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377B1 -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377B1
KR100623377B1 KR1020050024556A KR20050024556A KR100623377B1 KR 100623377 B1 KR100623377 B1 KR 100623377B1 KR 1020050024556 A KR1020050024556 A KR 1020050024556A KR 20050024556 A KR20050024556 A KR 20050024556A KR 100623377 B1 KR100623377 B1 KR 100623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ver
outer tube
shock absorber
foreign matter
preven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024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8Covers for protection or app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3/00Diaphragms; Bellows; Bellows pistons
    • F16J3/04Bell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관(110)의 내부를 보호함은 물론, 더스트 커버(220)의 하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더스트커버고정수단(200)이 외부관(110)의 상단에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더스트 커버와 외부관의 틈새를 통하여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되고, 양단이 고정된 더스크 커버는 로어스프링시트와의 과다한 접촉으로 좌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 구조{DUST PERME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A SHOCK ABSORBER }
도 1은 종래 쇽 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더스트커버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쇽 업소버 110 : 외부관
120 : 내부관 130 : 피스톤 로드
200 : 더스트커버고정수단 210 : 몸체
211 : 관통공 212 : 걸림턱
213 : 후크발 220 : 더스트커버
221 : 주름부 222 : 수직면
223 : 걸림홈 224 : 통풍홈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관과 더스트커버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시켜 쇽업소버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쇽 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 업소버(shock absorber)는 차축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시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방진 완충장치로서, 그 내부는 가스 및 오일 등의 충진물이 채워져 감쇠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통상적으로 오일이 충진된 유압식 쇽 업소버가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쇽 업소버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상에 스프링(2)이 상하로 각각 어퍼스프링시트(3)와 로어스프링시트(4)를 매개로 지지되어 장착되는 종래의 쇽 업소버(1)는 오일이 가득 채워진 내부관(20)과, 그 외측으로 오일이 절반정도 채워진 외부관(10), 그리고 일단은 내부관(20)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은 외부관(10) 외측으로 연장된 피스톤 로드(30)가 마련된다.
그리고 외부관(10)의 상단에는 내부의 씰링부(12)를 보호하기 위한 캡(14)이 압입 설치되며, 상측으로는 피스톤 로드(30)의 상측 선단과 결합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더스트 커버(13)가 설치되고, 더스트 커버(13)의 내부에 인장과 압축시 어퍼스프링시트(3)와 캡(14)의 충격을 흡수하는 범퍼러버(16)가 설치되어 진다.
여기서 더스트 커버(13)는 쇽업소버(1)의 작동시 길이 방향으로 접어지는 주름관이 인장과 압축으로 그 길이가 가변하도록 형성하게 되는데 인장시 피스톤 로 드(3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더스트 커버(13)가 피스톤 로드(30)를 덮게 된다.
그런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개방되어 있는 종래의 더스트 커버(13)는 차량의 주행 중 압축과 인장이 반복 작동되는 과정에서 압축 후, 인장시 로어스프링시트(4)에 쌓여있는 이물질이 내부로 흡입되며, 이 흡입된 이물질은 반복 습동되는 피스톤 로드(30)의 외주면에 흡착되어 상처를 발생시키고, 이 상처를 통하여 오일이 누유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복되는 압축과 인장의 과정에서 로어스프링시트(4)와의 과다한 접촉으로 더스트 커버(13)의 주름관이 좌굴 변형되어 캡(14)과의 간섭으로 노이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관의 상단에 설치되는 더스트커버고정수단에 더스트 커버의 하단을 고정시킴으로서, 더스트 커버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었으며, 양단이 고정된 더스크 커버는 로어스프링시트와의 과다한 접촉으로 좌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관으로부터 돌출된 피스톤 로드의 일단에 고착되어서 상기 외부관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더스트커버와, 상기 외부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관의 내부를 보호하고, 상기 더스트 커버의 하단을 고정하는 더스트커버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커버 하부의 수직면상에는 원주방향의 외측으로 볼록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커버고정수단은 내부가 중공되고, 상면은 상기 피스톤 로드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하면은 개구되어 상기 외부관의 상단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 하부에 상기 걸림홈을 결합하기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몸체의 하단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더스트커버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후크발을 포함지하는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더스트커버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 구조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주상에 스프링(102)이 상하로 각각 어퍼스프링시트(103)와 로어스프링시트(104)를 매개로 지지되어 장착되는 쇽 업소버(100)에는 오일이 가득 채워진 내부관(120)과, 그 외측으로 오일이 절반정도 채워진 외부관(110), 그리고 일단은 내부관(120)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은 외부관(110) 외측으로 연장된 피스톤 로드(130)가 마련된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130)의 상측 선단에는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더스트 커버(220)가 설치되고, 더스트 커버(220)의 내부에 범퍼러버(140)가 설치되어 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더스트 커버(220)와 외부관(110)의 틈새를 통하여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더스트 커버(220)의 하단과 외부관(110)과의 틈새에 더스트커버고정수단(200)이 설치된다.
더스트커버고정수단(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관(110)의 내부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캡 형상의 몸체(210)로 구성된다.
외부관(110)의 상단에 압입 설치되는 몸체(210)는, 중공의 내부를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하면은 개구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피스톤 로드(130)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211)이 중앙에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210)의 외주면 하부측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걸림턱(212)이 형성되며, 그 몸체(210)의 하단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크발(213)이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걸림턱(212)과 후크발(213)은 몸체(210)에 일체로 성형되며, 재질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더스트커버(220)는 쇽업소버(100)의 작동시 인장과 압축으로 그 길이가 가변되는 주름부(221)와, 주름부(221)의 하부로 수직하게 일체로 이어지는 수직면(222)이 형성된다.
수직면(222)에는 위에서 설명한 몸체(210)상의 걸림턱(212)이 체결될 수 있도록 수직면(222)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홈(223)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걸림홈(223)은 걸림턱(212)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수직면(222)에는 내부측과 연통되도록 내측면에 수직 방향의 통풍홈 (224)이 다수개 형성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구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조립은, 외부관(110)이 일련의 코킹 또는 컬링 작업을 마친 후, 몸체(210)의 관통공(211)에 피스톤 로드(130)가 관통된 상태에서 개구된 하부측을 외부관(110)의 상단에 압입 설치시키게 된다.
이렇게 외부관(110)의 상단에 설치된 몸체(210)는, 외부관(110)의 내부측 씰링부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되며, 그 몸체(210)에 더스크 커버(220)의 하단이 고정된다.
더스트 커버(220)의 고정은, 더스트커버(220)의 수직면(222)이 몸체(210)에 씌워지면서 걸림홈(223)에 몸체(210)의 걸림턱(212)이 삽입되어 더스트 커버(220)의 고정이 이루어지며, 더스트 커버(220)의 하단면은 후크발(213)에 접촉되어 압축시 지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이 충격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면, 외부관(110)으로부터 돌출된 피스톤 로드(130)가 왕복운동을 하게 되며, 더스트 커버(220)도 연동하면서 왕복운동을 하게된다.
이때, 더스트 커버(220)의 수직면(222)은 더스트커버고정수단(200)의 몸체(210)에 고정되어지며, 피스톤 로드(130)의 인장시 주름부(221)가 펼쳐지면서 늘어난 피스톤 로드(130)를 이물질의 침투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즉, 더스트 커버(220)의 하단부가 구속됨으로 하여 종래에 더스트 커버(220) 와 외부관(110)의 틈새 사이로 침투되던 이물질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며, 또 양단이 고정되어 있는 더스트 커버(220)는 좌굴이 방지된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130)의 복귀시에는 더스트 커버(220)의 하단면이 몸체(210)의 후크발(213)에 지지되면서 주름부(221)가 줄어들게 된다. 이때, 압축시 더스트 커버(220)의 내부 공기는 팽창되어 내구성능 악화 및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도록 통풍홈(224)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처럼 더스트커버(220)의 하단을 더스트커버고정수단(200)으로 하여 결합시킴으로써, 피스톤 로드(130)측으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며, 좌굴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구조는, 외부관의 상단에 설치되는 더스트커버고정수단에 더스트 커버의 하단을 고정시킴으로서, 더스트 커버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양단이 고정된 더스크 커버는 로어스프링시트와의 과다한 접촉으로 좌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부관으로부터 돌출된 피스톤 로드의 일단에 고착되어서 상기 외부관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더스트커버와,
    상기 외부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관의 내부를 보호하고, 상기 더스트 커버의 하단을 고정하는 더스트커버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커버 하부의 수직면상에는 원주방향의 외측으로 볼록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커버고정수단은 내부가 중공되고, 상면은 상기 피스톤 로드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하면은 개구되어 상기 외부관의 상단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 하부에 상기 걸림홈을 결합하기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몸체의 하단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더스트커버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후크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직면의 내측에 수직 방향의 통풍홈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구조.
KR1020050024556A 2005-03-24 2005-03-24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 구조 KR100623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556A KR100623377B1 (ko) 2005-03-24 2005-03-24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556A KR100623377B1 (ko) 2005-03-24 2005-03-24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3377B1 true KR100623377B1 (ko) 2006-09-13

Family

ID=3762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556A KR100623377B1 (ko) 2005-03-24 2005-03-24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3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375B1 (ko) 2006-05-03 2007-12-11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
DE112014001591B4 (de) 2013-03-22 2022-03-03 Sumitomo Riko Company Limited Staubabdecku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1948U (ko) 1986-09-20 1988-04-07
KR20020051434A (ko) * 2000-12-22 2002-06-29 밍 루 쇽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JP2003065381A (ja) 2001-08-24 2003-03-05 Showa Corp 油圧緩衝器のダストカバー固定構造
KR20030032442A (ko) * 2001-10-18 2003-04-26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 장치
JP2003194129A (ja) * 2001-12-25 2003-07-09 Fuji Heavy Ind Ltd 車両のストラット装置
KR20030060300A (ko) * 2002-01-08 2003-07-16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1948U (ko) 1986-09-20 1988-04-07
KR20020051434A (ko) * 2000-12-22 2002-06-29 밍 루 쇽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JP2003065381A (ja) 2001-08-24 2003-03-05 Showa Corp 油圧緩衝器のダストカバー固定構造
KR20030032442A (ko) * 2001-10-18 2003-04-26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 장치
JP2003194129A (ja) * 2001-12-25 2003-07-09 Fuji Heavy Ind Ltd 車両のストラット装置
KR20030060300A (ko) * 2002-01-08 2003-07-16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결합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32442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375B1 (ko) 2006-05-03 2007-12-11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
DE112014001591B4 (de) 2013-03-22 2022-03-03 Sumitomo Riko Company Limited Staubabdeck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2188B2 (en) Dust seal structure for shock absorber
KR101276870B1 (ko) 쇽업소버의 실린더 캡
JP5912621B2 (ja) 懸架装置およびダストカバーの保持部材
KR100623377B1 (ko)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 구조
KR100596930B1 (ko)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 구조
KR100776217B1 (ko)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 장치
KR100456014B1 (ko) 쇽 업소버의 범퍼 스토퍼
KR100716428B1 (ko) 저면 쉴드부를 갖는 더스트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쇽업소버
KR101326958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KR100793248B1 (ko) 쇽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KR100791469B1 (ko) 쇽 업소버
KR100757809B1 (ko) 쇽 업소버의 범퍼러버
KR100731498B1 (ko) 쇽 업소버
KR100776567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결합구조
KR100776218B1 (ko) 쇽 업소버의 이물질 침투방지장치
KR100741279B1 (ko) 쇽 업소버의 오일씰
KR100724246B1 (ko) 쇽업소버
KR0130622Y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설치구조
KR100716425B1 (ko) 쇽 업소버의 범퍼러버
KR100775515B1 (ko) 쇽업소버의 오일씰
KR100766857B1 (ko) 더스트 커버
KR100623274B1 (ko) 쇼크업소버용 밀폐구조
KR101273564B1 (ko) 쇽업소버
KR100478908B1 (ko) 쇽 업소버의 상부캡 지지구조
KR101194985B1 (ko) 리바운드 코일스프링을 갖는 쇽업소버 및 쇽업소버의리바운드 코일스프링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4