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294B1 - 발광 장치 및 발광장치를 형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및 발광장치를 형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294B1
KR100630294B1 KR1020040034406A KR20040034406A KR100630294B1 KR 100630294 B1 KR100630294 B1 KR 100630294B1 KR 1020040034406 A KR1020040034406 A KR 1020040034406A KR 20040034406 A KR20040034406 A KR 20040034406A KR 100630294 B1 KR100630294 B1 KR 100630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uneven surface
iii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164A (ko
Inventor
우쯔미데쯔야
아리마마사아끼
하라다마사유끼
후나다마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392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34251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394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342523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40099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01L33/22Roughened surfaces, e.g. at the interface between epitaxia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7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하부 발광형 발광장치에서, 발광 소자의 반대쪽에 있는 기판의 면은 복수의 돌기를 가진 요철면이다. 인접한 돌기의 평균 간격 Sm 또는 인접한 돌기의 돌출부 피크의 평균 간격 S 는 발광층에 의해 생성되는 광의 가장 긴 파장의 3 배 이상이고, 가장 긴 파장의 2 백배 이하이다. 요철면의 산술 평균 경사 Δa 는 3°이상 20°이하이다. 따라서, 장치는 대체적으로 더 높은 취출 (extraction) 효율 및 특정한 방향으로 더 높은 휘도를 가진다.
발광장치, 요철면, 산술 평균 경사

Description

발광 장치 및 발광장치를 형성하는 방법{LIGHT-EMI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 1 유기 EL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제 1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의 산술 평균 경사 Δa 와 광 출사면을 통해 밖으로 출사하는 광량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3a 내지 3c 는 도 1 에서 도시한 제 1 유기 EL 장치를 형성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 는 제 1 유기 EL 장치 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 는 발광 소자가 무기 EL 소자로 대체된 제 1 유기 EL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 은 프리즘 시트를 가지고 있는 제 1 유기 EL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 은 제 1 유기 EL 장치를 백라이트로서 가지고 있는 액정 표시장치 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 은 제 2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의 제곱근 평균 경사 Δq 와 광 출사면을 통해 밖으로 출사하는 광량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9 은 제 3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의 Ra/S 비와 광 출사면을 통해 밖으로 출사하는 광량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0 은 제 4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의 Ra/Sm 비와 광 출사면을 통해 밖으로 출사하는 광량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1 은 제 5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의 Rz/S 비와 광 출사면을 통해 밖으로 출사하는 광량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2 은 제 6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의 Ra/Sm 비와 광 출사면을 통해 밖으로 출사하는 광량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3 은 종래 발광 장치의 단점을 설명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분의 설명
1 : 기판 2 : 유기 EL 소자
10 : 광 출사면 11 : 입사면
본 발명은 발광 소자가 형성된 기판을 갖는 하부 발광형 발광 장치와 관한 것이다. 발광 소자는 유기 EL 소자 또는 무기 EL 소자이다. 그러한 소자는 전극의 쌍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발광층을 갖는다. 하부 발광형 발광장치는 발광층에 의해 생성된 광을 기판을 통해 출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치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 장치 및 무기 EL 장치와 같은 발광 장치를 이용하는 광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가 제안되어 왔다. 그러한 발광 장치들은 발광층에 의해 생성된 광 을 기판을 통하여 출사하는 하부 발광형과 기판의 반대측을 통해 광을 출사하는 상부 발광형으로 대강 나눌 수 있다.
하부 발광형 발광 장치는 발광층에 의해 생성된 광의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을 취출하는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도 13 에서 도시하는 하부 발광형 유기 EL 장치에서, 투명 기판 (100) 에 진입하는 광은 투명 기판 (100)의 광 출사면 (100a) 을 통해 전체가 출사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부분의 광은 투명 기판 (100) 및 밖의 대기 (전형적으로, 공기) 에 의해 정의되는 임계각보다 큰 각에서 광 출사면 (100a) 에 도달한다. 그러한 광은 유기 EL 소자 (200) 를 향해 반사되는 부분과 광선 h1 으로서 에지를 통해 장치 밖으로 취출되는 부분 및 광선 h2 로서 장치에서 감쇄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분의 광은 이용될 수 없다.
종래에, 상기 단점에 대응하는 기술이 개시되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제 9-129375 호). 특히, 광 출사면 (광 취출면) 에서 투명 기판의 면은 확산면 (돌기를 가지는 요철면) 으로 형성되어 광 취출면에서의 전체 반사에 기인한 광의 억제가 감소된다. 취출 효율이 개선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 광 취출면 상에 돌기를 형성하는 것은 요철면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취출 효율을 실질적으로 개선하지 않는다.
광 취출면으로부터의 특정한 방향의 발광양을 증가시키지 않고, 발광 장치로부터 취출되는 광이 대체적으로 이용될 수 없다.
따라서, 광 취출면 상에 돌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발광 장치보다 대체적으로 더 높은 취출 효율 및 특정한 방향에서 더 높은 휘도를 가지고, 장치로부터 취출된 광이 대체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 발광형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장치를 형성하는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상기-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된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소자는 전극 쌍 사이에 협지되는 발광층을 포함한다. 발광층에 의해 생성된 광은 기판을 통해 장치의 밖으로 출사된다. 기판은 상기 소자가 형성된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 2 면을 가진다. 제 2 면은 복수의 돌기를 가지는 요철면이다. 인접한 돌기의 평균 간격 Sm 또는 인접한 돌기의 돌출부 피크의 평균 간격 S 는 발광층에 의해 생성되는 광의 가장 긴 파장의 3 배 이상이고, 가장 긴 파장의 2 백배 이하이다. 적어도, 다음 요구조건 (ⅰ)-(ⅵ) 의 하나가 만족된다.
(ⅰ) 요철면의 산술 평균 경사 (arithmetic mean slope) Δa 는 3°이상 20°이하 범위이다..
(ⅱ) 요철면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 (root mean square slope) Δq 는 4°이상 25°이하이다.
(ⅲ) 피크의 평균 간격 S 에 대한 요철면의 산술 평균 조도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의 비 Ra/S 는 0.01 이상 0.07 이하이다.
(ⅳ) 돌기의 평균 간격 (mean spacing of asperities) Sm 에 대한 요철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m 는 0.004 이상 0.035 이하이다.
(ⅴ) 피크의 평균 간격 S 에 대한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의 비 Rz/S 는 0.05 이상 0.30 이하이다.
(ⅵ) 돌기의 평균 간격 Sm 에 대한 요철면의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ten-point height of irregularities) Rz 의 비 Rz/Sm 는 0.025 이상 0.14 이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발광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가지는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면은 제 1 면으로부터 반대측에 위치한다. 방법은, 상기 제 1 면 상에 발광층 및 발광층을 사이에 협지하고 있는 한 쌍의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면 상에 복수의 돌기를 가지는 요철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인접한 돌기의 평균 간격 Sm 또는 인접한 돌기의 돌출부 피크의 평균 간격 S 는 발광층에 의해 생성되는 광의 가장 긴 파장의 3 배 이상이고, 가장 긴 파장의 2 백배 이하이다. 요철면은 적어도 상기 요구조건 (ⅰ)-(ⅵ) 중 하나가 만족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이점은 예로서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낸,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다음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과 함께, 첨부된 도면과 함께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음 설명을 참고하여 최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면 부호는 도면에서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하다. 다음으로 제 1 유기 EL 장치를 설명한다.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기 EL 장치는 투명 기판 (1) 및 유기 EL 소자 (2) 를 포함하는 하부 발광형이다. 돌기는 투명기판 (1) 의 한 면 (광 출사면 10) 상에 형성된다. 즉, 광 출사면 (10) 은 요철면이다. 유기 EL 소자 (2) 는 입사면 (11) 상에 형성된다.
<기판1>
기판 (1) 은 유기 EL 소자 (2) 를 지지하는 대체로 플레이트-형상의 투명 멤버이다. 기판 (1) 은 유기 EL 소자 (2) 가 형성되어 있는 입사면 (11) 및 입사면 (11) 로부터 반대쪽에 위치하는 광 출사면 (10) 을 가진다. 기판 (1) 은 입사면 (11) 을 통해 유기 EL 소자 (2) 로부터 수광하고, 광 출사면 (10) 을 통해 수광된 광을 출사한다.
제 1 유기 EL 장치는 광 출사면 (10) 이 다음 요구조건 (ⅰ) 을 만족하는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ⅰ) 산술 평균 경사 Δa 은 3°이상 20°이하이다.
산술 평균 경사 Δa 는 JIS B0601-1994 에 규정되어 있다. 산술 평균 경사 Δa 는 다음 방법으로 계산된다. 먼저, 측정된 커브는 평균 라인을 따라 각각이 ΔX 의 길이를 가지는 섹션으로 나누어진다. 그 후, 섹션의 시점과 종점을 연결하는 각각의 섹션의 라인 조각의 경사각의 절대값이 얻어진다. 그 후, 얻어진 절대값의 평균값은 계산된다. 즉, 산술 평균 경사 Δa 는 다음의 식을
Figure 112004020450706-pat00001
이용하여 계산된다.
이 식에서, 경사각은
Figure 112004020450706-pat00002
로 표시된다.
광 출사면 (10) 은 상기 요구조건 (ⅰ) 대신에, 다음의 요구조건 (ⅱ) 을 만족하는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광 출사면 (10) 은 상기 요구조건 (ⅰ) 대신에, 다음의 요구조건 (ⅲ) 을 만족하는 요철면으로 형성된다. 가장 바람직하게, 광 출사면 (10) 은 상기 요구조건 (ⅰ) 대신에, 다음의 요구조건 (ⅳ) 을 만족하는 요철면으로 형성된다.
(ⅱ) 산술 평균 경사 Δa 은 5°이상 20°이하이다.
(ⅲ) 산술 평균 경사 Δa 은 8°이상 18°이하이다.
(ⅳ) 산술 평균 경사 Δa 은 12°이상 14.5°이하이다.
요철면 (광 출사면 10) 은 다음의 요구조건 (a) 또는 (b) 를 만족하도록 디자인된다.
이것은, 만약 Sm 또는 S 가 다음의 하한값 이상으로 설정된다면, 기하학적 광학의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어, 유기 EL 장치의 광학 특성의 디자인을 상당히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Sm 또는 S 가 다음의 상한값보다 크다면, 입사면 (11) 은 광학적으로 평평하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 입사면 (11) 은 어떠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대체적으로 동일한 조건이다.
(a) 인접한 돌기의 평균 간격 Sm 은 발광층에 의해 생성되는 광의 가장 긴 파장의 3 배 이상이고, 가장 긴 파장의 2 백배 이하이다.
(b) 인접한 돌기의 돌출부 피크의 평균 간격 S 는 발광층에 의해 생성되는 광의 가장 긴 파장의 3 배 이상이고, 가장 긴 파장의 2 백배 이하이다.
인접한 돌기의 평균 간격 Sm 은 JIS B0601-1994 에 규정되어 있다. 돌기의 평균 간격 Sm 는 다음 방법으로 계산된다. 먼저, 기준 길이 L 에 대응하는 섹션이 평균 라인의 방향을 따라가는 조도 커브 (roughness curve) 로부터 선택된다. 그 후, 평균 라인이 연장되는 방향에 관하여, 각각의 피크와 인접한 밸리 (valley) 의 거리 Smi 가 얻어진다. 그 후, 거리 Smi 의 평균값이 계산되고 밀리미터로 표시된다. 즉, 돌기의 평균 간격 Sm 은 다음 식
Figure 112004020450706-pat00003
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인접한 돌기의 돌출부 피크의 평균 간격 S 는 JIS B0601-1994 에 규정되어 있다. 피크의 평균 간격 S 는 다음 방법으로 계산된다. 먼저, 기준 길이 L 에 대응하는 섹션이 평균 라인의 방향에 따라 조도 커브로부터 선택된다. 그 후, 평균 라인이 연장되는 방향에 관하여, 피크의 각각의 인접한 쌍 사이의 거리 Si 가 얻어진다. 그 후, 거리 Si 의 평균값이 계산되고 밀리미터로 표시된다. 즉, 피크의 평균 간격 S 는 다음 식
Figure 112004020450706-pat00004
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유기 EL 소자 (2) 가 기판 (1) 상에 형성되고 기판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기판 (1) 이 투명하는 한, 기판 (1) 은 어떠한 재료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기판 (1) 은 유리, 석영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다른 방법으로, 기판 (1) 은 동일한 형 (type) 또는 상이한 형의 두 가지 이상의 기판을 결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투명한" 이라는 용어는 장치에서 출사하는 광의 투과율이 5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인 상태를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투명도는 약 400㎚ 내지 800㎚ 사이의 파장인 광 (가시광) 이 장치에서 출사하도록 결정된다. 투명도가 너무 낮은 경우, 발광층으로부터의 발광이 감쇄되고, 광 발광장치로서 요구되는 휘도가 좀처럼 얻어질 수 없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값들의 범위가 다음 예 및 비교예를 통해 유기 EL 장치에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예 및 비교예에서, 유기 EL 장치는 광 출사면 (10) 의 산술 평균 경사 Δa 가 0°보다 크고 25°까지의 범위에서 변화하도록 형성되었다. 재료, 막 두께 및 공식을 포함하는 다른 조건들은 동일하다. 다음으로, 예 및 비교예의 유기 EL 장치를 만드는 공정을 설명한다.
각각 입사면 및 광 출사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의 투명 기판이 준비된다. 마스크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판의 입사면 상에 포토레지스트가 형성된다. 포토레지스트는 광 출사면 상에 형성될 돌출부에 대응하는 패턴을 정의하도록 적용된다. 이 상태에서, 광 출사면은 에칭된다. 따라서, 돌기를 갖는 광 출사면 (10) 은 완성된다. 광 출사면 (10) 이 형성된 후, 광 출사면 (10) 의 산술 평균 경사 Δa 가 조도 미터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산술 평균 경사 Δa 를 측정한 후에, 입사면 (11) 상에 투명 전극, 또는 두께 50㎚ 를 갖는 제 1 전극 (20) 이 RF 스퍼터링을 통해 ITO 로 형성된다. 제 1 전극 (20) 을 형성한 후에, 유기 발광층 (21) 이 진공 증착 장치 또는 카본 도가니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 때, 증착 스피드는 0.1 n㎧ 이고, 진공도는 5.0 ×10-5Pa 이다. 형성된 유기 발광층 (21) 은 홀 주입 전송층,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 및 전자 주입 전송층을 포함한다. 홀 주입 전송층은 TPTE 로 형성되고, 두께는 80 ㎚ 이다. 유기 발광 물질 포함 층은 DPVBi (93.0 웨이트 %) 및 BCzVBi (7.0 웨이트 %) 의 공동증착에 의해 형성되고, 두께는 30 ㎚ 이다. 전자 주입 전송층은 2, 5-비스(6'-(2',2''-비피리딜))-1 (5-bis(6'-(2',2''-bipyridyl))-1), 1-디메틸-3, 4-디페닐실롤레 (4-diphenylsilole) 로 형성되고, 두께는 20 ㎚ 이다. 그 후, 두께 150㎚ 인 알루미늄 층 (제 2 전극 22) 이 텅스 텐 보트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 때, 증착 스피드는 1 n㎧ 이고, 진공도는 5.0×10-5Pa 이다. 유기 EL 장치는 따라서 완성된다. 각각의 유기 EL 장치는 종래의 보호막 (패시베이션 막) 으로 밀봉된다.
[평가 1]
동일한 전류가 각각의 형성된 유기 EL 장치에 인가되고, 광 출사면 (10) 각각으로부터 출사되는 전체 광량은 휘도 미터로 측정된다. 광 출사면 (10) 의 산술 평균 경사 Δa 와 유기 EL 장치의 휘도 사이의 관계는 도 2 의 그래프에서 도시된다. 휘도는 상술한 방법과 동일할 방법으로 형성된 유기 EL 소자 (2) 를 가지고 광 출사면 (10) 상에 돌기를 가지고 있지 않는 유기 EL 장치의 휘도에 대한 비 (휘도비) 로서 표현된다. 기준 유기 EL 장치의 휘도는 산술 평균 경사 Δa 가 0°인 위치 상에 플로팅 (plot) 된다. 발명자는 도 2 의 실험 결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산술 평균 경사 Δa 가 3°이상 20°이하인 요철면으로 광 출사면 (10) 이 형성될 때, 광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1 배이다. 이에 대한 이유는 다음과 같이 여겨진다. 즉, 광 출사면 (10) 이 평평할 경우, 임계각보다 큰 각에서 광 출사면 (10) 에 도달하는 광은 전적으로 투명 기판 (1) 으로 반사된다. 그러나, 광 출사면 (10) 이 요철면으로 형성된 경우, 광 출사면 (10) 은 다양한 각의 탄젠트를 가진다. 따라서, 종래에 광 취출측으로 취출되지 못했을 광의 부분 또는 모두를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 다.
따라서, 발명자는 광 출사면 (10) 이 산술 평균 경사 Δa 가 3°보다 작은 요철면으로 형성될 때, 광 출사면 (10) 을 통하여 밖으로 출사하는 광량이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과 대체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즉, 광 취출에 적합한 요철면이 제공되지 않은 경우, 취출 광량이 평평한 광 출사면의 취출광량과 대체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산술 평균 경사 Δa 가 5°이상 20°이하인 요철면으로 광 출사면 (10) 이 형성될 때, 광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2 배이다. 즉, 본 요구조건은 취출광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산술 평균 경사 Δa 가 8°이상 18°이하인 요철면으로 광 출사면 (10) 이 형성될 때, 광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3 배이다. 즉, 취출 효율이 상당히 증가되었다.
산술 평균 경사 Δa 가 12°이상 14.5°이하인 요철면으로 광 출사면 (10) 이 형성될 때, 광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4 배이다. 즉, 취출 효율이 특히 증가되었다.
[평가 2]
색도는 형성된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 (10) 으로부터 다양한 발광 방향에서 측정된다. 측정은 산술 평균 경사 Δa 가 3°이상 20°이하의 범위일 때, 색도는 취출 방향에 따라 좀처럼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색도는 취출 각에 의존성이 없다.
이에 대한 이유는 광 출사면 (10) 상의 돌기의 디프레션 및 돌출부 각각이 다양한 방향에의 확산광에 대해 최적화된 형상인 것으로 여겨진다. 즉, 광 출사면 (10) 의 형상이 최적화되었기 때문에, 광 출사면 (10) 으로부터의 각각의 파장의 광의 휘도는 취출각에 의존성을 가지지 않는다.
[평가 3]
휘도는 형성된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 (10) 으로부터 다양한 발광 방향에서 측정된다. 측정은 모든 장치에서, 특정한 방향에서의 휘도는 다른 방향의 휘도보다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휘도는 모든 취출방향에서 동등하게 높지 않기 때문에, 장치는 특정한 방향에서의 휘도가 높을 필요가 있는 사용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및 광 시스템에 대해, 적합하다.
다음으로 유기 EL 소자 (2) 를 설명한다.
<유기 EL 소자 (2)>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 (2) 는 한 쌍의 전극 (20 및 22) 및 전극 (20 및 22) 사이에 협지된 유기 발광층 (21) 을 갖는다. 발광층 (21) 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한다. 유기 EL 소자 (2) 는 소정의 컬러의 광 (소정 파장의 광 또는 소정 색도의 광) 을 발광한다. 종래 유기 EL 소자는 유기 EL 소자 (2) 로 사용될 수 있다.
[제 1 전극 20]
하부 발광형인 제 1 유기 EL 장치의 제 1 전극 (20) 은 유기 발광층 (21) 에 관하여 광 취출측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전극 (20) 은 투명할 필요가 있다. 제 1 전극 (20) 은 애노드 또는 캐소드이다. 제 1 전극 (20; 투명 전극) 에 대한 재료는 캐리어 (홀 또는 전자) 가 효과적으로 유기 발광층 (21) 에 주입되도록 허용하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애노드로서는, 일 함수가 4.5 eV 내지 5.5 eV 인 재료가 바람직하다. 특히 인듐 틴 옥사이드 (ITO), 인듐 아연 옥사이드 (IZO), 인듐 옥사이드 (In2O3), 틴 옥사이드 (SnO2) 및 아연 옥사이드 (ZnO) 의 임의의 하나를 주 구성요소로 갖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옥사이드는 화학량 (ctoichiometry) 으로부터 다소 편향될 수도 있다. ITO 에 있어서의 In2O3 에 대한 SnO2 의 혼합비의 바람직한 범위는 예를 들어 1 내지 20 wt% 이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wt% 이다. IZO 에 있어서의 In2O3 에 대한 ZnO 의 혼합비의 바람직한 범위는 예를 들어 12 내지 32 wt% 이다. 또한, 평균 혼합비가 전체 투명 제 1 전극 (20) 에서 이러한 범위에 있는 경우, 집중 그레디언트 (concentration gradient) 는 두께 방향에 있을 수 있다.
상기에 열거한 구성요소를 제외하고, Sn, Ti, 및 Pb 의 옥사이드는 옥사이드에 관하여 1 wt% 애노드의 재료에 포함될 수 있다.
캐소드는 유기층에 전자를 주입하는 전극이다. 전자 주입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금속, 합금, 전자전도성 화합물, 및 4.5eV 보다 적고, 일반적으로 4.0eV 이하이고, 전형적으로는 3.7eV 이하인 일 함수를 가지는 이러한 물질의 혼합물이 전극에 대한 재료로서 이용된다.
애노드로서 열거된 재료는 캐소드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음의 재료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슘-은 합금으로 형성된 초박막 상에 투명 전도성 옥사이드를 적층하여 형성된 전극이 사용될 수 있다. 캐소드에서, 구리 피탈로샤나인 (phthalocyanine) 을 포함하는 버퍼층은 바람직하게 캐소드와 유기 발광층 (21) 사이에 제공되어 도전성 옥사이드를 스퍼터링할 때 발광층 (21) 및 다른 구성요소가 플라즈마에 의해 손상받는 것을 방지한다.
[유기 발광층 21]
유기 발광층 (21) 은 제 1 전극 (20) 및 제 2 전극 (22) 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캐리어 (전자 또는 홀) 의 재결합을 허용하고, 여기자 (exciton) 를 생성하고, 그라운드 상태로 다시 돌아갈 때 여기자가 발광하도록 야기한다. 유기 발광층 (21) 은 주로 유기 물질로 형성된다.
요구되는 기능 이상을 유기 발광층 (21) 에 제공하는 유기 물질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이 상이한 기능을 발광층 (21) 에 제공하는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에 대해, Alq3 또는 DCM 과 같은 종래 유기 EL 소자의 유기 발광층에 사용되던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유기 발광층 (21) 은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층은 요구된 기능 중의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발광을 생성하는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 (유기 발광 물질) 을 포함하는 층은 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물질이라고 참조된다.
예를 들어, 캐소드로부터 전자 주입 기능을 갖는 전자 주입층 또는 전자 주입 전송층은 캐소드와 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물질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전자 전송 기능을 가지는 전자 전송층은 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물질과 캐소드 사이 또는 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물질과 전자 주입층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애노드로부터 홀을 주입하는 기능을 갖는 홀 주입층 또는 홀 주입 전송층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홀 전송 기능을 갖는 홀 전송층도 제공될 수 있다.
종래의 유기 EL 소자와 동일한 층 구성 및 물질은 채택될 수 있다.
발광된 광의 컬러는 종래 유기 EL 소자에서의 광의 컬러를 조절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의 조절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 상태에서 그라운드 상태로 되돌아올 때, 유기 발광층 (21) 에 발광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물질 (유기 발광 물질) 형을 선택한다.
유기 발광층 (21) 에 부과되는 유기 물질 또는 유기 발광 물질의 혼합비를 조절한다.
혼합된 유기 발광 물질량을 조절한다.
유기 발광층 (21) 의 두께를 조절한다.
장치에서 출사하는 광의 파장을 제한하기 위해 종래의 컬러 필터층을 유기 EL 장치에 제공한다.
수광된 광의 파장을 변화시키는 컬러 변화 물질을 부가한다.
둘 이상의 유기 발광 물질 형 (type) 이 혼합되어, 둘 이상의 컬러가 생성되 고, 따라서 부가적인 컬러를 표현한다.
생성된 광의 컬러를 조절하기 위하여 발광을 증진시키거나 방해하는 물질을 부가한다.
유기 발광층 (21) 에 인가된 전류량에 의해, 생성된 광의 컬러를 조절한다.
[제 2 전극 (22)]
만약 제 1 전극 (20) 이 애노드라면, 제 2 전극 (22) 는 캐소드이다. 만약 제 1 전극 (200 이 캐소드라면, 제 2 전극 (22) 는 애노드이다. 따라서, 종래 유기 EL 소자에 사용되고 애노드 또는 캐소드에 대한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재료는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전극 (20) 에 대한 물질은 제 2 전극 (22) 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 2 전극 (22) 는 광 취출측을 향해 광 취출측의 반대측으로 발광하는 광을 반사함으로써 장치의 취출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기 EL 소자 (2) 가 발광하지 않을 때 광 취출측을 통해 수광된 광을 반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제 2 전극 (22) 는 반사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전극 (22) 에 반사 기능을 부가할 때, 종래 유기 EL 소자에 이용되던 금속 또는 합금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제 2 전극 (22) 에 사용되는 재료는 애노드 또는 캐소드로서 요구되는 특성에 부가하여 다음의 특성을 갖도록 요구된다. 즉, 유기 발광층 (21) 으로부터의 광 및 장치의 밖으로부터 인가된 광의 전체 파장 범위 안에서, 재료는 적어도 파장 범위의 광을 반사하여 광 출사면 (10) 으로부터 장치의 밖으로 취출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층 및 상기에 열거된 재료를 제외한 종래 유기 EL 소자의 재료는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극 (22) 에 광 반사 기능을 부가함이 없이, 광 반사 멤버는 광 취출측의 반대쪽에 있는 유기 발광층 (21) 의 측상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반투명 반사 멤버 (하프-미러) 가 유기 EL 소자 (2) 에 제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 1 유기 EL 장치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형성 방법>
제 1 유기 EL 장치는 기판을 형성하는 종래 방법 및 유기 EL 소자를 형성하는 종래 방법을 통해 형성된다. 기판 형성 방법에서, 기판 (1) 의 입사면 (11) 상에 상기 언급한 조건들을 만족하는 돌기들은 형성된다. 유기 EL 소자 제조 방법에서, 입사면 (11) 상에 유기 EL 소자 (2) 를 형성하는 층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유기 EL 장치는 다음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먼저, 도 3a 에 도시된 플레이트 형상의 투명 기판 (1') 이 준비된다. 투명 기판 (1') 의 한 측 (광 출사면 10') 으로, 디프레션 및 돌출부의 배치에 대응하는 패턴이 형성되는 마스크가 적용된다. 그 후, 마스크를 이용하여, 기판 상에 포토레지스트가 형성되어 패턴을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투명 기판 (1') 은 에칭되어 요철면 (10) 가 도 3b 에 도시한 것과 같이 형성된다.
그 후,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기판 (1) 의 입사면 (11) 상에, 제 1 전극 (20) 이 형성된다. 제 1 전극 (20) 상에는 유기 발광층 (21) 및 제 2 전극 (22) 이 또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유기 EL 장치는 상기-설명한 방법으로 형성된다.
광 출사면 (10) 을 에칭하는 대신에, 기판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샌드블라스팅의 표면 처리도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돌기를 갖는 내부면을 갖는 몰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용융 투명 수지 또는 유리는 몰드에 부어져, 광 출사면 (10) 을 갖는 기판 (1) 을 형성한다.
유기 EL 소자 (2) 가 투명 기판 (1) 상에 형성된 후 광 출사면 (요철면) (10) 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요철면이 상기 상술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할지라도, 요철면은 샌드블라스팅의 표면 처리를 통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요철면을 형성하기 위해 광 출사면 (10) 에 샌드블라스팅을 하는 동안, 샌드블라스팅의 표면 처리는 유기 EL 소자 (2) 가 보호되는 것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투명 기판 (1) 상에 유기 EL 소자 (2) 를 형성한 후, 광 출사면 (10) 상에 요철면을 형성할 때, 투명 기판 (1) 은 요철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샌드블라스팅을 통한 표면 처리가 적용될 때, 전체 광 출사면 (10) 을 샌드블라스팅하는 것은 요철면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투명 기판 (1) 을 더 얇게 형성할 수 있다.
투명 기판 (1) 상에 유기 EL 소자 (2) 를 형성한 후에 요철면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의 이유로 훌륭하다. 즉, 투명 기판 (1) 은 특정한 두께, 강도, 및 면 매끄러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기 EL 소자 (2) 의 각층은 균등하게 형성된 다. 또한, 유기 EL 소자 (2) 가 형성된 후에, 형성된 유기 EL 장치에서 두꺼울 필요가 없는 투명 기판 (1) 의 두께는 감소된다. 또한, 취출 효율은 개선된다.
만약, 투명 기판 (1) 이 얇게 형성된다면, 유기 발광층 (21) 에 의해 생성되는 광은 투명 기판 (1) 에서 감쇄하는 것이 방지되며, 형성된 유기 EL 장치의 크기 (두께) 및 무게는 감소된다.
<이점>
상기-상술한 구성을 갖는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EL 장치는 다음의 이점을 갖는다.
고 취출 효율
광 출사면 (10) 은 상기 상술한 것과 같이 최적화되었기 때문에, 취출 효율은 평평한 광출사면을 갖는 종래 유기 EL 장치의 취출효율과 비교하여 더 높다.
즉, 광 출사면 (10) 은 단순히 돌기를 광 출사면 상에 형성함으로써 얻어질 수는 없는 성능을 갖는다.
특정한 방향에서의 휘도의 개선
예를 들어, 유기 EL 장치가 발광할 때, 광 출사면 (10) 에 대한 특정한 방향에서의 휘도는 다른 방향에서의 휘도보다 더 크다. 또한, 특정한 방향은 Δa 를 변경함으로써 바뀔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한 휘도의 변경은 디프레션의 광 수집 특성과 디프레션 및 돌출부에 의한 반사 및 굴절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발광은 효율적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제 1 유기 EL 장치는 다른 방 향에서와 비교하여 특정한 방향에서 갖도록 요구되는 장치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및 광 시스템) 에 적합하다.
반사 특성의 개선
유기 EL 장치는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자인되었기 때문에, 유기 EL 장치에 진입하는 광에 기인하는 글레어 (glare) 는 방지된다.
색도 특성의 개선
장치가 발광할 때, 색도는 광 출사면 (10) 으로부터 모든 발광 방향으로 균등하다.
이것은 광 출사면 (10) 에 미세한 돌기들이 형성되어, 각각의 파장의 광이 다양한 방향으로 확산되고, 광 출사면 (10) 으로부터의 발광 방향에서, 각 파장 광의 각에 대한 휘도 의존성은 상당히 줄어들기 때문이다.
제 1 유기 EL 장치는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다음 둘 이상의 변형예는 결합될 수도 있다.
변형예 1 에서, 돌기는 투명 기판 (1) 상보다는 투명 기판 (1) 의 광 취출측의 전극 (20) 상에 위치한 멤버 상에 형성된다. 즉, 도 4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 (1) 의 광 출사면 (10) 상에 돌기를 형성하는 대신에, 상기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요철면 (30) 을 가지는 멤버 (3) 이 투명 기판 (1) 의 광 취출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동일한 이점이 상기 열거한 이점과 같이 얻어진다.
예를 들어, 하나의 측상에 상기 열거된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요철면을 가지는 투명 수지막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막의 요철면으로부터 반대측은 투 명 기판 (1) 의 광 출사면 (10) 에 부착된다. 본 명세서에서, 광 출사면 (10) 에 관하여 광 취출측에 부착된 상기 열거된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요철면이 있는 멤버 (3) 을 가지는 장치는 상기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요철면이 형성된 광 출사면 (10) 을 가지는 장치와 균등물이라고 여겨진다.
투명 기판 (1) 의 취출측에 제공할 경우, 상기 열거된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요철면을 가지는 투명 멤버 (3), 멤버 (3) 의 굴절 인덱스는 약 기판 (1) 의 것과 동일하도록 설정되고, 멤버 (3) 과 기판 (1) 사이의 접촉면의 굴절 인덱스는 멤버 (3) 과 기판 (1) 의 중간이다. 멤버 (3) 및 기판 (1) 은 가깝게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 멤버 (3) 은 다른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부착 멤버 (3) 은 수광된 광의 파장를 변경하는 멤버를 가지거나 또는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부착 멤버 (3) 은 컬러 필터일 수도 있다.
투명 멤버 (3) 상에 돌기를 형성하는 것은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기판이 발광 장치에 사용되도록 허용한다.
변형예 2 에서, 무기 EL 소자가 사용된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서, 유기 EL 소자 (2) 는 무기 EL 소자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5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기 EL 소자 (4) 는 투명 제 1 전극 (40) 과 제 2 전극 (42) 사이에 협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금속으로 제조되고 반사층으로서 기능하는 3 층 구조의 무기 발광층 (41) 을 포함한다. 무기 발광층 (41) 은 주 구성요소가 아연 황화물과 같은 무기 물질인 층 (412) 을 포함하는 무기 발광 물질을 포함한다. 무기 발 광 물질 포함층 (412) 은 예를 들어 실리콘 옥사이드로 형성된 절연층 (411 및 413) 의 쌍 사이에 있다. 약 200V 의 교류 전압이 전극 (40 및 42) 사이에 인가될 경우, 물질 포함층 (412) 층과 절연층 (411 및 413) 사이의 접촉면에서 나오는 전자는 가속된다. 이것은 무기 발광층 (41) 안의 도펀트 (dopant) 원자를 여기시키고, 따라서 광 (EL) 을 생성시킨다. 그 후, 광은 투명 전극 (40) 을 통해 소자로부터 출사된다.
변형예 3 에서, 프리즘 시트가 사용된다. 즉, 도 6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 발광층 (21) 의 광취출측에 대응하는 측상에 프리즘 시트 (5) 가 제공될 수도 있다. 프리즘 시트 (5) 의 개수는 둘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유기 EL 장치는 요철면의 산술 평균 경사 Δa 에 따라서 특정한 방향에서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 취출측 상에 광 출사면 (10) 의 법선 방향으로의 특정한 방향에서 발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 시트 (5) 이 제공되는 경우, 광 취출면 (10) 의 법선 방향 또는 장치의 정면 방향으로의 휘도는 증가된다. 장치는 정면 방향을 제외한 방향의 휘도를 증가시키도록 디자인될 수도 있다.
프리즘 시트 (5) 에 대하여, 임의의 종래 시트가 유기 EL 장치의 발광 특성에 따라 선택될 수도 있다. 선택된 프리즘 시트 (5) 는 임의의 종래 방법 또는 종래 멤버를 이용하여 유기 EL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변형예 4 에서, 제 1 유기 EL 장치는 액정 표시장치 유닛의 백라이트로서 이용된다. 즉, 제 1 유기 EL 장치는 광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제 1 유기 EL 장치는 액정 표시장치 유닛의 백라이트 (백라이트 소스) 에 적합하다. 이것은, 종래 유기 EL 장치에 비교하여, 상기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제 1 유기 EL 가 더 많은 광량을 발광하고, 더 적은 휘도 비평탄성을 갖고, 더 높은 반사 특성을 갖고, 스페큘러 반사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 유기 EL 장치가 액정 표시장치 유닛의 백라이트로서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유기 EL 장치를 백라이트로서 사용하는 것은 휘도를 증가시키고, 휘도의 비평탄성을 감소시키고, 장치가 발광하지 않을 때, 표시된 콘텐츠가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유기 EL 장치는 종래 투과성 또는 반투명 액정 표시장치 패널 (6) 을 이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패널 (6) 은 비-디스플레이 면 (61) 이 광 출사면 (10) 을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즉, 액정 표시장치 패널 (6) 은 디스플레이 면 (60) 이 액정 표시장치 유닛의 밖에서 보이도록 배치된다.
유닛의 밖이 충분히 밝을 경우, 액정 패널 (6) 의 표시 콘텐츠가 유기 EL 소자 (2) 를 활성화시키지 않고 선명하게 보인다. 유닛의 밖이 충분히 밝지 않을 경우, 유기 EL 소자 (2) 를 활성화시켜 액정 패널 (6) 의 표시 콘텐츠가 보인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 1 유기 EL 장치를 백라이트로서 가지는 디스플레이는 아주 밝은 장소, 예를 들어 태양광이 있는 곳 및 어두운 장소에서, 예를 들어, 방 안 또는 밤에 콘텐츠를 선명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외부 광이 있는 경우, 유기 EL 소자 (2) 는 활성화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백라이트 를 이용한 종래 액정 표시장치 유닛과 비교할 때, 본 변형예의 표시장치 유닛은 전기의 소비를 감소시킨다.
변형예 5 에서, 제 1 유기 EL 장치는 표시장치에서 포함된다. 즉, 제 1 유기 EL 장치는 표시장치를 형성하는 종래 유기 EL 소자와 결합될 수 있다. 유기 EL 소자 구동 방법으로서, 수동형 매트릭스 시스템 또는 능동형 매트릭스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수동형 매트릭스 시스템에서, 주사 전극 및 신호 전극을 이용하는 XY 매트릭스 전극 구조가 사용된다.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각각의 도트에서, 디스플레이 소자 (유기 EL 소자 2) 가 연결된다. 유기 EL 소자 (2) 는 라인 순차 처리를 통해 구동되고, 활성화된다(발광한다).
능동형 매트릭스 시스템에서, 스위치 소자 및 홀딩 소자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소자 (유기 EL 소자 2), 즉, 각각의 픽셀 또는 서브-픽셀에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소자 (유기 EL 소자 2) 는 주사 전극 및 신호 전극의 매트릭스 교차점에 제공된다. TFT 가 스위치로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2 유기 EL 장치를 설명한다.
제 2 유기 EL 장치는 다음 사항을 제외하고 제 1 유기 EL 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EL 장치는 제 1 유기 EL 장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 2 유기 EL 장치는 제 1 유기 EL 장치와 대체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제 2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 (10) 은 상기 요구조건 (ⅰ) 대신에 다음의 요구조건 (ⅴ) 내지 (ⅷ) 의 하나를 만족하도록 특징된다.
(ⅴ) 제곱근 평균 경사 Δq 는 4°이상 25°이하이다.
(ⅵ) 제곱근 평균 경사 Δq 는 7.5°이상 25°이하이다.
(ⅶ) 제곱근 평균 경사 Δq 는 10°이상 25°이하이다.
(ⅷ) 제곱근 평균 경사 Δq 는 14°이상 19°이하이다.
제곱근 평균 경사 Δq 는 JIS B0601-1994 에 규정되어 있다. 제곱근 평균 경사 Δq 는 다음 방법으로 계산된다. 먼저, 측정된 커브는 평균 라인을 따라 각각이 ΔX 의 길이를 갖는 섹션으로 나누어진다. 그 후, 섹션의 시점과 종점을 연결하는 각각의 섹션의 라인 조각의 경사각이 얻어지고 제곱된다. 그 후, 제곱된 값의 평균값이 계산된다. 마지막으로, 평균값의 제곱근을 계산하여 제곱근 평균 경사 Δq 를 얻는다. 즉, 제곱근 평균 경사 Δq 는 다음 식
Figure 112004020450706-pat00005
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제 2 유기 EL 장치는 요구조건 (ⅴ) 내지 (ⅷ) 의 임의의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광 출사면 (10) 또는 제 2 유기 EL 장치의 요철면은 상기 열거된 이유에 대한 요구조건 (a) 또는 (b) 를 만족하도록 디자인된다.
발명자는 상기 값들의 범위가 다음 예 및 비교예를 통해 유기 EL 장치에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다음의 예 및 비교예에서, 유기 EL 장치는 광 출사면 (10) 의 제곱근 평균 경사 Δq 가 0°보다 크고 30°까지의 범위에서 변화하도록 형성되었다. 재료, 막 두께 및 공식을 포함하는 다른 조건들은 동일하다.
[평가 4]
동일한 전류가 각각의 형성된 유기 EL 장치에 인가되고, 광 출사면 (10) 각각으로부터 발광되는 전체 광량은 휘도 미터로 측정된다. 광 출사면 (10) 의 제곱근 평균 경사 Δq 와 각각의 유기 EL 장치의 휘도 사이의 관계는 도 8 의 그래프에서 도시된다. 휘도는 상술한 방법과 동일할 방법으로 형성된 유기 EL 소자 (2) 를 가지며, 광 출사면 (10) 상에 돌기를 가지고 있지 않는 유기 EL 장치의 휘도에 대한 비로서 표현된다. 기준 유기 EL 장치의 휘도는 제곱근 평균 경사 Δq 가 0°인 위치 상에 플로팅 (plot) 된다. 발명자는 다음과 같이 도 8 의 실험 결과를 평가하였다.
광 출사면 (10) 이 제곱근 평균 경사 Δq 가 4°이상 25°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1 배이다.
즉, 발명자는, 광 출사면 (10) 이 제곱근 평균 경사 Δq 가 4°보다 작은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과 대체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광 출사면 (10) 이 제곱근 평균 경사 Δq 가 7.5°이상 25°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2 배이다. 즉, 이러한 요구조건은 취출광에 적합하다는 것 을 알아냈다.
광 출사면 (10) 이 제곱근 평균 경사 Δq 가 10°이상 25°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3 배이다. 즉, 취출효율은 상당히 증가된다.
광 출사면 (10) 이 제곱근 평균 경사 Δq 가 14°이상 19°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4 배이다. 즉, 취출효율은 특히 증가된다.
[평가 5]
색도는 형성된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 (10) 으로부터 다양한 발광 방향에서 측정된다. 측정은, 제곱근 평균 경사 Δq 가 4°이상 25°이하일 때, 색도는 취출 방향에 따라 좀처럼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색도는 취출각에 의존성을 가지지 않는다.
[평가 6]
휘도는 형성된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 (10) 으로부터 다양한 발광 방향에서 측정된다. 측정은, 모든 장치에서 특정한 방향에서의 휘도는 다른 방향에서의 휘도보다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장치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및 광 시스템으로 적합하다.
다음으로 제 3 유기 EL 장치를 설명한다. 제 3 유기 EL 장치는 다음 사항을 제외하고 제 1 유기 EL 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EL 장치는 제 1 유기 EL 장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 3 유기 EL 장치는 광 출사면 (10) 이 다음의 요구조건 (ⅹⅰ) 을 만족하는 요철면으로 형성되도록 특징되어 있다.
(ⅹⅰ) 피크의 평균 간격 S 와 산술 평균 조도 (roughness) Ra 의 비 Ra/S 는 0.01 이상 0.07 이하이다.
산술 평균 조도 Ra 는 JIS B0601-1994 에 규정되어 있다. 산술 평균 조도 Ra 는 다음 방법으로 계산된다. 먼저, 기준 길이 L 에 대응하는 섹션이 평균 라인의 방향에 따라 조도 커브로부터 선택된다. 그 후, 평균라인으로부터 선택된 섹션의 편차 f(x) 의 절대값이 얻어진다. 그 후, 절대값의 평균값이 계산되고 밀리미터로 표시된다. 즉, 산술 평균 조도 Ra 다음 식
Figure 112004020450706-pat00006
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광 출사면 (10) 은 상기 요구조건 (ⅹⅰ) 대신에, 다음의 요구조건 (ⅹⅱ) 을 만족하는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광 출사면 (10) 은 상기 요구조건 (ⅹⅰ) 대신에, 다음의 요구조건 (ⅹⅲ) 을 만족하는 요철면으로 형성된다. 가장 바람직하게, 광 출사면 (10) 은 상기 요구조건 (ⅹⅰ) 대신에, 다음의 요구조건 (ⅹⅳ) 을 만족하는 요철면으로 형성된다.
(ⅹⅱ) 피크의 평균 간격 S 와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 는 0.019 이상 0.07 이하이다.
(ⅹⅲ) 피크의 평균 간격 S 와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 는 0.029 이상 0.066 이하이다.
(ⅹⅳ) 피크의 평균 간격 S 와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 는 0.035 이상 0.056 이하이다.
요철면 (광 출사면 10) 은 다음의 요구조건 (a) 또는 (b) 를 만족하도록 디자인된다.
발명자는 상기 값의 범위가 다음 예 및 비교예를 통해 유기 EL 장치에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다음의 예 및 비교예에서, 유기 EL 장치는 피크의 평균 간격 S 와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 를 0.005 이상 0.08 이하의 범위 안에 변화시키면서, 유기 EL 장치는 제조된다. 재료, 막 두께 및 공식을 포함하는 다른 조건들은 제 1 유기 EL 장치의 예 및 비교예와 동일하다. 예 및 비교예의 유기 EL 장치를 형성할 때, 먼저 돌기를 가지는 광 출사면 (10) 이 에칭을 통해 형성된다. 그 후, 광 출사면의 피크의 평균 간격 S 와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 는 조도 미터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그 후, 입사면 (11) 상에 제 1 전극 (20) 이 형성된다.
[평가 11]
동일한 전류가 각각의 형성된 유기 EL 장치에 인가되고, 광 출사면 (10) 각각으로부터 발광되는 전체 광량은 휘도 미터로 측정된다. 광 출사면 (10) 의 Ra/S 비와 유기 EL 장치의 휘도 사이의 관계는 도 9 의 그래프에서 도시된다. 휘도는 상술한 방법과 동일할 방법으로 형성된 유기 EL 소자 (2) 를 가지며, 광 출사면 (10) 상에 돌기를 가지고 있지 않는 유기 EL 장치의 휘도에 대한 비로서 표현 된다. 발명자는 다음과 같이 도 9 의 실험 결과를 평가하였다.
광 출사면 (10) 이 Ra/S 비가 0.01 이상 0.07 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1 배이다.
따라서, 발명자는, 광 출사면 (10) 이 Ra/S 비가 0.01 보다 작은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과 대체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즉, 만약 광취출에 적합한 요철면이 제공되지 않는다면, 취출광량은 평평한 광 출사면의 취출광량과 대체로 동일하다.
광 출사면 (10) 이 Ra/S 비가 0.019 이상 0.07 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2 배이다. 즉, 이러한 요구조건은 취출광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광 출사면 (10) 이 Ra/S 비가 0.029 이상 0.066 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3 배이다. 즉, 취출효율은 상당히 증가된다.
광 출사면 (10) 이 Ra/S 비가 0.035 이상 0.056 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4 배이다. 즉, 취출효율은 특히 증가된다.
[평가 12]
색도는 형성된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 (10) 으로부터 다양한 발광 방향에 서 측정된다. 측정은, Ra/S 비가 0.01 이상 0.07 이하일 때, 색도는 취출 방향에 따라 좀처럼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색도는 취출각에 의존성을 가지지 않는다.
[평가 13]
휘도는 형성된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 (10) 으로부터 다양한 발광 방향에서 측정된다. 측정은, 모든 장치에서 특정한 방향에서의 휘도는 다른 방향에서의 휘도보다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장치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및 광 시스템으로 적합하다.
제 3 유기 EL 장치는 제 1 유기 EL 장치와 동등한 이점을 대체로 가진다.
다음으로 제 4 유기 EL 장치를 설명한다. 제 4 유기 EL 장치는 다음 사항을 제외하고 제 1 유기 EL 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4 EL 장치는 제 1 유기 EL 장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 4 유기 EL 장치는 제 1 유기 EL 장치와 동등한 구성을 대체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광 출사면 (10) 이 상기 요구조건 (ⅰ) 대신에, 다음의 요구조건 (ⅹⅴ) 내지 (ⅹⅷ) 중의 임의의 하나를 만족하는 것으로 특징된다.
(ⅹⅴ) 돌기의 평균 간격 Sm 에 대한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m 는 0.004 이상 0.035 이하이다.
(ⅹⅵ) 돌기의 평균 간격 Sm 에 대한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m 는 0.008 이상 0.035 이하이다.
(ⅹⅶ) 돌기의 평균 간격 Sm 에 대한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m 는 0.012 이상 0.035 이하이다.
(ⅹⅷ) 돌기의 평균 간격 Sm 에 대한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m 는 0.015 이상 0.022 이하이다.
제 4 유기 EL 장치가 조건 (ⅹⅴ) 내지 (ⅹⅷ) 중의 임의의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제 4 유기 EL 장치는 상기 열거된 이유에 대한 요구조건 (a) 또는 (b) 를 만족하도록 디자인된다.
발명자는 상기 값의 범위가 다음 예 및 비교예를 통해 유기 EL 장치에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다음의 예 및 비교예에서, 유기 EL 장치는 광 출사면 (10) 의 비 Ra/Sm 를 0.001 이상 0.04 이하의 범위에서 변화시키면서, 유기 EL 장치는 제조된다. 재료, 막 두께 및 공식을 포함하는 다른 조건들은 동일하다.
[평가 14]
동일한 전류가 각각의 형성된 유기 EL 장치에 인가되고, 광 출사면 (10) 각각으로부터 발광되는 전체 광량은 휘도 미터로 측정된다. 광 출사면 (10) 의 Ra/Sm 비와 유기 EL 장치의 휘도 사이의 관계는 도 10 의 그래프에서 도시된다. 휘도는 상술한 방법과 동일할 방법으로 형성된 유기 EL 소자 (2) 를 가지며, 광 출사면 (10) 상에 돌기를 가지고 있지 않는 유기 EL 장치의 휘도에 대한 비로서 표현된다. 발명자는 다음과 같이 도 10 의 실험 결과를 평가하였다.
광 출사면 (10) 이 Ra/Sm 비가 0.004 이상 0.035 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 량의 1.1 배이다.
즉, 발명자는, 광 출사면 (10) 이 Ra/Sm 비가 0.0004 보다 작은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과 대체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광 출사면 (10) 이 Ra/Sm 비가 0.008 이상 0.035 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2 배이다. 즉, 이러한 요구조건은 취출광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광 출사면 (10) 이 Ra/Sm 비가 0.012 이상 0.035 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3 배이다. 즉, 취출효율은 상당히 증가된다.
광 출사면 (10) 이 Ra/Sm 비가 0.015 이상 0.022 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4 배이다. 즉, 취출효율은 특히 증가된다.
[평가 15]
색도는 형성된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 (10) 으로부터 다양한 발광 방향에서 측정된다. 측정은, Ra/Sm 비가 0.004 이상 0.035 이하일 때, 색도는 취출 방향에 따라 좀처럼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색도는 취출각에 의존성을 가지지 않는다.
[평가 16]
휘도는 형성된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 (10) 으로부터 다양한 발광 방향에 서 측정된다. 측정은, 모든 장치에서 특정한 방향에서의 휘도는 다른 방향에서의 휘도보다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장치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및 광 시스템으로 적합하다.
다음으로 제 5 유기 EL 장치를 설명한다. 제 5 유기 EL 장치는 다음 사항을 제외하고 제 1 유기 EL 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5 EL 장치는 제 1 유기 EL 장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 5 유기 EL 장치는 제 1 유기 EL 장치와 동등한 구성을 대체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광 출사면 (10) 이 상기 요구조건 (ⅰ) 대신에, 다음의 요구조건 (ⅹⅸ) 내지 (ⅹⅹⅱ) 중의 임의의 하나를 만족하는 것으로 특징된다.
(ⅹⅸ) 피크의 평균 간격 S 에 대한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의 비 Rz/S 는 0.05 이상 0.30 이하이다.
(ⅹⅹ) 피크의 평균 간격 S 에 대한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의 비 Rz/S 는 0.08 이상 0.30 이하이다.
(ⅹⅹⅰ) 피크의 평균 간격 S 에 대한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의 비 Rz/S 는 0.11 이상 0.25 이하이다.
(ⅹⅹⅱ) 피크의 평균 간격 S 에 대한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의 비 Rz/S 는 0.15 이상 0.22 이하이다.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는 JIS B0601-1994 에 규정되어 있다.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는 다음 방법으로 계산된다. 먼저, 기준 길이 L 에 대응하는 섹션이 평균 라인이 연장하는 방향에 따라 조도 커브로부터 선택된다. 그 후, 평균 라인으로부터의 5 개의 가장 높은 피크 Yp1-Yp5 의 평균 및 평균 라인으로부터의 5개의 가장 깊은 밸리 Yv1-Yv5 의 평균 깊이가 계산된다.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는 평균의 합을 계산하고, 그 합을 마이크로미터로 표시함으로써 얻어진다. 즉,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는 다음 식
Figure 112004020450706-pat00007
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제 5 유기 EL 장치가 조건 (ⅹⅸ) 내지 (ⅹⅹⅱ) 의 임의의 것을 만족할 때, 제 5 유기 EL 장치는 상기 열거한 이유에 대한 요구조건 (a) 또는 (b) 를 만족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값들의 범위가 다음 예 및 비교예를 통한 유기 EL 장치에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다음의 예 및 비교예에서, 유기 EL 장치는 광 출사면 (10) 의 비 Rz/S 를 0.02 이상 0.35 이하의 범위 안에 변화시키면서, 유기 EL 장치는 제조된다. 재료, 막 두께 및 공식을 포함하는 다른 조건들은 제 1 유기 EL 장치의 예 및 비교예와 동일하다.
[평가 17]
동일한 전류가 각각의 형성된 유기 EL 장치에 인가되고, 광 출사면 (10) 각각으로부터 발광되는 전체 광량은 휘도 미터로 측정된다. 출사면 (10) 의 비 Rz/S 와 유기 EL 장치의 휘도 사이의 관계는 도 11 의 그래프에서 도시된다. 휘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할 방법으로 형성된 유기 EL 소자 (2) 를 갖고 광 출사면 (10) 상에 돌기를 가지고 있지 않는 유기 EL 장치의 휘도에 대한 비로서 표현된다. 발명자는 다음과 같이 도 11 의 실험 결과를 평가한다.
광 출사면 (10) 이 Rz/S 비가 0.05 이상 0.30 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1 배이다.
즉, 발명자는, 광 출사면 (10) 이 Rz/S 비가 0.05 보다 작은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과 대체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광 출사면 (10) 이 Rz/S 비가 0.08 이상 0.030 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2 배이다. 즉, 이러한 요구조건은 취출광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광 출사면 (10) 이 Rz/S 비가 0.11 이상 0.25 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3 배이다. 즉, 취출효율은 상당히 증가된다.
광 출사면 (10) 이 Rz/S 비가 0.15 이상 0.22 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4 배이다. 즉, 취출효율은 특히 증가된다.
[평가 18]
색도는 형성된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 (10) 으로부터 다양한 발광 방향에 서 측정된다. 측정은, Rz/S 비가 0.05 이상 0.30 이하일 때, 색도는 취출 방향에 따라 좀처럼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색도는 취출각에 의존성을 가지지 않는다.
[평가 19]
휘도는 형성된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 (10) 으로부터 다양한 발광 방향에서 측정된다. 측정은, 모든 장치에서 특정한 방향에서의 휘도는 다른 방향에서의 휘도보다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장치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및 광 시스템으로 적합하다.
다음으로 제 6 유기 EL 장치를 설명한다. 제 6 유기 EL 장치는 다음 사항을 제외하고 제 1 유기 EL 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6 EL 장치는 제 1 유기 EL 장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 6 유기 EL 장치는 제 1 유기 EL 장치와 동등한 구성을 대체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광 출사면 (10) 이 상기 요구조건 (ⅰ) 대신에, 다음의 요구조건 (ⅹⅹⅲ) 내지 (ⅹⅹⅵ) 중의 임의의 하나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ⅹⅹⅲ) 돌기의 평균 간격 Sm 에 대한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의 비 Rz/Sm 는 0.025 이상 0.14 이하이다.
(ⅹⅹⅳ) 돌기의 평균 간격 Sm 에 대한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의 비 Rz/Sm 는 0.04 이상 0.14 이하이다.
(ⅹⅹⅴ) 돌기의 평균 간격 Sm 에 대한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의 비 Rz/Sm 는 0.05 이상 0.12 이하이다.
(ⅹⅹⅵ) 돌기의 평균 간격 Sm 에 대한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의 비 Rz/Sm 는 0.06 이상 0.10 이하이다.
제 6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 (10) 이 조건 (ⅹⅹⅲ) 내지 (ⅹⅹⅵ) 의 임의의 하나를 만족할 때, 광 출사면 (10) 은 상기 열거한 이유에 대한 요구조건 (a) 또는 (b) 를 만족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값들의 범위가 다음 예 및 비교예를 통한 유기 EL 장치에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다음의 예 및 비교예에서, 유기 EL 장치는 광 출사면 (10) 의 비 Rz/Sm 를 0.005 이상 0.15 이하의 범위 안에 변화시키면서, 유기 EL 장치는 제조된다. 재료, 막 두께 및 공식을 포함하는 다른 조건들은 제 1 유기 EL 장치의 예 및 비교예와 동일하다.
[평가 20]
동일한 전류가 각각의 형성된 유기 EL 장치에 인가되고, 광 출사면 (10) 각각으로부터 발광되는 전체 광량은 휘도 미터로 측정된다. 출사면 (10) 의 비 Rz/Sm 와 유기 EL 장치의 휘도 사이의 관계는 도 12 의 그래프에서 도시된다. 휘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할 방법으로 형성된 유기 EL 소자 (2) 를 갖고 광 출사면 (10) 상에 돌기를 가지고 있지 않는 유기 EL 장치의 휘도에 대한 비로서 표현된다. 발명자는 다음과 같이 도 12 의 실험 결과를 평가한다.
광 출사면 (10) 이 Rz/Sm 비가 0.025 이상 0.014 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 량의 1.1 배이다.
즉, 발명자는, 광 출사면 (10) 이 Rz/Sm 비가 0.025 보다 작은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과 대체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광 출사면 (10) 이 Rz/Sm 비가 0.04 이상 0.014 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2 배이다. 즉, 이러한 요구조건은 취출광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광 출사면 (10) 이 Rz/Sm 비가 0.05 이상 0.012 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3 배이다. 즉, 취출효율은 상당히 증가된다.
광 출사면 (10) 이 Rz/Sm 비가 0.06 이상 0.10 이하인 요철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광 출사면 (10) 을 통해 밖으로 취출되는 광량은 기준 유기 EL 장치의 광량의 1.4 배이다. 즉, 취출효율은 특히 증가된다.
[평가 21]
색도는 형성된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 (10) 으로부터 다양한 발광 방향에서 측정된다. 측정은, Rz/Sm 비가 0.025 이상 0.14 이하일 때, 색도는 취출 방향에 따라 좀처럼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색도는 취출각에 의존성을 가지지 않는다.
[평가 22]
휘도는 형성된 유기 EL 장치의 광 출사면 (10) 으로부터 다양한 발광 방향에 서 측정된다. 측정은, 모든 장치에서 특정한 방향에서의 휘도는 다른 방향에서의 휘도보다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장치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및 광 시스템으로 적합하다.
본 예 및 실시형태는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세부사항으로 한정되지 않아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균등물 내에서 변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평평한 광출사면을 갖는 종래 유기 EL 장치보다 높은 취출효율을 가지며, 유기 EL 장치가 발광할 때 광 출사면에 대한 특정한 방향에서의 휘도가 다른 방향에서의 휘도보다 더 크다.
또한 유기 EL 장치에 진입하는 광으로 인한 글레어 (glare) 가 방지되며, 장치가 발광할 때 광 출사면 (10) 으로부터 모든 발광 방향으로의 색도가 균등하다.

Claims (20)

  1. 기판 (1)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자발광 소자 (2) 를 구비하는 자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발광 소자 (2) 는 한 쌍의 전극 (20, 22)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발광층 (21) 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 (21) 에 의해 생성된 광은 상기 기판 (1) 으로부터 상기 자발광 장치의 외부로 출사되고,
    상기 기판 (1) 은 상기 자발광 소자 (2) 가 형성된 제 1 면 (11) 및 상기 제 1 면 (11) 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 2 면 (10) 을 가지며, 상기 제 2 면 (10) 은 복수의 돌기를 가지는 요철면 (10) 으로, 상기 요철면 (10) 은 복수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불균일하게 형성된 불균일 요철면 (10) 이고, 인접한 돌기의 평균 간격 Sm 또는 인접한 돌기의 돌출부 피크의 평균 간격 S 는 상기 발광층에 의해 생성되는 광의 가장 긴 파장의 3 배 이상이며 상기 가장 긴 파장의 2 백배 이하이고, 적어도 다음
    (ⅰ) 요철면의 산술 평균 경사 Δa 는 3°이상 20°이하이고;
    (ⅱ) 요철면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 Δq 는 4°이상 25°이하이고;
    (ⅲ) 피크의 평균 간격 S 에 대한 요철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 는 0.01 이상 0.07 이하이며;
    (ⅳ) 돌기의 평균 간격 Sm 에 대한 요철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m 는 0.004 이상 0.035 이하이며;
    (ⅴ) 피크의 평균 간격 S 에 대한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의 비 Rz/S 는 0.05 이상 0.30 이하이고
    (ⅵ) 돌기의 평균 간격 Sm 에 대한 요철면의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의 비 Rz/Sm 는 0.025 이상 0.14 이하인
    요구조건 (ⅰ)-(ⅵ) 중의 하나가 만족되는 자발광장치.
  2. 기판 (1) 및 상기 기판 (1) 상에 형성된 자발광 소자 (2) 를 구비하는 자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발광 소자 (2) 는 한 쌍의 전극 (20, 22)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발광층 (21) 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 (21) 에 의해 생성된 광은 상기 기판 (1) 으로부터 상기 자발광 장치의 외부로 출사되며,
    상기 기판 (1) 의 상기 발광층 (21) 과는 반대측에 투명 부재 (3) 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 부재 (3) 는, 상기 기판 (1) 에 대향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측의 제 2 면 (30) 을 갖고, 상기 제 2 면 (30) 은 복수의 돌기를 갖는 요철면 (30) 으로, 상기 요철면 (30) 은 복수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불균일하게 형성된 불균일 요철면 (30) 이고, 인접한 돌기의 평균 간격 Sm 또는 인접한 돌기의 돌출부 피크의 평균 간격 S 는 상기 발광층에 의해 생성되는 광의 가장 긴 파장의 3 배 이상이며 상기 가장 긴 파장의 2 백배 이하이고, 적어도 다음
    (ⅰ) 요철면의 산술 평균 경사 Δa 는 3°이상 20°이하이고;
    (ⅱ) 요철면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 Δq 는 4°이상 25°이하이고;
    (ⅲ) 피크의 평균 간격 S 에 대한 요철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 는 0.01 이상 0.07 이하이고;
    (ⅳ) 돌기의 평균 간격 Sm 에 대한 요철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m 는 0.004 이상 0.035 이하이고;
    (ⅴ) 피크의 평균 간격 S 에 대한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의 비 Rz/S 는 0.05 이상 0.30 이하이고;
    (ⅵ) 돌기의 평균 간격 Sm 에 대한 요철면의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의 비 Rz/Sm 는 0.025 이상 0.14 이하인
    요구조건 (ⅰ)-(ⅵ) 중의 하나가 만족되는 자발광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요구조건 (ⅰ)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요구조건 (ⅱ)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요구조건 (ⅲ)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요구조건 (ⅳ)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요구조건 (ⅴ)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요구조건 (ⅵ)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 (21) 을 기준으로 하여 당해층 (21) 에서 생성된 광이 취출되는 측에 프리즘 시트 (5) 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발광 소자는 유기 EL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 (3) 는, 상기 기판 (1) 에 밀착 배치된 투명수지로 이루어지는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장치.
  12. 자발광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1 면 (11), 및 제 1 면 (11) 과는 반대측의 제 2 면 (10) 을 갖는 기판 (1) 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 1 면 (11) 상에 발광층 (21) 및 상기 발광층 (21) 을 협지하는 한 쌍의 전극 (20, 22) 을 가지는 자발광 소자 (2) 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면 (10) 에 복수의 불균일한 요철을 가지는 불균일 요철면 (10) 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인접한 돌기의 평균 간격 Sm 또는 인접한 돌기의 돌출부 피크의 평균 간격 S 는 상기 발광층에 의해 생성되는 광의 가장 긴 파장의 3 배 이상이며, 가장 긴 파장의 2 백배 이하이고, 상기 요철면은 적어도 다음
    (ⅰ) 요철면의 산술 평균 경사 Δa 는 3°이상 20°이하이고;
    (ⅱ) 요철면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 Δq 는 4°이상 25°이하이고;
    (ⅲ) 피크의 평균 간격 S 에 대한 요철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 는 0.01 이상 0.07 이하이고;
    (ⅳ) 돌기의 평균 간격 Sm 에 대한 요철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m 는 0.004 이상 0.035 이하이고;
    (ⅴ) 피크의 평균 간격 S 에 대한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의 비 Rz/S 는 0.05 이상 0.30 이하이고;
    (ⅵ) 돌기의 평균 간격 Sm 에 대한 요철면의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의 비 Rz/Sm 는 0.025 이상 0.14 이하이고;
    요구조건 (ⅰ)-(ⅵ) 중 하나가 만족되도록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면 (10) 은 상기 제 1 면 (11) 상에 상기 자발광 소자 (2) 가 형성된 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장치의 제조방법.
  14. 자발광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판 (1) 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 (1) 상에 발광층 (21) 및 상기 발광층 (21) 이 협지되어 있는 한 쌍의 전극 (20, 22) 을 가지는 자발광 소자 (2) 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1) 의 상기 발광층 (21) 과는 반대측에 막 형상의 투명 부재 (3) 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 부재 (30) 의 양면 중 일방의 면 (30) 에 복수의 불균일한 돌기를 가지는 요철면 (30) 을 형성하는 단계로, 인접한 돌기의 평균 간격 Sm 또는 인접한 돌기의 돌출부 피크의 평균 간격 S 는 상기 발광층 (21) 에 의해 생성되는 광의 가장 긴 파장의 3 배 이상이며, 가장 긴 파장의 2 백배 이하이고, 상기 요철면은 적어도 다음
    (ⅰ) 요철면의 산술 평균 경사 Δa 는 3°이상 20°이하이고;
    (ⅱ) 요철면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 Δq 는 4°이상 25°이하이고;
    (ⅲ) 피크의 평균 간격 S 에 대한 요철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 는 0.01 이상 0.07 이하이고;
    (ⅳ) 돌기의 평균 간격 Sm 에 대한 요철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m 는 0.004 이상 0.035 이하이고;
    (ⅴ) 피크의 평균 간격 S 에 대한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의 비 Rz/S 는 0.05 이상 0.30 이하이고;
    (ⅵ) 돌기의 평균 간격 Sm 에 대한 요철면의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의 비 Rz/Sm 는 0.025 이상 0.14 이하인
    요구조건 (ⅰ)-(ⅵ) 중의 하나가 만족되도록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부재 (3) 의 양면 중 상기 요철면 (30) 과는 반대측의 면이 상기 기판 (1) 에 대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면 (30) 은, 상기 투명 부재 (3) 가 상기 기판 (1) 상에 형성되기 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 (3) 는 상기 기판 (1) 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 (3) 의 굴절률은 상기 기판 (1) 의 굴절률과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발광 장치.
  1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 (3) 는 입사된 광의 파장을 변경하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발광 장치.
  19. 기판 (1)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자발광 소자 (2) 를 구비하는 자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발광 소자 (2) 는 한 쌍의 전극 (20, 22)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발광층 (21) 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 (21) 에 의해 생성된 광은 상기 기판 (1) 으로부터 상기 자발광 장치의 외부로 출사되고,
    상기 기판 (1) 은 상기 자발광 소자 (2) 가 형성된 제 1 면 (11) 및 상기 제 1 면 (11) 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 2 면 (10) 을 가지며, 상기 제 2 면 (10) 은 복수의 돌기를 가지는 요철면 (10) 으로, 상기 요철면 (10) 은 복수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불균일하게 형성된 불균일 요철면 (10) 이고, 인접한 돌기의 평균 간격 Sm 또는 인접한 돌기의 돌출부 피크의 평균 간격 S 는 상기 발광층에 의해 생성되는 광의 가장 긴 파장의 3 배 이상이며 상기 가장 긴 파장의 2 백배 이하이고, 적어도 다음
    (ⅹⅰ) 요철면의 산술 평균 경사 Δa 는 8°이상 18°이하이고;
    (ⅹⅱ) 요철면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 Δq 는 10°이상 25°이하이고;
    (ⅹⅲ) 피크의 평균 간격 S 에 대한 요철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 는 0.029 이상 0.066 이하이며;
    (ⅹⅳ) 돌기의 평균 간격 Sm 에 대한 요철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m 는 0.012 이상 0.035 이하이며;
    (ⅹⅴ) 피크의 평균 간격 S 에 대한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의 비 Rz/S 는 0.11 이상 0.25 이하인
    요구조건 (ⅹⅰ)-(ⅹⅴ) 중의 하나가 만족되는 자발광장치.
  20. 기판 (1) 및 상기 기판 (1) 상에 형성된 자발광 소자 (2) 를 구비하는 자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발광 소자 (2) 는 한 쌍의 전극 (20, 22)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발광층 (21) 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 (21) 에 의해 생성된 광은 상기 기판 (1) 으로부터 상기 자발광 장치의 외부로 출사되며,
    상기 기판 (1) 의 상기 발광층 (21) 과는 반대측에 투명 부재 (3) 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 부재 (3) 는, 상기 기판 (1) 에 대향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측의 제 2 면 (30) 을 갖고, 상기 제 2 면 (30) 은 복수의 돌기를 갖는 요철면 (30) 으로, 상기 요철면 (30) 은 복수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불균일하게 형성된 불균일 요철면 (30) 이고, 인접한 돌기의 평균 간격 Sm 또는 인접한 돌기의 돌출부 피크의 평균 간격 S 는 상기 발광층에 의해 생성되는 광의 가장 긴 파장의 3 배 이상이며 상기 가장 긴 파장의 2 백배 이하이고, 적어도 다음
    (ⅹⅰ) 요철면의 산술 평균 경사 Δa 는 8°이상 18°이하이고;
    (ⅹⅱ) 요철면의 제곱 평균 제곱근 경사 Δq 는 10°이상 25°이하이고;
    (ⅹⅲ) 피크의 평균 간격 S 에 대한 요철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 는 0.029 이상 0.066 이하이며;
    (ⅹⅳ) 돌기의 평균 간격 Sm 에 대한 요철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의 비 Ra/Sm 는 0.012 이상 0.035 이하이며;
    (ⅹⅴ) 피크의 평균 간격 S 에 대한 10-포인트 불규칙성 높이 Rz 의 비 Rz/S 는 0.11 이상 0.25 이하인
    요구조건 (ⅹⅰ)-(ⅹⅴ) 중의 하나가 만족되는 자발광장치.
KR1020040034406A 2003-05-16 2004-05-14 발광 장치 및 발광장치를 형성하는 방법 KR100630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39226A JP2004342513A (ja) 2003-05-16 2003-05-16 自発光デバイス
JPJP-P-2003-00139226 2003-05-16
JPJP-P-2003-00139487 2003-05-16
JP2003139487A JP2004342523A (ja) 2003-05-16 2003-05-16 自発光デバイ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164A KR20040099164A (ko) 2004-11-26
KR100630294B1 true KR100630294B1 (ko) 2006-09-29

Family

ID=3303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406A KR100630294B1 (ko) 2003-05-16 2004-05-14 발광 장치 및 발광장치를 형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122958B2 (ko)
EP (1) EP1478032A2 (ko)
KR (1) KR100630294B1 (ko)
CN (1) CN1551693A (ko)
TW (1) TWI2568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4701A (ja) * 2003-12-10 2005-06-30 Toyota Industries Corp 電界発光デバイス
JP4660143B2 (ja) * 2004-08-27 2011-03-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9040170B2 (en) 2004-09-20 2015-05-26 Global Oled Technology Ll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quinazoline complex emitter
CN100468814C (zh) * 2004-12-15 2009-03-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器
US9666826B2 (en) 2005-11-30 2017-05-30 Global Oled Technology Llc Electroluminescent device including an anthracene derivative
US7982380B2 (en) * 2006-08-18 2011-07-19 Dai Nippon Printing Co., Ltd. Front filter for plasma display and plasma display
US8795855B2 (en) 2007-01-30 2014-08-05 Global Oled Technology Llc OLEDs having high efficiency and excellent lifetime
KR100919281B1 (ko) * 2007-08-31 2009-09-30 주식회사 엠디코드 유리기판의 표면처리제와, 이 표면처리제가 도포된표면처리필름 및, 이 표면처리필름을 갖는유기발광다이오드
WO2011015265A2 (en) 2009-08-04 2011-02-10 Merck Patent Gmbh Electronic devices comprising multi cyclic hydrocarbons
WO2011032686A1 (de) 2009-09-16 2011-03-24 Merck Patent Gmbh Formulierungen zur herstellung von elektronischen vorrichtungen
EP2517278B1 (en) 2009-12-22 2019-07-17 Merck Patent GmbH Electroluminescent formulations
WO2011076323A1 (en) 2009-12-22 2011-06-30 Merck Patent Gmbh Formulations comprising phase-separated functional materials
JP5897472B2 (ja) 2009-12-22 2016-03-30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機能性界面活性剤
DE102010006280A1 (de) 2010-01-30 2011-08-04 Merck Patent GmbH, 64293 Farbkonvertierung
JP2013522816A (ja) 2010-03-11 2013-06-13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発光ファイバー
JP6246468B2 (ja) 2010-03-11 2017-12-13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治療および化粧品におけるファイバー
CN101814587A (zh) * 2010-04-12 2010-08-25 吉林大学 一种提高平板发光器件耦合出光效率的方法
CN105949177B (zh) 2010-05-03 2019-02-01 默克专利有限公司 制剂和电子器件
EP2576723B1 (en) 2010-05-27 2017-09-20 Merck Patent GmbH Compositions comprising quantum dots
JP2013539584A (ja) 2010-07-26 2013-10-24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量子ドットおよびホスト
CN106887522B (zh) 2010-07-26 2018-09-18 默克专利有限公司 包含纳米晶体的器件
DE102010055901A1 (de) 2010-12-23 2012-06-28 Merck Patent Gmbh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
EP2675524B1 (en) 2011-02-14 2017-05-10 Merck Patent GmbH Device and method for treatment of cells and cell tissue
CN102683609A (zh) * 2011-03-14 2012-09-19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反置透明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US9923152B2 (en) 2011-03-24 2018-03-20 Merck Patent Gmbh Organic ionic functional materials
JP6223961B2 (ja) 2011-05-12 2017-11-01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イオン性機能材料、組成物および電子素子
WO2012163464A1 (en) 2011-06-01 2012-12-06 Merck Patent Gmbh Hybrid ambipolar tfts
EP2737553A1 (en) 2011-07-25 2014-06-04 Merck Patent GmbH Copolymers with functionalized side chains
DE102011117422A1 (de) 2011-10-28 2013-05-02 Merck Patent Gmbh Hyperverzweigte Polymer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in elektronischen Vorrichtungen
JP6103335B2 (ja) * 2012-01-18 2017-03-2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ガラス基板を用いた有機elデバイス
CN103078065A (zh) * 2013-02-22 2013-05-01 苏州百纳思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oled背光源发光效率的方法
JP6567519B2 (ja) 2013-07-29 2019-08-28 メルク、パテ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Merck Patent GmbH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20160163987A1 (en) 2013-07-29 2016-06-09 Merck Patent Gmbh Electro-optical device and the use thereof
CN103972415B (zh) * 2014-05-08 2015-09-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06687563B (zh) 2014-09-05 2023-03-14 默克专利有限公司 制剂和电子器件
WO2016107663A1 (de) 2014-12-30 2016-07-07 Merck Patent Gmbh Formulierungen und elektronische vorrichtungen
CN107431139B (zh) 2015-03-30 2020-12-01 默克专利有限公司 包含硅氧烷溶剂的有机功能材料的制剂
CN104851947B (zh) * 2015-04-21 2017-11-14 北京邮电大学 一种带有表面糙化透光结构的led芯片及其制作方法
JP6571389B2 (ja) * 2015-05-20 2019-09-04 シャープ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73927B2 (ja) 2015-06-12 2021-05-19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Oled調合物のための溶媒としての非芳香族環を含むエステル
US11046884B2 (en) 2015-08-28 2021-06-29 Merck Patent Gmbh Formulation of an organic functional material comprising an epoxy group containing solvent
KR20180090362A (ko) 2015-12-10 2018-08-10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비-방향족 사이클을 함유하는 케톤을 포함하는 제형
WO2017102048A1 (en) 2015-12-15 2017-06-22 Merck Patent Gmbh Esters containing aromatic groups as solvents for organic electronic formulations
KR20180095028A (ko) 2015-12-16 2018-08-24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둘 이상의 상이한 용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형
WO2017102052A1 (en) 2015-12-16 2017-06-22 Merck Patent Gmbh Formulations containing a solid solvent
KR20180110125A (ko) 2016-02-17 2018-10-08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유기 기능성 재료의 제형
DE102016003104A1 (de) 2016-03-15 2017-09-21 Merck Patent Gmbh Behälter umfassend eine Formulierung enthaltend mindestens einen organischen Halbleiter
KR20190019138A (ko) 2016-06-16 2019-02-26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유기 기능성 재료의 제형
US11041083B2 (en) 2016-06-17 2021-06-22 Merck Patent Gmbh Formulation of an organic functional material
TW201815998A (zh) 2016-06-28 2018-05-0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有機功能材料之調配物
JP6980757B2 (ja) 2016-08-04 2021-12-15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機能材料の調合物
JP6379151B2 (ja) * 2016-10-20 2018-08-22 Thk株式会社 運動案内装置
JP7046938B2 (ja) 2016-10-31 2022-04-04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機能材料の調合物
US10950792B2 (en) 2016-10-31 2021-03-16 Merck Patent Gmbh Formulation of an organic functional material
EP3552252B1 (en) 2016-12-06 2023-05-17 Merck Patent GmbH Preparation process for an electronic device
JP7091337B2 (ja) 2016-12-13 2022-06-27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機能材料の調合物
US20200098996A1 (en) 2016-12-22 2020-03-26 Merck Patent Gmbh Mixtures comprising at least two organofunctional compounds
TWI763772B (zh) 2017-01-30 2022-05-1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電子裝置之有機元件的形成方法
TWI791481B (zh) 2017-01-30 2023-02-1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形成有機電致發光(el)元件之方法
KR20190131554A (ko) 2017-03-31 2019-11-26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를 위한 인쇄 방법
JP7200128B2 (ja) 2017-04-10 2023-01-06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機能材料の調合物
JP7330898B2 (ja) 2017-05-03 2023-08-22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機能材料の調合物
WO2019016184A1 (en) 2017-07-18 2019-01-24 Merck Patent Gmbh FORMULATION OF AN ORGANIC FUNCTIONAL MATERIAL
JP7257100B2 (ja) * 2017-09-11 2023-04-13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透明基板、薄膜支持基板
JP7293229B2 (ja) 2017-12-15 2023-06-19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機能材料の調合物
CN111712551A (zh) 2018-02-26 2020-09-25 默克专利有限公司 有机功能材料的制剂
CN112236488A (zh) 2018-06-15 2021-01-15 默克专利有限公司 有机功能材料的制剂
CN112740432A (zh) 2018-09-24 2021-04-30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生产粒状材料的方法
KR20210083347A (ko) 2018-11-06 2021-07-06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전자 디바이스의 유기 소자의 형성 방법
KR20230002860A (ko) 2020-04-21 2023-01-05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유기 기능성 재료를 포함하는 에멀젼
KR20230028465A (ko) 2020-06-23 2023-02-28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혼합물의 제조 방법
CN116635491A (zh) 2020-12-08 2023-08-22 默克专利有限公司 油墨体系和用于喷墨印刷的方法
WO2022243403A1 (de) 2021-05-21 2022-11-24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aufreinigung von mindestens einem funktionalen material und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aufreinigung von mindestens einem funktionalen material
WO2023012084A1 (en) 2021-08-02 2023-02-09 Merck Patent Gmbh A printing method by combining inks
TW202349760A (zh) 2021-10-05 2023-12-16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電子裝置之有機元件的形成方法
WO2023237458A1 (en) 2022-06-07 2023-12-14 Merck Patent Gmbh Method of printing a functional layer of an electronic device by combining ink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5987A (ja) 1987-10-19 1989-04-24 Nec Corp 薄膜el表示装置
JPH01186588A (ja) 1988-01-14 1989-07-2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表示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H06250182A (ja) 1993-03-01 1994-09-09 Enplas Corp 面光源装置用プリズムシート
US5620348A (en) * 1995-05-12 1997-04-15 Timex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luminescent lamps having surface designs and lamps produced thereby
JP3606636B2 (ja) 1995-06-07 2005-01-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レンズシート、面光源及び表示装置
JP3582160B2 (ja) 1995-08-10 2004-10-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H09129375A (ja) 1995-11-01 1997-05-16 Sumitomo Electric Ind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164885B2 (ja) 1996-09-12 2008-10-15 三菱化学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6777871B2 (en) * 2000-03-31 2004-08-17 General Electric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with enhanced light extraction
TW527848B (en) * 2000-10-25 2003-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utilizing thereof
US6703780B2 (en) * 2001-01-16 2004-03-09 General Electric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a ceramic output coupl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2352956A (ja) 2001-03-23 2002-12-06 Mitsubishi Chemicals Corp 薄膜型発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59641A (ja) 2001-08-09 2003-02-28 Stanley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素子
KR100940530B1 (ko) * 2003-01-17 201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리콘 광소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실리콘광소자 및 이를 적용한 화상 입력 및/또는 출력장치
JP4357854B2 (ja) * 2003-02-28 2009-11-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タ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elディスプレイ
JP4277562B2 (ja) * 2003-04-11 2009-06-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Elディスプレイ
JP2005174701A (ja) * 2003-12-10 2005-06-30 Toyota Industries Corp 電界発光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56853B (en) 2006-06-11
KR20040099164A (ko) 2004-11-26
TW200427356A (en) 2004-12-01
US20040227461A1 (en) 2004-11-18
CN1551693A (zh) 2004-12-01
US7122958B2 (en) 2006-10-17
EP1478032A2 (en) 2004-11-17
US20060066232A1 (en) 2006-03-30
US7067974B2 (en) 200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294B1 (ko) 발광 장치 및 발광장치를 형성하는 방법
US7071617B2 (en) Light-emi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100779440B1 (ko) 유기 el 장치
CN1184524C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8633497B2 (en) Concave-hemisphere-patterned organic top-light emitting device
US6876003B1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parent conductor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un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CN106654046A (zh) Oled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US20050285512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1573468B (zh) 包括辅助电极的平面发光器件
KR20100073228A (ko) 외광 효율이 향상된 발광소자
CN109638055A (zh)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制备方法及显示装置
TW564657B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9444068B2 (en)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coating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nd solar devices
CN110729407B (zh)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JP2004342521A (ja) 自発光デバイス
JP2004342522A (ja) 自発光デバイス
JP2004342523A (ja) 自発光デバイス
CN1527648A (zh) 有机电激发光装置
JP2004342513A (ja) 自発光デバイス
KR101470294B1 (ko) 금속산화물 박막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US11770950B2 (en) Borosilicate light extraction region
WO2009028762A1 (en) Surface treatment material, a film coated with the surface treatment material,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the film
TWI224942B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CN114566601A (zh)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