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580B1 - 생산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580B1
KR100628580B1 KR1020037012182A KR20037012182A KR100628580B1 KR 100628580 B1 KR100628580 B1 KR 100628580B1 KR 1020037012182 A KR1020037012182 A KR 1020037012182A KR 20037012182 A KR20037012182 A KR 20037012182A KR 100628580 B1 KR100628580 B1 KR 100628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workpiece
work piece
conveying
produc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2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8460A (ko
Inventor
야스카와카즈요시
우에노노보루
츠네타하루히로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8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3Clean air work stations, i.e. selected areas within a space which filtered air is pas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가공물의 조립 등의 작업시에 있어서 먼지 티끌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환경이 요구되는 경우에 청정분위기로 이루어지는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산시스템(1)은 피가공물(2)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피가공물 작업부(4a~4p)을 갖는 여러개의 기계장치(3a~3g)와, 피가공물 작업부(4a~4p)을 청정분위기로 유지하는 수단과, 피가공물(2)의 위치를 그 피가공물 작업부(4a~4p)내에서 이동시키는 반송수단(8)과, 이 반송수단(8)을 구동하는 피가공물 작업부(4a~4p)의 외측에 배치한 작업구동수단과, 각 기계장치(3)의 피가공물 작업부(4a~4p)을 서로 연결하여 피가공물(2)을 한쪽의 기계장치(3a~3g)로부터 다른 쪽의 기게장치(3a~3g)로 반송하는 반송관(7)을 구비하는 것으로 생산시스템(1)에서의 작업영역의 소형화와 기계장치(3a~3g)의 이동, 배치바꿈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산시스템{PRODUCTION SYSTEM}
본 발명은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피가공물의 가공작업시나 조립작업시에 있어서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환경이 요구되는 경우에 청정분위기로 이루어지는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생산시스템의 형태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내부에 포함되는 먼지티끌이 없는 높은 청정도의 모터 등을 생산할 경우에 깨끗한 환경을 확보하면서 가공·조립작업을 행하기 위해 피가공물의 반송, 장치로의 설치 등의 공정을 청정분위기하에서 행하도록 한 생산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 경우 생산장치 사이에서의 피가공물 반송도 클린룸이나 클린부스 안에서 행해지므로 반송장치를 먼지발생이 적은 것으로 하는 대책이 취해지고 피가공물 그 자체는 청정룸안을 덮지 않고 반송되도록 되어있다.
그래서 종래 이와같은 생산시스템에 있어서 큰 피가공물을 반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생산장치 자체를 클린룸안으로 가져와 설치하는 것이 편리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생산시스템은 클린룸의 사이즈를 작업원이 작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확보하고 또한 그 룸안을 늘 필요한 클래스의 클린상태로 유지해야 하므로 설비비에 원가가 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클린환경에서의 생산시스템에 있어서는 발열·발진등의 면에서 생산장치 그 자체도 큰 문제를 갖고, 환경유지에 필요한 원가나 에너지가 커지게 된다는 것도 문제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피가공물 가공작업이나 조립작업 등에 필요한 클린룸을 저원가로 실현하는 생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생산시스템은 피가공물에 대해 작업을 하는 피가공물 작업부를 갖는 여러개의 기계장치와, 피가공물 작업부를 청정분위기로 유지하는 청정수단과, 피가공물의 위치를 그 피가공물 작업부내에서 이동시키는 반송수단과, 이 반송수단을 구동하는 피가공물 작업부의 외측에 배치한 작업구동수단과, 각 기계장치의 피가공물 작업부를 서로 연결하고, 피가공물을 한쪽의 기계장치로부터 다른 쪽의 기계장치로 반송하는 반송관을 구비하며, 청정수단으로부터 흐르는 청정기류가 피가공물 작업부로부터 작업 구동수단으로 흐르는 동시에 피가공물 작업부로부터 흐르는 청정기류의 흐름 저항을 감소시켜서, 청정분위기를 작업구동수단 측에서도 유지하는 작은 구멍 또는 반송수단의 이동을 허용하는 슬릿을 구비하는 격벽이 피가공물 작업부와, 작업구동수단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생산시스템에서는 클린룸안 전체의 분위기를 청정으로 하는 대신에 최소한 피가공물에 대해 작업을 행하도록 외계와 구분된 작업영역내를 청정분위기로 유지하도록 하며 피가공물의 가공·조립에 필요 충분한 분위기에서 클린환경을 룸안의 일부에 형성함으로써 클린룸안 전체를 청정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원가를 삭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클린환경을 형성하는 경우의 저원가화를 도모하면서 청정 도가 높은 모터 등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생산시스템에서는 최소한 피가공물의 가공이나 조립 또는 반송에 필요한 영역을 충분한 청정분위기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클린화된 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여 원가절감 및 장치의 이동, 배치바꿈이 간단하게 된다. 또 작업기계, 로봇 등의 발열, 발진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 같은 종류의 피가공물 작업부가 중공의 반송관에 의해 연결되므로 어떤 피가공물 작업부에서 작업을 마친 피가공물은 외기에 닿지 않고 다음의 피가공물 작업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반송관의 콤팩트화를 가능하게 하고, 필요한 최소한도의 크기, 길이로 작업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생산시스템에 있어서는 반송관이 청정분위기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반송관은 필요한 크기의 청정분위기 공간을 외계로부터 구획하여 형성하고, 이 공간을 피가공물이 하나의 피가공물 작업부로부터 다른 피가공물 작업부까지 청정분위기하에서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이동공간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생산시스템에 의하면 피가공물을 가공·조립작업중에 있어서 늘 청정분위기하에서 반송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생산시스템에 있어서 기계장치는 각각 독립적으로 청정분위기로 유지되는 여러개의 피가공물 작업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어느 하나의 기계장치에 있어서 여러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생산시스템에 있어서 반송수단은 피가공물 작업부의 외측으로부터 피가공물에 액세스하여 이 피가공물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반송수단 전체를 청정분위기하에 배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더욱 더 시스템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생산시스템은 외부와 구획되어 피가공물에 대한 작업영역을 형성하고 적어도 피가공물 및 이 피가공물을 이동시키는 반송수단의 작업단을 이 작업영역 내에 수용하는 피가공물 작업부와, 이 피가공물 작업부의 작업영역을 청정분위기로 유지하는 청정수단을 포함하는 청정기류 발생영역과, 반송수단을 구동하는 작업구동수단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설치되는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을 갖고, 또한 피가공물 작업부를 서로 연결하며, 피가공물을 하나의 피가공물 작업부로부터 다른 피가공물 작업부로 반송하는 반송관을 구비하고, 청정수단으로부터 흐르는 청정기류가 작업영역으로부터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으로 흐르는 동시에 작업영역으로부터 흐르는 청정기류의 흐름 저항을 감소시켜서, 청정기류를 투과시키는 작은 구멍 또는 반송수단의 이동을 허용하는 슬릿을 구비하는 격벽이 작업영역과,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생산시스템에 의하면 피가공물의 가공·조립 또는 반송에 필요한 영역에서 청정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고, 클린화된 장치의 소형화, 원가절감 및 장치의 이동·배치바꿈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생산시스템은 청정분위기를 작업구동수단 측에서도 유지하는 작은 구멍, 또는 반송수단의 이동을 허용하는 슬릿을 구비하는 격벽이 피가공물 작업부와 작업구동수단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작업영역내에 있어 청정도가 유지되도록 작업영역을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에 대해 양압이 되도록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청정공기에 대한 저항을 적게 하여 아래쪽에 형성되고 있는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으로의 충분한 공기의 흐름을 확보하여 작업영역내의 먼지와 티끌이 외부로 쉽게 배출가능하다.
이 격벽은 작은 구멍을 통해 청정공기를 작업구동 수단측에 유통시키는 것으 로 작업구동수단측에서도 청정분위기를 유지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격벽은 반송관, 작업구동수단 및 반송수단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부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격벽은 이들의 부속장치 설치대로서 기능하고 또한 만일 피가공물이 낙하해도 이 피가공물을 받아내는 받는 곳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생산시스템에 있어서는 청정기류를 투과시키는 작은 구멍, 또는 반송수단의 이동을 허용하는 슬릿을 구비하는 격벽이 피가공물 작업부와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격벽은 반송관, 작업구동수단 및 반송수단중에서 최소한 어느 하나가 부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생산시스템의 평면도.
도 2는 반송관에 의해 연결된 피가공물 작업부의 내부구조의 일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반송관에 의해 연결된 피가공물 작업부의 내부구조의 일예를 도시하는 정면으로부터의 단면도.
도 4는 측벽과 커버가 있는 반송관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측벽과 커버가 분리된 반송관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피가공물이 올려놓여지는 다이가 분리되어 리니어 모니터만이 도시된 반송관의 평면도.
도 7(a)는 커버가 있는 반송관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b)는 커버가 있는 반송관의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7(c)은 커버가 있는 반송관의 구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8은 3대의 기계장치에 걸치도록 배치된 반송관을 도시하는 정면에서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생산시스템의 평면도.
다음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의 일예를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 도 8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생산시스템(1)은 피가공물(2)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피가공물 작업부(4)을 갖는 여러 기계장치(3)와, 피가공물 작업부(4)를 청정분위기로 유지하는 수단(5)(다음 「청정수단(5)」이라 함)과, 피가공물(2)의 위치를 그 피가공물 작업부(4)내에서 이동시키는 반송수단(8)과, 이 반송수단(8)을 구동하는 피가공물 작업부(4)의 외측에 배치한 작업구동수단(6)과, 각 기계장치(3)의 피가공물 작업부(4)를 서로 연결하여 피가공물(2)을 한쪽의 기계장치(3)로부터 다른쪽의 기계장치(3)로 반송하는 반송관(7)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본 실시예에서의 생산시스템(1)의 크기의 개략을 도시하기 위한 비교대상으로서 A4용지(210mm X 297mm)를 함께 기재하고 있다.
다음에서는 동압 베어링모터를 생산하는 생산시스템(1)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생산시스템(1)은 도 1과 같이 부호 3a~3g로 도시하는 여러개의 기계장치(3)를 구비한다. 이들 기계장치(3a~3g)는 도 3과 같이 청정수단(5)으로 이루어지는 청정하강 기류발생영역, 작업영역(9),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10)의 3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부호 7a~7g로 도시하는 여러개의 반송관에 의해 외기와 차단된 상태에서 연결되고 있다. 피가공물(2)로서의 동압 베어링모터 또는 이를 구성하는 부품은 반송관(7a~7g)을 적절히 통과하여 각 기계장치(3a~3g) 사이를 반송한다.
각 기계장치(3a~3g)는 샤프트 공급부(4a) 등 각각 독립으로 청정분위기 상태로 유지되어 서로 기능이 다른 여러개의 피가공물 작업부(4), 별도의 방법으로 말하면 피가공물(2)인 동압 베어링모터의 가공·조립을 흐름 작업으로 행하는 각 작업부문을 갖고 있다. 예를들어 본 실시예의 경우, 기계장치(3a)는 샤프트 공급부(4a), 플레이트 공급부(4b), 축 압입부(4c) 및 히터부(4d)으로 이루어지고, 기계장치(3b)는 수직도 검사부(4e)으로 이루어지며, 기계장치(3c)는 원통 세정부(4f)로 이루어지고, 기계장치(3e)는 통 안 지름 계측부(4k)로 이루어지며, 기계장치(3f)는 바닥접착밀봉부(4m), 바닥수축 끼워 맞춤부(4n) 및 히트부(4o)로 이루어지고, 기계장치(3g)는 오븐부(4p)로 이루어진다. 또 기계장치(3a)로부터 기계장치(3d)에 도달할 때 까지의 동안 축 지름계측부(4g), 프레임워크 샤프시스템 하나에 대한 저장부(4h), 대응 프레임워크 선택부(4i) 및 축삽입부(4j)가 배치된다. 이 경우 기본적으로는 피가공물(2)을 보내는 종방향으로 각 피가공물 작업부(4)를 배치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횡방향으로 추가의 작업영역을 배치해도 된다.
청정수단(5)은 청정하강기류 발생영역에서 작업영역(9)내에 청정공기를 내 보내 피가공물 작업부(4)내의 분위기를 청정상태로 유지하는 수단이다. 예를들면 본 실시예의 생산시스템(1)의 경우, 청정수단(5)은 도 3과 같이 공기를 뿜어내는 블로어(5a) 및 뿜어져 나온 공기를 청정화하는 필터(5b)에 의해 구성되고, 작업영역(9)에 청정공기의 하강류를 내 보내는 것으로 작업영역(9)이 외부나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10)에 대해 늘 양압상태(즉 정압이 되는 상태)가 되도록 관리되고 있다. 또 적정한 청정가공기류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블로어(5a)의 토출압이나 토출량을 가변으로 하여 조정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제어구조가 함께 배치되고 있다.
작업영역(9)은 예를들면 4면의 측벽(11)을 갖고 그 상부에 청정수단(5)이 부착된 양압상태의 작업공간에서 청정분위기가 유지된 이 공간내에서 동압베어링 모터의 가공·조립이 행해진다. 작업영역(9)의 크기는 피가공물(2)의 가공·조립을 행하는 데 필요한 한도로 소형화를 할 수 있다. 피가공물 작업부(4)에 수작업용의 장갑(15)을 배치하는 경우는 필요한 크기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한편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10)은 배기수단(14)을 갖고 작업영역(9)으로부터 부압 또는 외기로부터 양압(정압)이 되도록 제어되고 있다. 외기이상의 양압이 얻어지는 경우, 배기수단(14)을 그 때마다 정지시키면 전력을 삭감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10)은 4면의 측벽(11)의 1면 이상에 배치된 도어를 갖고 있다. 또 특별히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10)의 상부에서 발진의 가능성이 높은 개소는 부압원을 튜브로 유도하고 흡인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 작업영역(9)과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10) 사이의 격벽(12)은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10)측으로부터 작업영역(9)측으로의 공기의 침입이 없도록 하기 위해 청정수단(5) 등이 가동함으로써 작업영역(9)이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10)에 대해 양압이 되도록 배치되고 있다. 이 격벽(12)은 청정수단(5)으로부터 흐르는 청정공기에 대한 저항이 적고, 아래쪽에 형성되는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10)으로의 충분한 공기의 흐름을 확보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그레이팅이나 펀치메탈 등과 같이 여러개의 작은 구멍을 구비한 격벽(12)은 작업영역(9)과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10)을 사이에 둔 후 공기의 흐름저항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청정공기가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10)측으로 지나갈 때의 흐름을 쉽게 방해할 수 없다. 이렇게 한 경우 작업영역(9)내의 먼지와 티끌이 외부로 쉽게 배출된다. 또한 격벽(12)은 반송수단(8)의 샤프트(8b)의 이동경로 대로 슬릿(13)이 들어가고 필요한 작업에 관한 동작은 방해가 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 슬릿(13)은 청정수단(5)으로부터 흘러 오는 청정공기가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10)측으로 빠져나갈 때의 흐름을 쉽도록 하는 기능도 아울러 갖고 있다.
또한 격벽(12)은 예를들어 그 표면에 뚫린 구멍을 이용하는 등으로 작업구동수단(6), 반송관(7) 또는 반송수단(8) 등을 부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본 실시예의 격벽(12)은 반송관(7), 피가공물 작업부(4)의 부속장치 설치대로서 기능하며, 반송수단(8)의 작업단(8a)이 들어가고 작업단(8a)측과 반송수단(8)의 구동하는 끝 부분측을 분리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며, 만일 피가공물(2)이 낙하한 경우에도 이 피가공물(2)을 받아두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 작업영역(9)의 측벽(11)에 배치된 구멍에는 외기와 차단하면서 이 작업영 역(9)내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장갑(15)을 배치하는 것으로 매뉴얼 유지보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12)을 이 장갑(15)에 끼워진 사람의 손을 놓을 수 있는 작업대로 할 수도 있다.
반송수단(8)은 피가공물 작업부(4)의 외측으로부터 피가공물(2)의 이동·반송을 행하도록 설치되는 로봇 등의 장치로 이루어지고, 최소한 툴이나 핸드 등의 작업단(8a)이 작업영역(9)으로 들어가도록 설치되며 이 작업단(8a)과 반송수단(8)의 구동원이 되는 작업구동수단(6)이 샤프트(8b)에 의해 접속된다. 이 반송수단(8)은 피가공물 작업부(4)의 외측으로부터 피가공물(2)에 액세스하여(즉 가까이 가서 잡는 등) 피가공물(2)을 그 피가공물 작업부(4)내에서 또는 피가공물 작업부(4)와 반송관(7)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작업단(8a)으로서는 피가공물(2)을 잡는 것 외에, 걸거나 압출하는 등의 기능을 갖고 피가공물(2)을 이동시킬 수 있는 모든 수단이 채용가능하다. 또한 반송수단(8)은 작업단(8a)의 구성을 바꿈으로써 그 자체가 피가공물(2)에 대해 코킹이나 나사조임 등의 작업을 행하는 수단으로 할 수 도 있다.
반송관(7)은 작업영역(9)과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10) 사이의 일부에 삽입되고, 상류측의 기계장치(3) 및 하류측의 기계장치(3)를 연결하는 관이다. 이 반송관(7)은 관내가 청정분위기로 유지되고 생산도중의 피가공물(2)을 상류측 기계장치(3)로부터 하류측 기계장치(3)로 클린도를 유지한 상태로 반송할 수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 반송관(7)으로서는 작업영역(9)을 외기로부터 차단할 수 있는 기밀관이 적합하지만 완전한 기밀이 실현되지 않는 경우라도 작업영역(9)을 양압으로 하는 것으로 먼지와 티끌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반송관(7)의 연결부는 규격화·표준화된 것이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생산시스템(1)에서는 상술한 반송관(7)과 반송수단(8)에 의해 각 피가공물 작업부(4)에 피가공물(2)을 공급하여 다시 배출하기 위한 공급배출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상의 생산시스템(1)에 있어서는 각 기계장치(3) 마다 장치내에 청정분위기로 유지되는 작업영역(9)을 배치하고, 독립적으로 각 기계장치(3) 내부의 청정도 관리를 행하는 한편 각 기계장치(3) 사이를 반송관(7)에서 접속하여 피가공물(2)을 반송하고 있다. 이와같이 여러개의 기계장치(3)를 접속하여 생산시스템(1)을 구성하면 하나의 기계장치(3)에 있어서 청정분위기가 손상되어 오염이 발생한 경우, 그 오염이 다른 기계장치(3)에 전파되어 생산시스템(1) 전체가 오염되고 생산도중의 피가공물(2) 전부가 불량이 될 염려가 있어 재검사가 필요하게 되거나 생산시스템(1)의 가동을 중단하여 청정도를 회복시키거나 또는(혹은 이와 함께) 처음부터 시스템의 설정을 할 필요가 있어 큰 손실이 발생한다. 또 피가공물(2)의 보급이나 유지보수 등의 통상작업이 있는 경우도 일시적으로 청정도 저하의 염려가 있어 마찬가지이다.
이와같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생산시스템(1)은 각 기계장치(3)의 청정도를 개개로 모니터함으로써 청정도 관리의 이상상태(즉 오염)를 검출한다. 하나의 기계장치(3)에 오염이 검출된 경우는 다른 기계장치(3)에 전파시키지 않기 위한 제어동작을 행하고 그 때 다른 기계장치(3)의 청정도는 계속하여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오염이 발생한 기계장치(3)에 대해서만 청정도를 회복시켜 이 기계장치(3)의 청정도가 회복한 것을 검출한 시점에서 오염전파방지의 제어를 해제하고, 생산시스템(1)을 재가동시킨다. 이와같이 구성하는 생산시스템(1)은 오염이 발생(청정도 저하)한 경우에 신속하게 회복하여 시스템 전체로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해 신속한 재가동을 실현할 수 있다.
각 기계장치(3)에 있어 청정도 저하 및 오염발생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는 ①파티클 카운터(particle counter)나 가라앉는 입자를 화상처리 등으로 검출에 의해 직접 청정도를 제어하는 방법 외에 ②대신하는 특성에 의해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장치 외부와 작업영역(9)과의 기압을 비교하여 작업영역(9)의 양압이 일정 수준을 밑돈 경우에 오염발생이라고 판단하는 압력측정장치에 의한 방법 또는 다운플로우의 유속을 측정하여 그 유속이 떨어진 경우에 오염발생을 판단하는 유속계 등에 의한 방법이 있다. 또 피가공물(2)의 보급이나 유지보수 등의 통상 작업에 의한 일시적인 청정도 저하에 대응하는 방법으로서 작업영역(9)의 문이 열린 경우에 문의 개폐를 검출하거나 작업자가 유지보수를 행하는 사전수속으로서 스위치를 누르는 등의 방법이 가능하다. 이들의 검출수단을 여러개 배치할 수도 있다.
다음에 하나의 기계장치(3)에서 발생한 오염을 다른 기계장치(3)에 전파시키지 않기 위한 제어작동으로서 ①오염이 발생한 기계장치(3)의 작업영역(9)을 감압한다. ②기계장치(3)의 작업영역(9)에 접속되는 오염이 없는 기계장치(3)로부터 청정한 공기가 흘러오도록 한다. 그 경우 오염이 없는 기계장치(3)의 다운플로우의 유량을 높이거나, 오염된 기계장치(3)의 다운플로우를 멈추거나 또는 오염된 기계장치(3)의 배기팬의 속도를 높이는 등의 방법이 있다. 또 예를들어 반송관(7)내를 이동하는 피가공물 올려놓는 다이(17)에 반송관(7)을 반송방향으로 2분하는 격벽을 배치하고, 오염이 발생한 경우에 오염된 측의 반송관 접속부에 피가공물 올려놓는 다이(17)를 이동하는 등 ③반송관(7)의 개방단면적을 기계적으로 좁히는 것도 다른 방법이다. 물론 상술한 방법을 여러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도 4 ~ 도 8에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반송관(7)에 대해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예에서는 한쪽의 기계장치(3)로부터 다른쪽의 기계장치(3)로 피가공물 올려놓는 다이(17)에 피가공물(2)을 올려놓아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반송관(7)은 서로 인접하는 기계장치(3) 사이에 배치된 커버(16)가 있는 관으로 커버(16)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 5와 같이 커버(16)의 내측에는 피가공물 올려놓는 다이(17)가 배치된다. 또 이 피가공물 올려놓는 다이(17)의 하측에는 도 6과 같이 리니어 모터의 고정자(18)와 이동자(19)가 배치된다. 이동자(19)는 도 7(a)~ 도 7(c)과 같이 피가공물 올려놓는 다이(17)를 지지하고 있고, 고정자(18)를 따라 직선이동한다. 부호 20은 리니어 모터로 전원공급 하는 와이어이다. 또 반송관(7)의 커버(16)가 없는 부분은 기계장치(3)의 내부에 대해 열린 창(21)이 되며 반송수단(8)이 이 창(21)을 거쳐 피가공물(2)을 꺼내도록 되어있다. 또한 도 8에 가운데의 기계장치(3)를 관통하여 3대의 기계장치(3)에 걸치도록 배치된 반송관(7)을 도시한다. 이 반송관(7)에는 각 기계장치(3)에 대응하여 창(21)이 여러개 배치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만 기계장치(3)의 내측을 사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과 같이 반송관(7)에는 리니어모터의 상부에는 실드부재(22)가 구비되고, 이 실드부재(22)에는 피가공물 올려놓는 다이(17)를 지지하는 이동자(19)가 이동하는 곳에 슬릿(22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리니어 모터에서 발생한 먼지, 티끌 등을 피가공물 올려놓는 다이(17)측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되어있다.
이상의 생산시스템(1)에 의해 동압베어링 모터를 생산할 경우 우선 동압베어링 모터를 구성하는 각 유닛 예를들어 샤프트나 플레이트 등을 피가공물 작업부(4)의 측벽(11)으로부터 공급한다. 통 세정은 예를들어 세정액을 뿜어내기 전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유수, 또는 블러시를 사용한 가스중에 있는 수량의 물로 가용성분을 세정하는 스크럽 세정 등에 의해 적절히 분출 방향을 바꾸어 행한다. 또한 원통 세정부(4f)에서의 챔퍼자체의 교환은 가능하게 하지만 이 챔버의 설치 수를 몇개로 할 지는 자유이다. 또 축 압입 후에는 샤프트 지름을 재어 지름마다 분류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통의 내경을 계측하여 이에 맞는 내경의 축을 선택하고, 통에 삽입한다. 또한 플레이트를 코킹하여 오일이 흐르지 않도록 접착제를 도포하고 조립후에 가열에 의해 접착제를 녹여 접착 밀봉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이 오븐으로 가열함으로써 한번에 여러개의 피가공물(모터부품)을 소성할 수 있게 된다. 또 오븐 안에는 늘 최소한 하나의 물품이 들어가도록 하여 타이머로 시간을 알리고, 소성된 피가공물(2)이 오븐으로부터 운반되면 다음의 물품을 오븐의 끝에 나열하는 것으로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의 일예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 여러가지 변형실시가 가 능하다. 예를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류측 기계장치(3)와 하류측 기계장치(3)를 연결하는 반송관(7)을 거쳐 피가공물(2)이 이동가능하도록 했지만 피가공물(2)을 청정분위기하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밀폐식의 트레이(tray) 또는 셔틀(shuttle)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밀폐식의 트레이는 트레이 개구부 덮개를 작업영역(9)의 측벽(11)의 도어에 밀착시킨 상태로 도어를 여는 것으로 작업영역(9)의 내기와 연결하는 구조로 하는 등으로 트레이내의 청정분위기를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의 일예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어 여러가지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류측 기계장치(3)와 하류측 기계장치(3)를 연결하는 반송관(7)을 거쳐 피가공물(2)이 이동가능하도록 했지만 피가공물(2)을 청정분위기하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밀폐식의 트레이 또는 셔틀을 이용하는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밀폐식의 트레이는 트레이 개구부 덮개를 작업영역(9)의 측벽(11)의 도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여는 것으로 작업영역(9)의 내기와 연결하는 구조로 하는 등으로 트레이내의 청정분위기를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생산시스템(1)의 다른 실시예를 다음에 설명한다.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다음에 도시하는 생산시스템(1)에 있어서 정밀가공을 실시하는 크린부스(각 피가공물 작업부(4)의 작업영역(9))는 예를들어 한변 30cm정도의 종래에 비해 작은 사이즈로 각 유닛(각 기계장치(3))은 각각 상부에 청정수단(5)을 구비하고, 늘 아 래를 향해 필터(5b)를 거친 청정공기를 뿜도록 구성하면 방 전체를 청정으로 유지하는 클린룸에 비해 필요한 공조원가를 상당히 낮게 할 수 있다. 이와같은 생산시스템(1)은 전자·정밀기계를 취급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식품이나 의약품 등 양산과정에서 무균상태를 필요로 하는 물품, 상품 등을 취급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또 기계영역(10)에 기계장치(3)나 반송수단(8)의 전원이나 구동원이 되는 특수한 펌프 등도 내장되고 있어 배선이나 배관을 하지 않아도 된다. 또 각 유닛(각 기계장치(3))은 절삭·구멍뚫기·연마·조립·가열로·세정이라는 모든 기능 안의 하나의 기능을 각각 갖는다. 이와같은 크린부스는 제조공정에 맞추어 연결되고 연결시에 예를들어 100cm X 200cm정도의 공간안에서 공장의 셀방식 라인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닛은 캐스터가 있는 가동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생산시스템(1)은 생산품목에 맞추어 각 유닛을 자유롭게 바꿔 넣어 공정을 변경할 수 있고, 품목변경 시에 단시간에 완성이 가능하다.
또 각 크린부스를 연결한 상태로 그 앞이나 옆에 각 크린부스 사이에서 피가공물(2)을 반송하기 위해 레일 등의 수단을 배치하고, 피가공물(2)을 올려놓은 팔렛을 차대 등에서 달리게 할 수도 있다. 팔렛은 피가공물(2)이 동압베어링 모터의 부품 등 소형인 경우 피가공물 사이즈에 따른 신용카드 크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작업대의 위치결정정밀도는 예를들어 10㎛정도이다. 또한 레일 등의 수단을 상술한 반송관안에 수납하도록 해도 된다. 또 부재나 부품(피가공물(2))은 사각 케이스에 넣는 것도 가능하다. 이 사각 케이스는 두껑을 닫은 채 크린부스를 입구에 꽂아넣게 된다. 이 경우 케이스를 크린부스에 넣고 나서 덮개를 열어 가공으로 이동한다. 완성하면 다른 케이스에 넣어 덮개를 한 채로 운반한다. 케이스 내부는 청정환경으로 유지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생산시스템(1)의 일예를 도 1에 도시했지만 시스템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계장치(3)나 반송관(7)의 자유로운 배치와 조합에 의해 예를들면 도 9와 같은 생산시스템(1)을 구축해도 되고 또한 다른 형태로 하는 것도 물론 상관없다.

Claims (10)

  1. 피가공물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피가공물 작업부를 갖는 여러개의 기계장치와, 상기 피가공물 작업부를 청정분위기로 유지하는 수단과, 상기 피가공물의 위치를 그 피가공물 작업부내에서 이동시키는 반송수단과, 이 반송수단을 구동하는 상기 피가공물 작업부의 외측에 배치한 작업구동수단과, 상기 각 기계장치의 상기 피가공물 작업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피가공물을 한쪽의 기계장치로부터 다른쪽의 기계장치로 반송하는 반송관을 구비하며, 상기 청정분위기를 작업구동수단 측에서도 유지하는 작은 구멍 또는 상기 반송수단의 이동을 허용하는 슬릿을 구비하는 격벽이 상기 피가공물 작업부와, 상기 작업구동수단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관이 청정분위기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생산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장치는 각각 독립적으로 청정분위기로 유지되는 여러개의 피가공물 작업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은 상기 피가공물 작업부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피가공물에 액세스하여 이 피가공물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5. 삭제
  6. 외부와 구획되어 피가공물에 대한 작업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피가공물 및 이 피가공물을 이동시키는 반송수단의 작업단을 상기 작업영역 내에 수용하는 피가공물 작업부와, 이 피가공물 작업부의 작업영역을 청정분위기로 유지하는 청정수단을 포함하는 청정기류 발생영역과, 상기 반송수단을 구동하는 작업구동수단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설치되는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을 갖고, 또한 상기 피가공물 작업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피가공물을 하나의 피가공물 작업부로부터 다른 피가공물 작업부로 반송하는 반송관을 구비하고, 상기 청정기류를 투과시키는 작은 구멍 또는 상기 반송수단의 이동을 허용하는 슬릿을 구비하는 격벽이 상기 작업영역과, 상기 기계장치가 구획하는 영역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반송관, 상기 작업구동수단 및 상기 반송수단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부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반송관, 상기 작업구동수단 및 상기 반송수단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부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KR1020037012182A 2001-03-29 2002-03-29 생산시스템 KR100628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97168 2001-03-29
JPJP-P-2001-00097168 2001-03-29
PCT/JP2002/003229 WO2002079699A1 (fr) 2001-03-29 2002-03-29 Systeme de pro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460A KR20030088460A (ko) 2003-11-19
KR100628580B1 true KR100628580B1 (ko) 2006-09-26

Family

ID=1895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2182A KR100628580B1 (ko) 2001-03-29 2002-03-29 생산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132399A1 (ko)
EP (1) EP1384958A4 (ko)
JP (1) JPWO2002079699A1 (ko)
KR (1) KR100628580B1 (ko)
WO (1) WO20020796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6008724A (es) 2004-02-03 2007-02-16 Xcellerex Llc Sistema y metodo para elaboracion.
JP5007053B2 (ja) * 2006-02-23 2012-08-22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試料搬送システム、試料搬送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7108049A (ja) * 2015-12-11 2017-06-15 Tdk株式会社 Efemにおけるウエハ搬送部及びロードポート部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2740A (ja) * 1984-09-03 1986-03-31 Sanki Eng Co Ltd クリ−ントンネル送風清浄装置
US4723480A (en) * 1985-04-19 1988-02-09 Hitachi, Ltd. Manufacturing apparatus with air cleaning device
JPS6341315A (ja) * 1986-08-07 1988-02-2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塵埃の付着を嫌う物品の処理装置
US4951601A (en) * 1986-12-19 1990-08-28 Applied Materials, Inc. Multi-chamber integrated process system
JPH06298358A (ja) * 1993-04-17 1994-10-25 Nippon Muki Co Ltd 製造ライン
JP3347460B2 (ja) * 1994-04-06 2002-11-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生産ラインにおけるクリーンルーム構築方法
US5758680A (en) * 1996-03-29 1998-06-02 Lam Resear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sure control in vacuum processors
US5900105A (en) * 1996-07-09 1999-05-04 Gamma Precision Technology, Inc. Wafer transfer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784238A (en) * 1996-08-01 1998-07-21 Applied Materials, Inc. Coordinated cluster tool energy delivery system
US5944857A (en) * 1997-05-08 1999-08-31 Tokyo Electron Limited Multiple single-wafer loadlock wafer processing apparatus and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therefor
US5988971A (en) * 1997-07-09 1999-11-23 Ade Optical Systems Corporation Wafer transfer robot
JP2000085961A (ja) * 1998-09-09 2000-03-28 Shin Meiwa Ind Co Ltd クリーン作業装置
JP2000085962A (ja) * 1998-09-09 2000-03-28 Shin Meiwa Ind Co Ltd クリーン作業装置
JP2000085963A (ja) * 1998-09-16 2000-03-28 Shin Meiwa Ind Co Ltd クリーン作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32399A1 (en) 2004-07-08
WO2002079699A1 (fr) 2002-10-10
JPWO2002079699A1 (ja) 2004-07-22
EP1384958A1 (en) 2004-01-28
EP1384958A4 (en) 2008-03-05
KR20030088460A (ko) 200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58537A1 (en) Static electricity and dust removing apparatus
KR20060048360A (ko) 청정실, 국소 청정화시스템, 그 사용방법 및 청정실감시시스템
JPH05223300A (ja) 連結式クリーン空間装置
US20160121254A1 (en) Air filtration system
US7393373B1 (en) Portable clean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JP4761497B2 (ja) アイソレーター
KR20050007588A (ko) 클린 조립 모듈 장치, 이것에 의해 구성한 생산 시스템,산업용 로봇 및 오염 전파 방지 시스템
KR100628580B1 (ko) 생산시스템
JP2009257680A (ja) 作業設備および作業設備における局所クリーンルーム
JPH09264575A (ja) 製造装置及び清浄方法
JP2004269214A (ja) 浄化空気通風式の保管設備
KR20040032120A (ko) 가열·냉각시스템 및 이 가열·냉각시스템을 포함하는생산시스템
KR101804302B1 (ko) 산업용 프레임커버 크리닝 장치 및 크리닝 방법
JP2006284025A (ja) 清浄度が保持される製造設備
JPH03158320A (ja) クリーンチューブ搬送装置
KR20060130365A (ko) 오일 수거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
KR20070020519A (ko) 제전제진장치
KR100308365B1 (ko) 청정기능을보유한제조장치및그청정방법
JP2003090576A (ja) クリーン空間構成装置
CN204018563U (zh) 立式胀管机
JP5308236B2 (ja) エアシャワ装置
JP2019011906A (ja) 高温部品の冷却装置
JP3777060B2 (ja) アイソレータ装置の連通機構
JP2010014304A (ja) オイルミスト発生源を有する建物
JPH10238833A (ja) クリーンル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