공급부(112)로 부터 전류를 대류히터(110)와 해동판(120)에 매설된 열선(122)에 인가시킨다. 이에 따라서, 상기 대류히터(110)와 열선(122)이 발열되어 동결식품의 해동을 개시하게 되는데, 상기 대류히터(110)가 발열되면서 상기 대류히터(110)의 상방에 설치된 팬(114)의 구동이 개시되어 가열된 공기를 동결식품측으로 송풍하게 된다. 이때, 가열된 공기는 격벽(116)에 형성된 흡토출 유로(118)를 지나 동결식품과 접촉한 뒤 해동실(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대류작용에 의해 차가워진 공기는 대류히터(110)측으로 재흡입되어 가열된 뒤 동결식품으로 토출되는 순환과정을 반복하면서 동결식품을 해동시 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112)로 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열선(122)이 발열되면, 상기 해동판(120)이 가열되면서, 상기 해동판(120)과 접촉하는 동결식품의 표면이 해동되는데, 상기 해동판(120)이 해동실(100) 내부에 다수개로 구획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동결식품에 다면적으로 열을 발열시켜 신속한 해동이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대류히터(110)에 의해 발생된 가열된 공기의 순환이 더 해지는데, 상기 해동판(120)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순환이 방해받지 않도록 해동판(120)과 해동판(120) 사이에 순환유로가 형성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동결식품의 해동이 진행되면, 동결식품의 해동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설치된 온도 검출부(130)에 의해 동결식품의 온도가 측정되어 소정의 제어부(미도시)에 설정된 해동온도와 비교하여 설정된 해동온도에 이르게 되면 전원공급부(112)의 전류를 차단시켜 대류히터(110) 및 전열선(122)의 발열을 중지 시키게 된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해동판은 해동실에서 착탈되는 병렬식 구조에서 벗어나, 서류정리함과 같은 복층으로 구획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와 직렬로 연결되는 해동판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해동판(220)은 동결식품을 다단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복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층으로 형성된 해동판(220)에 열선이 직렬식으로 매설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해동실(100) 내부의 일측에 콘센트(106)가 형성되어, 상기 해동판에 형성된 접지단자(226)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콘센트(106)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동실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106)와 결합되어 열선에 전류를 보내는 접지단자(226)는 해동실의 바닥면과 접하는 해동판(220)의 저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해동실(100) 내부의 콘센트(106)를 1개소만 형성하여 상기 복층에 직렬로 매설된 해동판(220)의 열선(222)에 전류를 통전시켜 동결식품을 해동시키게 되므로, 해동판(220)의 갯수만큼 콘센트가 필요치 않게 되어, 해동실의 제작이 용이하다.
아울러,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해동판은 해동실에서 인출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를 살펴보기 위해 도 6과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해동판(320)은, 해동실(100) 내부에서 착탈가능하도록 해동판(320)의 일측에 접지단자(326)가 형성하고, 상기 접지단자(326)와 대응하는 해동실(100) 내부의 측벽에 콘센트(10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해동판(320)의 양측과 해동실(100) 내부의 측벽과 접하는 부분에 가이드 레일(108)이 설치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동판(320)의 양측에는 롤러(30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해동판(320)이 해동실(100)에서 해동실 도어(102)측으로 인출될 때, 해동판(320)에 설치된 롤러(301)에 의해 원활하게 인출되고, 상기 롤러 (301)는 가이드 레일(108)에 안내되기 때문에 제한된 거리만큼만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해동판(320)을 해동실 도어(102)측으로 인출시키게 되면, 상기 해동실(100) 내부에 형성된 콘센트(106)에서 해동판(320)의 접지단자(326)가 분리된다. 그리고, 해동시킬 동결식품을 해동판(320)에 안착시키고 다시 해동실(100) 내측으로 해동판(320)을 밀어 상기 콘센트(106)와 해동판(320)의 접지단자(326)를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해동실 도어(102)를 닫아 소정의 제어부를 조작하여 전원공급부(112)에서 해동실(100)의 콘센트(106)를 거쳐 해동판(320)에 매설된 열선(322)에 전류를 통전시켜 해동판(320)을 가열시키게 되고, 동결식품의 해동이 완료되면, 해동판(320)을 해동실(100)에서 인출시켜 음식물을 취식하게 된다. 따라서, 동결식품을 해동판에 안착시키기 용이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해동장치는 동결식품이 열전도 및 대류에 의해서 가열 해동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내부로의 열전도가 보다 빨라진다. 그리고, 동결식품의 내부에 열이 신속하게 전달되기 때문에 음식물 자체의 풍미도 유지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결식품의 부피에 맞추어 다면적으로 열을 가할 수 있으며, 다량의 동결식품을 보다 신속하게 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해동장치는, 냉장고 내부에 별도의 해동실이 구비되어, 동결식품을 다른 해동실이 구비된 장치(예를 들어, 전자 레인지등)로 옮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다량의 동결식품을 동시에 해동시킬 수 있고, 동결식품의 부피에 맞추어 동결식품에 가해지는 열이 다면적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해동과정이 보다 신속하고 올바르게 수행되며, 해동실 내부에서 해동판의 착탈이 가능해져 해동시 오염된 해동판의 세척이 쉽고, 사용자가 해동판에 동결식품을 안착시키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8)

  1. 냉장고의 내부에 형성되는 별도의 해동실;
    상기 해동실 내부에 설치되고 동결식품과 접촉하도록 상기 해동실 내부에 지지되고, 복층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해동판;
    상기 해동판을 가열시키도록 해동판에 매설된 열선; 및
    상기 열선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공급부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동판은 해동실로 부터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동판에 전원공급부와 통전되도록 설치되는 접지단자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동판은 해동실에서 인출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해동실 내부에 해동판이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이 포함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동판의 상방에 설치되는 대류히터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류히터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통전되는 냉장고의 해동장치.
KR20040108081A 2004-12-17 2004-12-17 냉장고의 해동장치 KR100632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08081A KR100632014B1 (ko) 2004-12-17 2004-12-17 냉장고의 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08081A KR100632014B1 (ko) 2004-12-17 2004-12-17 냉장고의 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578A KR20060069578A (ko) 2006-06-21
KR100632014B1 true KR100632014B1 (ko) 2006-10-04

Family

ID=37163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108081A KR100632014B1 (ko) 2004-12-17 2004-12-17 냉장고의 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0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966B1 (ko) 2007-06-28 2009-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인 냉장고
WO2020058465A3 (de) * 2018-09-20 2020-05-28 Harml Christian Lagersystem, behälter und verfahren zur lagerung von verderblichem lagergu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966B1 (ko) 2007-06-28 2009-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인 냉장고
WO2020058465A3 (de) * 2018-09-20 2020-05-28 Harml Christian Lagersystem, behälter und verfahren zur lagerung von verderblichem lagerg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578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821B1 (ko) 온도조절 챔버를 구비한 냉장고
EP1372358B1 (en)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with steam generation function
JP4603901B2 (ja) ビルトイン型キッチン機器
KR20120023272A (ko) 직냉식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34645A (ko) 생성된 필드 내에 음식을 저장하는 영역을 갖는 냉장 기기
JP2006046715A (ja) 蒸気調理器
KR20110081704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빙 시스템
JPH10206002A (ja) 冷凍食品解凍装置を有する冷蔵庫
KR20050026605A (ko) 진공조리장치 및 그 조리방법
KR20090075057A (ko) 해동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및 해동방법
KR100632014B1 (ko) 냉장고의 해동장치
JPH0755319A (ja) 冷蔵庫
KR101385651B1 (ko) 인스턴트 푸드 자판기용 조리공급장치
KR102162016B1 (ko) 육류 숙성장치
US20170325295A1 (en) Heat-cooking apparatus
KR100700778B1 (ko) 냉장고의 해동장치 및 해동방법
KR100632015B1 (ko) 냉장고의 해동장치
KR20210042007A (ko) 육류 숙성장치
JP2004278944A (ja) 解凍機能付き冷却貯蔵庫
JP6985088B2 (ja) 再加熱装置
KR100700761B1 (ko) 냉장고의 해동장치
KR100591551B1 (ko) 휴대용 온장고
JP7253992B2 (ja) 加熱調理器
KR100700772B1 (ko) 냉장고의 해동장치 및 해동방법
KR100674570B1 (ko) 컨백션전자레인지의 습기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